KR101737821B1 -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 Google Patents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821B1
KR101737821B1 KR1020160098589A KR20160098589A KR101737821B1 KR 101737821 B1 KR101737821 B1 KR 101737821B1 KR 1020160098589 A KR1020160098589 A KR 1020160098589A KR 20160098589 A KR20160098589 A KR 20160098589A KR 101737821 B1 KR101737821 B1 KR 10173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screen
interface
pairs
piece member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본
Original Assignee
(주)본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본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본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6009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41F15/36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5/00Screen printing machines
    • B41P2215/10Screen print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41P2215/11Registering devices
    • B41P2215/112Registering devices with means for displacing th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는, 인터페이스부의 맞물림면과 인장장치의 맞물림돌기가 맞물릴 때 4.5°의 각도로 인터페이스부가 기울어지는 현상에 미리 대응되도록 인터페이스부와 코너피스가 연결될 때 강제적으로 인터페이스부가 4~6°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장력에 의해 인터페이스부와 코너피스의 연결부분이 뒤틀리거나 꺽이는 등의 현상을 없애고 전체적으로 안정된 맞물림에 의해 균일한 인장력이 인쇄스크린에 전달되게 하며, 또한 인쇄스크린 유닛을 인장장치로부터 탈부착하거나 운반할 때 연결부분의 뒤틀림을 없애어 인쇄스크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ASSEMBLING APPARATUS OF PRINTING SCREEN UNITS}
본 발명은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스크린 유닛을 조립할 때 구조적으로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의 경사각에 의해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의 맞물림면이 인장장치의 맞물림돌기와 안정적으로 맞물려 균일한 분포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스크린 유닛의 지지프레임 구조체의 경우, 인쇄스크린은 얇고 경직된(stiff) 금속재료, 전형적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지며, 보통 땜납과 같은 인쇄 매개물의 인쇄에 사용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인쇄 구멍(printing aperture)를 갖는다. 상기 인쇄스크린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짜인 메쉬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트랜드(strand)로 이루어진 휘기 쉬운 천공 시트에 의해, 상기 인쇄스크린을 인장시키는 사각형 지지프레임에 장착된다.
인쇄스크린은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지만, 느슨한 부분이 있으면 인쇄스크린이 스퀴지에 의해 긁힌 때 인쇄 패턴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인쇄 패턴이 왜곡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를 수행할 때 인장력을 인쇄스크린에 부여하여 인쇄스크린에 항상 소정의 인장력을 줄 필요가 있다.
인쇄스크린이 지지프레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경우가 많아 인쇄스크린이 필요한 경우에 이 인쇄스크린은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무겁고 부피가 큰 인쇄스크린이 보관되거나 운반되어야 한다.
인쇄스크린의 가장자리를 감거나 또는 클램핑하는 등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부착하는 구조의 지지프레임이 있다. 이 지지프레임은 인쇄스크린의 각 쌍의 대향하는 에지(edge)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와,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를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를 구성한다.
특히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는 인쇄스크린의 각 쌍의 대향하는 에지부분과 연결부재를 매개로 끼워맞춤에 의해 연결되어 인장력을 가할 때 결속력을 높여주면서 인쇄스크린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종래에 제안된 인쇄스크린 유닛(2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맞물림구멍(224)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인쇄구멍(220) 패턴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인쇄스크린(212)과, 상기 인쇄스크린(212)의 에지부분측 맞물림구멍(224)에 대향하도록 연결부재(230)를 매개로 끼워맞춤되어 부착되는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와,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를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218a-218d)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214)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는, 상기 인쇄스크린(212)의 각 에지가 수평으로 끼워맞춤되는 제1 연결슬롯(242)을 형성하는 하측 몸체부(238)와, 상기 연결부재(230)가 수직으로 세워져 끼워맞춤되는 제2 연결슬롯(244)을 형성하는 상측 몸체부(240)를 구성한다.
상기 제2 연결슬롯(244)은 상기 연결부재(230)가 수직으로 세워져 끼워맞춤될 때 연결부재(23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7~15°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몸체부(240)에는, 인장장치(30)의 맞물림돌기(50)와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내측 하단에 맞물림면(254)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피스(218a-218d)의 직교된 양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내측 상단 양측에 오목부(256)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재(230)는 직사각형의 긴 바(bar)로서,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상측 몸체부(240)에 형성된 제2 연결슬롯(244)에 수직으로 세워져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되는 긴 몸체(257)와, 상기 긴 몸체(257)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인쇄스크린(212)의 에지부분 맞물림구멍(224)에 대향되게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맞물림돌기(258)를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218a-218d)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단부측 오목부(256)와 맞물림면(254)에 대향되게 동시 끼워맞춤되도록 직교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피스부재(268,270)를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218a-218d)의 제1 및 제2 피스부재(268,270)는 기울기가 없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 피스부재(268,270)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도 도 4 및 도 5와 같이 동일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왔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는 도 5(c)와 같이 인장장치(30)의 승강작동부(40)의 레일판(42)에 안착되어 도 5(b)와 같이 수평으로 상승되다가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맞물림면(254)과 인장장치(30)의 맞물림돌기(50)가 서로 대응되게 맞물릴 때, 도 5(a)와 같이 4.5°의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인쇄스크린(212)에 인장력을 가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와 코너피스(218a-218d)의 연결부분이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었다.
즉,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와 코너피스(218a-218d)를 연결부분을 단단하게 설계하여 조립할 경우,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맞물림면(254)과 인장장치(30)의 맞물림돌기(50)가 서로 대응되게 맞물릴 때 4.5°의 각도로 기울어지려는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와 4.5°의 각도로 기울어지지 않으려는 코너피스(218a-218d)와의 힘의 충돌에 의해 연결부분이 뒤틀리거나 꺽이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맞물림면(254)과 인장장치(30)의 맞물림돌기(50)와의 맞물림 상태가 코너피스(218a-218d)쪽으로 갈수록 들뜸 형상이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맞물림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 상태의 인장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인쇄스크린(212)에 균일한 인장력을 가할 수 없으므로 금속이나 강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기피해 왔었다.
이에 반해,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와 코너피스(218a-218d)를 연결부분을 느슨하게 설계하여 조립할 경우,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맞물림면(254)과 인장장치(30)의 맞물림돌기(50)가 서로 대응되게 맞물릴 때 4.5°의 각도로 기울어지려는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영향을 받아 코너피스(218a-218d)도 부드럽게 기울어지지만, 이들 연결부분의 유연함으로 인하여 인쇄스크린 유닛(210)을 인장장치(30)로부터 탈부착하거나 운반할 때 자체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뒤틀림이 발생되기 때문에 얇은 인쇄스크린(212)이 파손되어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인장력에 의해 인터페이스부와 코너피스의 연결부분이 뒤틀리거나 꺽이는 등의 현상을 없애고 전체적으로 안정된 맞물림에 의해 균일한 인장력이 인쇄스크린에 전달되게 하며, 또한 인쇄스크린 유닛을 인장장치로부터 탈부착하거나 운반할 때 연결부분의 뒤틀림을 없애어 인쇄스크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는, 에지에 맞물림구멍이 형성되고 중앙에 인쇄구멍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스크린과, 상기 인쇄스크린의 에지부분측 맞물림구멍에 대향하도록 연결부재를 매개로 부착되는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를 구비한 인쇄스크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의 단부가 직교하는 코너에 위치되는 직사각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교하는 안쪽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의 단부측 오목부와 맞물림면에 대향되게 동시 각각 끼워맞춤될 때 인터페이스부를 4~6°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잡아주는 제1 및 제2 피스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피스부재와 제2 피스부재는 상기 몸체로부터 안쪽단이 바깥단보다 4~6°의 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피스부재와 제2 피스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의 단부측 오목부에 대향되게 끼워지도록 돌출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한쪽 평면면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의 단부 맞물림면에 대향되게 맞물리도록 맞물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는, 인터페이스부의 맞물림면과 인장장치의 맞물림돌기가 맞물릴 때 4.5°의 각도로 인터페이스부가 기울어지는 현상에 미리 대응되도록 인터페이스부와 코너피스가 연결될 때 강제적으로 인터페이스부가 4~6°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장력에 의해 인터페이스부와 코너피스의 연결부분이 뒤틀리거나 꺽이는 등의 현상을 없애고 전체적으로 안정된 맞물림에 의해 균일한 인장력이 인쇄스크린에 전달되게 하며, 또한 인쇄스크린 유닛을 인장장치로부터 탈부착하거나 운반할 때 연결부분의 뒤틀림을 없애어 인쇄스크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쇄스크린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A 영역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 부분 영역에서 본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프레임 고정수단에 인쇄스크린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인쇄스크린 유닛이 인장장치에 탈부착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와 코너피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와 코너피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인쇄스크린 유닛이 인장장치에 탈부착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대하여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는, 에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맞물림구멍(224)이 형성되고 중앙에 인쇄구멍(220) 패턴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인쇄스크린(212)과, 상기 인쇄스크린(212)의 에지부분측 맞물림구멍(224)에 대향하도록 연결부재(230)를 매개로 끼워맞춤되어 부착되는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와,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218a-218d)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에는, 상기 인쇄스크린(212)의 각 에지가 수평으로 끼워맞춤되는 제1 연결슬롯(242)을 형성하는 하측 몸체부(238)와, 상기 연결부재(230)가 수직으로 세워져 끼워맞춤되는 제2 연결슬롯(244)을 형성하는 상측 몸체부(240)와, 상기 상측 몸체부(240)의 내측 하단에 인장장치(30)의 맞물림돌기(50)와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맞물림면(254)과, 상기 상측 몸체부(240)의 내측 상단 양측에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218a-218d)의 직교된 양 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256)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218a-218d)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단부가 직교하는 코너에 위치되는 직사각형의 몸체(262)와, 상기 몸체(262)의 직교하는 안쪽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단부측 오목부(256)와 맞물림면(254)에 대향되게 동시 각각 끼워맞춤될 때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를 4~6°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잡아주는 제1 및 제2 피스부재(268,27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피스부재(268)와 제2 피스부재(270)는 상기 몸체(262)로부터 안쪽단이 바깥단보다 4~6°의 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피스부재(268)와 제2 피스부재(27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단부측 오목부(256)에 대향되게 끼워지도록 돌출부(266)(27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66)(272)의 한쪽 평면면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단부 맞물림면(254)에 대향되게 맞물리도록 맞물림면(266a)(272a)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40은 승강작동부, 42는 레일판, 52는 탄발부재, 54는 공기튜브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는, 인쇄스크린(212)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와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218a-218d)에 의해 사각 틀체 형상으로 제작된 인쇄스크린 유닛(210)을 도 8(c)와 같이 인장장치(30)의 하부측 승강작동부(40)의 레일판(42)에 안착시키면,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가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218a-218d)의 제1 및 제2 피스부재(268,270)에 형성된 4~6°의 경사 각도에 의해 안쪽단이 바깥단보다 4~6°의 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가 4~6°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로 승강작동부(40)의 상승 작동에 따라 도 8(b)와 같이 수평으로 상승되면,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맞물림면(254)이 인장장치(30)의 맞물림돌기(50) 보다 더 상승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맞물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맞물림면(254)과 맞물림돌기(50)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도 8(a)와 같이 공기튜브(54)가 압축되면, 탄발부재(52)의 탄발력에 의해 맞물림돌기(50)가 맞물림면(254)에 손 쉽게 맞물리면서 인쇄스크린(212)이 팽팽하게 펴지도록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는 코너피스(218a-218d)에 의해 맞물림면(254)이 인장장치(30)의 맞물림돌기(50)와 장착되기 전에 이미 4~6°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서로 맞물리더라도 인장력에 의해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와 코너피스(218a-218d)의 연결부분이 뒤틀리거나 꺽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맞물림면(254)과 인장장치(30)의 맞물림돌기(50)가 전체적으로 안정되게 맞물려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주는 것이기 때문에 균일한 인장력이 인쇄스크린(212)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7~15°의 각도로 기울어져서 인쇄스크린(212)과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30)가 4~6°의 각도로 기울어진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에 의해 추가로 더 큰 각도로 기울어지는 효과를 주기 때문에 결속력으로 높아지면서 인쇄스크린(212)을 더욱 안정적으로 인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218a-218d)는 그 몸체(262)로부터 제1 및 제2 피스부재(268,270)가 4~6°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경우, 강한 재질의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코너피스(218a-218d)와 인터페이스부(216,216,217,217)를 보다 강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인쇄스크린 유닛(210)을 인장장치(30)로부터 탈부착하거나 운반할 때 연결부분의 뒤틀림이나 인쇄스크린(2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30 : 인장장치 50 : 맞물림돌기
210 : 인쇄스크린 유닛 212 : 인쇄스크린
216,216 : 제1 쌍의 인터페이스부 217,217 :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
218a-218d :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 230 : 연결부재
254 : 맞물림면 256 : 오목부
266 : 돌출부 266a : 맞물림면
268 : 제1 피스부재 270 : 제2 피스부재
272 : 돌출부 272a : 맞물림면

Claims (3)

  1. 에지에 맞물림구멍이 형성되고 중앙에 인쇄구멍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스크린과, 상기 인쇄스크린의 에지부분측 맞물림구멍에 대향하도록 연결부재를 매개로 부착되는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를 구비한 인쇄스크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피스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의 단부가 직교하는 코너에 위치되는 직사각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교하는 안쪽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의 단부측 오목부와 맞물림면에 대향되게 동시 각각 끼워맞춤될 때 인터페이스부를 4~6°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잡아주는 제1 및 제2 피스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부재와 제2 피스부재는 상기 몸체로부터 안쪽단이 바깥단보다 4~6°의 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부재와 제2 피스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의 단부측 오목부에 대향되게 끼워지도록 돌출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한쪽 평면면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쌍의 인터페이스부의 단부 맞물림면에 대향되게 맞물리도록 맞물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KR1020160098589A 2016-08-02 2016-08-02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KR10173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589A KR101737821B1 (ko) 2016-08-02 2016-08-02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589A KR101737821B1 (ko) 2016-08-02 2016-08-02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821B1 true KR101737821B1 (ko) 2017-05-19

Family

ID=5904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589A KR101737821B1 (ko) 2016-08-02 2016-08-02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8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3322B2 (ja) 1998-04-13 2002-08-12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スクリーン印刷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3322B2 (ja) 1998-04-13 2002-08-12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スクリーン印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8136B2 (ja) 印刷スクリーンユニット
US20200014002A1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N210200182U (zh) 一种背板、框架结构及显示装置
KR101737821B1 (ko)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KR102043597B1 (ko) 적층형 전자부품 압착지그
CN210378199U (zh) 显示主体及包含其的拼接式智能交互平板
JP7243339B2 (ja) 接続装置、筐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765120B1 (ko) 인쇄스크린 유닛의 지지프레임 구조체
CN204810809U (zh) 一种电子元件的保持架
CN101952640B (zh) 液晶显示装置用背光源
JPH0738231A (ja) クリーム半田用メタルマスクおよび枠への取付方法
KR101246237B1 (ko) 백라이트 장치의 도광판 고정 구조
EP3912818A1 (en) Print screen unit
JP2005078873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US6491543B1 (en) Electrical circuit connector with tapered surface
JP4702897B2 (ja) 額縁組み立て治具
KR101487066B1 (ko) 스크린 프린터용 기판 지지 유닛
JP2014091233A (ja) スクリーン版及びスクリーン版用治具
CN218091557U (zh) 一种天花吊顶型材及安装结构
KR100537021B1 (ko) 타일드 액정표시장치
CN216649843U (zh) 转接卡扣结构、中框组件及液晶电视
JP2017165456A (ja) ガラス板保持具及びガラス板搬送装置
CN214410607U (zh) Led显示屏
CN210161032U (zh) 一种用于手机屏幕组装的定位模具
WO2016201816A1 (zh) 边框组件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