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510B1 -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510B1
KR101915510B1 KR1020170079380A KR20170079380A KR101915510B1 KR 101915510 B1 KR101915510 B1 KR 101915510B1 KR 1020170079380 A KR1020170079380 A KR 1020170079380A KR 20170079380 A KR20170079380 A KR 20170079380A KR 101915510 B1 KR101915510 B1 KR 101915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ing
unit
driving force
heavy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지지 장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량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 장치{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교적 규모가 큰 선박은 다양한 과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특히, 선체의 형성 과정은 소조립 공정, 중조립 공정 및 대조립 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조립 공정은 판재 등을 조립하여 소규모의 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이고, 중조립 공정은 소규모의 블록을 조립하여 중규모의 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이며, 대조립 공정은 중규모의 블록을 조립하여 대규모의 블록을 조립하는 공정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 조립 공정에서 블록은 지면에 안착하지 않고 지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블록과 지면의 사이에는 블록을 지지하는 지주가 구비될 수 있다. 지주가 이용됨에 따라 블록이 평행 자세 또는 특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7276호 (2015.01.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지 장치의 일 면(aspect)은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량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회동하여 대응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대응하는 수용 공간에서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중량물을 지지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막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벨트 또는 체인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구동부 및 동력 전달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자세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자세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에 의하여 중량물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구동부 및 동력 전달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자세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자세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구동부 및 동력 전달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장치(10)는 받침부(100), 지지부(200), 구동부(300) 및 동력 전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100)는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받침부(100)는 지면에 평행하고 넓은 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받침부(100)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중량물은 받침부(100)를 통하여 지면에 대한 견고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받침부(100)는 정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지부(200)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부(200)는 중량물에 실제로 접촉하여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다. 중량물의 중량은 지지부(200)를 통하여 받침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지지부(200)에는 중량물과의 마찰을 완화시키거나 중량물의 이동을 위한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받침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일측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장축이 받침부(100)의 넓은 면에 평행하도록 배치되거나 받침부(100)의 넓은 면에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100)에는 지지부(20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S1)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장축이 받침부(100)의 넓은 면에 평행한 경우 지지부(200)는 수용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00)의 장축이 받침부(100)의 넓은 면에 수직한 경우 지지부(200)의 일부는 수용 공간(S1)에서 노출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일부가 수용 공간(S1)에서 노출된 상태에서 지지부(200)는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지지부(200)의 장축이 받침부(100)의 넓은 면에 평행하여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지지부(200)의 자세를 수용 자세라 하고, 지지부(200)의 장축이 받침부(100)의 넓은 면에 수직하여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00)의 자세를 지지 자세라 한다.
지지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200)가 중량물의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을 지지함으로써 중량물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구동부(3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력은 지지부(200)를 회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300)의 구동력은 회전 구동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300)는 회동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400)는 복수의 지지부(200)를 연결하여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복수의 지지부(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호간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부(200) 및 동력 전달부(400) 중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 홈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돌기가 결합 홈에 삽입됨에 따라 지지부(2000와 동력 전달부(400)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의 장축을 중심으로 동력 전달부(400)에 대한 지지부(200)의 회전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지지부(20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400)는 막대의 형태로 제공되어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200)의 조합체가 2개가 나란히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 조합체에 지지되어 중량물은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300)의 구동력은 일부 지지부(200)에만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400)가 복수의 지지부(200)를 연결함에 따라 일부 지지부(200)에 전달된 구동력이 전체 지지부(20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200) 중 양측 말단에 구동부(300)가 구비되고, 각 구동부(300)는 자신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지지부(20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은 지지부(이하, 직접 지지부라 한다)는 회동하여 자세를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지지부(200)의 양측에 구비된 직접 지지부(200)가 회동하여 자세가 전환됨에 따라 동력 전달부(400)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측 직접 지지부(200)의 사이에 구비된 지지부(이하, 간접 지지부라 한다)는 동력 전달부(400)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체 지지부(200) 중 일부 지지부(200)에만 직접적으로 구동력이 제공되더라도 전체 지지부(200)의 자세가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부(300)에 의하여 구동력이 발생되는 경우 전체 지지부(200)가 회동하여 자세가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복수의 지지부(200) 각각은 구동부(30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동하여 수용 자세로 전환됨으로써 받침부(100)에 구비된 자신의 수용 공간(S1)에 수용되거나, 지지 자세로 전환됨으로써 자신의 수용 공간(S1)에서 일부가 노출되어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지지부(200)가 수용 자세로 전환되어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지지부(2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중량물이 받침부(100)에 안착하는 경우 중량물은 받침부(10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자세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지지부(200)는 일렬로 배치되고 일률적으로 자세가 전환될 수 있다.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200) 중 양측 말단에 구비된 지지부(200)에 구동부(300)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구동부(300)는 자신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지지부(200)에만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양측에 구비된 구동부(300)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작업 명령을 입력한 경우 단말기는 구동부(300)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구동부(3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시에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구동부(300)는 동시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구동부(300)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동부(300)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지지부(직접 지지부)가 회동하게 되고, 동력 전달부(400)는 그 장축이 지면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하는 동력 전달부(400)는 직접 지지부(200)의 사이에 구비된 지지부(간접 지지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이에 간접 지지부(200)도 직접 지지부(200)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자세 전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직접 지지부(200)와 간접 지지부(200)는 동시에 수용 자세로 전환되거나 지지 자세로 전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전체 지지부(200)의 자세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자세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에 의하여 중량물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지지 자세로 전환되고, 중량물(M)은 지지 자세로 전환된 지지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량물(M)은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블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지 자세로 전환된 지지부(200)는 수용 공간(S1)에서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수용 공간(S1)에서 노출된 지지부(200)는 받침부(100)의 상측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200)가 받침부(100)의 상측면에서 돌출됨에 따라 중량물(M)의 하측면에 일부 자재(L)가 돌출 형성되더라도 해당 자재(L)가 받침부(100)의 상측면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구동부 및 동력 전달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지지 장치(20)는 받침부(500), 지지부(600), 구동부(700) 및 동력 전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500)는 중량물(M)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받침부(500)는 지면에 평행하고 넓은 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600)는 중량물(M)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부(600)는 중량물(M)에 실제로 접촉하여 중량물(M)을 지지할 수 있다. 구동부(7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력은 지지부(600)를 회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받침부(500), 지지부(600) 및 구동부(70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받침부(100), 지지부(200) 및 구동부(300)의 형태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력 전달부(800)는 복수의 지지부(600)를 연결하여 구동부(700)의 구동력을 복수의 지지부(6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동력 전달부(8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부(600)에는 결합 휠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 휠의 표면이 동력 전달부(800)에 접촉함에 따라 동력 전달부(800)의 구동력이 결합 휠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결합 휠의 표면에는 기어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 휠은 동력 전달부(800)에 치합되어 동력 전달부(8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지지부(600)는 결합 휠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지지부(60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800)는 벨트 또는 체인의 형태로 제공되어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600)를 연결할 수 있다.
구동부(700)는 동력 전달부(8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700)의 구동력은 동력 전달부(800)를 통하여 복수의 지지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부(600)는 일렬로 배치되고, 구동부(700)의 구동력은 동력 전달부(800)를 통하여 각 지지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700)에 의한 구동력만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600)의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즉, 구동부(700)에 의하여 구동력이 발생되는 경우 전체 지지부(600)가 회동하여 자세가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복수의 지지부(600) 각각은 구동부(70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동하여 수용 자세로 전환됨으로써 받침부(500)에 구비된 자신의 수용 공간(S2)에 수용되거나, 지지 자세로 전환됨으로써 자신의 수용 공간(S2)에서 일부가 노출되어 중량물(M)을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지지부(600)가 수용 자세로 전환되어 수용 공간(S2)에 수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수용 공간(S2)에 수용된 지지부(6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중량물(M)이 받침부(500)에 안착하는 경우 중량물(M)은 받침부(50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자세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지지부(600)는 일렬로 배치되고 일률적으로 자세가 전환될 수 있다.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600)는 동력 전달부(8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700)가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해당 구동력은 동력 전달부(800)를 통하여 전체 지지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지지부(600)는 동력 전달부(80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하여 회동하여 수용 자세 또는 지지 자세로 자세 전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자세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부(600)는 지지 자세로 전환되어 일부가 수용 공간(S2)에서 노출될 수 있다.
수용 공간(S2)에서 노출된 지지부(600)는 받침부(500)의 상측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600)가 받침부(500)의 상측면에서 돌출됨에 따라 중량물(M)의 하측면에 일부 자재(L)가 돌출 형성되더라도 해당 자재가 받침부(500)의 상측면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지지 장치
100, 500: 받침부
200, 600: 지지부
300, 700: 구동부
400, 500: 동력 전달부
M: 중량물

Claims (5)

  1. 지면에 평행하고, 넓은 판의 형태를 가지며 지면에 고정되어 중량물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하는 복수의 지지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중량물에 직접 접하여 상기 중량물의 이동에 이용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경우 상기 중량물은 상기 받침부에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에서 노출된 경우 상기 중량물은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지지되는 지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회동하여 대응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대응하는 수용 공간에서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막대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벨트 또는 체인을 포함하는 지지 장치.
KR1020170079380A 2017-06-22 2017-06-22 지지 장치 KR10191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80A KR101915510B1 (ko) 2017-06-22 2017-06-22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80A KR101915510B1 (ko) 2017-06-22 2017-06-22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510B1 true KR101915510B1 (ko) 2018-11-06

Family

ID=6432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380A KR101915510B1 (ko) 2017-06-22 2017-06-22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5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49Y1 (ko) * 2007-10-18 2009-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핀 지그 자동 업 다운 장치
KR101224837B1 (ko) * 2010-06-11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KR200476118Y1 (ko) * 2013-09-06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캐리어
KR200481827Y1 (ko) * 2012-05-17 2016-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 파이프 적치대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49Y1 (ko) * 2007-10-18 2009-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핀 지그 자동 업 다운 장치
KR101224837B1 (ko) * 2010-06-11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KR200481827Y1 (ko) * 2012-05-17 2016-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 파이프 적치대용 지지대
KR200476118Y1 (ko) * 2013-09-06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6661A1 (en) Industrial robot
US7491114B2 (en) Fiber optic polisher
US20040102136A1 (en) Spring-loaded contour following end effectors for lapping/polishing
TW201800295A (zh) 自行車用車把尾端
US8157271B2 (en) Floating chuck mechanism
JP2013018115A (ja) 電気的駆動機構付きの保持具
KR101915510B1 (ko) 지지 장치
KR102415855B1 (ko) 전방향 이동 바퀴 및 이를 이용한 로봇
KR101667654B1 (ko) 파지력 제어가 가능한 그리퍼를 포함하는 조립용 로봇 핸드
KR101332694B1 (ko) 중력 보상 기능을 가지는 햅틱 장치
KR101258111B1 (ko) 토크 보상용 로드 밸런서를 구비한 다관절 로봇의 관절 구조
US5553509A (en) Three degree of freedom robotic manipulator constructed from rotary drives
KR20170053499A (ko) 다관절 매니퓰레이터
JP2008290231A (ja) 工作物端面研磨の載置具
KR101207853B1 (ko) 다양한 관절 형태에 적응가능한 액츄에이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관절 구조체
KR100929160B1 (ko) 액츄에이터 모듈 및 액추에이터 모듈 세트
JP2019098424A (ja) 入力装置およびロボットの制御システム
KR101680318B1 (ko) 전방향 휠 구조체
JP2021094615A5 (ko)
KR102207613B1 (ko) 회전형 메커니즘
US4134307A (en) Means for mechanical transmission
KR101873434B1 (ko) 스풀 지지 장치
JPH0768485A (ja) 回転関節装置
JPH04261792A (ja) 産業用ロボットの揺動軸動作端検出器
KR102525316B1 (ko) 원격 제어 마스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