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778A -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1778A KR20130071778A KR1020110139197A KR20110139197A KR20130071778A KR 20130071778 A KR20130071778 A KR 20130071778A KR 1020110139197 A KR1020110139197 A KR 1020110139197A KR 20110139197 A KR20110139197 A KR 20110139197A KR 20130071778 A KR20130071778 A KR 201300717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p block
- sidewall
- carrier
- ship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는,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공간으로 도장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에 지지되고 있는 선박 블록의 면에 도료를 칠할 수 있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선박 블록으로 나누어져 제작된 후, 선박 블록 별로 다수의 공정이 수행된다. 이후, 선박 블록들은 서로 조립된 후 추가 공정이 더 진행 됨으로써, 선박이 제작된다.
선박 블록은 일정 공정이 수행될 때, 또는 다음 공정을 위해서 이동될 때 캐리어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2개의 캐리어가 적정 폭을 가지고 이격되게 위치되고, 선박 블록은 캐리어들의 상부에 위치된다. 선박 블록이 캐리어에 위치될 때, 선박 블록이 캐리어와 접하는 부분의 안쪽에는 종/횡 보강부재가 제공된다. 종/횡 보강부재는 선박 블록의 하중강도를 향상시켜 캐리어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선박 블록의 변형을 방지한다.
그러나, 선박 블록을 캐리어로 지지한 상태에서 선박 블록에 도장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캐리어와 접촉되는 면에는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그리고, 종/횡 보강재가 제공되지 않은 부분의 아래쪽을 캐리어로 지지할 경우 선박 블록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서, 캐리어로 지지되는 부분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기 어렵다. 따라서, 선박 블록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종/횡 보강재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도크 내에 탑재 전까지 도장 공정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크에 선박을 탑재한 후 캐리어로 지지되어 도장되지 않은 면에 대해서 최종 공정으로 장시간의 도장공정을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도료가 도장되지 않는 면이 최소화되도록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블록단계에서 보강부재가 위치하는 부분의 아래쪽을 도장할 수 있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블록의 도장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롤러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는,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공간으로 도장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는,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공간으로 도장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길이 방향이 제 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측벽;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이격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측벽; 상기 내부공간에 제공되며, 단부가 상기 제 1 측면 및 제 2 측벽에 고정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와,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어 상기 선박 블록에 상기 도료를 도장하는 롤러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캐리어로 지지되는 선박 블록의 면에도 도료를 도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크 내에서 수행되는 최종 공정이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에 선박 블록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선박 블록의 도장에 사용되는 롤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선박 블록에 도장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몸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선박 블록의 도장에 사용되는 롤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선박 블록에 도장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몸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장 장치는 후술할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기구를 포함한다. 이하, 도장 장치를 이루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에 선박 블록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1)는 두개가 적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1)들의 상부에 선박 블록(s)이 위치된다. 또한, 지지 하려는 선박 블록(s)의 크기에 따라서 3개 이상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1)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1)는 몸체(3)와 다리(5)를 포함한다.
몸체(3)는 그 길이 방향이 제 1 방향(11)으로 제공된다. 몸체(3)는 제 1 측벽(31), 제 2 측벽(32), 제 3 측벽(33), 제 4 측벽(34), 그리고 하벽(35)을 포함한다.
제 1 측벽(31)과 제 2 측벽(32)은 마주보면서 설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제 1 측벽(31) 및 제 2 측벽(32)의 길이 방향을 제 1 방향(11),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 1 방향(11)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제 2 방향(12), 그리고 제 1 방향(11) 및 제 2 방향(12)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제 3 방향(13)이라 칭한다. 제 1 측벽(31)과 제 2 측벽(32)의 하단은 하벽(35)으로 연결된다. 제 1 측벽(31)과 하벽(35), 그리고 제 2 측벽(32)과 하벽(35)은 용접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 1 측벽(31), 제 2 측벽(32), 그리고 하벽(35)을 형성 할 수 있다.
제 1 측벽(31), 제 2 측벽(32) 및 하벽(35)의 일측에는 제 3 측벽(33)이 연결되고, 제 1 측벽(31), 제 2 측벽(32) 및 하벽(35)의 타측에는 제 4 측벽(34)이 연결된다. 따라서, 몸체(3)는 대체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37)을 가진다.
내부공간(37)에는 보강부재(36)가 복수 개 제공된다. 각각의 보강부재(36)는 막대형상으로 제공되고, 단부는 제 1 측벽(31) 및 제 2 측벽(32)에 각각 고정된다. 각각의 보강부재(36)는 길이 방향이 제 2 방향(12)을 따라 제공된다. 보강부재(36)들은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되게 배치된다. 보강부재(36)는 몸체(3)의 상단 및 하면과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된다. 보강부재(36)들은 제 3 방향(13)으로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제공된다. 보강부재(36)는 제 1 측벽(31) 및 제 2 측벽(32)이 이격된 거리가 고정된다. 따라서, 몸체(3)의 상부에 선박 블록이 위치되었을 때, 하중으로 인한 몸체(3)의 변형을 방지한다. 즉, 보강부재(36)는 몸체(3)의 하중 강도를 보강한다.
제 3 측벽(33)에는 주입부(330)가 제공되고, 제 4 측벽(34)에 인접하게 삽입부(341)와 배출부(340)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공이라는 것은 벽에 홀을 설치하거나, 벽이 홀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입부(330) 주위에는 가이드 부재(331)가 제공된다. 가이드부재(331)는 주입부(330)의 측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제 3 측벽(33)의 외면에 제공된다. 가이드부재(331)는 상부가 개방되고 주입부(330)와 통하는 공간을 가진다. 가이드부재(331)의 상부로 주입된 도료는 가이드부재(331)를 통해 주입부(330)로 들어간다.
제 4 측벽(34)은 몸체(3)의 상단 및 하면으로 부터 이격되게 제공된다. 제 4 측벽(34)의 상부는 삽입부(341)로 제공되고, 제 4 측벽(34)의 아래는 배출부(340)로 제공된다. 배출부(340)의 하단은 내부공간(37)의 바닥면과 동일 높이에 제공된다. 내부공간(37)의 하면은 주입부(330)가 형성된 쪽에서 배출부(340)가 형성된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341)의 폭(a)은 제 1 측벽(31) 및 제 2 측벽(32)이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삽입부(341)는 몸체(3)의 상단과 보강부재(36)사이의 공간과 연결된다. 후술할 도장기구는 삽입부(341)를 통해서 몸체(3)의 상단과 보강부재(36)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다리(5)는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리(5)는 몸체(3)의 양단에 결합되어, 몸체(3)를 지지한다. 다리(5)는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다리(5)는 제 1 부재(51) 및 제 2 부재(52)를 포함한다.
제 1 부재(51)의 일측은 몸체(3)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부재(51)의 타측은 제 1 분지부(511) 및 제 2 분지부(512)로 나누어 진다. 제 1 분지부(511) 및 제 2 분지부(512)는 서로 이격되게 제공된다. 제 1 분지부(511) 및 제 2 분지부(512)는 아래로 갈수록 이격되는 거리가 커진다. 제 1 분지부(511) 및 제 2 분지부(512) 사이에는 제 2 부재(52)가 결합된다. 따라서, 다리(5)는 대체로 A 형상으로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다리(5)는 사다리꼴형상으로 제공되거나, I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선박 블록의 도장에 사용되는 롤러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도장기구로는 롤러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롤러유닛(6)은 지지대(7)와 롤러부재(8)를 포함한다.
롤러부재(8)는 삽입부(341)로 삽입된 후, 선박블록(s)과 보강부재(36)사이의 공간을 이동하면서, 선박블록(s)에 도료를 도장한다. 지지대(7)는 롤러부재(8)에서 연장되고 그 단부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롤러부재(8)는 제 1 롤러(81), 제 2 롤러(82), 회전축(83), 그리고 결합부(4)를 포함한다. 제 1 롤러(81) 및 제 2 롤러(82)는 원통형상으로 제공된다. 제 1 롤러(81) 및 제 2 롤러(82)는 서로 접하도록 회전축(8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83)에는 결합부(84)가 연결된다.
제 1 롤러(81) 및 제 2 롤러(82)는 각각 신축성 소재로 제공되고, 결합부(84)는 제 1 롤러(81) 및 제 2 롤러(82)가 접하는 면에 위치된다.
또한, 롤러부재(8)의 폭(2*c)은 삽입부(341)의 폭(a)에 대응되게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롤러(81) 및 제 2 롤러(82)의 지름은 몸체(3)의 상단과 보강부재(36) 사이의 거리에 맞추어 제공된다. 일 예로, 롤러부재(8)의 폭(2*c)은 삽입부(341)의 폭(a)보다 조금 더 크고, 롤러부의 지름은 몸체(3)의 상면과 보강부재(36) 사이의 거리보다 조금 더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장기구(6)가 삽입부(341)로 삽입 가능하도록 롤러부재(8)는 신축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대(7)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지지대(7)는 2개 이상의 막대가 분리 및 결합가능 하게 제공된다. 지지대(7)를 구성하는 막대의 수를 조절하여 지지대(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선박 블록에 도장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몸체(3)에 선박 블록이 위치되면, 몸체(3)로 지지되는 선박 블록의 하면(e)은 내부공간(37)에 위치된다. 작업자는 배출부(340)를 차폐한 후, 주입부(330)로 설정량의 도료(d)를 주입한다. 설정량은 도료(d)의 유면이 보강부재(36)가 설치된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양일 수 있다.
다음, 작업자는 삽입부(341)를 통해서 롤러부재(8)를 몸체(3)의 내부공간(37)으로 삽입한다. 보강부재(36)의 상부로 삽입된 롤러부재(8)는 선박 블록의 하면(e)및 도료(d)와 접하면서 회전한다. 이때, 보강부재(36)는 롤러부재(8) 및 지지대(7)를 아래에서 지지한다. 롤러부재(8)가 회전하면, 도료(d)는 롤러부재(8)에 묻은 다음 선박 블록의 하면(e)에 도장된다. 롤러부재(8)의 지름이 몸체(3)의 상면과 보강부재(36)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제공되면, 롤러부재(8)는 보강부재(36)에 지지되면서, 선박블록의 하면(e)을 가압한다. 따라서, 도료(d)는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선박블록의 하면(e)에 도장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부재(8)의 폭(2*c)이 삽입부(341)의 폭(a) 이상이면, 몸체(3)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된 선박 블록의 하면(e)은 빈틈없이 도료(d)가 도장될 수 있다.
도 8은 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강부재(36)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된다.
보강부재(36)는 제 1 측벽(31) 내지 제 4 측벽(34)에 연결된다. 따라서, 보강부재(36)가 설치되면, 몸체(3)의 내부 공간은 상부공간(370)과 하부공간(371)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부공간(370)은 몸체(3)의 개방된 상부와 연결된다. 또한, 주입부(330)와 배출부(340)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롤러부재(8)에 도료를 바른 후, 도장기구(6)를 상부공간(370)으로 삽입한다.
보강부재(36)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면, 몸체(3)의 하중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평평한 면이 롤러부재(8)의 회전을 가이드하여, 롤러부재(8)의 회전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몸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삽입부(341)는 제 3 측벽(33) 및 제 4 측벽(34)에 제공될 수 있다.
삽입부(341)가 복수로 제공되면, 작업자는 도장하려는 선박블록의 하면(e)과 가까운 삽입부(341)로 도장기구(6)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도장기구(6)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삽입부(341)가 복수로 제공되면, 주입부(330) 및 배출부(340)는 각각 삽입부(341)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몸체 5: 다리
31: 제 1 측벽 32: 제 2 측벽
33: 제 3 측벽 34: 제 4측벽
35: 하벽 36: 보강부재
31: 제 1 측벽 32: 제 2 측벽
33: 제 3 측벽 34: 제 4측벽
35: 하벽 36: 보강부재
Claims (14)
-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공간으로 도장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길이 방향이 제 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측벽;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이격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측벽;
상기 내부공간에 제공되며, 단부가 상기 제 1 측면 및 제 2 측벽에 고정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막대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보강부재가 서로 이격되게 제공되며,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단 및 하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되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들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높이가 동일하게 제공되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3 측벽과, 타단을 연결하는 제 4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측벽에 도료 주입을 위한 주입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 4 측벽에 배출부가 제공되는 선박 블록 캐리어.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은, 상기 제 3 측벽에서 상기 제 4 측벽 쪽으로 하향경사지는 선박 블록 캐리어.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주입부의 측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가이드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주입부와 통하는 선박 블록 캐리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상부공간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 3 측벽 및 상기 제 4 측벽에 각각 제공되는 선박 블로 지지 캐리어. -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와,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어 상기 선박 블록에 상기 도료를 도장하는 롤러유닛을 포함하는 도장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막대 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선박 블록에 상기 도료를 도장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도장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지름은,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 및 상기 보강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신축성 소재로 제공되고,
상기 롤러부재의 폭은 상기 삽입부의 폭보다 크게 제공되는 도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9197A KR101390323B1 (ko) | 2011-12-21 | 2011-12-21 |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9197A KR101390323B1 (ko) | 2011-12-21 | 2011-12-21 |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1778A true KR20130071778A (ko) | 2013-07-01 |
KR101390323B1 KR101390323B1 (ko) | 2014-05-02 |
Family
ID=4898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9197A KR101390323B1 (ko) | 2011-12-21 | 2011-12-21 |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032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118Y1 (ko) * | 2013-09-06 | 2015-01-2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캐리어 |
KR20150102485A (ko) * | 2014-02-28 | 2015-09-0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블록 적재용 캐리어 |
KR102188780B1 (ko) * | 2020-07-26 | 2020-12-08 | 김종연 | 용접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4384Y1 (ko) | 2002-03-11 | 2002-08-10 | 이광일 | 페인팅롤러 |
KR200437779Y1 (ko) | 2006-12-12 | 2007-12-2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엘엔지선박의 화물창 스트레이크 플랜징용 슬라이딩 가이드 |
-
2011
- 2011-12-21 KR KR1020110139197A patent/KR10139032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118Y1 (ko) * | 2013-09-06 | 2015-01-2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캐리어 |
KR20150102485A (ko) * | 2014-02-28 | 2015-09-0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블록 적재용 캐리어 |
KR102188780B1 (ko) * | 2020-07-26 | 2020-12-08 | 김종연 | 용접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0323B1 (ko) | 2014-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0323B1 (ko) |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 장치 | |
CA2652828A1 (en) | Retainer for a welding wire coil | |
CN110546838B (zh) | 密封式线缆通道 | |
KR102010681B1 (ko) | 수직방향 갈바닉 금속 증착을 위한 기판 홀더 | |
WO2014045742A1 (ja) | コンベヤベルト搬送用保持具 | |
EP2851720B1 (en) | Optical fiber unit for optical fiber sensor | |
SI2074242T1 (en) | ELECTRICITY RANGE AND RELATED METHODS | |
US20080142567A1 (en) | Pail-pack for welding wire | |
JP2013224115A (ja) | ガスボンベ運搬装置 | |
KR101114631B1 (ko) | 호퍼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내면 코팅장치 | |
KR101337249B1 (ko) | 접기 롤러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용 방청지 권취장치 | |
CN103215404B (zh) | 铁水预处理设备和方法 | |
KR101503024B1 (ko) | 롤 용지 거치대 | |
WO2014003325A1 (ko) | 액화가스 운반용 탱크 | |
US9939000B2 (en) | Coaxial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40006209U (ko) | 펌프 설치용 더미 장치 | |
CN211281868U (zh) | 运输箱 | |
CN208616498U (zh) | 一种用于鸡蛋运输的转运箱 | |
US10808868B2 (en) | Apparatus to assemble cable mounts | |
CN208241051U (zh) | 配线板治具 | |
WO2010107338A3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питки древесины | |
CN218877338U (zh) | 箍带运输装置 | |
KR101873984B1 (ko) | 선박용 프로텍션 바 취부 장치 | |
JP4826526B2 (ja) | 多重円筒状アノードの梱包用具 | |
RU2662481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лакирования полых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типа стака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