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665A -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665A
KR20240048665A KR1020220128273A KR20220128273A KR20240048665A KR 20240048665 A KR20240048665 A KR 20240048665A KR 1020220128273 A KR1020220128273 A KR 1020220128273A KR 20220128273 A KR20220128273 A KR 20220128273A KR 20240048665 A KR20240048665 A KR 20240048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ctuator assembly
unit
driving unit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현수
안성진
Original Assignee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665A/ko
Publication of KR2024004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66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Planetary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치합되어 토크를 증폭시키는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도어 구동유닛, 상기 외전형 드럼에 적어도 일부가 권취되도록 구비되고,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케이블, 상기 도어 구동유닛을 감싸 중립 위치에 고정시키되, 상기 도어 구동유닛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된 상기 도어 구동유닛을 상기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텐셔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Actuator Assembly for Power Sliding Door Including External Drums}
본 발명은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성기어세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외전형 드럼을 적용함으로 인해 전체 두께를 크게 감소시키고,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개폐 방식을 가지는 도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중 미닫이식 타입의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 도어를 개폐하는데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우수한 공간 효율성을 가진다.
즉 차량에 적용된 슬라이딩 도어는 측면 공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탑승자가 용이하게 승하차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슬라이딩 도어는 여닫이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가지는 도어에 비해 사용되는 부품이 많으며, 내부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게 형성된다는 특징이 있어, 대형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도어 자체의 크기도 커질 수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탑승자가 수동으로 도어의 개폐를 조작하는 데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파워 슬라이딩 도어가 개발되었다. 다만, 종래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는 모터의 구동력 전달 메커니즘 상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차량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8895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합리적인 부품의 배치를 통해 두께를 최소화하고, 공간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치합되어 토크를 증폭시키는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도어 구동유닛, 상기 외전형 드럼에 적어도 일부가 권취되도록 구비되고,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케이블, 상기 도어 구동유닛을 감싸 중립 위치에 고정시키되, 상기 도어 구동유닛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된 상기 도어 구동유닛을 상기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텐셔너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어 구동유닛은, 내부에 상기 모터, 상기 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외전형 드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에 대해 상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가이드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도어 구동유닛의 전방 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도어 구동유닛의 후방 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구동유닛의 외측에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체결되는 제2고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을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제3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텐셔너유닛은 일부가 상기 하우징유닛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기어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전형 드럼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성기어세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외전형 드럼을 적용함으로 인해 전체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모듈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여 제조,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며, 간단한 구성만으로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함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성능을 일정하게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어 구동유닛을 세부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및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어 구동유닛(100)을 세부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도어 구동유닛(100), 하우징유닛(200), 케이블(300) 및 텐셔너유닛(400)을 포함한다.
도어 구동유닛(100)은 차량용 도어를 제1방향 또는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여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도어 구동유닛(100)은 모터(110), 유성기어세트(120), 외전형 드럼(130)을 포함한다.
모터(11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며, 유성기어세트(120)는 이와 같은 모터(110)의 회전축에 치합되어 토크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유성기어세트(120)는 세부적으로 모터(11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선기어(121)와, 선기어의 둘레에 치합되는 복수 개의 플래닛기어(122)와, 플래닛기어(122)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플래닛기어(122)와 치합되는 링기어(123)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모터(110)의 회전 구동력은 선기어(121)-플래닛기어(122)-링기어(123)로 전달되어 링기어(123)가 회전된다.
그리고 외전형 드럼(130)은 이와 같은 유성기어세트(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유성기어세트(120)의 링기어(123)에 결합되어 링기어(123)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링기어(123)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24)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외전형 드럼(130)의 내주면에는 고정돌기(124)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고정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링기어(123)가 회전 시 외전형 드럼(130)은 링기어(123)와 같은 각속도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성기어세트(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외전형 드럼(130)을 적용함으로 인해 장치 전체의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유성기어세트(120)는 선기어(121), 플래닛기어(122) 및 링기어(123)의 일측을 차폐하는 기어커버(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어커버(125)에는 링기어(123)의 고정돌기(124)와 겹쳐져 외전형 드럼(130)의 고정홈(131)에 삽입되는 보조고정돌기(126)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외전형 드럼(130)에 적어도 일부가 권취되도록 구비되고,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어 모터(1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한 외전형 드럼(130)의 회전에 따라 권취량이 조절됨으로써 도어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외전형 드럼(130)에는 한 쌍의 케이블(300)이 각각 권취되어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각 케이블(300)은 각각 고정유닛(10)에 의해 차량의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유닛(200)은 도어 구동유닛(100)을 감싸 중립 위치에 고정시키되, 도어 구동유닛(100)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케이블(300)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도어 구동유닛(100)은, 그 내부에 모터(110), 유성기어세트(120) 및 외전형 드럼(13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호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커버(140)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141a, 14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유닛(200)은 이와 같은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141a, 141b)가 각각 삽입되며,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141a, 141b)에 대해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가이드슬릿(211, 221)을 포함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가이드슬릿(211, 22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141a, 141b)는 가이드슬릿(211, 221)의 길이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도어 구동유닛(100)은 기본 위치인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우징유닛(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보호커버(140)는, 도어 구동유닛(100)의 전방 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141a)가 구비되는 제1커버부(140a)와, 도어 구동유닛(10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141b)가 구비되는 제2커버부(140b)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호커버(140)는 도어 구동유닛(10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케이블(300)을 가이드하기 위한 케이블가이드(142)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유닛(200)은, 도어 구동유닛(100)의 전방 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141a)가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슬릿(211)이 형성된 제1고정프레임(210)과, 도어 구동유닛(10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141b)가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슬릿(221)이 형성되며, 도어 구동유닛(100)의 외측에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210)과 체결되는 제2고정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고정프레임(210) 및 제2고정프레임(220)에는 고정 대상인 도어 구동유닛(100)이 외부로 노출되는 통과홀이 복수 개 형성된 개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프레임(210) 및 제2고정프레임(220)은 도어 구동유닛(100)을 사이에 두고 도어 구동유닛(100)의 외측에서 서로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체결부(212, 222) 및 제2체결부(213, 223)를 포함한다.
또한 제1고정프레임(210) 및 제2고정프레임(220)은 도어 구동유닛(10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케이블(300)을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케이블가이드(214, 224)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유닛(200)은, 제1고정프레임(210) 및 제2고정프레임(220)을 도어에 고정시키는 제3고정프레임(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고정프레임(230)은 제1고정프레임(210) 및 제2고정프레임(220)과 체결되는 제3체결부(231)와,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셔너유닛(400)은 도어 구동유닛(100)이 하우징유닛(200)에 대한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된 상태의 도어 구동유닛(100)을 다시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텐셔너유닛(400)은 일부가 하우징유닛(200)의 제1체결부(212, 222)에 고정되며, 나머지 일부는 도어 구동유닛(100)에 접촉된 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텐셔너유닛(400)은 도어 구동유닛(100)이 중립 위치일 경우 탄성력이 최소가 되며, 도어 구동유닛(100)이 중립 위치와 이격거리가 증가할수록 탄성력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 도어 구동유닛(100)은 외력이 제거될 경우 텐셔너유닛(400)에 의해 중립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구동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구동유닛(100)이 하우징유닛(200)에 대해 중립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용 도어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케이블(300) 중 어느 하나가 외측으로 인출되고, 다른 하나의 케이블(300)은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 과정에서 각 케이블(300)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도어 구동유닛(100)은 하우징유닛(200)에 대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슬라이딩돌기(141a, 141b)는 가이드슬릿(211, 221)의 상부까지 슬라이딩된다.
또한 도 8과 반대로 차량용 도어가 타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케이블(300) 중 도 8에서 인출되었던 케이블(300)이 내측으로 인입되고, 도 8에서 인입되었던 케이블(300)은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 과정에서 각 케이블(300)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도어 구동유닛(100)은 하우징유닛(200)에 대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슬라이딩돌기(141a, 141b)는 가이드슬릿(211, 221)의 하부까지 슬라이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고정유닛
100: 도어 구동유닛
110: 모터
120: 유성기어세트
121: 선기어
122: 플래닛기어
123: 링기어
124: 고정돌기
125: 기어커버
126: 보조고정돌기
130: 외전형 드럼
131: 고정홈
140: 보호커버
140a: 제1커버부
140b: 제2커버부
141a, 141b: 슬라이딩돌기
142: 케이블가이드
200: 하우징유닛
210: 제1고정프레임
220: 제2고정프레임
211, 221: 가이드슬릿
212, 222: 제1체결부
213, 223: 제2체결부
214, 224: 보조 케이블가이드
230: 제3고정프레임
231: 제3체결부
232: 고정부
300: 케이블
400: 텐셔너유닛

Claims (8)

  1.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치합되어 토크를 증폭시키는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도어 구동유닛;
    상기 외전형 드럼에 적어도 일부가 권취되도록 구비되고,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케이블;
    상기 도어 구동유닛을 감싸 중립 위치에 고정시키되, 상기 도어 구동유닛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된 상기 도어 구동유닛을 상기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텐셔너유닛;
    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유닛은,
    내부에 상기 모터, 상기 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외전형 드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에 대해 상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가이드슬릿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도어 구동유닛의 전방 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도어 구동유닛의 후방 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구동유닛의 외측에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체결되는 제2고정프레임;
    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을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제3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유닛은 일부가 상기 하우징유닛에 고정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전형 드럼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된,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KR1020220128273A 2022-10-07 2022-10-07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KR20240048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73A KR20240048665A (ko) 2022-10-07 2022-10-07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73A KR20240048665A (ko) 2022-10-07 2022-10-07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665A true KR20240048665A (ko) 2024-04-16

Family

ID=9088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273A KR20240048665A (ko) 2022-10-07 2022-10-07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6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953B1 (ko) 2018-01-29 2019-06-12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파워 슬라이딩 도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953B1 (ko) 2018-01-29 2019-06-12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파워 슬라이딩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7171B2 (en) Plug door device
US5623785A (en) Window regulator with torsion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EP1630342B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08045311A (ja) 開閉駆動装置
JP4746400B2 (ja) ワイヤ巻回装置
US4428542A (en) Wire-driving device for window regulator
JP5872778B2 (ja) プラグドア装置
CN101235697A (zh) 车辆用自动开闭装置
KR20240048665A (ko) 외전형 드럼을 포함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JP2012131456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及びその組付け方法
JP2011074579A (ja) スライドドア自動開閉装置
JP5154965B2 (ja) ケーブル巻き取り機構の組付け方法及びケーブル巻き取り機構
JP2012202140A (ja) プラグドア装置
JP2001328434A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08208641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110014B2 (ja) 車両用開閉装置
JP6200974B2 (ja) ドア駆動機構
JP6200973B2 (ja) プラグドア装置
JP5706222B2 (ja) 車両用開閉体の駆動装置
JP2022053205A (ja) 方向転換部材及び対象物移動装置
JP2001328433A (ja) サンルーフ装置
JP4561241B6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H10114220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H0960698A (ja) ベルト式駆動装置
KR20230129290A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 액츄에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