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457A - 송화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송화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457A
KR20240045457A KR1020220124799A KR20220124799A KR20240045457A KR 20240045457 A KR20240045457 A KR 20240045457A KR 1020220124799 A KR1020220124799 A KR 1020220124799A KR 20220124799 A KR20220124799 A KR 20220124799A KR 20240045457 A KR20240045457 A KR 20240045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rs
liquor
weight
jar
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담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미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미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미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4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457A/ko
Publication of KR2024004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45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05Solid or pasty alcoholic beverage-form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맵쌀가루와 누룩을 사용하여 씨술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주조된 씨술에 맵쌀가루와 송순물을 배합한 죽을 혼합하여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주조된 밑술에 숙성 및 발효과정을 거친 송화가루를 첨가한 고두밥을 혼합하여 덧술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주조된 덧술이 담긴 항아리에 생송화가루를 첨가한 후 발효, 숙성시킨 뒤, 침지 후 우국하여 송화주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화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화주 제조방법{Method for Liquor Using Pine Pollen}
본 발명은 송화를 이용한 전통주인 송화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송화 및 송순을 이용하여 송화 및 송순을 첨가하지 않은 전통주에 비해 맛과 향이 독특하며, 송화주에 첨가되는 송화, 송순은 만성피로, 두통, 다이어트, 피부 미용 등에 효능을 보여 건강 기능성에 유용한 새로운 송화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류는 인류의 문명과 더불어 만들어지고 발전되어 온 바, 그 제조 방법 및 재료에 따라 여러 분류로 나누어지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는 그 나라의 자연 환경에 알맞은 주류들이 빚어져 왔고 그에 따라 각 나라마다 특색 있는 주류 문화가 정립, 발전되어 그들의 멋과 맛을 자랑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삼한시대 이래로 전통적인 비법을 간직한 주류들이 빚어져 왔는데 특히 조선시대에는 수백여 종에 달하는 주류들이 빚어졌으며 이는 조상들의 생활에 멋과 여유를 더해 주었다.
이러한 주류는 제조법에 따라 발효주, 증류주, 혼성주, 가향주 및 약용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 발효주로는 과일에 함유되어 있는 당분을 발효시키거나, 곡류 등에 함유되어 있는 전분을 당화 시킨 후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술을 말한다. 양조주는 발효 시 알코올 농도가 높아지며, 청주, 탁주, 맥주, 포도주 등이 있다.
증류주는 발효 과정을 거쳐서 만든 발효주를 증류시켜 알코올 도수를 높인 것으로 와인, 위스키, 보드카 등이 있으며, 전통 증류주에는 안동소주, 이강주, 문배주 등이 있다.
혼성주는 발효주가 지니고 있는 주변 환경에 의한 산패, 변질, 재발효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발효중인 술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술을 말하며, 과하주, 송순주 등이 있다.
가향주는 술을 빚을 때 사용하는 부재료의 사용 여부와 종류에 따라 가향주류(송화 국화 두견 매화 등)와 약주류(산사, 당귀, 오가피 등)로 나눌 수 있으며, 가향주는 꽃, 과일 등 재료를 사용하여 향기나 맛을 즐기기 위해 빚는 술을 말하며, 송화주는 송화를 첨가하는 가향주류로 분류된다.
송화주는 조선시대 전주 류씨 무실파 정재 류치명(柳致明)때부터 제사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역사는 약 500년 이상 되었다. 조선 중기부터 말기까지의 문헌인 규곤시의방(閨壺是議方), 수운잡방(需雲雜方)에는 송화주의 제조법이 명시되어 있으며, 그 중 규곤시의방 에는 송화를 쪄서 술을 담근다는 기록이 있다.
소나무(松, Pine tree)는 우리나라 전체에서 자생하는 상록 침엽수로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가지의 밑 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길이는 1cm의 타원형이다. 암꽃은 새가지의 끝부분에 달리며, 자주색으로 길이는 6mm이며,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며, 열매조각은 70개~100개이고 다음해 9월~10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5mm~6mm, 너비 3mm의 타원형으로 검은 갈색이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 줄이 있다.
솔잎의 성분을 보면 수분 58.1%, 단백질 4.5%, 지방 3.9%, 탄수화물 19.6%, 섬유 13.3%, 무기질 0.6%이며 비타민 A와 B1 및 C가 풍부하며, 아스크르빈산과 고미성물질,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안, 탄닌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솔잎은 알코올, 에스테르 등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페놀 화합물, 키닌, 테르펜틴, 비타민 A, C, 클로로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성분과, 클리코기닌, 아피에틴산도 함유되어 각종 영양이 풍부한 것이다. 또한, 솔잎은 철분이 풍부하고, 각종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어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막고 고혈압이나 심근경색 등 성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솔방울은 송구(松球), 송과(松果), 송란(松卵) 이라고 하며, 허증으로 인한 변비나 풍으로 인한 마비에 효능이 있으며, 기관지나 신경통, 빈혈 치료제로 사용된다.
송화 (松花)에서 나오는 가루인 송화가루는 봄에 수꽃 이삭을 따서 꽃가루를 털어 체로 쳐서 사용하며, 비타민P, 헤스페리딘이 풍부하여 혈관 탄력 유지, 모세혈관 강화, 콜레스톨 저하 및 항암 작용 등에 효능이 있으며, 특히 헤스페리딘은 비타민C의 기능을 보강해 주는 효능이 있어 비타민C와 함께 섭취하면 피부미용에 도움이 된다. 또한 송화가루에 함유된 피크노제놀은 비타민C의 20배, 비타민E의 50배에 달하여 뛰어난 혈관건강 및 시력저하 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죽순의 수천배에 달하는 콜린을 포함하고 있어, 지방간 예방 및 해소에 특효가 있으며, 기억력향상, 동맥경화 등에도 도움이 된다.
송순(松筍) 은 솔순이라고 하며, 봄이되면 새로 돋아나는 어린 순을 말한다. 솔순은 테레빈, 탄닌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몸의 콜레스테롤을 낮게 해주고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도록 도와 주어 고혈압과 심근경색증, 고지혈증등 혈관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또한 솔순은 향균작용의 효과가 있어, 피부가 가렵거나 아토피가 있는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솔순은 니코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으며. 기관지 건강에 도움을 주며, 소화흡수, 피로회복, 혈당을 낮추는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송화는 이와 같이 건강 보조 제품이나 기호 식품 등에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 들어 전통주에 새로운 풍미를 더하기 위한 추세가 형성되면서, 송화주 제조방법(공개특허 KR-10-2000-0000855), 소나무추출성분을 이용한 송주제조방법(등록특허 KR-10-0881855)과 같이 전통주에 소나무 부속물을 첨가하여 풍미와 맛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판되는 소나무 부속물 첨가 전통주들 중 솔잎 첨가 전통주가 주류를 차지하며, 송화 및 송순을 첨가한 전통주는 개발 및 주조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송화를 주요 재료로 사용한 전통주가 가지고 있는 향기, 풍미 등의 맛의 이점과 송순의 혈관건강, 향균작용, 피로회복 등의 건강과 관련된 장점을 살리고 있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로 솔잎뿐만 아니라 송화 및 송순을 첨가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의 일환으로 송화 및 송순을 이용한 전통주를 용이하게 운반, 유통하여 소비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화할 필요성도 크게 대두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 10-0881855호(2009.01.29.)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00-0000855호(2000.01.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나무의 송화 및 송순을 전통주에 가향 함으로서 송화주를 제조하되 주질이 향상되고, 맛과 향이 뛰어나며 술을 먹고 난 후 숙취가 없어 다음날 머리가 맑고 개운한 송화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화주 제조방법은 a) 맵쌀가루와 누룩을 사용하여 씨술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주조된 씨술에 맵쌀가루와 송순물을 배합한 죽을 혼합하여 덧술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주조된 밑술에 숙성 및 발효과정을 거친 송화가루를 첨가한 고두밥을 혼합하여 덧술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주조된 덧술이 담긴 항아리에 생송화가루를 첨가한 후 발효, 숙성시킨 뒤, 가라앉힌 후 우국하여 송화주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맵쌀가루 1중량부에 끓는 물 1중량부를 섞은 후 영하 10℃~ 영하 5℃에서 2시간 냉각한 뒤 누룩 0.5중량부를 첨가하여 항아리에 넣은 후 면포로 항아리의 입구를 밀폐시켜 27℃에서 36시간 발효시키는 제1 발효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맵쌀 가루 3중량부를 건조송순 1중량부와 물 9중량부를 배합 후 3시간동안 가열하여 얻은 송순물 9중량부와 배합하여 죽을 쑨 후 영하 10℃~영하 5℃에서 2시간 냉각한 뒤 씨술을 섞고, 항아리에 넣은 후 면포로 항아리의 입구를 밀폐시켜 26℃에서 48시간 발효시키는 제2 발효공정과 영하 15℃에서 5시간 냉각하고, 17℃에서 15시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찹쌀 8중량부를 백세 후 6월~8월에는 10시간, 12월~2월에는 20시간, 나머지 월에는 15시간 가라앉히고, 3시간 동안 찹쌀의 물기를 제거한 뒤, 송화가루 0.2중량부를 찹쌀 위에 얇게 펼친 뒤 고두밥을 찐 직후 면포위에 골고루 펴서 넣고 손으로 버무린 뒤 다시 면포로 덮고, 26℃에서 24시간 발효시키는 제3 발효공정, 발효된 고두밥과 밑술을 배합한 후 항아리에 넣고, 맨 윗부분에 생송화가루 0.1중량부~0.2중량부를 뿌린 후 면포로 밀봉하여 항아리 뚜껑을 덮고, 상기 항아리에 넣은 고두밥을 26℃에서 60시간 발효 및 숙성시키는 제4 발효공정 및 상기 숙성공정을 거친 후 영하 10℃~영하 5℃에서 8시간 냉각한 뒤 15℃에서 5개월 발효 및 숙성시키는 제5 발효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c) 단계의 발효된 덧술을 0℃에서 3개월간 냉각, 가라앉혀 우국하되, 항아리 높이를 10으로 나누어 윗부분의 4까지의 발효된 술만 우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화주는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및 혈액순환에 효능이 있으며, 항암효과, 향균효과, 피부 미용 및 피로회복 등에 탁월하여 건강을 향상시키고, 음주 시 건강을 저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화 및 송순이 가지고 있는 건강관리에 있어 우수하고 다양한 영양분들이 신체에 그대로 적용되도록 함으로서, 단순한 음주가 아닌 음주자의 건강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화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씨술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밑술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덧술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하기의 설명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보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다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화주 제조방법에 대한 제조공정의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화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씨술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밑술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덧술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송화주 제조방법은 개략적으로 씨술제조(S100), 밑술제조(S200), 덧술제조(S300), 가라앉힌 덧술의 윗부분을 떠내어 송화주를 얻는 단계(S4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송화주 제조단계 중 씨술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맵쌀가루 1중량부에 끓는 물 1중량부를 섞은 후 영하 10℃~영하 5℃에서 2시간 냉각하여 맵쌀죽을 제조한다(S110). 상기 맵쌀죽에 누룩 0.5중량부를 첨가하여(S120) 항아리에 넣은 후 면포로 항아리의 입구를 밀폐시켜 27℃에서 36시간 발효시키는 제1 발효공정을 거쳐서 씨술을 제조한다(S130). 상기 항아리의 규격은 높이 50cm~60cm, 지름 40cm~50cm로 한다.
추가로 상기 제1 발효공정의 생성물을 영하 10℃~영하 5℃에서 3시간 냉각한 후(S140) 17℃에서 10시간 숙성시키는 제1 숙성공정을 거쳐(S150) 씨술을 제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송화주 제조단계 중 밑술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맵쌀가루 3중량부를 건조 송순 1중량부와 물 9중량부를 배합 후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얻은 송순물 9중량부와 배합하여 죽을 쑨다(S210). 상기 맵쌀가루와 송순물을 배합한 죽을 영하 10℃~영하 5℃에서 2시간 냉각한 뒤(S220) 씨술을 섞고(S230), 항아리에 넣은 후 면포로 항아리의 입구를 밀폐시켜 26℃에서 48시간 발효시는 제2 발효공정을 거친다(S240).
상기 제2 발효공정의 생성물을 영하 10℃~영하 5℃에서 5시간 냉각하고(S250), 17℃에서 15시간 숙성시키는 제2 숙성공정(S260)을 거쳐 밑술을 제조한다(S270).
도 4를 참조하여 송화주 제조단계 중 덧술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찹쌀 8중량부를 백세(百洗) 후 6월~8월에는 10시간, 12월~2월에는 20시간, 나머지 월에는 15시간 가라앉힌다(S310). 상기 백세는 백번 씻는다는 뜻으로 술이 주조될 때 찹쌀의 겉 부분에 단백질 층을 제거하여 잡미가 생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 수행한다.
상기 가라앉힌 찹쌀을 3시간 동안 찹쌀의 물기를 제거한 뒤(S320), 송화가루 0.2중량부를 찹쌀 위에 얇게 펼친 뒤 고두밥을 찌고, 고두밥이 완성된 직후 면포위에 골고루 펴서 넣고 손으로 버무린 뒤 다시 면포로 덮고, 26℃에서 24시간 발효시키는 제3 발효공정을 거친다(S330).
상기 발효된 고두밥과 밑술을 배합한 후(S340) 항아리에 넣고, 맨 윗부분에 생송화가루 0.1중량부~0.2중량부를 뿌린 후 면포로 밀봉하여 항아리 뚜껑을 덮고(S350), 상기 항아리에 넣은 고두밥을 26℃에서 60시간 발효 및 숙성시키는 제4 발효공정을 거친다(S360).
상기 고두밥을 영하 10℃~영하 5℃에서 8시간 냉각한 뒤 15℃에서 5개월 발효 및 숙성시키는 제5 발효공정(S370)을 거쳐 덧술을 제조한다(S380).
도 1을 참조하여 송화주의 제조단계 중 덧술에서 송화주를 얻는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조된 덧술을 걸르고 0℃에서 3개월간 가라앉혀 우국하되, 항아리 높이를 10으로 나누어 윗부분 4까지의 발효된 술만 우국하여 송화주를 얻는다(S400).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화주는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및 혈액순환에 효능이 있으며, 항암효과, 향균효과, 피부 미용 및 피로회복 등에 탁월하여 건강을 향상시키고, 음주 시 건강을 저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화 및 송순이 가지고 있는 건강관리에 있어 우수하고 다양한 영양분들이 신체에 그대로 적용되도록 함으로서, 단순한 음주가 아닌 음주자의 건강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a) 맵쌀가루와 누룩을 사용하여 씨술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주조된 씨술에 맵쌀가루와 송순물을 배합한 죽을 혼합하여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주조된 밑술에 숙성 및 발효과정을 거친 송화가루를 첨가한 고두밥을 혼합하여 덧술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주조된 덧술이 담긴 항아리에 생송화가루를 첨가한 후 발효, 숙성시킨 뒤, 가라앉힌 후 우국하여 송화주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화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맵쌀가루 1중량부에 끓는 물 1중량부를 섞은 후 영하 10℃~영하 5℃에서 2시간 냉각한 뒤 누룩 0.5중량부를 첨가하여 항아리에 넣은 후 면포로 항아리의 입구를 밀폐시켜 27℃에서 36시간 발효시키는 제1 발효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맵쌀가루 3중량부를 건조송순 1중량부와 물 9중량부를 배합 후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얻은 송순물 9중량부와 배합하여 죽을 쑨 후 영하 10℃~영하 5℃에서 2시간 냉각한 뒤 씨술을 섞고, 항아리에 넣은 후 면포로 항아리의 입구를 밀폐시켜 26℃에서 48시간 발효시키는 제2 발효공정과
    영하 10℃~ 영하 5℃에서 5시간 냉각하고, 실온 17℃에서 15시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주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찹쌀 8중량부를 백세 후 6월~8월에는 10시간, 12월~2월에는 20시간, 나머지 월에는 15시간 가라앉히고, 3시간 동안 찹쌀의 물기를 제거한 뒤, 송화가루 0.2중량부를 찹쌀 위에 얇게 펼친 뒤 고두밥을 찐 직후 면포위에 골고루 펴서 넣고 손으로 버무린 뒤 다시 면포로 덮고, 26℃에서 24시간 발효시키는 제3 발효공정;
    발효된 고두밥과 밑술을 배합한 후 항아리에 넣고, 맨 윗부분에 생송화가루 0.1중량부~0.2중량부를 뿌린 후 면포로 밀봉하여 항아리 뚜껑을 덮고, 상기 항아리에 넣은 고두밥을 26℃에서 60시간 발효 및 숙성시키는 제4 발효공정; 및
    상기 숙성공정을 거친 후 영하 10℃~영하 5℃에서 8시간 냉각한 뒤 15℃에서 5개월 발효 및 숙성시키는 제5 발효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주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발효된 덧술을 걸르고 0℃에서 3개월간 가라앉혀 우국하되, 항아리 높이를 10으로 나누어 윗부분의 4까지의 발효된 술만 우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주 제조방법.
KR1020220124799A 2022-09-30 2022-09-30 송화주 제조방법 KR20240045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799A KR20240045457A (ko) 2022-09-30 2022-09-30 송화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799A KR20240045457A (ko) 2022-09-30 2022-09-30 송화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457A true KR20240045457A (ko) 2024-04-08

Family

ID=9071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799A KR20240045457A (ko) 2022-09-30 2022-09-30 송화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45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55A (ko) 1998-06-05 2000-01-15 박영자 송화주 제조방법
KR100881855B1 (ko) 2007-05-28 2009-02-06 명가원영농조합법인 소나무추출성분을 이용한 송주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55A (ko) 1998-06-05 2000-01-15 박영자 송화주 제조방법
KR100881855B1 (ko) 2007-05-28 2009-02-06 명가원영농조합법인 소나무추출성분을 이용한 송주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05403B (zh) 一种荔枝营养酒及其酿造方法
CN104327998B (zh) 全酿玫瑰鲜花果酒的制作方法
KR100998331B1 (ko) 흑마늘 식초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식초음료
CN102422944B (zh) 岩青蓝叶茶及其制作工艺
CN101649278A (zh) 红枣果酒、红枣白酒及其制备方法
CN105695226A (zh) 一种紫心火龙果发酵酒的酿造方法
CN104789414A (zh) 一种柑橘起泡酒的生产方法
CN110295096A (zh) 一种杞香型枸杞蒸馏白酒的酿造方法
CN109234114A (zh) 一种复合小浆果白兰地和无醇酒及其制备方法
CN104774700A (zh) 一种金樱子精酿啤酒及其制备方法
KR101320580B1 (ko)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CN103897931A (zh) 一种桑葚葡萄露酒的酿制方法
CN113637550A (zh) 一种猕猴桃果酒的制备方法
CN104673588A (zh) 一种桑葚火龙果露酒的酿制方法
CN106701394A (zh) 一种糯米酿制米酒的技术方法
CN102391928B (zh) 一种桃花酒及其制备方法
CN103911253A (zh) 一种桑葚龙爪果露酒的酿制方法
KR100987966B1 (ko) 송순주의 제조방법
CN103992898A (zh) 一种桑葚罗汉果露酒的酿制方法
CN103911248A (zh) 一种桑葚山葡萄露酒的酿制方法
CN103897960A (zh) 一种桑葚稔子露酒的酿制方法
KR102574371B1 (ko) 와송 자연발효에 의한 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와송식초
CN105543051A (zh) 一种猕猴桃调制酒及其酿制方法
CN104629994A (zh) 一种桑葚百香果露酒的酿制方法
KR20240045457A (ko) 송화주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