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580B1 -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0580B1 KR101320580B1 KR1020110100931A KR20110100931A KR101320580B1 KR 101320580 B1 KR101320580 B1 KR 101320580B1 KR 1020110100931 A KR1020110100931 A KR 1020110100931A KR 20110100931 A KR20110100931 A KR 20110100931A KR 101320580 B1 KR101320580 B1 KR 1013205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ley
- yeast
- temperature
- days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39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4
- 235000002723 Dioscorea alata Nutrition 0.000 title 1
- 235000007056 Dioscorea composita Nutrition 0.000 title 1
- 235000009723 Dioscorea convolvulacea Nutrition 0.000 title 1
- 235000005362 Dioscorea floribunda Nutrition 0.000 title 1
- 235000004868 Dioscorea macrostachya Nutrition 0.000 title 1
- 235000005361 Dioscorea nummularia Nutrition 0.000 title 1
- 235000005360 Dioscorea spiculiflora Nutrition 0.000 title 1
- 240000005760 Dioscorea villosa Species 0.000 title 1
- 235000006350 apichu Nutrition 0.000 title 1
- 235000004879 dioscorea Nutrition 0.000 title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0000000218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2765 hemp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2766 marijuan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209219 Horde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FYGDTMLNYKFZSV-WFYNLLPOSA-N (2S,3R,4S,5S,6R)-2-[(2R,4R,5R,6S)-4,5-dihydroxy-2-(hydroxymethyl)-6-[(2R,3S,4R,5R,6S)-4,5,6-trihydroxy-2-(hydroxymethyl)oxan-3-yl]oxyoxan-3-yl]oxy-6-(hydroxymethyl)oxane-3,4,5-tri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H](CO)O[C@@H](O[C@@H]2[C@H](O[C@H](O)[C@H](O)[C@H]2O)CO)[C@H](O)[C@H]1O FYGDTMLNYKFZSV-WFYNLLPO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2498 Beta-gluca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abstract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OYHQOLUKZRVURQ-IXWMQOLASA-N Lin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IXWMQOLASA-N 0.000 description 4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4
- IPCSVZSSVZVIGE-UHFFFAOYSA-N Palmit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 IPCSVZSSVZVIG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6 spiri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85 Bone Marro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989 Glut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14 Palmi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537 Vitamin B3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78 lin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cot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13 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77 poly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0 vitamin B3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8 vitamin B3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1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6 Amy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87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31 Ch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665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5128 Glycos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6572 Rhod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85 Vigna mungo var mu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616 Vigna mungo var. mung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39 alpha-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7 alpha-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171 alpha-amyl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71 bee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66 bees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RBHXDCYXIISFC-UHFFFAOYSA-N choline Chemical compound C[N+](C)(C)CC[O-] CRBHXDCYXIIS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87 cid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Abstract
본 발명은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1) 보리쌀 10kg을 침미 및 증자하여 누룩 3kg, 효모 100g 및 구연산 200g과 골고루 섞은 다음 급수 15ℓ를 첨가하여 25 내지 28℃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 내지 4일 동안 효모를 발효시켜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밑술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 90kg과 누룩 3kg 및 급수 150ℓ를 혼합한 후 담금품온을 22 내지 28℃로 유지시켜 5 내지 6일간 숙성시켜 제1단 담금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된 제1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 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25 내지 26℃의 온도를 3일 동안 유지시켜 제2단 담금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단계(3)에서 수득된 제2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 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마 10kg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품온 25 내지 32℃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7일 동안 2차 발효시켜 제3단 담금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4)에서 수득된 제3단 담금에 후수 260.4ℓ를 첨가하여 제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리가 첨가된 마술은 건강식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개발한 것으로서 베타 글루칸 성분이 풍부하여 당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타 글루칸을 다량 함유하는 보리를 이용하여 마와 함께 기호도 및 기능성을 향상시킨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술은 인류의 문명과 역사를 함께하는 대표적 발효식품이며, 각 문화권 별로 제조방법과 원료에 따라 여러 분류로 나뉘어지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고대로부터 음식물의 발효와 숙성 기술이 발달해 왔으므로, 술의 제조기법이 빨리 정착되었다. 우리의 전통주로 대변되는 약주는 약 300여년전 조선시대 학자 서유거가 좋은 술을 양조하였는데, 그의 아호가 약봉이었으며, 현재 서울의 종로구인 약현에 살면서 제조하였다고 해서 약주라 부르게 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통주는 제조방법에 따라 양조주, 증류주, 혼양주 및 혼성주로 나누며,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순곡주와 약용가향곡주로 구분된다. 이 중, 순곡주는 제조공정에 따라 단양주, 이양주, 삼양주로 나뉘며, 숙성 기간에 따라 일반주와 속성주로 다시 나누어 진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통주는 각 지방에 따라 가내 수공업 형태의 방법으로 소량 제조되고 있으며, 막걸리나 동동주 처럼 대중성을 갖고 있으나, 장기간의 보존이 어려운 점 때문에 소주나 맥주 등 대량으로 생산되는 주류나 비싼 외국산 수입 주류에 비해 경쟁력이 약한 면이 있다. 그러나,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인해 소비자들은 주류를 맛과 향으로 즐기면서도 특별히 건강 기능성이 강화된 술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특히 건강 및 보양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인해 음주와 함께 각종 약용 성분이 함유된 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전통주 중에서는 각종 한약재나 천연물을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약용가향곡주류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전통주는 제조방법에 따라 전통 증류주와 전통 발효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통 발효주는 첨가되는 재료에 따라 맛과 향이 독특하지만 누룩을 사용하여 술을 제조함에 따라 누룩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이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와 외국인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전통 발효주의 특성상 발효와 숙성 시간이 길고, 곡류를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짧은 단점이 있다. 전통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효의 주체가 되는 당화 효소 생성 균주와 효모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맛을 내기 위해 쌀, 밀가루 등의 발효 원료 비율을 변화시키는 등의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다양한 입맛과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한약재를 첨가한 전통주 제품이 연구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단순 첨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쌀을 주원료로 제조한 우리 고유의 술인 전통주 관련 배경 기술은, 대나무 약주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342709호), 강장 또는 강정용 한방주 및 이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701336호), 콩 부산물을 이용한 전통 약주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550446호), 오디 약주 및 이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533098호), 사과주 및 그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769207호), 정선 황기주(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3-0057125호), 산삼 배양근을 함유한 약주류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686888호), 기호성과 기능성을 갖는 매실 복분자 혼합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815275호), 백련잎 추출액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508615호), 산수유를 이용한 전통 약주의 제조방법과 이의 방법으로 제조한 산수유 약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428251호), 올방개를 주원료로 하는 민속주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449499호) 등 매우 다양한 천연물 및 한방자원을 활용한 술이 개발되고 있다.
보리는 품종 및 가공처리에 따라서 영양성분의 차이가 있지만 단백질, 지방, 비타민 B3 및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을 고르게 함유하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은 글루탐산과 함께 쌀보다 높으며, 주요 지방산은 팔미트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으로 전체의 약 90%이며,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쌀보다 높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보리의 생육조건을 살펴보면, 다른 작물에 비해 병해충이 심하지 않아 농약 살포가 거의 필요없고, 일반 식생활에서 부족되기 쉬운 여러 가지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여 영양성분을 균형 있게 섭취할 수 있는 좋은 식품소재이며, 겨울철 유휴지 이용, 국내 농업보호 측면에서도 재배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다.
보리의 섭취는 보리의 소비를 증가시키는 가장 쉬운 방법이지만 보리쌀은 백미에 비해 수분흡수율이 높고 수분침투속도가 느리며 보리밥은 백미밥보다 취반시간이 길고 경도가 단단하며 고온(110℃)에서의 갈변현상으로 소비자의 신호도가 떨어져 소비의 증가에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가공처리를 통한 수분흡수 및 조리속도를 감소시키거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취반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리의 소비를 촉진하고, 전통주의 단점인 짧은 유통기간을 연장하고, 전통주의 향미와 맛을 개선하며, 마의 은은한 풍미와 함께 건강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리함유 마술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없음
본 발명은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보리쌀 10kg을 침미 및 증자하여 누룩 3kg, 효모 100g 및 구연산 200g과 골고루 섞은 다음 급수 15ℓ를 첨가하여 25 내지 28℃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 내지 4일 동안 효모를 발효시켜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밑술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90kg과 누룩 3kg 및 급수 150ℓ를 혼합한 후 담금품온을 22 내지 28℃로 유지시켜 5 내지 6일간 숙성시켜 제1단 담금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된 제1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25 내지 26℃의 온도를 3일 동안 유지시켜 제2단 담금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단계(3)에서 수득된 제2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마 농축액 10ℓ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품온 25 내지 32℃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7일 동안 2차 발효시켜 제3단 담금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4)에서 수득된 제3단 담금에 후수 260.4ℓ를 첨가하여 제성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리가 첨가된 마술은 건강식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개발한 것으로서 마 자체의 특유한 맛 및 기능과 함께 베타 글루칸 성분이 풍부하여 당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리함유 마술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리가 첨가된 마술의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밑술제조(제1공정)
보리쌀 10kg을 침미 및 증자하여 누룩 3kg, 효모 100g 및 구연산 200g과 골고루 섞은 다음 급수 15ℓ를 첨가하여 25 내지 28℃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매 6 내지 8시간 간격으로 교반을 실시하면서 3 내지 4일 동안 효모를 발효시켜 밑술을 제조한다. 이 때 사입후 24시간 후에 괴어오르게 되며, 효모 발육을 위한 적온은 28℃로 유지한다. 이러한 각 내용물의 함량비 및 온도대는 수많은 함량비 조절 실험에 따른 최적의 맛, 향 및 품질을 만들어내기 위한 최적의 조건 수치이다. 상기 보리쌀의 침미 및 증자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며, 보리쌀이 완전히 익을 때까지 수행한다. 이때, 보리쌀의 침미의 온도는 24℃가 가장 바람직하며, 이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전체 발효 진행이 더디어져 생산성이 나빠지며, 이 온도보다 높은 경우 발효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맛 및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2. 1단 담금(제2공정)
상기에서 제조된 밑술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90kg과 누룩 3kg 및 급수 150ℓ를 혼합한 후 담금품온을 22 내지 28℃로 유지시켜 5 내지 6일간 숙성시켜 제1단 담금을 제조한다. 이때 침미, 보리쌀, 누룩 및 물을 포함한 내용물이 혼합되어 최적으로 맛, 향 및 품질을 가질 수 있도록 골고루 숙성될 수 있는 2 내지 3 횟수로 교반을 수행한다. 상기 담금품온은 특히 27 내지 28℃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담금품온의 온도가 27℃ 미만이면 출하 기일내에 충분한 숙성이 이루어지지 못함과 동시에 최적의 맛을 달성할 수 없게 되고, 28℃ 초과하면 신맛이 증가하여 최적의 맛과 품질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3. 2단 담금(제3공정)
상기에서 제조된 제1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담금을 위한 최적의 조건인 25 내지 26℃의 온도를 3일 동안 유지시켜 제2단 담금을 제조한다. 상기 액화효소는 알파 아밀라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4. 3단 담금(제4공정)
상기 수득된 제2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마 농축액 10ℓ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최적의 담금을 위한 조건인 품온 25 내지 32℃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7일 동안 2차 발효시켜 제3단 담금을 제조한다. 이 때 제3단 사입 후 약 10시간 후 팽창후에 가라앉는다. 이때 온도는 32℃가 넘으면 신맛이 강해져 최적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 온도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기 마 농축액은 공지된 일반적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구체적으로는 채취된 마와 설탕을 예로 2:1로 섞어 으깨어 마액을 만든 다음 3일 상온에서 발효시킨 후, 발효된 마액에서 이물질을 채로 걸러낸 다음 남아있는 마액에 꿀을 2:1의 비율로 첨가한 후 30분 동안 100℃로 가열한 다음 다시 3일 상온에서 재발효시켜 한 달간 냉장보관 후 완성된다.
상기 마 농축액은 공지된 일반적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구체적으로는 채취된 마와 설탕을 예로 2:1로 섞어 으깨어 마액을 만든 다음 3일 상온에서 발효시킨 후, 발효된 마액에서 이물질을 채로 걸러낸 다음 남아있는 마액에 꿀을 2:1의 비율로 첨가한 후 30분 동안 100℃로 가열한 다음 다시 3일 상온에서 재발효시켜 한 달간 냉장보관 후 완성된다.
삭제
5. 제성(제5공정)
상기에서 수득된 제3단 담금에 후수 260.4ℓ를 첨가하여 제성한다.
본 발명의 마술에 첨가되는 보리는 영양학적으로 볼 때 식이성 섬유소의 일종인 베타 글루칸의 함량이 많으며, 이러한 성분은 배유나 호분층의 세포벽에 주로 존재하고 성인병 유발성분인 체내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저하시킴으로써, 심혈관계 질환이나 체지방의 축적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보리는 품종 및 가공처리에 따라서 영양성분의 차이가 있지만 단백질, 지방, 비타민 B3 및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을 고르게 함유하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은 글루탐산과 함께 쌀보다 높으며, 주요 지방산은 팔미트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으로 전체의 약 90%이며,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쌀보다 높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다.
또한, 마는 노화를 방지하는 생리활성 물질과 소화기능을 촉진시키는 전분, 아밀로스, 콜린, 사포닌, 미네랄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끈적한 성분인 뮤신은 단백질의 흡수를 돕고, 위궤양을 방지하며, 소화효소인 디아스타제가 함유되어 소화불량 및 위장장애에 도움을 주고, 미용, 해열, 정력 증강 및 원기 회복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리가 첨가된 마술은 건강식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개발한 것으로서 마와 함께 특유한 맛까지 살려줄 수 있으며, 베타 글루칸 성분이 풍부하여 당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리함유 마술 제조
보리쌀 10kg을 침미 및 증자하여 누룩 3kg, 효모 100g 및 구연산 200g과 골고루 섞은 다음 급수 15ℓ를 첨가하여 25 내지 28℃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매 6 내지 8시간 간격으로 교반을 실시하면서 3 내지 4일 동안 효모를 발효시켜 밑술을 제조한다. 이 때 사입후 24시간 후에 괴어오르게 되며, 효모 발육을 위한 적온은 28℃로 유지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밑술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90kg과 누룩 3kg 및 급수 150ℓ를 혼합한 후 담금품온을 22 내지 28℃로 유지시켜 5 내지 6일간 숙성시켜 제1단 담금을 제조한다. 이 때 2 내지 3회에 걸쳐 교반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제1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25 내지 26℃의 온도를 3일 동안 유지시켜 제2단 담금을 제조한다.
상기 수득된 제2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마 농축액 10ℓ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품온 25 내지 32℃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7일 동안 2차 발효시켜 제3단 담금을 제조한다. 이 때 제3단 사입 후 약 10시간 후 팽창후에 가라앉는다. 이때 온도는 32℃가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기에서 수득된 제3단 담금에 후수 260.4ℓ를 첨가하여 제성하여 보리함유 마술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보리를 함유하지 않은 마술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보리함유 마술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보리가 첨가되지 않은 마술에 대해 사전에 관능평가에 관한 내용을 충분히 이해시킨 패널 30명을 선정하여 색상, 농후감, 향, 감미도, 전체적인 맛을 5점 평점법으로 평가하여 가장 좋다 5, 가장 나쁘다 1로 점수를 표시하였으며 높은 점수를 얻은 5개의 제품을 선별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비교예 1 | |
색상 | 4.5± 0.1 | 3.8± 0.2 |
농후감 | 4.8± 0.1 | 2.7± 0.2 |
향 | 4.2± 0.1 | 2.8± 0.1 |
감미도 | 4.9± 0.1 | 2.9± 0.2 |
전체적인 맛 | 4.5± 0.1 | 3.0± 0.1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보리함유 마술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종래의 마술과 비교할 때 막보리 특유의 풍미와 구수한 맛을 느낄 수 있었으며, 고형분이 적절하게 배합되어 있어 음용하기에 전혀 부담감이 없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리가 첨가된 마술은 건강식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개발한 것으로서 마 특유의 맛 및 기능과 함께 베타 글루칸 성분이 풍부하여 당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1) 보리쌀 분말 10kg을 침미 및 증자하여 누룩 3kg, 효모 100g 및 구연산 200g과 골고루 섞은 다음 급수 15ℓ를 첨가하여 25 내지 28℃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 내지 4일 동안 효모를 발효시켜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밑술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90kg과 누룩 3kg 및 급수 150ℓ를 혼합한 후 담금품온을 22 내지 28℃로 유지시켜 5 내지 6일간 숙성시켜 제1단 담금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된 제1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25 내지 26℃의 온도를 3일 동안 유지시켜 제2단 담금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단계(3)에서 수득된 제2단 담금에 침미 및 증자된 보리쌀 분말 150kg, 액화효소 30g, 누룩 2kg, 마 농축액 10ℓ 및 급수 250ℓ를 혼합하여 품온 25 내지 32℃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7일 동안 2차 발효시켜 제3단 담금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4)에서 수득된 제3단 담금에 후수 260.4ℓ를 첨가하여 제성하는 단계. -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보리쌀의 침미를 24℃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담금품온을 27 내지 28℃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2 내지 3회에 걸쳐 교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0931A KR101320580B1 (ko) | 2011-10-05 | 2011-10-05 |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0931A KR101320580B1 (ko) | 2011-10-05 | 2011-10-05 |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6790A KR20130036790A (ko) | 2013-04-15 |
KR101320580B1 true KR101320580B1 (ko) | 2013-10-28 |
Family
ID=4843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0931A KR101320580B1 (ko) | 2011-10-05 | 2011-10-05 |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058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81048A (zh) * | 2014-04-30 | 2014-08-13 | 河南科技大学 | 一种怀山药黄酒的生产方法 |
CN104531439A (zh) * | 2014-12-24 | 2015-04-22 | 三明市农业科学研究院 | 用于淮山干红酒制作的酒曲及其制作工艺 |
CN105018319A (zh) * | 2015-08-26 | 2015-11-04 | 初树刚 | 一种山药保健酒 |
CN109370836A (zh) * | 2018-12-25 | 2019-02-22 | 襄阳农博源农业有限公司 | 一种九斤黄山药保健酒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51976A (zh) * | 2013-07-30 | 2013-10-16 | 唐安明 | 一种淮山白酒的酿制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5526A (ko) * | 2006-08-16 | 2008-02-20 | 주식회사 배화 | 민속주 제조방법 |
KR101037048B1 (ko) | 2011-04-22 | 2011-05-26 | (주)백록담 | 보리가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
-
2011
- 2011-10-05 KR KR1020110100931A patent/KR1013205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5526A (ko) * | 2006-08-16 | 2008-02-20 | 주식회사 배화 | 민속주 제조방법 |
KR101037048B1 (ko) | 2011-04-22 | 2011-05-26 | (주)백록담 | 보리가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81048A (zh) * | 2014-04-30 | 2014-08-13 | 河南科技大学 | 一种怀山药黄酒的生产方法 |
CN104531439A (zh) * | 2014-12-24 | 2015-04-22 | 三明市农业科学研究院 | 用于淮山干红酒制作的酒曲及其制作工艺 |
CN105018319A (zh) * | 2015-08-26 | 2015-11-04 | 初树刚 | 一种山药保健酒 |
CN109370836A (zh) * | 2018-12-25 | 2019-02-22 | 襄阳农博源农业有限公司 | 一种九斤黄山药保健酒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6790A (ko) | 2013-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805403B (zh) | 一种荔枝营养酒及其酿造方法 | |
KR101320580B1 (ko) |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 |
CN104611171A (zh) | 生姜米酒的制备方法 | |
CN104694367B (zh) | 一种马铃薯酒及其生产工艺 | |
CN106854610A (zh) | 一种桂圆果酒的酿造方法 | |
CN104911057A (zh) | 一种咖啡芡实保健酒的生产方法 | |
CN104611184A (zh) | 一种营养嘉宝果果醋及其制备方法 | |
CN105802781A (zh) | 制造葡萄味甜酒的方法和葡萄味甜酒 | |
CN102687826A (zh) | 高粱酒酿及制备方法 | |
CN107034070A (zh) | 一种陈皮养生酒及其制备方法 | |
KR101313063B1 (ko) | 보리함유 기능성 약주의 제조방법 | |
CN103060166A (zh) | 一种黑藠头醋及其制备方法 | |
KR101322933B1 (ko) | 보리함유 복분자술의 제조방법 | |
KR101322932B1 (ko) | 보리함유 배술의 제조방법 | |
KR20140063097A (ko) | 보리함유 기능성 산삼주의 제조방법 | |
CN107686786A (zh) | 一种百香果鲜果米酿酿造工艺 | |
KR101380381B1 (ko) | 전통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13064B1 (ko) | 보리함유 기능성 탁주의 제조방법 | |
KR101322931B1 (ko) | 보리함유 머루술의 제조방법 | |
CN102191161B (zh) | 一种白蚁醋及其制备与应用 | |
KR101759311B1 (ko) | 발아 현미 모주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아 현미 모주 | |
KR101262959B1 (ko) | 율무 전처리방법 개량에 의한 율무 발효주 및 이 율무 발효주의 제조방법 | |
CN107446753A (zh) | 一种桑葚酒及其制作方法 | |
CN107446735A (zh) | 一种养生啤酒及其制作方法 | |
KR101313062B1 (ko) | 보리함유 증류식 소주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