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268A -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및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및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268A
KR20240045268A KR1020247007550A KR20247007550A KR20240045268A KR 20240045268 A KR20240045268 A KR 20240045268A KR 1020247007550 A KR1020247007550 A KR 1020247007550A KR 20247007550 A KR20247007550 A KR 20247007550A KR 20240045268 A KR20240045268 A KR 20240045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machine
precautions
power source
operator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토 마쓰모토
슌스케 스기무라
šœ스케 스기무라
다케히로 시바타
도모후미 호카리
유이치로 야스다
겐지 노자키
도모타카 고마쓰
요스케 야마고에
료헤이 기쿠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4004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26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부가 기능부는, 작업 기계의 소정의 부가 기능을 실현한다. 제시부는,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제시한다. 기동 제어부는, 오퍼레이터가 주의사항을 확인한 후에, 작업 기계의 동력원을 기동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및 작업 기계
본 개시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및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9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21-161103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서 인용한다.
작업 기계가 인물을 포함하는 장애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작업 기계의 주위를 감시하고, 소정의 영역 내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소정의 안전 조치를 취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안전 조치는, 부저 등에 의한 경보의 출력, 작업 기계의 록킹 등을 예로 들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21-014736호 공보
전술한 안전 기능과 같은 부가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작업 기계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부가 기능의 존재를 모르고 작업 기계를 조작하면, 작업 효율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작업 효율의 저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및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하면,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은, 동력원과, 소정의 부가 기능을 실현하는 부가 기능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제시하는 제시부와, 오퍼레이터가 상기 주의사항을 확인한 후에, 상기 동력원을 기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동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작업 기계의 조작 전에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오퍼레이터에 확인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의 저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가 구비하는 복수의 카메라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실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기동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제1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기동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제2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8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 기계(100)의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작업 기계(100)는, 시공 현장에서 가동(稼動)하여, 토사 등의 시공 대상을 시공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이다. 작업 기계(100)는, 주행체(110), 선회체(120), 작업기(130) 및 운전실(140)을 구비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안전 기능으로서 작업 기계(100)의 주변의 장애물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주행체(110), 선회체(120) 및 작업기(130)의 동작을 제한하는 충돌 방지 기능을 가진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오퍼레이터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 등의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와 BLE(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는 등록상표)에 의한 통신을 행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행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 기계(100)와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Bluetooth(등록상표), Zigbee(등록상표) 등 BLE 이외의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작업 기계(100)는, 인터넷 등의 광역통신을 통하여 원격의 서버 장치(500)로부터 오퍼레이터의 인증에 사용하는 마스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로써, 작업 기계(100)는, 이용 가능한 오퍼레이터가 변화되었다고 해도 최신 마스터 데이터를 사용한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서버 장치(500)가 기억하는 마스터 데이터는, 오퍼레이터마다, 오퍼레이터 ID와, 비밀번호와, 표시명과, 작업 기계(100)의 조작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와, 조작 설정 데이터와, Bluetooth(등록상표)의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관련시켜 만든 데이터이다. 조작 설정 데이터는, 유압 회로를 제어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이다. 조작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작업 기계(100)의 조작 권한을 가지는 지의 여부, 모니터에서 설정할 수 있는 내용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설정 데이터는, 조작량과 제어량의 관계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조작 설정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어량에 대한 가중값이나, 조작량과 제어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면 된다.
주행체(110)는, 작업 기계(100)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한다. 주행체(110)는, 좌우에 설치된 2개의 무한 궤도(111)과, 각각의 무한 궤도(111)을 구동하기 위한 2개의 주행 모터(112)를 구비한다.
선회체(120)는, 주행체(110)에 선회중심 주위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작업기(130)는, 유압에 의해 구동한다. 작업기(130)는, 선회체(120)의 전부(前部)에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운전실(140)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고, 작업 기계(100)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스페이스이다. 운전실(140)은, 선회체(120)의 좌전부(左前部)에 설치된다.
여기서, 선회체(120) 중 작업기(130)가 장착되는 부분을 전부라고 한다. 또한, 선회체(120)에 대하여, 전부를 기준으로, 반대측의 부분을 후부, 좌측의 부분을 좌부, 우측의 부분을 우부라고 한다.
《선회체(120)의 구성》
선회체(120)는, 엔진(121), 유압 펌프(122), 콘트롤 밸브(123), 선회 모터(124), 연료 분사 장치(125)를 구비한다.
엔진(121)은, 유압 펌프(122)를 구동하는 원동기이다. 엔진(121)에는 셀 모터(1211)가 설치된다. 엔진(121)은, 셀 모터(1211)의 회전에 의해 기동한다.
유압 펌프(122)는, 엔진(121)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용량 펌프이다. 유압 펌프(122)는, 콘트롤 밸브(123)를 통하여 각 액추에이터(붐 실린더(131C), 암 실린더(132C), 버킷 실린더(133C), 주행 모터(112), 및 선회 모터(124))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콘트롤 밸브(123)는, 유압 펌프(12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한다.
선회 모터(124)는, 콘트롤 밸브(123)를 통하여 유압 펌프(12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하고, 선회체(120)을 선회시킨다.
연료 분사 장치(125)는, 연료를 엔진(121)에 분사한다.
선회체(120)에는, 작업 기계(100)의 주위를 촬상하는 복수의 카메라(208)가 설치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가 구비하는 복수의 카메라(208)의 촬상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선회체(120)에는, 선회체(120)의 주위 중 좌후방 범위 Ra를 촬상하는 좌후방 카메라(208A), 선회체(120)의 주위 중 후방 범위 Rb를 촬상하는 후방 카메라(208B), 선회체(120)의 주위 중 우후방 범위 Rc를 촬상하는 우후방 카메라(208C), 선회체(120)의 주위의 우전방 범위 Rd를 촬상하는 우전방 카메라(208D)가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카메라(208)의 촬상 범위의 일부는, 서로 중복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카메라(208)의 촬상 범위는, 작업 기계(100)의 전체 주위 중, 운전실(140)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한 좌전방 범위 Re를 제외한 범위를 커버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208)는, 선회체(120)의 좌후방, 후방, 우후방, 및 우전방을 촬상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208)의 대수 및 촬상 범위는, 도 1, 도 2에 나타낸 예와 상이해도 된다.
《작업기(130)의 구성》
작업기(130)는, 붐(131), 암(132), 버킷(133), 붐 실린더(131C), 암 실린더(132C), 및 버킷 실린더(133C)를 구비한다.
붐(131)의 기단부(基端部)는, 선회체(120)에 붐 핀을 통하여 장착된다.
암(132)은, 붐(131)과 버킷(133)을 연결한다. 암(132)의 기단부는, 붐(131)의 선단부에 암 핀을 통하여 장착된다.
버킷(133)은, 토사 등을 굴삭하기 위한 날과 굴착한 토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다. 버킷(133)의 기단부는, 암(132)의 선단부에 버킷 핀을 통하여 장착된다.
붐 실린더(131C)는, 붐(131)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이다. 붐 실린더(131C)의 기단부는, 선회체(120)에 장착된다. 붐 실린더(131C)의 선단부는, 붐(131)에 장착된다.
암 실린더(132C)는, 암(132)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이다. 암 실린더(132C)의 기단부는, 붐(131)에 장착된다. 암 실린더(132C)의 선단부는, 암(132)에 장착된다.
버킷 실린더(133C)는, 버킷(133)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이다. 버킷 실린더(133C)의 기단부는, 암(132)에 장착된다. 버킷 실린더(133C)의 선단부는, 버킷(133)에 접속되는 링크 부재에 장착된다.
《운전실(140)의 구성》
운전실(140)의 좌측면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도어(141)가 설치된다. 도어(141)에는, 도어(141)를 록킹하기 위한 록킹 액추에이터(1411)와,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1412)가 설치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실(140)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운전실(140) 내에는, 운전석(142), 조작 장치(143), 로터리 스위치(144) 및 터치패널(145D)이 설치된다. 로터리 스위치(144)는, 회전됨으로써 OFF, ACC(액세서리), IG(이그니션), ST(스타트)의 4개의 포지션을 가지는 스위치이다. 그리고, 로터리 스위치(144)를 ST 포지션에서 손가락을 떼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기구(機構)에 의해, 자동적으로 IG 포지션으로 되돌아간다. 로터리 스위치(144)는, 엔진 콘트롤러(206)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동 스위치의 일례이다.
조작 장치(143)는, 오퍼레이터의 수동 조작에 의해 주행체(110), 선회체(120) 및 작업기(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조작 장치(143)는, 좌측 조작 레버(143LO), 우측 조작 레버(143RO), 좌측 풋 페달(143LF), 우측 풋 페달(143RF), 좌측 주행 레버(143LT), 우측 주행 레버(143RT)를 구비한다.
좌측 조작 레버(143LO)는, 운전석(142)의 좌측에 설치된다. 우측 조작 레버(143RO)는, 운전석(142)의 우측에 설치된다.
좌측 풋 페달(143LF)은, 운전석(142)의 전방의 바닥면의 좌측에 배치된다. 우측 풋 페달(143RF)는, 운전석(142)의 전방의 바닥면의 우측에 배치된다. 좌측 주행 레버(143LT)는, 좌측 풋 페달(143LF)에 축지지되고, 좌측 주행 레버(143LT)의 경사와 좌측 풋 페달(143LF)의 압하(押下)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우측 주행 레버(143RT)는, 우측 풋 페달(143RF)에 축지지되고, 우측 주행 레버(143RT)의 경사와 우측 풋 페달(143RF)의 압하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좌측 풋 페달(143LF) 및 좌측 주행 레버(143LT)는, 주행체(110)의 좌측 크롤러의 회전 구동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풋 페달(143LF) 또는 좌측 주행 레버(143LT)를 전방으로 쓰러뜨리면, 좌측 크롤러는 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풋 페달(143LF) 또는 좌측 주행 레버(143LT)를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좌측 크롤러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측 풋 페달(143RF) 및 우측 주행 레버(143RT)는, 주행체(110)의 우측 크롤러의 회전 구동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풋 페달(143RF) 또는 우측 주행 레버(143RT)를 전방으로 쓰러뜨리면, 우측 크롤러는 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풋 페달(143RF) 또는 우측 주행 레버(143RT)를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우측 크롤러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좌측 조작 레버(143LO) 및 우측 조작 레버(143RO)는, 선회체(120)의 선회 동작, 붐(131)의 상승/하강 동작, 암(132)의 굴삭/덤프 동작, 및 버킷(133)의 굴삭/덤프 동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기구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에 있어서, 각각의 조작 레버의 조작 패턴은, 오퍼레이터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조작 패턴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패턴이 있다.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전방으로 쓰러뜨리면, 암(132)의 덤프 동작이 실행된다.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암(132)의 굴삭 동작이 실행된다.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우측 방향으로 쓰러뜨리면, 선회체(120)의 우선회가 실행된다.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좌측 방향으로 쓰러뜨리면, 선회체(120)의 좌선회가 실행된다.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전방으로 쓰러뜨리면, 붐(131)의 하강 동작이 실행된다.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붐(131)의 상승 동작이 실행된다.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우측 방향으로 쓰러뜨리면, 버킷(133)의 덤프 동작이 행해진다.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좌측 방향으로 쓰러뜨리면, 버킷(133)의 굴삭 동작이 행해진다.
《제어 시스템(145)의 구성》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45)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실선은 전력선을 나타내고, 파선(破線)은 신호선을 나타낸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일점쇄선은, 무선 통신을 나타낸다.
제어 시스템(145)은, 전원부(201),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 모니터 콘트롤러(204), 제어 콘트롤러(205), 엔진 콘트롤러(206), 광역통신 콘트롤러(207), 카메라(208),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를 구비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 모니터 콘트롤러(204), 제어 콘트롤러(205), 엔진 콘트롤러(206)는, 서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작업 기계(100)의 제1 내부 네트워크(N1)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 광역통신 콘트롤러(207), 카메라(208),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는, 서로 이더넷(등록상표) 등의 작업 기계(100)의 제2 내부 네트워크(N2)를 통하여 접속된다.
전원부(201)는, 제어 시스템(145)을 구성하는 각 기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도어 스위치(1412), 로터리 스위치(144), 오퍼레이터 단말기(300) 및 모니터 콘트롤러(204)로부터 신호의 입력을 받는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 모니터 콘트롤러(204), 제어 콘트롤러(205), 엔진 콘트롤러(206), 광역통신 콘트롤러(207), 카메라(208),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 록킹 액추에이터(1411) 또는 셀 모터(1211)에 기동 신호 또는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기동 신호가 입력된 콘트롤러는, 전원부(201)가 공급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기동하고, 동작한다. 그리고,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다른 콘트롤러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도, 항상 전원부(201)로부터의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받아서 동작하고 있다. 한편,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작업 기계(100)가 기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BLE의 통신 기능을 가지는 회로만이 기동 상태로 되고, 다른 구성이 중지 상태에 있어도 되고, 간헐적으로 기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제1 내부 네트워크(N1)에 접속되는 콘트롤러와 제2 내부 네트워크(N2)에 접속되는 콘트롤러끼리의 통신을 중계한다. 특히,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광역통신 콘트롤러(207)가 광역통신망을 통하여 서버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오퍼레이터의 인증 마스터 데이터를 기억하고, 제1 내부 네트워크(N1)를 통하여 접속되는 컴포넌트에 전송한다.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제어 시스템(145)이 구비하는 터치패널(145D)에 의한 표시를 제어하고, 터치패널(145D)의 터치 조작의 발생을 통지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45)은, 터치패널(145D)이 아닌,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모니터 및 물리적인 버튼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모니터에 의한 표시를 제어하고, 물리 버튼의 압하를 통지한다.
제어 콘트롤러(205)는, 작업기(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기기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취득하고, 조작 장치(143)의 조작에 따라 유압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 콘트롤러(205)는, 붐 실린더(131C), 암 실린더(132C), 버킷 실린더(133C), 주행 모터(112), 선회 모터(124)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 콘트롤러(205)는, 작업기(130)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작업기 제어 장치의 일례이다.
엔진 콘트롤러(206)는, 엔진(121)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취득하고, 연료 분사 장치(125)에 연료 분사량을 지시함으로써, 엔진(121)을 제어한다. 엔진 콘트롤러(206)는, 동력원을 제어하는 동력원 제어부의 일례이다.
광역통신 콘트롤러(207)는, 광역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광역통신 콘트롤러(207)는, 광역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의해, 서버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오퍼레이터의 인증에 사용하는 마스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광역통신 콘트롤러(207)는, 소정 주기(예를 들면, 24시간 주기)로 간헐적으로 기동하고, 서버 장치(500)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카메라(20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기계(100)의 주위를 촬상한다.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는, 카메라(208)가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부감(俯瞰) 화상을 생성하고, 모니터 콘트롤러(204)를 통하여 터치패널(145D)에 부감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는, 작업 기계(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검지한다. 즉,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는, 소정의 부가 기능을 실현하는 부가 기능부의 일례이다.
제어 시스템(145)은, 터치패널(145D)의 조작에 의해, 운전실(140)에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의 로그인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어 시스템(145)은, 로그인 처리를 행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 모니터 콘트롤러(204)가 로그인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시스템(145)은, 모니터 콘트롤러(204)를 통하여 터치패널(145D)에 오퍼레이터 ID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고, 오퍼레이터 ID의 선택을 접수한다. 제어 시스템(145)은, 선택된 오퍼레이터 ID가, 작업 기계(100)에 근접하고 있는 조작 권한을 가지는 오퍼레이터를 나타내는 경우에, 운전실(140)에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조작 권한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인 것으로 인증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300)》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미리 인스톨된 작업 기계(100)의 기동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BLE의 주변 장치로서 기능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기동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작업 기계(100)의 일람을 표시시키고, 오퍼레이터로부터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하면,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의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선택된 작업 기계(100)의 기계 ID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의 송신을 개시한다.
《제어 시스템(145)의 동작》
여기서, 작업 기계(100)의 조작 권한을 가지는 오퍼레이터(특정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에 탑승할 때의 작업 기계(100)의 기동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시스템(145)은, 작업 기계(100)의 기동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시스템(145)에 의한 작업 기계(100)의 기동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제1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시스템(145)에 의한 작업 기계(100)의 기동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제2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145D)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오퍼레이터가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기동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작업 기계(100)의 일람을 표시시키고, 오퍼레이터로부터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한다(단계 S1).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하면,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선택된 작업 기계(100)의 기계 ID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한다(단계 S2).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수신하고, 애드버타이즈 패킷의 송신원(送信元)의 오퍼레이터 단말기(300)가 페어링 완료한 경우에, 특정 오퍼레이터가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특정 오퍼레이터가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3). 이로써,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기동을 개시한다(단계 S4). 그 후,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기동을 완료한다(단계 S5).
오퍼레이터는, 작업 기계(100)에 도달하면 도어(141)를 열기 위해 도어 스위치(1412)를 압하한다. 이로써,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도어 스위치(1412)로부터 ON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6).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를 확인한 후, 록킹 액추에이터(1411)를 구동시켜, 도어(141)의 록킹을 해제한다(단계 S7).
오퍼레이터가 운전실(140)에 올라타고, 로터리 스위치(144)를 ACC 포지션으로 하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로부터 ACC를 나타낸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8).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를 확인한 후, 록킹 액추에이터(1411)를 구동시켜, 도어(141)의 록킹을 해제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특정 오퍼레이터의 근접 상태를 확인한 후, 모니터 콘트롤러(204)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9). 이로써, 모니터 콘트롤러(204)가 기동한다(단계 S10).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도 7에 나타낸 오퍼레이터의 일람 화면(D11)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널(145D)에 출력한다(단계 S11). 이로써,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터치패널(145D)에 오퍼레이터의 일람 화면(D11)이 표시된다. 그리고, 로터리 스위치(144)가 ACC 포지션에 있을 경우, 엔진(121)은 기동하고 있지 않다. 즉,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엔진(121)의 정지중에, 오퍼레이터의 일람 화면(D11)을 표시시킨다.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일람 화면(D11)으로부터 하나의 오퍼레이터 ID의 선택을 접수한다(단계 S12).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제2 내부 네트워크(N2)를 통하여 스타터 신호 유닛(202)으로부터 단계 S2에서 접속한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의 정보를 수신하고,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로부터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와 관련된 오퍼레이터 ID를 취득한다(단계 S13).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단계 S12에서 선택된 오퍼레이터 ID와 단계 S13에서 취득된 오퍼레이터 ID를 조회하여,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행한다(단계 S14). 즉,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작업 기계(100)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를 인증하는 인증부의 일례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 콘트롤러(204)가 선택된 오퍼레이터 ID를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에 송신하고,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에서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행해도 된다. 오퍼레이터를 인증한 경우,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제1 내부 네트워크(N1)를 통하여 인증 결과를 출력한다(단계 S15).
그리고, 오퍼레이터의 인증에 실패한 경우,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단계 S12에 의한 오퍼레이터 ID의 선택 접수 처리를 되돌린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제1 내부 네트워크(N1)를 통하여 인증 결과를 취득하면, 제어 콘트롤러(205), 광역통신 콘트롤러(207), 카메라(208) 및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16). 즉,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엔진 콘트롤러(206) 이외의 미기동의 컴포넌트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 이로써, 제어 콘트롤러(205), 광역통신 콘트롤러(207), 카메라(208) 및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가 기동한다(단계 S17).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제어 콘트롤러(205), 광역통신 콘트롤러(207), 카메라(208) 및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를, 모니터 콘트롤러(204)와 동일한 단계 S9의 타이밍으로 기동시켜도 된다.
한편,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단계 S15에서 출력된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기억하고 있는 마스터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오퍼레이터 ID와 관련된 조작 설정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18).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판독된 조작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설정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을 생성하고,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의 표시 지시를 모니터 콘트롤러(204)에 송신한다(단계 S19).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표시 지시를 수신하면,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을 터치패널(145D)에 표시시킨다(단계 S20).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에는, 조작 레버의 조작량에 대한 작업기(130)의 속도, 조작 레버의 조작 방향과 작업기(130)의 각 파트의 대응 관계, 조작 레버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버튼에 할당된 기능 등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에는, 설정 내용을 변경하는 변경 버튼과, 변경하지 않은 OK 버튼이 표시된다.
오퍼레이터가 OK 버튼을 압하하면,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의 확인 결과로서 제1 내부 네트워크(N1)를 통하여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에 조작 설정 데이터의 변경을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21).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변경 버튼을 압하한 경우,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조작 설정의 변경 내용의 입력을 접수하고,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의 확인 결과로서 제1 내부 네트워크(N1)를 통하여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에 변경 후의 조작 설정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경우에,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기억하고 있는 조작 설정 데이터를 갱신한다.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모니터 콘트롤러(204)로부터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의 확인 결과를 취득하면, 조작 설정 데이터를 제어 콘트롤러(205)에 송신한다(단계 S22). 이로써, 제어 콘트롤러(205)는 조작 설정 데이터를 반영한다(단계 S23).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제2 내부 네트워크(N2)를 통하여 접속되는 컴포넌트에, 주의사항의 리퀘스트를 송신한다(단계 S24). 제2 내부 네트워크(N2)를 통하여 접속되는 각 컴포넌트는, 엔진(121)의 시동 전에 오퍼레이터에 확인시킬 주의사항의 유무를 판정하고, 주의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그 주의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에 송신한다(단계 S25).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45)에서는,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에 주의사항이 설정되므로,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가 제2 내부 네트워크(N2)를 통하여 주의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에 송신한다.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주의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의사항을 확인하기 위한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을 생성하고,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의 표시 지시를 모니터 콘트롤러(204)에 송신한다(단계 S26).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표시 지시를 수신하면,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을 터치패널(145D)에 표시시킨다(단계 S27).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에는,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를 이용할 때의 주의사항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에 의해 작업 기계(100)의 동작이 제한되는 것이,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에 기재된다.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에는, 내용을 확인한 의사 표시를 하기 위한 확인 버튼이 표시된다. 즉,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제시하는 제시부의 일례이다.
오퍼레이터가 확인 버튼을 압하하면,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이 확인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내부 네트워크(N1)를 통하여 송신한다(단계 S28). 이로써,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주의사항이 확인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주의사항이 확인된 후에, 오퍼레이터가 로터리 스위치(144)를 IG 포지션으로 하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로부터 IG를 나타낸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29).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엔진 콘트롤러(206)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30). 이로써, 엔진 콘트롤러(206)가 기동한다(단계 S31).
오퍼레이터가 로터리 스위치(144)를 ST 포지션으로 하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로부터 ST를 나타낸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32).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셀 모터(1211)를 구동시킨다(단계 S33). 이로써, 엔진(121)이 시동하고, 작업 기계(100)가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의 주의사항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확인된 후에, 엔진 콘트롤러(206)를 기동시키고, 또한 엔진(121)을 시동시킨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의 주의사항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확인되기 전에 로터리 스위치(144)가 IG 포지션으로 되어도, 엔진 콘트롤러(206)를 기동시키지 않는다. 즉,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오퍼레이터가 주의사항을 확인한 후에, 동력원을 기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동 제어부의 일례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시퀀스도에서는, 단계 S15에서 모니터 콘트롤러(204)에 의한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스타터 신호 유닛(202)이 제어 콘트롤러(205)를 기동시키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계 S28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주의사항이 확인된 후에, 스타터 신호 유닛(202)이 제어 콘트롤러(205)를 기동시키는 것이라도 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의 동작》
여기서, 주의사항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확인될 때까지 스타터 신호 유닛(202)에 의해 엔진 콘트롤러(206)를 기동시키지 않도록 하는 기동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내부 메모리에 오퍼레이터가 주의사항을 확인하였는 지를 나타낸 확인 플래그의 기억 영역을 가진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작업 기계(100)의 정지중에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수신하면, 확인 플래그를 False로 초기화한다. 이 때,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조작 장치(143)에, 로터리 스위치(144)를 적색 점등시키는 지시를 출력한다. 로터리 스위치(144)의 적색 점등은, 엔진(121)을 시동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제1 내부 네트워크(N1)를 통하여 모니터 콘트롤러(204)로부터 송신되는 주의사항의 확인 결과를 감시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확인 결과가 송신되었을 때, 확인 플래그를 True로 재기입한다. 이 때,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조작 장치(143)에, 로터리 스위치(144)를 녹색 점등시키는 지시를 출력한다. 로터리 스위치(144)의 녹색 점등은, 엔진(121)을 시동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가 IG 포지션으로 되었을 때, 확인 플래그가 True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확인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엔진 콘트롤러(206)에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확인 플래그가 False인 경우,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엔진 콘트롤러(206)에 기동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가 ST 포지션으로 되었을 때, 확인 플래그가 True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확인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셀 모터(1211)를 구동시킨다. 한편, 확인 플래그가 False인 경우,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셀 모터(1211)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작용·효과》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 시스템(145)은,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 등에 의한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나타내는 모니터 콘트롤러(204)와, 오퍼레이터가 주의사항을 확인한 후에, 엔진(121)을 기동 가능하도록 하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을 구비한다. 이로써, 제어 시스템(145)은, 작업 기계(100)의 조작 전에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오퍼레이터에 확인시킴으로써, 오퍼레이터에 부가 기능의 존재를 인식시켜,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45)은, 터치패널(145D)에 조작 장치(143)의 조작 레버의 조작 패턴을 제시하고, 오퍼레이터가 주의사항 및 조작 패턴을 확인한 후에, 엔진(121)을 기동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의 조작을 잘못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설계 변경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처리의 순서가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일부 처리가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단독의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라도 되고, 스타터 신호 유닛(202)의 구성을 복수의 컴퓨터에 나누어서 배치하고, 복수의 컴퓨터가 서로 협동함으로써 스타터 신호 유닛(202)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 중, 기동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과,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하는 기능은 별개의 컴퓨터에 실장되어도 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을 구성하는 일부 컴퓨터가 작업 기계(100)의 내부에 탑재되고, 다른 컴퓨터가 작업 기계(100)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45)은, 제어 시스템(145)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이 작업 기계(100)의 내부에 탑재되고, 다른 구성이 작업 기계(100)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스마트 폰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단말기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미리 정해진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출력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키팝(key fob)이라도 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 단말기(300)가 키팝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수신한 작업 기계(100) 중, 애드버타이즈 패킷의 송신원의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와 페어링 완료한 작업 기계가, 모두 기동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부가 기능으로서 작업 기계(100)의 주변의 장애물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주행체(110), 선회체(120) 및 작업기(130)의 동작을 제한하는 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부가 기능은, 장애물의 검지 결과를 터치패널(145D)에 표시하고, 알람으로서 음성을 출력하는 다른 안전 기능이라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부가 기능은, 미리 설정된 시공면보다 아래쪽에 버킷(133)이 침입하지 않도록 작업기(130)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이라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터치패널(145D)로의 입력에 의해 조작 레버의 설정 및 주의사항이 확인된 것을 인식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음성 인식 기능을 가지고, 터치패널(145D)로의 표시 대신, 음성에 의해 조작 레버의 설정 및 주의사항을 출력하고, 음성 인식에 의해 조작 레버의 설정 및 주의사항이 확인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터치패널(145D)의 표시를,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위한 오퍼레이터의 일람 화면(D11), 조작 설정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 부가 기능의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의 순서로 전환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터치패널(145D)의 표시를, 오퍼레이터의 일람 화면(D11),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 조작 설정 확인 화면(D12)의 순서로 전환해도 된다. 이 경우에,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오퍼레이터에 의한 주의사항의 확인이 행해질 때까지 제어 콘트롤러(205)를 기동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가 ACC 포지션으로 되었을 때 내부 메모리의 확인 플래그가 False인 경우, 제어 콘트롤러(205)에 기동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로터리 스위치(144)가 ACC 포지션으로 되었을 때 내부 메모리의 확인 플래그가 True인 경우에, 제어 콘트롤러(205)에 기동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45)은, 오퍼레이터는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에 동의할 필요가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45)은, 오퍼레이터가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한 후, 엔진(121)을 기동 가능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도 7에 나타낸 주의사항 확인 화면(D13)에, 확인 버튼에 더하여 부동의(不同意) 버튼을 표시시킨다. 모니터 콘트롤러(204)는, 압하된 버튼의 정보를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에 송신한다. 압하된 버튼이 확인 버튼인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엔진(121)의 시동을 허가한다. 이에 대하여, 압하된 버튼이 부동의 버튼인 경우,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제2 내부 네트워크(N2)를 통하여 주의사항의 송신원의 컴포넌트에,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에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는 동작을 정지하고, 충돌 경감 기능을 실현하지 않게 된다.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는, 주변 감시 컴포넌트(209)의 정지를 확인하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에 확인 플래그를 True로 재기입하는 지시를 출력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가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한 후, 엔진(121)을 기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유압 셔블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기계(100)는, 덤프 트럭, 휠로더, 모터 그레이더 등의 다른 작업 기계라도 된다.
<컴퓨터 구성>
도 8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이다.
전술한 제어 시스템(145)이 구비하는 각 기기(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203), 모니터 콘트롤러(204), 제어 콘트롤러(205) 등)는, 컴퓨터(900)에 실장된다. 컴퓨터(900)는, 프로세서(910), 메인메모리(930), 스토리지(950), 인터페이스(970)를 구비한다. 전술한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스토리지(950)에 기억되어 있다. 프로세서(910)는, 프로그램을 스토리지(950)로부터 판독하여 메인메모리(930)에 전개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프로세서(910)는, 프로그램에 따라, 전술한 각 기억부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메인메모리(930)에 확보한다. 프로세서(910)의 예로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들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900)에 발휘시키는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은, 스토리지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 또는 다른 장치에 구현된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에 의해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컴퓨터(900)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또는 상기 구성 대신에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의 커스텀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를 구비해도 된다. PLD의 예로서는, PAL(Programmable Array Logic), GAL(Generic Array Logic),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집적 회로도, 프로세서의 일례에 포함된다.
스토리지(950)의 예로서는, 자기디스크, 광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반도체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스토리지(950)는, 컴퓨터(900)의 버스에 직접 접속된 내부 미디어라도 되고, 인터페이스(970) 또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컴퓨터(900)에 접속되는 외부 미디어라도 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900)에 송신되는 경우, 송신을 받은 컴퓨터(900)가 상기 프로그램을 메인메모리(930)에 전개하고, 상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토리지(950)는, 일시적이지 않은 유형의 기억 매체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을 스토리지(950)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에 의해 실현한 것,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라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기 태양에 의하면, 작업 기계의 조작 전에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오퍼레이터에 확인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의 저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작업 기계
110: 주행체
111: 무한 궤도
112: 주행 모터
120: 선회체
121: 엔진
1211: 셀 모터
122: 유압 펌프
123: 콘트롤 밸브
124: 선회 모터
125: 연료 분사 장치
130: 작업기
131: 붐
131C: 붐 실린더
132: 암
132C: 암 실린더
133: 버킷
133C: 버킷 실린더
140: 운전실
141: 도어
1411: 록킹 액추에이터
1412: 도어 스위치
142: 운전석
143: 조작 장치
143LF: 좌측 풋 페달
143LO: 좌측 조작 레버
143LT: 좌측 주행 레버
143RF: 우측 풋 페달
143RO: 우측 조작 레버
143RT: 우측 주행 레버
144: 로터리 스위치
145: 제어 시스템
145D: 터치패널
201: 전원부
202: 스타터 신호 유닛
203: 게이트웨이 기능 콘트롤러
204: 모니터 콘트롤러
205: 제어 콘트롤러
206: 엔진 콘트롤러
207: 광역통신 콘트롤러
300: 오퍼레이터 단말기
500: 서버 장치
900: 컴퓨터
910: 프로세서
930: 메인메모리
950: 스토리지
970: 인터페이스

Claims (12)

  1. 동력원과, 소정의 부가 기능을 실현하는 부가 기능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제시하는 제시부와,
    오퍼레이터가 상기 주의사항을 확인한 후에, 상기 동력원을 기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동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작업 기계에 구비되는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주변의 장애물을 검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장애물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작업기와,
    상기 작업기를 구동시키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작업기 제어 장치를구비하고,
    상기 기동 제어부는,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주의사항을 확인한 후에, 상기 작업기 제어 장치를 기동 가능하게 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시부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패턴을 더 제시하고,
    상기 기동 제어부는,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주의사항 및 상기 조작 패턴을 확인한 후에, 상기 동력원을 기동 가능하게 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를 인증하는 인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시부는, 상기 오퍼레이터의 인증 후에, 상기 주의사항을 제시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동력원을 제어하는 동력원 제어부와,
    상기 동력원 제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동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동 제어부는,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주의사항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시동 스위치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동력원 제어부를 가동(稼動)시키고,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주의사항을 확인하기 전에 상기 시동 스위치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동력원 제어부를 가동시키지 않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주의사항을 모니터에 표시시키고, 상기 모니터에 대한 입력에 의해 상기 주의사항이 확인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주의사항을 음성 출력시키고, 음성 인식에 의해 상기 주의사항이 확인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10. 동력원과, 소정의 부가 기능을 실현하는 부가 기능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으로서,
    상기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나타내는 단계;
    오퍼레이터에 의해 상기 주의사항이 확인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의사항이 확인된 것으로 판정한 후에, 상기 동력원을 기동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11. 동력원;
    상기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작업기;
    상기 작업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
    소정의 부가 기능을 실현하는 부가 기능부;
    상기 부가 기능에 관한 주의사항을 표시하는 모니터; 및
    오퍼레이터가 상기 주의사항을 확인한 후에, 상기 동력원을 기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동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패턴을 더 제시하고,
    상기 기동 제어부는,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주의사항 및 상기 조작 패턴을 확인한 후에, 상기 동력원을 기동 가능하게 하는,
    작업 기계.
KR1020247007550A 2021-09-30 2022-09-28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및 작업 기계 KR202400452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61103A JP2023050808A (ja) 2021-09-30 2021-09-30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作業機械の起動方法および作業機械
JPJP-P-2021-161103 2021-09-30
PCT/JP2022/036081 WO2023054432A1 (ja) 2021-09-30 2022-09-28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作業機械の起動方法および作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268A true KR20240045268A (ko) 2024-04-05

Family

ID=8578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550A KR20240045268A (ko) 2021-09-30 2022-09-28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및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3050808A (ko)
KR (1) KR20240045268A (ko)
CN (1) CN118020286A (ko)
DE (1) DE112022003606T5 (ko)
WO (1) WO202305443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4736A (ja) 2019-07-12 2021-02-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711A (ja) * 2002-09-04 2004-04-02 Komatsu Ltd レバーの操作パターン切換装置
JP6325814B2 (ja) * 2013-12-26 2018-05-16 株式会社安藤・間 車両系建設機械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JP2015189439A (ja) * 2014-03-28 2015-11-02 ヤンマー株式会社 農作業車両
WO2019111600A1 (ja) * 2017-12-06 2019-06-13 新東工業株式会社 産業機械起動制御システム、起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53595B2 (ja) * 2019-03-26 2022-10-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21042548A (ja) * 2019-09-09 2021-03-18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建設機械
EP3916161B1 (en) * 2019-09-30 2024-04-1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rk machine
CN112612281A (zh) * 2020-12-24 2021-04-0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的泊车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4736A (ja) 2019-07-12 2021-02-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50808A (ja) 2023-04-11
CN118020286A (zh) 2024-05-10
DE112022003606T5 (de) 2024-06-06
WO2023054432A1 (ja)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232B1 (ko) 작업 기계
KR20220140610A (ko) 작업 기계
JP2020158997A (ja) 作業機械
WO2023054432A1 (ja)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作業機械の起動方法および作業機械
JP2001140286A (ja) 建設機械の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5117448B2 (ja) 建設機械の盗難防止システム
WO2023054470A1 (ja)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作業機械の起動方法および作業機械
JP6938279B2 (ja) 作業機の自動走行システム
US20240125090A1 (en) Work machine start-up system and work machine start-up method
WO2022209873A1 (ja)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起動方法
WO2022209897A1 (ja)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WO2023054427A1 (ja)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起動方法
WO2023054245A1 (ja) 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方法
WO2023054171A1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の停止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エンジンの停止方法
JP2021031854A (ja) 作業機
JP7278851B2 (ja) 建設機械の走行制御装置及び建設機械
WO2024090225A1 (ja) 操作状態切替装置、作業機械および操作状態切替システム
JP2022146688A (ja) ショベル
JP2023139409A (ja) 作業機械
CN117858992A (zh) 作业机械以及作业机械的远程操作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