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399A - 사료 이송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이송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399A
KR20240037399A KR1020220115426A KR20220115426A KR20240037399A KR 20240037399 A KR20240037399 A KR 20240037399A KR 1020220115426 A KR1020220115426 A KR 1020220115426A KR 20220115426 A KR20220115426 A KR 20220115426A KR 20240037399 A KR20240037399 A KR 20240037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housing
tension
transfer member
drive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운
Original Assignee
안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운 filed Critical 안용운
Priority to KR102022011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399A/ko
Publication of KR2024003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86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 B65G2812/0287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02881Scraper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료 저장고와 사료 급이기를 따라 연장된 이송 관로의 내부에서 이송 관로를 통해 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의 텐션이 유지되고 사료 이송이 안정화된다.
이로 인해, 이송부재의 디스크가 정위치되어 이송 관로를 따라 사료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디스크의 파손 및 분리가 방지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사료 이송 구동 장치 {FEED TRANSFER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료 이송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료 저장고와 사료 급이기를 따라 연장된 이송 관로의 내부에서 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의 이동을 위한 사료 이송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이나 양돈장 및 우사 등과 같이 대량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에는 먹이를 일률적이고도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와이어에 일정한 간격으로 디스크가 고정되고, 와이어가 사료이송관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디스크가 사료를 이송시키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즉, 사료이송관은 사료탱크를 기점으로 축사 내부를 따라 이어지도록 배관되어 다시 사료탱크까지 연결되는 사이클 구조를 갖는다.
또한, 사료이송관의 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디스크의 구동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은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디스크가 사료탱크를 통과하면서 사료를 끌고 가게 되고, 사료이송관을 따라 사료가 이송되어 각각의 사료 급이기로 공급된다.
이렇게, 사료 이송관을 따라 이송된 사료는 대부분 각각의 사료 급이기로 배출되지만, 일부 사료가 그대로 이끌려 이송된다.
이에 따라, 구동장치 측으로 사료가 퇴적되어 구동장치에 기계적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는 사료 이송관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되는데, 와이어의 텐션이 저하될 경우 사료이송관 내에서 디스크가 정위치되지 못하며, 사료 이송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349088 B1 (2002.08.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료 저장고와 사료 급이기를 따라 연장된 이송 관로의 내부에서 이송 관로를 통해 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의 텐션이 유지되고 사료 이송이 안정화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이송 구동 장치는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 관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동시 사료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디스크가 구비된 이송부재; 이송 관로가 관통되도록 연결된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구동유닛에 장착되어 회전 동력 전달시 회전되며, 이송부재의 디스크가 연결된 구동 풀리; 하우징 내부에서 구동 풀리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송부재가 연결된 종동 풀리;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종동 풀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종동 풀리가 어느 한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부재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 유닛; 및 하우징의 내외부로 관통되고, 텐션 유닛에 연결되어 종동 풀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입구측 이송 관로와 출구측 이송 관로가 반대면에 각기 형성되며, 구동 풀리의 경우 출구측 이송 관로에 가깝게 배치되고, 종동 풀리의 경우 입구측 이송 관로에 가깝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은 바닥면이 외벽면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며, 입구측 이송 관로가 경사진 바닥면의 상측에 연결되고, 출구측 이송 관로가 경사진 바닥면의 하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입구측 이송 관로의 연결 부위로부터 출구측 이송 관로를 통해 퇴출되는 이송부재의 이동경로 주변으로 연장된 가이드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동 풀리는 텐션 유닛을 매개로 하우징의 바닥면이 경사진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 유닛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동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며, 감속기의 경우 외벽면의 외측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경우 외벽면의 외측에서 브라켓 판넬을 매개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 풀리는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 유닛에 장착되며 이송부재가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와, 회전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송부재의 디스크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부재의 디스크는 이송부재에 결합된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로 구성되고, 걸림 돌기는 디스크의 날개부가 접촉되는 한 쌍의 돌기부와 한 쌍의 돌기부를 연결하며 디스크의 몸체부가 접촉되는 걸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크와 걸림 돌기는 구동 풀리의 회전시, 디스크의 몸체부와 날개부가 각각 걸림 돌기의 걸림부와 돌기부에 동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텐션 유닛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가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종동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 및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부에 연결되어 이동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는 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동부는 몸체부에 종동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부와 타측부에 한 쌍의 가이드부가 관통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텐션부는 길이가 축소되도록 구성되고, 일단이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부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타측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에는 고정기구가 관통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며, 고정기구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연장되고 체결부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며 이동부의 일측부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부의 일측부에는 고정기구의 끝단이 삽입되어 자유회전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부는 구동 풀리와 가깝게 위치된 상태에서 텐션부에 의해 구동 풀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송부재의 텐션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부재의 텐션 상태를 체크하는 센싱부; 및 센싱부를 통해 이송부재의 텐션이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면, 작업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싱부는 하우징에 내부에서 종동 풀리가 텐션유닛에 의해 최대 위치로 이동시 접촉되도록 설치된 제1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종동 풀리가 제1 감지센서에 접촉시 텐션이 저하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부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 구간에서 이송부재의 하측에 마련되어 이송부재의 처짐을 확인하는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사료 이송 구동 장치는 사료 저장고와 사료 급이기를 따라 연장된 이송 관로의 내부에서 이송 관로를 통해 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의 텐션이 유지되고 사료 이송이 안정화된다.
이로 인해, 이송부재의 디스크가 정위치되어 이송 관로를 따라 사료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디스크의 파손 및 분리가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이송 라인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이송 구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이송 구동 장치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이송 구동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이송 구동 장치의 구동 풀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이송 구동 장치의 이송부재와 구동 풀리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 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이송 구동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이송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이송 구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도 3은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이송 구동 장치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이송 구동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이송 구동 장치의 구동 풀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이송 구동 장치의 이송부재와 구동 풀리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이송 구동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 관로(T)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동시 사료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디스크(110)가 구비된 이송부재(100); 이송 관로(T)가 관통되도록 연결된 하우징(200); 하우징(200)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300);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고, 구동유닛에 장착되어 회전 동력 전달시 회전되며,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가 연결된 구동 풀리(400); 하우징(200) 내부에서 구동 풀리(40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송부재(100)가 연결된 종동 풀리(500);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며, 종동 풀리(5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종동 풀리(500)가 어느 한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 유닛(600); 및 하우징(200)의 내외부로 관통되고, 텐션 유닛(600)에 연결되어 종동 풀리(50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고정기구(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료 이송 구동 장치는 이송 관로(T)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이송 관로(T)를 따라 이송 부재가 이동되면서 사료 탱크, 사료 급이기를 통과하여 사료를 이송시킨다.
즉,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사료 이송 구동 장치(1000)에 의해 이송부재(100)가 이송 관로(T)를 따라 이동되면, 이송부재(100)에 구비된 디스크(110)가 사료 탱크(2000)에서 공급된 사료를 끌고 이동하여 사료 급이기(3000)에 제공한다.
다만, 이송부재(100)는 와이어와 같은 텐션이 있는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사용될 경우 텐션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송 관로(T) 내에서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에 끌려 이동되는 사료는 사료 급입기(3000)에서 모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사료가 계속적으로 이동되어 이송부재(100)를 이동시키는 구동계 측에 사료가 유통될 수 있다. 이러한 사료는 계속적으로 퇴적시 구동계 부품의 손상이 발생되며, 작업자가 직접 퇴적된 사료를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계인 사료 이송 구동 장치에서 이송 관로(T)가 관통된 하우징(200) 내부에 구동 풀리(400), 종동 풀리(500), 텐션 유닛(600)이 마련됨으로써 이송 관로(T)를 따라 이송부재(100)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되고, 관리도 단순화된다.
상세하게, 하우징(200)에는 이송 관로(T)가 관통되어, 이송 관로(T)에서 이동되는 디스크(110)가 구비된 이송부재(100)가 진입된다.
또한, 구동 유닛(300)이 하우징(200)에 설치되며,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이송부재(100)가 연결되는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가 마련된다. 여기서 구동 풀리(400)는 구동 유닛(300)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되며, 종동 풀리(500)는 구동 풀리(40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동 풀리(4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부재(100)의 꼬임이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하우징(200) 내부에 텐션 유닛(600)이 구비되며, 텐션 유닛(600)은 종동 풀리(500)가 하우징(200) 내부에서 슬리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동 풀리(500)가 텐션 유닛(600)에 의해 구동 풀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에 연결된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종동 풀리(500)를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유지되는 위치로 이동시, 텐션 유닛(600)이 종동 풀리(500)를 이동시키는 힘보다 강한 힘을 가해야 한다. 하지만, 사료를 대용량으로 이동시켜야 할 경우,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매우 강하게 설계됨에 따라 작업자가 종동 풀리(500)를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유지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우징(200)의 내외부로 관통되고, 텐션 유닛(600)에 연결되어 종동 풀리(50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고정기구(700)를 마련한다. 즉, 고정기구(700)는 텐션 유닛(600)에서 발생되는 힘보다 강한 힘을 발생시켜 종동 풀리(5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기구(700)를 통해 이송부재(100)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종동 풀리(500)를 위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이송 구동 장치는 구동 유닛(300)의 동작시 구동 풀리(400)가 회전되면서 디스크(110)가 구비된 이송부재(100)를 이동시키고, 종동 풀리(500)에 의해 이송부재(100)가 정렬되면서 이송 관로(T)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종동 풀리(500)는 텐션 유닛(600)에 의한 장력에 의해 구동 풀리(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송부재(100)의 텐션을 유지시킴으로써, 이송부재(100)의 처짐이 방지되어 디스크(110)가 이송 관로(T)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기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에는 입구측 이송 관로(T1)와 출구측 이송 관로(T2)가 반대면에 각기 형성되며, 구동 풀리(400)의 경우 출구측 이송 관로(T2)에 가깝게 배치되고, 종동 풀리(500)의 경우 입구측 이송 관로(T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 관로(T)는 입구측 이송 관로(T1)와 출구측 이송 관로(T2)로 구분되고 각각의 이송 관로(T)가 하우징(200)에 관통되도록 연결되며, 입구측 이송 관로(T1)와 출구측 이송 관로(T2)는 하우징(200)에서 서로 반대편에 각기 연결됨으로써 이송부재(100)가 하우징(200)의 내부에 진입된 후 퇴출시 간섭에 의한 꼬임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200) 내부에서 구동 풀리(400)는 출구측 이송 관로(T2)에 가깝게 배치되고, 종동 풀리(500)는 입구측 이송 관로(T1)에 가깝게 배치되며, 이송부재(100)는 입구측 이송 관로(T1)에 진입되어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후 출구측 이송 관로(T2)에 퇴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이송부재(100)는 입구측 이송 관로(T1)에 진입된 후 구동 풀리(400)에 의해 이동방향이 전환된 후 종동 풀리(500)에 의해 이동방향이 재전환되어 출구측 이송 관로(T2)에 이동됨으로써, 하우징(200) 내부에서 이송부재(100)의 꼬임이 방지되어 원활히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200)은 바닥면(210)이 외벽면(220)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며, 입구측 이송 관로(T1)가 경사진 바닥면(210)의 상측에 연결되고, 출구측 이송 관로(T2)가 경사진 바닥면(21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200)은 바닥면(210)이 외벽면(220)으로부터 둔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리막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입구측 이송 관로(T1)를 통해 이송부재(100)가 진입됨에 따라 잔여 사료가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면, 바닥면(210)의 경사면을 타고 하측으로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측 이송 관로(T1)는 경사진 바닥면(210)의 상측에 연결되고, 출구측 이송 관로(T2)는 경사진 바닥면(21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에 딸려온 잔여 사료는 입구측 이송 관로(T1)를 통해 진입시 바닥면(210)의 경사면 상측에 낙하되어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송부재(100)가 출구측 이송 관로(T2)를 통해 퇴출시 바닥면(210)의 하측에 포집된 잔여 사료를 끌고 나가게 된다.
이를 통해, 하우징(200)에는 잔여 사료가 퇴적됨에 의한 오염 및 구동계 부품의 오류가 방지되고, 작업자가 하우징(200) 내부에 사료가 퇴적됨에 따른 청소 작업을 하지 않아도 내부가 관리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입구측 이송 관로(T1)의 연결 부위로부터 출구측 이송 관로(T2)를 통해 퇴출되는 이송부재(100)의 이동경로 주변으로 연장된 가이드파이프(230)가 구비된다.
즉, 가이드파이프(230)는 입구측 이송 관로(T1)와 연통되며, 입구측 이송 관로(T1)를 통해 진입된 이송부재(1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특히, 가이드파이프(230)의 경우 입구측 이송 관로(T1)에서부터 출구측 이송 관로(T2)를 통해 퇴출되는 이송부재(100)의 이동경로 주변으로 연장됨으로써,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에 끌려온 잔여 사료가 출구측 이송 관로(T2)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파이프(230)는 하우징(200)의 바닥면(210) 상측에서 출구측 이송 관로(T2)로 이동되는 이송부재(100) 상측까지 연장됨으로써,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를 통해 끌려온 잔여 사료가 바닥면(210)의 경사면을 타고 출구측 이송 관로(T2) 측으로 낙하된다. 또한, 출구측 이송 관로(T2)의 주변으로 낙하된 잔여 사료는 이송부재(100)가 출구측 이송 관로(T2)를 통해 퇴출되면서 디스크(110)가 잔여 사료를 다시 끌고 나가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파이프(230)를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서 잔여 사료가 포집 및 배출되는 범위가 축소되어 잔여 사료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종동 풀리(500)는 텐션 유닛(600)을 매개로 하우징(200)의 바닥면(210)이 경사진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종동 풀리(500)는 바닥면(210)이 경사진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종동 풀리(500)에 연결된 이송부재(100)가 하우징(200)의 바닥면(210)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재(100)는 종동 풀리(5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출구측 이송 관로(T2)로 이동시, 하우징(200)의 바닥면(210) 하측에 포집되는 잔여 사료를 원활히 끌고 나갈 수 있다.
또한, 종동 풀리(500)는 텐션 유닛(600)을 통해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텐션 유닛(60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시 가이드파이프(230)를 포함한 다른 부품에 간섭이 회피된다.
한편, 구동 유닛(300)은 연결부재(330)를 매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동모터(310)와 감속기(320)로 구성되며, 감속기(320)의 경우 외벽면(220)의 외측에 설치되고, 구동모터(310)의 경우 외벽면(220)의 외측에서 브라켓 판넬(250)을 매개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200)의 외벽면(220)에는 외측으로 브라켓 판넬(250)이 구비됨으로써, 하우징(200)의 외측에서 구동모터(3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 판넬(250)은 하우징(200)의 외벽면(220)에 고정시 구동모터(310)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진동에 대해 강건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310)와 감속기(3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0)는 벨트가 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310)에서 발생된 회전 동력이 연결부재(330)를 통해 감속기(320)로 전달된 후 감속기(320)에서 조절된 회전 토크로 구동 풀리(400)가 회전 동작되도록 한다.
특히, 구동모터(310)와 감속기(320)는 하우징(200)의 외벽면(220)에서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10)와 감속기(3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30)의 연결 상태가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료를 대용량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구동모터(310)와 감속기(320)의 사이즈가 증대되는데, 구동모터(310)와 감속기(320)를 전후방향으로 배치할 경우 설치 공간이 과도하게 요구된다.
또한, 구동모터(310)와 감속기(320)를 상하 배치함에 따라, 구동모터(310)의 장착 위치가 낮게 배치되어 구조적 안정화가 용이하다.
이처럼, 감속기(320)가 하우징(200)의 외벽면(2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외벽면(220)의 내측에 마련된 구동 풀리(400)와 연결이 용이하고, 구동모터(310)가 감속기(3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연결부재(330)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사료를 대용량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10)와 감속기(320)의 장착 상태가 안정화된다.
한편,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풀리(400)는 하우징(2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 유닛(300)에 장착되며 이송부재(100)가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410)와, 회전 플레이트(41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 돌기(420)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풀리(400)는 회전 플레이트(410)와 걸림 돌기(420)로 구성되며, 회전 플레이트(410)가 구동 유닛(300)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시 다수의 걸림 돌기(420)에 체결된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가 함께 이동됨으로써 이송부재(100)가 이동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는 이송부재(100)에 결합된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112)로 구성되고, 걸림 돌기(420)는 디스크(110)의 날개부(112)가 접촉되는 한 쌍의 돌기부(421)와 한 쌍의 돌기부(421)를 연결하며 디스크(110)의 몸체부(111)가 접촉되는 걸림부(422)로 구성된다.
즉, 이송부재(100)에는 디스크(110)가 결합되며, 디스크(110)는 몸체부(111)와 날개부(112)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11)는 이송부재(100)에 결합되어 이송부재(100)와 함께 이동되고, 날개부(112)는 몸체부(111)에서 연장되어 걸림 돌기(420)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구동 풀리(400)의 걸림 돌기(420)는 한 쌍의 날개부(112)와 한 쌍의 날개부(112)를 연결하는 걸림부(422)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100)는 몸체부(111)가 걸림 돌기(420)를 이루는 한 쌍의 돌기부(421) 사이에 삽입되어 걸림부(422)에 접촉되고, 날개부(112)가 한 쌍의 돌기부(421)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구동 풀리(400)의 걸림 돌기(420)와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가 접촉되는 면적이 증대되어, 디스크(110)의 어느 한 부분으로 힘이 집중됨에 따른 파손이 방지된다.
즉, 디스크(110)와 걸림 돌기(420)는 구동 풀리(400)의 회전시, 디스크(110)의 몸체부(111)와 날개부(112)가 각각 걸림 돌기(420)의 걸림부(422)와 돌기부(421)에 동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에 대한 걸림 돌기(420)의 가압면이 확보되어, 구동 풀리(400)의 회전시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 돌기(420)의 돌기부(421)가 디스크(110)의 날개부(112)에 접촉되고, 걸림 돌기(420)의 걸림부(422)가 디스크(110)의 몸체부(111)에 접촉되어 접촉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디스크(110)에 작용되는 힘이 분산되어 디스크(110)의 내구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유닛(600)은, 하우징(200)에 고정되고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가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610); 종동 풀리(5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이드부(6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620); 및 하우징(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부(620)에 연결되어 이동부(620)가 가이드부(610)를 따라 이동되도록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부(630);를 포함한다.
이렇게, 텐션 유닛(600)은 가이드부(610), 이동부(620), 텐션부(63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부(610)는 하우징(200)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610)에는 이동부(6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부(620)에는 종동 풀리(5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종동 풀리(500)의 회전을 통해 이송부재(100)가 이동되도록 하며 이동부(620)가 구동 풀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부(610)를 따라 이동시 종동 풀리(500)가 구동 풀리(40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에 연결된 이송부재(100)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620)는 일측부(621)와 타측부(622)에 한 쌍의 가이드부(610)가 관통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이동부(620)가 가이드부(610)에 대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직선 운동을 제외한 회전 운동이 제한되어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620)는 하우징(200)에 설치된 텐션부(630)에 연결되며, 텐션부(630)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부(620)가 구동 풀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텐션부(630)는 길이가 축소되도록 구성되고, 일단이 하우징(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부(620)의 일측부(621)를 관통하여 타측부(62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텐션부(630)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620)를 하우징(200)에 연결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텐션부(630)는 압축 스프링 외에 유압식 또는 모터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에 연결된 이송부재(100)는 텐션부(630)의 탄성력이 작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620)에 의해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됨에 따라 이송부재(100)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즉, 이동부(620)는 구동 풀리(400)와 가깝게 위치된 상태에서 텐션부(630)에 의해 구동 풀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동 풀리(500)는 이동부(620)에 장착됨에 따라 이동부(620)가 가이드부(610)를 따라 이동시 구동 풀리(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에 연결된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이동부(620)는 하우징(200)에 고정된 텐션부(630)에 연결되고, 텐션부(63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부(610)를 따라 이동되도록 계속적으로 힘을 전달받음으로써, 이동부(620)와 함께 종동 풀리(500)가 구동 풀리(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에 감긴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유지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200)에는 고정기구(700)가 관통되는 체결부(240)가 구비되며, 고정기구(700)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연장되고 체결부(240)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며 이동부(620)의 일측부(621)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체결부(240)는 너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기구(700)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기구(700)의 경우 하우징(200)과 체결부(240)에 나사 체결되면서 하우징(200) 내부로 삽입시 이동부(620)의 일측부(621)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동부(620)의 일측부(621)에는 고정기구(700)의 끝단이 삽입되어 자유회전되는 삽입부(623)가 형성됨으로써, 고정기구(700)가 삽입부(62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고정기구(700)의 이동시 이동부(62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기구(700)를 나사 회전시켜 하우징(200)과 체결부(240)를 관통하여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시킬 경우, 고정기구(700)가 이동부(620)의 일측부(6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측부(621)를 밀어줌에 따라 일측부(62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고려한 것으로, 이송부재(100)를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에 연결시, 텐션부(630)의 힘보다 강한 힘으로 종동풀리를 이동시켜야 한다. 하지만 대용량 사료를 이송시키는 장치일 경우 이송부재(100)의 장력이 매우 강하게 설계됨에 따라 작업자의 자력으로 종동 풀리(500)의 위치를 이동시키 어렵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기구(700)를 회전시키면, 고정기구(700)가 체결부(240)에서 나사 회전되면서 이동됨으로써, 텐션부(630)보다 강한 힘으로 종동 풀리(500)의 위치를 쉽게 변경 가능함에 따라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에 이송부재(100)를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부재(100)의 텐션 상태를 체크하는 센싱부(800); 및 센싱부(800)를 통해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면, 작업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고부(900);를 더 포함한다.
센싱부(800)는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동 풀리(500)가 최초 위치에서 텐션 유닛(600)에 의해 계속적으로 이동되어 접촉되거나,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저하되어 처짐시 이송부재(100)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부(800)는 하우징(200)에 내부에서 종동 풀리(500)가 텐션 유닛(600)에 의해 최대 위치로 이동시 접촉되도록 설치된 제1 감지센서(810)와, 구동 풀리(400)와 종동 풀리(500) 사이 구간에서 이송부재(1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이송부재(100)의 처짐을 확인하는 제2 감지센서(8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감지센서(810)와 제2 감지센서(820)는 하우징(200) 내부에서 어느 하나만 마련되거나, 모두 마련될 수 있으며, 종동 풀리(500)의 위치 또는 이송부재(100)의 처짐량을 체크하여 이송부재(100)의 텐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이송부재(100)의 내구도가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감지센서(810) 또는 제2 감지센서(820)를 통해, 종동 풀리(500)의 접촉 여부 또는 이송부재(100)의 접촉 여부에 따른 내구 저하가 확인되면, 경고부(900)를 통해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송출함으로써, 작업자가 이송부재(100)의 교체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사료 이송 구동 장치는 사료 저장고와 사료 급이기를 따라 연장된 이송 관로(T)의 내부에서 이송 관로(T)를 통해 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00)의 텐션이 유지되고 사료 이송이 안정화된다.
이로 인해, 이송부재(100)의 디스크(110)가 정위치되어 이송 관로(T)를 따라 사료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디스크(110)의 파손 및 분리가 방지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이송부재 110:디스크
111:몸체부 112:날개부
200:하우징 210:바닥면
220:외벽면 230:가이드파이프
240:체결부 250:브라켓 판넬
300:구동 유닛 310:구동모터
320:감속기 330:연결부재
400:구동 풀리 410:회전 플레이트
420:걸림 돌기 421:돌기부
422:걸림부 500:종동 풀리
600:텐션 유닛 610:가이드부
620:이동부 621:일측부
622:타측부 623:삽입부
630:텐션부 700:고정기구
800:센싱부 810:제1 감지센서
820:제2 감지센서 900:경고부
T:이송 관로 T1:입구측 이송 관로
T2:출구측 이송 관로

Claims (18)

  1.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 관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동시 사료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디스크가 구비된 이송부재;
    이송 관로가 관통되도록 연결된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구동유닛에 장착되어 회전 동력 전달시 회전되며, 이송부재의 디스크가 연결된 구동 풀리;
    하우징 내부에서 구동 풀리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송부재가 연결된 종동 풀리;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종동 풀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종동 풀리가 어느 한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부재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 유닛; 및
    하우징의 내외부로 관통되고, 텐션 유닛에 연결되어 종동 풀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입구측 이송 관로와 출구측 이송 관로가 반대면에 각기 형성되며, 구동 풀리의 경우 출구측 이송 관로에 가깝게 배치되고, 종동 풀리의 경우 입구측 이송 관로에 가깝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은 바닥면이 외벽면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며, 입구측 이송 관로가 경사진 바닥면의 상측에 연결되고, 출구측 이송 관로가 경사진 바닥면의 하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는 입구측 이송 관로의 연결 부위로부터 출구측 이송 관로를 통해 퇴출되는 이송부재의 이동경로 주변으로 연장된 가이드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종동 풀리는 텐션 유닛을 매개로 하우징의 바닥면이 경사진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동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며,
    감속기의 경우 외벽면의 외측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경우 외벽면의 외측에서 브라켓 판넬을 매개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 풀리는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 유닛에 장착되며 이송부재가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와, 회전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송부재의 디스크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이송부재의 디스크는 이송부재에 결합된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로 구성되고,
    걸림 돌기는 디스크의 날개부가 접촉되는 한 쌍의 돌기부와 한 쌍의 돌기부를 연결하며 디스크의 몸체부가 접촉되는 걸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디스크와 걸림 돌기는 구동 풀리의 회전시, 디스크의 몸체부와 날개부가 각각 걸림 돌기의 걸림부와 돌기부에 동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텐션 유닛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가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종동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 및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부에 연결되어 이동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동부는 몸체부에 종동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부와 타측부에 한 쌍의 가이드부가 관통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텐션부는 길이가 축소되도록 구성되고, 일단이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부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타측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고정기구가 관통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며,
    고정기구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연장되고 체결부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며 이동부의 일측부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이동부의 일측부에는 고정기구의 끝단이 삽입되어 자유회전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이동부는 구동 풀리와 가깝게 위치된 상태에서 텐션부에 의해 구동 풀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송부재의 텐션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부재의 텐션 상태를 체크하는 센싱부; 및
    센싱부를 통해 이송부재의 텐션이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면, 작업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센싱부는 하우징에 내부에서 종동 풀리가 텐션유닛에 의해 최대 위치로 이동시 접촉되도록 설치된 제1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종동 풀리가 제1 감지센서에 접촉시 텐션이 저하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센서부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 구간에서 이송부재의 하측에 마련되어 이송부재의 처짐을 확인하는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이송 구동 장치.
KR1020220115426A 2022-09-14 2022-09-14 사료 이송 구동 장치 KR20240037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426A KR20240037399A (ko) 2022-09-14 2022-09-14 사료 이송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426A KR20240037399A (ko) 2022-09-14 2022-09-14 사료 이송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399A true KR20240037399A (ko) 2024-03-22

Family

ID=9048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426A KR20240037399A (ko) 2022-09-14 2022-09-14 사료 이송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3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088B1 (ko) 2000-05-12 2002-08-14 정훈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088B1 (ko) 2000-05-12 2002-08-14 정훈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852B1 (ko) 사료 반송 장치
EP2837591B1 (en) Creel threader and method of use
KR20240037399A (ko) 사료 이송 구동 장치
JP2017193443A (ja) 自動ワインダの給糸ボビン装着装置及びその装着方法
KR20240037400A (ko) 사료 이송 구동 장치
CN106040601A (zh) 一种用于螺纹攻丝生产线的自动检料装置和检料方法
EP0272335A1 (en) Automatic feeding system for a plurality of injection moulding machines
CN210126936U (zh) 振动送料装置
CN111115114A (zh) 一种反应管自动装载系统
CN109466899B (zh) 一种带进料速度控制功能的进料装置及其方法
JP2024512920A (ja) ケーブルスタッカ
CN103692276B (zh) 一种制作水表铜接头用送料机构的排序装置
CN213678979U (zh) 家具板材上料装置
KR101375235B1 (ko) 파이프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공급방법
JP2002000103A (ja) 飼料搬送装置
CN207645382U (zh) 燃料输送系统
KR200317682Y1 (ko) 사료공급용 컨베어체인의 구동장치
KR20030079646A (ko) 사료 반송 장치 및 디스크 케이블 장력 부여 기구
KR19990006799U (ko) 가축사료 제한 급이시스템의 2차 안전장치
CN218193563U (zh) 工业机器人关节安装设备及其螺丝供料装置
CN218538523U (zh) 一种上料机的上支架
KR200496284Y1 (ko)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CN219309909U (zh) 一种管道上料设备
CN220499978U (zh) 一种自动加料机构和3d打印装置
CN216944829U (zh) 一种上料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