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84Y1 -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84Y1
KR200496284Y1 KR2020200004258U KR20200004258U KR200496284Y1 KR 200496284 Y1 KR200496284 Y1 KR 200496284Y1 KR 2020200004258 U KR2020200004258 U KR 2020200004258U KR 20200004258 U KR20200004258 U KR 20200004258U KR 200496284 Y1 KR200496284 Y1 KR 200496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pper
control plate
spacing contro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232U (ko
Inventor
안용운
Original Assignee
안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운 filed Critical 안용운
Priority to KR2020200004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8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01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 A01K5/002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with mixing or shredding element rotating on horizontal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퍼부(100)의 경사판(110)에 간격조절판(600)이 결합되고, 간격조절판(6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이동시켜서 스크루(500)와의 사이간격(C11)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간격조절판(600)의 상하방향 위치이동은 호퍼부(100)에 구비된 도어(800)를 개방시킨 후 진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SCREW HOPPER APPARATUS FOR FEEDING SYSTEM}
본 고안은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퍼부의 경사판과 스크루와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호퍼부의 경사판에 간격조절판이 설치된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양계장이나 양돈장 및 우사 등과 같이 대량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는 자동화된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을 이용해서 가축의 사료를 일률적이고도 자동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자동화된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은, 사료가 이동하는 이송파이프가 폐회로 라인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대용량의 사료가 저장된 사료탱크는 호퍼를 통해 이송파이프와 연결되며, 와이어(또는 체인) 및 디스크로 구성된 이송부재는 이송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이송부재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기와 연결되어서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기의 구동력으로 와이어 및 디스크로 구성된 이송부재가 이송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면, 사료탱크에서 호퍼를 통해 이송파이프로 낙하된 사료는 이송부재의 디스크에 의해 밀리면서 이송파이프를 따라 이송되고, 사료가 이송파이프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축사 내부의 먹이통으로 공급되고, 이송부재는 구동기의 작동에 의해 폐회로 라인을 따라 계속해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에는 사료공급을 위한 스크루 호퍼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크루 호퍼장치(1)는 사료를 공급받는 호퍼부(100), 상기 호퍼부(100)와 연결된 스프로킷설치부(200), 상기 스프로킷설치부(200)와 연결된 파이프부(300), 상기 스프로킷설치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400), 및 상기 스프로킷(400)의 중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호퍼부(100)쪽으로 설치된 스크루(50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호퍼부(100)는 사료가 저장된 탱크와 연결되고, 파이프부(300)는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파이프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프로킷(400)에는 와이어(11)와 함께 이송부재(10)를 구성하는 디스크(12)가 걸어진다.
따라서, 구동기의 구동력으로 와이어(11) 및 디스크(12)로 구성된 이송부재(10)가 이송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송부재(10)의 이동력이 스프로킷(400)으로 전달되면, 스프로킷(400)과 스크루(50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호퍼부(100)로 공급된 사료(P)는 호퍼부(100)의 경사판(110)을 통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스크루(500)쪽으로 낙하되고, 스크루(500)로 낙하된 사료(P)는 스크루(500)의 회전에 의해 스프로킷설치부(200)로 이동되고(도 2의 화살표 M1), 스프로킷설치부(200)로 이동된 사료는 이송부재(10)의 디스크(12)에 의해 밀리면서 파이프부(300)로 이동된 후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스크루 호퍼장치(1)는 호퍼부(100)의 경사판(110)과 스크루(500)사이의 간격(C1)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고정된 구성으로, 사료(P)의 종류에 따라 사료(P)가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또는 부족하게 공급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수분이 없거나 적은 건식 사료는 스크루(500)에 의한 이동이 용이하므로 상기 간격(C1)을 작게 조절해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대로 수분이 많이 포함된 습식 사료는 덩어리로 뭉쳐진 상태로 이동하므로 상기 간격(C1)을 크게 조절해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종래의 구조는 상기 간격(C1)이 일정하게 고정된 구조여서 사료(P)의 종류에 따라 사료(P)가 과공급되거나 또는 부족하게 공급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5068호
본 고안은, 호퍼부의 경사판에 간격조절판을 설치해서, 간격조절판의 위치이동을 통해 스크루와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로서, 이를 통해 사료를 보다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호퍼부에 도어를 설치하고, 도어를 통해 작업자가 손을 호퍼부의 내측으로 삽입시켜서 호퍼부에 설치된 간격조절판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간격조절판의 위치이동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료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판이 구비된 호퍼부; 및 상기 경사판에 결합된 간격조절판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판의 위치이동을 통해 간격조절판의 하단과 스크루와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판은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사료가 이동하는 방향쪽의 경사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판은 경사판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판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판에는 상하로 연장된 슬롯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판은 슬롯구멍을 관통해서 볼트구멍에 체결되는 볼트를 매개로 경사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판의 밑면은 회전하는 스크루와의 간섭방지를 위해 원호형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부에는 작업자의 손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호퍼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부구멍은 호퍼부에 결합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루 호퍼장치는, 호퍼부의 경사판에 간격조절판을 결합하고, 간격조절판의 상하방향 위치를 이동시켜서 스크루와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건식 사료나 또는 습식 사료에 상관없이 사료를 충분히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크루 호퍼장치는, 호퍼부에 호퍼부구멍을 형성하고, 호퍼부구멍이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으로, 도어를 조작해서 호퍼부구멍을 개방시킨 다음, 개방된 호퍼부구멍을 통해 작업자가 손을 호퍼부의 내측으로 삽입시켜서 경사판에 결합된 간격조절판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격조절판의 위치이동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루 호퍼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루 호퍼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간격조절판과 호퍼부의 경사판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호퍼부에 구비된 도어의 회전으로 호퍼부구멍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는 바,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루 호퍼장치(1)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를 공급받는 호퍼부(100), 상기 호퍼부(100)와 연결된 스프로킷설치부(200), 상기 스프로킷설치부(200)와 연결된 파이프부(300), 상기 스프로킷설치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400), 및 상기 스프로킷(400)의 중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호퍼부(100)쪽으로 설치된 스크루(50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호퍼부(100)는 사료가 저장된 탱크와 연결되고, 파이프부(300)는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파이프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프로킷(400)에는 와이어(11)와 함께 이송부재(10)를 구성하는 디스크(12)가 걸어진다.
따라서, 구동기의 구동력으로 와이어(11) 및 디스크(12)로 구성된 이송부재(10)가 이송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송부재(10)의 이동력이 스프로킷(400)으로 전달되면, 스프로킷(400)과 스크루(50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호퍼부(100)로 공급된 사료(P)는 호퍼부(100)의 경사판(110)을 통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스크루(500)쪽으로 낙하되고, 스크루(500)로 낙하된 사료(P)는 스크루(500)의 회전에 의해 스프로킷설치부(200)로 이동되고(도 5의 화살표 M1), 스프로킷설치부(200)로 이동된 사료는 이송부재(10)의 디스크(12)에 의해 밀리면서 파이프부(300)로 이동된 후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루 호퍼장치(1)는 호퍼부(100)의 경사판(110)에 결합된 간격조절판(600)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간격조절판(600)의 위치이동을 통해 간격조절판(600)의 하단과 스크루(500)와의 사이간격(C11)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간격조절판(600)은 스크루(500)의 회전에 의해 사료(P)가 이동하는 방향(M1)쪽의 경사판(11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경사판(110)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경사판(110)과 결합된다.
간격조절판(6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간격조절판(600)의 하단과 스크루(500)와의 사이간격(C11)이 넓어지도록 조절하면, 수분이 많이 포함된 습식 사료도 충분히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간격조절판(60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간격조절판(600)의 하단과 스크루(500)와의 사이간격(C11)이 좁아지도록 조절하면, 수분이 포함되지 않거나 소량의 수분이 포함된 건식 사료도 충분히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호퍼부(100)의 경사판(110)과 간격조절판(600)의 결합 및 간격조절판(600)의 상하방향 위치이동을 위해 경사판(110)에는 볼트구멍(120)이 형성되고, 간격조절판(600)에는 상하로 연장된 슬롯구멍(610)이 형성되며, 간격조절판(600)은 슬롯구멍(610)을 관통해서 볼트구멍(120)에 체결되는 볼트(700)를 매개로 경사판(110)에 결합된 구조가 된다.
경사판(110)에 형성된 볼트구멍(120)은 볼트(700)의 결합을 위해 정원으로 형성되고, 간격조절판(600)에 형성된 슬롯구멍(610)은 간격조절판(600)의 상하방향 위치이동을 위해 상하로 연장된 장홀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경사판(110)에 슬롯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간격조절판(600)에 볼트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볼트구멍(120)과 슬롯구멍(610)은 간격조절판(600)의 안정된 결합 및 안정된 위치이동을 위해 각각 2개 이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간격조절판(600)의 밑면은 회전하는 스크루(500)와의 간섭방지를 위해 원호형홈(6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경사판(110)에 볼트(700)를 매개로 결합된 간격조절판(600)은 작업자가 필요시 상하로 위치이동을 시킬 수 있어야 한다.
호퍼부(100)의 위쪽은 사료가 저장된 탱크측과 기밀이 유지되게 연결된 상태이므로, 간격조절판(600)의 위치이동을 위해 호퍼부(100)에는 작업자의 손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호퍼부구멍(130)이 형성되고, 호퍼부구멍(130)은 호퍼부(100)에 결합된 도어(800)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가 된다.
도어(800)는 볼트(900)를 매개로 호퍼부(100)에 결합되고, 볼트(900)의 체결력의 조절을 통해 도어(800)가 호퍼부구멍(130)을 밀폐시키도록 호퍼부(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도 3의 상태), 또는 도어(800)가 호퍼부구멍(130)을 개방시키도록 호퍼부(100)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7의 상태)
도어(800)를 회전시켜서 호퍼부구멍(130)을 개방시키고, 개방된 호퍼부구멍(130)을 통해 작업자가 손을 호퍼부(100)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다음, 볼트(700)를 조작해서 간격조절판(600)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크루 호퍼장치는, 호퍼부(100)의 경사판(110)에 간격조절판(600)을 결합하고, 간격조절판(6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이동시켜서 스크루(500)와의 사이간격(C11)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건식 사료(P)나 또는 습식 사료에 상관없이 사료를 충분히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크루 호퍼장치는, 호퍼부(100)에 호퍼부구멍(130)을 형성하고, 호퍼부구멍(130)이 도어(800)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으로, 도어(800)를 조작해서 호퍼부구멍(130)을 개방시킨 다음, 개방된 호퍼부구멍(130)을 통해 작업자가 손을 호퍼부(100)의 내측으로 삽입시켜서 경사판(110)에 결합된 간격조절판(600)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격조절판(600)의 위치이동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스크루 호퍼장치 10 - 이송부재
11 - 와이어 12 - 디스크
100 - 호퍼부 110 - 경사판
120 - 볼트구멍 130 - 호퍼부구멍
200 - 스프로킷설치부 300 - 파이프부
400 - 스프로킷 500 - 스크루
600 - 간격조절판 610 - 슬롯구멍
620 - 원호형홈 700,900 - 볼트
C11 - 간격조절판의 하단과 스크루와의 사이간격
M1 - 사료 이동방향 P - 사료

Claims (6)

  1. 사료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판이 구비된 호퍼부; 및
    상기 경사판에 결합된 간격조절판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판의 위치이동을 통해 간격조절판의 하단과 스크루와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간격조절판은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사료가 이동하는 방향쪽의 경사판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판의 밑면은 회전하는 스크루와의 간섭방지를 위해 원호형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판은 경사판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판에는 상하로 연장된 슬롯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판은 슬롯구멍을 관통해서 볼트구멍에 체결되는 볼트를 매개로 경사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에는 작업자의 손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호퍼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부구멍은 호퍼부에 결합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KR2020200004258U 2020-11-24 2020-11-24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KR200496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58U KR200496284Y1 (ko) 2020-11-24 2020-11-24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58U KR200496284Y1 (ko) 2020-11-24 2020-11-24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32U KR20220001232U (ko) 2022-05-31
KR200496284Y1 true KR200496284Y1 (ko) 2022-12-21

Family

ID=8176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258U KR200496284Y1 (ko) 2020-11-24 2020-11-24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8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858A (ja) * 1999-10-12 2001-04-17 Fujii Shokai:Kk 餌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602U (ko) * 1997-12-13 1999-07-05 안광덕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용 사료분쇄 공급호퍼
KR101495068B1 (ko) 2013-08-29 2015-02-25 주식회사 연합축산 건식 양면 사료급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858A (ja) * 1999-10-12 2001-04-17 Fujii Shokai:Kk 餌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32U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0394T2 (de) Dosiervorrichtung für Futter
KR102053809B1 (ko) 나사류 공급장치
CN105032986B (zh) 导向管正反方位检测及调整装置
KR200496284Y1 (ko) 가축사료 급이기용 스크루 호퍼장치
US2794421A (en) Conveyor type automatic feed trough
CN205529125U (zh) 一种电镀装置及连续垂直电镀生产线
CN103461144B (zh) 动物引导装置及使用该装置的饲喂系统
DE4005144A1 (de) Bogenanleger
US5265774A (en) Coal feeder with quick release cleanout door
KR101042773B1 (ko) 파종용 씨앗공급기
KR101727828B1 (ko) 사료공급용 디스크와이어의 구동장치 탄력계
CN202565914U (zh) 动物饲喂装置
JP7345168B2 (ja) 育苗容器用土供給装置
KR101869462B1 (ko) 이식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모종 이식기
US5345894A (en) Adaptor plate for shielded drop-lock adjustment on an animal feeder
KR200306173Y1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JP2002034383A (ja) 飼料定量切り出し装置
KR200400594Y1 (ko) 가축용 사료 공급장치
CN213603719U (zh) 牲畜挤奶架
US616435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or releasing a blocking caused by logs fed to a chipper through a feeding chute
CN217958396U (zh) 一种石蛙养殖喂食器
US3319832A (en) Automatic feeder gate operator
JP2574503Y2 (ja) コンバインの排藁処理装置
US2845193A (en) Traveling feed cart
GB2037559A (en) Dispensing granular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