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373A - 마사지기 - Google Patents

마사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373A
KR20240037373A KR1020247008389A KR20247008389A KR20240037373A KR 20240037373 A KR20240037373 A KR 20240037373A KR 1020247008389 A KR1020247008389 A KR 1020247008389A KR 20247008389 A KR20247008389 A KR 20247008389A KR 20240037373 A KR20240037373 A KR 2024003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kin
rotating body
massager
m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33901A external-priority patent/JP701327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24003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adapt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with light, heat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42Balls or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6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freely rotating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둘레 가장자리부를 피부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가지고, 상기 본체의 외표면은 복수의 셸편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마사지기{MASSAGE DEVICE}
본 발명은, 마사지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미용을 위한 마사지 방법으로서, 주걱이나 숟가락 등의 가장자리를 피부에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혈류나 림프의 흐름을 촉진하고, 피부의 신진 대사를 높이는 「괄사(guasha)」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마사지 방법에는, 「괄사판(板)」라고 불리는 판 모양의 마사지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괄사판의 측면, 즉,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괄사판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인체의 여러가지 부분을 마사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오목 모양으로 만곡된 윤곽을 가지는 오목 모양부, 상기 평면에서 볼 때 볼록 모양으로 만곡된 윤곽을 가지는 볼록 모양부, 및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직선 모양의 윤곽을 가지는 직선부가 조합된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많다.
또, 피부의 미용을 위한 마사지 방법으로서, 롤러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전동(轉動)시키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판 모양의 본체와, 이 본체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복수의 롤러를 가지는 마사지구(具)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의장등록 제143640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마사지구에서의 롤러의 회전축은, 괄사판의 측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체의 측면과 롤러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눌러, 괄사와 롤러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 어렵다. 즉, 특허 문헌 1의 마사지구를 이용하여 괄사와 롤러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하기 위해서는, 롤러와, 본체의 측면(즉, 둘레 가장자리부)에서의 롤러의 주변 부분을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누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마사지구에서, 복수의 롤러는, 본체의 측면에서의 오목 모양으로 만곡된 부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의 측면에서의 롤러끼리의 사이의 부분은, 이들 롤러보다도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롤러를 피부에 대고 눌렀을 때에, 본체의 측면이 피부에 접촉하기 어려워져,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의 측면이 피부에 접촉하지 않게 될 우려도 있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의 마사지구는, 롤러와 본체의 측면을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누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괄사와 롤러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 어렵다.
또, 특허 문헌 1의 마사지구는, 얼굴 등의 비교적 기복의 변화가 큰 부위를 마사지하려고 하는 경우에, 롤러를 피부에 대고 누르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괄사와 회전체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교적 기복의 변화가 큰 부위에 회전체를 용이하게 대고 누를 수 있는 마사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마사지기는, 둘레 가장자리부를 피부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가지고, 상기 본체의 외표면은 복수의 셸편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괄사와 회전체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교적 기복의 변화가 큰 부위에 회전체를 용이하게 대고 누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마사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마사지기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마사지기에서의, 오목 모양부 및 볼록 모양부의 범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마사지기에서의 본체의 세로 방향의 길이 및 가로 방향의 길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의 마사지기를, 회전체가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마사지기에서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한 회전축선의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의 마사지기를, 제1 정점(頂点), 제2 정점, 및 본체의 후단점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도록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뺨 및 눈가의 리프트 업을 행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마사지되는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뺨 및 눈가의 리프트 업을 행하는 다른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마사지되는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턱의 조임을 행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마사지되는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회전체에 의해 눈가의 마사지를 행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마사지되는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의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회전체에 의해 눈가를 집어 올리도록 마사지를 행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마사지되는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1의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회전체에 의해 눈가를 집어 올리도록 마사지를 행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마사지되는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1의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서의,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피부와의 접촉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회전체가 돌출되어 있는 볼록 모양부에 다른 볼록 모양부가 늘어서 있는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서의,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피부와의 접촉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미용기를 이용하여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미용기를 이용하여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방법의 다른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2에서의, 오목 모양부의 양단에 회전체를 구비한 마사지기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3에서의, 원판 모양을 나타내는 본체를 구비한 마사지기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6은 실시예 3에서의, 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본체를 구비한 마사지기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4에서의, 호(弧) 모양을 나타내는 본체를 구비한 마사지기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8은 실시예 4의 마사지기에서의, 본체의 세로 방향의 길이 및 가로 방향의 길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실시예 4에서의 마사지기를, 제1 정점, 제2 정점, 및 본체의 후단점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도록 본 평면도이다.
도 30은 실시예 5에서의, 제1 꼭대기부와 제2 꼭대기부 각각에 2개의 회전체를 구비한 마사지기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1은 실시예 6에서의,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제3 전극이 다른 부품에 마련된 마사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실시예 6의 마사지기에서의, 오목 모양부 및 볼록 모양부의 범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구체화한 마사지기의 본체는 판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마사지기는, 그 측면을 피부에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괄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마사지기는,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둘레 가장자리부를 피부에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괄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판 모양의 형상에는, 평판 모양의 형상과, 일반적인 감각으로서 판이라고 인식될 정도로 평판의 적어도 일부를 만곡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체에서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표면은, 평탄해도 좋고, 두께 방향으로 약간 팽출(膨出)하고 있어도 괜찮고, 또는 약간 함몰하고 있어도 괜찮다. 또, 해당 부분의 표면에는, 요철이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이른바 「두께 방향」은, 본체의 투영 면적이 최대가 되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을 말한다.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즉, 본체의 투영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본 평면에서 볼 때 본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본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장원(長圓)형 등의 원을 기본으로 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괜찮고, 삼각형, 정방형, 장방형, 오각형 등의 다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괜찮다.
또, 본체는, 전술한 비교적 단순한 형상을, 일반적인 감각으로서 해당 형상이라고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변형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괜찮다. 게다가, 본체는, 전술한 비교적 단순한 형상 이외에도, 예를 들면 하트형이나 콤마 기호와 같은 형상 등의,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윤곽이 직선과 곡선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괜찮다.
마사지기는,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가진다. 회전체의 회전축선은,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는,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외부로 팽출한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를 가지고 있고, 회전체는, 팽출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팽출부에는, 예를 들면, 하트형의 머리부, 콤마 기호의 머리부, 사각형의 모서리부 등의, 일반적인 감각으로서 주위보다도 외부로 팽출하고 있다고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 포함된다.
회전체를 팽출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누른 경우에, 회전체와 함께, 팽출부에 이어지는 부분을 용이하게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마사지기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눈가나 콧마루 등의, 주위보다 함몰된 부위에도, 회전체를 용이하게 피부의 표면에 대고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회전체에 의한 마사지를 고르게 행할 수 있다.
또, 본체는, 서로 늘어서 배치된 2개의 팽출부와, 이들 팽출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고,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이들 팽출부보다도 내부로 함몰한 함몰부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함몰부에, 즉 2개의 팽출부의 사이에 턱 등의 주위보다도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끼워 넣고, 함몰부 전체를 해당 부위의 표면에 용이하게 대고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주위보다도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서, 괄사를 고르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는, 함몰부에 주위보다도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끼워 넣음과 아울러,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눌러 마사지기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괄사와 회전체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윤곽이 볼록 모양으로 만곡한 볼록 모양부를 적어도 하나 가짐과 아울러,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윤곽이 오목 모양으로 만곡되고 볼록 모양부에 이어지는 오목 모양부, 및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윤곽이 직선 모양을 나타내고 볼록 모양부에 이어지는 직선부 중 적어도 일방을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으며, 회전체의 회전축선은, 볼록 모양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체는, 오목 모양부 또는 직선부 중 어느 하나에 이어지는 볼록 모양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가 배치된 볼록 모양부에 다른 볼록 모양부가 이어져 있는 경우,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 전술한 볼록 모양부가, 회전체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피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눌렀을 때에, 동시에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볼록 모양부의 길이가 비교적 짧아지기 쉽다.
이것에 대해, 회전체가 배치된 볼록 모양부에 직선부 또는 오목 모양부가 이어져 있는 경우, 해당 직선부 또는 오목 모양부는, 회전체가 배치된 볼록 모양부에 다른 볼록 모양부가 이어져 있는 경우에 비해 피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회전체와, 전술한 오목 모양부 또는 직선부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기 때문에, 회전체와 볼록 모양부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누르는 경우에 비해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피부와의 접촉 부분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괄사를 보다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볼록 모양부와, 해당 볼록 모양부에 이어지는 오목 모양부를 가지고 있고, 회전체는, 해당 볼록 모양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괄사와 회전체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하는 경우, 괄사를 행하려고 하는 부분의 표면은, 예를 들면 뺨이나 턱 등과 같이, 볼록 모양의 곡면인 것이 많다. 그 때문에, 회전체가 배치된 볼록 모양부에 인접하여 오목 모양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눌렀을 때에, 오목 모양부가 피부의 볼록 모양 곡면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오목 모양부를 피부의 만곡 형상을 따라서 대고 누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피부와의 접촉 부분의 길이를 더 길게 하여, 괄사를 더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그 적어도 일부에, 오목 모양부 또는 직선부와, 해당 오목 모양부 또는 직선부의 양단에 각각 이어지는 볼록 모양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회전체는, 그 적어도 일부가 이들 볼록 모양부 양쪽 모두에 접하는 직선보다도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오목 모양부 또는 직선부를 피부에 대고 누른 경우에, 회전체를 피부를 향해서 돌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직선부 또는 오목 모양부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회전체를 보다 용이하게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사지기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의 측면, 즉,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체는, 그 전체가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고, 그 일부가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회전체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회전체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다.
회전체는, 예를 들면, 구 모양이라도 좋고, 통 모양이라도 괜찮다. 여기서, 구 모양의 형상에는, 진구(眞球)와, 타원구나 눈물 방울 형상 등의 일반적인 감각으로서 구형이라고 인식될 정도로 진구를 변형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이 포함된다. 또, 통 모양의 형상에는, 원통 및 각통(角筒) 등의 통과, 예를 들면 테이퍼 형상, 즉 선단에 가까울수록 지름이 가늘어지는 형상이나 역(逆)테이퍼 형상, 즉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지름이 굵어지는 형상 등의, 일반적인 감각으로서 구형이라고 인식될 정도로 통을 변형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이 포함된다.
회전체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구 모양을 나타내는 회전체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직경을 10~2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구 모양을 나타내는 회전체의 경우에는, 상기 직경을 15~20mm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 모양의 회전체에서의 상기 직경을 상기 특정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눈가나 콧마루 등의, 주위보다 함몰된 부위에도, 회전체를 보다 용이하게 피부의 표면에 대고 누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상기 직경을, 18~19mm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통 모양을 나타내는 회전체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직경을 10~2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함과 아울러, 회전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길이를 10~25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회전체의 표면은,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예를 들면 삼각 형상의 평면이나 사각 형상의 평면 등의 다수의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피부의 마사지 효과를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는, 회전체의 표면이 다수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는, 회전체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는, 구 모양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눈가나 콧마루 등의, 주위보다 함몰된 부위에도, 회전체를 용이하게 피부의 표면에 대고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회전체에 의한 마사지를 고르게 행할 수 있다.
회전체의 회전축선은,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직선이다. 회전축선은, 예를 들면, 회전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고, 회전체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아도 괜찮다. 또, 회전축선은, 본체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본체의 투영 면적이 최대가 되는 평면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고, 본체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체의 두께 방향과, 회전축선의 연장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60~120도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회전체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눌러, 또한 마사지기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본체의 두께 방향과, 회전축선의 연장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75~105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80~100도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95도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88~92도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체의 두께 방향과, 회전축선의 연장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가 90도에 가까울수록, 회전체를 보다 스무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마사지기는, 본체의 외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회전체를 가지고 있고, 이들 2개의 회전체의 회전축선은, 본체로부터 외부로 향함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2개의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상기 마사지기를 피부 상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들 회전체에 의해서 피부를 집어 올리도록 마사지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마사지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괄사, 회전체를 피부 상에서 전동시키는 마사지, 괄사와 회전체의 전동을 동시에 행하는 마사지, 및 전술한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로부터 소망의 마사지를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체끼리의 간격은, 회전체의 형상이나 직경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체가 직경 10~20mm의 구 모양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회전체끼리의 간격을, 7mm 이상 10mm 미만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2개의 회전체에 의해서 피부를 적절히 강하게 집어 올려, 마사지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회전축선끼리가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40~7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2개의 회전체에 의해서 피부를 적절히 강하게 집어 올려, 마사지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마사지 효과를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는, 회전체끼리의 간격을 7.5mm 이상 9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게다가, 회전축선끼리가 이루는 각도를 45~65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60도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에서, 마사지기는, 피부의 집어 올림을 행하기 위한 2개의 회전체와는 별도로, 1개 이상의 회전체를 더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상기 경우에서, 본체의 두께 방향과, 회전축선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60~120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75~105도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100도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5~95도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88~92도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상기 마사지기를 피부 상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이 방법에 의해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 피부를 집어 올리는 힘의 크기는, 마사지기의 진행 방향과 회전축선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변화한다. 그 때문에, 왕로(往路)에서의 진행 방향과 회전축선의 연장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와, 귀로(歸路)에서의 해당 각도와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왕로에서의 피부를 집어 올리는 힘과 귀로에서의 해당 힘과의 차이가 커진다. 그 결과, 왕로 또는 귀로 중 어느 일방에서의 피부를 집어 올리는 힘이, 타방에서의 피부를 집어 올리는 힘보다도 약해질 우려가 있다.
본체의 두께 방향과, 회전축선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90도에 가깝게 하는 것에 의해, 왕로에서의 진행 방향과 회전축선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도와, 귀로에서의 상기 각도와의 차이를 작게 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마사지기를 왕복 이동시킨다고 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왕로와 귀로에 의해 동일한 정도의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마사지기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서, 2개의 회전체는,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본체의 윤곽을 따라서, 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회전체에 의해서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마사지기를 2개의 회전체의 병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 좋다.
종래, 2개의 회전체에 의해서 피부의 집어 올림을 행하는 미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제2015-18654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미용기가 알려져 있다. 그 미용기는, 막대 모양의 핸들과, 그 핸들의 선단에 마련된 2개의 회전체를 가지고 있다. 이런 종류의 미용기에서 2개의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눌렀을 때에는, 핸들의 길이 방향이 2개의 회전체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교한다. 그 때문에, 이런 종류의 미용기를 이용하여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팔 전체를 움직여, 미용기를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 2개의 회전체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의 윤곽을 따라서 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눌렀을 때에, 본체의 두께 방향과 2개의 회전체의 병렬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가 거의 직교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광대뼈를 따르는 부분이나 눈가 등의 어깨보다도 상부의 부분에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마사지기를 파지한 손이 상부, 팔꿈치가 하부가 되는 자세에서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눌러, 전완부(前腕部)나 손목을 좌우로 흔들도록 하여 마사지기를 두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 좋다. 또, 예를 들면, 복부나 완부(腕部) 등의 어깨보다도 하부의 부분에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전완부가 수평이 되는 자세에서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눌러, 전완부나 손목을 상하로 흔들도록 하여 마사지기를 두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사지기에 의하면, 상완부를 움직이지 않고, 전완부나 손목을 흔들도록 하여 움직이는 것에 의해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할 때의 팔로의 부하를 보다 경감하여, 마사지기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기는, 2개의 정점과, 상기 2개의 회전체의 회전축선끼리의 교점과, 상기 본체의 외표면에서의 상기 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점인 후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2개의 정점 중 일방의 정점은 상기 2개의 회전체 중 일방의 회전체의 외표면과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축선이 교차하는 점이며, 상기 2개의 정점 중 타방의 정점은 상기 2개의 회전체 중 타방의 회전체의 외표면과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축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이들 2개의 정점 중 상기 후단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정점을 제1 정점이라고 칭하고, 이들 2개의 정점 중 상기 후단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긴 정점을 제2 정점이라고 칭하고, 상기 제2 정점과 상기 후단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고 칭하고,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직선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고 칭할 때, 상기 세로 방향에서의 본체의 외형 치수가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본체의 외형 치수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로 방향에서의 외형 치수 및 가로 방향에서의 외형 치수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되는 치수이다. 먼저,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즉, 본체의 투영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본 평면에서 볼 때,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邊)과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으로 구성되고, 또한, 본체에 외접하는 사각형을 정한다. 이 사각형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세로 방향에서의 외형 치수로 하고, 가로 방향의 길이를 가로 방향에서의 외형 치수로 한다.
회전체를 피부에 전동시키는 마사지나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회전체의 반대측으로부터 본체를 파지하여 회전체를 피부로 대고 누르는 것에 의해, 피부로의 압압력을 적절히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 본체의 형상을 전술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한 경우에 비해 손으로부터 회전체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술한 마사지를 행할 때에, 피부를 적절히 강하게 압압하면서 마사지기를 의도한 대로 움직이기 쉬워, 마사지기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는,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중심선에 의해서 구획된 2개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 중심선은, 상기 제2 정점과 상기 후단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본체의 도심(圖心)을 이어서 이루어지는 선이다. 환언하면, 중심선은, 상기 제2 정점과 상기 후단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본체의 도심을 통해 연장되는 선이다. 이 경우, 2개의 회전체는 2개의 영역 중 동일한 영역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여기서, 본체의 도심이란, 상기 단면에서, 본체의 윤곽에 의해서 둘러싸여진 영역의 중심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회전체를 피부에 전동시키는 마사지나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할 때에, 사용자가 회전체의 반대측으로부터 본체를 파지하여 회전체를 피부로 대고 누르는 것에 의해, 피부로의 압압력을 적절히 크게 할 수 있다. 또, 회전체를 상기 특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손목을 똑바로 한 자연스러운 자세로 본체를 파지하여, 회전체를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다. 이들 결과, 마사지기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는, 상기 제2 정점측으로부터 상기 후단점을 향함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폭이 좁아지는 선단이 가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본체의 형상을, 사용자가 보다 잡기 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마사지기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마사지기는,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제1 전극과, 회전체의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과, 본체에서의 제1 전극으로부터 이간(離間)한 위치에 배치된 제3 전극을 가지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일방과 제3 전극이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피부에 접촉한 전극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3 전극에 접하도록 하여 본체를 손으로 파지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일방을 피부에 대고 눌러 괄사 등의 마사지를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류 경로에 미약한 전류를 흘릴 수 있다. 그리고, 괄사 등의 마사지에 더하여, 마사지하고 있는 부위에 전술한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마사지의 효과와 미약한 전류에 의한 효과를 상승적으로 작용시켜, 피부로의 미용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피부에 흘리는 미약 전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류의 크기는, 50~1000μA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전류의 파형은, 직류라도 좋고, 정현파, 방형파, 삼각파 등의 교류라도 좋다. 게다가, 전류는, 1개의 펄스 또는 복수의 펄스군으로 이루어지는 펄스 전류라도 좋다. 이들 범위로부터 전류의 크기 및 파형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피부의 신진 대사를 높이기 위한 마이크로 커런트(current)라고 불리는 미약 전류나, 전하를 띤 미용 성분을 피부 표면으로부터 피부 내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이온 도입 전류, 모공의 오염 등의 전하를 띤 오염 성분을 피부 내부로부터 피부 표면으로 드러나게 하기 위한 이온 도출 전류를 피부에 흘릴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1의 마사지기(1)를, 도 1~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마사지기(1)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모양을 나타내고, 그 둘레 가장자리부(21)를 피부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본체(2)와,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3)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 1의 마사지기(1)는 2개의 회전체(3)를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3)의 회전축선(31)은,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사지기(1)의 본체(2)는,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즉, 투영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본 평면에서 볼 때(도 2 참조) 하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2)는, 서로 늘어서 배치된 2개의 꼭대기부(22, 23)와, 꼭대기부(22, 23)로부터 연장되는 꼬리부(24)를 가지고 있다. 각 꼭대기부(22, 23)는 상기 평면에서 볼 때 대략 반구 모양을 나타내도록 외부로 팽출되어 있다. 꼬리부(24)의 폭은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고 있다.
이후, 2개의 꼭대기부(22, 23)가 늘어서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폭방향 및 두께 방향 양쪽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칭하고, 상하 방향에서의 꼭대기부(22, 23)측을 상부, 꼬리부(24)측을 하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마사지기(1)의 방향에 관한 기재는 편의상의 것이며, 마사지기(1)를 사용할 때의 방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각 꼭대기부(22, 23)는,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외부로 팽출한 팽출부(20)로서 마련되어 있다. 회전체(3)의 회전축선(31)은, 이들 꼭대기부(22, 23) 중 일방의 꼭대기부(22)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또, 2개의 꼭대기부(22, 23)의 사이에는,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이들 꼭대기부(22, 23)보다도 내부에 함몰한 함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2개의 꼭대기부(22, 23) 중 회전체(3)가 마련된 꼭대기부를 제1 꼭대기부(22)라고 칭하고, 타방의 꼭대기부를 제2 꼭대기부(23)라고 칭한다. 또, 폭방향에서의 제1 꼭대기부(22)측을 우측이라고 칭하고, 제2 꼭대기부(23)측을 좌측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좌우 방향에 관한 기재는 편의상의 것이며, 마사지기(1)를 사용할 때의 방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본체(2)의 꼬리부(2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꼭대기부(22, 23)측으로부터 꼬리부(24)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방향에서의 제1 꼭대기부(22)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 본체(2)의 외표면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본체(2)의 윤곽을 형성하는 둘레 가장자리부(21)와, 둘레 가장자리부(21)에 의해 둘러싸인 2개의 주면부(主面部)(28)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 1에서,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는, 3개의 볼록 모양부(211)와, 2개의 오목 모양부(212)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볼록 모양부(211)는,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윤곽이 볼록 모양으로 만곡된 부분이며, 제1 볼록 모양부(211a), 제2 볼록 모양부(211b), 및 제3 볼록 모양부(21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오목 모양부(212)는,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윤곽이 오목 모양으로 만곡되어 볼록 모양부(211)에 이어지는 부분이며, 제1 오목 모양부(212a) 및 제2 오목 모양부(21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회전체(3)의 회전축선(31)은, 볼록 모양부(211)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또, 도 3에서는, 편의상, 회전체(3)를 간략화하여 기재했다.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꼭대기부(22)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폭방향에서의 외측 부분(즉, 우측 부분)을 구성하는 제1 볼록 모양부(211a)와, 폭방향에서의 내부 부분(즉, 좌측 부분)을 구성하는 제2 볼록 모양부(211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볼록 모양부(211a)는, 제1 꼭대기부(22)의 상단(221)에서 제2 볼록 모양부(211b)와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볼록 모양부(211a)에는, 2개의 회전체(3)가 해당 제1 볼록 모양부(211a)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볼록 모양부(211b)는, 제1 볼록 모양부(211a)보다도 큰 곡률 반경을 가지고 있다.
제1 꼭대기부(22)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꼬리부(24)의 둘레 가장자리부와의 사이, 즉,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폭방향의 제1 꼭대기부(22)측의 부분에는, 제1 오목 모양부(212a)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오목 모양부(212a)는, 제1 볼록 모양부(211a)와, 후술하는 제3 볼록 모양부(211c)를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는, 제1 볼록 모양부(211a)와, 제1 볼록 모양부(211a)에 이어지는 제1 오목 모양부(212a)를 가지고 있다. 회전체(3)의 회전축선(31)은, 제1 볼록 모양부(211a)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꼭대기부(22)와 제2 꼭대기부(23)와의 사이에는, 제2 오목 모양부(212b)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오목 모양부(212b)는, 제1 볼록 모양부(211a)와 제2 볼록 모양부(211b)를 접속하고 있다.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의 잔부(殘部), 즉, 제2 꼭대기부(23)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폭방향의 제2 꼭대기부(23)측의 부분을 사이에 두고 꼬리부(24)에 걸치는 부분에는, 제3 볼록 모양부(211c)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을 환언하면, 제1 볼록 모양부(211a)는,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제1 꼭대기부(22)의 상단(221)보다도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제1 볼록 모양부(211a)의 윤곽은, 제1 꼭대기부(22)의 상단(221)으로부터 하부를 향함에 따라 우측으로 부풀어 오르고, 그 후, 좌측으로 후퇴하는 볼록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오목 모양부(212a)는, 제1 볼록 모양부(211a)의 하단(214)에 이어져 있다. 제1 오목 모양부(212a)는,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제1 꼭대기부(22)로부터 꼬리부(24)까지의 범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제1 오목 모양부(212a)의 윤곽은, 제1 볼록 모양부(211a)의 하단(214)으로부터 하부를 향함에 따라 좌측으로 후퇴하고, 그 후, 우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오목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제2 볼록 모양부(211b)는, 제1 볼록 모양부(211a)의 상단에 이어져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볼록 모양부(211b)는,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제1 꼭대기부(22)의 상단(221)보다도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제2 볼록 모양부(211b)의 윤곽은, 제1 꼭대기부(22)의 상단(221)으로부터 제1 꼭대기부(22)와 제2 꼭대기부(23)와의 사이의 위치로 향해 연장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제2 볼록 모양부(211b)의 윤곽은, 제1 꼭대기부(22)의 상단(221)과 제2 볼록 모양부(211b)의 좌단(215)과의 중간 부분이 약간 외부로 부풀어 오른 볼록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오목 모양부(212b)는, 제2 볼록 모양부(211b)의 좌단(215)에 이어져 있다. 제2 오목 모양부(212b)는, 제1 꼭대기부(22)와 제2 꼭대기부(2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제2 오목 모양부(212b)의 윤곽은, 제2 볼록 모양부(211b)의 좌단(215)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함에 따라 하부로 함몰하고, 그 후 상부로 돌출되는 오목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제3 볼록 모양부(211c)는,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의 잔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3 볼록 모양부(211c)는, 둘레 가장자리부(21) 중, 제2 꼭대기부(23)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좌측을 사이에 두고 꼬리부(24)까지의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제3 볼록 모양부(211c)의 윤곽은, 그 전(全)범위에 걸쳐 볼록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 본체(2)는,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둘레 가장자리부(21)의 내측에 주면부(28)를 가지고 있다. 주면부(28)는, 꼬리부(24)로부터 꼭대기부(22, 23)를 향해 연장 마련된 복수의 융기부(280)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융기부(280)는,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본체(2)의 윤곽을 따라서 만곡된 곡선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각 융기부(280)는, 폭방향의 단면에서 원호 모양의 윤곽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1의 마사지기(1)는, 본체(2)에서의 제1 꼭대기부(22)의 외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회전체(3(3a, 3b))를 가지고 있다. 각 회전체(3(3a, 3b))의 회전축선(31(31a, 31b))은, 상기 회전체(3)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 이들 2개의 회전체(3)의 회전축선(31)은, 본체(2)로부터 외부로 향할수록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점(312)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2개의 회전체(3) 중 제1 오목 모양부(212a)에 가까운 쪽의 회전체를 제1 회전체(3a)라고 칭하고, 제2 오목 모양부(212b)에 가까운 쪽의 회전체를 제2 회전체(3b)라고 칭한다.
실시예 1에서의 회전체(3)끼리의 간격, 즉, 제1 회전체(3a)의 표면과 제2 회전체(3b)의 표면과의 거리의 최소값은, 예를 들면 7~10mm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회전체(3)의 회전축선(31)끼리가 이루는 각(θ)은, 40~70도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에서는, 회전체(3)끼리의 간격은 8.3mm이며, 회전체(3)의 회전축선(31)끼리가 이루는 각(θ)은 53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체(3a)는, 제1 볼록 모양부(211a)와, 제3 볼록 모양부(211c)의 하부의 부분(즉, 꼬리부(24)의 둘레 가장자리부)과의 양쪽 모두에 접하는 직선(L1)보다도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회전체(3b)는, 제2 볼록 모양부(211b)와, 제3 볼록 모양부(211c)의 상부의 부분(즉, 제2 꼭대기부(23)의 둘레 가장자리부) 양쪽 모두에 접하는 직선(L2)보다도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사지기(1)에서의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는, 그 적어도 일부에, 2개의 볼록 모양부(211)와, 이들 볼록 모양부(211)의 사이에 배치된 오목 모양부(21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회전체(3)는, 그 적어도 일부가 이들 2개의 볼록 모양부(211) 양쪽 모두에 접하는 직선(L1, L2)보다도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회전체(3)에서의 회전축선(31)은, 본체(2)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회전체(3)에서의 회전축선(31)의 연장 방향과, 본체(2)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직선(T)과의 이루는 각도(θ2)는 90도이다.
각 회전체(3)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3)는 눈물 방울 형상에서의 날카로운 부분을 절제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회전체(3)는, 그 선단측의 절반이 반구 모양을 나타내고, 해당 반구 모양 부분으로부터 본체(2)로 향함에 따라, 회전체(3)를 완전한 구 모양으로 한 경우에 비해 완만하게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회전체(3)의 직경, 즉, 회전축선(31)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회전체(3)의 외경의 최대값은, 예를 들면, 10~20mm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회전체(3)의 표면은, 다수의 삼각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회전체(3)의 표면에는, 후술하는 제2 전극(42)이 마련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마사지기(1)는,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 배치된 제1 전극(41)과, 회전체(3)의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42)과, 본체(2)에서의 제1 전극(41)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치된 제3 전극(4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마사지기(1)는, 제1 전극(41) 및 제2 전극(42) 중 적어도 일방과 제3 전극(43)이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피부에 접촉한 전극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극(41)은,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제1 오목 모양부(212a), 즉, 회전체(3)를 구비한 제1 꼭대기부(22)와 꼬리부(24)를 접속하는 부분의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또, 제3 전극(43)은,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보다도 내측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전극(41), 제2 전극(42), 및 제3 전극(43)은, 본체(2)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 회로는,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제2 꼭대기부(23)와 꼬리부(24)와의 사이에 배치된 태양전지 모듈(44)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마사지기(1)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뺨 및 눈가의 리프트 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의 제1 오목 모양부(212a)를 법령선(法令線)을 따라서 뺨에 대고 누름과 아울러 제1 회전체(3a)를 눈가에 대고 누른다. 그리고, 마사지기(1)를 뺨을 따라서 좌우로 왕복 이동(도 8의 화살표 M1 참조)하는 것에 의해, 제1 오목 모양부(212a)를 뺨의 부푼 곳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체(3a)를 눈가에서 전동(轉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피부가 두꺼운 뺨(511)에 괄사를 실시하여 혈류를 촉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괄사와 동시에 회전체(3)를 비교적 피부가 얇은 눈가(512)에 전동시켜, 에스서티션(aesthetician)에 의한 마사지와 같은 부드러운 자극을 주어 눈가를 풀 수 있다. 그 결과, 뺨의 리프트 업을 행할 수 있다.
또, 뺨 및 눈가의 리프트 업을 행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꼭대기부(22, 23)를 입가를 향해서 꼬리부(24)가 꼭대기부(22, 23)로부터 경사진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제1 오목 모양부(212a)를 뺨에 대고 누름과 아울러 제1 회전체(3a)를 눈가에 대고 누른다. 그리고, 제1 회전체(3a)가 꼬리부(24)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도록 마사지기(1)를 왕복 이동(도 10의 화살표 M2 참조)하는 것에 의해, 제1 오목 모양부(212a)를 뺨의 부푼 곳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체(3a)를 광대뼈를 따라서 전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피부가 두꺼운 뺨(521)에 괄사를 실시하여 혈류를 촉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괄사와 동시에 회전체(3)를 비교적 피부가 얇은 광대뼈를 따르는 부분(522)에 전동시켜, 에스서티션에 의한 마사지와 같은 부드러운 자극을 주어 해당 부분을 풀 수 있다. 그 결과, 뺨의 리프트 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턱의 조임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회전체(3b)를 입가를 향하면서, 제1 꼭대기부(22)와 제2 꼭대기부(23)와의 사이에 턱이 끼워지도록 하여 본체(2) 및 제2 회전체(3b)를 얼굴에 대고 누른다. 그리고, 마사지기(1)를 턱을 따라서 왕복 이동(도 12의 화살표 M3 참조)하는 것에 의해, 제1 꼭대기부(22)와 제2 꼭대기부(23)와의 사이의 함몰부(25), 즉,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제1 꼭대기부(22)의 상단(221)으로부터 제2 꼭대기부(23)의 상단(231)까지에 걸치는 부분을 턱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체(3b)를 입가를 따라서 전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피부가 두꺼운 턱을 따르는 부분(531)에 괄사를 실시하여 혈류를 촉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괄사와 동시에 회전체(3)를, 비교적 피부가 얇은 입가(532)에 전동시켜, 에스서티션에 의한 마사지와 같은 부드러운 자극을 주어 해당 부분을 풀 수 있다. 그 결과, 턱의 조임을 행할 수 있다.
마사지기(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와 회전체(3)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눌러 마사지를 행하는 방법 이외에, 괄사를 단독으로 행하는 방법이나, 회전체(3)에 의한 마사지를 단독으로 행하는 방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괄사를 단독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본체(2)에서의 제2 꼭대기부(23)나 꼬리부(24) 등을 피부에 대고 눌러 마사지기(1)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2)가 대고 눌려진 부분에 적절한 자극을 주어 혈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 회전체(3)에 의한 마사지를 단독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체(3a)를 눈가에 대고 눌러, 마사지기(1)를 좌우로 왕복 이동(도 14의 화살표 M4 참조)하는 것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피부가 얇은 눈가를 따르는 부분(54)에 에스서티션에 의한 마사지와 같은 부드러운 자극을 주어 해당 부분을 풀 수 있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체(3a)를 피부 상에서 전동시키는 방법을 대신하여, 제2 회전체(3b)를 피부 상에서 전동시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회전체(3)에 의한 마사지는, 전술한 눈가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광대뼈를 따르는 부분이나 입가와 같은, 비교적 피부가 얇은 부분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의 마사지기(1)는, 제1 회전체(3a)와 제2 회전체(3b) 양쪽 모두를 피부에 대고 눌러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2개의 회전체(3)의 사이에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눈가의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체(3a)와 제2 회전체(3b)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하여 이들 회전체(3)를 눈가에 대고 누른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마사지기(1)를 눈가를 따라서 좌우로 왕복 이동(도 16의 화살표 M5 참조)하는 것에 의해, 눈가의 피부(55)(도 17 참조)를 집어 올려 혈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 눈가의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체(3a)와 제2 회전체(3b)가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하여 이들 회전체(3)를 눈가에 대고 누른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마사지기(1)를 눈가로부터 관자놀이에 걸친 라인을 따라서 왕복 이동(도 18의 화살표 M6 참조)하는 것에 의해, 눈가의 피부(56)(도 19 참조)를 집어 올려 혈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2개의 회전체(3)에 의해서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는, 전술한 눈가나 눈가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뺨 등의 비교적 피부가 두꺼운 부분에 행해도 괜찮고, 광대뼈를 따르는 부분이나 입가와 같은, 비교적 피부가 얇은 부분에 행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마사지기(1)는, 피부로의 대고 누르는 방법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여러 가지의 마사지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사지기(1)에 의해 피부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려고 하는 경우에는, 제3 전극(43)이 손에 닿도록 하여 본체(2)를 파지하고, 회전체(3) 및 제1 오목 모양부(212a) 중 적어도 일방을 피부에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 전극(41) 및 제2 전극(42) 중 적어도 일방과 제3 전극(43)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태양전지 모듈(44)에 광이 조사되면, 제어 회로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류 경로에 미약한 전류를 흘릴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에 미약한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마사지기(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회전체(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회전체(3)의 회전축선(31)은,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회전체(3) 및 회전축선(31)을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와 회전체(3)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괄사와 회전체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 회전체(3)를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얼굴 등의 기복의 변화가 큰 부분에도, 회전체를 용이하게 대고 누를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는, 꼬리부(24)와,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외부로 팽출한 팽출부(20)로서의 제1 꼭대기부(22) 및 제2 꼭대기부(2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회전체(3)의 회전축선(31)은, 팽출부(20)로서의 제1 꼭대기부(22)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체(3a)를 피부에 대고 누른 경우에는, 제1 회전체(3a)와, 제1 꼭대기부(22)에 이어지는 제1 오목 모양부(212a)를 용이하게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회전체(3b)를 피부에 대고 누른 경우에는, 제1 꼭대기부(22)와, 제1 꼭대기부(22)에 이어지는 제2 오목 모양부(212b) 및 제2 꼭대기부(23)를 용이하게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마사지기(1)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회전체(3)가 팽출부(2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눈가나 콧마루 등의, 주위보다 함몰된 부위에도, 회전체(3)를 용이하게 피부의 표면에 대고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회전체(3)에 의한 마사지를 고르게 행할 수 있다.
또, 본체(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20)로서, 서로 늘어서 배치된 제1 꼭대기부(22)와 제2 꼭대기부(23)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본체(2)는, 제1 꼭대기부(22)와 제2 꼭대기부(23)와의 사이에 형성된 함몰부(25)를 가지고 있다. 함몰부(25)는,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꼭대기부(22, 23)보다도 내부로 함몰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함몰부(25)에 턱 등의 주위보다도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끼워 넣고, 함몰부(25) 전체를 해당 부위의 표면에 용이하게 대고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주위보다도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서, 괄사를 고르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는, 함몰부(25)에 주위보다도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끼워 넣음과 아울러, 회전체(3)를 피부에 대고 눌러 마사지기(1)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괄사와 회전체(3)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는, 볼록 모양부(211)와, 해당 볼록 모양부(211)에 이어지는 오목 모양부(212)를 가지고 있다. 회전체(3)는, 볼록 모양부(21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8,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3)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오목 모양부(212)를 피부의 만곡 형상을 따라서 대고 누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뺨의 리프트 업(도 8 참조)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가(512)에 제1 회전체(3a)를 맞닿게 함과 아울러, 뺨(511)에 제1 오목 모양부(212a)를 맞닿게 하여 마사지를 행한다. 이 때, 제1 오목 모양부(212a)는, 뺨(511)의 볼록 모양 곡면을 따라서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오목 모양부(212a)를 뺨(511)을 따라서 대고 누를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도 21에는, 볼록 모양부(911)와, 해당 볼록 모양부(911)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2개의 회전체(91)와, 볼록 모양부(911)에 이어지는 볼록 모양부(912)를 가지는 마사지기(9)가 나타내어져 있다. 볼록 모양부(912)는 뺨(511)의 볼록 모양 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마사지기(9)를 이용하여 괄사와 회전체(91)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는, 실시예 1의 마사지기(1)(도 20 참조)에 비해, 피부로부터 볼록 모양부(912)까지의 거리가 커지기 쉽다. 또, 도 20 및 도 21에서는 뺨(511) 및 눈가(512)를 포함하는 피부(5)가 일점 쇄선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마사지기(1)에서는, 볼록 모양부(211)와 오목 모양부(212)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와 피부와의 접촉 부분의 길이를 더 길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괄사를 더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는, 그 적어도 일부에, 2개의 볼록 모양부(211)와, 이들 볼록 모양부(211)의 사이에 배치된 오목 모양부(21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회전체(3)는, 그 적어도 일부가 이들 2개의 볼록 모양부(211) 양쪽 모두에 접하는 직선보다도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모양부(212) 또는 볼록 모양부(211)를 피부에 대고 누른 경우에, 회전체(3)를 피부를 향해서 돌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직선부 또는 오목 모양부(212)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회전체(3)를 보다 용이하게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사지기(1)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체(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8, 도 10,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가나 콧마루 등의, 주위보다 함몰된 부위에도, 회전체(3)를 용이하게 피부의 표면에 대고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회전체(3)에 의한 마사지를 고르게 행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두께 방향과, 회전축선(31)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60~120도의 범위 내이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8~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와 회전체(3)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눌러, 또한 마사지기(1)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체(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2개의 회전체(3)는,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본체(2)의 윤곽을 따라서, 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실시예 1의 마사지기(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정점(311311a, 311b))과, 교점(312)과, 후단점(241)을 가지고 있다. 2개의 정점(311) 중 일방의 정점(311a)은, 2개의 회전체(3) 중 일방의 회전체(3a)의 외표면과 상기 회전체(3a)의 회전축선(31a)이 교차하는 점이다. 2개의 정점(311) 중 타방의 정점(311b)은, 2개의 회전체(3) 중 타방의 회전체(3b)의 외표면과 상기 회전체(3b)의 회전축선(31b)이 교차하는 점이다. 교점(312)은 2개의 회전체(3)의 회전축선(31(31a, 31b))끼리의 교점이다. 후단점(241)은, 본체(2)의 외표면에서의 교점(312)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점이다.
그리고, 2개의 정점(311311a, 311b)) 중 후단점(241)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정점(즉, 제1 회전체(3a)의 정점)을 제1 정점(311a)이라고 칭하고, 후단점(241)으로부터의 거리가 긴 정점(즉, 제2 회전체(3b)의 정점)을 제2 정점(311b)이라고 칭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정점(311a), 제2 정점(311b), 및 후단점(241)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고, 또한, 제2 정점(311b)으로부터 후단점(241)까지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마사지기(1)를 본 경우에, 제1 정점(311a)이 제2 정점(311b)과 후단점(241)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7에서는, 편의상, 회전체(3)의 표면 형상을 간략화했지만, 실제로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3)의 표면은 다수의 삼각 형상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마사지기(1)는, 예를 들면 도 16이나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회전체(3)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마사지기(1)를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2개의 회전체(3)에 의해서 피부를 적절히 강하게 집어 올릴 수 있다. 또, 전술한 왕복 이동은, 예를 들면, 상완부를 움직이지 않고, 전완부나 손목을 흔들도록 하여 마사지기(1)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도 22에는, 막대 모양의 핸들(92)과, 핸들(92)의 선단에 마련된 2개의 회전체(91)를 가지는 종래의 미용기(902)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미용기(902)에서는, 2개의 회전체(91)를 피부에 대고 눌렀을 때에, 핸들(92)의 길이 방향이 2개의 회전체(91)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교한다. 그 때문에, 이런 종류의 미용기를 이용하여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화살표 M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팔 전체를 움직여 미용기(902)를 핸들(9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에 비해 팔로의 부하가 높아지기 쉽다.
또, 종래의 미용기(902)에서는,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을 잡도록 하여 핸들(92)을 파지하고, 전완부나 손목을 흔들도록 하여 미용기(902)를 왕복 이동시키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피부로의 시술의 강약을 조절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와 같이, 회전체(3)의 반대측으로부터 본체(2)를 파지하는 경우에 비해 회전체(91)가 피부를 압압하는 힘이 약해지기 쉽다. 그 때문에, 피부를 집어 올리는 힘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에 의하면, 종래의 미용기(902)에 비해 시술의 강약을 조절하기 쉬워진다. 또, 마사지를 행할 때의 팔로의 부하를 보다 경감하여, 사용 편리성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정점(311b)과 후단점(241)을 연결하는 직선(L3)에 평행한 방향을 세로 방향(X)이라고 칭한다. 또,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직선(L3)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Y)이라고 칭한다. 이 경우, 세로 방향(X)에서의 본체(2)의 외형 치수(DX)가 가로 방향(Y)에서의 본체(2)의 외형 치수(DY)보다도 길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4나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체(3)의 반대측, 즉, 폭방향의 좌측으로부터 본체(2)를 파지하여 회전체(3)를 피부에 대고 누르는 것에 의해, 피부로의 압압력을 적절히 크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체(2)의 형상을 전술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한 경우에 비해 손으로부터 회전체(3)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에 의하면, 회전체(3)를 피부에 전동시키는 마사지나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할 때에, 피부를 적절히 강하게 압압 하면서 마사지기(1)를 의도한 대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그 결과, 마사지기(1)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는,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중심선(L4)에 의해서 구획된 2개의 영역(A1, A2)을 가지고 있다. 또, 중심선(L4)은, 제2 정점(311b)과 후단점(241)을 연결하는 직선(L3)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본체(2)의 도심을 이어서 이루어지는 선이다. 환언하면, 중심선(L4)은, 직선(L3)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본체(2)의 도심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선이다. 2개의 회전체(3)는, 2개의 영역(A1, A2) 중 동일한 영역(A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4나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3)를 피부에 전동시키는 마사지나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할 때에, 사용자가 회전체(3)의 반대측으로부터 본체(2)를 파지하여 회전체(3)를 피부로 대고 누르는 것에 의해, 피부로의 압압력을 적절히 크게 할 수 있다. 또, 회전체(3)를 상기 특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손목을 똑바로 한 자연스러운 자세로 본체(2)를 파지하여, 회전체(3)를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다. 이들 결과, 마사지기(1)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2)는, 제2 정점(311b)측으로부터 후단점(241)을 향함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폭이 좁아지는 선단이 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본체(2)의 형상을, 사용자가 보다 잡기 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마사지기(1)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마사지기(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의 외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회전체(3)를 가지고 있다. 이들 회전체(3)의 회전축선(31)은, 상기 회전체(3)에 가까울수록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회전체(3)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마사지기(1)를 피부 상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들 회전체(3)에 의해서 피부를 집어 올리도록 마사지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마사지기(1)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괄사, 회전체(3)를 피부 상에서 전동시키는 마사지, 괄사와 회전체(3)의 전동을 동시에 행하는 마사지, 및 전술한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로부터 소망의 마사지를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마사지기(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 배치된 제1 전극(41)과, 회전체(3)의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42)과, 본체(2)에서의 제1 전극(41)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치된 제3 전극(43)을 가지고 있다. 마사지기(1)는, 제1 전극(41) 및 제2 전극(42) 중 적어도 일방과 제3 전극(43)이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피부에 접촉한 전극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3 전극(43)에 접하도록 하여 본체(2)를 손으로 파지하고, 제1 전극(41) 및 제2 전극(42) 중 적어도 일방을 피부에 대고 눌러 괄사 등의 마사지를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류 경로에 미약한 전류를 흘릴 수 있다. 그리고, 괄사 등의 마사지에 더하여, 마사지하고 있는 부위에 전술한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마사지의 효과와 미약한 전류에 의한 효과를 상승적으로 작용시켜, 피부로의 미용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실시예 2)
도 24는 실시예 2의 마사지기(102)를 나타내고 있다. 마사지기(102)는, 본체(2)와, 본체(2)의 제1 오목 모양부(212a)의 양단에 마련된 회전체(3(3a, 3c))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 2 이후에서 이용하는 부호 중,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 등을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마사지기(102)는,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하트형을 나타내는 본체(2)를 가지고 있다.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제1 볼록 모양부(211a)에는, 제1 회전체(3a) 및 제2 회전체(3b)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제3 볼록 모양부(211c)의 일부를 구성하는 꼬리부(24)에는 제3 회전체(3c)가 마련되어 있다. 제3 회전체(3c)는, 본체(2)의 둘레 가장자리부(2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회전체(3c)는, 제3 볼록 모양부(211c)의 일부로서의 꼬리부(24)와, 제1 볼록 모양부(211a) 양쪽 모두에 접하는 직선(L1)보다도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제3 회전체(3c)의 회전축선(31c)은, 본체(2)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2의 마사지기(102)에서는, 제1 오목 모양부(212a)의 양단에, 제1 회전체(3a)와, 제3 회전체(3c)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오목 모양부(212a)와 제3 회전체(3c)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눌러 마사지기(102)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괄사와 회전체(3)를 전동시키는 마사지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그 외, 실시예 2의 마사지기(102)는,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3)
도 25 및 도 26은 비교적 단순한 형상의 본체를 가지는 실시예 3의 마사지기(103, 104)를 나타내고 있다. 마사지기의 본체는, 실시예 1과 같이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어도 괜찮고, 원판 모양이나 사각 형상 등의 비교적 단순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내는 마사지기(103)와 같이 본체(203)가 원판 모양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본체(203)의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회전체(3)를 마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내는 마사지기(104)와 같이 본체(204)가 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본체(204)의 모서리부에 회전체(3)를 마련해도 좋고,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본체(203)의 직선부(213)에 회전체(3)를 마련해도 좋다.
본체(2, 203, 204)의 형상이 어떠한 형상이라도, 회전체(3)가 해당 회전체(3)와 본체(2, 203, 204)의 둘레 가장자리부(21)를 동시에 피부에 대고 누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괄사와 회전체(3)를 전동시키는 마사지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27~도 29는 실시예 4의 마사지기(105)를 나타내고 있다. 마사지기(105)는,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호 모양을 나타내는 판 모양의 본체(205)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205)는 양단부(27(27a, 27b))와, 그 단부(27)끼리를 접속하는 중간부(271)를 가지고 있다. 각 단부(27)는,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반원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중간부(271)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다. 또, 본체(205)의 둘레 가장자리부(26)는, 볼록 모양부(261)와, 그 볼록 모양부(261)에 이어지는 오목 모양부(262)를 가지고 있다. 본체(205)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볼록 모양부(261)의 윤곽은 볼록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오목 모양부(262)의 윤곽은 오목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본체(205)의 일방의 단부(27a)의 외부에는, 2개의 회전체(3)가 본체(205)의 둘레 가장자리부(26)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회전체(3(3a, 3b))의 회전축선(31(31a, 31b))은, 본체(205)로부터 회전체(3)로 향할수록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교점(312)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05)는, 오목 모양부(262)와, 오목 모양부(262)의 양단에 이어지는 볼록 모양부(261)를 가지고 있다. 볼록 모양부(261)에서의, 오목 모양부(262)보다도 회전체(3)에 가까운 부분과, 회전체(3)와는 반대측의 부분 양쪽 모두에 접하는 직선을 직선(L1)이라고 칭하면, 2개의 회전체(3) 중, 오목 모양부(262)에 가까운 제1 회전체(3a)는, 직선(L1)보다도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회전체(3)는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본체(205)의 윤곽을 따라서, 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즉, 실시예 4의 마사지기(105)는, 2개의 정점(311311a, 311b)), 교점(312), 및 후단점(241)을 가지고 있다. 2개의 정점(311) 중 일방의 정점(311a)은, 2개의 회전체(3) 중 일방의 회전체(3a)의 외표면과 상기 회전체(3a)의 회전축선(31a)이 교차하는 점이다. 2개의 정점(311) 중 타방의 정점(311b)은, 2개의 회전체(3) 중 타방의 회전체(3b)의 외표면과 상기 회전체(3b)의 회전축선(31b)이 교차하는 점이다. 교점(312)은, 2개의 회전체(3)의 회전축선(31)끼리의 교점이다. 후단점(241)은, 본체(2)의 외표면에서의 교점(312)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점이다.
2개의 정점(311311a, 311b)) 중 후단점(241)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정점(즉, 제1 회전체(3a)의 정점)을 제1 정점(311a)이라고 칭하고, 후단점(241)으로부터의 거리가 긴 정점(즉, 제2 회전체(3b)의 정점)을 제2 정점(311b)이라고 칭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정점(311a), 제2 정점(311b), 및 후단점(241)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고, 또한, 제2 정점(311b)으로부터 후단점(241)까지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마사지기(1)를 본 경우에, 제1 정점(311a)이 제2 정점(311b)과 후단점(241)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29에서는, 편의상, 회전체(3)의 표면 형상이 간략화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3)의 표면은 다수의 삼각 형상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정점(311b)과 후단점(241)을 연결하는 직선을 직선(L3)이라고 칭하고, 직선(L3)에 평행한 방향을 세로 방향(X)이라고 칭하고, 본체(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직선(L3)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Y)이라고 칭하는 경우, 세로 방향(X)에서의 본체(205)의 외형 치수(DX)는 가로 방향(Y)에서의 본체(205)의 외형 치수(DY)보다도 길다.
본체(205)는, 본체(205)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중심선(L4)에 의해서 구획된 2개의 영역(A1, A2)을 가지고 있다. 2개의 회전체(3)는, 이들 2개의 영역(A1, A2) 중 동일한 영역(A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의 마사지기(105)는, 제1 꼭대기부(22)와 제2 꼭대기부(23)와의 사이에 턱 등의 주위보다도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사이에 넣는 사용법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30은, 제1 꼭대기부(22)와 제2 꼭대기부(23) 각각에 2개의 회전체(3)를 구비한 실시예 5의 마사지기(106)를 나타내고 있다. 즉, 마사지기(106)는, 제1 꼭대기부(22)에 더하여 제2 꼭대기부(23)에도 2개의 회전체(3(3c, 3d))를 가지고 있다. 2개의 회전체(3(3c, 3d))의 회전축선(31(31c, 31d))은, 본체(2)로부터 회전체(3)로 향할수록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교점(312)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5의 마사지기(106)는,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와 마찬가지로, 제1 꼭대기부(22)에 마련된 2개의 회전체(3a, 3b)를 이용하여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할 수 있다. 또, 제2 꼭대기부(23)에 마련된 2개의 회전체(3c, 3d)를 이용하여 피부를 집어 올리는 마사지를 행할 수도 있다. 게다가, 마사지기(106)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와 마찬가지로, 괄사와 회전체(3)에 의한 마사지를 동시에 행하는 방법, 괄사 단독, 회전체(3)에 의한 마사지 단독 등의 여러 가지의 마사지를 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 6)
도 31 및 도 32는, 제1 전극(411, 412), 제2 전극(42), 및 제3 전극(43)이 다른 부품에 마련된 실시예 6의 마사지기(107)를 나타내고 있다. 마사지기(107)는, 실시예 1의 마사지기(1)와 동일한 형상, 즉,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 하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207)의 외표면은, 3개의 셸편(shell片)(51~53)을 가지고 있다. 제1 셸편(51)은, 본체(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셸편(51)에는, 제1 볼록 모양부(211a)에서의 상부의 부분, 제2 볼록 모양부(211b), 제2 오목 모양부(212b), 및 제3 볼록 모양부(211c)에서의 상부의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또, 제1 셸편(51)의 표면에는, 제1 전극(411)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셸편(52)은, 본체(2)의 우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셸편(52)에는, 제1 볼록 모양부(211a)에서의 하부의 부분과 제1 오목 모양부(212a)가 포함되어 있다. 또, 제2 셸편(52)의 표면에는, 제1 전극(412)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2)의 외표면에서의 제1 셸편(51), 제2 셸편(52), 및 태양전지 모듈(44)이외의 부분은 제3 셸편(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본체(2)에서의 두께 방향의 양면에 배치된 2개의 주면부(28)와, 제3 볼록 모양부(211c)에서의 태양전지 모듈(44)보다도 하부의 부분은, 제3 셸편(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3 셸편(53)의 표면에는, 제3 전극(43)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셸편(51)의 제1 전극(411), 제2 셸편의 제1 전극(412), 및 회전체(3)의 표면에 마련된 제2 전극(42)은, 본체(207)의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게다가, 이들 전극(411, 412, 42)은, 태양전지 모듈(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3 셸편(53)의 표면에 마련된 제3 전극(43)은, 태양전지 모듈(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6의 마사지기(107)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마사지기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 1~6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1, 102, 103, 104, 105, 106, 107 - 마사지기
2, 203, 204, 205, 207 - 본체
21, 26 - 둘레 가장자리부
3 - 회전체
31 - 회전축선

Claims (4)

  1. 둘레 가장자리부를 피부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가지고,
    상기 본체의 외표면은 복수의 셸편을 구비한 마사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셸편 중 하나는 괄사부를 마련하고 있는 마사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셸편 중 하나는 볼록 모양부를 마련하고 있는 마사지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볼록 모양부에 상기 회전체가 마련되어 있는 마사지기.
KR1020247008389A 2017-09-29 2018-09-21 마사지기 KR20240037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9963 2017-09-29
JP2017189963 2017-09-29
JP2018033901A JP7013278B2 (ja) 2017-09-29 2018-02-27 マッサージ器
JPJP-P-2018-033901 2018-02-27
KR1020207008148A KR102648385B1 (ko) 2017-09-29 2018-09-21 마사지기
PCT/JP2018/035073 WO2019065503A1 (ja) 2017-09-29 2018-09-21 マッサージ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148A Division KR102648385B1 (ko) 2017-09-29 2018-09-21 마사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373A true KR20240037373A (ko) 2024-03-21

Family

ID=6590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389A KR20240037373A (ko) 2017-09-29 2018-09-21 마사지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47044A1 (ko)
KR (1) KR20240037373A (ko)
CN (1) CN109568097A (ko)
WO (1) WO2019065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3278B2 (ja) * 2017-09-29 2022-01-31 株式会社 Mtg マッサージ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39221A (zh) * 2008-03-12 2008-08-13 林子淇 电子脉冲复合能量刮痧按摩仪
TWM376286U (en) * 2009-10-19 2010-03-21 Rong-Ren Liu Hand-held massage machine
JP2013103086A (ja) * 2011-11-16 2013-05-30 Mtg:Kk 美容器
DE102012009514A1 (de) * 2012-05-14 2013-11-14 Proventure (Far East) Ltd. In einer Hand haltbares Gerät zur elektrisch unterstützten Hautbehandlung
CN104717950B (zh) * 2012-10-04 2017-03-08 雅门股份有限公司 美容滚轮
US20140213945A1 (en) * 2013-01-25 2014-07-31 Yukiko Kojima Massage Tool And Methods Therefor
JP6282271B2 (ja) * 2013-06-27 2018-02-21 株式会社 Mtg 美容器
JP2015029844A (ja) * 2013-08-06 2015-02-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美容装置
TWD161091S (zh) * 2013-11-29 2014-06-11 葉俊傑 拉筋刮痧按摩梳
JP2015150271A (ja) * 2014-02-17 2015-08-24 Ysi株式会社 美容器具
TWD165842S (zh) * 2014-07-08 2015-02-01 葉俊傑 拉筋刮痧按摩梳
CN204446525U (zh) * 2014-09-29 2015-07-08 明阳生技有限公司 刮痧板结构
JP2015128713A (ja) * 2015-04-15 2015-07-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美容装置
JP7013278B2 (ja) * 2017-09-29 2022-01-31 株式会社 Mtg マッサージ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5503A1 (ja) 2019-04-04
US20220347044A1 (en) 2022-11-03
CN109568097A (zh)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385B1 (ko) 마사지기
KR102194815B1 (ko) 미용기
WO2014122952A1 (ja) 美容器
JP7029969B2 (ja) 美容器
KR20240037373A (ko) 마사지기
JP5860319B2 (ja) 頭皮マッサージ具
KR20190018965A (ko) 미용기
JP5990355B2 (ja) 美容器
JP3218211U (ja) 美容装置
JP2010104743A (ja) 指圧器具
JP2006192001A (ja) 超音波美容器
JP2014226335A (ja) 美容器
JP2022070455A (ja) 皮膚摩擦器
CN212166122U (zh) 人体工学按摩球
TWM628275U (zh) 撥筋板
JP3154366U (ja) 美容ローラー器具
CN203790264U (zh) 一种保健梳
JP2019042597A (ja) 美容器
JP2010178961A (ja) 美顔用マッサージ器
JP2016055088A (ja) フェイス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