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328A -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328A
KR20240033328A KR1020220111828A KR20220111828A KR20240033328A KR 20240033328 A KR20240033328 A KR 20240033328A KR 1020220111828 A KR1020220111828 A KR 1020220111828A KR 20220111828 A KR20220111828 A KR 20220111828A KR 20240033328 A KR20240033328 A KR 20240033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independently
alkylene
polymer
photosensitiv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희천
이준호
김정화
이두호
왕지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11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328A/ko
Publication of KR20240033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32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14Polysulf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정밀한 포토 패터닝이 가능하면서도 탁월한 광학 특성을 가지는 경화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화막을 채용하여,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Novel polymer an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는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여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비 등이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은 대부분 내부에 트랩되고 광출력량에 기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광추출 효율이 대략 20%정도에 불과한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광을 산란시킬 수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광산란층을 사용하는 방안이 연구되어 왔지만, 종래의 광산란층은 포토 패터닝이 불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이를 패터닝하기 위한 에칭 공정이 추가로 요구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칭 공정에 의해 광산란층 주변의 다른 소재들이 손상될 수 있어 현실적으로 광산란층 패터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포토 패터닝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가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나, 최근에는 소자의 고성능화로 인해 더욱 정밀한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경화 후에 탁월한 광학 특성 가지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14533호 (2021.02.09.)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포토 패터닝이 가능하면서도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소재로 적용할 수 있는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 양태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이를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상술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L1은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또는 (C3-C20)헤테로아릴렌이고;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또는 (C3-C20)헤테로아릴렌이며, 상기 알킬렌의 -CH2-는 -O-, -S-, -NH-, -C(=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될 수 있고;
L4 및 L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0)알킬렌이고;
X1 내지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NH-이고;
X5 및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O-이고;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4가기이고;
L은 단일결합, -O-, -C(=O)-, -S-, -SO2-,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C3-C20)헤테로아릴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상기 알킬렌은 (C1-C10)알킬 및 할로(C1-C10)알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할로(C1-C10)알킬이고;
p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a 내지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L1은 (C1-C20)알킬렌 또는 (C6-C20)아릴렌이고;
L11 내지 L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또는 (C3-C20)헤테로아릴렌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NH-이고;
p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A고리는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상기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에서 선택되는 4가기일 수 있다.
Figure pat00006
(상기 구조식에서,
L21 내지 L24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C(=O)-, -S-, -SO2- 또는 (C1-C7)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은 (C1-C7)알킬 및 할로(C1-C7)알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7)알킬 또는 할로(C1-C7)알킬이고;
a 내지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상기 구조식에서 L21 및 L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C(=O)- 또는 -CRaRb-이고; L23 및 L2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S- 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알킬 또는 할로(C1-C3)알킬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7
[화학식 6]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L11 내지 L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7)알킬렌이고;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에서 선택되는 4가기이고;
L21은 단일결합, -O-, -C(=O)- 또는 -C(CF3)2- 이고;
L4 및 L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7)알킬렌이고;
X5 및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O-이고;
p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7으로 표시되고,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8 또는 화학식 9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at00011
[화학식 8]
Figure pat00012
[화학식 9]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7 내지 9에서,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에서 선택되는 4가기이고;
L21은 단일결합, -O-, -C(=O)- 또는 -C(CF3)2- 이다.)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10에서,
L1 내지 L5, X1 내지 X6, A, B 및 p는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의 정의와 동일하고; n 및 m은 몰분율로 0<n<1, 0<m<1이고, n+m=1이다.)
상기 n 및 m의 몰분율은 0.4<n<0.8, 0.2<m<0.6이고, n+m=1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0 g/mol 내지 10,000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른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성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다관능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크산톤계 화합물, 포스핀계 화합물 및 옥심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중합체 50 내지 80중량%, 광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40중량%, 광개시제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은 경화막 및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별도의 에칭 공정 없이 포토 패터닝이 가능하며, 우수한 감도 및 현상성으로 정밀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광경화를 통해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경화막은 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기 때문에 유기발광소자에 적용되었을 때 광추출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활용하면, 추가적인 에칭 공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 단가 및 생산력 향상이 가능하며, 에칭 공정으로 인한 주변 소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채용한 유기발광소자는 광추출 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이 감소되고, 우수한 수명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포함한다"는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또는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CA-CB"는 "탄소수가 A 이상이고 B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중합체”는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고, 동종중합체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공중합체는 교호 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가지 공중합체, 가교 공중합체,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알킬”은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지방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헥실, 에틸헥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알킬렌”은 두 개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지방족 탄화 수소로부터 유도된 2가의 유기 라디칼로,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t-부틸렌, 펜틸렌, 헥실렌, 옥틸렌, 노닐렌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아릴렌”은 아릴에서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 유도된 2가 유기 라디칼을 의미한다. 상기 "아릴"은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탄소수 6 내지 60의 단환 또는 다환을 포함하며, 다른 치환기에 의하여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여기서, 다환이란 아릴이 다른 고리기와 직접 연결되거나 축합된 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다른 고리기란 아릴일 수도 있으나, 다른 종류의 고리기, 예컨대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고리 등일 수도 있다.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 바이페닐, 트리페닐, 나프틸, 안트릴, 크라이세닐, 페난트레닐, 페릴레닐, 플루오란테닐, 트리페닐레닐, 페날레닐, 파이레닐, 테트라세닐, 펜타세닐, 플루오레닐, 인데닐, 아세나프틸레닐, 플루오레닐 등이나 이들의 축합고리가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헤테로아릴렌"은 헤테로아릴에서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 유도된 2가 유기 라디칼을 의미한다. 상기 "헤테로아릴"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로서 N, O, S 및 S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가 탄소인 아릴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5 내지 6원 단환 헤테로아릴, 및 하나 이상의 벤젠환과 축합된 다환식 헤테로아릴이며, 부분적으로 포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헤테로아릴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된 형태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퓨릴, 티오펜일,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졸릴, 트리아진일, 피리딜, 피라진일, 피리미딘일, 피리다진일 등의 단환 헤테로아릴; 벤조퓨란일, 벤조티오펜일, 이소벤조퓨란일,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이소티아졸릴, 벤조이속사졸릴, 벤조옥사졸릴, 이소인돌릴, 인돌릴, 인다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디벤조퓨란일, 디벤조티오펜일, 카바졸일, 벤조카바졸일 등의 다환식 헤테로아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단일결합”은 해당 부위에 원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들어, X-Y-Z의 구조에서 Y가 단일결합인 경우에 X 및 Z는 직접 연결되어 X-Z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7
[화학식 2]
Figure pat00018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L1은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또는 (C3-C20)헤테로아릴렌이고;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또는 (C3-C20)헤테로아릴렌이며, 상기 알킬렌의 -CH2-는 -O-, -S-, -NH-, -C(=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될 수 있고;
L4 및 L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0)알킬렌이고;
X1 내지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NH-이고;
X5 및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O-이고;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4가기이고;
L은 단일결합, -O-, -C(=O)-, -S-, -SO2-,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C3-C20)헤테로아릴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상기 알킬렌은 (C1-C10)알킬 및 할로(C1-C10)알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할로(C1-C10)알킬이고;
p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a 내지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중합체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체는 상술된 구조적 특징을 가짐에 따라, 감도 및 알칼리 현상성이 우수하고 정밀한 패턴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경화 후에는 기판에 대한 밀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우수한 광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합체를 채용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정밀한 포토 패터닝이 가능하면서도 탁월한 광학 특성을 가지는 경화막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0)알킬렌일 수 있고, 상기 L2 및 L3의 알킬렌의 -CH2-는 -OC(=O)- 및 -C(=O)O-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3에서,
L1은 (C1-C20)알킬렌 또는 (C6-C20)아릴렌이고;
L11 내지 L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또는 (C3-C20)헤테로아릴렌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NH-이고;
p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A고리는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일 예로, 상기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에서 선택되는 4가기일 수 있다.
Figure pat00022
(상기 구조식에서,
L21 내지 L24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C(=O)-, -S-, -SO2- 또는 (C1-C7)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은 (C1-C7)알킬 및 할로(C1-C7)알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7)알킬 또는 할로(C1-C7)알킬이고;
a 내지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L21 및 L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C(=O)- 또는 -CRaRb-이고; L23 및 L2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S- 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알킬 또는 할로(C1-C3)알킬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알킬 또는 퍼플루오로(C1-C3)알킬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에서 선택되는 4가기일 수 있다.
Figure pat00023
일 예로,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X1 내지 X4는 광학 물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O-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화 후에 경화막의 황색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투과도를 더욱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24
[화학식 6]
Figure pat00025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L11 내지 L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7)알킬렌이고;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에서 선택되는 4가기이고;
L21은 단일결합, -O-, -C(=O)- 또는 -C(CF3)2- 이고;
L4 및 L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7)알킬렌이고;
X5 및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O-이고;
p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7으로 표시되고,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8 또는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7]
Figure pat00028
[화학식 8]
Figure pat00029
[화학식 9]
Figure pat00030
(상기 화학식 7 내지 9에서,
A고리 및 B고리를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에서 선택되는 4가기이고;
L21은 단일결합, -O-, -C(=O)- 또는 -C(CF3)2- 이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 따른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33
(상기 화학식 10에서,
L1 내지 L5, X1 내지 X6, A, B 및 p는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2에서의 정의와 동일하고; n 및 m은 몰분율로 0<n<1, 0<m<1이고, n+m=1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n 및 m의 몰분율은 0.4<n<0.8, 0.2<m<0.6 및 n+m=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 g/mol 이하, 또는 9,000 g/mol 이하, 또는 2,000 g/mol 내지 10,000 g/mol, 또는 3,000 g/mol 내지 9,000 g/mol, 또는 4,000 g/mol 내지 9,000 g/mol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중합체를 바인더로 포함함에 따라, 신뢰성 있는 패턴을 구현함과 동시에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지는 경화막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성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다관능 모노머일 수 있으며, 상기 다관능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기 및 비닐기에서 선택되는 중합성 관능기를 1개 이상 또는, 2 내지 8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광중합성 단량체를 더 포함함에 따라, 경화막의 내화학성 및 경화도를 더욱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해당 기술분야게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크산톤계 화합물, 포스핀계 화합물 및 옥심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광개시제는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티릴-s-트리아진, 2-p-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나프틸-6-트리아진, 2-(o-클로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o-클로로페닐)-4,5-디(m-메톡시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o-플루오르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o-메톡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o-메톡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4-디(p-메톡시 페닐)-5-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2,4-디메톡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p-메틸머캅토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바조일-3-일]-1-(O-아세틸옥심), 벤조페논,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 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2-1,2-비이미다졸, (E)-2-(아세톡시이미노)-1-(9,9-디에틸-9H-플루오렌-2-yl)부탄온, (E)-1-(9,9-디부틸-7-니트로-9H-플루오렌-2-yl)에탄온 O-아세틸 옥심, (Z)-2-(아세톡시이미노)-1-(9,9-다이에틸-9H-플루오렌-2-yl)프로판온, Basf사의 Irgacure 369, Irgacure 651, Irgacure 907, Darocur TPO, Irgacure 819, OXE-01, OXE-02, OXE-03, OXE-04, 아데카사의 N-1919, NCI-831 및 NCI-930로 이루어진 군 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것은 아니다.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유기 용매로서, 일 구체예로는, 메탄올 (methanol), 에탄올(ethanol) 등의 알코올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등의 에테르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ethyl ether acetate), 프로펠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ellen glycol propyl ether acetate),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butyl ether acetate) 등의 알킬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4-히드록시 4-메틸-2-펜타논 등의 케톤류; 및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프로필, 초산부틸, 2-히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 온산에틸, 히드록시초산메틸, 히드록시초산에틸, 히드록시초산부틸, 유산메틸, 유산에틸, 유산프로필, 유산부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메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프로필, 3-히드록시프로 피온산부틸, 2-히드록시-3-메틸부탄산메틸, 메톡시초산메틸, 메톡시초산에틸, 메톡시초산프로필, 메톡시초산부틸, 에톡시초산메틸, 에톡시초산에틸, 에톡시초산프로필, 에톡시초산부틸, 프로폭시초산메틸, 프로폭시초산에틸, 프로폭시초산프로필, 프로폭시초산부틸, 부톡시초산메틸, 부톡시초산에틸, 부톡시초산프로필, 부톡시초산부틸,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메톡시프로피온산부틸, 2-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플피온산에틸, 2-에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부틸, 2-부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부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부톡시프로피오산프로필, 2-부톡시프 로피온산부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에톡시프로피온산부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메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에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프로필, 3-프로폭시프로피온산부틸, 3-부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부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부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부톡시프로피온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는 목적하는 점도를 구현하기 위해 그 사용량이 제한되지는 않으나, 전체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3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80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고형분 함량은 용매를 제외한 것으로, 전체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 예를 들어, 15 내지 50중량%, 예를 들어, 15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된 수치 범위에서, 조성물의 안정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 즉 용도에서 더욱 현저함을 보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고형분을 기준으로 상기 중합체 30 내지 80중량%, 광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60중량%, 광개시제 1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 40 내지 70중량%, 광중합성 단량체 20 내지 50중량%, 광개시제 3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 40 내지 70중량%, 광중합성 단량체 20 내지 40중량%, 광개시제 5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일 양태에 따른 중합체와 광중합성 단량체를 1:0.01 내지 1:1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1,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0.8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임의의 첨가제는 실란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충진제, 경화제, 레벨링제, 밀착 조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응집방지제, 연쇄이동제, 용매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실란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및 용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은 경화막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른 경화막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의 제조방법은 당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 공지의 방법이라면 무엇이든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경화막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양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경화막은 기판 상에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프리베이크로 용매를 제거하여 도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막에 광 조사하여 광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포는 통상의 도포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 구체예로 스프레이법, 롤코터법, 회전도포법, 스핀코터법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프리베이크는 통상의 온도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일 구체예로 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간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광은 가시광선, 자외선, 원자외선, 전자선, 엑스선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도포막에 미리 준비된 패턴을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구체예로, 상기 자외선은 g선(파장: 436㎚), h선, i선(파장: 365㎚)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자외선의 조사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기판은 실리콘, 석영, 유리, 실리콘 웨이퍼, 고분자, 금속 및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기판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 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프로피오닐 셀룰오로스, 부티릴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필름 기판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양태에 따른 경화막의 제조방법은 광경화하는 단계 이후 현상액으로 현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하는 단계는 목적으로 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통해 광경화한 후 비노광부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액첨가법, 디핑법, 스프레이법 등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현상하는 단계는 기판을 임의의 각도로 기울여 현상액에 디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상액은 알칼리 수용액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 알칼리류; n-프로필아민 등의 1급 아민류; 디에틸아민, n-프로필디아민 등의 2급 아민류; 트리메틸아민, 메틸디에틸아민, 디메틸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의 3급 아민류;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테트라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등의 4급 암모늄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화합물의 수용액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상액은 상술된 알칼리성 화합물을 0.1 내지 10중량%로 함유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하는 단계 이후 초순수로 30 내지 300초간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 이후 오븐 등의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50 내지 300℃의 범위에서 열경화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의 범위에서 열경화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상기 경화막은 표시 소자, 반도체 소자, 혹은 광도파로재 등의 전자 소자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 소자나 유기 EL 표시 소자 등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판용 평탄화막, 터치 패널 센서 소자 등의 보호구막 또는 절연막,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고체 촬상 소자용 평탄화막,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패턴, 또는 광 반도체 소자 등의 광 도파로의 코어나 클래드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막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바람직하게는 100nm 내지 50㎛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500nm 내지 10㎛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산도
Waters 社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컬럼은 Shodex社 GF-801, GF-802, GF-804를, 표준시료는 Shodex社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를 테트라하이드라퓨란으로 온도 40 ℃, 흐름속도 (flow rate) 1.0 mL/min였다.
2) 감도
패턴이 형성된 경화막의 패턴 사이즈 및 감도를 측정하였다. 감도는 10um 홀(hole) 패턴의 사이즈를 히타치사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8010)을 사용하여 측정한 패턴 사이즈를 기준으로, 10마이크로 홀(hole)이 구현되는 에너지를 확인하였다. 단위는 mJ/cm2이다.
3) 굴절률
엘리소미터(M-2000, J.A.Woollam)를 이용하여,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경화막의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4) 현상속도
노광 후, 현상기(Apogee developer)를 이용하여, 상온(25℃)에서 2.38 wt%의 현상액(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으로 30초에서부터 현상을 시작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패턴이 나오는 시점을 확인하였다.
5) 테이퍼 앵글(Taper angle)
테이퍼 앵글은 패턴 테두리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고온 경화 후, 유기막과 패턴 내부가 이루는 내측 각도를 전자주사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중합체 A-1의 제조
Figure pat00034
교반기, 온도 조절 장치, 질소가스 주입 장치가 장착된 3구 플라스크에 질소를 주입하면서 메틸피롤리돈(NMP) 107 g, 트리에틸아민(TEA) 2.35 g,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7.45 g을 투입하여 교반 후, 4,4'-싸이오비스벤젠싸이올 8.12g을 투입하여 상온(25℃)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이후 9,9'-비스(4-하이드록시패닐)플로렌(Bisphenol FL) 4.87 g, 테트라뷰틸암모니움 브로마이드(TBAB)3.70 g, 4,4'-옥시디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ODPA) 13.64 g을 투입하여 110 ℃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식히고 물에 투입하여 침전물을 생성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여 물로 충분히 세정 후 50 ℃에서 감압하여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중합체 A-1을 제조하였다. GPC법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한 중합체 A-1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7,400 g/mol, 분산도는 1.78 이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조성으로 혼합하여 상온(25℃)서 용해시킨 후에, 0.45㎛ 필터로 여과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경화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유리 기판상에 스핀코터(TOP-8, 동아무역)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100 ℃의 핫플레이트에서 2분간 가열하여 3.5 ㎛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도막이 코팅된 기판을 다양한 크기의 패턴이 새겨진 마스크를 사용하여 캐논사의 노광기(MPA-600FA)를 이용하여 노광량의 변화를 주어가며 노광하였다. 그 후, 상온(25℃)에서 2.38 wt%의 현상액(테트라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으로 120초간 현상하여 비노광부를 용해시켜 제거하고, 순수로 60초간 세척하여 패턴을 형성한 후에, 230℃ 고온 오븐에서 30분간 베이킹하여 패턴이 형성된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그 물성은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유리 기판상에 스핀코터(TOP-8, 동아무역)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100℃의 핫플레이트에서 2분간 가열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도막이 코팅된 기판을 캐논사의 노광기(MPA-600FA)를 이용하여 50 mJ/cm2의 노광량으로 마스크 없이 전면에 광을 조사하였다. 이후 230℃ 고온 오븐에서 30분간 베이킹 하여 1.5㎛ 두께인,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그 물성은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중합체A-2의제조
Figure pat00035
상기 실시예 1에서, ODPA 대신에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릭 디언하이드라이드(BTDA) 14.17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체 A-2를 제조하였다. GPC법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한 중합체 A-2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900 g/mol, 분산도는 1.82 이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막의 제조
하기 표 1의 실시예 2에 해당하는 조성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2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그 물성은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중합체 A-3의 제조
Figure pat00036
상기 실시예 1에서, Bisphenol FL 대신에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6.10 g를 사용하고, ODPA 대신에 3,3'4,4'-바이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언하이드라이드(BPDA) 12.9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체 A-3를 제조하였다. GPC법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한 중합체 A-3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700 g/mol, 분산도는 1.96 이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막의 제조
하기 표 1의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조성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3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그 물성은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중합체 A-4의 제조
Figure pat00037
상기 실시예 3에서, BPDA 대신에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라이드(PMDA) 9.60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체 A-4를 제조하였다. GPC법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한 중합체 A-4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8,300 g/mol, 분산도는 1.69 이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막의 제조
하기 표 1의 실시예 4에 해당하는 조성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4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그 물성은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1의 비교예 1에 해당하는 조성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예 1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그 물성은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단위 (wt%)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알칼리
가용성
수지
A-1 20 20
A-2 20
A-3 20
A-4(a) 20
광중합성 단량체 (b) 10 10 10 10 10
광개시제 (c) 2.5 2.5 2.5 2.5 2.5
용매 (d)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100
(a): 카도계 바인더(KBR-101, 경인양행)
(b):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PHA, 일본화약)
(c): 옥심계 개시제 (Irgacure OXE-04, BASF)
(d):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sigma Aldrich)
감도
(mJ/cm2)
현상속도
(sec)
Taper angle
(°)
굴절률
실시예 1 30 50 43.3 1.689
실시예 2 40 40 37.8 1.665
실시예 3 30 70 30.1 1.675
실시예 4 40 50 25.5 1.688
비교예 1 50 90 14.2 1.588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경화막은 비교예의 경화막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에 비해 현상 속도가 빨라지고 Taper angle이 향상되어 더욱 정밀한 패턴이 구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정밀한 패턴의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경화막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at00038

    [화학식 2]
    Figure pat00039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L1은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또는 (C3-C20)헤테로아릴렌이고;
    L2 및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또는 (C3-C20)헤테로아릴렌이며, 상기 알킬렌의 -CH2-는 -O-, -S-, -NH-, -C(=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될 수 있고;
    L4 및 L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0)알킬렌이고;
    X1 내지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NH-이고;
    X5 및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O-이고;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4가기이고;
    L은 단일결합, -O-, -C(=O)-, -S-, -SO2-,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C3-C20)헤테로아릴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상기 알킬렌은 (C1-C10)알킬 및 할로(C1-C10)알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또는 할로(C1-C10)알킬이고;
    p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a 내지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인, 중합체.
    [화학식 3]
    Figure pat00042

    상기 화학식 3에서,
    L1은 (C1-C20)알킬렌 또는 (C6-C20)아릴렌이고;
    L11 내지 L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알킬렌, (C6-C20)아릴렌 또는 (C3-C20)헤테로아릴렌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NH-이고;
    p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A고리는 제 1항의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에서 선택되는 4가기인, 중합체.
    Figure pat00043

    상기 구조식에서,
    L21 내지 L24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C(=O)-, -S-, -SO2- 또는 (C1-C7)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은 (C1-C7)알킬 및 할로(C1-C7)알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7)알킬 또는 할로(C1-C7)알킬이고;
    a 내지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4. 제 3항에 있어서,
    L21 및 L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C(=O)- 또는 -CRaRb-이고;
    L23 및 L2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S- 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알킬 또는 할로(C1-C3)알킬인, 중합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것인, 중합체.
    [화학식 5]
    Figure pat00044

    [화학식 6]
    Figure pat00045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L11 내지 L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7)알킬렌이고;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에서 선택되는 4가기이고;
    L21은 단일결합, -O-, -C(=O)- 또는 -C(CF3)2- 이고;
    L4 및 L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7)알킬렌이고;
    X5 및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O-이고;
    p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7으로 표시되고,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8 또는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것인, 중합체.
    [화학식 7]
    Figure pat00048

    [화학식 8]
    Figure pat00049

    [화학식 9]
    Figure pat00050

    상기 화학식 7 내지 9에서,
    A고리 및 B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에서 선택되는 4가기이고;
    L21은 단일결합, -O-, -C(=O)- 또는 -C(CF3)2- 이다.
  7.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중합체.
    [화학식 10]
    Figure pat00053

    상기 화학식 10에서,
    L1 내지 L5, X1 내지 X6, A, B 및 p는 상기 제 1항의 화학식 1 및 화학식2에서의 정의와 동일하고;
    n 및 m은 몰분율로 0<n<1, 0<m<1이고, n+m=1이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n 및 m의 몰분율은 0.4<n<0.8, 0.2<m<0.6이고, n+m=1인, 중합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0 g/mol 내지 10,000 g/mol인, 중합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
  11. 제 1항 내지 제 9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광중합성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다관능 모노머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크산톤계 화합물, 포스핀계 화합물 및 옥심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15. 제 12항에 있어서,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중합체 50 내지 80중량%, 광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40중량%, 광개시제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16. 제 11항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은, 경화막.
  17. 제 16항의 경화막을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KR1020220111828A 2022-09-05 2022-09-05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240033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28A KR20240033328A (ko) 2022-09-05 2022-09-05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28A KR20240033328A (ko) 2022-09-05 2022-09-05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328A true KR20240033328A (ko) 2024-03-12

Family

ID=9030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828A KR20240033328A (ko) 2022-09-05 2022-09-05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3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533A (ko) 2019-07-30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필름, 및 적층 필름 제조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533A (ko) 2019-07-30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필름, 및 적층 필름 제조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778B1 (ko) 착색 조성물, 경화막, 컬러 필터, 패턴 형성 방법,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고체 촬상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943339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컬러 필터,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고체 촬상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20120229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의 형성 방법, 경화막, 유기 el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TWI613513B (zh) 感光性樹脂組成物、使用其的硬化膜的製造方法、硬化膜、液晶顯示裝置以及有機電致發光顯示裝置
CN107003604B (zh) 感光性树脂组成物、彩色滤光片的制造方法、彩色滤光片以及液晶显示装置
CN103885293B (zh) 感光性树脂组合物和由其制成的绝缘层
JP2013534326A (ja) ネガティブ感光性樹脂組成物
TWI481963B (zh) 用於液晶顯示元件之硬化膜形成用組成物及使用它之硬化膜形成方法
TWI665518B (zh) 負型感光性樹脂組合物、使用該組合物的光固化圖案及圖像顯示裝置
KR20120056938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절연막 및 그 전자부품
KR20100119722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경화막 형성 방법
KR20180061572A (ko) 네거티브 감광성 수지 조성물, 필름 및 전자장치
KR102539889B1 (ko) 화학증폭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절연막
KR102635564B1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절연막
KR102108848B1 (ko) 감광성 폴리아믹산 유도체 수지 및 내열성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240033328A (ko)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2331157B1 (ko)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230174076A (ko)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70037196A (ko) 유기 절연막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WO2020070924A1 (ja) 感光性樹脂組成物、パターン硬化物の製造方法、硬化物、層間絶縁膜、カバーコート層、表面保護膜及び電子部品
KR100936998B1 (ko) 감광성 폴리실세스퀴옥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박막의 패턴 형성 방법
KR102176497B1 (ko) 아미드기 함유 카도계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240025223A (ko)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240013372A (ko)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230021880A (ko)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