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788A -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788A
KR20240032788A KR1020240029117A KR20240029117A KR20240032788A KR 20240032788 A KR20240032788 A KR 20240032788A KR 1020240029117 A KR1020240029117 A KR 1020240029117A KR 20240029117 A KR20240029117 A KR 20240029117A KR 20240032788 A KR20240032788 A KR 2024003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ible
sliding sleeve
release actuator
disposed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싱 쑨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3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3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adjustment or conversio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4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daptable for different users, e.g. by means of pivoting elements

Abstract

유모차는 유모차 프레임, 유모차 프레임으로 선회된 가역 부재 및 가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가역 메커니즘은 가역 부재를 상이한 위치에서 잠그고, 슬라이딩 슬리브, 가역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된 해제 액추에이터, 및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가역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재킷하고 임의의 고정 부분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해제 액추에이터와 함께 이동하거나 고정 부분을 해제하기 위해 직접 작동되어 가역 부재가 다른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해제 액추에이터가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제 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핸들 반전 작업을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역 메커니즘은 구조 설계가 단순하다.

Description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STROLLER AND REVERSIBLE MECHANISM THEREOF}
본 발명은 유모차 및 그 가역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핸들 반전 작동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역 메커니즘 및 그 가역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급속하게 발전한 경제 및 기술은 사람들에게 유아용 캐리어(예를 들어, 유모차 또는 유아용 요람)와 같은 다양한 소비재를 제공한다. 유모차는 성인이 한 손으로 작동할 수 있어 유아를 데리고 나갈 때 부담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유아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는 유아 돌보기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유모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향상됨에 따라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유모차 디자인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가역 유모차는 다음과 같은 장점으로 인해 유아 돌보기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1. 가역 유모차는 그 위에 앉은 유아를 강한 빛이나 강한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앞쪽을 향한 위치에서 뒤쪽을 향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2. 유아는 보호자가 가역 유모차를 밀 때 보호자의 얼굴을 보고 불안감을 줄일 수 있으며; 3. 가역 기능은 유아의 시야를 넓힐 수 있다.
가역 유모차는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핸들 가역 타입이고; 다른 하나는 시트 가역 타입이다. 가역 핸들이 있는 유모차는 가역 시트가 있는 유모차보다 작동이 편리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더 인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역 핸들이 있는 종래의 유모차는 사용자가 핸들 하단에 배치된 슬라이딩 슬리브를 작동시켜 핸들을 해제한 다음 핸들 상단을 회전시켜 핸들 반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핸들 반전 과정은 핸들을 해제한 다음 반전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사용자는 핸들 반전 작동을 빨리 완료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모차의 반전 작동을 빠르고 편리하게 하는 유모차 및 그 가역 메커니즘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유모차의 핸들 반전 작동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역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모차의 핸들 반전 작동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역 메커니즘이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역 메커니즘은 유모차에 배치된다. 유모차는 유모차 프레임과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선회하는 가역 부재(reversible member)를 포함한다. 가역 메커니즘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가역 부재를 잠그고, 앵커링 부분(anchoring portion), 슬라이딩 슬리브(sliding sleeve), 및 해제 핸들(release handle)을 포함한다. 앵커링 부분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상기 가역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피복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가역 부재를 잠그기 위해 앵커링 부분 중 임의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해제 액추에이터는 가역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해제 액추에이터의 이동에 따라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거나 앵커링 부분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해 직접 작동된다.
바람직하게, 가역 메커니즘은 가역 부재에 배치된 연결 부재(linking member)를 더 포함하고,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는 해제 액추에이터에 연결되고,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슬라이딩 슬리브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가역 메커니즘은 가역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되는 구동 부재(driving member)를 더 포함하고,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구동 부재에 연결된다. 해제 액추에이터가 작동될 때, 해제 액추에이터는 슬라이딩 슬리브를 구동하여 앵커링 부분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해 연결 부재를 통해 구동 부재를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 해제 액추에이터는 가역 부재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가역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구동 부재는 가역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슬리브는 가역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역 부재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가역 메커니즘은 고정 핀(fixing pin)을 더 포함하고, 고정 핀은 연결 부재의 제1 단부 및 해제 액추에이터에 고정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가역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고정 핀은 제1 가이드 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가역 메커니즘은 가역 부재에 배치된 탄성 부재(elastic member)를 더 포함하고, 탄성 부재는 가역 부재와 구동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부재는 앵커링 부분과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슬리브를 계속 구동하기 위해 구동 부재를 편향시킨다.
바람직하게,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에 있고 가역 부재와 구동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는 탄성 부재를 통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구동 부재는 슬라이딩 슬리브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구동 부재는 관통하는 핀을 통해 슬라이딩 슬리브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핀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한하기 위한 제2 가이드 슬롯이 가역 부재 상에 형성되고, 핀은 제2 가이드 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슬리브 및 앵커링 부분 중 하나는 돌출부(protrusion)를 가지고, 슬라이딩 슬리브 및 앵커링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오목한 구조(recessed structure)를 가지며, 돌출부는 오목한 구조로 슬라이딩하여 앵커링 부분에 슬라이딩 슬리브를 잠그고, 돌출부는 오목한 구조에서 분리되어 앵커링 부분으로부터 슬라이딩 슬리브를 해제한다.
바람직하게, 오목한 구조는 호 모양의 홈(arc-shaped groove)이고, 돌출부는 호 모양의 홈과 결합하는 볼록한 곡면(convex curved surface)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는 강성 링크(rigid link) 또는 유연한 강철 와이어(flexible steel wire)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모차는 유모차 프레임, 가역 부재 및 전술한 가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가역 메커니즘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가역 부재를 잠근다.
바람직하게, 유모차는 가역 부재 또는 유모차 프레임 상에 배치된 피벗 샤프트(pivot shaft)를 더 포함하고, 가역 부재는 피벗 샤프트를 통해 유모차 프레임에 피벗 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가역 부재는 핸들이다.
바람직하게, 가역 부재 상에 회피 구멍(avoiding hole)이 형성되고, 회피 구멍은 개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가역 부재 상에 수용 공동(containing cavity)이 형성되고, 구동 부재 및 연결 부재는 수용 공동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유모차는 유모차 프레임,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선회하는 가역 부재 및 가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가역 부재는 가역 메커니즘을 통해 유모차 프레임의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유모차의 핸들 반전 작동이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슬리브가 앵커링 부분과 맞물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전술한 설계를 통해, 해제 액추에이터가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되고, 해제 액추에이터 및 슬라이딩 슬리브가 가역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앵커링 부분이 유모차 프레임의 적어도 2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유모차 프레임의 다른 위치에서 가역 부재를 잠그기 위해 앵커링 부분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해제 액추에이터를 작동한 후, 해제 액추에이터의 이동으로 슬라이딩 슬리브를 앵커링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동할 수 있으므로 가역 부재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어서, 가역 부재를 반전 위치로 회전시킨 후, 가역 부재를 유모차 프레임의 반전 위치에서 잠글 수 있다. 요약하면, 해제 액추에이터가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해제 액추에이터를 작동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유모차의 핸들 반전 작동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역 메커니즘은 단순한 구조 설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다양한 도면 및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에 당업자에게 의심의 여지가 없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2는 다른 시야각에서 도 1의 유모차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유모차 프레임을 숨긴 후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유모차의 핸들과 가역 메커니즘의 조립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핸들 및 가역 메커니즘의 일부를 숨긴 후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가역 메커니즘와 핸들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는 유모차 프레임, 가역 부재 및 가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가역 부재는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다른 위치에서 잠길 수 있다. 가역 메커니즘은 앵커링 부분, 해제 액추에이터 및 슬라이딩 슬리브를 포함한다. 앵커링 부분은 유모차 프레임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가역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재킷으로 덮는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다른 위치에서 가역 부재를 잠그기 위해 앵커링 부분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해제 액추에이터는 가역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해제 액추에이터의 이동에 따라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거나 앵커링 부분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해 직접 작동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즉, 가역 메커니즘이 가역 부재, 슬라이딩 슬리브 및 앵커링 부분을 포함하고 유모차에 가역 메커니즘이 배치된 모든 디자인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유모차(100)는 유모차 프레임(20),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선회하는 가역 부재 및 가역 메커니즘(30)을 포함한다. 가역 부재는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다른 위치에서 잠길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역 부재는 핸들(10)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유모차(100)는 피벗 샤프트(40)를 더 포함한다. 피벗 샤프트(40)는 핸들(10)에 배치되어 핸들(10)을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피벗 샤프트(40)는 유모차 프레임(20) 상에 배치될 수 있거나, 피벗 샤프트(40)는 핸들(10) 및 유모차 프레임(20)을 통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핸들(10)이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선회 가능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핸들(10)은 조인트 구조체(101), 조인트 구조체(101)의 제1 단부에 연결된 U자형 튜브(102) 및 조인트 구조체(101)의 제2 단부에 연결된 직선 튜브(straight tube)(10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직선 튜브(103)는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선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선 튜브(103)의 하단은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선회한다. 조인트 구조체(101)는 상부 조인트(101a) 및 하부 조인트(101b)를 포함한다. 상부 조인트(101a)는 하부 조인트(101b)에 대해 선회한다. 상부 조인트(101a)가 하부 조인트(101b)에 대해 선회하는 위치에 미세 조정 버튼(fine-adjusting button)(101c)이 배치된다. 미세 조정 버튼(101c)은 상부 조인트(101a)가 하부 조인트(101b)에 대해 약간 회전 가능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U자형 튜브(102)가 상부 조인트(101a)에 삽입되고 직선 튜브(103)가 하부 조인트(101b)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세 조정 버튼(101c)을 통해 U자형 튜브(102) 및 직선 튜브(103)에 대한 약간의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미세 조정 버튼(101c)을 누른 후 U자형 튜브(102)를 직선 튜브(103)에 대해 약간 회전시켜 유모차(100)의 작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상부 조인트(101a)는 외부 기어(1011)를 갖고, 하부 조인트(101b)는 내부 기어(1012)를 갖는다. 내부 기어(1012)는 외부 기어(1011)와 맞물리어 상부 조인트(101a)가 하부 조인트(101b)에 대해 선회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기어(1012)는 상부 조인트(101a)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 조인트(101b)에 배치된 외부 기어(1011)와 맞물리어 상부 조인트(101a)를 하부 조인트(101b)에 피벗 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동(103a)이 핸들(10) 상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 공동(103a)은 가역 메커니즘(30)의 일부 구성 요소를 수납하기 위해 직선 튜브(103) 상에 형성되어 공간 절약 효과를 달성하고 유모차(100)의 외관을 콤팩트하게 한다.
도 3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가역 메커니즘(30)은 해제 액추에이터(1), 구동 부재(2), 연결 부재(3), 슬라이딩 슬리브(4), 앵커링 부분(5) 및 탄성 부재(6)를 포함한다. 해제 액추에이터(1)는 핸들(10)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해제 액추에이터(1)는 직선 튜브(103)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어, 해제 액추에이터(1)의 작동과 핸들(10)의 회전이 동시에 수행되어 유모차(100)의 반전 작동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구동 부재(2)는 핸들(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 부재(3)는 핸들(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2)는 수용 공동(103a)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 부재(3)는 수용 공동(containing cavity)(103a) 내에 배치된다. 연결 부재(3)의 제1 단부는 해제 액추에이터(1)에 연결되고, 연결 부재(3)의 제2 단부는 구동 부재(2)에 연결된다. 슬라이딩 슬리브(4)는 핸들(10)을 이동 가능하게 피복하고 구동 부재(2)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슬리브(4)는 직선 튜브(103)의 하단을 이동 가능하게 피복한다. 앵커링 부분(5)은 유모차 프레임(20)의 서로 다른 두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슬라이딩 슬리브(4)는 유모차 프레임(20)의 다른 위치에서 핸들(10)을 잠그는 앵커링 부분(5)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다단계 가역 기능을 제공하도록 핸들(10)을 유모차 프레임(20)과 관련된 복수의 가역 위치로 전환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 유모차 프레임(20)의 3개 또는 4개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앵커링 부분(5)이 배치되는 설계를 채택할 수 있다. 탄성 부재(6)는 수용 공동(103a) 내에 위치되고 수용 공동(103a)의 벽(103b)과 구동 부재(2)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6)는 앵커링 부분(5)과 맞물릴 슬라이딩 슬리브(4)를 계속 구동하도록 구동 부재(2)를 편향시킨다.
슬라이딩 슬리브(4)는 연결 부재(3)를 통해 구동 부재(2)를 이동시키도록 해제 액추에이터(1)를 작동시킴으로써 구동될 수 있거나, 앵커링 부분(5)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해 직접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유모차(100)는 사용자가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핸들(10)을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앵커링 부분(5)으로부터 슬라이딩 슬리브(4)를 분리하도록 해제 액추에이터(1) 또는 슬라이딩 슬리브(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유모차의 작동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전술한 해제 액추에이터(1)를 작동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앵커링 부분(5)을 해제한 후 신속하게 핸들(10)을 작동할 수 있게 하여(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선 튜브(103)를 잡을 수 있다), 전술한 해제 및 가역 작동의 수행 시간을 줄이고 핸들 반전 작동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완료한다. 해제 액추에이터(1), 구동 부재(2) 및 슬라이딩 슬리브(4)는 핸들(1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2) 및 연결 부재(3)는 수용 공동(103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해제 액추에이터(1)는 연결 부재(3)를 핸들(10)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핸들(10)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고, 연결 부재(3)의 슬라이딩은 슬라이딩 슬리브(4)를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해 구동 부재(2)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3)는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강철 와이어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가 강성 링크 일수 있음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가역 메커니즘(30)은 슬라이딩 슬리브(4)와 앵커링 부분(5)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해 해제 액추에이터(1)와 구동 부재(2) 사이의 장거리 연결을 달성하는 데 연결 부재(3)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해제 액추에이터(1)는 유모차(100)의 핸들 반전 작동을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하는 데 작동하기 쉬운 위치(예를 들어, 핸들(10)의 상단 또는 상단)에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가역 메커니즘(30)은 고정 핀(7)을 더 포함한다. 고정 핀(7)은 연결 부재(3)의 제1 단부와 해제 액추에이터(1)에 고정 연결된다(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고정 핀(7)은 다른 실시예에서 해제 액추에이터(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직선 튜브(103)는 고정 핀(7)의 이동을 유도하고 제한하는 직선 튜브(1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롯(1031)을 구비한다. 고정 핀(7)은 제1 가이드 슬롯(1031)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피 구멍(11)은 해제 액추에이터(1) 상에 형성되고 개구(111)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해제 구(1)가 슬라이딩할 때, 회피 구멍(11)과 개구(111)는 해제 액추에이터(1)가 하부 조인트(101b)와 직선 튜브(103)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 부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해제 액추에이터(1)가 부드럽게 슬라이딩하도록 하고 핸들(10)의 구조적 설계를 합리적으로 만든다. 또한, 회피 구멍(11)은 해제 액추에이터(1)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한하기 위한 긴 구멍이다. 사용자가 해제 액추에이터(1)를 작동할 때, 해제 액추에이터(1)는 고정 핀(7)이 제1 가이드 슬롯(1031)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연결 부재(3)는 고정 핀(7)에 의해 구동되어 수용 공동(103a) 내에서 슬라이딩하므로 연결 부재(3)의 제2 단부에 연결된 구동 부재(2)가 구동되어 핸들(10)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앵커링 부분(5)으로부터 슬라이딩 슬리브(4)를 해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해제 액추에이터(1)는 조작부(operating portion)(12)와 슬라이딩 보드(sliding board)(1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보드(13)의 단부는 조작부(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조작부(12)는 슬라이딩 보드(13)로부터 돌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부(12)를 편리하게 당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피 구멍(11)은 슬라이딩 보드(13) 상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제 액추에이터(1)는 직선 튜브(103)와 하부 조인트(101b)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설치 과정에서, 해제 액추에이터(1)가 고정 핀(7)과 함께 직선 튜브(103) 상에 위치한 후 직선 튜브(103)가 하부 조인트(101b)에 삽입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6)는 직선 튜브(103)와 구동 부재(2) 사이에 배치되고 압축된 상태에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6)의 일단은 수용 공동(103a)의 벽(103b)에 접하고, 탄성 부재(6)의 타단은 구동 부재(2)에 접한다(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탄성 부재(6)의 타단이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설계를 채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6)는 코일 스프링이고, 연결 부재(3)는 코일 스프링을 관통하여 구동 부재(2)에 연결된다(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연결 부재(3)가 강성 링크이고 강성 링크는 코일 스프링을 관통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2)에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해제 액추에이터(1)가 해제될 때, 탄성 부재(6)의 탄성력은 구동 부재(2)를 핸들(10)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구동하여 해제 액추에이터(1)를 연결 부재(3)를 통해 그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동시에, 구동 부재(2)의 슬라이딩은 슬라이딩 슬리브(4)가 앵커링 부분(5)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역 메커니즘(30)은 자동 복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탄성 부재(6)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두 개의 자기 구조 사이의 자기 반발력을 통해 자동 복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자기적으로 반발하는 2개의 자기 구조 중 하나가 수용 공동(103a)의 벽(103b)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구동 부재(2)에 고정되는 설계를 채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구동 부재(2)는 슬라이딩 슬리브(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구동 부재(2)는 슬라이딩 슬리브(4)를 앵커링 부분(5)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슬라이딩된다. 핀(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은 구동 부재(2) 및 슬라이딩 슬리브(4)를 관통하여 구동 부재(2)를 슬라이딩 슬리브(4)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슬롯(1032)은 핀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한하기 위해 핸들(10)에 형성된다. 핀은 구동 부재(2) 및 슬라이딩 슬리브(4)가 핸들(10)에 대해 소정 범위를 벗어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가이드 슬롯(1032)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 슬리브(4)가 구동 부재(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구동 부재(2)의 슬라이딩은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슬리브(4)가 앵커링 부분(5)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구동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부재(2)에 경사 슬롯(slanted slot)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슬리브(4)는 경사 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필러(pillar)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동 부재(2)가 슬라이딩될 때, 경사 슬롯은 필러를 밀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슬라이딩 슬리브(4)를 앵커링 부분(5)으로부터 해제하도록 슬라이딩 슬리브(4)가 구동 부재(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앵커링 부분(5)은 돌출부(9a)를 갖고, 슬라이딩 슬리브(4)는 오목한 구조(9b)를 갖는다. 돌출부(9a)는 슬라이딩 슬리브(4) 및 앵커링 부분(5)을 잠그기 위해 오목한 구조(9b)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 슬리브(4) 및 앵커링 부분(5)을 해제하기 위해 오목한 구조(9b)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슬리브(4)는 돌출부(9a)를 갖고, 앵커링 부분(5)은 오목한 구조(9b)를 가질 수 있다. 오목한 구조(9b)는 호 모양의 홈(arc-shaped groove)일 수 있고 돌출부(9b)는 호 모양의 홈과 정합하는 돌출된 곡면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돌출된 곡면과 호 모양의 홈 사이의 맞물림을 통해, 본 발명은 돌출부(9a)와 오목한 구조(9b)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슬라이딩 슬리브(4)와 앵커링 부분(5)의 마모를 방지하므로 본 발명의 가역 메커니즘(30)의 서비스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역 메커니즘(100)의 가역 설계는 전술한 도면과 함께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사용자가 핸들(10)의 반전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핸들(10)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해제 액추에이터(1)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전술한 과정에서, 구동 부재(2)는 연결 부재(3)에 의해 핸들(10)에 대해 슬라이딩되므로 슬라이딩 슬리브(4)를 앵커링 부분(5)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슬라이딩 슬리브(4)가 앵커링 부분(5)으로부터 분리된 후, 핸들(10)은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핸들(10)을 반전 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해제 액추에이터(1)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6)는 구동 부재(2), 해제 액추에이터(1) 및 슬라이딩 슬리브(4)를 그 원래 위치로 되돌릴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슬리브(4)가 반전 위치에서 앵커링 부분(5)과 맞물리게 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유모차(100)는 유모차 프레임(20),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선회하는 가역 부재 및 가역 메커니즘(30)을 포함한다. 가역 부재는 유모차의 가역 메커니즘(30)을 통해 프레임(20) 상의 다른 위치에서 잠길 수 있으므로, 유모차(100)의 핸들 반전 작동을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목적을 달성한다. 슬라이딩 슬리브(4)가 앵커링 부분(5)과 맞물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전술한 설계를 통해, 해제 액추에이터(1)는 슬라이딩 슬리브(4)와 연결되고, 해제 액추에이터(1) 및 슬라이딩 슬리브(4)는 가역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앵커링 부분(5)은 유모차 프레임(20)의 적어도 2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슬리브(4)는 유모차 프레임(20)의 다른 위치에서 가역 부재를 잠그기 위해 앵커링 부분(5)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해제 액추에이터(1)를 작동시킨 후, 해제 액추에이터(1)의 이동으로 슬라이딩 슬리브(4)가 앵커링 부분(5)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동할 수 있으므로 가역 부재가 유모차 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어서, 가역 부재를 반전 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가역 부재는 유모차 프레임(20) 상의 반전 위치에서 잠길 수 있다. 요약하면, 해제 액추에이터(1)가 슬라이딩 슬리브(4)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해제 액추에이터(1)를 작동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유모차(100)의 핸들 반전 작동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역 메커니즘(30)은 단순한 구조 설계를 갖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장치 및 방법의 수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시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와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유모차에 배치된 가역 메커니즘(reversible mechanism)으로서,
    상기 유모차는 유모차 프레임과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선회하는 가역 부재(reversible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가역 메커니즘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가역 부재를 잠그고,
    상기 가역 메커니즘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앵커링 부분(anchoring portion);
    상기 가역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피복하는 슬라이딩 슬리브(sliding sleeve) -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는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가역 부재를 잠그기 위해 앵커링 부분 중 임의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림 - ; 및
    상기 가역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되는 해제 액추에이터(release actuator) -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는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의 이동에 따라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거나 상기 앵커링 부분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해 직접 작동됨 - ;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역 부재는 조인트 구조체, 상기 조인트 구조체의 제1 단부에 연결된 U자형 튜브 및 상기 조인트 구조체의 제2 단부에 연결된 직선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U자형 튜브는 상기 직선 튜브에 대해 회전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는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는 상기 직선 튜브 및 상기 조인트 구조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역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구조체는 상기 U자형 튜브에 연결된 상부 조인트 및 상기 직선 튜브에 연결된 하부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조인트는 상기 하부 조인트에 대해 선회하는, 가역 메커니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는 상기 직선 튜브 및 상기 하부 조인트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역 메커니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 및 상기 U자형 튜브에 연결된 상기 상부 조인트의 일단은, 상기 상부 조인트가 상기 가역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조인트에 대해 선회하는 위치의 두 측면에 배치되는, 가역 메커니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는 조작부와 슬라이딩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딩 보드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보드는 상기 조인트 구조체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가역 메커니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 메커니즘은 상기 가역 부재에 배치된 연결 부재(linking memb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에 연결되는, 가역 메커니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 메커니즘은 고정 핀(fixing pin)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핀은 상기 연결 부재의 제1 단부 및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에 고정 연결되는, 가역 메커니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직선 튜브의 제1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핀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역 메커니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 메커니즘은,
    상기 가역 부재에 배치된 연결 부재(linking member) 및
    상기 가역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되는 구동 부재(driving memb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구동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가 작동될 때,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는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를 구동하여 상기 앵커링 부분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해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역 메커니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관통하는 핀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가역 메커니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한하기 위한 제2 가이드 슬롯이 상기 가역 부재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역 메커니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및 상기 앵커링 부분 중 하나는 돌출부(protrusion)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및 상기 앵커링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오목한 구조(recessed structure)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한 구조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앵커링 부분에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를 잠그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한 구조에서 분리되어 상기 앵커링 부분으로부터 슬라이딩 슬리브를 해제하고,
    상기 오목한 구조는 호 모양의 홈(arc-shaped groove)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호 모양의 홈과 결합하는 볼록한 곡면(convex curved surface)을 가지는, 가역 메커니즘.
  13. 유모차로서,
    유모차 프레임;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선회하는 가역 부재; 및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가역 부재를 잠그는 가역 메커니즘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역 메커니즘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앵커링 부분;
    상기 가역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피복하는 슬라이딩 슬리브 -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는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가역 부재를 잠그기 위해 앵커링 부분 중 임의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림 - ; 및
    상기 가역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되는 해제 액추에이터 -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는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의 이동에 따라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거나 상기 앵커링 부분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해 직접 작동됨 - ;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역 부재는 조인트 구조체, 상기 조인트 구조체의 제1 단부에 연결된 U자형 튜브 및 상기 조인트 구조체의 제2 단부에 연결된 직선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U자형 튜브는 상기 직선 튜브에 대해 회전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는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는 상기 직선 튜브 및 상기 조인트 구조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모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상기 가역 부재 또는 상기 유모차 프레임 상에 배치된 피벗 샤프트(pivot shaft)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역 부재는 상기 피벗 샤프트를 통해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피벗 식으로 연결되는, 유모차.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 메커니즘은 상기 가역 부재에 배치된 연결 부재(linking member) 및 상기 가역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와 연결되는 구동 부재(driving memb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해제 액추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구동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가역 부재 상에 수용 공동(containing cavity)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수용 공동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모차.
KR1020240029117A 2019-09-11 2024-02-28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KR20240032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862582.7A CN112477970A (zh) 2019-09-11 2019-09-11 婴幼儿推车及其换向机构
CN201910862582.7 2019-09-11
KR1020220123058A KR102643730B1 (ko) 2019-09-11 2022-09-28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058A Division KR102643730B1 (ko) 2019-09-11 2022-09-28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788A true KR20240032788A (ko) 2024-03-12

Family

ID=7247342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135A KR102450366B1 (ko) 2019-09-11 2020-09-10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KR1020220123058A KR102643730B1 (ko) 2019-09-11 2022-09-28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KR1020240029117A KR20240032788A (ko) 2019-09-11 2024-02-28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135A KR102450366B1 (ko) 2019-09-11 2020-09-10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KR1020220123058A KR102643730B1 (ko) 2019-09-11 2022-09-28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8994B2 (ko)
EP (2) EP3792146B1 (ko)
JP (1) JP6992139B2 (ko)
KR (3) KR102450366B1 (ko)
CN (1) CN112477970A (ko)
TW (1) TWI7550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8730B1 (en) * 2020-11-30 2024-01-23 Kurt Musshorn Attachable handle for a s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671U (ja) 1984-02-29 1985-09-14 山水工業有限会社 ベビ−カ−の押手ハンドル
JPH085388B2 (ja) 1986-06-16 1996-01-24 アツ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押棒
CA1316952C (en) 1986-08-22 1993-04-27 Shinroku Nakao Foldable baby carriage
ES2043828T3 (es) * 1987-07-28 1994-01-01 Aprica Kassai Kk Coche de ni¦o.
JPH0157961U (ko) 1987-09-04 1989-04-11
JP2556491Y2 (ja) 1989-12-20 1997-12-03 象印ベビー 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押棒
US5056805A (en) * 1990-06-05 1991-10-15 Wang Chia Ho Stroller
GB2319227B (en) 1996-11-11 2000-09-27 Huang Li Chu Chen Foldable mechanisim for a stroller
US6116624A (en) 1998-04-01 2000-09-12 Hu; Stephen Direction-chang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the handle of a baby stroller
JP2000159121A (ja) 1998-11-26 2000-06-13 Aprica Kassai Inc 乳母車
CN2474787Y (zh) * 2000-11-10 2002-01-30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挠性传动装置
CN2459246Y (zh) * 2001-01-09 2001-11-14 英属维京群岛商育丰有限公司 手把管关节
US6508605B1 (en) * 2001-09-25 2003-01-21 Pao-Hsien Cheng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stroller handle
TWM290120U (en) * 2005-08-26 2006-05-01 Link Treasure Ltd Direction-change structure of stroller seat
US8210563B2 (en) * 2008-12-19 2012-07-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Reversible stroller handle
JP5889551B2 (ja) 2011-06-27 2016-03-22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母車
US8485547B2 (en) * 2011-12-07 2013-07-16 Wei Guan Products Co., Ltd Stroller having shock-absorbing function
JP6223121B2 (ja) * 2013-10-25 2017-11-01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可能な乳母車
CN105329304B (zh) 2014-06-06 2017-12-08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载具
CN205022660U (zh) * 2015-08-26 2016-02-10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推车及其刹车机构
US10106185B2 (en) * 2016-08-10 2018-10-23 Diono, Llc Collapsible stroller with trigger handle
CN106828581A (zh) * 2017-03-24 2017-06-13 宁波神马集团有限公司 推把杆可换向的儿童推车
CN207311563U (zh) 2017-10-09 2018-05-04 湖北华野日用制品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可折叠儿童推车
CN207889797U (zh) 2018-01-18 2018-09-21 湖北洋田塑料制品有限公司 换向婴儿推车
CN208498573U (zh) * 2018-06-26 2019-02-15 玛格罗兰(香港)有限公司 一种折叠车车架
CN114435455A (zh) * 2020-11-04 2022-05-06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其车手换向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38994B2 (en) 2024-03-26
KR102450366B1 (ko) 2022-09-30
KR102643730B1 (ko) 2024-03-04
JP2021041922A (ja) 2021-03-18
EP3792146A1 (en) 2021-03-17
TWI755058B (zh) 2022-02-11
KR20220136324A (ko) 2022-10-07
US20210070345A1 (en) 2021-03-11
CN112477970A (zh) 2021-03-12
KR20210031624A (ko) 2021-03-22
JP6992139B2 (ja) 2022-01-13
TW202110684A (zh) 2021-03-16
EP4273022A1 (en) 2023-11-08
EP3792146B1 (en)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32788A (ko) 유모차 및 가역 메커니즘
EP0595096B1 (en) Locking/unlocking manipulation mechanism disposed on the handlebars of baby carriage
US7712765B2 (en) Stroller having a single folding shaft
KR20200144571A (ko)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US11696650B2 (en) Child carrier
JP202353329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安全機構
JP2006505441A (ja) 自動車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シフト指令を伝達するためのシフト装置
CN112550419B (zh) 扶手收合机构及具有该机构的婴儿车
CN216140048U (zh) 儿童推车
JP3377139B2 (ja)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CN111483508B (zh) 童车及其童车载体转换机构
CN210502813U (zh) 儿童推车的解锁装置、儿童用品的解锁装置及儿童推车
CN110171458B (zh) 儿童推车的解锁装置、儿童用品的解锁装置及儿童推车
JPH0671887B2 (ja) 乳母車
US20240092236A1 (en) Infant car seat anchoring assembly with retractable foot
TW202239644A (zh) 頂靠承載裝置及乘坐裝置
JPH0848254A (ja) 乳母車の押棒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