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232A - 조광 부재, 조광 장치 - Google Patents

조광 부재, 조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232A
KR20240031232A KR1020237043418A KR20237043418A KR20240031232A KR 20240031232 A KR20240031232 A KR 20240031232A KR 1020237043418 A KR1020237043418 A KR 1020237043418A KR 20237043418 A KR20237043418 A KR 20237043418A KR 20240031232 A KR20240031232 A KR 2024003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quid crystal
light
crystal layer
ligh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이케자와
도모야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비전극 영역이 시인되기 어려운 조광 부재, 조광 장치를 제공한다. 조광 필름(1A)은 투과율을 제어 가능한 조광 부재이며,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제1 공통 전극(14)과, 분할된 제1 전극(18)과, 제1 공통 전극(14)과 제1 전극(18) 사이에 배치된 제1 액정층(9)과,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제2 공통 전극(23)과, 분할된 제2 전극(21)과, 제2 공통 전극(23)과 제2 전극(21) 사이에 배치된 제2 액정층(10)을 구비하고, 제1 전극(18)을 분할하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전극(21)을 분할하는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은,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조광 부재, 조광 장치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조광 부재, 조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창에 붙이거나, 유리로 끼워 넣어 창에 부착하기도 하여, 외래광의 투과를 제어하는 조광 부재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조광 부재로서, 게스트 호스트 액정을 이용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게스트 호스트 액정에서는, 게스트 호스트 액정 조성물과 2색성 색소 조성물이 랜덤하게 배향한 상태와, 소위 트위스트 배향한 상태를 전계의 제어에 의해 변화시켜 투과 광량을 제어하고 있다. 이 조광 부재를 차량의 창, 건축물의 창 등에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색감 및 시야각 특성을 중시하는 경우, 조광 부재는 게스트 호스트 액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전극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광체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9-128376호 공보
그러나, 투명 전극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극간의 간격을 둔 영역(비전극 영역)이 시인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과제는, 비전극 영역이 시인되기 어려운 조광 부재, 조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은 해결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개시의 실시 형태는, 투과율을 제어 가능한 조광 부재(1A, 1B, 1C, 1D, 1E)이며,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제1 공통 전극(14, 25, 28)과, 분할된 제1 전극(18, 24, 29)과, 상기 제1 공통 전극(14, 25, 28)과 상기 제1 전극(18, 24, 29) 사이에 배치된 제1 액정층(9)과,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제2 공통 전극(23, 26, 31)과, 분할된 제2 전극(21, 27, 32)과, 상기 제2 공통 전극(23, 26, 31)과 상기 제2 전극(21, 27, 32) 사이에 배치된 제2 액정층(1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18, 24, 29)을 분할하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 241 내지 244, 291 내지 294)과 상기 제2 전극(21, 27, 32)을 분할하는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 271 내지 274, 321 내지 324)은, 당해 조광 부재(1A, 1B, 1C, 1D)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부재(1A, 1B, 1C, 1D, 1E)이다.
제2 개시의 실시 형태는, 제1 개시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광 부재(1A, 1B, 1C, 1D, 1E)에 있어서, 제1 기재(6)를 갖는 제1 적층체(5A)와, 제2 기재(15)를 갖는 제2 적층체(5B)와, 제3 기재(20)를 갖는 제3 적층체(5C)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액정층(9)은 상기 제1 적층체(5A) 및 상기 제3 적층체(5C)에 의해 끼움 지지되고, 상기 제2 액정층(10)은 상기 제2 적층체(5B) 및 상기 제3 적층체(5C)에 의해 끼움 지지되고, 상기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 241 내지 244, 291 내지 294) 및 상기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 271 내지 274, 321 내지 324)의 폭은 50㎛ 이하이며, 분할된 상기 제1 전극(18, 24, 29)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 241 내지 244, 291 내지 294)과 상기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 271 내지 274, 321 내지 324)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1 액정층(9)의 층 두께와, 상기 제3 적층체(5C)의 층 두께와, 상기 제2 액정층(10)의 층 두께의 합 이상인 조광 부재(1A, 1B, 1C, 1D, 1E)이다.
제3 개시의 실시 형태는, 제1 개시의 실시 형태 또는 제2 개시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광 부재(1A, 1B, 1C, 1D, 1E)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 241 내지 244, 291 내지 294) 및 상기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 271 내지 274, 321 내지 324)의 폭은 50㎛ 이하이며, 분할된 상기 제1 전극(18, 24, 29)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 241 내지 244, 291 내지 294)과 상기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 271 내지 274, 321 내지 324)의 최단 거리(S1)는 상기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 241 내지 244, 291 내지 294)끼리의 최단 간격의 1/2 이하인 조광 부재(1A, 1B, 1C, 1D, 1E)이다.
제4 개시의 실시 형태는, 제1 개시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광 부재(1A, 1B, 1C, 1D, 1E)에 있어서, 당해 조광 부재(1A, 1B, 1C, 1D, 1E)와의 이루는 각도가 45° 이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 241 내지 244, 291 내지 294)과 상기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 271 내지 274, 321 내지 324)이 겹치지 않는 조광 부재(1A, 1B, 1C, 1D, 1E)이다.
제5 개시의 실시 형태는, 제1 개시의 실시 형태 내지 제4 개시의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광 부재(1D)에 있어서, 분할된 상기 제1 전극(18, 24, 29)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 241 내지 244, 291 내지 294)과 상기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 271 내지 274, 321 내지 324)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 271 내지 274, 321 내지 324)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 241 내지 244, 291 내지 294)이 어긋나게 배치되는 방향이 다른 2개의 영역(A1, A2)을 갖는 조광 부재(1D)이다.
제6 개시의 실시 형태는, 제1 개시의 실시 형태 내지 제5 개시의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광 부재(1E)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24)의 분할과 대응하여 분할되어 상기 제1 전극(24) 상에 적층된 제1 전극상 배향층(130)과, 상기 제2 전극(27)의 분할과 대응하여 분할되어 상기 제2 전극(27) 상에 적층된 제2 전극상 배향층(17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액정층(9) 및 상기 제2 액정층(10)은 무전계 시에 차광 상태로 되고, 전계 인가 시에 투과 상태가 되는 노멀리 다크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액정층(9)의 액정 분자(9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과, 상기 제2 액정층(10)의 액정 분자(10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은, 당해 조광 부재(1E)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교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액정층(9) 및 상기 제2 액정층(10)은 상기 제1 전극(24)과 상기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부재(1E)이다.
제7 개시의 실시 형태는, 제6 개시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광 부재(1E)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9)의 액정 분자(9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과, 상기 제2 액정층(10)의 액정 분자(10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은, 당해 조광 부재(1E)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직교하고 있는 조광 부재(1E)이다.
제8 개시의 실시 형태는,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상기 제2 투명판 사이에 마련되는, 제1 개시의 실시 형태 내지 제5 개시의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상기 조광 부재(1A, 1B, 1C, 1D, 1E)를 구비하는 조광 장치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전극 영역이 시인되기 어려운 조광 부재, 조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조광 필름(1A)을 Z1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조광 필름(1A)이 배치되는 차량(40)과 조광 필름(1A)의 구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조광 필름(1A)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인 단일의 액정층을 구비한 조광 필름(100)의 비전극선에 대응하는 위치의 보이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의 비전극선에 대응하는 위치의 보이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비전극선(184) 및 제2 비전극선(214)의 근방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D)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이 겹치지 않고 어긋나는 방향이 다른 2개의 영역 A1, A2를 갖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무전계 시(차광 상태)의 조광 필름(1E)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노멀리 다크이며, 배향층(170B)이 분할되어 있지 않고 단일의 액정층(10)을 구비한 조광 필름(100B)의 액정 분자(101)의 배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노멀리 다크이며, 배향층(170)이 분할되어 있는 단일의 액정층(10)을 구비한 조광 필름(100C)의 액정 분자(101)의 배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양쪽 모두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조광 필름(1A-2)의 무전계 시(차광 상태)의 차광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2 액정층(10)만이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액정층(9)은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조광 필름(1C-2)의 무전계 시(차광 상태)의 차광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양쪽 모두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의 무전계 시(차광 상태)의 차광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한 도면은 모두 모식도, 개념도 등이며, 이해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각 부의 형상, 축척, 종횡의 치수비 등을, 실물로부터 변경 또는 과장하고 있다.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형상, 기하학적 조건, 이들의 정도를 특정하는 용어, 예를 들어 「방향」 등의 용어에 대해서는, 그 용어의 엄밀한 의미에 추가하여, 대체로 그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한다.
또한, 조광 필름(1A)의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등은 특별히 규정되지는 않지만,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는, 조광 필름(1A)의 각 방향을 X, Y, Z의 서로 직교하는 좌표축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조광 필름(1A)을 차량(40)(도 4 참조)의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이하, 단순히 「사이드 윈도우」라고도 함)나 차내 파티션(45)에 배치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조광 필름(1A)의 필름면에 평행하며, 서로 직교하는 2 방향을 X 방향과 Y 방향으로 한다. 이 중, 도 1 내지 3의 좌우 방향을 X(X1-X2) 방향, X 방향에 직교하는 도 2, 3의 상하 방향을 Y(Y1-Y2) 방향, 필름면(X-Y면)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을 Z(Z1-Z2) 방향으로 한다. 또한, 조광 필름(1A)은 차량(40)(도 4 참조)의 사이드 윈도우에 적용되는 경우, Z 방향의 Z1 측이 차내측, Z2 측이 차외측이 되도록 배치되고, 차내 파티션(45)에 적용되는 경우, Z 방향의 Z1 측이 차량 뒷좌석측, Z2 측이 차량 앞좌석측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단, 이 방향은 변경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 방향」을 적절하게 「∼ 측」이라고도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조광 필름(1A)을 Z1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제1 전극(18)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3 적층체(5C)를 Z1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의 (B)는 제2 전극(21)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제3 적층체(5C)를 Z1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에 상당하지만, 제1 전극(18)은 생략하였다.
또한, 조광 필름(1A)을 차량(40)에 배치하는 경우, 조광 필름(1A)은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도 4 참조)의 형상에 맞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조광 필름(1A)을 차량(40)에 적용한 경우, 단면에서 볼 때 평탄 형상이 아니라 곡면 형상이 되거나, 평면에서 볼 때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전극 패턴 등의 형상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조광 필름(1A)을 직사각 형상(정사각형)으로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란, 예를 들어 조광 필름(1A)을 Z1 방향(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를 말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A), (B)에서는, 액정층, 배향막 등의 도시를 생략한다.
조광 필름(1A)은 후술하는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에 인가하는 전압에 의해,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각각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제어하여, 광의 투과율을 조정 가능한 필름 형상의 조광 부재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광 필름(1A)은 제1 적층체(5A)와, 제2 적층체(5B)와, 제3 적층체(5C)와, 제1 액정층(9)과, 제2 액정층(1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적층체(5A)는 제1 기재(6)의 Z2 측에 제1 공통 전극(14)이 적층되고, 또한 그 위(Z2 측)에 배향층(13)이 적층되어 있다.
제2 적층체(5B)는 제2 기재(15)의 Z1 측에 제2 공통 전극(23)이 적층되고, 또한 그 위(Z1 측)에 배향층(17)이 적층되어 있다.
제3 적층체(5C)는 제1 적층체(5A)와 제2 적층체(5B) 사이에 배치되는 적층체이다. 제3 적층체(5C)는 제3 기재(20)의 Z1 측에, 제1 전극(18)과, 배향층(19)이 적층되어 있으며, 또한 제3 기재(20)의 Z2 측에, 제2 전극(21)과, 배향층(22)이 적층되어 있다.
제1 기재(6)와, 제2 기재(15)와, 제3 기재(20)는, 모두 마찬가지의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1 기재(6), 제2 기재(15), 제3 기재(20)로서는, 다양한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지만, 광학 이방성이 작고, 또한 가시 영역의 파장(380 내지 800㎚)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 폴리메틸펜텐, EVA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술폰(PE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술폰, 폴리에테르(PE), 폴리에테르케톤(PEK), (메트)아크릴로니트릴,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시클로올레핀코폴리머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PC),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기재(6)와, 제2 기재(15)와, 제3 기재(20)는, 모두, 예를 들어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적용되지만, 다양한 두께의 투명 수지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공통 전극(14)과, 제2 공통 전극(23)과, 제1 전극(18)과, 제2 전극(21)은 투명 도전막이다.
투명 도전막으로서는, 이러한 종류의 투명 수지 필름에 적용되는 각종 투명 전극 재료를 적용할 수 있으며, 산화물계의 전체 광투과율이 50% 이상인 투명한 금속 박막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주석계, 산화인듐계, 산화아연계를 들 수 있다.
산화주석(SnO2)계로서는, 네사(산화주석 SnO2), ATO(Antimony Tin Oxide: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불소 도프 산화주석을 들 수 있다.
산화인듐(In2O3)계로서는, 산화인듐, ITO(Indium Tin Oxide: 인듐 주석 산화물), IZO(Indium Zic Oxide)을 들 수 있다.
산화아연(ZnO)계로서는, 산화아연, AZO(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갈륨 도프 산화아연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공통 전극(14)과, 제2 공통 전극(23)과, 제1 전극(18)과, 제2 전극(21)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ITO(Indium Tin Oxide)에 의해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전극(18)과, 제2 전극(21)은 복수로 분할되어 있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배향층(13)과, 배향층(17)과, 배향층(19)과, 배향층(22)은 모두 광 배향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광 배향층에 적용 가능한 광 배향 재료는, 광 배향의 방법을 적용 가능한 각종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분해형, 광이량화형, 광이성화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이량화형의 재료를 사용한다. 광이량화형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신나메이트, 쿠마린, 벤질리덴프탈이미딘, 벤질리덴아세토페논, 디페닐아세틸렌, 스틸바졸, 우라실, 퀴놀리논, 말레인이미드 또는 신나밀리덴아세트산 유도체를 갖는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배향 규제력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신나메이트, 쿠마린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광이량화형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1187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평10-5064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3-505561호 공보 및 WO2010/150748호 공보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광 배향층 대신에 러빙 처리에 의해 배향층을 제작해도 되고, 미세한 라인형 요철 형상을 부형 처리하여 배향층을 제작해도 된다.
제1 액정층(9)은 제1 적층체(5A)와 제3 적층체(5C)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제2 액정층(10)은 제2 적층체(5B)와 제3 적층체(5C)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으로서는, 예를 들어 게스트 호스트 액정 조성물, 2색성 색소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다. 게스트 호스트 액정 조성물에 키랄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액정 분자를 수평 배향시킨 경우에, 액정층의 두께 방향(Z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배향시키도록 해도 된다.
조광 필름(1A)은 전계 인가 시에 있어서, 게스트 호스트 액정 조성물의 배향에 의해 차광 상태로 되도록, 배향층(13, 19, 17, 22)의 배향 규제력을 설정한 수직 배향층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의해, 조광 필름(1A)은 노멀리 클리어로서 구성된다. 노멀리 클리어란, 무전계 시에 투과 상태로 되고, 전계 인가 시에 차광 상태가 되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전계 인가 시에 투과 상태가 되도록, 노멀리 다크로서 구성해도 된다. 노멀리 다크란, 무전계 시에 차광 상태로 되고, 전계 인가 시에 투과 상태가 되는 구조를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으로서, 게스트 호스트 액정 조성물을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전계 인가의 유무에 따라 투과 상태 및 차광 상태를 제어 가능하면, 그 밖의 액정 조성물을 적용해도 된다.
스페이서(12)는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두께를 규정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부재이다. 스페이서(12)로서는, 각종 수지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12)로서, 구형 스페이서(이하, 「비즈 스페이서」라고도 함)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스페이서(12)는, 예를 들어 기둥형 스페이서여도 된다.
스페이서(12)에 사용되는 비즈 스페이서는, 액정 표시 장치나 컬러 필터 등에 사용되는 공지된 비즈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계 성분으로는 유리, 실리카, 금속 산화물(MgO, Al2O3) 등, 유기계 성분으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디비닐벤젠 공중합체, 디비닐벤젠-아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 디아크릴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재료계의 현탁 중합이나 유화 중합, 유화 중합으로 얻어진 코어 입자를 사용하는 시드 중합법 등의 중합법에 의해 얻어진 구형, 원기둥체, 원통형 등의 입상체나, 다공질체, 중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향층 상에 있어서의 비즈의 분산성이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비즈 스페이서의 표면에 표면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비즈 표면에의 고정화나, 액정 재료 중으로의 화학 물질의 유출이 문제가 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SBS형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광 필름(1A)에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시일재(7)가 배치된다. 시일재(7)에 의해 제1 적층체(5A)와 제3 적층체(5C)가 일체로 보유 지지되어, 액정 재료의 누출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시일재(7)에 의해 제2 적층체(5B)와 제3 적층체(5C)가 일체로 보유 지지되어, 액정 재료의 누출이 방지된다. 시일재(7)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조광 필름(1A)은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에, 소정 주기로 극성이 전환되는 구형파의 교류 전압이 인가되고, 이 교류 전압에 의해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에 전계가 형성된다. 또한, 이 전계에 의해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에 마련된 액정 분자의 배향이 제어되어, 투과광이 제어된다.
도 4는, 조광 필름(1A)이 배치되는 차량(40)과 조광 필름(1A)의 구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차량(40)을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차량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은 차량(탈것)(40)의 앞좌석 사이드 윈도우(41A), 뒷좌석 사이드 윈도우(41B), 앞좌석 사이드 윈도우(41C), 뒷좌석 사이드 윈도우(41D)의 거의 전면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앞좌석 사이드 윈도우(41C), 뒷좌석 사이드 윈도우(41D)에 대해서는, 위치만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은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만곡된 형상의 사이드 윈도우 등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앞좌석과 차량 뒷좌석 사이에 배치되는 차내 파티션(45)에도, 조광 필름(1A)이 배치되어 있다.
조광 필름(1A)은 각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 및 차내 파티션(45)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 때문에, 각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 및 차내 파티션(45)은 개별적으로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각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 및 차내 파티션(45)에 조광 필름(1A)을 배치함으로써, 각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 및 차내 파티션(45)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외광을 투과시켜 차내로 도입하거나, 차내에 입사되는 외광을 차광하거나, 차량 앞좌석과 차량 뒷좌석 사이에서의 시계를 제한할 수 있다.
차량(40)은 상술한 각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 및 차내 파티션(45)에 배치된 조광 필름(1A)의 구동 장치로서, 조작 정보 취득부(42), 전원부(43) 및 구동 제어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정보 취득부(42)는 운전자 외에, 조수석, 뒷좌석 등에 착석하고 있는 탑승자(이하, 「운전자 등」이라고도 함)가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로부터 입사하는 외광의 광량을 조절할 때에 조작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된다. 운전자 등은 도어 사이드 등에 마련된 터치 패널을 조작하여,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로부터 입사하는 외광의 광량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전자 등은 도어 사이드 등에 마련된 터치 패널을 조작하여, 차내 파티션(45)의 투과와 차광을 조절할 수 있다.
전원부(43)는 구동 제어부(4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이다.
구동 제어부(44)는 전원부(4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조광 필름(1A)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제어하여, 조광 필름(1A)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에 의해, 사이드 윈도우(41A 내지 41D) 및 차내 파티션(45)의 각각에 있어서, 외광을 차광하여 차외로부터 차내를 시인되기 어렵게 하거나, 외광을 투과시켜 차내로부터 차외를 시인하기 쉽게 하거나, 차량 앞좌석과 차량 뒷좌석 사이에서의 시계를 제한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 제어부(44)는 조광 필름(1A)의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에 구형파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회로와, 이 구동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유닛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 유닛은, 프로세서, ROM, RAM 등을 구비하는 제어 장치이다. 프로세서 유닛에 있어서, 프로세서(CPU)는 ROM에 저장된 조광 필름(1A)의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은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전극(18)은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부분 전극(18A 내지 18E)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1 전극(18)은 X 방향을 따라 분할되고, Y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줄무늬 전극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전극(21)은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부분 전극(21A 내지 21E)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2 전극(21)에 대해서도, 제1 전극(18)과 마찬가지로 X 방향을 따라 분할되고, Y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줄무늬 전극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은 1개의 제3 적층체(5C)의 양면에 부분 전극(18A 내지 18E)과 부분 전극(21A 내지 21E)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조광 필름(1A)을 조립할 때의 부분 전극(18A 내지 18E)과 부분 전극(21A 내지 21E)의 위치 정렬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을 각각 5분할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의 분할 수는 5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은 각각 복수의 부분 전극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분 전극은, 예를 들어 기재 상의 전면에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 후, 각각의 전극 패턴에 따라서, 투명 도전막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향층(19, 22)은 패터닝한 투명 도전막의 전면에 형성된다. 이 밖에, 기재 상의 전면에 투명 도전막, 배향층의 순으로 각 층을 형성한 후, 배향층마다 불필요한 부분의 투명 도전막을 패터닝해도 된다.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21)이 각각 복수의 부분 전극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투과 상태 또는 차광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대향하는 위치의 부분 전극의 양쪽에 동일한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부분 전극(18A)의 위치를 투과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부분 전극(18A)의 위치뿐만 아니라 부분 전극(21A)의 위치에 대해서도 투과 상태로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부분 전극(18E)의 위치를 차광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부분 전극(18E)의 위치뿐만 아니라 부분 전극(21E)의 위치에 대해서도 차광 상태로 한다.
제1 전극(18)과 제2 전극(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로 분할되어 있지만, 분할된 부분 전극(18A 내지 18E)의 사이, 및 부분 전극(21A 내지 21E)의 사이에는, 전극(투명 도전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갭 부분(비전극 영역)이 존재한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부분 전극(18A 내지 18E)의 사이에는, 제1 전극(18)을 분할하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이 비전극 영역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부분 전극(21A 내지 21E)의 사이에는, 제2 전극(21)을 분할하는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비전극 영역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의 폭 G1 및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의 폭 G2는, 인접하는 부분 전극끼리 사이에서의 쇼트를 회피하기 위해서,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의 폭 G1 및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의 폭 G2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시인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G1=G2=10㎛로 하였다.
또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은,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중의 제1 비전극선(181)은 제2 비전극선(211)보다도 X2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분할된 제1 전극(18)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제1 비전극선(184)과 제2 비전극선(214)의 최단 거리 S1은, 1㎜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다른 제1 비전극선(182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2 내지 21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및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은 50㎛ 이하이므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은,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광 필름(1A)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조광 필름(1A)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40)에 배치되는 조광 필름(1A)은 윈도우의 형상에 맞도록 제작되지만, 도 5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조광 필름(1A)을 직사각 형상으로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사선」 부분은, 조광 필름(1A)에 있어서 외광이 차광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백색」 부분은, 조광 필름(1A)에 있어서, 외광이 투과하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부분 전극에 의해 차광 및 투과되는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조광 필름(1A)의 차광 및 투과를 가로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조광 필름(1A)은 제1 적층체(5A)의 부분 전극(18A 내지 18E)에 대응하는 영역마다 투과율을 제어할 수도 있고, 제2 적층체(5B)의 부분 전극(21A 내지 21E)에 대응하는 영역마다 투과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광 필름(1A)의 전면이 차광 상태인 경우에, 조광 필름(1A)을 X1 측으로부터 X2 측을 향해 차례로 투과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제3 적층체(5C)의 부분 전극(18A 내지 18E) 및 부분 전극(21A 내지 21E)에 있어서, 가장 X1 측의 부분 전극(18A, 21A)으로부터 가장 X2 측의 부분 전극(18E, 21E)을 향해 차례로 통전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광 필름(1A)은 가로방향의 X1 측으로부터 X2 측을 향해 차례로 투과 상태로 된다. 도 5에서는, 조광 필름(1A)에 있어서, 부분 전극(18A, 18B, 21A, 21B)에 대응하는 영역까지가 차광 상태로부터 투과 상태로 변화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광 필름(1A)의 전면이 차광 상태인 경우에, 조광 필름(1A)을 X2 측으로부터 X1 측을 향해 차례로 투과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제3 적층체(5C)의 부분 전극(18A 내지 18E) 및 부분 전극(21A 내지 21E)에 있어서, 가장 X2 측의 부분 전극(18E, 21E)으로부터 가장 X1 측의 부분 전극(18A, 21A)을 향해 차례로 통전을 제어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차광 상태로부터 투과 상태로 변화시키는 예를 예시하였지만, 투과 상태로부터 차광 상태로의 변화도, 마찬가지로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을 분할하여 배치함으로써, 조광 필름(1A)에 있어서, 커튼을 개폐하는 식으로 가로방향의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탑승자가 밖의 경치를 조금만 보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광 필름(1A)의 차광 상태 및 투과 상태를 가로방향을 따라 차례로 변화시킴으로써, 필요한 범위만큼 외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X-Y 평면 내에 있어서, 조광 필름(1A)을 배치하는 방향을 90° 회전시키면, 상하 방향에서 영역마다 투과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역마다 투과 상태와 차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전극을 분할하여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단일의 액정층이어도 실현 가능하다. 그러나, 단일의 액정층에서는, 분할된 전극간에 존재하는 비전극선이 관찰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본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에서는, 액정층을 2층 마련함으로써, 비전극선이 관찰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일의 액정층에 있어서 비전극선이 관찰되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비교예인 단일의 액정층을 구비한 조광 필름(100)의 비전극선에 대응하는 위치의 보이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도 1과 마찬가지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상태를 Z1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에서는, 투과 상태의 부위를 백색으로 하고, 차광 상태의 부위를 흑색으로 하고, 전계 인가 상태에 있는 영역과 무전계 상태에 있는 영역 사이의 투과율에 있는 부분을 도트로서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후에 도시한 각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6의 (A)에서는, 제1 액정층(9)의 위치에 의한 투과, 차광의 상태를 병기하고, 스페이서를 생략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비교예의 조광 필름(100)은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에 있어서의 제1 기재(6) 내지 제3 기재(20)의 구성만을 구비한 형태에 상당하고, 단일의 액정층(제1 액정층(9)만)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과 마찬가지로, 위치에 따라 투과 상태와 차광 상태를 임의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예에서는, 앞의 도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X1 측에 2개의 부분 전극(18A, 18B)에 대향하는 제1 액정층(9)을 투과 상태로 하고, X2 측에 3개의 부분 전극(18C, 18D, 18E)에 대향하는 제1 액정층(9)을 차광 상태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무전계 상태의 영역 근방에서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해서도, 배향층(13, 19)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향이 제어되므로, 부분 전극(18A 내지 18E)에 대응하는 위치와 마찬가지로 액정 분자가 배향한다. 그러나, 전계 인가 상태의 영역 근방에서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부분 전극(18A 내지 18E)의 전계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지만, 충분한 전계가 주어지지 않아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적절하게 다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전계 인가 상태의 영역 근방에서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액정 분자의 배향은 흐트러진 상태로 되고, 광의 투과율은, 전계 인가 상태에 있는 영역과 무전계 상태에 있는 영역 사이의 투과율(이하, 반투과 상태라고도 칭함)이 된다.
도 6의 (B)에 있어서, 차광 상태로 한 영역(부분 전극(18C, 18D, 18E)에 대응하는 영역과 그 영역의 사이)에 대해서는, 본래는 전면 차광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부분 전극(18C, 18D, 18E)과 대향하지 않는 영역, 즉 부분 전극(18C)과 부분 전극(18D) 사이의 제1 비전극선(183)에 대향하는 영역과, 부분 전극(18D)과 부분 전극(18E) 사이의 제1 비전극선(184)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는 제1 액정층(9)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제어할 수 없다.
도 6에 예시하는 제1 액정층(9)은 노멀리 클리어의 액정으로 되어 있으며, 무전계 시에 투과 상태로 되고, 전계 인가 시에 차광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차광 상태의 영역 근방에 있어서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에 대응하는 위치는, 반투과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래는 전면 차광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차광 상태의 영역에, 제1 비전극선(183, 184)에 대응한 가늘고 긴 반투과 상태의 영역이 관찰되어 버린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의 비전극선에 대응하는 위치의 보이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도 1과 마찬가지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상태를 Z1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의 (A)에서는,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위치에 의한 투과, 차광의 상태를 병기하고, 스페이서를 생략하였다.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부분 전극(18A, 18B, 21A, 21B)에 대하여, 무전계 상태로 함으로써, 이들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액정층(9), 제2 액정층(10)이 각각 투과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부분 전극(18C, 18D, 18E, 21C, 21D, 21E)에 대하여, 전계 인가 상태로 함으로써, 이들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액정층(9), 제2 액정층(10)이 각각 차광 상태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도,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및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무전계 상태의 영역 근방에서는, 투과 상태로 되지만, 전계 인가 상태의 영역 근방에서는, 반투과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은,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은,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부분 전극(21A 내지 21E) 중 어느 것과 겹쳐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은,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부분 전극(18A 내지 18E) 중 어느 것과 겹쳐 있다. 따라서, 차광 상태로 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또는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차광 상태로 되어 있는 다른 쪽의 액정층과 겹쳐짐으로써 투과율이 낮아지고,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및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눈에 띄지 않게 되어, 차광 상태와 거의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투과율 상태가 된다.
도 7의 (B)의 예에서는, 제1 비전극선(182, 183, 184)은, 각각, 부분 전극(21C, 21D, 21E)과 법선 방향에서 겹쳐 있기 때문에, 제1 비전극선(182, 183, 184)과 제2 액정층(10)의 차광 영역이 겹쳐서 관찰된다. 따라서, 제1 비전극선(182, 183, 184)은, 차광 상태와 거의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투과율 상태로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비전극선(213, 214)은 각각, 부분 전극(18C, 18D)과 법선 방향에서 겹쳐 있기 때문에, 제2 비전극선(213, 214)과 제1 액정층(9)의 차광 영역이 겹쳐서 관찰되어, 차광 상태와 거의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투과율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의 폭 G1 및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의 폭 G2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시인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앞에서 설명하였다. 이 폭 G1, G2가 50㎛를 초과해 넓어지면, 전계 인가 상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전극(18) 또는 제2 전극(21)으로부터의 전계의 영향을 더 받지 않게 된다. 그 경우,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및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액정의 배향이 전계 인가 상태의 근방이어도, 무전계 상태에 보다 가까운 배향이 되어,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시인되기 쉬워져 버린다. 따라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의 폭 G1 및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의 폭 G2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비전극선(182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2 내지 214)의 최단 거리 S1은 1㎜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 최단 거리 S1의 적절한 값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1 비전극선(184) 및 제2 비전극선(214)의 근방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비전극선(184) 및 제2 비전극선(214)의 주위가 모두 차광 상태에 있는 상황에 있어서,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양쪽 차광 상태의 영역을 통과하는 시선 L0을 설정한다. 이 시선 L0은, 제1 비전극선(184)의 X1 측단부에 대응하는 액정층(9)의 Z1 측의 각 부분을 통과하고, 제2 비전극선(214)의 X2 측단부에 대응하는 액정층(10)의 Z2 측의 각 부분을 통과하는 시선이다. 시선 L0보다도 각도 θ가 작은 각도에서 관찰하면, 제1 비전극선(184) 및 제2 비전극선(214)에 대응한 위치에서 반투과 상태의 영역(도 8 중에 도트로 나타낸 영역)을 2회 통과하는 시선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각도 θ를 조광 필름(1A)을 관찰하는 최소 각도로서 설정하면, 각도 θ 이상에서 관찰하는 경우에는, 반투과 상태의 영역을 2회 통과하는 시선이 없어 제1 비전극선(184) 및 제2 비전극선(214)에 대응하는 영역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액정층(9)의 층 두께를 t1로 하고, 제2 액정층(10)의 층 두께를 t2로 하고, 제3 적층체(5C)의 층 두께를 t3으로 하고, 시선 L0이 조광 필름(1A)과 이루는 각도를 θ로 하면, 분할된 제1 전극(18A 내지 18E)가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의 최단 거리 S1의 관계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anθ=(t1+t2+t3)/S1 …식 (1)
따라서, 최단 거리 S1은,
S1=(t1+t2+t3)/tanθ …식 (2)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조광 필름(1A)을 관찰하는 방향과 조광 필름(1A)이 이루는 각도가 θ 이상인 경우,
S1≥(t1+t2+t3)/tanθ …식 (3)
의 관계를 충족시킴으로써, 제1 비전극선(184) 및 제2 비전극선(214)에 대응하는 영역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내 파티션(45)에 조광 필름(1A)을 배치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상기 각도 θ는 45° 이상의 방향에서 보는 상황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조광 필름(1A)과의 이루는 각도가 45° 이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겹치지 않는 조광 필름(1A)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광 필름(1A)과의 이루는 각도가 45° 이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겹치지 않는 조광 필름(1A)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식 (3)에 있어서 θ=45°로 함으로써, 이하의 관계를 충족시키면 된다.
S1≥(t1+t2+t3)… 식 (4)
즉, 분할된 제1 전극(18)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의 최단 거리 S1은, 제1 액정층(9)의 층 두께와, 제3 적층체(5C)의 층 두께와, 제2 액정층(10)의 층 두께의 합 이상으로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t1=12㎛, t2=12㎛, t3=188㎛이다. 따라서, S1≥212㎛로 하면, 조광 필름(1A)과의 이루는 각도가 45° 이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겹치지 않고,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및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에 대응하는 영역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단 거리 S1은,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끼리의 최단 간격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외로 되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다음의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을,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함에 따른 부가적인 효과로서, 무아레 방지의 효과가 있다.
가령,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각각,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쳐 있는 경우에는, 무아레가 관찰될 우려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 사이에는, 제3 적층체(5C)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제3 적층체(5C) 층 두께만큼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 가까운 위치에서 관찰한 경우에,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이 시차에 의해 아주 근소하게 어긋나게 관찰됨으로써, 무아레가 되어 관찰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을,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에 의해 무아레가 관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은, 조광 필름(1A)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광 영역에 있어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 또는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 투과 영역(비전극 영역)이 관찰되는 일이 없어 보다 고품질의 조광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은 커튼을 개폐하는 식으로 가로방향으로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제어하거나, 블라인드를 개폐하는 식으로 세로방향으로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은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A)은 외광을 다양한 형태로 차광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에 의해 무아레가 관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은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과, 제1 공통 전극(25)과, 제2 공통 전극(26)이 적층되는 위치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에 있어서,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도 9에 있어서는, 제2 실시 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만을 도시하고, 그 밖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적층체에 대해서는,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은 제1 적층체(5A)와, 제2 적층체(5B)와, 제3 적층체(5C)와, 제1 액정층(9)과, 제2 액정층(1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적층체(5A)는 제1 기재(6)의 Z2 측에 제1 전극(24)이 적층되고, 또한 그 위(Z2 측)에 배향층(13)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전극(24)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전극(18)과 마찬가지로,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부분 전극(24A 내지 24E)으로 분할되어 있다. 부분 전극(24A 내지 24E)은 그 적층되는 위치가 다른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부분 전극(18A 내지 18E)과 마찬가지이다.
제2 적층체(5B)는 제2 기재(15)의 Z1 측에 제2 전극(27)이 적층되고, 또한 그 위(Z1 측)에 배향층(17)이 적층되어 있다. 제2 전극(2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2 전극(21)과 마찬가지로,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부분 전극(27A 내지 27E)으로 분할되어 있다. 부분 전극(27A 내지 27E)은 그 적층되는 위치가 다른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부분 전극(21A 내지 21E)과 마찬가지이다.
제3 적층체(5C)는 제3 기재(20)의 Z1 측에, 제1 공통 전극(25)과, 배향층(19)을 구비함과 함께, 제3 기재(20)의 Z2 측에, 제2 공통 전극(26)과, 배향층(22)을 구비한다. 제1 공통 전극(25)은 제3 기재(20)의 Z1 측의 전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이다. 제2 공통 전극(26)은 제3 기재(20)의 Z2 측의 전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이다. 제1 공통 전극(25) 및 제2 공통 전극(26)은 이들이 적층되는 위치가 다른 것 외에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제1 공통 전극(14) 및 제2 공통 전극(23)과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1 비전극선(241 내지 244)과 제2 비전극선(271 내지 274)은, 조광 필름(1B)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비전극선(241 내지 244)과 제2 비전극선(271 내지 274)은, 조광 필름(1B)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광 영역에 있어서 제1 비전극선(241 내지 244) 또는 제2 비전극선(271 내지 274)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 투과 영역(비전극 영역)이 관찰되는 일이 없어 보다 고품질의 조광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은 커튼을 개폐하는 식으로 가로방향으로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제어하거나, 블라인드를 개폐하는 식으로 세로방향으로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은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은 외광을 다양한 형태로 차광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무아레가 관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은 제1 전극(29)과, 제2 전극(32)과, 제1 공통 전극(28)과, 제2 공통 전극(31)이 적층되는 위치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에 있어서,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도 10에 있어서는, 제3 실시 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만을 도시하고, 그 밖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적층체에 대해서는,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은 제1 적층체(5A)와, 제2 적층체(5B)와, 제3 적층체(5C)와, 제1 액정층(9)과, 제2 액정층(1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적층체(5A)는 제1 기재(6)의 Z2 측에 제1 공통 전극(28)이 적층되고, 또한 그 위(Z2 측)에 배향층(13)이 적층되어 있다. 제1 공통 전극(28)은 제1 기재(6) 상의 전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이다. 제1 공통 전극(28)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공통 전극(14)과 마찬가지이다.
제2 적층체(5B)는 제2 기재(15)의 Z1 측에 제2 전극(32)이 적층되고, 또한 그 위(Z1 측)에 배향층(17)이 적층되어 있다. 제2 전극(32)은 제1 실시 형태의 제2 전극(21)과 마찬가지로,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부분 전극(32A 내지 32E)으로 분할되어 있다. 부분 전극(32A 내지 32E)은 그 적층되는 위치가 다른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부분 전극(21A 내지 21E)과 마찬가지이다.
제3 적층체(5C)는 제3 기재(20)의 Z1 측에 제1 전극(29)과, 배향층(19)을 구비한다. 제1 전극(29)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전극(18)과 마찬가지로,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부분 전극(29A 내지 29E)으로 분할되어 있다. 부분 전극(29A 내지 29E)은 제1 실시 형태의 부분 전극(18A 내지 18E)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3 적층체(5C)는 제3 기재(20)의 Z2 측에 제2 공통 전극(31)과, 배향층(22)을 구비한다. 제2 공통 전극(31)은 제3 기재(20)의 Z2 측의 전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이다. 제2 공통 전극(31)은 적층되는 위치가 다른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공통 전극(23)과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4)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4)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1 비전극선(291 내지 294)과 제2 비전극선(321 내지 324)은, 조광 필름(1C)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비전극선(291 내지 294)과 제2 비전극선(321 내지 324)은, 조광 필름(1C)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광 영역에 있어서 제1 비전극선(291 내지 294) 또는 제2 비전극선(321 내지 324)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 투과 영역(비전극 영역)이 관찰되는 경우가 없어 보다 고품질의 조광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은 커튼을 개폐하는 식으로 가로방향으로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제어하거나, 블라인드를 개폐하는 식으로 세로방향으로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은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C)은 외광을 다양한 형태로 차광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무아레가 관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D)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D)은 분할된 부분 전극의 배치 패턴(분할되는 패턴)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제4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D)에 있어서,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도 11에 있어서는, 제4 실시 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만을 도시하고, 그 밖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D)에서는, 제1 전극(18)이 부분 전극(18A 내지 18G)의 7개로 분할되고, 이들 부분 전극(18A 내지 18G)의 사이에는, 제1 전극(18)을 분할하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전극(21)이 부분 전극(21A 내지 21G)의 7개로 분할되고, 이들 부분 전극(21A 내지 21G)의 사이에는, 제2 전극(21)을 분할하는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D)에서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이 겹치지 않고 어긋나는 방향이 다른 2개의 영역 A1, A2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A1에 있어서는, 제1 비전극선(181, 182, 183)은, 각각 제2 비전극선(211, 212, 213)을 기준으로 하여 X1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영역 A1보다도 X2 측에 있는 영역 A2에 있어서는, 제1 비전극선(184, 185, 186)은, 각각 제2 비전극선(214, 215, 216)을 기준으로 하여 X2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이 겹치지 않고 어긋나는 방향이 다른 2개의 영역 A1, A2를 갖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 모두 차광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2에서는, 시일재(7), 스페이서(12), 배향층(13), 배향층(17), 배향층(19), 배향층(22), 제1 공통 전극(14), 제2 공통 전극(23) 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2 중에 있어서, 관찰 위치 O는, 조광 필름(1D)의 X 방향의 중간 위치를 통과하는 법선 N 위에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영역 A1과 영역 A2의 경계는, 이 조광 필름(1D)의 X 방향의 중간 위치를 통과하는 법선 N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역 A1에 있어서는, 제1 비전극선(181, 182, 183)은, 각각, 제2 비전극선(211, 212, 213)을 기준으로 하여 X1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찰 위치 O로부터 조광 필름(1D)을 관찰하면, 영역 A1에서는, 제1 비전극선(181, 182, 183)을 통과하는 경사 방향의 시선 L1, L2, L3은, 제2 비전극선(211, 212, 213)을 통과하지 않고, 제2 액정층(10)의 차광된 영역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영역 A2에 있어서는, 제1 비전극선(184, 185, 186)은, 각각, 제2 비전극선(214, 215, 216)을 기준으로 하여 X2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찰 위치 O로부터 조광 필름(1D)을 관찰하면, 영역 A2에 있어서도 영역 A1과 마찬가지로, 제1 비전극선(184, 185, 186)을 통과하는 경사 방향의 시선 L4, L5, L6은, 제2 비전극선(214, 215, 216)을 통과하지 않고, 제2 액정층(10)의 차광된 영역에 의해 차단된다.
즉, 특정한 관찰 위치 O로부터 상정되는 시선 상에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이 겹치기 어려운 방향으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의 상대 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이 겹치지 않고 어긋나는 방향이 다른 2개의 영역 A1, A2가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 관찰 위치 O로부터 상정되는 시선 상에서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이 겹치기 어려운 배치(이하, 바람직한 비전극선의 배치)는, 이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바람직한 비전극선의 배치는, 관찰 위치 O에 가까운 측에 있는 비전극선(도 12에서는,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이 관찰 위치 O로부터 먼 측에 있는 비전극선(도 12에서는,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보다도, 관찰 위치 O로부터 조광 필름(1D)으로 그은 법선 N으로부터 먼 측으로 어긋난 배치이다.
여기서, 제1 비전극선(182)을 통한 후에 제2 비전극선(212)을 통과하는 시선 L100에 대해서는, 제2 액정층(10)의 차광된 영역에 의해 차단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시선 L100과 같은 시선에 대해서는, 차광 영역 중에 제1 비전극선(182) 및 제2 비전극선(212)에 대응한 가늘고 긴 투과 상태의 영역이 차광 영역에 있어서도 관찰되어 버린다. 이 L100과 같이 제1 비전극선과 제2 비전극선을 통과하여 관찰되어 버리는 시선은, 제4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존재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가늘고 긴 투과 상태의 영역이 차광 영역에 있어서도 관찰되어 버리는 현상은, 시점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 외에, 관찰 위치가 고정되어 있었다고 해도 관찰되는 조광 필름의 위치에 있어서의 제1 비전극선과 제2 비전극선의 상대적 위치 관계와 경사 방향의 시선 각도의 관계에 의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이 겹치지 않고 어긋나는 방향이 다른 2개의 영역 A1, A2를 마련하였다. 이에 의해, 관찰 위치 O의 근방에서는, 투과 상태의 영역이 차광 영역에 있어서도 관찰되어 버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광 필름(1D)의 전면에 대하여, 차광 영역 중에 투과 상태의 영역이 관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앞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광 필름(1D)을 차량(40)에 채용하는 경우에는, 차량 내에서 사람이 승차하는 위치는 대략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40) 내에 있어서 조광 필름(1D)에 대한 관찰 위치 O에 대해서도 대략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4 실시 형태의 구성의 조광 필름(1D)을 채용함으로써, 조광 필름(1D)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투과 상태의 영역이 차광 영역에 있어서 관찰되어 버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광 필름(1D)은 제1 비전극선(181 내지 186)과 제2 비전극선(211 내지 216)이 겹치지 않고 어긋나는 방향이 다른 2개의 영역 A1, A2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조광 필름(1D)은 관찰 위치 O의 근방에서는, 투과 상태의 영역이 차광 영역에 있어서도 관찰되어 버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광 필름(1D)은 차량(40)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D)은 커튼을 개폐하는 식으로 가로방향으로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제어하거나, 블라인드를 개폐하는 식으로 세로방향으로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D)은 외광의 차광 및 투과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4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D)은 외광을 다양한 형태로 차광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무아레가 관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은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형태와, 배향층(130, 190, 220, 170)의 형태가 제2 실시 형태의 배향층과 다른 것 외에는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5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은 배향층(130) 및 배향층(170)이 각각, 제1 비전극선(241 내지 244) 및 제2 비전극선(271 내지 274)과 동일한 위치에서 이격되어 분할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2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B)과 다르게 되어 있다.
배향층(제1 전극상 배향층)(130)은, 제1 전극(24)의 분할과 대응하여 분할되어 제1 전극(24) 상에 적층되어 있다.
배향층(제2 전극상 배향층)(170)은, 제2 전극(27)의 분할과 대응하여 분할되어 제2 전극(27) 상에 적층되어 있다.
배향층(130) 및 배향층(170)을 분할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향층(130) 및 배향층(170)을 각각, 제1 전극(24) 및 제2 전극(27) 상에 적층한 후에, 배향층(130) 및 배향층(170)과 함께 제1 전극(24) 및 제2 전극(27)을 절단하여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배향층(130), 배향층(190), 배향층(220), 배향층(170)은 모두 러빙 처리됨으로써 배향 특성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배향층(130), 배향층(190), 배향층(220), 배향층(170)은 러빙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미세한 라인상 요철 형상을 부형 처리하여 배향층을 제작해도 되고, 광 배향에 의해 배향층을 제작해도 된다.
또한, 이들 배향층(130), 배향층(190), 배향층(220), 배향층(170)은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이 노멀리 다크로서 구성되도록, 각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특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액정 분자는, 무전계 시에 차광 상태로 되고, 전계 인가 시에 투과 상태가 되도록 각 배향층에 의해 액정 분자가 배향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액정 분자는, 무전계 시에 액정층의 두께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은 모두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게스트 호스트형의 액정층이다.
도 14는, 무전계 시(차광 상태)의 조광 필름(1E)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스페이서를 생략하였으며, 타원 형상으로 액정 분자(91, 101)를 표현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액정층(9)의 액정 분자(9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과, 제2 액정층(10)의 액정 분자(10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은, 조광 필름(1E)의 법선 방향(Z축 방향)에서 볼 때 교차하고 있다. 즉, 제1 액정층(9)의 액정 분자(9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은 X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제2 액정층(10)의 액정 분자(10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은 Y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액정층(9)의 액정 분자(9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과, 제2 액정층(10)의 액정 분자(10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을, 조광 필름(1E)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교차시킴으로써, 제1 액정층(9)과 제2 액정층(10)이 적층된 조광 필름(1E)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차광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은 차광 상태에 있어서, 각각 액정 분자(91), 액정 분자(101)가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음으로써 각각이 편광판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광에 부여한다. 따라서, 제1 액정층(9)을 통과한 광은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된 상태로 되고, 그 광은, 편광 방향이 교차한 제2 액정층(10)을 거의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은 차광 특성이 양호하다. 또한, 제1 액정층(9)의 액정 분자(9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과, 제2 액정층(10)의 액정 분자(101)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은, 조광 필름(1E)의 법선 방향(Z축 방향)에서 볼 때 직교하고 있는 것이, 차광 특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즉, 제1 액정층(9)의 투과축 방향과 제2 액정층(10)의 투과축 방향이 직교한 크로스니콜 배치로 하는 것이, 차광 특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은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다 중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이 노멀리 다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과, 배향층(130, 170)이 분할되어 있는 것과, 액정 분자(91) 및 액정 분자(101)가 차광 상태에 있어서 배향되는 방향이 교차하고 있는 것에 큰 관계가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노멀리 다크이며, 배향층(170B)이 분할되어 있지 않고 단일의 액정층(10)을 구비한 조광 필름(100B)의 액정 분자(101)의 배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A)는 무전계 시(차광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의 (B)는 전계 인가 시(투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스페이서를 생략하였으며, 타원 형상으로 액정 분자(101)를 표현하고 있다.
도 15 중의 배향층(170B)은 제2 비전극선(271)과 겹치는 부분이 절단되어 있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조광 필름(100B)의 기타 부분에 대해서는,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의 제3 기재(20)로부터 Z2 측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배향층(170B)이 분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전계 시(차광 상태)에는, 배향층(170B) 및 배향층(220)에 의한 배향력에 의해 액정 분자(101)는 액정층(10)의 전체에 있어서 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된다.
또한, 배향층(170B)이 분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계 인가 시(투과 상태)에는, 제2 전극(27)과 겹치는 범위에서는 액정 분자(101)는 Z축 방향을 대략 따른 방향으로 배향된다. 단, 제2 전극(27)이 절단되어 있는 제2 비전극선(271)과 겹치는 범위에서는 액정 분자(101)는 전계의 영향을 충분히 받을 수 없어, 배향 상태가 흐트러진다.
도 16은, 노멀리 다크이며, 배향층(170)이 분할되어 있는 단일의 액정층(10)을 구비한 조광 필름(100C)의 액정 분자(101)의 배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의 (A)는 무전계 시(차광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의 (B)는 전계 인가 시(투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스페이서를 생략하였으며, 타원 형상으로 액정 분자(101)를 표현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조광 필름(100C)은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의 제3 기재(20)로부터 Z2 측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배향층(170)이 분할되어 있으므로,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전계 시(차광 상태)라도, 배향층(170)과 겹치지 않는 범위이며 제2 비전극선(271)에 가까운 범위에서는, 배향층(170)의 배향력을 충분히 받을 수 없어 배향 상태가 흐트러진다.
또한, 배향층(170)이 분할되어 있는 경우,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계 인가 시(투과 상태)에는, 제2 전극(27)과 겹치는 범위에서는 액정 분자(101)는 Z축 방향을 대략 따른 방향으로 배향된다. 단, 제2 전극(27)이 절단되어 있는 제2 비전극선(271)과 겹치는 범위에서는 액정 분자(101)는 전계의 영향을 충분히 받을 수 없어, 배향 상태가 흐트러진다.
이와 같이 노멀리 다크의 구성에 있어서 배향층이 분할되어 절취선이 존재하면, 무전계 시(차광 상태)라도, 제2 비전극선(271)에 가까운 범위에서는, 배향 상태가 흐트러진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는, 차광 특성이 다른 범위보다도 저하되는 것이 과제가 된다.
다음으로,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이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우선,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이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설명한다.
도 17은,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양쪽 모두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조광 필름(1A-2)의 무전계 시(차광 상태)의 차광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7에서는, 스페이서를 생략하였으며, 타원 형상으로 액정 분자(91, 101)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액정 분자(91, 101)의 배향이 정돈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지만, 액정 분자(91)와 액정 분자(101)가 교차하여 배향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는 2차원의 도면이기 때문에 표현되어 있지 않다(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처럼 나타내고 있음).
도 17 중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91, 101)의 배향 상태에 관해서는,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 배향 상태와 마찬가지로 배향된다.
도 17 중에서는, 조광 필름(1A-2)에 입사하는 광선 LA1과, 광선 LA2와, 광선 LA3으로 나타내고 있다.
광선 LA1은,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각각의 액정 분자(91) 및 액정 분자(10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을 통과한다. 따라서, 제1 액정층(9)을 통과한 광은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되고, 그 후, 제2 액정층(10)을 통과할 때에 거의 차광된다.
광선 LA2는, 제1 액정층(9)에 입사한 직후에는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되지만, 제1 액정층(9)으로부터 출사하기 전에 액정 분자(91)의 배향 상태가 흐트러져 있는 부분을 통과하므로, 편광 상태가 흐트러진다. 따라서, 제2 액정층(10)에 있어서 액정 분자(10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어도, 제2 액정층(10)을 통과할 수 있는 편광 상태의 광이 많아지기 때문에, 광선 LA1보다도 투과하는 광이 많아지고, 광이 누설되므로 제1 비전극선(182)이 희미하게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광선 LA3은, 제1 액정층(9)에 있어서 액정 분자(9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을 통과하므로,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된다. 그러나, 제2 액정층(10)에 입사하여 즉시 액정 분자(101)의 배향 상태가 흐트러져 있는 부분을 통과하므로, 편광 상태가 흐트러진다. 편광 상태가 흐트러진 광이 그 후, 제2 액정층(10)의 액정 분자(101)의 배향 상태가 정돈된 부위를 통과하여도, 제2 액정층(10)을 통과할 수 있는 편광 상태의 광이 많아지기 때문에, 광선 LA1보다도 투과하는 광이 많아지고, 광이 누설되므로 제1 비전극선(182)이 희미하게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도 17에 도시한 조광 필름(1A-2)에서는, 광선 LA1은 차광할 수 있지만, 광선 LA2와, 광선 LA3에 대하여, 희미하게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어 차광 특성이 나쁘다고 할 수 있다.
도 18은, 제2 액정층(10)만이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액정층(9)은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조광 필름(1C-2)의 무전계 시(차광 상태)의 차광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8에서는, 스페이서를 생략하였으며, 타원 형상으로 액정 분자(91, 101)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도 18에서는, 액정 분자(91, 101)의 배향이 정돈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지만, 액정 분자(91)와 액정 분자(101)가 교차해서 배향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는 2차원의 도면이기 때문에 표현되어 있지 않다(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처럼 나타내고 있음).
도 18 중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91, 101)의 배향 상태에 관해서는,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 배향 상태와 마찬가지로 배향된다.
도 18 중에서는, 조광 필름(1C-2)에 입사하는 광선 LC1과, 광선 LC2와, 광선 LC3으로 나타내고 있다.
광선 LC1은,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각각의 액정 분자(91) 및 액정 분자(10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을 통과한다. 따라서, 제1 액정층(9)을 통과한 광은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되고, 그 후, 제2 액정층(10)을 통과할 때에 거의 차광된다.
광선 LC2는, 제1 액정층(9)에 입사한 직후에는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되지만, 제1 액정층(9)으로부터 출사하기 전에 액정 분자(91)의 배향 상태가 흐트러져 있는 부분을 통과하므로, 편광 상태가 흐트러진다. 따라서, 제2 액정층(10)에 있어서 액정 분자(10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어도, 제2 액정층(10)을 통과할 수 있는 편광 상태의 광이 많아지기 때문에, 광선 LC1보다도 투과하는 광이 많아지고, 광이 누설되므로 제1 비전극선(182)이 희미하게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광선 LC3은, 제1 액정층(9)에 있어서 액정 분자(9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을 통과하므로,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된다. 그 후, 제2 액정층(10)에 입사한 광은, 액정 분자(10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에서 거의 차광되므로, 액정 분자(101)의 배향 상태가 흐트러진 부분에 도달하는 광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광선 LC3은 거의 차광된다.
이와 같이, 도 18에 도시한 조광 필름(1C-2)에서는, 광선 LA1과 광선 LA3은 차광할 수 있지만, 광선 LA2에 대해서는, 희미하게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어 조광 필름(1A-2)보다도 개선되지만, 차광 특성이 나쁘다고 할 수 있다.
도 19는,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의 양쪽 모두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7)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의 무전계 시(차광 상태)의 차광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9에서는, 스페이서를 생략하였으며, 타원 형상으로 액정 분자(91, 101)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액정 분자(91, 101)의 배향이 정돈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지만, 액정 분자(91)와 액정 분자(101)가 교차해서 배향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는 2차원의 도면이기 때문에 표현되어 있지 않다(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처럼 나타내고 있음).
도 19 중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91, 101)의 배향 상태에 관해서는,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 배향 상태와 마찬가지로 배향된다.
도 19 중에서는, 조광 필름(1E)에 입사하는 광선 LE1과, 광선 LE2와, 광선 LE3으로 나타내고 있다.
광선 LE1은, 제1 액정층(9) 및 제2 액정층(10)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각각의 액정 분자(91) 및 액정 분자(10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을 통과한다. 따라서, 제1 액정층(9)을 통과한 광은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되고, 그 후, 제2 액정층(10)을 통과할 때에 거의 차광된다.
광선 LE2는, 제1 액정층(9)에 입사한 직후에는 액정 분자(91)의 배향 상태가 흐트러져 있는 부분을 통과하지만, 그 후, 액정 분자(9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을 통과하므로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된다. 그 후, 제2 액정층(10)에 입사하면 액정 분자(10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거의 차광된다.
광선 LE3은, 제1 액정층(9)에 있어서 액정 분자(9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을 통과하므로, 편광 상태가 일방향으로 정돈된다. 그 후, 제2 액정층(10)에 입사한 광은, 액정 분자(101)가 적절한 방향(Z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에서 거의 차광되므로, 액정 분자(101)의 배향 상태가 흐트러진 부분에 도달하는 광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광선 LE3은 거의 차광된다.
이와 같이, 도 19에 도시한 제5 실시 형태의 조광 필름(1E)에서는, 광선 LE1과 광선 LE2와 광선 LE3 모두에 대하여 거의 차광할 수 있어 차광 특성이 양호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효과 외에, 차광 특성이 더욱 우수한 조광 필름(1E)을 실현할 수 있다.
(변형 형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며, 이들도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범위 내이다.
(1)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광 필름을 차량(40)의 사이드 윈도우 및 차내 파티션에 배치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조광 필름을,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 루프 윈도우 등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광 부재로서 가요성을 갖는 조광 필름을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에 마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상술한 조광 필름의 기재를 유리판으로 하여 가요성을 갖지 않는 조광 부재(접합 유리)를 구성하고, 이 조광 부재를 각 사이드 윈도우 대신에 차량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조광 필름을 2매의 유리판이나 수지판 등의 투명판의 사이(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 사이)에 끼움 지지하여 조광 장치를 구성하고, 이 조광 장치를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로서 배치해도 된다.
(3)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광 필름을 마련하는 탈것으로서, 자동차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조광 필름은, 예를 들어 철도 차량, 선박, 항공기 등의 윈도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조광 필름은, 탈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건물에 설치되는 창유리, 파티션용 창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4)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비전극선과 제2 비전극선이 겹치지 않고 어긋나는 방향이 전면에서 동일한 방향, 또는 영역 A1, A2 내에서는 동일한 방향인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분할된 제1 전극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비전극선과 제2 비전극선의 관계에 있어서, 제1 비전극선과 제2 비전극선이 겹치지 않고 어긋나는 방향을 랜덤하게 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투과 상태의 영역이 차광 영역에 있어서도 관찰되어 버리는 현상이 특정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다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는,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1A: 조광 필름
1B: 조광 필름
1C: 조광 필름
1D: 조광 필름
1E: 조광 필름
5A: 제1 적층체
5B: 제2 적층체
5C: 제3 적층체
6: 제1 기재
7: 시일재
9: 제1 액정층
10: 제2 액정층
12: 스페이서
13: 배향층
14: 제1 공통 전극
15: 제2 기재
17: 배향층
18: 제1 전극
18A 내지 18G: 부분 전극
19: 배향층
20: 제3 기재
21: 제2 전극
21A 내지 21G: 부분 전극
22: 배향층
23: 제2 공통 전극
24: 제1 전극
24A 내지 24E: 부분 전극
25: 제1 공통 전극
26: 제2 공통 전극
27: 제2 전극
27A 내지 27E: 부분 전극
28: 제1 공통 전극
29: 제1 전극
29A 내지 29E: 부분 전극
31: 제2 공통 전극
32: 제2 전극
32A 내지 32E: 부분 전극
40: 차량
41A: 앞좌석 사이드 윈도우
41B: 뒷좌석 사이드 윈도우
41C: 앞좌석 사이드 윈도우
41D: 뒷좌석 사이드 윈도우
42: 조작 정보 취득부
43: 전원부
44: 구동 제어부
45: 차내 파티션
91: 액정 분자
100: 조광 필름
100B: 조광 필름
100C: 조광 필름
1A-2: 조광 필름
1C-2: 조광 필름
101: 액정 분자
130: 배향층
170: 배향층
170B: 배향층
190: 배향층
220: 배향층
181 내지 186: 제1 비전극선
211 내지 216: 제2 비전극선
241 내지 244: 제1 비전극선
271 내지 274: 제2 비전극선
291 내지 294: 제1 비전극선
321 내지 324: 제2 비전극선
A1: 영역
A2: 영역
L1 내지 L6: 시선
L100: 시선
N: 법선
O: 관찰 위치

Claims (8)

  1. 투과율을 제어 가능한 조광 부재이며,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제1 공통 전극과,
    분할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공통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1 액정층과,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제2 공통 전극과,
    분할된 제2 전극과,
    상기 제2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2 액정층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을 분할하는 제1 비전극선과 상기 제2 전극을 분할하는 제2 비전극선은, 당해 조광 부재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재를 갖는 제1 적층체와,
    제2 기재를 갖는 제2 적층체와,
    제3 기재를 갖는 제3 적층체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액정층은, 상기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3 적층체에 의해 끼움 지지되고,
    상기 제2 액정층은, 상기 제2 적층체 및 상기 제3 적층체에 의해 끼움 지지되고,
    상기 제1 비전극선 및 상기 제2 비전극선의 폭은 50㎛ 이하이며,
    분할된 상기 제1 전극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전극선과 상기 제2 비전극선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1 액정층의 층 두께와, 상기 제3 적층체의 층 두께와, 상기 제2 액정층의 층 두께의 합 이상인, 조광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전극선 및 상기 제2 비전극선의 폭은 50㎛ 이하이며,
    분할된 상기 제1 전극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전극선과 상기 제2 비전극선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1 비전극선끼리의 최단 간격의 1/2 이하인, 조광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당해 조광 부재와의 이루는 각도가 45° 이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비전극선과 상기 제2 비전극선이 겹치지 않는, 조광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분할된 상기 제1 전극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 비전극선과 상기 제2 비전극선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전극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비전극선이 어긋나게 배치되는 방향이 다른 2개의 영역을 갖는, 조광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분할과 대응하여 분할되어 상기 제1 전극 상에 적층된 제1 전극상 배향층과,
    상기 제2 전극의 분할과 대응하여 분할되어 상기 제2 전극 상에 적층된 제2 전극상 배향층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액정층 및 상기 제2 액정층은, 무전계 시에 차광 상태로 되고, 전계 인가 시에 투과 상태가 되는 노멀리 다크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과, 상기 제2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은, 당해 조광 부재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교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액정층 및 상기 제2 액정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과, 상기 제2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차광 상태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은, 당해 조광 부재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직교하고 있는, 조광 부재.
  8.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상기 제2 투명판 사이에 마련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조광 부재를 구비하는, 조광 장치.
KR1020237043418A 2021-07-05 2022-06-24 조광 부재, 조광 장치 KR202400312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11316 2021-07-05
JP2021111316 2021-07-05
PCT/JP2022/025319 WO2023282091A1 (ja) 2021-07-05 2022-06-24 調光部材、調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232A true KR20240031232A (ko) 2024-03-07

Family

ID=8480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418A KR20240031232A (ko) 2021-07-05 2022-06-24 조광 부재, 조광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9083A1 (ko)
JP (1) JPWO2023282091A1 (ko)
KR (1) KR20240031232A (ko)
CN (1) CN117561474A (ko)
WO (1) WO202328209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8376A (ja) 2018-01-22 2019-08-01 凸版印刷株式会社 調光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9533B2 (ja) 1994-09-29 2009-11-25 ロリク アーゲー 液晶配向層を製造するためのクマリン及びキノリノン誘導体
US6107427A (en) 1995-09-15 2000-08-22 Rolic Ag Cross-linkable, photoactive polymer materials
EP1070731A1 (en) 1999-07-23 2001-01-24 Rolic AG Compound
JP5459520B2 (ja) 2009-06-23 2014-04-0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光配向性を有する熱硬化膜形成組成物
JP6225566B2 (ja) * 2013-08-30 2017-1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レンズセル基板、液晶レンズセル及び表示装置
JP7074510B2 (ja) * 2017-03-29 2022-05-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調光フィルム用透明導電フィルム及び調光フィルム
JP7294003B2 (ja) * 2019-09-04 2023-06-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調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8376A (ja) 2018-01-22 2019-08-01 凸版印刷株式会社 調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091A1 (ja) 2023-01-12
JPWO2023282091A1 (ko) 2023-01-12
EP4369083A1 (en) 2024-05-15
CN117561474A (zh)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954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14369B1 (ko) 조광 시스템, 조광 필름의 구동 방법, 차량
CN109116613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8416355B2 (en) Directional filter device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maximal blocking of incident light
KR101942584B1 (ko) 표시 장치
US11679649B2 (en) Multifunctional switchable film and constructions including such a film
US9488845B2 (en) Display device
EP3339939B1 (en) Parallax barrier, display device and display state control method thereof
US8717520B2 (en)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US11541731B2 (en) Light control film, light control member, vehicle, and electricity supply method for light control film
KR20240031232A (ko) 조광 부재, 조광 장치
JP2022176315A (ja) 調光部材、構造物、調光部材の配置方法
JP2018109735A (ja) 調光部材、構造体、調光部材の配置方法
CN214375665U (zh) 视角控制面板以及显示装置
JP7062912B2 (ja) 調光フィルム、調光部材、車両、調光システム及び調光フィルムの駆動方法
US11899312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panel
US20220252929A1 (en) Light control device and light control sheet
CN216351637U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7463843B2 (ja) 調光システム
US11500232B2 (en) View angle control device
KR102552883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21184089A (ja) 調光部材及び調光装置
JP2023064250A (ja) 調光部材、および構造体
JP2024069407A (ja) 調光部材
KR20240077045A (ko) 광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