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954B1 -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954B1
KR101268954B1 KR1020060059993A KR20060059993A KR101268954B1 KR 101268954 B1 KR101268954 B1 KR 101268954B1 KR 1020060059993 A KR1020060059993 A KR 1020060059993A KR 20060059993 A KR20060059993 A KR 20060059993A KR 101268954 B1 KR101268954 B1 KR 101268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angle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pattern
transpar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522A (ko
Inventor
최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54B1/ko
Priority to CNB2006101467793A priority patent/CN100510890C/zh
Priority to US11/643,783 priority patent/US7609339B2/en
Publication of KR2008000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4Arrangements combining different electro-active layers, e.g.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or electroluminescent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불투명 상태가 가변 되는 전기 변색 물질을 이용하여 빛의 차단/투과와 시야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층,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색하여 표시 층의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투과/차단 여부를 조절하는 시야각 제어 층을 갖는 상부 기판, 상부 기판과 대향 하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갖는 하부 기판,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 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액정 표시 장치, 광시야각, , 전기 변색 물질

Description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lable viewing ang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상부 기판 110: 표시층
111: 블랙 매트릭스 112: 컬러 필터
113: 오버 코트층 114: 배향막
120: 시야각 제어층 121: 전기 변색 패턴
122: 제 1 투명 전극 123: 제 2 투명 전극
124: 전해질 200: 하부 기판
210: 게이트 라인 220: 데이터 라인
P: 화소 영역 TFT: 박막 트랜지스터
300: 액정층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투명 절연 기판인 상, 하부 기판 사이에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층을 형성한 후, 액정층에 형성되는 전계의 세기를 조정하여 액정 물질의 분자 배열을 변경시키고, 이를 통하여 표시면인 상부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현하는 표시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를 스위칭 소자로 이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FT LCD)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특히,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가 광시야각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와 협시야각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시야각 제어 방식의 기본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우선, 화상 표시를 위하여 광시야각을 갖는 횡전계 구조의 액정 패널을 구성하고, 이 액정 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시야각 조절을 위한 액정 패널을 추가한 후, 추가된 액정 패널을 구동하여 광시야각과 협시야각 모드를 조절하는 것이다. 시야각 조절을 위하여 추가되는 액정 패널은 기본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이 갖는 광시야각을 해치지 않는 기능과 보안이나 사생활적인 측면에서 필요한 협시야각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서, 제 1 액정층(80)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은 시야각을 조절하는 패널이며, 제 2 액정층(90)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은 광시야각을 갖도록 화상을 표시하는 패널이다. 제 1 액정층(80)에 전압을 가하지 않으면, 액정 분자(81)가 두 기판(10, 21)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본래의 광시야각을 유지하므로 광시야각 모드가 되고, 제 1 액정층(80)에 전압을 가하면, 액정 분자(81)가 두 기판(10, 21)에 수직하게 배열되면서 시야각이 감소하므로 협시야각 모드가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제 2, 제 3, 제 4 기판(10, 21, 22, 30)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1) 사이의 안쪽 면에는 각각 투명 전극(70, 60)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며, 제 3 기판(22)의 상부 면에는 두 개의 선형 전극(40, 50)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1), 제 3 기판(22)과 제 4 기판(30) 사이에는 제 1, 제 2 액정층(80, 9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기판(10, 21)과 두 기판(10, 21)의 사이에 있는 제 1 액정층(80)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은 광시야각 및 협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시야각 제어용 액정 패널이다.
전계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제 1 액정층(80)의 액정 분 자(81)가 제 1, 2 기판(10, 21)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 1과 같은 광시야각 모드에서는 제 2 액정층(90)의 액정 분자(91)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므로, 액정 패널이 하나인 일반적인 횡전계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가 갖는 광시야각과 동일한 시야각을 갖게 되며, 횡전계 구조가 갖는 다른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 1 기판(10)과 제 3 기판(30)의 바깥 면에는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키는 두 장의 편광판(11, 31)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때, 편광판(11, 31)의 투과축 방향은 액정 분자(81, 91)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협시야각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두 투명 전극(70, 60)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 1, 제 2 기판(10, 21) 사이에 수직 방향의 전기장을 형성했을 때, 제 1 액정층(80)의 액정 분자(81)들은 전기장의 방향을 따라 두 기판(10, 21)에 수직하게 배열된다. 이때, 두 기판(10, 21)에 인접한 액정 분자(82)들은 전기장이 미치는 힘보다는 러빙에 따른 배향력이 크기 때문에 두 기판(10, 21)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협시야각 모드에서는, 두 기판(10, 21)에 수직하게 배열된 액정 분자(81)들은 두 기판(10, 21)의 정면으로 진행하는 빛에 대한 지연(retardation)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선편광된 빛이 액정 분자(81)로 이루어진 제 1 액정층(80)을 통과하면서 지연에 의해 편광 상태가 바뀌게 되는데, 편광 상태가 바뀌는 비율의 차이가 정면에서 멀리 벗어날수록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대비비가 감소하게 되어 시야각이 좁아지게 된다. 즉, 시야각 제어를 목적으로 추가된 제 1 액 정층(80)에 전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이 떨어지게 되어 협시야각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를 통해 협시야각과 광시야각 모드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융통성 있는 시야각 특성을 보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조절하게 되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이외에 시야각 조절을 위한 별도의 액정 패널이 사용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가 과도하게 증가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나 제조 공정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며, 러빙(rubbing)이나 스크라입(scribe), 기판의 합착 등의 공정 수행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계에 의해 투명/불투명 상태가 가변되는 전기 변색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빛의 차단/투과와 시야각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액정 표시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층,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색되어 상기 표시층의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투과/차단 여부를 조절하는 시야각 제어층을 갖는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과 대향하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갖는 하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a) 상부 기판 상에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층과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색되어 상기 표시층의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투과/차단 여부를 조절하는 시야각 제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하부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합착하고,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합착된 상부 기판(100) 및 하부 기판(200), 상부 기판(100)과 하부 기 판(20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300)을 포함한다.
상부 기판(100)에는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층(110)과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색되어 표시층(110)의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투과/차단 여부를 조절하는 시야각 제어층(120)이 구성된다.
표시층(110)에는 화소 영역(P)을 제외한 부분인 차광 영역(R1)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111)가 형성되고,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적색, 녹색, 청색(R, G, B)의 컬러 필터(112)가 각각의 화소 영역(P)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기판(2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P)을 갖는다.
이러한 하부 기판(200)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210)과 게이트 라인(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220)이 배열되며, 서로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210)과 데이터 라인(220)에 의해 각 화소 영역(P)이 정의된다.
게이트 라인(210)과 데이터 라인(220)이 교차되는 부분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며, 교차 부위에 위치한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게이트 라인(210)으로부터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220)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각 화소 영역(P)에 인가한다.
시야각 제어층(120)은 전기 변색 패턴(121)으로의 전기장 인가 여부에 따라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로 전환되고, 광시야각 모드에서는 전기 변색 패턴(121)이 투명 상태가 되며, 협시야각 모드에서는 전기 변색 패턴(121)이 불투명 상태가 되어 시야각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시야각 제어층(120)이 투명 상태를 유지하는 광시야각 모드에서는 광시야각을 구현하여야 하므로, 광시야각을 갖는 IPS(In Plane Switching) 구조나 VA(Vertical Alignment)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IPS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하부 기판(200)의 화소 영역(P) 상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공통 전극 및 화소 전극이 일직선으로 또는 꺾인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고, 액정이 기판에 수평하게 배열되며, 두 전극 간에 형성되는 수평 전계에 의해 액정의 배향이 제어된다.
VA 구조의 경우, 액정의 초기 배향이 기판에 수직하게 배열되며, 공통 전극 및 화소 전극이 상, 하부 기판(100, 200)에 각각 형성되어 액정에 수직 전계를 인가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4a에서는, 시야각 제어층(120)의 전기 변색 패턴(121)이 제 1 투명 전극(122)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b 및 도 4c는 전기 변색 패턴(121)의 상태 변화에 따른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판(100)에는 표시층(110)과 시야각 제어층(120)이 형성된다.
표시층(110)은 시야각 제어층(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화소 영역(P)들 사이를 차광하는 블랙 매트릭스(111)와 블랙 매트릭스(111)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 필터(112), 컬러 필터(112)를 덮는 오버 코트층(113), 오버 코트층(113) 상부의 배향막(114)을 포함한다.
시야각 제어층(120)은 전기 변색 소자(ECD: electrochromic device)로서, 전기장의 인가에 따른 전기적인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 변색 패턴(121)의 색상을 변화시켜 광투과 특성을 변경하며, 제 1 투명 전극(122)과 제 2 투명 전극(123)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투명/불투명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한다.
이러한 시야각 제어층(120)은 제 1, 제 2 투명 전극(122, 123)과 그 사이에 형성된 전기 변색 패턴(121) 및 전해질(124)을 포함한다.
제 1 투명 전극(122)과 제 2 투명 전극(123)은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 배치된다.
전기 변색 패턴(121)은 제 1 투명 전극(122)이나 제 2 투명 전극(123) 상에 형성되며, 제 1, 제 2 투명 전극(122, 123)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변색되어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한다. 광시야각 모드에서는 전기 변색 패턴(121)이 투명 상태가 되며, 협시야각 모드에서는 전기 변색 패턴(121)이 불투명 상태가 되어 시야각을 차단하게 된다.
제 1 투명 전극(122)과 제 2 투명 전극(123)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전해질(124)에는 전기 변색 패턴(121)의 전기 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이 분포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 1 투명 전극(122)과 제 2 투명 전극(123)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광투과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광시야각 모드/협시야각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시야각 제어층(120)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야각 제어층(120)의 제 1 투명 전극(122) 및 제 2 투명 전극(123)에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에 따른 전류의 흐름에 의해 전기 변색 패턴(121)의 색깔이 변하게 된다. 전기 변색 패턴(121)이 제 1 투명 전극(122)과 제 2 투명 전극(123)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가시광선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상태를 가지거나 가시광선을 차단시키는 불투명한 상태를 가지는 것이다.
전기 변색 패턴(121)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무기(inorganic) 물질이나 유기(organic)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 물질로는 WO3, NiOxHy, Nb2O5, V2O5, TiO2, MoO3 등이 있고, 유기 물질로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이 있다.
전기 변색 패턴(121)을 이루는 물질은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배리어(barrier) 형태로 쌓이며,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층 구조가 다소 달라질 수 있다.
편의 상 이하에서는, 최저 전압(예를 들어, 0V) 인가 시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고, 최고 전압(예를 들어, 3∼4V) 인가 시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전기 변색 패턴(121)을 예로 들어 시야각 제어층(12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여, 시야각의 제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전기 변색 패턴(121)을 블랙 매트릭스(111)가 형성된 차광 영역(R1)의 하부에 패터닝하여 형성한 구조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정면에서 입사되는 빛은 그대로 통과시키므로, 정면 투과율의 감소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도 4b는 전기 변색 패턴(121)의 투과 상태로서, 전기 변색 패턴(121)이 시야 각에 영향을 주지 않아 광시야각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c는 전기 변색 패턴(121)이 시야각 경로의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정면 투과율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시야각 방향의 투과율을 감소시켜 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전기 변색 패턴(121)이 불투명 상태가 되어 광흡수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시야각의 광경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협시야각을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시야각 제어층(120) 상부의 차광 영역(R1)에는 블랙 매트릭스(111)가 형성되어 화소 영역(P)들 사이를 차광하며, 시야각 제어층(120)의 전기 변색 패턴(121)은 블랙 매트릭스(111)가 형성되어 있는 차광 영역(R1)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여 정면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블랙 매트릭스는 정면(수평 방향)에서의 광경로 차단 역할을 하며, 차단/투과를 선택할 수 없는 구조인데 반해, 본 발명에서의 전기 변색 패턴(121)은 투명/불투명 상태의 선택으로 광시야각/협시야각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불투명 상태가 되는 협시야각 모드에서 광경로 차단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상태에서 가시광선을 투과시키고, 불투명 상태에서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시야각 제어층(120)의 반응을 전계로 제어하여 광시야각/협시야각 모드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 변색 패턴(121)이나 블랙 매트릭스(111)의 폭과 높이, 전기 변색 패턴(121) 간의 간격 또는 블랙 매트릭스(111)들 간의 배치 간격에 따라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블랙 매트릭스(111)들 간의 간격, 블랙 매트릭스(111)의 상부면으로부터 전기 변색 패턴(121)의 하부면까지의 높이에 따라 협시야각의 구현 정도를 수학식 1과 같이 어림하여 예측할 수 있다.
tanθ = b/a
여기서, θ는 전기 변색 패턴(121)이 불투명 상태가 되는 협시야각 모드에서의 시야각, a는 인접하는 두 블랙 매트릭스(111) 간의 수평 방향 간격, b는 블랙 매트릭스(111)의 상부면으로부터 그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 변색 패턴(121)의 하부면까지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의미한다.
두 블랙 매트릭스(111) 간의 수평 방향 간격인 a값은 액정 표시 장치의 종류나 모델에 따라 일정한 값으로 정해지므로, 수직 방향 높이인 b값을 제어하여 협시야각의 수준을 설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변색 패턴(121)은 시야각 제어층(120) 상부의 전 영역, 즉, 블랙 매트릭스(111)가 형성되어 있는 차광 영역(R1)과 차광 영역(R1)을 제외한 개구 영역(R2)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제 1 투명 전극(122)에서부터 제 2 투명 전극(123)까지 닿도록 형성되어, 두 전극(122, 123) 사이의 전해질(124)이 충진되는 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분한다.
도 5의 경우,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구성된 전기 변색 패턴(121)의 적층 높이를 줄이기 위하여 보다 세밀한 패터닝이 이루어지게 되며, 충분한 시야각 제어를 통해서 차광 영역(R1)을 비롯한 개구 영역(R2)까지 전기 변색 패턴(121)이 적용 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면, 전기 변색 패턴(121)을 비롯한 시야각 제어층(120)의 적층 높이가 감소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시야각은 전기 변색 패턴(121)의 높이 및 폭, 전기 변색 패턴(121)들 간의 간격을 이용해 수학식 2와 같이 어림할 수 있다.
tanθ = d/c
여기서, θ는 전기 변색 패턴(121)이 불투명 상태가 되는 협시야각 모드에서의 시야각, c는 인접하는 두 전기 변색 패턴(121) 간의 수평 방향 간격, d는 인접하는 두 전기 변색 패턴(121) 간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 변색 패턴(121)은 기준 패턴(121_1)과 이격 패턴(121_2)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기준 패턴(121_1)은 제 1 투명 전극(122) 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이격 패턴(121_2)은 제 2 투명 전극(123) 상에 기준 패턴(121_1)과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전기 변색 패턴(121)의 차광 영역(R1)을 비롯하여 개구 영역(R2)에까지 구성되는 경우, 시야각 방향의 투과율도 감소하지만, 개구 영역(R2)에 존재하는 전기 변색 패턴(121)으로 인해 협시야각 구현 시 정면 투과율도 다소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도 6과 같이 전기 변색 패턴(121)의 폭은 최대한 줄이고, 상, 하부의 기준 패턴(121_1) 및 이격 패턴(121_2)으로 배분하여 패턴화함으로써, 정면 투과율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층(110)이 상부 기판(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그의 반대편이 되는 상부 기판(100)의 다른 면에 시야각 제어층(120)이 형성된다.
전기 변색 패턴(121)의 위치나 적층 구조는 사용되는 물질 등의 조건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나, 전기 변색 패턴(121)이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갖는 배리어(barrier) 형태로 쌓이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변색 패턴(121)은 광시야각 모드에서 정면 및 측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가시광선을 모두 통과시키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고, 협시야각 모드에서 측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불투명 상태를 나타내어야 한다.
따라서, 전기 변색 패턴(121)은 불투명 상태에서의 블랙 휘도가 낮을수록, 투명 상태에서의 화이트 휘도가 높을수록 높은 시야각 제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7과 같은 원리나 그의 조합을 통해 상부 기판(100)의 전면이나 배면, 또는 하부 기판(200)까지도 시야각 제어층(120)을 확장 적용할 수 있으며, 시야각 제어층(120)만을 따로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기판을 구성하여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 기판(100) 또는 하부 기판(200)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전기 변색 패턴(121)의 여러 형상을 선택 적용함으로써, 상하 또는 좌우의 시야각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S100 단계에서, 상부 기판(100) 상에 표시층(110)과 시야각 제어층(120)을 형성한다. 표시층(110)은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부분이며, 시야각 제어층(120)은 전압의 크기에 따라 일부가 변색되어 표시층(110)의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투과/차단 여부를 조절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S110 단계에서, 하부 기판(200)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P)들을 형성한다. 각 화소 영역(P)은 서로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210) 및 데이터 라인(220)에 의해 정의된다.
다음으로, S120 단계에서, 상부 기판(100)과 하부 기판(200)을 합착하고, 상부 기판(100) 및 하부 기판(200) 사이에 액정층(300)을 형성한다.
S110 단계의 시야각 제어층(120)은 수직 방향으로 공간을 두고 이격 배치된 제 1 투명 전극(122)과 제 2 투명 전극(123) 사이의 전기 변색 패턴(121) 및 전해질(124)을 포함하도록 형성한다.
전기 변색 패턴(121)을 형성하는 물질로는 WO3, NiOxHy, Nb2O5, V2O5, TiO2, MoO3이나 폴리아닐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층(110)의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협시야각 모드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시야각의 범위를 고려하고, 결정된 시야각의 범위에 따라 전기 변색 패턴(121)의 폭과 높이, 그리고, 인접하는 두 전기 변색 패턴(121)들 간의 간격 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협시야각 모드에서의 시야각을 θ, 인접하는 두 전기 변색 패턴(121) 간의 수평 방향 간격을 c, 인접하는 두 전기 변색 패턴(121) 간의 수직 방향 높이를 d라고 정의할 때, tanθ=d/c를 만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기 변색 패턴(121)을 포함한 시야각 제어층(120)은 도 4a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화소 영역(P)들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 영역(R1), 즉, 블랙 매트릭스(111)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여 블랙 매트릭스(111)의 하부에 전기 변색 패턴(12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전기 변색 패턴(121)은 시야각 제어층(120) 상부의 전 영역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하되, 제 1 투명 전극(122)과 제 2 투명 전극(123)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형성하거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투명 전극(122) 상의 기준 패턴(121_1)과 제 2 투명 전극(123) 상의 이격 패턴(121_2)으로 배분하여 형성할 수 있다.
혹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기판(100)의 일면에 표시층(110)을 형성하고, 반대편이 되는 상부 기판(100)의 다른 면에 시야각 제어층(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 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전계에 의해 투명/불투명 상태가 가변되는 전기 변색 물질을 이용하여 빛의 차단/투과와 시야각 특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9)

  1.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층,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색되어 상기 표시층의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투과/차단 여부를 조절하는 시야각 제어층을 갖는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과 대향하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갖는 하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어층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이격 배치된 제 1 투명 전극 및 제 2 투명 전극;
    상기 제 1 투명 전극이나 상기 제 2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전기 변색 패턴; 및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의 전기 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이 분포되며,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광시야각 모드에서 투명 상태가 되고, 협시야각 모드에서 불투명 상태가 되어 시야각을 차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의 폭과 높이, 상기 전기 변색 패턴 간의 간격에 따라 시야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WO3, NiOxHy, Nb2O5, V2O5, TiO2, MoO3 및 폴리아닐린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은 상기 시야각 제어층 상부의 차광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화소 영역 사이를 차광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된 상기 차광 영역에 대응 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상기 시야각 제어층 상부의 전 영역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 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기준 패턴;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 상에 상기 기준 패턴과 엇갈리도록 형성된 이격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협시야각 모드의 시야각을 θ, 인접하는 두 전기 변색 패턴 간의 수평 방향 간격을 a, 상기 인접하는 두 전기 변색 패턴 간의 수직 방향 높이를 b라고 정의할 때, tanθ=b/a를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표시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기판의 다른 면에는 상기 시야각 제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a) 상부 기판 상에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층과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색되어 상기 표시층의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투과/차단 여부를 조절하는 시야각 제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하부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합착하고,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직 방향으로 공간을 두고 이격 배치된 제 1 투명 전극과 제 2 투명 전극, 상기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전기 변색 패턴 및 전해질을 포함하도록 상기 시야각 제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의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협시야각 모드의 시야각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의 폭과 높이, 상기 전기 변색 패턴 간의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WO3, NiOxHy, Nb2O5, V2O5, TiO2, MoO3 및 폴리아닐린 중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상기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상기 시야각 제어층 상부의 전 영역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하며,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 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기준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상에 상기 기준 패턴과 엇갈리도록 형성된 이격 패턴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패턴은,
    협시야각 모드를 구현하는 불투명 상태에서, 시야각을 θ, 인접하는 두 전기 변색 패턴 간의 수평 방향 간격을 a, 상기 인접하는 두 전기 변색 패턴 간의 수직 방향 높이를 b라고 정의할 때, tanθ=b/a를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기판의 일면에 상기 표시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기판의 다른 면에 상기 시야각 제어층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60059993A 2006-06-29 2006-06-29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68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993A KR101268954B1 (ko) 2006-06-29 2006-06-29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B2006101467793A CN100510890C (zh) 2006-06-29 2006-11-24 视角可控滤色器基板、具有该基板的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11/643,783 US7609339B2 (en) 2006-06-29 2006-12-22 Viewing-angle controllable color filt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993A KR101268954B1 (ko) 2006-06-29 2006-06-29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522A KR20080001522A (ko) 2008-01-03
KR101268954B1 true KR101268954B1 (ko) 2013-05-30

Family

ID=3887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993A KR101268954B1 (ko) 2006-06-29 2006-06-29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09339B2 (ko)
KR (1) KR101268954B1 (ko)
CN (1) CN100510890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871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색 디스플레이 장치
US10804340B2 (en) 2018-01-08 2020-10-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US11454842B2 (en) 2020-08-04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37254B2 (en) 2021-03-12 2022-1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11947B2 (en) 2020-01-15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parent mask that includes a transparent ox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4416B2 (en) 2007-04-05 2010-05-25 Advanced Micro Devices, Inc. Electrically programmable reticle and system
KR100852515B1 (ko) * 2007-04-06 2008-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터
CN101738810A (zh) * 2008-11-24 2010-06-16 上海挽鞑实业发展有限公司 多色变色玻璃
KR101137116B1 (ko) * 2008-11-27 2012-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
KR101226226B1 (ko) 2010-04-22 2013-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라이버시 보호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222996B1 (ko) * 2010-07-23 2013-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152352B2 (ja) * 2011-02-01 2013-02-27 凸版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用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11630367B2 (en) 2011-03-16 2023-04-18 View, Inc. Driving thin film switchable optical devices
US9030725B2 (en) 2012-04-17 2015-05-12 View, Inc. Driving thin film switchable optical devices
US9778532B2 (en) 2011-03-16 2017-10-03 View, Inc. Controlling transitions in optically switchable devices
US9454055B2 (en) 2011-03-16 2016-09-27 View, Inc. Multipurpose controller for multistate windows
US9412290B2 (en) 2013-06-28 2016-08-09 View, Inc. Controlling transitions in optically switchable devices
US10935865B2 (en) 2011-03-16 2021-03-02 View, Inc. Driving thin film switchable optical devices
CN102645782B (zh) 2011-05-17 2014-08-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色液晶薄膜制作方法、彩色液晶薄膜及显示设备
KR101890928B1 (ko) * 2011-08-08 2018-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CN202189212U (zh) 2011-08-18 2012-04-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反型电致变色液晶显示器
EP2607950B1 (en) * 2011-12-22 2014-05-21 Acreo Swedish ICT AB Fixe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03039B2 (en) 2013-06-28 2019-12-10 View, Inc. Controlling transitions in optically switchable devices
KR101941525B1 (ko) * 2012-06-07 2019-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2751307A (zh) * 2012-06-29 2012-10-2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可进行透明不透明转换的显示器
EP3933498A1 (en) * 2012-08-06 2022-01-05 View, Inc. Driving switchable optical thin-film devices
US10036907B2 (en) * 2012-09-26 2018-07-31 Apple Inc. Electronic equipment with status indicators
CN102879946A (zh) * 2012-09-26 2013-01-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液晶面板及彩膜基板的制备方法
US9547107B2 (en) 2013-03-15 2017-01-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Dye and pigment-free structural colors and angle-insensitive spectrum filters
CN103207494B (zh) * 2013-03-18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面板及显示装置
CN103217832B (zh) 2013-04-24 2015-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色滤光片、彩色滤光片制作方法和显示装置
JP6183744B2 (ja) * 2013-06-05 2017-08-23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3383505A (zh) 2013-07-12 2013-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CN103529615B (zh) * 2013-11-06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3744227B (zh) * 2014-01-06 2016-01-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彩膜基板及制作方法、显示装置
CN103760730B (zh) * 2014-01-08 2017-03-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黑矩阵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4090414B (zh) 2014-06-27 2016-08-1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04749837A (zh) * 2015-04-24 2015-07-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CN104777663A (zh) * 2015-04-28 2015-07-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膜基板及液晶显示面板
CN104808372A (zh) * 2015-05-15 2015-07-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液晶显示面板
HK1215348A2 (zh) * 2015-07-03 2016-08-19 賢納科技有限公司 顯示系統
CN105549258B (zh) * 2016-02-18 2019-02-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造方法
JP2019514044A (ja) * 2016-03-15 2019-05-30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覗き見防止フィルム、表示装置、端末、および覗き見防止フィルムと表示装置を製造する方法
CN109275336A (zh) 2016-04-29 2019-01-25 唯景公司 光学可切换窗孔中电参数的校准
CN106019691A (zh) * 2016-07-28 2016-10-1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私密型显示设备、解密型观看设备及显示系统
CN107636517B (zh) * 2016-08-11 2021-01-15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视角可切换的液晶显示装置及视角切换方法
CN106154635B (zh) * 2016-09-22 2019-07-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对盒基板和显示面板
CN106950740A (zh) * 2017-05-02 2017-07-14 东旭(昆山)显示材料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器及制造显示面板的方法
CN109116613B (zh) * 2017-06-26 2020-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JP6387555B2 (ja) * 2017-07-14 2018-09-12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7329315B (zh) * 2017-08-31 2020-03-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09459863A (zh) * 2017-09-06 2019-03-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组件及其显示方法
JP7083101B2 (ja) * 2017-11-24 2022-06-10 Tianma Japan株式会社 表示装置
JP7011157B2 (ja) * 2017-11-24 2022-01-26 Tianma Japan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7083102B2 (ja) * 2017-11-29 2022-06-10 Tianma Japan株式会社 光線方向制御デバイス及び表示装置
JP7354097B2 (ja) * 2018-04-27 2023-10-02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8681171A (zh) * 2018-05-23 2018-10-19 广州奥翼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显示器件及电子设备
CN108828835B (zh) * 2018-07-17 2022-02-15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和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20200033689A1 (en) 2018-07-27 2020-01-30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9165535A (zh) * 2018-09-04 2019-01-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保护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028078A (ko) * 2018-09-06 2020-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188738A (zh) * 2018-09-28 2019-01-11 广州奥翼材料与器件研究院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件及电子设备
US11073736B2 (en) * 2018-10-23 2021-07-27 Sharp Kabushiki Kaisha View angle control device
TWI680328B (zh) * 2018-12-11 2019-1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109961050A (zh) * 2019-03-27 2019-07-02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基板、指纹识别模组及其工作方法、和显示装置
CN112327542A (zh) * 2019-10-25 2021-02-05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JP2021076805A (ja) * 2019-11-13 2021-05-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視野角制御素子及び表示装置
TWI720826B (zh) * 2020-02-27 2021-03-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致變色元件、顯示裝置及電致變色元件的製造方法
CN111627368A (zh) * 2020-04-15 2020-09-04 硅谷数模(苏州)半导体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和电子设备
CN112162441B (zh) * 2020-10-29 2024-04-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防窥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防窥显示装置及方法
CN112255799B (zh) * 2020-11-09 2023-03-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及可穿戴设备的控制方法
CN112631014B (zh) * 2020-12-24 2023-08-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组件和具有其的显示装置
KR20220094860A (ko)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4411A (ko) *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야각 제어 필름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991950B (zh) * 2021-02-26 2023-01-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屏幕和电子设备
DE102021120469B3 (de) * 2021-08-06 2022-11-24 Sioptica Gmbh Optisches Element zur wahlweisen Einschränkung von Lichtausbreitungsrichtungen sowie Beleuchtungseinrichtung und Bildwiedergabeeinrichtung für einen freien und einen eingeschränkten Sichtmodus mit einem solchen optischen Element
JP2023039204A (ja) * 2021-09-08 2023-03-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デバイス及び表示装置
CN113809115B (zh) * 2021-09-15 2023-08-15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屏
CN114265220B (zh) * 2021-12-27 2023-06-16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控液晶膜片
CN115023644B (zh) * 2022-04-06 2023-07-28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宽窄视角可切换的显示面板及驱动方法、显示装置
CN115616820B (zh) * 2022-06-14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防窥显示屏、电子设备及防窥方法
CN115327811A (zh) * 2022-08-31 2022-11-1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8112B2 (ja) * 2003-12-09 2005-10-19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付き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3999206B2 (ja) * 2004-02-05 2007-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視野角制御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871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색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7560B1 (ko) 2013-12-30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색 디스플레이 장치
US10804340B2 (en) 2018-01-08 2020-10-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US11711947B2 (en) 2020-01-15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parent mask that includes a transparent oxide
US11454842B2 (en) 2020-08-04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37254B2 (en) 2021-03-12 2022-1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9339B2 (en) 2009-10-27
KR20080001522A (ko) 2008-01-03
CN100510890C (zh) 2009-07-08
US20080002110A1 (en) 2008-01-03
CN101097343A (zh)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954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TWI480640B (z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69899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particular laminate spacer
JP4551365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157975B1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방법
US20020012084A1 (en) Color LCD device
KR20070066488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30749B1 (ko) 시야각 조절용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040246409A1 (en) Arr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2987350B (zh) 宽窄视角可切换的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9980042256A (ko) 액정 표시 장치
CN112987349B (zh) 宽窄视角可切换的显示面板及制作方法和显示装置
EP2878994B1 (en) Array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65893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컬러 필터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US83253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lor filter substrate
KR20080047806A (ko) 어레이 기판, 그 어레이 기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그의 제조 방법
WO2016031638A1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00551A (ko)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101330494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652866B1 (ko) 액정표시장치
CN114675441A (zh) 宽窄视角分区域可切换的显示面板及驱动方法、显示装置
KR20100066220A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8045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uperposition of pixel electrodes and signal lines
KR101322982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330813B1 (ko) 영상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