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116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116B1
KR101137116B1 KR1020080119065A KR20080119065A KR101137116B1 KR 101137116 B1 KR101137116 B1 KR 101137116B1 KR 1020080119065 A KR1020080119065 A KR 1020080119065A KR 20080119065 A KR20080119065 A KR 20080119065A KR 101137116 B1 KR101137116 B1 KR 10113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nductive
transmissive
viewing angle
electrochromic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468A (ko
Inventor
전경수
박진영
성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11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1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4Materials and properties dy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부착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투과층이 전기변색염료를 포함하는 형성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광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투과부 간격 사이에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전도부 이외의 또 다른 전기전도부를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비투과부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시야각 제한필름은 사용자가의 요구에 따라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야각 제한 필름, 보안 필름, 광 제어 필름, 전기 변색 염료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PROCESS FOR MANUFACTURING SECURITY FILM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부착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투과층이 전기변색염료를 포함하는 형성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이나 PDA 및 휴대폰 등의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나 금융기관의 현금인출기 등은 개인 정보와 같은 각종 자료들을 저장하고 있고 해당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자료 및 정보의 입력과 확인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면은 광시야각과 고휘도를 특징이 있어, 타인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측면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개인정보 및 각종의 보안성 자료들이 타인에게 노출될 수 있다. 특히, 공공장소에서 정보기기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주변 사람들로부터 정보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보호하고 개인 사생활의 침해를 막기 위한 화면 구성의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정보기기의 화면 을 일정 각도 이상에서는 볼 수 없게끔 하는 기술이 시야각 제한 필름이다. 시야각 제한 필름은 광 제어 필름(light control film), 보안 필름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시야각 제한필름에 관한 수요는 개인 사생활이 중시되는 경향에 따라 점차 그 사용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에서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필름의 구조에 대해 도시하였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시야각 제한필름(101)은 필름의 수평방향을 따라 투명한 소재의 광투과부(110)와 불투명한 소재인 비투과부(120)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2에서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시하였다.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종래의 시야각 제한필름(101)은 투명한 다수의 광투과성필름(130)과 불투명한 비투과성필름(140)을 상호 교호적으로 접착한 후, 접착면의 수직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시야각 제한필름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하기 문헌 1 내지 문헌 4의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문헌 1에서는 투명물질과 불투명층을 교호적층한 후 수직으로 절단하여 루버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2에서는 투명필름과 점착성의 광차단필름을 교대로 위치시켜 고착시킨 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3에서는 적층된 빌렛을 얇게 깍아내어 보안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4에서는 전후좌우 4방에서 시야각이 조절되어 엿보기를 방지할 수 있는 4각 창살층이 구성된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 문헌 1 ] US 2,053,173
[ 문헌 2 ] US 2,689,387
[ 문헌 3 ] US 3,524,789
[ 문헌 4 ] KR 10-2007-0003871 2007. 1. 12.
종래의 시야각 제한필름은 비투과부가 항상 빛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타인뿐만 아니라 사용자 본인에게도 다소 어두운 디스플레이 화면 시야를 제공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타인의 시선이 많치 않은 가정집 또는 개인 사무실 등 시야각을 제한할 필요는 없음는 장소에서도, 사용자에게 다소 어두운 디스플레이 화면 시야를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야각 제한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광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투과부 간격 사이에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전도부 이외의 또 다른 전기전도부를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비투과부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 간격 사이에 광투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전도부 이외의 또 다른 전기전도부를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비투부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광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는 고단차 패턴이 형성된 스템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템프 음각부에 광투과부 재료를 채운 후 전도성 고분자 상에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패턴 이외의 부분을 건식에칭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는 고단차 패턴이 형성된 스템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템프 음각부에 비투과부 재료를 채운 후 전도성 고분자 상에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환원발색성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티타늄(Ti), 니오븀 (Nb), 몰리브덴 (Mo), 탄탈륨 (Ta) 및 텅스텐 (W)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인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 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염료는 WO3, MoO3 및 TiO3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인 것인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산화발색성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바나듐(V), 크롬(Cr), 망간 (Mn), 철 (Fe), 코발트(Co), 니켈 (Ni), 로듐 (Rh) 및 이리듐 (Ir)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인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V2O5, IrO2, Nb2O5 및 NiO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절연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의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2 이상의 것을 가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비투과부의 폭(a) : 광투과부 폭(b) = 1 : 1 ~ 9 범위 이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투과부 폭(b) : 비투과부 높이(c) = 1 : 0.33 ~ 6 범위 이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에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부은 상기 광투과 필름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각이 18.4 ~ 80.5°범위 범위 이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부는 전도성 고분자 필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부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및 폴리설퍼나이트라이드(poly sulfur nitride)에서 선택되어지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인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시야각 제한필름은 사용자가의 요구에 따라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시야각 제한필름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광투과부, 비투과부 및 전기전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비투과부는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전도부는 상기 비투과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투과부는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비투과부와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광투과부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투명 절연성 고분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투과부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의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2 이상의 것을 가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부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기 전도성이 있는 것으로,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전기변색 염료는 전기변색 화합물을 포함하고 추가적인 전해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대부분 투명 전도성 전극 (ITO 또는 FTO glass)에 필름 형태로 만들어 소자도 구성할 수 있다. 즉, 용매에 산화성 전기변색 화합물 또는 환원성 전기변색 화합물을 전해질과 함께 녹인 후, 이를 젤화를 시켜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 필름은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자와 이온의 삽입과 제거를 되었을 때 금속 산화물 표면에서 착색 또는 탈색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면, WO3 포함한 필름의 경우 LiClO4 + PC 전해질에서 리튬 이온 (Li+)과 전자가 인잭션(injection)됨으로써, 필름이 색이 WO3 필름의 경우 무색의 WO3에서 청색 LixWO3로 변색되고, LiNiO2 를 포함한 필름의 경우 회색 LiNiO2에서 무색의 Li1 + xNiO2로 변색된다.
상기 전기변색 화합물에는 유기 또는 무기 전기변색 화합물이 있다. 상기 유 기 전기변색 화합물의 예로는 bipridilium (viologen), fluorane, polyaniline, polythiophene, ferrocene, phenazine, Phenothiazine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viologen이라 불리는 bipridilium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viologen은 1,1'disubstituted-4,4'bipyridinium 염으로, 이는 제초제, 전자 전달 매개체, 전기변색 물질로 응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전기변색 화합물은 산화성 전기변색 화합물과 환원성 전기변색 화합물이 있고, 산화성 전기변색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산화성 전기변색 염료가 되고, 환원성 전기변색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환원성 전기변색 염료가 된다.
상기 비투과부에 전기가 흐르면 전기 변색 염료가 투명해지거나 색채를 띠게 되어 시야각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전기변색염료 중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산화 텅스텐을 예를들어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산화텅스텐(WO3)은 용액 속의 이온이나 전자와 반응하여 하기 화학식 1의 과정을 거쳐서 색을 나타낸다.
WO3(투명색) + Xe-+ XM+ ↔ MXWO3(진한청색)
여기서 M은 리튬(lithium : Li)이나 수소(proton), 칼슘(calcium : Ca) 등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리튬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X 는 화학양론적 계수이다.
상기 화학식 1은 가역반응이며, 기전력의 방향에 따라 산화반응 또는 환원반응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전기 변색 염료의 색깔도 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비투과부는 이러한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고 있는 전도체이어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투명색 또는 유채색을 띄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시야각 제한필름은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환원발색성인 것 또는 산화발색성인 것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환원발색성 염료는 티타늄(Ti), 니오븀 (Nb), 몰리브덴 (Mo), 탄탈륨 (Ta) 및 텅스텐 (W)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것들의 예시로 WO3, MoO3 및 TiO3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발색성 염료는 바나듐(V), 크롬(Cr), 망간 (Mn), 철 (Fe), 코발트(Co), 니켈 (Ni), 로듐 (Rh) 및 이리듐 (Ir)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것들의 예시 로 V2O5, IrO2, Nb2O5 및 NiO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구조에서 비투과부의 폭을 a, 광투과부의 폭을 b, 비투과부의 높이를 c라고 했을 때, 다음과 같은 비율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투과부의 폭과 광투과부의 폭은 적어도 1:1 이상이 되는 것이 개구율이 50% 이상이 되므로, 사용자가 화면을 인식하는데 용이하다. 다만, 비투과부의 폭(a) 대 광투과부의 폭(b)의 비가 크면 클수록 좋으나, 구조상 1 : 9 이상 올려도 개구율의 값의 증가분은 거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 : 3 ~ 1 : 5의 범위로 만드는 것이 좋다.
또한, 광투과부의 폭(b) 대 비투과부의 높이(c)가 시야각 제한 각도를 결정하게 되는데, 적어도 1: 0.33 이상이어야 어느 정도 시야각 제한 효과(제한각 18.4°)를 나타내게 된다. 이 비가 클수록 좋기는 하나, 1 : 6(제한각 80.5°)이상이 넘어가는 경우, 제한 각도 범위의 증가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 : 1(제한각 45°)~ 1 : 5(제한각 78.7°)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야각 제한 각도란 빛의 투과되지 않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한 각도가 커질수록 사생활 보호 효과가 커지게 된다.
도 4에는 비투과부 및 광투과부 패턴에 따른 개구율 및 시야각 관계를 도시 하였다.
상기 전기전도부는 외부에 전달받은 전류를 비투과부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도선과 같은 역활을 한다.
상기 전기전도부는 전기 통할 수 있는 물질이고, 광투과부를 통해 나온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한 것은 전도성 투명 고분자 필름인 것이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필름은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및 폴리설퍼나이트라이드(poly sulfur nitride)에서 선택되어지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야각 제한필름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광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S101);
상기 광투과부 간격 사이에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를 형성하는 단계(S201); 및
상기 전기전도부 이외의 또 다른 전기전도부를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비투과부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하는 단계(S300)
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시야각 제한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필름의 제조방법의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S102);
상기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 간격 사이에 광투과부를 형성하는 단계(S202); 및
상기 전기전도부 이외의 또 다른 전기전도부를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비투부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하는 단계(S300)
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시야각 제한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필름의 제조방법의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뿐,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특허청구범위에 따르는 실시예와 다른 변형 사용의 경우에도 본 발명 특허권리범위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출원인은 하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개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시야각 제한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도 7에 상기 실시예 1의 과정을 도시하였다.
고단차 패턴이 형성된 마스터(master)를 준비하였다. 패턴의 모형은 단면이 "┎┑"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마스터의 이형력을 높이기 위해 발수 계열 물질을 코팅하였다. 상기 발수 계열물질은 불소계화합물(제품명 : EGC-1720, 제조사 : 3M)을 사용하였다.
상기 발수처리된 마스터에 실리콘레진 엘라스토머(제품명 : Sylgard 184, 제조사 : Dowcorning)를 경화제와 중량비 10 : 1 (실리콘 레진 : 경화제 = 10 : 1) 비율로 섞은 뒤 가열하여 경화시켰다. 열경화시킨 엘라스토머 스템프(stamp)를 마스터에서 탈착시켰다.
엘라스토머 스템프의 음각부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채운 후, 폴리아세틸렌 투명 전도성 고분자 상에 프린팅하였다.
이 때, 전도성 필름상에 원치않는 부분에 프린팅된 절연성 폴리카보네이트를 제거하기 위해, 건식에칭을 실시하였다(프린팅이 패턴 형상 그대로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건식에칭이 필요하지는 않으나, 통상적으로 프린팅 과정상에 패턴 이외 부분으로 재료가 흐를 수 있으므로 건싱에칭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전기 변색 염료를 채워넣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이외 다른 전도성 고분자 필름으로 상면을 덮어 최외각 전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도 8에 상기 실시예 2의 과정을 도시하였다.
고단차 패턴이 형성된 마스터(master)를 준비하였다. 패턴의 모형은 단면이 "┎┑"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마스터의 이형력을 높이기 위해 발수 계열 물질을 코팅하였다. 상기 발수 계열물질은 불소계화합물(제품명 : EGC-1720, 제조사 : 3M)을 사용하였다.
상기 발수처리된 마스터에 실리콘레진 엘라스토머(제품명 : Sylgard 184, 제조사 : Dowcorning)를 경화제와 중량비 10 : 1(실리콘 레진 : 경화제 = 10 : 1) 비율로 섞은 뒤 가열하여 경화시켰다. 열경화시킨 엘라스토머 스템프(stamp)를 마스터에서 탈착시켰다.
엘라스토머 스템프의 음각부에 , 산화 텅스텐을 포함하는 전기 변색 염료를 채운 후, 폴리아세틸렌 투명 전도성 고분자 상에 프린팅하였다.
전도층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채워 넣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이외 다른 전도성 고분자 필름으로 상면을 덮어 최외각 전도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전도성 고분자 상하 양면에 각각 도선이 연결된 전극판을 붙착하고 약 12V의 전압을 걸어주었다.
실시예 1의 경우 비투과부의 색깔이 진한청색으로 변하면서 시야각 제한효과가 나타났다. 다시 역방향의 전압을 걸어주었을 때에는 비투과부가 투명해지면서 시야각 제한효과가 없어졌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필름의 구조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시야각 제한필름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비투과부 및 광투과부 패턴에 따른 개구율 및 시야각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필름의 제조방법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필름의 제조방법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에 상기 실시예 1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에 상기 실시예 2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20)

  1.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광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투과부 간격 사이에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전도부 이외의 또 다른 전기전도부를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비투과부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광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는,
    고단차 패턴이 형성된 스템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템프 음각부에 광투과부 재료를 채운 후 전도성 고분자 상에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2.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 간격 사이에 광투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전도부 이외의 또 다른 전기전도부를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비투과부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전도부 일면상에 전기 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비투과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단계는,
    고단차 패턴이 형성된 스템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템프 음각부에 비투과부 재료를 채운 후 전도성 고분자 상에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패턴 이외의 부분을 건식에칭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환원발색성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티타늄(Ti), 니오븀 (Nb), 몰리브덴 (Mo), 탄탈륨 (Ta) 및 텅스텐 (W)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인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염료는 WO3, MoO3 및 TiO3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인 것인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산화발색성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바나듐(V), 크롬(Cr), 망간 (Mn), 철 (Fe), 코발트(Co), 니켈 (Ni), 로듐 (Rh) 및 이리듐 (Ir)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인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 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염료는 V2O5, IrO2, Nb2O5 및 NiO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 조합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절연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의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2 이상의 것을 가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투과부의 폭(a) : 광투과부 폭(b) = 1 : 1 ~ 9 범위 이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투과부 폭(b) : 비투과부 높이(c) = 1 : 0.33 ~ 6 범위 이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에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16.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부은 상기 광투과 필름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한각이 18.4 ~ 80.5°범위 범위 이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부는 전도성 고분자 필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부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및 폴리설퍼나이트라이드(poly sulfur nitride)에서 선택되어지는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인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야각 제한필름 제조방법.
  20. 삭제
KR1020080119065A 2008-11-27 2008-11-27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 KR10113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65A KR101137116B1 (ko) 2008-11-27 2008-11-27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65A KR101137116B1 (ko) 2008-11-27 2008-11-27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468A KR20100060468A (ko) 2010-06-07
KR101137116B1 true KR101137116B1 (ko) 2012-04-20

Family

ID=4236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065A KR101137116B1 (ko) 2008-11-27 2008-11-27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4677A (zh) * 2015-07-28 2015-10-14 成都常道投资管理有限公司 贴膜施工液
CN110794628B (zh) 2018-07-27 2023-05-02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477B1 (ko) * 2004-03-25 2005-07-11 (주)세화피앤씨 보안필름
KR20070001717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시야각 조절이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53591B1 (ko) 2007-01-02 2007-08-30 주식회사 엘지에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1522A (ko) * 2006-06-29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477B1 (ko) * 2004-03-25 2005-07-11 (주)세화피앤씨 보안필름
KR20070001717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시야각 조절이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1522A (ko) * 2006-06-29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53591B1 (ko) 2007-01-02 2007-08-30 주식회사 엘지에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468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1687B2 (en) Electrochemical device
EP1373976B1 (en) Electrochemical pixel device
US6587250B2 (en) Electrochromic device
US8810888B2 (en) Electrochemical device
JP5589801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233211B2 (en)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8164508B (zh) 紫精化合物以及包含该紫精化合物的电解质、透光率可变面板和显示装置
US7158276B1 (en) Pressure sensitive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709867B2 (en) Display device
KR1011658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KR20110131986A (ko) 전기 변색 소자
EP2730973A1 (en) Fixe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20586B1 (ko) 능동형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71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방법
US9224343B2 (en) Fixe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90324343A1 (en) Polymorphic electro-optic displays
KR102102204B1 (ko)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의 스위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사생활 보호 장치
WO2012045485A1 (en) Display device
KR102476116B1 (ko) 전기변색소자
EP2312386A1 (en) Passive-matrix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CN212675329U (zh) 一种电致变色器件以及显示装置
JP2013200373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及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90025664A1 (en) Polymorphic electro-optic displays
EP2625565B1 (en) Passive-matrix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exhibiting a threshold voltage
WO2019156697A1 (en) Polymorphic electro-optic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