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146A - 끝실처리장치 및 끝실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끝실처리장치 및 끝실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146A
KR20240031146A KR1020230114487A KR20230114487A KR20240031146A KR 20240031146 A KR20240031146 A KR 20240031146A KR 1020230114487 A KR1020230114487 A KR 1020230114487A KR 20230114487 A KR20230114487 A KR 20230114487A KR 20240031146 A KR20240031146 A KR 20240031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ed
end thread
yarn
bed gap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마사 고마쓰바라
모토유키 히라하라
하지메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4003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14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565Associated thread-clamping or thread-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0Holders or supports for thread packag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편성포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는 끝실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횡편기(100)의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끝실처리장치(1)로서, 적어도 니들베드(110)의 단부에 구비되는 그리퍼 장치(150)로부터 편성포(K)의 편성시작의 스티치까지 연장되는 끝실을, 니들베드(110)의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하는 캐처(30)와,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 홀딩된 끝실을 캐처(30)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절단하는 커터(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끝실처리장치 및 끝실처리방법{END YARN PROCESSING DEVICE AND END YAR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횡편기에 있어서 편성되는 편성포의 끝실을 처리하는 끝실처리장치 및 끝실처리방법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횡편기에 있어서 편성되는 편성포의 끝실을 처리하는 끝실처리장치 및 끝실처리방법의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횡편기에서는, 새로 편성을 시작하는 경우나 새로운 편사(編絲)를 사용할 때에, 편사의 선단(先端)을 니들베드의 양 단부(端部)에 구비하는 그리퍼 장치로 파지한 상태에서 얀캐리어를 편성폭 내로 이동시켜,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편성포를 어느 정도 편성한 때에, 커터장치를 사용하여 그리퍼와 편성포의 최초의 스티치 사이에 걸쳐 있는 끝실을 절단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편성종료 시에는, 다음 편성을 대비하기 위하여, 커터장치를 사용하여 그리퍼와 편성포의 최종의 스티치 사이에 걸쳐 있는 끝실을 절단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1에는, 편성의 도중에 편성포의 최종의 스티치와 얀피더 사이의 편사를 2개의 그리퍼로 잡고, 2개의 그리퍼 사이에서 절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넣기(yarn in)를 할 때에는, 얀피더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는, 그리퍼에서부터 편성포의 최초의 스티치까지 니들베드갭의 하방에 위치하는 등과 같이 니들베드갭 부근에서 낮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편성포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편사를 절단하는 장소가 편성포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편성포로부터 아래로 처져 편성포측에 남는 편사의 처리가 번잡하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끝실처리장치는 종래에 없었다.
일본국 특허 제401598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편성포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는 끝실처리장치 및 끝실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고,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끝실처리장치는, 횡편기의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끝실처리장치로서, 적어도 상기 니들베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끝실홀딩기구로부터 편성포의 편성시작의 스티치까지 연장되는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하는 홀딩수단과, 상기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 홀딩된 끝실을 상기 홀딩수단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성포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니들베드갭 부근에서 낮게 연장되어 있는 끝실이더라도 편성포 가까이에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스티치의 근방에서 끝실을 절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더욱 편성포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편성포에 남는 끝실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성 후의 후처리를 없애거나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홀딩수단과 상기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끝실을 절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더욱 편성포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진출 시에 끝실의 하방에 위치하여,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갭의 상방에서 홀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홀딩수단을 진출시킴으로써 끝실을 니들베드갭의 상방에서 홀딩하여 상기 끝실을 절단할 수 있는 상태와, 홀딩수단을 대피시킴으로써 편성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끝실을 걸어 상승함으로써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갭의 상방에서 홀딩하고,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딩수단이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진출하여 끝실을 절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걸쳐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끝실을 절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걸쳐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편성포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단수단을 작용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이간하여 위치하고,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딩수단으로부터 상기 횡편기의 얀피더로 연장되는 부분의 끝실에 작용하여, 상기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위치와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서 변위시키는 변위기구를 더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홀딩수단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이간하여 위치함으로써 끝실을 절단하기 쉽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끝실이 상방에서 공급되는 것에 의한 편성의 어려움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수단은, 노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홀딩수단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노치부를 통하여 상기 스티치에 걸쳐지는 끝실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딩수단에 병설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단수단이 홀딩수단에 병설됨으로써 끝실처리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흡인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구가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끝실을 흡인하고, 상승함으로써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갭의 상방에서 홀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인에 의하여 끝실을 니들베드갭의 상방에서 홀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인구는, 상기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니들베드갭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인구가 니들베드갭의 내부로 진입하기 때문에, 홀딩수단이 끝실을 홀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끝실처리장치는, 상기 절단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끝실을 흡인제거하는 끝실제거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단된 끝실이 편성포의 편성을 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끝실처리방법은, 횡편기에서 편성된 편성포의 끝실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상기 횡편기의 니들베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끝실홀딩기구로부터 편성포의 편성시작의 스티치까지 연장되는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하고, 상기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 홀딩된 끝실을 상기 스티치측의 단부에서 절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성포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니들베드갭 부근에서 낮게 연장되어 있는 끝실이더라도 편성포 가까이에서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편성포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도1(a)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가 적용된 횡편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고, 도1(b)는 니들베드 및 캐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2는, 그리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그리퍼 장치에 병설된 흡인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4는, 끝실처리장치가 설치된 캐리지의 사시도이다.
도5(a)는 끝실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5(b)는 캐처 및 커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도6은, 끝실처리장치가 적용된 횡편기의 실넣기 시의 동작 설명도로서, (a) 실넣기 직전의 상태, (b) 캐처를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출시킨 상태, (c) 얀캐리어를 편성포측으로 이동시킨 상태, (d) 캐리지 및 얀캐리어를 편성폭 내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7은, 도6에 계속되는 동작 설명도로서, (a) 캐처를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대피시켜 끝실을 들어 올린 상태, (b) 끝실을 흡인한 상태, (c) 끝실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고, (d) 끝실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8은, 끝실처리장치가 적용된 횡편기의 실빼기 시의 동작 설명도로서, (a) 편성종료 시의 상태, (b) 캐처를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출시킨 상태, (c) 얀캐리어를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 (d) 캐처를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대피시켜 끝실을 들어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9는, 도8에 계속되는 동작 설명도로서, (a) 캐리지를 편성폭 내로 이동시킨 상태, (b) 끝실을 흡인한 상태, (c) 끝실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10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가 적용된 횡편기의 동작 설명도로서, (a) 실넣기 직전의 상태, (b) 캐리지 및 얀캐리어를 편성폭 내로 이동시킨 상태, (c) 흡인장치에 의하여 끝실을 흡인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11은, 도10에 계속되는 동작 설명도로서, (a) 흡인장치를 상승시켜 끝실을 들어 올린 상태, (b) 끝실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12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가 적용된 횡편기의 동작 설명도로서, (a) 가압부재가 끝실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 (b) 가압부재에 의하여 끝실을 밀어내린 상태, (c) 끝실을 절단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13(a)는 제3실시형태의 끝실처리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13(b)는 가압부에 의하여 끝실을 밀어내린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14(a)는 제4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의 캐처 및 커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4(b)는 끝실처리장치가 적용된 횡편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고, 도14(c)는 상기의 측면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 중의 화살표U, 화살표D, 화살표F, 화살표B, 화살표L 및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방향을 각각 상측방향, 하측방향, 앞쪽방향, 뒤쪽방향,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이라고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각 구성부분을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적절히 생략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는, 횡편기(100)에 있어서 편성되는 편성포의 끝실을 처리하는 것이다. 이하에, 끝실처리장치(1)의 설명에 앞서, 먼저 도1을 사용하여 끝실처리장치(1)가 적용되는 횡편기(10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편기(100)는, 크게 니들베드(110), 캐리지(120), 얀 가이드 레일(130), 상판(top plate)(140), 그리퍼 장치(150) 및 흡인장치(160)를 구비한다.
니들베드(110)는, 니들베드갭(S)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110)는, 서로 대향하는 쪽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측면에서 볼 때에 역V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니들베드(110)에는, 상기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편침(編針)(111)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120)는, 전후의 니들베드(110)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전후 한 쌍 배치된다. 전후의 캐리지(120)는, 복수의 얀 가이드 레일(130)을 넘도록 배치된 브리지(120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120)는, 서보모터에 의하여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을 할 수 있다. 캐리지(120)에는, 니들베드(110)의 편침(111)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선침기구나 캠기구가 설치된다.
얀 가이드 레일(130)은,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 있어서,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복수 배치된다. 얀 가이드 레일(130)에는, 편사(Y)를 급사하는 얀피더(13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판(140)에는, 얀콘(yarn cone)(141)이 설치된다. 얀콘(141)은, 콘(141a)에 편사(Y)가 감겨 있는 것이다. 얀콘(141)으로부터의 편사(Y)는, 적당한 급사경로를 지나 얀피더(131)로 급사된다.
횡편기(100)는, 미리 작성된 편성 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각 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횡편기(100)는, 상기 서보모터 등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캐리지(120)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얀피더(131)는, 캐리지(120)에 대하여 독립하여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지(120)가 왕복이동을 할 때에, 캐리지(120)에 탑재된 캠기구 등에 의하여 편침(111)을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퇴시킴으로써, 편성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리지(120)의 왕복이동을 반복함으로써, 편성포(K)가 편성된다.
그리퍼 장치(150)는, 편성포(K)의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Y)를 홀딩하는 것으로서,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端部)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퍼 장치(150)에는, 끝실처리장치(1)에 의하여 처리된 끝실을 흡인제거하기 위한 흡인장치(160)가 설치된다. 또한 도2 및 도3은, 그리퍼 장치(150)를 니들베드(110)의 우단(右端) 및 좌단(左端) 각각에 2개 구비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니들베드(110)의 우단 및 좌단 각각에 1개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하에, 도2 및 도3을 사용하여 그리퍼 장치(150) 및 흡인장치(16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내는 그리퍼 장치(150)에는 흡인장치(160)가 설치된다. 흡인장치(160)에는, 끝실처리장치(1)에 의하여 처리된 끝실의 배출로(161)가 형성되고, 배출로(161)의 상단(上端)에 형성된 흡인구(161a)로부터 후술하는 커터(60)에 의하여 절단된 끝실을 흡인하여, 배출로(161)의 하단(下端)에 형성된 배출로(161b)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횡편기(100)에 있어서, 편성포의 편성 도중에 새로운 편사(Y)로 전환하는 경우에, 전환 후의 편사를 편성포에 도입시키는 실넣기(yarn in)가 이루어진다. 또한 새로 편성을 시작하는 경우에도, 새로운 편사를 편성포에 도입시키는 실넣기가 이루어진다. 또한 편성종료 시에는, 편성포의 종단(終端)으로부터 그 편사를 인출하는 실빼기(yarn out)가 이루어진다. 실넣기 및 실빼기를 할 때에는, 횡편기(100)에 설치된 끝실처리장치(1)에 의하여 편성포의 끝실을 절단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끝실의 처리는, 편사(Y)의 선단(先端)이 그리퍼 장치(150)로 파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끝실처리장치(1)에 의하여 절단된 끝실은, 흡인장치(16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 도4 및 도5를 사용하여 끝실처리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끝실처리장치(1)는, 그리퍼 장치(150)로부터 편성포(K)의 편성시작의 스티치까지 연장되는 끝실, 및 편성포(K)의 편성종료의 스티치로부터 얀피더(131)까지 연장되는 끝실을 절단함으로써, 상기 끝실을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편성포(K)의 편성시작의 스티치는 「최초의 스티치」, 편성포(K)의 편성종료의 스티치는 「최후의 스티치」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끝실처리장치(1)는, 횡편기(100)의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끝실처리장치(1)는, 전후 한 쌍의 캐리지(120) 중 어느 한쪽의 캐리지(120)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실처리장치(1)는 앞쪽의 캐리지(120)에 설치된다.
끝실처리장치(1)는, 캐리지(120)의 우측면 및 좌측면 각각에 설치된다. 좌우의 끝실처리장치(1)는, 서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다. 이하에,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좌측의 끝실처리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고, 우측의 끝실처리장치(1)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끝실처리장치(1)는, 제1베이스부(10), 제1구동원(20), 캐처(catcher)(30), 제2베이스부(40), 제2구동원(50) 및 커터(60)를 구비한다.
제1베이스부(10)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판면이 좌우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제1베이스부(10)는, 후술하는 제1구동원(2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1구동원(20)은, 제1베이스부(10)의 좌면에 설치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제1구동원(20)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터가 사용되지만,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등의 임의의 구동원이 사용되어도 좋다. 도4 및 도5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구동원이 나타나 있다. 제1구동원(20)의 동작은, 제어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제어된다.
캐처(30)는, 제1구동원(20)보다도 니들베드갭(S) 측에 설치되고, 편성포(K)의 끝실을 홀딩한다. 여기에서 캐처(30)에 의한 끝실의 「홀딩」은, 끝실의 「고정(locking)」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캐처(30)는, 측면에서 볼 때에 대략 L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니들베드갭(S)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캐처(30)는 니들베드갭(S)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판상의 본체부(31)를 구비하고, 본체부(31)의 니들베드갭(S) 측의 단부에는 상측의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구부러진 훅부(32)가 형성된다.
캐처(30)는, 제1구동원(20)의 구동력에 의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캐처(30)는,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처(30)는 하강하면서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하고, 상승하면서 니들베드갭(S)으로부터 대피하도록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에, 캐처(30)의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한 위치는 「하강위치」, 캐처(30)의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대피한 위치는 「상승위치」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도5(b)에 있어서, 캐처(30)의 하강위치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캐처(30)의 상승위치는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5(b)에 있어서, 캐처(30)의 하강위치는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이지만, 니들베드갭(S)보다도 하방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된 캐처(30)는, 편성포(K)의 끝실을 처리할 때에, 그리퍼 장치(150)로부터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까지 연장되는 끝실을 니들베드(110)의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은, 니들베드(110)의 상단보다도 상방을 의미한다. 또한 캐처(30)는, 편성포(K)의 끝실을 처리할 때에, 편성포(K)의 최후의 스티치로부터 얀피더(131)까지 연장되는 끝실을 니들베드(110)의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할 수 있다.
제2베이스부(40)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판면이 대략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제1베이스부(10)의 좌측에 설치된다. 제2베이스부(40)는, 후술하는 제2구동원(5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2구동원(50)은, 제2베이스부(40)의 상면에 설치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제2구동원(50)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터가 사용되지만,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등의 임의의 구동원이 사용되어도 좋다. 도4 및 도5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구동원이 나타나 있다. 제2구동원(50)의 동작은, 제어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제어된다.
커터(60)는, 제2구동원(50)보다도 니들베드갭(S) 측에 설치되고, 그리퍼 장치(150)로부터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까지 연장되는 끝실을 스티치측의 단부에서 절단한다. 여기에서 끝실의 「스티치측의 단부」는, 스티치로부터 1㎜∼30㎜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스티치로부터 1㎜∼10㎜의 위치, 더 바람직하게는 스티치로부터 1㎜∼5㎜의 위치를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60)는, 캐처(30)에 의하여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 홀딩된 끝실을 캐처(30)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절단한다. 여기에서 「캐처(30)에 인접하는 위치」는, 급사방향에 있어서의 캐처(30)의 하류측뿐만 아니라 캐처(30)의 상류측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터(60)는, 캐처(30)와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을 절단한다. 커터(60)는, 제1칼날부(61) 및 제2칼날부(62)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끝실을 절단하지 않는 상태와 절단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커터(60)는, 제2베이스부(40)의 상면 및 캐처(30)보다도 하방에 설치된다.
커터(60)는, 제2구동원(50)의 구동력에 의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커터(60)는,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커터(60)는,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하였을 때에, 상승위치의 캐처(30)와 니들베드갭(S)의 사이에 위치한다. 커터(60)는,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대피한 위치에 있어서 제1칼날부(61) 및 제2칼날부(62)가 열려 끝실을 절단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한 위치에 있어서 제1칼날부(61) 및 제2칼날부(62)가 닫혀 끝실을 절단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6 및 도7을 사용하여 실넣기 시에 있어서의 끝실처리장치(1) 및 횡편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6 및 도7은, 적색의 편사(YR) 및 청색의 편사(YB)에 의하여 호리존틀 스트라이프 패턴(horizontal stripe pattern)으로 형성되는 편성포(K)가 편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편성에 사용되는 실을 청색의 편사(YB)로부터 적색의 편사(YR)로 전환하기 위하여, 적색의 편사(YR)를 실넣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6(a)는, 청색의 편사(YB)로 편성된 후에, 적색의 편사(YR)를 실넣기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청색의 편사(YB)는, 후술하는 실빼기를 한 후의 상태이다. 도6(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적색의 편사(YR)를 급사하기 위한 얀피더(131)는, 니들베드(110)의 측방(側方)에 위치하고 있다. 적색의 편사(YR)는, 얀콘(141)으로부터 얀피더(131)에 공급되고 있고, 편사(YR)의 단부는 그리퍼 장치(150)에 의하여 홀딩되고 있다.
다음에 적색의 편사(YR)를 실넣기하기 위하여, 먼저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캐처(30)가 하강위치까지 이동하여,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한다. 이어서 도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얀피더(131)가 편성포(K) 측으로 이동하여, 적색의 편사(YR)가 캐처(30) 위를 지나간다. 다음에 도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120) 및 얀피더(131)가 편성폭 내로 이동하여, 편침(111) 등에 의하여 스티치가 예를 들면 수(數) 스티치 편성된다. 이때에, 편성시작부분에 풀림방지의 편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다음에 도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로 좌측의 캐처(30)가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좌측의 캐처(30)가 하강위치로부터 상승위치까지 이동하여,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대피함으로써, 적색의 편사(YR)를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와 같이 좌측의 캐처(30)는,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 시에 끝실의 하방에 위치하여, 끝실을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서 홀딩한다. 여기에서 캐처(30)의 「진출 시」는, 캐처(30)가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하는 타이밍이 아니고,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좌측의 캐처(30)는,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끝실을 걸어 상승위치까지 상승함으로써, 최초의 스티치와 캐처(30)와의 사이의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끝실을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한다. 이어서 도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장치(160)가 끝실을 흡인함으로써, 적색의 편사(YR)에 텐션을 부가한다.
다음에 도7(c) 및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60)가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캐처(30)와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와의 사이로 진출하고, 캐처(30)와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을 절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60)는, 캐처(30)가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끝실을 절단한다. 절단된 끝실은, 흡인장치(160)에 의하여 흡인제거되고 그리퍼 장치(150)에 의한 홀딩을 해제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된다.
실넣기 시에는, 얀피더(131)로부터 급사되는 편사(Y)는, 그리퍼 장치(150)로부터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까지 니들베드갭(S)의 하방에 위치하는 등과 같이 니들베드갭(S) 부근에서 낮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끝실을 절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에 있어서는, 그리퍼 장치(150)로부터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까지 연장되는 편사(Y)를 캐처(30)에 의하여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하기 때문에, 커터(60)에 의하여 편사(Y)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캐처(30)는 캐리지(12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끝실의 절단 시에 캐처(30)를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터(60)는 캐처(30)와 최초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걸쳐친 상태에서 상기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끝실을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서 절단하는 경우에, 스티치와 연결되는 끝실은 스티치와 함께 니들베드갭(S)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커터(60)가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나타날 때까지의 실길이는 좌우방향보다도 상하방향의 쪽이 짧아진다. 끝실의 연장방향이 수평에 가까우면 좀처럼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 나타나지 않고, 나타나는 위치에서 절단하면 편성포(K)에 남는 끝실이 길어진다. 또한 커터(60)는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서 작용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니들베드갭(S)의 내부로 진입하여 끝실을 절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성포에 남는 끝실을 더욱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터(60)가 예를 들면 가위형상인 경우에, 니들베드갭(S)의 개구부(開口部)의 길이방향을 따라 칼날이 개폐되어 닫힌 상태에서 끝실을 절단하지만,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끝실이 연장되는 경우에는 가위를 작용시키기 어렵다. 그 결과, 니들베드갭(S)의 내부에서의 절단은 불가능하고,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 나타난 부분을 절단하게 되기 때문에, 편성포(K)에 남는 끝실을 짧게 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에 있어서는, 캐처(30)와 최초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끝실을 절단하기 때문에, 끝실이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연장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끝실을 편성포(K)의 스티치 근방에서 절단할 수 있어, 편성포(K)에 남는 끝실을 짧게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60)는, 스티치로부터 1㎜∼30㎜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스티치로부터 1㎜∼10㎜의 위치, 더 바람직하게는 스티치로부터 1㎜∼5㎜의 위치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편성 후의 후처리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8 및 도9를 사용하여 실빼기 시에 있어서의 끝실처리장치(1) 및 횡편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8 및 도9는, 적색의 편사(YR) 및 청색의 편사(YB)에 의하여 호리존틀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편성포가 편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청색의 편사(YB)에 의하여 편성이 종료되어, 청색의 편사(YB)를 실빼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8(a)는, 청색의 편사(YB)에 의하여 편성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8(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청색의 편사(YB)를 급사하기 위한 얀피더(131)는 편성포(K)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에, 좌우의 캐처(30)는 상승위치에 위치하여,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대피하고 있다. 또한 편성종료부분에는 풀림방지의 편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캐처(30)가 니들베드갭(S)의 상방으로 진출한다. 이어서 도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얀피더(131)를 캐리지(120)보다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캐처(30)가 하강위치로부터 상승위치까지 이동하여,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대피함으로써, 청색의 편사(YB)를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와 같이 우측의 캐처(30)는,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끝실을 걸어 상승위치까지 상승함으로써, 끝실을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한다.
계속하여 도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캐처(30)가 편성포(K)의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캐리지(120)가 편성폭 내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캐처(30)는 최후의 스티치와 캐처(30)와의 사이의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끝실을 홀딩한다. 다음에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퍼 장치(150)가 끝실을 홀딩함과 아울러 흡인장치(160)가 끝실을 흡인함으로써, 청색의 편사(YB)에 텐션을 부가한다.
다음에 도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60)가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 있어서 캐처(30)와 편성포(K)의 최후의 스티치와의 사이로 진출하여, 캐처(30)와 편성포(K)의 최후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을 절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7(d)에 나타내는 실넣기 시와 마찬가지로, 커터(60)는 캐처(30)가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최후의 스티치의 상방에 대하여 진출하여 끝실을 절단한다. 절단된 끝실의 단부는, 흡인장치(160)에 의하여 흡인제거되고,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하여, 실빼기 시에 발생하는 편성포(K)의 끝실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퍼 장치(150)와 편성포(K)의 최후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걸쳐 있는 끝실 중 최후의 스티치의 근방의 부분을 캐처(30)에 의하여 바로 위로 들어 올리고, 캐처(30)와 최후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을 절단함으로써, 편성포(K)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실처리장치(1)는 캐리지(120)에 2개 설치되고, 실넣기 시와 실빼기 시에 있어서 각각 다른 끝실처리장치(1)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캐리지(120)에 1개 설치되고, 실넣기 시와 실빼기 시에 있어서 같은 끝실처리장치(1)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다만 캐리지(120)의 어느 한쪽에만 끝실처리장치(1)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편성시작에 대응하기 위하여 끝실처리장치(1)의 좌우의 위치를 바꾸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끝실처리장치(1)는 캐리지(120)에 설치되고,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으로 캐리지(120)와 일체적(一體的)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캐리지(120)와 독립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끝실처리장치(1)는, 캐리지(120)와 독립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캐리지(120)와 같은 레일을 주행하는 것이어도 좋고, 혹은 캐리지(120)가 이동하는 레일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별도의 레일(얀 가이드 레일(130) 등)을 이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후술하는 제2실시형태∼제4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캐처(30)는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끝실을 걸어 상승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끝실을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서 홀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캐처(30)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캐처(30)를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시킨 후에, 얀피더(131)를 이동시켜 끝실을 캐처(30) 위로 통과시킴으로써, 끝실을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터(60)는 캐처(30)보다도 급사방향의 하류측, 더욱 상세하게는 캐처(30)와 편성포(K)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을 절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캐처(30)보다도 급사방향의 상류측에서 끝실을 절단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10 및 도1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가 제1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와 다른 점은, 끝실을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서 홀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캐처(30) 대신에 흡인장치(33)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장치(33)는 흡인구(34)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 설치되고, 흡인구(34)로부터 에어를 흡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흡인장치(33)는, 니들베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실넣기 시에는,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120) 및 얀피더(131)가 편성폭 내로 이동하여, 편침(111) 등에 의하여 스티치가 예를 들면 수 코스(course) 편성된다. 다음에 도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장치(33)는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정의 하강위치까지 하강하여, 적색의 편사(YR)를 상방으로 흡인한다. 적색의 편사(YR)를 상방으로 흡인할 때에, 흡인장치(33)는 흡인구(34)가 니들베드갭(S)의 내부로 진입할 때까지 하강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위치에 있는 흡인구(34)가 적색의 편사(YR)를 상방으로 흡인한 상태에서 소정의 상승위치까지 상승함으로써, 끝실을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서 홀딩한다. 이어서 도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60)가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 있어서 흡인장치(33)와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와의 사이로 진출하여, 흡인장치(33)와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을 절단한다. 절단된 끝실은, 흡인장치(160)에 의하여 흡인제거되고 그리퍼 장치(150)에 의한 홀딩을 해제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하여, 실넣기 시에 발생하는 편성포(K)의 끝실을 처리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실빼기 시에도, 흡인장치(33)를 최후의 스티치의 바로 상방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흡인장치(33)에 의하여 끝실을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함으로써, 편성포(K) 가까이에서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인장치(33)를 사용하여 끝실을 홀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잡한 동작이나 동작 타이밍의 제한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12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가 제1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와 다른 점은, 캐처(30) 대신에 홀딩부재(35)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홀딩부재(35)는, 제1실시형태의 캐처(30)와 같이 상하이동을 하면서 전후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상하이동을 하지 않고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딩부재(35)는, 캐리지(120)와는 다른 구동원을 구비하고, 캐리지(12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홀딩부재(35)는,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니들베드갭(S)으로부터 이간(離間)하여 위치하고, 편사(Y)를 항상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서 홀딩하고 있다.
다만 편사(Y)가 홀딩부재(35)에 의하여 홀딩된 상태에서는, 편사(Y)의 위치가 지나치게 높아, 스티치 형성 시에 편침(111)에 의하여 편사(Y)를 걸 수 없다. 홀딩부재(35)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편사(Y)를 니들베드갭(S) 측으로 밀어내릴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사(Y)를 니들베드갭(S) 측으로 밀어내리는 부재로서, 가압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재(36)는, 홀딩부재(35)의 측방에 설치되고,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36)는, 직선적으로 상하이동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원호상(圓弧狀)으로 스윙함으로써 상하이동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36)는 그리퍼 장치(150)로부터 얀피더(131)까지 연장되는 편사(Y)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편침(111)에 의하여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는, 도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36)가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하여 편사(Y)를 니들베드갭(S) 측으로 밀어내린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36)는, 홀딩부재(35)로부터 얀피더(131)로 연장되는 부분의 끝실에 작용하여, 상기 끝실을 니들베드갭(S)에 근접하는 위치와 니들베드갭(S)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서 변위시키는 변위기구의 역할을 한다. 이로써, 편침(111)에 의하여 편사(Y)를 거는 것이 가능해진다. 끝실을 절단할 때에는, 도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36)가 소정의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터(60)가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하여, 홀딩부재(35)와 스티치와의 사이에서 끝실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제3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에 있어서는, 홀딩부재(35)가 니들베드갭(S)으로부터 이간하여 위치함으로써 끝실을 절단하기 쉽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끝실이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에 의한 편성의 어려움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홀딩부재(35)와 가압부재(36)가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도13에 나타내는 홀딩부재(37)와 같이, 편사(Y)를 니들베드갭(S) 측으로 밀어내리는 변위기구가 홀딩부재(37)에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도13(a)에 나타내는 홀딩부재(37)는, 두 갈래의 포크상으로 형성되고, 니들베드갭(S)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니들베드갭(S)으로부터 이간하여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홀딩부재(37)는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홀딩부재(37)는, 홀딩부(38) 및 가압부(39)를 구비한다.
도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부(38)는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리퍼 장치(150)로부터 얀피더(131)까지 연장되는 편사(Y)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가압부(39)는, 편사(Y)보다도 지면의 표면측에 있어서 홀딩부(38)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로부터 대략 좌우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굴곡하여 편사(Y) 및 니들베드갭(S)을 넘어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가압부(39)는, 그리퍼 장치(150)로부터 얀피더(131)까지 연장되는 편사(Y)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편침(111)에 의하여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는, 도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부재(37)가 정면에서 볼 때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압부(39)에 의하여 편사(Y)를 니들베드갭(S) 측으로 밀어내린다. 이로써, 편침(111)에 의하여 편사(Y)를 거는 것이 가능해진다. 끝실을 절단할 때에는, 홀딩부재(37)가 정면에서 볼 때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13(a)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아가고, 홀딩부(38)에 의하여 끝실을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서 홀딩한 상태에서,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터(60)가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출하여, 홀딩부재(37)와 스티치와의 사이에서 끝실을 절단한다. 이에 의하여, 끝실을 처리할 수 있다.
다음에, 도14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가 제1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와 다른 점은, 캐처(30) 대신에 홀딩부재(70)를, 커터(60) 대신에 커터(80)를 구비하고, 커터(80)가 홀딩부재(70) 내에 수용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4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부재(70)는 상하 2매(枚)의 판상체(板狀體)에 의하여 구성되고, 2매의 판상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커터(80)가 수용된다. 커터(80)는, 전후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홀딩부재(70)의 우측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에 원호상인 노치부(71)가 형성된다. 도14(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퍼 장치(150)로부터의 편사(Y)는, 홀딩부재(70)의 상방으로부터 노치부(71)를 통하여 편성포(K)의 최초의 스티치에 걸쳐 있다.
커터(80)는, 후방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노치부(71)에 수용되는 끝실을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실시형태에 관한 끝실처리장치(1)에 있어서는, 홀딩부재(70)에 끝실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80)가 병설되어 있어, 끝실처리장치(1)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커터(80)는, 홀딩부재(70)의 상면 또는 하면을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홀딩부재(70)의 상면은, 급사방향에 있어서의 홀딩부재(70)보다도 상류측이고, 또한 홀딩부재(70)에 인접하는 위치의 일례이다. 또한 노치부(71)의 형상은 임의이고,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에 직사각형 모양이어도 좋다. 노치부(71)를 평면에서 볼 때에 직사각형 모양으로 함으로써, 노치부(71)로부터 끝실이 탈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 : 끝실처리장치
30 : 캐처
33 : 흡인장치
35, 37, 70 : 홀딩부재
60, 80 : 커터
100 : 횡편기
150 : 그리퍼 장치

Claims (11)

  1. 횡편기의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끝실처리장치로서,
    적어도 상기 니들베드의 단부(端部)에 구비되는 끝실홀딩기구로부터 편성포의 편성시작의 스티치까지 연장되는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하는 홀딩수단과,
    상기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 홀딩된 끝실을 상기 홀딩수단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끝실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스티치의 근방에서 끝실을 절단하는 끝실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홀딩수단과 상기 스티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끝실이 상하방향으로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끝실을 절단하는 끝실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진출 시에 끝실의 하방에 위치하여,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갭의 상방에서 홀딩하는 끝실처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끝실을 걸어 상승함으로써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갭의 상방에서 홀딩하고,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딩수단이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진출하여 끝실을 절단하는
    끝실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이간(離間)하여 위치하고,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딩수단으로부터 상기 횡편기의 얀피더(yarn feeder)로 연장되는 부분의 끝실에 작용하여, 상기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위치와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서 변위시키는 변위기구를 더 구비하는
    끝실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노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홀딩수단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노치부를 통하여 상기 스티치에 걸쳐지는 끝실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딩수단에 병설되는
    끝실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흡인구(吸引口)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구가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끝실을 흡인하고, 상승함으로써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갭의 상방에서 홀딩하는 끝실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는, 상기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니들베드갭의 내부로 진입하는 끝실처리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끝실을 흡인제거하는 끝실제거수단을 구비하는 끝실처리장치.
  11. 횡편기에서 편성된 편성포의 끝실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상기 횡편기의 니들베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끝실홀딩기구로부터 편성포의 편성시작의 스티치까지 연장되는 끝실을,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서 홀딩하고,
    상기 니들베드갭보다도 상방에 홀딩된 끝실을 상기 스티치측의 단부에서 절단하는
    끝실처리방법.
KR1020230114487A 2022-08-31 2023-08-30 끝실처리장치 및 끝실처리방법 KR202400311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38345 2022-08-31
JP2022138345A JP2024034234A (ja) 2022-08-31 2022-08-31 端糸処理装置及び端糸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146A true KR20240031146A (ko) 2024-03-07

Family

ID=8786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4487A KR20240031146A (ko) 2022-08-31 2023-08-30 끝실처리장치 및 끝실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32287A1 (ko)
JP (1) JP2024034234A (ko)
KR (1) KR20240031146A (ko)
CN (1) CN1176265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980B2 (ko) 1983-01-07 1989-02-01 Toyota Jido Shotsuki Seisakusho K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5901A (ja) * 1995-05-24 1996-12-10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編糸切断把持装置
JP4015980B2 (ja) 2003-09-19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5160760B2 (ja) * 2006-10-06 2013-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端糸挿入装置
JP5161242B2 (ja) * 2007-12-29 2013-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
JP7424901B2 (ja) * 2020-04-23 2024-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980B2 (ko) 1983-01-07 1989-02-01 Toyota Jido Shotsuki Seisakusho 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26519A (zh) 2024-03-01
EP4332287A1 (en) 2024-03-06
JP2024034234A (ja)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194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yarn guide member
KR100521798B1 (ko) 횡편기에있어서편지인하장치
JP6530197B2 (ja) ミシン
CN110714267B (zh) 横编机
KR101079178B1 (ko) 횡편기의 급사장치
KR20190000966U (ko) 장갑 편성기
CN110678593B (zh) 横机中的添纱编织方法
KR20240031146A (ko) 끝실처리장치 및 끝실처리방법
JP4015973B2 (ja) 編糸保持切断方法および装置
EP0533414B1 (en) Flat knitting machine
JP2753602B2 (ja) 平形編機
US4840046A (en) Procedure and device for ensuring a precisely positioned introduction of a substitute yarn in a knitting machine
EP19727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holding knitting yarn in weft knitting machine
SU579913A3 (ru) Овальна плоскофангова машина
JP2014084538A (ja) 横編機の編出し装置およびニットウエアの編出し方法
KR101347665B1 (ko)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WO2006104062A1 (ja) 編地の編成方法
KR200492820Y1 (ko)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JP4374313B2 (ja) 横編機
CN219490323U (zh) 一种经编面料切断装置
CN113265752B (zh) 编织物的编织方法
JP3201904B2 (ja) 横編機
CN112210894B (zh) 防线迹开线的方法及防线迹开线的装置
KR200401128Y1 (ko) 섬유용 보빈의 잔사처리장치
CN112442798B (zh) 防线迹开线的方法及防线迹开线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