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820Y1 -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820Y1
KR200492820Y1 KR2020190001246U KR20190001246U KR200492820Y1 KR 200492820 Y1 KR200492820 Y1 KR 200492820Y1 KR 2020190001246 U KR2020190001246 U KR 2020190001246U KR 20190001246 U KR20190001246 U KR 20190001246U KR 200492820 Y1 KR200492820 Y1 KR 200492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looper
drive shaft
scissor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530U (ko
Inventor
신페이 도리이
다쿠야 미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025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8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565Associated thread-clamping or thread-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04B15/12Shogg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본 고안은, 1개의 구동축에 의하여 루퍼와 가위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도8에 있어서, (a)와 같이 레버(27)의 원호 모양부(27b)가 루퍼(21)의 핀(2lb)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루퍼(21)는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계속하는 정류구간이 된다. 구동축(12)이 반시계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면, 핀(2lb)은 맞물림부(27a)와 맞물리고, 구동축(12)이 반시계방향으로 계속하여 더 회전되면, (b)와 같이 맞물림부(27a)는 맞물려 있는 핀(2lb)을 통하여 루퍼(21)를 밀어올린다. 정류구간에서, 캠(28)의 두께 변화부(28a)와 지름 변화부(28b)는, 회전축(23)의 하단에 부착되는 암부재(24)를 통하여 가위(22)의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회전칼날(22b)을 개폐시킨다.

Description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YARN RETAINING AND CUTTING DEVICE FOR A FLAT KNITTING MACHINE}
본 고안은,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편침에 급사(給絲)되는 편사(編絲)를 포착하여 절단하고, 절단 후의 단사(端絲)를 지지할 수 있는 횡편기(橫編機)의 편사지지절단장치(編絲支持切斷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장갑을 편성하는 횡편기 등에서는, 1개의 손가락을 수용하는 손가락부를 손가락의 선단(先端)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몸통에 접속되는 부분까지 편성하고, 인접하는 다음 손가락부의 편성으로 이동할 때에 편사지지절단장치를 사용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편사지지절단장치에 있어서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유닛(移動unit)은, 루퍼(looper)(승강간(昇降杆))와 가위(절단장치)를 갖고, 편성폭의 일방(一方)측으로부터, 편성된 손가락부의 최후의 스티치(stitch)로부터 얀피더(yarn feeder)로 연장되는 편사에 루퍼를 작용시킨다. 루퍼는, 상하이동할 수 있고 상부에 인입훅(引入hook)(인입 갈고리)을 구비한다. 루퍼의 작용은 인입훅에 편사를 포착시키는 것이다. 가위는 고정칼날, 회전칼날 및 협지편(挾持片)을 구비한다. 협지편은 가위로 절단하기 전에 편사를 지지할 수 있다. 회전칼날은,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어 고정칼날과의 사이에서 편사를 절단한다.
이동유닛의 이동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가설(架設)된 2개의 안내레일(案內rail)을 따라 실시된다. 2개의 안내레일은 원형막대 모양으로서, 특허문헌1에서는 기재가 생략되어 있지만, 회전되어 루퍼와 가위를 각각 구동시키는 구동축으로 되어 있다. 이동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견인(牽引) 등의 기구도 설치된다.
장갑의 손가락부의 편성에서는, 손가락 사이 부분의 오버랩(overlap)을 하기 위한 스티치 복합간(stitch 複合杆)도 병용된다. 스티치 복합간은, 편성폭의 일방측으로부터 작용시킨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의 편성구 가압판에 관한 기재를 참조). 스티치 복합간은, 편성된 손가락부에 편성폭의 일방측으로부터 계속되는 다음의 손가락부를, 손가락 사이 부분의 오버랩을 갖도록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동유닛은, 편성된 손가락부의 최후의 스티치로부터 얀피더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하여, 얀피더측의 단사를 여분의 단사로서 지지하고, 다음의 손가락부의 편성 중에 지지를 해제하여, 여분의 단사를 편성포에 넣어서 편성하는 처리를 한다.
: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48―24421호 공보 : 일본국 특허 제3053376호 공보
특허문헌1은, 단일의 구동원이 횡편기에 의하여 장갑을 편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복수의 장치를 기계적으로 연동시켜서 구동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구동대상의 장치는, 편사지지절단장치 및 스티치 복합간과 함께, 캠 캐리지(cam carriage)나 선침드럼(選針drum) 등을 포함한다. 각 장치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사양 변경은 곤란하다.
각 장치를 나누어서 구동시키면, 각각의 제어에 의하여 사양 변경이나 동작 타이밍의 조정 등에서의 효율향상도 가능하게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유닛에서는, 루퍼와 가위를 각각 구동축을 통하여 구동시키기 때문에, 2개의 구동원이 필요하게 된다.
편성폭의 일방측에 있어서, 편사지지절단장치의 이동유닛을 스티치 복합간과 병용하는 경우에, 새끼 손가락을 포함하는 4개의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성한 후에 몸통부를 편성하는 4지 몸통 사양(4-finger palm 仕樣)의 장갑을 편성할 수 있다. 새끼 손가락의 손가락부를 나중에 편성하는 3지 몸통 사양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해서는, 편성폭의 타방(他方)측에도 이동유닛 및 스티치 복합간을 설치하여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2개의 이동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4개의 구동원이 필요하게 되고, 이동유닛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도 4개 필요하게 되어, 기구가 복잡하게 되고 큰 스페이스를 차지하여 버린다.
본 고안의 목적은, 1개의 구동축에 의하여 1개의 이동유닛의 루퍼와 가위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이동될 수 있고, 상부에 인입훅을 구비하고,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부터 상승시키는 인입훅으로, 니들베드갭의 상방으로부터 편침에 공급되는 편사를 안내하고, 인입훅을 하강시킬 때에 편사를 포착할 수 있는 루퍼와,
고정칼날 및 회전칼날을 구비하고, 회전칼날이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인입훅에 의하여 포착된 편사를 절단하여 지지하는 가위와,
루퍼 및 가위를 지지하는 이동지지체를
구비하는 이동유닛이 견인기구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에 있어서,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이동지지체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하여 루퍼 및 가위를 구동시키는 구동축과,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원과,
이동지지체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구동축에 의한 구동에 대한 이동지지체의 회전멈춤을 하는 회전멈춤 안내수단과,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스윙되어 루퍼를 상하이동시키는 레버와,
구동축의 회전을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으로 변환하여 가위의 회전칼날을 회전시키는 캠을
포함하고,
레버는, 스윙되더라도 루퍼가 하방에 멈추는 정류구간을 갖고,
캠은, 가위의 회전칼날이 고정칼날에 대하여 열린상태에서 멈추는 정류구간을 갖고,
루퍼의 정류구간에서 가위의 회전칼날이 고정칼날에 대하여 열리는 열림동작 및 회전칼날이 고정칼날에 대하여 닫히는 닫힘동작이 실시되고,
가위의 정류구간에서 루퍼의 상하이동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이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레버는,
상기 루퍼의 하부에 맞물려서 루퍼를 상하이동시키는 맞물림부와,
루퍼를 상승시키는 스윙방향으로 맞물림부로부터 원호 모양으로 계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루퍼의 정류구간에 대응하는 원호 모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회전칼날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캠은,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두께가 변화되는 두께 변화부와, 상기 구동축의 중심으로부터의 지름이 변화되는 지름 변화부를 갖고,
회전축의 하단에는, 2개의 접촉부를 갖는 암부재가 구비되고,
암부재의 2개의 접촉부가 캠의 두께 변화부와 지름 변화부의 표면에 각각 접촉되어, 두께의 증가 또는 지름의 증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회전칼날이 고정칼날에 대하여 열리고, 다른 하나에 의하여 닫히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이동유닛은, 편성폭의 일방과 편성폭의 타방에 설치되고,
편성폭의 일방의 이동유닛의 구동축과 회전멈춤 안내수단은, 편성폭의 타방의 이동유닛에서는 각각 회전멈춤 안내수단과 구동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이동지지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동축은, 상기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하여 루퍼 및 가위를 구동시킨다. 루퍼는 구동축에 의하여 스윙되는 레버에 의하여 상하이동된다. 가위는, 구동축의 회전을 캠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으로 변환하여 회전칼날을 회전시킨다. 루퍼에는, 하한 부근에서 멈추는 정류구간을 형성하고, 정류구간에서 가위의 개폐 및 편사의 지지동작을 시킨다. 가위에는, 열린상태에서 멈추는 정류구간을 형성하고, 정류구간에서 루퍼를 상하이동시키는 동작을 시킨다. 1개의 구동축에 의하여 루퍼와 가위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구를 간소화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레버에 형성되는 원호 모양부에 의하여, 루퍼의 정류구간에 대응시켜서 가위에 동작을 시키더라도 루퍼의 동작에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캠의 두께의 증가 또는 지름의 증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가위의 회전칼날을 고정칼날에 대하여 닫고, 다른 하나에 의하여 여는 동작을 할 수 있다. 가위의 회전칼날을 고정칼날에 대하여 닫음으로써 편사를 지지하여 절단하고, 엶으로써 지지된 편사의 해제나 새로운 편사를 포착하여 지지하고, 절단할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2개의 구동원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는 2개의 구동축은, 2조(2組)의 이동유닛의 일방에서는 구동축으로서, 타방의 이동유닛에서는 회전멈춤 안내수단으로서 서로 겸용될 수 있다. 2조의 이동유닛을, 편성되는 편성포의 편성폭의 일방과 타방에 배치하기 때문에, 편성폭의 양측에서 편사의 지지와 절단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1실시예로서, 횡편기(1)의 편사지지절단장치(10)에 관련되는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횡편기(1)로서의 좌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이동유닛(11)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편사지지절단장치(10)로서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이동유닛(11)에서, 루퍼(21)의 하강 시 및 상승 시를 각각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4에 있어서, (a)는 구동부재(26)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a)의 절단선(B-B)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횡편기(1)에서, 편사지지절단장치(10)에 관련되는 구성을, 니들베드(2, 3)를 제거한 상태에서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대응하는 간략화한 평면도이다.
도7은, 도5에서 외측 프레임(35)을 생략하여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8은, 이동유닛(11)에서의 루퍼(21) 및 가위(22)의 동작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도1부터 도8에서, 본 고안의 1실시예인 횡편기(橫編機)(1)의 편사지지절단장치(編絲支持切斷裝置)(10)의 개략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설명의 대상인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등과 같이 서로 관련되는 도면에 있어서도, 일부에만 부분적으로 도면에 나타내고, 이 이외에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도1은, 본 고안의 1실시예로서, 횡편기(1)의 편사지지절단장치(10)에 관련되는 구성을, 횡편기(1)로서는 좌측면도가 되는 상태에서 나타낸다. 횡편기(1)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2) 및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3)를 구비한다. 앞쪽 니들베드(2) 및 뒤쪽 니들베드(3)는, 도면의 지면(紙面)과 수직의 방향이 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편침(編針)이 배치된다. 앞쪽 니들베드(2)와 뒤쪽 니들베드(3)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4)이 되는 간극을 두고 대향(對向)하고, 니들베드갭(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각각 경사진다. 앞쪽 니들베드(2) 및 뒤쪽 니들베드(3)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내측 프레임(內側 frame)(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하, 앞쪽 니들베드(2) 및 뒤쪽 니들베드(3)를 총칭하여 「니들베드」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길이방향에 관하여, 니들베드에서 편침이 설치되는 범위가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폭(編成幅)이 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니들베드갭(4)의 상방에는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얀피더(yarn feeder) 등이 배치된다. 니들베드로부터 니들베드갭(4)으로 진출하는 편침의 훅(hook)에 편사를 공급하고, 편침을 니들베드갭(4)으로부터 니들베드측으로 퇴출(退出)시킴으로써 편성포의 편성이 실시된다.
니들베드의 하방에는 편사지지절단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편사지지절단장치(10)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유닛(移動unit)(11)을 포함한다. 이동유닛(11)의 이동은, 구동축(12) 및 안내축(13)에 의한 안내를 받고, 이동용 랙(14)에 의하여 구동된다. 구동축(12)과 안내축(13)은, 니들베드갭(4)의 중심(4a)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호간의 간격도 니들베드 하방의 스페이스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넓게 잡혀 있다. 이러한 구동축(12) 및 안내축(13)에 의하여 이동유닛(11)은 안정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동용 랙(14)은, 길이방향의 내측 프레임(5)의 외부에 설치되는 이동모터(15)의 출력축에 부착되는 피니언(16)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동용 랙(14), 이동모터(15) 및 피니언(16)은 이동유닛(11)에 대한 이동기구가 된다. 이동기구는 이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벨트나 와이어 등에 의하여 이동유닛(11)을 견인(牽引)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2는 편사지지절단장치(10)의 주요부분인 이동유닛(1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2의 (a), (b) 및 (c)는 이동유닛(11)으로서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1도 참조하여, 이동유닛(11)은, 이동지지체(20), 루퍼(looper)(21), 가위(22), 회전축(23), 암부재(arm部材)(24), 가압 스프링(25) 및 구동부재(26)를 포함한다. 이동지지체(20)는, 구동축(12) 및 안내축(13)에 의한 이동의 안내를 구동암(20a) 및 지지암(20b)의 선단(先端) 부근에서 각각 받는다. 구동암(20a) 및 지지암(20b)의 중간에는, 루퍼(2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상하 안내부(20c)가 설치된다. 이동지지체(20)의 상부에는, 가위(22)를 지지하는 가위 지지부(20d)가 설치된다.
루퍼(21)는, 상하이동할 수 있고, 상부에 인입훅(引入hook)(21a)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상하이동의 구동을 받는 핀(pin)(2lb)을 구비한다. 편성된 최후의 스티치(stitch)를 지지하는 편침으로부터 니들베드갭(4)의 상방의 얀피더로 연장되는 편사에 대하여 루퍼(21)를 상승시키면, 인입훅(21a)으로 편사를 안내할 수 있다. 루퍼(21)를 하강시킬 때에 편사는 인입훅(21a)에 포착된다. 가위(22)는 고정칼날(22a) 및 회전칼날(22b)을 구비한다. 회전칼날(22b)은 회전축(23)의 상단(上端)에 부착된다. 회전칼날(22b)이 상하방향의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닫히면, 인입훅(21a)에 의하여 포착된 편사를 절단한다. 고정칼날(22a)은, 가위 지지부(20d)의 전단(前端)측에 나사(20e)에 의하여 고정된다. 회전축(23)의 상부는, 가위 지지부(20d)에 형성되는 삽통구멍(insertion through hole)을 지나, 상단이 가위 지지부(20d)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단에 회전칼날(22b)이 부착된다. 회전축(23)의 하단(下端) 부근에는 암부재(24)가 부착된다. 회전축(23)의 하부이며, 가위 지지부(20d)의 하단과 암부재(24)의 상단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25)이 삽입된다. 가압 스프링(25)은, 가위 지지부(20d)에 대하여 암부재(24)를 통하여 회전축(23)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회전축(23)의 상단에 부착된 회전칼날(22b)을 고정칼날(22a)측으로 가압한다.
구동부재(26)는, 루퍼(21) 및 가위(22)를 구동하기 위하여 레버(27) 및 캠(28)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27)는, 구동축(12)의 회전에 따라 스윙(swing)하여 루퍼(21)를 상하이동시킨다. 안내축(13)은 이동유닛(11)의 이동에 대한 안내와 함께 구동축(12)의 회전에 대한 이동유닛(11)의 회전멈춤을 하기 때문에, 회전멈춤 안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캠(28)은, 구동축(12)의 회전을 상하방향의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으로 변환하여 가위(22)의 회전칼날(22b)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구동축(12)은, 이동지지체(20)의 이동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하여 루퍼(21) 및 가위(22)를 구동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이 때문에 구동축(12)에는 키홈(key way)을 형성하여 두고, 구동축(12)과 구동부재(26)의 사이에는 키(29)를 설치하여, 구동축(12)의 회전을 확실하게 구동부재(26)에 전달시킨다. 또 레버(27)와 캠(28)은,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하고,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회전축(23)과 회전칼날(22b)이나 암부재(24)를 일체화하여도 좋다.
도2의 (a)에서는 생략하고,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위(22)의 위에는, 편사지지 스프링(編絲支持 spring)(30)을 설치한다. 편사지지 스프링(30)은 상판(30a), 중판(30b) 및 하판(30c)을 갖는다. 상판(30a) 및 하판(30c)은, 고정칼날(22a)과 함께 나사(20e)에 의하여 고정된다. 중판(30b)은, 회전축(23)의 상단에 고정되고, 회전칼날(22b)과 함께 회전한다. 중판(30b)은, 편사를 상판(30a)과 하판(30c)의 사이에 압입하여 지지한다. 이러한 편사지지 스프링(30)에 의한 편사의 지지는, 루퍼(21)의 인입훅(21a)이 포착한 편사를,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닫혀서 절단하기 직전에 실시된다. 따라서 편사가 절단되면, 편사에 있어서 니들베드갭(4)의 상방의 얀피더에 계속되는 부분의 선단은, 편사지지 스프링(30)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특허문헌1과 같이 장갑의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성하는 경우에, 1개의 손가락부의 편성 후에 편사를 가위(22)로 절단하여 여분의 단사(端絲)를 편사지지 스프링(30)으로 지지하면서, 다음의 손가락부를 편성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이동지지체(20)에는, 횡편기(1)의 내측 프레임(5)의 외부 등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서, 가위(22)에 있어서 고정칼날(22a)과 회전칼날(22b)이 열리는 부분 부근에서 분출하는 유로(流路)도 형성되어 있다. 편사지지 스프링(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여분의 단사는, 다음 손가락부의 편성 중에 지지를 해제하여, 공기의 분출에 의한 안내에 의하여 편성 중인 편성포에 넣어져서 편성된다.
도3은, 도2의 이동유닛(11)의 주요부재에 대하여, 루퍼(21)가 하강할 때를 (a)에 나타내고, 상승할 때를 (b)에 각각 나타낸다. 이동지지체(20)나 가압 스프링(25)을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 구동부재(26)의 레버(27)는, 맞물림부(27a)와 원호 모양부(27b)를 갖는다. 맞물림부(27a)는, 루퍼(2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핀(2lb)과 맞물려서 루퍼(21)를 상하이동시킨다. 원호 모양부(27b)는, 핀(2lb)과 맞물릴 때에 루퍼(21)를 상승시키는 레버(27)의 스윙방향으로, 맞물림부(27a)로부터 원호 모양으로 계속된다. 또 핀(2lb)은, 롤러 또는 루퍼(21)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 등이더라도 좋고, 맞물림부(27a)와 맞물릴 수 있으면 좋다.
도3(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구동축(12)이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a)와 같이 레버(27)의 원호 모양부(27b)가 루퍼(21)의 핀(2lb)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루퍼(21)는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계속한다. 구동축(12)이 반시계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면, 핀(2lb)은 맞물림부(27a)와 맞물리고, 구동축(12)이 반시계방향으로 계속하여 더 회전되면, 맞물림부(27a)는 맞물려 있는 핀(2lb)을 통하여 루퍼(21)를 밀어올린다. 도3(b)는, 레버(27)가 루퍼(21)를 상한까지 밀어올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도1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퍼(21)의 인입훅(21a)은 니들베드갭(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인입훅(21a)은, 얀피더로부터 공급되어 편침의 훅으로 연장되는 편사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됨으로써, 편사를 인입훅(21a)의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4는, 구동부재(26)의 형상을 (a)에서는 정면도로서, (b)에서는 (a)의 절단선(BB)에서 본 단면도로서 나타낸다. 레버(27)의 원호 모양부(27b)에서는, 구동축(12)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삽통구멍의 중심(26c)으로부터의 지름(27r)이 일정하게 되고, 루퍼(21)는 하강된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원호 모양부(27b)는 루퍼(21)의 정류구간(停留區間)에 대응한다. 캠(28)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에 관한 두께(28t)가 변화되는 두께 변화부(28a)와, 중심(26c)으로부터의 지름(28r)이 변화되는 지름 변화부(28b)를 갖는다. 두께 변화부(28a)에서 두께(28t)가 얇아지는 측에는, 가장 얇은 두께로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얇은 플랫구간(28c)이 형성된다. 얇은 플랫구간(28c)에는 두께(28t)가 증대되는 경사구간(28d)이 계속되고, 또한 가장 두꺼운 두께로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두꺼운 플랫구간(28e)이 계속된다. 지름 변화부(28b)에서 지름(28r)이 커지는 측에는, 가장 큰 지름(28r)으로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대경구간(大徑區間)(28f)이 형성된다. 대경구간(28f)에는 지름(28r)이 감소되는 경사구간(28g)이 계속되고, 또한 지름(28r)이 작아지는 소경구간(小徑區間)(28h)이 형성된다.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재(24)는, 접촉부(24a)와 접촉부(24b)의 2개로 갈라진 암을 갖는다. 캠(28)의 회전에 의하여 두께 변화부(28a)의 두께(28t)가 증가되면, 암부재(24)는,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축(23)을 구동시킨다. 캠(28)의 회전에 의하여 지름 변화부(28b)의 지름(28r)이 증가되는 경사구간(28g)에 접촉부(24b)가 접촉하게 되면, 암부재(24)는,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축(23)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고정칼날(22a)에 대한 회전칼날(22b)의 회전에 의한 가위(22)의 개폐는, 암부재(24) 및 캠(28)의 형상의 조합에 의한 것으로, 조합을 바꾸면, 지름(28r)의 증가에 의하여 가위(22)가 닫히고, 두께(28t)의 증가에 의하여 가위(22)가 열리도록 할 수도 있다. 캠(28)은, 두께(28t)의 증가 또는 지름(28r)의 증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열리고, 다른 하나에 의하여 닫히도록 가위(22)를 구동시키면 좋다.
도5, 도6 및 도7은, 편사지지절단장치(10)의 구성을, 앞쪽 니들베드(2) 및 뒤쪽 니들베드(3)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횡편기(1)로서의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로 각각 나타낸다. 도7에서는 외측 프레임(35)도 생략되어 있다.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내측 프레임(5)의 사이에서 구동축(12) 및 안내축(13)을 지지하고, 일방측의 내측 프레임(5)에 구동모터(36)를 부착한다. 내측 프레임(5)의 외측에는 외측 프레임(35)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타방의 외측 프레임(35)에 이동모터(15)가 부착된다. 편사지지절단장치(10)의 이동유닛(11)은 내측 프레임(5)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36)는, 내측 프레임(5)에 대하여 중심(4a)에서 이분(二分)되어 구동축(12)측이 되는 영역에 부착된다. 구동모터(36)의 출력축에는 기어(37)가 부착되고, 중간의 기어(38, 39)를 통하여 구동축(12)에 부착되는 부채형의 구동기어(40)가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도8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12)은 90° 정도의 각도범위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기어(40)를 부채형으로 하여 점유 스페이스의 절약을 도모하고 있다.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이동유닛(11)을 증설하여, 2개의 이동유닛(11)을 별개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7에서는, 안내축(13)측의 영역이 비어 있지만, 이 영역에도 구동모터(36) 등과 동일한 구성을 설치할 수 있다. 안내축(13)에 키홈을 형성하여 회전하도록 하더라도, 구동축(12)의 구동을 받는 이동유닛(11)의 안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키홈을 형성한 안내축(13)은, 증설된 이동유닛(11)에 대하여 구동축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 이동유닛(11)에 대해서는, 구동축(12)이 회전멈춤 안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증설된 이동유닛(11)에 대하여 이동모터(15) 등에 상당하는 이동기구를 추가함으로써, 2개의 이동유닛(11)을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다.
2개의 이동유닛(11)을 2개 방향의 스티치 복합간(stitch 複合杆)과 병용하면, 3지 몸통 사양(3-finger palm 仕樣)의 장갑을 편성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이동유닛(11)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2가지 색의 편사를 구별하여 패턴편성을 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개의 이동유닛(11)은 편성폭의 양측에 대기시켜 둔다. 제1색의 편사를 사용하여 편성하고 있는 사이에, 제1이동유닛(11)은 절단지지용으로 준비하여 두고, 제2색의 단사를 제2이동유닛(11)의 편사지지 스프링(30)에 의하여 지지한다. 제2색의 편사의 사용으로 절체하는 경우에, 제1색의 편사를 제1이동유닛(11)에 의하여 절단하여 지지한 후에, 제2이동유닛(11)에 의하여 단사를 지지하는 제2색의 편사를 사용하는 편성을 시작하고, 편성이 진행된 후에 제2색의 단사의 지지를 해제한다.
또 회전멈춤 안내수단으로서는, 안내축(13)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이동용 랙(14) 등으로 겸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유닛(1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파이프를 강화하여 회전멈춤 안내수단으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8은, 이동유닛(11)에서의 루퍼(21) 및 가위(22)의 동작을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8의 (a)는, 루퍼(21)가 하강위치에 있고, 가위(22)의 회전칼날(22b)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루퍼(21)의 핀(2lb)은 레버(27)의 원호 모양부(27b)에 의하여 눌린다. 암부재(24)의 접촉부(24a)는, 캠(28)의 두꺼운 플랫구간(28e)에 접촉되어, 가위(22)가 닫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접촉부(24b)는 소경구간(28h)과 대향한다.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1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27)는 원호 모양부(27b)가 핀(2lb)을 누르는 상태를 계속하고, 루퍼(21)는 상승이 제한되어 하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정류구간이 된다. 암부재(24)는, 접촉부(24b)가 캠(28)의 지름 변화부(28b)의 경사구간(28g)에 접촉하게 되고, 지름(28r)의 증가에 따라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열리도록 회전축(23)을 회전시킨다. 접촉부(24a)는, 두꺼운 플랫구간(28e)에 접촉되는 상태로부터 경사구간(28d)과 대향하는 상태로 이행한다.
도8(b)는, 루퍼(21)가 상승이 제한된 하강위치에서의 정류구간이 계속되고, 가위(22)의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열린상태를 나타낸다. 암부재(24)의 접촉부(24a)는 경사구간(28d)과 대향한다. 도8(b)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축(12)이 회전되면, 핀(2lb)이 레버(27)의 맞물림부(27a)와 맞물려서, 레버(27)가 핀(2lb)을 통하여 루퍼(21)를 밀어올린다. 루퍼(21)의 밀어올리기에 의하여, 도8(c)까지 상단의 인입훅(21a)이 니들베드갭(4)의 상방으로 돌출하게 되고, 암부재(24)는, 접촉부(24b)가 대경구간(28f)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고, 접촉부(24a)가 얇은 플랫구간(28c)과 대향한다. 편침의 훅으로부터 얀피더로 연장되는 편사가 있으면, 루퍼(21)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편사는 인입훅(21a)의 하방으로 안내된다. 가위(22)는 열린 상태에서 멈추어 정류구간이 된다.
도8(c)는, 루퍼(21)가 상승위치에 있고, 가위(22)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구동축(12)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도8(c)부터 도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12)을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루퍼(21)는, 핀(2lb)이 레버(27)의 맞물림부(27a)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레버(27)의 시계방향으로의 스윙과 함께 하강된다. 가위(22)는 정류구간에서 열린상태를 유지한다. 루퍼(21)의 상승 시에 인입훅(21a)의 하방으로 안내된 편사는, 하강하는 인입훅(21a)에 의하여 포착된다. 도8(d)에 나타내는 상태는, 도8(b)에 나타내는 상태와 동등하다. 단 인입훅(21a)이 편사를 포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점이 다르다.
도8(d)는, 핀(2lb)이 레버(27)의 맞물림부(27a)로부터 원호 모양부(27b)로 이행하여 맞물리지 않게 되어, 루퍼(21)는 하강위치에서 정류구간이 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구동축(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암부재(24)의 접촉부(24a)는 두께 변화부(28a)의 얇은 플랫구간(28c)에 접촉되는 상태로부터 경사구간(28d)에 접촉되는 상태로 이행한다. 가위(22)의 정류구간은 종료되고, 접촉부(24a)가 접촉되는 경사구간(28d)에서 두께가 증가되기 때문에, 도8(e)까지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닫혀, 인입훅(21a)이 포착하고 있던 편사를 절단한다. 도8(e)에 나타내는 상태는, 도8(a)에 나타내는 상태와 동등하고, 루퍼(21)는 하강위치에서 정류구간으로 되어, 가위(22)는 닫힌 상태가 된다. 루퍼(21)는, 도8(d)부터 도8(e)의 정류구간에서, 도8(a)부터 도8(b)의 정류구간과 마찬가지로 상승이 제한된다.
도2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위(22)의 상부에는 편사지지 스프링(30)이 설치되고, 도8의 (d)부터 (e)의 사이에서 가위(22)가 닫혀서 편사를 절단하기 전에, 얀피더를 향하여 연장되는 편사를 편사지지 스프링(30)에 의하여 지지한다. 가위(22)에 의한 절단 후에는, 얀피더로부터 연장되는 편사의 단사를 편사지지 스프링(30)에 의하여 지지하는 상태를 계속한다. 편사지지 스프링(30)에 의하여 지지되는 단사는, 도8의 (a)부터 (b)에서 가위(22)가 열릴 때에, 편사지지 스프링(30)으로부터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구동부재(26)의 레버(27)는, 스윙되더라도 루퍼(21)가 하방에 멈추는 정류구간을 갖는다. 캠(28)은, 가위(22)의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열린 상태에서 멈추는 정류구간을 갖는다. 루퍼(21)의 정류구간에서 가위(22)의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열리는 열림동작 및 회전칼날(22b)이 고정칼날(22a)에 대하여 닫히는 닫힘동작이 실시되고, 가위(22)의 정류구간에서 루퍼(21)의 상하이동이 실시된다.
1 : 횡편기
2 : 앞쪽 니들베드
3 : 뒤쪽 니들베드
4 : 니들베드갭
10 : 편사지지절단장치
11 : 이동유닛
12 : 구동축
13 : 안내축
14 : 이동용 랙
15 : 이동모터
16 : 피니언
20 : 이동지지체
21 : 루퍼
21a : 인입훅
2lb : 핀
22 : 가위
22a : 고정칼날
22b : 회전칼날
23 : 회전축
24 : 암부재
26 : 구동부재
27 : 레버
27a : 맞물림부
27b : 원호 모양부
28 : 캠
28a : 두께 변화부
28b : 지름 변화부
30 : 편사지지 스프링
36 : 구동모터

Claims (5)

  1. 상하이동될 수 있고, 상부에 인입훅(引入hook)을 구비하고,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하방으로부터 상승시키는 인입훅으로, 니들베드갭의 상방으로부터 편침에 공급되는 편사를 안내하고, 인입훅을 하강시킬 때에 편사를 포착할 수 있는 루퍼(looper)와,
    고정칼날 및 회전칼날을 구비하고, 회전칼날이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인입훅에 의하여 포착된 편사를 절단하는 가위와,
    루퍼 및 가위를 지지하는 이동지지체를
    구비하는 이동유닛이 견인기구(牽引機構)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횡편기(橫編機)의 편사지지절단장치(編絲支持切斷裝置)에 있어서,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이동지지체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하여 루퍼 및 가위를 구동시키는 구동축과,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원과,
    이동지지체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구동축에 의한 구동에 대한 이동지지체의 회전멈춤을 하는 회전멈춤 안내수단과,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스윙(swing)되어 루퍼를 상하이동시키는 레버와,
    구동축의 회전을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으로 변환하여 가위의 회전칼날을 회전시키는 캠(cam)을
    포함하고,
    레버는, 스윙되더라도 루퍼가 하방에 멈추는 정류구간(停留區間)을 갖고,
    캠은, 가위의 회전칼날이 고정칼날에 대하여 열린상태에서 멈추는 정류구간을 갖고,
    루퍼의 정류구간에서 가위의 회전칼날이 고정칼날에 대하여 열리는 열림동작 및 회전칼날이 고정칼날에 대하여 닫히는 닫힘동작이 실시되고, 가위의 정류구간에서 루퍼의 상하이동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루퍼의 하부에 맞물려서 루퍼를 상하이동시키는 맞물림부와,
    루퍼를 상승시키는 스윙방향으로 맞물림부로부터 원호 모양으로 계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류구간에 대응하는 원호 모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칼날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上端)에 구비되고,
    상기 캠은,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두께가 변화되는 두께 변화부와, 상기 구동축의 중심으로부터의 지름이 변화되는 지름 변화부를 갖고,
    회전축의 하단(下端)에는, 2개의 접촉부를 갖는 암부재(arm部材)가 구비되고,
    암부재의 2개의 접촉부가 캠의 두께 변화부와 지름 변화부의 표면에 각각 접촉되어, 두께의 증가 또는 지름의 증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회전칼날이 상기 고정칼날에 대하여 열리고, 다른 하나에 의하여 닫히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편성폭의 일방(一方)과 편성폭의 타방(他方)에 설치되고,
    편성폭의 일방의 이동유닛의 구동축과 회전멈춤 안내수단은, 편성폭의 타방의 이동유닛에서는 각각 회전멈춤 안내수단과 구동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편성폭의 일방(一方)과 편성폭의 타방(他方)에 설치되고,
    편성폭의 일방의 이동유닛의 구동축과 회전멈춤 안내수단은, 편성폭의 타방의 이동유닛에서는 각각 회전멈춤 안내수단과 구동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KR2020190001246U 2018-03-29 2019-03-27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KR20049282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6158A JP2019173248A (ja) 2018-03-29 2018-03-29 横編機の編糸保持切断装置
JPJP-P-2018-066158 2018-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30U KR20190002530U (ko) 2019-10-10
KR200492820Y1 true KR200492820Y1 (ko) 2020-12-15

Family

ID=6816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246U KR200492820Y1 (ko) 2018-03-29 2019-03-27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173248A (ko)
KR (1) KR200492820Y1 (ko)
CN (1) CN21031470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5033B (zh) * 2022-07-04 2024-01-23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一种织领机用线头钩藏处理方法及织领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7914A (ja) 2006-06-30 2008-01-17 Shima Seiki Mfg Ltd 編糸保持切断装置および横編機
JP2011137271A (ja) 2009-12-29 2011-07-14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糸把持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065245B1 (ko) 2003-07-30 2011-09-1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4421B1 (ko) 1970-12-10 1973-07-20
JPH02269848A (ja) * 1989-04-08 1990-11-05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糸把持装置
JP2547683B2 (ja) * 1991-09-18 1996-10-2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切断装置
JP3377700B2 (ja) * 1996-11-06 2003-02-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出し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3053376U (ja) 1998-03-13 1998-10-27 東洋興産株式会社 護岸石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45B1 (ko) 2003-07-30 2011-09-1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JP2008007914A (ja) 2006-06-30 2008-01-17 Shima Seiki Mfg Ltd 編糸保持切断装置および横編機
JP2011137271A (ja) 2009-12-29 2011-07-14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糸把持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30U (ko) 2019-10-10
CN210314701U (zh) 2020-04-14
JP2019173248A (ja)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5978B2 (ja)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JP3899269B2 (ja) 横編機の給糸装置
CN106283422B (zh) 缝纫机
ITBS20130150A1 (it) Macchina tessile circolare con meccanismo di innesto e sgancio del platorello del gruppo platò
KR101378147B1 (ko) 단사 삽입장치
JP6316327B2 (ja) 横編機および編成方法
KR200492820Y1 (ko)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JP2016144492A (ja) ミシン
JP2005042260A (ja) 丸編機における給糸切換装置及び方法
EP2116646A1 (en) Threader of sewing machine
KR20190000966U (ko) 장갑 편성기
JP4015973B2 (ja) 編糸保持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2014201861A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S6220295B2 (ko)
JPH08325901A (ja) 横編機における編糸切断把持装置
JP4642545B2 (ja) 糸切り装置
JP4374313B2 (ja) 横編機
WO2009084193A1 (ja)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
EP2123815A1 (en) Yarn end treating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
JP609937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CN212103180U (zh) 一种双机头手套机
US1299621A (en) Attachment for knitting-machines.
CN116334825A (zh) 一种横编织机无线头编织工艺
KR101803711B1 (ko)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CN117144550A (zh) 手套机机头组件、手套机及低叉手套编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