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454A - 차량을 위한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라이닝 부품 - Google Patents

차량을 위한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라이닝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454A
KR20240026454A KR1020237044185A KR20237044185A KR20240026454A KR 20240026454 A KR20240026454 A KR 20240026454A KR 1020237044185 A KR1020237044185 A KR 1020237044185A KR 20237044185 A KR20237044185 A KR 20237044185A KR 20240026454 A KR20240026454 A KR 2024002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upport substrate
decoration layer
lay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디 파리논
게르트 트로새르트
쾬 반란드슈트
?? 반란드슈트
이반 반루헨느
Original Assignee
아스코리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코리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스코리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2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4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28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28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 B29C44/1233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the preformed parts being supported during expa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67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using spray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32B5/2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foam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2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내부를 위한 라이닝 부품(8)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에 따르면, 지지 기판(5)은, 발포체 코팅의 넣음으로 가요성 장식 층의 반대편에 위치결정되며, 그리고 지지 기판은 발포체 코팅에 접착식으로 연결되며, 발포체 층(9)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미가공 발포체 화합물은 물리적인 발포제로서 가스를 사용하여 발포되고, 그리고 팽창형 발포체의 형태로 장식 층(3)의 후방 면 및/또는 장식 층(3)을 대면하는 지지 기판(5) 면 상으로 도포된다. 팽창형 발포체 코팅(4)이 여전히 유동가능하는 한, 지지 기판(5)은 팽창형 발포체 코팅(4)의 넣음으로 장식 층(3)의 후방 면에 대한 규정된 거리에 위치결정되어서, 장식 층(3)은 발포체 코팅(4)에 의해 지지 기판(5)에 연결되고, 그리고 발포체 코팅(4)의 가교 결합 프로세스가 적어도 대부분 완료될 때까지 유지되며, 장식 층(3)과 지지 기판(5) 사이에 원래 거리를 채우는 발포체 코팅(4)의 일부는,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시키는 프로세스 동안 지지 기판(5)에 의해 적어도 일부 구역들에서 변위되고 그리고 소성식으로 압축된다.

Description

차량을 위한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라이닝 부품
[001]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내부를 위한 라이닝 부품(lining part)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방법에서, 지지 기판은 발포체 코팅(foam coating)의 넣음(interposition)으로 가요성 장식 층의 반대편에 위치결정되며, 그리고 지지 기판은 발포체 코팅에 접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내부 라이닝 부품이 설명되며, 여기서 물리적인 발포제로서 가스로 발포되는, 발포체 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미가공 화합물은, 반응성 팽창형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로서, 장식 층의 후방 면 및/또는 장식 층을 대면하는 지지 기판의 측면에 도포된다.
[002] 이러한 라이닝 부품들은, 자동차들에서 내부 라이닝 부품들로서,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커버(instrument panel cover)들, 도어 패널(door panel)들, 글러브 격실(glove compartment)들 등의 형태로 발견된다. 이러한 라이닝 부품들은 또한, 예를 들어, 보트들 상에서 야외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라이닝 부품들은 차량 샤시에 부착되는 강성 지지 기판을 포함한다. 지지 기판은 설치 또는 부착 부품들, 예를 들어, 전기/전자 유닛들을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기판은 통상적으로 PP 또는 ABS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이다. 이러한 내부 라이닝 부품의 보이는 측면은 장식 층에 의해 형성된다. 장식 층은, 특히 장식 층이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층인 경우, 가요성이 있고, 그리고, 또한 탄성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라이닝 부품에 소위 소프트-터치(soft-touch)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장식 층과 지지 층 사이에 탄성적인 연질 발포 층이 존재한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발포체 층의 두께는 단지 수 밀리미터, 통상적으로 3mm 내지 8mm이다. 발포체 층에 의해 제공되는 느낌 및 이에 따른 이의 경도는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의 선택, 이의 팽창도, 및 발포체 층의 밀도에 의해 주로 규정된다.
[003] 이러한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전형적인 후방 면-발포에서, 장식 층은 플라스틱 화합물을 주입함으로써 개방된, 다중-부품 몰드 내로 삽입되거나 몰드의 하나의 절반부 상에 생성된다. 그 후, 반응성 발포체-형성 미가공 화합물은 장식 층의 후방 면에 도포된다. 그 후, 몰드는 폐쇄되며, 공구의 다른 절반부는 지지 기판을 지탱한다. 폐쇄된 형태에서, 지지 기판과 장식 층 사이에 미리 규정된 갭이 남겨진다. 반응성 발포체-형성 미가공 화합물은 화학적 발포제를 함유한다. 이는 특히 물이다. 발포체를 형성하는 성분들 ─ 폴리우레탄의 경우에, 이들은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 성분들임 ─ 사이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결과로서, 미가공 화합물은 중합되고 그리고 동시에 가스를 방출하는 이소시아네이트-물 반응으로 인해 발포된다. 가교결합 프로세스의 종료 시에, 발포체 층은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에 형성된다. 동시에, 가교결합 프로세스는, 발포체가 장식 층 및 지지 기판 양자 모두에 접착식으로 접합되도록 사용된다. 접착 촉진제는 장식 층 및 지지 기판에 대한 발포체 층의 접착 접합을 지지할 수 있다. 150kg/m3 내지 200kg/m3의 밀도들을 갖는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들은, 예를 들어, 차량 내부 라이닝 부품을 위한 이러한 발포체 층들을 형성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004] 이러한 제작 프로세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상당히 높은 압력들 및 온도들이 화학적 발포 및 수반되는 중합 동안 몰드 내에서 때때로 생성된다는 것이다. 이는, 이러한 목적들을 위해 사용되는 몰드들 또는 몰드 부품들에 대한 높은 요구들을 단지 배치하지 않는다. 몰드에 상이한 온도 분포들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에도, 장식 층은 이러한 영향들, 특히 온도들을 견딜 수 있는 품질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또한 유의되어야 한다. 후자는 장식 층의 보이는 측면 상의 온도에 따라 상이한 외관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개구들을 가지는 재료들이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장식 층들로서 사용된다면, 발포체 브레이크스루(foam breakthrough)들은 이러한 형태로 2바(bar) 내지 5바의 압력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발포체는 장식 층의 보이는 측면 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장식 층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재료들을 사용할 때, 반응성의, 아직 팽창되지 않은 미가공 화합물을 도포하기 전에 복잡한 밀봉 조치들을 실행하는 것이 때때로 필수적이다.
[005] DE 10 2011 005 343 A1로부터, 개방 몰드에서 이러한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저에너지 발포체 시스템, 즉, 임의의 주요 압력들을 유발시키지 않는 발포체 시스템을 사용한다. 장식 층의 후방 면에 도포되는 반응성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의 물리적 상태는, 코팅 후에 반응성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이 유동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는,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이 장식 층의 개구들 내로 침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지지 기판의 연결이 부가의 접착 촉진제들 또는 다른 접착제들 없이 요망된다면, 발포 프로세스가 종료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종료될 때, 지지 기판은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의 표면 내로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기판의 조립 시에, 발포체 질량체의 소위 점착-없는 기간은 아직 도달되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포체의 표면은 여전히 요망되는 접착제 접합을 가능하게 할 정도로 충분히 점착성이 있어야 한다.
[006] DE 20 2008 017 784 U1로부터, 흡수성 장식 재료를 갖는 내부 라이닝 부품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설명되는 방법에 따르면, 부분적으로 물리적으로 팽창형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이 도포된다.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는 화학적 발포제를 함유한다. 흡수성 장식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발포체가 흡수성 장식용 재료에 도포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의 도포 후에, 이미 진행된 가교 결합 프로세스로 인해 점도가 충분히 높을 때까지 일부 시간이 대기되어서,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은, 지지 기판을 부착할 때 장식 층들을 통해 가압될 수 없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설명되는 방법은 DE 10 2011 005 343 A1에서 설명되는 방법과 상이하지 않다.
[007] 개구들을 가지는 장식 층들의 후방 면-발포가 이러한 이전에 공지된 방법으로 가능하더라도, 지지 기판이 아직 완전히 가교결합되지 않은 발포체 표면으로 가압되는 시간 윈도우(time window)는 매우 정밀하게 조정되고 그리고 유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포된 발포-형성 미가공 화합물은, 지지 기판이 이 미가공 화합물과 접촉하기 전에 거의 완전히 발포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발포체의 점착 없는 시간, 즉 발포체가 더 이상 점착성이 없는 시간은 아직 도달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시간 윈도우는 보통 단지 수초이다. 지지 기판이 팽창된 거의 완전히 중합된 발포체 내로 가압된다면, 발포체는 압축된다. 후자는, 장식 층의 후방 면과 지지 기판 사이의 거리 및 이에 따른 발포체 층의 두께가 내부 라이닝 부품의 평탄 범위에 걸쳐 균일하지 않다면, 내부 라이닝 부품의 평탄 범위에 걸친 상이한 경도, 및 이에 따른 평탄 범위에 걸친 상이한 촉각부(haptic)를 초래한다. 그 후, 발포체 층의 경도는,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거리가 더 작은 내부 라이닝 부품의 이들의 영역들에서 더 크다. 이는, 지지 기판들 상에 배치되는 다른 요구사항들로 인해 장식 층으로부터 균일한 거리에 제공될 수 없는 지지 기판들에 특히 도포된다. 만약 그렇다면, 이는 단지, 상이한 두께들을 갖는 발포-형성 미가공 화합물을 도포함으로써 단지 매우 부적절한 방식으로 보상될 수 있다.
[008] 이러한 논의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에 연질-탄성 발포체 층을 가지는 내부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며, 이 방법으로, 위에서 도시된 단점들이 회피되며, 그리고, 게다가, 이러한 내부 라이닝 부품을 구성하기 위한 설계 자유도는 덜 제한된다. 더욱이, 제조 방법이 간소화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시간에서 단축될 수 있다면, 요망가능할 것이다.
[009] 본 목적은 처음에 언급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팽창형 발포체 코팅이 여전히 유동가능하는 한, 지지 기판은, 팽창형 발포체 코팅의 넣음으로 장식 층의 후방 면으로부터 규정되는 거리에서 위치결정되어서, 장식 층은, 연결되는 발포체 코팅에 의해 지지 기판에 연결되고, 그리고, 발포체 코팅의 가교 결합 프로세스가 적어도 크게 완료될 때, 지지 기판으로부터 장식 층의 원래 거리를 채우는 발포체 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서, 배치되는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시키고 그리고 지지 기판에 의해, 소성식으로 압축되는 적어도 프로세스로 유지된다.
[010]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은 이미 발포되고, 그리고 장식 층의 후방 면 상에 또는 장식 층을 대면하는 지지 기판의 측면 상에서 또는 장식 층 및 지지 기판 상에 팽창된 형태로 도포된다.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이 이의 발포된 상태로 이미 도포되기 때문에, 2개의 이러한 발포체 코팅 층은 또한, 장식 층의 후방 면에 그리고 장식 층을 대면하는 지지 기판의 측면에 도포될 수 있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여전히 균일한 발포체 층을 제공할 수 있다. 물리적인 발포제, 다시 말해, 가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가 발포제로서 사용된다. 다른 적합한 가스가 또한 발포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미가공 화합물이 화학적 발포제들로 발포되는 종래의 방법들과는 대조적으로, 이는 도포된 미가공 화합물 내의 화학 반응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다. 발포체 코팅은 개방-기공형성된다(open-pored). 예를 들어, 제1 발포체 코팅이, 예를 들어, 개방-기공 발포체 코팅으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장식 층의 후방 면에 도포되며, 그리고 제2 발포체 코팅은 폐쇄된-셀 발포체 코팅으로서 장식 층을 대면하는 지지 기판의 측면에 도포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지지 기판에 연결되었다면, 다른 발포체 코팅들 및/또는 발포체 층들을 갖는 이러한 이미 팽창된 발포체 코팅의 조합은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조합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발포체 코팅이 도포되기 전에, 장식 층이 제1 단계에서 발포체 층으로 후방 면 상에 코팅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닝 부품을 제조할 때 이산화탄소 풋프린트(footprint)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기체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예를 들어,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1] 발포체 코팅이 팽창된 형태로 이미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기판은, 팽창형 발포체 코팅이 도포된 직후에 장식 층에 대해 위치결정될 수 있다. 발포체가 장식 층의 후방 면에 도포될 때, 이는, 지지 기판이 그 위에 도포된 팽창형 발포체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발포체 코팅이 장식 층 및/또는 지지 기판에 도포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이전에 공지된 방법들과 대조적으로,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할 수 있기 위해 화학적 발포를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대기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들에서, 발포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는 셀들이 기공-개방 발포체 코팅이 형성되도록 버스트 개구(burst open)를 가질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종래의 방법들에서, 따라서, 지지 기판의 너무 빠른 위치결정은 또한, 개방-기공 발포체가 형성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012] 청구된 방법의 대상에서, 이는 발포체 코팅의 넣음으로 장식 층에 대해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하는 시간에서 중합하기 단지 막 시작하며, 발포체 코팅이 여전히 적어도 특정한 범위로 유동가능하고 그리고 용이하게 변위될 수 있다. 이는, 장식 층에 대해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하고 그리고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라이닝 부품이 몰드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가교 결합 프로세스가 적어도 대부분 완료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요구된다. 팽창형 발포체 코팅을 변위시키는 것은 다수의 이점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몰드 갭 내에서, 전형적으로 분사에 의해 적용되는 팽창형 발포체 코팅의 이브닝 아웃(evening out)뿐만 아니라, 이러한 갭을 채우도록 요구되지 않은 팽창형 발포체 코팅의 몰드 갭으로부터의 변위가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조될 라이닝 부품에 대해 흥미로운 것은,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발포체 층의 재료 두께에 관계없이, 라이닝 부품이 심지어 상이한 갭 폭들을 갖는 경우에도 균일한 경도로 받침된다는(backed) 것이다. 이는, 적어도 현저한 정도로는, 요망되지 않는 발포체 압축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특히 10% 내지 15%의 발포체 압축은 발포체 층의 형성에서 고려되며 그리고 따라서 요망되지 않는다.
[013] 이러한 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지지 기판이 접착 접합을 위한 발포체 코팅과 접촉하게 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장식 층의 후방 면 상의 발포체 코팅의 경우에, 지지 기판이 장식 층에 대해 위치결정될 수 있는 시간 간격이 상당히 더 길다는 점이다. 이는, 화학적 발포제들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대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 방법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비-재현성에 대해 덜 민감한 방법이 또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성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에서 촉매들을 사용함으로써, 반응 시간 ─ 중합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 ─ 은 상당히 단축될 수 있어서, 이러한 라이닝 부품의 제조는 이러한 점에서 다시 단축될 수 있다. 화학적 발포제들이 사용된다면, 가교결합 프로세스는 오직, 일단 팽창 프로세스가-완료되면, 시작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예를 들어, 장식 층의 후방 면에는 팽창형 발포체 코팅이 제공된다면, 지지 기판은 통상적으로, 70%의 반응 시간이 아직 도달하지 않은 반응 시간의 시간 윈도우에서 접촉하게 된다. 지지 기판의 코팅의 경우에 또는 장식 층 및 지지 기판 상의 발포체 코팅의 경우에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응 시간의 50%가 아직 종료되지 않았을 때, 지지 기판이 위치결정되는 것이다. 발포체 코팅이 장식 층 및 지지 기판 둘 모두에 접촉하도록, 지지 기판은 발포체 코팅이 넣어진 상태에서 장식 층에 대해 더 빨리 위치결정될 수록, 접착제 접합이 더 양호해진다. 발포체 발포체 코팅의 넣음의 경우의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장식 층에 대한 지지 기판의 이러한 조기 위치결정으로 인해, 발포체 움직임이 발포체 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발생하도록, 중합 프로세스가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의 청구 대상에서 영리하게 사용된다.
[014]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큰 시간 윈도우는 또한, 장식 층 상의 발포체 코팅과 지지 기판 사이의 발포체 품질 또는 접착제 접합에 관하여, 장식 탄성 부재에 대해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하는 것에 관하여 임의의 단점들을 수용하지 않고, 전형적으로 분사에 의해 팽창형 발포체의 도포가 일부 시간을 요구하는 보다 큰 라이닝 부품들의 제조를 허용한다.
[015] 지지 기판을 통해 팽창형 발포체 코팅의 부분을 변위시킬 가능성은, 실제 요구되는 것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 발포체 코팅을 형성하고, 따라서 요구되는 것보다 더 큰 체적을 갖는 발포체 코팅을 실행하도록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또한 하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이다.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거리는 스페이서 요소들, 예를 들어, 스페이서 핀(spacer pin)들을 통해, 예를 들어, 지지 기판의 일부로서 제공되거나 몰드에 통합될 수 있다. 위치결정 구경의 사용이 또한 전체적으로 가능하다. 특정 양의 팽창형 발포체 코팅의 변위, 및 그에 따라 지지 기판와 장식 층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통한 지지 기판을 통한 발포체 코팅의 모델링 또는 분포는,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공간은 일정한 발포체 품질을 갖는다.
[016] 이러한 방법에서, 장식 층에 대해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할 때의 발포 발포체 코팅의 유동성 특성으로 인해, 이러한 특성은 지지 기판의 언더컷(undercut)들 내로 발포체를 도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후, 중합체화된 발포체 층은 접착 방식으로 지지 기판에 접합될 뿐만 아니라, 포지티브 잠금(positive locking)에 의해 제공된다. 이는, 발포체가 지지 기판가 아니라 장식 층의 후방 면에 적용된다면, 특히 그렇다. 지지 기판을 팽창형 발포체 코팅 내로 단순히 가압하는 것은, 지지 기판을 발포체 코팅과 대면하는 측 상의 지지 기판 상에 존재하는 언더컷 구조들로 가압한다. 장식 층을 향하는 측면 상에서 지지 기판의 언더컷 구조들에서 이러한 발포체 코팅 개재물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 기판은 또한, 발포체 코팅 상에서 부유하여 장식 층의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중합이 시작된 후 발포체 코팅에 대한 이들 설명들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동성은, 발포체가 중력으로 인해 단독으로 유동해야 하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히, 발포체가 중력으로 인해 모델링될 수 있고, 따라서 도 1에 있어서의 임의의 상당한 변경 없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의 일관성. 약간의 압축이 가능하다.
[017] 과도한 발포체 코팅은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푸시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발포체 코팅의 가교 프로세스 후에 절단될 수 있다. 본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팽창형 발포체 코팅의 밖으로 과도한 가압을 회피하기 위해, 장식적인 층의 주변 에지 영역 또는 또한 그 안에서 만들어진 맞물림 개구들의 모든 주위에 팽창형 발포체 코팅을 적용할 때, 발포체는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거나, 에지 또는 맞물림 개구를 향해 감소하는 두께가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몰드 및/또는 지지 기판이 에지들에 개구들 또는 채널들을 가지는 것이 제공되며, 이 개구들 또는 채널들을 통해 지지 기판의 위치결정에 의해 변위되는 발포체는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갭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다. 발포체 코팅이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변위되지 않거나 지지 기판의 가압에 의해 완전히 응답하지 않으면, 발포체 코팅이 가압하는 것에 의해 압축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지지 기판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발포체의 밀도가 또한 영향을 받으려면, 발포체 코팅을 압축하는 것이 요망가능하다. 이는, 기공 개방 발포체가 발포체 코팅을 형성하도록 적용되었기 때문에, 설명된 방법으로 가능하며, 왜냐하면 발포체 셀들에 함유된 가스가 하나의 셀로부터 다음 셀로 가압될 수 있고 따라서 또한 발포체 코팅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치는 발포체 코팅을 가소적으로 압축한다. 발포체가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원치 않는 상황에서, 이러한 공간은 에지에서 밀봉될 수 있다.
[018] 이러한 방법의 다른 특정 이점은, 요망되는 유동성으로 인해 발포체가 분무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며, 여기서 분사 적용은 작은 액적 크기로 실행되며, 이에 의해 팽창형 발포체 코팅의 적용 두께는 특히 잘 제어될 수 있다.
[019] 이미 발포된 발포체 코팅의 적용의 결과로서, 추가의 온도는 생성될 복합재 내로 도입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들은 화학적 발포제로서 물을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반응은 발열성이다. 청구된 발포 방법에서의 발포를 위해 발열 반응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수축의 신호들이 고려되거나 수용될 필요가 없다. 또한, 기포 개방제들은 청구된 프로세스에서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에서 첨가제들로서 요구되지 않는다.
[020] 이러한 라이닝 부품의 제조는 압력 없이 이루어진다. 적용 압력은 일반적으로 1바 미만,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0.5바 미만이다.
[021] 또한, 중합은 낮은 온도들에서, 적어도 장식 층이 악영향을 받지 않는 온도-온도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022]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발포체 층의 층 두께는 15mm 내지 20mm, 특히 10mm 이하, 특히 5mm 이하일 수 있다.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공간에서의 두께에서의 차이들은 발포체 코팅의 가소성 모델링 능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023] 발포체 코팅의 밀도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70kg/m3 내지 700kg/m3, 특히 200kg/m3 내지 500kg/m3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장식 층에 대한 지지 기판의 위치결정에는 발포체 코팅의 특정 압축이 수반된다. 발포체 코팅의 밀도는, 예를 들어, 5% 내지 30%만큼 증가될 수 있다.
[024] 발포체 코팅의 바람직한 밀도들은 대략 250kg/m3이며, 여기서 발포체 코팅의 압축을 수반하는 지지 기판의 위치결정은, 예를 들어, 300kg/m3으로의 밀도의 증가로 이어진다.
[025]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장식 층과 지지 기판 사이의 공간은 발포체 코팅이 중합하고 따라서 그의 요망되는 형상을 획득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026] 중합이 완료된 후에 발포체 코팅으로 형성되는 발포체 층은, 요망되는 요건들에 따라, 연질 발포체 층 또는 반강성 발포체 층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027] 전형적으로, 지지 기판은 발포 발포체 코팅이 적용된 직후에 위치결정된다. 반응성 성분들(폴리우레탄: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이 혼합될 때 중합이 시작되기 때문에, 중합 및 그에 따른 반응 기간은 이미 이러한 지점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위에서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지지 기판에 의한 발포체의 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028] 전술된 방법이 압력 없이 그리고 발열 가열 없이 원칙적으로 폐쇄된 몰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하더라도, 간소화를 위해, 이는 통상적으로 개방 몰드에서 실행된다.
[029]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무수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은 기체 발포제로 분무-도포된다.
[030] 무수 팽창형 발포체 코팅의 적용이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경우에도, 화학적 발포제가 또한 특정 효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발포체 코팅에 특정 정도로 함유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031] 제조된 라이닝 부품의 발포체 층은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이다. 가스의 혼합은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혼합 전에 또는 혼합 동안에 실행될 수 있다. 혼합하기 전에 2개의 성분들 중 하나에 가스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분무 적용에서, 가스, 통상적으로 질소가 혼합 챔버에서 반응성 혼합물에 첨가된다. 실제 체적 증가는 적용 노즐의 출구에서 발생해서, 팽창형 발포체는 장식 층의 후방 면에 적용된다. 스프레잉 프로세스은 WO 2007/127623 A1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스프레이 적용에 관한 언급들이, 상이한 맥락에서 실행된다하더라도, 이에 의해 이러한 명시적 인용에 의해 이들 언급들의 대상이 된다. 다른 중합 발포체들이 또한 라이닝 부품의 발포체 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032] 장식 층은 궁극적으로, 폴리우레탄, PVC, TPO, 직물, 가죽, 인조 가죽 등으로 제조되는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임의의 가요성 필름형 층일 수 있다. 압력- 및 온도-민감성 재료들은 또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압력들이나 보다 높은 온도들이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장식 층은 또한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장식 층의 보이는 측에 부착되는 발포체 돌파구들은 발포체를 도포할 때 압력의 부족으로 인해 우려되지 않을 수 있다.
[033] 종래의 방법들을 갖는 경우와 같이, 지지 기판은, 예를 들어, PP 또는 ABS 플라스틱 부품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들은 개구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압력 없는 적용 및 중합으로 인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사실상, 발포체 코팅은 실제로 지지 기판의 개구들로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폐쇄된 몰드들을 사용하는 이전에 공지된 방법들의 경우인 바와 같이, 발포체가 압력 하에서 나오는 경로들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반강성 팽창형 발포체의 적용은 또한, 전반적으로 천공되거나 투과가능하고, 그리고 이에 따라 특정 투과성을 가지는 지지 기판들의 사용을 허용한다. 따라서, 지지 기판은 또한, 예를 들어, 섬유 매트들, 예컨대 유리 섬유 매트들 또는 천연 섬유들로 만들어진 매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장식 층에 대해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하는 과정에서, 발포체 코팅은 발포체 내에 매립되도록 그러한 지지 기판 내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후, 지지 기판은 중합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발포체 층에 확실하게 연결된다.
[034] 전술된 방법에서, 발포체 층이 2개 또는 그 초과의 개별적인 발포체 서브-층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이들의 밀도가 서로 상이한 것이 확실히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체 층들 각각은 팽창형 발포체 코팅으로서 도포된다. 이는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충돌하지 않으며, 여기서 이러한 발포체 층은 개별적인 발포체 층들로 형성되고, 그 자체가 장식 층의 일부로서 또는 지지 기판의 일부로서 발포체 층에 적용된다.
[035]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후에 설명된다. 특히:
도 1은, 내부에 위치되는 장식 층을 갖는 차량 내부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개방 몰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팽창형 발포체 코팅으로 후방 면-발포된, 내부에 포함되는 장식 층을 갖는 도 1의 몰드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발포체 코팅의 최상부 상에 위치결정될 지지 기판(도 3a) 및 발포체 코팅 상에 위치결정되는 지지 기판(도 3b)을 도시한다.
도 4는 몰드로부터 제거된 내부 라이닝 부품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내부 라이닝 부품의 제조에서 개별적인 프로세스 단계들의 시간 경과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은, 또한 개방 몰드에서 제조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내부 라이닝 부품의 시간 경과를 나타내기 위한 도 5의 것에 대응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위치결정될 지지 기판을 갖는 개방 몰드의 배열을 통한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 지지 기판은 라이닝 부품 내에 관통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 개구를 가지며(도 7a), 지지 기판은 끼워넣어진 발포체 코팅을 갖는 장식 층의 반대편에 위치결정되며(도 7b), 그리고 라이닝 부품은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 개구를 갖는 몰드로부터 제거되며,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는 내부 라이닝 부품의 관통 개구 설계의 상이한 실시예를 갖는 도 7a 내지 도 7c의 표현들에 대응하는 부분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036] 개방 몰드(1)는 공동(2)을 포함한다. 장식 층(3)은 공동(2) 내에 배열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식 층(3)은, 특히, 대응하는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분사에 의해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초기에 몰드(1)에서 형성된다. 공동(2)을 대면하는 몰드(1)의 측면은 가죽형 입자로 구조화되어서, 장식 층(5)은 도 1에서 대면하는 그의 저부측 상에 가죽 입자를 갖는다. 차량을 위한 내부 라이닝 부품을 형성하기 위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응성 팽창형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는 후속하는 프로세스 단계에서 장식 층(3)의 후방 면에, 다시 말해, 분사함으로써 적용된다. 스프레이 노즐로부터 나오는 액적 크기는 비교적 작으며, 예를 들어, 0.1mm 내지 1mm이다.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포체 코팅(4)은 발포된 폴리우레탄 연질 발포체이다. 발포체 코팅은 도 2에서 도면 부호 4로 식별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발포체 코팅은, 질소로 발포되고 그리고 발포된 상태로 장식 층(3)에 적용되는 개방-기공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이다. 발포체 코팅(4)의 적용 직후, 즉 이의 중합 프로세스과 관련된 반응 시간이 막 시작된 시간에, 지지 기판(5)은 발포체 코팅(4)의 최상부와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 발포체 코팅(4)의 최상부 내로 약간 가압된다(도 3a, 도 3b 참조).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기판(5)은 강성 ABS 플라스틱 부품이다. 지지 기판(5)을 발포체 코팅(4) 내로 가압하는 것은, 장식 층(3)과 지지 기판(5) 사이의 갭(공동)에 발포체를 분배하고 그리고 장식 층(3)을 대면하는 지지 기판(5)의 언더컷 구조물들 내로 발포체를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언더컷 구조물들은, 예를 들어, 도면 부호 6으로 식별되는 도브테일-형상 언더컷(dovetail-shaped undercut)들의 형태로 지지 기판(5)에 존재한다. 이러한 언더컷 구조들의 형성은 지지 기판(5)을 중합된 발포체 층에 접착식으로뿐만 아니라, 형상-끼워맞춤(form-fitting)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기판(5)은 구조화되고, 그리고 돌출부(7)에 인접한 부분들보다 발포체 코팅(4) 내로 더 깊게 가압되는 돌출부(7)를 갖는다. 발포체 코팅(4)이 지지 기판(5)과 합쳐질 때의 발포체 코팅(4)의 유동성 또는 이동성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037] 지지 기판(5)은 장식 층(3)으로부터의 미리 규정된 거리가 확립될 때까지 발포체 코팅(4) 내로 가압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기판(5)은, 장식 층(3)으로부터의 미리 규정된 거리가 도달될 때 몰드(1)의 최상부 상에 놓이는 정지 연장부들을 갖는다. 발포체 코팅(4)은, 도 3b에 도시된 포지션에서 장식 층(3)과 지지 기판(5) 사이의 갭을 충전하기 위해 실제로 요구되는 공간의 체적보다 더 큰 체적으로 도포되었다. 과도한 발포체는 몰드의 공동(2)의 측면 밖으로 짜내어진다(도 3b 참조). 이는 발포체 코팅(4)의 특정 압축에 의해 수반되며, 이는, 발포체 코팅이 개방-기공된 발포체 코팅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가능하다. 지지 기판(5)을 위치결정시킨 후에, 지지 기판은, 중합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된다. 그 후, 마무리된 내부 라이닝 부품(8)은 몰드(1)로부터 제거되고, 필요하다면, 세정되고, 그리고 그 후 추가적으로 처리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내부 라이닝 부품(8)은 도 4에서 도시된다. 중합된 발포체 층은 내부에 도면 부호 9로 식별된다.
[038] 팽창형 발포체 코팅의 화학적 거동에 대한 프로세스 단계들의 시간 순서는 도 5의 다이어그램에서 보일 수 있다. 도 5의 다이어그램에서, 시간은 x-축 상에 그려지며, 그리고 발포체 체적은 y-축 상에 그려진다. 팽창형 발포체는 전술된 방법에서 적용되기 때문에, 발포체 체적은 시간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된다. 발포체 체적은, 지지 기판(5)을 위치결정시킬 때 전술된 변위 프로세스으로 인해 반드시 변경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지 기판(5)이 안으로 가압될 때, 발포체 코팅(4)의 특정 압축이, 통상적으로 8% 내지 15%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시간 (1)에서, 팽창형 발포체는 분사에 의해 도포되었다. 반응성 발포체의 반응 시간은, 발포체가 도포될 때 시작된다. 장식 층(3)의 후방 면은 그의 전체 표면에 걸쳐 동시에 분사될 수 없기 때문에, 장식 층(3)의 후방 면의 표면에 걸쳐 상이한 시간들에 분포된 반응 시간은, 시간(2)에서 팽창형 발포체 코팅과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 팽창형 발포체 코팅 상에 위치결정된다. 지지 기판(5)이 의도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되는 시간 윈도우(time window)는 시간(3)에서 종료된다. 다이어그램에서, 점착-없는 시간(tack-free time)은 시간(4)에서 도달된다. 그 후, 발포체 코팅(4)의 표면은 더 이상 점착성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의도된 시간 윈도우는 시간(4) 전에 충분히 종료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응성 발포체 코팅(4)은 약 25초 후에 점착성 없는 시간이 이미 도달하도록 촉매들을 추가함으로써 조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대략 15초 내지 20초의 시간 윈도우는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시키기 위해 유지된다. 발포체 코팅이 상이하게, 다시 말해, 점착-없는 시간이 약간 더 길어질 때까지의 이러한 반응 시간에서 설정된다면,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시간 윈도우는 이에 대응하여 더 길다. 따라서, 시간 윈도우는 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발포체 코팅(4)이 도포될 수 있는 장식 층(3)의 후방 면의 표면은 또한, 이러한 시간 윈도우의 치수설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보다 큰 표면은 발포체 코팅을 위해 보다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039] 도 6에서 도시되는 다이어그램은, 반응성의, 아직 여전히 팽창되지 않은 미가공 화합물이 개방 몰드에서 장식 층의 후방 면에 도포될 때 내부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순서를 도시한다.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시키는 것이 완전히 또는 적어도 거의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발포 프로세스가 대기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점(2)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도 5에서 도시되는 프로세스 순서에서보다 반응 시간과 관련하여 반드시 훨씬 더 이후에 있다. 지지 기판이 위치결정될 수 있는 시간 윈도우((2)과 (3) 사이의 시간 간격)은 단지 주로 진행된 중합 프로세스에서 접착제 방출 시간의 근접으로 인해 매우 짧다. 발포체 표면과 접촉하게 될 때 지지 기판을 너무 빨리 위치결정시키는 것은 보다 경질인 발포체의 형성으로 이어진다. 지지 기판을 너무 느리게 위치결정시키는 것은 접착제 접합의 요망되는 품질로 더 이상 이어지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점착-없는 시간은 시간(4) 직후에 도달된다. 촉매들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반응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또한 지지 기판이 위치결정되어야 하는 시간 윈도우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발포체-형성 미가공 화합물의 반응 시간은,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시간 윈도우가 충분히 길도록 조정된다.
[040] 도 7a는 몰드(1.1)의 섹션을 도시하며, 이 섹션에서, 장식 층(3.1)은 몰드(1.1)의 압입 표면 상에 삽입되어 있거나 형성되어 있다. 몰드(1.1)는, 이 몰드과 함께 제조될 내부 라이닝 부품이,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시스템의 공기 유출구 패널을 삽입시키기 위한 관통 개구와 함께 제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몰드(1.1)는 생성될 발포 층에 취약 지점을 제공하는 돌출부(10)를 갖는다. 돌출부(10)는 생성될 개구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지지 기판(5.1)을 향해 테이퍼진다. 지지 기판(5.1)은 생성될 관통 개구의 영역에 개구(11)를 갖는다.
[041] 발포체 코팅을 제공하기 위해 팽창형 발포체를 장식 층(3.1)의 후방 면에 분사한 후에, 지지 기판(5.1)은 장식 층(3.1)의 반대편에 위치결정된다. 돌출부(10)의 영역에서, 지지 기판(5.1)과 장식 층(3.1) 사이의 거리는 최소화된다. 이는, 돌출부(10)와 지지 기판(5.1) 사이의 갭에서의 발포체 코팅(4.1)의 두께가 단지 매우 작음을 의미한다. 지지 기판(5.1)을 장식 층(3.1)에 연결시키는 목적을 위해, 발포체는 장식 층(3.1)과 지지 기판(5.1) 사이에 도포된다. 지지 기판(5.1)을 발포체 코팅(4.1) 상에 위치결정함으로써(도 7b를 참조), 발포체 코팅은 또한 개구(11) 내로 가압되었다. 중합 프로세스의 완료 후에, 돌출부(10)에 의해 유발되는 미리 정해진 파괴점이 제공되며, 이 파괴점에서, 중합된 발포체 코팅에 부착되는 장식 층(3.1)을 갖는 중합된 발포체 코팅 ─ 발포체 층(9.1) ─ 은, 예를 들어, 이를 뜯어냄으로써 생성될 개구의 중간(파선에 의해 표시됨)에서 분리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내부 라이닝 부품(8.1)이 몰드(1.1)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이루어진다. 그 후,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내부 라이닝 부품(8.1)의 개구(12)에서(도 7c를 참조), 내부 라이닝 부품(8.1)을 통과하는 추가의 구성요소가 장착될 수 있다.
[042] 도 8a는 도 7a 내지 도 7c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지지 기판(5.2)은 도 8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몰드(1.2)를 향해 가리키는 팁을 갖는 돌출부(13)를 지탱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몰드(1.2)는 또한 돌출부(10.1)를 지탱하며, 이 돌출부는 지지 기판(5.1)을 향해 테이퍼지는, 몰드(1.1)의 돌출부(10)와 대조적으로 플래토(plateau)(14)를 갖는다. 내부 라이닝 부품(8.2)에는 도 7a 내지 도 7c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전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몰드(1.2)가 제조된다. 발포체 코팅(4.2)의 중합 후에 ─ 이에 의해 발포체 층(9.2)이 제공되어 있음 ─ , 중합된 발포체는 관통 개구(12.1)를 방출하기 위해 중합된 발포체에 부착하는 장식 층(3.2)으로 생성되도록 관통 개구(12.1)의 구역으로부터 분리된다.
[043]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본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추가의 옵션들은, 이들 언급들의 맥락에서 더 상세히 이 옵션들을 설명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초래된다.
1, 1.1, 1.2 몰드
2 공동
3, 3.1, 3.2 장식 층
4, 4.1, 4.2 발포체 코팅
5, 5.1, 5.2 지지 기판
6 언더컷 구조물
7 돌출부
8, 8.1, 8.2 내부 라이닝 부품
9, 9.1, 9.2 발포체 층
10, 10.1 돌출부
11, 11.1 개구
12, 12.1 브레이크스루
13 돌출부
14 플래토

Claims (19)

  1. 특히, 차량의 내부를 위한 라이닝 부품(8, 8.1, 8.2)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서, 지지 기판(5, 5.1, 5.2)은 발포체 코팅(4, 4.1, 4.2)의 넣음(interposition)으로 가요성 장식 층(3, 3.1, 3.2)의 반대편에 위치결정되며, 그리고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발포체 코팅에 접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포체 층(9, 9.1, 9.2)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미가공 화합물은 물리적인 발포제(blowing agent)로서 가스를 사용하여 발포되고, 그리고, 반응성 팽창형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의 형태로 상기 장식 층(3, 3.1, 3.2)의 후방 면 상으로 그리고/또는 상기 장식 층(3, 3.1, 3.2)을 대면하는 상기 지지 기판(5, 5.1, 5.2)의 측면 상으로 도포되며, 상기 팽창형 발포체 코팅(4, 4.1, 4.2)이 여전히 유동가능하는 한, 상기 지지 기판(5, 5.1, 5.2)은 상기 팽창형 발포체 코팅(4, 4.1, 4.2)의 넣음으로 상기 장식 층(3, 3.1, 3.2)의 후방 면으로부터 규정된 거리에 위치결정되며, 상기 장식 층(3, 3.1, 3.2)과 상기 지지 기판(5, 5.1, 5.2) 사이에 원래 거리를 채우는 상기 발포체 코팅(4, 4.1, 4.2)의 일부는, 상기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시키는 프로세스 동안 상기 지지 기판(5, 5.1, 5.2)에 의해 적어도 일부 구역들에서 변위되고 그리고 소성식으로(plastically) 압축되어서, 상기 장식 층(3, 3.1, 3.2)은 상기 발포체 코팅(4, 4.1, 4.2)에 의해 상기 지지 기판(5, 5.1, 5.2)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발포체 코팅(4, 4.1, 4.2)의 가교 결합 프로세스(cross-linking process)가 적어도 대부분 완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5, 5.1, 5.2)은, 상기 반응 시간의 70%, 특히 50%가 여전히 초과되지 않고 있을 때의 반응 시간 간격에서 상기 장식 층(3, 3.1, 3.2)에 대해 위치결정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형 발포체 코팅(4, 4.1, 4.2)에는, 상기 장식 층(3, 3.1, 3.2)과 상기 지지 기판(5, 5.1, 5.2) 사이에서 갭(gap)을 채우기 위해 요구되는 체적보다 더 큰 체적이 적용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형 발포체 코팅(4, 4.1, 4.2)의 가교 결합 프로세스가 적어도 대부분 완료될 때까지, 상기 지지 기판(5, 5.1, 5.2)이 유지되기 전에, 상기 지지 기판(5, 5.1, 5.2)은 상기 장식 층(3, 3.1, 3.2)으로부터 이의 거리에 대해 그리고 상기 지지 기판에 도포되는 상기 팽창형 발포체 코팅(4, 4.1, 4.2)에 관하여 상기 장식 층(3, 3.1, 3.2)의 평탄 연장부에 대한 이의 포지션에 대해 이동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5, 5.1, 5.2)은, 스페이서(spacer)들에 의해 그리고 위치결정 캘리버(positioning caliber)에 의해 상기 장식 층(3,3.1, 3.2)의 후방 면에 부착되며, 상기 스페이서들 또는 위치결정 캘리버 상으로, 상기 지지 기판(5, 5.1, 5.2)은 상기 장식 층(3, 3.1, 3.2)의 후방 면에 대한 상기 지지 기판(5, 5.1, 5.2)의 거리에 대해 위치결정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단계들은 개방 몰드(1, 1.1, 1.2)에서 실행되며, 상기 장식 층(3, 3.1, 3.2)은 제1 단계에서 상기 몰드 내로 삽입되거나 상기 몰드 안에서 제조되며, 그리고 그 후, 추가의 단계들은 상기 개방 몰드(1, 1.1, 1.2)에서 뒤따르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형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의 도포는, 상기 지지 기판을 대면하는 상기 장식 층의 측면 상에 또는 상기 장식 층을 대면하는 상기 지지 기판 배열되는 발포체 층 상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팽창형 발포체 코팅(4, 4.1, 4.2)은 분사에 의해 도포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층(9, 9.1, 9.2)을 형성하기 위해, 반응성 발포 팽창형 폴리우레탄 발포체 미가공 화합물이 도포되어, 특히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반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발포체 코팅(4, 4.1, 4.2)으로서 형성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질소는 상기 발포체 미가공 재료를 발포시키기 위한 가스형 발포제로서 사용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1.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혼합 프로세스 전에 및/또는 상기 혼합 프로세스 동안에 반응 질량체 내로 또는 상기 반응 질량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폴리올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내로 도입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2. 제9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에 의해 도포되고 그리고 발포될 상기 발포체 미가공 재료는 무수(anhydrous)이고, 적어도 대부분 무수인,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5.1, 5.2)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라이닝 부품(8.1, 8.2)에는 개구(12, 12.1)를 생성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파괴점이 제조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팽창형 발포체 코팅에 대해 투과성이며, 그리고 상기 발포체 재료는, 상기 팽창형 발포체 재료의 넣음으로 상기 장식 층에 대해 상기 지지 기판을 위치결정시킴으로써 상기 지지 기판 내로 포함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섬유 매트(fiber mat)는 상기 지지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차량용 라이너 부품으로서,
    상기 라이너 부품은 특히 내부 라이너 부품이며, 상기 라이너 부품(8, 8.1, 8.2)은 상기 장식 층(3, 3.1, 3.2)과 상기 지지 기판(5, 5.1, 5.2)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상이한 갭 치수들에도 불구하고 이의 평탄 범위(flat extent)에 걸쳐 그의 발포체 층(9, 9.1, 9.2)의 균일한 경도를 가지는,
    차량용 라이너 부품.
  17. 제16 항에 있어서,
    팽창형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발포체 층(9, 9.1, 9.2)은, 특히,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반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인,
    차량용 라이너 부품.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부품(8.1, 8.2)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12, 12.1)를 가지는,
    차량용 라이너 부품.
  19. 제16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발포체 층은 상기 발포체 층과 상기 장식 층 및/또는 상기 지지 기판 사이에 배열되며, 특히 상기 추가의 발포체 층은 상기 발포체 층과 비교하여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차량용 라이너 부품.
KR1020237044185A 2021-06-25 2022-05-18 차량을 위한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라이닝 부품 KR20240026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16451.6 2021-06-25
DE102021116451.6A DE102021116451A1 (de) 2021-06-25 2021-06-25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kleidungsteils für ein Fahrzeug sowie damit hergestelltes Verkleidungsteil
PCT/EP2022/063388 WO2022268414A1 (de) 2021-06-25 2022-05-18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kleidungsteils für ein fahrzeug sowie damit hergestelltes verkleidungste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454A true KR20240026454A (ko) 2024-02-28

Family

ID=8205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185A KR20240026454A (ko) 2021-06-25 2022-05-18 차량을 위한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라이닝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59189A1 (ko)
KR (1) KR20240026454A (ko)
CN (1) CN117545609A (ko)
BR (1) BR112023023823A2 (ko)
CA (1) CA3216338A1 (ko)
DE (1) DE102021116451A1 (ko)
WO (1) WO20222684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6094B4 (de) 2000-02-10 2007-09-06 Möller Plast GmbH Bauteil zur Innenverkleidung von Kraftfahrzeugen mit weicher Oberflächenstruktur
EP1510322A1 (en) 2003-08-27 2005-03-02 Recticel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trim part for the interior of an automotive vehicle
US20060091574A1 (en) * 2004-11-03 2006-05-04 Lear Corporation Interior vehicle trim panel having a sprayed expanded polyurethane layer and method and system of making same
US7840276B2 (en) 2006-04-26 2010-11-23 Medtronic, Inc. Generic device programmer network interface
DE202008017784U1 (de) 2008-12-08 2010-07-22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Innenverkleidungsteil mit saugfähigem Dekormaterial
DE102010023034B4 (de) * 2010-06-08 2022-07-14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Dekorteil mit Verstärk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korteils mit Verstärkungsvorrichtung
DE102011005343A1 (de) 2011-03-10 2012-09-13 Lisa Dräxlmaier GmbH Innenausstattungsteil für Fahrzeuge
DE102015201898A1 (de) * 2015-02-04 2016-08-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hinterschnittenen Formte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45609A (zh) 2024-02-09
CA3216338A1 (en) 2022-12-29
EP4359189A1 (de) 2024-05-01
BR112023023823A2 (pt) 2024-02-06
WO2022268414A1 (de) 2022-12-29
DE102021116451A1 (de)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497B1 (ko) 발포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US558050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trim panel using polyurethane powder
US5512233A (en) Method of making a panel with a spray formed skin
JP4914213B2 (ja) 自動車内装用の複合トリム部品の製造方法
US566299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lf-supporting synthetic trim parts and thus manufactured trim parts
CN105398051A (zh) 具有上覆在具有蜂窝结构的注射成型基底上的装饰面的制品的制备
JP4894116B2 (ja) 発泡部を備えるプレス成形体の製造方法
KR20240026454A (ko) 차량을 위한 라이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라이닝 부품
BG64084B1 (bg) Метод за формоване на продукти, имитиращи кожа или подобни
JPH04185428A (ja) 車輌用内装材とその製造方法
JPH03114742A (ja) 車輌用内装材とその製造方法
JP2001062864A (ja) 断熱性を有する樹脂パネル及びその製造法
CN109318494A (zh) 使用单个工具利用开放浇注喷涂聚氨酯过程制造装饰部件的方法和系统
JPS62156914A (ja) 発泡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3133904B2 (ja) ドアトリ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254336A (ja) 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96217A (ja) 表皮付き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0263647A (ja) 発泡層付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発泡層付成形品
JPH09155897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H0885122A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274518A (ja) 成形用型の製造方法
JPH0834025A (ja) 積層体の製造装置
KR20060130949A (ko) 우레탄과 가죽 접착을 위한 백 포밍 성형 공법
JPH0255111A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