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669A -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669A
KR20240018669A KR1020247002407A KR20247002407A KR20240018669A KR 20240018669 A KR20240018669 A KR 20240018669A KR 1020247002407 A KR1020247002407 A KR 1020247002407A KR 20247002407 A KR20247002407 A KR 20247002407A KR 20240018669 A KR20240018669 A KR 2024001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nozzle
deposit
manufacturing
personal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히라노
쇼헤이 나츠이
유우야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1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by casting in several steps
    • B29C39/025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by casting in several steps for 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4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mou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적용 가능한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유동성을 갖는 조성물을 노즐로부터 대상물에 공급하면서, 그 노즐을 그 대상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그 조성물 유래인 퇴적체를 대상물 상에 형성하는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로서, 노즐 직경이 0.01 ㎜ 이상 2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노즐 직경에 대한, 상기 노즐의 선단과 상기 대상물의 거리의 비 (거리/노즐 직경) 를 0.35 이상 3 미만으로 하여 상기 조성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누나, 아이섀도우나 파운데이션 등의 고형 화장료 등의 퍼스널 케어 제품은, 일반적으로, 화장료 슬러리를 포함하는 유동체를 소정의 형상을 갖는 용기에 충전하여 고화시키거나, 혹은, 그 유동체를 기재 또는 사전에 성형된 별체의 고체 화장료 상에 토출한 조형물로서 제조된다.
이와 같은 화장료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 에는, 화장품의 제조를 위한 주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에 기재된 방법은, 오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가열에 의해 유동화시키고, 유동화된 조성물을 노즐로부터 지지체 상에 사출하고, 그 후, 사출된 조성물을 냉각시킴으로써, 고형의 조성물을 얻는 것이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모양이 형성된 고형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제 1 적층용 화장료에 대하여 제 2 적층용 화장료의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방향을 따라 적층시킴으로써, 입체 형상의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US2017135912A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08308호
본 발명은, 인체에 적용 가능한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유동성을 갖는 조성물을 노즐로부터 대상물에 공급하면서, 그 노즐을 그 대상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그 조성물 유래인 퇴적체를 대상물 상에 형성하는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서, 노즐 직경이 0.01 ㎜ 이상 2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형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노즐 직경에 대한, 상기 노즐의 선단과 상기 대상물의 거리의 비 (거리/노즐 직경) 를 0.35 이상 3 미만으로 하여 상기 조성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제조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 도 2(c) 는, 도 1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 관련된 노즐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 도 3(c)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퇴적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퇴적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퇴적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 도 6(c)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퇴적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실시예의 묘화성의 평가에 있어서, 평가 A 인 퇴적체가 형성된 퍼스널 케어 제품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사진이다.
도 8 은, 실시예의 묘화성의 평가에 있어서, 평가 B 인 퇴적체가 형성된 퍼스널 케어 제품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b) 는, 실시예의 묘화성의 평가에 있어서, 평가 C 인 퇴적체가 형성된 퍼스널 케어 제품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사진이다.
도 10 은, 실시예의 묘화성의 평가에 있어서, 평가 D 인 퇴적체가 형성된 퍼스널 케어 제품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사진이다.
도 11 은, 실시예의 묘화성의 평가에 있어서, 평가 E 인 퇴적체가 형성된 퍼스널 케어 제품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사진이다.
도 12(a) 및 도 12(b) 는 모두, 실시예의 묘화성의 평가에 있어서, 평가 F 인 퇴적체가 형성된 퍼스널 케어 제품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사진이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가열에 의해 유동화된 조성물을 사출한 후에 냉각 고화시킨다. 그 때문에, 유동성의 조성물이 사출 직후부터 고화될 때까지의 동안에 사출된 영역 외로 유출되어 버려, 조형물의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다. 요컨대,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원하는 형상이나 치수를 갖고, 형상이나 치수의 정밀도가 높은 퍼스널 케어 제품의 조형 및 가식이 곤란하였다.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퍼스널 케어 제품의 조형 및 가식에 관하여, 형상이나 치수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에 대해 전혀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원하는 형상이나 치수를 갖고, 형상이나 치수의 정밀도가 높은 퍼스널 케어 제품의 조형 및 가식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은, 이것을 피부 상에 직접 도포하거나, 혹은 물 등의 액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액체를 피부 상에 도포, 산포 또는 적하 등 하거나 함으로써, 인체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 퍼스널 케어 제품은, 향기를 인체에 적용하는 것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향기를 통하여, 인체에 릴렉스 효과를 주는 아로마 캔들 등이어도 된다. 퍼스널 케어 제품은, 1 기압, 20 ℃ 에 있어서 고체이다.
이와 같은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메이크업 화장품 등의 화장품, 비누, 입욕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아이섀도우나 파운데이션, 립스틱을 들 수 있다.
립스틱은 전형적으로는 유제 및 안료를 포함한다.
퍼스널 케어 제품은, 전형적으로는 화장료 분말을 포함한다.
본 제조 방법은, 유동성을 갖는 조성물을 대상물 상에 공급하고, 그 후, 필요에 따라 그 조성물을 고화시켜, 대상물 상에 조성물 유래인 퇴적체를 조형하여, 대상물을 가식시킬 때에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다. 조성물이 예를 들어 화장료를 포함하는 경우, 얻어지는 퇴적체는, 고형 화장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유동성을 갖는 조성물은, 액체 그 자체이거나,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조성물은, 고체만의 형태 또는 기체만의 형태는 제외된다.
이와 같은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화장료 등의 분체와, 액체인 분산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분산액 (이른바 슬러리) 이나, 화장료 등의 각종 화합물을 액체의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혹은, 화장료 또는 유제의 단체 또는 화장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열 용융시킨 용융액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물 및 그 구성 재료의 상세는 후술한다.
조성물이 공급되는 대상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종이, 필름, 부직포, 금속, 수지, 혹은, 조성물의 조성과 동일 또는 상이한 조성을 갖고, 이미 제조된 퍼스널 케어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제조 장치 (10) 는, 전형적으로는, 유동성을 갖는 조성물 (L) 을, 조성물이 공급되는 대상물 (이하, 간단히 대상물이라고도 한다) (70) 상에 공급하는 공급부 (20) 와, 공급부 (20) 와 연통되도록 일체적으로 배치된 노즐 (21) 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조 장치 (10) 는, 전형적으로는, 평판상의 대상물 배치부 (90) 가 노즐 (21) 의 하방 또한 노즐 (21) 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대상물 배치부 (90) 의 상면에 대상물 (70) 을 재치 (載置) 또는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들 구조를 구비한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1 및 도 3(a) ∼ 도 3(c) 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조 장치 (10) 는, 공급부 (20) 와 대상물 배치부 (90) 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 또는 유지하는 위치 조정부 (50)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조정부 (50) 는, 노즐 (21) 의 위치 및 대상물 배치부 (90) 의 위치를, 임의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노즐 (21) 및 대상물 배치부 (90) 중 적어도 일방을, 평면 방향, 연직 방향 또는 그 조합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노즐 (21) 및 대상물 배치부 (90) 상의 대상물 (70) 중 적어도 일방을 타방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조정 기구는 수동이어도 되고, 혹은 센서 등으로부터 발신된 전기 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고 있어도 된다.
공급부 (20) 는, 유동성을 갖는 조성물 (L) 을 대상물 (70) 측에 송액하는 부재이다. 공급부 (20) 는, 송액부 (25) 와 조성물 수용부 (26)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액부 (25) 는, 유로 (28) 를 통하여 조성물 수용부 (26) 가 연통되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조성물 수용부 (26) 로부터 송액부 (25) 의 내부에 공급된 조성물 (L) 을 노즐 (21) 측에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공급하거나, 혹은 공급을 정지하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액부 (25) 로는, 조성물 (L) 을 액적상으로 토출 가능한 제트 디스펜서, 혹은 조성물 (L) 을 연속적으로 토출 가능한 모노디스펜서나 스크루 디스펜서를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 수용부 (26) 는, 그 일방이 에어 등의 가압 수단이나 펌프와 접속되어 있고, 조성물 수용부 (26) 에 수용되어 있는 조성물 (L) 을, 유로 (28) 를 통하여, 송액부 (25) 측에 압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21) 은, 전형적으로는, 조성물 (L) 을 공급부 (20) 에서 대상물 (70) 을 향하여 공급하는 관상의 부재이다. 노즐 (21) 은,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인 조성물 (L) 의 유로가 조성물 (L) 의 유동 방향 (R) 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노즐 (21) 은, 그 일방의 단부인 노즐 선단이 조성물 (L) 의 공급구를 구성하고, 타방의 단부는 상기 서술한 공급부 (20) 와 연통되어 접속되어 있다.
노즐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노즐 (21) 은, 노즐 직경 (D1) (도 2 및 도 3(a) 참조) 이, 노즐 막힘의 억제, 연속 토출의 안정화, 압력 손실의 방지와 같은 관점에서, 내부 공간의 길이로서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다.
또 노즐 직경 (D1) 은, 미세한 도포의 실현, 액 떨어짐 억제와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 이하이다.
노즐 직경 (D1) 은, 노즐 (21) 이 원형상인 경우의 내경, 즉 노즐 (21) 의 단면의 길이와 동일한 의미이다 (도 2(a) 참조). 노즐 (21) 이 원형상이 아닌 경우, 노즐 (21) 의 유동 방향 (R) 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노즐 (21) 의 내면에 내접하는 내접원 (C) (도 2(b) 및 도 2(c) 참조) 의 직경 (D1) 을 노즐 직경으로 한다. 도 2(b) 에는, 노즐 (21) 이 직사각형상인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c) 에는, 노즐 (21) 이 타원형상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노즐 (21) 은, 조성물 (L) 의 노즐 (21) 의 유동 방향 (R) 과 직교하는 단면의 단면적이, 노즐 막힘의 억제, 연속 토출의 안정화, 압력 손실의 저감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000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 이상이다.
또 상기 서술한 노즐 (21) 의 단면적은, 미세한 도포의 실현, 액 떨어짐 억제와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유동성을 갖는 조성물 (L) 을 노즐 (21) 로부터 대상물 (70) 에 공급하면서, 그 노즐 (21) 을 그 대상물 (70)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그 조성물 유래인 퇴적체를 대상물 상에 형성하는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구성 부분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조성물 (L) 의 대상물 (70) 에 대한 공급은, 액적상으로 비연속적으로 공급해도 되고, 혹은, 직선상 혹은 곡선상, 또는 이것들의 조합의 형상으로 선상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조성물 (L) 로서, 고체의 화장료 분말과 액매를 포함하는 화장료 슬러리를 사용하여, 그 슬러리를 선상으로 연속 공급하여, 선상의 퇴적체를 조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형예로서, 먼저 형성 공정을 실시하기에 앞서, 대상물 (70) 을 대상물 배치부 (90) 상에 재치한다. 그 상태에서, 노즐 (21) 과 대상물 (70) 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대상물 (70) 의 상방의 소정 위치에 노즐 (21) 이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 노즐 (21) 의 위치가 대상물 (70) 에 대한 조성물 (L) 의 공급 개시 위치가 된다.
이 때, 노즐 (21) 의 선단과 대상물 (70) 사이는 공극을 갖고 있으며, 서로 비접촉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21) 과 대상물 (70) 의 상대적인 이동은, 위치 조정부 (50) 에 있어서의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 일례를 도 3(a) 에 나타낸다.
계속해서, 조성물 (L) 을 노즐 (21) 에서 대상물 (70) 을 향하여 공급하면서, 노즐 (21) 및 대상물 (70) 중 적어도 일방을 타방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대상물 (70) 상에 조성물 유래인 퇴적체 (S) 를 조형한다 (형성 공정). 이 때, 노즐 (21) 로부터의 조성물 (L) 의 공급은 계속되고 있다.
노즐 (21) 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은, 목적으로 하는 퇴적체 (S) 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이나 입체 형상, 혹은 묘출되는 디자인에 따라, 평면 방향, 연직 방향, 혹은 이것들의 조합의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디자인이란, 예를 들어 히라가나 및 카타카나 등의 일본어 문자,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로마 숫자, 제 (諸) 외국의 문자 등의 각종 문자, 직선 및 곡선 그리고 이것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형이나 기하학 형상, 기호, 색, 모양 또는 이것들의 조합의 형상을 의미한다.
이들 디자인은, 디자인이 배치되는 대상물 (70) 이 본래 갖는 바탕색과 동일 또는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표출된다.
이 일례를 도 3(b) 에 나타낸다.
형성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조성물 (L) 은, 대상물 (70) 에 대한 공급시에 있어서 적어도 유동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 기압, 30 ℃ 에서 고체인 조성물 (L) 이 대상물 (70) 에 대한 공급시에 있어서 30 ℃ 초과로 가열됨으로써, 조성물 (L) 이 용융되거나 하여 조성물 (L) 에 유동성을 발현시킨 것을 사용해도 된다. 혹은, 1 기압, 30 ℃ 에서 액체이거나 하는 유동성을 갖는 조성물 (L) 을 비가열 상태에서 사용해도 된다.
어느 경우라도, 조성물에 포함되는 재료의 균일 분산성을 향상시켜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노즐 (21) 로부터의 공급시의 온도에 있어서의 조성물 (L) 의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0.1 Pa·s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 Pa·s 이하로 한다. 조성물 (L) 의 바람직한 점도의 상세는 후술한다.
이것들 중, 노즐 (21) 에서 대상물 (70) 을 향하여 공급되는 조성물 (L) 의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 ℃ 이상인 범위에서 유동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성물 (L) 을 사용함으로써,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킬 필요가 없어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노즐 직경 (D1) 과, 노즐 (21) 의 선단과 대상물 (70) 의 거리 (H1) 의 비 (거리 (H1)/노즐 직경 (D1)) 가 소정의 관계가 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조성물 (L) 을 대상물 (70) 상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노즐 직경 (D1) 에 대한 거리 (H1) 의 비 (H1/D1) 는, 토출된 퇴적체를 노즐에 의해 찌부러뜨려 버리는 것의 방지, 좁은 선폭의 실현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으로 한다.
또,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노즐 직경 (D1) 에 대한 거리 (H1) 의 비 (H1/D1) 는, 노즐과 대상물의 상대적인 이동에 대한 토출된 퇴적체의 양호한 추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로 한다.
상기 서술한 H1/D1 은, 형성 공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에 있어서 일정해지도록 유지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서술한 범위에서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노즐 직경 (D1) 은, 상기 서술한 범위로 할 수 있다.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노즐 (21) 의 선단과 대상물 (70) 의 거리 (H1) 는, 노즐과 대상물의 접촉을 억제하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 이상이다.
또 상기 서술한 거리 (H1) 는, 노즐과 대상물의 상대적인 이동에 대한 토출된 퇴적체의 추종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하이다.
거리 (H1) 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위치 조정부 (50) 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노즐 (21) 에서 대상물 (70) 을 향하여 공급되는 조성물 (L) 의 공급 속도 (V1) 와,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대상물 (70) 에 대한 노즐 (21) 의 상대 이동 속도 (V2) 의 비가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조성물 (L) 을 대상물 (70) 상에 공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조성물 (L) 의 공급 속도 (V1) 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 (V2) 의 비 (V2/V1) 는, 동일 노즐로 복수의 선폭의 퇴적체를 제조 가능하다는 점에서 하한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노즐 직경 (D1) 에 대하여 퇴적체의 선폭의 과잉 증대를 억제하거나, 생산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상으로 한다.
또,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조성물 (L) 의 공급 속도 (V1) 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 (V2) 의 비 (V2/V1) 는, 공급 부족에 의한 퇴적체의 상정하지 않은 중단·끊어짐의 억제와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로 한다.
상기 서술한 V2/V1 은, 형성 공정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에 있어서 일정해지도록 유지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서술한 범위에서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조성물 (L) 의 공급 속도 (V1) 는, 생산 능력의 향상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s 이상으로 한다.
또,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조성물 (L) 의 공급 속도 (V1) 는, 공급이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s 이하로 한다.
공급 속도 (V1) 는, 공급부 (20) 에 있어서의 송액부 (25) 로서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디스펜서를 사용한 경우에는 로터의 회전수를 적절히 조정하거나, 혹은, 노즐 (21) 의 형상이나 내경, 조성물 (L) 의 점도 등을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형성 공정에 있어서,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대상물 (70) 에 대한 노즐 (21) 의 상대 이동 속도 (V2) 는, 생산 능력의 향상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s 이상으로 한다.
또,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이동 속도 (V2) 는, 동작이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s 이하로 한다.
상대 이동 속도 (V2) 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위치 조정부 (50) 의 구동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대 이동 속도 (V2) 는, 절대값으로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조성물 (L) 의 공급량 (M1) 은, 생산 능력의 향상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s 이상으로 한다.
또,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조성물 (L) 의 공급량 (M1) 은, 동작이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노즐의 상대 이동 속도와의 밸런스에 의해 고정세의 퇴적체의 안정적인 형성을 실시하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s 이하로 한다.
공급량 (M1) 은, 공급부 (20) 에 있어서의 송액부 (25) 로서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디스펜서를 사용한 경우에는 로터의 회전수를 적절히 조정하거나, 혹은, 노즐 (21) 의 형상이나 내경, 조성물 (L) 의 점도 등을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노즐 (21) 로부터의 조성물 (L) 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대상물 (70) 상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퇴적체 (S) 를 형성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화장료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된 퇴적체 (S) 는, 조성물 유래인 화장료를 포함하는 선상체로 이루어지는 입체물로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노즐 (21) 은, 대상물 (70) 에 대하여 동일 평면 상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상대적으로 이간시키거나 해도 된다.
이 일례를 도 3(c) 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조형된 퇴적체 (S) 는, 이것을 그대로 목적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 해도 되고, 혹은 다른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목적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 해도 된다. 어느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형틀 등이 필요없이, 조성물의 처방 자체로 원하는 디자인을 고정밀도 또한 고정세로 묘출할 수 있으므로, 형상이나 치수의 정밀도가 양호한 조형 및 가식을 간편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하기의 선폭을 갖는 퇴적체를 선상체라고도 부른다.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퇴적체 (S) (선상체) 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의 선폭 (W1)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입체적 또한 고정세의 디자인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이상이다.
또, 퇴적체 (S) (선상체) 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의 선폭 (W1) 은, 고정세의 디자인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0.4 ㎜ 이하이다.
퇴적체 (S) 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의 선폭 (W1) 은, 예를 들어 노즐 (21) 의 선단과 대상물 (70) 의 거리 (H1) 를 상기 서술한 범위로 하거나, 혹은, 노즐 (21) 의 형상이나 내경, 조성물 (L) 의 조성이나 점도 등을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퇴적체 (S) (선상체) 의 두께 (대상물 (70) 의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길이) (T1) 는, 입체적인 디자인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이상이다.
또, 퇴적체 (S) (선상체) 의 두께 (T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퇴적체를 1 층 형성하였을 때의 퇴적체의 붕괴를 억제하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로 한다.
또한, 상기 두께 (T1) 는, 퇴적체 (선상체) 가 1 층만인 경우에는, 그 1 층의 두께를 나타내고, 퇴적체 (선상체) 가 복수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층의 단층 단위로의 두께를 나타낸다.
퇴적체 (S) 의 두께 (T1) 는, 예를 들어 노즐 (21) 의 선단과 대상물 (70) 의 거리 (H1) 를 상기 서술한 범위로 하거나, 혹은, 노즐 (21) 의 형상이나 내경, 조성물 (L) 의 조성이나 점도 등을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형성 공정을 실시한 후, 대상물 (70) 상에 존재하는 조성물 (L) 을 고화시켜, 퇴적체 (S) 로 하는 공정 (고화 공정) 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퇴적체 (S) 의 성형성을 높여, 유통시 및 사용시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제품의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고화 공정은, 예를 들어, 자연 건조나 감압 제거 등의 비가열 조건하에서의 액체 제거 방법이나, 열풍 건조 등의 가열 조건하에서의 액체 제거 방법, 냉각 등의 고화 방법으로, 슬러리 유래의 액체를 조성물 (L) 로부터 제거 또는 고화시켜, 고화된 퇴적체 (S) 로 하면 된다.
고화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라도, 형성된 퇴적체 (S) 의 두께 (T1) 는 상기 서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T1) 를 상기 서술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화장료 슬러리 중의 분체 함유량을 조정하면 된다.
상기 서술한 조성물 유래인 퇴적체 (선상체) 는, 파우더 화장품 등의 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조하는 관점에서, 그 고형분으로서, 분체를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상 포함한다.
조성물 유래인 퇴적체 (선상체) 는, 성형성과 같은 관점에서, 그 고형분으로서, 분체를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 포함한다.
퇴적체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조성물 (L) 에 분체를 상기 서술한 고형분의 범위에서 함유시키거나, 혹은, 액매 및 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L) 을 사용하여 대상물 (70) 상에 공급한 후, 고화 공정을 실시하여 액매를 제거하거나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목적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에 부여하는 디자인에 따라, 상기 서술한 형성 공정을 1 회만 실시해도 된다. 이것 대신에, 상기 서술한 형성 공정을 복수 회 실시하여, 퇴적체 (S) 를 동일 평면 상에 복수 개 형성하거나, 입체 형상이 되도록 적층하거나 해도 된다. 요컨대, 제 1 형성 공정을 실시하여 제 1 퇴적체를 형성한 후, 제 2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형성 공정을 추가로 1 회 이상 실시하여, 제 1 퇴적체 이외의 다른 퇴적체를 1 개 이상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다른 퇴적체는 대상물 (70) 상에 별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제 1 퇴적체 (S1) 상에 적층하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이것들의 조합이 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제 1 퇴적체 상에 다른 퇴적체를 적층하는 예로는, 제 1 형성 공정을 실시하여, 대상물 (70) 상에 제 1 퇴적체 (S1) 를 형성한다. 그 후, 노즐 (21) 로부터의 조성물 (L) 의 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 노즐 (21) 을 대상물 (70) 에 대하여 동일 평면 상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공정). 이동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노즐 (21) 의 위치가 대상물 (70) 에 대한 조성물 (L) 의 공급 개시 위치에 재배치된다. 이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4(a) 에 나타낸다.
그리고, 노즐 (21) 로부터의 조성물 (L) 의 공급을 재개하여 제 2 형성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제 1 퇴적체 (S1) 상에, 제 1 퇴적체 (S1) 이외의 다른 퇴적체 (S) 로서의 제 2 퇴적체 (S2) 를 형성한다. 이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4(b) 에 나타낸다.
제 1 퇴적체 이외의 다른 퇴적체를 별개 독립적으로 형성하는 예로는, 제 1 형성 공정을 실시하여, 대상물 (70) 상에 제 1 퇴적체 (S1) 를 형성한다. 그 후, 이동 공정을 실시한다. 이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5(a) 에 나타낸다.
그리고, 노즐 (21) 로부터의 조성물 (L) 의 공급을 재개하여 제 2 형성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대상물 (70) 상에, 제 1 퇴적체 (S1) 이외의 다른 퇴적체 (S) 로서의 제 2 퇴적체 (S2) 를 형성한다. 이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5(b) 에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어느 실시형태라도, 형성 공정과 이동 공정을 이 순서로 반복해서 실시하여, 대상물 (70) 상 및 제 1 퇴적체 (S1) 상 중 적어도 일방에, 이미 형성된 퇴적체 (S) 이외의 다른 퇴적체를 1 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각 퇴적체 (S) 를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조성물 (L) 은, 각각 동일한 조성이어도 되고, 상이한 조성이어도 된다.
또 각 퇴적체 (S) 의 형성 후에는, 필요에 따라 고화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고화 공정은, 퇴적체 (S) 가 형성될 때마다 복수 회 실시해도 되고, 목적으로 하는 모든 퇴적체 (S) 가 형성된 후에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형성 공정을 복수 회 실시하여, 소정의 디자인을 갖는 입체 구조인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조해도 된다.
먼저, 제 1 형성 공정을 실시하여, 대상물 (70) 상에 제 1 퇴적체 (S1)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대상물 (70) 을 평면에서 봤을 때에, 퇴적체 (S) 가 대상물 (70) 상에 존재하는 퇴적 영역 (Af) 과, 퇴적체 (S) 가 대상물 (70) 상에 존재하지 않는 비퇴적 영역 (An) 이 형성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본 공정에 있어서 형성되는 제 1 퇴적체 (S1) 는 대상물 (70) 의 일부의 영역에 존재하고, 제 1 퇴적체 (S1) 의 존재 영역이 퇴적 영역 (Af) 과 동일하다. 비퇴적 영역 (An) 은, 대상물 (70) 의 면이 노출된 영역이다. 이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6(a) 에 나타낸다.
제 1 퇴적체 (S1) 는, 화장료를 포함하는 선상체인 입체 조형체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입체 조형체는, 복수의 선상체가 적층된 적층 구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퇴적 영역 (An) 은,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퇴적 영역 (Af) 에 의해 구분되고,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퇴적 영역 (Af) 에 둘러싸인 영역과, 퇴적 영역 (Af) 보다 평면에서 봤을 때 외방의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제 2 형성 공정을 실시하여, 비퇴적 영역 (An) 에 제 2 퇴적체 (S2)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 2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제 1 형성 공정에 있어서 공급한 조성물 (L) 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조성물 (L) 을 공급하여, 제 2 퇴적체 (S2) 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6(b) 에 나타낸다.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퇴적 영역 (Af) 에 둘러싸인 비퇴적 영역 (An) 의 전역에 제 2 퇴적체 (S2)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제 3 형성 공정을 추가로 실시해도 된다.
제 3 형성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 1 퇴적체 (S1) 및 제 2 퇴적체 (S2) 중 일방 또는 양방 상에, 제 3 퇴적체 (S3) 를 적층하여 형성한다. 이 때, 제 3 형성 공정에 있어서 공급하는 조성물 (L) 은, 제 1 형성 공정 및 제 2 형성 공정의 각 공정에 있어서 공급한 조성물 (L) 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 3 퇴적체 (S3) 는, 제 1 퇴적체 (S1) 상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또한 제 2 퇴적체 (S2) 상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퇴적체 (S1) 상의 전역에 또한 제 2 퇴적체 (S2) 상의 전역에 제 3 퇴적체 (S3) 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복수의 층을 갖는 입체 구조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6(c) 에 나타낸다.
이 입체 구조는, 각 층에서 시인되는 디자인이 상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각 퇴적체 (S1, S2, S3) 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성물 (L) 은, 그 조성이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어느 경우라도, 각 조성물 (L) 은 화장료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 구조의 디자인을 시인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에게 미관을 상기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제 1 퇴적체 (S1) 는 유색 (투명 및 불투명을 포함한다), 또는 투명 (유색 및 무색을 포함한다) 한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제 2 퇴적체 (S2) 는 유색 (투명 및 불투명을 포함한다), 또는 투명 (유색 및 무색을 포함한다) 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퇴적체 (S1) 와는 상이한 색 또는 투명한 것도 바람직하다. 제 3 퇴적체 (S3) 는,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따라, 유색 (투명 및 불투명을 포함한다) 이어도 되고, 투명 (유색 및 무색을 포함한다) 해도 된다. 이로써, 각 퇴적체에 의해 형성된 입체 구조는, 시인 가능한 소정의 디자인을 갖는 것이 된다.
시인되는 색이 상이한 퇴적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조성물 (L) 중의 안료의 유무나 그 종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설명에서는, 조성물 (L) 로서 화장료 슬러리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제조 방법은, 슬러리 이외의 조성물의 유동체를 사용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성물 (L) 로서 액체 및 화장료를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용액을 대상물 (70) 상에 공급한 후, 대상물 (70) 상의 조성물 (L) 에 대하여, 감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조성물 (L) 중의 화장료를 석출에 의해 고화시켜, 퇴적체 (S) 로 하면 된다.
또 예를 들어, 조성물 (L) 로서 화장료를 포함하는 가열 용융액이나 유화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용융액을 대상물 (70) 상에 공급한 후, 대상물 (70) 상의 조성물 (L) 을 냉각시키거나 하여, 그 용융액을 고화시키면 된다. 용융액이나 유화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노즐 (21) 로부터 토출할 때에 있어서 액체의 상태이면 적용 가능하다. 냉각은, 용기 내에 충전한 후의 충전물의 온도를 토출하는 유동체의 온도보다 저하시키는 취지이며, 가열 상태의 물체를 상온 등으로 온도 저하시키는 양태 외에, 냉장이나 냉동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a) ∼ 도 6(c)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이면, 제 1 조성물 (L) 로서 액체와 고체의 화장료 분말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제 1 퇴적체 (S1) 로 이루어지는 선상체를 형성하고, 그 후, 제 2 조성물 (L) 로서 화장료나 유제를 포함하는 가열 용융액 또는 유화액을 사용하여, 제 2 퇴적체 (S2) 나 제 3 퇴적체 (S3) 를 형성하면 된다.
이상의 제조 방법에 의해, 퇴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 (70) 이 퍼스널 케어 제품이면, 퇴적체는 퍼스널 케어 제품 상에 직접 형성되어, 퇴적체로 이루어지는 디자인이 시인 가능해져, 의장성이 높은 퍼스널 케어 제품이 된다. 또, 베리에이션이 풍부한 디자인을 용이하게 묘출, 성형 가능해진다. 또한, 형성된 퇴적체는 입체적이고, 또 고정세이므로, 시인되는 디자인도 의장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필요에 따라, 별도 조형한 퇴적체를 퍼스널 케어 제품에 적층하거나 하여 가식하거나, 포장 봉지나 포장 박스 등에 수용하는 포장 공정을 실시하거나 하여, 시장에 유통시킬 수 있다.
퇴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의 일 실시형태로서, 퇴적체로서 화장료를 포함하는 선상체로 이루어지는 입체 조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입체 조형체는, 예를 들어, 퇴적체로서의 선상체를 복수 적층한 적층 구조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상체에 있어서의 두께 및 선폭은 각각, 상기 서술한 두께 (T1) 및 선폭 (W1) 과 동일한 범위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선상체는 퇴적체이므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함유량으로, 고형분으로서 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스널 케어 제품은, 제 1 퇴적체 (S1) 로서 형성된 선상체로 이루어지는 입체 조형체로 둘러싸인 영역 내의 전역에, 화장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의 제 2 퇴적체 (S2) 가 추가로 배치된 상태에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퇴적체 (S2) 를 형성하는 조성물은, 선상체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조성을 갖는다.
퍼스널 케어 제품은, 복수의 층을 갖고, 각 층에서 시인되는 디자인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퍼스널 케어 제품은, 선상체인 제 1 퇴적체 (S1) 가 유색이고, 선상체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제 2 퇴적체 (S2) 가 투명해도 된다. 이로써, 시인 가능한 소정의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제 1 퇴적체 (S1) 가 투명하고, 제 2 퇴적체 (S2) 가 유색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에, 상기 서술한 제조 방법에 적용 가능한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이하에 설명하는 물질의 상태 (삼태 (三態)) 는, 1 기압, 20 ℃ 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 (L) 은, 조성물에 포함되는 재료의 균일 분산성을 향상시켜 품질을 안정화시키는 점이나, 노즐로부터 토출된 퇴적체의 붕괴를 억제하여 형상을 안정화시키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그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0.1 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Pa·s 이상이다.
또, 상기 점도는, 토출성을 향상시키고,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 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Pa·s 이하이다.
상기 서술한 조성물의 점도는, 조성물의 온도를 노즐 (21) 로부터의 공급시의 조성물과 동일한 온도, 즉 토출시의 온도로 한 후에 측정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이 슬러리이거나 하는 것과 같은 가열 용융액 이외의 것이고, 실온 (25 ℃) 에서 노즐로부터 공급하는 경우에는, 25 ℃ 에 있어서, B 형 점도계 (토키 산업 주식회사 제조, 디지털 점도계 TVB-10R) 를 사용하여 측정된 값으로 한다. 이 경우의 측정 조건은, 로터를 샘플의 점도 범위에 맞춰 로터 No. M1, M2, M3, M4, H1, H2, H3, H4, H5, H6, H7, T-A, T-B, T-C, T-D 및 T-E 중 어느 것으로 하고, 회전수를 3 ∼ 100 rpm 으로 하고, 측정 시간을 60 초간으로 한다. 조성물이 가열 용융액인 경우, 조성물의 온도를 노즐 (21) 로부터의 공급시의 조성물과 동일한 온도로 한 후에, 전술한 측정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 (L) 은, 분체 등의 고체 및 유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체로는, 예를 들어, 착색 안료 및 체질 안료 등의 통상적인 화장료 성분에 사용되는 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 안료 및 체질 안료로는, 예를 들어, 무기 분체, 유기 분체, 무기 분체와 유기 분체의 복합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분체로는, 규산, 무수 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운모, 티탄 피막 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카본 블랙, 질화붕소, 이것들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는,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 수지, 우레아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규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 파우더, 셀룰로오스, 장사슬 알킬인산 금속염, N-모노 장사슬 알킬아실 염기성 아미노산, 이것들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체질 안료나 착색 안료는, 착색되어 있거나 또는 비착색 (예를 들어, 백색 또는 본질적으로 투명) 이고, 조성물 또는 피부에 대하여, 착색, 광의 회절, 유분 흡수, 반투명성, 불투명성, 광택, 광택이 없는 외관, 매끄러움감 등 중 1 개 이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분체의 함유량은, 그 목적에 따라 상이한데, 건조와 같은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분체의 함유량은, 공급시의 유동성과 같은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고정세의 입체 형상을 갖는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조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 제품을 사용하였을 때의 양호한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분체의 평균 입경은, 착색력이나 명도, 채도 등의 광학적 성질의 조정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분체의 평균 입경은 노즐 막힘을 억제하여 연속적으로 안정적인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 측정되는 누적 체적 50 용량% 에 있어서의 체적 누적 입경 D50 으로 한다. 또한, 최종적인 제품으로부터 분체의 평균 입경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품을 물이나 오일에 용해시키고, 바인더 성분을 녹여 용매에 입자를 분산시킨다. 그 후, 입도 분포계를 사용하여 고형물로서의 입도 분포를 측정하고, 얻어진 결과의 체적 누적 입경 D50 을 평균 입경으로 한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분체의 평균 입경은, 노즐로부터의 안정 공급성과 같은 관점에서, 노즐 직경 (D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분체의 평균 입경은,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퇴적체 (S) (선상체) 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의 선폭 (W1) 을 좁게 하고, 입체적 또한 고정세의 디자인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과 같은 관점에서, 노즐 직경 (D1) 과의 비 (평균 입경/노즐 직경) 가,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평균 입경/노즐 직경은 작으면 작을수록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는 0.001 이상이다.
유동체 중에 포함될 수 있는 유제는, 1 기압, 20 ℃ 에서 액체인 오일 (이하, 이것을 액체유라고도 한다), 및 1 기압, 20 ℃ 에서 고체인 오일 (이하, 이것을 고체유라고도 한다)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액체유로는, 예를 들어, 직사슬 또는 분기의 탄화수소유, 식물유, 동물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고분자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직사슬 또는 분기의 탄화수소유로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유로는, 호호바유, 올리브유 등을 들 수 있다.
동물유로는, 액상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는, 모노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고급 알코올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알코올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고체유로는, 예를 들어, 바셀린,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세라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유제의 함유량은, 그 목적에 따라 상이한데, 총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유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서의 양호한 발색성이나 감촉을 높일 수 있다.
조성물은, 목적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의 종류에 따라, 증점제, 피막제, 계면 활성제, 당, 다가 알코올, 수용성 고분자,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아미노산, 유기 아민, pH 조정제, 피부 컨디셔닝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향료,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유도체, 메톡시신남산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 유도체로는, 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염,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메톡시신남산 유도체로는, 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산란제로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1 ㎛ 이하인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산란제로는, 산화아연, 산화티탄 및 실리카 등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조성물 (L) 은, 액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액매는, 화장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용매 또는 분산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액체이다. 조성물 (L) 을 슬러리의 형태로 하는 경우, 조성물 (L) 은, 분체 및 액매를 적어도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L) 을 화장료 슬러리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L) 은, 상기 서술한 안료를 포함하는 분체, 유제 및 액매를 적어도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액체 (액매) 로는, 예를 들어, 액체의 상태에 있어서 휘발성을 갖는 물질 (휘발성 용매) 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액매) 로는, 물, 알코올, 케톤 및 탄화수소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1 가의 탄소수 1 ∼ 6 의 사슬형 지방족 알코올이나, 1 가의 탄소수 3 ∼ 6 의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이나, 1 가의 방향족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것들의 구체예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 프로판올, 펜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케톤으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3 ∼ 6 의 사슬형 지방족 케톤이나, 탄소수 3 ∼ 6 의 고리형 지방족 케톤이나, 탄소수 8 ∼ 10 의 방향족 케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것들의 구체예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어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 구체예로는, IP 솔벤트를 들 수 있다.
조성물 (L) 에 액매를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액매의 함유량은, 그 목적에 따라 상이한데, 총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액매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다.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조성물 (L) 의 구성 재료의 균일 분산성을 높이면서, 취급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아로마 캔들을 제조하는 경우, 아로마 캔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퇴적체 (S)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1 ∼ 1-8, 및 비교예 1-1 ∼ 1-2〕
이하에 나타내는 원료를 혼합하고, 화장료 및 액매로서의 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슬러리를 조성물 (L) 로서 사용하였다. 조성물 (L) 전체량에 대한 분체의 비율은 47.9 질량% 였다. 조성물 (L) 의 밀도는 1.53 g/㎤ 였다.
<조성물 (L) 의 조성>
(1) 분체 성분
· 펄 분체 : 52 질량부
· 안료 분체 : 38.95 질량부
(2) 분체 이외의 성분
· 물 : 90 질량부
· 유제 : 3 질량부
· 습윤제 : 2 질량부
· 증점제 : 0.55 질량부
· 방부제 외 : 3.5 질량부
이어서, 대상물 (70) 로서 퍼스널 케어 제품의 1 종인 고체 화장료 (파운데이션) 를 사용하고, 그 위에 상기 서술한 조성물 (L) 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형성 공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건조에 의한 고화 공정을 실시하여, 대상물 (70) 상의 조성물 (L) 로부터 조성물 유래의 물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직선상의 선상체로 이루어지는 퇴적체 (S) 를 대상물 (70) 상에 형성하였다. 이로써 실시예 1-1 ∼ 1-8 의 메이크업 화장품을 얻었다. 퇴적체 (S) 중의 분체 비율은 91.0 질량% 였다.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조건은, 조성물 (L) 의 공급 온도 (토출시의 온도) 는 23 ℃ 에서 일정하게 하고, 대상물 (70) 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노즐 (21) 을 소정 거리 이동시켜 실시하였다. 동 온도에서의 점도는, 53.7 Pa·s 였다.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그 밖의 조건은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2-1 ∼ 2-7, 및 비교예 2-1〕
조성물 (L) 의 공급 속도 (V1) 및 공급량 (M1), 그리고,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대상물 (70) 에 대한 노즐 (21) 의 상대 이동 속도 (V2) 를 이하의 표 2 에 나타내는 일정한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수의 선상체가 대상물 (70) 상에 형성된 퇴적체 (S) 를 대상물 (70) 상에 형성하였다.
〔실시예 3-1 ∼ 3-7〕
대상물 (70) 에 대한 노즐 (21) 의 거리 (H1), 그리고 조성물 (L) 의 공급 속도 (V1) 및 공급량 (M1) 을 이하의 표 3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일정하게 하고,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대상물 (70) 에 대한 노즐 (21) 의 상대 이동 속도 (V2) 를 이하의 표 3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수의 선상체가 대상물 (70) 상에 형성된 퇴적체 (S) 를 대상물 (70) 상에 형성하였다.
〔퇴적체의 선폭 (W1) 및 두께 (T1) 의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형성된 선상의 퇴적체의 선폭 (W1) 및 두께 (T1) 를 각각, 비접촉 3D 형상 측정기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의 VR-3100) 를 사용하여, 퇴적체의 형상 측정을 실시하고, 얻어진 화상의 평면도로부터 퇴적체의 선폭을 계측하고, 또, 얻어진 화상의 고저차의 프로파일로부터 퇴적체의 두께를 계측하고, 10 개 지점의 평균값을 각각 선폭 (W1) 및 두께 (T1) 로 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 ∼ 표 3 에 나타낸다.
〔묘화성의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형성된 선상의 퇴적체를 평면에서 보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묘화성의 평가는, 이하의 기준에 있어서의 평가 A ∼ F 로 나타내고, 평가 A 가 가장 우수하다. 평가가 우수한 것일수록, 형상이나 치수의 정밀도가 높은 퍼스널 케어 제품의 조형 및 가식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를 이하의 표 1 ∼ 표 3 에 나타낸다.
<묘화성의 평가 기준>
A :「(선폭 (W1)/노즐 직경 (D1)) ≤ 1.25」이고, 목적으로 하는 형상이나 치수의 묘화 정밀도가 매우 우수하다. 이 평가를 갖는 묘화예를 도 7 에 나타낸다.
B :「1.25 < (선폭 (W1)/노즐 직경 (D1)) ≤ 2」이고, 목적으로 하는 형상이나 치수의 묘화 정밀도가 양호하다. 이 평가를 갖는 묘화예를 도 8 에 나타낸다.
C :「(선폭 (W1)/노즐 직경 (D1)) > 2」이고, 치핑이나 보이드가 없는 연속선을 묘화할 수 있고, 보다 정밀도가 높은 묘화성을 갖는다. 이 평가를 갖는 묘화예를 도 9(a) 및 도 9(b) 에 나타낸다.
D : 목적으로 하는 형상이 거시적으로 시인 가능할 정도의 묘화성을 갖는다. 선상의 퇴적체에 치핑이나 보이드가 보이지만, 이것들은 퍼스널 케어 제품의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을 정도의 것이고, 높은 정밀도의 묘화성을 갖는다. 이 평가를 갖는 묘화예를 도 10 에 나타낸다. 도 10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는 묘화에 치핑이나 보이드가 있는 지점이다.
E : 노즐 선단이 대상물과 접촉하거나 하여, 퇴적체나 대상물의 치핑이나 박리가 일부 보인다. 이 평가를 갖는 묘화예를 도 11 에 나타낸다. 도 11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는 묘화에 치핑이나 박리가 있는 지점이다.
F : 퇴적체의 선이 의도치 않게 비뚤어져 버리거나, 에지가 불명료하거나, 점선이 되거나 한다. 이 평가를 갖는 묘화예를 도 12(a) 및 도 12(b) 에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는 비뚤어진 지점 등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형상이나 치수를 갖고, 형상이나 치수의 정밀도가 높은 퍼스널 케어 제품의 조형 및 가식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43)

  1. 인체에 적용 가능한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유동성을 갖는 조성물을 노즐로부터 대상물에 공급하면서, 그 노즐을 그 대상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그 조성물 유래인 퇴적체를 대상물 상에 형성하는 형성 공정을 갖고,
    상기 노즐로서, 노즐 직경이 0.01 ㎜ 이상 2 ㎜ 이하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형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노즐 직경에 대한, 상기 노즐의 선단과 상기 대상물의 거리의 비 (거리/노즐 직경) 를 0.35 이상 3 미만으로 하여 상기 조성물을 공급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점도가 노즐로부터의 공급시의 온도에 있어서, 0.1 Pa·s 이상 1000 Pa·s 이하인,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서, 상기 노즐 직경이 0.1 ㎜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서, 상기 노즐 직경이 1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노즐 직경에 대한, 상기 노즐의 선단과 상기 대상물의 거리의 비 (거리/노즐 직경) 가, 0.5 이상인,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노즐 직경에 대한, 상기 노즐의 선단과 상기 대상물의 거리의 비 (거리/노즐 직경) 가, 2.5 이하인,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체의 두께가 0.05 ㎜ 이상인,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체의 두께가 1 ㎜ 이하인,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케어 제품이, 화장품, 비누, 아로마 캔들 또는 입욕제인,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상에, 상기 퇴적체 이외의 다른 퇴적체를 1 개 이상 형성하는,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상기 형성 공정을 실시한 후, 상기 노즐로부터의 조성물의 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을 상기 대상물에 대하여 동일 평면 상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공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제 2 상기 형성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대상물 상에, 상기 퇴적체 이외의 다른 퇴적체를 1 개 이상 형성하는,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상기 형성 공정을 실시한 후, 제 2 상기 형성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상기 퇴적체 상에, 그 퇴적체 이외의 다른 퇴적체를 1 개 이상 형성하는,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공정을 실시한 후, 상기 노즐로부터의 조성물의 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을 상기 대상물에 대하여 동일 평면 상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공정을 추가로 갖고,
    상기 형성 공정과 상기 이동 공정을 이 순서로 반복해서 실시하여, 상기 퇴적체 상에, 그 퇴적체 이외의 다른 퇴적체를 1 개 이상 형성하는, 제조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조성물의 온도가 30 ℃ 이하인, 제조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액체와 분체의 혼합물인, 제조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의 액체로서 물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액체와 분체의 혼합물이고,
    상기 조성물 유래인 상기 퇴적체에 있어서의 고형분 중의 상기 분체의 함유량이 70 질량% 이상인, 제조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액체와 분체의 혼합물이고,
    상기 조성물 유래인 상기 퇴적체에 있어서의 고형분 중의 상기 분체의 함유량이 99 질량% 이하인, 제조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상기 분체의 평균 입경은, 상기 노즐 직경보다 작은, 제조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상기 분체의 평균 입경과 상기 노즐 직경의 비 (평균 입경/노즐 직경) 가, 0.001 이상 1 이하인, 제조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조성물의 공급 속도에 대한,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대상물에 대한 상기 노즐의 상대 이동 속도의 비를 0.1 이상으로 하여 실시하는, 제조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조성물의 공급 속도에 대한,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대상물에 대한 상기 노즐의 상대 이동 속도의 비를 2 이하로 하여 실시하는, 제조 방법.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조성물의 공급량이 0.05 ㎣/s 이상인, 제조 방법.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조성물의 공급량이 150 ㎣/s 이하인, 제조 방법.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을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퇴적체가 상기 대상물 상에 존재하는 퇴적 영역과, 그 퇴적체가 상기 대상물 상에 존재하지 않는 비퇴적 영역이 형성되도록 제 1 상기 형성 공정을 실시하여, 제 1 퇴적체를 형성하고, 이어서,
    제 1 상기 형성 공정에 있어서 공급한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조성물을 공급하여 제 2 상기 형성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비퇴적 영역에 제 2 퇴적체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을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비퇴적 영역은 상기 퇴적 영역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는, 제조 방법.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퇴적 영역의 전역에 제 2 상기 퇴적체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
  28. 제 2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상기 각 형성 공정에 있어서 공급한 각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조성물을 공급하여 제 3 상기 형성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제 3 퇴적체를 제 1 상기 퇴적체 상 또한 제 2 상기 퇴적체 상에 형성하여 입체 조형체로 하는, 제조 방법.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상기 퇴적체는 투명한, 제조 방법.
  30. 제 25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상기 퇴적체는 유색인, 제조 방법.
  31. 제 25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상기 퇴적체는 유색이고, 또한 제 2 상기 퇴적체는 투명한 입체 구조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종이, 필름, 부직포, 금속, 수지, 또는 퍼스널 케어 제품인, 제조 방법.
  33. 선상체로 이루어지는 입체 조형체를 포함하고, 그 선상체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의 선폭이 1 ㎜ 이하인, 퍼스널 케어 제품.
  34. 제 33 항에 있어서,
    선상체로 이루어지는 입체 조형체를 포함하고, 그 선상체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의 선폭이 0.05 ㎜ 이상인, 퍼스널 케어 제품.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체가, 고형분으로서, 분체를 70 질량% 이상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
  36. 제 3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체가, 고형분으로서, 분체를 99 질량% 이하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
  37. 제 33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체의 두께가 0.05 ㎜ 이상인, 퍼스널 케어 제품.
  38.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체의 두께가 1 ㎜ 이하인, 퍼스널 케어 제품.
  39. 제 33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디자인이 상기 선상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퍼스널 케어 제품.
  40. 제 33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조형체는, 복수의 상기 선상체가 적층된 적층 구조인, 퍼스널 케어 제품.
  41. 제 33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상기 입체 조형체로 둘러싸인 영역 내의 전역에, 화장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추가로 배치된 상태에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선상체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조성을 갖는, 퍼스널 케어 제품.
  42. 제 33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층을 갖고, 각 층에서 시인되는 디자인이 상이한, 퍼스널 케어 제품.
  43. 제 33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체가 투명하고, 상기 선상체로 둘러싸인 영역 내가 유색임으로써,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는, 퍼스널 케어 제품.
KR1020247002407A 2021-12-27 2022-12-23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 KR20240018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212312 2021-12-27
JP2021212312 2021-12-27
PCT/JP2022/047779 WO2023127762A1 (ja) 2021-12-27 2022-12-23 パーソナルケア製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669A true KR20240018669A (ko) 2024-02-13

Family

ID=8694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407A KR20240018669A (ko) 2021-12-27 2022-12-23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7361188B2 (ko)
KR (1) KR20240018669A (ko)
CN (1) CN117881379A (ko)
FR (1) FR3131241A1 (ko)
GB (1) GB2623237A (ko)
TW (1) TW202333860A (ko)
WO (1) WO202312776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5912A1 (en) 2014-05-23 2017-05-18 Lvmh Recherche Multi-composition cosmetic produ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9108308A (ja) 2017-12-20 2019-07-04 紀伊産業株式会社 模様付固形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6556B2 (ja) 2004-03-31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電極修理方法及び電極修理装置
ITMI20042331A1 (it) * 2004-12-03 2005-03-03 Intercos Italiana Apparato e processo per la realizzazione di prodotti cosmetici colati multicolori con varie forme
JP2009301719A (ja) 2008-06-10 2009-12-24 Panasonic Corp 電子デバイス用基材並びに機能膜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0149085A (ja) 2008-12-26 2010-07-08 Panasonic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FR3024659B1 (fr) * 2014-08-05 2016-09-30 Oreal Procede de fabrication additive d'un objet tridimensionnel comprenant ou constituant une composition cosmetique par projection directe utilisant un materiau photoactivable, et appareil associe
FR3024656B1 (fr) * 2014-08-05 2016-09-02 Oreal Procede de fabrication additive d'un objet tridimensionnel comportant ou constituant une composition cosmetique par application d'un activateur de liaison de poudre, appareil et objets associes
ES2916080T3 (es) * 2015-04-21 2022-06-28 Covestro Deutschland A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objetos en 3D
EP3496932B1 (en) * 2016-08-12 2023-04-12 ELC Management LLC Device for printing a three dimensional cosmetic article from a build material comprising a cosmetic formula
JP7037978B2 (ja) * 2018-03-26 2022-03-17 株式会社アルビオン 化粧料の製造方法
ES2940063T3 (es) * 2018-12-21 2023-05-03 Elkem Silicones France Sa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aditiva de un artículo de elastómero de silicona
KR102188422B1 (ko) * 2020-04-17 2020-12-14 한국콜마주식회사 유중수형(Water-in-oil) 타입의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5912A1 (en) 2014-05-23 2017-05-18 Lvmh Recherche Multi-composition cosmetic produ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9108308A (ja) 2017-12-20 2019-07-04 紀伊産業株式会社 模様付固形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1188B2 (ja) 2023-10-13
JP2023097415A (ja) 2023-07-07
FR3131241A1 (fr) 2023-06-30
GB202400499D0 (en) 2024-02-28
CN117881379A (zh) 2024-04-12
GB2623237A (en) 2024-04-10
TW202333860A (zh) 2023-09-01
WO2023127762A1 (ja)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946B (zh) 多组合物的化妆品产品及其制造方法
JP4926516B2 (ja) 多色固形化粧料
EP3177452B1 (en) Method for the additive manufactur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comprising or forming a cosmetic composition by application of a powder binding activator, associated object
WO2001091605A1 (en) Multi-composition stick product and a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AU2001265270A1 (en) Multi-composition stick product and a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6456468A (zh) 通过应用磁场在一种或多种颜色中制备的美容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2622287B1 (ko)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CN113520910A (zh) 一种高光凝胶粉及其制备方法
TW202038889A (zh) 具有加飾層之油性化妝料
KR20240018669A (ko)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
JP7361189B2 (ja) パーソナルケア製品の製造方法
JP4926515B2 (ja) 多色化粧品
KR101677027B1 (ko) 3차원 문양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3차원 문양 화장료
JP7038071B2 (ja) 化粧料の製造方法
JP7048527B2 (ja) 化粧料の製造方法
WO2024090115A1 (ja) 固形パーソナルケア製品及び固形パーソナルケア製品の製造方法
KR101447780B1 (ko) 가로방향 충전방법을 적용한 다색의 스틱타입 화장품을 만드는 충전 방법
JP2023183377A (ja) パーソナルケア製品の製造装置
JPH0426612A (ja) 断面模様入り口紅の製法
KR20240047443A (ko) 고형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429449B1 (ko) 화장품 파운데이션 디자인 성형방법
JP2004196694A (ja) 棒状化粧料の成形方法
KR20150085568A (ko) 스틱형 화장품의 외관의 모양을 만들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충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