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092A -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수경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수경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092A
KR20240017092A KR1020247002364A KR20247002364A KR20240017092A KR 20240017092 A KR20240017092 A KR 20240017092A KR 1020247002364 A KR1020247002364 A KR 1020247002364A KR 20247002364 A KR20247002364 A KR 20247002364A KR 20240017092 A KR20240017092 A KR 20240017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roup
carbon atoms
mass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노리 콘도
류지 이데
유키 스가누마
Original Assignee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32Polyethers, e.g. alkylphenol polyglycol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Lubrica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품질이 충분하지 않고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사용량이 적어도 좋은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를 제공한다. 일반식 1로 나타내는 A성분과 일반식 2로 나타내는 B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Description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수경성 조성물
본 발명은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수경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등의 수경성 조성물에 첨가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이를 첨가한 수경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천 모래 등에서의 양질의 세골재가 고갈되고 있으며, 그것에 기인하여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품질이 충분하지 않은 세골재를 채용하는 경향이 있다. 즉, 세골재로서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것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미골재를 사용하면, 얻어지는 수경성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상적인 물-시멘트 비(W/C)에서도 프레시 상태(점도, 유동성 등)의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프레시 상태의 편차는, 수경성 조성물용 감수제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가 특히 현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최근 수경성 조성물의 품질 안정성이 저하되는 원인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점토질 등의 미립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세골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동 유지성이나 프레시 시의 점성이나 모르타르 상태를 개선할 수 있어 콘크리트 등의 수경성 조성물에 뛰어난 성상을 줄 수 있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 유동성이 높은 생콘크리트나 생 모르타르를 제조하기 위해서, 구 형태 응고체로 이루어진 특정 세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JP 2006-45010A 특허 문헌 2 JP 2004-091305 A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더욱 개량의 여지가 있으며,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세골재를 채용하는 것은, 세골재의 공급면이나 비용면 등에서 현실적이지 않다. 이 때문에, 품질이 충분하지 않고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점성, 유동성 등의 성상이 유지되는 새로운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품질이 충분하지 않고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多少)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그 사용량이 적어도 좋은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예의 연구한 결과, 소정의 A성분 및 B성분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수경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1]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는 A성분과,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내는 B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일반식 1]
(일반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0의 1∼3가 알코올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3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m은, 1∼200의 수이다. a는, 1∼3의 정수이다. a×M은, R2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200을 만족한다.)
[일반식 2]
(일반식 2에서, R4는, 탄소수 13∼27의 벤질 페닐기, 탄소수 14∼30의 스티렌화 페닐기, 또는 p-쿠밀페놀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R5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6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n은, R5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150의 수이다.)
[2]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2O는,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15∼90몰%가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이며,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10∼85몰%가 탄소수 3의 옥시프로필렌기인 상기[1]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3]상기 B성분은,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14의 모노스티렌화 페닐기인 것,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22의 디스티렌화 페닐기인 것, 및,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30의 트리스티렌화 페닐기인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포함한, 상기[1]또는[2]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4]상기 B성분은,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30의 트리스티렌화 페닐기인 것을 포함한, 상기[1]∼[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5]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A성분을 15∼85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고, 상기 B성분을 15∼85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상기[1]∼[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6] 하기의 일반식 3으로 나타내는 C성분, 및, 하기의 일반식 4로 나타내는 D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더욱 함유하는, 상기[1]∼[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일반식 3]
(일반식 3에서, R7는, 탄소수 1∼3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30의 알케닐기이다. R8O, R9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p는, 0∼100의 수이다. q는, 0∼100의 수이다. p+q는, R8O 및 R9O로 나타내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p+q≤100의 조건을 만족한다. R8O 및 R9O의 합계의 옥시알킬렌기 중의 50몰% 이상이,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이다.)
[일반식 4]
(일반식 4에서, R10는, 탄소수 10∼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이다.R11O, R1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1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이다. R1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이다. r은, 0∼100의 수이다. s는, 0∼100의 수이다. r+s는, R11O 및 R12O로 나타내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20≤r+s≤100의 조건을 만족한다. R11O 및 R12O의 합계의 옥시알킬렌기 중의 65몰% 이상이, 탄소수 3또는 4의 옥시알킬렌기이다.)
[7]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및 상기 C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및 상기 C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A성분을 10∼80질량부, 상기 B성분을 10∼80질량부, 및 상기 C성분을 0.1∼4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상기[6]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8]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및 상기 D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및 상기 D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A성분을 10∼80질량부, 상기 B성분을 10∼80질량부, 및 상기 D성분을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상기[6]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9]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상기 C성분, 및 상기 D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상기 C성분, 및 상기 D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A성분을 10∼80질량부, 상기 B성분을 10∼80질량부, 상기 C성분을 0.1∼40질량부, 및 상기 D성분을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상기[6]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10]하기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와 병용되는, 상기[1]∼[9]에 기재된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하기 일반식 5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형성되는 구성 단위 1, 및 비닐기를 갖는 카르본산 단량체로 형성되는 구성 단위 2를 포함하며, 분자 중에 차지하는 상기 구성 단위 1 및 상기 구성 단위 2의 구성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로 했을 때, 상기 구성 단위 1이 1∼99질량%, 및 상기 구성 단위 2가 99∼1질량%이며, 또한,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00∼1,000,000인 비닐 공중합체.
[일반식 5]
(일반식 5에서, R15, R16, R17는, 수소 원자, 메틸기, 및 -(CH2)tCOOM로 나타내는 유기기(단, t는 0∼2의 정수이며, M은 수소 원자, 또는 금속 원자이다)이다. 단, R15, R16, R17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18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19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x는 0∼5의 정수이다. y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z는, R18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300의 수이다.)
[11] 상기[1]∼[10]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조성물.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품질이 충분하지 않고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사용량이 적어도 좋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은,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사용량이 적고, 또한, 품질이 충분하지 않고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근거하여 이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적절히 변경, 개량 등이 더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등에 대하여, 별도로 기재하지 않는 한, %는 질량%를, 또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1)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일반식 1로 나타내는 A성분과 일반식 2로 나타내는 B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품질이 충분하지 않고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다. 즉, 강건성(robustness)이 높은 것이다. 또한, 그 사용량이 적어도 양호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점토질(진흙 성분)을 포함한 미립 성분 등을 함유하는 골재를 수경성 조성물에 사용한 경우, 이 수경성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하기도 한다. 또, 미립 성분 등을 포함한 수경성 조성물은, 그 점성이 상승하여, 펌프 압송성 등의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상기 구성을 채용하는 것으로, 수경성 조성물의 유동성의 저하를 억제함과 동시에, 점성을 저감하는 것으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골재의 품질에 편차가 있으면, 그에 따라 얻어지는 수경성 조성물의 품질에도 차이가 생겨 버리지만,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에 의하면, 수경성 조성물의 품질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에 편차가 있다」는, 콘크리트 등의 수경성 조성물에서, 그 유동성 등의 성상에 큰 차이를 일으키는 「함유량의 편차」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미립 성분 등의 구체적인 함유량의 대소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수경성 조성물의 유동성 등의 성상을 크게 변화시킬수록 함유량에 변동 폭이 있는 경우, 「함유량에 편차가 있다」는 것이 된다.
(1-1) A성분:
A성분은, 일반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 A성분을 B성분과 함께 배합하는 것으로,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그 사용량이 적어도 양호한 효과가 발휘된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일반식 1]
(일반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0의 1∼3가 알코올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3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m은, 1∼200의 수이다. a는, 1∼3의 정수이다. a×M은, R2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200을 만족한다.)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0의 1∼3가 알코올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R1의 탄소수 1∼30의 1∼3가 알코올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펜틸알코올, 헥실알코올, 헵틸알코올, 옥틸알코올, 2-에틸-헥실알코올, 노닐알코올, 데실알코올, 2-프로필-헵틸알코올, 운데실알코올, 도데실알코올, 2-부틸-옥틸알코올, 트리데실알코올, 테트라데실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옥타데실알코올, 이소옥타데실알코올, 옥타데세닐알코올, 에이코실알코올, 드코실알코올, 테트라코실알코올, 헥사코실알코올, 옥타코실알코올, 트리아콘틸알코올, 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데시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1,3,5-펜타트리올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 등을 들 수 있다.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며,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R2O가,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랜덤 부가체, 블록 부가체, 교호 부가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이 R2O는,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15∼90몰%가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10∼85몰%가 탄소수 3의 옥시프로필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2O는,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15∼80몰%가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20∼85몰%가 탄소수 3의 옥시프로필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이면, 수경성 조성물에 대해 더욱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첨가제의 사용량이 보다 적어도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R3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며,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R3의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헵실기, 헵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이코실기, 에치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옥테닐기, 노네닐기, 데세닐기, 드데세닐기, 테트라데세닐기, 헥사데세닐기, 옥타데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m은 1∼200의 수이며, 10∼200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은, R2O의 수를 나타내며, 식:m=평균 부가 몰수/a로 산출되는 값이다.
a는, 1∼3의 정수이다.
a×M은, R2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200을 만족하고, 30∼200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200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수경성 조성물에 대해 더욱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첨가제의 사용량이 보다 적어도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a×m(즉, R2O의 평균 부가 몰수)가 200초과이면, 얻어지는 수경성 조성물의 점성이 상승해 버려, 작업성이 저하된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부가 몰수」는, 제조시의 각 원료의 사입비로부터 계산되는, 히드록시기나, 아미노기 등을 갖는 출발 물질(알코올류, 아민류) 1몰 당에 대한, 알킬렌옥시드의 몰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평균 부가 몰수는, 1 H-NMR를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A성분은, 공지의 방법을 채용하여 적절히 제작할 수 있다.
(1-2) B성분:
B성분은, 일반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 B성분을 A성분과 함께 배합하는 것으로,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그 사용량이 적어도 양호한 효과가 발휘된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일반식 2]
(일반식 2에서, R4는, 탄소수 13∼27의 벤질 페닐기, 탄소수 14∼30의 스티렌화 페닐기, 또는 p-쿠밀페놀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R5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6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n은, R5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150의 수이다.)
R4는, 탄소수 13∼27의 벤질 페닐기, 탄소수 14∼30의 스티렌화 페닐기, 또는 p-쿠밀페놀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이와 같은 잔기면, 얻어지는 수경성 조성물은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다.
이 B성분은,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14의 모노 스티렌화 페닐기인 것,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22의 디스티렌화 페닐기인 것, 및,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30의 트리스티렌화 페닐기인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R4가 소정의 스티렌화 페닐기를 포함하는 것이면 얻어지는 수경성 조성물은 보다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다.
또, B성분은,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30의 트리스티렌화 페닐기인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티렌화 페닐기는, 모노체, 디체, 트리체가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상기 트리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좋다.
또한, B성분은,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14의 모노스티렌화 페닐기인 것(b1성분), 및,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22의 디스티렌화 페닐기인 것(b2성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와,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30의 트리스티렌화 페닐기인 것(b3성분)를 포함하며, 겔퍼미에이션크로마트그래피(GPC) 분석에 있어서, b1성분, b2성분, 및, b3성분의 피크 면적의 총 합에 차지하는 b3성분의 피크 면적의 비율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사용량이 보다 적어도 양호한 효과가 발휘된다.
스티렌화 페닐기에서, 모노체인 것(b1성분), 디체인 것(b2성분), 트리체인 것(b3성분)의 구성비의 측정은, 상기와 같이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R5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며,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R5O가,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랜덤 부가체, 블록 부가체, 교호 부가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R5O는,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15∼99몰%가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1∼85몰%가 탄소수 3의 옥시프로필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이면, 수경성 조성물에 대해 더욱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첨가제의 사용량이 보다 적어도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R6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며,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6의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헵실기, 헵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디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이코실기, 에티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옥테닐기, 노네닐기, 데세닐기, 드데세닐기, 테트라데세닐기, 헥사데세닐기, 옥타데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n은, R5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150의 수이며, 1∼100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의 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수경성 조성물에 대해 더욱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첨가제의 사용량이 보다 적어도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n이 150초과이면, 얻어지는 수경성 조성물의 점성이 상승해 버려, 작업성이 저하된다.
B성분은, 공지의 방법을 채용하여 적절히 제작할 수 있다.
(1-3) C성분 및 D성분: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또한, 하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내는 C성분, 및, 하기 일반식 4로 나타내는 D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C성분 또는 D성분, 또는 C성분과 D성분의 양쪽 모두를 함유하는 것으로,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더욱 억제되어 보다 안정된 성질과 상태(점성, 유동성 등)의 수경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첨가제의 사용량이 보다 적어도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3a) C성분:
C성분은, 일반식 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 C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더욱 높은 강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감수제에 대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용해성(상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식 3]
(일반식 3에서, R7는, 탄소수 1∼3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30의 알케닐기이다. R8O, R9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p는, 0∼100의 수이다. q는, 0∼100의 수이다. p+q는, R8O 및 R9O로 나타내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p+q≤100의 조건을 만족한다. R8O 및 R9O의 합계의 옥시알킬렌기 중의 50몰% 이상이,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이다.)
R7는, 탄소수 1∼3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30의 알케닐기이며, 탄소수 6∼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22의 알케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7의 탄소수 1∼30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이코실기, 헨이코실기, 드코실기, 테트라코실기, 헥사코실기, 옥타코실기, 트리아콘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7의 탄소수 2∼30의 알케닐기로서는, 예를 들면, 에티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옥테닐기, 노네닐기, 데세닐기, 드데세닐기, 테트라데세닐기, 헥사데세닐기, 옥타데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8O, R9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며,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R8O 및 R9O가,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랜덤 부가체, 블록 부가체, 교호 부가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R8O 및 R9O는, 이들 합계의 옥시알킬렌기 중의 50몰% 이상이,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이며, 70몰% 이상이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몰% 이상이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는, 0∼100의 수이며, 1∼50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q는, 0∼100의 수이며, 1∼50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p+q는, R8O 및 R9O로 나타내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다. 그리고, p+q≤100의 조건을 만족하며, 2≤p+q≤7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p+q≤5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더욱 높은 강건성을 부여할 수 있다.
(1-3b) D성분:
D성분은, 일반식(4)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 D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써, 소포제로서도 작용하고, 공기량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어 더욱, 유동성을 개선하는 것이 상정된다.
[일반식 4]
(일반식 4에서, R10는, 탄소수 10∼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이다. R11O, R1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1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이다. R1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이다. r은, 0∼100의 수이다. s는, 0∼100의 수이다. r+s는, R11O 및 R12O로 나타내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20≤r+s≤100의 조건을 만족한다. R11O 및 R12O의 합계의 옥시알킬렌기 중의 65몰% 이상이, 탄소수 3 또는 4의 옥시알킬렌기이다.)
R10는, 탄소수 10∼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이며, 14∼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4∼18의 알케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0의 탄소수 10∼20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데디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이코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10의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로서는, 예를 들면, 데세닐기, 드데세닐기, 테트라데세닐기, 헥사데세닐기, 옥타데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11O, R1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며,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R11O 및 R12O가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랜덤 부가체, 블록 부가체, 교호 부가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R11O 및 R12O는, 이들 합계의 옥시알킬렌기 중의 65몰% 이상이, 탄소수 3 또는 4의 옥시알킬렌기이며, 70몰% 이상이 탄소수 3의 옥시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75몰% 이상이 탄소수 3의 옥시알킬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13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이며,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R1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이며,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R13, R14에 있어서의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에티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옥테닐기, 노네닐기, 데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은 0∼100의 수이며, 1∼70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s는 0∼100의 수이며, 1∼70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r+s는, R11O 및 R12O로 나타내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다. 그리고, 20≤r+s≤100의 조건을 만족하고, 25≤r+s≤8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r+s≤7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다 공기량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어 더욱 유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C성분 및 D성분은, 각각 공지의 방법을 채용하여 적절히 제작할 수 있다.
(1-4) 각 성분의 배합 비율:
A성분 및 B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A성분을 15∼85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고, B성분을 15∼85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A성분을 25∼75 질량부, B성분을 25∼75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하면,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더욱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사용량이 더욱 적어도 충분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며(단, D성분은 포함하지 않는 경우),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A성분을 10∼80질량부, B성분을 10∼80질량부, 및 C성분을 0.1∼4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A성분을 20∼70질량부, B성분을 20∼70질량부, C성분을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하면,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더욱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사용량이 더욱 적어도 충분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성분, B성분, 및 D성분을 포함하며(단, C성분은 포함하지 않는 경우), A성분, B성분, 및 D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A성분을 10∼80질량부, B성분을 10∼80질량부, 및 D성분을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A성분을 20∼70질량부, B성분을 20∼70질량부, D성분을 0.1∼15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하면,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더욱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사용량이 더욱 적어도 충분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성분, B성분, C성분, 및 D성분을 포함하며, A성분, B성분, C성분, 및 D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A성분을 10∼80질량부, B성분을 10∼80질량부, C성분을 0.1∼40질량부, 및 D성분을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A성분을 20∼70질량부, B성분을 20∼70질량부, C성분을 0.1∼20질량부, D성분을 0.1∼15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하면,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더욱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사용량이 더욱 적어도 충분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5)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상술한 A성분∼D성분 이외에,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외의 성분을 더욱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당류나, 옥시카르본산염 등으로부터 이루어진 응결 지연 성분, 리그닌 설폰산 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진 분산 작용을 갖는 성분, 음이온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AE제, 옥시알킬렌계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소포제, 알칸올 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경화촉진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수축 저감제, 셀룰로오스 에테르계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증점제, 이소티아졸린계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방부제, 아초산염 등으로 이루어진 방수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성분의 함유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전체의 0∼20질량%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물이나 용제로 희석된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1-6)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사용: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하기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와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이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와 병용함으로써, 미립 성분 등과의 재료 상용성을 갖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의 재료 상용성을 저감시킬 수 있어 감수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양호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의 수경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는, 하기 일반식(5)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형성되는 구성 단위 1, 및 비닐기를 갖는 카르본산 단량체로 형성되는 구성 단위 2를 포함하며, 분자 중에 차지하는 구성 단위 1 및 구성 단위 2의 구성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로 했을 때, 구성 단위 1이 1∼99질량%, 및 구성 단위 2가 99∼1질량%이다. 그리고,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는, 또한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00∼1,000,000의 비닐 공중합체이다.
[일반식 5]
(일반식 5에서, R15, R16, R17는, 수소 원자, 메틸기, 및 -(CH2)tCOOM로 나타내는 유기기(단, t는 0∼2의 정수이며, M은 수소 원자, 또는 금속 원자이다)이다. 단, R15, R16, R17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18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19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x는 0∼5의 정수이다. y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z는, R18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300의 수이다.)
(1-6a) 구성 단위 1:
구성 단위 1은, 상기 일반식(5)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성 단위 1은, 일반식(5)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모노머를 재료의 하나로서 얻을 수 있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1개의 구성 단위(일반식 5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다.
R15, R16, R17은 수소 원자, 메틸기, 및 -(CH2)tCOOM로 나타내는 유기기(단, t는 0∼2의 정수이며, M은 수소 원자, 또는 금속 원자이다)이다. 단, R15, R16, R17의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18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며,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R18O가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랜덤 부가체, 블록 부가체, 교호 부가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R19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며,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9의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이코실기, 에티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옥테닐기, 노네닐기, 데세닐기, 드데세닐기, 테트라데세닐기, 헥사데세닐기, 옥타데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x는 0∼5의 정수이며, 0∼2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y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z는, R18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300의 수이며, 1∼200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50의 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5)에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α-알릴-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알릴-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알릴-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α-알릴-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메타릴-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릴-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릴-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메타릴-ω-아세틸(폴리)옥시에틸렌, α-(3-메틸-3-부테닐)-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α-(3-메틸-3-부테닐)-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3-메틸-3-부테닐)-ω-부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3-메틸-3-부테닐)-ω-아세틸(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아크릴로일-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α-아크릴로일-ω-히드록시-(폴리)옥시프로필렌, α-아크릴로일-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아크릴로일-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아크릴로일-ω-부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크릴로일-ω-히드록시 -(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크릴로일-ω-히드록시-(폴리)옥시프로필렌, α-메타크릴로일-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메타크릴로일-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크릴로일-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메타크릴로일-ω-부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비닐-ω-히드록시-(폴리)옥시부틸렌(폴리)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1-6b) 구성 단위 2:
구성 단위 2는, 비닐기를 갖는 카르본산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즉, 구성 단위 2는, 비닐기를 갖는 카르본산 단량체를 재료의 하나로서 얻어지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1개의 구성 단위(비닐기를 갖는 카르본산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다.
비닐기를 갖는 카르본산 단량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푸마르산,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1-6c) 구성 단위 3:
상기 비닐 공중합체는, 또한, 분자 중에 임의의 구성 단위로서 구성 단위 1및 구성 단위 2로 공중합 가능한 구성 단위 3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성 단위 3을 형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알릴설폰산 및 이의 염, (메타)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성 단위 3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형성되고 있어도 된다.
(1-6d) 구성 비율: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는, 분자 중에 차지하는 구성 단위 1 및 구성 단위 2의 구성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로 했을 때, 구성 단위 1이 1∼99질량%, 및 구성 단위 2가 99∼1질량%이며, 또한, 구성 단위 1이 70∼99 질량%, 구성 단위 2가 1∼30질량%로 할 수 있다. 또, 임의의 구성 단위인 구성 단위 3의 구성 비율은, 분자 중에 차지하는 구성 단위 1, 구성 단위 2 및 구성 단위 3의 구성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로 했을 때, 0∼20질량%이며, 0∼10질량%로 할 수 있다.
(1-6e) 질량 평균 분자량: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는, 그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00∼1, 000,000이며, 5,000∼200,0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0∼100,000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크로마트그라피(GP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1-6f) 제조 방법: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하여 적절히 제조할 수 있다.
(2) 수경성 조성물: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경성 조성물은,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사용량이 적고, 더욱, 품질이 충분하지 않고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가 사용되고 있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은, 종래 공지의 수경성 조성물과 동일하게, 결합재, 물, 세골재, 및 조골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함유 비율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함유 비율은, 예를 들면, 결합재 100질량%에 대해서, 고형분 환산으로, 0.001∼3.0질량%의 비율로 할 수 있다.
결합재로서는, 예를 들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내유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등의 각종 포틀랜드 시멘트, 용광로 시멘트, 플라이 어쉬 시멘트, 실리카 퓸 시멘트 등의 각종의 시멘트를 들 수 있다.
또한, 결합재는, 플라이 어쉬, 고로(高爐) 슬러그 미분말, 석회석 미분말, 석분, 실리카 퓸, 팽창재 등의 각종 혼화재를 상술한 각종 시멘트와 병용할 수도 있다.
세골재로서는, 예를 들면, 강모래, 산모래, 육지모래, 바다모래, 규사, 쇄사, 각종 슬러그 세골재 등을 들 수 있지만,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것이어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세골재 중에 있어서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에 편차가 있다」는, 콘크리트 등의 수경성 조성물에서, 그 유동성 등의 성상에 큰 차이를 일으키게 하는 「함유량의 편차」를 의미한다. 즉, 예를 들면,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이 1할 정도 감소하는 것만으로 있어도, 유동성 등의 성상이, 크게 변화하기도 한다. 미립 성분 등의 허용량의 범위(충분한 성질과 상태의 수경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범위)는, 비교적 좁고, 얼마 안되는 함유량의 차이라도, 「함유량에 편차가 있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조골재로서는, 예를 들면, 강자갈, 산자갈, 육지 자갈, 쇄석, 각종 슬러그 조골재, 경량 골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은,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한 그 외의 성분을 더욱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당류나, 옥시카르본산염 등으로 이루어진 응결 지연 성분, 리그닌 설폰산 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진 분산 작용을 가지는 성분, 음이온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AE제, 옥시알킬렌계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소포제, 알칸올 아민등으로 이루어진 경화촉진제,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수축 저감제, 셀룰로오스 에테르계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증점제, 이소티아졸린계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방부제, 아초산 염 등으로 이루어진 방청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성분의 함유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결합재 100질량%에 대해서, 고형분 환산으로 0∼5질량%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은, 그 물과 결합재의 비율(물/결합재비)로서는 종래 공지의 비율을 적당 채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25∼70질량%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사용한 A성분∼D성분에 대해서, 이하의 표 1∼표 4에 나타낸다.
(A성분)
하기 표 1에는, 사용한 A성분(A-1∼A-6, RA-1)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B성분)
하기 표 2에는, 사용한 B성분(B-1)∼(B-6)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스티렌화 페놀 중의 모노, 디, 트리체의 구성비의 측정)
스티렌화 페놀 중의 모노, 디, 트리체의 구성비의 측정 조건에 대해서, 하기 에 나타내는 측정 조건에 따라서 겔퍼미에이션크로마트그라피(GPC)로 측정했다.
<측정 조건> 장치:
HLC-8320GPC(토소사 제조)
검출기:시차굴절계(RI)
컬럼:TSK gel SuperH4000+H3000+H2000(토소사 제조)
용리액:THF
유속:0.5mL/분
컬럼 온도:40℃
표준 물질:폴리스티렌(토소사 제조)
(C성분)
하기 표 3에는, 사용한 C성분(C-1)∼(C-5)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D성분)
하기 표 4에는, 사용한 D성분(D-1)∼(D-5)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제작예 1∼45)
이어서,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성분을 혼합하여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X-1∼X-40, RX-1∼RX-5)를 제작했다.
Figure pct00015
이어서, 표 6에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1)∼(P-3)의 구성 단위에 대해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표 6 중, L-1∼L-4, M-1, 및, M-2는, 이하의 화합물을 나타내며, 각 구성 단위는 상기 화합물에 유래하는 것이다.
L-1:α-메타크릴로일-ω-메톡시-폴리(평균 45 몰)옥시에틸렌
L-2:α-(3-메틸-3-부테닐)-ω-히드록시-폴리(평균 53몰)옥시에틸렌
L-3:α-메타릴-ω-히드록시-폴리(평균 53몰)옥시에틸렌
L-4: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M-1:메타크릴산
M-2:아크릴산
이하에, 각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1)∼(P-3)의 합성 방법을 설명한다.
(합성예 1)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1)의 합성:
상수도물 415.8g, α-메타크릴로일-ω-메톡시-폴리(평균 45몰)옥시에틸렌 346.3g, 메타크릴산 44.7g,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3.9g을, 온도계, 교반기,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넣었다. 그리고,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한 후, 분위기를 질소 치환하여 반응계의 온도를 온수욕에서 70℃로 유지했다.
이어서, 상기 반응계에 1%과산화수소 수용액 54.8g을 투입하고, 2시간 걸쳐 라디칼 공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2시간 경과후, 1%과산화수소 수용액 13.7g을 투입하고, 다시 2시간 반응을 실시한 후, 중합 반응을 종료했다. 그 후, 반응계에 30%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투입하여 pH를 5로 조정하고, 그 후, 상수도물로 농도를 40%로 조정하여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이 반응 혼합물을 겔퍼미에이션크로마트그라피(GPC)에서 분석한바, 질량 평균 분자량이 25,000이었다. 이 반응물을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1)로 했다.
(합성예 2)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2)의 합성:
상수도물 207.4g, α-(3-메틸-3-부테닐)-ω-히드록시-폴리(평균 53몰)옥시에틸렌 456.8g을, 온도계, 교반기,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넣었다. 그리고,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한 후, 분위기를 질소 치환하여 반응계의 온도를 온수 욕에서 70℃로 유지했다.
이어서, 상기 반응계에 3.5% 과산화수소 수용액 24.8g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그것과 동시에, 「상수도물 198.6g에 아크릴산 39.7g을 균일하게 용해시킨 수용액」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다시 그것과 동시에, 「상수도물 21.8g에 L-아스코르빈산 2.0g과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3.5g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4시간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반응계의 온도를 70℃에 2시간 유지하고, 중합 반응을 종료했다. 그 후, 반응계에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해 pH가 5가 되도록 조정하고, 그 후, 상수도물을 더하여 농도를 40%로 조정하여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이 반응 혼합물을 겔퍼미에이션크로마트그라피(GPC)에서 분석한바, 질량 평균 분자량이 35,000이었다. 이 반응물을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2)로 했다.
(합성예 3)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3)의 합성:
상수도물 231.1g, α-메타릴-ω-히드록시-폴리(평균 53몰)옥시에틸렌 429.2g을 온도계, 교반기,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넣었다. 그리고,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한 후, 분위기를 질소 치환하여 반응계의 온도를 온수 욕에서 70℃로 유지했다.
이어서, 상기 반응계에 3.5% 과산화수소 수용액 29.2g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그것과 동시에, 「상수도물 42.0g에 아크릴산 48.8g,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9.8g를 균일하게 용해시킨 수용액」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다시 그것과 동시에, 「상수도수 27.3g에 L-아스코르빈산 2.0g과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4.9g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4시간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반응계의 온도를 70℃에 2시간 유지하고, 중합 반응을 종료했다. 그 후, 반응계에 30%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하여 pH가 5가 되도록 조정하고, 그 후, 상수도물로 농도를 40%로 조정하여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이 반응 혼합물을 겔퍼미에이션크로마트그라피(GPC)에서 분석한바, 질량 평균 분자량이 30,000이었다. 이 반응물을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3)로 했다.
(질량 평균 분자량)
합성한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1)∼(P-3)의 질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에 있어서의 겔퍼미에이션크로마트그라피(GPC)의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장치: ShodexGPC-101(쇼와전공사 제조)
컬럼:OHpak SB-G+SB-806MHQ+SB-806M HQ(쇼와덴코우사 제조)
검출기:시차굴절계(RI)
용리액:50mM초산나트륨 수용액
유량:0.7mL/분
컬럼 온도:40℃
시료 농도:시료 농도 0.5 질량%의 용리액용액
표준 물질:PEG/PEO(아지렌트·테크놀로지사 제조)
(실시예 1∼56, 비교예 1∼7)
이어서, 제작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표 5 참조)를 이용하여 표 7에 나타내는 배합 No.1∼3(배합 No.1-1, 2-1, 3-1(다량 배합 패턴), 및, 배합 No.1-2, 2-2, 3-2(소량 배합 패턴))를 채용하여 각 콘크리트(수경성 조성물)를 제작했다. 또한, 표 8, 표 9에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의 사용량과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사용량을 나타낸다.
그 후, 표 8,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기본 평가를 실시했다. 기본 평가는, 구체적으로는, 다량 배합 패턴의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슬럼프, 슬럼프 플로우, 및, 공기량의 측정을 실시했다. 또, 소량 배합 패턴의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슬럼프 플로우, 및, 공기량의 측정을 실시했다. 또한, 표 10, 표 11에는, 첨가제의 사용량의 평가, 콘크리트의 점성, 및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의 각 평가 결과에 대해 나타낸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다량 배합 패턴과 소량 배합 패턴의 양쪽 모두의 패턴으로 수경성 조성물의 조제를 실시하여,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의 평가를 실시했다. 이 평가에 의해서 콘크리트의 유동성의 유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벤토나이트, 카올리나이트, 세골재 미립 분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은, 다량 배합 패턴과 소량 배합 패턴으로 비교하면, 1할 정도의 차이가 되지만, 슬럼프 플로우 등의 변화에는 큰 차이를 일으키게 한다. 예를 들면, 비교예 1에서는, 벤토나이트의 배합량이 2kg/㎥(다량 배합 패턴)와 1.8kg/㎥(소량 배합 패턴)이다. 그 함유량의 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은 9.5cm가 되어, 콘크리트(수경성 조성물)의 성질과 상태로서는 큰 차이이다.
이하, 구체적인 콘크리트(수경성 조성물)의 조제 방법을 나타낸다. 표 7에 나타낸 배합 조건으로, 20℃의 시험실 내에서 50L의 팬 타입의 강제 반죽 믹서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타이헤이요 시멘트사 제조, 우베 미츠비시 시멘트사 제조, 및 스미토모 오사카 시멘트사 제조 등량 혼합, 밀도=3.16g/c㎥)로 이루어진 수경성 결합재와 세골재로서 육지 모래(오오이가와 리버시스템, 밀도=2.58g/c㎥)와 미립 성분 등으로서 벤토나이트(쿠니미네 인더스트리사 제조, KUNIPIA-F, 진비중=2.6g/c㎥), 카올리나이트(타케하라 케미컬 인더스트리사 제조, RC-1, 진비중=2.6g/c㎥), 또는 세골재 미립분과 조골재로서 쇄석(오카자키산 쇄석, 밀도=2.68g/c㎥)를 투입했다. 또한, 세골재 미립분은, 세골재에 포함되는 성분이며, JIS A 1103에 규정된 75㎛체를 통과한 것(밀도=2.58g/c㎥로서 계산)을 사용했다.
또한, 수경성 조성물용 감수제, 및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표 5 참조)를 표 8, 표 9에 나타내는 사용량으로 배합하고, 다시, 소정의 공기량이 되도록 소포제 「AFK-2(타케모토유지사 제조)」를 반죽 물(가마고리시 상수도물)의 일부로서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고 90초간 혼련하였다. 그리고, 슬럼프가 21±1cm, 연행 공기량이 2.0%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콘크리트 조성물(수경성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수경성 조성물용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1)/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2)/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P-3)/글루콘산 나트륨=25/25/25/25(질량비)로서 혼합한 것을 사용했다.
이어서, 콘크리트의 기본 평가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슬럼프(cm):
혼련 직후의 콘크리트에 대해서, JIS A 1101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슬럼프 플로우(cm):
혼련 직후의 콘크리트에 대해서, JIS A 1150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공기량(용적%):
슬럼프 및 슬럼프 플로우의 측정과 동시에, JIS A 1128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이어서, 첨가제의 사용량의 평가, 콘크리트의 점성, 및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의 각 평가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첨가제의 사용량의 평가 및 콘크리트의 점성은,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이 많은 다량 배합 패턴의 배합 시의 것을 채용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첨가제의 사용량의 평가
소정의 공기량이 되도록 수경성 조성물을 조제했을 때에 있어서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사용량에 대해서,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사용량이 0.06% 이상이고 0.07% 미만인 경우를 「S」라고 했다. 상기 사용량이 0.07% 이상이고 0.08% 미만인 경우를 「A」라고 했다. 상기 사용량이 0.08% 이상이고 0.09% 미만인 경우를 「B」라고 했다. 상기 사용량이 0.09% 이상이고 0.10% 미만인 경우를 「C」라고 했다. 상기 사용량이 0.10% 이상인 경우를 「D」라고 했다.
·콘크리트의 점성
콘크리트의 점성은, 5명의 시험자에 의한 관능 평가로 확인했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콘크리트를 삽으로 뒤집어서, 육안에 의한 인상 및 핸들링성에 근거하여 최고 10점(1∼10점의 10 단계 평가)으로 채점했다. 그 후, 시험자의 평균치(득점 평균)를 0.5점 단위로 나타내고, 이 득점 평균에 따라 평가했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9.0점 이상이고 10.0점 이하의 경우, 점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S」라고 했다. 8.0점 이상이고 9.0점 미만의 경우, 점성이 특히 낮은 것으로 「A」라고 했다. 7.0점 이상이고 8.0점 미만의 경우, 점성이 낮은 것으로 「B」라고 했다. 7.0점 미만의 경우, 점성이 높은 것으로 「C」라고 했다.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
다량 배합 패턴에 있어서의 슬럼프 플로우와 소량 배합 패턴에 있어서의 슬럼프 플로우의 차이(식:「소량 배합 패턴에 있어서의 슬럼프 플로우」-「다량 배합 패턴에 있어서의 슬럼프 플로우」)을 산출하여,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으로 했다. 이 변화량에 대하고 평가를 실시했다. 변화량의 값이 작을 수록, 일정한 성상이 유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이 ±3cm 미만인 경우를 「S」라고 했다.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이±3cm 이상이고 ±5cm 미만인 경우를 「A」라고 했다.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이 ±5cm 이상이고 ±7cm미만인 경우를 「B」라고 했다. 슬럼프 플로우 변화량이 ±7cm 이상인 경우를 「C」라고 했다.
Figure pct00017
또한, 표 7 중, 세골재율은, 벤토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세골재 미립분을 세골재로서 추측하여 계산했다.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또한, 표 9 중, 「※」으로 나타내는 비교예 7의 첨가제는,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이며, 질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이다.
표 8, 표 9 중, 수경 조성물용 감수제 및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사용량은, 모두 고형분 표기로 했다.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결과)
표 10,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를 수경성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으로, 품질이 충분하지 않고 점토질 등의 미립 성분 등의 함유량의 편차가 큰 골재를 사용해도, 미립 성분 등의 다소에 기인하는 성상의 변화가 억제되어 일정한 성상(점성, 유동성 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 사용량이 적어도 충분히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콘크리트 등의 수경성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은, 콘크리트 등의 경화물을 제작하는 것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는 A성분과,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내는 B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일반식 1]

    (일반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0의 1∼3가 알코올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3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m은, 1∼200의 수이다. a는, 1∼3의 정수이다. a×M은, R2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200을 만족한다.)
    [일반식 2]

    (일반식 2에서, R4는, 탄소수 13∼27의 벤질 페닐기, 탄소수 14∼30의 스티렌화 페닐기, 또는 p-쿠밀페놀로부터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R5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6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n은, R5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150의 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2O는,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15∼90몰%가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이며, 전 옥시알킬렌기 중의 10∼85몰%가 탄소수 3의 옥시프로필렌기인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B성분은,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14의 모노스티렌화 페닐기인 것,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22의 디스티렌화 페닐기인 것, 및,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30의 트리스티렌화 페닐기인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성분은,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가 탄소수 30의 트리스티렌화 페닐기인 것을 포함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A성분을 15∼85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고, 상기 B성분을 15∼85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의 일반식 3으로 나타내는 C성분, 및, 하기의 일반식 4로 나타내는 D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더욱 함유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일반식 3]

    (일반식 3에서, R7는, 탄소수 1∼3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30의 알케닐기이다. R8O, R9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p는, 0∼100의 수이다. q는, 0∼100의 수이다. p+q는, R8O 및 R9O로 나타내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p+q≤100의 조건을 만족한다. R8O 및 R9O의 합계의 옥시알킬렌기 중의 50몰% 이상이,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이다.)
    [일반식 4]

    (일반식 4에서, R10는, 탄소수 10∼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이다. R11O, R1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1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이다. R1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이다. r은, 0∼100의 수이다. s는, 0∼100의 수이다. r+s는, R11O 및 R12O로 나타내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20≤r+s≤100의 조건을 만족한다. R11O 및 R12O의 합계의 옥시알킬렌기 중의 65몰% 이상이, 탄소수 3 또는 4의 옥시알킬렌기이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및 상기 C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및 상기 C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A성분을 10∼80질량부, 상기 B성분을 10∼80질량부, 및 상기 C성분을 0.1∼4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및 상기 D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및 상기 D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A성분을 10∼80질량부, 상기 B성분을 10∼80질량부, 및 상기 D성분을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상기 C성분, 및 상기 D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상기 C성분, 및 상기 D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A성분을 10∼80질량부, 상기 B성분을 10∼80질량부, 상기 C성분을 0.1∼40질량부, 및 상기 D성분을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10. 하기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와 병용되는, 청구항 1 내지 9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하기 일반식 5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형성되는 구성 단위 1, 및 비닐기를 갖는 카르본산 단량체로 형성되는 구성 단위 2를 포함하고, 분자 중에 차지하는 상기 구성 단위 1 및 상기 구성 단위 2의 구성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로 했을 때, 상기 구성 단위 1이 1∼99질량%, 및 상기 구성 단위 2가 99∼1질량%이며, 또한,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00∼1,000,000인 비닐 공중합체.
    [일반식 5]

    (일반식 5에서, R15, R16, R17는, 수소 원자, 메틸기, 및-(CH2)tCOOM로 나타내는 유기기(단, t는 0∼2의 정수이며, M은 수소 원자, 또는 금속 원자이다)이다. 단, R15, R16, R17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18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단, 상기 옥시알킬렌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다)이다. R19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x는 0∼5의 정수이다. y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z는, R18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300의 수이다.)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조성물.
KR1020247002364A 2021-07-20 2022-03-18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수경성 조성물 KR20240017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19504 2021-07-20
JP2021119504A JP7037224B1 (ja) 2021-07-20 2021-07-20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及び水硬性組成物
PCT/JP2022/012711 WO2023002697A1 (ja) 2021-07-20 2022-03-18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及び水硬性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092A true KR20240017092A (ko) 2024-02-06

Family

ID=8121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364A KR20240017092A (ko) 2021-07-20 2022-03-18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수경성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37224B1 (ko)
KR (1) KR20240017092A (ko)
CN (1) CN117751093A (ko)
WO (1) WO202300269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305A (ja) 2002-07-12 2004-03-25 Nippon Steel Corp 細骨材、モルタル、および、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
JP2006045010A (ja) 2004-08-05 2006-02-16 Kao Corp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9054A (ja) * 1988-02-27 1989-09-01 Toho Chem Ind Co Ltd セメント用分散剤組成物
CN109689590A (zh) * 2016-09-16 2019-04-26 花王株式会社 水硬性组合物用分散剂组合物
JP6713389B2 (ja) * 2016-09-16 2020-06-24 花王株式会社 水硬性組成物用分散剤組成物
JP6683359B1 (ja) * 2018-06-21 2020-04-15 竹本油脂株式会社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305A (ja) 2002-07-12 2004-03-25 Nippon Steel Corp 細骨材、モルタル、および、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
JP2006045010A (ja) 2004-08-05 2006-02-16 Kao Corp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51093A (zh) 2024-03-22
JP7037224B1 (ja) 2022-03-16
JP2023015612A (ja) 2023-02-01
WO2023002697A1 (ja)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719B1 (ko)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사용한 시멘트 혼화제
KR100867212B1 (ko) 시멘트 혼화제용 폴리카르복실산계 폴리머
KR101324266B1 (ko) 수경성 조성물용 분산제
KR101840887B1 (ko)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시멘트 분산제
KR101242729B1 (ko) 수축저감형 시멘트 분산제 및 그 분산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JP5037144B2 (ja) 水硬性組成物用分散剤
JP4859507B2 (ja) ポリカルボン酸系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セメント混和剤
JP4470365B2 (ja) セメント用添加剤組成物
JP5607899B2 (ja) コンクリート用収縮低減剤組成物
JP4497830B2 (ja) セメント混和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33241A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JP7037224B1 (ja)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及び水硬性組成物
JP5135056B2 (ja) 水硬性材料用収縮低減剤および水硬性材料用収縮低減剤組成物
JP7103649B2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JP2011116587A (ja) 水硬性組成物用早強剤
JP2018509489A (ja) 水硬性組成物中の減水剤としての新規なコポリマー
JP2009155173A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JP4425581B2 (ja) 貧配合コンクリート用添加剤
JP6781591B2 (ja) 水硬性組成物用レオロジー改質剤
JP7099767B1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及び水硬性組成物
JP2019112250A (ja) 低品質細骨材含有コンクリート用混和剤、並びにこれを含むセメント組成物
JP7291346B2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及び水硬性組成物
JP7012313B1 (ja) 水硬性組成物用消泡剤、これを含有する水性液及び水硬性組成物
JP7075692B1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の製造方法
JP7274145B2 (ja) 無収縮コンクリー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