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890A - 차선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차선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890A
KR20240012890A KR1020220090405A KR20220090405A KR20240012890A KR 20240012890 A KR20240012890 A KR 20240012890A KR 1020220090405 A KR1020220090405 A KR 1020220090405A KR 20220090405 A KR20220090405 A KR 20220090405A KR 20240012890 A KR20240012890 A KR 20240012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lane removal
removal
heigh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현
Original Assignee
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현 filed Critical 신상현
Priority to KR102022009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890A/ko
Publication of KR2024001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power-driven tools, e.g. vibratory tools
    • E01C23/088Rotary tools, e.g. milling 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7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rotary, e.g. rotary ham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이동몸체(1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30); 상기 이동몸체(120)의 전방에 노면의 차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선 제거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차선 제거유닛(200)은 상기 이동몸체(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차선 제거몸체(21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다수개의 차선 제거날(23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24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에 노면에 맞닿은 상태로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차선 제거날(230)이 차선 제거위치 및 제거깊이에 따라서 하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250); 상기 높이조절구(250)를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유닛(260);을 포함하는 차선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선의 제거위치 및 면적에 따라서 차선 제거유닛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차선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노면상태에 따라서 틸팅기능을 수행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선의 제거위치 및 깊이에 따라서 차선 제거날의 돌출위치를 조절하여 노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차선 제거장치{Lane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차선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에 도색된 차선을 쉽고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제거장치는 노면에 도색(표시)된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수정 또는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선 제거장치는 노면상태가 균일하지 못할 경우 차선을 남김없이 제거할 수 없으므로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차선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날 또는 제거수단이 중앙에 고정된 구조상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벽면에 위치한 차선의 경우 원활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넓은 면적의 차선을 제거하기 위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반복 이동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0891호(2010.12.1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9400호(2011.04.1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1594호(2011.04.2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5602호(2011.07.2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2593호(2013.05.2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7113호(2016.05.2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5587호(2020.10.1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9237호(2020.10.2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9553호(2020.11.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선의 제거위치 및 면적에 따라서 차선 제거유닛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차선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노면상태에 따라서 틸팅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선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선의 제거위치 및 깊이에 따라서 차선 제거날의 돌출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차선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100)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이동몸체(1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30); 상기 이동몸체(120)의 전방에 노면의 차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선 제거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차선 제거유닛(200)은 상기 이동몸체(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차선 제거몸체(21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다수개의 차선 제거날(23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24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에 노면에 맞닿은 상태로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차선 제거날(230)이 차선 제거위치 및 제거깊이에 따라서 하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250); 상기 높이조절구(250)를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유닛(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몸체(120)와 차선 제거몸체(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완충수단(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240)은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241); 상기 회전축(2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242); 상기 제1회전체(241)와 제2회전체(242)를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중간 표면에 형성하는 중앙유도공(252);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일측 표면에 형성하는 보조유도공(253);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 후방에 상기 보조유도공(253)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축(211);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 전방에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전방과 맞닿아 좌우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구(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유닛(260)은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중심축(261); 상기 중심축(261)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몸체(262); 상기 회동몸체(262)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263); 상기 회동몸체(262)의 일측에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상부 표면에 형성하는 회전유도공(251)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회동몸체(26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구(2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구(2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중심축(261)의 일측에 형성하는 지시구(265);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상부 일측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시부(2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선의 제거위치 및 면적에 따라서 차선 제거유닛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차선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노면상태에 따라서 틸팅기능을 수행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선의 제거위치 및 깊이에 따라서 차선 제거날의 돌출위치를 조절하여 노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이동몸체(1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30); 상기 이동몸체(120)의 전방에 노면의 차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선 제거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차선 제거유닛(200)은 상기 이동몸체(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차선 제거몸체(21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다수개의 차선 제거날(23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24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에 노면에 맞닿은 상태로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차선 제거날(230)이 차선 제거위치 및 제거깊이에 따라서 하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250); 상기 높이조절구(250)를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유닛(26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의 후방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 또는 스키드 스티어 로더 등과 같은 이동장비(10)의 전방에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갖는 장착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120)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선 제거유닛(200)이 지정위치의 차선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이동몸체(1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레일(1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130)은 상기 이동몸체(1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크류축과 모터의 조합 또는 실린더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선 제거유닛(200)은 노면의 차선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는 내부가 비어있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상기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틸팅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노면의 기울기에 따라서 차선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와 회동축(121)의 결합부분에 베어링 등이 포함되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몸체(120)와 차선 제거몸체(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완충수단(122);을 포함하여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가 노면의 기울기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틸팅하고 다시 수평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수단(122)은 스프링 또는 쇽업쇼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선 제거날(230)은 원형 디스크 형태로 상기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를 결합시켜 노면에 표시된 차선을 연삭하여 제거한다.
이때 상기 차선 제거날(230)의 형태 및 개수는 노면상태 및 차선의 제거효율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0)과 차선 제거날(230)의 중앙은 단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상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차선 제거날(230)을 상기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축(220)의 양측은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외측 표면에 형성하는 베어링에 수평방향으로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240)은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241); 상기 회전축(2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242); 상기 제1회전체(241)와 제2회전체(242)를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24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회전체(241) 및 제2회전체(242)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스프로킷 또는 풀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243)는 체인 또는 벨트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켜 동시에 상기 차선 제거날(230)이 회전하면서 노면에 표시된 차선을 연삭하여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구(250)는 노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선 제거날(230)이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하부로 돌출하여 노면의 차선을 제거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중간 표면에 형성하는 중앙유도공(252);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일측 표면에 형성하는 보조유도공(253);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 후방에 상기 보조유도공(253)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축(211);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 전방에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전방과 맞닿아 좌우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앙유도공(252)은 상기 회전축(220)을 외부로 분리하는 과정 및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220)과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조유도공(253)은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좌우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축(211)은 상기 보조유도공(253)의 내측에 삽입하고 외측은 상기 보조유도공(253)의 넓이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상기 유도축(211)의 외측에 걸려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축(211)은 축 또는 핀 형태로 형성하고 외측은 탈착할 수 있는 롤러 등을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걸려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구(212)는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전방에서 외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그 사이로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삽입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유닛(260)은 상기 높이조절구(250)를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실린더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높이조절유닛(260)은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중심축(261); 상기 중심축(261)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몸체(262); 상기 회동몸체(262)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263); 상기 회동몸체(262)의 일측에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상부 표면에 형성하는 회전유도공(251)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회동몸체(26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구(2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구(26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263)은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와 회동몸체(262)의 사이에 형성하여 작동상태에 따라서 상기 회동몸체(262)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 또는 텀버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수단(263)의 작동으로 상기 회동몸체(262)를 상기 중심축(26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연동구(264)가 상기 회전유도공(251)의 내측면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밀어서 상기 높이조절구(2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연동구(264)는 회동몸체(262)의 하부에 상기 중심축(261)과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회전유도공(251)의 내측면을 맞닿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구(264)의 외측은 상기 회전유도공(251)의 넓이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상기 연동구(264)의 외측에 걸려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구(264)는 축 또는 핀 형태로 형성하고 외측은 탈착할 수 있는 롤러 등을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걸려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심축(261)의 일측에 형성하는 지시구(265);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상부 일측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시부(266);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수단(263)의 작동으로 상기 중심축(261)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지시구(265)가 회전하면서 상기 표시부(266)의 눈금을 지시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외부에서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선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130)의 작동으로 상기 차선 제거유닛(20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선 제거유닛(200)이 노면의 기울기에 따라서 상기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틸팅하면서 차선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차선 제거날(230)이 노면을 연삭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차선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이동장비
100: 본 발명 차선 제거장치
110: 본체 111: 레일
120: 이동몸체 121: 회동축
122: 완충수단 130: 이동수단
200: 차선 제거유닛 210: 차선 제거몸체
211: 유도축 212: 유도구
220: 회전축 230: 차선 제거날
240: 구동유닛 241: 제1회전체
242: 제2회전체 243: 연결체
250: 높이조절구 251: 회전유도공
252: 중앙유도공 253: 보조유도공
260: 높이조절유닛 261: 중심축
262: 회동몸체 263: 회전수단
264: 연동구 265: 지시구
266: 표시부

Claims (6)

  1.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이동몸체(1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30); 상기 이동몸체(120)의 전방에 노면의 차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선 제거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차선 제거유닛(200)은 상기 이동몸체(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차선 제거몸체(21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다수개의 차선 제거날(23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240);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에 노면에 맞닿은 상태로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차선 제거날(230)이 차선 제거위치 및 제거깊이에 따라서 하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250); 상기 높이조절구(250)를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유닛(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120)와 차선 제거몸체(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완충수단(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240)은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241); 상기 회전축(2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242); 상기 제1회전체(241)와 제2회전체(242)를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중간 표면에 형성하는 중앙유도공(252);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일측 표면에 형성하는 보조유도공(253);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 후방에 상기 보조유도공(253)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높이조절구(2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축(211);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양측 전방에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전방과 맞닿아 좌우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구(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유닛(260)은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중심축(261); 상기 중심축(261)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몸체(262); 상기 회동몸체(262)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263); 상기 회동몸체(262)의 일측에 상기 높이조절구(250)의 상부 표면에 형성하는 회전유도공(251)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회동몸체(26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구(2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구(2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61)의 일측에 형성하는 지시구(265); 상기 차선 제거몸체(210)의 상부 일측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시부(2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제거장치.
KR1020220090405A 2022-07-21 2022-07-21 차선 제거장치 KR20240012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405A KR20240012890A (ko) 2022-07-21 2022-07-21 차선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405A KR20240012890A (ko) 2022-07-21 2022-07-21 차선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890A true KR20240012890A (ko) 2024-01-30

Family

ID=8971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405A KR20240012890A (ko) 2022-07-21 2022-07-21 차선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890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891A (ko) 2009-06-04 2010-12-14 준이앤씨(주) 차선제거 및 차선굴삭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장치
KR101029400B1 (ko) 2010-04-01 2011-04-14 이약우 워터 젯을 이용한 차선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1594A (ko) 2009-10-16 2011-04-22 고광식 융착 특수 차선 제거장치
KR20110085602A (ko) 2010-01-21 2011-07-27 (주)보다엔시스 노면 표시선 제거장치
KR101242593B1 (ko) 2011-12-30 2013-05-22 (주)효진산업 차선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제거시스템
KR20160057113A (ko) 2014-11-13 2016-05-23 주식회사 시명 차선 페인트 제거 장치
KR102165587B1 (ko) 2020-04-20 2020-10-14 전영애 미분 흡입기능을 구비한 차선 제거장치
KR102169237B1 (ko) 2019-11-14 2020-10-23 하용식 전동식 승강 구조를 갖는 차선 제거장치
KR20200129553A (ko)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차선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891A (ko) 2009-06-04 2010-12-14 준이앤씨(주) 차선제거 및 차선굴삭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장치
KR20110041594A (ko) 2009-10-16 2011-04-22 고광식 융착 특수 차선 제거장치
KR20110085602A (ko) 2010-01-21 2011-07-27 (주)보다엔시스 노면 표시선 제거장치
KR101029400B1 (ko) 2010-04-01 2011-04-14 이약우 워터 젯을 이용한 차선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1242593B1 (ko) 2011-12-30 2013-05-22 (주)효진산업 차선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제거시스템
KR20160057113A (ko) 2014-11-13 2016-05-23 주식회사 시명 차선 페인트 제거 장치
KR20200129553A (ko)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차선제거장치
KR102169237B1 (ko) 2019-11-14 2020-10-23 하용식 전동식 승강 구조를 갖는 차선 제거장치
KR102165587B1 (ko) 2020-04-20 2020-10-14 전영애 미분 흡입기능을 구비한 차선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987Y1 (ko) 판유리 변형 면취기
CN102528938B (zh) 路缘石切割装置
DE112011102587T5 (de) Untergrundbohrmaschine
CN103061239A (zh) 用于铣刨设备的侧板结构、侧板结构的使用和带有侧板结构的铣刨设备
CN105638078B (zh) 除草作业机
KR20090047023A (ko) 산림장비 및 굴삭기용 레벨링 장치
CN210658494U (zh) 整平机
US8070170B2 (en) Tilt device for a material handling machine
KR200385536Y1 (ko)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CN101018479A (zh) 浮动附属装置连杆
US3829161A (en) Apparatus for milling road surfaces
US20170211384A1 (en) High-Frequency Vibrating Transverse Drum Cutter Head, And Drum Cutter Machine And Tunnel Boring Machine Therewith
CN203317131U (zh) 机床用护罩
KR20240012890A (ko) 차선 제거장치
JP4321871B2 (ja) マンホール内壁切断装置
KR101364115B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용 연삭장치
KR20120064515A (ko)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JP6796946B2 (ja) 田植機
KR100773703B1 (ko) 이형의 경사각도로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CN207028744U (zh) 用于行走装置的悬挂机构和具有其的行走机器人
KR101067284B1 (ko) 절삭각도 조절이 용이한 석재 절단장치
CN109648423B (zh) 一种用于石材磨边机的磨边砂轮机连接装置
CN108999569B (zh) 旋转式多向钻孔设备
CN210561632U (zh) 地面加工机
CN112943106A (zh) 一种桩孔的开挖装置及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