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029A -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 Google Patents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029A
KR20240010029A KR1020237043825A KR20237043825A KR20240010029A KR 20240010029 A KR20240010029 A KR 20240010029A KR 1020237043825 A KR1020237043825 A KR 1020237043825A KR 20237043825 A KR20237043825 A KR 20237043825A KR 20240010029 A KR20240010029 A KR 20240010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ater
external preparation
ac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가네바코
Original Assignee
후쿠치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2/015988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188108A1/ja
Application filed by 후쿠치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치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14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15Drug-containing film-forming compositions, e.g. spray-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66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자극성이 낮고, 속건성이 있고, 또한 내수성 등이 우수한 물 비팽윤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를 위한 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서, 예를 들어 다음의 성분 A 내지 성분 C를 포함하는,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를 들 수 있다: A) (메트)아크릴산계 중합체 등의 폴리머 입자가 물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계 폴리머 에멀션을 포함하는 피막 형성제이며, 상기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상기 에멀션의 최저 조막 온도가 모두 30℃ 이하이고, 또한 형성된 피막을 물에 24시간 침지하여 팽윤시킨 경우의,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팽윤율이 30% 미만인 피막 형성제, 팽윤율(%)=(W1-W2)/W1×100(식 중, W1은 침지 전 중량(g), W2는 침지 후 중량(g)); B)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의 가소제; 및 C) 담체 용매로서, 물 또는 물 및 기제 전량 중 20질량% 미만의 유기 용매.

Description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본 발명은 외용제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은 사용 전에 있어서는 액상 내지 겔상이지만, 피부에 도포하면 담체 성분의 용매가 휘발되어 피부 위에 피막이 형성되는 피막 형성형 외용제(예를 들어, 액상 반창고)를 위한 기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는, 피부 위에 형성된 피막을 물에 노출시켜도 팽윤되기 어려운 특성을 갖기 때문에, 물 비팽윤성이다.
피부에 적용하는 외용제의 하나로서, 사용 전에 있어서는 액상 내지 겔상이지만, 피부에 도포하면 담체 성분의 용매가 증발하여 피부 위에 피막이 형성되는 피막 형성형 외용제(예를 들어, 액체 반창고)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막 형성형 외용제는, 박리 시의 물리적 자극이 적어, 손상 부위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용기로 직접 도포할 수도 있다.
피막 형성형 외용제의 피막 형성제로서는, 종래부터,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고분자(특허문헌 1 내지 3), (메트)아크릴산계 폴리머(특허문헌 4), 피록실린(특허문헌 5)이 알려져 있다.
수계 폴리머 에멀션은, 물 등의 수계 용매 중에 폴리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이며, 당해 수계 용매가 휘발되면, 폴리머 입자끼리가 함께 융착 및 변형됨으로써,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당해 수계 폴리머 에멀션은, 예를 들어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특허문헌 6에는, 수계 폴리머 에멀션을 사용한 인공 손톱 피복용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59-1393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3-275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6-1573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9-29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5-5891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9702호 공보
종래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에 있어서는, 신속한 피막의 형성을 도모하기 위해, 알코올이나 유기 용매가 담체 성분으로서 사용되지만, 그 알코올이나 유기 용매에 의한 피부 자극이나, 피막 형성한 막에 내수성이 없는 것이 문제로서 존재한다. (메트)아크릴산계 폴리머나 피록실린에 대해서는, 내수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하지만, 역시 알코올이나 유기 용매를 배합하는 것에 의한 피부 자극이 강하다. 피부에 대한 자극성은, 겔이나 크림, 연고 등의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회피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도포부의 끈적거림이나 의복으로의 부착과 같은 문제를 새롭게 야기할 우려가 있다. 또한, 겔 등을 씻어내기 위해, 도포 후에 손가락의 세정이 필요해진다. 또한, 지금까지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에 있어서는, 피부 자극성이 낮고, 속건성이 있고, 피부에 밀착하여 흡수성이나 내수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유연성, 신축성 및 강도가 있다와 같은 조건을 충분히 민족시키는 것이 눈에 띄지 않는다.
한편, 물을 담체 용매로 하는 수계 외용제에 대해서는, 피부에 대한 자극성은 회피할 수 있기는 하지만, 수계이기 때문에 건조가 느려, 피막의 형성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의약용에 있어서는, 약효 성분에 많은 소수성 약물은 물에 난용이기 때문에 수계의 외용제에는 배합하기 어렵고, 수계 외용제에 약물을 배합하는 경우, 친수성 약물에 한정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피부 자극성이 낮고, 속건성이 있고, 더욱 내수성, 유연성, 신축성 및 강도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를 위한 기제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일정한 수계 폴리머 에멀션을 포함하는 피막 형성제에 몇몇 첨가물을 더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이르렀다.
본 발명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의 양태를 들 수 있다.
[1] 다음의 성분 A 내지 성분 C를 포함하는,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A) (메트)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입자가 물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계 폴리머 에멀션을 포함하는 피막 형성제이며, 상기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상기 에멀션의 최저 조막 온도가 모두 30℃ 이하이고, 또한 형성된 피막을 물에 24시간 침지하여 팽윤시킨 경우의,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팽윤율이 30% 미만인 피막 형성제,
팽윤율(%)=(W1-W2)/W1×100
(식 중, W1은 침지 전 중량(g)을, W2는 침지 후 중량(g)을 각각 나타낸다.);
B)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셀룰로오스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소제; 및
C) 담체 용매로서, 물 또는 물 및 기제 전량 중 20질량% 미만의 유기 용매.
[2] 수불용성의 유분을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3] 상기 폴리머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중합체, 또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상기 [1]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4] 동적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경우의 상기 폴리머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 내지 300㎚의 범위 내인, 상기 [1]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5] 상기 수계 에멀션 중에 있어서의 폴리머 고형분량이 20 내지 70질량%의 범위 내인, 상기 [1]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6] 상기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모노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이고, 상기 셀룰로오스류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인, 상기 [1]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7] 상기 수불용성의 유분이, 에스테르류, 탄화수소류, 지방산, 동식물유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된 물 비팽윤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8] 에스테르류가,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아세트산토코페롤, 트리(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혹은 세바스산디에틸이고; 탄화수소류가,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혹은 바셀린이고; 지방산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혹은 올레산이고; 동식물유가, 피마자유, 호호바유, 혹은 마카데미아 너트유이고; 또는 실리콘이 폴리디메틸실록산인, 상기 [7]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를 포함하는, 비의약용 외용제.
[10]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와 약효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용 외용제.
[11] 액체 반창고인, 상기 [10]에 기재된 의약용 외용제.
[12] 상기 약효 성분이, 살균 소독제, 무좀약, 진양제, 보습제, 또는 진통 소염제인, 상기 [10]에 기재된 의약용 외용제.
[13] 외용제가, 핀 푸시형 용기, 미니 롤온 용기 혹은 미니 롤온 용기, 분무 용기, 또는 브러시가 부착된 용기에 봉입된, 상기 [9]에 기재된 비의약용 외용제.
[14] 외용제가, 핀 푸시형 용기, 롤온 용기 혹은 미니 롤온 용기, 분무 용기, 또는 브러시가 부착된 용기에 봉입된, 상기 [10]에 기재된 의약용 외용제.
본 발명에 관한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이하, 「본 발명 기제」라고 한다.)는 담체 용매가 기본적으로 물인 점에서 피부에 도포해도 자극성이 적을뿐만 아니라, 지체 없이 건조시켜 피부 위에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연성, 신축성, 내수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일단 성막하면, 물에 노출시켜도 팽윤되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장시간, 피부 위에 머무를 수 있다. 또한, 의약용 외용제의 기제로서 본 발명 기제를 사용한 경우, 친수성 약물에서부터 소수성 약물까지 폭넓게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 기제
본 발명 기제는, 다음의 성분 A 내지 성분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메트)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입자가 물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계 폴리머 에멀션을 포함하는 피막 형성제이며, 상기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상기 에멀션의 최저 조막 온도가 모두 30℃ 이하이고, 또한 형성된 피막을 물에 24시간 침지하여 팽윤시킨 경우의,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팽윤율이 30% 미만인 피막 형성제.
팽윤율(%)=(W1-W2)/W1×100
(식 중, W1 및 W2는 상기와 동의.)
B)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셀룰로오스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소제.
C) 담체 용매로서, 물 또는 물 및 기제 전량 중 20질량% 미만의 유기 용매.
1.1 성분 A에 대하여
본 발명 기제는 성분 A를 포함한다. 성분 A는, (메트)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입자가 물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계 폴리머 에멀션을 포함하는 피막 형성제이며, 상기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 및 상기 에멀션의 최저 조막 온도(MFT: Minimum Film-forming Temperature)가 모두 30℃ 이하이고, 또한 형성된 피막을 물에 24시간 침지하여 팽윤시킨 경우의,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팽윤율이 30% 미만인 피막 형성제 함유이다. 이러한 피막 형성제의 성분 A는, 수용액이다.
팽윤율(%)=(W1-W2)/W1×100
(식 중, W1 및 W2는 상기와 동의.)
수계 폴리머 에멀션은, 상기한 바와 같이, 물 등의 수계 용매 중에 폴리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이며, 당해 수계 용매가 휘발되면, 폴리머 입자끼리가 함께 융착 및 변형됨으로써, 피막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성분 A에 의해, 피부 위에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피막이 형성된다. 또한, 폴리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물이 기본적으로 본 발명 기제의 담체 용매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 기제는 물을 포함한다.
성분 A에 관한 수계 폴리머 에멀션 내지 그것에 포함되는 폴리머는, Tg 및 MFT가 모두 30℃ 이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Tg 및 MFT가 모두 28℃ 혹은 26℃ 내지 -15℃의 범위 내이다. 후술하는 시험 결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Tg 및 MFT의 어느 것이 30℃보다 높은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션은, 피부 위에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유리 전이 온도(Tg)는 당업자에게 주지의 물성이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머 시료의 온도를 점차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역학적 물성의 변화나 흡열·발열을 측정하는 방법(예,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시차 열분석(DTA)), 메커니컬 스펙트로스코피(동적 점탄성 측정)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소위 Fox의 식에 의해 Tg를 계산할 수 있다.
최저 조막 온도(MFT)는 균질이고 투명한 피막의 형태로 응집하는 최저 온도이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최저 조막 온도 측정 장치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계 폴리머 에멀션이 형성하는 피막은, 상기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팽윤율이 30% 미만이지만, 당해 팽윤율이 30% 이상이면, 피부 위에 형성된 피막을 물에 노출시키면 백탁되어, 내수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성분 A에 관한 수계 폴리머 에멀션의 폴리머는, (메트)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을 합한 용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구성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이나, 소수성 모노머, 친수성 모노머의 1종 이상을 구성 모노머로서 분자 내에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합성 모노머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 중,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1종이어도 되고, 임의의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소수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2-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클로르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 아크릴산알릴 등의 알릴계 모노머, 염화비닐 등의 염화비닐계 모노머, 부틸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디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계 모노머, 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모노머, 우레탄 등의 우레탄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등의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말레산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모노머, 무수 말레산 등의 말레산계 모노머,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성분 A에 관한 수계 폴리머 에멀션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모노머, 유화제 등의 원료를 수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당해 모노머를 유화제로 미셀화하고, 이것에 중합 개시제(예, 과산화수소, 과아세트산, t-부틸히드로페록시드, 과벤조산)를 더하고 가열하여 유화 중합함으로써, 당해 수계 폴리머 에멀션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한 소프 프리 중합법이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물 매체 불균일 중합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등의 비이온계 유화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나트륨, 2-에틸헥실황산에스테르나트륨, 디옥틸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음이온계 유화제를 들 수 있다.
성분 A에 관한 수계 폴리머 에멀션 중에 있어서의 폴리머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동적 광산란법(DLS)으로 측정한 경우, 중량 평균 입자경으로서, 예를 들어 10 내지 300㎚의 범위 내가 적당하고, 30 내지 200㎚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200㎚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어 나노 입자경 측정 장치 Nanotrac WaveII(MICROTRAC사제), 제타사이저 PRO(스펙트리스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성분 A에 관한 수계 폴리머 에멀션 중에 있어서의 폴리머 고형분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 내지 70질량%의 범위 내가 적당하고, 35 내지 55질량%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성분 A에 관한 수계 폴리머 에멀션의 1% 수용액에 있어서의 점도는, 실온 하에서, 1 내지 10,000mPa·s이고, 3 내지 5,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3,000m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A에 관한 수계 폴리머 에멀션은 시판되고 있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알킬에멀션(COVACRTL MS11 WP(센시엔트 테크놀로지사제), YODOSOL GH810F(뉴리온 재팬사제), 비니졸 1086WP(다이도 가세이 고교사제) 등), 아크릴산알킬·스티렌 공중합 에멀션(TODOSOL GH41H(뉴리온 재팬사제), 비니졸 1012JC(다이도 가세이 고교사제) 등)를 들 수 있다.
본 발명 기제 중에 있어서의 성분 A의 함유량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1.2 성분 B에 대하여
성분 B는,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셀룰로오스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소제이며, 본 발명 기제는 당해 성분 B를 포함한다. 성분 B는, 피부 위에 형성된 피막(성막)에 유연성과 신축성을 부여하고, 성막의 내수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란, 중성수에 용해했을 때, 이온화하지 않는 친수기를 갖는 계면 활성제이며, 글리세린,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자당 등의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구조를 갖는 것을 말한다.
성분 B에 관한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부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 디, 트리)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당해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라우르산, 세틸에테르스테아르산, 스테아릴에테르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성분 B에 관한 에스테르계 비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예, MYS-10V, MYS-25V, MYS-45MV, MYS-55MV(닛코 케미컬즈사제)),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예, MYO-10V(닛코 케미컬즈사제)), 모노 이소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 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예, MYL-10V(닛코 케미컬즈사제)), 디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모노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 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B에 관한 셀룰로오스류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소수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이 중,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성분 B는, 상기 어느 1종이어도 되고 임의의 2종 이상의 병용이어도 된다.
본 발명 기제 중에 있어서의 성분 B의 함유량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며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0.01 내지 50질량%의 범위 내가 적당하고, 0.1 내지 30질량%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20질량%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0.01질량%보다 적으면, 충분한 유연성이나 신축성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고, 50질량%보다 많으면, 피부 위에 형성된 피막의 유연성, 신축성 또는 내수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1.3 성분 C에 대하여
본 발명 기제는, 담체 용매로서, 물 또는 물 및 본 발명 기제 전량 중 20질량% 미만의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여기서 「담체 용매」란, 본 발명 기제를 사용한 제제를 피부에 적용할 때까지, 피막 형성제의 성분 A나 가소제의 성분 B 등을 기제 중에 유지하기 위한 매체이고, 피부 적용 후, 최종적으로는 증발하여 소실되는 것이다. 이러한 담체 용매를 이하, 「성분 C」라고 한다.
성분 C는, 기본적으로는 물뿐이고, 유기 용매는 본 발명 기제 중에 포함하지 않는 것(0질량%)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성분 C는, 본 발명 기제 전량 중, 20질량% 미만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5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미만 내지 1질량% 미만이고, 가능한 한 소량으로 해야 한다. 성분 C는, 기본적으로는 물이거나, 물과 약간의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 기제는 저자극성이다. 또한, 내수성에 대해서도 양호하다.
성분 C는, 최종적으로는 증발하여 소실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 기제에 포함되는 유기 용매는, 통상적으로, 휘발성 유기 용매 내지 저비점 유기 용매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저급(탄소수 1 내지 4 정도) 1가 알코올(예,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메틸에테르, 에틸에테르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저급 1가 알코올이고, 에틸알코올이다.
성분 C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물이기 때문에, 에틸알코올 등의 저급 1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는, 본 발명 기제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자극성의 관점에서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1.4 성분 D에 대하여
본 발명 기제는, 수불용성의 유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분을 이하, 「성분 D」라고도 한다. 성분 D는, 소수성 약물의 본 발명 기제에 대한 용해를 도울 수 있고, 당해 약물을 본 발명 기제에 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성분 D는, 약물(약효 성분)을 위한 가용화제, 용해 촉진제 등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기제는, 비의약용 외용제의 조제에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본 발명 기제에 성분 D를 포함함으로써, 의약용 외용제로의 용도를 더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수불용성의 유분」이란, 20℃에 있어서의 중성수에 대한 용해도가 100㎍/mL 이하인 유성의 화합물을 말한다. 성분 D에 관한 수불용성의 유분으로서는, 상기 목적에 적합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어 에스테르류, 탄화수소류, 지방산, 동식물유,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세틸이소옥타네이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트리옥탄산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세바스산디에틸,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아세트산토코페롤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경질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바셀린을 들 수 있다.
지방산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베헨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을 들 수 있다.
동식물유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보카도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카카오유, 우지, 동유, 소맥 배아유, 참깨유, 쌀배아유, 쌀겨유, 홍화유, 대두유, 달맞이꽃유, 동백유, 옥수수유, 채종유, 마지(horse fat), 도인 오일,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돈지, 포도유, 호호바유, 마카데미아 너트유, 밍크유, 면실유, 목랍, 밀랍, 표백 밀랍, 야자유, 경화 야자유, 낙화생유, 라놀린, 난황유, 로즈힙 오일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디메틸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스테아록시실리콘 등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상기 수불용성의 유분은, 상기 어느 1종이어도 되고 임의의 2종 이상의 병용이어도 된다.
본 발명 기제 중에 있어서의 성분 D의 함유량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01 내지 50질량%의 범위 내가 적당하고, 0.5 내지 25질량%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0질량%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0.01질량%보다 적으면, 소수성 약물의 기제에 대한 용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50질량%보다 많으면, 피부 위에 형성된 피막의 유연성, 신축성, 또는 내수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1.5 기타
본 발명 기제는, 기본적으로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무알코올성 수계 기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 기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원한다면 다른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안정(화)제, 가용화제, 항산화제, 습윤제, 청량화제, 착색제, 착향제(향료), 유화제, 점착제, 점착 증강제, 점조(화)제, pH 조정제, 방부제, 용제, 수렴제, 킬레이트제, 증점제, 자극 저감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에데트산나트륨수화물,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틴, D-만니톨, D-소르비톨, 벤조산벤질, 트리스아미노메탄, 콜레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탄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히드록시아니솔, 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염,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벤조트리아졸, 염산시스테인, 시트르산을 들 수 있다.
습윤제로서는, 예를 들어 1,3-부틸렌글리콜, 메틸셀룰로오스, 라우릴황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청량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멘톨(l-멘톨, dl-멘톨 등), 캄포(d-캄포, dl-캄포 등), 클로로부탄올, 게라니올, 시네올, 아네톨, 리모넨, 보르네올 등의 테르페노이드, 테르페노이드를 함유하는 정유(박하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어 타르 색소(갈색 201호, 청색 201호, 황색 4호, 황색 403호 등), 캐러멜, 구리 클로로핀나트륨, 메틸렌 블루, 치자나무 색소, 메리골드 색소, 카로틴 색소, 안토시아닌 색소, 과즙 색소, 야채 색소, 삼산화이철 등의 합성 또는 천연 유래의 색소를 들 수 있다.
상기 착향제(향료)로서는, 예를 들어 정향나무유, 피페로날, d-보르네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카르멜로오스나트륨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 증강제로서는, 예를 들어 크산탄검, 폴리에틸렌글리콜(마크로골) 6000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조(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무수 시트르산, 말산, 말레산, 숙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나트륨, 락트산, 락트산칼슘, 락트산나트륨,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빙초산 등의 유기산 또는 그의 염; 염산, 황산, 인산, 붕산,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무기산 또는 그의 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붕사 등의 수산화알칼리; 모노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아민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이소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파라옥시벤조산이소부틸, 파라옥시벤조산벤질,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벤조산, 벤조산벤질, 데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염화벤잘코늄,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벤제토늄, 아미노에틸술폰산, 페녹시에탄올,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티몰, 소르브산 및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농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벤질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수렴제로서는, 예를 들어 명반, 황산아연, 황산알루미늄칼륨, 염기성 락트산알루미늄아연 등의 금속염, 탄닌산, 시트르산, 락트산, 숙신산 등의 유기산, 식물(예를 들어, 해조, 타임, 홍차, 우롱차, 녹차, 고추나물, 하마멜리스, 비파나무(열매), 목단피, 범의귀, 루이보스, 자운영, 아티초크, 카밀레, 유칼립투스, 레몬, 로즈메리, 오이풀, 샐비어 등)에서 유래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염(나트륨염(에데트산나트륨: 일본 약전, EDTA-2Na 등), 칼륨염 등), 피트산, 글루콘산, 폴리인산, 메타인산을 들 수 있다.
상기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어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젤라틴, 로커스트 빈 검, 카라기난, 한천, 글루코만난, 커들란, 젤란 검, 크산탄 검, 폴리에틸렌글리콜, 벤토나이트, 알긴산,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마크로골,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상기 자극 저감제로서는, 예를 들어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풀루란, 알파화 전분, 한천, 트라가칸트,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감초 추출물,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목적에 따라, 어느 1종이어도 되고 임의의 2종 이상의 병용이어도 된다.
본 발명 기제는, 통상적으로, pH2 내지 9의 액성을 갖지만, 피부에 대한 자극성 및 피부 사용감이라는 관점에서, pH3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pH4 내지 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pH5 내지 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 pH는 상기 pH 조정제의 사용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 기제는, 1 내지 10,000mPa·s의 범위 내의 점도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지만, 손가락 집힙성이나 도포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3 내지 5,000mPa·s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3,000mPa·s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 기제가 형성하는 피막은, 상기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팽윤율이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팽윤율이 30% 이상이면, 피부 위에 형성된 피막이 물에 노출되면 백탁되어, 내수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당해 팽창률의 하한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혀 팽창되지 않은 0%를 들 수 있다.
본 발명 기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 기제의 조제에 필요한 각종 성분을 적절히 선택, 배합하고, 적당한 교반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교반 등을 행함으로써 본 발명 기제를 제조할 수 있다.
2 본 발명 기제의 용도 등
본 발명 기제는, 비의약품으로서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또는 의약품에 관한 약효 성분을 배합한 피막 형성형 외용제를 위한 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본 발명 기제를 포함하고 약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잡화, 화장품 등과 같은 비의약용 외용제 및 본 발명 기제와 약효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용 외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비의약용 외용제의 일 양태로서, 액체 장갑 등의 잡화, 마스카라 등의 화장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의약용 외용제의 일 양태로서, 액체 반창고, 티눈·굳은살 용제를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비의약용 외용제와 본 발명에 관한 의약용 외용제를 합하여, 「본 발명 외용제」라고 한다.
의약용의 본 발명 외용제에 있어서는, 친수성 약물부터 소수성 약물까지 넓은 범위의 약효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친수성 약물은, 그대로 본 발명 기제에 배합할 수 있고, 소수성 약물은 그대로 또는 수불용성의 유분에 용해시켜 배합할 수 있다. 당해 약물(약효 성분)로서는, 예를 들어 살균 소독제, 무좀약, 진양제, 보습제, 진통 소염제,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국소 마취제, 각질 연화제, 조직 수복제, 피부 보호제, 비타민제를 들 수 있다.
의약용의 본 발명 외용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본 발명 기제 및 원하는 약효 성분,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첨가물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교반기 등으로 교반 혼합하는 등의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의약용의 본 발명 외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비의약용의 본 발명 외용제의 경우는, 하기의 공정 1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공정 1: 약물(약효 성분)을 용해한다(약물 상).
공정 2: 본 발명에 관한 수계 에멀션에 각종 첨가물을 배합하고, 교반기로 교반하여 본 발명 기제를 조제한다(기제 상).
공정 3: 기제 상에 약물 상을 첨가하고, 교반기로 교반한다(제제 벌크).
공정 4: 제제 벌크를, 충전기를 사용하여 임의의 용기에 충전한다.
본 발명 외용제는, 밀봉 형상의 임의의 용기, 예를 들어 발포 러버 중간 마개 도포 용기, (미니) 롤온 용기, 분무(스프레이) 용기, 적하 용기, 유액 용기, 알루미늄 튜브, 핀 푸시형 용기에 봉입할 수 있다. 당해 용기로부터 피부에 직접 도포할 수 있다. 도포부의 건조를 억제하는 관점 등으로부터, 핀 푸시형 용기, 롤온 용기, 미니 롤온 용기, 분무 용기, 브러시가 부착된 용기에 봉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용기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플라스틱 전반을 들 수 있다.
의약용의 본 발명 외용제의 적용 방법은, 질환, 약효 성분, 환부,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다르고,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1일당 1회 내지 수회, 적량을 피부 등의 외피 위의, 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포 후, 본 발명 외용제는 빠르게 건조되어, 본 발명 외용제가 도포된 피부 위에 피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피막은 물에 노출되어도 팽윤되기 어렵고,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으면 비교적 장기간, 피부 위에 머무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내지 시험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등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수계 폴리머 에멀션의 검토
시판되고 있는 하기의 수계 폴리머 에멀션(WPE)에 대하여, 막의 형성 상태를 평가했다.
당해 막은, WPE액 0.5g을 5.0㎠의 원형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에 넣고, 실온에서 하룻 밤 건조시켜 조제했다(도포량: 0.1g/㎠, n=3).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팽윤율(%)은 다음의 방법으로 산출했다(이하의 시험예에서도 동일하다).
얻어진 막의 중량(W1)을 측정 후, 당해 막을 정제수가 들어간 유리 용기에 넣고, 실온 하에서 24시간 침지하였다. 침지 후 유리 용기로부터 당해 막을 취출하고, 표면의 수분을 닦은 후의 당해 막의 중량(W2)을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팽윤율(%)을 산출하였다.
팽윤율(%)=(W1-W2)/W1×100
(식 중, W1 및 W2는 상기와 동의.)
또한, 폴리머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경은, Nanotrac WaveII(MICROTRAC사제)를 사용하여, 동적 광산란법(DLS)에 의해 측정하였다.
<검토에 사용한 시판되고 있는 수계 폴리머 에멀션(WPE)의 예>
1: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션(DERMACRYL, 마츠모토 고쇼사제)
2: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션(COVACRYL E14 WP, 센시엔트 테크놀로지즈 재팬사제)
3: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션(COVACRYL MS11 WP, 센시엔트 테크놀로지즈 재팬사제)
4: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션(YODOSOL GH800F, 마츠모토 고쇼사제)
5: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션(YODOSOL GH810F, 마츠모토 고쇼사제)
6: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션(비니졸 1086WP, 다이도 가세이 고교사제)
7: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션(비니졸 1089HT, 다이도 가세이 고교사제)
8: 아크릴산알킬·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션(YODOSOL GH41H, 마츠모토 고쇼사제)
9: 아크릴산알킬·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션(비니졸 1012JC, 다이도 가세이 고교사제)
10: 아크릴산알킬·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션(비니졸 1013JH, 다이도 가세이 고교사제)
11: 아크릴산알킬·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션(비니졸 1019CT, 다이도 가세이 고교사제)
12: 아크릴산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비니졸 2140L, 다이도 가세이 고교사제)
13: 아크릴산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비니졸 2140LH, 다이도 가세이 고교사제)
Figure pct00001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전이 온도(Tg)와 최저 조막 온도(MFT)가 모두 30℃보다 높은 수계 폴리머 에멀션 7과 10에서는, 막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수계 폴리머 에멀션 12 및 13에 대해서는, 정제수에 침지하면 백탁되고, 팽윤율이 모두 30%를 초과하여, 내수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한편, 수계 폴리머 에멀션 3, 5, 6, 8, 9에 대해서는, 정제수에 침지해도 투명 내지 반투명을 유지하고, 팽윤율이 30% 미만이고, 내수성이 양호하였다.
[시험예 2] 첨가물: 가소제의 검토 1
일정한 첨가물 10질량%를 칭량 후, 이것에 상기 수계 폴리머 에멀션 6을 첨가하여 100질량%로 하였다. 이 액을 교반기(IKA T18basic(ULTRA-TURRAX사제))에서 1분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액 0.5g을 사용하여,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막 조제를 행하고, 얻어진 막의 기포 상태, 투명성, 유연성, 신축성, 강도 및 내수성(색조와 유연성)을 평가했다(n=3). 또한, 각각 얻어진 막의 팽윤율을 산출하였다.
각 시험에 있어서, 기포와 투명성의 평가는, 얻어진 막을 눈으로 보아 행하였다. 유연성의 평가는, 얻어진 막을 손가락으로 절곡하여 행하고, 신축성의 평가는, 얻어진 막을 손가락으로 인장하여 행하고, 강도의 평가는, 얻어진 막을 손가락으로 복수회 절곡하여 행하였다. 내수성의 평가는, 얻어진 막을, 정제수를 넣은 유리 용기에, 실온 하에서 24시간 침지하고, 침지 후 유리 용기로부터 막을 취출하고, 표면의 수분을 닦은 후, 색은 눈으로 보고, 유연성은 절곡했을 때의 경도의 관점에서 행하였다. 각각 평가점 방식으로 평가했다(이하의 시험에서도 동일하다.). 그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계 폴리머 에멀션 6만으로 피막을 형성시킨 경우, 당해 피막은 강도가 양호하고, 정제수에 침지시키면 투명을 유지하고, 팽윤율이 9.3%로 내수성이 우수했지만, 유연성이 약간 없고, 신축성은 거의 없었다. 수계 폴리머 에멀션 6에 다가 알코올이나 다당류를 첨가한 경우는, 얻어진 막의 유연성 및 신축성을 향상시켰지만, 당해 막을 정제수에 침지하면 백탁되어 내수성은 악화되었다. 또한, 계면 활성제는, 배합하면 기제가 응집하는 것도 있었지만, 에스테르계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한 경우는, 얻어진 막의 유연성 및 신축성이 개선되어, 당해 막을 정제수에 침지했을 때의 팽윤율은 20% 이하이고, 반투명을 유지했다. 셀룰로오스류에 대해서는, 특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얻어진 막의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개선하고, 당해 막을 정제수에 침지했을 때의 팽윤율이 20% 이하이고, 반투명을 유지했다.
[시험예 3] 첨가물: 가소제의 농도의 검토
시험예 2에 있어서,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의 결과가 양호했으므로,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의 첨가량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시험은, 피막 형성제로서 수계 폴리머 에멀션 6과 9를 사용하여, 시험예 2와 마찬가지로 막 조제를 행하고, 조제한 막에 대하여 시험예 2와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n=3). 그 결과를 표 5와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표 5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막 형성제의 수계 폴리머 에멀션 6 및 9 모두,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가소제)의 농도의 증가와 함께, 팽윤율이 증가하고, 내수성(색)도 반투명 내지 백탁으로 저하 경향을 나타냈다.
외관(기포, 투명성), 유연성, 신축성, 강도 및 내수성이 우수한 것은, 수계 폴리머 에멀션 6을 사용한 경우에는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의 첨가량이 0.5 내지 2.5질량%의 범위 내이고, 수계 폴리머 에멀션 9를 사용한 경우는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의 첨가량이 1.0 내지 2.5질량%의 범위이고, 이 범위의 팽윤율은 30% 이하였다.
[시험예 4] 첨가물: 가소제의 검토 2
시험예 2에 있어서,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의 결과가 양호했으므로, 몇몇 모노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 활성제에 대해서도, 시험예 2와 마찬가지로 막 조제를 행하고, 조제한 막에 대하여 시험예 2와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n=3). 그 결과를 표 7과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표 7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토한 모든 모노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있어서, 얻어진 막의 유연성 및 신축성은 개선되고, 당해 막을 정제수에 침지했을 때의 팽윤율은 30% 이하이고, 내수성도 우수했다.
[시험예 5] 첨가물: 유분의 검토 1
상기 수계 폴리머 에멀션 6에, 모노 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MYL-10V)과 일정한 수불용성 유분을 첨가하여(첨가량: 1.25질량% 및 2.50질량%), 시험예 2와 마찬가지로 막 조제를 행하고, 조제한 막에 대하여 시험예 2와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n=3). 또한, 그 결과를 표 9 및 표 10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표 9 및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노 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5질량% 및 2.50질량% 배합 하에 있어서,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아세트산토코페롤, 트리(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세바스산디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실리콘, 호호바유와 같은 식물유,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과 같은 탄화수소류를 배합한 경우도, 유연성, 신축성, 강도 및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첨가물: 유분의 검토 2
상기 수계 폴리머 에멀션 9에,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MYO-10V)과 일정한 수불용성 유분을 첨가하여(첨가량: 1.00질량%, 도포량: 0.5g), 시험예 2와 마찬가지로 막 조제를 행하고, 조제한 막에 대하여 시험예 2와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n=3). 또한, 그 결과를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 1.00질량% 배합 하에 있어서,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아세트산토코페롤, 트리(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세바스산디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실리콘, 호호바유와 같은 식물유,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과 같은 탄화수소류를 배합한 경우도, 유연성, 신축성, 강도 및 내수성이 우수한 피막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 기제는, 수불용성의 유분이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소수성 약물을 배합해도 그 응집 또는 침전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하다. 특히, 당해 유분으로서의 에스테르류는 일반적으로 피부 흡수 촉진 효과도 발휘되기 때문에, 약물의 흡수 촉진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 기제는, 예를 들어 잡화 등의 비의약용 외용제 및 액체 반창고 등의 의약용 외용제의 기제로서 유용하다. 이러한 비의약용 외용제는 일상의 생활 분야, 의약용 외용제는, 의약품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4)

  1. 다음의 성분 A 내지 성분 C를 포함하는,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A) (메트)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입자가 물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계 폴리머 에멀션을 포함하는 피막 형성제이며, 상기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상기 에멀션의 최저 조막 온도가 모두 30℃ 이하이고, 또한 형성된 피막을 물에 24시간 침지하여 팽윤시킨 경우의,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팽윤율이 30% 미만인 피막 형성제,
    팽윤율(%)=(W1-W2)/W1×100
    (식 중, W1은 침지 전 중량(g)을, W2는 침지 후 중량(g)을 각각 나타낸다.);
    B)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셀룰로오스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소제; 및
    C) 담체 용매로서, 물 또는 물 및 기제 전량 중 20질량% 미만의 유기 용매.
  2. 제1항에 있어서, 수불용성의 유분을 더 포함하는,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중합체, 또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 내지 300㎚의 범위 내인,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에멀션 중에 있어서의 폴리머 고형분량이 20 내지 70질량%의 범위 내인,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모노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이고, 상기 셀룰로오스류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인,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의 유분이, 에스테르류, 탄화수소류, 지방산, 동식물유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물 비팽윤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8. 제7항에 있어서, 에스테르류가,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아세트산토코페롤, 트리(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혹은 세바스산디에틸이거나; 탄화수소류가,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혹은 바셀린이거나; 지방산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혹은 올레산이거나; 동식물유가, 피마자유, 호호바유, 혹은 마카데미아 너트유이거나; 또는 실리콘이 폴리디메틸실록산인,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를 포함하는, 비의약용 외용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와 약효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용 외용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액체 반창고인, 의약용 외용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효 성분이, 살균 소독제, 무좀약, 진양제, 보습제, 또는 진통 소염제인, 의약용 외용제.
  13. 제9항에 있어서, 외용제가, 핀 푸시형 용기, 롤온 용기 혹은 미니 롤온 용기, 분무 용기, 또는 브러시가 부착된 용기에 봉입된, 비의약용 외용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외용제가, 핀 푸시형 용기, 롤온 용기 혹은 미니 롤온 용기, 분무 용기, 또는 브러시가 부착된 용기에 봉입된, 의약용 외용제.
KR1020237043825A 2022-03-30 2022-08-30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KR20240010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22/015988 2022-03-30
PCT/JP2022/015988 WO2023188108A1 (ja) 2022-03-30 2022-03-30 水非膨潤性の皮膜形成型外用剤基剤
PCT/JP2022/032519 WO2023188456A1 (ja) 2022-03-30 2022-08-30 水非膨潤性の皮膜形成型外用剤基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029A true KR20240010029A (ko) 2024-01-23

Family

ID=8802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825A KR20240010029A (ko) 2022-03-30 2022-08-30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49048B1 (ko)
KR (1) KR20240010029A (ko)
CN (1) CN11759714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325A (ja) 1982-10-19 1984-08-10 Nissan Chem Ind Ltd 透明速乾性塗布剤組成物
JPH03275619A (ja) 1990-03-23 1991-12-06 Nitsusui Seiyaku Kk 外用剤組成物
JPH0558914A (ja) 1991-08-27 1993-03-0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06157327A (ja) 1992-11-27 1994-06-03 Sekisui Chem Co Ltd 眠気防止用外用剤及び貼付剤
JPH092943A (ja) 1995-06-21 1997-01-07 Lion Corp 被膜形成型外用液剤
JP2015199702A (ja) 2014-03-31 2015-11-12 株式会社コーセー 人工爪被覆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900B2 (ja) 2009-12-16 2014-02-12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手指用外用剤
JP2018095559A (ja) 2016-12-08 2018-06-21 ケン・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メイクアップ化粧料及びメイクアップ方法
JP2021006522A (ja) 2019-06-27 2021-01-21 ロート製薬株式会社 被膜形成性皮膚外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325A (ja) 1982-10-19 1984-08-10 Nissan Chem Ind Ltd 透明速乾性塗布剤組成物
JPH03275619A (ja) 1990-03-23 1991-12-06 Nitsusui Seiyaku Kk 外用剤組成物
JPH0558914A (ja) 1991-08-27 1993-03-0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06157327A (ja) 1992-11-27 1994-06-03 Sekisui Chem Co Ltd 眠気防止用外用剤及び貼付剤
JPH092943A (ja) 1995-06-21 1997-01-07 Lion Corp 被膜形成型外用液剤
JP2015199702A (ja) 2014-03-31 2015-11-12 株式会社コーセー 人工爪被覆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188456A1 (ko) 2023-10-05
JP7349048B1 (ja) 2023-09-22
CN117597148A (zh)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7803B2 (ja) 皮膚外用剤
EP3015100B1 (en) Cosmetic
TW201350132A (zh) 具有經時安定性之w/o/w型乳液及其製造方法
TW200536562A (en) Water-soluble thickener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same
KR20170076223A (ko)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206095A (zh) 含有脂质肽型化合物的经皮吸收基材
JP3659395B2 (ja) 親水性の増粘化合物と多糖類アルキルエーテルを含有するエマルション及び該エマルシ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EP2598207A2 (en) Surfactant-free oil-in-water type emulsion, process fo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KR20160043758A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JP2007518678A (ja) 高度不けん化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方法
KR102114084B1 (ko) 모발 및 두피케어용 트리트먼트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7044A (ko) 사용감이 좋은 유화 조성물
WO2023188456A1 (ja) 水非膨潤性の皮膜形成型外用剤基剤
JP7374755B2 (ja) 皮膚外用組成物
BR102018006449A2 (pt) composições tópicas compreendendo retinoides e agentes de limpeza poliméricos de baixa irritação
CN107997987A (zh) 透明质酸纳米乳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40010029A (ko) 물 비팽윤성의 피막 형성형 외용제 기제
JP7349047B1 (ja) 水膨潤性の皮膜形成型外用剤基剤
JP5199612B2 (ja) 2剤式化粧料
CN107708660A (zh) 包含脂质肽型化合物的棒状基材
Viyoch et al. Development of oil-in-water emulsion containing Tamarind fruit pulp extract I.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emulsion
WO2023188457A1 (ja) 水膨潤性の皮膜形成型外用剤基剤
JP2002145733A (ja) 固形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TW202408460A (zh) 非水膨潤性之皮膜形成型外用劑基劑
JP2013129638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