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092A -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092A
KR20240009092A KR1020220086172A KR20220086172A KR20240009092A KR 20240009092 A KR20240009092 A KR 20240009092A KR 1020220086172 A KR1020220086172 A KR 1020220086172A KR 20220086172 A KR20220086172 A KR 20220086172A KR 20240009092 A KR20240009092 A KR 20240009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unit
connector
circula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007B1 (ko
Inventor
진현오
Original Assignee
진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오 filed Critical 진현오
Priority to KR102022008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007B1/ko
Publication of KR20240009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플랜지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원형결합플랜지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에 결합되어 원형플랜지에 지지되며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와 결합되거나 그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는 커플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과 분리가 가능하고,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 누수를 방지한다.

Description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ANGLE CONTROLABLE PIPE AND BRIDGE DRAI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고가도로, 지하차도 등의 구조물에 있어서 구조물 노면에 유입되는 우수와 오수를 집수하여 구조물 하부 또는 외부로 유도하여 배수시키는 배수시스템이 설치된다.
종래 배수시스템의 일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시스템은 교량, 고가도로 등의 구조물의 노면 폭방향 양쪽(또는 한쪽)에 노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우수 및 오수(이하, 우수 및 오수를 노면수라 함)를 집수하는 집수장치(10)들과, 그 집수장치(10)들을 연결하여 집수장치(10)들에 각각 집수되는 노면수를 모아 아래로 배수시키는 배수장치(20)를 포함한다. 배수장치(20)는 집수장치(10)들에 각각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수직배수관(21)들과, 그 수직배수관(21)들에서 각각 배수되는 노면수를 모아 아래로 배수시키는 수평경사배수관(22)과, 수직배수관(21)과 수평경사배수관(22)을 연결하는 절곡연결관(23)들을 포함한다. 절곡연결관(23)들은 수평경사배수관(22)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과 수직배수관(21)을 연결할 때는 대략 90도로 절곡된 엘자형 절곡연결관이 사용되고, 수평경사배수관(21)의 중간부분을 연결할 때는 티자형 절곡연결관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배수장치는 공장에서 수직배수관(21)들, 수평경사배수관(22), 절곡연결관(23)들을 미리 제작하여 교량에 설치하게 되는데, 교량의 형식, 교량의 길이, 교량의 폭, 집수장치 등에 따라 수평경사배수관(22)의 경사각이 다르게 되어 엘자형 절곡연결관(23)들과 티자형 절곡연결관(23)들의 절곡 각도가 잘 맞지 않아 절곡연결관(23)들을 현장에서 배수관을 절단, 가공, 용접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환경오염 등으로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비가 상승하고 시공 불량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6362호(2013.10.08. 공고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직경이 다른 두 개의 구를 연결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방향조절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과 분리가 가능한,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 누수를 방지하는,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플랜지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는 원형결합플랜지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에 결합되어 원형플랜지에 지지되며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와 결합되거나 그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환형지지링부와, 상기 환형지지링부의 외측 테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링부와, 상기 테두리링부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환형결합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결합링부는 내측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의 결합돌기들이 상기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 개구결합홈들에 삽입되어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원형결합플랜지가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연결관이 제공된다.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의 결합돌기들에 각각 결합돌기의 원주 방향 한쪽 단부 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의 결합돌기들에 각각 결합돌기의 원주 방향 한쪽 단부 일면에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의 결합돌기들 각 일측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원형플랜지와 제2 단위연결관의 원형결합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량에 구비되어 노면수가 집수되는 집수장치; 상기 집수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장치에 집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키는 적어도 한 개의 각도조절연결관; 상기 각도조절연결관에 연결되어 각도조절연결관을 통해 배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키는 수평경사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연결관은,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원형플랜지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는 제2 원형결합플랜지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에 결합되어 제1 원형플랜지에 지지되며 상기 제2 원형결합플랜지와 결합되거나 그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환형지지링부와, 상기 환형지지링부의 외측 테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링부와, 상기 테두리링부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환형결합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결합링부는 내측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원형결합플랜지의 결합돌기들이 상기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 개구결합홈들에 삽입되어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제2 원형결합플랜지가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연결관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되므로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을 일정 각으로 회전시켜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의 절곡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연결관들의 각도를 조절하여 연결관들을 연결하게 되므로 시공 정밀도를 높이고 시공 작업이 간단하며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연결유닛은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플랜지와,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원형결합플랜지와, 제1 단위연결관에 결합되어 원형플랜지에 지지되며 원형결합플랜지와 결합되거나 그 결합이 해제되어 제1,2 단위연결관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는 커플러를 포함하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1,2 단위연결관의 연결과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과 분리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아울러, 제1,2 단위연결관 중 한 개의 단위연결관이 파손될 경우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단위연결관을 회전시킴에 따라 커플러에 의해 제1,2 단위연결관이 밀착 연결되므로 누수를 방지하게 되어 제1,2 단위연결관을 통과하는 노면수가 누수되지 않고 배수된다.
도 1은 종래 배수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원형결합플랜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플러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 제1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부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 제1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부분 도시한 평면도,
도 9,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2 실시예의 직선 상태 및 절곡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3 실시예의 직선 상태 및 절곡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는, 제1,2 단위연결관(100)(200), 회전연결유닛(300)을 포함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은 각각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게 위치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은 각각 횡단면이 원형이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두께와 외경은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서로 접촉되는, 길이 방향 끝면은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이거나 경사진 경사면이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서로 접촉되는 끝면이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면인 경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서로 접촉되는 끝면이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면인 경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은 절곡된 형태로 연결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서로 접촉되는 끝면이 경사면인 경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각 경사면 각도는 서로 같다. 즉, 제1 단위연결관(1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면이 제1 단위연결관(100)의 중심선에 대하여 45도 경사진 경사면을 갖게 되면,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면이 제2 단위연결관(200)의 중심선에 대하여 45도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회전연결유닛(300)은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회전연결유닛(300)의 일실시예로, 회전연결유닛(300)은 제1 단위연결관(100)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플랜지(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321)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321)들 사이에 결합돌기(322)들이 형성되는 원형결합플랜지(320)와, 제1 단위연결관(100)에 결합되어 원형플랜지(310)에 지지되며 원형결합플랜지(320)와 결합되거나 그 결합이 해제되어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는 커플러(330)를 포함한다.
제1 단위연결관(100)의 원형플랜지(310)는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결합플랜지(320)는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들은 서로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개구결합홈(321)들 또한 서로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러(330)는,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위연결관(1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환형지지링부(331)와, 그 환형지지링부(331)의 외측 테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링부(332)와, 그 테두리링부(332)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환형결합링부(333)를 포함한다.
환형지지링부(331)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환형지지링부(331)의 내경은 제1 단위연결관(100)의 외경보다 크고 원형플랜지(310)의 외경보다 작으며 외경은 제1 단위연결관(100)의 원형플랜지(310) 외경보다 크다. 환형결합링부(333)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환형결합링부(333)의 내경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 외경보다 작고 외경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러(330)의 환형결합링부(333)는 내측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334)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334)들 사이에 결합돌기(335)가 형성된다. 환형결합링부(333)의 결합돌기(335)들은 서로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개구결합홈(335)들 또한 서로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러(330)의 환형결합링부(333)의 결합돌기(335)들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개구결합홈(321)들과 대응되고, 환형결합링부(333)의 개구결합홈(334)들은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들과 대응된다. 환형결합링부(333)의 결합돌기(335)들의 끝을 연결하는 가상원의 크기는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개구결합홈(321)들의 저면을 연결하는 가상원의 크기와 같거나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결합링부(333)의 개구결합홈(334)들은 저면을 연결하는 가상원의 크기가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들의 끝을 연결하는 가상원의 크기와 같거나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러(330)의 환형지지링부(331)의 내측면과 환형결합링부(333)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제1 단위연결관(100)의 원형플랜지(310) 두께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약간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들에 각각 결합돌기(322)의 원주 방향 한쪽 단부 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3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323)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323)가 접촉되는 환형결합링부(333)의 개구결합홈(334)의 원주 방향 접촉면에 홈측경사면(1)이 구비되고 개구결합홈(334)에 접촉되는 걸림돌기(323)의 원주 방향 접촉면에 돌기측경사면(2)이 구비되어 걸림돌기(323)가 개구결합홈(334)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걸림돌기(323)의 돌기측경사면(2)이 개구결합홈(334)의 홈측경사면(1)에 밀착되어 제2 단위연결관(200)의 축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들에 각각 결합돌기(322)의 원주 방향 한쪽 단부 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323')가 구비되고, 커플러(330)의 환형결합링부(333)의 결합돌기(335)들 각 일측면에 걸림돌기(323')가 삽입되는 걸림홈(356)이 구비되어 원형결합플랜지의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323')가 접촉되는 걸림홈(356)의 원주 방향 접촉면에 홈측경사면이 구비되고, 걸림홈(356)에 접촉되는 걸림돌기(323')의 원주 방향 접촉면에 돌기측경사면이 구비되어 걸림돌기(323')가 걸림홈(356)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323')의 돌기측경사면이 걸림홈(356)의 홈측경사면에 밀착되어 제2 단위연결관(200)의 축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가 커플러에 결합시 축방향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와 대면 접촉되는 커플러(330)의 환형결합링부(333)의 결합돌기(335)의 접촉면 중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 접촉면 또는 환형결합링부(333)의 결합돌기(335) 접촉면에 경사면(테이퍼면)이 구비되거나 양쪽 접촉면에 각각 경사면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단위연결관(100)의 원형플랜지(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340)와, 그 실링부재(340)를 가압하는 스페이서(3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340)와 스페이서(350)는 환형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단위연결관(100)의 원형플랜지(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가 서로 접촉되는 접촉면에 각각 환형링홈(3)이 구비되고 그 환형림홈(3)에 실링부재(340)와 스페이서(35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연결유닛(300)은 커플러(330)의 환형지지링부(331)와 환형결합링부(333)의 내측 구멍으로 제1 단위연결관(100)이 관통 삽입되도록 커플러(330)를 제1 단위연결관(100)에 결합시켜 커플러(330)의 환형지지링부(331)의 내측면을 제1 단위연결관(100)의 원형플랜지(310)에 접촉시킨다.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들과 개구결합홈(321)들이 각각 커플러(330)의 환형결합링부(333)의 개구결합홈(334)들과 결합돌기(335)들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단위연결관(100)을 축방향으로 밀어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를 커플러(330) 내부로 삽입시키고 이어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들과 환형결합링부(333)의 결합돌기(335)들이 각각 대면 접촉되도록 제2 단위연결관(20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다.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들과 환형결합링부(333)의 결합돌기(335)들이 각각 접촉 지지됨에 의해 제1 단위연결관(100)의 원형플랜지(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원형결합플랜지(320)가 밀착되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 일측에 걸림돌기(323)가 구비되는 경우 제2 단위연결관(200)을 회전시 원형결합플랜지(320)의 결합돌기(322)들과 환형결합링부(333)의 결합돌기(335)들의 각 대면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서로 대면되는 끝면이 경사면일 경우 제2 단위연결관(200)의 회전에 따라 제1,2 연결관(100)(200)은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거나 직선을 이루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의 제2 실시예는,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 회전연결유닛(300)들을 포함한다.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은 순서적으로 연결된다.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양쪽 끝은 각각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이되 서로 경사 방향이 다르며, 한쪽 경사면을 제1 경사면이라 하고 다른 경사면을 제2 경사면이라 한다.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한쪽에 위치하는 제1 단위연결관(1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면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제1 경사면과 같은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구비되고,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에 위치하는 제3 단위연결관(4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면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제2 경사면과 같은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구비된다.
회전연결유닛(300)들 중 한 개의 회전연결유닛(300)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제1 경사면측과 제1 단위연결관(100')의 경사면측을 연결하고, 다른 한 개의 회전연결유닛(300)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제2 경사면측과 제3 단위연결관(400)의 경사면측을 연결한다. 회전연결유닛(300)은 위에서 설명한 회전연결유닛(300)과 구성이 같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과 제2,3 단위연결관(200')(4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을 각각 회전시켜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과 제2,3 단위연결관(200')(4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을 각각 회전시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을 직선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양쪽 단의 경사면의 경사 방향이 서로 같은 경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과 제2,3 단위연결관(200')(4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을 각각 회전시켜 직선 형태로 연결하거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된 상태에서 제1,3 단위연결관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는, 집수장치(10), 각도조절연결관(B), 수평경사배수관(40)을 포함한다.
집수장치(10)는 교량에 구비되어 노면수가 집수된다. 집수장치(10)는 하면에 구멍이 구비된 집수정(11)과, 그 집수정(11)을 커버하는 그레이팅(12)을 포함한다. 집수장치(10)는 한 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각도조절연결관(B)은 집수장치(10)에 연결되어 집수장치(10)에 집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킨다. 각도조절연결관(B)은 집수장치(1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연결된다. 각도조절연결관(B)의 일예로, 각도조절연결관(B)은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100)(200)과,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을 포함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과 회전연결유닛(300)은 위에서 설명한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의 제1,2 단위연결관(100)(200)과 회전연결유닛(300)과 각각 같다. 각도조절연결관(B)의 제1 단위연결관(100)이 집수장치(10)의 하면 구멍에 연결된다.
각도조절연결관(B)의 다른 일예로, 각도조절연결관(B)은 서로 연결되는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과,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연결관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들을 포함한다.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과 회전연결유닛(300)들은 위에서 설명한 각도조절연결관 제2 실시예의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과 회전연결유닛(300)들과 각각 같다. 각도조절연결관(B)의 제1 단위연결관(100)이 집수장치(10)의 하면 구멍에 연결된다.
수평경사배수관(40)은 각도조절연결관(B)에 연결되어 각도조절연결관(B)을 통해 배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킨다. 집수장치(10)가 한 개 이상일 경우 다른 집수장치(10)에 적어도 한 개의 각도조절연결관(B)이 연결되고 수평경사배수관(40)에 티자형 절곡연결관(50)이 연결되고 티자형 절곡연결관(50)과 각도조절연결관(B)이 연결된다. 티자형 절곡연결관(50)과 각도조절연결관(B) 사이에 수직연결관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연결관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교량 노면의 노면수는 집수장치(들)(10)에 집수되어 각도조절연결관(B)와 수평경사배수관(40)을 통해 지하 배수관으로 배수된다.
본 발명은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연결관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연결유닛(300)에 의해 연결되므로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을 일정 각으로 회전시켜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의 절곡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연결관들의 각도를 조절하여 연결관들을 연결하게 되므로 시공 정밀도를 높이고 시공 작업이 간단하며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연결유닛(300)은, 제1 단위연결관(100)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플랜지(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321)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321)들 사이에 결합돌기(322)가 형성되는 원형결합플랜지(320)와, 제1 단위연결관(100)에 결합되어 원형플랜지(310)에 지지되며 원형결합플랜지(320)와 결합되거나 그 결합이 해제되어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는 커플러(330)를 포함하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연결과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과 분리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아울러, 제1,2 단위연결관(100)(200) 중 한 개의 단위연결관이 파손될 경우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단위연결관(200)을 회전시킴에 따라 커플러(330)에 의해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이 밀착 연결되므로 누수를 방지하게 되어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통과하는 노면수가 누수되지 않고 배수된다.
100; 제1 단위연결관 200; 제2 단위연결관
300; 회전연결유닛 310; 원형플랜지
320; 원형결합플랜지 330; 커플러

Claims (5)

  1.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플랜지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원형결합플랜지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에 결합되어 원형플랜지에 지지되며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와 결합되거나 그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환형지지링부와, 상기 환형지지링부의 외측 테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링부와, 상기 테두리링부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환형결합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결합링부는 내측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의 결합돌기들이 상기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 개구결합홈들에 삽입되어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원형결합플랜지가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연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의 결합돌기들에 각각 결합돌기의 원주 방향 한쪽 단부 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연결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의 결합돌기들에 각각 결합돌기의 원주 방향 한쪽 단부 일면에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의 결합돌기들 각 일측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연결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원형플랜지와 제2 단위연결관의 원형결합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연결관.
  5. 교량에 구비되어 노면수가 집수되는 집수장치;
    상기 집수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장치에 집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키는 적어도 한 개의 각도조절연결관;
    상기 각도조절연결관에 연결되어 각도조절연결관을 통해 배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키는 수평경사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연결관은,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플랜지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는 원형결합플랜지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에 결합되어 원형플랜지에 지지되며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와 결합되거나 그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환형지지링부와, 상기 환형지지링부의 외측 테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링부와, 상기 테두리링부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환형결합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결합링부는 내측 테두리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결합홈들이 형성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개구결합홈들 사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결합플랜지의 결합돌기들이 상기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 개구결합홈들에 삽입되어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원형결합플랜지가 커플러의 환형결합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장치.
KR1020220086172A 2022-07-13 2022-07-13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KR10265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172A KR102653007B1 (ko) 2022-07-13 2022-07-13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172A KR102653007B1 (ko) 2022-07-13 2022-07-13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092A true KR20240009092A (ko) 2024-01-22
KR102653007B1 KR102653007B1 (ko) 2024-03-29

Family

ID=8971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172A KR102653007B1 (ko) 2022-07-13 2022-07-13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0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102A (ja) * 2005-01-20 2006-08-31 Chiyoda Koei Kk 鋼管の接合継手
KR20100003785U (ko) * 2010-02-24 2010-04-08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KR101171334B1 (ko) * 2012-03-07 2012-08-10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19007768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102A (ja) * 2005-01-20 2006-08-31 Chiyoda Koei Kk 鋼管の接合継手
KR20100003785U (ko) * 2010-02-24 2010-04-08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KR101171334B1 (ko) * 2012-03-07 2012-08-10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19007768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007B1 (ko)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27450A (en) Pipe and pipe lining method using rotatable, interengaged pipe sections
KR102653007B1 (ko)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JP4564857B2 (ja) 排水管路構造、排水管路の施工方法および排水管路施工セット
JP2008019976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5089487B2 (ja) 管体の継手構造、これを備えた管継手及びます
US20170074438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KR20220140445A (ko)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KR20240009095A (ko)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EP0225305B1 (en) Pipe connector device
US20170074432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KR19990064751A (ko) 만능각도 관이음 플렌지
KR200301137Y1 (ko) U자형 흄관의 연결구조
KR101059542B1 (ko) 맨홀
JP5519131B2 (ja) 管渠の止水壁装置、仮設水路装置および管渠の止水方法
KR100947851B1 (ko) 교량 배수시설용 배수관 조립체
GB2485426A (en) Floor drain corner deflector
US20170074431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KR20170075077A (ko) 도로 배수 시스템
CN210013315U (zh) 一种防渗漏的地漏排水管道结构
KR20170043406A (ko) 양단 플랜지간 폭 미세 조정이 가능한 제수밸브
KR200216512Y1 (ko) 조립식 관로구
KR101166228B1 (ko) 배수관 연결용 이음관
JP5606040B2 (ja) スライド継手および排水集合管と立管との連結構造
JP2002339447A (ja) 排水桝
JP3927633B2 (ja) 配管用止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