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785U -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785U
KR20100003785U KR2020100001945U KR20100001945U KR20100003785U KR 20100003785 U KR20100003785 U KR 20100003785U KR 2020100001945 U KR2020100001945 U KR 2020100001945U KR 20100001945 U KR20100001945 U KR 20100001945U KR 20100003785 U KR20100003785 U KR 201000037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drain pipe
connection
ang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기술개발(주) filed Critical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to KR2020100001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785U/ko
Publication of KR20100003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가도로, 교량 등의 구조물 노면의 양측에 집수구를 설치하고 집수구로 유입되는 우수나 오수 등을 집수하여 하상 또는 지상으로 배수시키는 교량, 고가도로의 배수설비에 있어서, 집수구에 접속연결된 "L"형 접속이음구와 배수관 사이의 접속 연결부 또는 배수관과 배수관 사이의 "-"형, "T"형 접속이음구의 접속 연결부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각도조정면을 형성한 패킹부재와 체결밴드를 개입하여 교량, 고가도로의 시공현장여건과 설치조건에 따라 배수관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수설비의 설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A angle adjustment device for water drain pipe of drain system of bridge}
본 고안은 고가도로, 교량 등의 구조물 노면의 양측에 집수구를 설치하고 집수구로 유입되는 우수나 오수 등을 집수하여 하상 또는 지상으로 배수시키는 교량, 고가도로의 배수설비에 있어서, 집수구에 접속연결된 "L"형 접속이음구와 배수관 사이의 접속 연결부 또는 배수관과 배수관 사이의 "-"형, "T"형 접속이음구의 접속 연결부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각도조정면을 형성한 패킹부재와 체결밴드를 개입하여 교량, 고가도로의 시공현장여건과 설치조건에 따라 배수관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수설비의 설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고가도로 등의 구조물에 있어서는 노면에 유입되는 우수와 오수를 집수하여 하부로 유도하여 배수시키는 배수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교량, 고가도로 등의 구조물의 집수설비 및 배수설비는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갓길에 일정간격으로 집수설비를 설치하고, 집수설비에 배수관과 "L"형, "-"형 및 "T"형 이음관을 개입하여 상호 연결하는 방식으로 배수시스템이 구성되고 있고, 이러한 "L"형, "-"형 및 "T"형 이음관은 배수관이 연결되는 수평각이 교량이나 교가도로의 설계시 미리 설계에 반영하여 "L"형, "-"형 및 "T"형 접속이음관과 배수관을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설치하거나, 또는 범용으로 미리 제작된 일정각도의 수평 기울기를 갖는 "L"형, "-"형 및 "T"형 접속이음관을 제작하고 이를 배수관과 현장에서 조립, 연결하여 설치하고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교량이나 고가도로 구축시 현장조건이나 작업조건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배수관의 수평 위치나 기울기를 변경하여 배수관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발생시 기존의 미리 제작된 일정각도의 수평 기울기를 갖는 "L"형, "-"형 및 "T"형 접속이음관과 배수관의 현장시공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울기가 변경되는 "L"형, "-"형 및 "T"형 접속이음관과 배수관 등의 배수설비를 다시 별도로 제작하여 준비하여 시공하거나 연결부위를 절단하고 다시 용접하는 등의 작업으로 재가공하게 되는 등 배수설비의 제작이나 시공상 여러 가지 단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발생으로 인하여 시공 작업의 공기가 늘어지거나 많은 인력과 노고가 요구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어 결국 시공비 등이 상승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요인도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설비시스템의 단점을 해소하고, 현장의 작업조건이나 교량, 고가도로의 설비 변경에 따른 제반 조건에 대응하여 현장에서 배수관의 수평각도를 임의 조정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교량,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 현장에서 배수관의 수평 기울기를 조정하여 배관할 수 있는 구조로 :L"형, "-"형 및 "T"형 접속이음관과 배수관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각도조정면을 형성한 패킹부재와 체결밴드로 구성되는 각도조정수단을 개입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하여, 배수관의 수평 기울기 조정작업을 현장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배수설비의 설치작업을 능률적이며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량,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수관의 수평 기울기의 조정 작업시 요구하는 기울기의 각도로 설정된 각도조정면이 형성된 패킹부재만을 교체만으로 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설계사양에 구애됨이 없이 대량생산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양산이 가능한 교량,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 접속단에 체결홈이 환설된 "-"형 배수관과; 양측 접속단 에 체결홈이 환설된 "-"형 배수관과 접속 연결되고 양단측의 각 접속단에 체결홈을 환설한 "L"형 및 "T"형 접속이음관과; "-"형 배수관과 "T"형, "L"형 접속이음관의 각 접속부가 안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접속연결하는 각도조정면을 형성한 원통형 패킹부재와; 각도조정면을 형성한 패킹부재를 각각의 접속단에 체결시켜 주기위한 체결밴드를 구비하여 현장의 작업조건이나 교량, 고가도로의 설비 변경에 따른 제반 조건에 대응하여 현장에서 배수관의 수평각도를 임의 조정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교량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1의 A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결합상태를 보인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부분의 본 고안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C부분의 본 고안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 (가)(나)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7(가),(나),(다)는 본 고안의 각도조정 수단인 패킹부재의 경사각 표시의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체결밴드의 타실시예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1의 A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결합상태를 보인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부분의 본 고안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C부분의 본 고안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 (가),(나)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대별하여 교량, 고가도로(100)의 양측 노변에 매설되어 노면의 우수나 오수를 집수하는 집수구(200)와; 양측 접속단(11, 12)에 체결홈(13,14)이 환설된 "-"형 배수관(10)과; 양측 접속단(11, 12)에 체결홈(13, 14)이 환설된 "-"형 배수관(10)과 접속 연결되고 양단측의 각 접속단(21, 22),(31, 32, 33)에 체결홈(23, 24),(34, 35, 36)을 환설한 "L"형 접속이음관(20)및 "T"형 접속이음관(30)과; "-"형 배수관(10)과 "L"형 접속이음관(20)과 "T"형 접속이음관(30)의 각 접속단(11,12),(21,22),(31,32) 외면이 안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접속연결하는 각도조정면(41,42)을 형성한 원통형 패킹부재(40)와; 각도조정면(41,42)을 형성한 원통형 패킹부재(40)를 각각의 "-"형 배수관(10)과 "L"형 접속이음관(20)과 "T"형 접속이음관(30)의 각 접속단(11,12),(21,22),(31,32,33)에 결착시켜 주기위한 체결밴드(50)로 구성되며, 체결밴드(50)는 양단에 접합돌조(51,52)가 형성되고 내측연에 원통형 패킹부재(40)를 안치하기 위한 안치홈(53)이 형성되고 양측 내연단에는 삽치돌조(54, 55)가 돌설되어, "-"형 배수관(10)과 "L"형 접속이음관(20), "T"형 접속이음관(30)의 체결홈(13, 14),(23, 24),(34,35, 36)에 삽치되어 체결되게 하고, 접합돌조(51,52) 내측 외연부에 체결볼트공(56, 57)이 형성된 체결편(58, 59)이 형성된 반원상으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한 원통형 패킹부재(40)는 고무재로 형성하고, 도 7의 (가),(나),(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양측 내연에 형성된 각도조정면(41,42)은 수평면 또는 요구되는 경사각도(θ)의 경사면을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지니고 있으며, 각도조정면(41,42)의 경사면의 경사각도(θ)는 0~7°정도의 기울기면 족하고, 도 7의 (가),(나),(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정면(41,42)의 양측이 모두 진행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거나 어느 일측면만 경사진 상태, 또는 각도조정면(41,42)이 모두 수평인 상태 등 다양하게 설정하여 "L"형 접속이음관(20), "T"형 접속이음관(30)에 접속연결되는 "-"형 배수관(10)의 기울기와 수평상태를 시공작업조건이나 현장 여건에 따라 조정하면서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교량, 고가도로(100)의 양측 노변에 매설되어 노면의 우수나 오수를 집수하는 집수구(200)는 상부에 스틸그레이팅(201)을 착설한 배수로(202) 하부에 내부에 체결볼트공(203)을 형성한 삽치부(204)를 형성하고, 이에 상부에 체결플랜지(211)을 형성하고 하부 접속단(212)에 체결홈(213)을 형성한 "ㅣ"형 직수관(210)이 볼트(214)로 체결되어 현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7 에 의거하여 시공상태 및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교량 또는 고가도로(100)의 노면 측면부(101)에 통상과 마찬가지로 집수구(200)가 설치되어 있고, 집수구(200)의 하부에는 "-"형 배수관(10)이 볼트로 체결되어 연결되고, "-"형 배수관(10)의 하단에는 "L"형 접속이음관(20), "-"형 배수관(10), "T"형 접속이음관(30)의 부재가 상호 접속 결합되어 배수시설(D)를 설치하게 됨은 통상적이다.
이때, 집수구(200)를 교량, 고가도로(100)의 양측 노변에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매설시 집수구(200)를 거푸집(도면 생략)내에 위치하고 콘크리트 타설하여 매설하더라도 하부에 형성된 삽치부(204)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침입하지 않게되어 이 내부에 형성된 체결볼트공(203)에 원상태를 유지하게되어 "ㅣ" 직수괸(210)의 볼트 체결작업을 원활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ㅣ"형 직수관(210), "-"형 배수관(10)과 "L"형 접속이음관(20) 및 "T"형 접속이음관(30)의 양단측에 형성된 접속단(212),(11,12), (21,22),(31,32,33)에는 각각 체결홈(213),(13,14),(23,24),(34,35,36)이 각각 원주를 따라 요설되어 있다.
따라서, "ㅣ"형 직수관(210), "L"형 접속이음관(20) 및 "T"형 접속이음관(30)과 "-"형 배수관(10)을 접속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접속연결되는 "ㅣ"형 직수관(210), "-"형 배수관(10)과 "L"형 접속이음관(20) 및 "T"형 접속이음관(30) 각각의 접속단(212),(11,12), (21,22) 및 접속단(31,32,33)의 외주연을 원통형 패킹부재(40)의 양측 내연에 형성된 각도조정면(41,42)에 삽치시켜 준 다음, 원통형 패킹부재(40)가 내측 안치홈(53)에 안치되는 상태로 반원상의 체결밴드(50)을 양측에서 감합하고, 체결밴드(5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편(58,59)을 볼트(61)와 너트(62)로 체결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체결시 체결밴드(50)의 양단 내연부에 형성된 삽치돌조(54,55)가 서로 접속연결되는 "ㅣ"형 직수관(210), "-"형 배수관(10)과 "L"형 접속이음관(20) 및 "T"형 접속이음관(30) 각각의 접속단(212),(11,12),(21,22) 및 접속단(31,32, 33)의 내측에 요설된 체결홈(213),(13,14),(23,24) 및 체결홈(34,35,36) 내부로 삽치되어 체결홈(213),(13,14),(23,24) 및 체결홈(34,35,36)의 턱과 걸리게되어 체결상태가 견고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원통형 패킹부재(40)의 외주면은 반원형 체결밴드(50)의 양단에 형성된 접합돌조(51,52)에 의하여 전면이 압착되는 상태로 체결됨과 동시에 "-"형 배수관(10)과 "L"형 접속이음관(20) 및 "T"형 접속이음관(30)의 외경의 변화에 따라 접합돌조(51,52)가 근접 또는 이격되어 외경 및 원통형 패킹부재(40)의 외경변화(φ1, φ2)를 대처하여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되고, "-"형 배수관(10)과 "L"형 접속이음관(20) 및 "T"형 접속이음관(30)의 접속 연결시 "-"형 배수관(10)을 하향되게 경사시켜 설치할 경우에는 도 6의 (가),(나),(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패킹부재(40)의 각도조정면(41,42)이 일측 또는 양측에 경사각도(θ)를 지닌 원통형 패킹부재(40)를 개입하고, 이에 "-"형 배수관(10)의 접속단(11,12)를 안치하여 "-"형 배수관(10)의 수평 또는 수직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정하면서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설치 시공한 후 장기간 방치되어 배수설비(D)에 오물 등이 퇴적되거나 부분적 파송이 되어 배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ㅣ"형 직수관(210)과 "L"형 접속이음관(20), "L"형 접속이음관(20)과 "-"형 배수관(10), 서로 인접하여 접속 연결되는 "-"형 배수관(10) 및 "-"형 배수관(10)과 "T"형 접속이음관(30) 사이의 필요한 접속 연결부위의 체결밴드(50)를 해체하고, 원통형 패킹부재(40)을 분리하는 간편한 작업으로 배수설비(D)의 내부의 오물 등의 이물질 제거 등의 청소작업과 파손부위를 교체한 후, 다시 조립하여 배수설비(D)의 청소와 교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배수설비(D)의 유지 보수를 경제적이며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체결밴드(50)의 다른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접합돌조(51a,52a)가 포오크 상으로 돌설되어 이들의 근접 또는 이격되어 "-"형 배수관(10)과 "L"형 접속이음관(20) 및 "T"형 접속이음관(30)의 외경 및 원통형 패킹부재(40)의 외경변화(φ1, φ2)를 대처하여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양측 접속단에 체결홈이 환설된 "-"형 배수관과; 양측 접속단 에 체결홈이 환설된 "-"형 배수관과 접속 연결되고 양단측의 각 접속단에 체결홈을 환설한 "L"형 및 "T"형 접속이음관과; "-"형 배수관과 "T"형, "L"형 접속이음관의 각 접속부가 안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접속연결하는 각도조정면을 형성한 패킹부재와; 각도조정면을 형성한 패킹부재를 각각의 접속단에 체결시켜 주기위한 체결밴드를 구비하여 현장의 작업조건이나 교량, 고가도로의 설비 변경에 따른 제반 조건에 대응하여 현장에서 배수관의 수평각도를 임의 조정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면서 작업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작업 현장에서 배수관의 수평 기울기를 조정하여 배관할 수 있는 구조로 "-"형 배수관과 "L"형, "T"형 접속이음관 사이에 패킹부재와 체결밴드 만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하여, 배수관의 수평 기울기 조정작업을 현장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배수설비의 설치작업을 능률적이며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설계사양에 구애됨이 없이 대량생산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양산이 가능한 교량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과 청소 및 부분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를 경제적이고 능률적으로 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10:"ㅡ"형 배수관 11,12:접속단 13,14:체결홈
20:"L"형 접속이음관 21,22:접속단 23,24:체결홈
30:"T"형 접속이음관 31,32,33:접속단 34,35,36:체결홈
40:원통형 패킹부재 41,42:각도조정면 θ:경사각도
50:체결밴드 51,52:결합돌기 53:안치홈
54,55:삽치돌조 56,57:체결볼트공 58,29:체결편
61:볼트 62:너트
100:고가도로 101:노면측면부
200:집수구 201:스틸그레이트 202:배수로
203:체결볼트공 204:삽치부 210:"ㅣ"형직수관
211:체결프랜지 212:접속단
213:체결홈 214:볼트

Claims (5)

  1. 양측 접속단(11,12)에 체결홈(13,14)이 환설된 "-"형 배수관(10)과; 양측 접속단(11,12) 에 체결홈(13,14)이 환설된 "-"형 배수관(10)과 접속 연결되고 양단측의 각 접속단(21,22)에 체결홈(23,24)을 환설한 "L"형(20) 및 "T"형 접속이음관(30)으로 구성되어 교량 또는 고가도로에 집수구와 배수설비를 구비하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형 배수관(10)과 "T"형(30), "L"형 접속이음관(20)의 각 접속부가 안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접속연결하는 각도조정면(41,42)을 형성한 원통형 패킹부재와(40); 각도조정면(41,42)을 형성한 원통형 패킹부재(40)를 각각의 접속단(212),(11,12),(21,22),(31,32,33)에 체결시켜 주기 위한 체결밴드(50)를 구비하여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도조정면(41,42)을 형성한 원통형 패킹부재(40)는 양측 모두에 경사각도(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각도조정면(41,42)을 형성한 원통형 패킹부재(40)는 일측에 경사각도(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도조정면(41,42)을 형성한 원통형 패킹부재(40)는 양측 모두에 경사각도(θ)를 수평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교량, 고가도로(100)의 양측 노변에 매설되어 노면의 우수나 오수를 집수하는 집수구(200)의 삽치부(204) 상부에 체결플랜지(211)을 형성하고 하부 접속단(212)에 체결홈(213)을 형성한 "ㅣ"형 직수관(210)이 볼트(214)로 체결된 것을 더 포함하는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KR2020100001945U 2010-02-24 2010-02-24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KR201000037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945U KR20100003785U (ko) 2010-02-24 2010-02-24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945U KR20100003785U (ko) 2010-02-24 2010-02-24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909A Division KR20080099217A (ko) 2008-10-09 2008-10-09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85U true KR20100003785U (ko) 2010-04-08

Family

ID=4444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945U KR20100003785U (ko) 2010-02-24 2010-02-24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7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092A (ko) * 2022-07-13 2024-01-22 진현오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092A (ko) * 2022-07-13 2024-01-22 진현오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163B1 (ko)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20080099217A (ko)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KR101011042B1 (ko) 교량 또는 고가도로 빗물 배수장치의 배수관
KR20080004691U (ko) 유형 측구 제조용 거푸집
KR101337024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KR20100025159A (ko) 교량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03785U (ko)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KR101169517B1 (ko) 분리 조립형 배수관
KR101259860B1 (ko) 수지재의 조립형 원형수로관 및 그 시공방법
KR100898018B1 (ko) 매립형 빗물받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930836B2 (ja) 金属製路面用排水溝の構造
KR20080004624U (ko) 회전식 스테인리스 난간 연결구
JP2011111885A (ja) 歩道橋・橋梁用床版排水装置
JP2007107234A (ja) 排水用側溝装置
KR200398184Y1 (ko) 펜스 연결구
KR101148774B1 (ko) 골막이
KR20090008923U (ko) 교량 또는 고가도로 배수구의 직관 연결부재
KR101356711B1 (ko) 집수정의 배수장치
KR102300847B1 (ko) 분리형 배수직관
US20100276566A1 (en) Reuseable drain installer
KR102300295B1 (ko) 개방형 배수직관
KR101059542B1 (ko) 맨홀
CA2843934C (en) Eccentric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JP4436436B2 (ja) 溝路用通水被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