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687A - 강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687A
KR20190077687A KR1020170179070A KR20170179070A KR20190077687A KR 20190077687 A KR20190077687 A KR 20190077687A KR 1020170179070 A KR1020170179070 A KR 1020170179070A KR 20170179070 A KR20170179070 A KR 20170179070A KR 20190077687 A KR20190077687 A KR 20190077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teel pipe
joint
projecting port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7687A/ko
Publication of KR2019007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는 이웃하는 강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강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제1 강관과 연결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에서 강관 길이방향에 외측으로 관 형태로 돌출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조인트; 제2 강관과 연결되는 제2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에서 강관 길이방향에 외측으로 관 형태로 돌출되는 제2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조인트; 및 상기 제1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소정 간격을 갖는 상기 제1 돌출부 사이로 끼워지는 제1 링돌출부와, 상기 제2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소정 간격을 갖는 상기 제2 돌출부 사이로 끼워지는 제2 링돌출부를 구비하는 링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체결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조인트와 제2 조인트를 상호 구속 및 연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관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STEEL PIPE}
본 발명은 강관파일 시공 현장에서 상부 강관 및 하부 강관을 용접 없이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일기초는 상부 구조물을 지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 형식의 하나로서,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파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파일은 자재 비용이 저렴한 장점과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이 적은 단점이 있는 반면, 강관파일은 비록 자재 비용은 많이 소요되나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여 큰 횡력(수평력)을 받는 구조물에 대한 파일 기초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강관파일은 강관사에서 일정한 길이(12m~15m)로 제조되므로, 시공현장에서 관입깊이가 강관길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부 강관파일과 하부 강관파일을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들을 연결시키는 연결방법은 용접 방식으로 두 강관을 야금학적으로 접합시키던가, 기계적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강관을 연결시키는 방식이 있다.
상부 강관파일과 하부 강관파일을 야금학적으로 용접하는 방법은 시공현장에서 용접작업 및 비파괴 검사가 요구되어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강관파일 인발 시에는 절단하여 인발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는 반면, 용접 없이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현장에서 용접 및 비파괴검사가 필요없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인발시 해체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연결 조인트는 일반적으로 핀조인트(Pin joint), 박스조인트(Box joint), 회전방지키(Anti-rotation key)로 구성된다. 핀조인트는 바깥면, 박스조인트는 안쪽 면에 각각 기어(Gear)를 가지고 있으며, 이 기어들이 맞물려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 핀조인트, 박스조인트는 미리 공장에서 강관에 용접하여 설치하며, 시공 현장에서의 접합 작업은 박스조인트의 기어 홈(Gear groove)에 핀조인트의 기어를 삽입한 후에 핀조인트를 회전시키고 회전방지키를 설치하면 완료된다. 이때 회전방지키는 시공 중에 핀조인트와 박스조인트가 상대적으로 회전해 기어 맞물림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부재로써 기능한다.
한편, 박스조인트와 핀조인트를 연결한 후 박스조인트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박스조인트에는 강관도 연결되어 있고 중량이 무거워 현장에서 회전시키기 어렵다. 또한 기어들이 맞물려 힘을 전달하게 되는데, 기어홈 부분은 맞물린 부분이 없어 인장력 혹은 압축력에 대한 힘의 효율적인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아 단면 및 중량이 증가하여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JP 3336430 B2 (KUBOTA CORP) 2002.08.09.(등록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강건하게 결합되고, 그 두께 및 길이를 줄여 향상된 경제성을 갖는 강관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웃하는 강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강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제1 강관과 연결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에서 강관 길이방향에 외측으로 관 형태로 돌출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조인트; 제2 강관과 연결되는 제2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에서 강관 길이방향에 외측으로 관 형태로 돌출되는 제2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조인트; 및 상기 제1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소정 간격을 갖는 상기 제1 돌출부 사이로 끼워지는 제1 링돌출부와, 상기 제2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소정 간격을 갖는 상기 제2 돌출부 사이로 끼워지는 제2 링돌출부를 구비하는 링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체결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조인트와 제2 조인트를 상호 구속 및 연결시키는 강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링체결부재를 상기 제1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링돌출부는 강관 길이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링체결부재를 상기 제2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링돌출부는 강관 길이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체결부재는 상기 제1 링돌출부와 제2 링돌출부가 환형링의 내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고, 상기 환형링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에 삽입 시 그 내면이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환형링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에 삽입 시 그 아랫면은 상기 제1 걸림부에 맞닿고, 윗면은 상기 제2 걸림부에 맞닿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각각 강관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외주면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돌출부에는 상기 경사걸림부와 대응되는 경사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의 경사걸림부는 그 법선 방향이 제1 강관 쪽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2 돌출부의 경사걸림부는 그 법선 방향이 제2 강관 쪽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강관 길이방향으로 각각 두개씩 마련되고, 상기 제1 링돌출부와 제2 링돌출부도 그에 대응하여 각각 두개씩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는 작은 중량의 링체결부재를 회전시켜 제1 조인트와 제2 조인트를 결합 및 구속시키기 때문에, 볼트 시공이 필요없어 제작이 용이하고, 돌출부가 맞물리는 위치도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므로 단순하고 효율적인 구조로 연결장치 단면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의 경사걸림부는 그 법선 방향이 제1 강관 쪽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고, 제2 돌출부의 경사걸림부는 그 법선 방향이 제2 강관 쪽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므로, 외부힘에 대한 비효율적인 힘의 분배를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의 측단면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조인트에 링체결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서 강관 연결장치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구속 전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구속 후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의 측단면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강관 연결장치(10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측단면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제1 조인트(110)에 링체결부재(13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3에서 강관 연결장치(1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강관(10,2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강관 연결장치(100)는, 크게 제1 강관(10)과 연결되는 제1 조인트(110)와 제2 강관(20)과 연결되는 제2 조인트(120), 및 그들 사이에 끼워지는 링체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조인트(110)는 하측 강관(10)의 상부에 용접되고, 제2 조인트(120)는 상측 강관(20)의 하부에 용접될 수 있다. 즉, 강관 연결장치(100)는 이웃하는 강관(10,2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하측 강관(10)의 상측에는 제1 조인트(110)가 마련되고, 상측 강관(20)의 하측에는 제2 조인트(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조인트(110)는 제1 강관(10)과 연결되는 제1 걸림부(111)와, 제1 걸림부(111)에서 강관 길이방향에 외측으로 관 형태로 돌출되는 제1 체결부(112)와, 제1 체결부(112)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1 돌출부(113,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111)는 제1 강관(10)으로부터 반경이 점차 커지는 조인트 몸체로써, 상단면이 후술할 링체결부재(130)의 아랫면과 맞닿을 수 있다. 제1 체결부(112)는 제1 걸림부(1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관로로써, 그 외주면을 따라 두 줄로 각각 네 개씩 제1 돌출부(113,114)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13,114)는 제1 체결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띄엄띄엄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3,114)와 후술할 제2 조인트(120)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123,124)는 강관 길이방향으로 각각 두개씩 마련되고, 링체결부재(130)에 마련되는 제1 링돌출부(132,133)와 제2 링돌출부(134,135)도 그에 대응하여 각각 두개씩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는 상부 제1 돌출부(113)와 하부 제1 돌출부(114)를 포함하고, 이들은 링체결부재(130)에 삽입 후 조인트 구속 시 상부 제2 링돌출부(134)와 하부 제2 링돌출부(135) 사이, 및 하부 제2 링돌출부(135)와 제1 조인트(110)의 상부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제2 돌출부(123)와 하부 제2 돌출부(124)도 마찬가지로 상부 제1 링돌출부(132)와 하부 제1 링돌출부(133) 사이, 및 상부 제1 링돌출부(132)와 제2 조인트(120)의 하부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조인트(120)는 제2 강관(20)과 연결되는 제2 걸림부(121)와, 제2 걸림부(121)에서 강관 길이방향에 외측으로 관 형태로 돌출되는 제2 체결부(122)와, 제2 체결부(122)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2 돌출부(123,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121)는 제2 강관(20)으로부터 반경이 점차 커지는 조인트 몸체로써, 상단면이 링체결부재(130)의 윗면과 맞닿을 수 있다. 제2 체결부(122)는 제2 걸림부(12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관로로써, 그 외주면을 따라 두 줄로 각각 네 개씩 제2 돌출부(123,12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돌출부(123,124)는 제2 체결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띄엄띄엄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3,114)와 제2 링돌출부(134,135) 및 제2 돌출부(123,124)와 제1 링돌출부(132,133)는 각각 강관 길이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링체결부재(130)가 제1 체결부(112)와 제2 체결부(1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조인트(110)와 제2 조인트(120)와 링체결부재(130)는 최초 삽입 시 강관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서로 결합되고, 링체결부재(130)를 회전시켜 링체결부재(130)를 매개로 제1 조인트(110)와 제2 조인트(120)를 서로 구속 및 결속시킨다.
링체결부재(130)는 제1 조인트(110)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소정 간격을 갖는 제1 돌출부(113,114) 사이로 끼워지는 제2 링돌출부(134,135)와, 제2 조인트(120)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소정 간격을 갖는 제2 돌출부(123,124) 사이로 끼워지는 제1 링돌출부(132,133)를 구비하고, 링체결부재(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를 회전시 제1 조인트(110)와 제2 조인트(120)를 상호 구속 및 연결시킬 수 있다.
링체결부재(130)는 제1 링돌출부(132,133)와 제2 링돌출부(134,135)가 환형링(131)의 내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고, 환형링(131)은 제1 및 제2 체결부(112,122)에 삽입 시 그 내면이 제1 돌출부(113,114) 및 제2 돌출부(123,124)와 마주할 수 있다. 이때, 환형링(131)은 제1 및 제2 체결부(112,122)에 삽입 시 그 아랫면은 제1 걸림부(111)에 맞닿고, 윗면은 제2 걸림부(121)에 맞닿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구속 전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은 강관 연결장치(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구속 후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강관 연결장치(100)는 제2 조인트(120), 제1 조인트(110), 링체결부재(130)를 포함하고, 공장에서 제2 강관(20)이 원주방향으로 용접된 제2 조인트(120) 및 공장에서 제1 강관(10)이 원주 용접된 제1 조인트(110)의 외주면 일측에는 각각 1단 이상의 제1 돌출부(113,11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링체결부재(130)는 환형링(131) 내부에 링돌출부가 엇갈려서 배치되고, 이때 내부의 링돌출부는 2단 이상으로 구성하여 반은 제2 조인트(120)의 제2 돌출부(123,124)에, 반은 제1 조인트(110)의 돌출부(113,114)에 맞물릴 수 있다.
시공 현장에서, 제1 조인트(110)의 돌출부에 링체결부재(130)의 링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배치한 다음, 링체결부재(130)의 링돌출부에 제2 조인트(120)의 돌출부가 배치되도록 한다. 그 다음 링체결부재(130)를 회전시켜서 서로 돌출부가 맞물리게 하여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작은 중량의 링체결부재(130)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볼트시공이 없어 시공이 간편하고, 각 돌출부(113,114,123,124)가 맞물리는 위치도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부재 단면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단면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2 조인트(120)와 제1 조인트(110)는 마주하는 끝단에 홈을 구비하여 서로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고, 각각의 돌출부(113,114,123,124)의 단수 및 수평방향의 개수는 재료강도, 설계최적화 및 제작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링체결부재(130)의 회전은 그 외면에 작은 크기의 홈을 구비한 다음, 홈에 막대모양의 부재를 삽입하고, 막대모양을 회전시켜 결합을 완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관 연결장치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돌출부(213,214,223,224)에는 몸체(213a,214a,223a,224a)에 형성되되 조인트 반경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걸림부(213b,214b,223b,224b)가 마련되고, 제1 및 제2 링돌출부(232,233,234,235)에는 경사걸림부(213b,214b,223b,224b)와 대응되는 경사수용부(232b, 233b, 234b, 235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는 제2 돌출부(223,224)와 제1 링돌출부(232,233)만 확대도시하고 있으나, 제1 돌출부(213,214)와 제2 링돌출부(234,235)도 그와 마찬가지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두 조인트(210,220) 간의 압축힘은 제2 조인트(220)와 제1 조인트(210)가 맞닿는 면이 저항하게 된다. 두 조인트(210,220)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돌출부가 맞물리는 부분에 힘이 작용하고, 이는 링체결부재(230) 중앙부를 꺽는 방향으로 휨벤딩을 가한다.
휨벤딩력을 약화시키게 하기 위해 링체결부재(230)와 두 조인트(210,220)의 맞물리는 돌출부면이 같이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13,214)의 경사걸림부는 그 법선 방향이 제1 강관(10) 쪽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고, 제2 돌출부(223,224)의 경사걸림부(223b,224b)는 그 법선 방향이 제2 강관(20) 쪽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링체결부재(230)의 두께를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강관 20: 제2 강관
110: 제1 조인트 111: 제1 걸림부
112: 제1 체결부 113: 상부 제1 돌출부
114: 하부 제1 돌출부 120: 제2 조인트
121: 제2 걸림부 122: 제2 체결부
123: 상부 제2 돌출부 124: 하부 제2 돌출부
130: 링체결부재 131: 환형링
132: 상부 제1 링돌출부 133: 하부 제1 링돌출부
134: 상부 제2 링돌출부 135: 하부 제2 링돌출부
210: 제1 조인트 213: 상부 제1 돌출부
214: 하부 제1 돌출부 220: 제2 조인트
223: 상부 제2 돌출부 223a: 몸체
223b: 경사걸림부 224: 하부 제2 돌출부
224a: 몸체 224b: 경사걸림부
230: 링체결부재 232: 상부 제1 링돌출부
232a: 몸체 232b: 경사수용부
233: 하부 제1 링돌출부 233a: 몸체
233b: 경사수용부 234: 상부 제2 링돌출부
235: 하부 제2 링돌출부

Claims (8)

  1. 이웃하는 강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강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제1 강관과 연결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에서 강관 길이방향에 외측으로 관 형태로 돌출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조인트;
    제2 강관과 연결되는 제2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에서 강관 길이방향에 외측으로 관 형태로 돌출되는 제2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조인트; 및
    상기 제1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소정 간격을 갖는 상기 제1 돌출부 사이로 끼워지는 제1 링돌출부와, 상기 제2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소정 간격을 갖는 상기 제2 돌출부 사이로 끼워지는 제2 링돌출부를 구비하는 링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체결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조인트와 제2 조인트를 상호 구속 및 연결시키는 강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결부재를 상기 제1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링돌출부는 강관 길이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링체결부재를 상기 제2 조인트에 강관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링돌출부는 강관 길이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강관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결부재는 상기 제1 링돌출부와 제2 링돌출부가 환형링의 내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고,
    상기 환형링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에 삽입 시 그 내면이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마주하는 강관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링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에 삽입 시 그 아랫면은 상기 제1 걸림부에 맞닿고, 윗면은 상기 제2 걸림부에 맞닿도록 마련되는 강관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각각 강관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강관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돌출부에는 상기 경사걸림부와 대응되는 경사수용부가 마련되는 강관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경사걸림부는 그 법선 방향이 제1 강관 쪽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2 돌출부의 경사걸림부는 그 법선 방향이 제2 강관 쪽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강관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강관 길이방향으로 각각 두개씩 마련되고, 상기 제1 링돌출부와 제2 링돌출부도 그에 대응하여 각각 두개씩 마련되는 강관 연결장치.
KR1020170179070A 2017-12-26 2017-12-26 강관 연결장치 KR20190077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070A KR20190077687A (ko) 2017-12-26 2017-12-26 강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070A KR20190077687A (ko) 2017-12-26 2017-12-26 강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687A true KR20190077687A (ko) 2019-07-04

Family

ID=6725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070A KR20190077687A (ko) 2017-12-26 2017-12-26 강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76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092A (ko) * 2022-07-13 2024-01-22 진현오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6430B2 (ja) 1998-12-15 2002-10-21 株式会社クボタ 鋼管矢板等の縦継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6430B2 (ja) 1998-12-15 2002-10-21 株式会社クボタ 鋼管矢板等の縦継ぎ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3336430 B2 (KUBOTA CORP) 2002.08.09.(등록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092A (ko) * 2022-07-13 2024-01-22 진현오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165B1 (ja) 杭の接続構造
JP2009013602A (ja) 鋼管杭と鉄骨柱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2011208373A (ja) 鋼管杭の機械式継手構造
JP6740738B2 (ja) 鋼製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101913401B1 (ko) 강관 연결장치
JP6594193B2 (ja) 鋼管の継手機構及び連結方法
JP2009299298A (ja) 鋼管杭の機械式継手
JP2009270429A (ja) 鋼管の継手構造
KR20190077687A (ko) 강관 연결장치
JP5559123B2 (ja) 梁受け回転ピース
KR20150081264A (ko) 말뚝의 무용접 조인트
JP2016014317A (ja) 鋼管連結構造及び鋼管連結方法
KR101552321B1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WO2014188608A1 (ja) 杭の継手部構造
JP2008038367A (ja) 解体自在型柱・梁接合部
JP4716121B2 (ja) 鉄骨柱の接合構造および鉄骨柱の接合方法
JP3162264U (ja) 支持杭の構造
JP5991622B2 (ja) 杭の無溶接継手
JP2015086689A (ja) 杭の接続構造
JP2009144424A (ja) 支持杭の構造
KR102465683B1 (ko) 파일의 무용접 이음장치
JP2013133606A (ja) 杭継手および杭の接続方法
JP2014234654A (ja) 回転杭を構成する鋼管の接合構造
JP6410595B2 (ja) 連結部材、連結部材ユニット及び連結方法
JP7275368B2 (ja) 合成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