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095A -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9095A KR20240009095A KR1020220086177A KR20220086177A KR20240009095A KR 20240009095 A KR20240009095 A KR 20240009095A KR 1020220086177 A KR1020220086177 A KR 1020220086177A KR 20220086177 A KR20220086177 A KR 20220086177A KR 20240009095 A KR20240009095 A KR 202400090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unit
- connector
- shaped
- coupl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걸림돌기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캠지지돌기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링형 걸림돌기와 제2 단위연결관의 링형 캠지지돌기를 감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연결부들이 구비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연결부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회전에 따라 상기 커플러를 상기 링형 캠지지돌기에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키는 캠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과 분리가 가능하고,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 누수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고가도로, 지하차도 등의 구조물에 있어서 구조물 노면에 유입되는 우수와 오수를 집수하여 구조물 하부 또는 외부로 유도하여 배수시키는 배수시스템이 설치된다.
종래 배수시스템의 일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시스템은 교량, 고가도로 등의 구조물의 노면 폭방향 양쪽(또는 한쪽)에 노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우수 및 오수(이하, 우수 및 오수를 노면수라 함)를 집수하는 집수장치(10)들과, 그 집수장치(10)들을 연결하여 집수장치(10)들에 각각 집수되는 노면수를 모아 아래로 배수시키는 배수장치(20)를 포함한다. 배수장치(20)는 집수장치(10)들에 각각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수직배수관(21)들과, 그 수직배수관(21)들에서 각각 배수되는 노면수를 모아 아래로 배수시키는 수평경사배수관(22)과, 수직배수관(21)과 수평경사배수관(22)을 연결하는 절곡연결관(23)들을 포함한다. 절곡연결관(23)들은 수평경사배수관(22)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과 수직배수관(21)을 연결할 때는 대략 90도로 절곡된 엘자형 절곡연결관이 사용되고, 수평경사배수관(21)의 중간부분을 연결할 때는 티자형 절곡연결관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배수장치는 공장에서 수직배수관(21)들, 수평경사배수관(22), 절곡연결관(23)들을 미리 제작하여 교량에 설치하게 되는데, 교량의 형식, 교량의 길이, 교량의 폭, 집수장치 등에 따라 수평경사배수관(22)의 경사각이 다르게 되어 엘자형 절곡연결관(23)들과 티자형 절곡연결관(23)들의 절곡 각도가 잘 맞지 않아 절곡연결관(23)들을 현장에서 배수관을 절단, 가공, 용접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환경오염 등으로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비가 상승하고 시공 불량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6362호(2013.10.08. 공고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직경이 다른 두 개의 구를 연결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방향조절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과 분리가 가능한,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 누수를 방지하는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걸림돌기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캠지지돌기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링형 걸림돌기와 제2 단위연결관의 링형 캠지지돌기를 감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연결부들이 구비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연결부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회전에 따라 상기 커플러를 상기 링형 캠지지돌기에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키는 캠레버를 포함하는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이 제공된다.
상기 링형 캠지지돌기는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돌기몸체부와, 상기 링형돌기몸체부의 외주면에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링형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링형 걸림돌기와 제2 단위연결관의 링형 캠지지돌기를 감싸는 원통몸체부와, 상기 원통몸체부의 길이 방향 한쪽 단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형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돌기부와, 상기 원통몸체부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캠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들과, 상기 연결부가 위치하는 원통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캠위치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레버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타원 형상의 캠부와, 상기 캠부의 장축 선상에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축결합구멍과, 상기 캠부의 외주면 일측에 캠부의 장축선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량에 구비되어 노면수가 집수되는 집수장치; 상기 집수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장치에 집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키는 적어도 한 개의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상기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에 연결되어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을 통해 배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키는 수평경사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은,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걸림돌기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캠지지돌기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링형 걸림돌기와 제2 단위연결관의 링형 캠지지돌기를 감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연결부들이 구비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연결부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회전에 따라 상기 커플러를 상기 링형 캠지지돌기에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키는 캠레버를 포함하는 교량 배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연결관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되므로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을 일정 각으로 회전시켜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의 절곡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연결관들의 각도를 조절하여 연결관들을 연결하게 되므로 시공 정밀도를 높이고 시공 작업이 간단하며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연결유닛은,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걸림돌기와,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캠지지돌기와, 제1 단위연결관의 링형 걸림돌기와 제2 단위연결관의 링형 캠지지돌기를 감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연결부들이 구비되는 커플러와, 그 커플러의 연결부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회전에 따라 커플러를 링형 캠지지돌기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캠레버들을 포함하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면서 제1,2 단위연결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고, 또한 제1,2 단위연결관의 연결과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제1,2 단위연결관 중 한 개의 단위연결관이 파손될 경우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플러에 결합된 캠레버를 각회전시킴에 의해 커플러를 링형 캠지지돌기에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켜 제1,2 단위연결관을 연결하거나 분리하게 되므로 제1,2 단위연결관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배수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플러의 일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제1 실시예의 절곡된 형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도 7의 직선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2 실시예가 직선형태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를 티자형 절곡연결관에 연결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플러의 일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제1 실시예의 절곡된 형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도 7의 직선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2 실시예가 직선형태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를 티자형 절곡연결관에 연결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는, 제1,2 단위연결관(100)(200), 회전연결유닛(300)을 포함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은 각각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게 위치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은 각각 횡단면이 원형이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두께와 외경은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서로 접촉되는, 길이 방향 끝면은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이거나 경사진 경사면이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서로 접촉되는 끝면이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면인 경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서로 접촉되는 끝면이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면인 경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은 절곡된 형태로 연결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서로 접촉되는 끝면이 경사면인 경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각 경사면 각도는 서로 같다. 즉, 제1 단위연결관(1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면이 제1 단위연결관(100)의 중심선에 대하여 45도 경사진 경사면을 갖게 되면,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면이 제2 단위연결관(200)의 중심선에 대하여 45도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회전연결유닛(300)은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회전연결유닛(300)의 일실시예로, 회전연결유닛(300)은 제1 단위연결관(100)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걸림돌기(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캠지지돌기(320)와, 제1 단위연결관(100)의 링형 걸림돌기(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링형 캠지지돌기(320)를 감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연결부들이 구비되는 커플러(330)와, 그 커플러(330)의 연결부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회전에 따라 커플러(330)를 링형 캠지지돌기(320)에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키는 캠레버(340)들을 포함한다.
링형 걸림돌기(310)는 균일한 두께와 길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형 걸림돌기(310)는 제1 단위연결관(100)의 길이 방향 끝에서부터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단위연결관(100)의 길이 방향 끝면은 제2 단위연결관(200)과 접촉되는 면이다. 링형 걸림돌기(310)의 두께는 제1 단위연결관(100)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링형 캠지지돌기(320)의 일예로, 링형 캠지지돌기(320)는 제2 단위연결관(200)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돌기몸체부(321)와, 그 링형돌기몸체부(321)의 외주면에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링형걸림홈부(322)를 포함한다. 링형돌기몸체부(321)는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2 단위연결관(2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형걸림홈부(322)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링형돌기몸체부(321)의 외경은 링형 걸림돌기(310)의 외경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링형 캠지지돌기(320)와 링형 걸림돌기(310) 사이에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커플러(330)의 일예로, 커플러(330)는 제1 단위연결관(100)의 링형 걸림돌기(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링형 캠지지돌기(320)를 감싸는 원통몸체부(331)와, 그 원통몸체부(331)의 길이 방향 한쪽 단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링형 걸림돌기(310)에 걸리는 걸림돌기부(332)와, 원통몸체부(331)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캠레버(34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33)들과, 그 연결부(333)가 위치하는 원통몸체부(331)에 관통 형성되는 캠위치구멍(334)을 포함한다. 원통몸체부(331)의 길이는 링형 걸림돌기(310)의 길이와 링형 캠지지돌기(320)의 길이를 더한 길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부(332)의 내경은 제1 단위연결관(10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다. 연결부(33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몸체부(331)의 외주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판형 돌기(1)와, 그 두 개의 판형 돌기(1)들에 동일 직선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축구멍(2)과, 그 두 개의 판형 돌기(1)들의 축구멍에 관통 결합되는 힌지축(3)을 포함한다. 캠위치구멍(334)은 두 개의 판형 돌기(1) 사이에 위치한다. 캠위치구멍(334)은 두 개의 판형 돌기(1) 내측면 사이의 폭과 설정된 길이로 형성된다. 캠위치구멍(334)의 길이 방향 양측면은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캠레버(340)의 일예로, 캠레버(340)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타원 형상의 캠부(341)와, 그 캠부(341)의 장축 선상에 위치하되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축결합구멍(342)과, 캠부(341)의 외주면 일측에 캠부(341)의 장축선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레버부(343)를 포함한다. 축결합구멍(342)의 중심에서부터 캠부(341)의 장축 선상 끝까지의 거리는 커플러 결합부(333)의 판형 돌기 축구멍(2) 중심에서부터 원통몸체부(331)의 내주면까지의 직선 거리보다 길다. 캠부(341)의 두께는 커플러(330)의 결합부(333)의 두 개의 판형 돌기(1)들 사이에 삽입되는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캠레버(340)는 캠부(341)가 커플러 결합부(333)의 두 개 판형 돌기(1)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축(3)이 축구멍(2)들과 축결합구멍(342)에 관통 결합됨에 의해 캠레버(340)가 힌지축(3)을 회전축으로 하여 각회전 가능하게 되며, 이때 캠부(341)는 캠위치구멍(334) 내에 위치하게 된다. 캠레버(340)의 레버부(343)가 커플러(330)의 원통몸체부(3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캠부(341)는 캠위치구멍(334)에서 커플러(330)의 원통몸체부(331)의 내주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며 캠레버(340)의 레버부(343)가 커플러(330)의 원통몸체부(331)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캠부(341)는 캠위치구멍(334) 내에 위치하여 커플러(330)의 원통몸체부(331)의 내주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위치한다.
도 7,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 실시예에서,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이 절곡된 형태로 연결되고 그 절곡된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회전연결유닛(300)이 연결한 것을 도시한 정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이 절곡된 형태인 경우 회전연결유닛(300)의 커플러(330)와 캠레버(340)는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접촉면인 경사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과 그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을 각각 회전시켜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직선 형태로 하거나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2 실시예는,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 회전연결유닛(300)들을 포함한다.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은 순서적으로 연결된다.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양쪽 끝은 각각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이되 서로 경사 방향이 다르며, 한쪽 경사면을 제1 경사면이라 하고 다른 경사면을 제2 경사면이라 한다.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한쪽에 위치하는 제1 단위연결관(1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면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제1 경사면과 같은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구비되고,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에 위치하는 제3 단위연결관(4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면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제2 경사면과 같은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구비된다.
회전연결유닛(300)들 중 한 개의 회전연결유닛(300)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제1 경사면측과 제1 단위연결관(100')의 경사면측을 연결하고, 다른 한 개의 회전연결유닛(300)은 제2 단위연결관(200')의 제2 경사면측과 제3 단위연결관(400)의 경사면측을 연결한다. 회전연결유닛(300)은 위에서 설명한 회전연결유닛(300)과 구성이 같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도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과 제2,3 단위연결관(200')(4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을 각각 회전시켜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과 제2,3 단위연결관(200')(4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을 각각 회전시켜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을 직선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제2 단위연결관(200)의 길이 방향 양쪽 단의 경사면의 경사 방향이 서로 같은 경우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과 제2,3 단위연결관(200')(40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을 각각 회전시켜 직선 형태로 연결하거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된 상태에서 제1,3 단위연결관(100')(400)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는, 집수장치(10),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 수평경사배수관(40)을 포함한다.
집수장치(10)는 교량에 구비되어 노면수가 집수된다. 집수장치(10)는 하면에 구멍이 구비된 집수정(11)과, 그 집수정(11)을 커버하는 그레이팅(12)을 포함한다. 집수장치(10)는 한 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은 집수장치(10)에 연결되어 집수장치(10)에 집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킨다.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은 집수장치(1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연결된다.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의 일예로,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은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100)(200)과,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을 포함한다. 제1,2 단위연결관(100)(200)과 회전연결유닛(300)은 위에서 설명한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의 제1 실시예의 제1,2 단위연결관(100)(200)과 회전연결유닛(300)과 각각 같다.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의 제1 단위연결관(100)이 집수장치(10)의 하면 구멍에 연결된다.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의 다른 일예로,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은 서로 연결되는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과,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연결관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300)들을 포함한다.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의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과 회전연결유닛(300)들은 위에서 설명한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제2 실시예의 제1,2,3 단위연결관(100')(200')(400)과 회전연결유닛(300)들과 각각 같다.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의 제1 단위연결관(100)이 집수장치(10)의 하면 구멍에 연결된다.
수평경사배수관(40)은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에 연결되어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을 통해 배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킨다. 집수장치(10)가 한 개 이상일 경우 다른 집수장치(10)에 적어도 한 개의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이 연결되고 수평경사배수관(40)에 티자형 절곡연결관(50)이 연결되고 티자형 절곡연결관(50)과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이 연결된다. 티자형 절곡연결관(50)과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 사이에 수직연결관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교량 노면의 노면수는 집수장치(들)(10)에 집수되어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B)와 수평경사배수관(40)을 통해 지하 배수관으로 배수된다.
본 발명은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연결관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연결유닛(300)에 의해 연결되므로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을 일정 각으로 회전시켜 두 개 이상의 단위연결관들의 절곡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연결관들의 각도를 조절하여 연결관들을 연결하게 되므로 시공 정밀도를 높이고 시공 작업이 간단하며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연결유닛(300)은, 제1 단위연결관(100)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걸림돌기(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캠지지돌기(320)와, 제1 단위연결관(100)의 링형 걸림돌기(310)와 제2 단위연결관(200)의 링형 캠지지돌기(320)를 감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연결부들이 구비되는 커플러(330)와, 그 커플러(330)의 연결부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회전에 따라 커플러(330)를 링형 캠지지돌기(320)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캠레버(340)들을 포함하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면서 제1,2 단위연결관(100)(20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고, 또한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의 연결과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제1,2 단위연결관(100)(200) 중 한 개의 단위연결관이 파손될 경우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플러(330)에 결합된 캠레버(340)를 각회전시킴에 의해 커플러(330)를 링형 캠지지돌기(320)에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켜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거나 분리하게 되므로 제1,2 단위연결관(100)(200)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된다.
100; 제1 단위연결관
200; 제2 단위연결관
300; 회전연결유닛 310; 링형 걸림돌기
320; 링형 캠지지돌기 330; 커플러
340; 캠레버
300; 회전연결유닛 310; 링형 걸림돌기
320; 링형 캠지지돌기 330; 커플러
340; 캠레버
Claims (5)
-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걸림돌기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캠지지돌기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링형 걸림돌기와 제2 단위연결관의 링형 캠지지돌기를 감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연결부들이 구비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연결부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회전에 따라 상기 커플러를 상기 링형 캠지지돌기에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키는 캠레버를 포함하는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캠지지돌기는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돌기몸체부와, 상기 링형돌기몸체부의 외주면에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링형걸림홈부를 포함하는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링형 걸림돌기와 제2 단위연결관의 링형 캠지지돌기를 감싸는 원통몸체부와, 상기 원통몸체부의 길이 방향 한쪽 단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형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돌기부와, 상기 원통몸체부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캠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들과, 상기 연결부가 위치하는 원통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캠위치구멍을 포함하는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타원 형상의 캠부와, 상기 캠부의 장축 선상에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축결합구멍과, 상기 캠부의 외주면 일측에 캠부의 장축선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 교량에 구비되어 노면수가 집수되는 집수장치;
상기 집수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장치에 집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키는 적어도 한 개의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상기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에 연결되어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을 통해 배수되는 노면수를 아래로 배수시키는 수평경사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은,
길이 방향 한쪽 끝이 서로 대면되는 제1,2 단위연결관;
상기 제1,2 단위연결관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걸림돌기와, 상기 제2 단위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링형 캠지지돌기와, 상기 제1 단위연결관의 링형 걸림돌기와 제2 단위연결관의 링형 캠지지돌기를 감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연결부들이 구비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연결부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회전에 따라 상기 커플러를 상기 링형 캠지지돌기에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키는 캠레버를 포함하는 교량 배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6177A KR20240009095A (ko) | 2022-07-13 | 2022-07-13 |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6177A KR20240009095A (ko) | 2022-07-13 | 2022-07-13 |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9095A true KR20240009095A (ko) | 2024-01-22 |
Family
ID=8971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6177A KR20240009095A (ko) | 2022-07-13 | 2022-07-13 |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09095A (ko) |
-
2022
- 2022-07-13 KR KR1020220086177A patent/KR20240009095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009095A (ko) | 착탈형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 |
KR102653007B1 (ko) |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 |
JP4912726B2 (ja) | セグメントリング間の連結構造 | |
KR102083115B1 (ko) | 강가로보 연결용 호형연결장치와 호형 콘크리트 헌치가 구비된 psc빔 | |
PT1887137E (pt) | Sistema de drenagem de canal largo | |
KR20220140445A (ko) | 각도조절연결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 |
KR101356711B1 (ko) | 집수정의 배수장치 | |
KR101866792B1 (ko) | 흙막이 구조물 | |
JPH0366460B2 (ko) | ||
KR20220040619A (ko) | 교량 선배수 시스템 | |
JP2006083565A (ja) | 暗渠管用継手 | |
KR101166228B1 (ko) | 배수관 연결용 이음관 | |
KR102326135B1 (ko) |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 |
EP4056786B1 (en) | Spacer device for formwork | |
JP6774104B2 (ja) | マンホールへの台付管の連結構造およびマンホールへの台付管の連結方法 | |
KR200216512Y1 (ko) | 조립식 관로구 | |
EP0175396B1 (en) | Outlet construction having talus protecting properties for tube ducts, in general, and drain ditches, in particular | |
KR101316362B1 (ko) | 방향조절이 가능한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방향조절관 조립체 | |
KR102403819B1 (ko) | 야외 배수로 인근 침하 방지 장치 | |
KR102059194B1 (ko) | 맨홀과 관체 사이에 구비되는 수밀장치 | |
KR101916713B1 (ko) |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 |
SU1137151A1 (ru) | Дренаж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 |
JP2011106241A (ja) | 杭頭接合構造 | |
KR200342703Y1 (ko) | 배관 접속이 용이한 맨홀 | |
KR101059542B1 (ko) | 맨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