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627A - 반도체 패키지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627A
KR20240008627A KR1020220085709A KR20220085709A KR20240008627A KR 20240008627 A KR20240008627 A KR 20240008627A KR 1020220085709 A KR1020220085709 A KR 1020220085709A KR 20220085709 A KR20220085709 A KR 20220085709A KR 20240008627 A KR20240008627 A KR 20240008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disposed
adhesive member
substrate
semiconducto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627A/ko
Priority to PCT/KR2023/009957 priority patent/WO2024014877A1/ko
Publication of KR2024000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10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arrangement of seals between parts, e.g. between cap and base of the container or between leads and walls of the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04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 H01L23/053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the container being a hollow construction and having an insulating or insulated base as a mounting for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055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the container being a hollow construction and having an insulating or insulated base as a mounting for the semiconductor body the leads having a passage through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45Organic substrates, e.g. p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5Ceramic or glass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57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 H01L23/3171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the coating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e.g. passivation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01L23/3677Wire-like or pin-like cooling fins or heat s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01L23/49816Spherical bumps on the substrate for external connection, e.g. ball grid arrays [BG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27Via connections through the substrates, e.g. pins going through the substrate,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38Geometry or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66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49894Materials of the insulating layer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루프 형상을 가지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는 제1 하면과,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제2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 하면과 수직으로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1 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SEMICONDUCTOR PACKAGE}
실시 예는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제품의 고성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한정된 크기의 기판에 더 많은 수의 패키지를 부착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 및 연구되고 있다. 다만, 일반적인 패키지는 하나의 반도체 칩이 탑재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원하는 성능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일반적인 패키지 기판은 프로세서 칩이 배치된 프로세서 패키지와, 메모리 칩이 부착된 메모리 패키지가 하나로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패키지 기판은 프로세서 칩과 메모리 칩을 하나의 통합 패키지로 제조함으로써, 칩의 실장 면적을 줄이고, 짧은 패스를 통해 고속 신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패키지 기판은 모바일 기기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모바일 기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고사양화, HBM(High Bandwidth Memory) 채용 등으로, 패키지의 면적이 넓어지고 커지고 있다.
그리고 반도체 패키지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더 크게 휘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반도체 패키지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발열이 심해지고, 이에 따라 방열 특성을 더 크게 개선해야 하는 문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는 휨 특성 향상 및 방열 특성 향상을 위하여 커버 부재(또는 리드(lid))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열전달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부재는 패키지 기판상에 도포된 접착 부재 상에 부착된다. 이때,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에서의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패키지 기판의 상면의 둘레 영역에 폐루프 형상을 가지며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 부재가 상기 기판상에 폐루프 형상을 가지고 도포되는 경우, 상기 커버 부재의 부착 이후에 진행되는 열 공정에서 가스가 배출되지 못하거나, 제품의 동작 중 발생하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가스에 의해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가 패키지 기판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패키지 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물리적 신뢰성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패키지 기판의 상면의 둘레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상기 접착 부재가 도포되지 않도록 한다. 즉, 종래에는 상기 접착 부재가 상기 패키지 기판상에 개루프 형상을 가지고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 부재가 도포되지 않은 일부 영역은 상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vent hole)로 기능한다.
그러나 상기 패키지 기판상의 상기 접착 부재가 도포되지 않는 일부 영역의 폭이 증가하면,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한 상기 패키지 기판과 상기 커버 부재 간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패키지 기판상의 상기 접착 부재가 도포되지 않는 일부 영역의 폭이 감소하면, 상기 가스 배출구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스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른 물리적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17-0107596 A
실시 예는 새로운 구조의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는 방열 특성을 향상된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는 패키지 기판과 커버 부재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된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는 접착 부재의 도포 공정 이후의 열 공정에서의 가스 배출 특성이 향상된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는 접착 부재의 도포 면적을 증가하면서 가스 배출구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는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루프 형상을 가지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는 제1 하면과,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제2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 하면과 수직으로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1 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개구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에 인접한 둘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둘레 영역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둘레 영역 중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수직으로 중첩된다.
또한,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의 상기 둘레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개구의 상기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1 개구 사이에서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접착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외측면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하여 오목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기판은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1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2 개구와 수직으로 중첩된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된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 상에 배치된 반도체 소자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반도체 소자와 이격되며,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부 영역을 커버하는 측판부; 및 상기 측판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의 상부 영역을 커버하는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하면은 상기 측판부의 하면이다.
또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반도체 소자의 상면과 상기 상판부의 하면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방열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면을 몰딩하는 몰딩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절연층은 솔더 레지스트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제1 절연층의 상면의 상기 둘레 영역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상기 둘레 영역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둘레 영역은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된 배치 영역과,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미배치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미배치 영역은 상기 제1 개구와 수직으로 중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 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는 제1 하면과,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제2 하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 하면과 수직으로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미배치 영역뿐 아니라, 상기 미배치 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상기 제1 개구를 가스 배출구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 공간으로 정의되는 캐비티 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를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 예는 상기 캐비티 공간에 가스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물리적 신뢰성 문제 및 전기적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품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의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될 영역에 구비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리세스의 깊이만큼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반도체 패키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상기 제1 개구의 폭보다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미배치 영역의 폭이 더 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개구의 폭 및 상기 미배치 영역의 폭 각각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 방향으로의 폭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상기 제1 개구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품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는 상기 미배치 영역과 상기 제1 개구에 단차를 두어 상기 캐비티 공간 내에서 발생한 가스가 상기 제1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가스의 배출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예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예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예의 제1 절연층 상에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예의 제1 절연층 상에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반도체 패키지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1 절연층 상에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23은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메인 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보드는 다양한 부품들과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보드는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는 다양한 반도체 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는 능동소자 및/또는 수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소자는 소자 수백 내지 수백만 개 이상이 하나의 칩 안에 집적화된 집적회로(IC) 형태의 반도체칩일 수 있다. 반도체칩은 로직 칩, 메모리칩 등일 수 있다. 로직 칩은 센트랄 프로세서(CPU), 그래픽 프로세서(GPU)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직 칩은 센트랄 프로세서(CPU), 그래픽 프로세서(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암호화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AP 이거나, 또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SIC(application-specific IC) 등이거나, 또는 지금까지 나열한 것들의 특정 조합을 포함하는 칩 세트일 수 있다.
메모리 칩은 HBM 등의 스택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칩은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DRAM),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가 적용되는 제품군은 CSP(Chip Scale Package), FC-CSP(Flip Chip-Chip Scale Package), FC-BGA(Flip Chip Ball Grid Array), POP (Package On Package) 및 SIP(System In Packag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컴퓨터(computer), 모니터(monitor), 태블릿(tablet), 랩탑(laptop),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비디오 게임(video gam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오토모티브(Automotive)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외에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임의의 다른 전자기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도체 패키지-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판(100)은 패키지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반도체 소자와 전자 디바이스의 메인 보드 사이에 배치된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인터포저와 상기 메인 보드 사이에 배치된 기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포저는 반도체 소자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액티브 인터포저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 기능만을 수행하는 패시브 인터포저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기판(100)은 인터포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전자 디바이스의 메인 보드와 연결되는 패키지 기판(600)과 반도체 소자 사이에 배치된 기판일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판(100)은 절연층(110), 전극층(120) 및 관통 전극(13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적어도 1층 이상의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복수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의 기판(100)은 전자 디바이스의 메인 보드와 반도체 소자 사이를 효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서의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3층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2층 이하의 층수를 가질 수 있고, 4층 이상의 층수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이 복수의 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기판(100)의 복수의 절연층은 서로 동일한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복수의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은 다른 하나의 절연층과는 다른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리지드(rigid)하거나 또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소다라임유리(soda lime glass)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등의 화학 강화/반강화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PG) 폴리 카보네이트(PC) 등의 강화 혹은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사파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광등방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COC(Cyclic Olefin Copolymer), COP(Cyclic Olefin Polymer), 광등방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광등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무기 필러 및 절연 수지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의 무기 필러가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서 기판(100)의 절연층(100)은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며 강화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은 코어 기판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00)은 강화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절연층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은 코어리스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의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강성이 우수하며, 기판(100)의 슬림화가 가능하고,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미세화가 가능한 보강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강화 섬유 또는 유리 섬유라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ABF(Ajinomoto Build-up Film), FR-4, BT(Bismaleimide Triazine), PID(Photo Imagable Dielectric resin), B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이 ABF(Ajinomoto Build-up Film)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기판(100)의 휨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서의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ABF(Ajinomoto Build-up Film)로 구성되면서, 상기 기판(100)의 복수의 절연층을 구성하는 ABF 중 적어도 하나의 ABF에는 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제1 ABF로 구성된 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은 상기 제1 ABF에 보강 물질이 더 포함된 제2 ABF로 구성된 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ABF에 포함된 보강 물질은 유리 섬유일 수 있고, GCP(Glass Core Primer)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의 각각의 층은 10㎛ 내지 40㎛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의 각각의 층은 15㎛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만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의 각각의 층은 18㎛ 내지 32㎛의 범위의 두께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의 각각의 층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상기 기판(100)의 휨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의 각각의 층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이 안정적으로 보호되지 못하고, 이에 의해 전기적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의 각각의 층의 두께가 40㎛를 초과하면, 상기 기판(1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의 각각의 층의 두께가 40㎛를 초과하면,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미세화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의 각각의 층의 두께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전극층들 사이의 기판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두께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하면에서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고, 기판 수직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면은 각 구성요소에서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가장 높은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하면은 각 구성요소에서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가장 낮은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1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기판(10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절연층(150)을 포함한다. 이때,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과의 구분을 위해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을 '제3 절연층'이라고 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인 제3 절연층은 복수의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기판(100)의 절연층(110)을 '제3 절연층(110)'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기재되는 제3 절연층(110)의 상면은 상기 제3 절연층(110)의 복수의 층 중 최상측에 배치된 층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제3 절연층(110)의 하면은 상기 제3 절연층(110)의 복수의 층 중 최하측에 배치된 층의 하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절연층(110)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이한 물질로 구비되는 보호층인 제1 절연층(140)이 상기 제3 절연층(1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3 절연층(110)의 상면과 상기 제1 절연층(140)의 하면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절연층(110)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이한 물질로 구비되는 보호층인 제2 절연층(150)이 상기 제3 절연층(11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3 절연층(110)의 하면과 상기 제2 절연층(150)의 상면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전극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층(120)은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절연층(110)이 3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3층의 절연층의 표면에는 각각 상기 전극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 중 어느 하나의 전극층은 ETS(Embedded Trace Substrat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제3 절연층(110)의 상면에 배치된 전극층은 ETS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00)의 최상측에 배치된 전극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 절연층(110)의 상면에 형성된 리세스(미도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ETS 구조는 매립 구조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ETS 구조는 일반적인 돌출 구조를 가지는 전극층 대비 미세화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기판(100)의 제3 절연층(110)의 상면에 배치된 전극층이 ETS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이의 미세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3 절연층(110)의 상면에 배치된 전극층은 반도체 소자나 외부 기판과 연결되는 전극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상기 반도체 소자에 구비된 단자들의 사이즈 및 피치에 대응하게 상기 전극들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회로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는 상기 반도체 소자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전송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호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극층(120) 중 제1 전극 패턴(120a-1)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보다 상기 반도체 소자(220)를 향하여 더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범프(bump)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포스트(post)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필라(pillar)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의 피치가 미세화되면서, 복수의 단자(225)에 배치되는 도전성 접착제가 단락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단자(225)에 각각 배치되는 도전성 접착제의 볼륨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과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접착제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여 결합시키는 TC(Thermal Compression) 본딩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과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 사이의 정합도 및 상기 도전성 접착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금(Au), 은(Ag), 백금(Pt), 티타늄(Ti), 주석(Sn), 구리(Cu) 및 아연(Zn)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본딩력이 우수한 금(Au), 은(Ag), 백금(Pt), 티타늄(Ti), 주석(Sn), 구리(Cu), 아연(Zn)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또는 솔더 페이스트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전기전도성이 높으면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구리(Cu)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7㎛ 내지 20㎛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9㎛ 내지 17㎛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10㎛ 내지 13㎛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두께가 7㎛ 미만이면, 상기 전극층(120)의 저항이 증가하고, 전송 가능한 신호의 허용 전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두께가 20㎛를 초과하면, 상기 전극층(120)의 미세화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상기 기판(100)의 관통 전극(130)과 연결되는 관통 패드, 외부 기판이나 반도체 소자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상기 관통 패드 또는 상기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신호 전송 라인의 트레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관통 패드나 전극 패턴은 15㎛ 내지 90㎛의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관통 패드나 전극 패턴은 20㎛ 내지 85㎛의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관통 패드나 전극 패턴은 25㎛ 내지 80㎛의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관통 패드나 전극 패턴은 기능에 따라 상기 기재된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전극들은 연결되는 반도체 소자의 단자의 사이즈 또는 외부 기판의 패드의 사이즈에 대응하게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복수의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은 상기 제3 절연층(110)의 상면에 배치된 제1 전극층(120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120a)은 복수의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120a)은 반도체 소자(220)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1 전극 패턴(120a-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은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와 직접 연결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120a)은 상기 반도체 소자(220)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2 전극 패턴(120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은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와 직접 연결된다.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도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패턴(120a-1)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 패턴의 형상, 사이즈 및 피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전극 패턴의 형상, 사이즈 및 피치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폭은 4 ㎛ 내지 70㎛ 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폭이 40㎛보다 작은 경우, 돌출부의 폭이 지나치게 작아 TC 본딩 시에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폭이 70㎛보다 크면,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의 미세 피치에 대응되기 어려운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관통 전극(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관통 전극(130)은 상기 기판(100)의 제3 절연층(110)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관통 전극(130)은 상기 기판(100)의 서로 다른 절연층에 배치된 전극층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관통 전극(130)은 상기 전극층(120)과 제1 전극 패턴(120a-1) 또는 상기 전극층(120)과 제2 전극 패턴(120-2) 사이를 연결하는 전극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관통 전극(130)의 폭은 제1 전극 패턴(120a-1) 및/또는 제2 전극 패턴(120-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전극(130)의 수직 방향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 및/또는 제2 전극 패턴(120-2)의 수직 방향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전극층이 절연층 내에 매립되는 경우, 상기 관통 전극(130)은 절연층 내에 배치된 전극층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층이 절연층의 상하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경우, 상기 관통 전극(130)은 절연층 전체를 관통할 수 잇다.
상기 기판(100)의 관통 전극(130)은 상기 기판(100)의 제3 절연층(110)을 관통하는 관통 홀 내부를 전도성 물질로 충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은 기계, 레이저 및 화학 가공 중 어느 하나의 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이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밀링(Milling), 드릴(Drill) 및 라우팅(Routing)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홀이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UV나 CO2 레이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홀이 화학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아미노실란, 케톤류 등을 포함하는 약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이 형성되면, 상기 관통 홀 내부를 전도성 물질로 충진하여 상기 기판(100)의 관통 전극(1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통 전극들을 형성하는 금속 물질은 구리(Cu),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및 팔라듐(Pd)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물질 충진은 무전해 도금, 전해 도금,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스퍼터링(Sputtering), 증발법(Evaporation), 잉크젯팅 및 디스펜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 제1 절연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기판(100) 하에 배치된 제2 절연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키지 기판의 상면은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고, 패키지 기판의 하면은 제2 절연층(150)의 하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패키지 기판이 제1 및 제2 절연층(140, 150)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패키지 기판의 상면 및 하면은 상기 기판(100)의 상면 및 하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은 상기 기판(1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은 상기 기판(100)의 제3 절연층(110)의 표면이나 전극층(120)의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은 기능적으로 '보호층'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은 레지스트(resist)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은 유기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솔더 레지스트층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은 수지, 경화제, 광 개시제, 안료, 용매, 필러, 첨가제, 아크릴 계열의 모노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은 포토솔더 레지스트층, 커버-레이(cover-lay) 및 고분자 물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의 각각의 두께는 1㎛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의 각각의 두께는 1㎛ 내지 1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의 각각의 두께는 5㎛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의 각각의 20㎛ 초과인 경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기판(100)에 응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40) 및 제2 절연층(150)의 각각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기판(100)에 포함된 전극층(120)이 안정적으로 보호되지 않고, 이에 의해 전기적 신뢰성 또는 물리적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140c)에 인접한 둘레 영역(140a) 또는 외곽 영역 또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상기 둘레 영역(140a)을 제외한 내측 영역(14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연층(140)은 복수의 오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반대되는 하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오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픈 영역은 '개구'라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140c)에 인접한 둘레 영역(140a)에 구비된 제1 개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상기 내측 영역(140b)에 구비된 제2 개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의 평면 형상은 상기 제2 개구(142)의 평면 형상과 다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의 직경은 상기 제2 개구(142)이 직경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2 개구(14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즉, 1개의 제1 개구(141)에 의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오픈 면적은 1개의 제2 개구(142)에 의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오픈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41) 및 제2 개구(142)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41)는 가스 배출구(vent hole)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개구(141)는 가스 배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개구(142)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142)는 상기 제1 전극층(120a)의 제1 전극 패턴(120a-1)과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개구(142)는 상기 제1 전극층(120a)의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의 폭이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142)는 상기 제1 전극층(120a) 중에서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패턴(120a-1)을 상기 제1 절연층(140)으로부터 오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개구(142)는 상기 제1 개구(14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직경은 제1 수평 방향으로의 폭 또는 제2 수평 방향으로의 폭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개구(141)의 직경은 상기 기판(100)의 전체 면적 및 이에 따른 접착 부재(240)의 도포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개구(141)의 직경은 상기 기판(100)의 면적 또는 접착 부재(240)의 도포량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개구(142)의 직경은 상기 제1 전극층(120a)의 제1 전극 패턴(120a-1)의 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의 미세화에 의해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의 폭도 미세화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개구(142)의 직경은 상기 제1 개구(14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개구(141)는 수직으로 상기 제1 전극층(120a)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전극층(120a)의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 및 제2 전극 패턴(120a-2)과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전극층(120a)의 상면이 아닌, 상기 기판(100)의 제3 절연층(110)의 상면을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전극층(120a)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 패턴과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120a)은 그라운드 기능을 하는 그라운드 전극에 대응하는 전극 패턴이나, 방열 기능을 하는 방열 전극에 대응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전극층(120a) 중 그라운드 전극 패턴이나 방열 전극 패턴과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상기 제1 개구(141)를 통해 가스 배출을 하면서, 상기 그라운드 전극 패턴 또는 방열 전극 패턴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개구(142)는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와 결합되는 제1 전극층(120a)의 제1 전극 패턴(120a-1)을 노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개구(142)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와 제1 전극층(120a)의 제1 전극 패턴(120a-1) 사이의 결합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와 상기 제1 전극층(120a)의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 사이의 결합은 와이어 본딩, 솔더 본딩, 메탈 간 다이렉트 본딩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와이어 본딩은 금(Au) 등의 도선을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와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을 전기적 결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솔더 본딩은 Sn, Ag, C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와 제1 전극 패턴(120a-1)을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메탈 간 다이렉트 본딩은 솔더, 와이어, 전도성 접착제 등이 없이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과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여 재결정화하고, 이를 통해 제1 전극 패턴(120a-1)과 반도체 소자의 단자(225) 사이를 직접 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을 향하여 오목하면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 홀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2 개구(142)는 상기 제1 개구(141)와 이격되면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하고도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2 절연층(150)도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150)의 개구는 상기 기판(100)의 제3 절연층(110)의 하면에 배치된 전극 패턴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제1 접속부(2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기판(100) 상에는 제1 접속부(21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제1 전극층(120a)의 제1 전극 패턴(120a-1) 상에는 제1 접속부(21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과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가 메탈 간 다이렉트 본딩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속부(210)는 생략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과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가 메탈 간 다이렉트 본딩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속부(210)는 상기 다이렉트 본딩에 의해 재결정화된 금속층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부(2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부(210)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부(210)의 단면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속부(210)는 구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속부(210)의 단면은 원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속부(210)의 단면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부(210)의 단면 형상은 일측면에서 평면이고, 다른 일측면에서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부(210)는 솔더 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1 접속부(210) 상에 배치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속부(210) 상에 배치된 구성은 반도체 소자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인터포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접속부(210) 상에 배치된 구성이 반도체 소자(220)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반도체 소자(220)는 로직 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소자(220)는 센트랄 프로세서(예컨대, CPU), 그래픽 프로세서(예컨대, 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암호화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중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칩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220)는 하면에 단자(2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는 상기 제1 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제1 전극 패턴(120a-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패키지는 몰딩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 부재(230)는 상기 기판(100) 상에 결합된 구성의 일부를 몰딩할 수 있다. 상기 몰딩 부재(230)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측부를 몰딩하는 언더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 부재(230)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측부를 몰딩하는 몰딩층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 부재(230)는 상기 언더필 및 몰딩층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몰딩 부재(230)는 상기 제1 접속부(210)부를 몰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 부재(230)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를 몰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 부재(230)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몰딩할 수 있다. 상기 몰딩 부재(230)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상면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몰딩 부재(230)는 EMC(Epoxy Mold Compoun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몰딩 부재(230)는 저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몰딩 부재(230)의 유전율(Dk)은 0.2 내지 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몰딩 부재(230)의 유전율(Dk)은 0.5 내지 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몰딩 부재(230)의 유전율(Dk)은 0.8 내지 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몰딩 부재(230)가 저유전율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반도체 패키지는 제2 접속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속부(260)는 상기 기판(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접속부(260)는 상기 기판(100)의 하면에 배치된 전극층(120)의 전극 패턴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접속부(260)는 상기 제2 절연층(150)의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부(260)는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를 별도의 외부 기판(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의 메인 보드)에 연결하기 위한 솔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패키지는 접착 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 부재(240)는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240)는 에폭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부재(240)는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및 접착 필름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에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둘레 방향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테두리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영역(140a)에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둘레 영역(140a)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140c)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둘레 영역(140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루프 형상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둘레 영역(140a)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둘레 영역(140a)은 상기 접착 부재(240)가 배치되는 접착 부재 배치 영역과, 상기 접착 부재(240)가 배치되지 않는 접착 부재 미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 미배치 영역은 상기 개루프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접착 부재(24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이격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접착 부재(240)가 개루프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절연층(140)의 둘레 영역(140a)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접착 부재(240)가 배치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둘레 영역(140a)에서 상기 접착 부재(24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가스 배출구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부재(240)가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경우, 커버 부재(300)의 내측 공간으로 정의되는 캐비티 공간에 존재하는 가스가 상기 캐비티 공간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실시 예는 상기 접착 부재(240)와 상기 커버 부재(300)를 결합하기 위한 열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 공정에서 상기 내측 공간에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 부재(240)가 상기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캐비티 공간에서 발생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는 상기 접착 부재(240)가 개루프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접착 부재(24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이격 영역을 통해 상기 캐비티 공간 내에 존재하는 가스가 캐비티 공간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접착 부재(24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이격 영역만으로는 상기 캐비티 공간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외부로 충분히 배출하지 못할 수 있다. 즉, 반도체 패키지의 고사양화로 인해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면적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 부재(240)의 도포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접착 부재(24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이격 영역에서만 상기 가스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캐비티 공간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고, 이에 의해 물리적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 부재(240)가 미배치되는 상기 이격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300)의 사이즈도 커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커버 부재(300)와 상기 기판(100) 사이의 밀착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커버 부재(300)가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분리되는 물리적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이역 영역의 면적이 감소하면 상기 가스가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이격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면 상기 커버 부재(300)와 기판(100) 사이의 밀착력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상기 제1 절연층(140)에 구비된 상기 제1 개구(141)를 이용하여 상기 캐비티 공간에 존재하는 가스가 캐비티 공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접착 부재(240)의 상기 이격 영역과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접착 부재(240)의 상기 이격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상기 이격 영역뿐 아니라, 상기 이격 영역과 연결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를 통해 상기 캐비티 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둘레 영역(140a)은 상기 접착 부재(240)가 배치되는 영역 및 상기 접착 부재(240)가 배치되지 않은 미배치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둘레 영역(140a)의 상기 미배치 영역과 수직으로 중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300)의 하면과 상기 기판(100)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개구(141)의 깊이만큼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캐비티 공간에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충분히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반도체 패키지의 물리적 신뢰성 및 전기적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는 커버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부재(300)는 상기 접착 부재(24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 부재(300)는 내측에 상기 캐비티 공간으로 정의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00)는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면서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00)는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측부를 커버하는 측판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판부(310)는 상기 접착 부재(240)와 접촉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기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판부(310)는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 부재(300)는 상기 측판부(3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판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300)는 상기 측판부(310)와 상기 상판부(320)를 통해 내측에 상기 반도체 소자(220)를 수용하는 캐비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00)의 하면은 상기 접착 부재(240)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부재(300)의 상기 측판부(310)의 하면은 상기 접착 부재(24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300)의 측판부(310)의 하면은 상기 접착 부재(240)와 수직으로 중첩되면서 상기 접착 부재(240)와 접촉하는 제1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300)의 측판부(310)의 하면은 상기 접착 부재(240)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상기 접착 부재(240)와 접촉하지 않는 제2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부재(300)의 측판부(310)의 상기 제2 하면은 상기 접착 부재(240)의 상기 이격 영역과 수직으로 중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300)의 측판부(310)의 상기 제2 하면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와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300)의 상기 측판부(310)의 상기 제2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격 영역 및 상기 제1 개구(141)를 통해 상기 기판(100)의 상면과 직접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00)는 전극층(120)가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00)의 상판부(320)는 반도체 소자(220) 및/또는 전극층(120)과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300)의 측판부(310)는 상기 전극층(120)과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측판부(310)는 제1 개구(141)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과, 제1 접착 부재(240)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1 절연층(140)과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구(141)를 통해 유동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전극층(120)이 산화 또는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극층(120)과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유동하는 가스로부터 제1 절연층(140) 및/또는 제1 접착 부재(240)에 의해 상기 전극층(120)이 보호되기 때문에, 상기 전극층(120)의 배선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전극층(120)과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00)는 상기 캐비티 공간의 주위를 커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캐비티 공간 내에 수용된 반도체 소자(2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 부재(300)는 반도체 소자(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부재(300)는 열 전달 특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제2 접착 부재(41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착 부재(410)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 부재(410)는 상기 커버 부재(300)의 상기 상판부(3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접착 부재(410)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와 상기 커버 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 부재(410)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에 상기 커버 부재(300)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착 부재(410)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커버 부재(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접착 부재(410)는 열 전달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접착 부재(410)는 열전달이 가능한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접착 부재(410)는 TIM 페이스트일 수 있다. 상기 TIM 페이스트는 알루미나, 왁스, 솔벤트 등의 혼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도체 패키지는 제3 접착 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접착 부재(420)는 상기 커버 부재(300)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접착 부재(420)는 상기 커버 부재(300)의 상기 상판부(3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접착 부재(420)는 상기 방열판(430)과 상기 커버 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 부재(420)는 상기 커버 부재(300) 상에 상기 방열판(43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 부재(420)는 상기 커버 부재(3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상기 방열판(4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접착 부재(420)는 열 전달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접착 부재(420)는 TIM 페이스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3 접착 부재(420) 상에 결합되는 방열판(430)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판(430)은 히트싱크일 수 있다. 상기 방열판(430)은 상기 커버 부재(3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430)은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방열 핀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제1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 대비 기판(100)의 구조에 있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기판(10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100) 상에 1개의 반도체 소자(220)가 실장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다르게, 제2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기판(100) 상에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복수의 반도체 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예의 기판(100)은 패키지 기판이었다. 즉, 제1 실시 예의 기판(100)은 반도체 소자와 메인 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패키지 기판이었다.
이와 다르게, 제2 실시 예의 기판(100)은 인터포저이다. 즉, 제2 실시 예의 기판(100)은 반도체 소자와 패키지 기판(600) 사이에 배치되는 인터포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120a)의 제1 전극 패턴(120a-1)은 제1 그룹의 제1 전극 패턴 및 제2 그룹의 제2 전극 패턴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1 그룹의 제1 전극 패턴 상에 배치된 제1 반도체 소자(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 소자(220a)의 단자(225a)는 제1 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제1 그룹의 제1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2 그룹의 제2 전극 패턴 상에 배치된 제2 반도체 소자(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 소자(220b)의 단자(225b)는 제1 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제2 그룹의 제1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 소자(220a) 및 제2 반도체 소자(220b)는 서로 동일한 종류의 로직 칩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서로 다른 종류의 로직 칩일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의 몰딩 부재(230)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자(220a) 및 제2 반도체 소자(220b)를 동시에 몰딩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의 제2 접착 부재(410)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자(220a) 및 제2 반도체 소자(22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접착 부재(410)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자(220a) 및 제2 반도체 소자(220b) 사이의 이격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제1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 대비 기판(100)의 구조에 있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기판(10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제1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코어-리스 기판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제3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코어기판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00)은 제3 절연층(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절연층(110)은 복수의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110)은 코어층(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111)은 프리프레그(prepre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프레그는 유리 섬유 실(glass yarn)으로 직조된 글라스 패브릭(glass fabric)과 같은 직물 시트(fabric sheet) 형태의 섬유층에 에폭시 수지 등을 함침한 후 열 압착을 진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층(111)은 수지 및 수지 내에 배치되는 강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100)의 제3 절연층(110)은 상기 코어층(111) 상에 배치된 추가 절연층(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절연층(112)은 제1 실시 예의 기판(100)에 포함된 보강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ABF일 수 있다.
이때, 제2 실시 예의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전극들은 상기 기판(100)의 제3 절연층(110)의 상면 위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4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제1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 대비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소자의 구성에 있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소자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4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기판(100)의 제1 접속부(210) 상에 배치된 제1 구성(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성(220)은 반도체 소자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인터포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성(220)이 인터포저인 경우, 이는 액티브 인터포저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패시브 인터포저일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220) 상에 배치된 제5 접속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접속부(510)는 상기 제1 구성(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성(220)이 반도체 소자인 경우, 상기 제5 접속부(510)는 상기 반도체 소자의 단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성(220)이 인터포저인 경우, 상기 제5 접속부(510)는 상기 인터포저의 전극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5 접속부(510) 상에 배치된 제2 구성(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성(520)은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성(520)은 CPU 또는 GPU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구성(520)은 단자(5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구성(520)의 단자(525)는 상기 제5 접속부(510)를 통해 상기 제1 구성(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구성(520)은 상기 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100) 상에 복수의 반도체 소자(220, 520)가 적층 구조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액티브 또는 패시브 인터포저(220)를 통해 상기 기판(100)과 반도체 소자(52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실시 예의 몰딩 부재(230)은 상기 제1 구성(220)과 제2 구성(520)을 몰딩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예의 커버 부재(300)는 상기 제1 구성(220)과 제2 구성(520)의 측부 및 상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부재(300)의 수용 공간으로 정의되는 캐비티 공간에는 상기 제1 구성(220) 및 제2 구성(5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예의 제2 접착 부재(410)는 상기 제2 구성(5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절연층(140)의 오픈 영역의 구조,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240)의 배치 구조,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300)의 배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 예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 예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제3 실시 예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제4 실시 예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제1 실시 예의 제1 절연층 상에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2 실시 예의 제1 절연층 상에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절연층(140)은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오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절연층(14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140c)에 인접한 둘레 영역(140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상기 둘레(140c)을 제외한 내측 영역(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둘레(140c)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테두리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140c)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모서리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오픈 영역은 제1 개구(141) 및 제2 개구(14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개구(141)는 1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둘레 영역(140a)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둘레 영역(140a)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 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리세스이면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 홀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142)는 복수 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142)는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의 개수 또는 제1 전극 패턴(120a-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개구(142)의 개수는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2 개구 중 적어도 1개의 제2 개구는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20a-1)을 동시에 오픈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둘레 영역(140a) 영역 중에서 코너 영역과 이격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개구(141)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예의 제1 절연층(140)은 상기 둘레 영역(140a)에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 개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제1 개구(141)는 상기 둘레 영역(140a)에서 서로 이격되며 배치되는 제1-1 개구 내지 제1-4 개구(141-1, 141-2, 141-3, 1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개구 내지 제1-4 개구(141-1, 141-2, 141-3, 141-4)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개구 내지 제1-4 개구(141-1, 141-2, 141-3, 141-4) 각각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의 제1 절연층(140)은 1개의 제1 개구(14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층(140)의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코너 영역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었다.
이와 다르게, 제3 실시 예의 제1 절연층(140)의 제1 개구(141a)는 상기 코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구(141a)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의 둘레는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 예의 제1 개구(141)의 평면 형상은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개구(141a)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실시 예의 제1 절연층(140)은 상기 둘레 영역(140a)에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 개구(141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제1 개구(141a)는 상기 둘레 영역(140a)에서 서로 이격되며 배치되는 제1-1 개구 내지 제1-4 개구(141-1a, 141-2a, 141-3a, 14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개구 내지 제1-4 개구(141-1a, 141-2a, 141-3a, 141-4a)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개구 내지 제1-4 개구(141-1a, 141-2a, 141-3a, 141-4a) 각각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1-1 개구 내지 제1-4 개구(141-1a, 141-2a, 141-3a, 141-4a)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영역(140a)의 서로 다른 코너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의 제1 절연층(140)의 제1 개구는 제1 내지 제4 실시 예 중 적어도 2개의 실시 예의 제1 개구의 구조의 조합으로도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둘레 영역(140a)에는 제1 접착 부재(24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2 개구(142)에는 제1 접속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둘레 영역(140a) 상에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접착 부재(240)는 개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 부재(240)는 상기 둘레 영역(140a)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둘레 영역(140a)은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접착 부재(240)가 배치되지 않은 미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배치 영역은 상기 개루프 형상은 가지는 상기 제1 접착 부재(240)의 일단부(241e1) 및 타단부(241e2) 사이의 이격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배치 영역은 상기 커버 부재(300)의 측판부(310)의 제2 하면과 수직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00)의 측판부(310)의 제2 하면은 상기 측판부(310)의 하면 중 상기 접착 부재(240)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240)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미배치 영역과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배치 영역은 수직으로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제1 개구(141)와 중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배치 영역 중 일부에는 상기 제1 개구(141)가 구비되고, 나머지 일부에는 상기 제1 개구(141)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의 상기 제1 개구(141)는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폭(W1)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으로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1 개구(141)의 수평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의 상기 미배치 영역 또는 상기 이격 영역은 상기 제1 폭(W1)보다 큰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폭(W2)은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으로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폭(W2)은 상기 이격 영역의 이격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폭(W2)은 상기 제1 접착 부재(240)의 일단부(240e1) 및 타단부(240e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폭(W1)이 상기 제2 폭(W2)보다 크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캐비티 공간에 존재하는 가스의 배출 경로를 상기 제1 개구(141)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가스 배출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폭(W1)이 상기 제2 폭(W2)보다 크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절연층(140) 상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240)가 상기 제1 개구(141)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상기 가스 배출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가스 배출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개구(14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둘레 영역(140a)에서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1 개구 내지 제1-4 개구(141-1, 141-2, 141-3, 14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1 개구 내지 제1-4 개구(141-1, 141-2, 141-3, 141-4) 사이에서,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접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1 개구(141-1)와 제1-2 개구(141-2) 사이에서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접착 패턴(24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2 개구(141-2)와 제1-3 개구(141-3) 사이에서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접착 패턴(24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3 개구(141-3)와 제1-4 개구(141-4) 사이에서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3 접착 패턴(24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1 개구(141-1)와 제1-4 개구(141-4) 사이에서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4 접착 패턴(24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반도체 패키지의 제1 절연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제1 절연층 상에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는 제1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 대비 기판(100)의 제1 절연층(140)에 리세스(143)가 구비되는 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리세스(143)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절연층(140)은 상기 둘레 영역(140a)에 구비되는 리세스(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143)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세스(143)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판부(320)의 둘레(140c)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143)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제1 개구(14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리세스(143)에 상기 제1 접착 부재(240)가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개구(141)를 통해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는 상기 리세스(143)의 깊이만큼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반도체 패키지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제1 절연층의 상면의 상기 둘레 영역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상기 둘레 영역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둘레 영역은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된 배치 영역과,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미배치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미배치 영역은 상기 제1 개구와 수직으로 중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 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는 제1 하면과,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제2 하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 하면과 수직으로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미배치 영역뿐 아니라, 상기 미배치 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상기 제1 개구를 가스 배출구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 공간으로 정의되는 캐비티 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를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 예는 상기 캐비티 공간에 가스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물리적 신뢰성 문제 및 전기적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품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의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될 영역에 구비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리세스의 깊이만큼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반도체 패키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상기 제1 개구의 폭보다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미배치 영역의 폭이 더 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개구의 폭 및 상기 미배치 영역의 폭 각각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 방향으로의 폭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상기 제1 개구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품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는 상기 미배치 영역과 상기 제1 개구에 단차를 두어 상기 캐비티 공간 내에서 발생한 가스가 상기 제1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는 상기 가스의 배출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3은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도 1의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조 공정을 기초로 하여 제2 내지 제5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 예는 기판(100)의 제조에 기초가 되는 자재를 준비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ETS 구조의 기판(100)을 제조하기 위한 캐리어 보드를 준비한다. 상기 캐리어 보드는 캐리어 절연층(CB1) 및 상기 캐링 절연층(CB1)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캐리어 금속층(CB2)을 포함한다. 도 14에는 상기 캐리어 금속층(CB2)이 상기 캐리어 절연층(CB1)의 하면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캐리어 금속층(CB2)은 상기 캐리어 절연층(CB1)의 상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 예는 상기 캐리어 절연층(CB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캐리어 금속층(CB2)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판(100)을 동시에 제조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 예는 상기 캐리어 절연층(CB1)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캐리어 금속층(CB2)을 시드층으로, 상기 캐리어 금속층(CB2)의 하면에 기판(100)의 전극층(120)의 일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상기 캐리어 금속층(CB2)의 하면에 상기 기판(100)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전극층인 제1 전극층(120a)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층(120a)은 제1 전극 패턴(120a-1) 및 제2 전극 패턴(120a-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 예는 상기 제1 전극층(120a)이 형성되면, 제3 절연층(110)의 적층 공정, 관통 홀 형성 공정, 관통 전극 형성 공정 및 전극층 형성 공정을 적어도 1회 진행하여, 기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 예는 상기 캐리어 보드를 제거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상기 캐리어 절연층(CB1)과 상기 캐리어 금속층(CB2)을 분리시키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 예는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 캐리어 금속층(CB2)을 에칭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 예는 상기 기판(100) 상에 제1 절연층(140)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 예는 상기 기판(100)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절연물질을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절연물질을 노광 및 현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제1 개구(141) 및 제2 개구(142)를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41)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둘레 영역(140a)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142)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내측 영역(140b)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게, 실시 예는 상기 기판(100)의 하부에 제2 절연층(150)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실시 예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제2 개구(142)를 통해 노출된 제1 전극 패턴(120a-1) 상에 제1 접속부(210)를 배치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실시 예는 상기 제1 접속부(210) 상에 반도체 소자(220)를 실장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단자(225)는 상기 제1 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제1 전극 패턴(120a-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실시 예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 및 상기 제1 접속부(210)를 몰딩하는 몰딩 부재(230)를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실시 예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영역에 제1 접착 부재(240)를 도포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접착 부재(240)는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루프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40)의 둘레 영역(140a)에는 상기 제1 접착 부재(240)가 배치되지 않는 미배치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미배치 영역은 상기 제1 접착 부재(24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이격되는 이격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배치 영역은 상기 제1 절연층(140)에 구비된 제1 개구(141)와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 예는 상기 반도체 소자(220)의 상면에 제2 접착 부재(410)를 도포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를 참조하면, 실시 예는 상기 제1 접착 부재(240) 및 제2 접착 부재(410)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100) 상에 커버 부재(300)를 부착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300)가 부착된 이후에 상기 제1 접착 부재(240)를 경화하는 열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 공정 시에 가스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발생하는 가스는 상기 제1 접착 부재(240)의 미배치 영역 및 상기 제1 절연층(140)의 상기 제1 개구(141)를 통해 상기 커버 부재(3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3을 참조하면, 실시 예는 상기 커버 부재(300)의 상판부(320)의 상면에 제3 접착 부재(420)를 도포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실시 예는 상기 제3 접착 부재(420) 상에 방열판(430)을 부착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발명의 특징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가 스마트폰, 서버용 컴퓨터, TV 등의 IT 장치나 가전제품에 이용되는 경우, 신호 전송 또는 전력 공급 등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 칩을 외부의 습기나 오염 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고, 누설전류 혹은 단자 간의 전기적인 단락 문제나 혹은 반도체 칩에 공급하는 단자의 전기적인 개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의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 노이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발명의 특징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는 IT 장치나 가전제품의 안정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제품과 본 발명이 적용된 반도체 패키지가 서로 기능적 일체성 또는 기술적 연동성을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발명의 특징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가 차량 등의 운송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운송 장치로 전송되는 신호의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는 운송 장치를 제어하는 반도체 칩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누설전류 혹은 단자 간의 전기적인 단락 문제나 혹은 반도체 칩에 공급하는 단자의 전기적인 개방의 문제를 해결하여 운송 장치의 안정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 장치와 본 발명이 적용된 반도체 패키지는 서로 기능적 일체성 또는 기술적 연동성을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은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 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루프 형상을 가지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는 제1 하면과,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제2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 하면과 수직으로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개구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
    반도체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의 둘레에 인접한 둘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둘레 영역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반도체 패키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둘레 영역 중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수직으로 중첩되는,
    반도체 패키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의 상기 둘레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개구의 상기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반도체 패키지.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1 개구 사이에서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접착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반도체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하여 오목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반도체 패키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 절연층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되는,
    반도체 패키지.
  10.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1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
    반도체 패키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와 수직으로 중첩된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된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 상에 배치된 반도체 소자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반도체 소자와 이격되며,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부 영역을 커버하는 측판부; 및
    상기 측판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의 상부 영역을 커버하는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하면은 상기 측판부의 하면인,
    반도체 패키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의 상면과 상기 상판부의 하면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반도 패키지.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면을 몰딩하는 몰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솔더 레지스트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1020220085709A 2022-07-12 2022-07-12 반도체 패키지 KR20240008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709A KR20240008627A (ko) 2022-07-12 2022-07-12 반도체 패키지
PCT/KR2023/009957 WO2024014877A1 (ko) 2022-07-12 2023-07-12 반도체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709A KR20240008627A (ko) 2022-07-12 2022-07-12 반도체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627A true KR20240008627A (ko) 2024-01-19

Family

ID=8953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709A KR20240008627A (ko) 2022-07-12 2022-07-12 반도체 패키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8627A (ko)
WO (1) WO20240148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551A (ko) * 2013-11-12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 및 반도체 칩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US20180114804A1 (en) * 2016-03-02 2018-04-26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High reliability housing for a semiconductor package
KR101981247B1 (ko) * 2017-03-02 2019-05-23 크루셜텍 (주) 센서 패키지용 코팅 장치
KR102086364B1 (ko) * 2018-03-05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KR102346297B1 (ko) * 2021-07-15 2022-01-04 (주)알에프세미 가변 적층형 방열판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877A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1536B2 (en) Interposer substrate and semiconductor package
KR102196173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제조 방법
US8241968B2 (en) Printed circuit board (PCB) including a wire pattern,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PCB, electrica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method of fabricating the PCB,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KR20020061812A (ko) 볼 그리드 어레이형 멀티 칩 패키지와 적층 패키지
KR20240008627A (ko) 반도체 패키지
KR102587161B1 (ko) 반도체 패키지
KR102674312B1 (ko) 반도체 패키지
KR20230168460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40019478A (ko) 반도체 패키지
KR20240025210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40014187A (ko) 반도체 패키지
KR20240016543A (ko) 반도체 패키지
KR20240054825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30168461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40038360A (ko) 반도체 패키지
KR20240020913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40003825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30164313A (ko) 반도체 패키지
KR20240083227A (ko)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20240027289A (ko) 반도체 패키지
KR20230168752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40061987A (ko)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20240001627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40034563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40027990A (ko) 반도체 패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