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719A - 선상 점착체 - Google Patents

선상 점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719A
KR20240007719A KR1020247000426A KR20247000426A KR20240007719A KR 20240007719 A KR20240007719 A KR 20240007719A KR 1020247000426 A KR1020247000426 A KR 1020247000426A KR 20247000426 A KR20247000426 A KR 20247000426A KR 20240007719 A KR20240007719 A KR 20240007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layer
article
weight
gel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다카시마
요스케 마키하타
긴지 미즈하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4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anhydride, COOH or COOM groups, with M being metal or onium-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7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repositionable or removabl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 C09J2301/5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process for debonding adher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6Roll or c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세퍼레이터가 불필요하고,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충분한 점착력을 발현하고, 점착제층끼리가 접촉해도 계면에서 박리가 가능한 점착성 물품을 제공한다.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체를 갖는 점착성 물품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5 ∼ 70 % 이고, 상기 점착성 물품은, 40 ℃ 에서 7 일간 보존 후의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의 변화량이 -5 % ∼ 5 % 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점착성 물품.

Description

점착성 물품{ADHESIVE ARTICLE}
본 발명은, 점착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퍼레이터가 불필요한 점착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점착 시트나 점착 테이프가, 금속, 유리, 목재, 종이, 골판지, 플라스틱 재료 등의 각종 피착체의 접착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착 시트는, 통상적으로 피착체에 첩부될 때까지의 동안에,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점착면이 세퍼레이터 (박리 시트) 로 보호되어 있다. 또, 롤상의 점착 테이프와 같은 감긴 형태인 경우에는, 되감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착면이 접촉되는 배면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기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수분산형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세퍼레이터 기재 상에 도포하고, 열가교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점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사용시에 박리되는 세퍼레이터는 박리 후에 폐기되기 때문에, 자원 절약화나 저비용화의 관점에서는, 그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 사용자가 장갑을 끼면서 사용하는 경우나, 사용되는 점착 시트 혹은 점착 테이프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점착 시트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할 때나 점착 테이프를 되감을 때의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세퍼레이터나 기재 이면의 박리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점착 시트 혹은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으면,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점착 시트로서, 특허문헌 2 에는, 상온에서는 점착성이 낮고, 한편, 가열한 경우에 점착성을 발현하는, 점착 시트 및 점착 테이프 등에 유용한 감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감열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감열 점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사상 (絲狀) 또는 테이프상의 심재에 핫멜트형 접착제를 피착하여 이루어지는 핫멜트형 접착재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4 에는, 사상의 심재에 점착제를 부착시켜, 박리지를 사용하지 않고 릴에 감은 사상 점착제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45792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14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760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3-231980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점착 시트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것이다.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감열 점착 시트, 및 핫멜트형 접착재는, 가열에 의해 점착성을 발현하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문제를 갖고 있다. 첫번째로, 그 감열 점착 시트에 점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열원이 필요하다. 두번째로, 피착체로의 첩부 후에 열이 가해지는 사용 환경하에서는, 사용이 곤란하고, 즉 보존 안정성이 나쁘다. 세번째로, 피착체에 접촉시킨 상태로 가열하여 점착성을 발현시키는 경우, 열에 약한 피착체로의 적용이 곤란하다. 네번째로,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 (점착 테이프) 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 열에 약한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사상 점착제는, 점착력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접착하는 것으로, 충분한 점착성을 발현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가 불필요하고,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충분한 점착력을 발현하고, 점착제층끼리가 접촉해도 계면에서 박리가 가능한 점착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겔분율의 변화율이 적은 점착제이면,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서로 접촉시켰다고 해도, 충분한 접착력을 갖는 점착제라도 용이하게 박리나 되감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체를 갖는 점착성 물품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5 ∼ 70 % 이고, 상기 점착성 물품은, 40 ℃ 에서 7 일간 보존 후의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의 변화량이 -5 % ∼5 % 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점착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체를 갖는 점착성 물품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5 ∼ 70 % 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하고, 서로 접촉한 상기 점착제층은 40 ℃ 에서 7 일간 보존 후에 계면에서 박리 가능한 점착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시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기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선상의 심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심재의 길이 방향의 표면이 상기 점착제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가 롤상으로 감긴 형태, 또는 복수의 상기 점착체가 적층된 형태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은,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해도 자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계면에서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세퍼레이터나 세퍼레이터의 박리 처리가 불필요하다. 또,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피착체에 대해서는 충분한 점착력을 발현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다.
도 1 은, 점착성 물품의 일 구성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는, 점착성 물품의 일 구성예의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3 은, 점착체의 일 구성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는, 점착체의 일 구성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는, 점착성 물품의 일 구성예의 모식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부재 및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면에 기재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모식화되어 있고, 실제의 제품의 사이즈나 축척을 반드시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체를 갖는 점착성 물품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5 ∼ 70 % 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하고, 서로 접촉한 점착제층은 40 ℃ 에서 7 일간 보존 후에 계면에서 박리 가능한 점착성 물품이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성 물품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체를 갖고,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점착성 물품이고, 접촉한 점착제층이 서로 접착한 후에 계면에서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퍼레이터가 불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성 물품은, 점착체의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점착성 물품이고, 점착체가 롤상으로 감긴 형태, 또는 복수의 점착체가 적층된 형태의 점착성 물품이어도 된다. 또한,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가공된 점착체를 적층시킨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체는, 시트상이어도 되고, 선상이어도 된다. 점착체는 기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데, 기재를 포함하지 않고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체여도 된다.
점착체가 시트상인 경우, 기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데,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시트의 개념에는, 테이프, 라벨, 필름 등으로 칭해지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의 일 구성예에 대해 나타낸다. 점착성 물품 (10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심을 축으로 하여 시트상의 점착체 (2) 가 스파이럴상으로 감겨진 형태여도 되고, 권심없이 감겨진 형태여도 된다. 점착체 (2) 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갖는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된다. 점착체 (2) 는, 기재 (20) 와, 그 기재 (20) 의 제 1 면 및 제 2 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점착제층 (11) 및 제 2 점착제층 (12)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점착성 물품 (100) 은, 제 2 점착제층 (12) 의 표면이, 제 1 점착제층 (11) 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점착성 물품 (100) 의 최외면은 세퍼레이터 등에 의해 보호해도 되고, 케이스 등에 넣어도 된다.
도 2 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나타낸다. 점착성 물품 (200)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체 (2) 를 적층시킨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점착성 물품 (200) 의 최외면은 세퍼레이터 등에 의해 보호해도 되고, 케이스 등에 넣어도 된다.
점착체가 선상인 경우, 선상의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심재) 리스의 점착체여도 되고, 심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3 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에 관한 점착체 (3) 의 일 구성예에 대하여, 점착체 (3)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구성예의 점착체 (3) 는, 선상의 점착제층 (13) 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리스의 점착체이다. 여기에 말하는 선상이란, 직선상, 곡선상, 꺾은선상 등의 이외에도, 실과 같이 다양한 방향,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는 상태 (이하, 사상이라고도 한다) 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선상의 점착체도 포함한다.
또한, 본 구성예의 점착성 물품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이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단면의 형상으로는, 원형 외에도, 타원형, 사각형 등의 구형 (矩形) 등을 취할 수 있다.
도 4 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체의 일 구성예에 대하여, 그 점착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에 나타나는 점착체 (4) 는, 선상의 심재 (14) 와, 심재 (14) 의 길이 방향의 표면을 피복하는 점착제층 (13) 을 구비한다.
또한, 본 구성예의 점착체 (4) 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이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단면의 형상으로는, 원형 외에도, 타원형, 사각형 등의 구형 등을 취할 수 있다.
도 5 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나타낸다. 점착성 물품 (300)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체 (4) 를 권심에 감기게 한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점착성 물품 (300) 의 최외면은 세퍼레이터 등에 의해 보호해도 되고, 케이스 등에 넣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체를 갖는 점착성 물품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5 ∼ 70 % 이고, 상기 점착성 물품은, 40 ℃ 에서 7 일간 보존 후의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의 변화량이 -5 % ∼ 5 % 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점착성 물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겔분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에 포함되는 점착체의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필요한 응집력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중량 기준으로 5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다. 또, 피착체에 대해 충분한 점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7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이다.
여기서 「점착제층의 겔분율」이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말한다. 그 겔분율은, 점착제층 중 아세트산에틸 불용분의 중량 비율로서 파악될 수 있다.
[겔분율 측정 방법]
약 0.1 g 의 점착제 샘플 (중량 W1) 을 평균 구멍 직경 0.2 ㎛ 의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중량 W2) 으로 주머니상으로 싸고, 입구를 연끈 (중량 W3) 으로 묶는다.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막으로는, 닛토 전공 주식회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상품명 「니트후론 (등록상표) NTF1122」 (평균 구멍 직경 0.2 ㎛, 기공률 75 %, 두께 85 ㎛) 또는 그 상당품을 사용한다.
이 싼 것을 아세트산에틸 50 ㎖ 에 침지시키고, 실온 (전형적으로는 23 ℃) 에서 7 일간 유지하여 점착제층 중의 졸 성분만을 상기 막 외로 용출시킨 후, 상기 싼 것을 꺼내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아세트산에틸을 닦아내고, 그 싼 것을 130 ℃ 에서 1 시간 건조시켜, 그 싼 것의 중량 (W4) 을 측정한다.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각 값을 이하의 식 (1) 에 대입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이 채용된다.
겔분율 (%) = [(W4 - W2 - W3)/W1] × 100 (1)
〔겔분율의 변화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은, 40 ℃ 에서 7 일간 보존 후의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의 변화량이 -5 % ∼ 5 % 이다.
겔분율의 변화량은, 점착성 물품의 점착제층의 겔분율 (F1) 과, 40 ℃ 에서 7 일간 보존 후의 점착성 물품의 점착제층의 겔분율 (F2) 을 측정하고, 이하의 식 (2) 에 대입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이 채용된다. 또, 겔분율은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겔분율의 변화량 (%) = F2 - F1 (2)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성 물품은, 점착제층의 겔분율의 변화량이 -5 % ∼ 5 % 이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후에,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것은,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해도 점착제층 사이에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고, 화학 결합 등의 결합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그 때문에, 점착성 물품이 세퍼레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점착체가 롤상으로 감긴 형태, 또는 복수의 점착체가 적층된 형태의 점착성 물품이어도, 점착체의 형상을 파괴하지 않고, 점착제층의 계면에서 박리할 수 있다. 또, 점착체의 점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되감거나, 또는 재적층할 수 있다.
겔분율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되감기 또는 재적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5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 % 이하이다.
겔분율, 및 겔분율의 변화량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했을 때에 점착제층 사이가 자착하는 힘 (자착력) 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억제하여, 피착체에 대해서는 높은 점착력과 유지력을 발현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시트상의 점착체로 했을 때의 180 도 필 시험에 있어서, 5 N/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 N/2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N/2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력의 상한값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00 N/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N/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겔분율을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점착제를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가교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분율의 변화량을 상기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가교를 신속하게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적절한 가교제를 사용한 가교나, UV 가교, 전자선 가교 등의 방사선 가교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유기 과산화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유기 금속염, 금속 알코올레이트, 금속 킬레이트, 히드라지드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란 또는 실란올계 가교제를 임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체〕
본 실시형태의 점착성 물품에 있어서, 점착체는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점착제로는, 상기 겔분율, 및 겔분율의 변화량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성의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는, 상온에서 점착성을 갖고, 점착제의 표면과 피착체의 표면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피착체를 그 표면에 첩부할 수 있는 감압형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형 점착제이면,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아, 열에 약한 피착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점착제로는, 용제형의 점착제와 수분산형의 점착제 중 어느 타입도 사용할 수 있고, 점착제 조성물의 건조 (용매 휘발) 에 의해 가교가 진행되어, 건조 후에 가교가 신속하게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후에 새로운 가교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속 도공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이고, 용제에 의한 기재나 심재로의 영향 (팽윤, 용해) 이 적은 면으로부터, 수분산형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수분산형의 아크릴계 점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크릴계 점착제」란, 아크릴계 폴리머 (아크릴계 중합체) 를 베이스 폴리머 (폴리머 성분 중의 주성분, 즉 50 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 로 하는 점착제를 가리킨다. 「아크릴계 폴리머」란, 1 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 (이하, 이것을 「아크릴계 모노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주구성 단량체 성분 (모노머의 주성분, 즉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총량 중 50 중량% 보다 많이 차지하는 성분) 으로 하는 폴리머를 가리킨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동일하게,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란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각각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모노머로서 포함하고, 그 주모노머와 공중합성을 갖는 부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모노머 원료의 중합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모노머란, 상기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모노머 조성의 50 중량% 초과를 차지하는 성분을 말한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일반식 (3)
CH2 = C(R1)COOR2 (3)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R2 는 탄소수 2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R2 로서, 예를 들어,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이소아밀기, 헥실기, 헵틸기, 2-에틸헥실기, 이소옥틸기, 이소노닐기, 이소데실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R2 로서, 부틸기, 2-에틸헥실기 등의 탄소수 2 ∼ 10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 중의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예를 들어, 상기 (메트)아크릴산 C2-14알킬에스테르] 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80 중량% 이상 (예를 들어, 80 ∼ 99.8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이상 (예를 들어, 85 ∼ 99.5 중량%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예를 들어, 90 ∼ 99 중량% 정도) 이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열가교하기 위한 가교점을 도입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관능기 함유 단량체 (열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를 포함하고 있다. 그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코모노머 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도 향상된다.
상기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크로톤산, 무수 말레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산 무수물 ;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부틸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 (메트)아크릴로니트릴, N-(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2-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산 무수물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사용량은,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5 ∼ 1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 8 중량부 정도이다.
또,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는, 응집력 등의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그 밖의 공중합성 단량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공중합성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 시클로펜틸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고리형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성 단량체도 1 종 또는 2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가교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에 사용하는 가교제로는, 통상 사용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란계 가교제, 유기 과산화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유기 금속염, 금속 알코올레이트, 금속 킬레이트, 히드라지드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란올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의 겔분율의 변화량을 상기한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유기 금속염, 금속 킬레이트, 히드라지드계 가교, 실란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수분산형 점착제의 경우에는, 특히 히드라지드계 가교, 실란계 가교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유용성 및 수용성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실란계 가교제로는,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실란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계 단량체로는, 규소 원자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대한 공중합성이 우수한 점에서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실란 유도체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실란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란계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외에, 공중합 가능한 실란계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4-비닐부틸트리메톡시실란, 4-비닐부틸트리에톡시실란, 8-비닐옥틸트리메톡시실란, 8-비닐옥틸트리에톡시실란, 10-메타크릴로일옥시데실트리메톡시실란, 10-아크릴로일옥시데실트리메톡시실란, 10-메타크릴로일옥시데실트리에톡시실란, 10-아크릴로일옥시데실트리에톡시실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사용량은 상기 모노머 원료의 종류나 점착성 물품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점착제층의 겔분율, 및 겔분율의 변화량이 원하는 범위가 되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노머 원료 (가교제를 제외한다) 100 중량부에 대한 가교제의 양은, 0.005 ∼ 5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부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다른 가교를 사용해도 되고, 다른 가교제를 사용한 가교나, UV 가교, 전자선 가교 등의 방사선 가교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가교제로는, 통상 사용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기 과산화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유기 금속염, 금속 알코올레이트, 금속 킬레이트, 히드라지드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란 또는 실란올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가교제는, 유용성 및 수용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점착제 조성물로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실란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관용의 유화 중합에 제공하여,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수분산액을 얻고, 이것에 필요에 따라 상기 다른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실란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상기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지만, 폴리머 분자 내의 가교점과 가교점을 결합하는 분자 내의 사슬이 길어져, 고분자 사슬이 풀리기 어려워진다. 또, 건조 후에는 물이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수분해가 일어나지 않아, 점착체의 점착제층이 서로 접촉해도 축합 반응이나 가교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점에서, 점착제층 사이에서의 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워 자착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점착체를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지 않고 점착체가 롤상으로 감기거나 또는 복수의 상기 점착체가 적층되어 점착제층끼리가 접촉해도, 보다 점착제층의 계면에서 박리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중합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일괄 중합, 연속 적하 중합, 분할 적하 중합 등을 채용할 수 있고, 중합 온도는, 예를 들어, 20 ∼ 100 ℃ 정도이다.
중합에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n수화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2황산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등의 아조계 개시제 ;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 페닐 치환 에탄 등의 치환 에탄계 개시제 ; 방향족 카르보닐 화합물 ;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조합 등의 레독스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모노머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5 ∼ 1 중량부 정도이다.
또, 중합에는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로는, 관용의 연쇄 이동제, 예를 들어, 라우릴메르캅탄, 도데칸티올 등의 메르캅탄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모노머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1 ∼ 0.5 중량부 정도이다.
또, 유화제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아니온계 유화제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등의 논이온계 유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화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유화제의 사용량은, 모노머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2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부 정도이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외에,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유화 중합 이외 방법으로 얻은 후, 필요에 따라 상기 가교제를 첨가하고, 유화제에 의해 물에 분산시켜 조제해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에는, 그 외, 필요에 따라, pH 를 조정하기 위한 염기 (암모니아수 등) 나 산, 점착제에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점착 부여 수지, 증점제, 계면 활성제, 노화 방지제, 충전제, 안료, 착색제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로진계 수지, 로진 유도체 수지, 석유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케톤계 수지 등의 각종 점착 부여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6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증점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 우레탄계 증점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증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 우레탄계 증점제가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함유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는,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성 또는 비박리성의 기재에 직접 도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키는 방법 (직접법) ; 박리성을 갖는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그 표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그 점착제층을 기재에 첩합 (貼合) 하여 전사하는 방법 (전사법) ;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체가 시트상인 경우, 시트상 점착체 (점착 시트) 는, 예를 들어, 상기의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열가교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세퍼레이터 위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를 갖지 않는 점착 시트를 얻을 수도 있다.
점착 시트는, 점착 테이프여도 되고, 강도 및 핸들링의 관점에서 점착 테이프의 폭은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적용 가능한 피착체의 표면 형상이나 영역을 다양한 점착체로 할 수 있는 점에서, 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를 갖지 않는 시트상의 점착체 (점착제층) 의 경우, 그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두께가 지나치게 작으면 핸들링이 악화될 우려가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두께가 지나치게 크면 유연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기재를 갖는 시트상의 점착체인 경우, 기재로는, 점착체 형상의 유지의 관점에서, 점착제층끼리의 자착력보다, 점착제층과 기재의 접착력쪽이 높은 것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염화비닐 등의 플라스틱 필름 ; 크라프트지 등의 종이 ; 금속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무연신 필름 및 연신 (1 축 연신 또는 2 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기재 중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면에는, 통상 사용되는 하도제나 코로나 방전 방식 등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고 있어도 된다. 기재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0 ∼ 500 ㎛ 정도이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점착제층의 두께로서 1 ㎛ ∼ 200 ㎛ 정도가 적당하고, 3 ㎛ ∼ 150 ㎛ 정도가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는, 관용의 코터,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코터, 리버스 롤코터, 키스 롤코터, 딥 롤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건조 후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예를 들어, 10 ∼ 100 ㎛ 정도가 되도록 도포된다. 건조 온도는, 적절히 채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40 ℃ ∼ 20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 18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 120 ℃ 이다. 건조 시간은, 적절히,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 초 ∼ 20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초 ∼ 10 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초 ∼ 5 분이다.
열가교는, 관용의 방법, 예를 들어,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 가교 반응이 진행되는 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실시된다. 가교 후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예를 들어, 5 ∼ 70 중량% 정도이다. 또, 가교 후의 점착제층의 용제 가용부의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 ;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은, 예를 들어, 10 만 ∼ 60 만 정도, 바람직하게는 20 만 ∼ 45 만 정도이다. 가교 후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이나 용제 가용부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모노머 총량에 대한 가교제 또는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비율, 연쇄 이동제의 종류나 양, 특히 가교제와 연쇄 이동제의 양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점착체가 선상인 경우, 선상 점착체는, 예를 들어, 하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선상 점착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체를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준비하고, 세퍼레이터 상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선상으로 도포함으로써, 점착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체가 심재 및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체인 경우에는, 심재의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딥핑, 침지, 도포 등에 의해 도공한 후에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심재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코터, 리버스 롤코터, 키스 롤코터, 딥 롤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관용의 코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적절히 채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40 ℃ ∼ 20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 18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 120 ℃ 이다. 건조 시간은, 적절히,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 초 ∼ 20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초 ∼ 10 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초 ∼ 5 분이다.
심재를 갖지 않는 선상의 점착체에 있어서, 점착체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점착체의 단면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끊어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유연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점착체가 심재를 갖는 선상의 점착체인 경우, 점착제층은 심재 표면 (길이 방향의 표면) 의 전부를 피복하고 있어도 되는데, 심재 표면의 일부만을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점상, 스트라이프상 등의 규칙적 혹은 랜덤인 패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심재의 단면 (端面) 은 점착제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되고 피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점착성 물품이 제조 과정이나 사용시에 절단되는 경우에는, 심재의 단면은 점착제층에 의해 피복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점착체에 사용되는 심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수지, 고무, 발포체, 무기 섬유, 이들의 복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체의 형상 유지의 관점에서, 점착제층끼리의 자착력보다, 점착제층과 심재의 접착력쪽이 높은 것임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 염화비닐 수지 ; 아세트산비닐 수지 ; 폴리이미드 수지 ; 폴리아미드 수지 ;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고무의 예로는, 천연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합성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발포체의 예로는,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의 예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 심재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점착성 물품의 단면 형상에 따른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 사상의 점착체에 사용될 수 있는 사상의 심재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학 섬유여도 되고 천연 섬유여도 된다. 화학 섬유로는, 예를 들어, 레이온, 큐프라, 아세테이트, 프로믹스, 나일론, 아라미드, 비닐론, 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크랄, 폴리락트산 등의 각종 고분자 재료, 유리, 탄소 섬유,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고무,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예를 들어, 비단, 천연 고무, 면, 울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상의 심재의 형태로는, 예를 들어, 모노 필라멘트 외에, 멀티 필라멘트, 스펀얀, 권축 가공이나 벌크 가공 등을 실시한 일반적으로 텍스처드얀, 벌키얀, 스트레치얀으로 칭해지는 가공사, 혹은 이들을 서로 꼬거나 하여 조합한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단면 형상도,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 형상이나 별 형상 등의 단 (短) 형상의 실이나 타원 형상, 중공 등일 수 있다.
또한, 심재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등),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가소제, 착색제 (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심재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하도제의 도포 등의, 공지 또는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져 있어도 된다.
심재의 단면의 사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원형의 단면 형상인 경우, 핸들링성 (끊어지기 어려움) 의 관점에서는, 그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 ㎛ ∼ 20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1000 ㎛ 이다.
심재를 갖는 점착체의 경우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건조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성 물품은, 점착체가 선상이면, 세폭의 부재나 폭이 좁은 영역에도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면서 첩부 가능하고, 또, 용이하게 해체 (리워크) 가능한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점착성 물품은, 전자 기기의 제조에 있어서의 물품의 고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 전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의 협소한 프레임의 고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의 점착성 물품은, 점착체가 선상이면, 좁은 간극에 넣어짐으로써, 간극의 표면에 접착하거나, 간극을 메우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점착성 물품은, 가곡성 (可曲性)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과 같이 다양한 방향,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는 사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곡성을 갖는 점착성 물품, 특히 사상인 점착성 물품에 의하면, 상기한 효과에 더하여, 곡선이나 곡면, 요철 등의 복잡한 형상에도 적용시키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곡선이나 곡면, 요철 등이 복잡한 형상의 부분을 갖는 피착체에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고자 하면,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에 주름이나 겹침이 생겨,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여 깨끗하게 첩부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 주름이나 겹침이 생긴 부분은 점착력이 저하되는 요인도 될 우려가 있다. 또, 주름이나 겹침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려면, 점착 테이프를 세세하게 절단하면서 첩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작업성이 대폭 악화되게 된다. 한편, 가곡성을 갖는 점착성 물품, 특히 사상인 점착성 물품이면, 곡선이나 곡면, 요철 등이 복잡한 형상의 부분에 첩부할 때에도, 주름이나 겹침을 일으키지 않고 강고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착성 물품은, 첩부하고자 하는 부분에, 한 번에, 즉 1 공정에서 첩부 가능하다는 점에서, 작업성도 우수하여, 자동화 라인에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상의 점착성 물품은, 예를 들어, 전선이나 광 파이버 등의 케이블, LED 파이버 라이트, FBG (Fiber Bragg Gratings, 파이버 브래그 그레이팅) 등의 광 파이버 센서, 실, 끈, 와이어 등의 각종 선재 (선상 부재) 나, 세폭의 부재를, 원하는 형태로 고정시키는 용도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재나 세폭의 부재를 복잡한 형상으로 다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상의 점착성 물품이면, 선재나 세폭의 부재가 가져야 하는 복잡한 형상에 맞춰, 비어져 나옴이나 주름, 겹침을 억제하면서, 우수한 작업성으로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선재나 세폭의 부재를 다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선재나 세폭의 부재가 고정되어야 할 형태에 맞춰, 사상의 점착성 물품을 미리 첩부한 후에, 다른 부재 표면에 첩부된 점착성 물품에 맞춰 선재나 세폭의 부재를 첩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혹은, 사상의 점착성 물품을 선재나 세폭의 부재에 첩부한 후에, 선재나 세폭의 부재를 원하는 형태로 다른 부재에 고정시켜도 된다.
또, 사상의 점착성 물품은, 하나의 물품을 다른 물품의 표면에 임시 고정 (임시 멈춤) 시키기 위한, 물품의 임시 고정 (임시 멈춤) 용도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상의 점착성 물품은, 예를 들어, 의복, 신발, 가방, 모자 등의 섬유 제품이나 피혁 제품 등을 제조할 때의 임시 고정 (임시 멈춤) 용도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 그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시 고정 (임시 멈춤) 이 소망되는 각종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물품을 다른 물품의 표면에 고정시킬 때에, 그 하나의 물품을 그 다른 물품의 표면에 사상의 점착성 물품을 사용하여 미리 임시 고정시켜 위치 결정한 후에, 양 물품을 열압착이나 봉제 등의 고정 방법에 의해 고정 (본 고정) 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상의 점착성 물품이면, 양 물품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피해 임시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섬유 제품이나 피혁 제품을 봉제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상의 점착성 물품에 의해 임시 고정을 실시하면, 봉제 부분을 피해 임시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점착제의 바늘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상의 점착성 물품이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양 물품의 형상이 곡선이나 곡면, 요철 등이 복잡한 형상이어도, 비어져 나옴이나 주름, 겹침을 억제하면서 양호하게 첩부할 수 있고, 또한 1 공정에서 첩부 가능하여,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 예를 들어, 섬유 제품 내지 피혁 제품을 구성하는 생지, 천, 피혁 등과 같은 변형되기 쉬운 부재여도, 사상의 점착성 물품에 의한 임시 고정을 실시함으로써, 인장에 의한 부재의 변형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어, 고정 (본 고정) 후의 의장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사상의 점착성 물품이면, 양 물품의 고정 (본 고정) 후에, 필요에 따라 고정 (본 고정) 된 양 물품 사이로부터 사상의 점착성 물품을 제거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점착제의 비어져 나옴을 방지할 수 있어, 잔존하는 점착제의 시간 경과적인 변색에서 유래하는 의장성의 열화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상의 점착성 물품이면, 점착체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과 꼬아 조합한 실로 하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이나 천 (부직포, 시트를 포함한다) 과 짜거나 함으로써, 기능의 복합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점착제층 형성용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의 조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40 중량부를 넣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60 ℃ 에서 1 시간 이상 교반하여 질소 치환을 실시하였다. 이 반응 용기에,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n수화물 (중합 개시제) 0.1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계를 60 ℃ 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모노머 에멀션 A 를 4 시간에 걸쳐 서서히 적하하여 유화 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모노머 에멀션 A 로는, 아크릴산2-에틸헥실 98 중량부, 아크릴산 1.25 중량부, 메타크릴산 0.75 중량부, 라우릴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0.05 중량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KBM-503」) 0.02 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유화제) 2 중량부를, 이온 교환수 30 중량부에 첨가하여 유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모노머 에멀션 A 의 적하 종료 후, 추가로 3 시간 60 ℃ 로 유지하고, 계를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중량% 암모니아수의 첨가에 의해 pH 를 7 로 조정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에멀션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A 를 얻었다.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A 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당, 고형분 기준으로 20 중량부의 점착 부여 수지 에멀션 (연화점 160 ℃ 의 중합 로진 에스테르의 수성 에멀션,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E-865NT」) 을 첨가하였다. 또한 pH 조정제로서의 10 중량% 암모니아수 및 증점제로서의 폴리아크릴산 (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아론 B-500」) 을 사용하여, pH 를 7.2, 점도를 10 Pa·s 로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제용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를 얻었다.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의 제작)
70 ㎝ × 25 ㎝, 두께 25 ㎛ 의 PET 기재 (도레이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루미라 S10」) 상에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를 어플리케이터로 도공한 후, 100 ℃ 에서 2 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점착제층의 두께는 25 ㎛ 였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1 에 관련된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점착 시트) 을 제작하였다.
(선상의 점착성 물품의 제작)
직경 300 ㎛ 의 모노 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사 (주식회사 유니프라스 제조) 를 심재로 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를, 얻어지는 점착성 물품에 있어서의 점착제의 부착량이 40 mg/m 이 되도록, 심재에 딥핑으로 도공한 후, 95 ℃ 에서 2 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시켜,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얻은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A 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당, 고형분 기준으로 30 중량부의 점착 부여 수지 에멀션 (연화점 160 ℃ 의 중합 로진 에스테르의 수성 에멀션,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E-865NT」) 을 첨가하였다. 또한 pH 조정제로서의 10 중량% 암모니아수 및 증점제로서의 폴리아크릴산 (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아론 B-500」) 을 사용하여, pH 를 7.2, 점도를 10 Pa·s 로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제용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B 를 얻었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점착제층 형성용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B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제작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서 얻은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A 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당, 고형분 기준으로 70 중량부의 점착 부여 수지 에멀션 (연화점 160 ℃ 의 중합 로진 에스테르의 수성 에멀션,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E-865NT」) 을 첨가하였다. 또한 pH 조정제로서의 10 중량% 암모니아수 및 증점제로서의 폴리아크릴산 (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아론 B-500」) 을 사용하여, pH 를 7.2, 점도를 10 Pa·s 로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제용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 를 얻었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점착제층 형성용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제작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40 중량부를 넣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60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 용기에,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중합 개시제) 0.1 중량부를 투입하고, 계를 60 ℃ 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모노머 에멀션 B 를 4 시간에 걸쳐 서서히 적하하여 유화 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모노머 에멀션 B 로는, 아크릴산2-에틸헥실 30 중량부, 아크릴산부틸 70 중량부, 아크릴산 3.0 중량부, n-라우릴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0.05 중량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의 상품명 「KBM-503」) 0.03 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유화제) 2 중량부를, 이온 교환수 30 중량부에 첨가하여 유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모노머 에멀션 B 의 적하 종료 후, 추가로 3 시간 60 ℃ 로 유지하고, 이어서 35 % 과산화수소수 0.2 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0.6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계를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 암모늄수 및 증점제로서의 폴리아크릴산 (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아론 B-500」) 을 사용하여, pH 를 7.2, 점도를 10 Pa·s 로 조정하고, 점착제층 형성용의 아크릴계 중합체 에멀션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B 를 얻었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B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제작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아크릴산 3 중량부, 아세트산비닐 4 중량부, 아크릴산부틸 93 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200 중량부를 3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 시간 교반한 후 AIBN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5 중량부를 첨가하고, 70 ℃ 로 승온시켜 6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A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머 용액에, 그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30 중량부의 중합 로진 (펜셀 D125,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2.5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콜로네이트 L,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식회사 제조) 를 배합하여, 점착제층 형성용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 를 조제하였다.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의 제작)
70 ㎝ × 25 ㎝, 두께 25 ㎛ 의 PET 기재 (도레이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루미라 S10」) 상에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 를 어플리케이터로 도공한 후, 100 ℃ 에서 2 분간 건조시킨 후, 실온 (20 ℃) 에서 24 시간 정치 (靜置) 하여, 점착제층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점착제층의 두께는 25 ㎛ 였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5 에 관련된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점착 시트) 을 제작하였다.
(선상의 점착성 물품의 제작)
직경 300 ㎛ 의 모노 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사 (주식회사 유니프라스 제조) 를 심재로 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 를, 얻어지는 점착성 물품에 있어서의 점착제의 부착량이 40 mg/m 이 되도록, 심재에 딥핑으로 도공한 후, 95 ℃ 에서 2 분간 건조시킨 후, 실온 (20 ℃) 에서 24 시간 정치하여, 점착제층을 형성시켜, 실시예 5 에 관련된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6)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B 대신에 실시예 1 에서 얻은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제작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를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제작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5 에 있어서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배합량을 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 를 조정하고, 비교예 2 의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점착 시트)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제작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3)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40 중량부를 넣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60 ℃ 에서 1 시간 이상 교반하여 질소 치환을 실시하였다. 이 반응 용기에,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n수화물 (중합 개시제) 0.1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계를 60 ℃ 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모노머 에멀션 C 를 4 시간에 걸쳐 서서히 적하하여 유화 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모노머 에멀션 C 로는, 아크릴산2-에틸헥실 98 중량부, 아크릴산 1.25 중량부, 메타크릴산 0.75 중량부, 라우릴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0.05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유화제) 2 중량부를, 이온 교환수 30 중량부에 첨가하여 유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모노머 에멀션 C 의 적하 종료 후, 추가로 3 시간 60 ℃ 로 유지하고, 계를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질량% 암모니아수의 첨가에 의해 pH 를 7 로 조정하고, 점착제층 형성용의 아크릴계 중합체 에멀션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C 를 얻었다.
실시예 1 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C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제작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4)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2-에틸헥실 100 중량부,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4 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키시다 화학 제조) 0.2 중량부, 및 아세트산에틸을 주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0 ℃ 부근에 유지하고 10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B 용액 (고형분 50 중량%) 을 조제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B 용액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콜로네이트 HX,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식회사 제조) 4 중량부, 첨가제로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엔비라이저 OL-1, 도쿄 정제 화학 제품 주식회사 제조) 0.015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점착제층 형성용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G 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 의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G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7 일간, 40 ℃ 에서 보존하였다.
보존 후의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을 비교예 4 에 관련된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 및 선상의 점착성 물품으로 하였다.
〔겔분율의 측정〕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의 점착 시트로부터 약 0.1 g (중량 W1) 의 점착제를 채취하고, 평균 구멍 직경 0.2 ㎛ 의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막 (중량 W2) 으로 주머니상으로 싸고, 입구를 연끈 (중량 W3) 으로 묶었다. 이 싼 것을 아세트산에틸 50 ㎖ 에 침지시키고, 실온 (전형적으로는 23 ℃) 에서 7 일간 유지하여 점착제층 중의 졸 성분만을 상기 막 외로 용출시킨 후, 상기 싼 것을 꺼내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아세트산에틸을 닦아내고, 그 싼 것을 130 ℃ 에서 1 시간 건조시켜, 그 싼 것의 중량 (W4) 을 측정하였다. 각 값을 이하의 식 (1) 에 대입함으로써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제층의 겔분율 (초기) (F1) 을 구하였다.
겔분율 (%) = [(W4 - W2 - W3)/W1] × 100 (1)
상기 다공질 PTFE 막으로는, 닛토 전공 주식회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상품명 「니트후론 NTF1122」 (평균 구멍 직경 0.2 ㎛, 기공률 75 %, 두께 85 ㎛) 를 사용하였다.
또한, 점착제의 채취는 점착 시트 제작 직후에 실시하였다.
〔겔분율의 변화량 측정〕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제작으로부터 7 일간, 40 ℃ 에서 보존 후에, 상기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점착제층의 겔분율 (40 ℃ × 7 일 후) (F2) 을 측정하였다.
겔분율 (초기) (F1) 및 겔분율 (40 ℃ × 7 일 후) (F2) 을 이하의 식 (2) 에 대입함으로써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의 점착제층의 겔분율의 변화량 (%) 을 구하였다.
겔분율의 변화량 (%) = F2 - F1 (2)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의 자착력 측정〕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길이 100 ㎜, 폭 10 ㎜ 의 시트편을 잘랐다. 시트편의 점착면 (점착제층) 끼리를 첩합하여 0.4 ㎫ 의 조건으로 압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시험편에 대하여, 압착으로부터 20 분 후에 인장 시험기 (장치명 : 오토 그래프 AG-IS,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고, JIS Z0237 에 준거하여, 23 ℃, 50 %R.H. 의 분위기하, 박리 속도 100 ㎜/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시험편 (PET 필름/점착제층/점착제층/PET 필름) 의 점착면을 박리하여, 180°박리 접착력 (N/10 ㎜) (180 도 필 접착력) 을 측정하여, 자착력 (초기) 으로 하였다. 또, 점착면 상태를 관찰하였다.
2 개의 점착면의 계면에서 점착제층을 박리할 수 있고, 박리면의 거침이 없는 것을 「계면 박리」로 하고, 2 개의 점착제의 계면이 불명료해져, 점착제층이 파괴되어 박리면에 요철이 생겨 오돌토돌한 상태가 된 것을 「응집 파괴」로 하였다.
동일하게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압착으로부터 7 일간, 40 ℃ 에서 보존 후에, 180 도 필 접착력을 측정하여, 자착력 (40 ℃ × 7 일 후) 으로 하였다. 또, 점착면 상태를 관찰하였다.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의 점착력의 측정〕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세퍼레이터로 보호하고, 7 일간, 40 ℃ 에서 보존 후에, 길이 100 ㎜, 폭 20 ㎜ 의 시트편을 잘라,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시험편의 점착면 (점착제층) 을 2 ㎏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SUS304BA 에 압착하였다. 압착으로부터 20 분 후에 인장 시험기 (장치명 : 오토 그래프 AG-IS,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고, JIS Z0237 에 준거하여, 박리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시험편을 박리하여, 점착력 (N/20 ㎜) 을 측정하였다.
〔선상의 점착성 물품의 자착력 측정〕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점착성 물품으로부터 길이 100 ㎜ 의 선상 점착성 물품을 2 개 잘라, 그들의 점착제층끼리를 중첩하였다. 그 후, 중첩된 선상 점착성 물품을 세퍼레이터로 보호하고, 2 ㎏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압착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제작한 시험편에 대하여, 압착으로부터 20 분 후에 인장 시험기 (장치명 : 오토 그래프 AG-IS,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23 ℃, 50 %R.H. 의 분위기하, 박리 속도 100 ㎜/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시험편의 양단을 인장함으로써 점착제층끼리를 박리하였다. 중첩한 시험편을 박리할 때의 저항력 (N) 을 측정하여 자착력 (초기) 으로 하였다.
동일하게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점착성 물품을 사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압착으로부터 7 일간, 40 ℃ 에서 보존 후에, 자착력 (초기) 과 마찬가지로 중첩한 시험편을 박리할 때의 저항력 (N) 을 측정하여, 자착력 (40 ℃ × 7 일 후) 으로 하였다.
또,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선상의 점착성 물품의 초기와 40 ℃ × 7 일 후의 자착력 측정 후의 점착면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2 개의 점착면의 계면에서 점착제층을 박리할 수 있었던 것을 「계면 박리」로 하고, 점착제층끼리의 자착력이 강하고 심재로부터 점착제가 박리되어, 심재가 노출된 것을 「심재의 노출」로 하였다.
〔선상의 점착성 물품의 점착력의 측정〕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선상의 점착성 물품으로부터 길이 150 ㎜ 를 잘라,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시험편의 점착면 (점착제층) 을 2 ㎏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SUS304BA 에 압착하였다. 압착으로부터 20 분 후에 인장 시험기 (장치명 : 오토 그래프 AG-IS,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고 JIS Z0237 에 준거하여, 박리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시험편을 박리하여, 점착력 (N/개) (초기) 을 측정하였다.
동일하게,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선상의 점착성 물품의 점착면 (점착제층) 을 세퍼레이터로 보호하고, 7 일간, 40 ℃ 에서 보존 후에 시험편을 제작하여, 점착력 (40 ℃ × 7 일 후) 을 측정하였다.
표 1 에, 각 샘플에 대한, 겔분율, 겔분율의 변화량, 자착력, 점착면의 상태, 및 점착력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 ∼ 6 의 점착성 물품은, 샘플 제작 직후 (초기) 에 있어서도 높은 겔분율을 나타내고, 초기와 압착으로부터 7 일간, 40 ℃ 에서 보존 후에서는 겔분율의 변화량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에 비해 적다. 이로써 실시예 1 ∼ 6 의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수지 상태에 변화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 6, 비교예 1 ∼ 3 의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은, 모두 피착체에 대해 충분한 점착력을 나타냈다. 비교예 4 의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은 충분한 점착력이 얻어지지 않았다. 또, 비교예 1 및 3 의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은, 접촉한 2 개의 점착제층의 계면이 불명료해져, 박리시에 점착제층이 파괴되어 박리면에 요철이 생겨 오돌토돌한 상태가 되었다. 비교예 2 의 점착성 물품은, 초기에는 접촉한 점착제층끼리의 계면에서 점착제층을 박리할 수 있어 박리면의 거침이 없었다. 그러나, 압착으로부터 7 일간, 40 ℃ 에서 보존 후에는, 접촉한 2 개의 점착제층의 계면이 불명료해져, 박리시에 점착제층이 파괴되어 박리면에 요철이 생겨 오돌토돌한 상태가 되었다. 한편, 실시예 1 ∼ 6 의 시트상의 점착성 물품은, 압착으로부터 7 일간, 40 ℃ 에서 보존 후에 있어서도 초기와 마찬가지로, 2 개의 점착면의 계면에서 점착제층을 박리할 수 있었다. 또, 박리면의 거침이 없고, 서로 접촉한 점착제층이 계면에서 박리 가능하다라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1 ∼ 6 의 선상의 점착성 물품은, 압착으로부터 7 일간, 40 ℃ 에서 보존 후에 있어서도 초기와 마찬가지로, 2 개의 점착면의 계면에서 점착제층을 박리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 3 의 선상의 점착성 물품은, 박리시에 접촉한 2 개의 점착제층의 계면으로부터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고, 점착제층과 심재의 계면에서의 박리가 일어나, 심재가 노출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퍼레이터가 불필요하고,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충분한 점착력을 발현하며, 점착제층끼리가 접촉해도 계면에서 박리가 가능한 점착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8년 2월 21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8-28998), 2018년 6월 29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8-125111) 및 2018년 7월 23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8-137760) 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100, 200, 300 : 점착성 물품
2, 3, 4 : 점착체
13 : 점착제층
14 : 심재
20 : 기재

Claims (9)

  1.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체를 갖는 점착성 물품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5 ∼ 70 % 이고,
    상기 점착성 물품은, 40 ℃ 에서 7 일간 보존 후의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의 변화량이 -5 % ∼ 5 % 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점착성 물품.
  2.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체를 갖는 점착성 물품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5 ∼ 70 % 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하고,
    서로 접촉한 상기 점착제층은 40 ℃ 에서 7 일간 보존 후에 계면에서 박리 가능한, 점착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점착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시트상인, 점착성 물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기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점착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선상인, 점착성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선상의 심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심재의 길이 방향의 표면이 상기 점착제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점착성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가 롤상으로 감긴 형태, 또는 복수의 상기 점착체가 적층된 형태인, 점착성 물품.
KR1020247000426A 2018-02-21 2019-02-19 선상 점착체 KR20240007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28998 2018-02-21
JP2018028998 2018-02-21
JPJP-P-2018-125111 2018-06-29
JP2018125111 2018-06-29
JPJP-P-2018-137760 2018-07-23
JP2018137760 2018-07-23
KR1020207023984A KR102624802B1 (ko) 2018-02-21 2019-02-19 점착성 물품
PCT/JP2019/006149 WO2019163788A1 (ja) 2018-02-21 2019-02-19 粘着性物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984A Division KR102624802B1 (ko) 2018-02-21 2019-02-19 점착성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719A true KR20240007719A (ko) 2024-01-16

Family

ID=676877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984A KR102624802B1 (ko) 2018-02-21 2019-02-19 점착성 물품
KR1020247000426A KR20240007719A (ko) 2018-02-21 2019-02-19 선상 점착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984A KR102624802B1 (ko) 2018-02-21 2019-02-19 점착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09864A1 (ko)
EP (1) EP3757185A4 (ko)
JP (2) JP7287792B2 (ko)
KR (2) KR102624802B1 (ko)
CN (2) CN111742025B (ko)
TW (2) TW202405111A (ko)
WO (1) WO2019163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5489A (ja) * 2018-10-05 2020-05-21 日東電工株式会社 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接合体
WO2020071509A1 (ja) * 2018-10-05 2020-04-09 日東電工株式会社 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接合体
EP4036183A4 (en) * 2019-09-27 2023-09-27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BONDING A WIRE-TYPE ADHESIVE BODY, AND WIRE-TYPE ADHESIVE BODY WITH TEMPORARY SUPPORT
JP2021056383A (ja) * 2019-09-30 2021-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隙間閉塞方法、隙間閉塞構造体、及び隙間閉塞構造体の製造方法
US20220348806A1 (en) * 2019-09-30 2022-11-03 Nitto Denko Corporation Threadlike adhesive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readlike adhesive body
JP2021055091A (ja) * 2019-09-30 2021-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糸状粘着体及び糸状粘着体の製造方法
JP7376302B2 (ja) * 2019-09-30 2023-11-08 日東電工株式会社 糸状粘着体
EP4039761A4 (en) * 2019-09-30 2023-11-08 Nitto Denko Corporation FILAMERAL ADHESIVE BODY
US20230159296A1 (en) * 2020-03-31 2023-05-25 Nitto Denko Corporation Threadlike adhesive sti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icking threadlike adhesive
JP7132371B2 (ja) * 2021-01-22 2022-09-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フィルム
WO2024101425A1 (ja) * 2022-11-11 2024-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糸状粘着体
WO2024101422A1 (ja) * 2022-11-11 2024-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糸状粘着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1980A (ja) 1990-02-07 1991-10-15 Ishizaki Shizai Kk 糸状接着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76080A (ja) 1990-07-17 1992-03-10 Kao Corp ホットメルト接着材
JPH10231464A (ja) 1997-02-18 1998-09-02 Toagosei Co Ltd 感熱粘着剤組成物および感熱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8184A (ja) * 1982-11-26 1984-06-06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プの製造方法
JP3281490B2 (ja) * 1994-09-30 2002-05-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てなる粘着シートもしくはシート
JPH08245936A (ja) * 1995-03-13 1996-09-24 Nichiban Co Ltd 加圧または加熱により粘着可能な粘着剤組成物。
JP3892936B2 (ja) * 1997-05-08 2007-03-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自着性シート
US6083856A (en) * 1997-12-01 2000-07-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rylate copolymeric fibers
JP4579226B2 (ja) 1999-08-25 2010-11-10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感圧性接着剤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粘着シート
JP4437343B2 (ja) 1999-09-14 2010-03-24 日東電工株式会社 印刷用粘着シート、ラベル及び離型処理剤組成物
JP2001342447A (ja) * 2000-06-05 2001-12-14 Nitto Denko Corp 偏光板用粘着剤及び光学部材
JP5863157B2 (ja) * 2006-12-18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10189545A (ja) * 2009-02-18 2010-09-02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型光学部材
JP2011162586A (ja) * 2010-02-04 2011-08-25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シート
JP5557599B2 (ja) * 2010-05-21 2014-07-23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4824839B1 (ja) * 2011-06-20 2011-11-30 株式会社イーテック 水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22662B1 (ko) * 2011-09-08 2014-07-23 제일모직주식회사 위상차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US20130300634A1 (en) 2012-05-09 2013-11-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presentations of displayed information based on focus distance
JP2014189778A (ja) * 2013-03-28 2014-10-06 Lintec Corp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捲回体
JP6325313B2 (ja) * 2014-03-31 2018-05-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US20190144715A1 (en) * 2016-05-19 2019-05-16 Moresco Corporation Adhesive product
JP6719329B2 (ja) 2016-08-16 2020-07-08 株式会社クラレ 炭素質材料の製造方法
JP6315858B1 (ja) 2017-01-31 2018-04-25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リン酸マンガンリチウム系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CN116905226A (zh) * 2018-10-05 2023-10-20 日东电工株式会社 粘合性物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1980A (ja) 1990-02-07 1991-10-15 Ishizaki Shizai Kk 糸状接着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76080A (ja) 1990-07-17 1992-03-10 Kao Corp ホットメルト接着材
JPH10231464A (ja) 1997-02-18 1998-09-02 Toagosei Co Ltd 感熱粘着剤組成物および感熱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1246B (zh) 2023-11-11
KR102624802B1 (ko) 2024-01-12
CN111742025A (zh) 2020-10-02
EP3757185A1 (en) 2020-12-30
JP7287792B2 (ja) 2023-06-06
WO2019163788A1 (ja) 2019-08-29
CN111742025B (zh) 2024-01-19
TW202405111A (zh) 2024-02-01
EP3757185A4 (en) 2022-02-23
CN117757378A (zh) 2024-03-26
JP2020019923A (ja) 2020-02-06
JP2023103474A (ja) 2023-07-26
US20210009864A1 (en) 2021-01-14
TW201936870A (zh) 2019-09-16
KR20200123131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4802B1 (ko) 점착성 물품
JP5832816B2 (ja) 粘着テープ巻回体
WO2020071508A1 (ja) 粘着性物品
JP2022167925A (ja) 複合体
JP7264610B2 (ja) 粘着性物品
JP2006273909A (ja) 繊維補強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263065A1 (en) Adhesive article
WO2024101424A1 (ja) 粘着体
WO2024101423A1 (ja) 包装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4101426A1 (ja) 粘着体の巻回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060299A1 (ja) 糸状粘着体の貼付方法および仮支持体付き糸状粘着体
TWI822874B (zh) 黏著性物品
KR20220156846A (ko) 세퍼레이터를 갖는 점착체
JP2007270000A (ja) 粘着テープ用基材及び粘着テープ
WO2024101422A1 (ja) 糸状粘着体
WO2019065877A1 (ja) 粘着性物品
JPH10330700A (ja) 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