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003A -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 Google Patents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003A
KR20240006003A KR1020237045107A KR20237045107A KR20240006003A KR 20240006003 A KR20240006003 A KR 20240006003A KR 1020237045107 A KR1020237045107 A KR 1020237045107A KR 20237045107 A KR20237045107 A KR 20237045107A KR 20240006003 A KR20240006003 A KR 2024000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troller frame
locking component
locking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즈-런 중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0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00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1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 B62B7/10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with the wheels staying in a fixed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 프레임(2, 5), 프레임 상에 위치할 수 있는 아동 캐리어(3), 및 프레임을 펼침 상태에서 잠글 수 있는 잠금 구성 요소(42, 42', 65)를 포함한다. 아동 캐리어(3)는 유모차 프레임(2, 5)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유모차 프레임(2, 5)에 대한 아동 캐리어(3)의 피봇 이동 중에 프레임을 접을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아동 캐리어(3) 및 유모차 프레임(2, 5)을 함께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 시 편리하다.

Description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BABY STROLLER WITH A FOLDING MECHANISM TRIGGERED BY A CHILD CARRIER}
본 발명은 제1항의 사전 특성화 조항에 따른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유아나 아동이 있는 가족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다. 유모차는 유아 또는 아동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호자가 여행할 때 유아 또는 아동을 데리고 다닐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유모차는 일반적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유모차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유모차를 접어서 유모차의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유모차는 일반적으로 유모차 프레임과 유모차 프레임에 설치된 시트를 포함한다. 유모차 프레임은 시트, 요람 또는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캐리어를 지원하기 위한 유모차의 필수 구조이다. 캐리어는 유아 또는 아동을 위한 좌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접이식 유모차가 있다. 첫째,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에서 탈착이 가능하며, 유모차 프레임을 잠금 해제하여 시트를 분리한 후 유모차 프레임을 접을 수 있다. 둘째, 캐리어는 피봇 식으로 접을 수 있고, 유모차 프레임은 시트의 피봇 이동 후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접이식 유모차는 유모차를 접을 때 유모차 프레임과 좌석의 독립적인 조작이 필요하여 사용이 편리하지 않다.
따라서, 아동 캐리어에 의해 촉발되는 폴딩 메커니즘을 가지고,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중에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는 유모차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아동 캐리어에 의해 촉발되는 폴딩 메커니즘을 가지고,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중에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청구항 1에 따른 유모차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은 상응하는 추가 개발 및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청구된 유모차는 잠금 구성 요소를 갖는 프레임과 아동 캐리어를 포함한다. 잠금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으로 피봇되고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중에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전면 지지대와 핸들 지지대를 포함한다. 잠금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해 전면 지지대와 핸들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전면 지지대와 핸들 지지대를 포함한다. 잠금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지지하기 위해 후면 지지대, 전면 지지대 및 핸들 지지대 중 2개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구성 요소는 래치 구성 요소, 후크 구성 요소 또는 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잠금 위치에서 맞물리도록 잠금 구성 요소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에 대해 인접하는 탄성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잠금 위치에서 잠금 구성 요소와 결합하기 위한 앵커링 구성 요소, 슬롯 또는 수용 공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시트, 요람, 유아용 시트이거나 또는 유모차 시트, 요람 및 유아용 카시트 중 하나를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 프레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는 아동 캐리어와 잠금 구성 요소 사이에 배치된 커넥팅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한다. 커넥팅 구성 요소는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때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잠금 구성 요소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유모차 프레임의 표면에 배치되고 잠금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해제 부분을 더 포함한다. 해제 부분은 해제력을 받고 해제 부분이 해제력을 받을 때 잠금 구성 요소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부분은 해제력을 받고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전달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의 표면에 배치되고 잠금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동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해제 부분이 해제력을 받을 때 잠금 구성 요소를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구성 요소는 푸싱 구성 요소, 회전 구성 요소, 레버 스위치 또는 로커 타입 스위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 캐리어는 밀거나 당기거나 회전함으로써 구동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구성 요소는 밀거나 당기거나 구동 구성 요소에 회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구동 구성 요소로부터 전달되는 해제력을 받고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전달하여 잠금 구성 요소를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와 구동 구성 요소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구성 요소 상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 경사면이 형성되고, 아동 캐리어는 아동 캐리어와 적어도 하나의 구동 경사면의 협력에 의해 구동 구성 요소를 밀어 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아동 캐리어가 위에 장착될 수 있는 아동 캐리어 마운트를 더 포함하고, 구동 구성 요소는 아동 캐리어 마운트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아동 캐리어 아래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 캐리어 마운트는 중공 안내 부분을 포함하고, 구동 구성 요소는 중공 안내 부분에 부분적으로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구동 구성 요소의 단부는 중공 안내 부분으로부터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부분은 아동 캐리어 마운트에 배치되고 해제력을 받고 해제력을 잠금 구성 요소에 전달하여 잠금 구성 요소를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해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여 해제 구성 요소가 해제력을 받을 때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는 작동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한다. 해제 구성 요소는 작동 구성 요소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단부를 포함한다. 작동 구성 요소는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때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해제 구성 요소에 의해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구성 요소는 아동 캐리어 마운트에 피봇 식으로, 슬라이드 식으로 또는 맞물림 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구성 요소를 밀기 위해 아동 캐리어 마운트 내부에 위치하는 해제 구성 요소의 단부에 해제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구성 요소는 푸싱 구성 요소, 회전 구성 요소, 레버 스위치 또는 로커 타입 스위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구성 요소는 구동 구성 요소를 밀거나 당기거나 구동 구성 요소에 회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포지셔닝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닝 메커니즘은 장착된 측면에서 떨어진 베이스의 측면에 배치된 피봇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유모차 프레임은 잠금 부분을 더 포함하고, 잠금 구성 요소는 잠금 부분에 위치하며, 피봇 메커니즘의 피봇 축이 베이스와 잠금 부분을 통해 연장되고, 아동 캐리어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피봇할 때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유모차 프레임의 표면에 배치되고 피봇 축에 대응하는 해제 부분을 더 포함한다. 해제 부분은 해제력을 받고 해제 부분이 해제력을 받을 때 잠금 구성 요소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부분은 구동 구성 요소, 해제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부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베이스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봇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인접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인접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해제 부분을 밀어 해제 부분에 해제력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피봇 메커니즘의 이동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장착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장착 요소는 제1 장착 요소 및 제2 장착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장착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 상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아동 캐리어는 제1 장착 요소가 유모차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때 제2 장착 요소와 유모차 프레임의 커넥팅 샤프트 주위에서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전면 지지대, 핸들 지지대, 후면 지지대, 제1 고정 구성 요소 및 제2 고정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제1 고정 구성 요소는 전면 지지대, 핸들 지지대 및 후면 지지대 중 하나에 고정된다. 제2 고정 구성 요소는 전면 지지대, 핸들 지지대 및 후면 지지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다. 제2 고정 구성 요소는 제1 고정 구성 요소로 피봇된다. 잠금 구성 요소의 제1 단부는 제1 고정 구성 요소 상에 배치된다.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해 제2 고정 구성 요소와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아동 캐리어는 구동 구성 요소를 밀어 제2 고정 구성 요소로부터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를 분리하여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동안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제2 고정 구성 요소와 맞물리도록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에 접하는 탄성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구성 요소를 밀어 제2 고정 구성 요소로부터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를 분리하기 위해 구동 구성 요소의 단부 상에 구동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경사면과 협력하기 위해 구동 구성 요소를 향해 구부러진 경사 부분이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구성 요소는 제1 고정 구성 요소로 피봇되고, 구동 구성 요소는 잠금 구성 요소를 밀어서 스윙 방식으로 제2 고정 구성 요소로부터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를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물림 부분은 제2 고정 구성 요소로부터 돌출되고, 맞물림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맞물림 노치가 잠금 구성 요소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 프레임은 제3 고정 구성 요소 및 연결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한다. 제1 고정 구성 요소는 후면 지지대에 고정된다. 제2 고정 구성 요소는 전면 지지대에 고정된다. 제3 고정 구성 요소는 핸들 지지대에 고정되고 제1 고정 구성 요소로 피봇되고, 연결 구성 요소의 두 개의 대향 단부는 각각 제2 고정 구성 요소 및 제3 고정 구성 요소로 피봇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구성 요소는 제1 고정 구성 요소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 구성 요소는 잠금 구성 요소를 밀어서 제2 고정 구성 요소로부터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고정 구성 요소에 잠금 구성 요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언폴딩 맞물림 슬롯이 형성되고, 유모차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로 펼쳐질 때 잠금 구성 요소가 언폴딩 맞물림 슬롯과 정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고정 구성 요소에는 잠금 구성 요소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폴딩 맞물림 슬롯이 형성되고, 유모차 프레임이 접힌 상태로 접힐 때 잠금 구성 요소는 폴딩 맞물림 슬롯과 정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구성 요소를 밀기 위해 폴딩 맞물림 슬롯의 내주에 밀림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정 구성 요소는 전면 지지대에 고정되고, 제2 고정 구성 요소는 핸들 지지대에 고정된다.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동안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는 아동 캐리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유모차 프레임은 아동 캐리어 장착 시 접히고 피봇 식으로 접을 수 있으며, 유모차를 접을 때 유모차 프레임과 아동 캐리어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유모차 프레임과 아동 캐리어를 함께 접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다양한 도면 및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에 당업자에게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더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부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동 캐리어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이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유모차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유모차 프레임이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유모차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 요소를 도시하지 않은 유모차의 부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 요소를 도시하지 않은 유모차의 부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 있는 유모차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이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쉽게 접을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유모차 프레임에 배치된 아동 캐리어를 활용한 유모차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아동 캐리어는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프레임에 배치될 때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유모차 프레임의 잠금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중에 아동 캐리어에 의한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도록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의 부분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는 유모차 프레임(2) 및 아동 캐리어(3)를 포함한다. 유모차 프레임(2)은 펼쳐진 상태에서 유모차 프레임(2)의 접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한 잠금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잠금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2)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에 배치되어 유모차 프레임(2)의 적어도 일부의 이동을 억제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아동 캐리어(3)는 유모차 프레임(2) 상에 배치되며,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3)의 사용 각도 또는 사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2)에 대해 위치되거나 피봇될 수 있다. 또한, 아동 캐리어(3)가 유모차 프레임(2)에 대해 피봇할 때, 아동 캐리어(3)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하여 잠금 구성 요소를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유모차 프레임은 주로 앞바퀴에 연결된 전면 지지대, 뒷바퀴에 연결된 후면 지지대, 핸들에 연결된 핸들 지지대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유모차(1')의 핸들 지지대(24)는 상부 핸들 지지 구성 요소(241) 및 하부 핸들 지지 구성 요소(24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지지 구성 요소(241)는 접힌 상태에서 유모차 프레임의 점유 공간을 줄이기 위해 하부 핸들 지지 구성 요소(242)에 대해 접을 수 있다.
잠금 구성 요소의 개수 및 구성은 유모차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구성 요소는 전면 지지대와 핸들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거나 전면 지지대, 후면 지지대 및 핸들 지지대 중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한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전면 지지대, 후면 지지대 및 핸들 지지대에 연결된 중앙 허브에 배치되어,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억제한다. 또한, 유모차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잠금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유모차 프레임(2)은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한 2개의 잠금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잠금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상부 핸들 지지 구성 요소(241)와 하부 핸들 지지 구성 요소(242)의 접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해 핸들 지지대(24)의 상부 핸들 지지 구성 요소(241)와 하부 핸들 지지 구성 요소(242) 사이에 배치된다. 2개의 잠금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전면 지지대(23)에 대한 하부 핸들 지지 구성 요소(242)의 접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해 하부 핸들 지지 구성 요소(242)와 전면 지지대(23) 사이에 배치된다. 유모차 프레임에 얼마나 많은 잠금 구성 요소가 배치되든 관계없이,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동안,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잠금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해제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프레임의 구조에 따라 잠금 구성 요소의 구조도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유모차 프레임에 슬롯이 제공되는 경우, 잠금 구성 요소는 잠금 위치에서 슬롯과 결합하기 위한 슬롯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유모차 프레임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제공되는 경우, 잠금 구성 요소는 잠금 위치에서 돌출부와 결합하기 위한 후크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잠금 구성 요소는 래치 구성 요소(latch component), 후크 구성 요소(hook component) 또는 핀(pin)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해 잠금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구조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모차 프레임은 잠금 위치에서 잠금 구성 요소와 결합하기 위한 앵커링 구성 요소, 슬롯 또는 수용 공간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잠금 위치에서 잠금 구성 요소와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잠금 구성 요소의 맞물림을 확보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은 잠금 위치에서 맞물리는 잠금 구성 요소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에 대해 인접하는 탄성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해제력은 탄성 구성 요소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잠금 구성 요소가 잠금 위치에서 이탈하도록 구동해야 하며, 이는 유모차 프레임의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 프레임의 구성 및 구조에 따라 잠금 구성 요소의 개수, 구성 및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잠금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의 외관 및 고정 및 접힘 동작의 요구 사항에 따라 유모차 프레임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에 배치되거나, 유모차 프레임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디자인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의 외부 표면 밖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동 캐리어 XX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동 캐리어(3)는 아동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유모차 프레임에 배치되는 캐리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 캐리어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모차 시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요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 시트, 또는 앞서 언급한 모든 장치를 지원하기 위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댑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동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모든 구조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아동 캐리어(3)를 유모차 프레임에 배치한 후,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사용 각도 및 사용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시트인 경우, 실제 요구에 따라 유모차 시트의 등받이 부분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를 접고 싶을 때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에 의해 지면에 평행한 수평 상태로부터 지면에 수직인 수직 상태로 조정될 수 있다. 전술한 조정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전체 아동 캐리어를 피봇하거나 아동 캐리어의 다른 부분에 대해 아동 캐리어의 일부를 피봇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체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피봇되는 경우,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아동 캐리어의 피봇 축을 제공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에 배치된 장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아동 캐리어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유모차 프레임을 기준으로 피봇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동 캐리어(3)는 베이스(31), 즉 장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유모차 프레임(2)은 베이스(31)가 위에 장착될 수 있는 아동 캐리어 마운트(21)를 포함할 수 있다. 아동 캐리어(3)가베이스(31)와 아동 캐리어 마운트(21)에 의해 유모차 프레임(2)에 장착되면, 베이스(31), 아동 캐리어 마운트(21), 유모차 프레임(2) 및 아동 캐리어(3)를 관통하는 피봇 축(A1)이 제공된다. 게다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동 캐리어(3)는 장착된 측면에서 떨어진 베이스(31)의 측면에 배치된 피봇 메커니즘(32)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어서, 아동 캐리어(3)는 포지셔닝 메커니즘이 해제되거나 피봇 메커니즘(32)가 피봇될 때 피봇 축(A1)을 중심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아동 캐리어는 2개의 상이한 피봇 축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장착 요소에 의해 유모차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장착 요소가 유모차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때, 아동 캐리어는 다른 장착 요소의 피봇 축을 중심으로 장착 요소의 분리 동안 운동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피봇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동 캐리어(3)가 서로에 대해 피봇할 수 있는 다른 부분, 예를 들어 등받이 부분(301) 및 시트 부분(302)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시트 부분(302)에 대한 한 부분, 예를 들어 등받이 부분(301)의 피봇 이동은 잠금 구성 요소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등받이 부분이 미리 결정된 각도로 좌석 부분에 대해 피봇된 후에, 전체 아동 캐리어가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피봇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아동 캐리어의 피봇 모멘트 동안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아동 캐리어에 의해 제공되는 해제력은 잠금 구성 요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해제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잠금 구성 요소가 유모차 프레임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외부 표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유모차 프레임의 내부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아동 캐리어는 잠금 구성 요소에 직접 해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 캐리어는 예를 들어 상호 작용하는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돌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블록은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하기 전에 아동 캐리어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잠금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의 내부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외부 표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돌출 블록과 협력하기 위해 외부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상호 작용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잠금 구성 요소의 상부 부분은 후면 지지대에 대한 전면 지지대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전면 지지대와 후면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구성 요소의 하부는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의 펄크럼은 유모차 프레임에 고정되고 레버의 연장 단부는 유모차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유모차 프레임의 외부 표면으로 노출된다. 상호 작용 부분은 유모차 프레임의 외면에 노출된 레버의 연장 단부에 배치되고 돌출 블록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다. 돌출 블록이 아동 캐리어의 피봇 운동과 함께 움직일 때, 돌출 블록은 상호 작용 부분을 밀어 안쪽으로 이동시키므로 핀이 펄크럼에 의해 바깥쪽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하여 후면 지원에 대한 전면 지지대의 이동이 허용된다. 대안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잠금 구성 요소는 핀 대신 좌우로 스윙하는 후크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레버의 받침은 유모차 프레임에 고정되고 레버의 연장된 단부는 유모차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유모차 프레임의 외부 표면으로 노출된다. 상호 작용 부분은 유모차 프레임의 외면에 노출된 레버의 연장 단부에 배치되고 돌출 블록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다. 돌출 블록이 아동 캐리어의 피봇 운동과 함께 움직일 때, 돌출 블록은 상호 작용하는 부분을 밀어 시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후크 구성 요소가 잠금 위치에서 분리하도록 펄크럼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한다.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직접 제공하기 위한 상호 작용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것과는 별도로, 일 실시예에서, 아동 캐리어는 잠금 구성 요소에 간접적으로 해제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모차는 아동 캐리어와 잠금 구성 요소 사이에 배치된 커넥팅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구성 요소는 스트랩이 될 수 있다. 스트랩의 단부는 아동 캐리어에 배치되고, 스트랩의 다른 단부는 잠금 구성 요소의 단부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유모차 프레임의 외부 표면 밖으로 노출된다.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피봇할 때, 스트랩은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를 잠금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당기기 위해 아동 캐리어의 피봇 운동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해제력은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간접적으로 잠금 구성 요소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잠금 구성 요소가 유모차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유모차 프레임은 아동 캐리어에 의해 제공되는 해제력을 받고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전달하여 잠금 구성 요소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고 잠금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해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1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부분은 유모차 프레임(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잠금 구성 요소(42)에 대응하는 구동 구성 요소(4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구성 요소(41)의 단부는 유모차 프레임(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노출되고, 구동 구성 요소(41)의 다른 단부는 잠금 구성 요소(42)와 직접 접촉한다. 아동 캐리어(3)가 유모차 프레임(2)에 대해 피봇할 때, 구동 구성 요소(41)는 아동 캐리어(3) 또는 그 위에서 상호 작용하는 구성 요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동되어 잠금 구성 요소(42)를 잠금 위치(423)에서 벗어나도록 구동하며, 이는 유모차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잠금 구성 요소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구동 구성 요소는 상이한 유형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구성 요소가 잠금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구동하기 위해 아동 캐리어 또는 상호 작용 구성 요소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임의의 구조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구성 요소는 푸싱 구성 요소, 회전 구성 요소, 레버 스위치 또는 로커 타입 스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동 구성 요소가 푸싱 구성 요소인 경우, 아동 캐리어는 아동 캐리어의 피봇 모멘트 동안 푸싱 구성 요소를 밀 수 있다. 구동 구성 요소가 회전 구성 요소인 경우, 아동 캐리어는 아동 캐리어의 피봇 모멘트 동안 회전하도록 회전 구성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 구성 요소가 레버 스위치 또는 로커 타입 스위치인 경우, 아동 캐리어는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중에 구동 구성 요소를 피봇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 및 해제력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도 5a를 참조하면, 구동 구성 요소(41)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경사면(411)이 형성되어 있어, 아동 캐리어(3)는 아동 캐리어(3)와 적어도 하나의 구동 경사면(411)이 협력하여 구동 구성 요소(41)를 밀도록 한다. 또한, 구동 구성 요소(4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구동 경사면(411)은 구동 구성 요소(41)가 아동 캐리어(3)의 전방 피봇 이동 중에 또는 아동 캐리어(3)의 후방 피봇 이동 중에 아동 캐리어(3)와 대응 구동 경사면(411)의 협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유모차 프레임은 구동 구성 요소가 그 내부로 이동하게 하는 중공 안내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구동 구성 요소가 해제력을 받은 후 구동 구성 요소는 중공 안내 부분의 내부를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구동되어 구동 구성 요소가 잠금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구동 구성 요소의 슬라이딩 이동은 중공 안내 부분에 의해 안내되며, 이는 해제력의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중공 안내 부분(211)은 아동 캐리어(3)가 그 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아동 캐리어 마운트(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아동 캐리어(3)가 유모차 프레임(2)에 배치될 때, 중공 안내 부분(211)은 아동 캐리어(3) 아래에 위치하고, 구동 구성 요소(41)는 중공 안내 부분(211)에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구동 구성 요소(41)의 단부 아동 캐리어(3) 또는 그 위의 상호 작용 구성 요소와 접촉하기 위해 중공 안내 부분(211)으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구동 구성 요소는 해제력의 전달을 위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잠금 구성 요소와 접촉할 수 있다. 구동 구성 요소가 잠금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면, 구동 구성 요소는 잠금 구성 요소를 밀거나 당기거나 회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으로 피봇될 수 있다. 구동 구성 요소의 단부는 잠금 구성 요소에 접할 수 있다. 잠금 구성 요소는 잠금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바이어스되지만 구동 구성 요소의 접합으로 인해 잠금 위치를 유지한다. 아동 캐리어 또는 상호 작용하는 구성 요소가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중에 피봇하도록 구동 구성 요소를 구동할 때, 구동 구성 요소는 잠금 구성 요소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잠금 구성 요소를 위한 회피 공간을 제공하여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잠금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한편, 구동 구성 요소가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경우, 유모차 프레임은 구동 구성 요소가 제공하는 해제력을 받고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전달하여 구동 구성 요소가 잠금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구동하기 위해 구동 구성 요소와 잠금 구성 요소 사이에 배치된 연결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요소는 잠금 구성 요소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가 해제력을 받을 때 연결 요소는 잠금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연결 요소의 이동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잠금 구성 요소를 구동하기 위해 잠금 구성 요소로 피봇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잠금 구성 요소와 구동 구성 요소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 구성 요소로부터 해제력을 받아 잠금 구성 요소로 해제력을 전달하여 유모차 프레임을 해제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제 부분은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해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잠금 구성 요소를 구동 구성 요소와 협력하여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구동 구성 요소와 유사하게, 해제 구성 요소는 잠금 구성 요소에 대응하여 아동 캐리어 마운트에 배치되어, 해제력을 받아 잠금 구성 요소를 잠금 위치로부터 분리하도록 구동하여 유모차의 접힘 동작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해제 구성 요소는 피봇 식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는 맞물림 가능하게 아동 캐리어 마운트에 배치될 수 있다. 해제 구성 요소는 밀거나 당기거나 잠금 구성 요소에 회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잠금 구성 요소와 접촉할 수 있고, 해제 구성 요소와 잠금 구성 요소의 접촉점 및 구동 구성 요소와 잠금 구성 요소의 접촉점은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해제 구성 요소의 작동은 구동 구성 요소 중 하나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해제 구성 요소는 가압 구성 요소, 회전 구성 요소, 레버 스위치 또는 로커 타입 스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해제 구성 요소(48)는 아동 캐리어 마운트(21) 상에 피봇 식으로 배치된 가압 구성 요소(pressing component)이다. 해제 구성 요소(48)는 잠금 구성 요소(42')와 접촉하는 푸싱 경사면(481)을 포함한다. 해제 구성 요소(48)와 잠금 구성 요소(42')의 접촉점 및 구동 구성 요소(41)와 잠금 구성 요소(42')의 접촉점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해제 구성 요소(48)의 외부 표면(482)이 아동 캐리어(3)의 피봇 이동에 의해 밀릴 때, 해제 구성 요소(48)는 잠금 구성 요소(41)를 구동하여 잠금 위치로부터 분리되고 결합 구성 요소(44)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 구성 요소(42')를 향해 이동되므로 유모차 프레임(2)의 접힘 동작을 허용한다.
또한,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으로서 해제 구성 요소가 제공되는 경우, 유모차는 작동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 또는 아동 캐리어에 직접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유모차 프레임에 배치되어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프레임에 장착된 후 아동 캐리어를 통과하여 조작이 용이하다. 해제 구성 요소는 작동 구성 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 단부를 포함한다.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이 구성으로 인해 스트랩을 잡아당겨 분리 구성 요소를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유모차 프레임을 접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해제 구성 요소(49)는 유모차 프레임(2) 상에 피봇 식으로 배치되고 잠금 구성 요소(45)와 접촉하는 푸싱 경사면(491)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2)에 배치되는 스트랩이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해제 구성 요소(49)의 단부에는 스트랩이 고정될 수 있도록 개구(492)가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이 사용자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질 때, 스트랩은 해제 구성 요소(49)를 잠금 구성 요소(45)를 향해 피봇할 수 있도록 구동하며, 따라서 푸싱 경사면(491)에 의해 잠금 구성 요소(45)를 잠금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구동하여 유모차 프레임(2)의 접힘 동작을 허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동 구성 요소는 또한 해제 구성 요소를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피봇하도록 구동하여 잠금 구성 요소가 잠금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구동하여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프레임에서 노출되는 요소를 줄여 유모차 프레임의 외관과 구성을 보다 간결하게 만들고 사용 각도 또는 아동 캐리어의 사용 상태를 조정할 때 유모차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해제 구성 요소는 아동 캐리어의 포지셔닝 메커니즘과 더 협력할 수 있다. 포지셔닝 메커니즘은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내부에 배치되고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조정 이동 동안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인접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해제 구성 요소는 하위 캐리어 마운트에 설치되고 인접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다.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조정 이동 중에 인접 구성 요소가 이동될 때, 인접 구성 요소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해제 구성 요소가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에 직접 고정되거나, 아동 캐리어의 베이스를 아동 캐리어 마운트에 맞물림으로써 유모차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렇지만,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프레임과 어떻게 맞물리더라도, 아동 캐리어의 포지셔닝 메커니즘은 아동 캐리어와 유모차 프레임의 결합 후 해제 부분 및 잠금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피봇 축이 잠금 부분과 해제 부분을 통과하므로, 잠금 부분, 해제 부분 및 위치 설정메커니즘이 동일한 피봇 축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잠금 부 및 해제 부분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전술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 부분은 잠금 구성 요소를 해제하기 위해 해제 구성 요소, 구동 구성 요소 또는 이들 모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포지셔닝 메커니즘은 아동 캐리어의 사용 각도를 조정하고 위치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더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지셔닝 메커니즘은 아동 캐리어의 한 부분, 예를 들어 등받이 부분이 아동 캐리어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시트 부분에 대해 피봇하도록 허용하거나 또는 전체 아동 캐리어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피봇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전술한 것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포지셔닝 메커니즘은 베이스의 측면에 배치된 피봇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봇 메커니즘의 피봇 축은 베이스와 잠금 부분을 통과한다. 아동 캐리어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피봇 메커니즘에 의해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또한, 피봇 메커니즘에 의한 사용 각도 또는 아동 캐리어의 사용 상태의 조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단순화를 위해 여기서 생략된다.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아동 캐리어를 고정, 피봇 및 위치 지정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driving mechanism), 트리거링 메커니즘(triggering mechanism), 연결 메커니즘(linkage mechanism), 기어 메커니즘(gear mechanism), 그루브 구조(groove structure), 탄성 메커니즘(elastic mechanism)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피봇 메커니즘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메커니즘은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내부 내에 배치되고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조정 이동 동안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인접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아동 캐리어의 베이스 상에 형성되고 인접 구성 요소에 대응할 수 있다. 인접 구성 요소는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내부에 위치하며, 아동 캐리어가 사용 상태에 위치할 때 유모차 프레임의 해제 부분을 방해하지 않는다. 아동 캐리어가 사용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될 때, 인접 구성 요소는 잠금 구성 요소가 잠금 위치에서 이탈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잠금 부분을 밀기 위해 관통 구멍을 통해 잠금 부분을 향해 연장되도록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한다. 그러나 인접 구성 요소는 어떤 구조로든 움직일 수 있으며 실제 설계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메커니즘(32)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8a 내지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인접 구성 요소(33)가 피봇 메커니즘, 즉 포지셔닝 메커니즘(32)의 이동에 의해 이동될 때 인접 구성 요소(33)가 이를 통해 연장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관통 구멍(311)이 아동 경력의(3) 베이스(31) 상에 형성된다. 아동 캐리어(3)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인접 구성 요소(33)는 포지셔닝 메커니즘(3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탄성 구성 요소(34)에 의해 구동되고 유모차 프레임의 해제 부분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포지셔닝 메커니즘(32)은 핀 부분(35) 및 구동 슬롯(36)을 더 포함한다. 핀 부분(35)은 구동 슬롯(36)에 접하고, 핀 부분(35)의 단부는 인접 구성 요소(33)에 접한다. 구동 슬롯(36)은 그루브 슬롯이고, 그루브 슬롯의 깊이는 깊은 곳에서 얕은 곳까지이다. 따라서, 등받이 부분(301)이 시트 부분(302)을 향해 피봇될 때, 피봇 메커니즘, 즉 포지셔닝 메커니즘(32)의 이동에 의해 구성 요소(33)를 이동시키는 목적, 및 관통 구멍(31)을 통과하는 접함 구성 요소에 의해 해제 부분에 해제력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동 슬롯(36)은 핀 부분(35)을 구동하여 외측으로 이동하여 인접 구성 요소(33)가 탄성 구성 요소(34)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이는 아동 캐리어(3)의 피봇 이동 중에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는 기능을 달성한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예는 포지셔닝 메커니즘(32)에 의해 인접 구성 요소(33)를 구동하는 많은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인접 구성 요소를 구동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 트리거링 메커니즘, 연결 메커니즘, 기어 메커니즘, 홈 구조, 탄성 메커니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포지셔닝 메커니즘은 해제 부분에 해제력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아동 캐리어에 의해 촉발되는 폴딩 메커니즘을 가지고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피봇 운동에 의해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따라서 유모차를 접으려 할 때, 아동 캐리어를 조작하기만 하면 되며, 유모차 프레임에서 아동 캐리어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유모차는 유모차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잠금 구성 요소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동 구성 요소를 사용한다. 또한, 유모차는 잠금 구성 요소에 작용하는 해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구동 구성 요소와 함께 잠금 구성 요소를 해제하거나 잠금 구성 요소를 해제하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해제 구성 요소를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구성 요소를 밀도록 포지셔닝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므로, 아동 캐리어의 사용 각도를 조정하는 동안 유모차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캐리어의 피봇 이동 동안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시트를 이용하여 구동 구성 요소를 밀어낸다. 따라서 시트를 피봇 식으로 접을 때 유모차 프레임을 접을 수 있고, 유모차를 접는 동안 유모차 프레임과 시트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사용자가 유모차와 시트를 함께 접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달성된 목적 및 효과뿐만 아니라 기술적 사양 및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관련 실시예 및 도면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는 유모차 프레임(2), 유모차 프레임(2)으로 피봇된 아동 캐리어의 예로서 시트(3) 및 2개의 예시적인 폴딩 메커니즘(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가 유모차 프레임(2)에 대해 피봇되고, 유모차 프레임(2)이 2개의 폴딩 메커니즘(4)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은 예시적인 사용 상태이다. 각각의 폴딩 메커니즘(4)은 유모차 프레임(2)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예시적인 구동 구성 요소(41)를 포함한다. 시트(3)의 피봇 이동 동안, 두 개의 구동 구성 요소(41)가 시트(3)에 의해 밀려 유모차 프레임(2)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유모차 프레임(2)의 잠금을 해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는 유모차 프레임(2)의 양측 내측에 배치된 두 개의 시트 마운트(21)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트 마운트(21)는 하단에 중공 안내 부분(hollow guiding portion)(211)을 포함하고, 중공 안내 부분(211)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41)는 대응하는 중공 안내 부분(211)에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41)의 단부는 대응하는 중공 안내 부분(211)으로부터 노출된다. 시트(3)는 두 개의 시트 마운트(21)에 장착된다. 2개의 구동 구성 요소(41)는 시트(3) 아래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모차(1)는 시트(3)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고 허용하는 포지셔닝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메커니즘의 상세한 설명은 단순화를 위해 여기서 생략된다.
대응하는 중공 안내 부분(211)의 외부로 노출된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41)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경사면(411)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3)의 피봇 이동 동안 2개의 구동 경사면(411)과 접촉함으로써 시트(3)는 2개의 구동 구성 요소(41)를 밀면서 2개의 중공 안내 부분(211)의 내부를 향해 슬라이딩한다.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중공 안내 부분으로부터 노출된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41)의 단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구동 경사면(411)이 있다. 따라서, 시트(3)의 전방 피봇 이동 동안 시트(3)는 시트(3)의 시트 베이스(31)와 2개의 전방 구동 경사면(411)의 협력에 의해 2개의 구동 구성 요소(41)를 밀어 2개의 중공 안내 부분(211)의 내부를 향해 미끄러질 수 있으며, 시트(3)의 후방 피봇 이동 동안 시트(3)는 또한 시트(3)의 측면 부분(32)과 2개의 전방 구동 경사면(411)의 협력에 의해 2개의 구동 구성 요소(41)를 밀어 2개의 중공 안내 부분(211)의 내부를 향해 미끄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시트(3)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피봇되는지에 관계없이 2개의 구동 경사면(411)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모차 프레임(2)의 접힘 작용을 허용하기 위해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41)는 대응하는 중공 안내 부분(211)의 내부를 향해 미끄러지도록 밀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 상에 형성된 오직 하나의 구동 경사면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가 전방 피봇 시트 또는 후방 피봇 시트에 의해서만 미끄러지도록 허용한다.
도 2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은 후면 지지대(22), 전면 지지대(23) 및 핸들 지지대(24)를 포함한다. 후면 지지대(22), 전면 지지대(23) 및 핸들 지지대(24) 각각은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면 지지대(22)의 2개의 상단은 각각 평평한 구조인 피봇 커넥팅 부분(221)을 포함한다. 전면 지지대(23) 및 핸들 지지대(24)는 2개의 피봇 커넥팅 부분(221)으로 피봇되어, 전면 지지대(23) 및 핸들 지지대(24)가 후면 지지대(22)에 대해 피봇 식으로 접을 수 있다. 유모차 프레임(2)은 두 개의 커버링 구성 요소(25)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커버 구성 요소(25)의 형상은 대응하는 피봇 커넥팅 부분(22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각각의 커버링 구성 요소(25)는 대응하는 폴딩 메커니즘(4)의 구성 요소를 덮기 위해 대응하는 피봇 커넥팅 부분(221)의 내측에 고정되고 커버한다. 각각의 커버링 구성 요소(25)는 대응하는 시트 마운트(21) 및 대응하는 중공 안내 부분(211)으로 고정되어 일체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중공 안내 부분(211)의 챔버는 대응하는 커버링 구성 요소(25)를 관통한다. 각각의 폴딩 메커니즘(4)은 펼쳐진 상태에서 유모차 프레임(2)의 접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잠금 구성 요소(42)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41)의 단부는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42)와 접촉하기 위해 대응하는 중공 안내 부분(211)을 통해 대응하는 커버 구성 요소(25)를 통과하므로, 2개의 잠금 구성 요소가 유모차 프레임(2)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2개의 구동 구성 요소(41)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폴딩 메커니즘(4)은 제1 고정 구성 요소(43), 제2 고정 구성 요소(44), 제3 고정 구성 요소(45) 및 연결 구성 요소(46)를 더 포함한다. 제1 고정 구성 요소(43), 제2 고정 구성 요소(44), 제3 고정 구성 요소(45), 연결 구성 요소(46) 및 잠금 구성 요소(42)는 유모차 프레임(2) 내부에 용이하게 수용되기 위한 평평한 구조일 수 있다. 각각의 제1 고정 구성 요소(43)는 후면 지지대(22)의 대응하는 피봇 연결 부분(221)에 고정된다. 각각의 제2 고정 구성 요소(44)는 전면 지지대(23)의 대응하는 단부에 고정된다. 각각의 제3 고정 구성 요소(45)는 후면 지지대의 대응하는 단부에 고정된다. 각각의 제1 고정 구성 요소(43)는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44) 및 대응하는 제3 고정 구성 요소(45)로 피봇된다. 각각의 연결 구성 요소(46)의 두 단부는 각각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44) 및 대응하는 제3 고정 구성 요소(45)로 피봇된다. 맞물림 부분(441)가 각각의 제2 고정 구성 요소(44)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42)의 제1 단부는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43)로 피봇되고, 맞물림 노치(421)가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42)의 제2 단부에 형성되어 대응하는 맞물림 부분(441)과 결합된다. 각각의 맞물림 노치(421)가 상응하는 맞물림 부분(441)과 결합될 때,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42) 및 대응하는 연결 구성 요소(46)는 협동해서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43),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44), 및 대응하는 제3 고정 구성 요소(45)의 상대적 이동을 억제한다.
구동 경사면(412)은 대응하는 피봇 커넥팅 부분(221)에 인접한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41)의 단부에 형성된다. 경사 부분(422)은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42)의 제2 단부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구동 구성 요소(41)와의 협력을 위해 대응하는 구동 구성 요소(41)를 향해 구부러져 있다.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41)가 대응하는 중공 안내 부분(211)의 내부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42)를 밀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구동 경사면(412)과 대응하는 경사 부분(422)의 협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스윙하므로, 대응하는 맞물림 노치(421)는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42)의 스윙 이동에 의해 대응하는 맞물림 부분(44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대응하는 맞물림 노치(421)가 대응하는 맞물림 부분(441)으로부터 분리된 후,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43),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44) 및 대응하는 제3 고정 구성 요소(45)의 상대 이동은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42) 및 대응하는 연결 구성 요소(46)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이 시점에서, 각각의 제2 고정 구성 요소(44)는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43)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고, 각각의 제3 고정 구성 요소(45)는 또한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43)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다.
또한, 구속 경사면(413)은 대응하는 피봇 커넥팅 부분(221)에 인접한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41)의 단부에 형성된다. 각각의 구속 경사면(413)은 대응하는 구동 경사면(412)에 연결되어 대응하는 구동 경사면(412)에 대한 대응하는 경사 부분(422)의 슬라이딩 거리를 억제하는 V-형 구조를 형성한다. 그렇지만,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속 경사면(413)은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폴딩 메커니즘(4)은 대응하는 맞물림 부분(441)과 맞물리도록 대응하는 맞물림 노치(421)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42)에 인접하는 탄성 구성 요소(47)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탄성 구성 요소(47)는 압축 스프링 일 수 있다. 압축 스프링의 단부는 잠금 구성 요소(42)의 인접 부분(423)에 접하고, 압축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도 2에 도시된 커버 구성 요소(25)에 접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폴딩 메커니즘(4)은 후면 지지대(22)에 배치된 제1 고정 구성 요소(43), 전면 지지대(23)에 배치된 제2 고정 구성 요소(44) 및 핸들 지지대(24)에 배치된 제3 고정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또는 앞다리(22), 뒷다리(23) 및 핸들 지지대(24)의 상대적인 이동, 즉 뒷다리(23)에 대한 앞다리(22)의 피봇 이동 및 뒷다리에 대한 핸들 지지대(24)의 피봇 이동을 허용하거나 억제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폴딩 메커니즘은 후면 지지대(22)에 대한 전면 지지대(23) 및 핸들(23) 중 하나의 피봇 이동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뒷다리에 배치된 제1 고정 구성 요소 및 앞다리와 핸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제2 고정 구성 요소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2)이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1)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유모차(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유모차(1)를 접고 싶을 때, 포지셔닝 메커니즘을 해제하여 유모차 프레임(2)에 대한 시트(3)의 피봇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그 후, 피봇 시트(3)는 두 개의 구동 구성 요소(41)를 밀어서 2개의 구동 경사면(411)과 접촉함으로써 2개의 중공 안내 부분(211)의 내부를 형성하므로, 2개의 구동 구성 요소(41)가 2개의 구동 경사면(412)과 2개의 경사 부분(422)의 협력에 의해 2개의 잠금 구성 요소(42)를 각각 스윙하도록 구동하므로, 2개의 맞물림 부분(441)으로부터 2개의 맞물림 노치(421)를 분리한다. 전술한 프로세스 동안, 2개의 탄성 구성 요소(47)는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142)가 대응하는 고정 구성 요소(43),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44) 및 대응하는 제3 고정 구성 요소(45)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도록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44)로부터 분리될 때,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44) 및 대응하는 제3 고정 구성 요소(45)는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43)에 대해 피봇될 수 있어서, 유모차 프레임(2)을 접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면 지지대(23) 및 핸들 지지대(24)가 후면 지지대(22)에 대해 피봇 식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유모차 프레임(2)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회전 시트(3)가 필요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모차는 시트가 유모차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때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 요소(25)를 도시하지 않은 유모차(1)의 부분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유모차(1)는 2개의 시트 마운트(21)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예시적인 해제 구성 요소로서 2개의 해제 버튼(26)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해제 버튼(26)은 대응하는 구동 구성 요소(41) 위에 위치한다. 시트(3)가 유모차 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때, 2개의 해제 버튼(26)은 수동 작동을 위해 접근 가능하다. 해제 경사면(261)은 대응하는 시트 마운트(21) 내부의 각각의 해제 버튼(26)의 단부에 형성된다. 해제 접촉부(424)는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42)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해제 버튼(26)이 눌려져 대응하는 해제 경사면(261)과 대응 해제 접촉부(424)의 협력에 의해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44)로부터 스윙 방식으로 분리되도록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42)를 밀면, 전면 지지대(23) 및 후방 다리(24)는 유모차 프레임(2)을 접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후면 지지대(22)에 대해 피봇 식으로 접힐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 요소를 도시하지 않은 유모차의 부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5)이 펼쳐진 상태인 유모차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5)이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유모차는 유모차 프레임(5) 및 2개의 폴딩 메커니즘(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유모차 프레임(5)은 전면 지지대(51), 전면 지지대(51)로 피봇된 핸들 지지대(52) 및 핸들 지지대(52)로 피봇된 후면 지지대(53)를 포함한다. 2개의 폴딩 메커니즘(6)은 유모차 프레임(5)의 접힘 동작을 억제하거나 허용하기 위해 전면 지지대(51) 및 핸들 지지대(52)의 2개의 회전 조인트 상에 각각 배치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유모차는 시트가 그 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좌석 마운트(54)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폴딩 메커니즘(6)의 구동 구성 요소(61)는 대응하는 시트 마운트(54)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대응하는 시트 마운트(54)로부터 노출된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61)의 단부에는 구동 경사면(611)이 형성된다. 유모차는 또한 두 개의 해제 버튼(56)을 포함한다. 각각의 해제 버튼(56)은 시트가 유모차 프레임(5)으로부터 분리될 때 수동 작동을 위해 대응하는 시트 마운트(54)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폴딩 메커니즘(6)은 제1 고정 구성 요소(62), 제2 고정 구성 요소(64), 잠금 구성 요소(65), 탄성 구성 요소(66) 및 연결 요소(67)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제1 고정 구성 요소(62)는 각각 전방의 두 상단에 고정된다. 2개의 제2 고정 구성 요소(64)는 각각 핸들 지지대(52)의 2개의 하단에 고정된다. 각각의 제1 고정 구성 요소(62)는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64)로 피봇된다.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65)는 대응하는 연결 요소(67)에 배치되고, 각각의 연결 요소(67)는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6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65)는 대응하는 연결 요소의 슬라이딩 이동 동안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62)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대응하는 연결 요소(67)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요소(67)는 잠금 구성 요소(65)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딩 시트일 수 있다. 그렇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65)가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제2 고정 구성 요소(64) 상에 언폴딩 맞물림 슬롯(641)이 형성되고,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65)는 유모차 프레임(5)이 펼쳐진 상태로 펼쳐질 때 대응하는 언폴딩 맞물림 슬롯(641)과 정렬된다. 각각의 탄성 구성 요소(66)는 대응하는 언폴딩 맞물림 슬롯(641)과 맞물리도록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65)를 구동하기 위해 대응하는 연결 요소(67)를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62)와 대응하는 연결 요소(67) 사이에 배치된다. 유모차 프레임(5)이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65)가 대응하는 언폴딩 맞물림 슬롯(641)과 맞물리도록 구동되므로, 유모차 프레임(5)의 접힘 동작이 억제될 수 있다.
구동 경사면(612)은 대응하는 시트 마운트(54) 내부의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61)의 단부에 형성된다. 경사 부분(651)은 각각의 연결 요소(67)의 단부에 형성되고 대응 구동과 협력하기 위해 대응 구동 구성 요소(61)를 향해 구부러진다. 각각의 구동 구성 요소(61)가 대응하는 구동 경사면(612) 및 대응하는 경사 부분(651)의 협력에 의해 대응하는 연결 요소(67)를 밀기 위해 슬라이딩될 때,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65)는 대응하는 연결 요소(67)에 의해 구동되어 대응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64)로부터 멀리 슬라이딩되어 탄성 구성 요소(66)를 압축할 수 있다.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65)가 슬라이딩하여 대응하는 언폴딩 맞물림 슬롯(641)으로부터 분리될 때, 유모차 프레임(5)의 접힘 동작이 허용된다.
바람직하게, 폴딩 맞물림 슬롯(642)이 각각의 제2 고정 구성 요소(64) 상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언폴딩 맞물림 슬롯(641)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각각의 폴딩 맞물림 슬롯(642)의 내주에 밀림 경사면(643)이 형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프레임(5)이 접힌 상태로 접힐 때, 각각의 잠금 구성 요소(65)는 대응하는 폴딩 맞물림 슬롯(642)과 정렬되고 변형된 탄성 구성 요소(66)에 의해 대응하는 폴딩 맞물림 슬롯(642)과 맞물리도록 구동되므로, 펼친 유모차 프레임(5)을 유지하고, 유모차(5)의 뜻하지 않은 펴짐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유모차 프레임(5)을 펴고자 할 때, 두 개의 푸싱 경사면(643)에 의해 두 개의 폴딩 맞물림 슬롯(64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두 개의 잠금 구성 요소(65)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면 지지대(51)를 핸들 지지대(52)로부터 분리하는 힘이 필요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해제 버튼(56)은 대응하는 연결 요소(67)를 눌러 해제 연결 구성 요소(57)에 의해 이동하도록 대응하는 잠금 요소(65)를 구동한다. 각각의 해제 연결 구성 요소(57)의 단부는 대응하는 연결 요소(67)로 피봇된다. 각각의 연결 구성 요소(57)의 단부는 제1 고정 구성 요소(62)의 긴 구멍(571) 및 핀(621)에 의해 대응하는 제1 고정 구성 요소(62)에 연결된다. 인접 기둥(561)은 각각의 해제 버튼(56)으로부터 대응하는 해제 연결 구성 요소(57)를 향해 돌출한다. 각각의 해제 연결 구성 요소(57) 상에 비스듬한 표면(oblique surface)(572)이 형성된다. 각각의 해제 버튼(56)이 눌려질 때, 대응하는 인접 기둥(561)은 대응하는 경사면(572)과 접촉함으로써 대응하는 해제 연결 구성 요소(62)에 대해 이동하도록 대응하는 해제 링크 구성 요소(7)를 구동하므로, 대응하는 연결 요소(67)를 밀어 제2 고정 구성 요소(64)로부터 멀리 슬라이딩하도록 대응하는 잠금 구성 요소(65)를 구동하여 구동 유모차 프레임(5)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그렇지만, 이것은 이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스듬한 표면은 또한 해제 버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 경사면, 구동 경사면 등을 포함하는 전술한 실시예의 전술한 표면은 평평한 표면일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표면은 또한 호 표면(arc surface)일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장치 및 방법의 수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시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와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유모차로서,
    유모차 프레임를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 프레임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folding action)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위한 잠금 구성 요소(locking component)를 포함하며,
    상기 유모차 프레임은,
    전면 지지대, 핸들 지지대, 및 후면 지지대 중 허나에 고정된 제1 고정 구성 요소와,
    상기 전면 지지대, 상기 핸들 지지대 및 상기 후면 지지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 구성 요소에 피봇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고정 구성 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와 맞물려서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을 억제하고,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가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로부터 스윙 방식으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해제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배치된 아동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동 캐리어는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가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로부터 스윙 방식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하는, 유모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프레임은 제3 고정 구성 요소 및 연결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후면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전면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3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핸들 지지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고정 구성 요소에 피봇되고, 상기 연결 구성 요소의 양 단부는 각각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 및 상기 제3 고정 구성 요소에 피봇되는, 유모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프레임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 구성 요소를 해제하여 상기 유모차 프레임이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해제 부분(releasing portion)을 더 포함하는, 유모차.
  5. 제4항에 있어서,
    미는 힘(pushing force)을 받으면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스윙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와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 구성 요소 및 상기 해제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경사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유모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분은 상기 잠금 구성 요소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해제 부분은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경사 부분과 협동하는 구동 경사면을 가진 구동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유모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분은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와 맞물리는 부분은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제1 단부 및 상기 경사 부분 사이에 형성된 맞물림 노치를 포함하는, 유모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분은 상기 잠금 구성 요소에 형성되고, 상기 해제 부분은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경사 부분과 협력하는 푸싱 경사면을 가진 해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유모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분은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와 맞물리는 부분은 상기 경사 부분과 상기 잠금 구성 요소의 제2 단부 사이에 형성된 맞물림 노치를 포함하는, 유모차.
  10. 유모차로서,
    유모차 프레임를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 프레임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 동작(folding action)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위한 잠금 구성 요소(locking component)를 포함하며,
    상기 유모차 프레임은,
    전면 지지대, 핸들 지지대, 및 후면 지지대 중 허나에 고정된 제1 고정 구성 요소와,
    상기 전면 지지대, 상기 핸들 지지대 및 상기 후면 지지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 구성 요소에 피봇되는 제2 고정 구성 요소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구성 요소는 상기 제1 고정 구성 요소에 슬라이등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에는 상기 잠금 구성 요소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슬롯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상기 맞물림 슬롯과 맞물리거나 분리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유모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배치된 아동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동 캐리어는,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슬라이동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맞물림 슬롯과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 구성 요소에 해제력을 제공하는, 유모차.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프레임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이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잠금 구성 요소를 해제하도록 된 해제 부분을 더 포함하는,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미는 힘(pushing force)을 받으면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와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 구성 요소 및 상기 해제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경사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유모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구성 요소는 연결 요소에 고정되고, 상기 경사 부분은 상기 연결 요소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요소가 미는 힘을 받으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유모차.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분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제공된 작동 구성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해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유모차.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분은 상기 아동 캐리어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구동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유모차.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슬롯은,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언폴딩 맞물림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로 펼쳐지는 때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상기 온폴딩 맞물림 슬롯과 정렬되는, 유모차.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슬롯은,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폴딩 맞물림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 프레임이 접힌 상태로 접혀지는 때 상기 잠금 구성 요소가 상기 폴딩 맞물림 슬롯과 정렬되는, 유모차.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구성 요소를 밀어내기 위해 상기 폴딩 맞물림 슬롯의 내주(inner periphery)에 푸싱 경사면(pushing slanted surface)이 형성되는, 유모차.
  20.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프레임은 제3 고정 구성 요소 및 연결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후면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전면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3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핸들 지지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고정 구성 요소에 피봇되고, 상기 연결 구성 요소의 양 단부는 각각 상기 제2 고정 구성 요소 및 상기 제3 고정 구성 요소에 피봇되는, 유모차.
KR1020237045107A 2018-04-19 2019-04-18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KR20240006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356058.8 2018-04-19
CN201810356058 2018-04-19
KR1020227035653A KR102620204B1 (ko) 2018-04-19 2019-04-18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PCT/EP2019/060177 WO2019202116A2 (en) 2018-04-19 2019-04-18 Baby stroller with a folding mechanism triggered by a child carri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653A Division KR102620204B1 (ko) 2018-04-19 2019-04-18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003A true KR20240006003A (ko) 2024-01-12

Family

ID=6662513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107A KR20240006003A (ko) 2018-04-19 2019-04-18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KR1020227035653A KR102620204B1 (ko) 2018-04-19 2019-04-18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KR1020207033210A KR102455984B1 (ko) 2018-04-19 2019-04-18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653A KR102620204B1 (ko) 2018-04-19 2019-04-18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KR1020207033210A KR102455984B1 (ko) 2018-04-19 2019-04-18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807289B2 (ko)
EP (3) EP4344980A1 (ko)
JP (3) JP7146945B2 (ko)
KR (3) KR20240006003A (ko)
CN (2) CN115402394A (ko)
AU (2) AU2019254655B2 (ko)
CA (1) CA3097597A1 (ko)
MX (1) MX2020011074A (ko)
WO (1) WO20192021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374786U (zh) * 2016-12-02 2017-08-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座兜及儿童推车
US10766517B2 (en) * 2018-03-16 2020-09-08 Strova, Inc. Stroller assembly
US11027762B2 (en) * 2019-01-04 2021-06-08 Wonderland Switzerland Ag Foldable car seat carriage
CN111483503B (zh) * 2019-01-29 2022-07-19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枢转座机构及包含该枢转座机构的儿童推车
CN210011782U (zh) * 2019-03-29 2020-02-04 东莞硕仕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快速收合结构
CN112224267B (zh) * 2019-07-15 2023-02-21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杆件收合锁定机构与婴儿车架
CN112678059B (zh) * 2019-10-17 2023-06-3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其同步收合机构
CN112998480A (zh) * 2019-12-18 2021-06-22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收折机构
CN113135213B (zh) * 2020-01-17 2024-03-01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载具背靠收折结构及婴儿载具
CN113401213B (zh) * 2020-03-16 2023-10-1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转接装置及其连接机构
CN114312960A (zh) * 2020-10-09 2022-04-1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载具及其婴儿承载机构
CN114347881A (zh) * 2020-10-13 2022-04-15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睡箱
US11897534B2 (en) 2020-10-14 2024-02-1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Wagon stroller, systems, and methods
NL2032196B1 (en) * 2020-12-18 2023-05-15 Royalty Bugaboo Gmbh Foldable stroller, foldable bassinet, foldable seat, stroller and stroller and luggage system
CN114802402A (zh) * 2021-01-22 2022-07-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收合钩结构和具有收合钩结构的儿童车车架及儿童车
CN218577825U (zh) * 2021-06-07 2023-03-07 葛莱儿婴儿产品股份有限公司 用于婴儿座椅及婴儿车的系统
CN116252845A (zh) * 2021-12-09 2023-06-13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锁定机构和具有锁定机构的儿童车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7197A1 (de) * 2003-12-02 2006-09-06 Christian Haeggberg Zusammenklappbarer kinderwagen
NL1033729C2 (nl) * 2007-04-20 2008-10-21 Maxi Miliaan Bv Wandelwagen.
US8087689B2 (en) 2008-07-31 2012-01-03 Cosco Management, Inc. Compact collapsible stroller
CN201347114Y (zh) 2008-12-30 2009-11-1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可折叠儿童推车
EP2455272B8 (en) * 2010-11-18 2018-03-07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troller frame
DE102012111060B4 (de) * 2011-11-17 2015-03-12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Zusammenklappbare Kleinkindertransportvor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Bedienung
CN103569183B (zh) * 2012-07-24 2016-09-14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收合机构及具有该机构的婴儿车
CN103625530B (zh) * 2012-08-22 2016-03-0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安全锁机构
CN203427850U (zh) * 2013-07-05 2014-02-12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车收折关节的释放机构
EP2832625B1 (en) * 2013-08-02 2017-11-08 Dorel Juvenile (Zhongshan) Product Co., Ltd. A stroller frame and a foldable and detachable chair frame
CN204641848U (zh) * 2014-04-10 2015-09-16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站立装置及婴儿车
CN105329304B (zh) * 2014-06-06 2017-12-08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载具
CN107685758B (zh) * 2015-04-10 2020-01-0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ITUB20152212A1 (it) * 2015-07-15 2017-01-15 Linglesina Baby S P A Telaio ripiegabile per passeggini, carrozzine e simili.
CN106541977B (zh) * 2015-09-16 2019-08-3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
CN107284507B (zh) * 2016-04-13 2022-05-3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车架收合关节及具有车架收合关节的婴儿车
US10399589B2 (en) * 2016-04-29 2019-09-03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troller apparatus
JP6747918B2 (ja) 2016-08-31 2020-08-26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GB2553802B (en) * 2016-09-14 2019-08-07 Stroller Tech Ltd A stroller
CN206664663U (zh) * 2017-02-21 2017-11-24 晨辉婴宝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收车关节的儿童手推车
KR102544377B1 (ko) * 2020-12-30 2023-06-16 한국세라믹기술원 리튬-공기 전지용 촉매 입자,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 전지 및 리튬-공기 전지용 촉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66600A (ja) 2023-11-21
EP3694762A2 (en) 2020-08-19
KR20220143170A (ko) 2022-10-24
US20240017760A1 (en) 2024-01-18
US11807289B2 (en) 2023-11-07
AU2022215169B2 (en) 2024-02-29
WO2019202116A2 (en) 2019-10-24
CA3097597A1 (en) 2019-10-24
AU2022215169A1 (en) 2022-09-01
KR102620204B1 (ko) 2023-12-29
KR102455984B1 (ko) 2022-10-17
AU2019254655B2 (en) 2022-08-04
MX2020011074A (es) 2021-01-15
JP2022171940A (ja) 2022-11-11
KR20200144571A (ko) 2020-12-29
EP3733478B1 (en) 2023-11-08
EP3733478A1 (en) 2020-11-04
CN110386179B (zh) 2022-10-28
CN110386179A (zh) 2019-10-29
JP7355907B2 (ja) 2023-10-03
EP4344980A1 (en) 2024-04-03
JP2021521055A (ja) 2021-08-26
JP7146945B2 (ja) 2022-10-04
CN115402394A (zh) 2022-11-29
WO2019202116A3 (en) 2020-01-16
AU2019254655A1 (en) 2020-11-26
US20190322304A1 (en) 2019-10-24
EP3694762B1 (en)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204B1 (ko)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US7712765B2 (en) Stroller having a single folding shaft
US8950761B2 (en) Collapsible child carrier apparatus
CN116118844A (zh) 扶手收合机构及具有该机构的婴儿车
TWI746043B (zh) 嬰幼兒推車
KR20190080114A (ko)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CN108313110B (zh) 收合机构及幼儿载具
JP3746110B2 (ja) ベビーシート用ガードアームのロック機構
TW202239639A (zh) 嬰兒車、嬰兒車的車架及其收合裝置
TW202239644A (zh) 頂靠承載裝置及乘坐裝置
CA2835998A1 (en) Infant carrier and safety locking device
CN113844525A (zh) 婴儿车及其座椅高度调整机构
JP2003052495A (ja) 幼児用歩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