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818A - 왕겨를 이용하는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왕겨를 이용하는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818A
KR20240002818A KR1020220080876A KR20220080876A KR20240002818A KR 20240002818 A KR20240002818 A KR 20240002818A KR 1020220080876 A KR1020220080876 A KR 1020220080876A KR 20220080876 A KR20220080876 A KR 20220080876A KR 20240002818 A KR20240002818 A KR 20240002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husk
mixture
water
soy sauce
sa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에프
Priority to KR102022008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818A/ko
Publication of KR2024000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1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containing amino acids
    • A23L27/22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containing amino acids containing glut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44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corms, tubers or roots, e.g. glucoman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원재료 왕겨수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최종 왕겨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최종 왕겨수와 간장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가열된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제1혼합물에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25 내지 30분간 가열하되, 상기 제2혼합물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제3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혼합물에 안정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섭취자가 육류 또는 어류에 찍어 먹을 경우, 간장과 다른 재료와의 조화가 이루어지되, 간장 특유의 짠맛은 억제하면서, 그 맛과 향이 잘 어울어져 육류 또는 어류의 맛과 향을 한층 더 증가시키도록 하는 간장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왕겨를 이용하는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Soy sauce using Chaf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왕겨를 이용하는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에 사용되는 양념소스는 간장에 마늘, 생강, 깨소금, 파, 고추가루, 참기름 등의 양념 첨가물을 넣고 단순 혼합하여 제조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양념소스로 숯불이나 불판에 구운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등의 육류를 찍어 먹음으로써 구운 육류의 맛과 향을 한층 더 높이도록 하였다.
종래의 통상적인 구이용 육류에 사용되는 양념소스는 간장의 맛이 주(主)를 이루어 짠맛이 강하고 간장특유의 향이 진하며 간장과 양념첨가물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육류섭취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통상적인 간장소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몇몇 간장소스 제조방법이 제안되었는데, 특허출원 제1994-2605호의 「양파를 첨가한 간장의 제조방법」은 산분해 간장원액 68 ~ 80%에 양조간장원액 10 ~15%와 양파즙 3 ~ 15%, 에탄올 2%를 혼합하여 약 3개월간 발효시켜 제조하는 것이고, 특허출원 제1994-39914호의 「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양념장 조성물」은 간장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차출물을 함유시켜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섭취에 따른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며 생선요리에 사용시 비린내를 감소시키고 식욕증진 효과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것이나, 상기 선출원된 간장이나 양념장 조성물의 경우에도 간장에 단지 기능성을 가진 양파즙이나 녹차추출물 등의 일성분만을 부가한 것이어서 구이용 육류와 그 맛과 향이 어울어지는 간장소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14805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섭취자가 육류 또는 어류에 찍어 먹을 경우, 간장과 다른 재료와의 조화가 이루어지되, 간장 특유의 짠맛은 억제하면서, 그 맛과 향이 잘 어울어져 육류 또는 어류의 맛과 향을 한층 더 증가시키도록 하는 간장소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 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왕겨를 이용한 왕겨수를 통해, 간장소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원재료 왕겨수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최종 왕겨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최종 왕겨수와 간장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가열된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제1혼합물에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25 내지 30분간 가열하되, 상기 제2혼합물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제3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혼합물에 안정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재료는 다시마, L-클루타민산나트륨, 카라멜식용분 및 타피오카전분이고, 상기 부재료의 함량은, 다시마 : L-클루타민산나트륨 : 카라멜식용분 : 타피오카전 = 0.25:0.5:0.2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는, 볍씨에서 쌀이 분리된 왕겨를 준비하여 1차 세척하는 단계; 상기 1차 세척된 왕겨에 물을 혼합하여 제1왕겨혼합수를 제조후, 제1일정시간동안 침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왕겨가 침전된 물을 버리고, 침전과정을 거친 침전왕겨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침전왕겨에 물을 혼합하여 제2왕겨혼합수를 제조후, 일정온도의 범위에서, 제2일정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제2왕겨혼합수를 제3일정시간동안 침전하여 제3왕겨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침전왕겨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간장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90중량부 내지 11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의 함량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정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이고, 상기 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청주 100중량부 대비 0.05중량부 내지 0.08중량부로 포함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일정시간은 20시간 내지 25시간이고, 상기 제2일정시간은 150 내지 200분이며, 상기 일정온도는 95℃ 내지 110℃이고, 상기 제3일정시간은 20 내지 25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섭취자가 육류 또는 어류에 찍어 먹을 경우, 간장과 다른 재료와의 조화가 이루어지되, 간장 특유의 짠맛은 억제하면서, 그 맛과 향이 잘 어울어져 육류 또는 어류의 맛과 향을 한층 더 증가시키도록 하는 간장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 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왕겨를 이용한 왕겨수를 통해, 간장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간장소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볍씨에서 쌀이 분리된 왕겨를 준비하여 1차 세척하는 단계; 상기 1차 세척된 왕겨에 물을 혼합하여 제1왕겨혼합수를 제조후, 제1일정시간동안 침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왕겨가 침전된 물을 버리고, 침전과정을 거친 침전왕겨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침전왕겨에 물을 혼합하여 제2왕겨혼합수를 제조후, 일정온도의 범위에서, 제2일정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제2왕겨혼합수를 제3일정시간동안 침전하여 제3왕겨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3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침전왕겨를 제거하여,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원재료 왕겨수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최종 왕겨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최종 왕겨수와 간장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가열된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제1혼합물에, 다시마, L-클루타민산나트륨, 카라멜식용분, 타피오카전분의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25 내지 30분간 가열하되, 상기 제2혼합물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제3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혼합물에 안정제를 투입하여 최종 간장소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0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재료 왕겨수는 다음과 같은 단계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도 2는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는, 볍씨에서 쌀이 분리된 왕겨를 준비하여 1차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0).
상기 1차 세척하는 단계는 일반적인 물로, 왕겨 이외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1차 세척하는 단계는, 왕겨와 물의 비율을 중량비로 1:1~2의 비율로 침전시키거나, 또는, 흐르는 물에 상기 왕겨를 세척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논에서 수확되어 건조된 벼의 낱알들은 현미기나 정미기에서 쌀과 왕겨로 분리되는데, 그 후, 왕겨 선별기를 통해 왕겨와 쌀을 별도로 선별하여 회수하게 된다.
한편, 쌀은 세계 인구의 절반이 주식으로 사용하는 세계 3대 곡물 중 하나인 귀중한 식량자원이며, 특히 아시아권에서는 다른 작물과 대치될 수 없는 국가 핵심 자원이다.
벼의 겉껍질인 왕겨를 벗기고 도정하지 않은 상태의 쌀을 현미라고 하고, 현미를 정미하여 쌀겨와 쌀눈을 벗겨낸 상태의 쌀을 백미라고 한다. 특히, 쌀겨는 정백미의 부산물임에도 불구하고 영양에 관해서는 상당히 우수한 재료이다.
쌀겨(미강)는 쌀 영양분의 약 95%가 집결되어 있으며, 양질의 단백질과 식이섬유 및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이러한 쌀겨를 이용하기 위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상기의 왕겨는 단지 퇴비의 원료 또는 땔감의 원료 등으로만 활용될 뿐, 상기 왕겨를 식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는 전무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그 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왕겨를 이용한 왕겨수를 통해, 간장소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세척된 왕겨에 물을 혼합하여 제1왕겨혼합수를 제조후, 제1일정시간동안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S20).
상기 제1일정시간은 20시간 내지 25시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일정시간동안 침전된 왕겨를 통해, 상기 왕겨에 포함되어 있는 농약 등의 유해한 물질을 상기 왕겨로부터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세척된 왕겨에 물을 혼합하는 것은, 1차 세척된 왕겨와 물의 비율을 중량비로 1:1~2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왕겨가 침전된 물을 버리고, 침전과정을 거친 침전왕겨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30).
이러한 침전왕겨, 즉, S10 내지 S30 단계를 거친 상기 침전왕겨는, 왕겨 이외의 불순물 및 왕겨에 포함되어 있는 농약 등의 유해한 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득된 침전왕겨에 물을 혼합하여 제2왕겨혼합수를 제조후, 일정온도의 범위에서, 제2일정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40).
상기 제2일정시간은 150 내지 200분일 수 있으며, 상기 일정온도는 95℃ 내지 1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된 침전왕겨에 물을 혼합하는 것은, 상기 수득된 침전왕겨와 물의 비율을 중량비로 1:1~2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왕겨혼합수를 일정온도의 범위에서 제2일정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왕겨로부터 유효성분이 우러나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가열된 제2왕겨혼합수를 제3일정시간동안 침전하여 제3왕겨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0).
상기 제3일정시간은 20 내지 25시간일 수 있으며, 상기 제3일정시간의 침전과정은, 상기 왕겨로부터 유효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올 수 있도록, 상기 제2왕겨혼합수를 방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3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침전왕겨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60).
즉, 상기 제3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침전왕겨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왕겨수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침전왕겨를 제거하는 것은, 일반적인 메쉬망을 통해, 상기 제3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침전왕겨를 걸러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그 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왕겨를 이용하여 간장소스를 제조하고자 하며, 다만, 상기 왕겨자체를 섭취할 수는 없기 때문에, 상기 왕겨를 이용한 왕겨수를 통해, 간장소스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득된 원재료 왕겨수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최종 왕겨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0).
본 발명에서 상기 최종 왕겨수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는 것은, 후술할 바와 같은 간장소스의 최종 염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최종 왕겨수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는 것은, 공지된 정제염과 상기 최종 왕겨수의 투입양을 조절함으로써, 제어가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최종 왕겨수와 간장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20).
이때, 본 발명의 제1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최종 왕겨수와 상기 간장의 함량은 1:0.9~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간장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90중량부 내지 11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간장이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9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최종 간장소스에서 왕겨수의 텁텁한 맛이 진하게 나타나며, 상기 간장이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11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최종 간장소스에서 간장의 짠맛이 강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간장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90중량부 내지 11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의 혼합비율은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장은 양조간장 및 아미노산 간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양조간장과 상기 아미노산 간장의 비율은 1:1.9 ~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득된 원재료 왕겨수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최종 왕겨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혼합물에서의 최종 왕겨수와 간장의 혼합비율을 통해, 최종 간장소스에서 왕겨수의 텁텁한 맛이 나타나지 않게 하고, 간장의 짠맛을 억제하게 되는데, 상기 최종 왕겨수의 염도를 상술한 비율로 맞춤으로 인하여, 즉, 상기 최종 왕겨수에 미리 염도를 부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최종 간장소스의 짠맛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가열된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30).
이때, 상기 제1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가열된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왕겨수와 상기 간장의 혼합시, 상기 최종 왕겨수와 상기 간장의 조화(상호 어루러져 섞이는 작용)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혼합물의 온도가 95℃ 미만인 경우는, 상기 최종 왕겨수와 상기 간장의 조화가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제1혼합물의 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열된 제1혼합물에서 상기 간장의 염도가 증가하여, 간장소스에서 짠맛이 진해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혼합물의 가열시간은 상기 제1혼합물의 가열온도범위에 도달시까지 가열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혼합물의 가열시간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가열된 제1혼합물에, 다시마, L-클루타민산나트륨, 카라멜식용분, 타피오카전분의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40).
이때, 상기 제2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의 함량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의 함량이,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5중량부 미만인 경우, 최종 간장소스에서 상기 부재료의 맛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부재료의 함량이,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최종 간장소스에서 상기 부재료의 맛이 강해서 최종 간장소스의 짠맛이 약해지게 되므로, 상기 부재료의 함량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재료인, 다시마 : L-클루타민산나트륨 : 카라멜식용분 : 타피오카전의 함량은, 0.25:0.5:0.25:1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25 내지 30분간 가열하되, 상기 제2혼합물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제3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50).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혼합물의 염도가 10~15%로 조절된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간장 특유의 짠맛은 억제되면서, 최종 간장소스가 싱겁지도 않고, 짜지도 않은 최적이 염도를 가진 간장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혼합물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는 것은, 공지된 정제염과 공지된 정제수의 투입양을 조절함으로써,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정제염과 상기 정제수의 투입량은 상기 제2혼합물의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투입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혼합물의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제3혼합물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제염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 중량부 대비 25 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정제수는 상기 최종 왕겨수 100 중량부 대비 90 중량부 내지 1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제염과 상기 정제수의 함량을 통해, 상기 제2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25 내지 30분간 가열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혼합물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제3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3혼합물에 안정제를 투입하여 최종 간장소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60).
본 발명에서, 상기 제3혼합물에 안정제를 투입하는 것은, 최종 간장소스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정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0.05중량부 내지 0.08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구이용 육류에 사용되는 양념소스는 간장의 맛이 주(主)를 이루어 짠맛이 강하고 간장특유의 향이 진하며 간장과 양념첨가물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육류섭취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섭취자가 육류 또는 어류에 찍어 먹을 경우, 간장과 다른 재료와의 조화가 이루어지되, 간장 특유의 짠맛은 억제하면서, 그 맛과 향이 잘 어울어져 육류 또는 어류의 맛과 향을 한층 더 증가시키도록 하는 간장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간장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90중량부 내지 110중량부로 혼합하고, 또한, 상기 제3혼합물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함으로써, 이를 통해, 간장 특유의 짠맛은 억제되면서, 최종 간장소스가 싱겁지도 않고, 짜지도 않은 최적이 염도를 가진 간장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원재료 왕겨수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최종 왕겨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최종 왕겨수와 간장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가열된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제1혼합물에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혼합물을 95 내지 100℃의 온도로, 25 내지 30분간 가열하되, 상기 제2혼합물의 염도를 10~15%로 조절하여, 염도가 10~15%로 조절된 제3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혼합물에 안정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는 다시마, L-클루타민산나트륨, 카라멜식용분 및 타피오카전분이고,
    상기 부재료의 함량은, 다시마 : L-클루타민산나트륨 : 카라멜식용분 : 타피오카전 = 0.25:0.5:0.2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원재료 왕겨수를 수득하는 단계는,
    볍씨에서 쌀이 분리된 왕겨를 준비하여 1차 세척하는 단계;
    상기 1차 세척된 왕겨에 물을 혼합하여 제1왕겨혼합수를 제조후, 제1일정시간동안 침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왕겨가 침전된 물을 버리고, 침전과정을 거친 침전왕겨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침전왕겨에 물을 혼합하여 제2왕겨혼합수를 제조후, 일정온도의 범위에서, 제2일정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제2왕겨혼합수를 제3일정시간동안 침전하여 제3왕겨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왕겨혼합수에서 상기 침전왕겨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간장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90중량부 내지 11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의 함량은, 상기 최종 왕겨수 100중량부 대비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이고, 상기 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청주 100중량부 대비 0.05중량부 내지 0.08중량부로 포함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정시간은 20시간 내지 25시간이고, 상기 제2일정시간은 150 내지 200분이며, 상기 일정온도는 95℃ 내지 110℃이고, 상기 제3일정시간은 20 내지 25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항의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장소스.
KR1020220080876A 2022-06-30 2022-06-30 왕겨를 이용하는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2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876A KR20240002818A (ko) 2022-06-30 2022-06-30 왕겨를 이용하는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876A KR20240002818A (ko) 2022-06-30 2022-06-30 왕겨를 이용하는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818A true KR20240002818A (ko) 2024-01-08

Family

ID=8953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876A KR20240002818A (ko) 2022-06-30 2022-06-30 왕겨를 이용하는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8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54B1 (ko) 2005-01-22 2012-05-24 김명중 구이용 간장소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54B1 (ko) 2005-01-22 2012-05-24 김명중 구이용 간장소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4505B (zh) 一种香辣低盐蘸料及其制备方法
CN107348455A (zh) 一种蘸料的制作原料及制作方法
KR101826150B1 (ko) 저염 고추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366432A (zh) 一种富营养香辣牦牛肉酱及其加工方法
KR20070099730A (ko) 파와 부추가 가미된 바베큐치킨 제조방법
CN105212165B (zh) 一种醇香低盐蘸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15497A (ko) 라면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946915A (zh) 椒香小龙虾及其配制方法
KR20120099543A (ko) 버섯두부된장조치 제조방법
KR101178189B1 (ko) 고추씨 백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추씨 백김치
KR20240002818A (ko) 왕겨를 이용하는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1002049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Korean Hot Pepper Paste Using Watermelon
KR101168351B1 (ko) 메기 고추장, 및 그 메기 고추장을 포함하는 요리
CN109170818A (zh) 一种辣椒酱及其制备方法
WO2010072101A1 (zh) 含有啤酒酵母抽提物的调味品及其生产方法
CN114209040A (zh) 一种鲜虾风味复合调味粉及其制备方法
KR101571267B1 (ko) 추어매운탕의 제조방법
KR102113425B1 (ko) 어류 조림용 양념장 제조방법
KR101671016B1 (ko) 메주가루 발효액젓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김치
KR20170109343A (ko) 매운 맛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3287B1 (ko) 김치 볶음밥용 소스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김치 볶음밥
KR20210075561A (ko) 한약재가 첨가된 사골국물을 이용한 마라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33434B1 (ko) 매운맛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75155B1 (ko) 호두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호두장 소스
KR102177806B1 (ko) 콜라비 김치속 양념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