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636A - 전자 부품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636A
KR20240001636A KR1020220078558A KR20220078558A KR20240001636A KR 20240001636 A KR20240001636 A KR 20240001636A KR 1020220078558 A KR1020220078558 A KR 1020220078558A KR 20220078558 A KR20220078558 A KR 20220078558A KR 20240001636 A KR20240001636 A KR 20240001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heet
lead
electrode
coi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Priority to KR102022007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636A/ko
Priority to PCT/KR2023/008117 priority patent/WO2024005404A1/ko
Publication of KR2024000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6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03Printed circuit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6Multilayer LC-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은, 각각 코일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코일시트 및 인출전극이 형성된 인출전극시트가 적층된 제1 필터부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필터부와 연결된 외부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패턴들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비아에 의해 인출전극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시트들에 있어서, 적어도 일 코일시트에 형성된 코일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도전성비아의 수는 3개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부품{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전자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등의 다기능화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고 있다. 즉, 하나의 스마트폰 내에서 무선 LAN(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GPS 등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복수의 기능을 채용하게 되었다. 또한, 전자 기기의 고집적화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서의 내부 회로 밀도가 높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내부 회로 사이에 노이즈 간섭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750㎒의 노이즈는 스마트폰의 통화 품질을 저하시키고, 1.5㎓의 노이즈는 GPS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렇게 휴대용 전자 기기의 다양한 주파수의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 이용되고 있다.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한 전자 부품으로는 콘덴서, 칩 비드, 공통 모드 필터(common mode filter)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부품은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좁아, 비교적 넓은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10-2019-0140576 A
본 발명은 광대역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은, 각각 코일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코일시트 및 인출전극이 형성된 인출전극시트가 적층된 제1 필터부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필터부와 연결된 외부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패턴들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비아에 의해 인출전극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시트들에 있어서, 적어도 일 코일시트에 형성된 코일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도전성비아의 수는 3개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체는 커패시터와 인덕터가 형성된 시트가 적층된 제2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는 상기 제2 필터부와 연결되는 접지 전극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비아 중 하나는 상기 코일패턴의 내측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시트는, 제1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1 코일시트, 제2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2 코일시트, 제3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3 코일시트, 제4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4 코일시트, 제5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5 코일시트, 제6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6 코일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전극시트는, 상부 인출전극시트 및 하부 인출전극시트를 포함하고, 위로부터 상부 인출전극시트, 제1 코일시트, 제2 코일시트, 제5 코일시트, 제3 코일시트, 제6 코일시트, 제4 코일시트 및 하부 인출전극시트의 순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 코일패턴과 제4 코일패턴이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패턴과 제5 코일패턴이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3 코일패턴과 제6 코일패턴이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인출전극시트를 관통하는 제1 도전성비아, 제2 도전성비아 및 제3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1 코일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코일시트를 관통하는 제4 도전성비아, 제5 도전성비아 및 제6 도전성비아는 상기 하부 인출전극시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1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2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 및 제5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4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6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3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 및 제6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1 코일시트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5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4 코일시트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전극부는, 제1 외부전극, 제2 외부 전극, 제3 외부 전극, 제4 외부 전극, 제5 외부 전극 및 제 6 외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출전극시트에는 제1 인출전극, 제2 인출전극 및 제3 인출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인출전극시트에는 제4 인출전극, 제5 인출전극 및 제6 인출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부전극은 상기 제1 인출전극 및 제4 인출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외부전극은 상기 제2 인출전극 및 제5 인출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외부전극은 상기 제3 인출전극 및 제6 인출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외부전극은 상기 제1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 및 제4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5 외부전극은 상기 제2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 및 제5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6 외부전극은 상기 제3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 및 제6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 코일시트에 형성된 코일패턴의 내측에 3개의 도전성비아를 위치시켜 노이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코일패턴의 내측에 위치한 3개의 도전성비아 중 적어도 하나가, 인접하는 도전성비아 또는 코일패턴과 커패시터를 형성하여, 확장된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제1 필터부와, 상기 제1 필터부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여 더욱 확장된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광대역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체에 포함되는 각 시트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체에 포함되는 각 시트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은, 각각 코일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코일시트 및 인출전극이 형성된 인출전극시트가 적층된 제1 필터부(1100)를 포함하는 적층체(1000) 및 상기 적층체(1000)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필터부(1100)와 연결된 외부전극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패턴들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비아에 의해 인출전극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시트들에 있어서, 적어도 일 코일시트에 형성된 코일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도전성비아의 수는 3개임을 특징으로 한다.
적층체(10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직교하는 일 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및 타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고, 수직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X 방향으로의 길이는 Y 방향으로의 폭과 같거나 다를 수 있고, Y 방향으로의 폭은 Z 방향으로의 높이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적층체(1000)의 X, Y 및 Z 방향의 크기는 전자 부품의 형상, 전자 부품이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내부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외부전극(2000)은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외부전극(2000)은 적층체(1000)의 타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전극(2000)은 두 측면에 3개씩 마련될 수 있다. 즉, 외부전극은 일 측면에 마련되는 제1 외부전극(2100), 제2 외부전극(2200) 및 제3 외부전극(2300)과, 타 측면에 마련되는 제4 외부전극(2400), 제5 외부전극(2500) 및 제6 외부전극(260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전극(2000)은 각각 적층체(10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외부전극(2000)은 적층체(1000)의 수직 방향(예를 들어 Z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예컨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체(10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적층체(1000)는 복수의 코일시트 및 인출전극시트가 적층된 제1 필터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코일시트에는 각각 코일패턴이 형성되며, 인출전극시트에는 각각 인출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층체(1000)에 포함되는 제1 필터부(1100)가 적어도 3개의 코일시트 및 인출전극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필터부(1100)는 3개의 신호 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의 코일시트 및 인출전극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필터부(1100)는 전자 부품 내에서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제1 공진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노이즈 필터부(2000)는 1.5 내지 3GHz 대역에서 제1 공진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필터부(1100)가, 제1 코일패턴(111)이 형성된 제1 코일시트(1110), 제2 코일패턴(112)이 형성된 제2 코일시트(1120), 제3 코일패턴(113)이 형성된 제3 코일시트(1130), 제4 코일패턴(114)이 형성된 제1 코일시트(1140), 제5 코일패턴(115)이 형성된 제5 코일시트(1150) 및 제6 코일패턴(116)이 형성된 제6 코일시트(1160)와, 제1 인출전극(117-1), 제2 인출전극(117-2) 및 제3 인출전극(117-3)이 형성된 상부 인출전극시트(1170) 및 제4 인출전극(118-1), 제5 인출전극(118-2) 및 제6 인출전극(118-3)이 형성된 하부 인출전극시트(1180)를 포함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1 필터부(1100)에 포함되는 코일시트 및 인출전극시트의 개수는 제1 필터부(1100) 내에서 3개의 신호 라인을 형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필터부(1100)는, 위로부터 상부 인출전극시트(1170), 제1 코일시트(1110), 제2 코일시트(1120), 제5 코일시트(1150), 제3 코일시트(1130), 제6 코일시트(1160), 제4 코일시트(1140) 및 하부 인출전극시트(118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필터부(1100)는 이외에도 제1 코일시트(1110)의 상면에 마련되는 커버층(1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층은 페라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인출전극시트(1170)에는 3개의 인출전극이 형성된다. 즉, 상부 인출전극시트(1170)은 외측 단부가 제1 외부전극(2100), 제2 외부전극(2200) 및 제3 외부전극(2300)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인출전극(117-1), 제2 인출전극(117-2) 및 제3 인출전극(117-3)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인출전극(117-1), 제2 인출전극(117-2) 및 제3 인출전극(117-3)의 내측 단부는 상부 인출전극시트(1170)의 중심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인출전극(117-1)의 타측 단부의 우측에는 제2 인출전극(117-2)의 타측 단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인출전극(117-1)의 타측 단부의 좌측에는 제3 인출전극(117-3)의 타측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출전극들은 코일시트에 형성되는 코일패턴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 전극(2000)의 폭보다는 좁거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시트(1110)는 상부 인출전극시트(1170)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1 코일시트(1110)에는 제1 코일패턴(111)이 형성된다. 제1 코일패턴(111)은 제1 코일시트(1110)의 내측 중심부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코일패턴(111)은 내측 단부가 제1 코일시트(1110)의 내측 중심부에 위치하고, 외측 단부가 제4 외부전극(2400)과 연결되도록 제1 코일시트(111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패턴(111)의 내측 단부는 제1 도전성비아(11)에 의하여 제1 인출전극(117-1)과 연결된다. 즉, 제1 도전성비아(11)는 제1 인출전극(117-1)의 내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부 인출전극(1170)을 관통하여 제1 코일패턴(111)의 내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코일시트(1120)는 제1 코일시트(1110)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2 코일시트(1120)에는 제2 코일패턴(112)이 형성된다. 제2 코일패턴(1120)은 제2 코일시트(1150)의 내측 중심부 우측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코일패턴(112)은 내측 단부가 제2 코일시트(1120)의 내측 중심부 우측에 위치하고, 외측 단부가 제5 외부전극(2500)과 연결되도록 제2 코일시트(112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코일패턴(112)의 내측 단부는 제2 도전성비아(12)에 의하여 제2 인출전극(117-2)와 연결된다. 즉, 제2 도전성비아(12)는 제2 인출전극(117-2)의 내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부 인출전극(1170) 및 제1 코일시트(1110)을 관통하여 제2 코일패턴(112)의 내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5 코일시트(1150)는 제2 코일시트(1120)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5 코일시트(1150)에는 제5 코일패턴(115)이 형성된다. 제5 코일패턴(115)은 제2 코일패턴(112)과 병렬 연결되며, 제5 코일패턴(115)은 제5 코일시트(1150)의 내측 중심부 우측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5 코일패턴(115)은 내측 단부가 제5 코일시트(1150)의 내측 중심부 우측에 위치하고, 외측 단부가 제5 외부전극(2500)과 연결되도록 제2 코일시트(112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코일패턴(115)의 내측 단부는 제2 도전성비아(12)에 의하여 제2 코일패턴(112)의 내측 단부와 연결된다. 즉, 제2 도전성비아(12)는 제2 인출전극(117-2)의 내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부 인출전극(1170), 제1 코일시트(1110) 및 제2 코일시트(1120)를 관통하여 제5 코일패턴(115)의 내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코일시트(1130)는 제5 코일시트(1150)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3 코일시트(1130)에는 제3 코일패턴(113)이 형성된다. 제3 코일패턴(1130)은 제3 코일시트(1130)의 내측 중심부 좌측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코일패턴(113)은 내측 단부가 제3 코일시트(1130)의 내측 중심부 좌측에 위치하고, 외측 단부가 제6 외부전극(2600)과 연결되도록 제3 코일시트(113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코일패턴(113)의 내측 단부는 제6 도전성비아(16)에 의하여 제 6 인출전극(118-3)과 연결된다. 즉, 제6 도전성비아(12)는 제6 인출전극(118-3)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4 코일시트(1140), 제6 코일시트(1160)을 관통하여 제3 코일패턴(113)의 내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6 코일시트(1160)는 제3 코일시트(1130)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6 코일시트(1150)에는 제6 코일패턴(116)이 형성된다. 제6 코일패턴(116)은 제3 코일패턴(113)과 병렬 연결되며, 제6 코일패턴(116)은 제6 코일시트(1160)의 내측 중심부 우측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6 코일패턴(115)은 내측 단부가 제6 코일시트(1160)의 내측 중심부 우측에 위치하고, 외측 단부가 제6 외부전극(2600)과 연결되도록 제2 코일시트(112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6 코일패턴(116)의 내측 단부는 제6 도전성비아(16)에 의하여 제6 인출전극(118-3)과 연결된다. 즉, 제6 도전성비아(12)는 제6 인출전극(118-3)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6 코일시트(1160)을 관통하여 제3 코일패턴(113)의 내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코일시트(1140)는 제6 코일시트(1160)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4 코일시트(1140)에는 제4 코일패턴(114)이 형성된다. 제4 코일패턴(114)은 제1 코일패턴(113)과 병렬 연결되며, 제4 코일패턴(114)은 제4 코일시트(1140)의 내측 중심부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 코일패턴(114)은 내측 단부가 제4 코일시트(1140)의 내측 중심부에 위치하고, 외측 단부가 제4 외부전극(2400)과 연결되도록 제4 코일시트(112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코일패턴(114)의 내측 단부는 제4 도전성비아(14)에 의하여 제4 인출전극(118-1)과 연결된다. 즉, 제4 도전성비아(14)는 제4 인출전극(118-1)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4 코일시트(1140)를 관통하여 제4 코일패턴(114)의 내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인출전극시트(1180)에는 3개의 인출전극이 형성된다. 즉, 하부 인출전극시트(1180)은 외측 단부가 제4 외부전극(2400), 제5 외부전극(2500) 및 제6 외부전극(2600)과 각각 연결되는 제4 인출전극(118-1), 제5 인출전극(118-2) 및 제6 인출전극(118-3)을 포함한다. 이때, 제4 인출전극(118-1), 제5 인출전극(118-2) 및 제6 인출전극(118-3)의 내측 단부는 하부 인출전극시트(1180)의 중심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4 인출전극(118-1)의 타측 단부의 우측에는 제5 인출전극(118-2)의 타측 단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인출전극(118-1)의 타측 단부의 좌측에는 제6 인출전극(118-3)의 타측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출전극들은 코일시트에 형성되는 코일패턴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 전극(2000)의 폭보다는 좁거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3 인출전극(117-3)의 내측 단부로부터 제3 도전성비아(13)가 제1 코일시트(1110)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제1 코일패턴(111)의 내측에 위치하는 도전성비아의 수가 3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인출전극(117-3)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 도전성비아(13)는 코일패턴들과 연결되지 않는 오픈 스터브(open stub)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오픈 스터브 구조를 가지는 제3 도전성비아(13)는 인접하는 코일패턴, 즉 제3 도전성비아(13)를 둘러싸는 제1 코일패턴(111), 제1 도전성비아(11) 또는 제2 도전성비아(12)와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3 도전성비아(13)는 제1 코일패턴(111), 제1 도전성비아(11) 또는 제2 도전성비아(12)와 커패시터를 이루어, 이와 같이 커패시터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저주파에 위치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즉, 필터 삽입 손실 커브에서 피크를 좀 더 저주파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따라 전자 부품의 특성상 한정된 공간 때문에 코일의 길이를 더 이상 늘릴 수 없을 때, 이와 같은 오픈 스터브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노이즈 제거 대역 선택성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3 도전성 비아는 제1 코일시트(1110)뿐만 아니라, 제2 코일시트(1120)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경우 커패시터스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5 인출전극(118-2)의 내측 단부로부터 제5 도전성비아(15)가 제4 코일시트(1140)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제4 코일패턴(114)의 내측에 위치하는 도전성비아의 수가 3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인출전극(118-2)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5 도전성비아(15)는 코일패턴들과 연결되지 않는 오픈 스터브(open stub)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오픈 스터브 구조를 가지는 제5 도전성비아(15)는 인접하는 코일패턴, 즉 제5 도전성비아(15)를 둘러싸는 제4 코일패턴(114), 제4 도전성비아(14) 또는 제6 도전성비아(16)와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5 도전성비아(15)는 제4 코일패턴(114), 제4 도전성비아(14) 또는 제6 도전성비아(16)와 커패시터를 이루어, 이와 같이 커패시터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저주파에 위치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즉, 필터 삽입 손실 커브에서 피크를 좀 더 저주파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따라 전자 부품의 특성상 한정된 공간 때문에 코일의 길이를 더 이상 늘릴 수 없을 때, 이와 같은 오픈 스터브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노이즈 제거 대역 선택성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5 도전성 비아는 제4 코일시트(1140)뿐만 아니라, 제6 코일시트(1160)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경우 커패시터스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필터부(1200)는 제1 필터부(1100)와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캐패시터와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층체(1000)의 외부에는 상기 제2 필터부(1200)의 일부와 연결되는 접지 전극부(30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필터부(1200)는 제1 필터부(1100)와 다른 시트에 형성되며, 적층 방향으로 제1 필터부(1200)의 하측에 커패시터와 인덕터가 형성된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터부(1200)는 캐패시터(121, 122)의 캐패시턴스와 인덕터(123-1, 123-2)의 인덕턴스에 의해 전자 부품 내에서 제1 필터부(1100)가 제거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제2 공진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필터부(1200)는 3GHz 초과 또는 4GHz 내지 7GHz 주파수 대역에서 제2 공진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필터부(1200)는 도시된 구조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 코일시트에 형성된 코일패턴의 내측에 3개의 도전성비아를 위치시켜 노이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코일패턴의 내측에 위치한 3개의 도전성비아 중 적어도 하나가, 인접하는 도전성비아 또는 코일패턴과 커패시터를 형성하여, 확장된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제1 필터부와, 상기 제1 필터부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여 더욱 확장된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광대역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0: 적층체 1100: 제1 필터부
1200: 제2 필터부 2000: 외부전극부
3000: 접지전극부

Claims (8)

  1. 각각 코일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3개의 코일시트 및 인출전극이 형성된 인출전극시트가 적층된 제1 필터부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필터부와 연결된 외부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패턴들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비아에 의해 인출전극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시트들에 있어서, 적어도 일 코일시트에 형성된 코일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도전성비아의 수는 3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커패시터와 인덕터가 형성된 시트가 적층된 제2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는 상기 제2 필터부와 연결되는 접지 전극부가 형성되는 전자 부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비아 중 하나는 상기 코일패턴의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시트는, 제1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1 코일시트, 제2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2 코일시트, 제3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3 코일시트, 제4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4 코일시트, 제5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5 코일시트, 제6 코일패턴을 구비하는 제6 코일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전극시트는, 상부 인출전극시트 및 하부 인출전극시트를 포함하고,
    위로부터 상부 인출전극시트, 제1 코일시트, 제2 코일시트, 제5 코일시트, 제3 코일시트, 제6 코일시트, 제4 코일시트 및 하부 인출전극시트의 순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 코일패턴과 제4 코일패턴이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패턴과 제5 코일패턴이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3 코일패턴과 제6 코일패턴이 병렬 연결되는 전자 부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출전극시트를 관통하는 제1 도전성비아, 제2 도전성비아 및 제3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1 코일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코일시트를 관통하는 제4 도전성비아, 제5 도전성비아 및 제6 도전성비아는 상기 하부 인출전극시트와 연결되는 전자 부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1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2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 및 제5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4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6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3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 및 제6 코일패턴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는 전자 부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1 코일시트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5 도전성비아는 상기 제4 코일시트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전자 부품.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부는, 제1 외부전극, 제2 외부 전극, 제3 외부 전극, 제4 외부 전극, 제5 외부 전극 및 제 6 외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출전극시트에는 제1 인출전극, 제2 인출전극 및 제3 인출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인출전극시트에는 제4 인출전극, 제5 인출전극 및 제6 인출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부전극은 상기 제1 인출전극 및 제4 인출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외부전극은 상기 제2 인출전극 및 제5 인출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외부전극은 상기 제3 인출전극 및 제6 인출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외부전극은 상기 제1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 및 제4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5 외부전극은 상기 제2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 및 제5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6 외부전극은 상기 제3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 및 제6 코일패턴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는 전자 부품.
KR1020220078558A 2022-06-27 2022-06-27 전자 부품 KR20240001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558A KR20240001636A (ko) 2022-06-27 2022-06-27 전자 부품
PCT/KR2023/008117 WO2024005404A1 (ko) 2022-06-27 2023-06-13 전자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558A KR20240001636A (ko) 2022-06-27 2022-06-27 전자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636A true KR20240001636A (ko) 2024-01-03

Family

ID=8938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558A KR20240001636A (ko) 2022-06-27 2022-06-27 전자 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1636A (ko)
WO (1) WO202400540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76A (ko)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적층형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287A (ja) * 2006-07-27 2008-03-06 Murata Mfg Co Ltd ノイズフィルタアレイ
JP6678292B2 (ja) * 2015-02-19 2020-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6464116B2 (ja) * 2016-06-17 2019-02-06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6686991B2 (ja) * 2017-09-05 2020-04-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76A (ko)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적층형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404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497B1 (ko) 적층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 기판
TWI639304B (zh) 積層濾波器
JP6801826B2 (ja) フィルタ素子
US20110169597A1 (en) Inductor devices
KR102048098B1 (ko) 적층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6511741B2 (ja) インピーダンス変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18756A (ja) 積層型バンドパスフィルタ
CN212752225U (zh) 线圈部件以及包括其的滤波器电路
KR101153656B1 (ko) 적층형 인덕터
KR20240001636A (ko) 전자 부품
US9948263B2 (en)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JP2015111784A (ja) 積層帯域除去フィルタ
JP4415279B2 (ja) 電子部品
KR102310771B1 (ko) 회로 보호 소자
TWI667952B (zh) Electronic parts
KR101444555B1 (ko) 대역 통과 필터
US9294064B2 (en) Bandpass filter implementation on a single layer using spiral capacitors
JP3750792B2 (ja) 移動体通信機器用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
JP5285951B2 (ja) バンドパスフィルタ及び積層型バンドパスフィルタ。
KR102175234B1 (ko) 회로 보호 소자
KR102048099B1 (ko) 적층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60057916A (ko) 회로 보호 소자
KR20230021980A (ko) 복합 소자
JPWO2006085465A1 (ja) Lcフィルタ複合モジュール
KR20150002345A (ko) 대역 통과 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