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576A - 적층형 소자 - Google Patents

적층형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576A
KR20190140576A KR1020180067184A KR20180067184A KR20190140576A KR 20190140576 A KR20190140576 A KR 20190140576A KR 1020180067184 A KR1020180067184 A KR 1020180067184A KR 20180067184 A KR20180067184 A KR 20180067184A KR 20190140576 A KR20190140576 A KR 20190140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attern
noise filter
impedance
shee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066B1 (ko
Inventor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Priority to KR102018006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66B1/ko
Priority to PCT/KR2019/006286 priority patent/WO2019240402A1/ko
Priority to TW108118012A priority patent/TWI693614B/zh
Priority to US16/973,031 priority patent/US20210272750A1/en
Priority to CN201910500060.2A priority patent/CN110601671B/zh
Publication of KR20190140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3Preventing or reducing surge voltages; oscil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0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charges or discharges, e.g. Faraday shiel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6Multilayer LC-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66Printed inductances with a magnet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85Multilayer, e.g. LTCC, HTCC, green she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되며 각각 하나 이상의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 및 상기 적층체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외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는 상기 코일 패턴의 수가 나머지와는 다른 적층형 소자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적층형 소자{Sheet laminated device}
본 발명은 적층형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통 모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적층형 소자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차동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은 두 라인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그런데, 대역폭을 증가시키면서 동일 속도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세 라인을 이용한 차동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이 최근 제안되었다. 세 라인을 이용한 차동 시그널링은 스마트폰의 카메라, LCD 등의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기존의 두 라인을 이용한 차동 시그널링을 디-파이(D-PHY)라 하고 세 라인을 이용한 차동 시그널링을 시-파이(C-PHY)라고 한다. 따라서, 시-파이는 디-파이에 비해 신호 전송 라인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LCD에 4K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디-파이로는 20개의 전송 라인이 필요한데, 시-파이를 이용하면 전송 라인을 9개로 줄일 수 있다.
기존의 차동 시그널링은 두개의 전송 라인이 짝을 이루어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상적인 경우에는 신호의 위상(phase)이 서로 다른 차동 신호만 존재해야 한다. 그런데, 신호원인 반도체 칩셋의 상태나 신호 전송 라인의 몸체인 PCB, 그리고 커넥터 등의 상태에 따라 완벽한 두 신호 사이의 위상차(out of phase)를 유지하기 어렵다. 위상차의 유지는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전송 라인이 길어질수록 더 어렵기 때문에 특히 스마트폰에서는 상호간의 신호 위상이 같은 공통 모드 성분이 발생하고, 이 신호는 노이즈로 작용하여 주변 회로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노이즈에 민감한 무선 통신 감도에 영향을 미치며, 민감한 순서로는 GPS, 800㎒ 2G/3G 무선통신, 1.8㎓ 대역, 와이파이(wifi) 대역 등이다. 이러한 공통 모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통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데이터 전송량이 많은 멀티미디어 전송 라인이 마련되는 LCD, 카메라, USB, 외부 디스플레이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품질 영상, 음성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시-파이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기존의 두 라인이 하나의 짝을 이루는 것에서 세 라인이 하나의 짝을 이루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서 신호 전송이 더욱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도 기존의 필터는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즉, 라인 수 변경에 따라 부품의 패키지 자체가 달라져야 하므로 외형상 기존 필터 적용이 불가능하며, 필터의 내부 회로 역시 변경이 되어야 제대로 된 신호를 통과시켜 주면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공통 모드 노이즈는 각 신호들의 전압 레벨에 이상이 있거나, 딜레이(delay)가 발생하거나, PCB의 특성 임피던스에 차이가 있을 경우 등에 의해 발생하게 되고 다양한 원인만큼이나 발생하는 경우의 수도 상당히 많다. 예를 들어, 세개의 신호 중에서 하나의 신호에 딜레이가 발생하면 두 신호 라인 사이에 공통 모드 노이즈가 발생하며, 만약 두 신호 라인에 동시에 딜레이가 발생한다거나 세 신호 라인에 동시에 딜레이가 발생하면서 각각 시간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세 신호 라인에도 동시에 공통 모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공통 모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려면 두 신호 라인만을 대책할 수 있는 기존의 필터로는 어려우며, 여러 개의 소자를 이용하면 가능하겠지만 비용은 크게 늘어나는 반면에 실장 면적이 증가하는 등 좋은 효과를 얻기는 어렵다. 한편, 고속 신호 라인의 경우 인덕터의 직류 저항(RDC)의 크기 관리도 중요하다. 그러나, 여러 개의 소자를 연결할 경우 그 값이 크게 높아지거나, 직류 저항이 낮은 소자를 선택해야 하지만 찾기도 어렵고 직류 저항이 낮은 소자의 경우 노이즈 제거 효과도 좋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여러 필요 사항들을 만족할 수 있는 노이즈 제거 부품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시파이 필터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180228호를 출원하였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180228호에는 복수의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 내에 여섯개의 코일 패턴이 형성되고 코일 패턴이 두개씩 연결되어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시파이 필터로서의 적층형 소자는 적층형 소자가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와 전자기기의 임피던스가 매칭되면 고속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매칭되지 못할 경우 신호가 손실되어 정상적인 송신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적층형 소자는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신호 입력단의 임피던스에 매칭되도록 설계한다.
그런데, 두개씩의 코일 패턴이 연결되어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를 구성하는 적층형 소자는 한번 설계하면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다른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다른 전자기기에 채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설계를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서 임피던스의 조절이 비교적 용이한 적층형 소자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6206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180228호
본 발명은 세 라인에서 발생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를 제거하는 적층형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임피던스의 조절이 용이한 적층형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복수의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되며 각각 하나 이상의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 및 상기 적층체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외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는 상기 코일 패턴의 수가 나머지와는 다르다.
전체 노이즈 필터부보다 적은 수의 노이즈 필터부가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은 상기 시트의 적층 방향으로 코일 패턴의 최외측에 마련된다.
상기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수, 회전 수 및 선폭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임피던스가 조절된다.
상기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인접한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코일 패턴과의 연결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임피던스가 조절된다.
복수의 코일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코일 패턴의 회전 수, 선폭 및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다.
상기 코일 패턴의 회전 수, 선폭 및 상기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임피던스가 조절된다.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의 중심에 형성된 자심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및 과전압 보호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노이즈 필터부가 형성된 시트는 비자성체 시트이고, 상기 과전압 보호부가 형성된 시트는 자성체 시트이다.
상기 적층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적층체의 표면과는 다른 재질의 표면 개질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적층체의 최하층 및 최상층 시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표면 개질 부재는 적어도 상기 외부 전극의 연장 영역과 상기 적층체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되며 다른 코일 패턴과 연결되지 않고 외부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플로팅 코일 패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 내에 복수의 코일 패턴이 형성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코일 패턴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노이즈 필터부가 적층체 내에 적어도 셋 이상 구현된다. 또한, 적층체 내의 노이즈 필터부의 수보다 적은 수의 노이즈 필터부, 예를 들어 셋 이상의 노이즈 필터부 중에서 둘 이하의 노이즈 필터부는 코일 패턴의 수가 나머지 노이즈 필터부의 코일 패턴의 수보다 많다. 예를 들어, 적층체 내에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가 마련되고, 두개의 노이즈 필터부는 수직 방향으로 두개의 코일 패턴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는 수직 방향으로 세개의 코일 패턴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는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더 구비한다.
이렇게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가 임피던스 개선 코일 패턴을 구비하여 다른 노이즈 필터부에 비해 많은 코일 패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수, 회전 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인접한 다른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임피던스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는 적층체 외부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전극에 의해 세개의 신호 라인에 마련된다. 따라서, 세 신호 라인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와 두 신호 라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시-파이(C-PHY)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코일 패턴들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수, 회전 수, 간격 등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설계 변형만으로 임피던스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전자기기의 다양한 임피던스에 매칭될 수 있는 적층형 소자를 적은 설계 변경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변형 예들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들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들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및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종래 예 및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들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그래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들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그래프.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에 따른 임피던스 그래프.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그에 인접한 코일 패턴의 간격에 따른 임피던스 그래프.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각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표현하였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적어도 일부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복수의 시트(101 내지 110; 100)가 적층된 적층체(1000)와, 적층체(1000) 내에 형성된 복수의 코일 패턴(210 내지 270; 200)을 포함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노이즈 필터부(2100, 2200, 2300; 2000)와, 적층체(1000)의 외부에 마련되어 노이즈 필터부(2000)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3100, 3200; 30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1000)와 외부 전극(3000)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 표면 개질 부재(4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필터부(20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세개 마련되며, 시트(100)의 적층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적층체(1000) 내에 적어도 셋 이상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마련되고, 노이즈 필터부(2000)는 외부 전극(3000)과 연결되어 외부 전극(3000)을 통해 신호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필터부(2000) 중 적어도 하나는 코일 패턴(200)의 연결 수가 나머지와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는 세개의 코일 패턴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 2 및 제 3 노이즈 필터부(2200, 2300)는 두개의 코일 패턴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는 제 1, 제 4 및 제 7 코일 패턴(210, 240, 270)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는 제 2 및 제 5 코일 패턴(220, 250)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는 제 3 및 제 6 코일 패턴(230, 260)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에 어느 하나의 코일 패턴, 예를 들어 제 7 코일 패턴(270)가 더 연결됨으로써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7 코일 패턴(270)은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코일 패턴이다. 그러나, 노이즈 필터부(2000)는 코일 패턴이 다양한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000)의 코일 패턴(200)의 연결 수가 나머지 노이즈 필터부(2000)의 코일 패턴(200)의 연결 수와 다르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200)에 의해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이루어져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로 이루어지고, 전체 노이즈 필터부(2000)의 수보다 적은 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는 코일 패턴(200)의 연결 수가 나머지 노이즈 필터부(2000)의 코일 패턴(200)의 연결 수와 다르다. 이때, 제 7 코일 패턴(270), 즉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6 코일 패턴(26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지만, 제 2 내지 제 6 코일 패턴(220 내지 260) 사이의 어느 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 7 코일 패턴(270)은 제 3 코일 패턴(230)과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적층체
적층체(10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직교하는 일 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및 타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고, 수직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X 방향으로의 길이는 Y 방향으로의 폭과 같거나 다를 수 있고, Y 방향으로의 폭은 Z 방향으로의 높이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및 폭이 같거나 다르고, 길이에 대하여 높이가 다를 수 있는데, 길이, 폭 및 높이의 비는 1∼5:1:0.2∼2일 수 있다. 즉, 폭을 기준으로 길이가 폭보다 1배 내지 5배 정도 클 수 있고, 높이는 폭보다 0.2배 내지 2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X, Y 및 Z 방향의 크기는 하나의 예로서 적층형 소자가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내부 구조, 적층형 소자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적층체(1000)는 복수의 시트(101 내지 110; 100)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는 X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Y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Z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복수의 시트(100)를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100)의 길이 및 폭에 의해 적층체(1000)의 길이 및 폭이 결정되고, 시트(100)의 적층 수에 의해 적층체(1000)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시트(100)는 자성체 시트 또는 비자성체 시트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시트(100)가 모두 자성체 시트이거나 비자성체 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시트(100)는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 시트일 수 있고, 나머지가 비자성체 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이즈 필터부(2000)가 구현된 시트, 즉 제 1 내지 제 8 시트(101 내지 108)는 비자성체 시트일 수 있고, 그 하부 및 상부에 마련된 제 9 및 제 10 시트(109, 110)는 자성체 시트일 수 있다. 여기서, 비자성체 시트는 비유전율이 2∼10일 수 있고, 자성체 시트는 투자율이 2∼1000이거나 비유전율이 2∼100일 수 있다. 한편, 자성체 시트는 예를 들어 NiZnCu 또는 NiZn계 자성체 세라믹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iZnCu계 자성체 시트는 Fe2O3, ZnO, NiO, CuO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Fe2O3, ZnO, NiO 및 CuO가 예를 들어 5:2:2: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비자성체 시트는 예를 들어 저온 동시 소결 세라믹(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LTCC 물질은 Al2O3, SiO2, 유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시트(1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및 폭이 동일한 정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길이 및 폭이 다른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시트(100)는 모두 동일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들에 비해 두껍거나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시트(100)는 예를 들어 1㎛∼40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300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의 두께에 따라 시트(100) 각각의 두께가 1㎛∼40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300㎛, 바람직하게는 5㎛∼100㎛일 수 있다. 시트(100) 각각의 두께에 따라 인접한 코일 패턴(2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코일 패턴(200) 사이의 간격은 시트(100)의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코일 패턴(200) 사이의 간격, 즉 시트(100) 각각의 두께에 따라 차동 임피던스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코일 패턴(200) 사이의 간격이 작을수록, 즉 시트(100) 각각의 두께가 얇을수록 차동 임피던스가 낮아지고, 코일 패턴(200)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즉 시트(100) 각각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차동 임피던스가 증가할 수 있다. 그런데, 적층형 소자의 사이즈에 따라 시트(100)의 두께 및 적층 수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두께가 얇거나 사이즈가 작은 적층형 소자에 적용되는 경우 시트(100)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두께가 두껍거나 사이즈가 큰 적층형 소자에 적용되는 경우 시트(100)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들(100)이 동일한 수로 적층되는 경우 적층형 소자의 사이즈가 작아 높이가 낮을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적층형 소자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물론, 얇은 시트가 큰 사이즈의 적층형 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시트의 적층 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적층체(1000)는 하부 및 상부의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커버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는 최하층 및 최상층에 각각 마련된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층은 상부 또는 하부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고,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별도의 커버층이 마련되지 않고 최하층의 시트, 즉 제 9 시트(109)가 하부 커버층으로 기능하고, 최상층의 시트, 즉 제 10 시트(110)가 상부 커버층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하부 및 상부 커버층으로 기능하는 제 9 및 제 10 시트(109, 110)은 그 사이의 시트들(101 내지 108) 각각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때, 제 9 및 제 10 시트(109, 110), 즉 커버층은 시트들(101 내지 108)과 동일 두께의 시트를 복수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9 및 제 10 시트(109, 110)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0 시트(110)가 제 9 시트(109)보다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제 9 및 제 10 시트(109, 110)는 자성체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둘 이상의 자성체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적층체(1000)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유리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9 시트(109)의 하면 및 제 10 시트(110)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유리질 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2. 노이즈 필터부
노이즈 필터부(2000)는 복수의 시트(100)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코일 패턴(210 내지 270; 200), 적어도 둘 이상의 코일 패턴(200)을 상하 연결하며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10 내지 360; 300)로 이루어진 수직 연결 배선(300a, 300b, 300c), 그리고 코일 패턴(200)으로부터 시트(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되는 인출 전극(410 내지 470; 4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시트(100)의 상부에는 코일 패턴(210 내지 270; 200)이 각각 형성되고, 시트(100)의 적층 방향, 즉 수직 방향의 적어도 둘 이상의 코일 패턴(200)이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10 내지 360: 300), 즉 수직 연결 배선(300a, 300b, 300c)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두개 또는 세개의 코일 패턴(200)이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000)를 각각 형성하고,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2100, 2200, 2300; 2000)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다. 즉, 시트들(100)의 적층 방향으로 적어도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형성된다. 여기서, 노이즈 필터부(2000)는 공통 모드 노이즈를 제거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2000)는 적층체(1000) 외부의 외부 전극(3000)과 연결된다.
제 1 시트(101)에는 제 1 코일 패턴(210) 및 제 1 인출 전극(410)이 형성된다. 제 1 시트(101) 상측에 마련된 제 2 시트(102)에는 제 2 코일 패턴(220),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10) 및 제 2 인출 전극(420)이 형성된다. 제 2 시트(102) 상측에 마련된 제 3 시트(230)에는 제 3 코일 패턴(230),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21, 322; 320) 및 제 3 인출 전극(430)이 형성된다. 제 3 시트(103) 상측에 마련된 제 4 시트(104)에는 제 4 코일 패턴(240),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31, 332, 333; 330) 및 제 4 인출 전극(440)이 형성된다. 제 4 시트(104) 상측에 마련된 제 5 시트(105)에는 제 5 코일 패턴(250),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41, 342, 343; 340) 및 제 5 인출 전극(450)이 형성된다. 제 5 시트(105) 상측에 마련된 제 6 시트(106)에는 제 6 코일 패턴(260),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51, 352; 350) 및 제 6 인출 전극(460)이 형성된다. 제 6 시트(106) 상측에 마련된 제 7 시트(107)에는 제 7 코일 패턴(270),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60) 및 제 7 인출 전극(470)이 형성된다.
제 1 내지 제 7 코일 패턴(210 내지 270; 200) 각각은 제 1 내지 제 7 시트(101 내지 107) 각각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코일 패턴(210)은 제 2 시트(102)의 홀(310)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 2 코일 패턴(220)은 홀(310)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 3 시트(103)의 홀(321)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코일 패턴(230)은 서로 이격된 홀들(321, 322)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 4 시트(104)의 홀(331)과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 4 코일 패턴(240)은 제 2 시트(102)의 홀(310)과 제 3 시트(103)의 홀(322)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홀(333)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5 코일 패턴(250)은 제 4 시트(104)의 홀(332)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홀(342)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 6 코일 패턴(260)은 제 5 시트(105)의 홀(341)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홀(351)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7 코일 패턴(270)은 제 6 시트(106)의 홀(352)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홀(360)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패턴(200)은 소정의 회전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2 내지 20의 회전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 패턴(200)의 회전수는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제 3 및 제 5 코일 패턴(210, 230, 250)이 3 내지 20의 회전수로 형성되고, 제 2, 제 4 및 제 6 코일 패턴(220, 240, 260)이 각각 2.5 내지 18의 회전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제 3 및 제 5 코일 패턴(210, 230, 250)의 회전수가 제 2, 제 4 및 제 6 코일 패턴(220, 240, 260)의 회전수와 같거나 많을 수 있다. 또한, 제 7 코일 패턴(270)은 홀수번째 코일 패턴(210, 230, 250)과 동일 회전 수로 형성될 수도 있고, 짝수번째 코일 패턴(220, 240, 260)과 동일 회전 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 7 코일 패턴(270)은 홀수번째 코일 패턴(210, 230, 250) 및 짝수번째 코일 패턴(220, 240, 260)과는 다른 회전 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 즉 제 7 코일 패턴(270)의 회전 수를 조절함으로써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의 변화 원인은 나머지 코일 패턴, 즉 제 1 내지 제 6 코일 패턴(210 내지 260)과 병렬로 배치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 즉 제 7 코일 패턴(270) 사이의 미스매치 때문이다. 따라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를 줄일수록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즉,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나머지 코일 패턴의 미스매치 구간이 길어질수록 임피던스가 급격히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가 줄어들수록 임피던스가 급격히 변하게 된다. 이때,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가 변화되는 경우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이 없는 경우와 나머지 코일 패턴과 동일한 회전 수의 임피던스 코일 패턴이 있는 경우의 중간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다. 또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 즉 제 7 코일 패턴(270)과 그 하측에 인접한 코일 패턴, 즉 제 6 코일 패턴(26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7 코일 패턴(210 내지 270)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경우, 즉 제 1 내지 제 7 시트(101 내지 107)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 제 6 코일 패턴(260)과 제 7 코일 패턴(270)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즉 제 7 시트(107)의 두께가 제 1 내지 제 6 시트(101 내지 106)의 두께보다 두꺼우면 코일 패턴 사이의 커플링이 줄어들어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이와 반대로, 제 6 코일 패턴(260)과 제 7 코일 패턴(270) 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즉 제 7 시트(107)의 두께가 제 1 내지 제 6 시트(101 내지 106)의 두께보다 얇으면 코일 패턴 사이의 커플링이 커져 임피던스가 감소한다.
또한, 코일 패턴(200)은 소정의 선폭 및 간격을 가지며, 반시계 및 시계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회전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 패턴(200)의 선폭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간격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즉, 코일 패턴(200)의 회전수에 따라 동일 코일 패턴(200)의 선 간격은 다를 수 있다. 또한, 코일 패턴(200)은 5㎛∼50㎛의 선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 패턴(200)의 선폭 및 간격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코일 패턴(200)의 선폭이 좁을수록 임피던스가 증가하고 선폭이 넓을수록 임피던스가 감소한다. 또한, 코일 패턴(200)의 간격이 좁을수록 임피던스가 감소하고 간격이 넓을수록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한편, 코일 패턴(200)은 회전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 2 및 제 3 코일 패턴(210, 220, 23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4, 제 5, 제 6 및 제 7 코일 패턴(240, 250, 260, 27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코일 패턴(200)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200)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한편, 코일 패턴(200)은 나선형 이외에 직선, 곡선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부(2000)는 복수의 도전 패턴이 상하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도전 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나선형 형태를 가지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나선형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300)의 내측에 자심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100)의 중앙부에 자성체 물질이 매립되어 자심이 형성되고 자심을 둘러싸도록 코일 패턴(30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도전성 물질이 매립된 홀(300)은 자심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전성 물질이 매립된 홀(300)은 자심의 외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코일 패턴(200)이 자심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코일 패턴(200)은 시트(100)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인출 전극(410 내지 470; 4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코일 패턴(210)과 연결되는 제 1 인출 전극(410)은 제 1 시트(101)의 일 장변의 소정 영역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2 코일 패턴(220)과 연결되는 제 2 인출 전극(420)은 제 2 시트(102)의 일 장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제 1 인출 전극(410)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 3 코일 패턴(230)과 연결되는 제 3 인출 전극(430)은 제 3 시트(103)의 일 장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10, 420)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 4 코일 패턴(240)과 연결되는 제 4 인출 전극(440)은 제 4 시트(104)의 타 장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제 1 인출 전극(410)과 대응되는 영역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5 코일 패턴(250)과 연결되는 제 5 인출 전극(450)은 제 5 시트(105)의 타 장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제 4 인출 전극(440)과 이격되고 제 2 인출 전극(420)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 6 코일 패턴(260)과 연결되는 제 6 인출 전극(460)은 제 6 시트(106)의 타 장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제 4 및 제 5 인출 전극(440, 450)과 이격되고 제 3 인출 전극(430)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 7 코일 패턴(270)과 연결되는 제 7 인출 전극(470)은 제 7 시트(106)의 일 장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제 1 인출 전극(410)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인출 전극(400)은 코일 패턴(20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외부 전극(3000)의 폭보다 좁거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출 전극(400)의 폭이 코일 패턴(2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외부 전극(300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출 전극(400)과 외부 전극(3000)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4 및 제 7 코일 패턴(210, 240, 270)이 수직 연결 배선(300a)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를 이룬다. 즉, 제 7 코일 패턴(270)이 제 7 시트(107)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60, 제 6 시트(106)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532) 및 제 5 시트(105)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43)을 통해 제 4 코일 패턴(240)과 연결되고, 제 4 코일 패턴(240)이 제 4 시트(104)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33), 제 3 시트(103)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22), 제 2 시트(102)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10)을 통해 제 1 코일 패턴(210)과 연결된다. 제 2 및 제 5 코일 패턴(220, 250)이 수직 연결 배선(300b)을 통해 연결되어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를 이룬다. 즉, 제 5 코일 패턴(250)이 제 5 시트(105)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42), 제 4 시트(104)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32), 제 3 시트(103)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21)을 통해 제 2 코일 패턴(22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 3 및 제 6 코일 패턴(230, 260)이 수직 연결 배선(300c)를 통해 연결되어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를 이룬다. 즉, 제 6 코일 패턴(260)이 제 6 시트(105)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50), 제 5 시트(104)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41), 제 4 시트(104)에 형성된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331)을 통해 제 3 코일 패턴(230)과 연결된다. 그러나, 서로 이격된 코일 패턴의 연결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 1 코일 패턴(210)과 연결된 제 1 인출 전극(410)은 제 1-1 외부 전극(3110)과 연결되고 제 4 코일 패턴(240)과 연결된 제 4 인출 전극(440)은 제 2-1 외부 전극(3210)과 연결된다. 또한, 제 2 코일 패턴(220)과 연결된 제 2 인출 전극(420)은 제 1-2 외부 전극(3120)과 연결되고 제 5 코일 패턴(250)과 연결된 제 4 인출 전극(450)은 제 2-2 외부 전극(3220)과 연결된다. 또한, 제 3 코일 패턴(230)과 연결된 제 3 인출 전극(430)은 제 1-3 외부 전극(3130)과 연결되고 제 6 코일 패턴(260)과 연결된 제 6 인출 전극(460)은 제 2-3 외부 전극(323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 7 코일 패턴(270)과 연결된 제 7 인출 전극(470)은 제 1 인출 전극(410)과 함께 제 1-1 외부 전극(3110)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는 제 1-1 및 제 2-1 외부 전극(3110, 3210)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는 제 1-2 및 제 2-2 외부 전극(3120, 3220) 사이에 연결되며, 제 3 노이즈 필터(2300)은 제 1-3 및 제 2-3 외부 전극(3130, 3230) 사이에 연결된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노이즈 필터부(2100, 2200, 2300)를 각각 이루는 코일 패턴(200)의 회전 수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각각 다를 수도 있다. 노이즈 필터부(2000)를 이루는 코일 패턴(200)의 회전수가 각각 다름에 따라 하나의 적층형 소자가 적어도 둘 이상의 임피던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시트(100) 상에 각각 형성되는 코일 패턴(200) 및 인출 전극(400)은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패턴(200) 및 인출 전극(400)은 도금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인쇄, 증착 공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패턴(200) 및 인출 전극(400)은 구리 도금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인출 전극(400)과 연결되는 외부 전극(3000)의 적어도 일부는 구리 도금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출 전극(400)과, 이에 접촉되는 외부 전극(3000)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 물질 및 동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형 소자는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000)의 코일 패턴(200)의 연결 수가 나머지 노이즈 필터부(2000)의 코일 패턴(200)의 연결 수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가 세개의 코일 패턴(210, 240, 270)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 2 및 제 3 노이즈 필터부(2200, 2300)가 두개의 코일 패턴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의 코일 패턴의 연결 수가 제 2 및 제 3 노이즈 필터부(2200, 2300)의 코일 패턴의 연결 수보다 많음으로써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100)가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더 구비함으로써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이 없는 구조에 비해 임피던스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노이즈 필터부(2000)의 연결 코일 패턴(200)의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3. 외부 전극
외부 전극(3000)은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시트들(100)의 적층 방향을 수직 방향(즉 Z 방향)이라 할 때 적층체(1000)의 수직 방향의 대향되는 수평 방향(즉 Y 방향)의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외부 전극(30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극(3000)은 두 측면에 세개씩 마련될 수 있다. 즉,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2100, 2200, 2300)에 대하여 두 측면에 각각 두개의 외부 전극(30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층체(1000)이 일 측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3110, 3120, 3130)을 제 1 외부 전극(3100)이라 하고, 타 측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3210, 3220, 3230)을 제 2 외부 전극(3200)이라 한다. 이러한 외부 전극(3000)은 적층체(1000) 내부의 제 1 내지 제 3 노이즈 필터(2100, 2200, 2300)와 연결되며, 적층체(1000) 외부에서 일 단자 및 타 단자, 예를 들어 신호 입력 단자 및 신호 출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은 적층체(10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은 적층체(1000)의 Z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두면, 즉 상부면 및 하부면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3000)은 적층체(1000)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면 및 하부면에 연장 형성되어 예컨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외부 전극(3000)은 적층체(1000)의 측면과 본 발명의 적층형 소자가 실장되는 면, 예를 들어 하부면에 형성되어 예컨데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외부 전극(3000)은 적층체(1000)의 상부면에는 연장 형성되지 않고 적층체(1000)의 측면과 하부면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극(3000)은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전극(3000)은 Ag 등의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층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3000)은 구리층, Ni 도금층 및 Sn 또는 Sn/Ag 도금층이 적층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외부 전극(3000)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층체(1000)의 표면에 형성되어 인출 전극(40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은 인출 전극(400)과 동일 물질 및 동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3000)의 적층체(1000) 표면과 접촉되는 제 1 층은 코일 패턴(200) 및 인출 전극(400)과 동일하게 구리 도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전극(3000)의 제 1 층이 코일 패턴(200) 및 인출 전극(400)과 동일 물질 및 동일 방법, 예를 들어 구리 도금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 전극(3000)과 인출 전극(4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전극(3000)은 예를 들어 0.5%∼20%의 Bi2O3 또는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성분계의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금속 분말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글래스 프릿과 금속 분말의 혼합물은 페이스트 형태로 제조되어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되는 두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전극(3000)에 글래스 프릿이 포함됨으로써 외부 전극(3000) 적층체(10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출 전극(400)과 외부 전극(3000)의 콘택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글래스가 포함된 도전성 페이스트가 도포된 후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되어 외부 전극(300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글래스가 포함된 금속층과,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되어 외부 전극(300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3000)은 글래스 프릿과 Ag 및 Cu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층을 형성한 후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을 통하여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Sn 도금층은 Ni 도금층과 같거나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극(3000)은 2㎛∼1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Ni 도금층이 1㎛∼10㎛의 두께로 형성되고, Sn 또는 Sn/Ag 도금층은 2㎛∼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4. 표면 개질 부재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적층체(100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적층체(100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적층체(1000)의 외부 전극(3000)과 접촉되는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표면 개질 부재(4000)가 적층체(1000) 표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적층체(1000)와 외부 전극(30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외부 전극(3000)의 연장 영역에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연장 형성된 외부 전극(3000)의 일 영역과 적층체(1000) 사이에 표면 개질 부재(40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적어도 일부에 유리질층이 형성된 적층체(1000)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유리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적층체(1000)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표면 개질 부재(4000)는 그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 전극(3000)보다 같거나 다른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체(10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연장 형성된 외부 전극(3000)의 일부의 면적보다 50% 내지 150%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외부 전극(3000)의 연장 영역의 크기보다 작거나 큰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적층체(1000)의 측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3000)과의 사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유리(glass)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소정 온도, 예를 들어 950℃ 이하에서 소성 가능한 무(無)붕규산 유리(non-borosilicate glass)(SiO2-CaO-ZnO-MgO계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자성체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4000)가 형성될 영역이 자성체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면 표면 개질 부재(4000)와 자성체 시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면 개질 부재(4000) 내에 자성체 물질이 일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 물질은 예를 들어 NiZnCu계 자성체 분말을 포함하며, 유리 물질 100wt%에 대하여 자성체 물질이 예를 들어 1∼15wt%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적어도 일부가 적층체(100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리 물질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적층체(1000) 표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크기로 불규칙적으로 분포될 수도 있다. 물론,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적층체(1000)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막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체(1000)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유리 물질이 형성되어 볼록부가 형성되고 유리 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패여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유리 물질은 적층체(1000)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적층체(1000) 표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적어도 일부가 적층체(1000)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적층체(1000)의 표면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전극(3000) 형성 이전에 적층체(1000)의 일부 영역에 유리 물질을 분포시켜 표면 개질 부재(4000)를 형성함으로써 적층체(1000)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표면의 저항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 전극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표면 개질 부재(4000)를 적층체(1000) 표면의 소정 영역에 형성하기 위해 유리 물질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소정 시트의 소정 영역에 인쇄하거나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8 시트(108) 하면의 여섯 영역과 제 9 시트(109) 상면의 여섯 영역에 유리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경화시켜 표면 개질 부재(40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리 페이스트는 적층형 소자의 사이즈로 절단하기 이전의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정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즉, 세라믹 그린 시트의 복수의 영역에 유리질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유리질 페이스트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 적층형 소자 단위의 절단선으로 그린 시트를 절단하고, 이를 노이즈 필터부 등이 형성된 시트와 적층하여 적층형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표면 개질 부재(4000)가 적층체(10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므로 유리질 페이스트가 도포된 영역을 중심으로 적층형 소자 단위로 절단될 수 있다.
한편,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산화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4000)는 유리질 물질 및 산화물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자성체 물질을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표면 개질 부재(4000)는 결정 상태 또는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이 적층체(1000)의 표면에 분산되어 분포될 수 있고, 표면에 분포된 산화물은 적어도 일부가 용융될 수 있다. 이때, 산화물의 경우에도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면 개질 부재(4000)가 산화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산화물이 서로 이격되어 섬 형태로 분포될 수 있고, 적어도 일 영역에는 막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입자 상태 또는 용융 상태의 산화물은 예를 들어 Bi2O3, BO2, B2O3, ZnO, Co3O4, SiO2, Al2O3, MnO, H2BO3, H2BO3, Ca(CO3)2, Ca(NO3)2, CaC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복수의 시트(100)가 적층된 적층체(1000) 내에 복수의 코일 패턴(200)이 형성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코일 패턴(200)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000)를 형성하며, 이러한 노이즈 필터부(2000)가 적층체(1000) 내에 적어도 셋 이상 구현된다. 또한,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는 적층체(1000) 외부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전극(3000)과 연결되어 신호 라인 사이에 마련된다. 따라서, 세 신호 라인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와 두 신호 라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시-파이(C-PHY)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일 패턴(200)의 연결 수가 나머지 노이즈 필터부(2000)의 코일 패턴(200)의 연결 수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가 세개의 코일 패턴(210, 240, 270)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 2 및 제 3 노이즈 필터부(2200, 2300)가 두개의 코일 패턴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의 코일 패턴의 연결 수가 제 2 및 제 3 노이즈 필터부(2200, 2300)의 코일 패턴의 연결 수보다 많음으로써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100)가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더 구비함으로써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이 없는 구조에 비해 임피던스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된 코일 패턴의 연결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 방식의 변형 예를 도 5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변형 예의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단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및 제 5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및 제 4 코일 패턴(230, 240)이 수직 연결 배선(300a)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를 이룰 수 있고, 제 2, 제 5 및 제 7 코일 패턴(220, 250, 270)이 수직 연결 배선(300b)을 통해 연결되어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를 이룰 수 있으며, 제 1 및 제 6 코일 패턴(210, 260)이 수직 연결 배선(300c)를 통해 연결되어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및 제 4 코일 패턴(230, 240)이 수직 연결 배선(300a)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를 이룰 수 있고, 제 2 및 제 5 코일 패턴(220, 250)이 수직 연결 배선(300b)을 통해 연결되어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를 이룰 수 있으며, 제 1, 제 6 및 제 7 코일 패턴(210, 260, 270)이 수직 연결 배선(300c)를 통해 연결되어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를 이룰 수 있다.
제 2 실시 예로서, 두개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각각 세개의 코일 패턴(200)과 연결되고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두개의 코일 패턴(2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두개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각각 구비하여 복수의 코일 패턴(200)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8 코일 패턴(210 내지 280; 200)이 적층 형성되고, 제 2, 제 5 및 제 8 코일 패턴(220, 250, 280)이 수직 연결 배선(300a)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를 이룰 수 있고, 제 3 및 제 6 코일 패턴(230, 260)이 수직 연결 배선(300b)을 통해 연결되어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를 이룰 수 있으며, 제 1, 제 4 및 제 7 코일 패턴(210, 240, 270)이 수직 연결 배선(300c)을 통해 연결되어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최외층에 형성된 코일 패턴, 즉 제 1 및 제 8 코일 패턴(210, 280)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으로서 제 1 및 제 3 노이즈 필터부(2100, 2300)를 각각 이룬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8 코일 패턴(210 내지 280; 200)이 적층 형성되고, 제 1, 제 4 및 제 6 코일 패턴(210, 240, 260)이 수직 연결 배선(300a)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를 이룰 수 있고, 제 2 및 제 7 코일 패턴(220, 270)이 수직 연결 배선(300b)을 통해 연결되어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를 이룰 수 있으며, 제 3, 제 5 및 제 8 코일 패턴(230, 250, 280)이 수직 연결 배선(300c)을 통해 연결되어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최외층에 형성된 코일 패턴, 즉 제 1 및 제 8 코일 패턴(210, 280)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으로서 제 1 및 제 3 노이즈 필터부(2100, 2300)를 각각 이룬다.
제 3 실시 예로서,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네개의 코일 패턴(200)과 연결되고 두개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각각 두개의 코일 패턴(2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두개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포함하여 복수의 코일 패턴(200)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8 코일 패턴(210 내지 280; 200)이 적층 형성되고, 제 2 및 제 6 코일 패턴(220, 260)이 수직 연결 배선(300a)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를 이룰 수 있고, 제 3 및 제 7 코일 패턴(230, 270)이 수직 연결 배선(300b)을 통해 연결되어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를 이룰 수 있으며, 제 1, 제 4, 제 5 및 제 8 코일 패턴(210, 240, 250, 280)이 수직 연결 배선(300c)을 통해 연결되어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최외층에 형성된 코일 패턴, 즉 제 1 및 제 8 코일 패턴(210, 280)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으로서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를 이룬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8 코일 패턴(210 내지 280; 200)이 적층 형성되고, 제 1, 제 4, 제 5 및 제 8 코일 패턴(210, 240, 250, 280)이 수직 연결 배선(300a)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를 이룰 수 있고, 제 2 및 제 6 코일 패턴(220, 260)이 수직 연결 배선(300b)을 통해 연결되어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를 이룰 수 있으며, 제 3 및 제 7 코일 패턴(230, 270)이 수직 연결 배선(300c)을 통해 연결되어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최외층에 형성된 코일 패턴, 즉 제 1 및 제 8 코일 패턴(210, 280)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으로서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를 이룬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노이즈 필터부(2100, 2200, 2300)를 각각 이루는 하측의 코일 패턴들 사이의 간격과 상측의 코일 패턴들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 하측 코일 패턴들과 상측 코일 패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1 내지 제 3 코일 패턴(210, 220, 230) 사이의 간격과 제 4 내지 제 7 코일 패턴(240, 250, 260, 270)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 제 3 코일 패턴(230)과 제 4 코일 패턴(24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하측 코일 패턴(210, 220, 230)과 상측 코일 패턴(240, 250, 260, 270)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어 10㎛∼300㎛일 수 있으며, 나머지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코일 패턴과 상측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이 나머지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이때, 하측 코일 패턴과 상측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은 시트의 삽입 수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즉, 동일 두께의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코일 패턴들 사이에 하나의 시트가 마련되고, 제 3 및 제 4 코일 패턴(230, 240) 사이에 둘 이상의 시트(105, 10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하부 코일 패턴들과 상부 코일 패턴들 사이에 둘 이상의 시트가 마련됨으로써 비아 충진 도체의 콘택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및 제 4 코일 패턴(230, 240) 사이를 두껍게 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나머지 시트들보다 두꺼운 시트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측 코일 패턴과 상측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 즉 제 3 코일 패턴(230)과 제 4 코일 패턴(240)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코일 패턴 군(群), 즉 하측 코일 패턴들과 상측 코일 패턴들 사이의 간섭이 약해지면서 보다 안정적인 임피던스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 3 코일 패턴(230)과 제 4 코일 패턴(240)의 간격이 너무 멀어지면 도전성 물질이 매립된 홀, 즉 수직 연결 배선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임피던스가 불안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임피던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코일 패턴 군(群) 사이의 간격은 10㎛∼300㎛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가 다른 노이즈 필터부와 다른 수의 코일 패턴을 구비한다. 즉,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가 나머지 노이즈 필터부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은 수직 연결 배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패턴과 연결됨으로써 나머지 노이즈 필터부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을 더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가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이 수직 연결 배선을 통해 다른 코일 패턴과 연결되지 않고 외부 전극과도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적층체 내에 플로팅 상태의 코일 패턴(280)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플로팅된 코일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소성 공정 시 열을 고르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과 연결되는 코일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 예를 들어 최상부 또는 최하부의 코일 패턴의 외측에 플로팅된 코일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적층체에 열을 인가하여 소성 공정을 실시할 때 열이 적층체에 고르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자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균일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3은 종래 예에 다른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이 없는 종래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서 제 7 코일 패턴(270)이 없고 제 1 내지 제 6 코일 패턴(210 내지 260)으로 이루어져 제 1 및 제 4 코일 패턴(210, 240)이 연결되어 제 1 노이즈 필터부(2100)를 이루고, 제 2 및 제 5 코일 패턴(220, 250)이 연결되어 제 2 노이즈 필터부(2200)를 이루며, 제 3 및 제 6 코일 패턴(230, 260)이 연결되어 제 3 노이즈 필터부(2300)를 이룬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다. 이에 반하여, 도 14는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이 마련된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구비하지 않는 종래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차동 임피던스(differential impedence)의 변동폭이 크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차동 임피던스의 변동폭이 종래 예보다 작다. 즉, 종래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100Ω의 원하는 임피던스를 기준으로 신호의 이동 시간에 따라 200Ω까지 변화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100Ω을 기준으로 신호의 이동 시간에 따라 140Ω까지 변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종래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에 원하는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들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15 및 도 16는 각각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고,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다. 즉, 도 15 및 도 16은 두개의 노이즈 필터부가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각각 구비하는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고, 도 17 및 도 18은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가 두개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노이즈 필터부가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각각 구비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가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임피던스의 변화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두개의 노이즈 필터부가 각각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경우 임피던스가 100Ω으로 거의 유지되지만, 도 14에 도시했던 바와 같이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가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경우 임피던스가 100Ω 내지 140Ω으로 변화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연결을 조절하는 경우 임피던스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가 두개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경우 도 14에 비해 임피던스의 변화를 더 감소시킬 수 있고, 도 15 및 도 16에 비해서도 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연결을 조절하는 경우 임피던스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연결되는 노이즈 필터부의 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연결 관계 등에 따라 다양한 임피던스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변경을 통해 다양한 임피던스의 구현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임피던스를 갖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적층형 소자는 적은 설계 변경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을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하였다. 도 19는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나머지 코일 패턴이 동일한 회전 수로 형성될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고, 도 20 및 도 21은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가 나머지 코일 패턴의 회전 수보다 적을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다. 여기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은 회전 수를 각각 5회, 3회 및 2회로 하였으며, 나머지 코일 패턴의 회전 수를 5회로 하였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가 나머지 코일 패턴의 회전 수와 동일한 경우에 비해,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코일 패턴의 회전 수가 줄어들수록 임피던스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임피턴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를 3회로 할 경우 5회에 비해 임피던스가 미세하게 변화하지만, 회전 수를 2회로 할 경우 임피던스가 크게 변화하게 된다.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의 변화 원인은 나머지 코일 패턴과 병렬로 배치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 사이의 미스매치 때문이다. 따라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를 줄일수록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즉,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나머지 코일 패턴의 미스매치 구간이 길어질수록, 즉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가 줄어들수록 임피던스가 급격히 변하게 된다.
또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그에 인접한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적층형 소자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그에 인접한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를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하였다. 도 22는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나머지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고, 도 23은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그에 인접한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이 나머지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보다 1/2배로 좁은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며, 도 24는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그에 인접한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이 나머지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보다 2배 넓을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 그래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나머지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경우에 비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코일 패턴과 그에 인접한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코일 패턴 사이의 커플링이 커져 임피던스가 감소한다. 즉, 임피던스의 변화가 적다. 그러나,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그에 인접한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코일 패턴 사이의 커플링이 줄어들어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즉, 임피던스의 변화가 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형 소자는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회전 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인접한 코일 패턴의 간격 등에 따라 임피던스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변경을 통해 다양한 임피던스의 구현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임피던스를 갖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적층형 소자는 적은 설계 변경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6은 회로도이다. 또한,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의 적어도 일 영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는 적층형 소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가 마련될 수 있는데,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2000)에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에 각각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복수의 시트(100)가 적층된 적층체(1000)와, 적층체(1000) 내에 마련되며 복수의 코일 패턴(200)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노이즈 필터부(2100, 2200, 2300; 2000)와,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노이즈 필터부(2000)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3100, 3200; 3000)과, 적층체(1000) 내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극(510, 520; 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270)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적층체(1000) 내에 적어도 두개의 내부 전극(510, 520)이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마련되어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7 시트(107)와 제 8 시트(108) 사이에 두개의 시트(111, 112)가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시트(111, 112) 상에 소정 형상의 내부 전극(510, 520)이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캐패시터가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510, 520)과 그 사이에 형성된 제 12 시트(112)에 의해 캐패시터가 형성된다. 여기서, 적어도 둘 이상의 내부 전극(510, 520)은 적층체(1000)의 대향되는 두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부 전극(510)은 제 1-3 외부 전극(3130)과 연결되고 제 2 내부 전극(520)은 제 2-2 외부 전극(32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극(3000)의 적어도 하나는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3 외부 전극(3130)이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510, 520)의 적어도 하나가 접지 단자와 연결되기 위해 적층체(1000) 외부에 제 3 외부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510, 520)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과 연결되지 않고 제 3 외부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3 외부 전극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이 형성되지 않은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510, 520)의 어느 하나가 제 3 외부 전극을 통해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캐패시터는 코일 패턴(20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3 코일 패턴(230)과 제 4 코일 패턴(240) 사이에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 제 3 및 제 4 코일 패턴(230, 240)이 각각 형성된 제 3 및 제 4 시트(130, 1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가 더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전극이 형성되어 캐패시터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및 제 4 시트(130, 140) 사이에 내부 전극(500)이 각각 형성된 시트(111, 112)가 마련되어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내부 전극이 형성된 하나의 시트가 코일 패턴(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시트가 더 마련되고 내부 전극이 하나 형성되는 경우 내부 전극과 그 상부의 코일 패턴, 그리고 내부 전극과 그 하부의 코일 패턴 사이에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전극과 시트를 사이에 두고 인접한 코일 패턴 사이에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코일 패턴(200) 사이의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에 적어도 둘 이상의 내부 전극(500)이 각각 형성되어 적층체(1000) 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전극(5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코일 패턴(20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내부 전극(500)이 형성된 시트에도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이 형성되어야 하고, 도전 물질이 매립된 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부 전극(50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층체(1000) 내에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가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노이즈 필터에 각각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코일 패턴(200)의 회전수, 캐패시터의 내부 전극(500)의 면적, 그리고 코일 패턴(200) 사이의 간격, 즉 시트(102 내지 107)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인덕턴스 및 캐패시턴스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억제할 수 있는 주파수의 노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102 내지 107)의 두께를 줄이면 낮은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고, 두께를 증가시키면 높은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2000)와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적층형 소자, 즉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의 기능을 채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이용되어 전자기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와 ESD 등의 과전압으로부터 전자기기 등을 보호하기 위한 과전압 보호부가 결합된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셋 이상의 노이즈 필터(2000)와 과전압 보호부가 결합되어 적층형 소자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를 도 28 및 도 29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의 사시도이고, 도 29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복수의 코일 패턴(200)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2100, 2200, 2300; 2000)와,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적어도 세개의 노이즈 필터부(2000)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과, 적층체(1000) 내에 마련된 과전압 보호부(5000)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과 이격되어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형성되며 과전압 보호부(5000)와 연결되는 제 3 외부 전극(3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외부 전극(3300)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이 형성되지 않은 적층체(10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이 적층체(1000)의 Y 방향으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형성되고, 제 3 외부 전극(3300)은 적층체(1000)의 X 방향으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각각 복수의 코일 패턴(200)을 포함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노이즈 필터부(2000)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과 연결되고, 적층체(1000) 내부에서 노이즈 필터부(2000)와 이격되어 과전압 보호부(5000)가 마련되어 제 3 외부 전극(3300)과 연결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도 적용될 수 있다.
과전압 보호부(5000)는 인출 전극(471 내지 476, 480) 및 홀(361 내지 366)이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시트(112, 113)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시트들(112, 113)은 제 1 시트(101)와 제 9 시트(109), 즉 제 1 시트(101)와 하부 커버층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시트들(112, 113)은 제 7 시트(107)와 제 8 시트(108)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시트들(112, 113)은 노이즈 필터부(2000)를 이루는 시트들(100)과 동일 두께 및 동일 형상을 갖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시트들(112, 113)은 비자성체 시트 또는 자성체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이즈 필터부(2000)를 이루는 시트들(101 내지 108)은 비자성체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 및 상부 커버층으로 이용되는 제 9 및 제 10 시트(109, 110)와 과전압 보호부(5000)가 구성되는 시트들(112, 113)은 자성체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113)의 상면에는 복수의 인출 전극(481 내지 486; 480)이 형성된다. 복수의 인출 전극(480)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과 연결되는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의 인출 전극(410 내지 470)과 각각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 전극(481)은 제 1-1 외부 전극(3110)과 접속되고, 인출 전극(482)은 제 1-2 외부 전극(3120)과 접속되며, 인출 전극(483)은 제 1-3 외부 전극(3130)과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인출 전극(484)은 제 2-1 외부 전극(3210)과 접속되고, 인출 전극(485)은 제 2-2 외부 전극(3220)과 접속되며, 인출 전극(486)은 제 2-3 외부 전극(3230)과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시트(113) 상에는 복수의 홀(371 내지 376)이 형성되는데, 복수의 홀(371 내지 376)은 복수의 인출 전극(481 내지 486)의 일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371 내지 376)은 각각 과전압 보호 물질에 의해 매립된다. 과전압 보호 물질은 PVA(Polyvinyl Alcohol) 또는 PVB(Polyvinyl Butyral) 등의 유기물에 Ru, Pt, Pd, Ag, Au, Ni, Cr, W, Fe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을 혼합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과전압 보호 물질은 상기 혼합 물질에 ZnO 등의 바리스터 물질 또는 Al2O3 등의 절연성 세라믹 물질을 더 혼합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물론, 과전압 보호 물질은 상기 물질 이외에 다양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압 보호 물질은 다공성의 절연 물질 및 공극(void)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다공성의 절연 물질이 홀에 매립 또는 도포될 수도 있고, 홀 내에 공극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공성의 절연 물질과 도전 물질의 혼합 물질이 홀에 매립 또는 도포될 수도 있다. 또한, 다공성의 절연 물질, 도전 물질 및 공극이 홀 내에서 층을 이루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전층 사이에 다공성의 절연층이 형성되며, 절연층 사이에 공극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공극은 절연층의 복수의 기공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공성의 절연 물질은 50∼50000 정도의 유전율을 갖는 강유전체 세라믹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성 세라믹은 MLCC 등의 유전체 재료 분말, ZrO, ZnO, BaTiO3, Nd2O5, BaCO3, TiO2, Nd, Bi, Zn, Al2O3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의 절연 물질은 1㎚∼5㎛ 정도 크기의 기공이 복수 형성되어 30%∼80%의 기공률로 형성된 다공성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공 사이의 최단 거리는 1㎚∼5㎛ 정도일 수 있다. 또한, 과전압 보호 물질로 이용되는 도전 물질은 도전성 세라믹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도전성 세라믹은 La, Ni, Co, Cu, Zn, Ru, Bi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홀(361 내지 366) 내부가 비어 빈 공간을 유지하고 빈 공간이 과전압 보호 부재로 이용될 수도 있다.
시트(112)는 시트(113)의 하측에 마련되며, 그 상부에는 인출 전극(490)이 형성된다. 인출 전극(490)은 시트(112)의 일 변으로부터 이와 대향되는 타 변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출 전극(490)은 시트(113) 상에 형성된 인출 전극들(481 내지 486)이 노출되는 변과 직교하는 변에 각각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인출 전극(490)은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형성된 제 3 외부 전극(3310, 3320; 3300)과 연결된다. 또한, 인출 전극(490)의 소정 영역은 시트(113)의 홀들(371 내지 376)과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홀들(371 내지 376)과 연결되는 부분은 다른 영역에 비해 폭이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113) 상에는 시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미도시된 시트는 노이즈 필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5000)을 분리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들 사이의 간섭을 억제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미도시된 시트는 시트들(112, 113)과 동일 두께를 갖는 복수의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5000)가 복합된 적층형 소자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신호 입력 단자와 시스템 사이에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3100, 3200)이 접속되고, 접지 단자에 제 3 외부 전극(3300)이 접속되어 공통 모드 노이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입출력 단자로 유입되는 정전기 등의 고전압을 접지 단자로 흘려줄 수 있다. 즉, 과전압 보호부(5000)가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서 접지 단자와 연결되어 적층형 소자의 양단 사이에 원하지 않는 소정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과전압 보호 물질의 전도성 입자 사이에 방전이 일어나게 되어 접지 단자로 전류를 흘려주고, 해당 적층형 소자의 양단 사이의 전압 차이를 줄이게 된다. 예를 들어, 과전압 보호부(5000)는 홀들(371 내지 376) 내에 매립된 과전압 보호 물질이 전도성 물질과 다공성의 절연성 물질이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절연성 물질 사이에 전도성 입자가 존재하게 되며, 인출 전극(481 내지 486)에 소정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절연 상태를 유지하고, 인출 전극(481 내지 486)에 소정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도성 입자 사이에 방전이 일어나게 되어 해당 인출 전극(481 내지 486) 사이의 전압 차이를 줄이게 된다. 이때, 적층형 소자의 양단은 도통 상태가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입력 신호는 왜곡 없이 그대로 입출력 단자에 전달된다. 즉, 적층형 소자는 정전기 발생시에도 해당 정전기는 해당 적층형 소자를 통하여 접지로 빠져나가게 되어 회로를 보호하는 동시에 시스템이 주고받는 신호는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 적층체 2000 : 노이즈 필터부
3000 : 외부 전극 100 : 시트
200 : 코일 패턴 300 : 홀
400 : 인출 전극

Claims (13)

  1. 복수의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되며 각각 하나 이상의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 및
    상기 적층체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외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부는 상기 코일 패턴의 수가 나머지와는 다른 적층형 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체 노이즈 필터부보다 적은 수의 노이즈 필터부가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을 구비하는 적층형 소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은 상기 시트의 적층 방향으로 코일 패턴의 최외측에 마련된 적층형 소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의 수, 회전 수 및 선폭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임피던스가 조절되는 적층형 소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인접한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임피던스 조절 코일 패턴과 코일 패턴과의 연결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임피던스가 조절되는 적층형 소자.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코일 패턴의 회전 수, 선폭 및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적층형 소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의 회전 수, 선폭 및 상기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임피던스가 조절되는 적층형 소자.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의 중심에 형성된 자심을 더 포함하는 적층형 소자.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및 과전압 보호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소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부가 형성된 시트는 비자성체 시트이고, 상기 과전압 보호부가 형성된 시트는 자성체 시트인 적층형 소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적층체의 표면과는 다른 재질의 표면 개질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소자.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적층체의 최하층 및 최상층 시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표면 개질 부재는 적어도 상기 외부 전극의 연장 영역과 상기 적층체 사이에 마련된 적층형 소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되며 다른 코일 패턴과 연결되지 않고 외부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플로팅 코일 패턴을 더 포함하는 적층형 소자.
KR1020180067184A 2018-06-12 2018-06-12 적층형 소자 KR10208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84A KR102084066B1 (ko) 2018-06-12 2018-06-12 적층형 소자
PCT/KR2019/006286 WO2019240402A1 (ko) 2018-06-12 2019-05-24 적층형 소자
TW108118012A TWI693614B (zh) 2018-06-12 2019-05-24 堆疊型元件
US16/973,031 US20210272750A1 (en) 2018-06-12 2019-05-24 Laminated device
CN201910500060.2A CN110601671B (zh) 2018-06-12 2019-06-11 层压型元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84A KR102084066B1 (ko) 2018-06-12 2018-06-12 적층형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76A true KR20190140576A (ko) 2019-12-20
KR102084066B1 KR102084066B1 (ko) 2020-03-04

Family

ID=6884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184A KR102084066B1 (ko) 2018-06-12 2018-06-12 적층형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72750A1 (ko)
KR (1) KR102084066B1 (ko)
CN (1) CN110601671B (ko)
TW (1) TWI693614B (ko)
WO (1) WO201924040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327B1 (ko) * 2020-02-10 2021-03-12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WO2023014194A1 (ko) 2021-08-06 2023-02-09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KR20240001636A (ko) 2022-06-27 2024-01-03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전자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6074A (ja) * 2018-12-12 2020-06-18 太陽誘電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配線基板
KR20240062537A (ko) * 2022-11-02 2024-05-09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784A (ko) * 2005-05-11 2007-06-1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KR100876206B1 (ko) 2007-04-11 2008-12-31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회로 보호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76165A (ja) * 2010-02-25 2011-09-08 Panasonic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KR20160137374A (ko) * 2015-05-21 2016-11-3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복합 전자 부품
KR20170038670A (ko) * 2015-09-30 2017-04-07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코몬 모드 필터
JP2018067559A (ja) * 2016-10-17 2018-04-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060A (ja) * 1995-02-28 1996-09-13 Kyocera Corp ノイズフィルタ
KR100686991B1 (ko) * 2000-03-08 2007-02-2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
DE10228328A1 (de) * 2002-06-25 2004-01-22 Epcos Ag Elektronisches Bauelement mit einem Mehrlagensubstrat und Herstellungsverfahren
KR100845948B1 (ko) * 2007-04-11 2008-07-11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회로 보호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63363A (ko) * 2011-12-06 2013-06-14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KR20130101849A (ko) * 2012-03-06 2013-09-16 삼성전기주식회사 박막형 공통 모드 필터
KR101554333B1 (ko) * 2014-03-28 2015-09-21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회로 보호 소자
JP6630915B2 (ja) * 2015-10-08 2020-0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積層コイル部品
KR101735599B1 (ko) * 2015-11-11 2017-05-16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회로 보호 소자
KR20170104366A (ko) * 2016-03-07 2017-09-15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회로 보호 소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784A (ko) * 2005-05-11 2007-06-1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KR100876206B1 (ko) 2007-04-11 2008-12-31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회로 보호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76165A (ja) * 2010-02-25 2011-09-08 Panasonic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KR20160137374A (ko) * 2015-05-21 2016-11-3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복합 전자 부품
KR20170038670A (ko) * 2015-09-30 2017-04-07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코몬 모드 필터
JP2018067559A (ja) * 2016-10-17 2018-04-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327B1 (ko) * 2020-02-10 2021-03-12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WO2021162294A1 (ko) *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WO2023014194A1 (ko) 2021-08-06 2023-02-09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KR20230021980A (ko) 2021-08-06 2023-02-14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KR20240001636A (ko) 2022-06-27 2024-01-03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전자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066B1 (ko) 2020-03-04
CN110601671B (zh) 2023-11-07
TWI693614B (zh) 2020-05-11
TW202001946A (zh) 2020-01-01
US20210272750A1 (en) 2021-09-02
CN110601671A (zh) 2019-12-20
WO2019240402A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066B1 (ko) 적층형 소자
KR102216555B1 (ko) 회로 보호 소자
TWI614990B (zh) 電路保護裝置
JP2016189423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20180129715A (ko) 커먼 모드 초크 코일
US11081271B2 (en) Element for protecting circuit
JP2004516676A (ja) 電気的な多層半導体および該素子を備えている障害防止回路
JP2010034272A (ja)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積層コンデンサの等価直列抵抗値の調整方法
KR101900881B1 (ko) 적층형 소자
KR101949442B1 (ko)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053355B1 (ko) 적층형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122026B1 (ko) 적층형 필터
US20210241970A1 (en) Common-mode choke coil
JP2007214509A (ja) 積層型電子部品
KR102053356B1 (ko) 복합 소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444613B1 (ko) 복합 도전성 분말, 이를 포함하는 외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WO2017155250A1 (ko) 회로 보호 소자
KR20180044018A (ko) 회로 보호 소자
KR102227327B1 (ko) 복합 소자
KR102522082B1 (ko) 적층형 소자
US20210241957A1 (en) Common-mode choke coil
JP2000058382A (ja) チップ型cr部品
KR20200117843A (ko)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19107984A1 (ko) 적층형 필터
KR101558132B1 (ko) 박막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