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186A - 장척 적층체 - Google Patents
장척 적층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1186A KR20240001186A KR1020237040326A KR20237040326A KR20240001186A KR 20240001186 A KR20240001186 A KR 20240001186A KR 1020237040326 A KR1020237040326 A KR 1020237040326A KR 20237040326 A KR20237040326 A KR 20237040326A KR 20240001186 A KR20240001186 A KR 202400011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adhesive
- glass
- long
- adhesiv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8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4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PBOSTUDLECTMNL-UHFFFAOYSA-N laur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C(=O)C=C PBOSTUDLECTM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OZAIFHULBGXAKX-UHFFFAOYSA-N 2-(2-cyanopropan-2-yldiazenyl)-2-methyl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59 cover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NDWUBGAGUCISDV-UHFFFAOYSA-N 4-hydroxybut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OCCCCOC(=O)C=C NDWUBGAGUCISD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87 Silane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601 bas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OXQRTZXKQZDDN-UHFFFAOYSA-N 2-Ethylhex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C GOXQRTZXKQZDD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HNWPMSKXPGLAX-UHFFFAOYSA-N N-Vinyl-2-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1=O WHNWPMSKXPGL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66 anti-fingerpri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QEYYJKEWSMYFG-UHFFFAOYSA-N but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 CQEYYJKEWSMY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32 epoxy adhesiv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46 gravure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5 surface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BPSIOYPQMFLKFR-UHFFFAOYSA-N trimethoxy-[3-(oxiran-2-ylmeth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COCC1CO1 BPSIOYPQMFLK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NODIIQQMGDSEF-UHFFFAOYSA-N (1-hydroxycyclohex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O)CCCCC1 QNODIIQQMGDSE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IHBHSQYSYVZQE-UHFFFAOYSA-N 6-prop-2-enoyloxyhex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CCCOC(=O)C=C FIHBHSQYSYVZQ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ZAIFHULBGXAKX-VAWYXSNFSA-N AIBN Substances N#CC(C)(C)\N=N\C(C)(C)C#N OZAIFHULBGXAKX-VAWYXSNF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68 Li 2 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M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VVQNEPGJFQJSBK-UHFFFAOYSA-N M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C VVQNEPGJFQJS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24 Pilkingt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23 al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44 aliphatic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4 alumin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68 am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9 antifou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10 antimony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GBXLFKZBHKPEV-UHFFFAOYSA-N boric acid Chemical compound OB(O)O KGBXLFKZBHK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27 bo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86 chain transf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51 coron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22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292 cyclic ether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25 cyclo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98 denatu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7 die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18 dip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80 down draw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4 epoxy coating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670 ethenyl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RTZKZFJDLAIYFH-UHFFFAOYSA-N ether Substances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055 glycidyl group Chemical group C(C1CO1)*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50 hydrofluo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7 intermediat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59 kiss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88 m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7 metal compound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13 meth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JUIMOJAAPLTRJ-UHFFFAOYSA-N monothioglycerol Chemical compound OCC(O)CS PJUIMOJAAPLT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UORTJUPDJJXST-UHFFFAOYSA-N n-(2-hydroxyethyl)prop-2-en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C UUORTJUPDJJX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9 nitrogen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FNLZVQOOSMTJK-KNVOCYPGSA-N norbornene Chemical compound C1[C@@H]2CC[C@H]1C=C2 JFNLZVQOOSMTJK-KNVOCYPG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5 offs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DHCZVWCTKTBRY-UHFFFAOYSA-N omega-Hydroxydo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O)=O ZDHCZVWCTKTBR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HHWIHXENZJRFG-UHFFFAOYSA-N oxetane Chemical compound C1COC1 AHHWIHXENZJR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566 oxeta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VTRUBDSFZJNXHI-UHFFFAOYSA-N oxoantimony Chemical compound [Sb]=O VTRUBDSFZJNX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NCYXPMJDCCGSJ-UHFFFAOYSA-N piperidine-2,6-dione Chemical group O=C1CCCC(=O)N1 KNCYXPMJDCCGS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2 plasm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01 polyacry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9719 polyimid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44 reinfor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464 silicon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47 silicone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61 soda-lim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5 tap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409 triarylsulfonium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7 ultraviolet radiation absor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2—Variation across the area of the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과,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를 구비하는 적층체로서, 평면시에서, 유리 필름의 외주를 획정하는 측면은, 기재 필름의 외주를 획정하는 측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이 1×108Pa 이상인,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컨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의 표시 패널에 이용되는 적층체가 복수 포함되는 장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필름과 지지 기재의 적층체는, 같은 폭의 지지 기재와 유리 필름을 적층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같은 사이즈의 매엽(枚葉)물을 전혀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것은 곤란하다. 적층 시에 필연적으로 약간 어긋남이 생긴다. 예컨대,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의 적층체인 경우, 4변의 어느 하나에서 유리 필름의 단부가 돌출된다. 유리 필름의 단부가 돌출된 변에서는, 단부의 가압에 대하여 유리 필름이 깨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은, 표시 장치에서, 커버 유리; 상기 커버 유리 하부에 배치된 커버 접착 부재; 상기 커버 접착 부재 하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리, 상기 커버 접착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백 플레이트가 벤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에서, 상기 커버 접착 부재는 상기 커버 유리의 적어도 1측면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제1 필름층과, 광학 필름층과, 점착제층과, 제2 필름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굴곡 가능한 적층체이며,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는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적층체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두께 방향으로 상대향(相對向)하는 한 면 및 다른 면과 측면을 포함하는 제1 유리 기재와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측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두께 방향으로 상대향하는 한 면 및 다른 면과 측면을 포함하는 제1 기능성 코팅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한 면을 노출하며,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한 면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한 면의 연장면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를 제안하고 있다.
유리 필름의 단부가 돌출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리 필름과 지지 기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접착부 혹은 점착부가 충분히 경도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유리 필름의 단부가 가압에 대하여 취약하여, 유리 필름의 단부가 깨지기 쉽다는 문제는 해소되지 않는다. 이는, 유리 필름의 단부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접착부 혹은 점착부가 변형되어, 유리 필름의 단부에서의 스트레인(strain)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장척의 기재 필름과,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장척의 세퍼레이터와, 상기 복수의 개구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유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접착함과 함께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복수의 유리 필름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를 구비하는 장척 적층체로서, 상기 유리 필름의 외주(外周)를 획정하는 측면과,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개구의 내벽이 이간하고 있는, 장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적층체가 포함하는 유리 필름의 단부의 가압에 대한 내성이 높아진다. 또한, 적층체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을 첨부의 청구범위에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구성 및 내용의 양쪽에 관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과 아울러,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a) 및 평면도 (b)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a) 및 평면도 (b)이다.
도 2a는 접착부와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의 측정 방법의 앞선 스텝의 설명도이다.
도 2b는 접착부와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의 측정 방법의 후 스텝의 설명도이다.
도 2c는 허용 하중을 구할 때의 볼과 중앙부의 접촉점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d는 허용 하중을 구할 때의 볼과 단부의 접촉점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선에서의 장척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개편화(個片化) 유리 일체화 시트를 얻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에서의 유리 필름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장척 적층체를 얻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에 이어지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장척 적층체로부터 적층체가 개편화되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굴곡 검사 방법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9는 굴곡 검사 방법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a) 및 평면도 (b)이다.
도 2a는 접착부와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의 측정 방법의 앞선 스텝의 설명도이다.
도 2b는 접착부와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의 측정 방법의 후 스텝의 설명도이다.
도 2c는 허용 하중을 구할 때의 볼과 중앙부의 접촉점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d는 허용 하중을 구할 때의 볼과 단부의 접촉점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선에서의 장척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개편화(個片化) 유리 일체화 시트를 얻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에서의 유리 필름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장척 적층체를 얻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에 이어지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장척 적층체로부터 적층체가 개편화되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굴곡 검사 방법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9는 굴곡 검사 방법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 장척 적층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과 굴곡 검사 방법에 대해서 순차 설명한다. 단, 본 개시에 관한 적층체, 장척 적층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과 굴곡 검사 방법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시로 '평행'이라는 용어를 이용하는데, 반드시 엄밀히 평행일 필요는 없고, 한쪽과 다른 쪽이, 예컨대, 10° 미만(혹은 5° 미만)인 각도를 갖는 정도로 평행한 배치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수시로 '수직'이라는 용어를 이용하는데, 반드시 엄밀히 수직일 필요는 없고, 한쪽과 다른 쪽이, 예컨대 80° 이상 100° 이하(혹은 95° 이상 95° 이하)의 각도를 갖는 정도로 수직인 배치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는 경우, 각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또는 치수는, 실제와 동일한 축척비로 나타낸 것은 아니다. 각 구성 요소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들의 치수의 상대적인 관계성은, 모식적으로 또한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적층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는, 예컨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의 표시 패널에 이용되는 광학 적층체이다. FPD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표적으로는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박형의 화상 표시 장치를 말한다.
적층체는,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과,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를 구비한다. 기재 필름은 유리 필름을 지지할 수 있는 필름이면 되고, 소정의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성을 갖는다.
평면시에서, 유리 필름의 외주를 획정하는 측면(단순히, 유리 필름의 측면이라고도 칭함)은, 기재 필름의 외주를 획정하는 측면(단순히, 기재 필름의 측면이라고도 칭함)보다도 내측에 위치한다.
평면시란, 유리 필름 혹은 기재 필름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유리 필름 및 기재 필름을 보는 것을 말한다. 평면시의 의미는, 이하 마찬가지이다.
환언하면, 기재 필름의 외주는, 전체 둘레(全周)에 걸쳐, 유리 필름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강도가 취약한 유리 필름의 외주가 기재 필름의 외주보다도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유리 필름의 단부의 가압에 대한 내성이 높아진다. 이는, 유리 필름의 단부를 가압하는 힘을 기재 필름이 면에서 받을 수 있고, 가압에 의해 유리 필름에 인가되는 응력을 보다 넓은 면적에서 기재 필름이 완화할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단,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은 1×108Pa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로써, 유리 필름의 단부의 가압에 대한 내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유리 필름의 단부의 가압에 대한 내성을 더욱 현저히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을 5×108Pa 이상, 나아가서는 1×109Pa 이상으로 설정하여도 된다.
유리 필름의 단부의 가압에 대한 내성의 현저한 향상은, 예컨대, 적층체의 중앙부의 허용 하중에 대한, 적층체의 단부의 허용 하중의 비(이하, '하중비(단부/중앙부)'로도 칭함)로 평가할 수 있다.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이 1×108Pa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하중비(단부/중앙부)를 0.9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평면시에서, 유리 필름의 측면(외주)으로부터 기재 필름의 측면(외주)까지의 이간 거리(이하, '이간 거리 G1'로도 칭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0mm 이하이어도 된다. 이간 거리 G1은, 적층체의 대형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5mm 이하 혹은 3mm 이하이어도 되고, 1mm 이하 혹은 800㎛ 이하로 하여도 되며, 500㎛ 이하이어도 되고, 300㎛ 이하이어도 된다. 한편, 유리 필름 단부를 가압하는 힘을 기재 필름의 보다 큰 면에서 받아, 가압에 의한 응력을 보다 넓은 면적에서 완화하는 관점에서, 이간 거리 G1을 20㎛ 이상으로 하여도 되고, 50㎛ 이상으로 하여도 되며, 50㎛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이 1×108Pa 미만이면, 유리 필름의 단부의 가압에 대한 내성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는, 유리 필름의 단부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1 접착부가 변형되어, 유리 필름 단부를 가압하는 힘을 기재 필름이 면에서 받는 효과가 상쇄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유리 필름의 단부의 가압에 대한 내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1 접착부에 충분한 경도를 갖게 하는 것, 즉, 제1 접착부에 충분한 압입 탄성률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접착부가 충분한 경도를 가짐으로써, 단부를 가압하는 힘이 스무스하게 가압점의 바로 아래의 기재 필름에 전해져, 유리 필름에 인가되는 응력이 안정적으로 완화되고, 유리 필름의 단부에서의 스트레인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유리 필름의 단부의 가압에 대한 내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1GPa 이상, 나아가서는 3GPa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한편, 적층체에 FPD 용도에 필요한 적당한 유연성을 갖게 하는 관점에서,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20GPa 이하로 하여도 되고, 10GPa 이하이어도 된다. 저장 탄성률은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적층체(통상적으로는 장척 적층체로부터 개편화된 적층체)에서,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은, 각각 직사각형상이어도 된다. 직사각형상이란, 대표적으로는 정방형 혹은 장방형의 형상을 의미하지만, 엄밀한 정방형 혹은 장방형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모서리부(角部)가 R 모따기 되어 둥글게 되어 있어도 되고, 모서리부가 C 모따기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4개의 변은, 직선이 아니어도 되고, 다소 굴곡이나 요철을 갖는 선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적층체에서, 유리 필름의 외주를 획정하는 측면에는, 제2 접착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유리 필름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전부)가 제2 접착부로 덮여 있어도 된다. 이로써, 유리 필름의 단부의 가압에 대한 내성이 더욱 높아진다. 제2 접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에 대하여 ±30%의 크기이어도 된다.
평면시에서, 제2 접착부의 외주를 획정하는 측면(단순히, 제2 접착부의 측면이라고도 칭함)으로부터 유리 필름의 측면까지의 이간 거리(이하, '이간 거리 G2라고도 칭함)와, 유리 필름의 측면으로부터 기재 필름의 측면까지의 이간 거리 G1이 같아도 된다. 즉, 제2 접착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유리 필름의 제1 접착부 측의 주면(主面)으로부터 그의 반대 측의 주면을 향하여, 기재 필름의 측면과 면일(面一: 단차가 없음)이어도 된다. 이때, 평면시에서, 유리 필름의 측면으로부터의 제2 접착부의 최대 두께는, 이간 거리 G1과 같은 길이를 갖는다. 이로써, 적층체에서의 기재 필름의 돌출한 부분의 강도가 향상되고, 적층체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제2 접착부의 측면은, 유리 필름의 기재 필름 측의 주면으로부터 그의 반대 측의 주면에 도달하기까지, 기재 필름의 측면과 단차가 없어도 된다. 환언하면, 제2 접착부의 측면의 전면(全面)이 기재 필름의 측면과 단차가 없어도 된다. 이 경우, 적층체의 두께 방향의 한쪽 측으로부터 다른 쪽 측까지 적층체의 측면을 단차가 없게 할 수 있다. 즉, 유리 필름의 제1 접착부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과 유리 필름의 측면이 교차하는 코너부를 덮는 제2 접착부의 평면시에서의 두께는, 이간 거리 G1과 같은 길이를 갖는다. 이로써, 기재 필름의 돌출한 부분의 강도가 더욱 향상됨과 함께, 적층체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정(均整)이 취해진 두께가 된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코너부에 접착부를 형성하여도, 접착부에 결손이 생겨, 코너부의 접착부는 충분한 두께를 갖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후술하는 제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코너부에서의 제2 접착부의 두께를 이간 거리 G1과 같은 길이로 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은, 수지로 구성되는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이어도 되고, 열경화성 수지이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노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은, 목적에 따라 적량의 임의의 첨가제를 더욱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희석제, 노화 방지제, 변성제, 계면활성제, 염료, 안료, 변색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유연제, 안정제, 가소제, 소포제, 보강제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 이상 60㎛ 이하이고, 5㎛ 이상 60㎛ 이하이어도 되며, 5㎛ 이상 50㎛ 이하이어도 되고, 10㎛ 이상 60㎛ 이하이어도 되며, 10㎛ 이상 40㎛ 이하이어도 된다.
기재 필름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5GPa 이상 10GPa 이하이고, 1.8GPa 이상 9GPa 이하이어도 되며, 1.8GPa 이상 8GPa 이하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유리 필름을 지지함과 함께 보호하는 효과가 높아,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 적층체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된다. 저장 탄성률은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가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얇은 유리판이다. 유리 필름을 구성하는 유리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소다 석회 유리, 붕산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유리는 무알칼리 유리이어도 되고, 저알칼리 유리이어도 된다. 유리의 알칼리 금속 성분(예컨대, Na2O, K2O, Li2O)의 합계 함유량은, 예컨대, 15질량% 이하이고, 10질량% 이하이어도 된다.
유리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0㎛ 이하이고, 10㎛ 이상 60㎛ 이하이어도 된다.
유리 필름의 밀도는 예컨대, 2.3g/cm3 이상 3.0g/cm3 이하이고, 2.3g/cm3 이상 2.7g/cm3 이하이어도 된다.
유리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대표적으로는, 유리 필름은,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주원료와, 망초, 산화 안티몬 등의 소포제와, 카본 등의 환원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400℃ 이상 160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하고, 필름상으로 성형한 후, 냉각하여 제작된다. 유리 필름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슬롯 다운 드로법, 퓨전법, 플로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얻어진 유리 필름은, 가일층의 박판화 혹은 표면과 단부의 평활성의 향상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불소산 등의 용제에 의해 화학 연마되어도 된다.
유리 필름의 표면은, 제1 접착부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커플링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도 된다.
제1 접착부는 제1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접착부는 제1 접착제가 경화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접착부는, 실질적으로 유동성을 갖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접착제와 점착제를 구별한다. 점착제는, 비경화성이고, 유동성을 갖는다.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은, 예컨대, 1×106Pa 이하이어도 된다.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부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예컨대, 10MPa 이하이어도 된다.
제1 접착제는, 먼저 기재 필름에 도공된다. 다음으로, 제1 접착제의 도막을 개재하여,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이 첩합된다. 그 후, 제1 접착제가 경화되어, 제1 접착부가 형성된다. 제1 접착부의 두께는, 예컨대, 0.1㎛ 이상 10㎛ 이하이고, 0.5㎛ 이상 5㎛ 이하이어도 되며, 0.5㎛ 이상 3㎛ 이하이어도 된다. 제1 접착부의 두께가 클수록,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의 접착력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제1 접착제를, 유리 필름에도 도공하여도 된다. 그리고 기재 필름 측의 제1 접착제의 도막과 유리 필름 측의 제1 접착제의 도막을 개재하여,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을 첩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1 접착부의 접착력이 더욱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환언하면,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의 양쪽에 제1 접착제를 도공하는 경우, 기재 필름에만 제1 접착제를 도공하는 경우와 같은 두께의 제1 접착부가 형성되었다고 하여도, 보다 높은 접착력이 얻어진다.
제1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가 이용된다. 제1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옥세탄일기 등의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제1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이다. 제1 접착부를 형성하는 제1 접착제가, 자외선 경화형인 경우,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 적층체의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2 접착부는 제2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접착부는 제2 접착제가 경화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 접착부는, 실질적으로 유동성을 갖지 않는다. 제2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이다. 제2 접착부를 형성하는 제2 접착제가, 자외선 경화형인 경우,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 적층체의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가 같은 조성을 갖는 접착제이어도 된다. 환언하면, 제2 접착부는, 제1 접착제로 형성하여도 된다. 제1 접착제를,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에 도공하고, 기재 필름 측의 제1 접착제의 도막과 유리 필름 측의 제1 접착제의 도막을 개재하여,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을 첩합하면, 양호한 상태의 제2 접착부가 형성되기 쉽다.
제1 접착부와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은, 예컨대, 0.1N/mm 이상이어도 되고, 0.2N/mm 이상이어도 되며, 0.5N/mm 이상이어도 되고, 1N/mm 이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접착력으로 함으로써, 물체가 유리 필름에 충돌하였을 때에, 유리 필름과 제1 접착부의 계면에서의 박리를 보다 고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유리 필름의 제1 접착부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표면 코트층으로 피막되어 있어도 되고, 임의의 접착부 혹은 점착부를 개재하여 다른 기재 필름 혹은 필름 부재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 필름의 제1 접착부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이면)은, 임의의 접착부 혹은 점착부를 개재하여 임의의 필름 부재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임의의 필름 부재는, 광학 필름이어도 되고, 후술하는 세퍼레이터이어도 되며, 박리 라이너(혹은, 캐리어 필름)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이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편광판, 위상차판, 등방성 필름 등을 말한다.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은, 금속 필름, ITO 필름 등의 산화금속 필름, 금속 필름과 수지 필름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이하, 적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각 구성 부품의 형상 및 사이즈는, 반드시 동일한 축척비로 나타내고 있지 않다. 각 도면에서, 마찬가지의 구성 부품은 마찬가지의 부호를 이용하여 참조한다.
도 1a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a)와 평면도 (b)이다. 적층체(10)는, 기재 필름(100)과, 유리 필름(200)과, 기재 필름(100)과 유리 필름(200)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300)를 구비한다. 평면시에서는, 유리 필름(200)의 측면(외주)은, 전체 둘레에 걸쳐, 기재 필름(100)의 측면(외주)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평면시에서, 유리 필름(200)의 측면과 기재 필름(100)의 측면의 이간 거리 G1은, 예컨대, 50㎛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1 접착부(300)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은 1×108Pa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유리 필름(200)의 단부를 법선 방향으로부터 가압하는 힘은 기재 필름(100)의 면에서 받을 수 있다. 유리 필름(200)은 제1 접착부(300)에 의해 기재 필름(100)에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다.
적층체(10)를 평면시하면, 기재 필름(100)과 유리 필름(200)은 각각 직사각형상이지만,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예컨대, 평면시에서, 유리 필름(200)의 4개의 모서리부(C1) 및/또는 기재 필름(100)의 4개의 각부(C2)가 R 모따기 되어 둥글게 되어 있어도 되며, C 모따기 되어 있어도 된다. 4개의 변은,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다.
도 1b에 나타내는 적층체(10A)와 같이 유리 필름(200)의 측면에 제2 접착부(310)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b의 (b)와 같이 유리 필름(200)의 측면의 전면이 제2 접착부(310)로 덮여 있어도 된다.
제2 접착부(310)의 측면은, 유리 필름(200)의 기재 필름(100) 측의 주면으로부터 그의 반대 측의 주면에 도달하기까지, 기재 필름(100)의 측면과 단차가 없다(G1=G2). 따라서, 평면시에서 유리 필름(200)의 측면과 기재 필름(100)의 측면이 이간하는 방향(도 1b의 (b)에 나타내는 선분(L1)의 방향)에서의 제2 접착부(310)의 최대 두께는, 유리 필름(200)의 측면과 기재 필름(100)의 측면의 이간 거리 G1과 같은 길이를 갖는다. 유리 필름(200)의 제1 접착부(300)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과 유리 필름(200)의 측면이 교차하는 코너부(G3)를 덮는 제2 접착부(310)의 두께도 이간 거리 G1과 같은 길이를 갖는다. 그 결과, 적층체(10A)의 외주를 획정하는 측면은, 전체 둘레에 걸쳐, 두께 방향의 한쪽 측으로부터 다른 쪽 측까지 단차가 없다.
제2 접착부(310)는 제1 접착부(300)와 함께 제1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는 같은 조성을 갖는 접착제이고, 예컨대, 경화 전의 제1 접착제를 두껍게 기재 필름에 도공함으로써, 유리 필름(200)의 측면에 제1 접착제가 타고 올라가, 경화되어 제2 접착부(310)가 형성된다.
<물성의 측정 방법 1>
(1) 압입 탄성률
(1-1) 접착부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의 압입 탄성률은, ISO14577에 준거하여 나노 인덴테이션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1 접착제 또는 제2 접착제를,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평활한 표면을 갖는 필름의 표면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한다. 그 후, 동일하게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평활한 표면을 갖는 필름을 도막에 첩합하고, 도막을 경화시켜, 한 쌍의 필름에 끼워진 두께 3㎛ 이상의 접착부를 형성한다. 그 후, 한쪽의 필름을 박리하여 시험편(샘플)으로서 이용한다. 혹은, 적층체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하여,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를 노출시켜, 시험편(샘플)을 제작하여도 된다. 또한, 압자의 압입 깊이는 100nm 이하이어도 되고, 샘플의 두께는 3㎛ 이상이면 충분하다.
얻어진 시험편을 측정 장치(예컨대,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하이지트론 인코포레이티드(HYSITRON INCORPORATED) 제조의 Triboindenter)에 셋팅하고, 하기의 측정 조건으로,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을 구한다. 측정을 5회 이상 행하고, 평균값을 구하여도 된다.
측정 조건
샘플 사이즈: 10mm×10mm
압자: Concial(구형 압자: 곡률 반경 10㎛)
측정 방법: 단일 압입 측정
측정 온도: 25℃
압자의 압입 깊이: 100nm
해석: 하중-변위 곡선에 기초하는 '올리버 앤 파(Oliver and Pharr) 해석'
(1-2) 점착부
유동성을 갖는 점착부의 압입 탄성률을 측정하는 경우, 시험편(샘플)은 이하의 순서로 제작한다. 먼저, 점착제를,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평활한 표면을 갖는 필름의 표면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한다. 그 후, 동일하게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평활한 표면을 갖는 필름을 도막에 첩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조사(가교 프로세스)를 행하여, 한 쌍의 필름에 끼워진 두께 25㎛의 점착부를 형성한다. 그 후, 한쪽의 필름을 박리하여 시험편(샘플)으로서 이용한다.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접착부와 마찬가지로,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을 구한다. 측정을 5회 이상 행하고, 평균값을 구하여도 된다.
(2) 저장 탄성률
(2-1) 접착부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의 저장 탄성률은, JIS K 7244-1:1998에 준거하여, 인장 저장 탄성률로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1 접착제 또는 제2 접착제를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경화시켜, 두께 약 20㎛인 경화물의 필름을 제작한다. 이 필름을 소정 사이즈로 절출하여, 시험편을 제작한다.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예컨대,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사이엔스 제조의 다기능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DMS6100')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점탄성의 측정을 행하고, 25℃에서의 인장 저장 탄성률을 구한다. 측정을 5회 이상 행하고, 평균값을 구하여도 된다.
측정 조건
온도 범위: -100~200℃
승온 속도: 2℃/min
모드: 인장
샘플 폭: 10mm
척 간 거리: 20mm
주파수: 10Hz
스트레인 진폭: 10㎛
분위기: 대기(250ml/min)
데이터의 취득 간격: 0.5min(1℃마다)
(2-2) 점착부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은, JIS K 7244-1:1998에 준거하여, 비틀림 모드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의 도막을 패럴렐 플레이트에 끼워 넣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예컨대, 리오메트릭 사이언티픽(Rheometric Scientific)사 제조의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점탄성의 측정을 행하고,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구한다. 측정을 5회 이상 행하고, 평균값을 구하여도 된다.
측정 조건
변형 모드: 비틀림
측정 주파수: 1Hz
측정 온도: -40℃~+150℃
승온 온도: 5℃/분
(3) 접착력
제1 접착부와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은, 다이프라·윈테스 주식회사 제조의 표면·계면 물성 해석 장치 'SAICAS DN-20형'을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 및 방법으로 측정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계면 물성 해석 장치(41)는, 하기 특성을 갖는 날(42)과, 도시하지 않는 이동 장치 및 압력 측정부를 구비한다. 날(42)은 이동 가능하다. 날(42)은 선단부에 형성되는 날끝(43)을 구비한다.
날(42)의 특성
날(42)의 재료: 단결정 다이아몬드
날끝(43)의 폭: 1mm
날끝(43)의 레이크각: 10°
먼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10)를 측정 장치(41)에 셋팅한다. 날끝(43)을 수평 방향(D1)(적층체(10)의 면방향에 상당)의 한쪽 측에 연직 방향(D2)(적층체(10)의 두께 방향에 상당)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이동시키면서 기재 필름(100)에 압입하여, 날끝(43)을 기재 필름(100)에 절입시킨다. 수평 방향 속도는 10㎛/sec이며, 연직 방향 속도는 0.5㎛/sec이다.
날끝(43)을 기재 필름(100)에 절입시킨 후,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43)을 제1 접착부(300)에도 절입시킨다. 날끝(43)이 제1 접착부(300)와 유리 필름(200)의 계면에 이르렀을 때에, 날끝(43)을 상기 한쪽 측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1 접착부(300)가 유리 필름(200)으로부터 박리한다. 이 때의 박리 강도를 제1 접착부(300)와 유리 필름(200)의 접착력으로서 측정한다.
또한, 후술하는 제1 접착부(300)와 세퍼레이터의 사이의 접착력에 대해서도, 유리 필름을 세퍼레이터로 치환하여 마찬가지로 측정할 수 있다. 단, 제1 접착부(300)와 세퍼레이터의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는 경우, 날끝(43)을 세퍼레이터에 압입하고, 날끝(43)을 세퍼레이터에 절입시킨다. 날끝(43)이 세퍼레이터와 제1 접착부(300)의 계면에 이르렀을 때에, 날끝(43)을 상기 한쪽 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제 1 접착부(300)가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 강도를 접착력으로서 측정한다.
(4) 하중비(단부/중앙부)
먼저, 압입 시험에 의해 적층체의 단부 및 중앙부의 허용 하중을 측정한다. 적층체를 수평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주식회사 에이·앤드·데이 제조의 디지털 저울 'SH-5000'의 계량접시)에 기재 필름 측을 아래로 하여 재치한다. 적층체의 단부 및 중앙부를 각각 3점씩 연직 방향으로부터 볼펜(예컨대,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펜텔 주식회사 제조의 유성 볼펜 'BK407 흑색'(볼 직경 0.7mm))의 선단부의 직경 0.7mm의 볼로 유리 필름 측으로부터 가압한다. 이때, 2점 이상에서 유리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단부 및 중앙부의 허용 하중을 50g 단위로 측정한다. 다음으로, 단부의 허용 하중을 중앙부의 허용 하중으로 나누어, 하중비(단부/중앙부)를 산출한다.
적층체의 가압은 볼펜을 수직으로 세워 매뉴얼로 행하고, 2점 이상에서 균열이 발생할 때의 하중을 50g 단위로 판독한다. 하중의 증가 속도는 대략 50g/1초로 제어하면 된다. 예컨대, 2점 이상에서 균열이 발생할 때의 하중이 450g 초과 500g 미만일 때는, 허용 하중은 450g이고, 500g 초과 550g 미만일 때는, 허용 하중은 500g으로 한다.
도 2c는 압입 시험에서, 적층체(10)의 중앙부(10M)의 허용 하중을 구할 때의 볼펜 선단의 볼과 중앙부(10M)의 접촉점(P)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d는 압입 시험에서, 적층체(10)의 단부(10T)의 허용 하중(b)을 구할 때의 볼펜 선단의 볼과 단부(10T)의 접촉점(P)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5개 이상의 적층체(10)에서, 단부(10T) 및 중앙부(10M)에서, 마찬가지의 측정을 임의의 3점에서 행하고, 평균을 산출하여도 된다.
적층체(10)의 중앙부(10M)란, 적층체(10)의 중심(C)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20mm의 원내 영역을 말한다. 적층체(10)의 중앙부(10M)의 3점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임의로 선택하면 된다.
적층체(10)의 단부(10T)란, 유리 필름(200)의 측면(외주)으로부터의 거리(g)가 0.3mm 이하인 유리 필름(200)의 영역을 말한다. 적층체(10)의 단부(10T)의 3점은 가능한 한 서로 이간하도록 임의로 선택하면 된다.
[장척 적층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는, 이미 기술한 적층체를 복수 포함한다. 환언하면, 장척 적층체는 복수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의 중간체이다. 하나의 장척 적층체를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개편화된 적층체가 얻어진다.
장척 적층체는,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 완성되어도 된다. 장척 적층체는,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권출되어, 롤 투 롤 방식으로 다른 프로세스에 공급되어도 된다. 장척 적층체는,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권출되어, 장척 적층체를 개편화하는 분할 프로세스에 공급되어도 된다. 장척 적층체로서 완성하기 전의 중간체도,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 취급되어도 된다. 중간체는,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권출되어, 롤 투 롤 방식으로 장척 적층체를 얻기 위한 프로세스에 공급되어도 된다.
롤 투 롤 방식이란, 장척 적층체 혹은 장척 적층체로서 완성하기 전의 중간체를 취급할 때의 하나의 방식이다. 롤 투 롤 방식에서는, 장척 적층체 혹은 중간체를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권출하거나, 장척 적층체 혹은 중간체를 롤상으로 권취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롤 투 롤 방식에서는, 장척 적층체 혹은 중간체를 권출하는 권출부와, 장척 적층체 혹은 중간체를 권취하는 권취부가 이용된다.
장척 적층체는, 장척의 기재 필름과,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장척의 세퍼레이터와, 복수의 개구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유리 필름과, 기재 필름과 세퍼레이터를 접착함과 함께 기재 필름과 복수의 유리 필름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를 구비한다. 유리 필름의 외주를 획정하는 측면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은 이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장척 적층체를 복수의 개편화된 적층체로 분할할 때에는, 유리 필름의 측면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접착부와 기재 필름을 절단하면 된다. 유리 필름과 제1 접착부와 기재 필름을 함께 절단하는 것에 비해, 제1 접착부와 기재 필름을 함께 절단하는 것은 용이하다. 세퍼레이터에는, 예컨대, 각종 시트의 박리 라이너로서 사용되는 시트와 동등한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세퍼레이터는 스페이서, 프레임체 시트 등으로서 칭하여도 된다.
장척의 기재 필름은, 기술한 개편화된 적층체가 구비하는 기재 필름과 사이즈 및 형상이 상이한 점 이외에, 같은 재료이다. 장척의 기재 필름의 일부가 개편화된 적층체의 기재 필름이 된다.
복수의 유리 필름은, 기술한 개편화된 적층체가 구비하는 유리 필름과 같은 재료이다. 또한, 복수의 유리 필름은, 모두 동일하여도 되고, 장척의 기재 필름의 상이한 장소에 상이한 유리 필름을 배치하여도 된다.
장척의 기재 필름이 구비하는 제1 접착부는, 기술한 개편화된 적층체가 구비하는 제1 접착부와 같은 재료이다. 제1 접착제가, 먼저 장척의 기재 필름에 도공된다. 다음으로, 제1 접착제의 도막을 개재하여,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 및 세퍼레이터가 첩합된다. 그 후, 제1 접착제가 경화되어, 제1 접착부가 형성된다. 제1 접착제는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이다.
제1 접착부와 세퍼레이터의 사이의 접착력은, 0.1N/mm 이상이어도 되고, 0.5N/mm 이상이어도 된다.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장척의 세퍼레이터는, 예컨대, 장척의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세퍼레이터의 복수 개소를 부분적으로 잘라냄으로써 형성된다. 장척의 세퍼레이터와 장척의 기재 필름의 긴 방향은, 통상적으로, 평행하다. 장척의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세퍼레이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기재 필름으로서 예시한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의 재료를 임의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기재 필름과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유리 필름의 두께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Ts, 유리 필름의 두께를 Tg로 할 때, 0.8≤Ts/Tg≤1.2를 충족하여도 된다. 또한, 기재 필름의 두께를 Tf로 할 때, 0.8≤Tf/Tg≤2를 충족하여도 된다. 또한, 1.0<Ts/Tg인 경우, 특히, 3.0≤Ts/Tg인 경우에는, 유리 필름에 대하여 세퍼레이터가 상당히 두껍기 때문에, 유리 필름을, 제1 접착제를 개재하여 기재 필름에 첩부하는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유리 필름의 특히 단부에서의 접착력을 높게 유지하고, 또한 제1 접착부 혹은 제2 접착부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Ts/Tg≤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Ts/Tg<1.0인 경우, 예컨대, Ts/Tg≤0.3인 경우에는, 유리 필름에 대하여 세퍼레이터가 상당히 얇기 때문에, 유리 필름이 세퍼레이터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한다. 그 때문에, 작업 중에 유리 필름의 특히 단부에서의 미소한 크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유리 필름의 크랙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0.5≤Ts/Tg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의 90℃에서의 열수축율은, 1.0% 이하이어도 되고, 0.5% 이하이어도 되며, 0.4% 이하이어도 되고, 0.35% 이하이어도 된다. 세퍼레이터의 열수축률을 작게 함으로써, 온도 조건에 상관 없이, 유리 필름의 측면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의 이간 거리(이하, '이간 거리 G3'이라고도 칭함)를 확보하기 쉬어진다. 또한, 세퍼레이터 및 유리 필름과 기재 필름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의 스트레인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1 접착부의 접착력의 향상에도 유리하다.
<물성의 측정 방법 2>
(5) 열수축률
세퍼레이터를 장척 방향 100mm 및 폭 방향 100mm의 사이즈로 절출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이 시험편의 장척 방향 및 폭 방향의 초기 치수를 주식회사 미쓰토요 제조의 화상 측정기 'QVA606-PRO AE10'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한다. 다음으로, 시험편을 90℃에서 30분간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 후, 25℃에서, 재차, 시험편의 장척 방향 및 폭 방향의 치수(가열 후 치수)를 측정한다. 이하의 식으로부터 장척 방향 및 폭 방향의 열수축률을 각각 산출하고, 큰 쪽의 값을 채용한다. 측정을 5회 이상 행하고, 평균값을 구하여도 된다.
열수축률(%)={(초기 치수-가열 후 치수)/(초기 치수)}×100
또한, 후술하는 캐리어 필름의 90℃의 열수축률도 마찬가지로 측정할 수 있다. 캐리어 필름의 90℃에서의 열수축율은, 1.0% 이하이어도 되고, 0.5% 이하이어도 되며, 0.4% 이하이어도 되고, 0.35% 이하이어도 되며, 0.2% 이하이어도 되고, 0.1% 이하이어도 된다. 이로써, 유리 필름과 기재 필름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의 스트레인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1 접착부의 접착력의 향상에도 유리하다.
세퍼레이터 및 기재 필름에는, MD 방향과 TD 방향이 존재할 수 있다. MD 방향과 TD 방향이 있는 경우, 한쪽 방향에서의 열수축률이 다른 쪽보다도 커질 수 있다. 그 경우, 큰 쪽의 열수축률이, 기술한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의 측면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의 이간 거리 G3은 0.5mm 이상이어도 되고, 1mm 이상이어도 된다. 이간 거리 G3을 0.5mm 이상으로 함으로써, 개편화된 적층체에서, 유리 필름의 측면과 기재 필름의 측면의 이간 거리 G1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단, 유리 필름의 측면과 기재 필름의 측면의 이간 거리 G1은, 예컨대, 20㎛ 이상, 혹은 50㎛ 이상이면 되기 때문에, 과도하게 넓게 유리 필름의 측면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의 이간 거리 G3을 확보할 필요는 없다. 단, 상태가 좋은 제2 접착부를 형성하고, 또한 개편화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이간 거리 G3을 보다 크게 하여도 되고, 예컨대 1mm 이상, 혹은 2mm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유리 필름의 단부의 파손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이간 거리 G3이 과도하게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간 거리 G3은, 예컨대, 10mm 이하이어도 되고, 8mm 이하이어도 되며, 6mm 이하이어도 되고, 5mm 이하이어도 되며, 1.6mm 이하이어도 되고, 1mm 이하이어도 된다.
유리 필름의 측면에 제2 접착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유리 필름의 측면의 전부가 제2 접착부로 덮여 있어도 된다. 예컨대, 유리 필름의 측면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의 사이에 제2 접착부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접착부는 제1 접착부와 함께 제1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는, 같은 조성을 갖는 접착제이며, 예컨대, 경화 전의 제1 접착제를 두껍게 기재 필름에 도공함으로써, 유리 필름의 측면에 제1 접착제가 타고 올라가, 경화되어 제2 접착부가 형성된다.
도 3a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10C)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에서의 장척 적층체(10C)의 단면도이다. 장척의 기재 필름 위에 제1 접착부(300)를 개재하여, 장척의 세퍼레이터(400)가 적층되어 있다. 장척의 세퍼레이터는, 기재 필름과 같은 사이즈(폭)를 갖는 장척의 개구를 갖지 않는 세퍼레이터로부터 복수 개소를 부분적으로 잘라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에 형성되는 개구의 배열, 수 등은,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설정된다. 유리 필름(200)의 측면과 세퍼레이터(400)의 개구의 내벽은 이간하고 있으며, 양자 간의 간극에는 제2 접착부(310)가 제1 접착부(3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장척 적층체에서도, 유리 필름의 제1 접착부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표면 코트층으로 피막되어 있어도 되고, 임의의 접착부 혹은 점착부를 개재하여 다른 기재 필름 혹은 필름 부재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 필름의 제1 접착부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이면)은, 임의의 접착부 혹은 점착부를 개재하여 임의의 필름 부재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임의의 필름 부재는, 기술한 광학 필름이어도 된다.
장척 적층체는, 장척의 캐리어 필름과 적층된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이어도 된다.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는, 장척 적층체와, 캐리어 필름과, 세퍼레이터 및 복수의 유리 필름의 기재 필름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과 캐리어 필름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점착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제1 점착부는 제1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점착제는, 비경화성이어도 되고, 유동성을 가져도 된다.
장척 적층체는, 장척의 임의의 필름 부재와 적층된 필름 부재 부착 장척 적층체이어도 된다. 필름 부재 부착 장척 적층체는, 장척 적층체와, 필름 부재와, 기재 필름의 복수의 유리 필름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이면)과 필름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점착부 혹은 제3 접착부를 구비하여도 된다. 임의의 필름 부재는, 기술한 광학 필름이어도 되고, 세퍼레이터이어도 되며, 캐리어 필름이어도 된다.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를 형성하는 제1 점착제 및 제2 점착제는 유동성을 가져도 되고,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은, 예컨대, 1×106Pa 이하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점착부(제1 점착제) 및 제2 점착부(제2 점착제)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예컨대 10MPa 이하이어도 된다. 이 경우, 장척 적층체는,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부로부터 박리 가능하다. 또한, 제3 접착부는, 예컨대, 제1 접착부 혹은 제2 접착부로서 예시한 재료에 의해 제1 접착부 혹은 제2 접착부와 마찬가지로 형성하여도 된다.
제1 점착제 및 제2 점착제의 종류는, 어느 것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점착제에는, 예컨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 첨가제(예컨대, 점착 부여제, 커플링제, 중합 금지제, 가교 지연제, 촉매,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 금속분,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산화방지제, 노화 방지제, 계면활성제,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부식 방지제, 무기 또는 유기계 재료의 입자(금속 화합물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 등), 수지 입자 등))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척의 캐리어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기재 필름으로서 예시한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의 재료를 임의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캐리어 필름의 두께는, 기재 필름과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캐리어 필름의 두께는, 유리 필름의 두께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캐리어 필름의 두께를 Tcf, 유리 필름의 두께를 Tg로 할 때, 0.8≤Tcf/Tg≤2를 충족하여도 된다.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의 취급성은, 대략 캐리어 필름의 굽힘 강성에 지배된다. 따라서, 캐리어 필름의 25℃에서의 굽힘 강성은, 캐리어 필름의 25℃에서의 굽힘 강성보다도 커도 된다. 이 경우, 장척 적층체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단, 캐리어 필름 및 유리 필름의 굽힘 강성은 각각 같은 폭을 갖는 캐리어 필름 및 유리 필름의 시험편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굽힘 강성은 시험편의 폭에 의해 수치가 변화한다.
<물성의 측정 방법 3>
(6) 굽힘 강성
캐리어 필름의 굽힘 강성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된다.
굽힘 강성=E×bh3/12
(식 중, E는 캐리어 필름의 25℃에서의 인장 탄성률(Pa)이고, b는 시험편의 폭(m)이며, h는 시험편의 두께(m)를 나타낸다.)
캐리어 필름이나 세퍼레이터의 인장 탄성률(E)(Pa)은, 오토그래프(예컨대, 주식회사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의 정밀 만능 시험기)에서 측정할 수 있다.
[장척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장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이하, '제조 방법 A'라고 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조 방법 A는 대략 4개의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단계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제2 단계는, 제2 원료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제3 단계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와 제2 원료 시트로부터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제4 단계는,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를 추가로 처리하는 단계이다.
<제1 단계>
제1 단계는, 제1 원료 시트를 준비하는 제1 공정을 포함한다. 제1 원료 시트는 장척의 캐리어 필름과 장척의 세퍼레이터를 제1 점착부로 첩합한 적층체이다. 이 시점에서는, 장척의 세퍼레이터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이다. 즉, 제1 원료 시트에 포함되는 세퍼레이터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의 원료이다.
제1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롤 투 롤 방식으로 행하여도 된다. 즉, 제1 공정은, 권출부에 의해, 롤상으로 감긴 제1 원료 시트를 권출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권출된 제1 원료 시트는, 후속의 프로세스에 공급된다.
제1 공정에 이어서, 세퍼레이터에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박리 예정부를 감싸도록, 제1 점착부에 이르는 슬릿을 형성하는 제2 공정이 행하여진다. 슬릿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레이저를 이용하는 하프 컷의 기술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롤 투 롤 방식에서는, 권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도중 혹은 반송이 정지되어 있을 때의 제1 원료 시트의 일부분에 대하여 슬릿의 형성이 행하여져도 된다. 제2 공정이 행하여진 원료 시트는, 일단, 권취부에 의해 롤상으로 권취하여도 되고, 더욱, 후속의 프로세스가 실시되고 나서 권취되어도 된다.
제2 공정에 이어서, 슬릿의 내측으로부터 복수의 박리 예정부를 제거하고, 세퍼레이터에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개구를 형성하며, 각 개구로부터 제1 점착부를 노출시키는 제3 공정이 행하여진다. 제1 점착부는, 유동성을 갖는 제1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박리 예정부는 제1 점착부로부터 박리 가능하다.
제3 공정에 이어서, 복수의 개구의 내측에, 평면시에서, 개구보다도 사이즈가 작은 복수의 유리 필름이 배치된다. 그때, 유리 필름의 측면(외주)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이 이간하도록 유리 필름이 배치된다. 이로써, 유리 필름은, 제1 점착부를 개재하여 캐리어 필름에 첩부된다. 그 결과,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가 얻어진다.
본 개시는, 예컨대, 상기의 일례의 제조 방법의 제1 단계에서 얻어지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에도 관한 것이다.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는, 장척의 캐리어 필름과,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장척의 세퍼레이터와, 복수의 개구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유리 필름과, 캐리어 필름과 세퍼레이터의 사이에 개재함과 함께 캐리어 필름과 복수의 유리 필름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점착부를 구비한다. 단, 유리 필름의 외주를 획정하는 측면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은 이간하고 있다. 즉, 세퍼레이터의 복수의 개구의 내측에는, 평면시에서, 개구보다도 사이즈가 작은 복수의 유리 필름이, 유리 필름의 측면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이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를 얻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프로세스는 롤 투 롤 방식에서, 도 4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순차 진행된다. 도 4의 (a)는 제1 공정의 적어도 일부의 프로세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권출부(1)에 의해, 롤상으로 감긴 제1 원료 시트(456)를 권출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제1 원료 시트(456)는 장척의 캐리어 필름(500)과 장척의 세퍼레이터(400)를 제1 점착부(600)로 첩합한 적층체이다. 권출된 제1 원료 시트(456)는, 후속의 제2 공정에 공급된다.
도 4의 (b)는 제2 공정의 적어도 일부의 프로세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레이저를 이용한 하프 컷 장치(2)에 의해, 슬릿(S)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슬릿은 직사각형의 개구를 그리도록 형성된다. 슬릿(S)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박리 예정부(410)이다.
도 4의 (c)는 제3 공정의 적어도 일부의 프로세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박리 예정부(410)가 박리되고, 제거되어, 개구(OP)가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박리 예정부(410)는 예컨대, 캐리어 필름(500)의 하방으로부터 박리 예정부(410)의 상류 측 단부를 밀어 올려, 부상한 상류 측 단부를 인장함으로써 박리할 수 있다.
도 4의 (d)는, 제4 공정의 적어도 일부의 프로세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형성된 개구(OP)의 내측에, 평면시에서, 개구(OP)보다도 사이즈가 작은 복수의 유리 필름(UTG)(200)이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단면 모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200)은, 그의 측면(외주)과 세퍼레이터(400)의 개구(OP)의 내벽의 사이에 간극(SP)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유리 필름(200)의 측면과 세퍼레이터(400)의 개구의 내벽의 이간 거리는, 예컨대, 0.5mm 이상(예컨대, 0.5mm 이상 1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1.6mm 이하)으로 제어된다. 이로써,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가 얻어진다.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는, 한 쌍의 닙 롤(3a, 3b)의 닙을 통과시켜 유리 필름(200)을 제1 점착부(600)에 압부하여도 된다. 그 후,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는 도 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부(4)에 의해 롤상으로 권취되어도 된다.
도시예에서는, 장방형의 유리 필름(200)의 긴 방향과 장척의 캐리어 필름의 MD 방향이 평행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유리 필름(200)의 긴 방향과 MD 방향의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에서의 유리 필름(200)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4에서 나타낸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와 같은 타입이다. 도 5의 (b)는 장방형의 유리 필름(200)의 긴 방향과 장척의 캐리어 필름의 TD 방향이 평행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c)는 장방형의 유리 필름(200)의 긴 방향과 장척의 캐리어 필름의 TD 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플렉서블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의 표시 패널 등에 이용되는 광학 적층체인 경우, 유리 필름은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유리 필름을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는 방향(즉, 유리 필름을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킬 때에 형성되는 둘레면(周面)의 원주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할 때, 제1 방향과 MD 방향이 평행(제1 방향과 TD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에서의 유리 필름의 배치 방향을 결정하여도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조 방법 A의 제2 단계부터 제4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장척 적층체(10D(10C))를 얻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례의 일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에 이어지는 장척 적층체(10C)를 얻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례의 일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6a, 6b에서는, 생략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R 모따기되어, 파선으로 그려진 사각으로 둘러싸고 있다.
<제2 단계>
제2 단계는 장척의 기재 필름(100)과, 기재 필름(100)에 도공된 제1 접착제(300a)를 포함하는 제2 원료 시트(130)를 준비하는 제5 공정을 포함한다. 예컨대, 롤상으로 감긴 장척의 기재 필름(100)으로부터 기재 필름(100)이 권출되고, 권출된 부분에 연속적으로 제1 접착제(300a)가 도공된다.
제1 접착제(300a)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에어 닥터 코팅, 블레이드 코팅, 나이프 코팅, 리버스 코팅, 트랜스퍼 롤 코팅, 그라비아 롤 코팅, 키스 코팅, 캐스트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슬롯 오리피스 코팅, 캘린더 코팅, 전착(電着) 코팅, 딥 코팅, 다이 코팅 등의 코팅법; 플렉소 인쇄 등의 볼록판 인쇄법, 다이렉트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그라비아 인쇄법 등의 오목판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등의 평판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공판(孔版) 인쇄법 등의 인쇄법을 들 수 있다.
제1 접착제(300a)의 도막의 두께는, 예컨대, 0.5㎛ 이상 20㎛ 이하이고, 1㎛ 이상 15㎛ 이하이어도 되며, 3㎛ 이상 10㎛ 이하이어도 된다.
제5 공정에서, 제1 접착제(300a)의 도막을 충분히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후속의 프로세스에서, 제1 접착제(300a)의 일부를 제2 접착부(310)의 형성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속의 프로세스에서 제2 접착제(310a)를 별도 이용하는 작업은 생략할 수 있다.
<제3 단계>
제3 단계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와 제2 원료 시트(130)를 적층하는 제6 공정을 포함한다.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의 유리 필름(200)(및 세퍼레이터(400))은 제2 원료 시트(130)와, 제1 접착제(300a)의 도막을 개재하여 첩부된다.
제1 접착제(300a)의 도막이 충분히 두껍고, 예컨대 5㎛ 이상 1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 접착제(300a)의 일부는, 제2 접착제(310a)로서, 유리 필름(200)의 측면(외주)과 세퍼레이터(400)의 개구(OP)의 내벽의 사이의 간극(SP)(도 4의 (d) 참조)에 침입하여, 유리 필름(200)의 측면을 덮는다.
또한,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의 유리 필름(200)이 배치되어 있는 측에도 제1 접착제(300a)의 도막을 형성하여도 된다. 그의 두께는, 예컨대, 0.5㎛ 이상 5㎛ 이하이고, 0.5㎛ 이상 3㎛ 이하이어도 된다. 제1 접착제를,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의 유리 필름(200) 측에도 도공하는 경우, 제1 접착부가 비교적 얇아도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와 기재 시트(100)의 높은 접착력이 얻어진다. 이는, 유리 필름(200)의 측면(외주)과 세퍼레이터(400)의 개구(OP)의 내벽의 사이의 간극(SP)에, 양호한 상태의 제2 접착부가 형성되는 것과도 관련된다. 제1 접착부의 두께는, 예컨대, 0.1㎛ 이상 10㎛ 이하이고, 0.5㎛ 이상 5㎛ 이하이어도 되며, 0.5㎛ 이상 3㎛ 이하이어도 되고, 0.5㎛ 이상 1㎛ 이하이어도 된다.
제1 접착제(300a)의 일부가 제2 접착제(310a)로서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6 공정의 전(즉,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와 제2 원료 시트(130)를 적층하기 전)에, 유리 필름(200)의 측면(외주)과 세퍼레이터(400)의 개구(OP)의 내벽의 사이의 간극(SP)에, 제2 접착제(310a)를 충전하고, 유리 필름(200)의 측면을 덮는 공정을 더욱 행하여도 된다.
제1 접착제(300a)가 UV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2456)와 제2 원료 시트(130)의 적층물에 대하여 UV 조사 공정이 행하여진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별도 이용되는 제2 접착제(310a)에도 UV 경화형 접착제가 이용된다. 단, 제1 접착제(300a)의 경화는, 다른 수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UV 조사에 의해, 제1 접착제(300a)로부터 제1 접착부(300)가 형성되고, 제2 접착제(310a)로부터 제2 접착부(310)가 형성된다.
제1 접착제(300a)는 제1 접착부(300)와 유리 필름(200)의 사이의 접착력, 및 제1 접착부(300)와 세퍼레이터(400)의 사이의 접착력이, 어느 것도, 예컨대 0.1N/mm 이상이 되도록 선택된다.
제6 공정에 의해, 기재 필름(100)과, 세퍼레이터(400)와, 제1 접착부(300)와, 제1 접착부(300)와 접착하는 복수의 유리 필름(200)을 포함하는 장척 적층체(10C)가 형성된다. 이 단계에서는, 캐리어 필름(500)이 제1 점착부(600)를 개재하여 유리 필름(200)과 첩부된 상태이다. 즉,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10D)가 얻어진다.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10D)는 그 후, 임의의 공정으로서 롤상으로 권취되어도 된다.
<제4 단계>
제4 단계는,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10D)를 더욱 처리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10D)로부터 캐리어 필름(500)과 제1 점착부(600)를 박리하여 장척 적층체(10C)를 얻는 제7 공정이 행하여진다. 제7 공정 후, 장척 적층체로부터, 소정의 절단선을 따라, 유리 필름마다 개편화된 적층체가 절출되는 제8 공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제7 공정의 후, 제8 공정의 전에, 유리 필름(200)의 제1 접착부(300)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표면 코트층(700)을 형성하는 제9A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유리 필름(200)의 제1 접착부(300)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에, 임의의 접착부 혹은 점착부(300A)를 개재하여, 기술한 기재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기재 필름(100A)을 적층하는 제9B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
표면 코트층(700)으로서는, 예컨대, 내(耐)지문 코트층,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 방오층, 스티킹 방지층, 색상 조정층, 대전 방지층, 이접착층, 성분 석출 방지층, 충격 흡수층, 비산 방지층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코트층은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내지문 코트층은 예컨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포함한다. 그 외의 표면 코트층은, 예컨대, 아크릴계 코팅제, 멜라민계 코팅제, 우레탄계 코팅제, 에폭시계 코팅제, 실리콘계 코팅제, 무기계 코팅제 등으로 형성된다. 코팅제에는, 실란 커플링제, 착색제, 염료, 안료, 충전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산화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방오재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공정보다도 전에, 기재 필름(100)의 제1 접착부(300)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이면)에, 임의의 접착부 혹은 점착부(제2 점착부 또는 제3 접착부)를 개재하여, 임의의 필름 부재를 적층하는 제10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 제10 공정은, 제7 공정 전에 행하여도 되고, 제7 공정 후에 행하여도 된다. 임의의 필름 부재는, 기술한 광학 필름이어도 되고, 세퍼레이터이어도 된다. 이면에 적층되는 필름 부재는, 적층체의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이면에 적층되는 필름 부재는, 1매이어도 되고, 2매 이상이어도 된다.
장척 적층체로부터 소정의 절단선을 따라 적층체를 개편화하는 제8 공정에서, 절단선은 적어도 제1 부분을 포함하고, 더욱 제2 부분을 포함하여도 된다. 도 7은 장척 적층체(10C)로부터 적층체가 개편화되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1 부분(LA)은 유리 필름(200)의 측면과 세퍼레이터(400)의 개구의 내벽의 사이의 영역에, 유리 필름(200)의 측면으로부터 이간하여, 또한 유리 필름(200)을 둘러싸도록 설정된다. 절단선의 제1 부분(LA)은 균열되기 쉬운 유리 필름(200)을 절단하지 않는 영역에 설정되기 때문에, 절단이 매우 용이하다.
제2 부분(LB)은 장척 적층체(10C)의 폭 방향의 일단부터 다른 단까지, 유리 필름(200)을 횡단하지 않는 부분에 설정된다(도 7의 (a)). 제2 부분(LB)을 따라 장척 적층체(10C)를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유리 필름(200)(도시예에서는 9개)을 포함하는 대판(大判) 시트(10E)가 형성된다(도 7의 (b)). 대판 시트(10E)의 길이는, 취급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택된다. 그 후, 제1 부분(LA)을 따라 대판 시트(10E)가 절단되어, 대판 시트(10E)로부터 개편화된 적층체(10)가 절출된다(도 7(c)).
개편화된 적층체를 얻는 공정(즉 장척 적층체를 절단하는 공정)은, 어떠한 절단 방법을 이용하여도 되지만, 장척 적층체 혹은 대판 시트를 레이저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는 방법이 신속하고 또한 정확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레이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반도체 레이저, CO2 레이저와 같은 가스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6 공정 후, 임의의 타이밍에, 굴곡 검사를 행하여도 된다. 굴곡 검사에서는, 유리 필름(200)에서의 균열의 발생의 유무가 확인된다.
[장척 적층체의 굴곡 검사 방법]
굴곡 검사 방법은 예컨대, 장척 적층체의 한쪽 면을, 굴곡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제1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을 따라, 포각 150° 이상으로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굴곡 검사 방법에 따르면, 장척 적층체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리 필름의 굴곡 검사를, 장척 적층체를 반송하면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즉, 종래와 같이, 개편화된 적층체의 유리 필름의 굴곡 검사를 개개의 적층체에 대하여 행할 필요가 없어, 수고와 시간을 큰 폭으로 덜 수 있다.
여기에서도,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을 1×108Pa 이상으로 함으로써, 굴곡 검사 방법에서, 장척 적층체에 포함되는 유리 필름이 균열되는 확률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장척 적층체는, 굴곡 검사에서, 장척 적층체 자신에 포함되는 모든 유리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균열이 발생하는 확률이, 개수 기준으로 30% 이하, 나아가서는 20% 이하인 경우에는, 사실상,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간주하여도 된다.
곡률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는, 예컨대, 반경 5mm 이하의 롤러이어도 된다. 반경 5mm 이하의 롤러의 회전축의 방향의 길이는, 장척 적층체의 짧은 방향(폭 방향)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부재인 롤러 자체가 휘어져(약간 만곡되어), 롤러의 축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둘레면과 장척 적층체가 충분히 압력으로 접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생긴다. 한편, 백 업 롤러를 이용함으로써, 제1 가이드 부재인 롤러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곡률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단면에 포함하는 판상 부재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판상 부재는, 그의 단면에, 곡률 반경 5mm 이하의 롤러의 둘레면의 일부와 마찬가지의 둘레면을 포함한다. 한편, 판상 부재의 단면은 롤러와 같은 휨, 혹은 만곡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의 축방향에서의 중앙부와 장척 적층체가 항상 충분한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둘레면의 축'이란, 둘레면의 곡률을 규제하는 곡률 반경의 중심의 집합을 말한다. 또한, '포각'은,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 중, 장척 적층체와 접촉하는 부분을 둘레면의 축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원호의 중심각에 대응한다. 예컨대, 복수의 롤을 가이드 부재로서 이용하는 경우, 포각은 롤로부터 롤을 향하는 장척 적층체의 굴곡 각도에 상당한다.
굴곡 검사 방법은, 상기와 같이 가이드 부재에 의해 반송된 장척 적층체의 다른 쪽 면을, 더욱 굴곡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다른 가이드 부재(제2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을 따라, 포각 150° 이상으로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이 공정을 행하는 경우, 장척 적층체는, 큰 곡률로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의 양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굽혀진다. 여기에서도, 균열이 발생하는 확률이, 개수 기준으로 30% 이하, 나아가서는 20% 이하인 경우, 사실상,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간주하여도 된다.
유리 필름은,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여 사용되는 유리 필름이어도 된다. 유리 필름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타이밍에 둥글게 되거나, 혹은 굴곡되어도 된다. 유리 필름은, 소정의 방향으로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여 사용되는(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는 방향이 미리 정해져 있는) 유리 필름이어도 된다. 유리 필름을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는 방향(즉, 유리 필름을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할 때에 형성되는 둘레면의 원주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하면, 제1 방향과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의 원주 방향은 평행이어도 된다. 즉, 유리 필름은,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의 법선 방향으로 볼록 또는 오목해지도록 둥글게 하고, 또는 굴곡시켜 사용되는 유리 필름일 수 있다. 유리 필름은, 예컨대, 제1 방향으로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여 사용되는 표시 패널용의 전면판(前面板)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굴곡 검사 방법에 의하면, 이와 같은 유리 필름의 내굴곡성을 용이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굴곡 검사 방법은, 장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어도 된다. 즉, 굴곡 검사의 공정이 제조 방법의 공정의 일부이어도 된다. 예컨대, 장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장척 적층체의 한쪽 면을, 굴곡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을 따라 포각 150° 이상으로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유리 필름이, 제1 방향으로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여 사용되는 유리 필름인 경우에는, 제1 방향과 제1 가이드 부재의 원주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도 된다. 즉, 유리 필름은, 제1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의 법선 방향으로 볼록 또는 오목해지도록 둥글게 하고, 또는 굴곡시켜 사용되는 유리 필름이어도 된다. 제조 방법 A의 경우, 굴곡 검사의 공정은, 제6 공정 후이면, 임의의 타이밍에 행하면 된다.
장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더욱 제1 가이드 부재에 의해 반송된 장척 적층체의 다른 쪽 면을, 곡률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을 따라 포각 150° 이상으로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유리 필름이, 제1 방향으로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여 사용되는 유리 필름인 경우에는, 제1 방향과 제2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의 원주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도 된다. 즉, 유리 필름은, 제2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의 법선 방향으로 볼록 또는 오목해지도록 둥글게 하고, 또는 굴곡시켜 사용되는 유리 필름이어도 된다. 굴곡 검사에서, 장척 적층체가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으로 순차적으로 굽혀진 후, 롤 상으로 권취되는 경우, 유리 필름이 내측을 향하도록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방향은, 장척 적층체의 긴 방향(MD 방향)에 평행하여도 되고, MD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도 8은, 장척 적층체(10C)가 가이드 부재인 반경 5mm 이하의 롤러(5)의 둘레면을 따라 반송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는 장척 적층체(10C)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8의 (b)는 가이드 부재(5) 및 백업 롤러(6)의 b-b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유리 필름을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는 방향인 제1 방향은, MD 방향에 평행하다. 롤러(5)는 장척 적층체(10C)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도록 백업 롤러(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9는, 장척 적층체(10C)가 가이드 부재인 판상 부재(7)의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7s)을 따라 반송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는 장척 적층체(10C)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9의 (b)는 가이드 부재(7)의 b-b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점(7c)은 둘레면(7s)의 곡률 반경의 중심이다. 유리 필름을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는 방향인 제1 방향은, MD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또한 주면(7s)의 원주 방향과 평행하다.
또한, 굴곡 검사 방법의 대상이 되는 장척 적층체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장척 적층체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 필름을 포함하는 장척 적층체이면, 어떠한 장척 적층체이어도 굴곡 검사 방법의 대상이 되고, 유리 필름의 굴곡성을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굴곡 검사 방법은, 임의의 장척 적층체의 한쪽 면을, 굴곡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을 따라 포각 150° 이상으로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검사 방법이어도 된다. 그와 같은 검사 방법은, 제1 가이드 부재에 의해 반송된 임의의 장척 적층체의 다른 쪽 면을, 또한 굴곡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을 따라 포각 150° 이상으로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여기서도, 유리 필름은 제1 방향으로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여 사용되는 유리 필름이며, 제1 방향과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의 원주 방향은 평행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임의의 장척 적층체가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유리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에, 본 개시에 관한 굴곡 검사 방법은 적합하다. 복수의 유리 필름의 모두, 혹은 대부분의 굴곡성을 일련의 공정에서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복수의 유리 필름은, 점착부에서 장척의 기재 필름에 첩부되어 있어도 된다. 단, 반송 시의 유리 필름의 기재 필름으로부터의 박리를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기술한 제1 접착부 혹은 제2 접착부와 같은 접착부에서 유리 필름과 기재 필름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접착부와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은, 예컨대, 0.1N/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이하의 재료를 준비하였다.
(기재 필름)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다이아호일 S100(등록상표)')을 준비하였다.
(유리 필름)
두께 30㎛의 초박판 유리(닛폰 덴키 글라스 주식회사 제조 'G-leaf(등록상표)')를 준비하였다. 유리 필름의 평면시의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사이즈는 30mm×120mm로 하였다.
(접착제 A)
이하의 재료를 배합하여,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접착제 A)을 조제하였다.
지환식 에폭시 수지(주식회사 다이셀 제조 '셀록사이드 2021P', 에폭시 당량 128~133g/eq.) 70질량부
3관능 지방족 에폭시 수지(주식회사 다이셀 제조 'EHPE3150', 에폭시 당량 170~190g/eq.) 5질량부
옥세탄계 수지(도아 고세이 주식회사 제조 '아론옥세탄') 19질량부
실란 커플링제(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KBM-403') 4질량부
광산 발생제(트리아릴설포늄염, 선 아프로 주식회사 제조 'CPI101A') 2질량부
[적층체의 형성]
유리 필름에 접착층 A를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그 후, 기재 필름을 도막에 첩합하였다. 그 후, 유리 필름 측으로부터 도막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도막을 경화시켜, 유리 필름과 기재 필름의 사이에 개재하는 두께 3㎛의 접착부를 형성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단, 적층체를 평면시하였을 때에 유리 필름의 측면이 기재 필름의 측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도록 적층체를 형성하였다. 기재 필름의 사이즈를 변경함으로써, 유리 필름의 측면으로부터 기재 필름의 측면까지의 이간 거리 G1을 변화시켰다. 실시예 1~5에서의 이간 거리 G1을 표 1에 나타낸다.
<평가>
이하의 순서로 점착제를 조제하고, 다른 필름 부재의 대체인 기재 필름 위에 점착부를 형성하며, 점착부에 상기 적층체를 첩부하여 평가용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즉, 샘플은,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과 이들을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는 적층체가, 다른 필름 부재(광학 필름 등)와 적층된 제품을 모방하고 있다.
(점착제)
이하의 재료를 배합하고, 배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하여, 베이스 폴리머 조성물(중합률: 약 10%)을 얻었다.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43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44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6질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7질량부
바스프(BASF)사 제조 '이르가큐어 184(등록상표)' 0.015질량부
별도, 이하의 순서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조제하였다. 먼저, 이하의 재료를 혼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70℃에서 1시간 교반하여, 중합액을 얻었다.
메타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DCPMA) 60질량부
메타크릴산 메틸(MMA) 40질량부
α-티오글리세롤 3.5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
중합액에,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질량부를 투입하고, 7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80℃로 승온하고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130℃로 가열하고, 톨루엔, 연쇄 이동제 및 미반응 모노머를 건조 제거하여, 고형상의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얻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100이었다. 유리전이온도(Tg)는 130℃이었다.
베이스 폴리머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7질량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1질량부, 실란 커플링제(신에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KBM403') 0.3질량부를 첨가한 후,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착제를 조제하였다.
점착제를,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기재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그 후, 동일하게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기재 필름을 도막에 첩합하였다. 다음으로, 도막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한 쌍의 기재 필름에 끼워진 두께 25㎛의 점착부를 형성하였다. 그 후, 한쪽의 기재 필름을 박리하고, 기재 필름 위에 형성된 점착부를 얻었다.
[샘플의 제작]
기재 필름, 유리 필름 및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접착부로 구성된 적층체의 기재 필름 측을, 상기의 다른 기재 필름 위에 형성된 점착부에 첩부하여, 하중비(단부/중앙부)를 구하기 위한 압입 시험용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기술한 방법으로, 적층체의 단부의 허용 하중(W1) 및 중앙부의 허용 하중(W2)을 측정하고, W1/W2비를 하중비(단부/중앙부)로서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접착부의 압입 탄성률(E)을, 별도 준비한 접착부의 시험편을 이용하여, 기술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기재 필름 위에 형성된 점착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압입 탄성률(E)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기재 필름, 유리 필름 및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접착부로 구성된 적층체를 이용하여, 기술한 방법으로, 접착부와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접착력은 1N/mm이었다.
실시예 1~5의 평가 결과를, 후술하는 비교예 1~3의 평가 결과와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중, 적층체 A1~A5는 실시예 1~5에 대응하고, 적층체 B1~B3은 비교예 1~3에 대응한다. 표 중의 기호는 이하를 나타내고 있다.
E: 압입 탄성률(Pa)
W1: 단부의 허용 하중(g)
W2: 중앙부의 허용 하중(g)
W1/W2: 하중비(단부/중앙부)
[표 1]
《비교예 1》
기재 필름 위에 형성된 점착부에 유리 필름을 직접 첩부한 샘플을 제작하고, 기술한 방법으로, 적층체의 단부의 허용 하중(W1) 및 중앙부의 허용 하중(W2)을 측정하여, 하중비(단부/중앙부)(W1/W2)를 산출하였다.
《비교예 2》
기재 필름의 사이즈를 작게 하고, 적층체를 평면시하였을 때의 유리 필름의 측면을 기재 필름의 측면보다도 100㎛만 외측에 위치시킨 것 이외에,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층체를 형성하며,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3》
(접착제 B)
이하의 재료를 배합하여, 아크릴계 접착제 조성물(접착제 B)을 조제하였다. 접착제 B를 이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적층체를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기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에스테르모노머) 75질량부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KJ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의 아미드기 함유 비닐 모노머) 25질량부
광중합 개시제(바스프사 제조 '이르가큐어 819') 0.5질량부
비교예 1에서는, 단부의 허용 하중(W1) 및 중앙부의 허용 하중(W2)이 함께 매우 낮고, 450g 혹은 500g 미만의 하중에서 유리 필름에 균열이 생겼다. 이는, 점착부가 부드러워 압입 하중이 작기 때문에, 유리 필름을 가압하는 힘이 완화되지 않고, 유리 필름에 생기는 스트레인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2에서는, 중앙부의 허용 하중(W2)은 충분히 크지만, 단부의 허용 하중(W1)이 불충분하다. 그 결과, W1/W2로 나타내는 하중비(단부/중앙부)는 0.9보다 작아져 있다. 이는, 유리 필름의 단부가 기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기재 필름이 유리 필름의 단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비교예 3에서는, 점착부에 비하면 훨씬 큰 압입 탄성률을 갖는 접착부를 형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접착부의 압입 탄성률이 1×108Pa에 미치지 않는 점에서, 단부의 허용 하중(W1) 및 중앙부의 허용 하중(W2)이 함께 불충분하다.
한편, 실시예 1~5에서는, 어느 것도, 단부의 허용 하중(W1) 및 중앙부의 허용 하중(W2)이 함께 충분히 크고, W1/W2로 나타내는 하중비(단부/중앙부)는 0.9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5를 대비하면, 유리 필름의 측면으로부터 기재 필름의 측면까지의 이간 거리 G1은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6~10》
이하의 재료를 준비하여, 장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기재 필름)
치수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기재 필름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50m의 장척이고, 폭 450mm,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다이아호일 S100(등록상표)')을 준비하였다.
(캐리어 필름)
길이 50m의 장척이고, 폭 450mm이며, 표 2에 나타내는 소정의 두께(38㎛ 또는 125㎛)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다이아호일 S100(등록상표)')을 준비하였다. 캐리어 필름의 인장 탄성률(25℃), 90℃에서의 열수축률 및 굽힘 강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세퍼레이터)
실시예 6~8, 10에서는, 길이 50m의 장척이고, 폭 450mm, 두께 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다이아호일 S100(등록상표)')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9에서는, 길이 50m의 장척이고, 폭 450mm, 두께 40㎛의 아크릴 수지 필름을 준비하였다. 아크릴 수지 필름은, 글루타르이미드환 단위를 포함하는 메타크릴 수지 펠릿을, 압출 성형에 의해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그 후, 연신함으로써 형성하였다. 세퍼레이터의 인장 탄성률(25℃), 90℃에서의 열수축률 및 굽힘 강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유리 필름)
복수의 두께 30㎛의 초박판 유리(닛폰 덴키 글라스 주식회사 제조 'G-leaf(등록상표)')를 준비하였다. 유리 필름의 평면시의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사이즈는 65mm×150mm로 하였다.
(접착제 A)
실시예 1~5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접착제 A)을 조제하였다. 접착제 A로 형성되는 제1 접착부의 압입 탄성률은 5GPa이었다.
(점착제)
실시예 6~8, 10에서는,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의 RP207에 사용되고 있는 점착제를 사용하였다. 즉, 실시예 6~8, 10에서는, RP207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얻어지는 캐리어 필름(38㎛)과 점착부(20㎛)의 적층체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9에서는, 부틸아크릴레이트(BA) 90질량부, 아크릴산(AA) 10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질량부, 초산에틸 234질량부를 도입하고,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63℃ 부근으로 유지하고 약 7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고, 아크릴계 폴리머 (A) 용액(30질량%)을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만이고, Tg는 -50℃이었다. 아크릴계 폴리머 (A) 용액(30질량%)을 초산에틸로 20질량% 희석하고, 이 용액에 대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100질량부(고형분)당, 가교제로서 에폭시계 가교제(미쓰비시 화학 주식회사 제조, TETRAD-C) 11질량부를 첨가하여, 25℃ 부근으로 유지하고 약 1분간 혼합 교반을 행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를 캐리어 필름(125㎛)의 편면에 도포하고, 140℃에서 60초간 가열하여, 두께 20㎛의 점착부를 형성하였다.
[장척 적층체의 형성]
<제1 단계>
제1 단계에서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를 준비하였다.
먼저, 제1 원료 시트를 준비하였다. 제1 원료 시트는 장척의 캐리어 필름과 장척의 세퍼레이터를 제1 점착부로 첩합한 적층체이다. 구체적으로는, 표 2에 나타내는 두께의 캐리어 필름(PET 필름)에 롤 투 롤 방식으로 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후, 캐리어 필름에 표 2에 나타내는 두께의 세퍼레이터(PET 필름)를 첩부하여 제1 원료 시트를 형성하였다. 제1 원료 시트에서, 점착제에 의한 점착부의 두께는 20㎛이었다.
다음으로, 세퍼레이터에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박리 예정부를 감싸도록, 점착부에 이르는 슬릿을 형성하였다. 슬릿은, 레이저를 이용하는 하프 컷 기술에 의해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슬릿의 내측으로부터 복수의 박리 예정부를 제거하여, 세퍼레이터에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개구를 형성하였다. 개구의 사이즈는 75mm×160mm이다. 각 개구로부터 점착부를 노출시켰다. 개구끼리의 간격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0mm로 하였다.
다음으로, 복수의 개구의 내측에, 평면시에서, 복수의 유리 필름(사이즈 65mm×150mm)을 배치하였다. 그 때, 유리 필름의 측면(외주)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의 이간 거리 G3은 5mm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캐리어 필름의 일부 영역에 4매×5열(합계 20매)의 유리 필름을 포함하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를 롤 투 롤 방식으로 얻었다.
<제2 단계>
제2 단계에서는, 제2 원료 시트를 준비하였다.
제2 원료 시트는 장척의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에 도공된 제1 접착제를 포함하는 적층체이다. 구체적으로는, 표 2에 나타내는 두께의 기재 필름(PET 필름)에 롤 투 롤 방식으로 접착제 A를 도포하였다. 접착제 A의 도막의 두께는, 표 2에 나타내는 바(3㎛ 또는 6㎛)와 같다.
<제3 단계>
제3 단계에서는,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와 제2 원료 시트로부터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를 준비하였다. 즉,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와 제2 원료 시트를 적층하고,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의 유리 필름 및 세퍼레이터를 제2 원료 시트와 접착제 A의 도막을 개재하여 첩부하였다.
실시예 10의 경우,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의 유리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측에도 두께 1㎛로 접착제 A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접착제 A의 일부는, 제2 접착제로서, 유리 필름의 측면(외주)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의 사이의 간극에 침입하여, 유리 필름의 측면을 덮었다.
접착제 A는 UV 경화형 접착제이다. 따라서,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와 제2 원료 시트의 적층물에 대하여 UV 조사를 행하고, 접착제 A를 경화시켜, 제1 및 제2 접착부를 형성하였다.
<제4 단계>
제4 단계에서는,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로부터 캐리어 필름과 점착부를 박리하여 장척 적층체를 얻고, 장척 적층체로부터, 소정의 절단선을 따라, 유리 필름마다 개편화된 적층체를 절출하였다.
절단선은, 유리 필름의 측면과 세퍼레이터의 개구의 내벽의 사이의 영역에, 유리 필름의 측면으로부터 2.5mm 이간하고, 또한 유리 필름을 둘러싸도록 설정하였다.
<평가>
제1 접착부의 두께를 측정함과 함께, 기술한 방법으로, 기재 필름(제1 접착부)과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 및 기재 필름(제1 접착부)과 세퍼레이터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개편화 후의 20매의 적층체의 유리 필름 단부의 접착 불량의 유무를 관찰하고, 유리 필름의 단부에 기재 필름으로부터의 들뜸이 없는 적층체를 합격품으로 하였다. 합격품의 비율이 70% 이상인 경우를 ○, 30% 이상 70% 미만인 경우를 △, 30% 미만인 경우를 ×로 하여 표 2에 표시하였다.
또한, 개편화 후의 20매의 적층체의 유리 필름 단부의 외관(크랙의 유무)을 관찰하고, 크랙이 없는 적층체를 합격품으로 하였다. 합격품의 비율이 70% 이상인 경우를 ○, 30% 이상 70% 미만인 경우를 △, 30% 미만인 경우를 ×로 하여 표 2에 표시하였다. 표 2 중, 적층체 A6~A10은 실시예 6~10에 대응한다.
[표 2]
유리 필름 및 세퍼레이터와 제1 접착부의 접착력은, 기재 필름에 도공되는 접착제 A의 두께가 커져, 그의 결과로서 제1 접착부의 두께가 커질수록, 안정된 경향이 보여졌다. 또한, 캐리어 필름의 열수축률을 작게 하는 것, 혹은 굽힘 강성을 크게 함으로써, 접착력이 현저히 향상되는 경향이 보여졌다. 또한, 기재 필름 측뿐만 아니고, 유리 필름 측에도 접착제 A를 도공함으로써, 접착력이 보다 안정되었다. 이는, 양호한 제2 접착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한편, 세퍼레이터의 열수축률이 커지면, 접착력은 저하되는 경향이 보여졌다.
《실시예 11~13》
캐리어 필름으로서 실시예 9(A9)에서 이용한 캐리어 필름을 이용하고, 또한,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장척 적층체를 제작하며, 개편화하여 적층체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의 유리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측에도 두께 1㎛로 접착제 A의 도막을 형성한 것 이외에,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장척 적층체를 제작하고, 개편화하여 적층체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3》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기재 필름의 점착부에 복수의 유리 필름을 늘어놓아 배치하고,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를 제작한 것 이외에,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장척 적층체를 제작하며, 개편화하여 적층체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1~14 및 비교예 3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중, 적층체 A11~A14는 실시예 11~14에 대응하고, 적층체 B3은 비교예 3에 대응한다.
[표 3]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유리 필름의 두께(30㎛)보다도 커지면, 일부의 개편화된 적층체는, 접착 불량이 보였지만, 대체로 양호한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단, 기재 필름 측뿐만 아니고, 유리 필름 측에도 접착제 A를 도공함으로써, 그와 같은 접착 불량은 보여지지 않게 되었다. 또한, 비교예 3의 적층체 B3에서는, 유리 필름이 세퍼레이터로 둘러 싸여있지 않고, 유리 필름의 단부가 무방비이기 때문에, 제조 프로세스의 도중에 단부에 크랙을 갖는 적층체가 산발적으로 보였다.
본 개시는, 예컨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의 표시 패널에 이용되는 광학 적층체의 고성능화 및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현시점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개시를 한정적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다양한 변형 및 개변은, 상기 개시를 읽음으로써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에게는 틀림없이 명확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모든 변형 및 개변을 포함한다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B: 적층체
10C, 10D: 장척 적층체
10M: 중앙부
10T: 단부
10E: 대판 시트
100: 기재 필름
130: 제2 원료 시트
200: 유리 필름
300: 제1 접착부
300a: 제1 접착제
310: 제2 접착부
456: 제1 원료 시트
400: 세퍼레이터
410: 박리 예정부
500: 캐리어 필름
600: 제1 점착부
2456: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
L1: 선분
LA: 제1 부분
LB: 제2 부분
1: 권출부
2: 하프 컷 장치
3a, 3b: 닙 롤러
4: 권취부
S: 슬릿
C1, C2: 모서리부
G1, G2, G3: 이간 거리
C3: 코너부
P: 접촉점
OP: 개구
5: 롤러
6: 백업 롤러
7: 판상 부재
7s: 둘레면
7c: 둘레면(7s)의 곡률 반경의 중심
10C, 10D: 장척 적층체
10M: 중앙부
10T: 단부
10E: 대판 시트
100: 기재 필름
130: 제2 원료 시트
200: 유리 필름
300: 제1 접착부
300a: 제1 접착제
310: 제2 접착부
456: 제1 원료 시트
400: 세퍼레이터
410: 박리 예정부
500: 캐리어 필름
600: 제1 점착부
2456: 개편화 유리 일체화 시트
L1: 선분
LA: 제1 부분
LB: 제2 부분
1: 권출부
2: 하프 컷 장치
3a, 3b: 닙 롤러
4: 권취부
S: 슬릿
C1, C2: 모서리부
G1, G2, G3: 이간 거리
C3: 코너부
P: 접촉점
OP: 개구
5: 롤러
6: 백업 롤러
7: 판상 부재
7s: 둘레면
7c: 둘레면(7s)의 곡률 반경의 중심
Claims (18)
- 장척의 기재 필름과,
긴 방향을 따라 늘어선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장척의 세퍼레이터와,
상기 복수의 개구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유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접착함과 함께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복수의 유리 필름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
를 구비하는 장척 적층체로서,
상기 유리 필름의 외주(外周)를 획정하는 측면과,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개구의 내벽이 이간하고 있는, 장척 적층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를 형성하는 제1 접착제가 자외선 경화형인, 장척 적층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의 상기 측면에 상기 제2 접착부가 배치되어 있는, 장척 적층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부를 형성하는 제2 접착제가 자외선 경화형인, 장척 적층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가, 같은 조성을 갖는 접착제인, 장척 적층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적층체의 한쪽 면을, 곡률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 부재의 상기 둘레면을 따라 포각 150° 이상으로 반송하였을 때에, 상기 유리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장척 적층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장척 적층체의 다른 쪽 면을, 추가로 곡률 반경 5mm 이하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부재의 상기 둘레면을 따라 포각 150° 이상으로 반송하였을 때에, 상기 유리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장척 적층체.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이,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상기 둘레면의 법선 방향으로 볼록 또는 오목해지도록 둥글게 하고, 또는 굴곡시켜 사용되는 유리 필름인, 장척 적층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상기 둘레면의 법선 방향으로 볼록 또는 오목해지도록 둥글게 하고, 또는 굴곡시켜 사용되는 유리 필름인, 장척 적층체.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이 1×108Pa 이상인, 장척 적층체.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와 상기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 및 상기 제1 접착부와 상기 세퍼레이터의 사이의 접착력이 둘 다 0.1N/mm 이상인, 장척 적층체.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의 상기 측면과,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개구의 내벽의 이간 거리가 0.5mm 이상인, 장척 적층체.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90℃에서의 열수축률이 1.0% 이하인, 장척 적층체. - 장척의 캐리어 필름과,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척 적층체와,
상기 세퍼레이터 및 상기 복수의 유리 필름의 상기 기재 필름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主面)과 상기 캐리어 필름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점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장척 적층체가, 상기 캐리어 필름 및 상기 제1 점착부로부터 박리 가능한,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필름의 25℃에서의 굽힘 강성이, 상기 유리 필름의 25℃에서의 굽힘 강성보다도 큰, 캐리어 필름 부착 장척 적층체. - 추가로, 장척의 필름 부재와,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척 적층체와,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복수의 유리 필름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과 상기 필름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점착부 또는 제3 접착부
를 구비하는, 필름 부재 부착 장척 적층체.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부를 형성하는 제2 점착제의 25℃에서의 압입 탄성률이 1×106Pa 이하인, 필름 부재 부착 장척 적층체.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가 100㎛ 이하인, 장척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1075415 | 2021-04-27 | ||
JPJP-P-2021-075415 | 2021-04-27 | ||
PCT/JP2022/018921 WO2022230893A1 (ja) | 2021-04-27 | 2022-04-26 | 長尺積層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1186A true KR20240001186A (ko) | 2024-01-03 |
Family
ID=8384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40326A KR20240001186A (ko) | 2021-04-27 | 2022-04-26 | 장척 적층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WO2022230893A1 (ko) |
KR (1) | KR20240001186A (ko) |
CN (1) | CN117241939A (ko) |
WO (1) | WO20222308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09995A1 (ja) * | 2023-04-04 | 2024-10-10 | 日東電工株式会社 | ガラス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積層体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8226A (ko) | 2017-12-26 | 2019-07-0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 |
JP2019199081A (ja) | 2018-05-10 | 2019-11-21 | 住友化学株式会社 | 積層体 |
KR20200090292A (ko) | 2019-01-18 | 2020-07-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44684A (ja) * | 2012-05-28 | 2013-12-09 | Ew Chemical Engineering Kk | ガラス基材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
JP6447389B2 (ja) * | 2014-10-27 | 2019-01-09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樹脂/ガラス複合体を有する積層体 |
CN109890773B (zh) * | 2016-10-26 | 2022-04-26 | 日东电工株式会社 | 带有树脂膜的玻璃卷 |
JP7029912B2 (ja) * | 2017-09-21 | 2022-03-04 | 日東電工株式会社 | 薄ガラス積層体 |
KR20210118824A (ko) * | 2019-01-23 | 2021-10-01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박유리 수지 적층체편의 제조 방법 |
-
2022
- 2022-04-26 CN CN202280031318.9A patent/CN117241939A/zh active Pending
- 2022-04-26 KR KR1020237040326A patent/KR20240001186A/ko unknown
- 2022-04-26 JP JP2023517568A patent/JPWO2022230893A1/ja active Pending
- 2022-04-26 WO PCT/JP2022/018921 patent/WO202223089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8226A (ko) | 2017-12-26 | 2019-07-0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 |
JP2019199081A (ja) | 2018-05-10 | 2019-11-21 | 住友化学株式会社 | 積層体 |
KR20200090292A (ko) | 2019-01-18 | 2020-07-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230893A1 (ja) | 2022-11-03 |
JPWO2022230893A1 (ko) | 2022-11-03 |
CN117241939A (zh) | 2023-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315573B (zh) | 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 | |
JP5855465B2 (ja) |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工業製品 | |
JP6858912B2 (ja) |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 |
KR101847980B1 (ko) | 비산 방지 효과가 강화된 전사 인쇄를 위한 무 기재 점착 테이프 | |
KR20240001186A (ko) | 장척 적층체 | |
KR20240001321A (ko) | 적층체 | |
WO2021070756A1 (ja) |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 |
WO2022230895A1 (ja) | 屈曲検査方法 | |
WO2022230894A1 (ja) | 長尺積層体または積層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個片化ガラス一体化シート | |
WO2021131218A1 (ja) |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 |
EP3951455A1 (en) | Optical film set and optical layered body | |
TW202116556A (zh) | 光學薄膜 | |
KR101648221B1 (ko) | 요철 추종성 적층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터치 패널 부착 표시장치 | |
WO2024209995A1 (ja) | ガラス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積層体 | |
JP6476442B2 (ja) |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被着体密着フィルムが貼着された工業製品 | |
JP6130476B2 (ja) | 被着体密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工業製品 | |
TW201945177A (zh) | 玻璃薄膜-樹脂複合體 | |
US12030281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resin laminated body | |
WO2023017717A1 (ja) | 個片化されたガラス部材付積層体の製造方法 | |
WO2023153052A1 (ja) | ウィンドウ用基材、多層ウィンドウ、粘着層付多層ウィンドウ、および多層ウィンドウを含む表示装置 | |
JP2024147967A (ja) | ガラス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積層体 | |
JP2021107913A (ja) |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 |
JP2023117334A (ja) | ウィンドウ用基材、多層ウィンドウ、粘着層付多層ウィンドウ、および多層ウィンドウを含む表示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