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628A - 골판지재 - Google Patents

골판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628A
KR20240000628A KR1020237043434A KR20237043434A KR20240000628A KR 20240000628 A KR20240000628 A KR 20240000628A KR 1020237043434 A KR1020237043434 A KR 1020237043434A KR 20237043434 A KR20237043434 A KR 20237043434A KR 20240000628 A KR20240000628 A KR 20240000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cardboard
liner
cardboard material
less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슌스케 시오다
šœ스케 시오다
소 사토
타카미치 야마구치
유세이 가와나미
고 반자시
쇼헤이 사나다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62419A external-priority patent/JP6798634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75603A external-priority patent/JP682259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75604A external-priority patent/JP6822594B1/ja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8Corrugated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5/00Pulp or paper, comprising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ir chemical constitution
    • D21H15/02Pulp or paper, comprising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ir chemical constitution characterised by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4/00Paper of special types, e.g. bank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골판지재(1)는, 중심지에 대해 라이너를 첩합한 골판지를 사용한 골판지재로서, 라이너에 첨가된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고, 라이너에 첨가된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0[㎜]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고,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 중,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이 23[%] 이상이면서 48[%] 이하이다.

Description

골판지재{CORRUGATED FIBERBOARD MATERIAL}
본 발명은 골판지재에 관한 것이다.
제함용 자재로서, 아코디언형(「팬 폴드」로도 칭해진다) 골판지재가 알려져 있다.
골판지재에는 연속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 사이에 접음선이 형성되고, 이 접음선에서 시트가 교대로 접혀 있다. 이러한 아코디언형 골판지재에서는, 연속하는 시트가 상하로 적층되어, 직방체 형상의 화물 형태로 절첩되어 있다.
상기 아코디언형 골판지재를 제조하기 위한 절첩 장치는, 연속하는 시트를 접음선에서 교대로 접는 폴딩 파트와, 접힌 시트를 적층하는 스태킹 파트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을 참조).
제조된 골판지재에서 화물 형태의 안정성이나 정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태킹 파트에 있어서, 접음선을 개재하여 연속한 시트끼리가 간극을 두지 않고 접한 상태로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판지재는 포장 대상의 사이즈에 따라 최적의 크기의 상자를 제조하는 제함 시스템(「자동 포장 시스템」이나 「3변 가변 시스템」, 「3변 자동 곤포」, 「온디멘드 포장」 등으로도 칭해진다)의 포장 자재에 사용된다. 이 제함 시스템에서는, 이하에 예시하는 각종 공정이 실시된다(하기 특허문헌 2를 참조).
·피드 공정: 아코디언형 골판지재를 풀어내는 공정
·컷 공정: 피드 공정에서 풀어낸 평면 형상의 골판지재를 잘라내는 공정
·폴드 공정: 컷 공정에서 잘라낸 골판지재로부터 상자를 조립하는 공정
·프린트 공정: 평면 형상 또는 조립된 골판지재에 인쇄를 실시하는 공정
·패킹 공정: 조립되는 상자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정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5-509473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3-513869호
그러나, 골판지재에 사용되는 성상에 따라서는, 접음선을 개재하여 연속한 시트 사이에 간극이 생겨(「접음선이 벌어져」) 시트를 접음선에서 접은 상태를 유지하는 성능(접힘 유지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나아가서는, 화물 형태의 안정성이나 정형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골판지재에 사용되는 성상에 따라서는, 시트를 접음선에서 접었을 때 접음선의 개소에 파손(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가 있다. 또한, 아코디언형 골판지재와 같이 접음선을 갖는 골판지재가 제함 시스템의 자재에 사용되었을 경우, 골판지재에 사용되는 시트의 성상에 따라서는, 제조된 상자에 파열(파손)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아코디언형 골판지재와 같이 접음선을 갖는 골판지재에서는, 골판지재에 사용되는 시트의 성상에 따라서는, 접음선의 개소에 파열(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본건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접힘 유지성의 확보와 괘선 터짐의 억제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한, 골판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상자의 파열(파손)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한, 접음선의 개소의 괘선 터짐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한편, 이 목적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나타내는 각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작용 및 효과로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얻어지지 않는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본건의 다른 목적으로서 자리 매김할 수 있다.
(1) 여기서 개시하는 골판지재는, 중심지에 대해 라이너를 첩합한 골판지를 사용한 골판지재이다. 본 골판지재는, 상기 라이너로부터 잘라낸 측정편을 25[℃]의 온도 조건하 주파수 100[Hz]의 진동 조건의 인장 전단 모드에서 측정된 동적 점탄성이 소정의 범위 내이며, 상기 동적 점탄성은, 탄성률 E'와, 상기 탄성률 E'에 대한 손실 탄성률 E''의 비율인 tanδ의 값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탄성률 E'가 1.00×109[Mpa] 이상이면서 8.00×109[Mpa] 이하이고, 상기 tanδ가 2.50×10-2 이상이면서 1.50×10-1 이하이다.
(2) 또한, 여기서 개시하는 골판지재는, 중심지에 대해 라이너를 첩합한 골판지를 사용한 골판지재이다. 본 골판지재는 상기 라이너에 첨가된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고, 상기 라이너에 첨가된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며,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0[㎜]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고,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 중,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이 23[%] 이상이면서 48[%] 이하이다.
(3) 또한, 여기서 개시하는 골판지재는, 중심지에 대해 라이너를 첩합한 골판지를 사용한 골판지재이다. 본 골판지재는 상기 라이너의 밀도가 0.60[g/㎤] 이상이면서 0.85[g/㎤] 이하이고,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8[㎜]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며,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 중,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이 15[%] 이상이면서 38[%] 이하이다.
(1) 본건에 의하면, 접힘 유지성의 확보와 괘선 터짐의 억제를 양립할 수 있다.
(2) 본건에 의하면, 골판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상자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3) 본건에 의하면, 접음선의 개소의 괘선 터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아코디언형 골판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절첩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a는 아코디언형 골판지재의 화물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양호한 화물 형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아코디언형 골판지재의 화물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불량인 화물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형태로서의 골판지재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주로 예시되는 골판지재는, 연속하는 골판지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가 절첩된 아코디언형 제함용 자재이다. 이 골판지재에는, 중심지에 대해 양측으로 라이너가 형성된 양면 골판지가 사용된다.
상기 양면 골판지에는, 1개의 중심지 및 2개의 라이너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원지(자재)로 구성된 싱글 플루트 골판지 외에, 이른바 「이중 양면 골판지」나 「삼중 양면 골판지」와 같이 3개 이상의 중심지 및 2개의 라이너에 각각 대응하는 5개 이상의 원지로 구성된 멀티 플루트 골판지도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싱글 플루트 양면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골판지재를 주로 예시한다.
골판지재가 제함되면, 골판지 상자가 된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함 시스템의 제함용 자재에 사용된 골판지재는, 시트가 순서대로 송출되는 피드 공정, 송출된 시트가 상자의 전개 패턴으로 잘리는 컷 공정, 상자 형상으로 접혀 조립되는 폴드 공정과 같은 다양한 공정을 거쳐 골판지 상자로 제함된다. 한편, 골판지 상자를 조립하는 제함 시스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자동 포장 시스템의 전자동 시스템인 「CMC사 제조 카톤랩 1000」, 「Neopost사 제조 CVP-500」, 「오에스 머시너리사 제조 TXP-600」이나, 반자동 시스템인 「Pack Size사 제조 EM7」, 「Panotec사 제조 Compack」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기 방향 I, II가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예를 들어, 골판지재는 수평면으로 재치된 것으로 한다.
·방향 I: 수평면으로 재치된 골판지재에 있어서의 방향
·방향 II: 골판지재를 제조하는 도중의 반제품에 있어서의 방향
세로 방향(제1 방향, 도면 중에는 「CD」로 기재한다) 및 가로 방향(제2 방향, 도면 중에는 「MD」로 기재한다)은 수평을 따르는 방향이며, 시트(접음선)가 따르는 평면이 연재하는 방향이다. 이들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높이 방향(제3 방향, 도면 중에는 「TD」로 기재한다)은 연직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며,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쌍방과 직교한다. 이 높이 방향은 시트가 중첩되는 방향에 대응한다.
MD(Machine Direction) 방향은 「진행 방향」으로도 칭해지며, 골판지재의 제조 과정이 상류로부터 하류로 진척하는 방향이다. CD(Cross Direction) 방향은 MD 방향이 따르는 평면에 있어서 M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TD(Transverse Direction) 방향은 MD 방향 및 CD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그 외,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실시형태의 「수치 X∼수치 Y」와 같은 표현은, 수치 X 이상이면서 수치 Y 이하의 범위를 의미한다.
[I. 일 실시형태]
하기 일 실시형태에서는, 골판지재의 구성을 항목 [1] 및 [2]에서 기술한다. 항목 [1]에서는, 골판지재가 절첩된 구조(이하,「절첩 구조」로 칭한다)를 설명한다. 항목 [2]에서는, 골판지재에 사용되는 시트(골판지 시트)의 성상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명한다.
그리고, 항목 [1] 및 [2]의 구성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항목 [3]에서 기술한다.
[1. 절첩 구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재(1)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제함용 자재이다.
골판지재(1)에서는, 연속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2)(도 1에서는 일부에만 부호를 부여함)가 접음선(F)(도 1에서는 일부에만 부호를 부여함)에서 접혀, 접힌 시트(2)가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첩된 골판지재(1)에는, 세로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쌍방을 따르는 한 쌍의 측면에, 복수의 접음선(F)이 세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재한다.
여기서, 연속하는 3개의 시트(2)(도 1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냄)에 착목 하여, 골판지재(1)의 절첩 구조를 설명한다.
·제1 시트(21): 제2 시트(22)의 한쪽으로 연속하는 시트(2)
·제2 시트(22): 제1 시트(21)와 제3 시트(23)의 쌍방으로 연속하는 시트(2)
·제3 시트(23): 제2 시트(22)의 다른 쪽으로 연속하는 시트(2)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 사이에 제1 접음선(F1)이 형성되고, 제1 접음선(F1)을 개재하여 시트(21, 22)가 연속되고 있다. 제2 시트(22)와 제3 시트(23) 사이에 제2 접음선(F2)이 형성되고, 제2 접음선(F2)을 개재하여 시트(22, 23)가 연속되고 있다.
제1 접음선(F1)은 제1 시트(21)에 대해 가로 방향의 한쪽(도 1에서는 오른쪽)을 향해 제2 시트(22)가 접히는 접음선(F)이며, 골판지재(1)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다른 쪽(도 1에서는 왼쪽)에 배치된다. 제2 접음선(F2)은 제2 시트(22)에 대해 가로 방향의 다른 쪽(도 1에서는 왼쪽)을 향해 제3 시트(23)가 접히는 접음선(F)이며, 골판지재(1)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한쪽(도 1에서는 오른쪽)에 배치된다.
제1 시트(21)에서는, 가로 방향(접음선(F)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단변(E1)(도 1에는 앞측의 단변에만 부호를 부여함)에 골판지의 골(10)(파형)이 노출된다. 동일하게, 제2 시트(22)에는, 가로 방향(접음선(F)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단변(E2)(도 1에는 앞측의 단변에만 부호를 부여함)에 골판지의 골(10)이 노출된다.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로 이루어지는 시트 쌍(20)에서는, 제1 단변(E1)과 제2 단변(E2)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상기 절첩 구조를 갖는 골판지재(1)에 의하면, 롤 형상으로 권회하는 것이 곤란한 자재여도 직방체 형상으로 절첩할 수 있다. 즉, 롤 형상으로 권회 가능한 자재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골판지의 시트(2)를 컴팩트한 화물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도가 확보된 시트(2)가 절첩된 골판지재(1)는, 강도가 요구되는 상자를 제조하는 제함 시스템의 포장 자재에 사용하기 바람직하다.
그 외, 접음선(F)은 골판지의 골(10)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MD 방향에 대해 수직인 골(10)의 골판지재(1)가 제조된다.
한편, 골판지재(1)는 오손이나 적하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포장용 필름으로 피포(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파라미터]
이하, 골판지재(1)의 파라미터를 설명한다.
우선, 골판지재(1)의 사이즈나 단수 등의 기본적인 파라미터를 기술한다. 그 후, 골판지재(1)의 시트(2)에 관한 파라미터를 상술한다.
[2-1. 기본적인 파라미터]
골판지재(1)의 사이즈는 하기 치수 L1∼L3으로 정해진다.
·세로 치수 L1: 세로 방향의 치수(제1 치수)
·가로 치수 L2: 가로 방향의 치수(제2 치수)
·높이 치수 L3: 높이 방향의 치수(제3 치수)
상기 치수 L1∼L3은 작을수록 제조되는 상자의 사이즈나 형상의 제약이 커질 우려가 있고, 클수록 운반이나 납입과 같은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들 관점에서, 치수 L1∼L3은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골판지재(1)에 있어서의 접음선(F)의 개수를 N[개]로 하면, 시트(2)의 장수는 N+1[장]이다. 이 경우에는, N+1[단]의 시트(2)가 골판지재(1)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골판지재(1)의 단수로는, 예를 들면 10∼1000[단]의 다양한 단수를 들 수 있다. 상세를 후술하는 절첩에 관한 파라미터가 측정되는 대상의 골판지재에 대해서는, 소정의 단수(예를 들면, 100[단]) 미만의 측정 대상에 대해서는, 전체 단의 각각에 있어서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정의 단수(예를 들면, 100[단]) 이상의 측정 대상에 대해서는, 부분적(예를 들면, 파트로 나눈 부분이나 설정된 영역)으로 파라미터를 측정해도 된다.
한편, 골판지재(1)에 사용되는 시트(2)에는, 임의의 평량을 설정할 수 있다. 시트(2)에 채용되는 평량의 범위로는, 50∼1500[g/㎡]의 범위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1000[g/㎡]의 범위를 들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800[g/㎡]의 범위를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600[g/㎡]의 범위를 들 수 있다.
상기 평량에 중심지의 골조율을 가미하여, 세로 치수 L1 및 가로 치수 L2와 시트(2)의 단수 N+1을 곱하면, 골판지재(1)의 중량이 산출된다.
[2-2. 성상에 관한 파라미터]
<구성 A>
본 실시형태의 골판지재(1)는, 골판지재(1)의 화물 형태를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 입각하여, 성상에 관한 구성 A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관점 I, II에 입각하여, 성상에 관한 소정의 구성 A를 구비하고 있다. 「골판지재(1)의 화물 형태」란, 직방체 형상으로 절첩된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의 외관이다.
·관점 I: 접음선(F)에서의 접힘 유지성을 확보하는 것
·관점 II: 접음선(F)에서의 괘선 터짐을 억제하는 것
상기 관점 I, II는, 하기 과제 I, II를 해결하기 위한 관점이다.
·과제 I: 접음선(F)에서의 접힘이 벌어지는 것
·과제 II: 접음선(F)에서 괘선 터짐이 발생하는 것
상기 관점 I에서 말하는 「접힘 유지성」이란, 시트(2)를 접음선(F)에서 접은 상태를 유지하는 성능이다.
과제 I에서 말하는 「접음선(F)에서의 접힘이 벌어지는 것」이란, 시트(2)를 접음선(F)에서 접었을 때, 접은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접음선(F)을 개재하여 연속하는 시트(2)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이다. 접힘 유지성이 불충분하면 과제 I이 발생한다. 이 과제 I은, 접음선(F)에서의 접힘이 벌어짐으로써 골판지재(1)의 화물 형태가 흐트러지는 과제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관점 II, 과제 II에서 「괘선 터짐」이란, 시트(2)를 접음선(F)에서 접은 상태에서, 접음선(F)의 외측에 위치하는 라이너에 발생하는 터짐(파손, 파열)이다.
관점 I에 입각하여 접힘 유지성을 확보하려고 하면, 과제 II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관점 II에 입각하여 접음선(F)에서의 괘선 터짐을 억제하려고 하면, 과제 I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관점 I과 관점 II를 양립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하, 상기 관점 I, II의 전제 사항으로서,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를 제조하는 절첩 장치의 구성과, 제조된 골판지재(1)의 화물 형태의 양호 여부를 소항목 〔i〕,〔ii〕에서 설명한다. 그 후, 소항목 〔iii〕에서 관점 I, II에 입각한 소정의 구성을 설명한다.
〔i. 절첩 장치〕
도 2에 나타내는 절첩 장치(50)는 띠 형상으로 연속하는 골판지를 아코디언형으로 절첩하는 장치이다.
절첩 장치(5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하기 절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절첩 장치: BHS Corrugated Machinery사 제조,
제품 번호 「AS-F」
절첩 장치(50)는 반송 파트(50A), 폴딩 파트(50B), 스태킹 파트(50C)를 구비한다.
반송 파트(50A)는, 도시하지 않은 상류측의 골판지 생산 장치(코러게이터)에서 제조된 띠 형상의 골판지 웹(1W)을 폴딩 파트(50B)(도 2에서 이점쇄선을 참조)로 반송하는 반송로를 이룬다.
도시하지 않은 코러게이터에서 제조된 골판지 웹(1W)에는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간하여 복수의 접음선(F)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접음선(F)의 상류측과 하류측에는 시트(2)(도 1 참조)가 연속되고 있다.
복수의 접음선(F)에는, 상류측의 시트가 하류측의 시트에 대해 가로 방향의 한쪽(도 2에서는 오른쪽)을 향해 접히는 접음선(도 1의 「제1 접음선(F1)」에 대응하는 접음선)과, 상류측의 시트가 하류측의 시트에 대해 가로 방향의 다른 쪽(도 2에서는 왼쪽)을 향해 접히는 접음선(도 1의 「제2 접음선(F2)」에 대응하는 접음선)이 있다. 이들 제1 접음선(F1)과 제2 접음선(F2)은 반송 방향을 따라 교대로 나열되어 있다.
반송 파트(50A)에서 상방을 향한 면을 골판지 웹(1W)의 표면(앞면)으로 칭하고, 하방을 향한 면을 골판지 웹(1W)의 이면(뒷면)으로 칭한다. 제1 접음선(F1)은 골판지 웹(1W)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에서 형성되고, 제2 접음선(F2)은 골판지 웹(1W)의 이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에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방향에 대한 접힘을 확실히 하고 있다.
폴딩 파트(50B)는 반송 파트(50A)와 스태킹 파트(50C)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반송 파트(50A)에 의해 반송된 골판지 웹(1W)을 접음선(F)에서 교대로 접어 스태킹 파트(50C)로 송급하는 파트이다.
폴딩 파트(50B)에서는, 반송 파트(50A)로부터 반송된 골판지 웹(1W)이 반송 방향으로 압출되면서 하방으로 낙하한다. 이 때, 제1 접음선(F1)에서는 상류측의 시트가 하류측의 시트에 대해 가로 방향의 한쪽(도 2에서는 오른쪽)을 향해 접히고, 제2 접음선(F2)에서는 상류측의 시트가 하류측의 시트에 대해 가로 방향의 다른 쪽(도 2에서는 왼쪽)을 향해 접힌다.
폴딩 파트(50B)에는, 골판지 웹(1W)의 접기를 보조하는 보조 기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도 된다. 보조 기구는 골판지 웹(1W)을 이루는 시트가 제1 접음선(F1), 제2 접음선(F2)에서 확실히 교대로 접히도록 보조하는 기구이다. 보조 기구의 구체적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제2 접음선(F2)을 지지 하는 로드를 구비한 회전 기구(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를 이용할 수 있다.
스태킹 파트(50C)는 폴딩 파트(50B)에서 교대로 접힌 시트를 적층하는(스태킹하는) 파트이다. 스태킹 파트(50C)는 폴딩 파트(50B)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태킹 파트(50C)에서는, 접음선(F1, F2)에서 교대로 접힌 시트(2)(도 1 참조)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순차 적층된다. 이렇게 하여, 직방체 형상의 화물 형태를 이루는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가 제조된다.
〔ii. 화물 형태의 양호 여부〕
화물 형태가 양호한 골판지재(1)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선(F)을 개재하여 연속하는 시트끼리가 접음선(F)에서 180[°] 접힌 후, 그 접음선(F)을 개재하여 연속하는 시트끼리가 간극을 두지 않고 접한 상태로 중첩된다.
이와 같이 접음선(F)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 골판지재(1)의 화물 형태가 양호하나, 접음선(F)의 괘선 터짐을 초래한다는 과제 II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화물 형태가 불량인 골판지재(1)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선(F)을 개재하여 연속하는 시트끼리가 접음선(F)에서 180[°] 접힌 후, 그 접음선(F)을 개재하여 연속하는 시트 사이에 간극(S)이 생긴 상태에서 후속 시트가 적층된다.
이와 같이 접음선(F)이 닫힌 상태가 유지되고 있지 않은 경우, 접음선(F)의 괘선 터짐은 발생하기 어렵기는 하지만, 접음선(F)에서의 접힘이 벌어진다는 과제 I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의해, 간극(S)의 개소에서 시트에 접힘이 생기거나, 간극(S)보다 상방에서 골판지재(1)가 기울거나 하여, 골판지재(1)의 정형성이나 안정성이 저해될 우려도 있다. 나아가서는, 아코디언 접기 도중에 적층된 시트가 무너져,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를 작성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iii. 구성〕
골판지재(1)는 상기 관점 I, II 및 과제 I, II에 대응하는 구성 A로서, 하기 구성 1A를 구비하고 있다.
·구성 1A: 골판지재(1)를 구성하는 라이너의 동적 점탄성이 소정의 범위 내인 것
「동적 점탄성」이란, 탄성률 E', 손실 탄성률 E'', tanδ의 3종의 값으로 규정되는 파라미터로서, 골판지재(1)를 절곡시킨 때의 절곡시킨 상태의 유지성(접음선(F)이 벌어지기 어려움)과 접음선(F)에서의 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어려움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이다. 골판지재(1)를 접음선(F)에서 절곡시켰을 때 골판지재(1)의 라이너 원지를 이루는 펄프 섬유에 연신이 발생하지만, 「동적 점탄성」은, 골판지재(1)를 접음선(F)에서 절곡시켰을 때 펄프 섬유가 연신된 상태의 유지성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라고도 할 수 있다.
탄성률 E'는 탄성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골판지재(1)를 절곡시켰을 때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려고 하는(즉, 접음선(F)을 벌리려고 하는) 반발력에 대응하고 있다.
손실 탄성률 E''는, 점성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tanδ는 하기 식 1로부터 탄성률 E'에 대한 손실 탄성률 E''의 비율이다. 이 tanδ는, 「1」 이하의 값이면, 탄성 영역(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려고 하는 영역)의 물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고, 그렇지 않으면 점성 영역(원래의 형태로 돌아오기 어려운 영역)의 물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tanδ=E''/E' ····식 1
tanδ의 값이 클수록 상기 반발력이 작아지고, tanδ의 값이 작을수록 상기 반발력이 커진다.
본원의 발명자들은, 골판지재(1)를 구성하는 라이너의 동적 점탄성 중 탄성률 E'와 tanδ가 소정의 범위 내이면, 상술한 과제 I, II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반대로 말하면, 소정의 범위 밖에 있는 동적 점탄성의 라이너를 사용한 골판지재는, 과제 I, II가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골판지재(1)에는, 상술한 관점 I, II에 입각하여 상기 구성 1A가 구비되어 있다.
동적 점탄성 중 탄성률 E'가 소정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고, tanδ가 소정의 범위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 골판지재(1)가 접음선(F)에서 절곡되었을 때, 라이너 원지를 이루는 펄프 섬유가 연신된 상태에 그치지 않고 접음선(F)을 벌리려고 하는 반발력이 커져, 과제 I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동적 점탄성 중 탄성률 E'가 소정의 범위를 하회하고 있고, tanδ가 소정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 골판지재(1)가 접음선(F)에서 절곡되었을 때, 라이너 원지를 이루는 펄프 섬유가 연신된 상태에서 접음선(F)에 절곡에 의한 외력이 가해져, 과제 II를 초래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탄성률 E'는 1.00×109[Mpa] 이상이면서 8.00×109[Mpa] 이하이며, tanδ는 2.50×10-2 이상이면서 1.50×10-1 이하이다. 탄성률 E', tanδ의 값이 이 범위이면, 제함용 자재에 적절한 골판지재를 얻을 수 있다.
아코디언형 골판지재의 제조에 적절하다는 점에서, 탄성률 E'가 1.50×109[Mpa] 이상이면서 7.00×109[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tanδ가 3.00×10-2 이상이면서 1.00×1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포장 시스템에 사용하는 자재에 적절하다는 점에서, 탄성률 E'가 2.00×109[Mpa] 이상이면서 6.00×109[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tanδ가 3.50×10-2 이상이면서 9.70×10-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관점 I에 입각하면, 탄성률 E'가 3.00×109[Mpa] 이하이면서 tanδ가 7.00×1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률 E'가 2.50×109[Mpa] 이하이면서 tanδ가 8.00×10-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관점 II에 입각하면, 탄성률 E'가 4.00×109[Mpa] 이상이면서 tanδ가 4.00×1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률 E'가 4.50×109[Mpa] 이상이면서 tanδ가 3.80×10-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성 B>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골판지재(1)는, 제함 자재에 사용되었을 경우 파열되기 어려운 상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 입각하여, 성상에 관한 구성 B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관점 III에 입각하여, 성상에 관한 소정의 구성 B를 구비하고 있다.
·관점 III: 조립된 상자의 파열(파손)을 억제하는 것
상기 관점 III은 하기 과제 III을 해결하기 위한 관점이다.
·과제 III: 조립된 상자의 파열을 초래하기 쉬운 것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를 제함 시스템(자동 포장 시스템)의 제함 자재에 사용했을 경우, 조립된 상자의 바닥면이나 측면에 접음선(F)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를 사용하여 조립된 상자에서는, 이 접음선(F)의 개소를 기점으로 파열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과제 III은,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를 사용하여 조립된 상자의 파열을 초래하기 쉬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접음선(F)의 개소를 기점으로 한 파열은, 다습 조건하에서 보다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과제 III은, 다습 조건하에서,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를 사용하여 조립된 상자의 파열을 초래하기 쉬운 과제라고도 할 수 있다.
골판지재(1)는, 상기 관점 III 및 과제 III에 대응하는 구성 B로서, 하기 구성 B1∼B4를 구비하고 있다.
·구성 B1: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소정의 범위 내이다
·구성 B2: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소정의 범위 내이다
·구성 B3: 섬유 길이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소정의 길이 범위 내이다
·구성 B4: 미세 섬유량이 소정의 범위 내이다
「사이즈제」는, 라이너에 사이즈성(물의 침투나 잉크의 번짐을 방지하는 작용)이나 인쇄 적성 등의 표면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골판지재(1)를 이루는 라이너에 첨가되는 약품이다. 사이즈제의 첨가량[질량부]은, 라이너를 구성하는 전체 펄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함유되는 사이즈제의 첨가량[질량부]의 비율이다.
「지력 증강제」는, 라이너의 표면 강도 향상이나 인쇄시의 지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골판지재(1)를 이루는 라이너에 첨가되는 약품이다.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질량부]은, 라이너를 구성하는 전체 펄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함유되는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질량부]의 비율이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섬유 길이)의 평균이다. 이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하기 미세 섬유를 포함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의 평균이다.
「미세 섬유량」은,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합계(100[%])에 대해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의 비율[%]이다. 여기서, 미세 섬유는,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한 섬유이다.
본원의 발명자들은, 골판지재(1)를 이루는 라이너가 상기 구성 B1∼B4를 구비하고 있으면, 상술한 과제 III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반대로 말하면, 상기 구성 B1∼B4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지 않은 라이너를 사용한 골판지재는, 과제 III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골판지재(1)에는, 상술한 관점 III에 입각하여 상기 구성 B1∼B4가 구비되어 있다.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소정의 범위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나,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소정의 범위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 섬유 길이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소정의 길이 범위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라이너의 강도가 불충분하여, 과제 III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소정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간의 수소 결합을 사이즈제가 저해하기 때문에, 과제 III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라이너의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소정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 지력 증강제가 응집하여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과제 III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길수록 라이너의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소정의 길이 범위를 상회하고 있으면, 펄프 섬유 사이에 간극이 많아지기 때문에, 과제 III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다습 조건에 있어서, 펄프 섬유 사이의 간극에서 흡수하기 쉬워져, 과제 III을 보다 초래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미세 섬유량이 소정의 범위를 하회하고 있으면, 섬유 길이가 긴 펄프 섬유(장섬유)의 비율이 늘어나 장섬유 사이의 간극이 많아져, 과제 III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다습 조건에 있어서 장섬유 사이에서의 간극에서 흡수하기 쉬워져, 과제 III을 보다 초래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미세 섬유량이 소정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으면, 장섬유의 비율이 감소하여 펄프 섬유끼리의 얽힘이 적어져, 과제 III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사이즈제의 첨가량은, 0.2[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상이면서 3.0[질량부]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질량부] 이상이면서 2.0[질량부] 이하이다.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은, 0.1[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상이면서 3.5[질량부]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면서 3.0[질량부] 이하이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0.90[㎜]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면서 1.53[㎜]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면서 1.52[㎜] 이하이다.
미세 섬유량은, 23[%] 이상이면서 48[%]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면서 47[%]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면서 46[%] 이하이다.
<구성 C>
본 실시형태의 골판지재(1)는, 접음선(F)의 개소에 파열(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 입각하여, 성상에 관한 구성 C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관점 IV에 입각하여, 성상에 관한 소정의 구성 C를 구비하고 있다.
·관점 IV: 접음선(F)의 개소에서 괘선 터짐을 억제하는 것
상기 관점 IV는, 하기 과제 IV를 해결하기 위한 관점이다.
·과제 IV: 접음선(F)의 개소에서 괘선 터짐을 초래하기 쉬운 것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에서 접음선(F)은 연속하는 시트를 180[°] 접는 개소이다.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에서는, 이 접음선(F)의 개소에 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과제 IV는,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에서 접음선(F)의 개소에 괘선 터짐을 초래하기 쉬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골판지재(1)는, 상기 관점 IV 및 과제 IV에 대응하는 구성 C로서, 하기 구성 C1∼C3을 구비하고 있다.
·구성 C1: 라이너의 밀도가 소정의 범위 내이다
·구성 C2: 섬유 길이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소정의 길이 범위 내이다
·구성 C3: 미세 섬유량이 소정의 범위 내이다
「밀도」는, 골판지재(1)를 이루는 라이너의 체적 1[㎤]당의 중량[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섬유 길이)의 평균이다. 이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하기 미세 섬유를 포함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의 평균이다.
「미세 섬유량」은,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합계(100[%])에 대해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의 비율[%]이다. 여기서, 미세 섬유는,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한 섬유이다.
본원의 발명자들은, 골판지재(1)를 이루는 라이너가 상기 구성 C1∼C3을 구비하고 있으면, 상술한 과제 IV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반대로 말하면, 상기 구성 C1∼C3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지 않은 라이너를 사용한 골판지재는, 과제 IV가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골판지재(1)에는, 상술한 관점 IV에 입각하여 상기 구성 C1∼C3이 구비되어 있다.
밀도가 소정의 범위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 펄프 섬유 사이의 간극이 많이 발생하여 라이너의 강도가 불충분해져, 과제 IV를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밀도가 소정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 펄프 섬유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라이너를 절곡시켰을 때 응력이 방출되기 어려워져, 과제 IV를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짧을수록 라이너의 강도가 저감되는 경향이 있고,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소정의 길이 범위를 하회하고 있으면, 라이너의 강도가 불충분해져, 과제 IV를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길수록 라이너의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소정의 길이 범위를 상회하고 있으면, 펄프 섬유의 분포에 편차가 발생하기 쉬워져 국소적으로 강도가 낮은 개소가 생겨, 과제 IV를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미세 섬유량이 소정의 범위를 하회하고 있으면, 섬유 길이가 긴 펄프 섬유(장섬유)의 비율이 늘어나 장섬유 사이의 간극이 많아져, 과제 IV를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미세 섬유량이 소정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으면, 장섬유의 비율이 감소하여 펄프 섬유끼리의 얽힘이 적어지고, 라이너의 강도가 불충분해져, 과제 IV를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라이너의 밀도는, 0.60[g/㎤] 이상이면서 0.85[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65[g/㎤] 이상이면서 0.84[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g/㎤] 이상이면서 0.83[g/㎤] 이하이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0.98[㎜]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면서 1.53[㎜]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이면서 1.52[㎜] 이하이다.
미세 섬유량은, 15[%] 이상이면서 38[%]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7[%] 이상이면서 37[%]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상이면서 36[%] 이하이다.
[3. 작용 및 효과]
(1) 본 실시형태의 골판지재(1)는, 상술한 구성 A를 구비함으로써, 골판지재(1)를 접음선(F)에서 접었을 때 접음선(F)에서의 접힘이 벌어지지 않고, 또한, 접음선(F)에서 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접힘 유지성의 확보와 괘선 터짐의 억제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아코디언형 골판지재(1)에서 화물 형태의 정형성이나 안정성이 확보된다.
(2)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골판지재(1)는, 상술한 구성 B를 구비함으로써, 골판지재(1)를 이루는 라이너의 강도가 확보되므로, 골판지재(1)를 사용하여 제조된 상자의 파열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다습 조건하에서 접음선(F)의 개소를 기점으로 한 파열을 억제할 수 있다.
(3)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골판지재(1)는, 상술한 구성 C를 구비함으로써, 골판지재(1)를 이루는 라이너의 강도가 확보되므로, 골판지재(1)에서 접음선(F)의 개소의 파열(괘선 터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II.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A, B, 및 C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파라미터가 측정되는 대상이 되는 골판지재(이하,「측정 골판지재」로 칭한다)는, 양면 골판지의 시트이다.
이 측정 골판지재는 하기 사이즈이다.
·사이즈: 세로 치수 1300[㎜],
가로 치수 1150[㎜],
높이 치수 1800[㎜]
<구성 A>
우선, 구성 A에 관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실시예 A1∼A6 및 비교예 A7, A8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3종의 플루트 중 어느 하나의 플루트를 채용했다.
· A 플루트
· B 플루트
· E 플루트
실시예 A1∼A6 및 비교예 A7, A8의 각각에서 표면 라이너 및 이면 라이너에는, 하기 제품 번호 「No.1」∼「No.6」 중 어느 하나의 라이너 원지를 사용했다.
·No.1: 평량 120[g/㎡], 프리네스 400[㎖]
·No.2: 평량 160[g/㎡], 프리네스 400[㎖]
·No.3: 평량 170[g/㎡], 프리네스 400[㎖]
·No.4: 평량 210[g/㎡], 프리네스 400[㎖]
·No.5: 평량 120[g/㎡], 프리네스 300[㎖]
·No.6: 평량 120[g/㎡], 프리네스 600[㎖]
제품 번호 「No.1」의 라이너 원지는, 프리네스가 400[㎖]인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및 골판지 폐지 펄프를 원료로 하고, 다층 초합 초지기를 사용하여 초지를 행하여 3층으로 구성되는 골판지용 라이너 원지로서 작성되었다. 초지 조건은, 양이온성 지력 증강제를 종이층의 전체 펄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5[질량부]로 함유하고, 표층의 펄프 중,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를 10[질량%]의 비율로 함유했다. 한편, 양이온성 지력 증강제는 전부 표층에 함유시켰다. 또한,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는 종이층의 전체 펄프 중 6[질량%]였다.
제품 번호 「No.2」의 라이너 원지는, 평량을 160[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3」의 라이너 원지는, 표층의 펄프 중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가 함유되는 비율을 50[질량%]로 변경하고, 평량을 170[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4」의 라이너 원지는, 평량을 210[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5」의 라이너 원지는,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및 골판지 폐지 펄프의 프리네스를 3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6」의 라이너 원지는,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및 골판지 폐지 펄프의 프리네스를 6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프리네스」는 원지의 원료를 이루는 펄프가 고해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펄프의 고해란, 펄프 섬유를 두드려, 마쇄하는 기계적 처리이며, 주지의 리파이너(기계적 처리 설비)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프리네스의 값은 리파이너의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펄프를 고해하는 공정(고해 공정)은, 원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초지 공정의 직전에 실시된다. 이 고해 공정에서는, 초지에 사용되는 펄프의 고해 외에, 펄프에 약품을 배합하는 처리 등이 실시된다.
실시예 A1∼A6 및 비교예 A7, A8의 각각에서 중심지에는, 하기 제품 번호 「No.7」, 「No.8」 중 어느 하나의 중심지 원지를 사용했다.
·No.7: 평량 120[g/㎡]〔OND-EM120: 오지 머티리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No.8: 평량 160[g/㎡]〔OND-EM160: 오지 머티리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시예 A1∼A6 및 비교예 A7, A8의 측정 골판지재의 각각은, 표 3에 나타내는 총 두께[㎜]를 갖는 양면 골판지이다.
상기 실시예 A1∼A6 및 비교예 A7, A8의 각각에 대해, 표 3에 나타내는 동적 점탄성(탄성률 E', 손실 탄성률 E'', 및 tanδ의 3종의 값)이 측정되었다.
실시예 A1∼A6 및 비교예 A7, A8의 각각에서는, 라이너 원지의 프리네스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률 E'의 값을 변화시키고 있고, 그 결과 tanδ의 값이 조절되어 있다.
동적 점탄성은, 하기 순서 A1∼A5로, 실시예 A1∼A6 및 비교예 A7, A8의 각각의 측정 골판지재로부터 취출된 측정용 샘플편(측정편)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순서 A1: 측정 골판지재의 전체 단수 중 반의 단수(즉, 정중앙의 단)를 기준으로 정중앙의 단보다 상방의 임의의 단으로부터 측정용 시트를 잘라낸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골판지재의 전체 단수 M이 홀수인 경우, 측정 골판지재의 전체 단수 중 반의 단수 M/2를 사사오입한 단(즉, 정중앙의 단)을 기준으로 시트를 채취하고, 측정 골판지재의 전체 단수 M이 짝수인 경우, 측정 골판지재의 전체 단수 중 반의 단수[(M/2)+1]를 기준으로 시트를 채취했다. 한편, 시트를 채취할 때, 손상이나 패임이 없는(또는, 적은) 단을 선정하도록 주의했다.
순서 A2: 순서 A1에서 채취한 측정용 시트를, 수돗물에 15[분]간 침지한다.
순서 A3: 순서 A2에서 침지된 측정용 시트를 수돗물로부터 꺼내고, 꺼낸 측정용 시트의 라이너 원지(표면 라이너 및 이면 라이너)의 각각을, 라이너 원지가 찢어지지 않도록,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중심지 원지로부터 분리한다.
순서 A4: 순서 A3에서 분리한 라이너 원지를 105[°]의 건조기에서 20[분]간 건조한다.
순서 A5: 순서 A4에서 건조된 라이너 원지로부터 하기 치수의 측정용 샘플편을 잘라낸다.
>치수
·세로 방향: 5[㎜]
·가로 방향: 30[㎜]
상기 순서 A5에서 잘라낸 측정용 샘플편에 대해, 하기 기기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동적 점탄성(탄성률 E', 손실 탄성률 E'', tanδ)이 측정되었다. 측정에는, 표면 라이너의 라이너 원지로부터 잘라낸 측정용 샘플편을 사용했다. 한편, 이면 라이너의 라이너 원지로부터 잘라낸 측정용 샘플편을 사용한 경우에도, 표면 라이너의 측정용 샘플편을 사용한 경우와 측정 결과에 차이가 생기지 않거나, 또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기기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가부시키가이샤 유비엠 제조, 모델 번호 Rheogel-E4000
>조건
·측정 방법: 인장 전단 모드
·주파수: 100[Hz](진동 조건)
·왜곡: 0.10[%]
·온도: 25[℃](온도 조건)
--평가--
상기와 같이 하여 동적 점탄성이 측정된 실시예 A1∼A6 및 비교예 A7, A8에 대해, 다음에 설명하는 스태킹성과 괘선 터짐성을 평가했다.
「스태킹성」은, 측정 골판지재가 아코디언형으로 절첩되었을(스태킹되었을) 때의 화물 형태의 양호 여부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이며, 시트를 접음선에서 접은 상태를 유지하는 성능(접힘 유지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괘선 터짐성」은, 측정 골판지재를 접음선에서 접은 상태에서, 접음선의 개소에 있어서의 파손(괘선 터짐)되기 어려움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이다. 파손은 접음선의 개소에서의 라이너 원지의 터짐, 갈라짐, 파열 등을 포함한다. 접음선의 개소란 접음선의 주변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평가 대상이 되는 측정 골판지재는, 하기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양면 골판지 웹을 하기 절첩 공정에서 아코디언형으로 절첩하여 제조된 것이다.
제조 공정은 하기 순서 B1∼B4를 구비한다. 이 제조 공정에서 양면 골판지 웹의 제조에는, 싱글 페이서와 더블 페이서를 구비하는 주지의 코러게이터가 이용된다.
·순서 B1: 중심지용 원지 롤로부터 공급된 중심지 원지에 골(파형)을 형성하고, 형성된 골의 골 정상에 접착제를 도공한다.
·순서 B2: 순서 B1에서 접착제를 도포한 중심지 원지에 대해 이면 라이너용 원지 롤로부터 공급된 이면 라이너용 라이너 원지를 첩합하고, 이를 롤로 가압 및 가열하여 접착하여, 편면 골판지 웹을 형성한다(싱글 페이서에서의 처리).
·순서 B3: 순서 B2에서 형성된 편면 골판지 웹의 중심지측에, 표면 라이너용 원지 롤로부터 공급된 표면 라이너용 라이너 원지를 접착제로 첩합하고, 이를 가압 및 가열롤로 가압 및 가열하여 접착하여, 양면 골판지 웹을 작성한다(더블 페이서에서의 처리).
·순서 B4: 순서 B3에서 작성된 양면 골판지 웹에 대해, 연재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간하여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접음선을 형성한다.
상기 순서 B2, B3에 있어서 가압 및 가열은, 예를 들면 하기 조건에서 실시된다.
>순서 B2(싱글 페이서)
·가열 온도 120∼200[℃]
·롤선압 20∼40[kN/m]
·가압 시간 0.01∼0.20[초],
>순서 B3 (더블 페이서)
·가열 온도 120∼200[℃]
·롤선압 0.1∼1.0[kN/m]
·가압 시간 2∼7[초]
순서 B1, B2에서 라이너 원지와 중심지 원지를 첩합하는 접착제에는 통상 사용되는 원 탱크 방식의 전분 접착제를 사용했다.
한편, 라이너 원지와 중심지 원지의 첩합에는, 합성 수지 등의 에멀션이 사용되어도 된다. 합성 수지의 구체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초산비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순서 B1, B2에서 라이너 원지와 중심지 원지를 첩합하는 방법으로서, 라이너 원지 또는 중심지 원지에 대해 압출 라미네이트나 합성 수지 에멀션의 도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라이너 원지와 중심지 원지를 중합하는 방법이나, 라이너 원지 및 중심지 원지 사이에 합성 수지 필름을 개재시켜 이들을 가압 및 가열하여 접착하는 방법이 채용되어도 된다.
상기 제조 공정에서 작성된 양면 골판지 웹은, 하기 순서 C1, C2를 구비하는 절첩 공정에서 아코디언형으로 절첩된다. 이 절첩 공정에서는 하기 절첩 장치를 하기 조건에서 이용한다.
·절첩 장치: BHS Corrugated Machinery사 제조
제품 번호 「AS-F」,
·반송 속도: 100[m/min]
·순서 C1: 순서 B4 후, 작성된 양면 골판지 웹을 상기 절첩 장치로 반송한다(도 2의 반송 파트(50A)를 참조).
·순서 C2: 순서 C1에서 반송된 양면 골판지 웹을 접음선에서 교대로 접어, 아코디언형으로 절첩하여, 상술한 화물 형태 치수의 아코디언형 측정 골판지재를 작성한다(도 2의 폴딩 파트(50B), 스태킹 파트(50C)를 참조).
스태킹성의 평가에서는, 상기 순서 C2에서 작성된 측정 골판지재의 외관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측정 골판지재가 작성 가능하고, 어느 접음선에도 간극〔도 3b의 부호 S를 참조〕이 생기지 않았다.
·△: 측정 골판지재가 작성 가능하지만, 1[개] 이상의 접음선에 간극〔도 3b의 부호 S를 참조〕이 생겼다.
·×: 측정 골판지재를 작성할 수 없었다.
스태킹성의 평가에서는 「△」 이상을 양호한 평가로 했다.
괘선 터짐성의 평가에서는, 상기 순서 C2에서 작성된 측정 골판지재에서 접음선의 개소에 괘선 터짐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접음선의 개소」는, 상기와 같이, 접음선의 주변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 모든 접음선에 괘선 터짐이 확인되지 않았다.
·△: 1[개] 이상의 접음선에서 폭 방향의 일부분에 괘선 터짐이 1[개] 이상 확인되었다.
·×: 1[개] 이상의 접음선에서 폭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괘선 터짐이 1[개] 이상 확인되었다.
괘선 터짐성의 평가에서는 「△」 이상을 양호한 평가로 했다.
실시예 A1∼A6에서는 탄성률 E'가 1.00×109[Mpa] 이상이면서 8.00×10 9[Mpa] 이하이고, tanδ가 2.50×10-2 이상이면서 1.50×10-1 이하이며, 스태킹성 및 괘선 터짐성에 대해 「△」 이상의 평가가 얻어졌다.
특히, 탄성률 E'가 3.00×109[Mpa] 이하이면서 tanδ가 7.00×10-2 이상인 실시예 A1, A2, A5, A6에서는, 괘선 터짐성에 대해 「△」의 평가였으나, 스태킹성에 대해 「○」의 평가가 얻어졌다.
또한, 탄성률 E'가 4.00×109[Mpa] 이상이면서 tanδ가 4.00×10-2 이하인 실시예 A3, A4에서는 스태킹성에 대해 「△」의 평가였으나, 괘선 터짐성에 대해 「○」의 평가가 얻어졌다.
한편, 탄성률 E'가 1.00×109[Mpa] 미만 또는 8.00×109[Mpa]보다 크고, tanδ가 2.50×10-2 미만 또는 1.50×10-1보다 큰 비교예 A7, A8에서는, 스태킹성 또는 괘선 터짐성에 대해 「×」의 평가가 얻어졌다.
탄성률 E'가 8.00×109[Mpa]보다 크고 tanδ가 2.50×10-2 미만인 비교예 A7에서는, 괘선 터짐성에 대해 「○」의 평가가 얻어졌으나, 스태킹성에 대해 「×」의 평가가 얻어졌다. 또한, 탄성률 E'가 1.00×109[Mpa] 미만이고 tanδ가 1.50×10-1보다 큰 비교예 A8에서는, 스태킹성에 대해 「○」의 평가가 얻어졌으나, 괘선 터짐성에 대해 「×」의 평가가 얻어졌다.
비교예 A7, A8에 비추어 실시예 A1∼A6으로부터는, 탄성률 E'가 1.00×109[Mpa] 이상이면서 8.00×109[Mpa] 이하이며, tanδ가 2.50×10-2 이상이면서 1.50×10-1 이하이면, 측정 골판지재를 접음선에서 접었을 때 접음선에 있어서의 접힘의 벌어짐이 억제됨과 함께, 접음선에서의 괘선 터짐이 억제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A1, A2, A5, A6으로부터는, 탄성률 E'가 3.00×109[Mpa] 이하이면서 tanδ가 7.00×10-2 이상이면, 측정 골판지재를 접음선에서 접었을 때 접음선에서의 접힘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A3, A4로부터는, 탄성률 E'가 4.00×109[Mpa] 이상이면서 tanδ가 4.00×10-2 이하이면, 측정 골판지재를 접음선에서 접었을 때 접음선에서의 괘선 터짐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비교예 A7로부터는, 탄성률 E'가 8.00×109[Mpa]보다 크고 tanδ가 2.50×10-2 미만임으로써, 접음선에서 절곡시켰을 때 라이너 원지를 이루는 펄프 섬유가 연신된 상태에 그치지 않고 접음선을 벌리려고 하는 반발력이 커져, 스태킹성이 불량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A8로부터는, 탄성률 E'가 1.00×109[Mpa] 미만이고 tanδ가 1.50×10-1보다 큼으로써, 라이너 원지를 이루는 펄프 섬유가 연신된 상태에서 접음선(F)에 절곡에 의한 외력이 가해져, 괘선 터짐성이 불량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외, 실시예 A1∼A6보다 프리네스의 값이 작은 비교예 A7과, 실시예 A1∼A6보다 프리네스의 값이 큰 비교예 A8로부터, 프리네스의 값이 작을수록 탄성률 E'의 값이 커져 tanδ의 값이 작아지고, 프리네스의 값이 클수록 탄성률 E'의 값이 작아져 tanδ의 값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A7, A8에 비추어 실시예 A1∼A6으로부터는 프리네스의 값이 350[㎖] 이상이고 500[㎖] 이하이면, 탄성률 E'가 1.00×109[Mpa] 이상이면서 8.00×109[Mpa] 이하이고, tanδ가 2.50×10-2 이상이면서 1.50×10-1 이하의 범위 내로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
서로 프리네스가 공통되는 실시예 A1∼A6 중, 실시예 A1과는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의 비율과 라이너 원지의 평량이 상이한 실시예 A3이나, 실시예 1과는 라이너 원지의 평량이 상이한 실시예 A4로부터는,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의 비율이나 라이너 원지의 평량이 클수록 탄성률 E'의 값이 커지고 tanδ의 값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추측된다.
한편, 손실 탄성률 E''에 대해서는, 실시예 A1∼A6으로부터, 1.50×108[Mpa] 이상이면서 2.50×108[Mpa]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추측된다.
<구성 B>
이어서, 구성 B에 관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실시예 B1∼B19 및 비교예 B20∼B29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3종의 플루트 중 어느 하나의 플루트를 채용했다.
· A 플루트(싱글 플루트), 총 두께: 5.0[㎜]
· E 플루트(싱글 플루트), 총 두께: 1.5[㎜]
· AB 플루트(더블 플루트), 총 두께: 8.5[㎜]
실시예 B1∼B19 및 비교예 B20∼B29의 각각에서 표면 라이너 및 이면 라이너에는, 하기 제품 번호 「No.1」∼「No.25」 중 어느 하나의 라이너 원지를 사용했다. 제품 번호 「No.1」∼「No.25」의 라이너 원지의 각각은, 하기의 평량 및 밀도이다.
·No.1: 평량 120[g/㎡], 밀도 0.8[g/㎤]
·No.2, No.6∼25: 평량 170[g/㎡], 밀도 0.8[g/㎤]
·No.3: 평량 210[g/㎡], 밀도 0.8[g/㎤]
·No.4: 평량 280[g/㎡], 밀도 0.8[g/㎤]
·No.5: 평량 170[g/㎡], 밀도 0.6[g/㎤]
제품 번호 「No.1」의 라이너 원지는, 프리네스가 300[㎖]인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및 골판지 폐지 펄프를 원료로 하고, 다층 초합 초지기를 사용하여 초지를 행하여 3층으로 구성되는 골판지용 라이너 원지로서, 하기 초지 조건으로 작성되었다. 프리네스는, JIS P8121 2012에 준거하여 하기 측정 장치로 측정했다.
·측정 장치: 제품명 「캐나디안 스탠더드 프리네스」, 쿠마가이 리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번호 「No.2580-A」
·제품 번호 「No.1」의 초지 조건
>사이즈제: 약제명 「사이즈파인 N-830(아라카와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하기 표 4∼표 7에서 「α」)을 종이층의 전체 펄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3[질량부]로 함유한다
>지력 증강제: 약제명 「PT-1001(아라카와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종이층의 전체 펄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2[질량부]로 함유한다
>황산 밴드: 종이층의 전체 펄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5[질량부]로 함유한다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표층의 펄프 섬유 중 10[질량%]의 비율로 함유했다. 또한,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는 종이층의 전체 펄프 중 6[질량%]였다.
>미세 섬유량: 라이너를 이루는 펄프 섬유 중 33[%]였다.
상기 초지 조건으로 라이너 원지의 3층 중 표층을 작성했다. 라이너 원지의 3층 중 중층과 이층의 초지 조건은 상기 초지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품 번호 「No.2」의 라이너 원지는, 평량을 170[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3」의 라이너 원지는, 평량을 210[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4」의 라이너 원지는, 평량을 280[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5」∼「No.25」의 라이너 원지의 각각은, 하기를 제외하고 「No.2」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No.5: 밀도를 0.6[g/㎤]로 변경함
·No.6: 미세 섬유량을 25[%]로 변경하여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1.08[㎜]로 변경함
·No.7: 미세 섬유량을 45[%]로 변경하여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0.95[㎜]로 변경함
·No.8: 표층의 펄프 중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가 함유되는 비율을 20[질량%]로 변경하고,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1.50[㎜]로 변경함
·No.9: 사이즈제의 첨가량을 3[질량부]로 변경함
·No.10: 사이즈제의 첨가량을 5[질량부]로 변경함
·No.11: 사이즈제를 약제명 「사이즈파인 NT-78(아라카와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하기 표 4∼표 7에서 「β」)로 변경함
·No.12: 사이즈제를 약제명 「사이즈파인 K-287(아라카와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하기 표 4∼표 7에서 「γ」)로 변경함
·No.13: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을 1.5[질량부]로 변경함
·No.14: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을 3.0[질량부]로 변경함
·No.15: 미세 섬유량을 38[%]로 변경하여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0.98[㎜]로 변경함
·No.16: 표층의 펄프 중 골판지 폐지 펄프가 함유되는 비율을 100[질량%]로 변경함
·No.17: 미세 섬유량을 45[%]로 변경하여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0.95[㎜]로 변경하고, 사이즈제의 첨가량을 5.0[질량부]로 변경함
·No.18: 미세 섬유량을 20[%]로 변경하여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1.12[㎜]로 변경함
·No.19: 미세 섬유량을 50[%]로 변경하여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0.94[㎜]로 변경함
·No.20: 표층의 펄프 중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가 함유되는 비율을 20[질량%]로 변경하고,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1.60[㎜]로 변경함
·No.21: 사이즈제를 첨가하지 않음
·No.22: 사이즈제의 첨가량을 8.0[질량부]로 변경함
·No.23: 지력 증강제를 첨가하지 않음
·No.24: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을 5.0[질량부]로 변경함
·No.25: 표층의 펄프 중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가 함유되는 비율을 20[질량%]로 변경하고, 사이즈제의 첨가량을 8.0[질량부]로 변경하고, 미세 섬유량을 50[%]로 변경하여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1.60[㎜]로 변경함
한편, 라이너 원지 중에 함유되는 사이즈제, 지력 증강제 등의 각종 약제의 함유 농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열분해 장치: 프론티어랩사 제조 PY-2020D,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사 제조 5973N)를 이용하여, 약제 함유 농도(대펄프 중량비)를 측정했다.
그 후에, 분석 대상인 상기 라이너 원지를 하기 순서 D1∼D2에 의해, 중심지 원지로부터 박리하고, 라이너 원지를 건조 후, 분쇄기로 분쇄하고, 이들 분쇄물 200∼300[㎍], 2샘플을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상기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에서는, 검량선을 작성했을 때 얻어진 대상 약제의 피크를 참고로, 피크를 추출하고, 피크 면적을 판독하여, 판독한 피크 면적을 상기 검량선과 대비시킴으로써, 대상 약제의 약제 함유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측정은 각 샘플에 대해 2회씩 행하고, 그 평균값을 약제 함유 농도(대펄프 중량비)로 했다.
한편, 각종 약제의 함유 농도가 중량비로 0.01[%], 0.1[%], 1[%], 5[%], 10[%]가 되도록, 각종 약제를 여과지(ADVANTEC 제조, 원형 정성 여과지, No.2)에 침투시키고, 건조시킨 것을 검량선용 샘플로 했다. 각 검량선용 샘플을 분쇄하고, 이들 분쇄물 200∼300[㎍]을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검량선을 작성했다.
상기 제품 번호 「No.5」에서 밀도는, 다층 초합 초지기의 닙압을 조절하여 변경되었다.
상기 제품 번호 「No.6」∼「No.8」, 「No.15」, 「No.17」∼「No.20」, 「No.25」에서 미세 섬유량이나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섬유 분급기(MAX-F700, 아이카와 텟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조절되었다. 제품 번호 「No.7」, 「No.17」에서는 섬유 분급기를 이용하여 미세 섬유 이외의 펄프 섬유를 제거했다.
실시예 B1∼B19 및 비교예 B20∼B29의 각각에서 중심지에는, 하기 제품 번호 「No.26」, 「No.27」 중 어느 하나의 중심지 원지를 사용했다.
·No.26: 평량 120[g/㎡], 밀도 0.65[g/㎤]〔OND-EM120: 오지 머티리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No.27: 평량 160[g/㎡], 밀도 0.65[g/㎤]〔OND-EM160: 오지 머티리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기 실시예 B1∼B19 및 비교예 B20∼B29의 각각에 대해, 표 4∼표 7에 나타내는 라이너 섬유 정보가 측정되었다. 한편, 밀도나,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 평량 등 각종 파라미터의 측정값이나, 사이즈제, 지력 증강제의 질량부 수에는, 측정 오차가 플러스 마이너스 10% 정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라이너 섬유 정보」는, 라이너 원지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에 대해 측정된 정보이며, 「룬켈비」,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량」의 3종류이다.
룬켈비는, 펄프 섬유의 형상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룬켈비)=(섬유벽 두께의 2배)/(섬유 내강 직경)으로 산출된다. 룬켈비가 클수록 강직한 섬유임을 나타내고 있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섬유 길이)의 평균값이다.
미세 섬유량은,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합계(100[%])에 대해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의 비율[%]이다. 미세 섬유는,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한 섬유이다.
「룬켈비」,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량」의 3종의 「라이너 섬유 정보」는, 하기 순서 D1∼D5로 측정되었다.
순서 D1: 골판지재의 최상단으로부터 2단째를 가로세로 40[㎝]로 잘라내고, 그 가로세로 40[㎝] 골판지 시트를 측정에 공시했다. 잘라내는 위치는 골판지 시트 폭의 정중앙으로 했다. 그리고, 골판지 시트를 이온 교환수에 15분간 침지하고, 이온 교환수로부터 꺼낸다.
순서 D2: 순서 D1에서 꺼낸 골판지 시트로부터 라이너 원지(표면 라이너 및 이면 라이너)의 각각을, 라이너 원지가 찢어지지 않도록,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중심지 원지로부터 분리한다.
순서 D3: 순서 D2에서 분리한 라이너 원지와 중심지 원지의 각각을, 이온 교환수에 침지하고, 농도 2%로 조정한 후, 24시간 침지했다.
순서 D4: 순서 D3에 의해 농도를 조정한 라이너 원지와 중심지 원지의 각각을 24시간 침지한 후, 표준형 해리기(쿠마가이 리키 코교사 제조)를 이용하여 20분간 해리하여, 펄프를 섬유상으로 분해한다.
순서 D5: 순서 D4에서 해리 후의 슬러리(펄프 섬유)를 분취하고, 하기 섬유 길이 측정기를 사용하여, 「룬켈비」,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량」을 측정했다.
·섬유 길이 측정기: 제품 번호 FS-5 UHD 베이스 유닛, 발멧사 제조
--평가--
상기와 같이 하여 「룬켈비」,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량」이 측정된 실시예 B1∼B19 및 비교예 B20∼B29에 대해, 평가 상자의 파열 취약성을 평가했다.
「파열 취약성」이란, 상자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대한 내하중의 경중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이다. 이 파열 취약성은, 하기 순서 E1∼E6에 따르는 하중 시험으로 평가했다.
·순서 E1: 측정 골판지재로부터 하기 형상·사이즈로 샘플 커터(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사 제조, CF2-1218)로 평가 상자의 전개 패턴을 잘라낸다.
>형상: A식 골판지 상자가 전개된 패턴
>사이즈: A식 골판지 상자의 측판의 폭 치수 356[㎜],
A식 골판지 상자의 단판의 폭 치수 159[㎜],
A식 골판지 상자의 높이 치수 256[㎜]
·순서 E2: 순서 E1에서 잘라낸 전개 패턴에서 평가 상자의 바닥면을 이루는 영역에 하기 괘선 지그로 하기 깊이의 괘선(접음선)을 수동으로 만들고, 손으로 평가 상자를 조립한다.
>괘선 지그: R 괘선(괘선 폭 2[㎜], 닛폰 다이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괘선 깊이: 측정 골판지재의 총 두께의 50[%] 파이게 한다
·순서 E3: 순서 E2에서 조립한 평가 상자를 하기 온습도 조건 A에서 1[시간] 처리한다.
>온습도 조건 A: 온도 30[℃], 습도 90[%Rh]
·순서 E4: 순서 E3에서 처리한 후, 상기 온습도 조건 A에서 평가 상자에 중량 15[kg]의 추를 수용한다. 한편, 추는 평가 상자의 바닥면 전체에 하중이 가해지도록 배치된다.
·순서 E5: 순서 E4 후, 2명의 작업원이 평가 상자를 들어 올려, 30[초]간 유지한다.
·순서 E6: 순서 E5에서 평가 상자에 파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상기 파열 취약성은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5: 평가 상자의 바닥면이 전혀 변화되지 않았다.
·4: 평가 상자의 바닥면에 파열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바닥면(평가 상자의 내측의 라이너)에 패임이나 접힘이 발생했다.
·3: 평가 상자의 바닥면에 파열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바닥면(평가 상자의 내측 및 외측의 양 라이너)에 패임이나 접힘이 발생했다.
·2: 평가 상자의 바닥면(평가 상자의 내측의 라이너)에 파열이 발생했다.
·1: 평가 상자를 들어 올려 유지하고 있는 중에 평가 상자에 큰 파열이 발생하여, 추가 평가 상자에서 낙하했다.
상기 기준에서 「3」 이상을 양호한 평가로 하고, 「2」 이하를 불량인 평가로 했다.
상기 온습도 조건 A에서의 하중 시험은, 다습 조건하에서의 평가 상자의 파열 취약성의 평가(웨트 시험)이다.
실시예 B1∼B19 및 비교예 B20∼B29의 측정 골판지재의 각각은, 웨트 시험 에 추가로, 하기 온습도 조건 B의 건조 조건하의 하중 시험(드라이 시험)에서도 평가 상자의 파열 취약성이 평가된다.
>온습도 조건 B: 온도 23[℃], 습도 50[%Rh]
드라이 시험은, 순서 E3, E4에서 온습도 조건 A를 상기 온습도 조건 B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순서 E1∼E6와 동일하다.
실시예 B1∼B19에서는,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고,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며, 펄프 섬유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0[㎜]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고, 미세 섬유량이 23[%] 이상이면서 48[%] 이하이며, 온습도 조건 A, B의 어느 쪽에서도 파열 취약성에 대해 「3」 이상의 평가가 얻어져, 평가 상자가 파열되거나, 추가 낙하하는 경우가 없었다.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8[질량부] 이상인 실시예 B11, B12, B19나,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1.0[질량부] 이상인 실시예 B15, B16,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1.50[㎜] 이상인 실시예 10, 미세 섬유량이 40[%] 이상인 실시예 B9, B19에서는, 온습도 조건 A에서 「4」 이상의 평가가 얻어졌다.
한편,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미만 또는 4.0[질량부]보다 크거나,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미만 또는 4.0[질량부]보다 크거나, 펄프 섬유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0[㎜] 미만 또는 1.55[㎜]보다 크거나, 또는, 미세 섬유량이 23[%] 미만 또는 48[%]보다 큰 비교예 B20∼B29에서는, 적어도 온습도 조건 A에서 「2」 이하의 평가가 얻어졌다.
비교예 B20∼B29에 비추어 실시예 B1∼B19로부터는,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고,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며, 펄프 섬유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0[㎜]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고, 미세 섬유량이 23[%] 이상이면서 48[%] 이하이면, 측정 골판지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상자에서 파열(파손)이 억제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B9, B10, B11, B12, B15, B16, B19로부터는,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8[질량부] 이상,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1.0[질량부] 이상,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1.50[㎜] 이상, 및 미세 섬유량이 40[%] 이상인 어느 하나를 구비하면, 다습 조건하에서 파열(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비교예 B26, B29로부터는,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4.0[질량부]보다 큼으로써, 사이즈제가 섬유간의 수소 결합을 저해하여, 다습 조건하에서 라이너의 강도가 저하되어, 파열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B28로부터는,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4.0[질량부]보다 큼으로써, 지력 증강제가 응집하여 라이너의 강도가 저하되어, 파열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B24, B29로부터는,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1.55[㎜]보다 큼으로써, 장섬유 사이의 간극이 많아 흡수하기 쉬워져, 다습 조건하에서 라이너의 강도가 저하되어, 파열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B20으로부터는, 미세 섬유량이 23[%] 미만임으로써, 장섬유 사이의 간극이 많아 흡수하기 쉬워져, 다습 조건하에서 라이너의 강도가 저하되어, 파열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B21∼B23, B29로부터는, 미세 섬유량이 48[%]보다 큼으로써, 장섬유가 적어져 펄프 섬유끼리의 얽힘이 적어, 라이너의 강도가 저하되어, 파열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구성 C>
이어서, 구성 C에 관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구성 C에 관한 실시예에서 측정 골판지재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띠 형상으로 연재하는 골판지 웹을 상기 사이즈가 되도록 아코디언형으로 절첩하여 작성되었다.
실시예 C1∼C11 및 비교예 C12∼C19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3종의 플루트 중 어느 하나의 플루트를 채용했다.
· A 플루트(싱글 플루트), 총 두께: 5.0[㎜]
· E 플루트(싱글 플루트), 총 두께: 1.5[㎜]
· AB 플루트(더블 플루트), 총 두께: 8.2[㎜]
실시예 C1∼C11 및 비교예 C12∼C19의 각각에서 표면 라이너 및 이면 라이너에는, 하기 제품 번호 「No.1」∼「No.15」 중 어느 하나의 라이너 원지를 사용했다. 제품 번호 「No.1」∼「No.15」의 라이너 원지의 각각은, 하기 평량 및 밀도이다.
·No.1: 평량 120[g/㎡], 밀도 0.8[g/㎤]
·No.2, No.6∼11: 평량 170[g/㎡], 밀도 0.8[g/㎤]
·No.3: 평량 210[g/㎡], 밀도 0.8[g/㎤]
·No.4: 평량 280[g/㎡], 밀도 0.8[g/㎤]
·No.5: 평량 170[g/㎡], 밀도 0.7[g/㎤]
·No.12, 14: 평량 170[g/㎡], 밀도 0.5[g/㎤]
·No.13, 15: 평량 170[g/㎡], 밀도 0.9[g/㎤]
제품 번호 「No.1」의 라이너 원지는, 프리네스가 400[㎖]의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및 골판지 폐지 펄프를 원료로 하고, 다층 초합 초지기를 사용하여 초지를 행하여 3층으로 구성되는 골판지용 라이너 원지로서, 하기 초지 조건으로 작성되었다. 프리네스는 JIS P8121 2012에 준거하여 하기 측정 장치로 측정했다.
·측정 장치: 제품명 「캐나디언 스탠더드 프리네스」, 쿠마가이 리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번호 「No.2580-A」
·제품 번호 「No.1」의 초지 조건
>사이즈제: 약제명 「사이즈파인 N-830(아라카와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종이층의 전체 펄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3[질량부]로 함유한다
>지력 증강제: 약제명 「PT-1001(아라카와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종이층의 전체 펄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5[질량부]로 함유한다
>황산 밴드: 종이층의 전체 펄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5[질량부]로 함유한다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표층의 펄프 섬유 중 10[질량%]의 비율로 함유했다. 또한,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는 종이층의 전체 펄프 중 6[질량%]였다.
>미세 섬유량: 라이너를 이루는 펄프 섬유 중 36.7[%]였다.
상기 초지 조건으로 라이너 원지의 3층 중 표층을 작성했다. 라이너 원지의 3층 중 중층과 이층의 초지 조건은 상기 초지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품 번호 「No.2」의 라이너 원지는, 평량을 170[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3」의 라이너 원지는, 평량을 210[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4」의 라이너 원지는, 평량을 280[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No.1」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제품 번호 「No.5」∼「No.15」의 라이너 원지의 각각은, 하기를 제외하고 「No.2」의 라이너 원지와 동일한 작성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No.5: 밀도를 0.7[g/㎤]로 변경함
·No.6: 미세 섬유량을 16.5[%]로 변경함
·No.7: 미세 섬유량을 19.8[%]로 변경함
·No.8: 미세 섬유량을 26.8[%]로 변경함
·No.9: 표층의 펄프 중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가 함유되는 비율을 20[질량%]로 변경하고, 길이 평균 섬유 길이를 1.50[㎜]로 변경함
·No.10: 미세 섬유량을 13.9[%]로 변경함
·No.11: 미세 섬유량을 40.1[%]로 변경함
·No.12: 밀도를 0.5[g/㎤]로 변경함
·No.13: 밀도를 0.9[g/㎤]로 변경함
·No.14: 미세 섬유량을 13.9[%]로 변경하고, 밀도를 0.5[g/㎤]로 변경함
·No.15: 표층의 펄프 중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가 함유되는 비율을 20[질량%]로 변경하고, 미세 섬유량을 40.1[%]로 변경하고, 밀도를 0.9[g/㎤]로 변경함
한편, 라이너 원지 중에 함유되는 사이즈제, 지력 증강제 등의 각종 약제의 함유 농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열분해 장치: 프론티어랩사 제조 PY-2020D,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사 제조 5973N)를 이용하여, 약제 함유 농도(대펄프 중량비)를 측정했다.
그 후에, 분석 대상인 상기 라이너 원지를 하기 순서 F1∼F2에 의해, 중심지 원지로부터 박리하고, 라이너 원지를 건조 후, 분쇄기로 분쇄하고, 이들 분쇄물 200∼300[㎍], 2샘플을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상기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에서는, 검량선을 작성했을 때 얻어진 대상 약제의 피크를 참고로, 피크를 추출하고, 피크 면적을 판독하여, 판독한 피크 면적을 상기 검량선과 대비시킴으로써, 대상 약제의 약제 함유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측정은 각 샘플에 대해 2회씩 행하고, 그 평균값을 약제 함유 농도(대펄프 중량비)로 했다.
한편, 각종 약제의 함유 농도가 중량비로 0.01[%], 0.1[%], 1[%], 5[%], 10[%]가 되도록, 각종 약제를 여과지(ADVANTEC 제조, 원형 정성 여과지, No.2)에 침투시키고, 건조시킨 것을 검량선용 샘플로 했다. 각 검량선용 샘플을 분쇄하고, 이들 분쇄물 200∼300[㎍]을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검량선을 작성했다.
상기 제품 번호 「No.5」, 「No.12」∼「No.15」에서 밀도는, 다층 초합 초지기의 닙압을 조절하여 변경되었다.
상기 제품 번호 「No.6」∼「No.11」, 「No.14」, 「No.15」에서 미세 섬유량이나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섬유 분급기(MAX-F700, 아이카와 텟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여 조절되었다.
실시예 C1∼C11 및 비교예 C12∼C19의 각각에서 중심지에는, 하기 제품 번호 「No.16」, 「No.17」 중 어느 하나의 중심지 원지를 사용했다.
·No.16: 평량 120[g/㎡], 밀도 0.65[g/㎤]〔OND-EM120: 오지 머티리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No.17: 평량 160[g/㎡], 밀도 0.65[g/㎤]〔OND-EM160: 오지 머티리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기 실시예 C1∼C11 및 비교예 C12∼C19의 각각에 대해, 표 8∼표 10에 나타내는 라이너 섬유 정보가 측정되었다. 한편, 밀도나,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 평량 등 각종 파라미터의 측정값에는, 측정 오차가 플러스 마이너스 10% 정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라이너 섬유 정보」는, 라이너 원지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에 대해 측정된 정보이며, 「룬켈비」,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량」의 3종류이다.
룬켈비는, 펄프 섬유의 형상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룬켈비)=(섬유벽 두께의 2배)/(섬유 내강 직경)으로 산출된다. 룬켈비가 클수록 강직한 섬유임을 나타내고 있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는,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섬유 길이)의 평균값이다.
미세 섬유량은,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합계(100[%])에 대해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의 비율[%]이다. 미세 섬유는,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한 섬유이다.
「룬켈비」,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량」의 3종의 「라이너 섬유 정보」는, 하기 순서 F1∼F5로 측정되었다.
순서 F1: 골판지재의 최상단으로부터 2단째를 가로세로 40[㎝]로 잘라내고, 그 가로세로 40[㎝] 골판지 시트를 측정에 공시했다. 잘라내는 위치는 골판지 시트 폭의 정중앙으로 했다. 그리고, 골판지 시트를 이온 교환수에 15분간 침지하고, 이온 교환수로부터 꺼낸다.
순서 F2: 순서 F1에서 꺼낸 골판지 시트로부터 라이너 원지(표면 라이너 및 이면 라이너)의 각각을, 라이너 원지가 찢어지지 않도록,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중심지 원지로부터 분리한다.
순서 F3: 순서 F2에서 분리한 라이너 원지와 중심지 원지의 각각을, 이온 교환수에 침지하고, 농도 2%로 조정한 후, 24시간 침지했다.
순서 F4: 순서 F3에 의해 농도를 조정한 라이너 원지와 중심지 원지의 각각을 24시간 침지한 후, 표준형 해리기(쿠마가이 리키 코교사 제조)를 이용하여 20분간 해리하여, 펄프를 섬유상으로 분해한다.
순서 F5: 순서 F4에서 해리 후의 슬러리(펄프 섬유)를 분취하고, 하기 섬유 길이 측정기를 사용하여, 「룬켈비」,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량」을 측정했다.
·섬유 길이 측정기: 제품 번호 FS-5 UHD 베이스 유닛, 발멧사 제조
--평가--
상기와 같이 하여 「룬켈비」, 「길이 평균 섬유 길이」, 「미세 섬유량」이 측정된 실시예 C1∼C11 및 비교예 C12∼C19에 대해, 괘선 터짐성과 지합을 평가했다.
「괘선 터짐성」이란, 측정 골판지재에서 연속하는 시트 사이를 접은 접음선의 개소에서의 파열되기 어려움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이다.
「지합」이란, 측정 골판지재를 이루는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분포의 균일성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이다. 지합이 열악할수록, 섬유 분포가 불균일해져 라이너에 강도의 편차가 생기기 쉬워져 괘선 터짐을 초래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괘선 터짐성은 하기 순서 G1∼G3에 따른 하중 시험으로 평가했다.
·순서 G1: 측정 골판지재를 팔레트에 정치하고, 스트레치 필름으로 포장한 후, 하기 온습도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함
>온습도 조건: 온도 10[℃], 습도 10[%Rh]
·순서 G2: 순서 G1 후, 하기 진동기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측정 골판지재에 충격을 가함
>진동기: 제품명 「다축 진동 시험 장치」, 제품 번호 「DS-3000-15L」, IMV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가진력: 30[kN]
>가진 방법: 랜덤파,
>주파수: 100[Hz]
·순서 G3: 상기 순서 G1, G2 후, 접음선에 괘선 터짐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상기 괘선 터짐성은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순서 G2 후, 어느 접음선에도 괘선 터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 순서 G2 후, 1[개소] 이상의 접음선에서 괘선 터짐이 발생했다.
·△: 순서 G1 후, 1[개소] 이상의 접음선에서 괘선 터짐이 발생했다.
·×: 순서 G1 전(아코디언형으로 절첩하는 시점에서), 1[개소] 이상의 접음선에서 괘선 터짐이 발생했다.
상기 기준으로 「○」 이상을 양호한 평가로 하고, 「△」 이하를 불량인 평가로 했다.
「지합」의 평가에서는, 측정 골판지재를 이루는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분포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지합은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펄프 섬유의 편차가 없다.
·○: 펄프 섬유에 편차가 발생되어 있다(구름 형상 지합).
·×: 펄프 섬유의 응집물이 관찰되었다.
상기 기준에서 「○」 이상을 양호한 평가로 하고, 「×」 이하를 불량인 평가로 했다.
실시예 C1∼C11에서는, 밀도가 0.60[g/㎤] 이상이면서 0.85[g/㎤] 이하이고,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8[㎜]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며, 미세 섬유량이 15[%] 이상이면서 38[%] 이하이고, 괘선 터짐성 및 지합의 어느 것에서도 「○」 이상의 평가가 얻어졌다.
밀도가 0.80[g/㎤] 이상이고,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1.10[㎜] 이상이며, 미세 섬유량이 18[%] 이상인 실시예 C9∼C11에서는, 괘선 터짐성에서 「◎」의 평가가 얻어졌다.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8[㎜] 이상이면서 1.05[㎜] 이하인 실시예 C1∼C7에서는, 지합에서 「◎」의 평가가 얻어졌다.
한편, 밀도가 0.60[g/㎤] 미만 또는 0.85[g/㎤]보다 크거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8[㎜] 미만 또는 1.55[㎜]보다 크거나, 또는, 미세 섬유량이 15[%] 미만 또는 38[%]보다 큰 비교예 C12∼C19에서는, 적어도 괘선 터짐성에서 「△」 이하의 평가가 얻어졌다.
비교예 C12∼C19에 비추어 실시예 C1∼C11로부터는, 밀도가 0.60[g/㎤] 이상이면서 0.85[g/㎤] 이하이고,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8[㎜]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며, 미세 섬유량이 15[%] 이상이면서 38[%] 이하이면, 측정 골판지재의 접음선의 개소에서 괘선 터짐이 억제된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C9∼C11로부터는, 밀도가 0.80[g/㎤] 이상이고,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1.10[㎜] 이상이며, 미세 섬유량이 18[%] 이상인 어느 하나를 구비하면, 접음선의 개소에서 괘선 터짐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C1∼C7로부터는,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9[㎜] 이상이면서 1.00[㎜] 이하이면, 지합이 양호해진다고 할 수 있다.
비교예 C17, C19로부터는, 밀도가 0.90[g/㎤]보다 큼으로써, 펄프 섬유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라이너를 절곡시켰을 때 응력이 방출되기 어려워져, 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19에서는, 추가로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큰 1.55[㎜]보다 큼으로써, 라이너가 너무 딱딱해져, 괘선 터짐성의 평가가 보다 열악한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C16, C18로부터는, 밀도가 0.50[g/㎤] 미만임으로써, 펄프 섬유 사이의 간극이 많이 발생하여 라이너의 강도가 불충분해져, 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C13∼C15로부터는,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8[㎜] 미만이고 미세 섬유량이 38[%]보다 큼으로써,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짧거나, 장섬유의 비율이 감소하여 펄프 섬유끼리의 얽힘이 적음으로써 라이너의 강도가 불충분해져, 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C13∼C15에서는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8[㎜] 미만이고 미세 섬유량이 38[%]보다 큼으로써 단섬유와 장섬유의 차이가 눈에 띄지 않고, 지합이 양호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C19에서는, 미세 섬유량이 38[%]보다 크지만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길이 1.55[㎜]보다 크기 때문에, 단섬유와 장섬유의 차이를 확실히 관찰하기 쉬워져, 지합이 약간 열악한 것으로 추측된다.
비교예 C12로부터는, 미세 섬유량이 15[%] 미만임으로써, 섬유 길이가 긴 펄프 섬유(장섬유)의 비율이 증가하여 장섬유 사이의 간극이 많아져, 괘선 터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III.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지나지 않고, 이 실시형태에서 명시하지 않은 다양한 변형이나 기술의 적용을 배제하려는 의도는 없다. 본 실시형태의 각 구성은, 이러한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취사 선택할 수 있고,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골판지재는 아코디언형으로 접힌 골판지재(1)에 한정하지 않고, 싱글 시트형 골판지재여도 된다. 골판지재에는, 중심지에 대해 한쪽 편에 라이너가 형성된 편면 골판지가 사용되어도 된다. 골판지를 아코디언형으로 절첩하는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구조의 절첩 장치를 이용하여 아코디언형으로 접힌 골판지재라도, 상술한 과제 I∼IV가 발생할 수 있다.
골판지재가 제함 시스템용 자재인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형성된 칼선이나 미싱선 등의 추가 가공이 접음선에 실시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골판지재에 있어서의 라이너의 표층에 형성되는 괘선을 기점(예를 들면, 괘선을 내측)으로 180[°] 접히는 개소가 접음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골판지재가 제함 시스템용 이외의 자재인 경우에는, 칼선이나 미싱선 등의 가공이 접음선에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아코디언형 골판지재의 용도는, 제함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함용 자재로서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코디언형 골판지재에는, 종래의 싱글 골판지 시트와 상이한, 복수의 시트가 접음선을 개재하여 연설된 구조를 살린 다양한 활용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아코디언형 골판지재는 시트를 전개한 상태에서, 연재하는 방향의 치수가 큰 웹 형상의 종이 자재로서 취급할 수도 있다.
웹 형상의 종이 자재로서 이용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용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재해 용품으로서의 이용: 창에 첩부함으로써, 태풍시의 창문 파손 대책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피난소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나 스트레스 경감용 파티션으로서의 이용이나, 완충재나 냉기 대책용 깔개로서 이용 가능하다.
이벤트 행사에서의 이용: 이벤트나 학교 행사의 간판 등의 창작물에 이용 가능하다.
건축/이사 자재로서의 이용: 건축 현장이나 이사 현장에서 일시적으로 여닫이문이나 벽, 문 등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 경우, 대상물에 첩부하는 타입의 보호재(양생재)로서 활용 가능하다. 대상물에 둘러 감는 타입의 보호재(곤포 자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어느 이용 방법에 있어서도, 복수의 시트가 접음선을 개재하여 연설된 구조임으로써, 작업 효율 향상이나, 연재하는 방향의 치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V. 부기]
이상의 실시형태에 관한 부기를 개시한다.
〔부기 1〕
중심지에 대해 라이너를 첩합한 골판지를 사용한 골판지재로서,
상기 라이너로부터 잘라낸 측정편을 25[℃]의 온도 조건하 주파수 100[Hz]의 진동 조건의 인장 전단 모드에서 측정된 동적 점탄성이 소정의 범위 내이며,
상기 동적 점탄성은, 탄성률 E'와, 상기 탄성률 E'에 대한 손실 탄성률 E''의 비율인 tanδ의 값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탄성률 E'가 1.00×109[Mpa] 이상이면서 8.00×109[Mpa] 이하이며,
상기 tanδ가 2.50×10-2 이상이면서 1.50×1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부기 2〕
상기 탄성률 E'가 3.00×109[Mpa] 이하이며,
상기 tanδ가 7.00×10-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3〕
상기 탄성률 E'가 4.00×109[Mpa] 이상이며,
상기 tanδ가 4.00×1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4〕
상기 라이너를 이루는 원지에 사용하는 펄프의 프리네스가 350[㎖] 이상이면서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5〕
상기 중심지의 양측에 대해 상기 라이너를 첩합한 양면 골판지를 상기 골판지로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6〕
띠 형상으로 연속하는 상기 골판지를 교대로 접어 적층된 아코디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7〕
중심지에 대해 라이너를 첩합한 골판지를 사용하고 있고, 띠 형상으로 연속하는 상기 골판지를 교대로 접어 적층된 아코디언형인 골판지재로서,
상기 라이너로부터 잘라낸 측정편을 25[℃]의 온도 조건하 주파수 100[Hz]의 진동 조건의 인장 전단 모드에서 측정된 동적 점탄성이 소정의 범위 내이며,
상기 동적 점탄성은, 탄성률 E'와, 상기 탄성률 E'에 대한 손실 탄성률 E''의 비율인 tanδ의 값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탄성률 E'가 1.00×109[Mpa] 이상이면서 3.00×109[Mpa] 이하이며,
상기 tanδ가 7.00×10-2 이상이면서 1.50×1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부기 8〕
상기 라이너를 이루는 원지에 사용하는 펄프의 프리네스가 350[㎖] 이상이면서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9〕
상기 중심지의 양측에 대해 상기 라이너를 첩합한 양면 골판지를 상기 골판지로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또는 8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10〕
중심지에 대해 라이너를 첩합한 골판지를 사용한 골판지재로서,
상기 라이너에 첨가된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고,
상기 라이너에 첨가된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며,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0[㎜]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고,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 중,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이 23[%] 이상이면서 4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부기 11〕
상기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8[질량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12〕
상기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1.0[질량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 또는 11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13〕
상기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14〕
상기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15〕
상기 중심지의 양측에 대해 상기 라이너를 첩합한 양면 골판지를 상기 골판지로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16〕
띠 형상으로 연속하는 상기 골판지를 교대로 접어 적층된 아코디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17〕
중심지에 대해 라이너를 첩합한 골판지를 사용한 골판지재로서,
상기 라이너의 밀도가 0.60[g/㎤] 이상이면서 0.85[g/㎤] 이하이고,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8[㎜]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며,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 중,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이 15[%] 이상이면서 3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부기 18〕
상기 밀도가 0.80[g/㎤] 이상이고,
상기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1.10[㎜] 이상이며,
상기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이 1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7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19〕
상기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8[㎜] 이상이면서 1.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7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20〕
상기 중심지의 양측에 대해 상기 라이너를 첩합한 양면 골판지를 상기 골판지로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7∼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재.
〔부기 21〕
띠 형상으로 연속하는 상기 골판지를 교대로 접어 적층된 아코디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7∼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재.
1 골판지재
10 골(파형)
2 시트
20 시트쌍
21 제1 시트
22 제2 시트
23 제3 시트
50 절첩 장치
50A 반송 파트
50B 폴딩 파트
50C 스태킹 파트
F 접음선
L 보조선
L1 세로 치수(제1 치수)
L2 가로 치수(제2 치수)
L3 높이 치수(제3 치수)

Claims (7)

  1. 중심지에 대해 라이너를 첩합한 골판지를 사용한 골판지재로서,
    상기 라이너에 첨가된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고,
    상기 라이너에 첨가된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이상이면서 4.0[질량부] 이하이며,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0.90[㎜] 이상이면서 1.55[㎜] 이하이고,
    상기 라이너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 중, 섬유 길이가 0.0[㎜] 이상이면서 0.2[㎜] 이하인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이 23[%] 이상이면서 4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제의 첨가량이 0.8[질량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력 증강제의 첨가량이 1.0[질량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평균 섬유 길이가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섬유가 함유되는 양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의 양측에 대해 상기 라이너를 첩합한 양면 골판지를 상기 골판지로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띠 형상으로 연속하는 상기 골판지를 교대로 접어 적층된 아코디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재.
KR1020237043434A 2020-03-31 2021-03-30 골판지재 KR20240000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62419A JP6798634B1 (ja) 2020-03-31 2020-03-31 ダンボール材
JPJP-P-2020-062419 2020-03-31
JP2020075603A JP6822593B1 (ja) 2020-04-21 2020-04-21 ダンボール材
JPJP-P-2020-075603 2020-04-21
JPJP-P-2020-075604 2020-04-21
JP2020075604A JP6822594B1 (ja) 2020-04-21 2020-04-21 ダンボール材
KR1020227036414A KR20220154811A (ko) 2020-03-31 2021-03-30 골판지재
PCT/JP2021/013605 WO2021200988A1 (ja) 2020-03-31 2021-03-30 ダンボール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414A Division KR20220154811A (ko) 2020-03-31 2021-03-30 골판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628A true KR20240000628A (ko) 2024-01-02

Family

ID=779271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438A KR20240000629A (ko) 2020-03-31 2021-03-30 골판지재
KR1020237043434A KR20240000628A (ko) 2020-03-31 2021-03-30 골판지재
KR1020227036414A KR20220154811A (ko) 2020-03-31 2021-03-30 골판지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438A KR20240000629A (ko) 2020-03-31 2021-03-30 골판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414A KR20220154811A (ko) 2020-03-31 2021-03-30 골판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20240000629A (ko)
AU (2) AU2021249695B2 (ko)
WO (1) WO202120098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3869A (ja) 2009-12-12 2013-04-22 パックサイズ,エルエルシー 物品の特注配列に基づく応需型包装用品の作成
JP2015509473A (ja) 2012-03-06 2015-03-30 パノテック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十分に剛性な材料からなる襞テープをジグザグ方式で折り畳み積み重ねる自動化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3354B2 (ja) * 2005-10-07 2009-08-12 大王製紙株式会社 段ボール外装用ライナ
JP4868277B2 (ja) * 2005-10-18 2012-02-01 星光Pmc株式会社 板紙の製造方法
JP2007186832A (ja) * 2006-01-16 2007-07-26 Seiko Pmc Corp 中性板紙
JP5283409B2 (ja) * 2008-03-25 2013-09-04 大王製紙株式会社 段ボール用ライナーの製造方法
JP3160065U (ja) * 2010-03-30 2010-06-10 中越パッケージ株式会社 段ボール及び段ボール箱
JP2012057285A (ja) * 2010-09-13 2012-03-22 Oji Paper Co Ltd 微細植物繊維含有紙シート
JP5977100B2 (ja) * 2012-07-04 2016-08-24 大王製紙株式会社 段ボール用ライナー
JP6158493B2 (ja) * 2012-09-28 2017-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ライナー及び段ボールシート
JP2019038262A (ja) * 2017-08-28 2019-03-14 株式会社TanaーX 段ボールシート接合装置、連続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段ボールブランク製造装置
JP6684425B1 (ja) * 2019-10-11 2020-04-2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3869A (ja) 2009-12-12 2013-04-22 パックサイズ,エルエルシー 物品の特注配列に基づく応需型包装用品の作成
JP2015509473A (ja) 2012-03-06 2015-03-30 パノテック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十分に剛性な材料からなる襞テープをジグザグ方式で折り畳み積み重ねる自動化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3282329A1 (en) 2024-01-18
KR20240000629A (ko) 2024-01-02
KR20220154811A (ko) 2022-11-22
AU2021249695A1 (en) 2022-12-01
AU2021249695B2 (en) 2024-02-22
WO2021200988A1 (ja)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425B1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6947319B1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6822594B1 (ja) ダンボール材
KR20240000628A (ko) 골판지재
JP6822593B1 (ja) ダンボール材
JP6863542B1 (ja) ダンボール材
JP6863543B1 (ja) ダンボール材
JP6841374B1 (ja) ダンボール材
JP6841373B1 (ja) ダンボール材
JP6798634B1 (ja) ダンボール材
JP7107459B1 (ja) 蛇腹折りダンボール材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包装システム
JP2023020432A (ja) トイレットロール包装体
JP6741181B1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6741182B1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6741180B1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2021171951A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WO2020246163A1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6870773B2 (ja) ダンボール材
JP2021062604A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6801808B1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6801807B1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2021160833A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2021160737A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JP2021062614A (ja) ダンボール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ダンボール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