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661A -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661A
KR20230172661A KR1020220072808A KR20220072808A KR20230172661A KR 20230172661 A KR20230172661 A KR 20230172661A KR 1020220072808 A KR1020220072808 A KR 1020220072808A KR 20220072808 A KR20220072808 A KR 20220072808A KR 20230172661 A KR20230172661 A KR 20230172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charging
us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to KR102022007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661A/ko
Priority to PCT/KR2023/006918 priority patent/WO2023243894A1/ko
Publication of KR20230172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6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K2370/1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4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8Driver interactions by enquiring 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CHARGING STATION}
본 개시는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자동차와 관련된 기술이 급격하게 개발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자동차 메이커들은 다양한 전기 자동차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이용자수도 급등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가 처음 개발되었던 당시에는 내연 기관 자동차에 비해 짧은 주행 거리 문제와 더불어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더불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와 충전소에 구비되는 충전기 또는 충전 포트의 개수가 전기 자동차의 보급에 비하여 부족하여 전기 자동차의 이용자들이 충전기를 이용하기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주행 거리 문제의 경우, 자동차 메이커들의 오랜 노력 덕분에 많은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일례로, 국내의 한 자동차 메이커에서 처음 개발했던 전기 자동차의 주행 거리는 80km 내외 였다. 그러나, 현재 상기 자동차 메이커에서 개발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주행 거리가 400km 가 넘어 이제는 실제 생활에 있어서도 전기 자동차를 운용하기에 무리가 없는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기술 개발과 더불어 충전 포트 기술도 발전됨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현저히 줄어들 수 있었다.
그러나, 주행 거리 문제와 더불어 충전에 소요되는 소요 시간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의 보즙이 부족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 이용자들은 전기 자동차의 보급에 비하여 부족한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하여 먼 지역까지도 이동하기도 한다. 전기 자동차 이용자들은 충전소를 방문했으나, 다른 이용자가 충전기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다른 이용자의 충전기 사용이 끝나기 만을 기다리기도 한다. 다시 말해, 전기 자동차의 이용자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실정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02464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체의 배터리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소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충전소 결정 방법으로서,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이동체의 사용자로부터 충전소의 검색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만족되는 제 1 조건 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량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만족되는 제 2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향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요금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1 가중치 정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2 가중치 정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3 가중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동 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4 가중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향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제 1 요금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제 1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제 1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충전 요금에 대한 제 2 요금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가용 충전 포트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제 2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까지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제 2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상기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제조사에서 제공된 상기 이동체의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제조사에서 제공된 상기 이동체의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제조사에서 제공된 상기 이동체의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이동체의 실제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이동체의 실제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상기 현재 위치의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 주변 거리의 고도와 관련된 정보, 상기 주변 거리의 경사도와 관련된 정보, 상기 주변 거리의 차량 혼잡도와 관련된 정보, 상기 주변 거리에 존재하는 고속도로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주변 거리에 존재하는 국도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 주변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충전소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충전소의 충전 요금에 대한 제 3 요금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 내에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가용 충전 포트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제 3 충전 포트 성능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까지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제 3 이동 거리 정보, 상기 현재 위치부터 상기 제 1 충전소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제 1 경로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용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제 1 충전 포트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충전소에 도착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들의 성향 정보 및 충전소들과 관련된 정보로부터 맞춤형 충전소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로서,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결정하고, 그리고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충전소 결정 방법으로서,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이동체의 배터리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사용자 맞춤 충전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제 1 충전소를 예약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는 이동체에 구비되는 컴퓨팅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이동체는 전기 자동차 또는 전기 오토바이 등 배터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동 수단일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배터리가 충전된 정도를 나타내는 정량적인 값, 현재 배터리가 소모된 정도를 나타내는 정량적인 값 또는 현재 배터리의 남은 충전량을 나타내는 정량적인 값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목적지까지 이동하지 못한다고 결정된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충전소를 검색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충전소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충전소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사용자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또는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 등일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목적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이동체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배터리가 충전된 정도를 나타내는 정량적인 값, 현재 배터리가 소모된 정도를 나타내는 정량적인 값 또는 현재 배터리의 남은 충전량을 나타내는 정량적인 값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결정된 경우, 목적지,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목적지 및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각각의 제 1 주행 거리 및 이동체가 주행 가능한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주행 거리 및 제 2 주행 거리를 비교하여, 제 2 주행 거리보다 짧은 제 1 주행 거리를 갖는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경로가 결정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제 1 경로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10)가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저장부(120)는 메모리 및/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와 서버(200) 사이, 또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와 네트워크(3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형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10)로부터 결정된 제 1 경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가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40)와 동일한 모듈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포함된 모듈일 수도 있다.
서버(200)는 제어부(210), 저장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서버(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서버(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서버(2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서버(200)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로부터 목적지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목적지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서버(20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결정된 제 1 경로를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상술한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서버(200)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이동체의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로부터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권은 사용자가 충전소에서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티켓, 모바일 티켓 또는 쿠폰 등일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은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나타내는 제 1 조건,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충전 포트를 나타내는 제 2 조건,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 요금을 나타내는 제 3 조건, 충전 포트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 4 조건 및 충전 포트의 이용 가능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제 5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용 조건에 대한 이용 조건 정보 및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비용에 대한 정보를 이동체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용권을 구매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버(2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2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메모리 및/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서버(2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서버(200)와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 사이, 또는 서버(200)와 네트워크(3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에 기초하여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이동체의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10).
목적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목적지, 현재 시간,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S120). 제 1 경로를 결정한다는 의미는 경로를 스케줄링 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제 1 경로를 스케줄링 한다는 의미는 이동체가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해 충전소를 방문할지, 경유지를 거칠지 또는 목적지에 도착하는 시간을 스케줄링한다는 의미로도 이해될 수 있다.
제 1 경로는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일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배터리가 충전된 정도를 나타내는 정량적인 값, 현재 배터리가 소모된 정도를 나타내는 정량적인 값 또는 현재 배터리의 남은 충전량을 나타내는 정량적인 값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목적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값일 수 있다. 현재 시간은 목적지가 입력되는 시간일 수 있으며, 현재 위치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아닌 제 1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검색하는 입력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재 위치 대신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제 1 경로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경로는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최단 시간에 도달할 수 있는 최단 시간 경로,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에 도달할 수 있는 최단 거리 경로,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달하는 동안 유료 도로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유료 도로 경로 및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달하는 동안 유료 도로가 경로 상에 존재하지 않는 무료 도로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유료 도로 경로 및 무료 도료 경로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종래의 네비게이션(navigation)과 관련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1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로가 아닐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 1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결정한 경로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각각의 제 1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주행 가능한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주행 거리 및 제 2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 2 주행 거리 보다 짧은 제 1 주행 거리를 갖는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10)가 제 2 주행 거리 보다 짧은 제 1 주행 거리를 갖는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하는 일례는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2 주행 거리 보다 짧은 제 1 주행 거리를 갖는 후보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후보 경로 중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제어부(110)가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하는 일례는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 1 경로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제 1 경로와 관련된 정보는 제 1 경로 및 제 1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경로는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하기위한 충전소가 경로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충전소를 포함하는 제 1 경로를 결정한 경우, 충전소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제 1 소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충전소에 구비된 충전 포트의 성능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제 1 소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소요 시간이 결정된 경우, 제 1 소요 시간 및 제 1 경로를 통해 이동체가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제 2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총 소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소요 시간은 현재 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제 1 경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총 소요 시간이 결정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결정된 총 소요 시간 및 제 1 경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현재 시간,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경로는 이동체가 주행 가능한 제 2 주행 거리 보다 짧은 제 1 주행 거리를 갖는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경로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에 대한 걱정없이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이동체가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불가능하다고 결정된 경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제 1 경로를 벗어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충전소를 방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목적지 및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S121).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로가 아닐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 1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결정한 경로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각각의 제 1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S122).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주행 가능한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S123).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이동체의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이동체의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현재 위치의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는 주변 거리의 고도와 관련된 정보, 주변 거리의 경사도와 관련된 정보, 주변 거리의 차량 혼잡도와 관련된 정보, 주변 거리에 존재하는 고속도로와 관련된 정보 및 주변 거리에 존재하는 국도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경우, 사용자의 운전 습관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배터리의 소모량이 급격하게 변화될 수 있다. 내연 기관을 이용하는 자동차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운전 습관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연비의 차이가 다소 존재할 수 있으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 연비의 차이가 확연히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의 경우 주변 도로의 상황에 따라서도 연비의 차이가 확연히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 및 현재 위치 주변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주행 거리가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주행 거리 및 제 2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S124).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제 1 주행 거리 및 제 2 주행 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주행 거리보다 짧은 제 1 주행 거리를 갖는 제 1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터리에 대한 걱정없이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2 주행 거리보다 짧은 제 1 주행 거리를 갖는 제 1 후보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제어부(110)가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각각의 제 1 주행 거리 및 이동체가 주행 가능한 제 2 주행 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S1241).
제 2 주행 거리보다 짧은 제 1 주행 거리를 갖는 제 1 후보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S1242, Yes), 제어부(110)는 제 1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S1243).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제 1 경로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제 1 경로 및 제 1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2 주행 거리보다 짧은 제 1 주행 거리를 갖는 제 1 후보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242, No),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S1244). 여기서, 충전소는 이동체가 주행 가능한 제 2 주행 거리 보다 짧은 거리에 위치하는 충전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가 결정된 경우, 현재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상에 존재하는 충전소까지의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 중 충전소까지의 주행 거리가 제 2 주행 거리 짧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충전소까지의 주행 거리가 제 2 주행 거리 짧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경로를 제 2 후보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복수개의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이동체는 한번의 배터리 충전으로는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기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울역에서부터 부산역까지의 주행 거리는 400km일 수 있다. 몇몇 전기 자동차의 경우 실제 주행 가능한 거리가 200km 내외 밖에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복수개의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가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S1245).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 중 최단 거리를 갖는 제 2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 중 최단 시간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제 2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 중 충전소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 2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이동체가 목적지까지의 운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중 편리하게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 상에 존재하는 충전소 중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맞춤 충전소는 사용자가 사전 설정해둔 충전소,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 또는 이동체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방문한 충전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 중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통해 배터리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가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후보 경로 상에 존재하는 충전소 중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사용자 맞춤 충전소는 이동체의 사용자가 사전 설정해둔 충전소,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 또는 이동체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방문한 충전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권은 사용자가 충전소에서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티켓, 모바일 티켓 또는 쿠폰 등일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은 복수개의 충전소 중 이용 가능한 충전소를 나타내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 충전소는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이용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이용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배터리의 충전에 대한 안정성에 중점을 두는 타입(type)인지 또는 배터리의 충전 요금에 중점을 두는 제 2 타입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사전 입력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요금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1 가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중치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 요금을 얼마나 고려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요금에 대한 가중치는 1점 내지 5점일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저렴하기를 원하는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소까지의 거리가 다소 멀더라도 충전 요금이 저렴하기를 원하는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다소 비싸더라도 충전 포트의 성능이 우수하거나 또는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최소화되기를 원하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다소 비싸더라도 충전소가지의 거리가 가깝기를 원하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도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2 가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중치 정보는 사용자가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를 얼마나 고려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에 대한 가중치는 1점 내지 5점일 수 있다. 가용 충전 포트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할 경우 즉시 사용가능한 충전 포트일 수 있다. 반대로, 비가용 충전 포트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중이어서 사용자가 충전소에 방문하더라도 사용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존재하는 충전 포트일 수 있다. 사용자는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지 않아 다소 대기 시간이 존재하더라도 충전 요금이 저렴하기를 원하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다소 비싸더라도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 충전소만 방문하고 싶은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3 가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가중치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 포트의 성능을 얼마나 고려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가중치는 1점 내지 5점일 수 있다. 충전 포트의 성능은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포트의 성능이 우수하기를 원하는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포트의 성능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동 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4 가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가중치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이동 거리를 얼마나 고려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저렴하다면 충전소까지의 거리가 다소 멀더라도 상관없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다소 비싸더라도 충전소까지의 이동 거리가 짧기를 원하는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술한 제 1 가중치 정보 내지 제 4 가중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사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들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가중치 점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가중치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제 1 신경망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신경망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또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일 수 있다. 제 1 신경망 모델은 제 1 가중치 정보 내지 제 4 가중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출력하는 모델일 수 있다. 이하, 제 1 신경망 모델은 종래의 네트워크 모델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220, No), 제어부(11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지 않는 제 2-1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S220). 환언하자면, 제어부(11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는 존재하지 않지만, 경로 상에 충전소가 존재하는 제 2-1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우(S220, Yes), 제어부(11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 2-2 후보 경로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 2-2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맞춤 충전소는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하여 사전 설정해둔 충전소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 일 수도 있다. 따라서,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가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 제 1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평소에 이용하는 충전소를 편리하게 이용하며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 충전소는 사용자의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1 경로 상에 사용자가 평소에 이용하던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가 평소에 이용하던 충전소와 유사한 충전소가 존재하는 제 1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성향에 맞게 결정된 충전소를 편리하게 이용하며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통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가 사용자 맞춤 충전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사용자 맞춤 충전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제 2-1 후보 경로의 제 3 주행 거리 및 제 2-2 후보 경로의 제 4 주행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S241). 여기서, 제 2-1 후보 경로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지 않고, 충전소만 경로 상에 존재하는 후보 경로일 수 있다. 제 2-2 후보 경로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후보 경로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3 주행 거리 및 제 4 주행 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S242).
비교 결과 제 3 주행 거리 및 제 4 주행 거리 간의 차이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S243, Yes), 제어부(110)는 제 2-1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S244).
예를 들어, 제 3 주행 거리는 100km 이고, 제 4 주행 거리는 110km일 수 있다. 사전 설정된 임계값은 5km일 수 있다. 제 3 주행 거리 및 제 4 주행 거리 간의 차이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기 때문에, 제어부(110)는 제 2-1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지 않고, 충전소만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 2-1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 3 주행 거리 및 제 4 주행 거리 간의 차이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S243, No), 제어부(110)는 제 2-2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S245).
예를 들어, 제 3 주행 거리는 100km 이고, 제 4 주행 거리는 102km일 수 있다. 사전 설정된 임계값은 5km일 수 있다. 제 3 주행 거리 및 제 4 주행 거리 간의 차이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기 때문에, 제어부(110)는 제 2-2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 2-2 후보 경로를 제 1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휴게소가 존재하더라도, 이동체의 현재 위치부터 사용자 맞춤 휴게소까지의 거리가 다소 먼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맞춤 휴게소를 방문하기 위하여 먼 경로를 선택하기에 부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임계값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임계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10)는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성향 정보는 이동 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4 가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4 가중치 정보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로와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로의 주행 거리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로와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로의 주행 거리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 맞춤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목적지까지 최선의 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충전소를 검색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
내연 기관 자동차의 경우 휘발유 또는 경유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가 아직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어느 충전소를 방문하는 것이 최선일지에 대해 고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충전소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S310).
특정 조건은 이동체의 사용자로부터 충전소의 검색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만족되는 제 1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충전소의 검색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제 1 조건이 만족된 경우,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조건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잔여량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만족되는 제 2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임계값은 20%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잔여량이 20% 미만이라고 결정된 경우, 제 2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2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결정됨에 따라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조건이 만족된 경우, 제어부(110)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시각적 알림을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청각적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동 범위는 현재 이동체의 위치로부터 주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현재 위치는 지도 데이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데이터는 공공기관 또는 기업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네비게이션 기술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가 사용되는 것은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이동체의 연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이동체의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제조사에서 제공된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제조사에서 제공된 이동체의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이동체의 제조사에서 제공된 연비와 실제 사용자가 운행하면서 결정되는 연비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현재 위치의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위치의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는 지도 데이터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다.
현재 위치의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는 주변 거리의 고도와 관련된 정보, 주변 거리의 경사도와 관련된 정보, 주변 거리의 차량 혼잡도와 관련된 정보, 주변 거리에 존재하는 고속도로와 관련된 정보 및 주변 거리에 존재하는 국도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르막길과 같은 경사도가 존재하는 도로의 경우, 이동체가 주행 가능한 주행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이 혼잡한 도로에 이동체가 운행되는 경우, 이동체가 주행 가능한 주행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현재 위치의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 및 현재 위치 주변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이용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이용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배터리의 충전에 대한 안정성에 중점을 두는 타입인지 또는 배터리의 충전 요금에 중점을 두는 타입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안정성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가용 충전 포트만 존재하는 충전소를 방문하는 성향이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안정성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는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지 않아 다른 사용자의 충전 포트의 사용이 완료되기를 기다려야 하는 충전소는 방문하지 않는 성향이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충전 요금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는 충전소에 사용 가능한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충전 요금이 저렴한 충전소를 방문하는 성향이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충전 요금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는 충전소가 다소 먼 거리에 위치하더라도, 충전 요금이 저렴한 경우 방문하는 성향이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요금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1 가중치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2 가중치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3 가중치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동 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4 가중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한 히스토리 또는 로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제 1 요금 정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제 1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제 1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충전소의 충전 요금에 대한 요금 정보,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한 히스토리 및 사용자 외 다른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한 히스토리를 비교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제 1 요금 정보 및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요금 정보를 비교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및 다른 사용자가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비교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제 1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다른 사용자가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충전 포트 성능 정보를 비교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제 1 이동 거리 정보 및 다른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들의 성향 정보 및 충전소들과 관련된 정보로부터 맞춤형 충전소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제 2 신경망 모델에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신경망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또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일 수 있다. 제 2 신경망 모델은 성향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사용자의 성향과 유사한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모델일 수 있다. 이하, 제 2 신경망 모델은 종래의 네트워크 모델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각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충전 요금에 대한 제 2 요금 정보,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가용 충전 포트 정보,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제 2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까지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제 2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가 결정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성향과 일치하는 충전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중치 또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안정성에 중점을 두는 타입이라고 성향 정보를 사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전 결정된 성향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 제 1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중치 또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충전 요금에 중점을 두는 타입이라고 성향 정보를 사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전 결정된 성향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이 저렴한 제 1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중치 또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충전 포트의 성능에 중점을 두는 타입이라고 성향 정보를 사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전 결정된 성향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성능이 우수한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 제 1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충전소는 사용자가 사전 설정해둔 충전소,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 또는 이동체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방문한 충전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사용자가 사전 설정해둔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전 설정해둔 충전소를 제 1 충전소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를 제 1 충전소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이동체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방문한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우, 이동체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방문한 충전소를 제 1 충전소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40)는 제 1 충전소가 결정된 경우,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제 1 충전소의 충전 요금에 대한 제 3 요금 정보, 제 1 충전소 내에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가용 충전 포트 정보, 제 1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제 3 충전 포트 성능 정보, 제 1 충전소까지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제 3 이동 거리 정보, 이동체의 현재 위치부터 제 1 충전소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및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용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성향에 알맞은 충전소를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40)에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사용자는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한 후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제 1 충전소가 이동체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제 1 충전소를 예약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통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가 제 1 충전소를 예약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가 제 1 충전소를 예약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이후, 사용자로부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4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로서,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약 버튼 등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디케이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입력은 충전 포트의 선택에 대한 입력 및 제 1 충전소에 도착하는 도착 예정 시간에 대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제 1 충전 포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체가 제 1 충전소에 도착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제 1 충전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정된 도착 예정 시간 및 사용자로부터의 제 1 충전 포트를 선택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충전소를 예약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통신부(130)는 제 1 충전소를 예약하기 위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충전소를 예약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 서버(200)는 제 1 충전소를 예약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충전소를 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 포트가 제 1 시간에는 이동체의 사용자 외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지 못하도록, 제 1 충전소를 예약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보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충전소의 낮은 보급율로 인해, 사용자는 충전소까지 방문하더라도 즉시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에 편리하게 충전소를 방문하여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이동체의 사용자로부터 충전소의 검색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만족되는 제 1 조건 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량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만족되는 제 2 조건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요금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1 가중치 정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2 가중치 정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3 가중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동 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4 가중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제 1 요금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제 1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제 1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충전 요금에 대한 제 2 요금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가용 충전 포트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제 2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까지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제 2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상기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제조사에서 제공된 상기 이동체의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제조사에서 제공된 상기 이동체의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제조사에서 제공된 상기 이동체의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이동체의 최근 주행에 따른 실제 평균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이동체의 실제 최대 연비에 대한 정보, 상기 이동체의 실제 최소 연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상기 현재 위치의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주변 거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 주변 거리의 고도와 관련된 정보, 상기 주변 거리의 경사도와 관련된 정보, 상기 주변 거리의 차량 혼잡도와 관련된 정보, 상기 주변 거리에 존재하는 고속도로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주변 거리에 존재하는 국도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이동체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 주변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소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충전소의 충전 요금에 대한 제 3 요금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 내에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가용 충전 포트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제 3 충전 포트 성능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까지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제 3 이동 거리 정보, 상기 현재 위치부터 상기 제 1 충전소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제 1 경로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용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충전소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제 1 충전 포트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충전소에 도착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들의 성향 정보 및 충전소들과 관련된 정보로부터 맞춤형 충전소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로서,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결정하고, 그리고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장치.
  14.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전 결정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072808A 2022-06-15 2022-06-15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230172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08A KR20230172661A (ko) 2022-06-15 2022-06-15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PCT/KR2023/006918 WO2023243894A1 (ko) 2022-06-15 2023-05-22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08A KR20230172661A (ko) 2022-06-15 2022-06-15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661A true KR20230172661A (ko) 2023-12-26

Family

ID=8919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808A KR20230172661A (ko) 2022-06-15 2022-06-15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2661A (ko)
WO (1) WO202324389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64A (ko)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리버트론 전기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9519A1 (en) * 2010-10-27 2012-05-0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bev to charging station
KR101252209B1 (ko) * 2011-07-27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주행가능범위 내의 전기충전소 자동검색시스템 및 방법
KR102315324B1 (ko) * 2019-11-05 2021-10-20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전기차 빅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충전 방법
KR20210125126A (ko) * 2020-04-07 2021-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049641A (ko) * 2020-10-14 2022-04-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충전 완료 시간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64A (ko)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리버트론 전기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894A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5678B2 (en) Navigation system with arrival tim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820381B1 (en) Fuel consumption calculations and warnings
JP6551332B2 (ja) 車両の走行可能距離算出システムおよび走行可能距離算出方法
JP5516550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9638542B2 (en) Method and system of route scheduling and presenting route-based fuel information
CN103575285A (zh) 路径搜索装置
CN109073402B (zh) 用于确定安全返回里程的方法及系统
JP7099442B2 (ja) プラン情報提供システム、プラン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0551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CN111256715A (zh) 对自主车辆的机会性加燃料
JP2023535828A (ja) 経路決定方法、装置、機器及び媒体
JP2015055607A (ja) 移動案内装置及び移動案内方法
WO2014024604A1 (ja) 航続可能経路演算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表示データ生成装置
JP5633413B2 (ja) 情報提示装置
JP2021015087A (ja) 走行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954129A (zh) 充电站信息的推荐方法、装置、电子终端及存储介质
JP6387837B2 (ja) 経路提示装置
CN111860904A (zh) 上车点排序的方法及装置
JP2019175507A (ja) 車両の走行可能距離算出システムおよび走行可能距離算出方法
KR20230172661A (ko)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230172660A (ko) 배터리 상태 기반 이동체의 경로 스케줄링 방법
KR102522516B1 (ko) 전기버스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충전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7403117B2 (ja) 電気自動車用カーナビゲーション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36309A (ko) 카 쉐어링 서비스를 위한 차량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72662A (ko)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