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662A -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662A
KR20230172662A KR1020220072809A KR20220072809A KR20230172662A KR 20230172662 A KR20230172662 A KR 20230172662A KR 1020220072809 A KR1020220072809 A KR 1020220072809A KR 20220072809 A KR20220072809 A KR 20220072809A KR 20230172662 A KR20230172662 A KR 20230172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station
user
charging port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to KR102022007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662A/ko
Priority to PCT/KR2023/006919 priority patent/WO2023243895A1/ko
Publication of KR2023017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6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이동체로부터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상기 이동체의 사용자와 관련된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체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중 제 1 이용권을 구매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이용권을 상기 이동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VIDING VOUCHER}
본 개시는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이동체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자동차와 관련된 기술이 급격하게 개발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자동차 메이커들은 다양한 전기 자동차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이용자수도 급등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가 처음 개발되었던 당시에는 내연 기관 자동차에 비해 짧은 주행 거리 문제와 더불어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더불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와 충전소에 구비되는 충전기 또는 충전 포트의 개수가 전기 자동차의 보급에 비하여 부족하여 전기 자동차의 이용자들이 충전기를 이용하기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주행 거리 문제의 경우, 자동차 메이커들의 오랜 노력 덕분에 많은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일례로, 국내의 한 자동차 메이커에서 처음 개발했던 전기 자동차의 주행 거리는 80km 내외 였다. 그러나, 현재 상기 자동차 메이커에서 개발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주행 거리가 400km 가 넘어 이제는 실제 생활에 있어서도 전기 자동차를 운용하기에 무리가 없는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기술 개발과 더불어 충전 포트 기술도 발전됨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현저히 줄어들 수 있었다.
그러나, 주행 거리 문제와 더불어 충전에 소요되는 소요 시간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의 보즙이 부족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 이용자들은 전기 자동차의 보급에 비하여 부족한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하여 먼 지역까지도 이동하기도 한다. 전기 자동차 이용자들은 충전소를 방문했으나, 다른 이용자가 충전기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다른 이용자의 충전기 사용이 끝나기 만을 기다리기도 한다. 다시 말해, 전기 자동차의 이용자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실정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02464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체의 배터리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이동체로부터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상기 이동체의 사용자와 관련된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체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중 제 1 이용권을 구매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이용권을 상기 이동체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 조건은, 상기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나타내는 제 1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상기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충전 포트를 나타내는 제 2 조건, 상기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 요금을 나타내는 제 3 조건, 상기 충전 포트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 4 조건 및 상기 충전 포트의 이용 가능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제 5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상기 충전 포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 포트 위치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에 대한 이용 조건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비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용권은 상기 제 1 이용권의 이용 조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에서 사용 가능한 정량적 재화가 사전 충전된 이용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용권을 상기 이동체에 제공한 이후,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이동체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된 전력 소요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소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용권에 충전된 재화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용권을 상기 이동체에 제공한 이후,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제 1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 포트를 제 1 시간에 예약하기 위한 제 4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4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 외 다른 이동체가 상기 제 1 시간에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시간에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이용권에 충전된 정량 금액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시간에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간에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충전 포트가 상기 이동체 외 다른 이동체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충전 포트에 대한 예약을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향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요금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1 가중치 정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2 가중치 정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3 가중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동 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4 가중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향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제 1 요금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이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상기 이동체의 사용자와 관련된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하는 제어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은 제 1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함 - ;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체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중 제 1 이용권을 구매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이용권을 상기 이동체에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이동체의 배터리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용권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용권에 충전된 재화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서버는 이동체로부터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체에 이용권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는 전기 자동차 또는 전기 오토바이 등 배터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동 수단일 수 있다. 일례로, 서버는 이동체의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로부터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는 이동체에 구비되는 컴퓨팅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이용권은 사용자가 충전소에서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티켓, 모바일 티켓 또는 쿠폰 등일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은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충전소를 나타내는 조건 또는 상기 충전소의 이용이 가능한 이용 가능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에 이용권에 제공된 경우, 이동체의 사용자는 이용권에 포함된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충전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서버가 이용권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서버(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서버(100)는 이동체(200)로부터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권은 사용자가 충전소에서 이동체(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티켓, 모바일 티켓 또는 쿠폰 등일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은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나타내는 제 1 조건,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충전 포트를 나타내는 제 2 조건,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 요금을 나타내는 제 3 조건, 충전 포트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 4 조건 및 충전 포트의 이용 가능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제 5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용 조건에 대한 이용 조건 정보 및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비용에 대한 정보를 이동체(2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용권을 구매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이하, 서버(100)가 이용권을 이동체(200)에 제공하는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서버(100)는 이동체(200)로부터 목적지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목적지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서버(100)는 이동체(20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결정된 경로를 이동체(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서버(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메모리 및/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서버(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서버(100)와 이동체(200) 사이, 또는 서버(100)와 네트워크(3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200)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200)는 전기 자동차 또는 전기 오토바이 등 배터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동 수단일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는 이동체에 구비되는 컴퓨팅 장치, 사용자 단말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 저장부 또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서버(100)가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이동체에 이용권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용권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통신부(130)는 이동체(200)로부터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10).
통신부(130)는 이동체(200)의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체(200)와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는 서로 구별해서 기재하지 않고 서로 혼용하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용권은 사용자가 충전소에서 이동체(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티켓, 모바일 티켓 또는 쿠폰 등일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사전 결정된 이동체(2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할 수 있다(S520).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이용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이용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배터리의 충전에 대한 안정성에 중점을 두는 타입(type)인지 또는 배터리의 충전 요금에 중점을 두는 제 2 타입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사전 입력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요금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1 가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중치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 요금을 얼마나 고려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요금에 대한 가중치는 1점 내지 5점일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저렴하기를 원하는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소까지의 거리가 다소 멀더라도 충전 요금이 저렴하기를 원하는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다소 비싸더라도 충전 포트의 성능이 우수하거나 또는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최소화되기를 원하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다소 비싸더라도 충전소까지의 거리가 가깝기를 원하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도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2 가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중치 정보는 사용자가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를 얼마나 고려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에 대한 가중치는 1점 내지 5점일 수 있다. 가용 충전 포트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할 경우 즉시 사용가능한 충전 포트일 수 있다. 반대로, 비가용 충전 포트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중이어서 사용자가 충전소에 방문하더라도 사용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존재하는 충전 포트일 수 있다. 사용자는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지 않아 다소 대기 시간이 존재하더라도 충전 요금이 저렴하기를 원하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다소 비싸더라도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는 충전소만 방문하고 싶은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3 가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가중치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 포트의 성능을 얼마나 고려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가중치는 1점 내지 5점일 수 있다. 충전 포트의 성능은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포트의 성능이 우수하기를 원하는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포트의 성능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동 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4 가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가중치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이동 거리를 얼마나 고려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저렴하다면 충전소까지의 거리가 다소 멀더라도 상관없는 경우 1점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요금이 다소 비싸더라도 충전소까지의 이동 거리가 짧기를 원하는 경우 5점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술한 제 1 가중치 정보 내지 제 4 가중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사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들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가중치 점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가중치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제 1 신경망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신경망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또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일 수 있다. 제 1 신경망 모델은 제 1 가중치 정보 내지 제 4 가중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출력하는 모델일 수 있다. 이하, 제 1 신경망 모델은 종래의 네트워크 모델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한 히스토리 또는 로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제 1 요금 정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제 1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제 1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충전소의 충전 요금에 대한 요금 정보,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한 히스토리 및 사용자 외 다른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한 히스토리를 비교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제 1 요금 정보 및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요금 정보를 비교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및 다른 사용자가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사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비교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제 1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다른 사용자가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충전 포트 성능 정보를 비교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제 1 이동 거리 정보 및 다른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복수의 로그들로부터 성향 정보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제 2 신경망 모델에 사용자의 충전소 방문과 관련된 로그를 입력하여, 성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신경망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또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일 수 있다. 제 2 신경망 모델은 사용자와 관련된 로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를 결정하는 모델일 수 있다. 이하, 제 2 신경망 모델은 종래의 네트워크 모델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권은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나타내는 제 1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건은 복수의 충전소들 중 특정 충전소만 이용할 수 있다는 조건일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충전 포트를 나타내는 제 2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특정 충전 포트만 이용할 수 있다는 조건일 수 있다. 충전소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각각은 구비된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각각은 성능이 상이할 수도 있다. 제 2 조건은 서로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특정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 요금을 나타내는 제 3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조건은 특정 충전 요금으로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충전 성능이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충전 성능이 상이함에 따라 충전 요금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충전 성능이 우수한 충전 포트의 경우 충전 요금이 비쌀 수 있고 반대로 충전 성능이 다소 부족한 충전 포트의 경우 충전 요금이 저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전력량에 따라 충전 요금이 변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제 1 전력량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제 1 충전 요금이 발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제 1 전력량 보다 큰 제 2 전력량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제 1 충전 요금보다 비싼 제 2 충전 요금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권은 충전 요금을 결정하기 위한 제 3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 포트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 4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충전 성능이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충전 성능이 변동되는 충전 포트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충전 성능이 상이함에 따라 충전 요금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충전 성능이 우수한 충전 포트의 경우 충전 요금이 비쌀 수 있고 반대로 충전 성능이 다소 부족한 충전 포트의 경우 충전 요금이 저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전력량에 따라 충전 요금이 변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제 1 전력량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제 1 충전 요금이 발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는 제 1 전력량 보다 큰 제 2 전력량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제 1 충전 요금보다 비싼 제 2 충전 요금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권은 충전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제 4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 포트의 이용 가능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제 5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은 KST 14:00시부터 18:00시 사이에만 이용 가능하도록 제 5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용권은 KST 21:00시부터 06:00시 사이에만 이용 가능하도록 제 5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제 5 조건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소와 관련된 충전 요금은 사전 설정된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소의 사업주는 KST 21:00 시부터 06:00 시 사이에는 제 1 충전 요금으로 전력을 판매할 수 있다. 충전소의 사업주는 KST 14:00시부터 18:00 시 사이에는 제 1 충전 요금 보다 비싼 제 2 충전 요금으로 전력을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 5 조건을 결정하는 경우, 제 2 조건과 연동하여 제 5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전 결정된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알맞은 이용 조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에는 사전 설정된 이용 조건을 갖는 복수개의 이용권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복수개의 이용권들 중 사용자의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 이용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맞춤 이용 조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배터리의 충전에 대한 안정성에 중점을 두는 타입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안정성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가용 충전 포트만 존재하는 충전소를 방문하는 성향이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안정성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는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지 않아 다른 사용자의 충전 포트의 사용이 완료되기를 기다려야 하는 충전소는 방문하지 않는 성향이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다소 충전 요금이 비싸더라도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대기할 필요가 없는 이용 조건이 포함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배터리의 충전 요금에 중점을 두는 타입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충전 요금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는 충전소에 사용 가능한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충전 요금이 저렴한 충전소를 방문하는 성향이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충전 요금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는 충전소가 다소 먼 거리에 위치하더라도, 충전 요금이 저렴한 경우 방문하는 성향이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가용 충전 포트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충전소까지의 거리가 다소 멀더라도 충전 요금이 저렴한 이용 조건이 포함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들의 성향 정보로부터 이용권을 결정하도록 학습된 제 3 신경망 모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할 수 있다. 제 3 신경망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또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일 수 있다. 제 3 신경망 모델은 사용자의 성향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이용 조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하는 모델일 수 있다. 이하, 제 3 신경망 모델은 종래의 네트워크 모델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이 결정된 경우, 통신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이동체(200)에 전송할 수 있다(S130). 통신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이동체(200)에 전송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가 이동체(200)의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충전소 내에서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충전 포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 포트 위치 정보,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에 대한 이용 조건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비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 조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각각의 이용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비용에 대한 정보는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비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용권은 이용 조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에서 사용 가능한 정량적 재화가 사전 충전된 이용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은 만원 또는 10$ 등의 재화가 사전 충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비용이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충전소를 방문하여 이용권을 통해 이동체(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권은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된 전력 소요량만큼의 재화가 차감될 수 있다. 이하, 전력 소요량에 기초하여, 이용권에 충전된 재화가 차감되는 일례는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이용권은 정량적 재화가 사전 충전되지 않은 이용권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는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충전소 내에서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충전 포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 포트 위치 정보 및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에 대한 이용 조건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량적 재화가 사전 충전되지 않은 이용권인 경우, 사용자가 충전소를 방문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된 전력 소요량만큼의 재화는 사용자에게 추후 청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량적 재화가 사전 충전되지 않은 이용권의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를 통해 충전소를 예약하거나 또는 이용할 수 있다. 이동체(200)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후 서버(100)는 이용권의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된 전력 소요량만큼의 재화를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권이 정량적 재화가 사전 충전되지 않은 이용권일 경우에도 사용자는 이용권에 포함된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다.
이동체(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중 제 1 이용권을 구매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 1 이용권을 이동체(200)에 제공할 수 있다(S54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방문한 경우,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를 통해 제 1 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 1 이용권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방문을 예약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이동체(200)로부터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체(2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알맞은 제 1 이용권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성향이 반영된 이용권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이동체(200) 또는 이동체(200)가 이용한 충전소를 통해 이동체(200)가 충전소에 방문하여 이용권을 사용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이동체(200)가 이용권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했다고 결정된 경우, 이용권에 사전 충전된 재화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해 서버(100)가 이용권에 충전된 재화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용권에 충전된 재화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통신부(130)는 제 1 이용권을 이동체(200)에 제공한 이후, 이동체(2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로부터 이동체(2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 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는 제 1 이용권의 사용이 가능한 충전소일 수 있다.
일례로, 제 1 이용권은 제 1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를 나타내는 제 1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용권은 충전 포트의 이용 가능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제 5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조건 및 제 5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를 이용 가능 시간 구간에 방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에서 이동체(2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제 1 이용권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기에서 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기를 통해 제 1 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충전기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 1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제 1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배터리 스케줄링 장치(2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기의 이용을 예약함으로써 제 1 이용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제 3 신호를 수신한 이후, 이동체(200)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20).
일례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이동체(200)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체(200)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기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체(200)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된 전력 소요량을 결정할 수 있다(S230).
일례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이동체(200)로부터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된 전력 소요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력 소요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소요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충전기로부터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된 전력 소요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력 소요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소요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력 소요량에 기초하여, 제 1 이용권에 충전된 재화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할 수 있다(S640).
구체적으로, 제 1 이용권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에서 사용 가능한 정량적 재화가 사전 충전된 이용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은 만원 또는 10$ 등의 재화가 사전 충전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이용권에 포함된 제 3 조건은 1kWh의 전력을 300원으로 충전할 수 있다는 충전 요금이 결정되어 있을 수 있고, 결정된 전력 소요량은 10kWh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이용권에 사전 충전된 만원의 금액 중 3,000원을 차감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충전소를 이용한 이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발생된 비용을 추가적으로 지불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30)는 제 1 이용권을 이동체(200)에 제공한 이후, 이동체(200)로부터 제 1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 포트를 제 1 시간에 예약하기 위한 제 4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4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체(200)가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예약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서버(100)가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통신부(130)는 제 1 이용권을 이동체(200)에 제공한 이후, 이동체(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 포트를 제 1 시간에 예약하기 위한 제 4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10).
또는 통신부(130)는 제 1 충전소의 방문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를 이동체(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1 충전소의 방문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는 제 1 충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충전 포트들 중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겠다는 정보 및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는 이용 시간에 대한 제 1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제 4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체(200) 외 다른 이동체(200)가 제 1 시간에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충전소에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하기 위한 신호 또는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대기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이동체(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이동체(2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를 통해 이동체(200)가 제 1 시간에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기로부터, 제 1 시간에 이동체(200)가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중이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기로부터, 제 1 시간에 이동체(200)가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200)가 제 1 시간에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이동체(200)로부터 제 1 시간에 이동체(200)가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중이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이동체(200)로부터 제 1 시간에 이동체(200)가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이동체(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200)가 제 1 시간에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체(200)가 제 1 시간에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제 1 이용권에 충전된 정량 금액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은 만원 또는 10$ 등의 재화가 사전 충전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이용권에 사전 충전된 만원의 금액 중 1,000원을 차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체(200)의 사용자가 제 1 충전소를 예약한 후 방문하지 않더라도, 제 1 충전소의 사업주는 일정 금액의 재화를 취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이동체(200)가 제 1 시간에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제 1 충전 포트가 이동체(200) 외 다른 이동체(200)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제 1 충전 포트에 대한 예약을 취소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이동체(200)의 다른 사용자들은 제 1 시간에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거나 또는 예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충전소의 방문을 예약한 제 1 시간에 근접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현재 시간 및 제 1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현재 시간 및 제 1 시간의 차이가 사전 결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현재 시간 및 제 1 시간의 차이가 사전 결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음향 출력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청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은 KST 14:00시 이고, 현재 시간은 KST 13:50분 이며, 그리고 사전 결정된 시간은 10분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시간에 제 1 충전 포트의 사용이 예약되어 있다는 알림을 KST 13:50분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충전소의 방문을 예약한 제 1 시간이 경과된 이후,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현재 시간 및 제 1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현재 시간 및 제 1 시간의 차이가 사전 결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현재 시간 및 제 1 시간의 차이가 사전 결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음향 출력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청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은 KST 14:00시 이고, 현재 시간은 KST 14:10분 이며, 그리고 사전 결정된 시간은 10분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시간에 제 1 충전 포트의 사용이 예약되어 있다는 알림을 KST 13:50분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 1 시간이 경과된 이후 충전소를 방문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충전 요금에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은 제 3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조건은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 요금을 나타내는 조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 3 조건으로 부여된 제 1 충전 요금에 기초하여, 제 1 시간에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충전소의 방문을 예약했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제 1 시간이 경과된 이후 충전소를 방문하는 경우, 제 3 조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3 조건에 부여된 제 1 충전 요금을 제 1 충전 요금 보다 비싼 제 2 충전 요금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2 충전 요금으로 이동체(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30)는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하기 위한 제 4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time period)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시간 기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이동체(200)의 배터리의 충전을 중지하거나 또는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이동체(200)로부터 KST 13:00시 부터 KST 14:00시 까지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하겠다는 제 4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KST 14:00시에 이동체(200)가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기로부터, KST 14:00시에 이동체(200)가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중이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이동체(200)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와는 관련없이, 제 1 충전 포트를 통해 이동체(200)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이동체(200)의 이용권의 제 3 조건으로 부여된 제 1 충전 요금을 제 1 충전 요금 보다 비싼 제 2 충전 요금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KST 14:00시가 경과된 이후에는 제 2 충전 요금으로 이동체(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이동체(200)가 충전소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한 전력 소요량에 기초하여 이용권에 충전된 재화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소를 이용한 이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발생된 비용을 추가적으로 지불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다. 몇몇 전기 자동차의 경우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해 한번이 아닌 두번 또는 세번 충전소를 방문해야 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소를 방문할 때 마다 사용자가 충전 요금을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는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제 1 이용권을 이동체(2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야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본 바에 따르면, 서버(100)는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이동체(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이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용권을 통해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용권을 통해 패스트 트랙(fast track)으로 충전소를 이용할 수도 있다. 패스트 트랙은 사용자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가장 빠르고 직접적인 경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이용권을 통해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용권을 가지지 못한 다른 사용자들에 비해 빠르게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이용권을 가진 다른 사용자들끼리 별도로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0)의 입장에서는 이용권을 통해 추가 요금을 지불한 사용자들과 추가 요금을 지불하지 않은 사용자들의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순번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이용권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시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상기 이동체의 사용자와 관련된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은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체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중 제 1 이용권을 구매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이용권을 상기 이동체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은,
    상기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나타내는 제 1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포트 중 상기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충전 포트를 나타내는 제 2 조건, 상기 충전 포트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 요금을 나타내는 제 3 조건, 상기 충전 포트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 4 조건 및 상기 충전 포트의 이용 가능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제 5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상기 충전 포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 포트 위치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에 대한 이용 조건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비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용권은 상기 제 1 이용권의 이용 조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에서 사용 가능한 정량적 재화가 사전 충전된 이용권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용권을 상기 이동체에 제공한 이후,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이동체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된 전력 소요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소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용권에 충전된 재화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용권을 상기 이동체에 제공한 이후,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제 1 이용권의 이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의 제 1 충전 포트를 제 1 시간에 예약하기 위한 제 4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4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 외 다른 이동체가 상기 제 1 시간에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예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시간에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이용권에 충전된 정량 금액 중 적어도 일부를 차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충전소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시간에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간에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충전 포트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충전 포트가 상기 이동체 외 다른 이동체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충전 포트에 대한 예약을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요금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1 가중치 정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용 충전 포트의 유무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2 가중치 정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포트의 성능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3 가중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동 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 4 가중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의 평균 충전 요금에 대한 제 1 요금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비가용 충전 포트를 예약하여 이용한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에서 이용한 충전 포트의 평균 성능에 대한 충전 포트 성능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충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한 평균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되는,
    방법.
  11. 이동체의 배터리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구매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상기 이동체의 사용자와 관련된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을 결정하는 제어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은 제 1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조건을 포함함 - ;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체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중 제 1 이용권을 구매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이용권을 상기 이동체에 제공하는,
    서버.
KR1020220072809A 2022-06-15 2022-06-15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230172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09A KR20230172662A (ko) 2022-06-15 2022-06-15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PCT/KR2023/006919 WO2023243895A1 (ko) 2022-06-15 2023-05-22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09A KR20230172662A (ko) 2022-06-15 2022-06-15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662A true KR20230172662A (ko) 2023-12-26

Family

ID=8919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809A KR20230172662A (ko) 2022-06-15 2022-06-15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2662A (ko)
WO (1) WO20232438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64A (ko)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리버트론 전기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223B1 (ko) * 2010-11-18 201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KR101704336B1 (ko) * 2016-01-26 2017-02-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전기차 충전기 예약 및 로밍 시스템
KR20170139704A (ko) * 2016-06-09 2017-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 충전 시스템
KR20190057471A (ko) *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이마스 전기 자동차의 최적 충전 경로의 제공 방법
KR20220007903A (ko) * 2020-07-08 2022-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을 위한 충전소 관리 서버 및 그 예약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64A (ko)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리버트론 전기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895A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6027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7275267B2 (ja) 電気自動車のための充電及び決済統合管理システム
JP5202804B2 (ja) 端末及び端末の制御方法
CN110503590A (zh) 同乘支援装置、同乘支援系统及同乘支援方法
JP2013041324A (ja) 自動車勧誘装置、車載端末装置、自動車勧誘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7080561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09245222A (ja) 行動履歴管理システム
WO2020008792A1 (ja) 特典付与装置及び特典付与方法
JP2006259864A (ja) タクシー料金を事前に決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575403A (zh) 信息提供系统、信息设备以及信息提供方法
JP2021033590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21565B2 (ja) 情報制御装置、情報制御方法、情報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8859852A (zh) 电动车辆充电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设备
JP2021021257A (ja) 給電管理装置、電源装置、給電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172662A (ko)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JP20181390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料金算出装置、情報処理方法、料金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22951A (ja) 車載装置、決済システム、サーバ装置、決済意思確認方法、車載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用プログラム
JP5406354B2 (ja) 情報制御装置、情報制御方法、情報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GB2614337A (en) A method for booking an electrical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a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vehicle battery charging at a commercial parking location
CN114358348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以及信息处理方法
JP5932617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KR20230172660A (ko) 배터리 상태 기반 이동체의 경로 스케줄링 방법
KR20230172661A (ko)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JP2003050558A (ja) 広告システム
CN111417973A (zh) 用于确定支付线上到线下服务的支付方法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