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432A - 물류 센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 센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432A
KR20230168432A KR1020220068871A KR20220068871A KR20230168432A KR 20230168432 A KR20230168432 A KR 20230168432A KR 1020220068871 A KR1020220068871 A KR 1020220068871A KR 20220068871 A KR20220068871 A KR 20220068871A KR 20230168432 A KR20230168432 A KR 20230168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emperature
hole
control
cent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규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432A/ko
Priority to PCT/KR2022/008128 priority patent/WO2023238967A1/ko
Publication of KR2023016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2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 F25D13/04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the compartments be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6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conveyors carrying articles to be cooled through the cooling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Abstract

물류 센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은, 내부 온도가 제1 온도로 설정되는 제1 공간과, 내부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제2 온도로 설정되는 제2 공간과,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서 물류를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공간의 내부 온도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사이 온도인 제3 온도로 설정된다.

Description

물류 센터 시스템 {FULFILLMENT CENTER SYSTEM}
본 발명은 물류 센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가 같은 층에 배치되고,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의 사이를 관통하는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는 물류 센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 상품을 취급하는 물류 센터의 경우, 내부 온도가 영하로 유지되는 냉동 창고와, 내부 온도가 영상으로 유지되는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가 있다. 오늘날에는 물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가 같은 건물 내에 구성되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물류 센터에서는, 물품의 냉해를 방지하고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가 서로 다른 층에 구성되는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두 창고 공간 사이에서 물류를 이동시킬 때, 물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물류 적재 효율성이 저하되고,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가 같은 층에 구성되는 물류 센터 시스템이 소개되고 있다. 이 경우,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 사이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두 창고 공간 사이에 단열 처리를 잘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수 있다.
같은 층에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가 인접하여 구비되는 물류 센터의 경우, 두 창고 공간을 가로지르는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다. 물류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두 창고 공간의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물류 센터 시스템에서는, 물품이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 사이를 이동할 때, 두 창고 공간 사이의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물품과 컨베이어 벨트에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결로에 의한 습기가 물품과 컨베이어 벨트에 침투하여 물품과 컨베이어 벨트가 파손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결로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에 습기가 발생한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가 냉동 창고에 진입하여 컨베이어 벨트가 얼어붙는 문제도 있었다.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 사이의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물품과 컨베이어 벨트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물류 센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로에 의한 습기가 물품과 컨베이어 벨트에 침투하여 물품과 컨베이어 벨트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물류 센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가 결로에 의한 습기로 인해 얼어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물류 센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은, 내부 온도가 제1 온도로 설정되는 제1 공간; 내부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제2 온도로 설정되는 제2 공간;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컨트롤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서 물류를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공간의 내부 온도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사이 온도인 제3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 사이의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결로에 의한 습기로 침투하여 물품과 컨베이어 벨트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가 결로에 의한 습기로 인해 얼어붙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는 온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수단은 상기 컨트롤 공간의 내부 온도를 상기 제3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의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컨트롤 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버퍼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퍼 공간은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컨트롤 공간을 구획하는 벽을 기준으로 상기 컨트롤 공간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퍼 공간의 상기 제1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1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퍼 공간의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관통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제1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에어커튼 유닛은 상기 제1 버퍼 공간의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벽에서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관통구에 형성되는 비닐 커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의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버퍼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버퍼 공간은 상기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는 벽을 기준으로 상기 컨트롤 공간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버퍼 공간의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3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버퍼 공간의 상기 제2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4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통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관통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제2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에어커튼 유닛은 상기 제2 버퍼 공간의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벽에서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관통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4 관통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제3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의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제2 버퍼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버퍼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버퍼 공간은 상기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는 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공간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버퍼 공간의 상기 제2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5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5 관통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제4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냉동 창고와 냉장 창고(또는, 상온 창고) 사이의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결로에 의한 습기로 침투하여 물품과 컨베이어 벨트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가 결로에 의한 습기로 인해 얼어붙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은 컨트롤 공간(103)에 온도 조절 장치(130)가 배치된 양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컨트롤 공간(103)에 제습 장치(140)가 배치된 양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과, 컨트롤 공간(103)과, 이송 수단(11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를 생략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 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1 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01)의 내부 온도는 제1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100)에서, 제1 온도는 영하로서, 제1 공간(101)은 냉동 저장 공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는 대략 영하 25℃ 내지 영하 18℃일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2 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102)은 제1 공간(10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간(102)의 내부 온도는 제2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100)에서, 제2 온도는 영상으로서, 제2 공간(102)은 냉장 저장 공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온도는 대략 영상 10℃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공간(102)의 내부 온도는 상온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공간(102)은 상온으로 유지되는 일반 저장 공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유니트 쿨러와 같은 온도 조절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은 벽(W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벽(W1)을 기준으로, 제1 공간(101)은 좌측 영역, 제2 공간(102)은 우측 영역일 수 있다. 벽(W1)에는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의 내부 온도 차이에 따른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는 컨트롤 공간(103)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공간(103)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공간(103)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지나는 이송 수단(110)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공간(103)의 내부 온도는 제3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3 온도는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사이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가 영하 18℃이고, 제2 온도가 영상 10℃인 경우, 제3 온도는 대략 영상 0℃ 내지 5℃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온도는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이송 수단(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수단(110)은 제1 공간(101)과, 컨트롤 공간(103)과, 제2 공간(102)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물류는 이송 수단(110)을 통해 제1 공간(101)과, 컨트롤 공간(103)과, 제2 공간(102)의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100)에서, 이송 수단(110)은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이송 수단(110)은 제4 관통구(O4)를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관통구(O4)에는 이를 개폐하는 게이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4 관통구(O4)가 게이트(미도시)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기 위해서는 이송 수단(110)이 제4 관통구(O4)를 기준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송 수단(110) 중 제4 관통구(O4)를 기준으로 제1 공간(101) 및/또는 컨트롤 공간(103) 측에 형성되는 부분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수단(110)은 온도 변화에 대한 내구성이 좋은 STS304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약 물류 센서 시스템(100)의 정전이 발생하여 제1 공간(101) 및 컨트롤 공간(103)의 온도가 상온까지 상승하더라도, 이송 수단(101)의 온도 변화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 공간(103)은 이송 수단(110)이 제1 공간(101)에서 제2 공간(10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품 및/또는 이송 수단(1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이나 이송 수단(110)이 제1 공간(101)에서 제2 공간(10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컨트롤 공간(103)을 통해 단계적으로 온도가 변할 수 있으므로, 물품이나 이송 수단(110)에 결로가 발생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결로가 감소함에 따라 습기가 줄어들어 습기의 침투로 인한 물품 및/또는 이송 수단(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결로에 의한 습기로 인해 이송 수단(110)이 제1 공간(101)에서 얼어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1 유니트 쿨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01)의 내부 온도는 제1 유니트 쿨러(121)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제1 유니트 쿨러(121)는 제1 공간(101)의 크기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2 유니트 쿨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102)의 내부 온도는 제2 유니트 쿨러(122)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제2 유니트 쿨러(122)는 제2 공간(102)의 크기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온도 조절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컨트롤 공간(10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컨트롤 공간(103)의 내부 온도를 제3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30)로는 실내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공기 조화 설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100)에서, 온도 조절 장치(130)는 유니트 쿨러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도 조절 장치(130)는 컨트롤 공간(103)에 한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트롤 공간(103)의 크기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온도 조절 장치(130)는 물류 센터 시스템(100)의 설계 단계에서 빌트인(built-in)되는 공기 조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센서 시스템(100)에는 공기 조화기가 배치되는 공기 조화실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컨트롤 공간(103)의 공기는 덕트를 통해 공기 조화기로 유동하면서 컨트롤 공간(103)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습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 장치(140)는 컨트롤 공간(10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습 장치(140)는 천장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습 장치(140)가 천장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구비되면 컨트롤 공간(103)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 장치(140)는 본체(141)와, 덕트(142)와, 환기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41)와, 덕트(142)와, 환기구(143)는 각각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덕트(142)는 본체(141)에 연결될 수 있다. 환기구(143)는 덕트(142)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습 장치(140)는 바닥에 독립적으로 세워지는 스탠드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트롤 공간(103)의 구조에 따라 제습 장치(140)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제습 장치(140)는 컨트롤 공간(103)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류나 이송 수단(110)은 냉동 저장 공간인 제1 공간(101)에서 냉장 저장 공간인 제2 공간(102)으로 이동할 때, 공기 중의 수분이 그 표면에 맺혀 결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제습 장치(140)는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의 사이에 형성되어 물류와 이송 수단(110)이 지나는 컨트롤 공간(103)의 습기를 제거하여 물류나 이송 수단(11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로에 의한 습기가 물류나 이송 수단(110)으로 침투하여 이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습 장치(140)를 통해 이송 수단(110)에 맺혀있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송 수단(110)이 제1 공간(101)의 내측에서 얼어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1 버퍼 공간(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 공간(104)은 물류의 이송 경로 상에서, 제1 공간(101)과 컨트롤 공간(10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물류는 제1 공간(101)에서 컨트롤 공간(103)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버퍼 공간(104)을 거칠 수 있다.
제1 버퍼 공간(104)의 내부 온도는 제1 공간(101)의 내부 온도인 제1 온도와 컨트롤 공간(103)의 내부 온도인 제3 온도의 사이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버퍼 공간(104)의 내부 온도는 제1 유니트 쿨러(121)나 온도 조절 장치(130)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내부 온도가 조절되는 제1 공간(101)이나 컨트롤 공간(103)과는 달리, 제1 공간(101)의 내부 온도와 컨트롤 공간(103)의 내부 온도 사이의 온도 구배로 인해 수동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물류가 이송 수단(110)을 통해 제1 공간(101)에서 컨트롤 공간(103)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버퍼 공간(104)을 통과함으로써 공간의 온도가 단계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물류나 이송 수단(110)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버퍼 공간(104)은 제1 공간(101)과 컨트롤 공간(103)을 구획하는 벽(W1)을 기준으로 컨트롤 공간(103)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공간(101)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컨트롤 공간(103)에서 제1 버퍼 공간(104) 및 제1 에어커튼 유닛(151)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2 버퍼 공간(1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버퍼 공간(105)은 물류의 이송 경로 상에서, 컨트롤 공간(103)과 제2 공간(10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물류나 이송 수단(110)은 컨트롤 공간(103)에서 제2 공간(10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버퍼 공간(105)을 거칠 수 있다.
제2 버퍼 공간(105)의 내부 온도는 컨트롤 공간(103)의 내부 온도인 제3 온도와 제2 공간(102)의 내부 온도인 제2 온도의 사이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버퍼 공간(105)의 내부 온도는 온도 조절 장치(130)나 제2 유니트 쿨러(122)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내부 온도가 조절되는 컨트롤 공간(103)이나 제2 공간(102)과는 달리, 컨트롤 공간(103)의 내부 온도와 제2 공간(102)의 내부 온도 사이의 온도 구배로 인해 수동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물류가 이송 수단(110)을 통해 컨트롤 공간(103)에서 제2 공간(10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버퍼 공간(105)을 통과함으로써 공간의 온도가 단계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물류나 이송 수단(110)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버퍼 공간(105)은 컨트롤 공간(103)과 제2 공간(102)을 구획하는 벽(W4)을 기준으로 컨트롤 공간(103)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공간(102)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컨트롤 공간(103)에서 제2 버퍼 공간(105) 및 제2 에어커튼 유닛(152)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1 관통구(O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구(O1)는 제1 버퍼 공간(104)의 제1 공간(101) 측 벽(W1)에 형성될 수 있다. 물류는 이송 수단(110)에 의해 제1 관통구(O1)를 통과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2 관통구(O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구(O2)는 제1 버퍼 공간(104)의 컨트롤 공간(103) 측 벽(W2)에 형성될 수 있다. 물류는 이송 수단(110)에 의해 제2 관통구(O2)를 통과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3 관통구(O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관통구(O3)는 제2 버퍼 공간(105)의 컨트롤 공간(103) 측 벽(W3)에 형성될 수 있다. 물류는 이송 수단(110)에 의해 제3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4 관통구(O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관통구(O4)는 제2 버퍼 공간(105)의 제2 공간(102) 측 벽(W4)에 형성될 수 있다. 물류는 이송 수단(110)에 의해 제4 관통구(O4)를 통과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1 에어커튼 유닛(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커튼 유닛(151)은 제2 관통구(O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에어커튼 유닛(151)은 제2 관통구(O2)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 공간(103)과 제1 버퍼 공간(104)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2 관통구(O2)를 통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제1 버퍼 공간(104)과 컨트롤 공간(103) 사이의 온도 구배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류나 이송 수단(110)이 제1 버퍼 공간(104)에서 컨트롤 공간(103)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1 에어커튼 유닛(151)로부터 불어나오는 강한 바람은 물류나 이송 수단(110)의 표면에 맺혀있는 습기를 털어낼 수 있으므로, 결로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제1 에어커튼 유닛(151)은 제1 버퍼 공간(104)의 컨트롤 공간(103) 측 벽(W2)에서 컨트롤 공간(103) 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공간(101)이나 제1 버퍼 공간(104)의 냉기로 인해 제1 에어커튼 유닛(151)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컨트롤 공간(103)의 내측에서 제1 에어커튼 유닛(151)을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2 에어커튼 유닛(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에어커튼 유닛(152)은 제3 관통구(O3)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에어커튼 유닛(152)은 제3 관통구(O3)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 공간(103)과 제2 버퍼 공간(105)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3 관통구(O3)를 통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컨트롤 공간(103)과, 제2 버퍼 공간(105) 사이의 온도 구배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류나 이송 수단(110)이 컨트롤 공간(103)에서 제2 버퍼 공간(105)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2 에어커튼 유닛(152)로부터 불어나오는 강한 바람은 물류나 이송 수단(110)의 표면에 맺혀있는 습기를 털어낼 수 있으므로, 결로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제2 에어커튼 유닛(152)은 제2 버퍼 공간(105)의 컨트롤 공간(103) 측 벽(W3)에서 컨트롤 공간(103) 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컨트롤 공간(103)의 내측에서 제2 에어커튼 유닛(152)을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에어커튼 유닛(152)은 제2 버퍼 공간(105)의 컨트롤 공간(103) 측 벽(W3)에서 제2 버퍼 공간(105) 측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2 버퍼 공간(105)의 내측에서 제2 에어커튼 유닛(152)을 유지관리 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제3 에어커튼 유닛(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에어커튼 유닛(153)은 제4 관통구(O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에어커튼 유닛(153)은 제4 관통구(O4)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버퍼 공간(105)과 제2 공간(102)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4 관통구(O4)를 통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제2 버퍼 공간(105)과 제2 공간(102)의 온도 구배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류나 이송 수단(110)이 제2 버퍼 공간(105)에서 제2 공간(102)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3 에어커튼 유닛(153)로부터 불어나오는 강한 바람은 물류나 이송 수단(110)의 표면에 맺혀있는 습기를 털어낼 수 있으므로, 결로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4 관통구(O4)에 제3 에어커튼 유닛(153)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3 에어커튼 유닛(153)은 제1 에어커튼 유닛(151)와 제2 에어커튼 유닛(152)의 역할을 추가적으로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게이트(미도시)의 동작이나 물류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비닐 커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비닐 커튼(미도시)은 제1 관통구(O1)에 형성될 수 있다. 비닐 커튼(미도시)은 제1 관통구(O1)를 덮을 수 있다. 비닐 커튼(미도시)은 제1 공간(101)과 제1 버퍼 공간(104) 사이에서 제1 관통구(O1)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공간(101)의 내부 온도인 제1 온도와 같이 저온의 온도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 에어커튼 유닛이 구비된다면, 이 에어커튼 유닛이 제1 관통구(O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관통구(O1)에 에어커튼이 형성되어 제1 공간(101)과 제1 버퍼 공간(104)의 사이의 공기 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100)은 게이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미도시)는 제4 관통구(O4)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미도시)는 제4 관통구(O4)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 수단(110)이 가동되지 않을 경우, 게이트(미도시)로 제4 관통구(O4)를 폐쇄하여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 사이의 공기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물류를 제1 공간(101)에서 제2 공간(102)으로 이송해야하는 경우, 게이트(미도시)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게이트(미도시)는 제1 관통구(O1), 제2 관통구(O2), 또는 제3 관통구(O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송 수단(110)은 게이트(미도시)가 배치되는 관통구를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참조하면, 컨트롤 공간(103)과, 제1 버퍼 공간(104)과, 제2 버퍼 공간(105)을 통해, 제1 공간(101)의 내부 온도와 제2 공간(102)의 내부 온도 사이에 단계적인 온도 구배가 형성되어,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커튼 유닛(151), 제2 에어커튼 유닛(152), 제3 에어커튼 유닛(153), 및 비닐 커튼(미도시)을 통해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 사이의 공기 유동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공기 유동에 의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이하 설명되지 않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200)의 세부 구성은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물류 센터 시스템(200)은 제3 버퍼 공간(2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버퍼 공간(206)는 물류의 이송 경로 상에서, 제2 버퍼 공간(205)과 제2 공간(20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물류는 제2 버퍼 공간(205)에서 제2 공간(20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3 버퍼 공간(206)을 거칠 수 있다.
제3 버퍼 공간(206)의 내부 온도는 제2 버퍼 공간(205)의 내부 온도와 제2 공간(202)의 내부 온도인 제2 온도의 사이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제3 버퍼 공간(206)의 내부 온도는 온도 조절 장치(230)나 제2 유니트 쿨러(222)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내부 온도가 조절되는 컨트롤 공간(203)이나 제2 공간(202)과는 달리, 제2 버퍼 공간(205)의 내부 온도와 제2 공간(202)의 내부 온도 사이의 온도 구배로 인해 수동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물류가 이송 수단(210)을 통해 컨트롤 공간(203)에서 제2 공간(20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버퍼 공간(205)과 제3 버퍼 공간(206)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공간의 온도가 단계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물류나 이송 수단(210)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3 버퍼 공간(206)은 컨트롤 공간(203)과 제2 공간(202)을 구획하는 벽(W4)을 기준으로 제2 공간(202)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버퍼 공간(20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센터 시스템(100)과 비교하여, 결로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게이트(미도시)를 기준으로 제2 공간(202) 측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버퍼 공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200)은 제5 관통구(O5)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관통구(O5)는 제3 버퍼 공간(206)의 제2 공간(202) 측 벽(O5)에 형성될 수 있다. 물류는 이송 수단(210)을 통해 제5 관통구(O5)를 통과할 수 있다.
물류 센터 시스템(200)은 제4 에어커튼 유닛(2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에어커튼 유닛(254)은 제5 관통구(O5)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에어커튼 유닛(254)은 제5 관통구(O5)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버퍼 공간(206)과 제2 공간(202)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5 관통구(O5)를 통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제3 버퍼 공간(206)과 제2 공간(202) 사이의 온도 구배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류나 이송 수단(210)이 제3 버퍼 공간(206)에서 제2 공간(202)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4 에어커튼 유닛(254)로부터 불어나오는 강한 바람은 물류나 이송 수단(210)의 표면에 맺혀있는 습기를 털어낼 수 있으므로, 결로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제4 에어커튼 유닛(254)은 제3 버퍼 공간(206)의 제2 공간(202) 측 벽(W5)에서 제2 공간(202) 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넓은 제2 공간(202)에서 제4 에어커튼 유닛(254)을 용이하게 유지관리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공간(202)의 물류 적재에 방해가 된다면, 제4 에어커튼 유닛(254)은 제3 버퍼 공간(206)의 제2 공간(202) 측 벽(W5)에서 제3 버퍼 공간(206) 측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3 버퍼 공간(206)에서 제4 에어커튼 유닛(254)을 유지관리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물류 센터 시스템 101 : 제1 공간
102 : 제2 공간 103 : 컨트롤 공간
104 : 제1 버퍼 공간 105 : 제2 버퍼 공간
110 : 이송 수단 121 : 제1 유니트 쿨러
122 : 제2 유니트 쿨러 130 : 온도 조절 장치
140 : 제습 장치 141 : 본체
142 : 덕트 143 : 환기구
151 : 제1 에어커튼 유닛 152 : 제2 에어커튼 유닛
153 : 제3 에어커튼 유닛 W0, W1, W2, W3, W4 : 벽
O1 : 제1 관통구 O2 : 제2 관통구
O3 : 제3 관통구 O4 : 제4 관통구

Claims (16)

  1. 내부 온도가 제1 온도로 설정되는 제1 공간;
    내부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제2 온도로 설정되는 제2 공간;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컨트롤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서 물류를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공간의 내부 온도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사이 온도인 제3 온도로 설정되는 물류 센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는 온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수단은 상기 컨트롤 공간의 내부 온도를 상기 제3 온도로 유지시키는 물류 센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장치를 포함하는 물류 센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의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컨트롤 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버퍼 공간을 포함하는 물류 센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 공간은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컨트롤 공간을 구획하는 벽을 기준으로 상기 컨트롤 공간 측에 형성되는 물류 센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 공간의 상기 제1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1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퍼 공간의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관통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제1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하는 물류 센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커튼 유닛은 상기 제1 버퍼 공간의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벽에서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면에 배치되는 물류 센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에 형성되는 비닐 커튼을 포함하는 물류 센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의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버퍼 공간을 포함하는 물류 센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 공간은 상기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는 벽을 기준으로 상기 컨트롤 공간 측에 형성되는 물류 센터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 공간의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3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버퍼 공간의 상기 제2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4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통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관통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제2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하는 물류 센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커튼 유닛은 상기 제2 버퍼 공간의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벽에서 상기 컨트롤 공간 측 면에 배치되는 물류 센터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관통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4 관통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제3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하는 물류 센터 시스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의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제2 버퍼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버퍼 공간을 포함하는 물류 센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버퍼 공간은 상기 컨트롤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는 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공간 측에 형성되는 물류 센터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버퍼 공간의 상기 제2 공간 측 벽에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물류가 통과하는 제5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5 관통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제4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하는 물류 센터 시스템.
KR1020220068871A 2022-06-07 2022-06-07 물류 센터 시스템 KR20230168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871A KR20230168432A (ko) 2022-06-07 2022-06-07 물류 센터 시스템
PCT/KR2022/008128 WO2023238967A1 (ko) 2022-06-07 2022-06-09 물류 센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871A KR20230168432A (ko) 2022-06-07 2022-06-07 물류 센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432A true KR20230168432A (ko) 2023-12-14

Family

ID=8911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871A KR20230168432A (ko) 2022-06-07 2022-06-07 물류 센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8432A (ko)
WO (1) WO20232389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0157B2 (ja) * 1995-02-09 2003-08-25 株式会社前川製作所 食品冷凍用トンネルフリーザ
JP4023589B2 (ja) * 2002-02-28 2007-12-19 株式会社イトーキ 自動倉庫設備
JP4452215B2 (ja) * 2005-06-14 2010-04-21 株式会社東洋製作所 冷却システム
KR100755384B1 (ko) * 2006-08-09 2007-09-04 (주)광하테크놀로지 연속식 농수축산물 건조 시스템
KR101121445B1 (ko) * 2009-06-25 2012-03-15 이재민 냉동밥 제조장치 중 급속냉동장치
KR101916714B1 (ko) * 2017-01-26 2018-11-08 정이영 식품급속 개체냉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8967A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7329B2 (en) Multiple temperature automated storage system and method
US20060053825A1 (en) Ultra-low temperature storage system
US7946124B2 (en) Temperature controlled storage facilities and methods
JP4452215B2 (ja) 冷却システム
US9297570B2 (en) Rack-aisle freezing system for palletized product
EP4306450A2 (en) Tote handling for chilled or frozen goods
KR102341708B1 (ko) 냉각 또는 냉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191485B2 (ja) 冷蔵倉庫
JP4270462B2 (ja) ピッキング用冷凍冷蔵庫及び冷凍冷蔵商品用ピッキングシステム
CN104424705A (zh) 自动售货机
KR20230168432A (ko) 물류 센터 시스템
JP6310199B2 (ja) 低温倉庫
TW202413231A (zh) 物流中心系統
JP2017166725A (ja) エアカーテンシステムおよび冷蔵倉庫
CN215809604U (zh) 一种箱式冻结隧道
JP6378523B2 (ja) 低温荷物仕分け作業台
JP2008185241A (ja) 多室式保冷車
US11940198B2 (en) Automated blast cell loading and unloading
JP6195482B2 (ja) エレベータ設備
WO2022210050A1 (ja) 温度調節装置及び貯蔵庫
JP2019060578A (ja) スパイラルコンベア式フリーザ装置
JP6357889B2 (ja) 冷蔵倉庫
JP7307375B2 (ja) コンテナ
WO2021114455A1 (zh) 仓储货架及仓库
JP3568086B2 (ja) 低温食品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