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433A - β-추야푸리신 및 광조사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 - Google Patents

β-추야푸리신 및 광조사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433A
KR20230162433A KR1020220062314A KR20220062314A KR20230162433A KR 20230162433 A KR20230162433 A KR 20230162433A KR 1020220062314 A KR1020220062314 A KR 1020220062314A KR 20220062314 A KR20220062314 A KR 20220062314A KR 20230162433 A KR20230162433 A KR 2023016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chuyapuricin
thujaplicin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권유진
조수연
강윤진
권학철
권재영
박인화
황호성
이순광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6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433A/ko
Publication of KR2023016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4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특정 파장의 광 조사를 조합할 경우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함유량이 증가되고 콜라겐 분해 효소의 활성이 저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조성물 및 방법을 통해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β-추야푸리신 및 광조사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 {Method of improving skin wrinkles and enhancing elasticity using β-thujaplicin and light irradiation}
본 발명은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와 진피, 피하지방 그리고 근육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각질층은 표피(epidermis)의 기저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의 분화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다양한 세포층과 가장 위쪽의 keratin(죽은 세포층)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체를 외부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장벽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에서의 노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연구되고 있는데, 하나는 "내적 노화"로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피부의 구성단위인 세포의 기능변화에 기인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외적 노화"로서 외부 환경 즉 자외선, 공해, 스트레스 등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피부 진피층 기질을 이루는 중요한 성분의 하나인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써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표피층 지지, 세포 접착의 지탱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분해 및 재생되며, 노화에 의해 섬유아세포로부터의 생성이 감소하여 노화에따른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노화가 되면 콜라겐 자체의 합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콜라겐을 포함한 결합조직을 분해하는 MMPs (세포외기질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활성이 증가하여 피부조직 내의 콜라겐 분해를 촉진시켜 콜라겐의 함량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MMPs를 억제하는 내재성 억제제인 TIMP(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가 존재하는데 MMPs와 TIMP의 활성이 균형을 이루어 적절히 조절이 될 때에 생리적인 조직의 재구성과 항상성이 잘 유지되게 된다.
한편, 피부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신진 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광 또는 열에 반복적인 노출로 인해 피부의 외양 또는 기능이 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수분이 손실되고, 피부 탄력이 감소하면서 피부 노화현상을 촉진하여 피부를 손상시키게 된다. 피부 노화의 대표적인 현상 중 하나가 주름(wrinkles) 생성이다.
이러한 피부노화 및 손상을 방지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어진 생리 활성 물질들을 화장품에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피부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적용 후 광 조사를 수행하여 피부의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11074호
일 양상은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개체의 피부에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에 적색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은 히노키티올 (Hinokitiol), 2-히드록시-6-(프로판-2-일)사이클로헵타-2,4,6-트리엔-1-온 [2-Hydroxy-6-(propan-2-yl)cyclohepta-2,4,6-trien-1-one] 또는 4-이소프로필트로폴론 (4-Isopropyltropolone)로도 불리우며, 화학식 C10H12O2로 표기되는 물질이다. β-추야푸리신은 편백나무와 같은 측백나무과 식물 또는 향나무의 잎, 줄기, 나뭇가지에서 나오는 오일에서 분리할 수 있다. β-추야푸리신은 항바이러스제, 항균제 및 항염증제 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β-추야푸리신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상기 조성물은 β-추야푸리신, 이의 유도체, 이의 유사체, 이의 입체이성질체,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유사체"는 전자 및 이온 전달이 용이한 공액 백본(conjugated backbone)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즉, 상기 "β-추야푸리신 유사체"는 상기 β-추야푸리신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유도체"는 화학 반응에 의해 기준 물질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기준 물질의 하나 이상의 특정 치환기가 교체 치환기로 대체되도록 개질되어 기준 물질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β-추야푸리신 유도체"는 β-추야푸리신으로부터 합성되는 화합물, 예를 들어 β-추야푸리신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가 다른 치환기로 대체된 화합물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다른 치환기로 대체되는 것은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C20의 알킬기(예: CCF3, CHCF2, CH2F, CCl3 등),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진, 히드라존, 카르복실기나 그의 염, 술폰산기나 그의 염, 인산이나 그의 염, 또는 C1-C20의 알킬기, C2-C20의 알케닐기, C2-C20의 알키닐기, C1-C20의 헤테로알킬기, C6-C20의 아릴기, C6-C20의 아릴알킬기, C6-C2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C6-C20의 헤테로아릴알킬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양이온과 음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 물질인 염 중에서도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염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 금속염, 유기 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알루미늄염 등이 될 수 있고; 유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 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무기산과의 염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르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염으로는, 화합물이 그 내에 산성관능기를 가지는 경우, 알칼리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 (예컨대,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등과 같은 무기염, 및 암모늄염과 같은 유기 염이 있으며, 화합물이 그 내에 염기성 관능기를 가지는 경우,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과의 염, 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 같은 유기산과의 염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2 μM의 β-추야푸리신, 이의 유도체, 이의 유사체, 이의 입체이성질체,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 내지 2 μM, 0.1 내지 1.75 μM, 0.1 내지 1.5 μM, 0.1 내지 1.25 μM, 0.1 내지 1 μM, 0.1 내지 0.75 μM, 0.1 내지 0.5 μM, 0.25 내지 2 μM, 0.25 내지 1.75 μM, 0.25 내지 1.5 μM, 0.25 내지 1.25 μM, 0.25 내지 1 μM, 0.25 내지 0.75 μM, 또는 0.25 내지 0.5 μ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광반응성"은 광 조건에서 특정 기능성이 강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광반응성 조성물은 특정 조건의 광에 반응하여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등의 피부개선 활성이 증가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LED/OLED 광원 등을 이용하여 특정조건의 광을 피부에 조사하여 피부를 개선하는 피부미용기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LED/OLED 광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피부로 광이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적절히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탄력 증진 용도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적생광 파장의 광 조건에서 사용되어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콜라겐 함량 및/또는 발현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피부 탄력 증진"은 피부 노화에 의해서 피부 탄력이 떨어져서 생기는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피부 탄력이 떨어지는 경우 피부 내 콜라겐 섬유 감소 및 변성으로 인하여 표피의 아래 근육이 접히고 펴지는 운동이 반복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피부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에 저하된 피부 탄력을 개선시킴으로써 주름 생성을 방지 및 억제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피부 주름"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감소, 외부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피부 주름 개선"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적색광 파장의 광 조건에서 반응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콜라겐 분해 억제 효과 중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거나 및/또는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여 피부의 콜라겐 함량 및/또는 발현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능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색광은 630 내지 750 nm의 파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630 내지 750 nm, 630 내지 745 nm, 630 내지 740 nm, 630 내지 735 nm, 630 내지 730 nm, 630 내지 725 nm, 630 내지 720 nm, 630 내지 715 nm, 630 내지 710 nm, 630 내지 705 nm, 630 내지 700 nm, 630 내지 695 nm, 630 내지 690 nm, 630 내지 685 nm, 630 내지 680 nm, 630 내지 675 nm, 630 내지 670 nm, 630 내지 665 nm, 630 내지 660 nm, 635 내지 750 nm, 635 내지 745 nm, 635 내지 740 nm, 635 내지 735 nm, 635 내지 730 nm, 635 내지 725 nm, 635 내지 720 nm, 635 내지 715 nm, 635 내지 710 nm, 635 내지 705 nm, 635 내지 700 nm, 635 내지 695 nm, 635 내지 690 nm, 635 내지 685 nm, 635 내지 680 nm, 635 내지 675 nm, 635 내지 670 nm, 635 내지 665 nm, 635 내지 660 nm, 640 내지 750 nm, 640 내지 745 nm, 640 내지 740 nm, 640 내지 735 nm, 640 내지 730 nm, 640 내지 725 nm, 640 내지 720 nm, 640 내지 715 nm, 640 내지 710 nm, 640 내지 705 nm, 640 내지 700 nm, 640 내지 695 nm, 640 내지 690 nm, 640 내지 685 nm, 640 내지 680 nm, 640 내지 675 nm, 640 내지 670 nm, 640 내지 665 nm, 640 내지 660 nm, 645 내지 750 nm, 645 내지 745 nm, 645 내지 740 nm, 645 내지 735 nm, 645 내지 730 nm, 645 내지 725 nm, 645 내지 720 nm, 645 내지 715 nm, 645 내지 710 nm, 645 내지 705 nm, 645 내지 700 nm, 645 내지 695 nm, 645 내지 690 nm, 645 내지 685 nm, 645 내지 680 nm, 645 내지 675 nm, 645 내지 670 nm, 645 내지 665 nm, 645 내지 660 nm, 650 내지 750 nm, 650 내지 745 nm, 650 내지 740 nm, 650 내지 735 nm, 650 내지 730 nm, 650 내지 725 nm, 650 내지 720 nm, 650 내지 715 nm, 650 내지 710 nm, 650 내지 705 nm, 650 내지 700 nm, 650 내지 695 nm, 650 내지 690 nm, 650 내지 685 nm, 650 내지 680 nm, 650 내지 675 nm, 650 내지 670 nm, 650 내지 665 nm, 또는 650 내지 660 nm 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색광 조사 조건에서 반응하여 피부 진피층의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거나 콜라겐 분해 효소의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및/또는 기질 단백질 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에 의해 상기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발현 수준이 향상됨으로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MMP는 MMP-1, MMP-2 및 MMP-9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MMP-1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적인 화장료의 제형이라면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또는 영양화장수 등의 스킨,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맞게 임의로 선정한 물질을 첨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조성물에도 공히 적용된다.
상기 조성물은 β-추야푸리신, 이의 유도체, 이의 유사체, 이의 입체이성질체,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탄력 증진 용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적색광 파장의 광 조건에서 반응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콜라겐 분해 억제 효과 중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거나 및/또는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여 피부의 콜라겐 함량 또는 발현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능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각 제형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 할 경우 상승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개체의 피부에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에 적색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방법에도 공히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통한 미용 방법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 주름 또는 탄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세포 등의 모든 생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고, 인 비보(in vivo) 뿐만 아니라 인 비트로(in vitro)의 상태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적용"은 손가락, 브러쉬, 솜뭉치, 패드, 스프레이, 스폰지, 면봉, 롤-온(roll-on) 등에 의한 적용과 같이, 개체의 피부에 투여 또는 도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적용하는 적절한 방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β-추야푸리신, 이의 유도체, 이의 유사체, 이의 입체이성질체,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2 μM의 β-추야푸리신, 이의 유도체, 이의 유사체, 이의 입체이성질체,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 내지 2 μM, 0.1 내지 1.75 μM, 0.1 내지 1.5 μM, 0.1 내지 1.25 μM, 0.1 내지 1 μM, 0.1 내지 0.75 μM, 0.1 내지 0.5 μM, 0.25 내지 2 μM, 0.25 내지 1.75 μM, 0.25 내지 1.5 μM, 0.25 내지 1.25 μM, 0.25 내지 1 μM, 0.25 내지 0.75 μM, 또는 0.25 내지 0.5 μ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1분 내지 90분의 간격으로 적용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분 내지 90분, 5분 내지 90분, 1분 내지 60분, 5분 내지 60분, 1분 내지 30분, 5분 내지 30분, 10분 내지 30분, 10분 내지 90분, 10분 내지 60분의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1회 내지 30회로 적용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회 내지 30회, 1회 내지 25회, 5회 내지 30회, 5회 내지 25회, 1회 내지 20회, 5회 내지 20회, 10회 내지 20회, 10회 내지 30회, 10회 내지 25회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조성물이 적용된 피부에 적색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색광은 630 내지 750 nm의 파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630 내지 750 nm, 630 내지 745 nm, 630 내지 740 nm, 630 내지 735 nm, 630 내지 730 nm, 630 내지 725 nm, 630 내지 720 nm, 630 내지 715 nm, 630 내지 710 nm, 630 내지 705 nm, 630 내지 700 nm, 630 내지 695 nm, 630 내지 690 nm, 630 내지 685 nm, 630 내지 680 nm, 630 내지 675 nm, 630 내지 670 nm, 630 내지 665 nm, 630 내지 660 nm, 635 내지 750 nm, 635 내지 745 nm, 635 내지 740 nm, 635 내지 735 nm, 635 내지 730 nm, 635 내지 725 nm, 635 내지 720 nm, 635 내지 715 nm, 635 내지 710 nm, 635 내지 705 nm, 635 내지 700 nm, 635 내지 695 nm, 635 내지 690 nm, 635 내지 685 nm, 635 내지 680 nm, 635 내지 675 nm, 635 내지 670 nm, 635 내지 665 nm, 635 내지 660 nm, 640 내지 750 nm, 640 내지 745 nm, 640 내지 740 nm, 640 내지 735 nm, 640 내지 730 nm, 640 내지 725 nm, 640 내지 720 nm, 640 내지 715 nm, 640 내지 710 nm, 640 내지 705 nm, 640 내지 700 nm, 640 내지 695 nm, 640 내지 690 nm, 640 내지 685 nm, 640 내지 680 nm, 640 내지 675 nm, 640 내지 670 nm, 640 내지 665 nm, 640 내지 660 nm, 645 내지 750 nm, 645 내지 745 nm, 645 내지 740 nm, 645 내지 735 nm, 645 내지 730 nm, 645 내지 725 nm, 645 내지 720 nm, 645 내지 715 nm, 645 내지 710 nm, 645 내지 705 nm, 645 내지 700 nm, 645 내지 695 nm, 645 내지 690 nm, 645 내지 685 nm, 645 내지 680 nm, 645 내지 675 nm, 645 내지 670 nm, 645 내지 665 nm, 645 내지 660 nm, 650 내지 750 nm, 650 내지 745 nm, 650 내지 740 nm, 650 내지 735 nm, 650 내지 730 nm, 650 내지 725 nm, 650 내지 720 nm, 650 내지 715 nm, 650 내지 710 nm, 650 내지 705 nm, 650 내지 700 nm, 650 내지 695 nm, 650 내지 690 nm, 650 내지 685 nm, 650 내지 680 nm, 650 내지 675 nm, 650 내지 670 nm, 650 내지 665 nm, 또는 650 내지 660 nm 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색광을 조사하는 단계는 1분 내지 60분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분 내지 60분, 1분 내지 50분, 1분 내지 40분, 1분 내지 30분, 1분 내지 20분, 5분 내지 60분, 5분 내지 50분, 5분 내지 40분, 5분 내지 30분, 5분 내지 20분 또는 5분 내지 15분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색광을 조사하는 단계는 1회 내지 30회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회 내지 30회, 1회 내지 25회, 5회 내지 30회, 5회 내지 25회, 1회 내지 20회, 5회 내지 20회, 10회 내지 20회, 10회 내지 30회, 10회 내지 25회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생광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LED/OLED 광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피부로 광이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적절히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피부의 콜라겐 함량 또는 발현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거나 및/또는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여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능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피부 진피층의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거나 콜라겐 분해 효소의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및/또는 기질 단백질 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해 상기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발현 수준이 향상됨으로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MMP는 MMP-1, MMP-2 및 MMP-9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MMP-1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에 0.1μM 내지 1μM 농도의 β-추야푸리신을 처리하고 655 nm 파장을 갖는 LED 광원으로 광 조사한 경우 COL1A의 발현 수준이 증가하고 MMP-1의 발현 수준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0.5 μM 농도의 β-추야푸리신을 처리하고 655 nm의 파장을 갖는 적색광으로 조사한 경우 현저히 우수한 COL1A 발현 수준 증가 및 MMP-1 발현 수준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방법을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능을 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특정 파장의 광 조사를 조합할 경우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함유량이 증가되고 콜라겐 분해 효소의 활성이 저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조성물 및 방법을 통해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조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른 COL1A1 및 MMP1의 발현 변화 분석을 통해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있어서, β-추야푸리신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있어서, β-추야푸리신 농도에 따른 COL1A1 및 MMP1의 발현 변화 분석을 통해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따른 COL1A1 및 MMP1의 발현 수준을 웨스턴 블랏팅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있어서, 광원의 파장에 따른 COL1A1 및 MMP1의 발현 변화 분석을 통해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있어서, β-추야푸리신 처리 또는 광 조사 단독 수행과 COL1A1 및 MMP1의 발현 변화 비교 분석을 통해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따른 UV로 광노화를 유도한 인공피부에서의 COL1A1 및 MMP1의 발현 수준을 q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따른 UV로 광노화를 유도한 인공피부에서의 COL1A1 및 MMP1의 분비된 단백 발현 수준을 ELISA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따른 UV로 광노화를 유도한 인공피부에서의 콜라겐 함량을 조직병리학적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따른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 평가
피부에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을 처리하고 LED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광조사할 경우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거나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파장을 확인하기 위해,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HS68를 12-웰 플레이트에 0.5x106 세포/ml로 시딩하고 24시간 후 LED 광판의 3cm 밑에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를 위치시킨 뒤, 23W 에너지로 370nm, 475nm, 545nm, 또는 655nm로 설정하여 10분동안 노출시켰으며, 이후 4시간동안 추가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세포들의 collagen type I(COL1A) 및 MMP-1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평가하기 위해 qPCR(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의 세포들을 수집하였으며, RNA 추출은 GE healthcar사의 RNA extraction kit를 이용하였고 qPCR은 Life Technologies 사의 M-MLV Reverse Transcriptase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qPCR은 Takara 사의 SYBR Premix Ex Taq II 시약을 이용하여 Applied biosystems 사의QuantStudio 6 Pro System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655nm 파장에서 collagen-1의 발현 수준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었으며,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발현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655nm 파장이 적절한 파장임을 알 수 있다(도 1).
다음으로,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HS68를 12-웰 플레이트에 0.5x106 세포/ml로 시딩하고 24시간 후 β-추야푸리신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이후, 655nm의 LED 광판(빛세기 23W, 6.98V로 설정)의 3cm 밑에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를 위치시킨 뒤 10분동안 노출시켰다. 이후 4시간동안 추가배양하였다. 상기 다양한 조건에서의 세포 생존능을 MTT 어세이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β-추야푸리신 처리와 655nm 광조사의 조합은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다음으로, 상기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qPCR을 수행하여 COL1A 및 MMP-1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COL1A 및 MMP-1의 발현 수준이 β-추야푸리신의 처리 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COL1A의 발현수준은 0.1 μM 내지 1 μ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향상되었으며, MMP-1의 발현수준은 0.1 내지 0.5 μ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다음으로,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655nm 광조사에 따른 COL1A 및 MMP-1의 발현을 단백질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HS68를 12-웰 플레이트에 0.5x106 세포/ml로 시딩하고 24시간 후 0.5 μM β-추야푸리신 처리하고, 655nm의 LED 광판(빛세기 23W, 6.98V로 설정)의 3cm 밑에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를 위치시킨 뒤 10분동안 노출시켰다. 이후 4시간동안 추가배양하였다. 이 후 세포를 모두 수득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여 COL1A와 MMP1의 발현수준을 웨스턴 블랏팅 방법으로 분석하였음. 이를 위해, 모아진 세포를 용해 버퍼로 단백질을 추출하여 4~12 % Bis-Tris gel로 전기영동하고, semi-dry transfer system을 사용하여 막으로 트랜스퍼(transfer)한 후, BSA 5%로 블락킹하고 1차 항체와 하룻밤동안 4℃ 조건에서 반응시키고, 이후 2차 항체를 상온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LAS4000 mini camera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수득하였다. 그 결과, 상기의 qPCR 결과와 마찬가지로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655nm 광조사 조합에 의해 COL1A의 발현 수준은 증가하였고, MMP-1의 발현 수준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따라서, 상기 결과를 종합해보면 655nm 광조사와 함께 0.1μM 내지 1μM의 β-추야푸리신을 처리하는 경우 우수한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0.5μM의 β-추야푸리신을 처리한 경우 COL1A의 발현수준을 향상시키면서 MMP-1의 발현수준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광원 파장에 따른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 평가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따른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가 광원의 파장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HS68를 12-웰 플레이트에 0.5x106 세포/ml로 시딩하고 24시간 후 0.5μM의 β-추야푸리신을 처리하였다. 이후, LED 광판의 3cm 밑에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를 위치시킨 뒤, 23W 에너지로 545nm(8.81V) 또는 655nm(6.98V)로 설정하여 10분동안 노출시켰으며, 이후 4시간동안 추가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qPCR을 수행하여 COL1A 및 MMP-1의 발현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COL1A의 발현 수준은 655nm 파장의 광원으로 조사하는 경우에만 향상되었으며, 545nm 파장의 경우에는 오히려 저하되었다. 또한, MMP-1의 발현 수준은 655nm 파장의 경우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따라서, β-추야푸리신 처리와 함께 655nm 파장의 광원으로 조사할 경우 COL1A의 발현 수준 향상 및 MMP-1의 발현 수준 억제를 통해 우수한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β-추야푸리신 처리 또는 광 조사 각각에 따른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확인한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따른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가 β-추야푸리신 또는 광 조사 각각에 의해 발생되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HS68를 12-웰 플레이트에 0.5x106 세포/ml로 시딩하고 24시간 후 실험군에 따라 각각 β-추야푸리신 0.5μM을 처리하였다. 이 후, 655nm의 LED 광판(빛세기 23W, 6.98V로 설정)의 3cm 밑에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를 위치시킨 뒤 실험군에 따라 각각 10분동안 노출시켰다. 이후 4시간동안 추가배양하였다. 이 후, 상기에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qPCR을 수행하여 COL1A 및 MMP-1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β-추야푸리신 처리 또는 광조사를 단독으로 수행되는 경우 COL1A 및 MMP-1의 발현 수준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조사를 조합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는 COL1A 및 MMP-1의 발현 수준이 단독처리군보다 현저히 향상되거나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6).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상기 실시예에서 확인한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는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조사의 조합에 따른 효과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인공피부 모델에서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따른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확인한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의 조합에 따른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광노화가 유도된 인공피부 수준에서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인간 피부와 유사한 3차원 인공피부 모델인 Human skin equivalent model (Neoderm-ED)를 테고사이언스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0.5μM의 β-추야푸리신을 2시간 전처리 해준 뒤, 무혈청 배지(serum free media)로 2번 세척한 후, 광노화를 유도하기 위해 UVB 자외선 조사장치(Sankyo Denki G15T8E, Sankyo Denki, Japan)를 사용하여 125 mJ/cm2의 자외선 B를 조사하였다. 이 후 0.5μM의 β-추야푸리신을 처리하고 655nm LED를 10분 동안 조사하였으며, 12시간 마다 UVB와 LED 조사를 차례로 반복하여 48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인공피부에서의 COL1A 및 MMP-1의 mRNA 발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q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UVB 처리 대조군에 비해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 조합 실험군의 경우 COL1A의 발현 수준이 현저히 상승하였으며, MMP1의 발현 수준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처리된 인공피부에서 분비된 COL1A 및 MMP-1의 단백 발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효소면역측정법 (ELISA)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배양된 인공피부로부터 배양액을 수거하여 4 ℃, 1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수득하였고,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R&D system,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Pro-collagen 및 MMP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와 유사하게 UVB 처리 대조군에 비해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 조합 실험군의 경우 COL1A(Type 1 collagen)의 발현 수준이 현저히 상승하였으며, MMP1의 발현 수준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8).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처리된 인공피부에서의 콜라겐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직병리학적 변화 관찰을 위해 상기의 인공피부로부터 조직을 떼어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고정하고, 일반적인 조직 처리 과정을 거친 후 파라핀 포매하여 4 μm 절편을 잘라 Hematoxylin & eosin (H&E) 및 Masson Trichrome 염색하였다. 이후, 콜라겐 함량 (Collagen content)은 Image J software (NIH, W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UVB 처리 대조군에 비해 β-추야푸리신 처리 및 광 조사 조합 실험군의 경우 콜라겐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9).
따라서, β-추야푸리신 처리와 함께 655nm 파장의 광원으로 조사할 경우 COL1A의 발현 수준 향상 및 MMP-1의 발현 수준 억제를 통해 피부의 콜라겐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우수한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2 μM의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색광 파장의 광 조건에서 반응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콜라겐 분해 억제 효과 중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 용도인 것인, 조성물.
  5.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개체의 피부에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에 적색광을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색광은 630 내지 730 nm의 파장을 갖는 것인,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색광을 조사하는 단계는 1분 내지 60분동안 수행하는 것인,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2 μM의 β-추야푸리신 (β-thujaplicin),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단계는 조성물을 1회 내지 30회로 적용하는 것인,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단계는 조성물을 1분 내지 90분의 간격으로 적용하는 것인, 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거나 또는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것인, 방법.

KR1020220062314A 2022-05-20 2022-05-20 β-추야푸리신 및 광조사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 KR20230162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314A KR20230162433A (ko) 2022-05-20 2022-05-20 β-추야푸리신 및 광조사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314A KR20230162433A (ko) 2022-05-20 2022-05-20 β-추야푸리신 및 광조사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433A true KR20230162433A (ko) 2023-11-28

Family

ID=8895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314A KR20230162433A (ko) 2022-05-20 2022-05-20 β-추야푸리신 및 광조사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4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074B1 (ko) 2020-03-17 2021-10-08 제너럴바이오(주) 쑥부쟁이 유래 캘러스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074B1 (ko) 2020-03-17 2021-10-08 제너럴바이오(주) 쑥부쟁이 유래 캘러스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92915T3 (es) Utilización de compuestos de urea para luchar contra los signos del envejecimiento cutáneo
US9089504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een tea component
TWI480057B (zh) 咖啡酸醯胺衍生物之應用
ES2697773T3 (es) Uso cosmético y/o dermatológico de un extracto de hojas de Hamamelis virginiana
US20190008757A1 (en) Dermatological or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phenol?enriched extract of vitex negundo
CN102421412B (zh) 含有日本扁柏多糖的皮肤外用组合物
ES2741874T3 (es) Uso de Tiliacora triandra en cosméticos y composiciones de los mismos
KR101151397B1 (ko) 피부재생용 기능성화장료조성물
KR20230162433A (ko) β-추야푸리신 및 광조사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방법
CN114632045B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制备方法与应用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5714694B2 (ja) ジヒドロデヒドロジイソオイゲノールの使用およびジヒドロデヒドロジイソオイゲノールを含む製剤
US8217074B2 (en) Use of sargachromenol
KR102157395B1 (ko) 광천수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생열귀 캘러스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1137A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93174A (ko) 콜히친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1303294B1 (ko)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Łubkowska et al. The use of synthetic polypeptides in cosmetics
CN101668526A (zh) 抗抑郁化合物和相关组合物的新用途
KR101769546B1 (ko) 다프닌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8621A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089B1 (ko) 산하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5363983B (zh) 龙胆苦苷-圣草枸橼苷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