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693A - 야채 수확기 - Google Patents

야채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693A
KR20230159693A KR1020237029153A KR20237029153A KR20230159693A KR 20230159693 A KR20230159693 A KR 20230159693A KR 1020237029153 A KR1020237029153 A KR 1020237029153A KR 20237029153 A KR20237029153 A KR 20237029153A KR 20230159693 A KR20230159693 A KR 20230159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wheel
vegetable
foliag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토 와타나베
하루미츠 이나가키
다카야스 사토
유지 우치다
겐토 다카타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5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2Foliage-separ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6Haulm-cut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Abstract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양호한 흙털기 성능을 얻는 것과 함께, 기체를 컴팩트하게 한다.
양파를 토양으로부터 뽑아내어 수확하는 야채 수확기로서, 토양으로부터 양파를 뽑아내고, 뽑아낸 양파의 경엽부를 협지하면서 후상방을 향하여 반송하는 인발 반송 장치 (24) 와,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의해 반송되는 양파의 경엽부로부터 야채 본체부를 떼어내어 낙하시키는 경엽 절단 장치 (26) 와,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떼어낸 야채 본체부를 받아, 야채 본체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이나 진흙을 떨어뜨리면서 야채 본체부를 후방으로 보내는 흙털기 장치 (27) 와,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야채 본체부를 수취하고, 야채 본체부를 후상방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 (7)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야채 수확기
본 발명은, 마늘, 양파, 백합근 등의 인경채 (鱗莖菜) 나 당근 등의 근채를 수확하는 야채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늘, 양파, 백합근 등의 인경채 (인경 작물) 등의 야채를 수확 대상의 작물로 한 야채 수확기로서, 포장 (圃場) 에 재배된 야채를 토양으로부터 뽑아내거나 캐내거나 하고 나서 반송하여 수확하는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야채 수확기에는, 야채에 부착되어 있는 흙을 떨어뜨리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는, 흙털기 구성으로서, 기체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흙털기용의 복수의 반송 롤러를 야채의 반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한 컨베이어를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반송 롤러는, 그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돌출된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기를 갖고, 회전하면서 돌기를 야채에 작용시킨다. 컨베이어는, 후방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상으로 배치되어, 야채를 후상방으로 반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4864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34065호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흙털기의 구성에 의하면,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갖는 반송 롤러를 연속 형성하여 컨베이어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의 후상방으로의 경사 각도에 한계가 있다. 즉, 흙털기의 기능을 갖는 복수의 반송 롤러에 의해 구성된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후방으로의 야채의 반송에 관하여 양호한 반송 작용을 얻는 관점에서, 후상방으로의 완만한 경사 각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야채의 반송처의 위치가 높아질수록,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기 쉬워, 기체의 컴팩트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양호한 흙털기 성능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기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야채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야채를 토양으로부터 뽑아내어 수확하는 야채 수확기로서, 토양으로부터 야채를 뽑아내고, 뽑아낸 야채의 경엽부를 협지 (挾持) 하면서 후상방을 향하여 반송하는 인발 (引拔) 반송 장치와, 상기 인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야채의 경엽부로부터 야채 본체부를 떼어내어 낙하시키는 경엽 절단 장치와, 상기 경엽 절단 장치에 의해 떼어낸 야채 본체부를 받아, 야채 본체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이나 진흙을 떨어뜨리면서 야채 본체부를 후방으로 보내는 흙털기 장치와, 상기 흙털기 장치로부터 야채 본체부를 수취하고, 야채 본체부를 후상방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흙털기 장치는, 야채 본체부를 전동시킴으로써 상기 흙이나 진흙을 떨어뜨리는 흙털기부와, 야채 본체부를 상기 흙털기부로부터 상기 반송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흙털기 장치는,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갖는 롤러를,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복수 정렬한 구성을 갖고, 상기 이송부를 이루는 상기 롤러는, 상기 흙털기부를 이루는 상기 롤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를 이루는 상기 롤러와 상기 반송 장치 사이에 형성된 안내 부재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를 구비하고, 좌우의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는, 상기 인발 반송 장치의 좌우 방향의 폭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흙털기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좌우의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대하여 상기 흙털기 장치의 폭의 범위 밖의 위치에서 상기 경엽 절단 장치에 의해 떼어내지고 낙하하는 야채 본체부를, 상기 흙털기 장치로 안내하는 낙하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흙털기 장치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흙털기 장치로부터 상기 반송 장치로 보내지는 야채에 상기 반송 장치로의 이송 작용을 가하는 보조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반송 장치는,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갖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야채가 후방으로 반송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흙털기 장치에 대하여 근접·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반송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로부터 취출된 동력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반송 장치의 동력을 취출하는 동력 취출축을 회동 (回動)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의 회전 궤적이 상기 흙털기 장치로부터 상기 반송 장치로의 야채의 이동 경로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호한 흙털기 성능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기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의 좌전방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의 우전방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의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반송 절단 유닛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반송 절단 유닛 구성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인발 반송 장치의 반송 시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흙털기 장치 및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방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흙털기 장치 및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흙털기 장치 및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흙털기 장치 및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전방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보조 반송 휠의 지지 구성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4A 는 좌측면도이고, 도 14B 는 우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일부분 확대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가 구비하는 경엽 배출 구성을 나타내는 상방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방출 가이드 장치, 측방 배엽 (排葉) 슈터, 및 가이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인경채 등의 야채를 수확하는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야채에 부착되어 있는 흙을 떨어뜨려 반송하기 위한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흙털기 성능의 향상과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로서, 수확 대상의 야채를 인경채의 일종인 양파로 하는 양파 수확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마늘이나 백합근 등의 다른 인경채나 당근 등의 근채를 수확하는 야채 수확기로서 널리 적용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 (1) 는, 포장에 심어져 있는 양파 (2) 를 토양으로부터 뽑아내어 수확하는 양파 수확기이다. 포장에 있어서, 양파 (2) 는 직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조식 (條植 : 줄로 심기)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양파 (2) 가 재배되고 있는 포장을, 이랑이 없는 소위 연속조의 포장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야채 수확기 (1) 의 전방을 향해 좌측 (도 4 에 있어서의 하측) 및 우측 (도 4 에 있어서의 상측) 을, 각각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한다.
야채 수확기 (1) 는, 먼저, 토양에 심어져 있는 양파 (2) 를, 토양 내의 인경부 (2a) 로부터 지상으로 연장되어 나온 경엽부 (2b) 를 협지하면서 뽑아내고, 경엽부 (2b) 를 협지한 상태의 양파 (2) 의 매달림 자세를 유지한 채로 후상방을 향하여 반송하고, 그 반송 중에 경엽부 (2b) 를 절단하여 인경부 (2a) 로부터 떼어내어, 인경부 (2a) 를 수확한다. 인경부 (2a) 로부터 떼어낸 경엽부 (2b) 는,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의 소정의 부위에 대하여 배출된다. 야채 수확기 (1) 는, 이러한 수확 작업을, 양파 (2) 의 조식 라인을 따라 주행하면서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 (1) 는, 6 조 (條) 분의 양파 (2) 를 동시적으로 뽑아내기 반송하여 수확해 가는 6 조용의 구성을 갖는다. 야채 수확기 (1) 는, 양파 (2) 중 인경부 (2a) 를 수확 대상 부분으로 하고, 이 인경부 (2a) 가 야채 본체부에 상당한다.
야채 수확기 (1) 는,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로서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를 갖는 주행 기체 (3) 와, 야채 수확기 (1) 의 운전자 (작업자) 에 의해 야채 수확기 (1) 의 주행 조작이나 수확 조작 등의 각종 조작이 행해지는 조작부 (5) 와, 양파 (2) 를 수확하는 수확부 (6) 와, 수확부 (6) 에서 수확된 양파 (2) 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의 컨베이어 (7) 와, 컨베이어 (7) 에 의해 반송된 양파 (2) 를 소정의 회수 용기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8) 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 (3) 는, 복수의 프레임 부재에 의해 입체적으로 틀짜기 구성된 기체 프레임 (9) 을 구비하고, 기체 프레임 (9) 의 좌우 양측에 크롤러 주행 장치 (4) 를 배치시키고 있다. 기체 프레임 (9) 에 대하여, 조작부 (5), 수확부 (6), 컨베이어 (7) 및 수용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 (4) 는,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로서, 주행 기체 (3) 에 있어서 기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크롤러부를 구성하고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 (4) 는, 기체 프레임 (9) 의 후하부에 지지된 구동륜 (4a) 과, 구동륜 (4a) 의 하방의 높이 위치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 (9) 의 전후의 하부에 지지된 종동륜 (4b) 과, 전후의 종동륜 (4b) 의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전동륜 (4c) 과, 이들 차륜에 감겨진 크롤러 트랙 (4d) 을 갖는다. 크롤러 주행 장치 (4) 는, 측면에서 볼 때, 후상부에 위치하는 구동륜 (4a) 의 근방 부분을 정상부로 한 대략 삼각형상을 갖고, 구동륜 (4a) 과, 앞쪽의 종동륜 (4b) 사이의 크롤러 트랙 (4d) 은, 전방 내리막의 경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는, 야채 수확기 (1) 가 구비하는 엔진 (10) 에 의해 구동된다.
엔진 (10) 은, 주행 기체 (3) 의 후부 좌측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 (10) 의 전하방의 위치이면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후상부의 사이에는, 트랜스미션 (11) 이 형성되어 있다. 트랜스미션 (11) 은,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을 적절히 변속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전달한다.
조작부 (5) 는, 주행 기체 (3) 의 후부에 있어서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 (5) 는, 야채 수확기 (1) 를 조작하는 부분으로, 레버나 스위치 등의 각종 조작구를 배치한 조작 박스 (12) 를 갖는다. 조작부 (5) 는, 조작 박스 (12) 의 후측에 서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 박스 (12) 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후단부의 상방의 위치에 있어서, 작업자의 가슴 부근이 되는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 박스 (12) 에는, 주행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를 겸한 주행·작업 클러치 레버 (13), 기체의 주행에 대한 변속 레버 (14), 작업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레버 (15),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레버 (16), 및 엔진 (10) 을 정지시키는 엔진 정지 스위치 (17)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박스 (12) 의 후측에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을 이루는 프레임상의 핸들 (18) 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 (18) 에는, 액셀 레버 (19) 가 형성되어 있다.
수확부 (6) 는, 분초 장치 (21) 와, 갈퀴 장치 (22) 와, 굴기 (掘起) 장치 (23) 와, 인발 반송 장치 (24) 와, 어깨 맞추기 장치 (25) 와, 경엽 절단 장치 (26) 와, 흙털기 장치 (27) 를 구비한다. 이들 장치는, 야채 수확기 (1) 가 구비하는 작업부 프레임 (30) 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작업부 프레임 (30) 은, 좌우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측부 프레임부 (31, 31) 와, 좌우의 측부 프레임부 (31, 31) 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전횡 프레임부 (32) 와, 좌우의 측부 프레임부 (31, 31) 의 후부끼리를 연결하는 후횡 프레임부 (33) 를 갖는다.
측부 프레임부 (31) 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틀짜기 구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도 3 참조). 측부 프레임부 (31) 는, 대략 삼각 형상의 측면에서 본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부로서, 전방 경사상의 전방 프레임부 (31a) 와, 전프레임부 (31a) 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내리막의 경사상으로 배치된 상(上)프레임부 (31b) 와, 전(前)프레임부 (31a) 의 하단부와 상프레임부 (31b) 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후방 오르막의 경사상으로 배치되어 둔각 형상으로 굴곡된 하(下)프레임부 (31c) 를 갖는다.
작업부 프레임 (30) 은, 컨베이어 (7) 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부 프레임 (30) 은, 전횡 프레임부 (32) 의 좌우 중간부로부터 후하방으로 연장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전경 (前傾) 지지 프레임부 (34) 를 갖는다. 전경 지지 프레임부 (34) 의 하단부가, 컨베이어 (7) 의 시단부 (전측 단부) 에 형성된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컨베이어 (7) 의 시단부에 위치하는 회동축 (34a) 을 중심으로, 컨베이어 (7) 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업부 프레임 (30) 은, 컨베이어 (7) 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분에 지지되어 있고, 컨베이어 (7) 는, 유압 실린더인 승강 실린더 (35) 에 의해, 기체 프레임 (9) 에 대해 좌우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승강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승강 실린더 (35) 는, 컨베이어 (7) 와 기체 프레임 (9) 사이에 전후로 가설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승강 실린더 (35) 의 신축 동작에 의해, 컨베이어 (7), 작업부 프레임 (30), 및 작업부 프레임 (30) 에 지지된 수확부 (6) 의 각종 장치가 일체적으로 승강 회동한다.
승강 실린더 (35) 는, 보텀측을 후측으로 하고, 실린더 튜브의 후단부를, 기체 프레임 (9) 에 형성된 브래킷 (36) 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승강 실린더 (35) 는 로드측을 전측으로 하고,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를, 컨베이어 (7) 의 배면측에 배치된 횡프레임부 (37) 에 대하여 브래킷 (38) 등을 개재하여 좌우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승강 실린더 (35) 의 신축 동작에 의해 승강 회동하는 일체적인 장치 부분은, 작물 처리 유닛으로서, 기체 프레임 (9) 에 대한 컨베이어 (7) 의 회동 지지부 (39) 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회동 지지부 (39) 는, 기체 프레임 (9) 의 후부에 세워 형성된 좌우의 종(縱)프레임부 (40)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컨베이어 (7) 의 종단부 (후측 단부) 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회동 지지부 (39) 를 중심으로 한 작물 처리 유닛의 회동에 의해, 야채 수확기 (1) 에 의한 지면에 대한 양파 (2) 의 인발 위치 등이 조정된다.
작업부 프레임 (30) 은, 기체 프레임 (9) 에 대해 좌우 양측에 형성된 링크 (45)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링크 (45) 는, 타단부끼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켜 측면에서 보아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는 2 개의 링크 아암을 갖는다. 일방의 링크 아암은, 일단측을 측부 프레임부 (31) 의 후단부에 대하여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타방의 링크 아암은, 일단측을 기체 프레임 (9) 에 대하여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링크 (45) 를 이루는 2 개의 링크 아암의 회동에 의해, 작물 처리 유닛의 회동에 수반되는 기체 프레임 (9) 에 대한 작업부 프레임 (30) 의 이동이 허용된다. 또한, 작업부 프레임 (30) 과 컨베이어 (7)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막대상의 연결 부재 (46) 가 가설되어 있다.
이하, 야채 수확기 (1) 가 구비하는 수확부 (6) 의 각 장치, 컨베이어 (7), 수용부 (8) 등에 대해, 도 1 내지 도 18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분초 장치]
분초 장치 (21) 는, 포장에 심어져 있는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양파 (2) 를 조(條)별로 나누기 위한 장치이다. 분초 장치 (21) 는, 조 사이를 통과하면서, 포장에 도복된 상태의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분초한다. 분초 장치 (21) 는, 양파 (2) 를 조별로 나누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연속된 6 조에 대응하여 각 조를 사이에 두도록 7 개 형성되어 있다. 즉, N 조용의 구성에 있어서, 분초 장치 (21) 는, N+1 개 형성된다.
분초 장치 (21) 는, 직사각형상의 분초 케이스 (51) 와, 분초 케이스 (51) 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타인 (52) 을 갖는다. 분초 케이스 (51)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가늘고 긴 후판상의 외형을 갖는다. 분초 케이스 (51) 는, 측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을 후방 오르막 방향으로 경사시켜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초 케이스 (51) 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면 약 60°이다.
타인 (52) 은, 분초 케이스 (51) 의 주연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타인 (52) 은, 분초 케이스 (51)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형성된 전후의 스프로킷 (53a, 53b) 에 감긴 체인 (54) 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15 참조).
7 개의 분초 장치 (21) 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7 개의 분초 장치 (21) 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된 공통의 전처리 구동축 (55) 에, 후측의 스프로킷 (53b) 을 고정 설치시키고 있고, 전처리 구동축 (55) 의 회전 동력을 받아서 체인 (54) 과 함께 복수의 타인 (52) 을 종회동시킨다. 전처리 구동축 (55) 은, 7 개의 분초 장치 (21) 의 후단부끼리를 연결시키는 전처리축 케이스 (56) 에 내장되어 있고,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전한다. 분초 장치 (21) 는, 회동하는 복수의 타인 (52) 에 의해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들어올림으로써 분초한다.
7 개의 분초 장치 (21) 중, 좌우 양단의 분초 장치 (21) 이외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5 개의 분초 장치 (21) 는, 전횡 프레임부 (32) 의 전측에 고정된 지지판 (58) 및 지지판 (58) 으로부터 전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지지 아암 (59) 을 통하여, 전횡 프레임부 (32) 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아암 (59) 은, 상단부를 지지판 (58) 의 후측에 고정시키고 있고, 하단부를 분초 장치 (21) 의 분초 케이스 (51) 의 상부의 후측에 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7 개의 분초 장치 (21) 중, 좌우 양단의 분초 장치 (21) 는, 측부 프레임부 (31) 의 전부로부터 전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외측 지지 프레임부 (60) 를 개재하여, 측부 프레임부 (31) 에 지지되어 있다. 외측 지지 프레임부 (60) 는, 복수의 프레임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후측을 측부 프레임부 (31) 의 전하부에 연결시키고, 전측을 분초 장치 (21) 의 분초 케이스 (51) 의 좌우 외측의 측면부에 고정시키고 있다.
좌우 양단의 지지판 (58) 으로부터는, 소정의 굴곡 형상을 갖는 막대상의 지지봉 (61) 이 좌우 외측 또한 전하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지지봉 (61) 의 선단부는, 좌우 양단의 분초 장치 (21) 로부터 좌우 외측으로 돌출된 전처리축 케이스 (56) 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갈퀴 장치]
갈퀴 장치 (22) 는, 분초 장치 (21)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다. 갈퀴 장치 (22) 는,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기체 전측으로부터 긁어 모아서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전달하여,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의한 인발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갈퀴 장치 (22) 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이웃하는 분초 장치 (21) 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7 개의 분초 장치 (21) 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6 개의 갈퀴 장치 (22) 가 형성되어 있다. 갈퀴 장치 (22) 는, 한 쌍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야채 수확기 (1) 는, 한 쌍의 갈퀴 장치 (22) 를 1 세트로 하여, 옆으로 나란히 줄지어 형성된 좌측, 중간, 우측의 3 세트의 갈퀴 장치 (22) 를 구비하고 있다.
6 조의 양파 (2) 에 대하여, 좌측의 한 쌍의 갈퀴 장치 (22) 는, 좌측의 2 조분의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한꺼번에 긁어 모아, 좌측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중간의 한 쌍의 갈퀴 장치 (22) 는, 중간의 2 조분의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한꺼번에 긁어 모아, 중간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전달한다. 또한, 우측의 한 쌍의 갈퀴 장치 (22) 는, 우측의 2 조분의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한꺼번에 긁어 모아, 우측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전달한다.
갈퀴 장치 (22) 는, 긴 형상의 레이크 프레임 (65) 과, 레이크 프레임 (65) 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타인 (66) 을 갖는다. 레이크 프레임 (65) 은, 가늘고 긴 후판상의 외형을 갖고, 측면에서 볼 때 길이 방향을 후방 오르막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초 장치 (21) 와 평행 형상으로 되어 있다.
타인 (66) 은, 레이크 프레임 (65) 의 주연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타인 (66) 은, 레이크 프레임 (65)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레이크 프레임 (65) 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형성된 전후의 풀리 (67a, 67b) 에 감겨진 벨트 (68) 에 대해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15 참조).
각 세트의 한 쌍의 갈퀴 장치 (22) 는, 정면에서 보아 하측에서부터 상측에 걸쳐 상호간의 간격을 서서히 좁게 하고 있으며, 대략 역 「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갈퀴 장치 (22) 는, 레이크 구동축 (69) 을 통해 전처리 구동축 (55) 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아 구동한다 (도 15 참조). 레이크 구동축 (69) 은, 전처리 구동축 (55) 에서부터 후하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 전처리 구동축 (55) 의 회전 동력은, 베벨 기어 (70a, 70b) 를 통해 레이크 구동축 (69) 에 전달된다.
갈퀴 장치 (22) 는, 레이크 구동축 (69) 에, 후측의 풀리 (67b) 를 고정 설치시키고 있어, 레이크 구동축 (69) 의 회전 동력을 받아 벨트 (68) 와 함께 복수의 타인 (66) 을 횡회동시킨다. 레이크 구동축 (69) 은, 전처리축 케이스 (56) 에서부터 후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전처리축 케이스 (56) 와 레이크 프레임 (65) 을 서로 연결시킨 레이크 구동축 케이스 (71) 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레이크 프레임 (65) 의 하단부는, 그 레이크 프레임 (65) 의 대략 전방에 위치하는 대응한 분초 케이스 (51) 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지지 플레이트 (72) 를 개재시키고 있다. 지지 플레이트 (72) 에 의해, 레이크 프레임 (65) 의 하단부가, 분초 케이스 (51) 의 하단부에 대하여 연결 지지되어 있다.
[굴기 장치]
굴기 장치 (23) 는, 갈퀴 장치 (22) 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굴기 장치 (23) 는, 소위 서브소일러로서,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의해 양파 (2) 를 뽑아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양파 (2) 의 하측으로 파고 들어가 흙을 무너뜨리기 위한 장치이다.
굴기 장치 (23) 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굴기날 (75) 과, 굴기날 (75) 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는 날 지지체 (76) 와, 좌우의 날 지지체 (76) 를 각각 지지하는 종프레임부 (77) 를 갖는다.
굴기날 (75) 은, 정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연신된 횡날부와, 횡날부의 양단으로부터 기립한 종날부를 갖고, 종날부의 상부를, 날 지지체 (76) 에 연결 지지시키고 있다. 굴기날 (75) 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양단부를, 좌우 양단의 분초 장치 (21) 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연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 지지체 (76) 는, 외측 지지 프레임부 (60) 의 소정의 부위에 지지되어 있다. 날 지지체 (76) 의 상단부에, 종프레임부 (77) 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종프레임부 (77) 는, 날 지지체 (76) 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횡 프레임부 (32) 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종프레임부 (77) 는, 전횡 프레임부 (32) 에 내장된 굴취 구동축 (78) 의 단부에 연결되고, 굴취 구동축 (78) 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아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굴취 구동축 (78) 은,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프레임부 (77) 의 회동에 수반하여 날 지지체 (76) 와 굴기날 (75) 이 일체적으로 좌우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전후로 요동한다. 굴기 장치 (23) 는, 야채 수확기 (1) 의 전진에 수반하여, 전후로 요동하는 굴기날 (75) 을 흙 중에 꽂아 넣고 양파 (2) 의 인경부 (2a) 보다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토양을 부드럽게 하여 6 조분의 굴기를 실시한다. 굴기 장치 (23) 에 있어서의 굴기날 (75) 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굴기 장치 (23) 에 의한 굴기 폭이 된다.
[인발 반송 장치]
인발 반송 장치 (24) 는, 토양으로부터 양파 (2) 를 뽑아내고, 뽑아낸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협지하면서 후상방을 향해 반송하는 장치이다. 인발 반송 장치 (24) 는, 갈퀴 장치 (22)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고, 갈퀴 장치 (22) 로부터 전달된 경엽부 (2b) 를 협지하여, 경엽부 (2b) 를 후상방 (후측 비스듬한 상방) 으로 반송하면서 양파 (2) 를 뽑아내고, 양파 (2) 를 기립 자세인 채로 후상방을 향해 반송한다.
인발 반송 장치 (24) 는, 갈퀴 장치 (22) 의 하부의 직후방의 위치로부터 후상방을 향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발 반송 장치 (24) 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약 45°이다. 인발 반송 장치 (24) 는, 1 세트의 갈퀴 장치 (22) 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야채 수확기 (1) 는, 횡배열로 나란히 형성된 좌측, 중간, 우측의 3 개의 인발 반송 장치 (24) 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발 반송 장치 (24) 는, 인발 반송 장치 (24) 의 반송 상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와, 인발 반송 장치 (24) 의 반송 하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를 갖고, 이들 반송 장치에 의해 전후 2 단의 반송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및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는, 각각 인발 반송 장치 (24) 전체로서의 경사 방향에 따르도록 연신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연신 방향을 서로 평행 내지는 대략 평행하게 하고 있다.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는, 토양으로부터 양파 (2) 를 뽑아내고, 뽑아낸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협지하면서 후상방을 향하여 반송한다.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는, 한 쌍의 무단 회동 벨트인 반송 벨트 (83) 를, 각각 반송 하측이 되는 후측에 형성된 구동륜인 구동 풀리 (84), 및 반송 상측이 되는 전측에 형성된 종동륜인 종동 풀리 (85) 에 걸쳐 감은 구성을 갖는다. 즉,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는, 구동 풀리 (84) 및 종동 풀리 (85) 에 반송 벨트 (83) 를 감은 상류측 벨트 협지체 (81A) 를 좌우 1 쌍 구비하고, 좌우의 상류측 벨트 협지체 (81A) 사이에 경엽부 (2b) 를 협지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반송 벨트 (83) 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의해 경엽부 (2b) 를 협지하고, 구동 풀리 (84) 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측을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풀리 (84) 및 종동 풀리 (85) 는, 기체 측면에서 볼 때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경사에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반송 벨트 (83) 에 대해서는, 텐션 풀리나 가이드 롤러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는, 그 전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반송 벨트 (83) 의 대향면에 의해 경엽부 (2b) 를 협지하고, 반송 벨트 (83) 의 회동 동작에 의해 양파 (2) 를 토양으로부터 뽑아낸다. 뽑아낸 양파 (2) 는, 한 쌍의 반송 벨트 (83) 에 의해 경엽부 (2b) 부분이 협지된 상태인 채로, 거의 수직으로 매달린 자세로 후상방으로 반송된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는,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반송 벨트 (86) 를 갖는 벨트 반송 장치이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는,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에 의해 반송된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이어받아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협지하면서 반송한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는,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반송 종단부의 하측에 반송 시단부를 위치시키고 있다. 요컨대,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후단부의 하측에,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전단부가 위치하고 있고, 상단 반송부로서의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에 대해서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가 하단 반송부를 이루도록, 양 반송 장치가 높이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는, 반송 종단부 (후단부) 를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시키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는, 한 쌍의 무단 회동 벨트인 반송 벨트 (86) 를, 각각 반송 하측에 형성된 구동륜인 구동 풀리 (87) 및 반송 상측에 형성된 종동륜인 종동 풀리 (88) 에 걸쳐 감은 구성을 갖는다. 즉,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는, 구동 풀리 (87) 및 종동 풀리 (88) 에 반송 벨트 (86) 를 감은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를 좌우 한 쌍 구비하고, 좌우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사이에 경엽부 (2b) 를 협지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상류측 벨트 협지체 (81A) 각각의 후단부의 하측에,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전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반송 벨트 (86) 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의해 경엽부 (2b) 를 협지하고, 구동 풀리 (87) 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측을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풀리 (87) 및 종동 풀리 (88) 는, 기체 측면에서 볼 때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경사에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반송 벨트 (86) 에 대해서는, 텐션 풀리나 가이드 롤러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는, 그 전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반송 벨트 (86) 의 대향면에 의해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에 의해 반송된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협지하고,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양파 (2) 를 이어받는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로 이어받은 양파 (2) 는, 한 쌍의 반송 벨트 (86) 에 의해 경엽부 (2b) 부분이 협지된 상태인 채로, 거의 수직으로 매달린 자세로 후상방으로 반송된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구동 풀리 (87) 는,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반송 입력축 (89) 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반송 입력축 (89) 과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한다. 반송 입력축 (89) 은, 구동 풀리 (87) 의 후측에 있어서 후측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반송 입력축 (89) 의 축 방향에 따른 통 형상의 반송 입력축 케이스 (90) 에 내장되어 있다. 구동 풀리 (87) 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반송 벨트 (86) 의 회동을 수반하여 종동 풀리 (88) 가 회전한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회전 동력은,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에 전달되어,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를 회전 구동시킨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종동 풀리 (88) 와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구동 풀리 (84) 는, 동일한 지지축 (91) 에 지지되어 있다 (도 16 참조).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종동 풀리 (88) 및 상류측 벨트 협지체 (81A) 의 구동 풀리 (84) 는, 모두 지지축 (91) 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지지축 (91) 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즉, 종동 풀리 (88) 및 구동 풀리 (84) 는, 반송 입력축 (89) 과 축 방향을 평행하게 하는 지지축 (91) 에 의해 동축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종동 풀리 (88) 의 회전이 지지축 (91) 을 통해서 구동 풀리 (84) 에 전달되고,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가 회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는, 각 상류측 벨트 협지체 (81A) 를, 지지축 (91) 을 개재하여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각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에 연결시키고 있고,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인발 반송 장치 (24) 는 좌우의 상류측 벨트 협지체 (81A) 의 각각의 후단부와, 좌우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각각의 전단부를 상하로 겹치고 있고, 그 겹침 부분에 있어서, 구동 풀리 (84) 및 종동 풀리 (88) 를 지지하는 공통의 지지축 (91) 을 통해서,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회전 동력을 상류측 벨트 협지체 (81A) 에 전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발 반송 장치 (24) 는, 상류측 벨트 협지체 (81A) 의 후단부와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전단부를, 지지축 (91) 을 통하여 연결시킨 높이가 다른 형상의 벨트 협지체 (24A) 를, 좌우 한 쌍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 좌측, 중앙, 우측의 3 세트 형성된 인발 반송 장치 (24) 의 배치에 관하여,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의 인발 반송 장치 (24) 는 평면에서 볼 때, 직선상의 반송 방향을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 연신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좌측 및 우측의 인발 반송 장치 (24) 는, 평면에서 볼 때, 직선상의 반송 방향을 좌우 외측에서부터 좌우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시키고 있고, 전측에서 후측에 걸쳐 좌우 외측에서부터 좌우 내측을 향하여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야채 수확기 (1) 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의 인발 반송 장치 (24) 는, 하측에서부터 상측에 걸쳐 좌우 외측에서부터 좌우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인발 반송 장치 (24) 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인발 반송 장치 (24) 의 배치 구성에 있어서는, 좌우의 인발 반송 장치 (24)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경사 배치에 의해, 반송 종단부를, 중앙의 인발 반송 장치 (24) 의 반송 종단부에 대해 근접시키면서, 반송 시단부를, 중앙의 인발 반송 장치 (24) 의 반송 시단부에 대해 이간시키고 있다. 따라서,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는, 전체적으로, 좌우 방향에 대하여 후측에서부터 전측에 걸쳐서 서서히 외측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방향의 폭을 후측에서부터 전측에 걸쳐 서서히 넓힌 전방이 확대된 인발 반송 장치 (24) 의 배치 구성은, 6 조용의 7 개의 분초 장치 (21) 및 6 개의 갈퀴 장치 (22) 의 배치에 대응한 것이다.
[어깨 맞추기 장치]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인발 반송 장치 (24)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인발 반송 장치 (24) 의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위치 맞춤 장치의 일례로, 인발 반송 장치 (24) 의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양파 (2) 의 인경부 (2a) 의 높이 위치를 맞추기 위한 장치이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양파 (2) 의 인경부 (2a) 의 상측 부분을 어깨부로 하여,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의해 반송되는 양파 (2) 의 어깨부의 높이를 맞춘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측면에서 보아 인발 반송 장치 (24) 의 경사보다 완만한 후방 오르막의 경사 평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약 20°이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각 인발 반송 장치 (24) 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야채 수확기 (1) 는, 옆으로 나란히 정렬한 좌측, 중간, 우측의 3 개의 어깨 맞추기 장치 (25) 를 구비하고 있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한 쌍의 무단 회동 벨트인 반송 벨트 (94) 를, 각각, 반송 상측으로 되는 전측에 형성된 구동륜인 구동 풀리 (95) 및 반송 하측으로 되는 후측에 형성된 종동륜인 종동 풀리 (96) 에 걸쳐 감은 구성을 갖는다. 즉,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구동 풀리 (95) 및 종동 풀리 (96) 에 반송 벨트 (94) 를 감은 벨트 반송체 (25A) 를 좌우 한 쌍 구비하고, 좌우의 벨트 반송체 (25A) 사이에 경엽부 (2b) 를 위치시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반송 벨트 (94) 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의해 경엽부 (2b) 를 협지하고, 구동 풀리 (95) 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측을 경엽부 (2b) 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풀리 (95) 및 종동 풀리 (96) 는, 기체 측면에서 볼 때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경사에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반송 벨트 (94) 에 대해서는 텐션 풀리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반송 벨트 (94) 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은, 일반적인 양파 (2) 의 인경부 (2a) 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각 벨트 반송체 (25A) 의 전단부를,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각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전단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좌우의 구동 풀리 (95) 는, 각각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좌우의 종동 풀리 (88) 의 하방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측면에서 볼 때,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와의 사이의 경사 각도의 차에 의해,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와 함께 대략 「V」자 형상을 이루고,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와의 사이의 상하의 간격을 전측에서부터 후측에 걸쳐 서서히 넓히고 있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연동 연결되어 있어, 인발 반송 장치 (24) 로부터 동력의 전달을 받아, 인발 반송 장치 (24) 와 동기하여 구동된다. 좌우의 벨트 반송체 (25A) 는, 각각 대응하는 벨트 협지체 (24A) 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좌우의 벨트 반송체 (25A) 의 구동 풀리 (95) 는, 각각 인발 반송 장치 (24) 의 벨트 협지체 (24A) 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구동 풀리 (95) 는, 각 벨트 협지체 (24A) 에 있어서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와 상류측 벨트 협지체 (81A) 를 서로 연동 연결시키는 지지축 (91) 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지지축 (91) 으로부터 구동력의 입력을 받는다.
지지축 (91) 의 회전 동력은, 제 1 기어 (97) 및 제 2 기어 (98) 를 통하여, 일단측에 구동 풀리 (95) 를 고정 설치시킨 입력축 (99) 에 전달된다 (도 16 참조). 제 1 기어 (97) 는, 지지축 (91) 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 2 기어 (98) 는, 구동 풀리 (95) 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입력축 (99) 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 (91) 및 입력축 (99) 은, 인발 반송 장치 (24) 및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경사 각도의 차이에 따라서, 서로의 축 방향을 다르게 하고 있다. 제 1 기어 (97) 및 제 2 기어 (98) 는, 지지축 (91) 및 입력축 (99) 끼리의 축 방향의 차이에 따라서 비스듬한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발 반송 장치 (24) 및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종동 풀리 (88) 로부터,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및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구동력을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동 풀리 (88) 의 지지축 (91) 중, 종동 풀리 (88) 로부터 상측으로의 연장 부분에,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구동 풀리 (84) 가 고정 설치되어 있어,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에 대한 구동력이 취출된다. 또한, 종동 풀리 (88) 의 지지축 (91) 중, 종동 풀리 (88) 로부터 하측으로의 연장 부분에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구동 풀리 (95) 를 지지하는 입력축 (99) 에 고정 설치된 제 2 기어 (98) 에 맞물리는 제 1 기어 (97) 가 고정 설치되어 있어, 어깨 맞추기 장치 (25) 로의 구동력이 취출된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로부터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이어받은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한 쌍의 반송 벨트 (94) 사이에 위치시키고, 한 쌍의 반송 벨트 (94) 에 의해 양파 (2) 의 인경부 (2a) 의 어깨부를 누름으로써, 인경부 (2a) 의 높이 위치를 소정의 높이 위치로 맞춘다. 즉, 어깨 맞추기 장치 (25) 는,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반송 벨트 (86) 에 대하여 완만한 경사로 배치된 한 쌍의 반송 벨트 (94) 의 하측에 인경부 (2a) 를 위치시키고, 한 쌍의 반송 벨트 (86) 에 의한 양파 (2) 의 반송에 수반하여, 한 쌍의 반송 벨트 (94) 를 인경부 (2a) 의 양 어깨부에 맞닿게 하여 반송 이동 중인 양파 (2) 를 상방 이동에 대해 걸려 멈추게 하고, 훑어 당기는 형태로 양파 (2) 의 높이 위치를 맞춘다 (도 6 에 있어서의 양파 (2) 의 이동 궤적 (S1) 참조). 여기서,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한 쌍의 반송 벨트 (94) 의 협지력보다도,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한 쌍의 반송 벨트 (86) 의 협지력이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파 (2) 에 대한 훑어 당기는 작용이 얻어진다. 높이 위치가 맞춰진 양파 (2) 는, 후방의 경엽 절단 장치 (26) 로 유도된다.
[경엽 절단 장치]
경엽 절단 장치 (26) 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후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반송 방향의 중간부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경엽 절단 장치 (26) 는,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의해 반송되는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절단하고, 경엽부 (2b) 로부터 인경부 (2a) 를 떼어내어 낙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경엽 절단 장치 (26) 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의해 어깨부의 높이가 맞춰진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경엽부 (2b) 가 대략 동일한 길이로 인경부 (2a) 측에 남도록 절단한다.
경엽 절단 장치 (26) 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각 벨트 반송체 (25A) 에 있어서 종동 풀리 (96) 와 동축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원판상의 회전날 (100) 을 갖는다. 한 쌍의 회전날 (100) 은, 외연부끼리를 약간 오버랩시킨 상태에서, 양파 (2) 의 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략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의 회전날 (100) 의 좌측의 단부가, 좌측의 회전날 (100) 의 우측의 단부 위에 겹쳐져 있다 (도 7 참조).
회전날 (100) 은, 종동 풀리 (96) 의 지지축 (96a) 에 지지되어 있고, 종동 풀리 (96) 에 대해 평행한 형상으로 종동 풀리 (96) 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날 (100) 은, 인발 반송 장치 (24) 로부터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아 동작하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종동 풀리 (96) 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의한 반송 작용으로서 후측 비스듬한 상방으로 이동 중인 양파 (2) 가,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의해 상방 이동에 대해 걸려 멈춰 상하 방향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한 쌍의 회전날 (100) 사이의 위치로 유도된다.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한 쌍의 반송 벨트 (94) 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엽부 (2b) 가, 한 쌍의 회전날 (100) 사이에 도달함으로써, 회전하는 회전날 (100) 에 의해 절단된다. 여기서, 경엽부 (2b) 는,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및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의해 협지되면서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 회전날 (100) 의 작용을 받으므로, 양호하게 절단된다. 한 쌍의 회전날 (100) 에 의해 경엽부 (2b) 로부터 떼어낸 인경부 (2a) 는, 낙하하여 소정의 장소로 유도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 (1) 는, 인발 반송 장치 (24), 어깨 맞추기 장치 (25) 및 경엽 절단 장치 (26) 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닛 구성을, 좌측, 중간, 우측의 3 세트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인발 반송 장치 (24), 어깨 맞추기 장치 (25) 및 경엽 절단 장치 (26) 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닛 구성을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이라고 한다. 또한, 도 6 및 도 7 에는, 좌측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이 도시되어 있다.
[흙털기 장치]
흙털기 장치 (27) 는, 토양으로부터 뽑아낸 양파 (2) 를 받아, 양파 (2) 에 부착되어 있는 흙이나 진흙을 떨어뜨리면서 양파 (2) 를 후방으로 보낸다. 즉, 흙털기 장치 (27) 는,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떼어낸 인경부 (2a) 를 받아, 인경부 (2a) 에 부착되어 있는 흙이나 진흙을 떨어뜨리면서 인경부 (2a) 를 후방으로 보내는 장치이다.
흙털기 장치 (27) 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및 경엽 절단 장치 (26) 의 하방에 있어서, 기체의 좌우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흙털기 장치 (27) 는, 작업부 프레임 (30) 에 대하여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흙털기 장치 (27) 는, 3 세트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에 대하여 공통의 구성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흙털기 장치 (27) 는, 좌우 양측 및 중앙의 각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으로부터 경엽부 (2b) 를 절단함으로써 낙하되는 인경부 (2a) 를 받아, 인경부 (2a) 의 흙을 털면서 인경부 (2a) 를 후측으로 반송한다.
흙털기 장치 (27) 는, 흙털기 회전체로서 3 개의 흙털기 휠 (110 : 110A, 110B, 110C) 을 갖고, 흙털기 휠 (110) 을 인경부 (2a) 에 작용시킴으로써 인경부 (2a) 에 부착되어 있는 흙이나 진흙을 털어 떨어뜨린다. 흙털기 휠 (110) 은, 기체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회전체이다.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의 상측이 인경부 (2a) 의 반송면측이 되고,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의 작용에 의해, 인경부 (2a) 가 후방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회전 구동하는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의 회전 방향은, 모두 좌측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 (우회전 방향) 이다 (도 11, 화살표 (X1) 참조).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은, 전측에서부터 후측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을, 전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 1 흙털기 휠 (110A), 제 2 흙털기 휠 (110B), 제 3 흙털기 휠 (110C) 로 한다.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은, 좌우의 흙털기 프레임 (111) 사이에 가설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흙털기 프레임 (111) 은, 세로판 형상의 프레임 부분으로, 측면에서 볼 때,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의 배치에 따라서, 흙털기 휠 (110) 의 대부분을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흙털기 프레임 (111) 의 전단부 사이에는, 전벽부 (112) 가 형성되어 있다. 전벽부 (112) 는, 흙털기 프레임 (111) 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좌우의 흙털기 프레임 (111) 과 전벽부 (112) 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하측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구멍 뚫린 판인 바닥판 (113)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벽부 (112) 에는, 전경 지지 프레임부 (34) 의 하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우의 흙털기 프레임 (111), 전벽부 (112) 및 바닥판 (113) 에 의해, 후측을 개방시킨 상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이 구성되어 있고, 이 프레임 부분의 내부에,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의 후측에, 컨베이어 (7) 가 연결되어 있다.
흙털기 휠 (110) 은,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 (115) 과, 막대상의 돌기부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복수의 휠 본체 (116) 를 갖는다. 구동축 (115) 및 복수의 휠 본체 (116) 는,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흙털기 휠 (110) 의 구동축 (115) 은, 중간부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축 부분을 포함하는 막대상의 부재이다. 휠 본체 (116) 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휠 본체 (116) 를 구성하는 탄성체로는, 탄성 변형 가능하면서, 인경부 (2a) 를 손상시키지 않는 소재인 것이 채용된다.
휠 본체 (116) 는, 회전 기부 (116a) 와, 회전 기부 (116a) 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116b) 를 갖는다. 회전 기부 (116a) 는, 구동축 (115) 을 관통시키는 대략 원통상의 부분이다. 회전 기부 (116a) 는, 구동축 (115) 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한 직사각형상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관통 구멍부를 갖는다. 돌기부 (116b) 는, 회전 기부 (116a) 의 직경 방향을 따르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동축 (115) 의 축 방향에서 볼 때 (측면에서 볼 때), 기부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 서서히 폭을 좁게 한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돌기부 (116b) 는, 회전 기부 (116a) 의 축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부 (116b) 는, 회전 기부 (116a) 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 개의 회전 기부 (116a) 가 약 6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휠 본체 (116) 는, 복수의 (6 개의) 돌기부 (116b) 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킨 소위 스타 휠 형상을 갖는다. 흙털기 휠 (110) 에 있어서, 복수의 휠 본체 (116) 는, 좌우의 흙털기 프레임 (111) 사이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친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은, 인접하는 흙털기 휠 (110) 사이에서, 측면에서 보아 돌기부 (116b) 의 회전 궤적의 외주부끼리를 오버랩시키는 위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흙털기 휠 (110A) 의 돌기부 (116b) 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 (A1) 의 후부와, 제 2 흙털기 휠 (110B) 의 돌기부 (116b) 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 (A2) 의 전측이 오버랩되어 있다. 또한, 제 2 흙털기 휠 (110B) 의 회전 궤적 (A2) 의 후부와,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돌기부 (116b) 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 (A3) 의 전측이 오버랩되어 있다. 이웃하는 흙털기 휠 (110) 끼리의 오버랩량은, 예를 들면 돌기부 (116b) 의 길이의 절반 정도이다.
이웃하는 흙털기 휠 (110) 은, 돌기부 (116b) 끼리를 간섭시키지 않도록, 복수의 휠 본체 (116) 를, 구동축 (115) 의 축 방향에 대해서 엇갈리게 위치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흙털기 휠 (110A) 및 제 3 흙털기 휠 (110C) 은, 9 개의 휠 본체 (116) 를 갖고,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흙털기 휠 (110B) 은, 8 개의 휠 본체 (116) 를 갖는다. 즉, 제 2 흙털기 휠 (110B) 은, 9 개의 휠 본체 (116) 를 갖는 전후의 흙털기 휠 (110 (110A, 110C)) 에 대해, 구동축 (115) 의 축 방향에 대해 휠 본체 (116) 의 돌기부 (116b) 를 엇갈리게 위치시키도록, 8 개의 휠 본체 (116) 를 갖는다.
각 흙털기 휠 (110) 이 갖는 복수의 휠 본체 (116) 는, 형상·치수를 공통으로 한다. 또한, 각 흙털기 휠 (110) 에 있어서, 복수의 휠 본체 (116) 는, 흙털기 휠 (110) 의 회전 방향에 대해 공통의 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휠 본체 (116) 는, 구동축 (115) 의 축 방향에서 볼 때, 6 개의 돌기부 (116b) 가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흙털기 휠 (110) 에 있어서의 복수의 휠 본체 (116) 의 위상은 상이해도 된다.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은,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서 구동하는 컨베이어 (7) 로부터 취출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전 구동한다.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의 구동축 (115) 은, 우측의 흙털기 프레임 (111) 으로부터 우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이 구동축 (115) 의 우방으로의 돌출 부분에, 동력 전달을 위한 스프로킷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구동축 (115) 에는, 컨베이어 (7) 로부터 취출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받기 위한 입력 스프로킷 (118a) 과, 제 2 흙털기 휠 (110B) 의 구동축 (115) 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 스프로킷 (118b)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흙털기 휠 (110B) 의 구동축 (115) 에는, 출력 스프로킷 (118b) 과 함께 체인이 감겨지는 입력 스프로킷 (119a) 과, 제 1 흙털기 휠 (110A) 의 구동축 (115) 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 스프로킷 (119b)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흙털기 휠 (110A) 의 구동축 (115) 에는, 출력 스프로킷 (119b) 과 함께 체인이 감겨지는 입력 스프로킷 (120) 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흙털기 장치 (27) 에 있어서, 낙하해 온 인경부 (2a) 는, 회전하는 3 개의 흙털기 휠 (110) 로부터 휠 본체 (116) 의 돌기부 (116b) 의 작용을 받음으로써, 흙털기되면서 후측의 컨베이어 (7) 를 향하여 반송된다. 여기서, 흙털기 장치 (27) 로 낙하된 인경부 (2a) 는, 좌우의 흙털기 프레임 (111) 및 전벽부 (112) 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상 부분에 의해, 흙털기 휠 (110) 상으로부터 외측으로 떨어지지 않고 받아내어짐과 함께, 흙털기 휠 (110) 에 의한 흙털기의 작용과 반송 작용을 확실하게 받는다. 인경부 (2a) 로부터 떨어져 나간 흙 등은, 바닥판 (113) 의 개구부로부터 낙하하여 포장으로 배출된다. 또한, 흙털기 휠 (110) 이 갖는 휠 본체 (116) 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타 휠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날개 형상의 돌편부를 갖는 것이나 다각형 롤러 등이어도 된다.
[컨베이어]
컨베이어 (7) 는,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의해 반송된 양파 (2) 를 수취하여 후상방 (후측 비스듬한 상방) 을 향해 반송하는 장치이다.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 컨베이어 (7) 는,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경엽부 (2b) 가 절단된 인경부 (2a) 를 수취하여, 인경부 (2a) 를 후상방으로 반송한다.
컨베이어 (7) 는, 흙털기 장치 (27)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고, 흙털기 장치 (27) 에 있어서의 인경부 (2a) 의 반송 경로와 동일한 폭으로 연속된 반송 경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7) 는, 흙털기 장치 (27) 의 후측으로부터 후측 비스듬한 상방으로의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다. 컨베이어 (7) 의 반송 경로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인발 반송 장치 (24) 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정도이다. 컨베이어 (7) 는, 반송 시단부를 흙털기 장치 (27) 의 후측에 위치시키고, 반송 종단부를 조작 박스 (12) 의 우방에 위치시키도록, 후측 오르막의 경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7) 는, 좌우 방향을 연신 방향으로 한 복수의 바 (121) 를 갖는 바 컨베이어이다. 컨베이어 (7) 는, 복수의 바 (121) 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의 돌기 (122) 를 갖는 돌기 바 (121A) 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 바 (121A) 는, 3 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 (122) 는, 측면에서 보아 가늘고 긴 대략 삼각 형상을 갖고, 컨베이어 (7) 의 반송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돌기 바 (121A) 에 있어서, 돌기 (122) 는 돌기 바 (121A) 의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8 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바 (121) 의 양단은, 컨베이어 (7) 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체인 케이스 (125) 내에 배치된 무단 형상의 체인 (126) 에 고정되어 있다. 즉, 바 (121) 는, 좌우의 체인 (126) 사이에 가설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체인 케이스 (125) 는, 컨베이어 (7) 의 좌우의 측벽부를 이루고 있다. 좌우의 체인 케이스 (125) 의 전측에는, 각각 흙털기 장치 (27) 의 좌우의 측벽부를 이루는 흙털기 프레임 (111) 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흙털기 장치 (27) 와 컨베이어 (7) 가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7) 는, 후상측에 위치하는 반송 후단부에 형성된 컨베이어 입력축 (127) 과, 전하측에 위치하는 반송 시단부에 형성된 컨베이어 종동축 (128) 을 갖는다. 컨베이어 입력축 (127) 은, 엔진 (10) 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아서 회전 구동한다. 컨베이어 입력축 (127) 의 우측의 단부에는, 엔진 (10) 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기 위한 입력 스프로킷 (129) 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15 참조).
컨베이어 입력축 (127) 의 회전 동력은, 복수의 바 (121) 를 지지하는 좌우의 체인 (126) 을 통하여, 컨베이어 종동축 (128) 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컨베이어 입력축 (127) 및 컨베이어 종동축 (128) 의 각 축에는, 좌우의 체인 (126) 이 감겨지는 스프로킷 (131, 132) 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컨베이어 (7) 에 있어서, 좌우의 체인 (126) 의 회전에 따라 바 (121) 가 이동함으로써, 인경부 (2a) 는, 돌기 바 (121A) 의 복수의 돌기 (122) 에 의해 걸리면서 후측 비스듬한 상방으로 반송된다.
컨베이어 (7) 의 컨베이어 종동축 (128) 은,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7) 는, 컨베이어 종동축 (128) 의 축 둘레의 돌기 (122) 의 선단의 회동 궤적 (B1) 을,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회전 궤적 (A3) 에 인접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컨베이어 (7) 에 의한 회동 궤적 (B1) 의 전측은,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회전 궤적 (A3) 의 후측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3 흙털기 휠 (110C) 상으로부터 컨베이어 (7) 의 반송 시단부로 연속적인 반송면이 형성되어, 인경부 (2a) 가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 이어받아진다.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이어받기 부분에는 빗형상 안내체 (135) 가 형성되어 있다. 빗형상 안내체 (135) 는, 빗형상의 외형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반송면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빗형상 안내체 (135) 는, 예를 들면 철판 등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의 부재이다. 단, 빗형상 안내체 (135) 는, 수지제의 부재여도 된다. 빗형상 안내체 (135) 는, 상면에서 볼 때, 제 3 흙털기 휠 (110C) 과, 복수의 돌기 (122) 를 컨베이어 종동축 (128) 의 전측에 위치시킨 상태의 컨베이어 (7)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형상을 갖는다.
빗형상 안내체 (135) 는, 전측에 대해서는,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돌기부 (116b) 에 간섭하지 않도록 빗살 모양의 형상을 갖고, 후측에 대해서는, 컨베이어 (7) 의 구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돌기 바 (121A) 의 돌기 (122) 에 간섭하지 않도록 빗살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빗형상 안내체 (135)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상의 기부 (136) 와, 기부 (136) 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측 돌편부 (137) 와, 기부 (136) 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후측 돌편부 (138) 를 갖는다. 기부 (136), 전측 돌편부 (137) 및 후측 돌편부 (138) 는, 공통의 평면을 따르는 판상 부분이다.
복수의 전측 돌편부 (137) 는, 평면에서 볼 때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복수의 돌기부 (116b) 의 이동 궤적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전측 돌편부 (137) 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137a) 에 의해,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복수의 돌기부 (116b) 의 이동 경로가 확보된다. 복수의 후측 돌편부 (138) 는, 평면에서 볼 때 컨베이어 종동축 (128) 의 전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돌기 (122) 의 이동 궤적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후측 돌편부 (138) 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138a) 에 의해, 컨베이어 종동축 (128) 의 전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돌기 (122) 의 이동 경로가 확보된다. 기부 (136) 는, 복수의 전측 돌편부 (137) 및 복수의 후측 돌편부 (138) 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돌편부 (137) 는, 9 개의 휠 본체 (116) 를 갖는 제 3 흙털기 휠 (110C) 에 대하여, 인접하는 돌기부 (116b) 의 이동 궤적 사이의 8 군데의 간극에 대응하여 8 개 형성되어 있다. 후측 돌편부 (138) 는, 이웃하는 돌기 (122) 의 이동 궤적 사이의 7 군데의 간극에 대응하여 7 개 형성되어 있다.
빗형상 안내체 (135)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중심축 (C3) 과, 컨베이어 종동축 (118) 의 중심축 (D1) 을 지나는 가상 평면 (E1) 에 대하여 상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빗형상 안내체 (135) 는, 가상 평면 (E1) 과 대략 평행한 면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빗형상 안내체 (135) 는, 좌우 양단부에, 기부 (136) 에 대해 직각상으로 굴곡된 고정면부 (139) 를 갖고, 이 고정면부 (139) 를 좌우의 흙털기 프레임 (111) 등에 대해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고정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야채 수확기 (1) 는, 제 3 흙털기 휠 (110C) 과 컨베이어 (7) 의 사이에 있어서, 이들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형성된 안내 부재로서, 빗형상 안내체 (135) 를 갖는다. 빗형상 안내체 (135) 에 의해,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이어받기부에 있어서 반송되는 인경부 (2a) 가 낙하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된다.
흙털기 장치 (27) 는,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116b) 를 갖는 롤러인 흙털기 휠 (110) 을,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복수 정렬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흙털기 장치 (27) 는, 컨베이어 (7) 와의 관계에 있어서,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의 배치를 연구하고 있다.
흙털기 장치 (27) 에 있어서, 3 개의 흙털기 휠 (110) 중, 전측의 2 개의 흙털기 휠 (110), 즉 제 1 흙털기 휠 (110A) 및 제 2 흙털기 휠 (110B) 은, 동일한 높이 또는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흙털기 휠 (110A) 의 중심축 (C1) 및 제 2 흙털기 휠 (110B) 의 중심축 (C2) 을 지나는 가상 평면 (E2) 은,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인 면이 된다.
전측의 2 개의 흙털기 휠 (110) 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하는 제 3 흙털기 휠 (110C) 은, 전측의 2 개의 흙털기 휠 (11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 3 흙털기 휠 (110C) 은, 하단을, 전측의 2 개의 흙털기 휠 (110) 의 중심축과 대략 동일한 높이 혹은 그 중심축보다 하방에 위치시키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제 2 흙털기 휠 (110B) 의 중심축 (C2) 과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중심축 (C3) 을 연결하는 직선 (F1) 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대략 30°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의 배치 구성에 있어서, 전측에 위치하는 제 1 흙털기 휠 (110A) 및 제 2 흙털기 휠 (110B) 은, 인경부 (2a) 를 전동시킴으로써 인경부 (2a) 에 부착되어 있는 흙이나 진흙을 떨어뜨리는 흙털기부로서 주로 기능한다. 또한, 후측에 위치하는 제 3 흙털기 휠 (110C) 은, 인경부 (2a) 를 흙털기부로부터 컨베이어 (7) 로 이송하는 이송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흙털기 장치 (27) 는, 3 개의 흙털기 휠 (110) 에 의한 기능부로서,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된 제 1 흙털기 휠 (110A) 및 제 2 흙털기 휠 (110B) 에 의한 흙털기부와, 제 3 흙털기 휠 (110C) 에 의한 이송부를 갖는다. 그리고, 이송부를 이루는 제 3 흙털기 휠 (110C) 은, 흙털기부를 이루는 제 1 흙털기 휠 (110A) 및 제 2 흙털기 휠 (110B)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 반송 장치]
도 11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야채 수확기 (1) 는, 흙털기 장치 (27) 의 상측에 형성된 보조 반송 장치 (140) 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반송 장치 (140) 는,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 보내지는 인경부 (2a) 에 컨베이어 (7) 로의 이송 작용을 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조 반송 장치 (140) 는, 그 장치 본체부로서 보조 반송 휠 (141) 을 갖는다.
보조 반송 휠 (141) 은, 제 3 흙털기 휠 (110C) 과 컨베이어 (7) 의 반송 시단부와의 사이의 주고 받는 부분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 반송 휠 (141) 은,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에 대하여 인경부 (2a) 를 긁어 모으는 레이크 휠로서 기능한다.
보조 반송 휠 (141) 은, 기체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회전체로, 흙털기 휠 (110) 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보조 반송 휠 (141) 은,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 (142) 과, 막대상의 돌기부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복수의 휠 본체 (143) 를 갖는다. 구동축 (142) 및 복수의 휠 본체 (143) 는,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 (142) 은, 중간부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축 부분을 포함하는 막대상의 부재이다. 휠 본체 (143) 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휠 본체 (143) 를 구성하는 탄성체로는, 탄성 변형 가능하면서, 인경부 (2a) 를 손상시키지 않는 소재인 것이 채용된다.
휠 본체 (143) 는, 회전 기부 (143a) 와, 회전 기부 (143a) 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143b) 를 갖는다. 회전 기부 (143a) 는, 구동축 (142) 을 관통시키는 대략 원통상의 부분이다. 회전 기부 (143a) 는, 구동축 (142) 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한 직사각형상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관통 구멍부를 갖는다. 돌기부 (143b) 는, 회전 기부 (143a) 의 직경 방향을 따르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동축 (142) 의 축 방향에서 볼 때 (측면에서 볼 때), 기부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 서서히 폭을 좁게 한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돌기부 (143b) 는, 회전 기부 (143a) 의 축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부 (143b) 는, 회전 기부 (143a) 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 개의 회전 기부 (143a) 가 약 6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휠 본체 (143) 는, 복수의 (6 개의) 돌기부 (143b) 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킨 소위 스타 휠 형상을 갖는다. 보조 반송 휠 (141) 에 있어서, 복수의 휠 본체 (143) 는, 좌우 방향에 대해 흙털기 휠 (110) 에 있어서의 휠 본체 (116) 와 동일한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의 휠 본체 (143) 는, 흙털기 휠 (110) 의 휠 본체 (116) 와 동등한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보조 반송 장치 (140) 는,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143b) 를 갖는 롤러 (본체 롤러) 인 보조 반송 휠 (141)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반송 휠 (141) 은, 복수의 돌기부 (143b) 에 의해 인경부 (2a) 가 후방으로 반송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조 반송 휠 (141) 은, 제 3 흙털기 휠 (110C) 로부터 컨베이어 (7) 에 이어받아지는 인경부 (2a) 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돌기부 (143b) 를 작용시켜, 인경부 (2a) 를 컨베이어 (7) 측으로 보낸다. 따라서, 회전 구동하는 보조 반송 휠 (141) 의 회전 방향은, 흙털기 휠 (110) 과는 반대 방향이며, 좌측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 (좌회전 방향) 이다 (도 11, 화살표 (Y1) 참조).
보조 반송 휠 (141) 은, 컨베이어 (7) 의 좌측의 체인 케이스 (125) 의 외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 돌출된 체인 케이스 (145) 와, 컨베이어 (7) 의 우측의 체인 케이스 (125) 의 외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 돌출된 회동 지지 아암 (146) 에 의해, 좌우의 양단에서 지지되어 있다.
체인 케이스 (145)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가늘고 긴 판상의 외형을 갖고, 후단부를 좌측의 체인 케이스 (125) 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체인 케이스 (145) 는, 전단부에 보조 반송 휠 (141) 의 구동축 (142) 의 좌측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회동 지지 아암 (146) 은, 직선상의 아암 본체부 (146s) 의 후단부를 우측의 체인 케이스 (125) 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회동 지지 아암 (146) 은, 아암 본체부 (146s) 의 선단측에 축 지지부 (146a) 를 갖고, 축 지지부 (146a) 에 의해 보조 반송 휠 (141) 의 구동축 (142) 의 우측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조 반송 휠 (141) 은, 체인 케이스 (145) 및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선단부 사이에,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체인 케이스 (145) 및 회동 지지 아암 (146) 은, 컨베이어 (7) 에 대해, 좌우 방향을 따르는 공통의 회동 축선 (G1) 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1 참조). 체인 케이스 (145) 및 회동 지지 아암 (146) 은, 보조 반송 휠 (141) 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회동 축선 (G1) 을 중심으로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체인 케이스 (145) 및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회동 축선 (G1) 을 중심으로 한 회동 동작에 의해, 이들 사이에 지지된 보조 반송 휠 (141) 이, 인경부 (2a) 의 반송면에 대하여 대략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체인 케이스 (145) 및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회동 동작에 의한 보조 반송 휠 (141) 의 위치 조정에 의해, 흙털기 장치 (27) 와 컨베이어 (7) 사이에 있어서의 인경부 (2a) 의 반송면에 대한 보조 반송 휠 (141) 의 높이가 조정된다.
이와 같이, 보조 반송 휠 (141) 은, 체인 케이스 (145) 및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회동 동작에 의해, 흙털기 장치 (27) 에 대하여 근접·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 반송 휠 (141) 의 높이 조정에 있어서, 보조 반송 휠 (141) 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흙털기 장치 (27) 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되고, 보조 반송 휠 (141) 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흙털기 장치 (27) 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된다. 보조 반송 휠 (141) 의 상하 이동의 방향은, 측면에서 볼 때, 빗형상 안내체 (135) 의 기부 (136) 등이 따르는 면의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
체인 케이스 (145) 및 회동 지지 아암 (146) 은, 각각 컨베이어 (7) 에 대하여, 보조 반송 휠 (141) 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 즉 흙털기 장치 (27) 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여져 (부세 (付勢) 되어) 있다.
도 1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 케이스 (145) 는, 컨베이어 (7) 와의 사이에 형성된 부세 스프링 (147) 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축선 (G1) 의 축 둘레에서, 전측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붙여져 있다. 부세 스프링 (147) 은, 체인 케이스 (145) 의 후측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 좌측의 체인 케이스 (125) 의 하측에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부세 스프링 (147) 은, 양단에 후크상의 걸림부를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측면에서 볼 때, 신축 방향을 컨베이어 (7) 의 경사 방향 (반송 방향) 을 따르게 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부세 스프링 (147) 은, 좌측의 체인 케이스 (125) 에 대해, 체인 케이스 (125) 의 좌측면에 장착된 지지판 (341), 지지판 (341) 의 하부에 고정된 L 자 형상의 부착 금구 (342), 및 부착 금구 (342) 의 하측의 면부를 관통하는 지지봉 (343) 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지봉 (343) 은, 직선 막대상의 부재이고, 지지판 (341) 의 하측으로부터 돌편상으로 돌출된 부착 금구 (342) 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부착 금구 (342) 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봉 (343) 은, 축 방향을 컨베이어 (7) 의 경사 방향 (반송 방향) 을 따르게 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봉 (343) 의 전측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구멍 (343a) 에, 부세 스프링 (147) 의 후측의 걸림부가 걸림 지지되어 있다.
부세 스프링 (147) 의 전측은, 체인 케이스 (145) 의 후면부 (145a) 에 고정된 걸림 부재 (344) 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걸림 부재 (344) 는, 체인 케이스 (145) 에 있어서 회동 축선 (G1) 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면부 (145a) 의 하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부 (344a) 에 부세 스프링 (147) 의 전측의 걸림부를 걸어 고정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 (7) 와 체인 케이스 (145) 의 사이에 형성된 부세 스프링 (147) 의 탄성력에 의해, 체인 케이스 (145) 는, 회동 축선 (G1) 보다 후측의 부분으로부터 후측 비스듬한 상방으로 잡아 당겨지고 있다. 이로써, 체인 케이스 (145) 는, 회동 축선 (G1) 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대해서, 보조 반송 휠 (141) 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하강 방향으로 밀어붙여지고 있다 (도 14A, 화살표 (L1) 참조).
체인 케이스 (145) 의 하강 방향의 회동에 대해서는, 체인 케이스 (145) 의 전부와 좌측의 체인 케이스 (125) (컨베이어 (7) 의 좌측면부) 와의 사이에 형성된 스토퍼 지지봉 (345) 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스토퍼 지지봉 (345) 은, 컨베이어 (7) 의 좌측면부에 고정된 L 자 형상의 부착 금구 (346) 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지지봉 (345) 은, 직선 막대상의 부재이고, 대략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컨베이어 (7) 의 좌측으로부터 돌편 형상으로 돌출된 부착 금구 (346) 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부착 금구 (346) 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지지봉 (345) 의 상단부는, 체인 케이스 (145) 의 하면부 (145b) 를 관통하여 체인 케이스 (145) 내에 삽입되어 있다. 스토퍼 지지봉 (345) 에 있어서, 체인 케이스 (145) 의 하면부 (145b) 의 하측의 부위에는, 너트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된 확경 형상 부분인 하(下)걸림부 (347) 가 형성되어 있다. 하걸림부 (347) 가 스토퍼로서 기능하여, 체인 케이스 (145) 의 하강 회동이 규제된다.
체인 케이스 (145) 내에 삽입된 스토퍼 지지봉 (345) 의 상단부에는, 하걸림부 (347) 와 동일한 확경 형상 부분인 상걸림부 (34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걸림부 (348) 는, 스토퍼 지지봉 (345) 의 빠짐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스토퍼 지지봉 (345) 에서의 하걸림부 (347) 의 위치의 조정에 의해,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체인 케이스 (145) 의 높이가 조정된다. 또한, 스토퍼 지지봉 (345) 에 있어서의 하걸림부 (347) 와 상걸림부 (348) 의 간격에 의해, 체인 케이스 (145) 의 회동 범위가 규정된다.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지지 아암 (146) 은, 체인 케이스 (145) 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7) 와의 사이에 형성된 부세 스프링 (148) 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축선 (G1) 의 축 둘레로, 전측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붙여지고 있다. 부세 스프링 (148) 은,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후측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 우측의 체인 케이스 (125) 의 하측에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부세 스프링 (148) 은, 부세 스프링 (147) 과 동일한 코일 스프링으로, 부세 스프링 (147) 의 지지 구성과 좌우 대칭으로 동일한 구성에 의해, 컨베이어 (7) 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즉, 부세 스프링 (148) 은, 우측의 체인 케이스 (125) 에 대해, 지지판 (341), 부착 금구 (342) 및 지지봉 (343) 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부세 스프링 (148) 의 전측은, 회동 지지 아암 (146) 에 있어서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후측으로 연장 돌출된 부세용 아암부 (146c) 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부세용 아암부 (146c) 는,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아암 본체부 (146s) 와 회동 축선 (G1) 둘레로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부분으로서, 아암 본체부 (146s) 의 기단부로부터 후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부세용 아암부 (146c) 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멍부 (146d) 에 부세 스프링 (148) 의 전측의 걸림부가 걸려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 (7) 와 회동 지지 아암 (146) 사이에 형성된 부세 스프링 (148) 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지지 아암 (146) 은, 회동 축선 (G1) 보다 후측의 부분으로부터 후측 비스듬한 상방으로 잡아 당겨지고 있다. 이로써, 회동 지지 아암 (146) 은, 회동 축선 (G1) 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대해서, 보조 반송 휠 (141) 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하강 방향으로 밀어붙여져 있다 (도 14B, 화살표 (L2) 참조).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하강 방향의 회동에 대해서는, 체인 케이스 (145) 와 동일한 구성이 사용되어,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아암 본체부 (146s) 의 중앙부와 우측의 체인 케이스 (125) (컨베이어 (7) 의 우측면부) 와의 사이에 형성된 스토퍼 지지봉 (350) 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스토퍼 지지봉 (350) 은, 컨베이어 (7) 의 좌측면부에 고정된 L 자 형상의 부착 금구 (351) 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지지봉 (350) 의 상단부는,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하면부 (146e) 를 관통하여 중공 형상으로 구성된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아암 본체부 (146s) 내에 삽입되어 있다. 스토퍼 지지봉 (350) 에 있어서,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하면부 (146e) 의 하측 부위에는, 하강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하걸림부 (352) 가 형성되어 있고, 회동 지지 아암 (146) 내에 삽입된 상단부에는, 빠짐 방지부로서 기능하는 상걸림부 (353) 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지지봉 (350) 에 있어서의 하걸림부 (352) 의 위치의 조정에 의해,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높이가 조정된다. 또한, 스토퍼 지지봉 (350) 에 있어서의 하걸림부 (352) 와 상걸림부 (353) 의 간격에 의해, 회동 지지 아암 (146) 의 회동 범위가 규정된다.
이상과 같이, 보조 반송 장치 (140) 에 있어서는, 좌우의 부세 스프링 (147, 148) 에 의해 각각 컨베이어 (7) 에 대하여 탄성 지지된 체인 케이스 (145) 및 회동 지지 아암 (146) 에 의해, 보조 반송 휠 (141) 은, 회동 축선 (G1) 둘레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4A, 도 14B, 화살표 (L3) 참조). 보조 반송 휠 (141) 은, 회동 축선 (G1) 둘레로 상승할 때, 좌우의 부세 스프링 (147, 148) 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회동하게 된다.
보조 반송 장치 (140) 는, 컨베이어 (7) 로부터 취출된 동력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보조 반송 장치 (140) 는, 컨베이어 (7) 로부터 동력의 전달을 받아 보조 반송 휠 (141) 을 회전 구동시킨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7) 의 동력은, 동력 취출축 (151) 에 의해 회전 동력으로서 취출되고, 체인 케이스 (145) 내에 형성된 체인 전동 기구 (152) 에 의해, 보조 반송 휠 (141) 의 구동축 (142) 에 전달된다. 동력 취출축 (151) 은 우측의 부분을 좌측의 체인 케이스 (125) 내에 위치시키고, 동력 취출축 (151) 의 우단부에 고정 설치된 입력 스프로킷 (153) 을, 체인 케이스 (125) 내의 체인 (126) 에 걸어맞춤하고 있다.
입력 스프로킷 (153) 은, 컨베이어 (7) 의 하부에 있어서, 인경부 (2a) 의 반송면측과 반대측, 즉 체인 (126) 의 하측에 있어서의 외주측으로부터 체인 (126) 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도 11 참조). 좌측의 체인 케이스 (125) 내에 있어서, 입력 스프로킷 (153) 의 전방의 근방에는, 체인 (126) 의 내주측으로부터 체인 (126) 에 걸어맞춤한 텐션 롤러 (154)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 반송 휠 (141) 의 동력은, 컨베이어 (7) 의 중도부로부터 컨베이어 (7) 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역회전으로 취출된다.
동력 취출축 (151) 은, 축심을 체인 케이스 (145) 의 회동 축선 (G1) 에 일치시키고 있다. 즉, 체인 케이스 (145) 는, 동력 취출축 (151) 을 회동축으로 하여, 컨베이어 (7) 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회동 지지 아암 (146) 은, 우측의 체인 케이스 (125) 에 대해, 회동 축선 (G1) 을 회동 축심으로 하는 축지지부 (146b)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체인 케이스 (145), 회동 지지 아암 (146) 및 보조 반송 휠 (141) 을 포함하는 보조 반송 장치 (140) 는, 컨베이어 (7) 의 동력을 취출하는 동력 취출축 (151)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체인 전동 기구 (152) 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 취출축 (151) 의 좌단부에 고정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 (156) 과, 보조 반송 휠 (141) 의 구동축 (142) 의 좌단부에 고정 설치된 종동 스프로킷 (157) 과, 이들 스프로킷에 감겨진 무단 형상의 체인 (158) 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컨베이어 (7) 의 좌측의 체인 (126) 의 회동에 수반되는 동력 취출축 (151) 의 회전에 의해, 동력 취출축 (151) 과 일체적으로 구동 스프로킷 (156) 이 회전하고, 체인 (158) 및 종동 스프로킷 (157) 을 통해, 구동축 (142) 이 회전하고, 보조 반송 휠 (141) 이 회전 구동한다.
보조 반송 휠 (141) 은, 보조 반송 휠 (141) 의 회전 궤적이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인경부 (2a) 의 이동 경로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 반송 휠 (141) 은, 제 3 흙털기 휠 (110C) 로부터 컨베이어 (7) 로 이어받아지는 인경부 (2a) 에 돌기부 (143b) 를 접촉 작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반송 휠 (141) 은, 측면에서 볼 때, 돌기부 (143b) 의 선단의 회전 궤적 (H1) 이,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돌기부 (116b) 의 선단의 회전 궤적 (A3) 에 접하는 위치 혹은 대략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제 3 흙털기 휠 (110C) 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전측의 대부분이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은, 측면에서 볼 때, 회전 궤적 (H1) 이 컨베이어 (7) 에 의한 회동 궤적 (B1) 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 반송 휠 (141) 은, 제 2 흙털기 휠 (110B) 과 마찬가지로, 휠 본체 (143) 의 돌기부 (143b) 를, 9 개의 휠 본체 (116) 를 갖는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돌기부 (116b) 에 대하여 엇갈리게 위치시키도록, 8 개의 휠 본체 (143) 를 갖는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에 있어서, 복수의 휠 본체 (143) 는 형상·치수를 공통으로 하고, 보조 반송 휠 (141) 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공통의 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에 있어서의 복수의 휠 본체 (143) 의 위상은 상이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보조 반송 장치 (140) 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흙털기 장치 (27) 의 제 3 흙털기 휠 (110C) 로부터 컨베이어 (7) 의 반송 시단부로 이어받아지는 인경부 (2a) 는, 보조 반송 휠 (141) 의 돌기부 (143b) 의 작용을 받음으로써, 후측으로 밀려나 컨베이어 (7) 로 유도된다. 인경부 (2a) 는 컨베이어 (7) 에 이어받아질 때에, 제 3 흙털기 휠 (110C) 및 보조 반송 휠 (141) 에 의해 사이에 끼인 양태로, 컨베이어 (7) 로 송출된다. 여기서, 빗형상 안내체 (135) 상의 인경부 (2a) 도 보조 반송 휠 (141) 에 의해 컨베이어 (7) 로 송출된다.
또한, 체인 케이스 (145) 및 회동 지지 아암 (146) 을 통해서 보조 반송 휠 (141) 을 컨베이어 (7) 에 대하여 좌우의 부세 스프링 (147, 148) 에 의해 탄성 지지한 구성에 의해, 보조 반송 휠 (141) 이 자동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즉, 비교적 큰 인경부 (2a) 가 컨베이어 (7) 로 송출되는 경우에는, 보조 반송 휠 (141) 이 피함으로써 부세력에 저항하여 들어 올려지고, 비교적 작은 인경부 (2a) 가 컨베이어 (7) 로 송출되는 경우에는, 부세력에 의해 보조 반송 휠 (141) 이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이 갖는 휠 본체 (143) 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타 휠 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날개 형상의 돌편부를 갖는 것이나 다각형 롤러 등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흙털기 장치 (27) 및 컨베이어 (7) 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야채 수확기 (1) 가 구비하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배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는, 인발 반송 장치 (24) 의 좌우 방향의 폭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의 좌우 방향의 폭은, 후측에서부터 전측에 걸쳐 점차로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의 좌우 방향의 최대 폭은, 좌측의 인발 반송 장치 (24) 의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전단부의 좌단과, 우측의 인발 반송 장치 (24) 의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전단부의 우단 사이의 폭 (P1) 이 된다 (도 4 참조).
이러한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대한 폭 (P1) 의 범위 내에,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가 배치되어 있다. 즉, 좌우 방향에 대해서,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좌외측의 가장자리단 (위치 (Q1) 참조) 은,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대한 폭 (P1) 을 규정하는 좌측 단부보다 좌우 내측 (우측) 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대하여,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우외측의 가장자리단 (위치 (Q2) 참조) 은,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대한 폭 (P1) 을 규정하는 우측 단부보다 좌우 내측 (좌측) 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대해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좌우 방향의 폭 (P2) 이,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대한 폭 (P1) 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는, 기체 폭 방향 (좌우 방향) 에 대해서,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의한 양파 (2) 의 수확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 양파 (2) 의 수확 범위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좌단의 분초 장치 (21) 의 분초 케이스 (51) 의 좌측면부와, 우단의 분초 장치 (21) 의 분초 케이스 (51) 의 우측면부 사이의 폭 (수확폭 (R1)) 이 된다. 즉, 좌우 방향에 대해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좌우 방향의 폭 (P2) 이, 양파 (2) 의 수확 범위에 대응한 폭인 수확폭 (R1) 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대한 폭 (P1) 은, 수확폭 (R1) 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고,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대한 폭 (P1) 의 범위 내에,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좌우 방향의 폭 (P2) 이 들어가 있다. 수확폭 (R1) 은, 굴기 장치 (23) 에 의한 굴기폭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배치 구성을 구비한 야채 수확기 (1) 는, 경엽 절단 장치 (26) 로부터 낙하하는 인경부 (2a) 를 흙털기 장치 (27) 로 안내하는 낙하 안내 장치 (160) 를 구비하고 있다. 낙하 안내 장치 (160) 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흙털기 장치 (27) 의 폭의 범위 밖의 위치에서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떼어내지고 낙하하는 인경부 (2a) 를, 흙털기 장치 (27) 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이다.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을 구성하는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 위치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흙털기 장치 (27) 의 폭의 범위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대해 외측의 위치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흙털기 장치 (27) 의 폭인 흙털기 장치 폭 (T0) 은, 좌측의 흙털기 프레임 (111) 의 좌우 외측이 되는 좌측면과, 우측의 흙털기 프레임 (111) 의 좌우 외측이 되는 우측면 사이의 폭이다. 흙털기 장치 폭 (T0) 은, 컨베이어 (7) 의 장치 폭과 같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대해,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 위치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의한 경엽부 (2b) 의 협지 위치이고, 좌우의 회전날 (100) 이 겹치는 부분의 위치가 된다.
좌우 방향에 대해, 좌측 (도 9 에 있어서 우측) 의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 위치 (U1) 는, 흙털기 장치 폭 (T0) 의 좌단 위치 (T1) 보다 좌우 외측 (좌측) 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에 대해, 우측 (도 9 에 있어서 좌측) 의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 위치 (U2) 는, 흙털기 장치 폭 (T0) 의 우단 위치 (T2) 보다 좌우 외측 (우측) 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의 절단 위치 (U1) 와 우측의 절단 위치 (U2) 사이의 폭이, 작물 낙하 위치 폭 (U0) 이 된다.
이와 같이 경엽부 (2b) 의 절단 위치 (U1, U2) 가 흙털기 장치 폭 (T0) 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절단 위치 (U1, U2) 로부터 그대로 하방을 향하여 낙하하는 인경부 (2a) 는, 흙털기 장치 (27) 에 받아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낙하 안내 장치 (160) 에 의해, 좌우 양측의 경엽 절단 장치 (26) 로부터 낙하하는 인경부 (2a) 가 흙털기 장치 (27) 로 안내된다.
따라서, 낙하 안내 장치 (160) 는, 좌우 양측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각각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야채 수확기 (1) 는, 낙하 안내 장치 (160) 로서, 좌측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을 구성하는 경엽 절단 장치 (26) 로부터 낙하하는 인경부 (2a) 를 흙털기 장치 (27) 로 안내하는 좌측의 낙하 안내 장치 (160L) 와, 우측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을 구성하는 경엽 절단 장치 (26) 로부터 낙하하는 인경부 (2a) 를 흙털기 장치 (27) 로 안내하는 우측의 낙하 안내 장치 (160R) 를 구비하고 있다.
낙하 안내 장치 (160) 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경부 (2a) 의 안내면을 이루는 장치 본체로서의 가이드 부재 (161) 를 갖는다. 가이드 부재 (161) 는, 좌우의 경엽 절단 장치 (26) 의 하측으로부터 낙하한 인경부 (2a) 를 받아 좌우 중간부에 위치하는 흙털기 장치 (27) 로 인도하도록, 좌우 외측에서부터 좌우 내측을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 (161) 는, 경사상의 안내면 (162a) 을 이루는 안내면부 (162) 와, 안내면부 (162) 의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된 후벽부 (163) 와, 안내면부 (162) 의 좌우 외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된 측벽부 (16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내면부 (162) 의 상측의 면인 안내면 (162a) 은, 정면에서 볼 때 상측에서부터 하측에 걸쳐서 좌우 외측에서 좌우 내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즉, 안내면부 (162) 는, 좌우 외측에서 좌우 내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비탈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부 (162) 는, 좌우 방향에 대해, 좌우 외측의 가장자리부, 즉 상측의 가장자리부를,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 위치 (U1, U2) 보다 좌우 외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면부 (162) 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양파 (2) 의 인경부 (2a) 의 직경만큼, 좌우 외측의 가장자리부를 절단위치 (U1, U2) 에 대하여 좌우 외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에 의해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반송 종단부 근방의 위치로부터 낙하하는 인경부 (2a) 가 안내면부 (162) 위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안내면부 (162) 는, 전후 방향에 대해,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경엽부 (2b) 의 절단에 의해 낙하하는 인경부 (2a) 를 받는 부분을 커버하는 길이를 갖는다. 안내면부 (162) 는, 전후 방향에 대해, 제 1 흙털기 휠 (110A) 및 제 2 흙털기 휠 (110B) 각각의 휠 본체 (116) 의 회전 기부 (116a) 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친 길이를 갖는다.
후벽부 (163) 는, 안내면부 (162) 의 뒷가장자리부로부터 연직상으로 세워진 세로면부이고, 안내면부 (162) 의 뒷가장자리부의 좌우 방향의 전체에 걸친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후벽부 (163) 에 의해, 안내면부 (162) 상에서부터 후측으로의 인경부 (2a) 의 낙하가 규제된다.
측벽부 (164) 는, 안내면부 (162) 의 좌우 외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직상으로 세워진 세로면부이고, 안내면부 (162) 의 좌우 외측의 가장자리부의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친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 (164) 의 후측은, 후벽부 (163) 의 좌우 외측에 연결되어 있다. 측벽부 (164) 에 의해, 안내면부 (162) 상에서부터 좌우 외측으로의 인경부 (2a) 의 낙하가 규제된다.
가이드 부재 (161) 는, 하단부를, 좌우의 흙털기 프레임 (111) 의 좌우 내측에 위치시키고, 흙털기 프레임 (111) 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 지지시키고 있다. 한편, 가이드 부재 (161) 의 상측은, 지지봉 (165) 을 통하여, 작업부 프레임 (30) 을 구성하는 소정의 프레임 부분에 대해 연결 지지되어 있다 (도 10 참조). 지지봉 (165) 의 일단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판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판부가, 가이드 부재 (161) 의 측벽부 (164) 에 대해 외측으로부터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지지봉 (165) 의 타단측에는 지지판부 (165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판부 (165a) 가, 작업부 프레임 (30) 을 구성하는 소정의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 등을 통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좌우의 낙하 안내 장치 (160) 를 구비한 구성에 의하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에 의해 낙하하는 인경부 (2a) 는, 그대로 낙하함으로써, 가이드 부재 (161) 의 안내면부 (162) 의 좌우 외측의 부분 위로 낙하한다 (화살표 (V1) 참조). 안내면부 (162) 상에 낙하한 인경부 (2a) 는, 안내면부 (162) 의 경사에 의해 자중에 의해서 안내면 (162a) 상을 미끄러 떨어져, 흙털기 장치 (27) 로 흘러들어간다 (도 9, 도 10, 화살표 (V2) 참조).
또한, 중앙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을 구성하는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 위치는, 좌우 방향에 대해, 흙털기 장치 폭 (T0) 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중앙의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에 의해 낙하하는 인경부 (2a) 는, 흙털기 장치 (27) 상에 직접 낙하한다 (도 9 및 화살표 (V3) 참조).
[수용부]
수용부 (8) 는, 컨베이어 (7)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8) 는 주행 기체 (3) 의 후측에 있어서, 조작부 (5) 의 우측이면서, 좌우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8) 는, 컨베이어 (7) 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인경부 (2a) 를 낙하시켜, 회수 용기로서의 수확 네트 (170) 에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 참조).
수용부 (8) 는, 컨베이어 (7) 의 종단으로부터 흘러 떨어지는 인경부 (2a) 를 받아내는 배출 호퍼 (171) 를 갖는다. 배출 호퍼 (171) 는, 좌우 방향에 대해 컨베이어 (7) 의 반송폭의 전체를 포함하는 개구폭으로 상측을 개방시킨 투입구부 (172) 를 이루는 호퍼 본체부 (173) 와, 호퍼 본체부 (173) 의 하측에 형성된 안내부 (174) 를 갖는다. 배출 호퍼 (171) 는, 안내부 (174) 의 하측에 있어서, 투입구부 (172) 보다 작은 개구부인 배출구부 (175) 를 갖는다.
수확 네트 (170) 는, 네트에 의해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 수확 봉투이다. 수확 네트 (170) 는, 개방측을 상측으로 하여, 배출 호퍼 (171) 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배출구부 (175) 에 장착되어 있다.
배출 호퍼 (171) 의 하방에는, 배출구부 (175) 에 장착된 상태의 수확 네트 (170) 를 하측에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 (176)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 (176) 는, 수평 형상의 지지면 (176a) 을 갖는다. 지지대 (176) 는, 주행 기체 (3) 로부터 지지 부재를 통해 후방을 향하여 수평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 (176) 는, 지지면 (176a) 을 이루는 수평 형상의 지지면부 (177) 와, 지지면부 (177) 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측벽부 (178) 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수용부 (8) 에 있어서, 컨베이어 (7) 에 의하여 후상방으로 반송되고 (도 5, 화살표 (W1) 참조), 컨베이어 (7) 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후측으로 낙하하는 인경부 (2a) 는 (도 5, 화살표 (W2) 참조), 투입구부 (172) 로부터 배출 호퍼 (171) 에 투입되고, 배출 호퍼 (171) 내를 통과하여 수확 네트 (170) 내에 수용되어 간다. 인경부 (2a) 로 가득 채워진 수확 네트 (170) 는 적절히 교환된다. 또한, 회수 용기로서, 수확 네트 (170) 대신에, 지지대 (176) 상에 컨테이너를 올려놓고, 배출 호퍼 (171) 로부터 배출되는 인경부 (2a) 를 컨테이너 내에 수용하고 있어도 된다.
[동력 전달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구성에 대해, 도 15 및 도 16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6 은 도 15 의 일부분 확대도이고,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에 대한 동력 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0) 의 출력축 (10a) 의 회전 구동력은, 제 1 체인 전동 기구 (201) 에 의해, 엔진 (10) 의 근방에 탑재된 유압 펌프 (200) 의 입력축 (200a) 에 입력된다.
또한, 엔진 (10) 의 출력축 (10a) 의 회전 구동력은, 제 2 체인 전동 기구 (202) 에 의해,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형성된 카운터축 (203) 에 입력된다. 엔진 (10) 의 동력은, 카운터축 (203) 을 통하여, 크롤러 주행 장치 (4) 를 구동시키는 주행 구동계와, 각 작업부를 구동시키는 작업 구동계로 양분된다.
주행 구동계에 관하여, 카운터축 (203) 의 회전 동력은, 제 1 벨트 전동 기구 (205) 에 의해, 트랜스미션 (11) 의 입력축 (11a) 에 전달된다. 제 1 벨트 전동 기구 (205) 에는, 주행·작업 클러치 레버 (13) 에 의해 조작되는 주행 클러치 (206) 가 형성되어 있다. 트랜스미션 (11) 의 입력축 (11a) 에 입력된 회전 동력은, 트랜스미션 (11) 이 갖는 전동 기구에 의해 트랜스미션 (11) 의 좌우의 차축 (11b) 에 전달된다. 차축 (11b) 의 양단부에는,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구동륜 (4a) 이 장착되어 있다.
작업 구동계에 관하여, 카운터축 (203) 의 회전 동력은, 제 2 벨트 전동 기구 (207) 에 의해,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형성된 작업부 입력축 (208) 에 입력된다. 제 2 벨트 전동 기구 (207) 에는, 주행·작업 클러치 레버 (13) 에 의해 조작되는 작업 클러치 (209) 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부 입력축 (208) 의 좌단부와 컨베이어 입력축 (127) 사이에는, 입력 스프로킷 (129) 을 포함하는 제 3 체인 전동 기구 (210) 가 형성되어 있고, 제 3 체인 전동 기구 (210) 에 의해, 작업부 입력축 (208) 의 회전 동력이 컨베이어 입력축 (127) 으로 전달된다. 컨베이어 입력축 (127) 의 회전 구동력은, 좌우의 체인 (126) 을 포함하는 체인 전동 기구에 의해 컨베이어 종동축 (128) 에 전달되어, 컨베이어 (7) 가 구동한다.
컨베이어 종동축 (128) 의 회전 동력은, 입력 스프로킷 (118a) 을 포함하는 체인 전동 기구 (211) 에 의해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흙털기 구동축 (115) 에 전달된다.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구동축 (115) 의 회전 동력은, 출력 스프로킷 (118b) 을 포함하는 체인 전동 기구에 의해 제 2 흙털기 휠 (110B) 로 전달되고, 제 2 흙털기 휠 (110B) 의 회전 동력은, 출력 스프로킷 (119b) 을 포함하는 체인 전동 기구에 의해 제 1 흙털기 휠 (110A) 로 전달된다. 또한, 컨베이어 (7) 의 좌측의 체인 (126) 의 회동 동력은, 동력 취출축 (151) 에 의해 취출되어, 체인 전동 기구 (152) 에 의해 보조 반송 휠 (141) 에 전달된다.
한편, 작업부 입력축 (208) 의 회전 동력은, 작업부 입력축 (208) 의 우단부에 고정 설치된 베벨 기어 (215) 및 이것에 맞물리는 베벨 기어 (216) 를 통하여, 주행 기체 (3) 의 우측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작업부 전달축 (217) 에 전달된다. 작업부 전달축 (217) 의 회전 동력은, 작업부 전달축 (217) 의 전단부에 고정 설치된 베벨 기어 (218) 및 이것에 맞물리는 베벨 기어 (219) 를 통하여, 기체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작업부 입력축 (220) 에 전달된다.
작업부 입력축 (220) 의 회전 동력은,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부 입력축 (220) 에 형성된 웜 (223), 및 이것에 맞물리는 웜 휠 (224) 로 이루어지는 웜 기어 (222) 를 통해, 각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에 있어서의 좌우의 반송 입력축 (89) 중, 우측의 벨트 협지체 (24A) 의 반송 입력축 (89A) 에 전달된다. 반송 입력축 (89A) 의 회전 동력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축 (225) 을 통해, 좌측의 벨트 협지체 (24A) 의 반송 입력축 (89B) 에 전달된다. 연결축 (225) 의 양단부에는, 각각 반송 입력축 (89A, 89B) 에 고정 설치된 베벨 기어 (226) 에 맞물리는 베벨 기어 (227) 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벨트 협지체 (24A) 각각의 반송 입력축 (89) 의 회전 동력에 의해, 인발 반송 장치 (24), 어깨 맞추기 장치 (25) 및 경엽 절단 장치 (26) 가 구동된다. 또한, 연결축 (225) 및 베벨 기어 (226, 227) 는, 좌우의 반송 입력축 케이스 (90) 의 하단부 사이에 가설된 연결축 케이스 (228) 내에 수납되어 있다 (도 7 참조).
또한, 작업부 입력축 (220) 의 회전 동력은, 작업부 입력축 (220) 의 우단부에 고정 설치된 스프로킷 (229) 을 포함하는 제 4 체인 전동 기구 (230) 에 의해, 굴취 구동축 (78) 에 전달된다. 굴취 구동축 (78) 의 회전 동력에 의해, 굴기 장치 (23) 가 구동된다. 또한, 굴취 구동축 (78) 의 회전 동력은, 굴취 구동축 (78) 의 우단부에 고정 설치된 스프로킷 (231) 을 포함하는 제 5 체인 전동 기구 (232) 에 의해, 전처리 구동축 (55) 에 전달된다. 전처리 구동축 (55) 의 회전 동력에 의해, 6 조용의 분초 장치 (21) 및 갈퀴 장치 (22) 가 구동된다.
[경엽 배출 구성]
야채 수확기 (1) 는,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인경부 (2a) 로부터 떼어낸 경엽부 (2b) 를 소정의 장소로 배출하기 위한 경엽 배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야채 수확기 (1) 는, 좌우 양측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에서 발생하는 경엽부 (2b) 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과, 중앙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에서 발생하는 경엽부 (2b) 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의 2 종류의 경엽 배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야채 수확기 (1)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발 반송 장치 (24) 로서,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인발 반송 장치 (24X) 와, 좌우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앙의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4Y) 를 구비한다. 그리고, 야채 수확기 (1) 는, 각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에 있어서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절단된 경엽부 (2b) 를 좌우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엽 장치로서, 외측 인발 반송 장치 (24X) 에 의해 반송되는 양파 (2) 로부터 절단된 경엽부 (2b) 를 배출하는 제 1 배엽 장치인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와,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4Y) 에 의해 반송되는 양파 (2) 로부터 절단된 경엽부 (2b) 를 좌우 일측인 우측으로 배출하는 제 2 배엽 장치인 배엽 반송 장치 (250) 를 구비한다.
도 7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는, 외측 인발 반송 장치 (24X) 의 반송 종단부, 즉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는, 상하 한 쌍의 방출 가이드체 (241) 와, 방출 휠 (242) 을 갖는다.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는,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를 구성하는 좌우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중, 주로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후단부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외측 인발 반송 장치 (24X) 에 대하여 형성된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와, 우측의 외측 인발 반송 장치 (24X) 에 대하여 형성된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출 가이드체 (241) 는, 소정의 만곡 형상을 갖는 막대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방출 가이드체 (241) 는, 좌우 외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구동 풀리 (87) 의 외형을 따르도록 원호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방출 가이드체 (241) 는, 좌우 외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구동 풀리 (87) 의 하측에 있어서, 구동 풀리 (87) 를 축지지하는 반송 입력축 (89) 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 대부분을 따르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출 가이드체 (241) 의 좌우 내측의 단부는, 좌우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사이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우 내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구동 풀리 (87) 의 전하방의 위치에 있어서, 좌우 내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를 구성하는 소정의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지지 플레이트 (243) 등을 개재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도 7 참조). 방출 가이드체 (241) 는, 좌우 내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에 대한 고정 부분으로부터, 좌우 외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반송 벨트 (86) 의 회동 방향을 따르도록 좌우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고, 구동 풀리 (87) 의 외형을 따른 원호상의 부분을 연장 돌출시켜, 단부를 좌우 외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즉, 방출 가이드체 (241) 는, 반송 입력축 (89) 의 축 방향에서 볼 때, 지지 플레이트 (243) 에 의한 기단부의 고정 부분으로부터, 좌우의 구동 풀리 (87, 87) 사이를 통과하여, 좌우 외측의 구동 풀리 (87) 의 원주 형상을 따르도록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후측으로 돌아 들어가고,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후단부의 좌우 외측에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있다.
방출 가이드체 (241) 는, 반송 입력축 (89) 의 축 방향에서 볼 때, 좌우 외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후단부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반송 벨트 (86) 보다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하의 방출 가이드체 (241) 는, 반송 입력축 (89) 의 축 방향에서 볼 때 겹치도록 서로 동일한 만곡 형상을 갖고, 반송 입력축 (89) 의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고정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방출 휠 (242) 은, 좌우 외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하측에 있어서, 반송 입력축 (89) 의 축 방향에 대해, 상하의 방출 가이드체 (24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방출 휠 (242) 은, 좌우 외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반송 입력축 (89) 과 동축심 상에 위치하고, 좌우 외측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구동 풀리 (87) 와 연동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출 휠 (242) 은, 경엽부 (2b) 에 작용시키는 부분으로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242a) 를 갖고, 소위 스타 휠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돌기부 (242a) 는, 방출 휠 (242) 의 회전에 의한 돌기부 (242a) 의 선단부의 궤적이 방출 가이드체 (241) 의 원호상의 만곡부에 대략 일치하도록, 상세하게는 돌기부 (242a) 의 선단부가 약간 방출 가이드체 (241) 로부터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에 따르면,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절단되어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협지된 상태의 경엽부 (2b) 가, 방출 가이드체 (241) 의 기단부측으로부터 방출 가이드체 (241) 의 내주측으로 유도된다. 방출 가이드체 (241) 의 내주측으로 유도된 경엽부 (2b) 는, 방출 휠 (242) 의 작용에 의해, 방출 가이드체 (241) 의 만곡 형상을 따라 이동하여, 방출 가이드체 (241) 의 좌우 외측의 단부와 방출 휠 (242) 의 사이로부터 좌우 외측을 향해 방출된다 (도 4, 도 9, 화살표 (J1) 참조).
배엽 반송 장치 (250) 는,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4Y)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다. 배엽 반송 장치 (250) 는, 벨트 반송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 후방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무단 형상의 배엽 벨트 (251) 를 갖는다. 배엽 벨트 (251) 는, 배엽 반송 장치 (250) 의 반송 시단부에 형성된 구동 풀리 (252) 와 배엽 반송 장치 (250) 의 반송 종단부에 형성된 종동 풀리 (253) 에 감겨 있다 (도 9 참조). 이와 같이, 배엽 반송 장치 (250) 는, 구동 풀리 (252) 및 종동 풀리 (253) 에 배엽 벨트 (251) 를 감게 한 벨트 협지체 (250A) 를 좌우 한 쌍 구비하고, 좌우의 벨트 협지체 (250A) 사이에 경엽부 (2b) 를 협지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배엽 벨트 (251) 에 대해서는, 복수의 텐션 풀리 등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풀리 (252) 는, 반송 입력축 (89) 에 대해 형성되어 있고, 반송 입력축 (89) 의 회전에 따라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구동 풀리 (87) 와 함께 회전 구동한다 (도 15 참조). 구동 풀리 (252) 는, 구동 풀리 (87)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배엽 반송 장치 (250) 는, 그 반송 시단부를,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4Y) 의 반송 종단부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배엽 반송 장치 (250) 는, 좌우의 벨트 협지체 (250A) 의 전측의 단부를, 각각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4Y) 의 좌우의 하류측 벨트 협지체 (82A) 의 후단부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배엽 반송 장치 (250) 는, 경엽부 (2b) 의 반송 방향을,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4Y) 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후방 우측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엽 반송 장치 (250) 는, 측면에서 볼 때 경엽부 (2b) 의 반송 방향이 되는 연신 방향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인발 반송 장치 (24) 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정도로 하고 있다. 또한, 배엽 반송 장치 (250) 는. 평면에서 볼 때, 경엽부 (2b) 의 반송 방향을,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4Y) 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우측 비스듬한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따르면,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절단되어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협지된 상태의 경엽부 (2b) 가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이어 받아지고, 좌우 한 쌍의 배엽 벨트 (251)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후방 우측 비스듬한 상방으로 반송된다.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해 반송되는 경엽부 (2b) 는, 배엽 반송 장치 (250) 의 종단부에 있어서 방출된다 (도 4, 도 9 및 화살표 (J2) 참조).
이상과 같이 좌우의 외측 인발 반송 장치 (24X) 에 대하여 형성된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에 의해 방출되는 경엽부 (2b), 및 중앙의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4Y) 에 대하여 형성된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해 방출되는 경엽부 (2b) 는, 각각 야채 수확기 (1) 가 구비하는 배엽 슈터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에 낙하하도록 안내된다. 야채 수확기 (1) 는, 좌우의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및 중앙의 배엽 반송 장치 (250) 의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경엽부 (2b) 를,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면 (4e) 을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 좌우의 측방 배엽 슈터 (261 (261L, 261R)) 와, 후방 배엽 슈터 (263) 를 구비한다.
좌측의 측방 슈터 (261L) 는, 좌측의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로부터 방출된 경엽부 (2b) 를,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에 낙하하도록 안내한다. 우측의 측방 슈터 (261R) 는, 우측의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로부터 방출된 경엽부 (2b) 를,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낙하하도록 안내한다. 좌우의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대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에 의해 좌우 외측의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후단부로부터 좌우 외측을 향하여 방출되는 경엽부 (2b) 를, 크롤러 주행 장치 (4) 보다 좌우 외측의 위치에서 받아,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에 경엽부 (2b) 가 올라가도록, 경엽부 (2b) 를 좌우 내측을 향해서 낙하시킨다.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평면에서 볼 때 좌우 내측을 개방시킨 대략 「コ」자 형상 내지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홈통 형상 부분이다.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연직상의 측면부 (265) 와, 측면부 (265) 의 하측에 연속된 하안내면부 (266) 와, 측면부 (265) 의 상측에 연속된 상안내면부 (267) 와,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전면부 (268) 및 후면부 (269)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안내면부 (266) 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측에서부터 하측에 걸쳐 좌우 외측으로부터 좌우 내측을 향하는 경사면부로 되어 있다. 즉, 하안내면부 (266) 는, 좌우 외측으로부터 좌우 내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안내면부 (267) 는, 하안내면부 (266) 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면부이다.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에 의해 좌우 외측을 향해서 방출되는 경엽부 (2b) 를 받는 범위를 주로 측면부 (265) 에 의해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전후 방향에 대해,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전반부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하가장자리부를, 측방 배엽 슈터 (261) 의 하방에 위치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부분보다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상가장자리부를,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의 근방의 높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전면부 (268) 는, 측면부 (265) 및 하안내면부 (266) 의 앞가장자리부의 대략 전체에 걸친 범위로부터 좌우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면부 (268) 에 의해, 경엽부 (2b) 의 전방으로의 비산이 규제된다. 후면부 (269) 는, 하안내면부 (266) 의 뒷가장자리부로부터 좌우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후면부 (269) 에 의해, 경엽부 (2b) 의 후방으로의 비산이 규제된다.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작업부 프레임 (30) 을 구성하는 하프레임부 (31c) 의 좌우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하프레임부 (31c) 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측방 배엽 슈터 (261) 는, 측면부 (265) 및 하안내면부 (266) 의 부분을, 각각 지지 부재 (270a, 270b) 등을 개재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하프레임부 (31c) 에 고정시키고 있다 (도 17 참조).
또한, 좌우의 측방 배엽 슈터 (261) 각각의 후부의 좌우 내측이면서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의 후방의 위치에는,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로부터 방출되는 경엽부 (2b) 에 대한 가이드판 (271) 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가이드판 (271) 은, 대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판 (271) 은, 전방 내리막의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면부 (272) 와, 경사면부 (272) 의 상측에 연속된 상세로면부 (273) 와, 경사면부 (272) 의 하측에 연속된 하세로면부 (274) 를 갖는 굴곡판 형상의 부재이다.
경사면부 (272) 는, 측면에서 볼 때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와 평행 형상이 되도록 경사져 있고, 연결축 케이스 (228) 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반송 입력축 (89) 의 축 방향에서 볼 때,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후단부의 후측으로부터 좌우 외측에 걸친 범위에서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의 후하측을 커버하고 있다. 상세로면부 (273) 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연직판 형상의 부분으로,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반송 종단부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 돌출되어 있다. 하세로면부 (274) 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연직판 형상의 부분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측방 배엽 슈터 (261) 의 후면부 (269) 와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고, 좌우 방향에 대해, 후면부 (269) 의 좌우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측방 배엽 슈터 (261) 및 가이드판 (271) 을 구비한 구성에 의하면, 측방 배엽 슈터 (261) 및 가이드판 (271)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부분이,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로부터 방출된 경엽부 (2b) 의 배출 경로가 된다. 즉,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로부터 방출된 경엽부 (2b) 는, 측방 배엽 슈터 (261) 및 가이드판 (271)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부분에 투입되어, 측방 배엽 슈터 (261) 의 가이드 작용을 받으면서 미끄러져 떨어져,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면 (4e) 상으로 낙하한다. 또한,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면 (4e) 은, 크롤러 트랙 (4d) 중, 구동륜 (4a) 과 전측의 종동륜 (4b) 사이의 전방 내리막의 경사상 부분의 상측의 면이다.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면 (4e) 상으로 낙하한 경엽부 (2b) 는, 포장을 주행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있어서, 상면 (4e) 의 전방 내리막의 경사에 의해, 또는 크롤러 트랙 (4d) 의 회동에 의해 전측으로 보내지고,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전측에 낙하하여, 야채 수확기 (1) 의 전진에 따라서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의해 밟히게 된다.
후방 배엽 슈터 (263) 는,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해 중앙의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한 우상방을 향해 방출되는 경엽부 (2b) 를,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보다 좌우 내측 (좌측) 의 위치에서 받고,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에 경엽부 (2b) 가 올라가도록, 경엽부 (2b) 를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여 낙하시킨다.
후방 배엽 슈터 (263) 는, 우측에 걸쳐서 내리막 경사상으로 형성된 안내면부 (275) 와, 안내면부 (275) 의 하측에 연속된 하세로면부 (27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7 참조).
안내면부 (275) 는, 정면에서 볼 때 상측에서부터 하측에 걸쳐서 좌우 내측으로부터 좌우 외측을 향하는 경사면부로 되어 있다. 즉, 안내면부 (275) 는, 좌우 내측으로부터 좌우 외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부 (275) 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구비하고, 좌우 방향의 내측의 부분을, 컨베이어 (7) 의 우측의 부분의 상방에 위치시켜, 배엽 반송 장치 (250) 로부터 방출되는 경엽부 (2b) 를 받는 범위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엽 반송 장치 (250) 의 경엽부 (2b) 의 방출 위치는, 좌우 방향에 대해, 컨베이어 (7) 의 우단과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안내면부 (275) 는, 배엽 반송 장치 (250) 로부터 방출되는 경엽부 (2b) 를 컨베이어 (7) 의 우측의 상방의 위치에서 받아서, 우하방으로 안내하여 낙하시킨다.
안내면부 (275) 는, 그 바깥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된 비교적 높이가 낮은 측벽부 (277) 를 갖는다. 측벽부 (277) 는, 안내면부 (275) 의 하가장자리부 이외의 가장자리부에, 안내면부 (275) 의 상면측 (받는 면측) 에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부 (275) 는, 측벽부 (277) 를 가짐으로써, 트레이 형상의 가이드판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 (277) 에 의해, 안내면부 (275) 가 받은 경엽부 (2b) 가 안내면부 (275) 의 주위로 비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하세로면부 (276)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연직상의 대략 직사각형판 형상 부분으로, 안내면부 (275) 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다. 하세로면부 (276) 는, 전후 방향에 대해, 안내면부 (275) 의 하단 가장자리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다.
후방 배엽 슈터 (263) 는, 안내면부 (275) 의 하부의 앞가장자리부를, 우측의 가이드판 (271) 의 좌우 내측 (좌측) 의 가장자리부에 연속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방 배엽 슈터 (263) 는, 안내면부 (275) 의 전부를, 배엽 반송 장치 (250) 의 반송 후단부의 후하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후방 배엽 슈터 (263) 는, 안내면부 (275) 의 전부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절결부 (275s) 에 장착된 지지 스테이 (278) 를 개재하여, 배엽 반송 장치 (250) 의 후단부의 하측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후방 배엽 슈터 (263) 는, 하세로면부 (276) 의 하단부를, 기체 프레임 (9) 을 구성하는 소정의 프레임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 지지시키고 있다.
또, 후방 배엽 슈터 (263) 의 우방의 위치에는, 후방 배엽 슈터 (263) 에 의해 안내되는 경엽부 (2b) 에 대한 가이드판 (281) 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 (281) 은,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연직상의 대략 직사각형판 형상 부분인 본체면부 (282) 와, 본체면부 (282) 의 상측에 연속된 상경사면부 (283)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7 참조).
본체면부 (282) 는, 후방 배엽 슈터 (263) 의 안내면부 (275) 의 하단부 및 하세로면부 (276) 에 대향하도록, 후방 배엽 슈터 (263) 의 우방에 형성되어 있다. 상경사면부 (283) 는, 후방 배엽 슈터 (263) 의 경사에 대해 대략 좌우 대칭이 되는 경사 각도로 경사진 면부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 (281) 은, 컨베이어 (7) 의 우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된 형상으로 형성된 사각기둥상의 축 케이스 (285) 의 좌우 내측에, 본체면부 (282) 를 고정시킴으로써, 고정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축 케이스 (285) 는, 컨베이어 (7) 의 후단부의 우방에 형성된 기어 케이스 (286) 의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작업부 전달축 (217) (도 15 참조) 을 내장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후방 배엽 슈터 (263) 및 가이드판 (281) 을 구비한 구성에 의하면, 안내면부 (275) 상의 공간 부분, 및 후방 배엽 슈터 (263) 와 가이드판 (281) 에 의해 사이에 끼인 공간 부분이, 배엽 반송 장치 (250) 로부터 방출된 경엽부 (2b) 의 배출 경로가 된다. 즉, 배엽 반송 장치 (250) 로부터 방출된 경엽부 (2b) 는, 안내면부 (275) 상에 받아지고, 안내면부 (275) 의 가이드 작용을 받으면서 미끄러져 떨어져, 후방 배엽 슈터 (263) 와 가이드판 (281) 사이의 공간 부분을 통하여,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면 상으로 낙하한다.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면 (4e) 상에 낙하한 경엽부 (2b) 는, 포장을 주행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있어서 크롤러 트랙 (4d) 의 회동에 의해 전측으로 보내지고,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전측으로 낙하하여, 야채 수확기 (1) 의 전진에 따라서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의해 밟히게 된다.
[보조 조작부]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는, 주행 기체 (3) 의 후부에 형성된 조작부 (5) 에 추가하여, 주행 기체 (3) 의 좌측에, 야채 수확기 (1) 를 조작하는 보조 조작부 (300)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행 기체 (3) 에 대한 보조 조작부 (300) 의 배치에 관해, 주행 기체 (3) 에 대한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한 경엽부 (2b) 의 배출측인 우측을 좌우 일측으로 했을 경우, 주행 기체 (3) 에 대한 보조 조작부 (300) 의 배치측인 좌측은 좌우 타측이 된다. 보조 조작부 (300) 는, 주로 야채 수확기 (1) 에 의한 양파 (2) 의 수확 작업시에 있어서 인발 반송 장치 (24) 등의 조작에 사용되는 조작부가 된다.
보조 조작부 (300) 는, 좌우 방향에 대해,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한 경엽부 (2b) 의 배출측과 반대측인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중앙의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4Y) 로부터 경엽부 (2b) 를 이어받는 배엽 반송 장치 (250) 를, 좌우 중 우측으로 경엽부 (2b) 를 반송하여 방출하도록 형성한 구성에 있어서, 보조 조작부 (300) 는, 주행 기체 (3) 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대해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한 경엽부 (2b) 의 방출측과 반대측인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 조작부 (300) 는, 좌우 방향에 대해,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한 경엽부 (2b) 의 방출측과 반대측인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 조작부 (300) 는, 레버나 스위치 등의 각종 조작구를 배치한 직방체 형상의 조작 박스 (301) 를 갖는다. 조작 박스 (301) 에는, 작업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레버 (302),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레버 (303) 및 엔진 (10) 을 정지시키는 엔진 정지 스위치 (304)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박스 (301) 는, 전후 방향에 대해, 주행 기체 (3) 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배엽 반송 장치 (250) 의 좌방에 위치하고 있다. 조작 박스 (301) 는, 상하 방향에 대해, 배엽 반송 장치 (250) 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 박스 (301) 는, 좌우 방향에 대해, 조작부 (5) 의 조작 박스 (12) 와 마찬가지로 주행 기체 (3) 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고, 조작 박스 (12) 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작 박스 (301) 는, 좌우 방향에 대해,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크롤러 트랙 (4d) 의 폭의 범위 내에,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대해, 조작 박스 (301) 의 대부분이 크롤러 트랙 (4d) 의 폭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보조 조작부 (300) 는, 전후 방향에 대해 조작 박스 (301) 의 후측에, 조작 박스 (301) 를 조작하는 작업자 (310) 가 일어선 상태로 탑승하는 탑승용 스텝 (311) 을 갖는다 (도 3 참조). 탑승용 스텝 (311) 상에 서는 작업자 (310) 에 의해, 조작 박스 (301) 가 조작된다. 탑승용 스텝 (311) 은, 기체 프레임 (9) 에 대하여 지지 고정된 상태로, 기체 프레임 (9) 으로부터 좌방을 향해서 수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탑승용 스텝 (311) 의 대부분은 메시 형상의 부분으로 되어 있다.
탑승용 스텝 (311) 은, 평균적인 신장의 작업자 (310) 가 탑승용 스텝 (311) 상에 선 상태에서, 작업자 (310) 의 복부 근처의 높이에 조작 박스 (301) 가 위치하는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탑승용 스텝 (311) 은,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단의 높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탑승용 스텝 (311) 은, 평면에서 볼 때, 우측의 대략 절반을,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탑승용 스텝 (311) 은, 전후 방향에 대해,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후부의 상방의 위치이면서, 컨베이어 (7) 의 하부의 좌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탑승용 스텝 (311) 의 승강측이 되는 좌측의 하방에는, 탑승용 스텝 (311) 에 대한 승강용의 보조 스텝 (312) 이 형성되어 있다.
탑승용 스텝 (311) 의 전후에는, 막대상 부재에 의해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된 전부 프레임 (313) 및 후부 프레임 (314) 이 세워 형성되어 있다. 전부 프레임 (313) 및 후부 프레임 (314) 은, 각각 막대상 부재에 의해 형성된 부분으로서 좌우의 지주부 및 상변부를 갖는다. 전부 프레임 (313) 및 후부 프레임 (314) 은, 탑승용 스텝 (311) 에 대한 승강시에는 난간으로서 기능하고, 작업 중에는 탑승용 스텝 (311) 상의 작업자 (310) 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 된다.
전부 프레임 (313) 의 상부는, 전방 경사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전부 프레임 (313) 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수평 형상으로 전지지대 (315) 가 형성되어 있다. 전지지대 (315) 상에, 조작 박스 (301) 가 탑재되어 있다. 전지지대 (315) 는, 전부 프레임 (313) 의 상부로부터 지지 부재 등을 개재하여 전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지지 프레임부 (316)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전부 프레임 (313) 의 상변부의 전지지대 (315) 보다 좌측의 부분에는, 액셀 레버 (317) 가 형성되어 있다.
후부 프레임 (314) 의 상하의 중앙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수평 형상으로 후지지대 (318) 가 형성되어 있다. 후지지대 (318) 상에, 조작부 (5) 의 조작 박스 (12) 가 탑재되어 있다. 전부 프레임 (313) 및 후부 프레임 (314) 의 각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의 지주부 사이, 및 전후의 프레임의 우측의 지주부 사이에는, 직선상 또는 판상의 지지 부재가 가설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야채 수확기 (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야채 수확기 (1) 는, 연속조의 포장에 있어서, 조식의 라인을 따라 기체를 전진시키면서, 6 조분의 양파 (2) 를 수확해 간다. 야채 수확기 (1) 에 의한 양파 (2) 의 수확 작업시에는, 보조 조작부 (300) 의 탑승용 스텝 (311) 상에 탑승한 작업자 (310) 에 의한 조작 박스 (301) 의 조작에 의해 기체가 조작된다. 기체 후부에 있는 조작부 (5) 는, 주로 포장 밖에 있어서의 야채 수확기 (1) 의 이동 주행시의 기체의 조작에 사용된다.
야채 수확기 (1) 는 전진하면서, 먼저, 분초 장치 (21) 에 의해, 포장에 도복된 상태의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조마다 분초하고, 갈퀴 장치 (22) 에 의해, 경엽부 (2b) 를 긁어 모아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전달한다. 갈퀴 장치 (22) 는, 한 쌍으로 1 세트가 되어 기능하고, 1 세트로 2 조분의 경엽부 (2b) 를 긁어 모은다. 야채 수확기 (1) 는, 갈퀴 장치 (22) 에 의한 인발 반송 장치 (24) 로의 경엽부 (2b) 의 전달시에, 굴기 장치 (23) 에 의해, 양파 (2) 의 하측의 흙을 풀어낸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발 반송 장치 (24) 는,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선단부에 있어서, 2 조분의 경엽부 (2b) 를 취입하여, 좌우의 반송 벨트 (83) 에 의해 협지 반송한다. 여기서, 포장의 지면 (320) 에 대한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선단의 높이인 반송 입구 높이 (K1) 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높이가 필요해진다. 종동 풀리 (85) 의 직경이나 양파 (2) 의 조간 피치 (K2) 등과의 관계에서, 반송 입구 높이 (K1) 가 낮으면, 경엽부 (2b) 의 기울기가 커지기 때문에, 경엽부 (2b) 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경엽부 (2b) 에 대하여 양호한 취입성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인발 반송 장치 (24) 는, 경엽부 (2b) 를 협지하여 양파 (2) 를 포장으로부터 뽑아내어 후상방으로 반송한다.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있어서는,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로부터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로 양파 (2) 가 이어 넘겨지고,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있어서의 반송에 수반하여,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의해 인경부 (2a) 의 높이 위치가 맞춰진다. 높이 위치가 맞춰진 양파 (2) 는,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인경부 (2a) 에 대하여 경엽부 (2b) 를 소정의 길이로 남긴 위치에서 경엽부 (2b) 가 절단된다.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해 경엽부 (2b) 가 절단됨으로써, 인경부 (2a) 는 낙하하여, 흙털기 장치 (27) 위로 낙하한다. 여기서, 좌우의 반송 절단 유닛 구성 (80) 에 있어서의 어깨 맞추기 장치 (25) 로부터 낙하하는 인경부 (2a) 는, 각각 가이드 부재 (161) 에 의해 안내되어 흙털기 장치 (27) 상에 낙하한다. 흙털기 장치 (27) 상에 낙하한 인경부 (2a) 는, 흙털기 휠 (110) 에 의한 흙털기 작용을 받으면서 후방으로 반송되고, 보조 반송 장치 (140) 의 작용을 받아서 컨베이어 (7) 로 보내지고, 컨베이어 (7) 에 의해 후상방으로 반송된다. 컨베이어 (7) 에 의해 반송된 인경부 (2a) 는, 컨베이어 (7) 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수용부 (8) 의 배출 호퍼 (171) 내에 투입되어, 수확 네트 (170) 내에 수용된다. 또한, 야채 수확기 (1) 에 의한 수확 작업 중에 있어서는, 보조 조작부 (300) 를 조작하는 작업자에 더하여, 기체의 후방에, 수확 네트 (170) 의 교환 등을 실시하는 보조 작업자가 추종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 (1) 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 (1) 에 의하면, 절단한 경엽부 (2b) 를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에 배출하는 구성에 있어서, 연속조의 포장에 있어서도 양호한 수확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는, 기체 폭 방향인 좌우 방향에 대해,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의한 양파 (2) 의 수확 범위의 폭 (도 4, 수확폭 (R1) 참조)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랑이 없는 연속조의 포장에 있어서, 수확 작업을 실시하는 기체의 이동 경로에 관계없이, 기체의 좌우 일측 또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미수확의 조 부분을 크롤러 주행 장치에 의해 밟지 않고 수확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야채 수확기 (1) 에 의하면, 양파 (2) 의 수확 범위의 폭 내에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가 위치하고, 이들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에 경엽부 (2b) 를 낙하시키고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의해 깔려 나가기 때문에, 이랑이 없는 연속조의 포장에 있어서, 중간에 나누어서 수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이랑이 있는 포장의 경우, 이랑 사이의 홈인 묘구가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주행 부분이 되고, 경엽부 (2b) 의 배출 부분이 된다. 이 점에서, 야채 수확기 (1) 에 의하면, 묘구가 없는 전체면에 작물 심기가 된 연속조의 포장에 있어서, 수확 범위의 폭 내에 위치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의해, 기체로부터 좌우로 배출된 경엽부 (2b) 가 깔려지게 된다.
이 때문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확 대상이 되는 6 조의 작물의 좌우 양측의 미굴 (未掘) 작물 상에 경엽부 (2b) 가 배출되거나, 미굴 작물의 영역이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의해 밟히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굴 작물의 수확을 실시하는 다음 공정의 수확 작업에 대한 영향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수확 대상의 좌우 양측에 미굴 작물이 있는 상태에서의 수확 작업, 즉 중간 나누기 수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간 나누기 수확이 가능해짐으로써, 포장에 있어서 수확 작업을 실시하는 행정 (주행 경로) 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포장의 중간 부분으로부터도 수확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 양호한 수확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간 나누기 수확이 가능해짐으로써, 포장에 있어서 예를 들어 작물의 육성 상태 등에 따른 부분적인 수확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야채 수확기 (1) 는, 좌우 양측 및 중앙의 3 세트의 인발 반송 장치 (24) 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좌우의 인발 반송 장치 (24) 로부터의 경엽부 (2b) 를 배출하기 위한 방출 가이드 장치 (240) 와, 중앙의 인발 반송 장치 (24) 로부터의 경엽부 (2b) 를 좌우의 편측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엽 반송 장치 (250) 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야채 수확기 (1) 와 같은 6 조용 등의 다조 수확기에 있어서, 중앙의 인발 반송 장치 (24) 로부터 배출되는 경엽부 (2b) 를, 기체의 좌우 중앙부에 형성된 컨베이어 (7) 를 피한 경로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다조 수확기에 있어서, 중앙부의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있어서 인경부 (2a) 로부터 떼어낸 경엽부 (2b) 를, 좌우 중 어느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에 배출할 수 있으므로, 다음 공정의 수확 작업에 대한 영향을 없앨 수 있어, 양호한 수확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야채 수확기 (1) 는, 좌우 방향에 대해,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한 경엽부 (2b) 의 배출측과 반대측인 좌측에, 기체의 후부에 형성된 조작부 (5) 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앙부의 인발 반송 장치 (24) 로부터의 경엽부 (2b) 의 배출 경로와 조작부 (5) 의 배치 위치가 좌우로 나뉘므로, 야채 수확기 (1) 의 기체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엽 반송 장치 (250) 가, 좌우 방향에 대해 조작부 (5) 측과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 (5) 를 조작하는 작업자로부터, 컨베이어 (7) 에 대한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야채 수확기 (1) 는, 좌우 방향에 대해,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한 경엽부 (2b) 의 배출측과 반대측인 좌측에, 조작부 (5) 의 전방에 형성된 보조 조작부 (300) 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확 작업 중에 있어서, 보조 조작부 (300) 로부터,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의한 경엽부 (2b) 를 뽑아낸 상태나 경엽부 (2b) 의 협지 위치,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컷트 길이, 배출되는 경엽부 (2b) 의 유통 상태 (막힘의 유무 등), 컨베이어 (7) 에 의한 인경부 (2a) 의 반송 상태 등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야채 수확기 (1) 의 각 작업부의 작업 상태를 확인하면서, 보조 조작부 (300) 에 있어서, 기체의 주행 조작이나 차속의 조정, 굴취 깊이 (작업부의 높이) 의 조정 등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조작이 가능해져,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조 조작부 (300) 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에 있어서의 양파 (2) 와 인발 반송 장치 (24) 의 위치 관계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주행 기체 (3) 및 작업부의 최적의 조작이 가능해져,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포장에 있어서의 양파 (2) 와 인발 반송 장치 (24) 의 위치 관계에 관해서는, 좌우 방향의 위치 관계인 조 맞춤의 조정이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인 반송 입구 높이 (K1) (도 8 참조) 의 조정이 실시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조작부 (300) 에 있어서, 작업자 (310) 가 타는 탑승용 스텝 (311) 은, 크롤러 주행 장치 (4)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 (310) 는, 높은 위치로부터, 작업부의 전방에 있어서 포장에 심어져 있는 양파 (2) 나, 작업부의 전단부에 대한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조 조작부 (300) 는, 기체 프레임 (9) 에 대하여 형성된 탑승용 스텝 (311) 상의 작업자 (310) 에 의해 조작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트랙에 대한 야채 수확기 (1) 의 하역시나 포장 사이의 이동시 등의 비수확 작업 중에 있어서는 안정된 조작 상태를 얻기가 어렵다. 이에 대해, 기체 후부에 있는 조작부 (5) 는, 지면에 선 상태의 작업자에 의해 조작된다. 이 때문에, 야채 수확기 (1) 의 하역시 등의 비수확 작업 중에 있어서는, 조작부 (5) 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야채 수확기 (1) 는, 좌우의 방출 가이드 장치 (240) 및 중앙의 배엽 반송 장치 (250) 로부터 방출된 경엽부 (2b) 를 각각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 좌우의 측방 배엽 슈터 (261) 및 후방 배엽 슈터 (263) 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경엽부 (2b) 를 확실하게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에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의해 경엽부 (2b) 가 확실하게 깔릴 수 있다. 이로써, 기체 좌우 양측으로 배출되는 경엽부 (2b) 가 다음 공정의 수확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엽부 (2b) 를 기체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있어서 좌우 양측으로 배출하는 구성에 의해, 기체의 좌우 양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경엽부 (2b) 를 기체의 후방까지 반송해서 배출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기체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기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경엽부 (2b) 를 기체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있어서 좌우 양측으로 배출하는 구성에 의해, 기체 전단에 가까운 위치에 보조 조작부 (300) 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작업부에 대한 시인성의 향상과 기체의 조작성의 향상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배엽 반송 장치 (250) 에 의한 경엽부 (2b) 의 배출측과 반대측에 보조 조작부 (300) 를 형성함으로써, 보조 조작부 (300) 를 전측으로 배치하기 쉬워져, 시인성 및 조작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야채 수확기 (1) 는, 주행 장치로서 크롤러 주행 장치 (4) 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롤러 주행 장치 (4) 상에 낙하하는 경엽부 (2b) 를, 크롤러 트랙 (4d) 에 의해 형성되는 상면 (4e) 에 있어서 받을 수 있으므로,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의한 경엽부 (2b) 의 깔림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 (1) 에 의하면, 양호한 흙털기 성능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기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야채 수확기 (1) 는,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을 갖는 흙털기 장치 (27) 와,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인경부 (2a) 를 수취하여 후상방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 (7) 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흙털기 장치 (27) 와는 별도로 반송 장치로서의 컨베이어 (7) 를 형성함으로써, 기체를 컴팩트하게 하면서, 인경부 (2a) 를 소정의 수용부 (8) 로 반송하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흙털기의 기능을 갖는 흙털기 장치 (27) 와는 별도로 컨베이어 (7) 를 형성함으로써, 컨베이어 (7) 의 반송 방향을 어느 정도 가파른 구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인경부 (2a) 의 반송처에 대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컨베이어 (7) 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흙털기 장치 (27) 와 컨베이어 (7) 를 연속적인 반송 경로를 이루도록 배치함으로써, 흙털기 장치 (27) 와 컨베이어 (7) 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장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흙털기 장치 (27) 는, 흙털기 휠 (110) 로서, 반송 상측의 2 개의 흙털기 휠 (110 (110A, 110B)) 과, 인경부 (2a) 를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 이송하는 제 3 흙털기 휠 (110C) 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반송 상측의 2 개의 흙털기 휠 (110) 에 의해, 인경부 (2a) 의 뿌리부나 표면 전체의 흙털기를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제 3 흙털기 휠 (110C) 에 의해, 흙털기 작용을 얻으면서 인경부 (2a) 를 컨베이어 (7) 로 보낼 수 있다. 이로써, 충분한 흙털기를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인경부 (2a) 의 이어받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어, 흠집 발생이나 흙의 부착이 적은 높은 정밀도의 수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흙털기 장치 (27) 에 있어서는, 제 3 흙털기 휠 (110C) 이, 반송 상측의 2 개의 흙털기 휠 (11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인경부 (2a) 의 원활한 이어받기를 가능하게 하면서, 예를 들면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을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한 구성과 비교하여, 주로 기체의 전후 방향에 대해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흙털기 장치 (27) 와 컨베이어 (7) 의 사이에는, 빗형상 안내체 (135)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3 흙털기 휠 (110C) 과 컨베이어 (7) 의 사이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돌기 바 (121A) 의 통과 전후에 발생하는 간극으로부터 인경부 (2a) 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이어받기 부분에 있어서, 빗형상 안내체 (135) 에 의해 인경부 (2a) 가 하측으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제 3 흙털기 휠 (110C) 에 의한 컨베이어 (7) 로의 인경부 (2a) 의 원활한 이어받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야채 수확기 (1) 에 있어서, 흙털기 장치 (27) 및 컨베이어 (7) 는, 수확폭 (R1) 의 범위 내에 배치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대해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6 조의 전체면 굴취를 가능하게 하면서, 기체의 전체 길이·전체 높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컴팩트한 기체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측면에서 볼 때 흙털기 장치 (27) 및 컨베이어 (7) 를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하고자 한 경우, 흙털기 장치 (27) 및 컨베이어 (7) 의 배치 위치가 높아지거나 이들 장치가 전측 또는 후측으로 돌출되거나 함으로써, 기체의 전체 길이·전체 높이가 길어져 버린다. 그래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사이의 스페이스를 흙털기 장치 (27) 및 컨베이어 (7) 의 배치 공간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흙털기 장치 (27) 에 대해서는, 좌우 양측의 어깨 맞추기 장치 (25) 로부터 낙하하는 인경부 (2a) 를 흙털기 장치 (27) 로 안내하는 낙하 안내 장치 (160)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확폭 (R1) 이 넓고, 수확폭 (R1) 보다 폭이 좁은 흙털기 장치 (27) 를, 수확폭 (R1) 의 내측에 배치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의 사이에 배치한 구성에 있어서, 흙털기 장치 (27) 보다 좌우 외측의 위치에서 낙하하는 인경부 (2a) 를, 흙털기 장치 (27) 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낙하 안내 장치 (160) 를 형성함으로써, 캐낸 양파 (2) 의 인경부 (2a) 를 모두 흙털기 장치 (27) 상에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작물의 심기 조건 등에 맞춰 흙털기 장치 (27) 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 장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양호한 수확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낙하 안내 장치 (160) 를 형성함으로써, 흙털기 장치 (27) 의 작용폭을 작물의 낙하 위치보다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흙털기 장치 (27) 및 컨베이어 (7) 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 (1) 에 따르면, 양파 (2) 의 경엽부 (2b) 를 협지한 상태에서 반송하는 협지 반송 장치로서의 인발 반송 장치 (24) 와, 경엽부 (2b) 를 절단하는 경엽 절단 장치 (26) 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인발 반송 장치 (24) 및 경엽 절단 장치 (26) 의 구동 기구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수확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야채 수확기 (1) 는, 인발 반송 장치 (24) 를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및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의한 상하 2 단의 구성으로 하고, 이들 협지 반송 장치의 연결 부분의 하측에서부터 후측을 향하여 어깨 맞추기 장치 (25) 를 배치 형성하고, 그 반송 종단부에 경엽 절단 장치 (26) 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및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의한 상하 2 단의 구성에 의하면,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의한 어깨 맞추기 (위치 맞춤) 에 필요한 경엽부 (2b) 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로부터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로의 경엽부 (2b) 의 이어받기에 의해, 경엽부 (2b) 의 협지 부위에 대해서,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에 의한 당초의 협지 부위보다 하측의 부분이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의해 다시 협지되게 된다.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의해 경엽부 (2b) 의 협지 위치가 하측으로 어긋난 후,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의한 양파 (2) 의 어깨 맞춤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대신에,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를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반송 길이만큼, 후상방으로 연장 형성한 구성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반송 라인 (M1) 참조) 을 상정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반송 종단부까지 어깨 맞추기 작용을 받기 위해서는,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에 의한 협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경엽부 (2b) 에 대해서 길이 (N1) 의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도 6 에서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반송 종단부에 위치하는 양파 (2) 를 양파 (2X) 로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및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의한 상하 2 단의 구성에 의하면,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가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에 대하여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반송 종단부의 위치에 있어서 경엽부 (2b) 의 협지 위치가 내려가는 만큼, 어깨 맞추기 작용을 받기 위해 필요한 경엽부 (2b) 의 길이를 길이 ΔN 만큼 짧게 할 수 있다. 즉, 어깨 맞추기에 필요한 경엽부 (2b) 의 길이를 길이 (N1) 보다 길이 ΔN 이 짧은 길이 (N2)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깨 맞추기에 필요한 경엽부 (2b) 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어깨 맞추기에 필요한 경엽부 (2b) 의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의한 어깨 맞추기의 작용 거리 (Z1) 를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어깨 맞추기의 작용 거리 (Z1) 가 길어짐으로써, 경엽 절단 장치 (26) 에 의한 경엽부 (2b) 의 절단 길이를 안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어깨 맞추기의 작용 거리 (Z1) 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반송 시단부에서부터 반송 종단부까지의 전후 방향의 거리이다. 도 6 에서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반송 종단부에 위치하는 양파 (2) 를 양파 (2Y) 로 나타내고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대신에,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를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반송 길이만큼, 전하방으로 연장 형성한 구성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반송 라인 (M2) 참조) 을 상정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반송 입구 높이 (K1) 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및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에 의한 상하 2 단의 구성에 의하면, 2 조를 중앙으로 모아 동시에 수확하기 위해 필요한 반송 입구 높이 (K1) (도 8 참조) 를 확보한 채, 어깨 맞추기의 작용 거리 (Z1) 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야채 수확기 (1) 는,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종동 풀리 (88) 를 지지하는 지지축 (91) 으로부터,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및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구동력을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엔진 (10) 의 동력을 인발 반송 장치 (24) 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계를,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용할 수 있으므로, 어깨 맞추기 장치 (25) 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즉,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와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구동 부분을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종동측에 집약시킬 수 있어, 구동계를 간단ㆍ경량ㆍ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좌우의 종동 풀리 (96) 의 지지축 (96a) 에 경엽 절단 장치 (26) 의 회전날 (100) 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경엽 절단 장치 (26) 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구동계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종동 풀리 (88) 와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의 구동 풀리 (84) 는, 동일한 분배축으로서의 지지축 (91) 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로부터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1) 에 대한 동력 전달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종동측에 집약시킨 구동 부분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어깨 맞추기 장치 (25) 의 구동 풀리 (95) 는,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종동 풀리 (88) 를 지지하는 지지축 (91) 에 연동 연결되어 있어, 지지축 (91) 으로부터 구동력의 입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로부터 어깨 맞추기 장치 (25) 에 대한 동력 전달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의 종동측에 집약시킨 구동 부분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 (1) 에 따르면, 흙털기 장치 (27) 의 상후측에, 인경부 (2a) 에 대하여 컨베이어 (7) 로의 이송 작용을 가하는 보조 반송 장치 (140)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호한 흙털기 성능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기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보조 반송 장치 (140) 를 구비함으로써, 보조 반송 휠 (141) 에 의해,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이어받기 부분에 있어서 인경부 (2a) 의 정체나 막힘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한 이어받기를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인경부 (2a) 의 이어받기를 위해 컨베이어 (7) 의 반송 시단부를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하측에 잠입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흙털기 장치 (27) 및 컨베이어 (7) 를 평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구성의 상하 방향에 대한 장대화를 초래하지 않고,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2 개의 흙털기 휠 (110) 에 추가하여 보조 반송 휠 (141) 에 의해서도 흙털기의 작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흙털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조 반송 장치 (140) 의 보조 반송 휠 (141) 은, 복수의 돌기부 (143b) 의 작용에 의해 인경부 (2a) 가 후방으로 반송되는 방향, 즉 좌측면에서 볼 때 좌회전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경부 (2a) 의 반송 상태가 불안정해지기 쉬운 컨베이어 (7) 로의 이어받기 부분에 있어서, 보조 반송 휠 (141) 이 인경부 (2a) 에 작용함으로써,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 안정적으로 인경부 (2a) 를 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은, 컨베이어 (7) 에 대해서 회동 축선 (G1) 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반송되는 인경부 (2a) 의 크기나 반송량에 따라서, 보조 반송 휠 (141) 을 상하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조 반송 휠 (141) 에 의한 반송 작용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반송 휠 (141) 은, 회동 축선 (G1) 을 중심으로 한 회동 동작에 대해서, 좌우의 부세 스프링 (147, 148) 에 의해 하강 방향으로 밀어붙여진 상태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 반송 휠 (141) 의 승강 동작에 대해서, 반송되는 인경부 (2a) 의 크기나 반송량에 따른 양호한 동작성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보조 반송 휠 (141) 에 의한 반송 작용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반송 장치 (140) 는, 동력 취출축 (151) 에 의해 컨베이어 (7) 로부터 취출된 동력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동력 취출축 (151) 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조 반송 휠 (141) 의 회전 동작을 컨베이어 (7) 의 동작에 연동시킬 수 있어, 보조 반송 휠 (141) 의 회전 속도를 컨베이어 (7) 의 반송 속도에 동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이어받기 부분에 있어서 인경부 (2a) 의 정체나 막힘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한 이어받기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용의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은 회전 궤적 (H1) 을 흙털기 장치 (27) 로부터 컨베이어 (7) 로의 인경부 (2a) 의 이동 경로에 간섭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 반송 휠 (141) 에 의한 인경부 (2a) 의 반송 작용을, 흙털기 장치 (27) 와 컨베이어 (7) 의 이어받기 부분에 정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반송 휠 (141) 의 하방에 있어서는, 흙털기 장치 (27) 와 컨베이어 (7) 의 사이에, 양파 (2) 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빗형상 안내체 (135)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커트된 경엽부 (2b) 등이 빗형상 안내체 (135) 사이에 끼이거나, 인경부 (2a) 에 남아 있는 경엽부 (2b) 의 부분이 빗형상 안내체 (135) 의 오목부 (137a, 138a) 에 꽂히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해서도, 보조 반송 휠 (141) 에 의한 반송 작용에 의해, 인경부 (2a) 의 정체나 막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빗형상 안내체 (135) 의 배치 부위에 관하여,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복수의 돌기부 (116b) 와 컨베이어 (7) 의 돌기 바 (121A) 의 복수의 돌기 (122) 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그것들의 사이에 빗형상 안내체 (135) 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3 흙털기 휠 (110C) 과 컨베이어 (7) 를 근접시켜 양자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컴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빗형상 안내체 (135) 는,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중심축 (C3) 과, 컨베이어 종동축 (118) 의 중심축 (D1) 을 지나는 가상 평면 (E1) 에 대해서 상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1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3 흙털기 휠 (110C) 의 휠 본체 (116) 의 중심보다 상측의 부분을 인경부 (2a) 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인경부 (2a) 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컨베이어 (7) 로의 원활한 이어받기를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의 야채 수확기 (1) 에 의하면, 양파 (2) 의 굴취 → 반송 → 인경부 (2a) 와 경엽부 (2b) 의 분리 → 인경부 (2a) 의 흙털기와 반송 → 인경부 (2a) 의 집하와 경엽부 (2b) 의 기외 배출을 1 대로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에 관련된 야채 수확기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이외여도, 본 발명에 관련된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라면, 설계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야채 수확기 (1) 는, 이랑이 없는 연속조에서의 적용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랑이 있는 포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랑이 있는 포장에서의 작업의 경우, 야채 수확기 (1) 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에 의해 이랑을 사이에 둔 상태로 주행하고, 기외로 배출되는 경엽부 (2b) 는, 이랑 사이의 묘구에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흙털기 장치 (27) 는 3 개의 흙털기 휠 (110) 을 구비하고 있지만, 흙털기 휠 (110) 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흙털기 휠 (110) 을 5 ∼ 7 개로 늘리고, 반송 하측의 흙털기 휠 (110) 을 컨베이어 (7) 의 반송 시단부의 상방에 배치한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흙털기 장치 (27) 의 반송 종단측의 흙털기 휠 (110) 로부터 낙하한 인경부 (2a) 는, 확실하게 컨베이어 (7) 로 이어받아지고 후상방으로 반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야채 수확기 (1) 는 주행 장치로서 크롤러 주행 장치 (4) 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주행 장치는, 구동축에 차륜을 연결한 휠식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1 : 야채 수확기
2 : 양파 (야채)
2a : 인경부 (야채 본체부)
2b : 경엽부
3 : 주행 기체
4 : 크롤러 주행 장치 (주행 장치)
4e : 상면
5 : 조작부
7 : 컨베이어 (반송 장치)
8 : 수용부
24 : 인발 반송 장치
24X : 외측 인발 반송 장치
24Y : 내측 인발 반송 장치
25 : 어깨 맞추기 장치 (위치 맞춤 장치)
26 : 경엽 절단 장치
27 : 흙털기 장치
81 : 상류측 협지 반송 장치
82 : 하류측 협지 반송 장치
83 : 반송 벨트 (무단 회동 벨트)
84 : 구동 풀리 (구동륜)
85 : 종동 풀리 (종동륜)
86 : 반송 벨트 (무단 회동 벨트)
87 : 구동 풀리 (구동륜)
88 : 종동 풀리 (종동륜)
91 : 지지축
94 : 반송 벨트 (무단 회동 벨트)
95 : 구동 풀리 (구동륜)
96 : 종동 풀리 (종동륜)
110 : 흙털기 휠 (롤러)
110A : 제 1 흙털기 휠 (흙털기부, 롤러)
110B : 제 2 흙털기 휠 (흙털기부, 롤러)
110C : 제 3 흙털기 휠 (이송부, 롤러)
116b : 돌기부
135 : 빗형상 안내체 (안내 부재)
140 : 보조 반송 장치
141 : 보조 반송 휠 (롤러)
143b : 돌기부
145 : 체인 케이스
146 : 회동 지지 아암
147 : 부세 스프링
148 : 부세 스프링
151 : 동력 취출축
160 : 낙하 안내 장치
240 : 방출 가이드 장치 (제 1 배엽 장치)
250 : 배엽 반송 장치 (제 2 배엽 장치)
261 : 측방 배엽 슈터 (가이드부)
263 : 후방 배엽 슈터 (가이드부)
300 : 보조 조작부

Claims (11)

  1. 야채를 토양으로부터 뽑아내어 수확하는 야채 수확기로서,
    토양으로부터 야채를 뽑아내고, 뽑아낸 야채의 경엽부를 협지하면서 후상방을 향하여 반송하는 인발 반송 장치와,
    상기 인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야채의 경엽부로부터 야채 본체부를 떼어내어 낙하시키는 경엽 절단 장치와,
    상기 경엽 절단 장치에 의해 떼어낸 야채 본체부를 받아, 야채 본체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이나 진흙을 떨어뜨리면서 야채 본체부를 후방으로 보내는 흙털기 장치와,
    상기 흙털기 장치로부터 야채 본체부를 수취하고, 야채 본체부를 후상방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흙털기 장치는,
    야채 본체부를 전동시킴으로써 상기 흙이나 진흙을 떨어뜨리는 흙털기부와,
    야채 본체부를 상기 흙털기부로부터 상기 반송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흙털기 장치는,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갖는 롤러를,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복수 정렬한 구성을 갖고,
    상기 이송부를 이루는 상기 롤러는, 상기 흙털기부를 이루는 상기 롤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를 이루는 상기 롤러와 상기 반송 장치 사이에 형성된 안내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를 구비하고,
    좌우의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는, 상기 인발 반송 장치의 좌우 방향의 폭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흙털기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좌우의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대하여 상기 흙털기 장치의 폭의 범위 밖의 위치에서 상기 경엽 절단 장치에 의해 떼어내지고 낙하하는 야채 본체부를, 상기 흙털기 장치로 안내하는 낙하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흙털기 장치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흙털기 장치로부터 상기 반송 장치로 보내지는 야채에 상기 반송 장치로의 이송 작용을 가하는 보조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반송 장치는,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갖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야채가 후방으로 반송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흙털기 장치에 대하여 근접·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반송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로부터 취출된 동력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반송 장치의 동력을 취출하는 동력 취출축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의 회전 궤적이 상기 흙털기 장치로부터 상기 반송 장치로의 야채의 이동 경로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수확기.
KR1020237029153A 2021-03-22 2022-02-10 야채 수확기 KR202301596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7956 2021-03-22
JP2021047956A JP2022146797A (ja) 2021-03-22 2021-03-22 野菜収穫機
PCT/JP2022/005349 WO2022201950A1 (ja) 2021-03-22 2022-02-10 野菜収穫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693A true KR20230159693A (ko) 2023-11-21

Family

ID=8339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153A KR20230159693A (ko) 2021-03-22 2022-02-10 야채 수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46797A (ko)
KR (1) KR20230159693A (ko)
CN (1) CN116940231A (ko)
WO (1) WO202220195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642A (ja) 2006-08-23 2008-03-06 Sasaki Corporation 地下茎作物の収穫装置
JP2018134065A (ja) 2017-02-24 2018-08-30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94Y2 (ko) * 1975-10-31 1981-03-25
JPS5983309U (ja) * 1982-11-27 1984-06-05 株式会社久保田農機製作所 掘り上げ装置
JPH05316848A (ja) * 1991-04-16 1993-12-03 Kaneko Agricult Mach Co Ltd 人参等の根菜収穫機
JPH0537015U (ja) * 1991-10-18 1993-05-2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堀起し兼用ピツクアツプ装置
JP2018014901A (ja) * 2016-07-26 2018-02-01 ヤンマー株式会社 野菜収穫機
CN110122042B (zh) * 2019-05-27 2024-02-23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多功能洋葱联合收获机
JP2021040602A (ja) * 2019-09-13 2021-03-18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鱗茎野菜収穫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642A (ja) 2006-08-23 2008-03-06 Sasaki Corporation 地下茎作物の収穫装置
JP2018134065A (ja) 2017-02-24 2018-08-30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40231A (zh) 2023-10-24
WO2022201950A1 (ja) 2022-09-29
JP2022146797A (ja)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942B1 (ko) 구근류 수확장치
US200901654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Standing Vegetable Crops
KR102005430B1 (ko) 수집형 감자 수확기
KR102048005B1 (ko)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KR20060018543A (ko) 구근작물 수확기
JP2008154536A (ja) 豆刈り機の茎葉搬送装置
KR20230159693A (ko) 야채 수확기
KR20230159694A (ko) 야채 수확기
US3331198A (en) Tomato harvester
JP7414760B2 (ja) 野菜収穫機
WO2021049411A1 (ja) 鱗茎野菜収穫機
RU2229207C2 (ru) Свекло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JP2022146799A (ja) 野菜収穫機
JP2021040602A (ja) 鱗茎野菜収穫機
JP7281375B2 (ja) 鱗茎野菜収穫機
WO2021049412A1 (ja) 鱗茎野菜収穫機
JP4903507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KR102605132B1 (ko) 콤바인
US848089A (en) Beet-harvesting device.
US2523024A (en) Peanut and grass harvester
JP2574509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搬送装置
JPH0847318A (ja) 地下作物収穫機
JP2843928B2 (ja) 農産物収穫機
JP2000032824A (ja) 収穫機及び、収穫機の選別コンベア
JP2001078589A (ja) 農産物収穫機におけるマルチフィルム除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