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101A - 반송차 및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반송차 및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101A
KR20230154101A KR1020237037145A KR20237037145A KR20230154101A KR 20230154101 A KR20230154101 A KR 20230154101A KR 1020237037145 A KR1020237037145 A KR 1020237037145A KR 20237037145 A KR20237037145 A KR 20237037145A KR 20230154101 A KR20230154101 A KR 2023015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helf
support area
transport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우에다
마사시게 이와타
아키라 에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3015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the stack being lowered by mobile grippers or holders onto ad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2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escapement-like mechanisms
    • B65G59/063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escapement-like mechanisms comprising lif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1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with shuttle-typ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2Plurality of alternative input or output lines or plurality of alternative packaging units on the same packaging line for improving machine flexi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a commissioning stacker-crane or tr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Abstract

반송차(2)는, 용기(W)를 지지하는 선반부(11)를 상하 방향 Z로 복수 단 구비한 용기 선반(1)을 따라 주행하여, 용기(W)를 반송한다. 반송차(2)는, 용기(W)를 단적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영역(22)과, 선반부(11)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의 지지 영역(22)에 대한 이송탑재와 지지 영역(22)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의 선반부(11)에 대한 이송탑재를 행하는 이송탑재 장치(24)와, 지지 영역(22)에 단적된 용기군(WG) 중 임의의 높이의 용기(W)를 그보다도 아래의 용기(W)에 대하여 들어올리는 리프팅 기구(2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반송차 및 반송 설비{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용기를 지지하는 선반부(shelf portion)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단(plurality levels) 구비한 용기 선반을 따라 주행하여,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차(搬送車; transport vehicle), 및 그 반송차를 복수 구비한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반송 설비의 일례가, 일본 공개특허 제2004-277062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반송 설비에 구비되어 있는 반송차는, 용기 선반에 대하여 용기를 출입하는 이송탑재 로봇(transfer robot)(6)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반송차는, 용기 선반의 전방에 정지한 상태에서 이송탑재 로봇(6)에 의해 용기 선반으로부터 용기를 인출하고, 이송탑재 로봇(6)이 용기를 지지한 상태로 다른 용기 선반의 전방까지 주행한 후, 이송탑재 로봇(6)이 지지하고 있는 용기를 다른 용기 선반에 수납하도록 하여, 용기를 반송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4-277062호 공보
상기한 반송차는, 용기 선반으로부터 인출한 용기를 이송탑재 로봇(6)이 지지한 상태로 주행하여, 용기를 반송하므로, 용기를 1개씩밖에 반송할 수 없어, 반송차에 의한 용기 선반으로의 용기의 반송이나 반송차에 의한 용기 선반으로부터의 용기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었다.
그래서, 용기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반송차, 및 그 반송차를 복수 구비한 반송 설비의 실현이 요구된다.
본 개시에 관한 반송차는, 용기를 지지하는 선반부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단 구비한 용기 선반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용기를 반송하는 것이며,
상기 용기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단적(段積; stacking)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반송차는, 상기 용기를 단적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영역과, 상기 선반부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의 상기 지지 영역으로의 이송탑재와 상기 지지 영역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의 상기 선반부으로의 이송탑재를 행하는 이송탑재 장치(transfer apparatus)와, 상기 지지 영역에 단적된 용기군 중 임의의 높이의 상기 용기를 그보다도 아래의 상기 용기에 대하여 들어올리는 리프팅 기구(lifting mechanism)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선반부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를 인출하여 지지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 영역에 용기를 쌓아올릴 수가 있다. 또한,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지지 영역의 용기군에서의 최상단의 용기를 선반부로 이송탑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선반부로부터 인출한 복수의 용기나 선반부로 이송탑재하는 복수의 용기를 지지 영역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반송차에 의한 용기 선반으로의 용기의 반송이나 반송차에 의한 용기 선반으로부터의 용기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영역의 용기군 중 임의의 높이의 용기를 들어올리는 리프팅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 리프팅 기구에 의해 임의의 높이의 용기, 및 이 임의의 높이의 용기 상에 쌓아올려진 용기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리프팅 기구에 의해 용기를 들어올림으로써,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선반부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를 인출하여 지지 영역에 단적된 용기군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이송탑재할 수 있다. 또한,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지지 영역에 단적된 용기군 중 임의의 용기를 선반부로 이송탑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단적된 용기군 중 임의의 용기를 보관 선반에 이송탑재 가능하므로, 단적한 용기의 순번에 관계없이 용기를 선반부로 이송탑재할 수 있어, 반송차에 의한 용기 선반으로의 용기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반송 설비의 평면도
도 2는 반송차 및 용기 선반의 사시도
도 3는 반송차 및 용기 선반의 평면도
도 4는 리프팅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지지부를 지지 위치로 한 상태를 나타낸 리프팅 기구의 종단 정면도
도 6은 지지부를 퇴피 위치로 한 상태를 나타낸 리프팅 기구의 종단 정면도
도 7은 유지부(holding portion)가 인퇴(引退; protruding)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이송탑재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유지부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이송탑재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반송차의 측면도
도 10은 반출(搬出) 용기를 용기군에 탑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반송차의 측면도
도 11은 반입(搬入) 용기를 용기군으로부터 인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반송차의 측면도
도 12는 반출 용기를 용기군에 탑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반송차의 측면도
도 13는 반입 용기를 용기군으로부터 인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반송차의 측면도
1. 실시형태
반송차를 복수 구비한 반송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설비는, 용기(W)를 수용하는 복수의 용기 선반(1)과, 용기(W)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차(2)와, 용기(W)를 상하 방향 Z로 단적한 용기군(WG)을 반입 및 반출하는 반출입부(3)와, 복수의 반송차(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H)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W)는, 바닥부의 주변에 측벽부를 세워 설치시켜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용기(W)로서, 수지재에 의해 구성된 변형되지 않는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다. 용기(W)의 측벽부에는, 용기(W)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6)[리브(rib)]나 용기(W)의 상하 방향 Z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6)(리브)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용기(W)는, 돌기부(6)에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의 유지부(46)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나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서의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이송탑재되어 있는 용기(W)는, 상하 방향 Z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6)를 나타내기 위해 횡단하여 일부를 절결(切缺)한 용기(W)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W)의 상단부와 다른 용기(W)의 하단부가 상하 방향 Z로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용기(W)는, 상하 방향 Z로 단적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적한 용기(W)는, 용기(W)의 바닥부와 상기 용기(W)의 위쪽에 단적한 다른 용기(W)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용기(W)에 물품을 수용한 상태로 용기(W)를 단적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용기 선반]
용기 선반(1)은, 용기(W)를 지지하는 선반부(11)를 상하 방향 Z로 복수 단 구비하고 있다. 선반부(11)에는, 단적하고 있지 않는 용기(W)가 용기 선반(1)의 선반 폭 방향 A로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 지지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용기 선반(1)은, 선반 폭 방향 A를 따르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전면(前面)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용기 선반(1)은, 선반 안길이 방향 B로 간격을 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용기 선반(1)의 사이에는, 선반 간 통로(12)가 형성되어 있고, 선반 간 통로(12)는, 반송차(2)가 주행하는 통로로서 사용된다. 선반 폭 방향 A를 따르는 자세의 복수의 용기 선반(1)이 선반 안길이 방향 B로 배열되어 있고, 복수의 용기 선반(1)은, 선반 간 통로(12)가 복수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반송차(2)가 선반 간 통로(12)를 주행할 때는, 반송차(2)는 용기 선반(1)의 전면을 따라 주행한다. 또한, 후면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용기 선반(1)의 사이에는 선반 간 통로(12)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용기 선반(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을 선반 폭 방향 A,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선반 폭 방향 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선반 안길이 방향 B라고 하고 있다. 또한, 용기 선반(1)의 선반 간 통로(12)를 향하는 면을 전면, 용기 선반(1)의 선반 간 통로(12)를 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후면이라고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반부(11)는, 제1 규제체(13)와 제2 규제체(1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규제체(13)는, 선반부(11)에 지지된 용기(W)에 대하여 선반 안길이 방향 B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제2 규제체(14)는, 선반부(11)에 지지된 용기(W)에 대하여 선반 폭 방향 A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선반부(11)에 지지된 용기(W)는, 제1 규제체(13)에 의해 선반 안길이 방향 B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제2 규제체(14)에 의해 선반 폭 방향 A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랙(11)의 전방에는, 선반 폭 방향 A를 따라 가이드 레일(15)이 설치되어 있다. 선반부(11)의 전방을 주행하는 반송차(2)는, 가이드 레일(15)에 의해 선반 안길이 방향 B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선반 간 통로(12)를 선반 폭 방향 A를 따라 주행한다.
반출입부(3)는, 반입부(搬入部)(16)와 반출부(搬出部)(18)를 구비하고 있다. 반입부(16)에는, 복수의 용기(W)[반입 용기(W1)]가 상하 방향 Z로 단적된 용기군(WG)이 반입된다. 이 반입부(16)에 반입된 용기군(WG)을 구성하는 용기(W)는, 반송차(2)에 의해 복수의 용기 선반(1)에 수납된다. 또한, 반송차(2)는, 복수의 용기 선반(1)으로부터 인출한 용기(W)[반출 용기(W2)]를 상하 방향 Z로 단적하여 용기군(WG)을 형성하고, 그 용기군(WG)을 반출부(18)로 반송한다. 그리고, 용기 선반(1)에 수납하는 용기(W)를 반입 용기(W1)라고 하고, 용기 선반(1)으로부터 인출한 용기(W)를 반출 용기(W2)라고 하고 있다.
[반송차]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차(2)는, 바닥면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21)와, 용기(W)를 단적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영역(22)에 설치되어 지지 영역(22)의 용기(W)를 지지하는 컨베이어(23)와, 용기(W)를 이송탑재하는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와, 지지 영역(22)에 단적된 용기군(WG) 중 임의의 높이의 용기(W)를 그보다도 아래의 용기(W)에 대하여 들어올리는 리프팅 기구(25)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차(2)가 용기 선반(1)의 전면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는, 지지 영역(22)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1 측 X1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는, 선반부(11)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의 지지 영역(22)에 대한 이송탑재와, 지지 영역(22)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의 선반부(11)에 대한 이송탑재를 행한다. 이하, 반송차(2)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반송차(2)가 선반 간 통로(12)에 위치하는 상태, 즉 반송차(2)가 용기 선반(1)의 전면을 따라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선반 폭 방향 A에 따른 방향을 전후 방향 X라고 하고, 전후 방향 X의 한쪽 측을 전후 방향 제1 측 X1, 그 반대측을 전후 방향 제2 측 X2라고 하고, 선반 안길이 방향 B에 따른 방향이며 또한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전후 방향 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Y라고 하고, 좌우 방향 Y의 한쪽 측을 좌우 방향 제1 측 Y1, 그 반대측을 좌우 방향 제2 측 Y2라고 하여 설명한다.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은, 컨베이어(23)의 반송면(搬送面)에 지지되어 있다. 즉, 이 반송차(2)에서는, 컨베이어(23) 상에, 용기(W)를 단적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영역(22)이 형성되어 있다.
컨베이어(23)는, 좌우 방향 Y를 따라 용기군(WG)을 반송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반송차(2)의 좌우 방향 Y로 반입부(16)가 인접하도록 반송차(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컨베이어(23)를 작동시킴으로써, 반입부(16)의 용기군(WG)을 컨베이어(23) 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반송차(2)의 좌우 방향 Y로 반출부(18)가 인접하도록 반송차(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컨베이어(23)를 작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23) 상의 용기군(WG)을 반출부(18)로 반송할 수 있다.
[리프팅 기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팅 기구(25)는, 지지 영역(22)에 지지된 용기군(WG) 중 임의의 높이의 용기(W)를 그보다도 아래의 용기(W)에 대하여 들어올린다. 리프팅 기구(25)는, 용기(W)를 지지하는 지지부(31)와, 지지부(31)를 지지하여 상하 방향 Z를 따라 이동하는 승강부(32)와, 지지 영역(22)의 용기(W)를 적정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부(32)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프레임 제작된 프레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지지 영역(22)의 용기(W)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위치하고 있다. 승강부(32)는, 제1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주행부(21)에 세워 설치된 제1 마스트(mast)(37)를 따라 상하 방향 Z로 이동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33)는, 승강부(32)에 지지되어 있고, 승강부(32)를 상하 방향 Z를 따라 이동시킨 경우에, 지지 영역(22)의 용기(W)에 접촉하여 상기 용기(W)를 지지 영역(22)의 적정 위치에 안내한다. 설명을 추가하면, 안내부(33)는, 제1 안내부(41)와 제2 안내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안내부(41)는, 안내부(33)에서의 승강부(32)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제2 안내부(42)는, 안내부(33)에서의 승강부(32)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제1 안내부(41)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적정 위치의 용기(W)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2 측 X2 및 좌우 방향 Y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2 안내부(42)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적정 위치의 용기(W)에 대하여 전후 방향 X의 양측 및 좌우 방향 Y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1 안내부(41)는, 상방 측을 향함에 따라 적정 위치의 용기(W)로부터 이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부(32)가 상방 측으로 이동할 때,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에 적정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용기(W)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용기(W)에 제1 안내부(41)의 경사면이 접촉하여 용기(W)를 적정 위치 측으로 안내함으로써, 적정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용기(W)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안내부(42)는,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 적정 위치의 용기(W)로부터 이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부(32)가 하방측으로 이동할 때,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에 적정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용기(W)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용기(W)에 제2 안내부(42)의 경사면이 접촉하여 용기(W)를 적정 위치 측으로 안내함으로써, 적정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용기(W)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용기(W)의 적정 위치는, 지지 영역(22)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용기(W)의 위치이며, 단적된 복수의 용기(W)의 적정 위치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리프팅 기구(25)는, 제3 안내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3 안내부(43)는, 승강부(32)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승강부(32)에 지지되어 있다. 제3 안내부(43)는, 전후 방향 제1 측 X1을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적정 위치의 용기(W)로부터 이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에 용기(W)를 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용기(W)가 적정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 Y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이 용기(W)에 제3 안내부(43)의 경사면이 접촉하여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용기(W)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1)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지지 영역(22)의 용기(W)의 돌기부(6)와 중첩되는 지지 위치(도 4 및 도 5 참조)와,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지지 영역(22)의 용기(W)와 중첩되지 않는 퇴피 위치(도 6 참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지지부(31)는 중앙이 팽출(膨出)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전후 방향 X를 따르는 축심(軸心)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를 따르는 회전 위치로 되는 지지 위치와, 전후 방향 X 및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회전 위치로 되는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팅 기구(25)는, 지지부(31)를 퇴피 위치로 함으로써, 승강부(32)를 상하 방향 Z로 이동시킬 때 지지부(31)가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팅 기구(25)는,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 중 임의의 용기(W)에 대응하는 높이로 승강부(32)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지지부(31)를 퇴피 위치로부터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후, 승강부(32)를 상승시킨다. 이로써, 임의의 용기(W)의 돌기부(6)에 지지부(31)가 걸어맞추어지고, 임의의 용기(W)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임의의 용기(W)보다 위에 다른 용기(W)가 단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임의의 용기(W)와 함께 이보다 위에 단적되어 있는 용기(W)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리프팅 기구(25)는, 지지 영역(22)에 단적되어 있는 용기군(WG) 중 임의의 용기(W) 및 이 임의의 용기(W)보다 위의 용기(W)를 모아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리프팅 기구(25)는, 용기(W)를 들어올린 상태로부터 승강부(32)를 하강시킴으로써, 지지부(31)에 의해 지지하고 있었던 1개 또는 복수의 용기(W)를, 컨베이어(23) 상, 또는 컨베이어(23)의 지지 영역(22)에 용기(W)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용기(W) 상에 단적할 수 있다.
[용기 이송탑재 장치]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는, 용기(W)를 유지하는 유지부(46)와, 유지부(46)를 지지하고 또한 수평 방향을 따라 출퇴(出退) 가능한 출퇴부(47)와, 용기(W)의 바닥면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48)와, 출퇴부(47) 및 지지체(48)를 지지하고 또한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세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49)와, 회전부(49)를 지지하는 베이스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46) 및 출퇴부(47)는, 출퇴부(47)의 출퇴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한 쌍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이송탑재 장치(24)가 「이송탑재 장치」에 상당한다.
도 9 및 그 이후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는, 지지체(48)에 지지된 용기(W)의 높이가, 컨베이어(23)에 지지된 용기군(WG)의 최하단의 용기(W)보다도 낮아지는 높이로부터, 컨베이어(23)에 규정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0)의 용기(W)를 단적한 용기군(WG)의 최상단의 용기(W)보다도 높아지는 높이까지,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는, 용기 선반(1)에 구비된 선반부(11)의 각각에 대응하는 높이(이송탑재용 높이)에 승강 가능하다. 최하단의 선반부(11)에 대응하는 이송탑재용 높이는, 컨베이어(23)에 지지된 용기군(WG)의 최하단의 용기(W)보다도 낮은 높이로, 용기(W)를 지지체(48)에 의해 지지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베이스부(50)는, 제3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주행부(21)에 세워 설치된 제2 마스트(52)를 따라 상하 방향 Z로 이동한다. 베이스부(50)는, 회전부(49) 및 출퇴부(47)가 개재(介在)하는 상태로 유지부(46)를 지지하고 있고, 제3 모터(51)에 의해 베이스부(50)가 상하 방향 Z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유지부(46)가 상하 방향 Z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제3 모터(51)가, 유지부(46)를 상하 방향 Z를 따라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부에 상당한다.
회전부(49)는, 내장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세로 축심(P) 주위로 회전한다. 회전부(49)는, 출퇴부(47)를 지지하고 있고, 회전부(49)가 세로 축심(P)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출퇴부(47)가 세로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출퇴부(47)에 의해 유지부(46)가 돌출하는 방향을 세로 축심(P) 주위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부(49)가 세로 축심(P)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출퇴부(47)에 의해 유지부(46)가 돌출하는 방향을, 적어도 좌우 방향 제1 측 Y1와, 좌우 방향 제2 측 Y2와, 전후 방향 제2 측 X2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49)가, 출퇴부(47)를 세로 축심(P) 주위로 회전시켜 출퇴부(47)에 의해 유지부(46)가 돌출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전 구동부에 상당한다. 이하, 유지부(46)가 돌출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제1 측 Y1로 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 상태를, 제1 선반 이송탑재 상태라고 하고, 유지부(46)가 돌출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제2 측 Y2로 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 상태를, 제2 선반 이송탑재 상태라고 하고, 유지부(46)가 돌출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 제2 측 X2로 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 상태를, 단적 이송탑재 상태라고 한다.
한 쌍의 출퇴부(47)의 각각은, 회전부(49)에 지지된 고정부(54)와, 고정부(54)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퇴 이동하는 이동부(55)와, 이동부(55)를 고정부(54)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퇴 이동시키는 제4 모터(56)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55)는,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한 쌍의 풀리(pully)(57)에 권취된 벨트(58)와, 한 쌍의 풀리(57) 중 한쪽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5 모터(59)를 구비하고 있다. 벨트(58)에는 유지부(46)가 고정되어 있다.
출퇴부(47)는, 제4 모터(56)에 의한 이동부(55)의 출퇴 이동과 제5 모터(59)에 의한 벨트(58)의 회동(回動)에 의해, 유지부(46)를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유지부(46)를 인퇴 위치(withdrawn position)(도 7 참조) 와 이 인퇴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위치(protruding position)(도 8 참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출퇴부(47)가, 유지부(46)를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수평 구동부에 상당한다.
또한, 벨트(58)의 양 단부(端部)(도 3에 나타낸 자세에서는 좌우 방향 Y의 양 단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자세에서는 전후 방향 X의 양 단부)에서는, 유지부(46)가 풀리(57)의 외주면(外周面)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한쪽의 출퇴부(47)에 지지되어 있는 유지부(46)와, 다른 쪽의 출퇴부(47)에 지지되어 있는 유지부(46)와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이들 한 쌍의 유지부(46)의 간격은, 한 쌍의 유지부(46)가 용기(W)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간격과, 한 쌍의 유지부(46)가 용기(W)로부터 이탈하는 이탈 간격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유지부(46)에 의해 용기(W)를 유지한다는 것은, 유지부(46)가 출퇴 이동한 경우에 용기(W)의 돌기부(6)에 걸어맞추어져 용기(W)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한 쌍의 유지부(46)에 의해 용기(W)를 협지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지지 영역(22)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를 지지체(48)로 이송탑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는, 먼저, 회전부(49)를 세로 축심(P) 주위로 회전시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단적 이송탑재 상태로 하고, 또한 베이스부(50)를 승강시켜, 지지 영역(22)에서의 이송탑재 대상의 용기(W)에 대응하는 이송탑재용 높이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승강시킨다. 그리고,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인퇴 상태[유지부(46)가 인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유지부(46)가 돌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전환한 후, 한 쌍의 유지부(46)의 간격을 이탈 간격으로부터 걸어맞춤 간격으로 변경하여, 한 쌍의 유지부(46)에 의해 용기(W)를 유지한다. 이 후, 유지부(46)를 인퇴 위치로 이동시켜, 지지 영역(22)의 용기(W)를 지지체(48)로 이송탑재한다. 그리고, 이송탑재 대상의 용기(W)가 다른 용기(W) 상에 단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 쌍의 유지부(46)에 의해 용기(W)를 유지한 후, 베이스부(50)를 상승시켜 이송탑재 대상의 용기(W) 중 적어도 전단부(前端部)와 아래쪽에 인접하는 용기(W)와의 끼워맞춤을 분리한 후, 유지부(46)를 인퇴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송탑재 대상의 용기(W) 상에 다른 용기(W)가 단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프팅 기구(25)에 의해 이송탑재 대상의 용기(W)보다도 위쪽의 다른 용기(W)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한 이송탑재를 행한다.
다음에,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지지체(48)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를 지지 영역(22)로 이송탑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는, 먼저, 회전부(49)를 세로 축심(P) 주위로 회전시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단적 이송탑재 상태로 하고, 또한 베이스부(50)를 승강시켜, 지지 영역(22)에서의 이송탑재용 높이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승강시킨다. 그리고, 걸어맞춤 간격의 한 쌍의 유지부(46)에 의해 용기(W)를 유지한 상태에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인퇴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로 전환하여, 지지체(48)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를 지지 영역(22)의 용기(W)에 단적한다. 그 후, 한 쌍의 유지부(46)의 간격을 걸어맞춤 간격으로부터 이탈 간격으로 변경하여 이송탑재 대상의 용기(W)에 대한 유지를 해제한 후, 유지부(46)를 인퇴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지지 영역(22)에 용기(W)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송탑재 대상의 용기(W)는 컨베이어(23) 상에 이송탑재한다. 또한, 단적되어 있는 용기군(WG)의 중간의 이송탑재 대상 위치에 용기(W)를 이송탑재하는 경우에는, 리프팅 기구(25)에 의해 이송탑재 대상 위치보다도 위쪽의 용기(W)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한 이송탑재를 행한다.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선반부(11)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를 지지체(48)로 이송탑재하는 경우나,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지지체(48)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를 선반부(11)로 이송탑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용기 이송탑재 장치(24) 상태를 단적 이송탑재 상태 대신에 제1 선반 이송탑재 상태 또는 제2 선반 이송탑재 상태로 하는 것이나, 이송탑재 대상의 용기(W)가 단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제1 규제체(13)를 타고넘기 위해 베이스부(50)를 상승시키는 것 이외에는, 지지체(48)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W)를 지지 영역(22)으로 이송탑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동작시키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장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H)는, 복수의 반송차(2)의 주행 경로(travelling route)(R)를 설정하고, 또한 복수의 반송차(2)가 주행 경로(R)를 따라 주행하도록 반송차(2)를 제어한다. 주행 경로(R)는, 선반 폭 방향 A를 따르는 경로나 선반 안길이 방향 B을 따르는 경로를 가지고 있고, 제어 장치(H)는, 주행 경로(R)를 일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반송차(2)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2개의 용기 선반(1)의 사이에 형성되는 선반 간 통로(12)에 있어서는, 반송차(2)의 주행 방향은 일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복수의 반출입부(3) 중 하나인 대상 반출입부(3A)와, 복수의 용기 선반(1)의 일부인 복수의 대상 용기 선반(1A)과의 사이에서 용기(W)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H)는, 도 1에 있어서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주행 경로(R)를 따라 반송차(2)가 주행하여, 복수의 대상 용기 선반(1A)에 대하여 용기(W)의 수납 및 인출을 행하기 위한 반송 정보를 반송차(2)에 송신하여, 반송차(2)를 제어한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는, 반송차(2)의 주행 경로(R)를 1점 쇄선 및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반송차(2)의 주행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반송차(2)에 구비된 제어부는, 제어 장치(H)로부터의 반송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반송차(2)를 제어한다.
먼저, 반입부(16)에 반송차(2)가 인접하여 정지하도록 주행부(21)를 제어한 후, 모두가 반입 용기(W1)로 구성된 용기군(WG)을 반입부(16)로부터 지지 영역(22)에 탑재하도록 컨베이어(23)를 제어한다.
그리고, 반송차(2)가 용기 선반(1)에 인접하여 정지하도록 주행부(21)를 제어한 후,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용기(W2)를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에 단적하는 것과 반입 용기(W1)를 지지 영역(22)으로부터 이송탑재하는 것을 계속하여 행하도록 용기 이송탑재 장치(24) 및 리프팅 기구(25)를 제어하여, 선반부(11)에 지지되어 있는 반출 용기(W2)를 지지 영역(22)에 이송탑재하고, 또한 지지 영역(22)의 반입 용기(W1)를 반출 용기(W2)가 보관되어 있었던 위치에 수납한다.
이와 같은, 반출 용기(W2)를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에 단적하는 것과 반입 용기(W1)를 지지 영역(22)으로부터 이송탑재하는 것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지지 영역(22)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군(WG)의 모두가 반출 용기(W2)가 된다.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의 모두가 반출 용기(W2)로 된 경우에는, 반출부(18)로 반송차(2)가 인접하여 정지하도록 주행부(21)를 제어한 후, 용기군(WG)을 반출부(18)에 내려놓도록 컨베이어(23)를 제어한다.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선반부(11)으로부터 인출한 반출 용기(W2)를 지지 영역(22)로 이송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지지 영역(22)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군(WG)을 구성하는 용기(W)의 모두가 반입 용기(W1)의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는, 반출 용기(W2)를 용기군(WG)에서의 최상단의 용기(W)[지지 영역(22)에서의 최상단의 반입 용기(W1)]에 탑재하여, 반출 용기(W2)를 지지 영역(22)에 이송탑재하도록,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반출 용기(W2)를 지지 영역(22)에 이송탑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반출 용기(W2)에 대응하는 높이로 리프팅 기구(25)를 승강시킨다. 이로써, 반출 용기(W2)가 적정 위치에 대하여 좌우 방향 Y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 상기 반출 용기(W2)는, 제3 안내부(43)에 의해 적정 위치를 향해 안내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W)의 모두가 반입 용기(W1)의 용기군(WG)에, 반출 용기(W2)를 탑재함으로써, 용기군(WG)의 최상단의 용기(W)가 반출 용기(W2)로 된다.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선반부(11)로부터 인출한 반출 용기(W2)를 지지 영역(22)으로 이송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와 같이, 지지 영역(22)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군(WG)을 구성하는 용기(W)의 1개가 반출 용기(W2)의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는, 리프팅 기구(25)에 의해 최상단의 반출 용기(W2)만을 들어올리도록, 리프팅 기구(25)를 제어한 후, 위로부터 2단째의 용기(W)[지지 영역(22)에서의 최상단의 반입 용기(W1)]를 선반부(11)에 수납하도록,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제어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선반부(11)으로부터 인출한 반출 용기(W2)를 지지 영역(22)로 이송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지지 영역(22)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군(WG)을 구성하는 용기(W)의 일부(도 12에서는 5개)가 반출 용기(W2)의 경우에는, 제어부는, 단적된 용기군(WG)의 중의 모든 반출 용기(W2)를 들어올리도록, 리프팅 기구(25)를 제어하고, 지지 영역(22)에 있어서 들어올리고 하지 않고서 남은 반입 용기(W1)의 최상단 상로 반출 용기(W2)를 이송탑재하도록,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제어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의해, 반입 용기(W1)를 지지 영역(22)으로부터 이송탑재하는 경우에는, 지지 영역(22)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군(WG)을 구성하는 용기(W)의 일부(도 13에서는 6개)가 반출 용기(W2)이므로, 제어부는, 반출 용기(W2)를 들어올리도록 리프팅 기구(25)를 제어하고, 또한 지지 영역(22)의 반입 용기(W1)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반입 용기(W1)를 지지 영역(22)으로부터 이송탑재하도록,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제어한다.
2. 그 외의 실시형태
다음에, 반송차 및 반송 설비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차(2)에 의해 반입 용기(W1)의 반송과 반출 용기(W2)의 반송과의 양쪽을 행하였으나, 반송차(2)에 의해 반입 용기(W1)의 반송과 반출 용기(W2)의 반송중 어느 한쪽만 행해도 된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지지 영역(22)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1 측 X1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했지만,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와 지지 영역(22)과의 위치 관계는 적절히 변경해도 되고, 예를 들면,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지지 영역(22)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2 측 X2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해도 되고, 또한 지지 영역(22)에 대하여 좌우 방향 제2 측 Y2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49)에 의해, 출퇴부(47)가 돌출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제1 측 Y1과 좌우 방향 제2 측 Y2과 전후 방향 제2 측 X2으로 변경하였으나, 회전부(49)에 의한 출퇴부(47)가 돌출하는 방향의 변경은 적절히 바꾸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반송차(2)에 대하여 좌우 방향 제1 측 Y1에 인접하는 용기 선반(1)과의 사이에서만 용기(W)를 이송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부(49)에 의해, 출퇴부(47)가 돌출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제1 측 Y1과 전후 방향 제2 측 X2만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1 측 X1에도 지지 영역(22)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회전부(49)에 의해, 출퇴부(47)가 돌출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제1 측 Y1과 좌우 방향 제2 측 Y2과 전후 방향 제1 측 X1과 전후 방향 제2 측 X2에 변경해도 된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프팅 기구(25)가 용기(W)를 지지 영역(22)의 적정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33)를 구비하였지만, 이 안내부(33)에 더하여 또는 대신하여, 적정 위치에 대하여 원근 이동하는 압압부(押壓部)가 구비되고, 승강부(3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압압부를 적정 위치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지지 영역(22)의 용기(W)를 측방으로부터 압압하여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을, 컨베이어(23)의 반송면에 의해 지지하였으나, 지지 영역(22)으로 반송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지지 영역(22)의 용기군(WG)을, 지지대의 상면에 의해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H)가 일부를 제외하고 가상적(假想的)으로 주행 경로(R)를 설정하여 그 주행 경로(R)를 따라 반송차(2)를 주행하도록 반송차(2)를 제어하였으나, 주행 경로(R)의 전체에 걸쳐 가이드 레일(15)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반송차(2)가 주행하도록 해도 된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W)를, 상면이 개구된 용기(W)로 하였으나, 용기(W)로서는 단적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커버가 장착된 절첩 컨테이너(folding container) 등이라도 된다.
(8)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지지 영역(22)의 용기(W)에서의 좌우 방향 Y를 향하는 면에 유지부(46)를 걸어맞추어 용기(W)를 이송탑재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용기 이송탑재 장치(24)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해도 되고, 예를 들면,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지지 영역(22)의 용기(W)의 전후 방향 제1 측 X1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 피걸어맞춤부에 유지부(46)를 걸어맞추어 용기(W)를 이송탑재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또한 용기 이송탑재 장치(24)를, 지지 영역(22)의 용기(W)를 한 쌍의 유지부(46)에 의해 좌우 방향 Y로 협지하여 용기(W)를 이송탑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9)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행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반송차 및 반송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송차는, 용기를 지지하는 선반부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단 구비한 용기 선반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용기를 반송하는 것이며,
상기 용기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단적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반송차는, 상기 용기를 단적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영역과, 상기 선반부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의 상기 지지 영역으로의 이송탑재와 상기 지지 영역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의 상기 선반부로의 이송탑재를 행하는 이송탑재 장치와, 상기 지지 영역에 단적된 용기군 중 임의의 높이의 상기 용기를 그보다도 아래의 상기 용기에 대하여 들어올리는 리프팅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선반부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를 인출하여 지지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 영역에 용기를 쌓아올릴 수가 있다. 또한,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지지 영역의 용기군에서의 최상단의 용기를 선반부로 이송탑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선반부로부터 인출한 복수의 용기나 선반부로 이송탑재하는 복수의 용기를 지지 영역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반송차에 의한 용기 선반으로의 용기의 반송이나 반송차에 의한 용기 선반으로부터의 용기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영역의 용기군 중 임의의 높이의 용기를 들어올리는 리프팅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 리프팅 기구에 의해 임의의 높이의 용기, 및 이 임의의 높이의 용기 상에 쌓아올려진 용기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리프팅 기구에 의해 용기를 들어올림으로써,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선반부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를 인출하여 지지 영역에 단적된 용기군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이송탑재할 수 있다. 또한,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지지 영역에 단적된 용기군 중 임의의 용기를 선반부로 이송탑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탑재 장치에 의해 단적된 용기군 중 임의의 용기를 보관 선반에 이송탑재 가능하므로, 단적한 용기의 순번에 관계없이 용기를 선반부로 이송탑재할 수 있어, 반송차에 의한 용기 선반으로의 용기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용기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를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수평 구동부와, 상기 유지부를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부와, 상기 수평 구동부를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세로 축심 주위로 회전시켜 상기 수평 구동부에 의한 상기 유지부의 이동 방향을 상기 세로 축심 주위로 변경하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 구동부에 의해 수평 구동부를 세로 축심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평 구동부에 의한 유지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송탑재 장치에 대한 선반부 및 지지 영역의 위치 관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차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용기 선반의 전면을 따른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전후 방향의 한쪽 측을 전후 방향 제1 측, 그 반대측을 전후 방향 제2 측이라고 하고,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좌우 방향의 한쪽 측을 좌우 방향 제1 측, 그 반대측을 좌우 방향 제2 측이라고 하여, 상기 용기 선반의 전면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지지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 제1 측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 구동부는, 상기 유지부를 인퇴 위치와 상기 인퇴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된 돌출 위치로 상기 유지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수평 구동부에 의해 상기 유지부를 돌출시키는 방향을, 상기 좌우 방향 제1 측과, 상기 좌우 방향 제2 측과, 상기 전후 방향 제2 측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유지부 및 상기 수평 구동부를 상기 세로 축심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차가 용기 선반의 전면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지부를 돌출시키는 방향을 좌우 방향 제1 측으로 함으로써, 이송탑재 장치는, 반송차에 대하여 좌우 방향 제1 측에 인접하는 선반부과의 사이에서 용기를 이송탑재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를 돌출시키는 방향을 좌우 방향 제2 측으로 함으로써, 이송탑재 장치는, 반송차에 대하여 좌우 방향 제2 측에 인접하는 선반부과의 사이에서 용기를 이송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부를 돌출시키는 방향을 전후 방향 제2 측으로 함으로써, 이송탑재 장치는, 지지 영역과의 사이에서 용기를 이송탑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탑재 장치를 구성하고, 또한 이송탑재 장치를 지지 영역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1 측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반송차의 좌우 방향으로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반송차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는 선반부와의 사이에서 용기를 이송탑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이송탑재 대상의 상기 선반부에 대응하는 이송탑재용 높이로 상기 유지부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반부에 대하여 상기 용기를 출입시키도록 구성되고, 최하단의 상기 선반부에 대응하는 상기 이송탑재용 높이가, 상기 지지 영역에 있어서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는 상기 용기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상기 용기를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최하단의 선반부에 대하여 용기를 출입할 때의 지지부의 높이를 비교적 낮은 높이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반부의 최하단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용기 선반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선반부의 단수(段數; number of levels)를 증가시킬 수 있는 등, 용기 선반의 수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기구는,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경우에 상기 지지 영역의 상기 용기에 접촉하여 상기 용기를 상기 지지 영역의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적정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프팅 기구(승강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지지 영역에 단적되어 있는 복수의 용기에 적정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용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용기에 안내부가 접촉하여 안내함으로써 용기의 위치를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적정 위치로 수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 영역의 용기군의 단적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영역에,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영역의 상기 용기군은,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를 작동시킴으로써 지지 영역에 단적된 용기군을 모아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차와 상기 반송차 이외의 장소와의 사이에서, 단적된 용기군을 모아 탑재하강할 수 있다.
반송 설비는, 반송차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반송 설비는, 복수의 상기 용기 선반과, 복수의 상기 반송차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선반 안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용기 선반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반송차의 통로를 선반 간 통로로 하여, 복수의 상기 용기 선반은, 상기 선반 간 통로가 복수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선반 간 통로의 각각에서의 상기 반송차의 주행 방향이 일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반송차의 각각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용기 선반의 사이에 선반 간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선반 간 통로를 주행하는 반송차는, 주행 경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에 존재하는 2개의 용기 선반의 양쪽과의 사이에서 용기를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차의 주행 방향이 일방향으로 되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반송차를 원활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차에 이용할 수 있다.
1: 용기 선반
2: 반송차
11: 선반부
12: 선반 간 통로
22: 지지 영역
23: 컨베이어
24: 용기 이송탑재 장치(이송탑재 장치)
25: 리프팅 기구
31: 지지부
32: 승강부
33: 안내부
46: 유지부
47: 출퇴부(수평 구동부)
49: 회전부(회전 구동부)
51: 제3 모터(상하 구동부)
B: 선반 안길이 방향
H: 제어 장치
P: 세로 축심
R: 주행 경로
W: 용기
WG: 용기군
X: 전후 방향
X1: 전후 방향 제1 측
X2: 전후 방향 제2 측
Y: 좌우 방향
Y1: 좌우 방향 제1 측
Y2: 좌우 방향 제2 측
Z: 상하 방향

Claims (8)

  1. 용기를 지지하는 선반부(shelf portion)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단(plurality levels) 구비한 용기 선반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차(搬送車; transport vehicle)로서,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 영역; 및
    상기 선반부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의 상기 지지 영역으로의 이송탑재(移載; transfer)와 상기 지지 영역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의 상기 선반부로의 이송탑재를 행하는 이송탑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반에 수납하는 용기를 반입 용기로 하고, 상기 용기 선반으로부터 꺼내는 용기를 반출 용기로 하며,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선반부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반출 용기를 상기 지지 영역으로 이송탑재하고, 상기 반출 용기가 보관되어 있던 위치에 상기 지지 영역에 지지되어 있던 상기 반입 용기를 수납하는, 반송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선반부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반출 용기를 상기 지지 영역에 이송탑재하고, 상기 반출 용기가 보관되어 있던 위치에 상기 지지 영역에 지지되어 있던 상기 반입 용기를 수납하는 때, 상기 반출 용기를 상기 선반부로부터 꺼내는 동작과 상기 반입 용기를 상기 용기 선반에 수납하는 동작을, 상기 반송차가 상기 용기 선반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주행을 정지한 후, 다음 주행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수행하는, 반송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단적(段積; stacking)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 영역은, 복수의 상기 용기가 단적된 용기군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용기 선반과는 다른 장소에 설치된 반입출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반입 용기가 단적된 용기군을 수취하여 상기 지지 영역에 지지하고, 상기 수취한 용기군을 구성하는 상기 용기를 상기 용기 선반에 수납하고, 상기 용기 선반으로부터 꺼낸 상기 반출 용기를 상기 지지 영역에 단적하여 용기군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용기군을 상기 반입출부로 반송하는, 반송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에 단적된 용기군 내의 임의의 높이의 용기를 그보다 아래의 용기에 대하여 들어올리는 리프팅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영역에는 상기 반입 용기와 상기 반출 용기를 단적한 상태로 지지 가능한, 반송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선반부로부터 꺼낸 상기 반출 용기를 상기 지지 영역에 이송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군을 구성하는 용기 모두가 상기 반입 용기인 경우에는, 상기 반출 용기를 상기 지지 영역에지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군에서의 최상단의 반입 용기 위에 탑재하는, 반송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반입 용기 위에 상기 반출 용기가 단적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입 용기를 상기 지지 영역으로부터 상기 선반부로 이송탑재하는 경우, 상기 리프팅 기구에 의해 상기 지지 영역의 모든 반출 용기를 들어올리고, 들어올리지 않고 남아 있는 반입 용기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반입 용기를 지지 영역으로부터 상기 선반부으로 이송탑재하는, 반송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반입 용기 위에 상기 반출 용기가 단적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로부터 꺼낸 상기 반출 용기를 상기 지지 영역으로 이송탑재하는 경우, 상기 리프팅 기구에 의해 상기 지지 영역의 모든 반출 용기를 들어올리고, 들어올리지 않고 남아 있는 반입 용기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반입 용기 위에, 상기 선반부로부터 꺼낸 상기 반출 용기를 이송탑재하는, 반송차.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에,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영역의 용기군은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면에 지지되고,
    상기 컨베이어를 상기 반입출부에 인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를 작동시켜, 상기 반입출부와 상기 지지 영역 사이에서 상기 용기군의 인도를 행하는, 반송차.
KR1020237037145A 2017-07-20 2018-07-13 반송차 및 반송 설비 KR20230154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0912A JP6838512B2 (ja) 2017-07-20 2017-07-20 搬送車及び搬送設備
JPJP-P-2017-140912 2017-07-20
PCT/JP2018/026510 WO2019017294A1 (ja) 2017-07-20 2018-07-13 搬送車及び搬送設備(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facility)
KR1020207003703A KR102596987B1 (ko) 2017-07-20 2018-07-13 반송차 및 반송 설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703A Division KR102596987B1 (ko) 2017-07-20 2018-07-13 반송차 및 반송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101A true KR20230154101A (ko) 2023-11-07

Family

ID=650155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145A KR20230154101A (ko) 2017-07-20 2018-07-13 반송차 및 반송 설비
KR1020207003703A KR102596987B1 (ko) 2017-07-20 2018-07-13 반송차 및 반송 설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703A KR102596987B1 (ko) 2017-07-20 2018-07-13 반송차 및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00617B2 (ko)
EP (2) EP3647231B1 (ko)
JP (1) JP6838512B2 (ko)
KR (2) KR20230154101A (ko)
CN (1) CN110891881B (ko)
ES (1) ES2924695T3 (ko)
TW (2) TWI777900B (ko)
WO (1) WO2019017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0517B2 (ja) * 2017-07-20 2021-05-12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車及び搬送設備
KR102321857B1 (ko) * 2018-08-10 2021-11-09 베이징 긱플러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고밀도 보관 기반의 물품 이송 방법과 기기, 보관 매체 및 고밀도 보관 시스템
JP2022514979A (ja) * 2018-12-25 2022-02-16 北京極智嘉科技股▲ふん▼有限公司 搬送ロボット、入庫・物流システム及び品目搬送方法
JP7063295B2 (ja) * 2019-03-22 2022-05-0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CN110525866B (zh) * 2019-09-17 2021-01-15 广东顺力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自动化货架搬运系统及其搬运方法
US11407587B1 (en) * 2019-11-04 2022-08-09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ed container retrieval and delivery systems
US20210354925A1 (en) * 2020-05-13 2021-11-18 Hds Mercury, Inc. Modular inventory handling system and method
CN112124980A (zh) * 2020-08-21 2020-12-25 芜湖海格力斯起重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稳定型物流输送设备
FR3113663B1 (fr) * 2020-08-31 2022-09-09 Exotec Station de présentation de conteneurs
DE102020212355A1 (de) 2020-09-30 2022-03-31 Gebhardt Fördertechnik GmbH Transportfahrzeug zum Einsatz in einem Lager- und Entnahmesystem für Behälter sowie ein entsprechendes Lager- und Entnahmesystem
AT524051B1 (de) * 2020-12-17 2022-02-15 Peter Entenfellner Dr Vorrichtung zum Verlagern von Transportbehältern zwischen einem Behälterstapel und einem Behälterregal
CN112758577A (zh) * 2020-12-30 2021-05-07 南京华鑫德自动化有限公司 一种多工位存储拣选堆垛输送机及堆垛方法
CN113753456A (zh) * 2021-01-05 2021-12-07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货箱存取车、货箱存取系统及货箱存取方法
WO2022152407A1 (de) * 2021-01-12 2022-07-21 Premium Robotics Gmbh Anordnung zum kommissionieren von gebinden
JP7476819B2 (ja) * 2021-02-16 2024-05-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JP7294363B2 (ja) * 2021-03-26 2023-06-20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車
NO346952B1 (en) * 2021-04-30 2023-03-13 Autostore Tech As A storage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JP7400769B2 (ja) * 2021-05-13 2023-12-19 株式会社ダイフク 移載装置
WO2022255551A1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자동 피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자 입고 및 출고방법
JP2023045443A (ja) * 2021-09-22 2023-04-03 株式会社東芝 搬送計画生成方法、搬送計画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GB2613547A (en) * 2021-12-03 2023-06-14 Ocado Innovation Ltd Shelf de-stacker
NO347254B1 (en) * 2022-01-11 2023-08-14 Autostore Tech As Storage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7062A (ja) 2003-03-14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人搬送車を用いた倉庫システム、入出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835A (en) * 1964-12-14 1968-09-24 Triax Co Control system for a zoned automatic warehouse arrangement
JPS541751Y2 (ko) * 1974-06-28 1979-01-25
JPS6044407A (ja) * 1983-08-19 1985-03-09 Shinku Lab:Kk 多段パレット装置
FR2565952B1 (fr) * 1984-06-14 1987-04-24 Redoute Catalogue Chariot automoteur de manutention robotise
US4756657A (en) * 1986-04-04 1988-07-12 Interlake, Inc. Stacker bin shuttle
JPH0747403B2 (ja) * 1990-05-22 1995-05-24 インベストロニカ・ソシエダッド・アノニマ プログラム制御による箱、コンテナ等の操作・移送装置
JP2660600B2 (ja) * 1990-06-21 1997-10-08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ケース移載装置
DE69209574T2 (de) * 1991-07-11 1996-10-31 Eastman Kodak Co Automatische Ladevorrichtung für Filmkassetten
JPH08133416A (ja) * 1994-11-16 1996-05-28 Murata Mach Ltd 荷搬出装置
JP3381448B2 (ja) * 1995-03-07 2003-02-24 日本鋼管株式会社 容器の段積み仕分け装置
US7682122B2 (en) * 1997-07-22 2010-03-23 Maynard Michael D Article retrieving and positioning system and apparatus for articles, layers, cases, and pallets
US6923612B2 (en) * 2002-03-29 2005-08-02 TGW Transportgeräte GmbH & Co. KG Load-handling system and telescopic arm therefor
JP2004018183A (ja) * 2002-06-17 2004-01-22 Denso Corp 多種小ロット対応無人搬送車
JP2006347753A (ja) * 2005-06-20 2006-12-28 Murata Mach Ltd 搬送システム
CN101584530B (zh) * 2009-06-19 2011-01-19 北京理工大学 应用于闭架书库的智能轨道车及巷道车接口结构
CA2855439C (en) * 2011-11-20 2016-09-20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of storing an item in a rack
US9014844B2 (en) * 2011-12-22 2015-04-21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cking receptacles in materials handling facilities
CN102658542A (zh) * 2012-05-07 2012-09-12 上海电机学院 轨道式智能搬运机器车
KR20150019523A (ko) * 2013-08-14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효율 컨테이너 적하역 시스템 및 그 적하역 시스템의 컨테이너 리프트장치
DE102013019419A1 (de) * 2013-11-20 2015-05-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Fahrzeug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Lageraktionen mit Lagereinheiten
US20150225187A1 (en) * 2014-02-11 2015-08-13 Sergey N. Razumov Multi-level storage system with transportation devices movable i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and method of transferring containers in desired sequence
US10214355B2 (en) * 2015-01-16 2019-02-26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3274938A4 (en) * 2015-03-23 2019-03-20 Manpat, Rajesh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THE MOVEMENT OF PRODUCTS BY ROBOTIC DRIVE UNITS IN A STORAGE ENVIRONMENT
WO2016199033A1 (en) * 2015-06-09 2016-12-15 Commonsense Robotics Ltd. Robotic inventory handling
US10689194B2 (en) * 2015-06-24 2020-06-23 Hds Mercury, Inc. Mobile robot loader-unloader system and method
TWM518217U (zh) * 2015-07-30 2016-03-01 Rsi Retail Support Internat Corp 自動供箱設備
US10137566B2 (en) * 2015-09-09 2018-11-27 Bastian Solutions, Llc Automated guided vehicle (AGV) with batch picking robotic arm
JP6485333B2 (ja) * 2015-11-18 2019-03-2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移載装置及び物品搬送設備
EP3192616A1 (en) * 2016-01-14 2017-07-19 Magazino GmbH Robot to pick up and transport objects and method using such a robot
CN106586355B (zh) * 2016-12-09 2019-06-07 湛红晖 一种盘式物料双机协同自动存取系统
US10435252B1 (en) * 2018-10-08 2019-10-08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Operating device for placing or retrieving bottle-like piece go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7062A (ja) 2003-03-14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人搬送車を用いた倉庫システム、入出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7231B1 (en) 2022-07-06
JP2019018983A (ja) 2019-02-07
JP6838512B2 (ja) 2021-03-03
TW201908222A (zh) 2019-03-01
US20200165082A1 (en) 2020-05-28
TWI772467B (zh) 2022-08-01
EP3647231A4 (en) 2021-03-31
ES2924695T3 (es) 2022-10-10
KR20200033273A (ko) 2020-03-27
WO2019017294A1 (ja) 2019-01-24
KR102596987B1 (ko) 2023-10-31
EP3647231A1 (en) 2020-05-06
US10800617B2 (en) 2020-10-13
CN110891881A (zh) 2020-03-17
EP4086201A1 (en) 2022-11-09
CN110891881B (zh) 2021-11-16
TW202225042A (zh) 2022-07-01
TWI777900B (zh) 202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987B1 (ko) 반송차 및 반송 설비
KR102636990B1 (ko) 반송차, 및 반송 설비
CN114455234B (zh) 运送车以及运送设备
JP7044182B2 (ja) 搬送車
JP6593270B2 (ja) 物品搬送設備
TW202237511A (zh) 搬送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