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372A - 조인트 커넥터, 커넥터가 달린 전선 및 커넥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커넥터가 달린 전선 및 커넥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372A
KR20230150372A KR1020237033242A KR20237033242A KR20230150372A KR 20230150372 A KR20230150372 A KR 20230150372A KR 1020237033242 A KR1020237033242 A KR 1020237033242A KR 20237033242 A KR20237033242 A KR 20237033242A KR 20230150372 A KR20230150372 A KR 20230150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ide plate
plate portion
engaging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5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having different types of direct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shap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deformable terminals, e.g. crimp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커넥터 케이스(10)는, 접속 단자(20)를 보유지지하는 주판부(11)와, 주판부(11)에 대해서 수직이면서 서로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한 쌍의 측판부(12, 13)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가 마련되고, 각각의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기단 부분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124, 134)이 마련되고,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124, 134)이 서로 걸림 결합하여 적층되었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 커넥터가 달린 전선 및 커넥터 케이스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 커넥터가 달린 전선 및 커넥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접속 단자를 수용한 커넥터 케이스를 적층해서 구성되는 조인트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를 사용하면, 접속 대상인 전선의 가닥 수(本數)에 따라 단자 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들 특허 문헌에 개시된 조인트 커넥터는,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를 수용하는 케이스 홀더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의 개수는, 케이스 홀더에 수용할 수 있는 최대 개수까지 제한된다. 그래서,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4-11249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09-64735호 공보
본 발명은,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접속 단자를 수용한 커넥터 케이스를 적층해서 구성되는 조인트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케이스는, 상기 접속 단자를 보유지지(保持)하는 주판부와, 상기 주판부에 대해서 수직이면서 서로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상기 측판부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이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측판부에 있어서의 기단 부분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가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와 다른(他)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결합 홈이 서로 걸림 결합하여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부언하면, 측판부의 선단 부분이란, 측판부에 있어서의 주판부로부터 이격된 이격측 단부를 의미하고 있으며, 측판부의 기단 부분이란, 측판부에 있어서의 주판부에 근접한 근접측 단부를 의미하고 있다. 또, 내측면이란, 접속 단자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측의 벽면을 의미하고, 외측면이란, 반(反) 내부 공간측의 벽면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상세히 기술하면, 본원 발명에 관계된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각각의 측판부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이 마련되고, 각각의 측판부에 있어서의 기단 부분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와 다른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이 서로 걸림 결합하여 적층된다. 이 때문에, 조인트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케이스의 가장 말단에 있는 커넥터 케이스에 대해서 다른(別) 커넥터 케이스를 적층할 수가 있다. 또,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와 다른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을 평행으로 겹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서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를 용이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선단 부분에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상기 걸림 결합 홈이 상기 주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따르는 방향의 일방측 단부면(端面)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기단 부분에는, 상기 걸림 결합 홈 또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가 상기 주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따르는 방향의 일방측 단부면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의 타방측 단부면과 다른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결합 홈의 타방측 단부면이 맞닿은 상태로 적층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커넥터 케이스의 적층 작업에 있어서, 걸림 결합 갈고리의 타방측 단부면과 걸림 결합 홈의 타방측 단부면을 맞닿는 위치에 맞추어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또, 측판부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에 비하여 비교적 긴 걸림 결합 갈고리와 걸림 결합 홈이 마련되어, 서로에 의한 걸림 결합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케이스를 강고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로에 의한 걸림 결합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선단 부분에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상기 걸림 결합 홈을 갖는 연장부가 상기 주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따르는 방향의 일방측 단부면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기단 부분에는, 상기 걸림 결합 홈 또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를 갖는 단차부가 상기 주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따르는 방향의 일방측 단부면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부의 타방측 단부면과 다른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단차부의 타방측 단부면이 맞닿은 상태로 적층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커넥터 케이스의 적층 작업에 있어서, 연장부의 타방측 단부면과 단차부의 타방측 단부면을 맞닿는 위치에 맞추어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또, 측판부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에 비하여 비교적 긴 연장부와 단차부가 마련되어, 서로에 의한 끼워 맞춤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케이스를 강고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로에 의한 걸림 결합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주판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측판부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내측 판이 마련되고, 상기 주판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측판부에 대해서 수직이 되는 외측 판이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판의 일방측 단부면과 다른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판의 타방측 평면이 맞닿은 상태로 적층되어도 된다.
부언하면, 주판부의 내측면이란, 주판부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측의 벽면을 의미하고 있으며, 주판부의 외측면이란, 주판부에 있어서의 반(反) 내부 공간측의 벽면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커넥터 케이스의 적층 작업에 있어서, 내측 판의 일방측 단부면과 외측 판의 타방측 평면을 맞닿는 위치에 맞추어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또,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따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와 걸림 결합 홈에 대해, 내측 판과 외측 판이 수직으로 맞닿으므로,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점,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 결합 갈고리와 걸림 결합 홈은,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따라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방향으로 덜걱거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바, 내측 판과 외측 판은, 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 맞닿으므로, 서로가 일방측 또는 타방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규제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내측 판의 일방측 단부면에는,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내측 걸림 결합편(係合片)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판의 타방측 평면에는, 타방측으로 돌출하는 외측 걸림 결합편이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걸림 결합편과 다른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걸림 결합편이 서로 걸림 결합한 상태로 적층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내측 걸림 결합편과 다른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외측 걸림 결합편이 서로 걸림 결합되므로,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점,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넥터 케이스는, 적층 방향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이 방향으로 덜걱거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바, 내측 걸림 결합편과 외측 걸림 결합편은, 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 걸림 결합되므로, 서로가 근접측 또는 이격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규제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는, 복수의 접속 단자가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평행으로 수용되어 있고, 비전도성인 상기 내측 판이 인접하는 두 상기 접속 단자 사이에서 그(當該) 접속 단자를 따라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해, 비전도성인 내측 판이 인접하는 두 접속 단자 사이에서 접속 단자를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접속 단자의 단락(쇼트)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커넥터 케이스에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내측 판이 안내판으로서 기능하므로, 이러한 작업이 간단해진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확폭부(擴幅部)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확폭부의 선단면이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상기 걸림 결합 홈에 대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커넥터 케이스의 적층 작업에 있어서, 압입된 확폭부의 선단면에 맞닿아, 이 선단면을 따라 지지되므로, 이들 커넥터 케이스를 기울어짐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기 돌출부가 밴드 클램프의 안내 통로를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해, 돌출부를 따라 감긴 밴드 클램프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밴드 클램프를 사용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를 묶을 수가 있다. 또, 밴드 클램프를 사용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째 고정 대상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본원 발명에 관계된 조인트 커넥터와, 상기 조인트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기 커넥터 케이스의 상기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전선을 갖고 있는 커넥터가 달린 전선이어도 된다. 
부언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인트 커넥터란, 전술한 각 발명에 관계된 조인트 커넥터를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접속 단자에 의해서 접속되는 일방측 전선과 타방측 전선의 사양이 달라도,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전기 케이블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케이블에 있어서, 전선이 흐트러지거나 얽히는 것을 방지하여 간소하게 하나로 정리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적어도 일방측의 상기 전선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어도 된다. 
부언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란, 평행으로 배열된 도전체를 시트형 절연체 사이에 끼워넣은(절연체로 집은) 것을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 의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다른 사양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전기 케이블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케이블에 있어서, 전선이 흐트러지거나 얽히는 것을 방지하여 간소하게 하나로 정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 케이스로서, 상기 접속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주판부와, 상기 주판부에 대해서 수직이면서 서로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상기 측판부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이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측판부에 있어서의 기단 부분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커넥터 케이스를 적층해서 구성되는 조인트 커넥터에 대하여,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가 달린 전선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가 달린 전선을 구성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조인트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본 정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본 평면도.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본 측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X-X 시시(矢視) 단면도.
도 8은, 조인트 커넥터의 조립 설명도.
도 9는, 조인트 커넥터의 조립 설명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본원에 있어서는, 모든 도면에서 조인트 커넥터(4)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자세하게는 화살표 F가 전방측을 나타내고, 화살표 B가 후방측을 나타내고, 화살표 R이 우방측을 나타내고, 화살표 L이 좌방측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화살표 U가 상방측을 나타내고, 화살표 D가 하방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커넥터가 달린 전선(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가 달린 전선(1)을 구성하는 조인트 커넥터(4)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조인트 커넥터(4)를 구성하는 커넥터 케이스(10)의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X-X시시(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조인트 커넥터(4)의 조립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가 달린 전선(1)은, 복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복수의 피복 케이블(3)을 조인트 커넥터(4)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 및 피복 케이블(3)은, 전선의 한 양태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커넥터(4)는, 커넥터 케이스(10)를 적층해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커넥터 케이스(10)는, 비전도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 단자(20)를 수용할 수가 있다. 이하에, 커넥터 케이스(10) 및 접속 단자(2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케이스(10)는, 주판부(11)와, 상방 측판부(12)와 하방 측판부(13)를 가지고 있다. 본원에 개시하는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는, 주판부(11)와 상방 측판부(12)와 하방 측판부(13)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공간을 내부 공간(S)이라 한다. 내부 공간(S)에는, 1개 내지 4개의 접속 단자(20)를 수용할 수가 있다.
주판부(11)는, 조인트 커넥터(4)의 전후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판부(11)에는, 그의 내측면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세 장의 내측 판(111)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내측 판(111)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에 대해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에 있어서 가장 높게(주판부(11)로부터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선단 부분에는, 좌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내측 걸림 결합편(112)이 마련되어 있다.
또, 주판부(11)에는, 그의 외측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한 장의 외측 판(113)이 마련되어 있다. 외측 판(113)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보다도 약간 좌방측에서 상하 방향에 대해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일정 높이(주판부(11)로부터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선단 부분에는, 우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외측 걸림 결합편(114)이 마련되어 있다. 부언하면, 외측 판(113)과 외측 걸림 결합편(114)만이 상하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고, 주판부(11)에 있어서의 휨(撓) 변형의 억제에 기여하고 있다.
상방 측판부(12)는, 조인트 커넥터(4)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방 측판부(12)의 선단 부분에는, 좌방측 단부면(12a)(도 4 및 도 5 참조)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이 상방 측판부(12)를 연장하도록 연장부(121)가 마련되어 있다. 연장부(121)는, 일정 두께로 상방측에서 보아 직사각형(矩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선단 부분에는, 대향하는 하방 측판부(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하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결합 갈고리(122)는, 연장부(121)의 좌방측 단부면(상방 측판부(12)의 좌방측 단부면(12a))으로부터 우방측 단부면(12b)(도 4 참조)까지 주판부(11)에 대해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방 측판부(12)의 기단 부분에는, 좌방측 단부면(12a)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이 상방 측판부(12)의 외측면을 파내려가듯이 해서 단차부(123)가 마련되어 있다. 단차부(123)는, 일정 깊이로 상방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저면에는, 대향하는 하방 측판부(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하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124)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 결합 홈(124)은, 단차부(123)의 좌방측 단부면(상방 측판부(12)의 좌방측 단부면(12a))으로부터 우방측 단부면(12c)(도 5 참조)까지 주판부(11)에 대해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언하면, 걸림 결합 홈(124)의 우방측 단부면은, 단차부(123)의 우방측 단부면(12c)과 동등하다.
또한, 상방 측판부(12)의 좌방측 단부면(12a)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이 상방 측판부(12)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하방 측판부(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하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확폭부(125)가 마련되어 있다. 확폭부(125)는, 일정 두께로 전방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확폭부(125)는, 상방 측판부(12)와 동등한 높이(주판부(11)로부터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선단면(12d)(도 4 및 도 6 참조)이 상방 측판부(12)의 선단면과 단차 없이 이어져 있다. 이렇게 해서, 확폭부(125)의 선단면(12d)이 걸림 결합 갈고리(122)에 대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상방 측판부(12)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하방 측판부(13)에 대해서 이격되는 방향(상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돌출부(126)가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돌출부(126)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보다도 약간 좌방측에 마련되고, 타방의 돌출부(126)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보다도 약간 우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돌출부(126) 사이를 지나도록 밴드 클램프(5)를 휘감을 수가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부언하면, 이들 돌출부(126)는, 상방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 이들 돌출부(126)는, 서로 동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하방 측판부(13)는, 조인트 커넥터(4)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방 측판부(13)의 선단 부분에는, 좌방측 단부면(13a)(도 4 및 도 5 참조)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이 하방 측판부(13)를 연장하도록 연장부(131)가 마련되어 있다. 연장부(131)는, 일정 두께로 하방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선단 부분에는, 대향하는 상방 측판부(12)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상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132)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결합 갈고리(132)는, 연장부(131)의 좌방측 단부면(하방 측판부(13)의 좌방측 단부면(13a))으로부터 우방측 단부면(13b)(도 4 참조)까지 주판부(11)에 대해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하방 측판부(13)의 기단 부분에는, 좌방측 단부면(13a)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이 하방 측판부(13)의 외측면을 파내려가듯이 해서 단차부(133)가 마련되어 있다. 단차부(133)는, 일정 깊이로 하방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저면에는, 대향하는 상방 측판부(12)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상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134)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 결합 홈(134)은, 단차부(133)의 좌방측 단부면(하방 측판부(13)의 좌방측 단부면(13a))으로부터 우방측 단부면(13c)(도 5 참조)까지 주판부(11)에 대해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언하면, 걸림 결합 홈(134)의 우방측 단부면은, 단차부(133)의 우방측 단부면(13c)과 동등하다.
또한, 하방 측판부(13)의 좌방측 단부면(13a)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이 하방 측판부(13)의 내측면은, 대향하는 상방 측판부(12)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상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확폭부(135)가 마련되어 있다. 확폭부(135)는, 일정 두께로 전방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확폭부(135)는, 하방 측판부(13)와 동등한 높이(주판부(11)로부터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선단면(13d)(도 4 및 도 6 참조)이 하방 측판부(13)의 선단면과 단차 없이 이어져 있다. 이렇게 해서, 확폭부(135)의 선단면(13d)이 걸림 결합 갈고리(132)에 대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하방 측판부(13)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상방 측판부(12)에 대해서 이격되는 방향(하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돌출부(136)가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돌출부(136)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보다도 약간 좌방측에 마련되고, 타방의 돌출부(136)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보다도 약간 우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돌출부(136) 사이를 지나도록 밴드 클램프(5)를 휘감을 수가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부언하면, 이들 돌출부(136)는, 하방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 이들 돌출부(136)는, 서로 동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124, 134)이 서로 걸림 결합하여 적층된다. 이 때,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한 변의 길이에 비하여 비교적 긴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걸림 결합 홈(124, 134)이 서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걸림 결합되므로,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강고하게 적층할 수가 있다. 또, 비교적 긴 연장부(121, 131)와 단차부(123, 133)가 서로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끼워 맞춰지므로,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강고하게 적층할 수가 있다.
또한,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걸림 결합 홈(124, 134)은, 좌우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데 비하여, 내측 판(111)과 외측 판(113)은, 좌우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상하 방향을 따라 맞닿으므로, 서로가 좌방측 또는 우방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규제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커넥터 케이스(10)는, 적층 방향으로 적층되는 데 비하여, 내측 걸림 결합편(112)과 외측 걸림 결합편(114)은, 이 적층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상하 방향을 따라 걸림 결합되므로, 서로가 근접측 또는 이격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규제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두 커넥터 케이스(10)가 적층된 상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의 우방측 단부면과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124, 134)의 우방측 단부면이 맞닿는다. 그리고,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의 우방측 단부면과 연장부(121, 131)의 우방측 단부면(12c, 13c)이 동등하고, 걸림 결합 홈(124, 134)의 우방측 단부면과 단차부(123, 133)의 우방측 단부면(12c, 13c)이 동등하다는 점에서,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연장부(121, 131)의 우방측 단부면(12b, 13b)과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단차부(123, 133)의 우방측 단부면(12c, 13c)도 맞닿는다. 따라서,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주판부(11)에 마련된 내측 판(111)과 내측 판(111) 사이 그리고 내측 판(111)과 확폭부(125, 135) 사이에는, 돌기부(115)가 마련되어 있고, 이 돌기부(115)에 접속 단자(20)가 끼워 맞춰진 상태로 보유지지된다. 접속 단자(20)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평행으로 보유지지되어 있고, 접속 단자(20)가 인접해서 보유지지되는 개소에 있어서는, 내측 판(111)이 두 접속 단자(20) 사이에서 접속 단자(20)를 따라 배치되게 된다.
또, 접속 단자(20)는, 우방측 단부에 피어스 접속부(21)가 마련되어 있고, 좌방측 단부에 배럴 접속부(22)가 마련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피어스 접속부(21)는, 피어스(pierce)에 관통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코오킹함으로써, 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1 참조). 또, 배럴 접속부(22)는, 배럴에 삽통된 피복 케이블(3)을 코오킹함으로써, 이 피복 케이블(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1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접속 단자(20)는, 일방측 전선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타방측 전선인 피복 케이블(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부언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은, 한 장에 대해 복수의 도전체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접속 단자(20)를 수용한 커넥터 케이스(10)는, 한 장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복수의 피복 케이블(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커넥터 케이스(10)를 적층해서 구성된 조인트 커넥터(4)는, 여러 장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그것보다도 많은 여러 가닥의 피복 케이블(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8을 사용하여, 접속 단자(20)를 수용한 커넥터 케이스(10)를 적층하는 조인트 커넥터(4)의 조립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조인트 커넥터(4)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는 방향을 적층 방향(D)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124, 134)을 평행으로 겹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서 압입함으로써, 커넥터 케이스(10)를 적층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는, 단차부(123, 133)의 단부 변(端邊)을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가 타고 넘은 후에,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걸림 결합 홈(124, 134)이 걸림 결합되므로, 적당한 절도감(節度感, 걸림이 이루어진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또,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의 우방측 단부면과 걸림 결합 홈(124, 134)의 우방측 단부면을 맞닿는 위치에 맞추어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이 점, 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의 우방측 단부면과 연장부(121, 131)의 우방측 단부면이 동등하고, 걸림 결합 홈(124, 134)의 우방측 단부면과 단차부(123, 133)의 우방측 단부면도 동등하다는 점에서, 연장부(121, 131)의 우방측 단부면과 단차부(123, 133)의 우방측 단부면을 맞닿는 위치에 맞추어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조인트 커넥터(4)는, 접속 단자(20)를 수용한 커넥터 케이스(10)를 적층해서 구성된다. 커넥터 케이스(10)는, 접속 단자(20)를 보유지지하는 주판부(11)와, 주판부(11)에 대해서 수직이면서 서로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한 쌍의 측판부(상방 측판부(12) 및 하방 측판부(13))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가 마련되고, 각각의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기단 부분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124, 13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124, 134)이 서로 걸림 결합하여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4)에 의하면,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10)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상세히 기술하면, 본원 발명에 관계된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 각각의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가 마련되고, 각각의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기단 부분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124, 13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124, 134)이 서로 걸림 결합하여 적층된다. 이 때문에, 조인트 커넥터(4)를 구성하는 커넥터 케이스(10)의 가장 말단에 있는 커넥터 케이스(10)에 대해서 다른 커넥터 케이스(10)를 적층할 수가 있다. 또,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124, 134)을 평행으로 겹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서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용이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10)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또,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 각각의 측판부(12, 13)의 선단 부분에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가 주판부(11) 그리고 측판부(12, 13)를 따르는 방향의 좌방측 단부면(12a, 13a)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각각의 측판부(12, 13)의 기단 부분에는, 걸림 결합 홈(124, 134)이 주판부(11) 그리고 측판부(12, 13)를 따르는 방향의 좌방측 단부면(12a, 13a)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의 우방측 단부면(12b, 13b)과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124, 134)의 우방측 단부면(12c, 13c)이 맞닿은 상태로 적층된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4)에 의하면, 커넥터 케이스(10)의 적층 작업에 있어서,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의 우방측 단부면(12b, 13b)과 걸림 결합 홈(124, 134)의 우방측 단부면(12c, 13c)을 맞닿는 위치에 맞추어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또,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에 비하여 비교적 긴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걸림 결합 홈(124, 134)이 마련되어, 서로에 의한 걸림 결합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케이스(10)를 강고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로에 의한 걸림 결합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 각각의 측판부(12, 13)의 선단 부분에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를 가지는 연장부(121, 131)가 주판부(11) 그리고 측판부(12, 13)를 따르는 방향의 좌방측 단부면(12a, 13a)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각각의 측판부(12, 13)의 기단 부분에는, 걸림 결합 홈(124, 134)을 가지는 단차부(123, 133)가 주판부(11) 그리고 측판부(12, 13)를 따르는 방향의 좌방측 단부면(12a, 13a)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연장부(121, 131)의 우방측 단부면(12b, 13b)과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단차부(123, 133)의 우방측 단부면(12c, 13c)이 맞닿은 상태로 적층된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4)에 의하면, 커넥터 케이스(10)의 적층 작업에 있어서, 연장부(121, 131)의 우방측 단부면(12b, 13b)과 단차부(123, 133)의 우방측 단부면(12c, 13c)을 맞닿는 위치에 맞추어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또,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에 비하여 비교적 긴 연장부(121, 131)와 단차부(123, 133)가 마련되어, 서로에 의한 끼워 맞춤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케이스(10)를 강고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로에 의한 끼워 맞춤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 주판부(11)의 내측면에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내측 판(111)이 마련되고, 주판부(11)의 외측면에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수직이 되는 외측 판(11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내측 판(111)의 좌방측 단부면과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외측 판(113)의 우방측 평면이 맞닿은 상태로 적층된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4)에 의하면, 커넥터 케이스(10)의 적층 작업에 있어서, 내측 판(111)의 좌방측 단부면과 외측 판(113)의 우방측 평면을 맞닿는 위치에 맞추어 압입함으로써,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또, 좌방측으로부터 우방측을 따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걸림 결합 홈(124, 134)에 대해, 내측 판(111)과 외측 판(113)이 수직으로 맞닿으므로,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점,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걸림 결합 홈(124, 134)은, 좌우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좌우 방향으로 덜걱거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바, 내측 판(111)과 외측 판(113)은, 이 좌우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상하 방향을 따라 맞닿으므로, 서로가 좌방측 또는 우방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규제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 내측 판(111)의 좌방측 단부면에는, 좌방측으로 돌출하는 내측 걸림 결합편(112)이 마련되고, 외측 판(113)의 우방측 평면에는, 우방측으로 돌출하는 외측 걸림 결합편(11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내측 걸림 결합편(112)과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외측 걸림 결합편(114)이 서로 걸림 결합한 상태로 적층된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4)에 의하면,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내측 걸림 결합편(112)과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외측 걸림 결합편(114)이 서로 걸림 결합되므로,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점,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넥터 케이스(10)는, 적층 방향(D)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이 적층 방향(D)에 덜걱거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바, 내측 걸림 결합편(112)과 외측 걸림 결합편(114)은, 이 적층 방향(D)에 대해서 수직인 상하 방향을 따라 걸림 결합되므로, 서로가 근접측 또는 이격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규제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 커넥터 케이스(10)에는, 복수의 접속 단자(20)가 좌방측으로부터 우방측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평행으로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비전도성인 내측 판(111)이 인접하는 두 접속 단자(20) 사이에서 접속 단자(20)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4)에 의하면, 비전도성인 내측 판(111)이 인접하는 두 접속 단자(20) 사이에서 접속 단자(20)를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접속 단자(20)의 단락(쇼트)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커넥터 케이스(10)에 접속 단자(20)를 수용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내측 판(111)이 안내판으로서 기능하므로, 이러한 작업이 간단해진다.
또,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 각각의 측판부(12, 13)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확폭부(125, 13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확폭부(125, 135)의 선단면(12d, 13d)이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에 대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4)에 의하면, 커넥터 케이스(10)의 적층 작업에 있어서, 압입된 주판부(11)가 확폭부(125, 135)의 선단면(12d, 13d)에 맞닿고, 이 선단면(12d, 13d)을 따라 지지되므로,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기울어짐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또,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 각각의 측판부(12, 13)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6, 13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각각의 돌출부(126, 136)가 밴드 클램프(5)의 안내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4)에 의하면, 돌출부(126, 136)를 따라 감긴 밴드 클램프(5)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밴드 클램프(5)를 사용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를 묶을 수가 있다. 또, 밴드 클램프(5)를 사용하여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10)째 고정 대상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 본원 발명에 관계된 조인트 커넥터(4)와, 조인트 커넥터(4)를 구성하는 커넥터 케이스(10)의 접속 단자(20)에 접속된 전선(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 및 피복 케이블(3))을 가지는 커넥터가 달린 전선(1)을 발명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부언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인트 커넥터(4)란, 전술한 각 발명에 관계된 조인트 커넥터(4)를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가 달린 전선(1)에 의하면, 접속 단자(20)에 의해서 접속되는 일방측의 전선(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타방측의 전선(피복 케이블(3))의 사양이 다르더라도,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전기 케이블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케이블에 있어서, 전선(2, 3)이 흐트러지거나 얽히는 것을 방지하여 간소하게 하나로 정리할 수가 있다.
또, 커넥터가 달린 전선(1)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측의 전선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다. 
부언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란, 평행으로 배열된 도전체를 시트형의 절연체 사이에 끼워넣은(절연체로 집은) 것을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가 달린 전선(1)에 의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다른 사양의 전선(피복 케이블(3))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전기 케이블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케이블에 있어서, 전선(2, 3)이 흐트러지거나 얽히는 것을 방지하여 간소하게 하나로 정리할 수가 있다.
또한, 접속 단자(20)를 수용하는 커넥터 케이스(10)는, 접속 단자(20)를 보유지지하는 주판부(11)와, 주판부(11)에 대해서 수직이면서 서로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한 쌍의 측판부(상방 측판부(12) 및 하방 측판부(13))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가 마련되고, 각각의 측판부(12, 13)에 있어서의 기단 부분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12, 13)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124, 134)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 케이스(10)에 의하면, 커넥터 케이스(10)를 적층해서 구성되는 조인트 커넥터(4)에 대하여,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적층되는 커넥터 케이스(10)의 개수에 대하여 제한을 없애고, 나아가서는 단자 수를 용이하고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전술한 실시형태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커넥터가 달린 전선은 커넥터가 달린 전선(1)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전선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 및 피복 케이블(3)에 대응하고,
조인트 커넥터는 조인트 커넥터(4)에 대응하고,
커넥터 케이스는 커넥터 케이스(10)에 대응하고,
주판부는 주판부(11)에 대응하고,
측판부는 상방 측판부(12) 및 하방 측판부(13)에 대응하고,
내측 판은 내측 판(111)에 대응하고,
내측 걸림 결합편은 내측 걸림 결합편(112)에 대응하고,
외측 판은 외측 판(113)에 대응하고,
외측 걸림 결합편은 외측 걸림 결합편(114)에 대응하고,
연장부는 연장부(121) 및 연장부(131)에 대응하고,
걸림 결합 갈고리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및 걸림 결합 갈고리(132)에 대응하고,
단차부는 단차부(123) 및 단차부(133)에 대응하고,
걸림 결합 홈은 걸림 결합 홈(124) 및 걸림 결합 홈(134)에 대응하고,
확폭부는 확폭부(125) 및 확폭부(135)에 대응하고,
돌출부는 돌출부(126) 및 돌출부(136)에 대응하고,
접속 단자는 접속 단자(20)에 대응하고,
적층 방향은 적층 방향(D)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많은 실시형태를 얻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하는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는, 접속 단자(2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일방측의 전선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고, 타방측의 전선이 둥근 단면(丸斷面) 형상의 피복 케이블(3)이다. 그러나, 접속 단자(20)를 바꿈으로써 양방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 접속되어도 된다. 혹은 양방에 피복 케이블(3)이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하는 조인트 커넥터(4)에 있어서는, 하나의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와 다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홈(124, 134)을 측방(좌우 방향)으로부터 서로 끼워 맞춰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커넥터 케이스(10)를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는, 내측 판(111)의 장변(長邊)을 외측 판(113)이 타고 넘은 후에, 내측 판(111)의 좌방측 단부면과 외측 판(113)의 우방측 평면이 맞닿음과 함께, 내측 걸림 결합편(112)과 외측 걸림 결합편(114)이 걸림 결합되므로, 적당한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
또,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의 우방측 단부면과 걸림 결합 홈(124, 134)의 우방측 단부면이 맞닿아서 적절한 위치에서 멈추므로,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이 점, 본 커넥터 케이스(10)에 있어서는, 걸림 결합 갈고리(122, 132)의 우방측 단부면과 연장부(121, 131)의 우방측 단부면이 동등하고, 걸림 결합 홈(124, 134)의 우방측 단부면과 단차부(123, 133)의 우방측 단부면도 동등하다는 점에서, 연장부(121, 131)의 우방측 단부면과 단차부(123, 133)의 우방측 단부면이 맞닿아서 적절한 위치에서 멈추므로, 이들 커넥터 케이스(10)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가 있다.
1: 커넥터가 달린 전선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3: 피복 케이블
4: 조인트 커넥터
10: 커넥터 케이스
11: 주판부
12: 상방 측판부
13: 하방 측판부
111: 내측 판
112: 내측 걸림 결합편
113: 외측 판
114: 외측 걸림 결합편
121: 연장부
122: 걸림 결합 갈고리
123: 단차부
124: 걸림 결합 홈
125: 확폭부
126: 돌출부
131: 연장부
132: 걸림 결합 갈고리
133: 단차부
134: 걸림 결합 홈
135: 확폭부
136: 돌출부
20: 접속 단자
D: 적층 방향

Claims (11)

  1. 접속 단자를 수용한 커넥터 케이스를 적층해서 구성되는 조인트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케이스는, 상기 접속 단자를 보유지지(保持)하는 주판부와, 상기 주판부에 대해서 수직이면서 서로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상기 측판부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이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측판부에 있어서의 기단 부분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가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와 다른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결합 홈이 서로 걸림 결합하여 적층된
    조인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선단 부분에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상기 걸림 결합 홈이 상기 주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따르는 방향의 일방측 단부면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기단 부분에는, 상기 걸림 결합 홈 또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가 상기 주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따르는 방향의 일방측 단부면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의 타방측 단부면과 다른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결합 홈의 타방측 단부면이 맞닿은 상태로 적층된
    조인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선단 부분에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상기 걸림 결합 홈을 갖는 연장부가 상기 주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따르는 방향의 일방측 단부면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기단 부분에는, 상기 걸림 결합 홈 또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를 갖는 단차부가 상기 주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따르는 방향의 일방측 단부면으로부터 중도부까지의 사이에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부의 타방측 단부면과 다른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단차부의 타방측 단부면이 맞닿은 상태로 적층된
    조인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판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측판부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내측 판이 마련되고, 상기 주판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측판부에 대해서 수직이 되는 외측 판이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판의 일방측 단부면과 다른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판의 타방측 평면이 맞닿은 상태로 적층된
    조인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판의 일방측 단부면에는,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내측 걸림 결합편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판의 타방측 평면에는, 타방측으로 돌출하는 외측 걸림 결합편이 마련되고,
    하나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걸림 결합편과 다른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걸림 결합편이 서로 걸림 결합한 상태로 적층된
    조인트 커넥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케이스에는, 복수의 접속 단자가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평행으로 수용되어 있고,
    비전도성인 상기 내측 판이 인접하는 두 상기 접속 단자 사이에서 그(當該) 접속 단자를 따라 배치된
    조인트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확폭부(擴幅部)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확폭부의 선단면이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상기 걸림 결합 홈에 대해서 평행하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조인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적층된 커넥터 케이스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기 돌출부가 밴드 클램프의 안내 통로를 구성한 조인트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인트 커넥터와,
    상기 조인트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기 커넥터 케이스의 상기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전선을 갖고 있는
    커넥터가 달린 전선.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측의 상기 전선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인
    커넥터가 달린 전선.
  11.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 케이스로서,
    상기 접속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주판부와, 상기 주판부에 대해서 수직이면서 서로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상기 측판부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의 내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이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측판부에 있어서의 기단 부분의 외측면에는, 대향하는 측판부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몰하는 걸림 결합 홈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가 마련된
    커넥터 케이스.
KR1020237033242A 2021-03-23 2022-03-03 조인트 커넥터, 커넥터가 달린 전선 및 커넥터 케이스 KR20230150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48749 2021-03-23
JPJP-P-2021-048749 2021-03-23
PCT/JP2022/009073 WO2022202183A1 (ja) 2021-03-23 2022-03-03 ジョイントコネクタ、コネクタ付電線及びコネクタ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372A true KR20230150372A (ko) 2023-10-30

Family

ID=8339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242A KR20230150372A (ko) 2021-03-23 2022-03-03 조인트 커넥터, 커넥터가 달린 전선 및 커넥터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06801A1 (ko)
EP (1) EP4318824A1 (ko)
JP (1) JP7214934B1 (ko)
KR (1) KR20230150372A (ko)
CN (1) CN117044045A (ko)
WO (1) WO202220218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735A (ja) 2007-09-07 2009-03-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及びそのサブハウジングの色設定方法
JP2014112497A (ja) 2012-12-05 2014-06-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ジョイント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583A (ja) * 1988-11-29 1990-06-07 Yazaki Corp 多段式コネクタ
JP3530046B2 (ja) * 1998-11-13 2004-05-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879057B2 (ja) * 2001-03-30 2007-02-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105684222B (zh) * 2013-11-06 2019-07-0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接线端子及电线组件
JP6599151B2 (ja) * 2015-07-23 2019-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積層タイプコネクタのガタ詰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735A (ja) 2007-09-07 2009-03-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及びそのサブハウジングの色設定方法
JP2014112497A (ja) 2012-12-05 2014-06-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ジョイント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14934B1 (ja) 2023-01-30
CN117044045A (zh) 2023-11-10
JPWO2022202183A1 (ko) 2022-09-29
US20240006801A1 (en) 2024-01-04
WO2022202183A1 (ja) 2022-09-29
EP4318824A1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3577B1 (en) Electrical contact
JPH0538547Y2 (ko)
US5194014A (en) Cable connector and contact terminal therefor
EP2629374A1 (en) Connector
JP5682997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70346248A1 (en) Connection Cage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Flat Contacts
US9318833B2 (en) Connector housing
US5087210A (en) Wire-to-wir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US20100175906A1 (en) Wire connection unit
KR20140016817A (ko) 전기 단자
US4089579A (en) Ribbon connector constructions
KR100987622B1 (ko) 와이어 정렬 기능을 가지며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커넥터
KR20230150372A (ko) 조인트 커넥터, 커넥터가 달린 전선 및 커넥터 케이스
US7309249B2 (en) Connector for joining two conductors
EP3671959A1 (en) Connector
US7070442B2 (en) Structure for press-connecting sheathe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JP3340325B2 (ja) 複数段にケーブル列を配する電気コネクタ
CN212392406U (zh) 电连接器
US9048555B2 (en) Wire connector
KR101168545B1 (ko) 헤더
US6948974B2 (en) End-processing structure of flat cable and method of end-processing of flat cable
JPWO2022202183A5 (ko)
US4165145A (en) Ribbon connector constructions
KR102338051B1 (ko) 동축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JP7221910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後部カバ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