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545B1 - 헤더 - Google Patents

헤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545B1
KR101168545B1 KR1020110004591A KR20110004591A KR101168545B1 KR 101168545 B1 KR101168545 B1 KR 101168545B1 KR 1020110004591 A KR1020110004591 A KR 1020110004591A KR 20110004591 A KR20110004591 A KR 20110004591A KR 101168545 B1 KR101168545 B1 KR 10116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header
post
contac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844A (ko
Inventor
츠요시 야마네
겐지 오쿠라
미츠루 이이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8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4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ight sources co-operating with movable members, e.g. with shutters to cover or uncover the light source
    • G09F13/36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ight sources co-operating with movable members, e.g. with shutters to cover or uncover the light source co-operating with rotating scree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movement of parts, e.g. by movement of reflectors 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2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박형화가 가능한 헤더를 제공한다. 헤더(1)가 구비하는 금속제의 쉘(5)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의 커버부(51) 및 아암부(52)와, 각각 아암부(52)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접속되는 케이블(C)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보디(3)를 끼우는 측벽부(53)와, 측벽부(52)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아암부(52)와의 사이에 보디(3)를 끼우는 끼움부(54)를 갖는다. 쉘(5)은 도전부인 포스트를 유지하는 보디(3)에 대해 부착될 때, 보디(3)에 대해 케이블(C)의 길이 방향 중 소정의 방향 A1로 평행 이동됨으로써, 각 끼움부(54)와 아암부(52) 사이에, 각각 보디(3)에 있어서 케이블(C)이 배열되는 방향에서의 단부가 도입된다. 보디(3)에는 걸림 볼록부(33a)가 마련되어 있고, 쉘(5)에는 보디(3)에 대해 부착되는 과정에서 쉘(5)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볼록부(33a)를 타고 넘는 피걸림 볼록부(54a)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헤더{HEADER}
본 발명은 전선과 프린트 배선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소켓과 함께 구성하는 헤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방향을 정렬해서 배열한 복수의 전선 중의 1개씩이 접속되는 단자부를 갖는 복수의 포스트 및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포스트를 유지하는 보디를 갖는 헤더와,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헤더의 포스트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콘택트 및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헤더에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소켓을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되어 있다. 즉, 소켓에 대해 헤더를 결합시키면, 각각 헤더의 포스트에 접속된 복수의 전선과, 소켓의 각 콘택트가 각각 실장된 프린트배선판 등과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도 9~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정렬해서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1열로 배열한 복수(예를 들면, 40개)의 동축 케이블(C)이 접속되는 헤더(1)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헤더(1)는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축 케이블(C)의 심선(C1)에 접속되는 복수의 포스트(2)와, 포스트(2)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유지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보디(3)를 갖는다. 이하, 상하 방향은 도 9를 기준으로 한다. 즉, 소켓에 대해 헤더(1)가 위치하는 측을 상측으로 한다. 또한, 케이블(C)이 배열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또한, 케이블(C)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헤더(1)로부터 케이블(C)이 도출되는 방향을 후방향으로 한다.
각 포스트(2)는 각각, 보디(3)의 상측에 노출되어 케이블(C)의 심선(C1)이 납땜되는 단자부(21)와, 보디(3)의 하측에 노출되어 소켓의 콘택트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부(22)를 갖는다.
또한, 보디(3)에는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전자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쉘(5)이 부착된다. 헤더(1)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C)의 편조선(braided wire)(C2)의 상하에는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바(ground bar)(GB)가 납땜되어 있고, 각 동축 케이블(C)의 편조선(C2) 및 각 그라운드 바(GB)도 상측에서 봤을 때, 쉘(5)의 본체부(5a)에 덮인다. 쉘(5)은, 예를 들면, 금속판에 펀칭 가공과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고, 좌우로 길게 보디(3)의 상측을 덮는 본체부(5a)와, 본체부(5a)의 좌우 양단부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잘라서 구부려진 결합편(5b)을 갖는다. 각 결합편(5b)에는 각각 결합 구멍(5c)이 좌우로 관통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보디(3)의 좌우의 단면에는 각각 상하에 개방된 오목부(3a)가 마련되고, 오목부(3a)의 저면에는 결합 볼록부(3b)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결합 볼록부(3b)의 상단부에는 오목부(3a)의 저면으로부터의 돌출치수가 위쪽을 향해 갈수록 작아지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보디(3)에 대해 쉘(5)을 부착할 때에는 보디(3)의 각 오목부(3a)에 대해 각각 쉘(5)의 결합편(5b)을 위쪽으로부터 밀어 넣는다. 그러면, 각 결합편(5b)의 하단부가 각각 결합 볼록부(3b)의 상단부의 경사면으로 슬라이딩 접촉해서 쉘(5)은 결합편(5b)의 하단부간의 거리를 크게 하도록 탄성 변형되고, 이윽고 각 결합 볼록부(3b)가 각각 결합 구멍(5c)에 달하면 쉘(5)이 탄성 복귀하여 각 결합 볼록부(3b)가 각각 결합 구멍(5c)에 걸어 넣어진다. 여기에 있어서, 각 결합 볼록부(3b)의 결합 구멍(5c)으로의 걸어 넣음에 의해, 보디(3)에 대한 쉘(5)의 위쪽으로의 탈락은 방지되고, 보디(3)에 대한 쉘(5)의 부착은 완료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7-149709 호
상기와 같은 커넥터가 이용되는 전자기기의 소형화를 위해, 상기의 헤더(1)에 있어서도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박형화가 가능한 헤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콘택트 및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콘택트를 각각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소켓과 함께 커넥터를 구성하는 헤더로서,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방향을 정렬해서 배열한 복수의 전선 중의 1개가 접속되는 단자부와 소켓의 콘택트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포스트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포스트를 각각 유지하는 보디와,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보디와의 사이에 포스트의 단자부를 끼우는 형태로 보디에 대해 결합하는 쉘을 구비하고, 쉘은 편평한 형상으로서 보디와의 사이에 포스트의 단자부를 끼우는 본체부와, 각각 본체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포스트에 접속되는 전선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보디를 끼우는 측벽부와, 측벽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본체부와의 사이에 보디를 끼우는 끼움부를 갖고, 쉘은 보디에 대해 부착될 때, 보디에 대해 전선의 길이 방향 중 소정의 방향으로 평행 이동됨으로써, 각 끼움부와 본체부 사이에, 각각 보디에 있어서 전선이 배열되는 방향에서의 단부가 도입되는 것으로서, 보디에는 쉘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보디에 대한 쉘의 변위량으로서 보디에 대해 부착될 때의 평행 이동의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제한부와, 쉘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보디에 대한 쉘의 변위량으로서 상기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쉘에는 보디에 대해 부착되는 과정에서 쉘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부를 타고 넘는 피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더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피걸림부는 각 끼움부에 각각 마련되고, 끼움부간의 거리를 크게 하는 바와 같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부를 타고 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피걸림부는 본체부에 마련되고, 본체부와 끼움부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는 바와 같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부를 타고 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중의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 보디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보디에는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쉘의 본체부와의 사이에 각 포스트를 각각 끼우는 형상의 인서트 쉘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쉘은 인서트 쉘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쉘은 편평한 형상으로서 보디와의 사이에 각 포스트의 단자부를 끼우는 본체부와, 각각 본체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포스트에 접속되는 전선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보디를 끼우는 측벽부와, 측벽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본체부와의 사이에 보디를 끼우는 끼움부를 갖고, 쉘은 보디에 대해 부착될 때, 보디에 대해 전선의 길이 방향 중 소정의 방향으로 평행 이동됨으로써, 각 끼움부와 본체부 사이에, 각각 보디에 있어서 전선이 배열되는 방향에서의 단부가 도입되는 것으로서, 보디에는 쉘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보디에 대한 쉘의 변위량으로서 보디에 대해 부착될 때의 평행 이동의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제한부와, 쉘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보디에 대한 쉘의 변위량으로서 상기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쉘에는 보디에 대해 부착되는 과정에서 쉘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부를 타고 넘는 피걸림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헤더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보디에 쉘이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보디에 쉘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 쉘이 분리된 것을 도 2와는 반대의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을 도 2와는 반대의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의 변경예에 있어서의 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 쉘이 분리된 것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 쉘이 분리된 것의 별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 쉘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헤더(1)는 방향을 정렬해서 직선형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C)이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서, 프린트 배선판(도시하지 않음)에 실장되는 소켓(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상기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C)을 각각 프린트 배선판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구성한다.
헤더(1)가 접속되는 상기의 소켓은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납땜 등에 의해서 프린트 배선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콘택트를 각각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1)는 각각, 예를 들면, 금속판에 펀칭 가공과 구부림 가공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포스트(2)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각 포스트(2)를 각각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유지한 보디(3)를 구비한다. 이하, 상하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동축 케이블(C)이 배열되는 방향(도 2에서의 좌측하부-우측상부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또한, 동축 케이블(C)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헤더(1)로부터 동축 케이블(C)이 인출되는 방향을 후방향으로 한다. 상기의 소켓은 헤더(1)의 하측에 위치한다. 또, 상기의 방향은 어디까지 설명의 편의상 정의하는 것으로서, 실제의 사용 상태에서의 방향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각 포스트(2)는 각각,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동축 케이블(C)의 심선(C1)이 납땜에 의해 접속되는 단자부(21)와, 소켓의 콘택트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22)를 갖는다.
보디(3)는 좌우로 길게 상하로 편평한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각각 좌우 방향의 외측 방향에 돌출설치된 아암부(32)를 갖는다. 본체부(31)의 하면(도 3에 있어서의 상면)에는 뒤쪽에 개방된 수납 오목부(30)가 마련되어 있고, 각 포스트(2)의 단자부(21)는 각각 수납 오목부(30)내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C)의 심선(C1)에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각각 좌우로 길게 상하에 편평한 직방체형상으로서 각 동축 케이블(C)을 상하로부터 끼우는 형태로 각 동축 케이블(C)의 편조선(C2)에 납땜되는 동시에 수납 오목부(30)내에 수납되는 2개의 그라운드 바(GB)를 구비한다. 또한, 각 포스트(2)의 접촉부(22)는 각각 수납 오목부(30)의 개구보다도 아래쪽(도 3에 있어서의 위쪽)으로 돌출되고, 소켓의 하우징이 갖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끼워 맞춤으로써 소켓의 콘택트에 접촉 도통한다.
또한, 보디(3)에는 금속판에 펀칭 가공과 구부림 가공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인서트 쉘(4)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인서트 쉘(4)은 두께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해 보디(3)의 본체부(31)의 상면을 대략 덮는 본체부(41)와, 본체부(41)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각각 좌우 방향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설치된 아암부(42)와, 각 아암부(42)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각각 아래쪽으로 돌출설치되는 동시에 하단부가 전후방향의 내측으로 구부려진 L자 형상의 결합부(43)를 갖는다. 즉, 보디(3)의 각 아암부(32)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는 인서트 쉘(4)의 결합부(43)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인서트 쉘(4)의 결합부(43)의 하단부와 아암부(4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보디(3)에 대한 인서트 쉘(4)의 결합의 강도가 향상되어 있다.
또한, 보디(3)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판에 펀칭 가공과 구부림 가공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쉘(5)이 수납 오목부(30)를 폐색하는 형태로(즉, 보디(3)와의 사이에 포스트(2)의 단자부(21)를 끼우는 형태로) 결합되어 쉘의 후술하는 본체부와 인서트 쉘(4) 사이에 각 포스트의 단자부(21)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쉘(5)은 두께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해 아래쪽(도 4에서의 위쪽)에서 보아 수납 오목부(30)를 덮는 커버부(51)와, 커버부(51)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각각 좌우 방향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설치되어 보디(3)의 아암부(32)의 하측에 위치하고 커버부(51)와 함께 본체부를 구성하는 아암부(52)와, 각 아암부(52)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위쪽(도 4에서의 아래쪽)으로 돌출설치되어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보디(3)를 사이에 끼우는 측벽부(53)와, 각 측벽부(53)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좌우 방향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설치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 아암부(52)와의 사이에 보디(3)의 아암부(32)를 끼우는 끼움부(54)를 갖는다.
보디(3)에 있어서는 본체부(31)는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가 아암부(32)보다도 크고, 보디(3)의 본체부(31)는 전후 양단부가 각각 아암부(32)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쉘(5)의 커버부(51)의 좌우 양단에 있어서 각각 아암부(52)보다도 후측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보디(3)의 본체부(31)를 끼우는 클립 발톱(55)이 위쪽(도 4에서의 아래쪽)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 쉘(4)은 각 아암부(42)로부터 각각 아래쪽으로 돌출설치되어 보디(3)의 아암부(32)의 하측에 노출되는 접촉부(44)를 갖고 있고, 쉘(5)의 각 아암부(52)는 각각 인서트 쉘(4)의 접촉부(44)의 하면에 접촉 도통한다. 이것에 의해, 쉘(5)과 인서트 쉘(4)은 전위(電位)를 서로 일치시킨다.
또한, 보디(3)의 각 아암부(32)의 상면에는 각각 좌우 방향의 외측과 후측에 개방된 결합 오목부(33)가 마련되어 있고, 쉘(5)의 각 끼움부(54)는 각각 결합 오목부(33)내에 수납된다. 결합 오목부(33)의 상하 방향에서의 깊이 치수는 각각 쉘(5)의 끼움부(54)의 두께 치수에 대략 동일하고, 쉘(5)의 각 끼움부(54)의 상면은 각각 보디(3)의 아암부(32)의 상면과 대략 면일치로 된다. 또한, 결합 오목부(33)의 후방을 향하는 내면에 의해, 보디(3)에 대한 쉘(5)의 변위량으로서 앞쪽으로의 변위량은 제한되고, 보디(3)로부터의 쉘(5)의 앞쪽으로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즉, 결합 오목부(33)의 후방을 향하는 내면이 청구항에 있어서의 제한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결합 오목부(33)에 있어서 각각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한 내면에는 걸림 볼록부(33a)가 돌출설치되고, 쉘(5)의 각 끼움부(54)에는 각각 피걸림 볼록부(54a)가 좌우 방향의 내측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어, 걸림 볼록부(33a)가 피걸림 볼록부(54a)의 후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보디(3)에 대한 쉘(5)의 변위량으로서 후방으로의 변위량은 제한되고, 보디(3)로부터의 쉘(5)의 뒤쪽으로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 볼록부(33a)의 후단부에는 걸림 볼록부(33a)의 돌출 치수를 뒤쪽으로 갈수록 작게 하는 경사면이 마련되고, 피걸림 볼록부(54a)의 전단부에는 피걸림 볼록부(54a)의 돌출 치수를 앞쪽으로 갈수록 작게 하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쉘(5)을 보디(3)에 부착할 때에는,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쉘(5)의 커버부(51)를 보디(3)보다도 하측에 위치시키면서, 쉘(5)의 각 끼움부(54)를 각각 결합 오목부(33)에 대해 화살표(A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뒤쪽으로부터 도입한다. 이에 따라, 보디(3)의 좌우 양단부가 각각 쉘(5)의 아암부(52)와 끼움부(54) 사이에 도입된다. 드디어 쉘(5)의 피걸림 볼록부(54a)가 보디(3)의 걸림 볼록부(33a)에 맞닿으면, 피걸림 볼록부(54a)의 상기의 경사면과 걸림 볼록부(33a)의 상기의 경사면이 서로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쉘(5)은 끼움부(54)간의 거리를 크게 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쉘(5)이 보디(3)에 대해 더욱 앞쪽으로 변위하고, 피걸림 볼록부(54a)가 걸림 볼록부(33a)를 타고 넘으면, 쉘(5)이 탄성 복귀하는 것에 의해,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 볼록부(54a)가 걸림 볼록부(33a)의 앞측에 걸어 넣어지고, 여기에 있어서 보디(3)에 대한 쉘(5)의 부착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의 부착의 과정에서는 쉘(5)이 각 끼움부(54)의 선단부와 아암부(52)의 거리를 크게 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전체로서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대해 좌우 양단부를 아래쪽으로 변위시키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의 탄성 변형에 수반해서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끼움부(54)의 베이스부(측벽부(53)에 대한 연결부 부근)를 피하도록, 결합 오목부(33)의 저면(상부방향을 향하는 내면)의 후단부는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아래쪽으로(즉, 상하 방향에서의 아암부(32)의 치수를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작게 하도록) 경사져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구성의 채용에 의해, 헤더(1)의 박형화(상기 설명 중의 표현에서 말하는 바의 상하 방향의 치수의 축소)에 성공하고, 헤더(1)가 소켓에 접속된 상태에서의 커넥터 전체로서의 높이 치수(즉, 스태킹 높이)를 종래예의 1.5㎜에서 0.8㎜로 축소할 수 있었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쉘(5)의 아암부(52)로부터 위쪽으로 돌출설치되어 내부 쉘(4)의 접촉부(44)에 탄성 접촉하는 접촉 볼록부(52a)를, 예를 들면, 엠보스(emboss) 가공에 의해 마련해도 좋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이므로, 공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디(3)로부터의 쉘(5)의 뒤쪽으로의 탈락을 막는 걸림부와 피걸림부의 구체적인 구조가 실시형태 1과 다르다. 즉, 걸림 볼록부(33a)와 피걸림 볼록부(54a) 대신,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디(3)의 각 아암부(32)의 하면(도 6 및 도 7에서의 상면)에, 각각 좌우 방향의 외측에 개방되고 쉘(5)의 아암부(52)가 수납되는 걸림 오목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디(3)에 대한 쉘(5)의 변위이며 전후방향으로의 변위는 쉘(5)의 각 아암부(52)가 각각 걸림 오목부(34)내에 수납되는 것에 의해서 방지되는 것이고, 각 걸림 오목부(34)의 후방을 향하는 내면이 제한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보디(3)의 각 아암부(32)에 있어서 걸림 오목부(34)보다도 후측의 부위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걸림부를 구성하고, 쉘(5)의 각 아암부(52)가 각각 청구항에 있어서의 피걸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내부 쉘(4)의 접촉부(44)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디(3)의 아암부(32)의 하측이 아닌 상측에 있어서 결합 오목부(33)내에 노출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쉘(5)의 아암부(52)가 아닌 끼움부(54)가 내부 쉘(4)의 접촉부(44)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부로 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내부 쉘(4)의 접촉부(44)를 보디(3)의 상측에 노출시키거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내부 쉘(4)의 접촉부(44)를 보디(3)의 하측에 노출시키는 것과 같이, 실시형태 1 및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부(44)의 배치가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보디(3)의 각 아암부(32)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외측의 단부로부터는 각각 가이드 볼록부(35)가 뒤쪽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볼록부(35)는 각각, 하면(도 6 및 도 7에서의 상면)이 뒤쪽을 향해 위쪽으로(즉, 뒤쪽일수록 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디(3)에 대해 쉘(5)을 부착할 때에는 보디(3)의 각 가이드 볼록부(35)를 쉘(5)의 아암부(52)와 끼움부(54) 사이에 도입한 상태에서, 쉘(5)을 보디(3)에 대해 앞쪽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쉘(5)의 각 아암부(52)의 상면이 가이드 볼록부(35)의 하면(상기의 경사면)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쉘(5)은 아암부(52)와 끼움부(54)의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도록 탄성 변형되고, 이윽고 쉘(5)의 탄성 복귀와 함께 각 아암부(52)가 각각 걸림 오목부(34)에 걸어 넣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부착의 과정에서의 탄성 변형 중에는 쉘(5)의 아암부(52)에 있어서 측벽부(53)측의 단부는 보다 커버부(51)측의 부위에 비해 아래쪽(도 6 및 도 7에서의 위쪽)으로의 변위량이 비교적 작아진다. 그래서, 보디(3)의 아암부(32)의 하면에 있어서 걸림 오목부(34)보다도 후측의 부위는 쉘(5)의 아암부(52)의 상기 단부를 피하도록,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위쪽으로(즉, 상하 방향에서의 치수를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작게 하도록) 경사져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구성의 채용에 의해서도, 헤더(1)의 박형화(상기 설명 중의 표현에서 말하는 바의 상하 방향의 치수의 축소)에 성공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더
2 : 포스트
3 : 보디
4 : 인서트 쉘
5 : 쉘
33 : 결합 오목부(내면이 청구항에 있어서의 제한부를 구성)
33a : 걸림 볼록부(청구항에 있어서의 걸림부)
34 : 걸림 오목부(내면이 청구항에 있어서의 제한부를 구성)
51 : 커버부(청구항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일부)
52 : 아암부(청구항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일부이며, 도 1~도 4의 예에서는 접촉부이고, 도 6~도 8의 예에서는 청구항에 있어서의 피걸림부)
52a : 접촉 볼록부(청구항에 있어서의 접촉부)
53 : 측벽부
54 : 끼움부(도 6~도 8의 예에서는 청구항에 있어서의 접촉부)
54a : 피걸림 볼록부(청구항에 있어서의 피걸림부)
C1 : 심선(청구항에 있어서의 전선)

Claims (4)

  1. 삭제
  2.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콘택트 및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콘택트를 각각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소켓과 함께 커넥터를 구성하는 헤더로서,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방향을 정렬해서 배열한 복수의 전선 중의 1개가 접속되는 단자부와 소켓의 콘택트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포스트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포스트를 각각 유지하는 보디와,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보디와의 사이에 포스트의 단자부를 끼우는 형태로 보디에 대해 결합하는 쉘을 구비하고,
    쉘은 편평한 형상으로서 보디와의 사이에 포스트의 단자부를 끼우는 본체부와, 각각 본체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포스트에 접속되는 전선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보디를 끼우는 측벽부와, 측벽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본체부와의 사이에 보디를 끼우는 끼움부를 갖고,
    쉘은 보디에 대해 부착될 때, 보디에 대해 전선의 길이 방향 중 삽입 방향으로 평행 이동됨으로써, 각 끼움부와 본체부 사이에, 각각 보디에 있어서 전선이 배열되는 방향에서의 단부가 도입되는 것으로서,
    보디에는 쉘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보디에 대한 쉘의 변위량으로서 보디에 대해 부착될 때의 평행 이동의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제한부와, 쉘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보디에 대한 쉘의 변위량으로서 상기 평행 이동의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쉘에는 보디에 대해 부착되는 과정에서 쉘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부를 타고 넘는 피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걸림부는 각 끼움부에 각각 마련되고, 끼움부간의 거리를 크게 하도록 하는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부를 타고 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3.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콘택트 및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콘택트를 각각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소켓과 함께 커넥터를 구성하는 헤더로서,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방향을 정렬해서 배열한 복수의 전선 중의 1개가 접속되는 단자부와 소켓의 콘택트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포스트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포스트를 각각 유지하는 보디와,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보디와의 사이에 포스트의 단자부를 끼우는 형태로 보디에 대해 결합하는 쉘을 구비하고,
    쉘은 편평한 형상으로서 보디와의 사이에 포스트의 단자부를 끼우는 본체부와, 각각 본체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포스트에 접속되는 전선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보디를 끼우는 측벽부와, 측벽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본체부와의 사이에 보디를 끼우는 끼움부를 갖고,
    쉘은 보디에 대해 부착될 때, 보디에 대해 전선의 길이 방향 중 삽입 방향으로 평행 이동됨으로써, 각 끼움부와 본체부 사이에, 각각 보디에 있어서 전선이 배열되는 방향에서의 단부가 도입되는 것으로서,
    보디에는 쉘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보디에 대한 쉘의 변위량으로서 보디에 대해 부착될 때의 평행 이동의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제한부와, 쉘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보디에 대한 쉘의 변위량으로서 상기 평행 이동의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쉘에는 보디에 대해 부착되는 과정에서 쉘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부를 타고 넘는 피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걸림부는 본체부에 마련되고, 본체부와 끼움부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도록 하는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부를 타고 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보디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보디에는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쉘의 본체부와의 사이에 각 포스트를 각각 끼우는 형상의 인서트 쉘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쉘은 인서트 쉘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KR1020110004591A 2010-01-18 2011-01-17 헤더 KR101168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8315 2010-01-18
JP2010008315A JP5027893B2 (ja) 2010-01-18 2010-01-18 ヘッ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844A KR20110084844A (ko) 2011-07-26
KR101168545B1 true KR101168545B1 (ko) 2012-07-27

Family

ID=4446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591A KR101168545B1 (ko) 2010-01-18 2011-01-17 헤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27893B2 (ko)
KR (1) KR101168545B1 (ko)
CN (1) CN102170069B (ko)
TW (1) TWI418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5520A (ja) * 2011-08-22 2013-03-04 Panasonic Corp ヘッダー
WO2020013022A1 (ja) 2018-07-12 2020-01-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反応器及びこれを備えた反応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79664Y (zh) * 2004-12-29 2006-05-10 鸿松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薄型连接器构造
JP4314589B2 (ja) * 2007-03-14 2009-08-1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多極同軸コネクタ
JP4380717B2 (ja) * 2007-03-14 2009-12-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4364265B2 (ja) * 2007-07-26 2009-1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1436730B (zh) * 2007-11-16 2011-1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N201142421Y (zh) * 2007-12-29 2008-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61788U (en) * 2008-12-29 2009-07-2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27893B2 (ja) 2012-09-19
TWI418099B (zh) 2013-12-01
JP2011146348A (ja) 2011-07-28
CN102170069A (zh) 2011-08-31
KR20110084844A (ko) 2011-07-26
CN102170069B (zh) 2013-10-23
TW201203729A (en)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38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assisting member for guiding
JP3121388U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
KR101058710B1 (ko) 커넥터
US7651375B2 (en) Cable assembly having outer cover robustly supported
US11563289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terminal
JP6729273B2 (ja) コネクタ構造
WO2016004895A1 (zh)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线缆连接器
US8419473B1 (en) Electrical connector
CN210156592U (zh) 第一连接器、第二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20220216638A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KR101313748B1 (ko) 커넥터
KR101168545B1 (ko) 헤더
JP4883726B2 (ja) モジュラープラグ
JP4669824B2 (ja) コネクタ
CN111262074A (zh) 线缆连接器组合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JP6279852B2 (ja) 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
CN216624651U (zh) 插座连接器
KR101898944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어셈블리
US11145999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530266A2 (en) Socket connector
JP2017216103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16609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