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310A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310A
KR20230148310A KR1020230138891A KR20230138891A KR20230148310A KR 20230148310 A KR20230148310 A KR 20230148310A KR 1020230138891 A KR1020230138891 A KR 1020230138891A KR 20230138891 A KR20230138891 A KR 20230138891A KR 20230148310 A KR20230148310 A KR 20230148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register array
output
digital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강순구
손관수
정요한
최은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310A/ko
Publication of KR2023014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3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8Automatic control for modifying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e.g. gain rang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24Sampling or signal 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A/D converters
    • H03M1/129Means for adapting the input signal to the range the converter can handle, e.g. limiting, pre-scaling ; Out-of-range indication
    • H03M1/1295Clamping, i.e. adjusting the DC level of the input signal to a predetermined valu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2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 H03K5/24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 H03K5/247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3K5/2481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at least one differential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8Automatic control for modifying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e.g. gain ranging
    • H03M1/181Automatic control for modifying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e.g. gain ranging in feedback mode, i.e. by determining the range to be selected from one or more previous digital output values
    • H03M1/182Automatic control for modifying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e.g. gain ranging in feedback mode, i.e. by determining the range to be selected from one or more previous digital output values the feedback signal controlling the reference levels of the analogue/digital conver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2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 H03K5/24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 H03K5/247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3K5/249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usin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02Provisions or arrangements for saving power, e.g. by allowing a sleep mode, using lower supply voltage for downstream stages, using multiple clock domains or by selectively turning on stages when need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1/0602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of deviations from the desired transfer characteristic
    • H03M1/0604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of deviations from the desired transfer characteristic at one point, i.e. by adjusting a single reference value, e.g. bias or gain error
    • H03M1/0607Offset or drift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1/0617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 H03M1/0675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using redundancy
    • H03M1/0678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using redundancy using additional components or elements, e.g. dumm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0Calibration or testing
    • H03M1/1009Calibration
    • H03M1/1014Calibration at one point of the transfer characteristic, i.e. by adjusting a single reference value, e.g. bias or gain error
    • H03M1/1019Calibration at one point of the transfer characteristic, i.e. by adjusting a single reference value, e.g. bias or gain error by storing a corrected or correction value in a digital look-up tab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4Conversion in steps with each step involving the same or a different conversion means and delivering more than one b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34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 H03M1/38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equentially only, e.g.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 H03M1/46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equentially only, e.g.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with digital/analogue converter for supplying reference values to converter
    • H03M1/462Details of the control circuitry, e.g. of the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50Analogue/digital converter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to time interval
    • H03M1/56Input signal compared with linear ram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72Sequential conversion in series-connected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67Horizontal readout lines, multiplexers or regis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74Simultaneous conversion
    • H03M1/80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weighted impedances
    • H03M1/802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weighted impedances using capacitors, e.g. neuron-mos transistors, charge coupled devices
    • H03M1/804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weighted impedances using capacitors, e.g. neuron-mos transistors, charge coupled devices with charge re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데이터 출력단의 드라이버를 복제하여 구성되며, 제 1 코드와 제 2 코드에 따라 자신의 전류량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복제 드라이버; 외부 저항; 상기 복제 드라이버의 내부 저항과 상기 외부 저항의 저항 분배 비에 따라 분배된 분배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1 코드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레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2 코드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레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ANALOG TO DIGITAL CONVERTER AND SEMICONDUCTOR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함에 따른 회로 면적 증가 및 소비 전력 증가가 필연적이므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로직 설계를 간소화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회로 면적 증가를 최소화하고 소비 전력 또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로 면적 증가를 최소화하고 소비 전력 또한 줄일 수 있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코드에 따라 제 1 노드를 통해 출력되는 기준 전압의 레벨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 상기 제 1 노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과 병렬 연결되며, 제 2 코드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의 레벨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 입력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교기; 및 상기 제 1 코드와 상기 제 2 코드를 각각의 초기 값으로 저장하며,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코드 및 상기 제 2 코드의 값을 가변시켜 저장하도록 구성된 레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코드에 따라 활성화되는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 및 제 2 코드에 따라 활성화되며 제 1 노드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와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래그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드와 상기 제 2 코드 각각의 초기 값을 상기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와 상기 복수의 제 2 래그 회로 중에서 어느 하나를 모두 활성화시키고 다른 하나를 모두 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레벨로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와 상기 복수의 제 2 래그 회로에 의해 가변되는 기준 전압과 입력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코드 및 상기 제 2 코드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출력단의 드라이버를 복제하여 구성되며, 제 1 코드와 제 2 코드에 따라 자신의 전류량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복제 드라이버; 외부 저항; 상기 복제 드라이버의 내부 저항과 상기 외부 저항의 저항 분배 비에 따라 분배된 분배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1 코드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레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2 코드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레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회로 면적 증가를 최소화하고 소비 전력 또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제 1 및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 102)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4는 도 1의 비교 결과 신호(CMP)에 따른 제 1 레지스터 어레이(105) 및 제 2 레지스터 어레이(106)의 저장 값 변동을 나타낸 도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0)는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 비교기(103), 쉬프터(104), 제 1 레지스터 어레이(105) 및 제 2 레지스터 어레이(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 및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은 제 1 코드(R3H, R2H, R1H) 및 제 2 코드(R3L, R2L, R1L)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의 레벨을 가변시켜 출력할 수 있다.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은 기준 전압(VREF)이 출력되는 출력 노드(ND1)를 기준으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들(4C, 2C, C, 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들(4C, 2C, C, C)은 바이너리 웨이티드(binary weighted) 방식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갖도록 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2C는 C에 비해 2배의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고, 4C는 C에 비해 4배의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의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들(4C, 2C, C, C) 중에서 래그 회로들 4C, 2C, C에는 제 1 코드(R3H, R2H, R1H)가 각각 입력될 수 있으며, 마지막 래그 회로 C에 입력되는 신호는 로직 하이(H)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코드(R3H, R2H, R1H) 중에서 로직 하이의 값을 가지는 신호를 입력 받는 래그 회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은 기준 전압(VREF)이 출력되는 출력 노드(ND1)를 기준으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 2 래그 회로들(4C, 2C, C, 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의 복수의 제 2 래그 회로들(4C, 2C, C, C) 중에서 래그 회로들 4C, 2C, C에는 제 2 코드(R3L, R2L, R1L)가 각각 입력될 수 있으며, 마지막 래그 회로 C에 입력되는 신호는 로직 로우(L)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코드(R3L, R2L, R1L) 중에서 로직 하이의 값을 가지는 신호를 입력 받는 래그 회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의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들(4C, 2C, C, C)과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의 복수의 제 2 래그 회로들(4C, 2C, C, C)은 기준 전압(VREF)이 출력되는 출력 노드(ND1)를 기준으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즉, 출력 노드(ND1)를 기준으로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의 래그 회로(4C)는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의 래그 회로(4C)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출력 노드(ND1)를 기준으로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의 래그 회로(2C)는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의 래그 회로(2C)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출력 노드(ND1)를 기준으로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의 래그 회로(C)는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의 래그 회로(C)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의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들(4C, 2C, C, C)은 출력 노드(ND1)를 기준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들(4C, 2C, C, C)이 모두 활성화된 경우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은 4C, 2C, C, C 각각을 합산한 8C의 커패시턴스의 절반에 해당하는 4C 만큼의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의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들(4C, 2C, C, C) 중에서 래드 회로들 2C, C, C가 활성화된 경우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은 4C, 2C, C, C 각각을 합산한 8C의 커패시턴스의 1/4에 해당하는 2C 만큼의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비교기(103)는 입력 전압(VIN)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CMP)를 생성할 수 있다.
비교기(103)는 입력 전압(VIN)이 기준 전압(VREF)에 비해 높을 경우 비교 결과 신호(CMP)를 로직 하이로 출력하고, 입력 전압(VIN)이 기준 전압(VREF)에 비해 낮을 경우 비교 결과 신호(CMP)를 로직 로우로 출력할 수 있다.
쉬프터(104)는 클럭 신호(CLK)에 따라 레지스터 제어 신호(SHIFT<3:0>)를 생성할 수 있다.
쉬프터(104)는 클럭 신호(CLK)를 2 분주(Frequency Division)하고 쉬프트시켜 레지스터 제어 신호(SHIFT<3:0>)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 1 레지스터 어레이(105)는 복수의 제 1 레지스터들(REG3H, REG2H, REG1H)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레지스터들(REG3H, REG2H, REG1H)은 저장된 신호를 제 1 코드(R3H, R2H, R1H)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 1 레지스터 어레이(105)는 제 1 코드(R3H, R2H, R1H)를 기 설정된 초기 값으로 저장하며, 레지스터 제어 신호(SHIFT<3:0>)에 따라 비교 결과 신호(CMP)를 제 1 코드(R3H, R2H, R1H) 중 어느 하나로서 대체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레지스터 어레이(105)는 제 1 코드(R3H, R2H, R1H)를 기 모두 로직 하이로 저장하며, 비교 결과 신호(CMP)를 복수의 레지스터(REG3H, REG2H, REG1H) 중에서 레지스터 제어 신호(SHIFT<3:0>)에 따라 활성화된 레지스터에 저장할 수 있다.
제 2 레지스터 어레이(106)는 복수의 제 2 레지스터(REG3L, REG2L, REG1L, REG0L)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레지스터들(REG3L, REG2L, REG1L, REG0L) 중에서 레지스터들(REG3L, REG2L, REG1L)은 저장된 신호를 제 2 코드(R3L, R2L, R1L)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 2 레지스터 어레이(106)는 제 2 코드(R3L, R2L, R1L)를 기 설정된 초기 값으로 저장하며, 레지스터 제어 신호(SHIFT<3:0>)에 따라 비교 결과 신호(CMP)를 제 2 코드(R3L, R2L, R1L, R0L) 중 어느 하나로서 대체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레지스터 어레이(106)는 제 2 코드(R3L, R2L, R1L, ROL)를 기 모두 로직 로우로 저장하며, 비교 결과 신호(CMP)를 복수의 레지스터(REG3L, REG2L, REG1L, REG0L) 중에서 레지스터 제어 신호(SHIFT<3:0>)에 따라 활성화된 레지스터에 저장할 수 있다.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의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들(4C, 2C, C)은 제 1 레지스터 어레이(105)의 복수의 제 1 레지스터들(REG3H, REG2H, REG1H)과 직접 연결(Directly Coupled) 될 수 있다.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의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들(4C, 2C, C, C)은 제 2 레지스터 어레이(106)의 복수의 제 2 레지스터들(REG3L, REG2L, REG1L, REG0L)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 102)은 도 2A 내지 도 2C 중에서 어느 하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 102)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이너리 웨이티드 방식의 커패시턴스를 갖도록 복수의 커패시터(111)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 102)은 바이너리 웨이티드 방식의 레지스턴스(Resistance)를 갖도록 복수의 저항(112)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 102)은 바이너리 웨이티드 방식에 따른 양의 전류가 흐르도록 복수의 트랜지스터(113)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 102)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도 2A 및 도 2B의 기준 전압(VREF) 대신 기준 전류(IREF)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초기 동작 시 제 1 코드(R3H, R2H, R1H)는 모두 로직 하이의 값을 가지고, 제 2 코드(R3L, R2L, R1L, ROL)는 모두 로직 로우의 값을 가지고 있다.
활성화된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의 커패시턴스는 커패시터 직렬 연결 구조로 인하여 최대 커패시턴스 대비 절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 분배(Capacitive Division)에 의해 초기 동작 시 기준 전압(VREF)은 절반 예를 들어, 전원전압의 절반에 해당하는 레벨을 가질 수 있다.
클럭 신호(CLK)의 라이징 엣지를 기준으로 클럭 신호(CLK)의 한 주기 간격으로 레지스터 제어 신호(SHIFT<3:0>)가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클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를 기준으로 비교 결과 신호(CMP)가 로직 하이 또는 로직 로우로 천이될 수 있다.
클럭 신호(CLK)의 라이징 엣지를 기준으로 SHIFT<3>이 활성화됨에 따라 비교 결과 신호(CMP)가 제 1 코드(R3H, R2H, R1H) 및 제 2 코드(R3L, R2L, R1L, ROL)의 최상위 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 즉, R3H 및 R3L에 대응되는 레지스터들(REG3H, REG3L)에 동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레지스터들(REG3H, REG3L)에 동시 저장되는 신호 값이 로직 하이 또는 로직 로우로 동일하므로 편의상 R3로 표기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R3가 로직 로우인 경우, 기준 전압(VREF)은 전원전압의 1/4에 대응되는 레벨로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상승 또는 강하된 기준 전압(VREF)과 입력 전압(VIN)을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 결과 신호(CMP)가 레지스터들(REG2H, REG2L)에 R2로서 동시 저장될 수 있다.
클럭 신호(CLK)를 기준으로 다음 순번의 비교 결과 신호(CMP)가 레지스터들(REG1H, REG1L)에 R1으로서 동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클럭 신호(CLK)를 기준으로 다음 순번의 비교 결과 신호(CMP)가 제 2 코드(R3L, R2L, R1L, ROL)의 최하위 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에 대응되는 레지스터(REG0L)에 R0로서 저장됨으로써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동작 완료 시, 제 1 코드(R3H, R2H, R1H)와 제 2 코드(R3L, R2L, R1L)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코드(R3L, R2L, R1L, ROL)가 입력 전압(VIN)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최종 출력으로서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동(Differential) 타입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0)는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01),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02), 비교기(203), 쉬프터(204), 제 1 레지스터 어레이(205) 및 제 2 레지스터 어레이(2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01)은 도 1의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과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을 합한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01)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코드(R3H, R2H, R1H) 및 제 2 코드(R3L, R2L, R1L, ROL) 각각과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는 CODE_H와 CODE_L에 따라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02)은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01)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CODE_H와 CODE_L 각각의 차동 신호인 /CODE_H와 /CODE_L에 따라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비교기(203)는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01)의 출력 전압과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02)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차동 형태의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쉬프터(204)는 도 1의 쉬프터(104)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 레지스터 어레이(205)는 비교기(203)의 출력 및 쉬프터(204)의 출력에 따라 CODE_H와 CODE_H의 차동 신호인 /CODE_H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레지스터 어레이(205)는 도 1의 제 1 레지스터 어레이(10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CODE_H를 생성할 수 있으며, /CODE_H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 구성 예를 들어, 인버터 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레지스터 어레이(206)는 비교기(203)의 출력 및 쉬프터(204)의 출력에 따라 CODE_L과 CODE_L의 차동 신호인 /CODE_L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 레지스터 어레이(206)는 제 1 레지스터 어레이(205)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30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이용한 임피던스 조정 회로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300)는 복제 드라이버(301), 비교기(303), 쉬프터(304), 제 1 레지스터 어레이(305) 및 제 2 레지스터 어레이(30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제 드라이버(301)는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출력단에 구성된 드라이버 즉, 데이터 신호를 풀업(Pull-up) 시키기 위한 풀업 드라이버 또는 데이터 신호를 풀다운(Pull-down) 시키기 위한 풀다운 드라이버를 복제한 구성일 수 있다.
복제 드라이버(301)는 예를 들어, 도 2C의 구성을 기준으로 한 도 1의 제 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1)과 제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102)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복제 드라이버(301)는 CODE_H와 CODE_L에 따라 전류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복제 드라이버(30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복제 드라이버(301)의 내부 저항과 외부 저항(RZQ)의 저항 분배 비에 따라 분배된 분배 전압(VZQ)으로 변환될 수 있다.
비교기(303)는 분배 전압(VZQ)과 기준 전압(VREFZQ)을 비교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쉬프터(304)는 도 1의 쉬프터(104)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 레지스터 어레이(305)는 비교기(303)의 출력 및 쉬프터(304)의 출력에 따라 CODE_H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레지스터 어레이(305)는 도 1의 제 1 레지스터 어레이(10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CODE_H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레지스터 어레이(306)는 비교기(303)의 출력 및 쉬프터(304)의 출력에 따라 CODE_L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 레지스터 어레이(306)는 제 1 레지스터 어레이(305)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 레지스터 어레이(305)와 제 2 레지스터 어레이(306)에서 생성된 CODE_H와 CODE_L은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출력단에 구성된 풀업 드라이버와 풀다운 드라이버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CODE_H와 CODE_L에 따라 풀업 드라이버와 풀다운 드라이버의 저항 값이 목표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데이터 출력단의 드라이버를 복제하여 구성되며, 제 1 코드와 제 2 코드에 따라 자신의 전류량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복제 드라이버;
    외부 저항;
    상기 복제 드라이버의 내부 저항과 상기 외부 저항의 저항 분배 비에 따라 분배된 분배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1 코드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레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2 코드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레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제 2 레지스터 어레이는 상기 복제 드라이버와 직접 연결되는 반도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드라이버는
    상기 제 1 코드에 따라 활성화되는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 및
    상기 제 2 코드에 따라 활성화되며 제 1 노드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와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래그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드와 상기 제 2 코드 각각의 초기 값을 상기 복수의 제 1 래그 회로와 상기 복수의 제 2 래그 회로 중에서 어느 하나를 모두 활성화시키고 다른 하나를 모두 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레벨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레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제 2 레지스터 어레이의 레지스터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쉬프터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제 2 레지스터 어레이는
    클럭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1 코드와 상기 제 2 코드의 비트들의 순번에 맞게 순차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
KR1020230138891A 2017-02-13 2023-10-17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20230148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8891A KR20230148310A (ko) 2017-02-13 2023-10-17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541A KR102654276B1 (ko) 2017-02-13 2017-02-1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1020230138891A KR20230148310A (ko) 2017-02-13 2023-10-17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541A Division KR102654276B1 (ko) 2017-02-13 2017-02-1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310A true KR20230148310A (ko) 2023-10-24

Family

ID=607888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541A KR102654276B1 (ko) 2017-02-13 2017-02-1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1020230138891A KR20230148310A (ko) 2017-02-13 2023-10-17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541A KR102654276B1 (ko) 2017-02-13 2017-02-1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59910B1 (ko)
KR (2) KR102654276B1 (ko)
CN (1) CN108429552B (ko)
TW (1) TWI7348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4196B2 (en) * 2016-01-25 2019-06-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WO2018235403A1 (ja) * 2017-06-23 2018-12-2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8240A (ja) 2010-03-09 2011-09-22 Panasonic Corp 逐次比較型ad変換器、移動体無線装置
JP5427663B2 (ja) * 2010-03-24 2014-02-26 スパンション エルエルシー A/d変換器
CN102480297B (zh) * 2010-11-29 2014-05-14 苏州华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逐次比较型ad转换器
US8416105B2 (en) * 2011-02-17 2013-04-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DC calibration apparatus
CN102355266B (zh) * 2011-07-28 2016-03-02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逐次逼近模数转化器
US8638248B2 (en) * 2011-10-07 2014-01-28 Nxp, B.V. Input-independent self-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ccessive approximation analog-to-digital converter with charge-redistribution digital to analog converter
US8981973B2 (en) 2013-03-08 2015-03-17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uccessive-approximation-register (SAR)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attenuation capacitor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103933B1 (ko) * 2013-09-04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속 접근 방식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방법
CN104660261B (zh) * 2013-11-19 2019-01-29 山东共达电声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量化的模拟数字转换装置
CN104124972B (zh) * 2014-08-08 2017-05-10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电荷再分配的 10 位超低功耗逐次逼近型模数转换器
US9479190B2 (en) * 2014-10-23 2016-10-25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based analog-to-digital converter with increased time frame for digital-to-analog capacitor settling
US9432037B2 (en) * 2014-11-05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og-digital conver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29552B (zh) 2021-12-31
TW201830872A (zh) 2018-08-16
US9859910B1 (en) 2018-01-02
TWI734847B (zh) 2021-08-01
KR20180093445A (ko) 2018-08-22
CN108429552A (zh) 2018-08-21
KR102654276B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48310A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US9432046B1 (en) Successive approximation analog-to-digital converter
US8830103B2 (en) D/A converter
US11025263B2 (en) Adaptive low power common mode buffer
US8035542B2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analog-to-digital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US9054732B2 (en) SAR analog-to-digital conversion method and SAR analog-to-digital conversion circuit
JP2007124611A (ja) 浮遊抵抗体ラダーを用いたインバータベースのフラッシュa/d変換器
JP3857450B2 (ja) 逐次比較型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回路
JPS6161578B2 (ko)
US20060244647A1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analog-to-digital converter utilizing the same
US6778122B2 (en) Resistor string digital to analog converter with differential outputs and reduced switch count
US7893857B2 (e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ing successive approximation
CN108540135B (zh) 一种数模转换器及转换电路
US20190097609A1 (en) Five-Level Switched-Capacitance DAC Using Bootstrapped Switches
US5673045A (en) Digital-to-analog conversion circuit and analog-to-digital conversion device using the circuit
JP3984517B2 (ja) Ad変換器
JP2004180065A (ja) 逐次比較型adコンバータおよ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9973204B1 (en) Resistor string digital to analog converter
JP3723362B2 (ja) フラッシュ方式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装置
US20230261663A1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930007651B1 (ko) 에러 검출기능을 갖는 a/d 변환회로
JP2008294761A (ja) 半導体集積回路
JPH09326699A (ja) A/d変換器
JP2014138371A (ja) 逐次比較型ad変換器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062724B1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