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190A - 피복 입자와 그 제조 방법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피복 입자와 그 제조 방법 및 화장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8190A KR20230148190A KR1020237031447A KR20237031447A KR20230148190A KR 20230148190 A KR20230148190 A KR 20230148190A KR 1020237031447 A KR1020237031447 A KR 1020237031447A KR 20237031447 A KR20237031447 A KR 20237031447A KR 20230148190 A KR20230148190 A KR 20230148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cles
- starch
- weight
- coated particles
- disper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170 rice bran wa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5000019384 rice bran w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29920000945 Amylopect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02000006395 Globuli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08010044091 Globul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2178 vegetable wax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7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IMNFDUFMRHMDMM-UHFFFAOYSA-N N-Hep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 IMNFDUFMRHMD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0856 Amy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426 Micr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406 cosmetic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29 infrared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27 regenerated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ARXJGSRGQADJSQ-UHFFFAOYSA-N 1-methoxypropan-2-ol Chemical compound COCC(C)O ARXJGSRGQADJ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322 Feeling abnormal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24 Wisteria floribun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03 carnauba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69 carnauba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GVVWUTYPXICAM-UHFFFAOYSA-N β‐Mercaptoethanol Chemical compound OCCS DGVVWUTYPXIC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description 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compound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LXLAEXVIDQMFP-UHFFFAOYSA-N Ammonium chloride Substances [NH4+].[Cl-] NLXLAEXVIDQM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940 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100294331 Drosophila melanogaster nod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62 absorpt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56 alcohol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66 aller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93 bioaccumul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04 biodegradable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4 candelilla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68 candelilla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3532 candelilla wax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77 carbon cycl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15 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2]C([*:1])=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85 chemical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737 colorimetric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KSIFUGZHOUETI-UHFFFAOYSA-N copper;azane Chemical compound N.N.N.N.[Cu+2] QKSIFUGZHOUET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76 disease causative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23 gel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UJAMGNYPWYUPM-UHFFFAOYSA-N hentriacon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IUJAMGNYPWYU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29 mous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15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95 solu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28 stain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ENZDBCJOHFCAS-UHFFFAOYSA-N tris Chemical compound OCC(N)(CO)CO LENZDBCJOHFC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38 yakul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4—Powdering or granulating by precipitation from solu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12—Amylose; Amylopectin;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1/06—Wax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4—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macromolecular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3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303/12—Amylose; Amylopectin;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4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403/04—Starch deriva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403/12—Amylose; Amylopectin;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9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 C08J2491/06—Wa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분 입자의 표면에 식물성 왁스가 마련된 피복 입자에 관한 것이다. 피복 입자는 평균 입자경 d1이 0.5 내지 20㎛이고, 최대 입자경 d2가 30㎛ 미만이고 또한, 평균 입자경 d1의 4.0배 이하이다. 피복 입자에는 식물성 왁스가 0.5 내지 10.0중량%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수한 감촉 특성과 발수성을 갖는 입자를, 생분해성이 우수한 천연 소재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입자의 제조 방법은, 전분 입자를 1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분산액을 준비하는 공정과, 분산액에 식물성 왁스를 더해서 가열·냉각함으로써, 전분 입자의 표면에 식물성 왁스를 석출시키는 공정과, 이 분산액을 고액 분리해서 피복 입자를 고형물로서 얻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성 왁스로 표면 처리된 전분 입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석유 유래의 합성 고분자(플라스틱)는 다양한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다. 합성 고분자는 장기 안정성을 요구하여 개발되는 경우가 많고, 자연 환경 중에서 분해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여러가지 환경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물 환경에 유출된 플라스틱 제품이 긴 기간 축적되어, 해양이나 호소의 생태계가 큰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근년 길이가 5㎜ 이하로부터 ㎚ 수준까지인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마이크로 플라스틱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화장용품 등에 포함되는 미립자, 가공 전의 플라스틱 수지의 작은 덩어리, 큰 제품이 바닷속에서 부유하는 동안에 미세화된 것 등이 예시되고 있다.
근년에는, 화장료의 감촉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백㎛급의 플라스틱 입자(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입자)를 화장료에 배합하고 있다. 플라스틱 입자는 진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하수처리장에서 제거하기 어려워, 하천, 해양, 지소 등에 흘러 나오기 쉽다. 또한, 플라스틱 입자는 살충제 등의 화학 물질을 흡착하기 쉽기 때문에, 생물 농축에 의해 인체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이것은 유엔 환경 계획 등에서도 지적되고 있으며, 각국, 각종 업계 단체가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또한, 자연파 화장품이나 오가닉 화장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화장품의 자연·오가닉 지수 표시에 관한 가이드 라인(ISO16128)이 제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 라인에 의하면, 제품 중의 원료를 예를 들어 자연 원료, 자연 유래 원료, 비자연 원료로 분류하고, 각 원료의 함유량에 기초하여 지수가 산출된다. 이후, 이 가이드 라인을 따라 상품에 지수가 표시되게 되기 때문에, 자연 유래 원료, 나아가 자연 원료가 요구될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자연 환경 중에서 미생물 등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고, 자연계의 탄소 사이클에 편입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식물 유래의 자연 원료인 셀룰로오스 입자는 환경에 유출되어도 물에 부유하는 일이 없고, 또한 양호한 생분해성을 갖기 때문에 환경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적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가 용해한 구리 암모니아 용액을 산으로 중화해서 9 내지 400㎚의 진구상의 재생 셀룰로오스 입자를 얻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표 제2008-84854호 공보를 참조). 또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분무해서 기상 중에서 액적을 형성하고, 이 액적을 응고액에 접촉시켜서 구상의 재생 셀룰로오스 입자를 얻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제2013-133355호 공보를 참조). 이들은 의도적인 화학 수식을 행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얻어진 II형의 결정형 셀룰로오스를 사용해서 셀룰로오스 입자를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재생 셀룰로오스 입자는 전술한 가이드 라인의 정의에 의하면, 자연 유래 원료로 분류된다. 또한, 유기 용매에 분산시킨 셀룰로오스를 스프레이 드라이법에 의해 조립, 건조시키고, 결정형이 I형의 다공질 셀룰로오스 입자를 제작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2-84401호 공보를 참조). 또한, 결정 셀룰로오스를 금속 비누 또는 물 첨가 레시틴으로 표면 처리함으로써, 발수성, 발유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부드러운 감촉이 우수한 화장용 분체가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제2003-146829호 공보를 참조).
유럽 화학품청(European Chemicals Agency)은 2018년 10월 16일 발행의 「Note on substance identification and the potential scope of a restriction on uses of 'microplastics' Version 1.1」에 있어서,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합성 폴리머인 것이 전제이며, 생분해성을 갖는 천연 유래의 셀룰로오스나 전분 등은 마이크로 플라스틱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그러나, 특허문헌의 셀룰로오스는 글루코오스 분자를 구성 단위로 한 트랜스형의 다당류이며, 물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셀룰로오스는 자연계에서의 분해성은 높지 않다고 생각되고 있다. 생분해성의 정의도 아직도 명확하지 않고, 셀룰로오스가 규제 대상 물질이 될 우려도 남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감촉 특성과 발수성을 갖는 입자를, 수용성의 재료를 사용해서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분 입자의 표면을 식물성 왁스로 처리해서 피복 입자를 구성했다. 또한, 전분과 셀룰로오스는 모두 글루코오스를 구성 단위로 하는 다당류이지만, 양자는 이성체이다. 즉, 전분은 시스형, 셀룰로오스는 트랜스형이다. 이 차이가 수용성의 유무, 생분해성에 관한 것이다. 수용성인 전분 입자가 배합된 화장료는, 환경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적고,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 비즈와 마찬가지인 감촉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복 입자는 쌀겨 왁스로 표면 처리된 전분 입자이다. 피복 입자의 평균 입자경 d1은 0.5 내지 20㎛이고, 최대 입자경 d2는 30㎛ 미만, 또한 평균 입자경 d1의 4.0배 이내이다. 식물성 왁스는 피복 입자에 0.5 내지 10.0중량%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복 입자의 제조 방법은, 전분 입자를 1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분산액을 준비하는 공정과, 분산액에 식물성 왁스를 더해서 가열하고, 냉각함으로써, 전분 입자의 표면에 식물성 왁스 성분을 석출시키는 공정과, 고액 분리에 의해 분산액으로부터 피복 입자를 고형물로서 취출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분산액에 포함되는 전분 입자의 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11.0%의 질량의 식물성 왁스를 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왁스로서, 쌀겨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밀로펙틴의 함유량이 90중량% 이상의 전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백질인 글로불린의 함유량은 0.02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피복 입자를 배합해서 화장료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분 입자의 표면에 식물성 왁스가 마련된 피복 입자에 관한 것이다. 피복 입자는 전분 입자를 식물성 왁스로 표면 처리한 입자이며, 식물성 왁스를 0.5 내지 10.0중량% 포함하고 있다. 즉, 식물성 왁스의 중량은 피복 입자의 중량의 0.5 내지 10.0%에 상당한다. 0.5% 미만이면, 원하는 발수성을 부여할 수 없다. 10.0%를 초과하면 피복 입자끼리가 접착해서 큰 응집체가 될 우려가 있다. 1.0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분 입자의 표면이 완전히 식물성 왁스로 덮일 필요는 없고, 전분 입자의 표면 일부가 노출되어도 상관없다. 피복 입자의 중량에 대하여 전술한 비율의 식물성 왁스가 검출되면, 발수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성 왁스의 중량은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으로 정량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입자의 평균 입자경 d1은 0.5㎛ 이상 20㎛ 이하이고, 최대 입자경 d2는 30㎛ 미만 또한, 평균 입자경 d1의 4.0배 이하이다. 평균 입자경 d1은 화장료의 감촉 특성에 영향을 준다. 0.5㎛ 미만이면, 롤링감, 롤링감의 지속성, 균일한 발림성 등의 감촉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평균 입자경 d1은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이 최적이다. 또한, 20㎛보다 크면, 까슬함이 느껴져, 부드러운 느낌과 촉촉한 느낌이 저하된다. 평균 입자경 d1은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최대 입자경 d2가 30㎛ 이상에서는, 까슬함이 느껴지고, 부드러운 느낌과 촉촉한 느낌이 저하된다. 최대 입자경이 평균 입자경의 4.0배를 초과하면, 균일한 발림성이 저하된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 d1은 입자의 입도 분포로부터 얻어진 메디안값이며, 입도 분포에서 검출된 가장 큰 입자경이 최대 입자경 d2이다.
대표적인 식물성 왁스로서, 쌀겨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목랍 등을 들 수 있다. 융점이 비교적 높은 카르나우바 왁스, 쌀겨 왁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식용에도 제공되는 쌀겨 왁스가 가장 바람직하다. 쌀겨 왁스는, 주로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 성분과 지방산 성분으로 구성되고, 악취를 갖는 유리 알코올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또한, 아밀로펙틴을 90중량% 이상 함유하는 전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전분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아밀로오스는, 글루코오스 분자가 직쇄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아밀로펙틴은 아밀로오스가 갈라져 나와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분자량이 크다. 아밀로오스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전분 입자의 팽윤성이 높아지고,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에 끈적거림의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아밀로오스의 함유량은 10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아밀로펙틴의 함유량은 클수록 바람직하다. 95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8중량%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밀로펙틴의 함유량은 겔 여과법, 요오드 비색분석법, 2파장 측정법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분 입자에는 원료에서 유래하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단백질 중, 글로불린은 강한 알레르겐 활성을 갖고, 쌀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글로불린의 함유량은 0.1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0.05중량% 이하, 또한 0.02중량% 이하가 적합하다. 전분 입자의 원료(일반적으로는 전분 곡립)를 효소 처리함으로써, 글로불린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식염수 용액, 희산 수용액 또는 알칼리 수용액 중으로의 침지 처리, 고압 처리(예를 들어 100 내지 400Mpa)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처리를 조합해도 된다.
또한, 피복 입자는 진구도가 0.85 이상, 즉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구도가 높을수록, 화장료의 롤링성이 향상된다. 진구도는 0.9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진구도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의 사진으로부터 화상 해석법에 의해 요구들 루.
또한, 피복 입자의 입자 변동 계수(CV)는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입자 변동 계수가 50%를 초과하면, 균일한 롤링성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입자 변동 계수는 40% 이하, 특히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 변동 계수는 작을수록 적합하지만, 협소 분포의 입자를 얻는 것은 공업적으로 곤란하다. 대략 3% 이상이면, 특별한 문제없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식물성 왁스는 입자 형상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전분 입자도 상술한 피복 입자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분 입자의 제조 방법>
이어서, 피복 입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전분 입자를 쌀겨 왁스로 표면 처리한 피복 입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분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키고, 전분 입자의 고형분 농도가 1 내지 20중량%의 분산액을 조정한다(제1 공정). 이 분산액에, 쌀겨 왁스를 첨가하고 가열한다. 이에 의해, 쌀겨 왁스가 용매 중에 용해한다. 이어서, 분산액을 냉각함으로써, 용해한 쌀겨 왁스를 전분 입자의 표면에 석출시킨다(제2 공정). 이어서, 분산액을 고액 분리하고, 피복 입자를 고형물로서 취출한다(제3 공정). 여기서 준비하는 전분 입자는, 공지된 방법으로 조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쌀겨 왁스의 융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용매를 사용한다.
이하, 각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공정]
먼저, 전분 입자의 분산액을 준비한다. 전분 입자의 고형분 농도를 1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조정한다. 분산액의 고형분 농도가 20중량%를 초과하면 전분 입자가 응집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후공정에서 쌀겨 왁스의 피복 상태가 균일하게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 경우, 원하는 발수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1중량% 미만이면 피복 입자의 수량이 적게 경제성이 나쁘다. 또한, 분산액의 용매에는, 가열에 의해 쌀겨 왁스가 용해하는 것을 사용한다. 용매로서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특히, 알코올계 용매가 바람직하고, IPA(이소프로필알코올)가 적합하다.
[제2 공정]
이 분산액에 쌀겨 왁스를 첨가하고, 가열해서 쌀겨 왁스를 용매에 용해시킨다. 쌀겨 왁스의 융점인 78℃ 이상에서 가열한다. 90℃ 미만이 바람직하지만, 사용하는 용매에 따라서 적절히 정하면 된다. 온도가 낮으면, 쌀겨 왁스가 용해하지 않거나, 또는 용해가 불충분해져서, 피복 상태가 균일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90℃ 이상이면, 가온에 시간이 걸려서 경제성이 나쁘다.
첨가하는 쌀겨 왁스의 질량은, 전분 입자의 질량 0.5 내지 11.0%가 바람직하다. 0.5% 미만이면, 원하는 발수성을 부여할 수 없다. 피복 입자에 식물성 왁스를 10중량% 정도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11% 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11.0%를 초과하면 입자끼리가 접착해서 큰 응집체가 될 우려가 있다. 1.0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 분산액을 냉각함으로써 쌀겨 왁스를 전분 입자의 표면에 석출시킨다. 쌀겨 왁스가 석출하는 온도로 냉각하면 되고, 그 온도는 40℃ 미만이 바람직하다. 40℃ 이상인 경우에는, 용해한 쌀겨 왁스가 충분히 석출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용해한 채의 쌀겨 왁스가 많아지고, 후공정의 고액 분리에 의해 용해한 쌀겨 왁스가 계외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전분 입자로의 피복이 불충분해지고, 충분한 발수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20℃ 미만까지 냉각하는 경우, 냉각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경제성이 나쁘다.
[제3 공정]
이어서, 종래 공지된 여과, 원심 분리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피복 입자의 분산액으로부터 고형분을 분리한다. 이에 의해, 피복 입자의 케이크상 물질이 얻어진다.
이 공정 후에, 케이크상 물질에 잔류하는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해서, 상압 또는 감압 하에서 가열하는 건조 공정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건조시킨 고형물을 해쇄한다. 이에 의해, 평균 입자경 0.5 내지 20㎛의 피복 입자의 건조 분체가 얻어진다.
<화장료>
상술한 피복 입자와 각종 화장료 성분을 배합해서 화장료를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에 의하면, 단일 성분의 무기 입자(실리카 입자)와 마찬가지인 롤링감, 롤링감의 지속성 및 균일한 발림성, 플라스틱 비즈와 마찬가지인 부드러운 느낌과 촉촉한 느낌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즉, 화장료의 감촉 개량재에 요구되는 대표적인 감촉 특성을 충족할 수 있다.
구체적인 화장료를 표 1에 분류별로 예시한다. 이러한 화장료는,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장료는 분말상, 케이크상, 펜슬상, 스틱상, 크림상, 젤상, 무스상, 액상 등의 각종 형태로 사용된다.
각종 화장료 성분으로서 대표적인 분류나 성분을 표 2에 예시한다. 또한, 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 2006(발행: 가부시키가이샤 야쿠지닛포사, 2006년 6월 16일)이나,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발행: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Eleventh Edition2006) 등에 수록되어 있는 화장료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처음에, 전분의 분산액을 준비한다. 전분 곡립으로서 조에츠 스타치사의 모치루 B(등록상표) 250g을 사용하여, 순수 4750g에 첨가했다. 얻어진 현탁액을 가열 교반(120℃, 16시간)했다. 이에 의해, 전분의 분산액(고형분 농도 5중량%)이 얻어졌다. 이 분산액 200g을, 비수계 용매인 헵탄(간또 가가꾸사제) 3346g과 계면 활성제(가오사제AO-10V) 25g의 혼합 용액에 더하였다. 이 혼합 용액을, 유화 분산기(프라이믹스사제T.K.로보 믹스)을 사용해서 10000rpm으로 10분간 교반했다. 이에 의해 유화되어, 유화 액적을 포함하는 유화액이 얻어졌다. 이 유화액을, -25℃의 냉동고 안에 72시간 정치하고, 유화 액적 중의 물을 동결시켰다. 그 후, 상온까지 승온하고, 해동했다. 이것을, 부흐너 깔때기(세키야 리카 유리 키까이사제3.2L)를 사용해서 정량 여과지(애드반텍 도요사제 No.2)로 여과했다. 그 후, 헵탄2500g을 사용한 세정을 3회 반복하고, 계면 활성제를 제거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케이크상 물질을, 60℃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이 건조 분체를 250mesh체(JIS 시험용 규격 체)로 체질하여, 전분 입자를 얻었다.
이어서, 전분 입자 9g을 IPA(간또 가가꾸사제 2-프로판올) 81g에 현탁했다. 이 현탁액을, 배스형 초음파 장치(SSD사제)로 10분간 처리하여, 전분 입자의 IPA 분산액(고형분 농도 10중량%)을 조제했다.
이 분산액 90g에 쌀겨 왁스(세라리카 NODA사제 NC-1720) 0.14g을 첨가하여, 교반 하에서 78℃까지 승온했다. 또한, 이 혼합액을 10분간 교반하고, 150분에 걸쳐 30℃까지 냉각했다. 이 용액을, 부흐너 깔때기(세키야 리카 유리 키까이사제3.2L)를 사용해서 정량 여과지(애드반텍 도요사제 No.2)로 여과했다. 이에 의해 얻어진 케이크상 물질을, 80℃에서 16시간 건조시켰다. 이 건조 분체를 250mesh체(JIS 시험용 규격체)로 체질하여, 피복 입자의 분체를 얻었다.
피복 입자의 조제 조건을 표 3에 통합했다. 또한, 피복 입자의 분체 물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다른 실시예나 비교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1) 평균 입자경, 최대 입자경, 입자 변동 계수
레이저 회절법을 사용하여, 피복 입자의 입도 분포를 측정했다. 이 입도 분포로부터 메디안값을 구하고, 평균 입자경 d1로 하였다. 또한, 입도 분포에서 검출되는 가장 큰 입자경을 최대 입자경 d2로 하였다. 또한, 입도 분포(모집단)로부터 표준 편차 σ과 모평균 μ를 구하고, 입자 변동 계수(CV=σ/μ)를 얻었다. 표 4에서는 백분율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최대 입자경 d2를 평균 입자경 d1로 제산해서 최대 입자경과 평균 입자경의 비(d2/d1)를 구하였다. 여기에서는, 입도 분포를 호리바 세이사꾸쇼제의 LA-950v2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2) 쌀겨 왁스의 함유량
쌀겨 왁스의 주성분인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에 포함되는 카르보닐기에 귀속하는 흡수 피크는 1700㎝-1 부근에 있다. 그래서, 적외 흡광 분광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IR 스펙트럼의 1700㎝-1 부근의 값에 기초하여, 쌀겨 왁스의 함유량을 특정했다.
미리, 마노 유발을 사용해서 쌀겨 왁스의 분말과 전분 입자의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때, 쌀겨 왁스의 비율이 0.5중량%, 5중량%, 10중량%, 20중량%가 되도록 시료를 조제한다. 각각의 시료 분말 20㎎을 20φ의 디스크에 성형한다. 이것을 진공 라인에 접속된 IR 셀에 설치하고, 70℃에서 1시간, 진공 배기 처리를 행해서 흡착 수분을 제거했다. 진공 배기 처리 후, 25℃로 강온하여, 시료 디스크의 IR 스펙트럼을 적외 흡광 분광계(니혼 분코사제 FT/IR-4600)로 측정한다. 각각의 시료에서 얻어진 1700㎝-1 부근의 흡수 피크 강도를 사용해서 쌀겨 왁스의 함유량과 피크 강도의 검량선을 얻는다.
한편, 피복 입자의 분체 20㎎을 20φ의 디스크에 성형했다. 이 디스크를 사용해서 상술과 마찬가지로 IR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1700㎝-1 부근의 흡수 피크 강도를 얻었다. 이 값과 미리 작성한 검량선을 비교함으로써, 피복 입자에 포함되는 쌀겨 왁스의 함유량을 특정했다.
(3) 아밀로펙틴의 함유량
아밀로오스/아밀로펙틴 분석 키트(니폰 바이오콘사제)를 사용하여, 동일 키트가 규정하는 수순에 따라, 총 전분량, 아밀로오스양을 측정했다. 아밀로펙틴의 함유량(중량%)은 「{1-(아밀로오스양/총 전분량)}×100」에 의해 구했다.
(4) 글로불린양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법을 사용하여, 글로불린 잔류량을 측정했다. 먼저, 도데실황산나트륨(후지 필름 와코준야쿠사제) 2g, 요소(후지 필름 와코준야쿠사제) 24g, 글리세린 10g,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도꾜 가세이 고교사제) 0.76g을 증류수로 용해했다. 이 용액을, 1N 염산수 용액을 사용해서 pH6.8로 조정했다. 또한, 2-머캅토에탄올(후지 필름 와코준야쿠사제) 2.5g을 더하여 100mL로 하고, 이것을 단백질 추출액으로 하였다. 실시예에서 얻어진 피복 입자의 분체 1g을, 단백질 추출액 0.7mL에 더해서 교반하고, 24시간 정치했다. 그 후, 원심 분리로 상청액을 분리했다. 이 상청액 0.01mL를 PGME 겔(후나코시사제)에 충전하고, 전기 영동을 행하였다. 그 후, 이 겔을 CBB 염색 시약(바이오 다이내믹스 켕큐쇼사제)에 침지해서 염색했다. 염색된 겔을 화상 해석(후지 필름사제 루미노 이미지 애널라이저 LAS-100plus, 후지 필름사제 ImageGauge에 의한 자동 정량)하고, 글로불린 잔류량을 산출했다.
(5) 진구도
투과형 전자 현미경(히다치 세이사꾸쇼제, H-8000)에 의해, 2000배로부터 25만배의 배율로 촬영하고, 사진 투영도를 얻는다. 이 사진 투영도로부터, 임의의 50개의 입자를 선택하고, 각각의 최대 직경 DL과, 이에 직교하는 짧은 직경 DS를 측정하고, 비(DS/DL)를 구하였다. 그들의 평균값을 진구도로 하였다.
(6) 발수성
피복 입자의 분체 0.5g을 물 30ml에 투입하고, 1시간 정치 후, 눈으로 보고 관찰했다. 시료인 분체가 수면에 존재하고, 수중에 가라앉아 있지 않으면 "○", 수중에 가라앉은 경우에는 "×"로 판정했다.
[실시예 2]
전분 입자의 IPA 분산액(고형분 농도 10중량%) 90g에 첨가하는 쌀겨 왁스의 양을 0.72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복 입자의 분체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전분의 분산액(고형분 농도 5중량%)을 조제했다. 이 분산액 40g을 순수 160g로 희석하고, 고형분 농도를 1중량%로 하였다. 이 희석 분산액 200g을, 헵탄(간또 가가꾸사제) 3346g과 계면 활성제(가오사제 AO-10V) 25g의 혼합 용액에 더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유화 조건에서 유화액을 조제했다. 이 유화액을 60℃에서 16시간 가열하고, 유화 액적을 탈수했다. 탈수 후, 이 유화액을 2℃에서 16시간 냉각 보관했다. 또한, 부흐너 깔때기(세키야 리카 유리 키까이사제 3.2L)를 사용해서 정량 여과지(애드반텍 도요사제 No.2)로 여과했다. 이 이후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복 입자의 분체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전분의 분산액(고형분 농도 5중량%)을 조제하고, 이 분산액 200g을, 헵탄 3346g과 계면 활성제 (AO-10V) 25g의 혼합액 중에 더하였다. 이 이후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피복 입자를 조제했다. 단, 유화 공정에서의 유화 분산기의 회전 속도를 800rpm에, 탈수 공정에서의 유화액의 가열 시간을 24 시간으로 변경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조에츠 스타치사의 모치루 B 125g과 조에츠 스타치사의 파인스노우(멥쌀 유래 아밀로펙틴 80%) 125g을 혼합해서 전분 곡립으로 하였다. 이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복 입자의 분체를 얻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알칼리 침지 처리와 효소 처리에 의해 전분 곡립의 글로불린양을 저감시켰다. 이 전분 곡립을 사용해서 전분 입자를 조제했다. 먼저, 모치루 B 1㎏을 순수 4㎏에 더하고, 얻어진 현탁액에, 5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하여, pH를 9.0으로 조정했다(알칼리 침지 처리). 또한, 효소(야쿠르트 야꾸힝 고교사제 아로아제 AP-10) 10g을 더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했다(효소 처리). 이어서, 이 용액을, 부흐너 깔때기(세키야 리카 가라스 키키까이사제 3.2L)를 사용해서 정량 여과지(애드반텍 도요사제 No.2)로 여과했다. 또한, 순수로 세정해서 잔류 효소와 분해된 단백질을 제거했다. 이에 의해 얻어진 케이크상 물질을 60℃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이 건조 분체를 250mesh 체(JIS 시험용 규격 체)로 체질했다. 이에 의해, 글로불린이 저감된 전분의 분체가 얻어졌다. 이 분체 250g을 순수 4750g에 현탁했다. 이 현탁액을 가열 교반(120℃, 16시간)하여, 전분의 분산액(고형분 농도 5중량%)을 조제했다. 이 이후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복 입자의 분체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피복 입자의 글로불린 잔류량은 0.02중량%였다.
[실시예 7]
전분 입자의 IPA 분산액(고형분 농도 10중량%) 90g에 첨가하는 쌀겨 왁스의 양을 0.05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복 입자의 분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전분 입자의 IPA 분산액(고형분 농도 10중량%)에 쌀겨 왁스를 첨가하지 않았다. 이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피복 입자의 분체를 조제했다.
[비교예 2]
전분 입자의 IPA 분산액 90g에 첨가하는 쌀겨 왁스의 양을 1.35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복 입자의 분체를 얻었다.
[비교예 3]
본 비교예에서는, 고형분 농도 20중량%의 전분 분산액을 조제했다. 즉, 모치루 B 1000g을 순수 4000g에 현탁하여, 고형분 농도 20중량%의 분산액을 조제했다. 이 분산액 200g을, 헵탄 3346g과 계면 활성제 (AO-10V) 25g의 혼합액 중에 더하였다. 이 이후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전분 입자를 조제했다.
[피복 입자의 분체 감촉 특성]
이어서,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얻어진 분체의 감촉 특성을 평가했다. 각 분체에 대해서, 20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관능 테스트를 행하여, 보송보송한 느낌, 촉촉한 느낌, 롤링감, 균일한 발림성, 피부에 대한 부착성, 롤링감의 지속성 및 부드러운 느낌의 7개의 평가 항목에 관해서 청취 조사를 행하였다. 평가점 기준 (a)에 기초한 각 사람의 평가점을 합계하고, 평가 기준 (b)에 기초하여 감촉 특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그 결과, 각 실시예의 분체는 화장료의 감촉 개량재로서 매우 우수하였지만, 비교예의 분체는 감촉 개량재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평가점 기준 (a)
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보통.
2점: 떨어진다.
1점: 매우 떨어진다.
평가 기준 (b)
◎: 합계점이 80점 이상
○: 합계점이 60점 이상 80점 미만
△: 합계점이 40점 이상 60점 미만
▲: 합계점이 20점 이상 40점 미만
×: 합계점이 20점 미만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사용감]
피복 입자의 분체를 사용해서 표 6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중량%)이 되도록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제작했다. 즉, 각 예의 분체를 성분 (1)로 하고, 성분 (2) 내지 (9)와 함께 믹서에 넣어 교반하고, 균일하게 혼합했다. 이어서, 화장료 성분 (10) 내지 (12)를 이 믹서에 넣어 교반하고, 더욱 균일하게 혼합했다. 얻어진 케이크상 물질을 해쇄 처리한 후, 그 중에서 약 12g을 꺼내서, 46㎜×54㎜×4㎜의 사각 금속 접시에 넣고 프레스 성형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파우더 파운데이션에 대해서, 20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관능 테스트를 행하였다. 피부에 대한 도포 중의 균일한 발림, 촉촉한 느낌, 매끄러움, 및 피부에 도포 후의 화장막의 균일성, 촉촉한 느낌, 부드러움의 6개의 평가 항목에 관해서 청취 조사를 행하였다. 전술한 평가점 기준 (a)에 기초한 각 사람의 평가점을 합계하고, 전술한 평가 기준 (b)에 기초하여 파운데이션의 사용감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에 의한 화장료는 도포 중에도 도포 후에도, 사용감이 우수하다. 그러나, 비교예의 화장료는 사용감이 좋지 않다.
Claims (7)
- 전분 입자를 쌀겨 왁스로 표면 처리한 피복 입자이며,
평균 입자경 d1이 0.5 내지 20㎛, 최대 입자경 d2가 30㎛ 미만, 또한 상기 평균 입자경 d1의 4.0배 이하이고,
상기 쌀겨 왁스가 0.5 내지 10.0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입자. - 제1항에 있어서, 전분 입자에 포함되는 아밀로펙틴이 9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입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글로불린의 함유량이 0.02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입자.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구도가 0.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입자.
- 전분 입자를 1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분산액을 준비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분산액에 쌀겨 왁스를 더해서 가열하고, 냉각함으로써, 상기 전분 입자의 표면에 쌀겨 왁스를 석출시키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에서 얻어진 분산액을 고액 분리해서 피복 입자를 고형물로서 얻는 제3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입자의 제조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 있어서, 분산액에 포함되는 전분 입자의 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11.0%의 질량의 쌀겨 왁스를 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입자의 제조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복 입자가 배합된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025176 | 2021-02-19 | ||
JP2021025176A JP7328268B2 (ja) | 2021-02-19 | 2021-02-19 | 被覆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 |
PCT/JP2022/006346 WO2022176940A1 (ja) | 2021-02-19 | 2022-02-17 | 被覆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8190A true KR20230148190A (ko) | 2023-10-24 |
Family
ID=8293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31447A KR20230148190A (ko) | 2021-02-19 | 2022-02-17 | 피복 입자와 그 제조 방법 및 화장료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25989A9 (ko) |
EP (1) | EP4296300A1 (ko) |
JP (1) | JP7328268B2 (ko) |
KR (1) | KR20230148190A (ko) |
CN (1) | CN116917390A (ko) |
WO (1) | WO202217694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33259B2 (ja) | 1988-09-20 | 1998-03-30 | 旭化成工業株式会社 | 多孔性微小セルロース粒子 |
JP2003146829A (ja) | 2001-11-12 | 2003-05-21 | Asahi Kasei Corp | 改質粉体および化粧料 |
DE10240322B4 (de) | 2002-08-31 | 2004-08-26 |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 Lipidhaltige Zubereitung, und deren Verwendung |
JP4528909B2 (ja) * | 2003-05-23 | 2010-08-25 | サンノプコ株式会社 | ワックス−金属石鹸複合乳化分散体 |
US20060286251A1 (en) | 2005-06-07 | 2006-12-21 | Kyungsoo Woo | Reversibly swellable granular starch-lipid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JP4933988B2 (ja) | 2006-09-01 | 2012-05-1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誘導加熱調理器 |
US8623386B2 (en) | 2008-04-11 | 2014-01-07 | Kobo Products, Inc. | Natural ester, wax or oil treated pigment,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cosmetic made therewith |
CN102470090B (zh) * | 2009-07-13 | 2014-04-23 | 帝化株式会社 | 油性分散体以及混合该油性分散体的化妆品材料 |
JP2013133355A (ja) | 2011-12-26 | 2013-07-08 | Univ Of Tokyo | 再生セルロース球状粒子の製造方法 |
JP6137812B2 (ja) | 2012-11-26 | 2017-05-31 | 株式会社アリミノ | 毛髪化粧料 |
JP2017052706A (ja) * | 2015-09-07 | 2017-03-16 |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 顆粒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
JP7058944B2 (ja) * | 2017-03-31 | 2022-04-25 |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 有機無機複合粒子、及び化粧料 |
US20200060958A1 (en) * | 2017-12-26 | 2020-02-27 | Japan Corn Starch Co., Ltd. |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composition |
CN111801377A (zh) * | 2018-03-30 | 2020-10-20 | 日挥触媒化成株式会社 | 有机无机复合粒子及其制造方法、以及化妆品 |
-
2021
- 2021-02-19 JP JP2021025176A patent/JP7328268B2/ja active Active
-
2022
- 2022-02-17 WO PCT/JP2022/006346 patent/WO202217694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2-17 EP EP22756258.4A patent/EP4296300A1/en active Pending
- 2022-02-17 US US18/546,456 patent/US20240225989A9/en active Pending
- 2022-02-17 CN CN202280014161.9A patent/CN116917390A/zh active Pending
- 2022-02-17 KR KR1020237031447A patent/KR20230148190A/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127185A (ja) | 2022-08-31 |
US20240225989A9 (en) | 2024-07-11 |
JP7328268B2 (ja) | 2023-08-16 |
CN116917390A (zh) | 2023-10-20 |
WO2022176940A1 (ja) | 2022-08-25 |
EP4296300A1 (en) | 2023-12-27 |
US20240130951A1 (en) | 2024-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2931B1 (ko) | 전분을 포함하는 입자와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 |
Velmurugan et al. | Encapsulation of orange and lavender essential oils in chitosan nanospherical particles and its application in leather for aroma enrichment | |
Franco et al. | Araticum (Annona crassiflora) seed powder (ASP) for the treatment of colored effluents by biosorption | |
DE10010113A1 (de) | Verfahren zur Isolierung von Schwammkollagen sowie Herstellung von nanoparikulärem Kollagen | |
FR3064636A1 (fr) | Particules composites organiques-inorganiques et produit cosmetique | |
Kaewmanee et al. | Effect of acetic acid and commercial protease pretreatment on salting and characteristics of salted duck egg | |
EP2205206A1 (de) | Verfahren zum entfernen von wasserunlöslichen substanzen von substratoberflächen | |
KR20200118109A (ko) | 비-용해된 전분 기제 입자의 용도 | |
KR20110089282A (ko) | 침착이 향상된 비누-기재의 액체 세정 배합물 | |
KR20230148190A (ko) | 피복 입자와 그 제조 방법 및 화장료 | |
Velmurugan et al. | Development of smart leathers: incorporating scent through infusion of encapsulated lemongrass oil | |
JP7454942B2 (ja) |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 | |
Yang et al. | Application of wool keratin: An anti-ultraviolet wall material in spray drying | |
US10080715B1 (en) | Polysaccharide based microparticle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AT515180A1 (de) | Dreidimensionaler cellulosischer Formkörper,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 |
JPS5835111A (ja) | 二重構造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10004208A2 (fr) | Nouveaux matériaux composites à base de zinc,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 |
Bertuzzi et al. | Brea tree (Cercidium praecox) exudate gum | |
JP2022157453A (ja) | 天然ゴム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 | |
JP2022149286A (ja) | ポルフィラン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 | |
JP2022157457A (ja) | ポリイソプレン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 | |
AU749005B2 (en) | Water/oil repellant composition | |
JP2018164450A (ja) | こんにゃく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 |
Wu et al. | Composite films based on a novel protein and chitosan: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 |
JPS62250056A (ja) | 油性体吸蔵再生蛋白質微粉末及びその製造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