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135A -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135A
KR20230141135A KR1020220040287A KR20220040287A KR20230141135A KR 20230141135 A KR20230141135 A KR 20230141135A KR 1020220040287 A KR1020220040287 A KR 1020220040287A KR 20220040287 A KR20220040287 A KR 20220040287A KR 20230141135 A KR20230141135 A KR 20230141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rigidity
fender
reinforced
automob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4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135A/ko
Publication of KR2023014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3Over-moulded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폴리우레탄으로 인슐레이터 보디를 성형할 때 그 안에 보강 리브체를 인서트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 얇으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어 원하는 위치에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미리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를 제공한다. 특히, 부분적으로 강성을 보강하여 전체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강성과 조립 효율 개선 그리고 소음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중공의 육면체 가장자리 부분에만 리브체가 형성되게 하여 보강 리브체 자체의 강성과 구조적 강성을 통해 인슐레이터 보디의 강성 강화를 보강할 수 있는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STIFFNESS-REINFORCED FENDER INSULATOR FOR VEHICLES}
본 발명은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폴리우레탄으로 인슐레이터 보디를 제조할 때, 보강 리브체를 인서트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쉽게 조립하여 조립성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인슐레이터 보디가 복잡해지고 얇아지더라도 펜더 인슐레이터 형상도 쉽게 제작하여 정해진 형태대로 조립할 수 있고, 특히 약해질 수 있는 펜더 인슐레이터의 강성을 보강하여 소음성능이 떨어지지 않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더(Fender)는 자동차의 바퀴 부분을 덮는 패널로, 한쪽에는 자동차용 문이 개폐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에, 이 펜더와 프레임 사이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은 펜더 인슐레이터가 장착되어 소음 성능을 개선하게 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31002호
사출 방식으로 인슐레이터 보디에 소음 패드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의 소음 패드를 쉽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소음 패드를 인슐레이션 패드에 부착하지 않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인슐레이터 보디를 성형할 때 소음 패드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인슐레이터 보디를 인서트로 삽입하여 소음 패드를 일체로 사출하거나, 2중 사출 방식으로 인슐레이터 보디에 소음 패드를 사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음 패드로 고무 재질인 TPO(Thermal Plastic Olefin)를 사용함으로, 성형성이 우수하여 쉽게 인슐레이터 보디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에 견고하게 밀착하게 하여 소음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66959호
펜더 인슐레이션을 필라 아우터 패널에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결합 부분을 일체로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별도로 고정구를 제작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고정 위치에 고정구를 조립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조립 불량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고,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 펜더 인슐레이션을 바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특히, 결합 부분을 펜더 인슐레이션 장착에 사용하는 장착 구멍에 관통하게 끼워지는 기둥 부분과, 이 기둥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변형 부분을 돌출 형성함으로, 결합 부분이 끼워지는 장착 구멍의 두께에 맞게 적당한 위치에 있는 변형 부분을 통해 항상 펜더 인슐레이션을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8948호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하는 펜더 인슐레이션의 상부를 연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하고 하부를 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함으로써, 펜더 인슐레이션의 강성을 보완하여 펜더 인슐레이션을 조립할 때 쉽게 꺾이거나 접히지 않게 하여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패널에 접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한 하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패널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지게 하여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하부가 패널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연질과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크기를 다양한 비율로 제작할 수 있게 하여 펜더 인슐레이션의 형상과 차종 등에 따라 각각 다른 강성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차종이 달라지더라도 이에 알맞은 강성을 가진 펜더 인슐레이션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펜더 인슐레이터(I)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펜더와 프레임 사이에 장착할 때,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 부분을 먼저 삽입한 다음 아랫부분을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펜더 인슐레이터(I)는, [도 4]와 같이, 자동차의 경량화와 디자인의 다양화로 더욱더 얇게 제작되기도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31002호 (공개일: 2021.11.02)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66959호 (공개일: 2021.06.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8948호 (공개일: 2017.04.10)
하지만, 이러한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는 기존의 펜더 인슐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자동차의 경량화와 디자인의 다양화로, 펜더 인슐레이터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듦에 따라 펜더 인슐레이터를 장착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틈새 등을 통해 소음이 새어 소음 성능이 떨어진다.
(2) 즉, 기존 펜더 인슐레이터는 경량화를 위해 폴리우레탄으로 제작하게 되는데, 폴리우레탄은 충분한 강성을 갖지 못한다. 이에, 펜더 인슐레이터를 장착하더라도 장착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등 소음 성능이 떨어진다.
(3) 또한, 이처럼 자동차의 경량화와 디자인의 다양화로, 펜더 인슐레이터의 굵기가 얇아짐에 따라, 소음 성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펜더 인슐레이션이 쉽게 휘거나 변형되어 자동차 문을 개폐할 때 간섭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밀도가 10~80㎏/㎥인 폴리우레탄으로 인슐레이터 보디를 성형할 때 그 안에 보강 리브체를 인서트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얇으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어 원하는 위치에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미리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통상 길게 형성된 인슐레이터 보디에서 강성이 약한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강성을 보강하여 인슐레이터의 전체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강성과 조립 효율 개선 그리고 소음 성능을 향상할 수 있게 한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의 육면체 가장자리 부분에만 리브가 형성되게 하여 보강 리브체 자체의 강성과 구조적 강성을 통해 인슐레이터 보디의 강성 강화를 보강할 수 있게 한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는, 자동차용 펜더에서 문을 회전지지하는 힌지 부분이 설치되는 틈새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에서; 밀도가 10~80㎏/㎥인 폴리우레탄으로 성형 된 인슐레이터 보디(10)를 포함하되; 상기 인슐레이터 보디(10)에는 안에 보강 리브체(11)가 일체로 인서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보강 리브체(11)는, 가장자리 부분에 리브가 형성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이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보강 리브체(11)는, 상기 인슐레이터 보디(10)에서 적어도 양단 부분에 인서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인슐레이터 보디에 보강 리브체를 인서트하여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펜더 인슐레이터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2) 이에, 인슐레이터 보디를 밀도가 10~80㎏/㎥인 폴리우레탄으로 제작하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할 때는 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또한, 자동차의 경량화와 디자인의 슬림화 등으로 인슐레이터 보디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보강 리브체로 강성을 보강해 주게 되므로, 펜더 인슐레이터의 강성 보강과 더불어 소음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그리고 보강 리브체는 인슐레이터 보디 전체에 걸쳐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적어도 강성이 약한 양쪽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보강해서도 사용할 수 있어 중량이 늘어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강성 보강과 더불어 소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펜더 인슐레이가 설치되는 위치를 보여주는 위한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펜더 인슐레이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서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종래 펜더 인슐레이터를 장착하는 방향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보다 더 얇게 제작되는 펜더 인슐레이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에 보강 리브체 형상을 보여주려고 단면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펜더 인슐레이터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자동차용 펜더에서 문을 회전지지하는 힌지 부분이 설치되는 틈새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 보디(1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인슐레이터 보디(10)는 밀도가 10~80㎏/㎥로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저밀도 폴리우레탄으로 성형함에 따라 펜더 인슐레이터의 전체 중량을 줄이면서도 쉽게 변형하게 해서 좁은 설치 공간에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면서도 소음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터 보디(10)는 저밀도 폴리우레탄으로 제작할 때 보강 리브체(11)를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인슐레이터 보디(10)의 강성을 보강하여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면서도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인슐레이터 보디(10)의 변형이나 이탈 없이 신속하게 조립하면서도 틈새가 생기지 않게 하여 소음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보강 리브체(11)는 인슐레이터 보디(10) 전체에 구성할 수도 있고,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양쪽에만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슐레이터 보디(10)의 중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 리브체(11)는 가장자리 부분에 리브가 형성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이 연속해서 형성된 것처럼 제작함으로써, 보강 리브(11)의 중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구조적 강성을 강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인슐레이터 보디
인슐레이터 보디(1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긴 막대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터 보디(10)는 밀도가 10~80㎏/㎥로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저밀도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성형함으로써, 펜더 인슐레이터의 전체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게 하면서도 펜더와 차체 패널 사이에 좁은 설치 공간에서 인슐레이터 보디(10)를 설치할 때도 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처럼 폴리우레탄으로 상기 인슐레이터 보디(10)를 성형할 때는 그 안에 보강 리브체(11)를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한다.
나. 보강 리브체
보강 리브체(11)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망 형태가 되게 하여 인슐레이터 보디(10)를 성형할 때 그 안에 인서트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폴리우레탄으로 인슐레이터 보디(10)를 제작하더라도 충분한 강성과 더불어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인슐레이터 보디(10)를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충분한 소음 성능을 얻을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리브체(11)는 가장자리 부분에 리브가 형성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이 연속해서 이어진 것과 같은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인슐레이터 보디(10)의 강성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조립 위치에 맞게 인슐레이터 보디(10)를 쉽고 편리하게 휘어서 조립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보강 리브체(11)는 1열 또는 다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리브체(11)는, [도 4]와 같이 인슐레이터 보디(10)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고, 인슐레이터 보디(10) 중 강성이 약한 부분인 양쪽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보강 리브체(11)를 구성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보강 리브체(11)로 인해 인슐레이터 보디(10)의 중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강성 보강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 보디를 성형할 때 보강 리브체를 추가함으로써, 펜더 인슐레이터의 강성을 보강하여 좁은 설치 공간에서의 설치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도 설치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소음 성능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터 보디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소음성능을 개선하면서도 보강 리브체를 통해 충분히 강성을 보강하여 쉽고 조립하여 사용하면서도 소음 성능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체는 강성이 약한 부분에만 인서트하거나 인슐레이터 보디 전체에 인서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0: 인슐레이터 보디
11: 보강 리브체

Claims (3)

  1. 자동차용 펜더에서 문을 회전지지하는 힌지 부분이 설치되는 틈새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에서,
    밀도가 10~80㎏/㎥인 폴리우레탄으로 성형 된 인슐레이터 보디(10)를 포함하되,
    상기 인슐레이터 보디(10)에는 안에 보강 리브체(11)가 일체로 인서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2. 제1항에서,
    상기 보강 리브체(11)는,
    가장자리 부분에 리브가 형성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이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보강 리브체(11)는,
    상기 인슐레이터 보디(10)에서 적어도 양단 부분에 인서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KR1020220040287A 2022-03-31 2022-03-31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KR20230141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287A KR20230141135A (ko) 2022-03-31 2022-03-31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287A KR20230141135A (ko) 2022-03-31 2022-03-31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135A true KR20230141135A (ko) 2023-10-10

Family

ID=8829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287A KR20230141135A (ko) 2022-03-31 2022-03-31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113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948A (ko) 2015-09-30 2017-04-1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KR20210066959A (ko) 2019-11-28 2021-06-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KR20210131002A (ko) 2020-04-23 2021-11-02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948A (ko) 2015-09-30 2017-04-1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KR20210066959A (ko) 2019-11-28 2021-06-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KR20210131002A (ko) 2020-04-23 2021-11-02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5519B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
JP4358151B2 (ja) 車両の後部構造
US20080073927A1 (en) Vehicle trim component storage compart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9119318A1 (ja) フレーム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102316417B1 (ko) 씰링재 및 그 설치 구조
US9481322B2 (en) Structure of door trim and door inner belt for vehicle
JP4489722B2 (ja) 車両の側部構造
KR20230141135A (ko)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KR102201861B1 (ko)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GB2314049A (en) Vehicle interior trim member
JP6125476B2 (ja)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及び車両における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
JP4864483B2 (ja) 車両のドア部構造
KR102161098B1 (ko) 경량화된 보강구조를 갖는 차량내장용 하이브리드패널
KR102161096B1 (ko) 경량화된 보강구조를 갖는 차량내장용 하이브리드패널
JP2017210048A (ja) 自動車ドア用グラスラン
KR100320820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트림부재의 장착구조
US20240174302A1 (en) Body panel assembly
CN215851490U (zh) 车身侧部结构
KR102436352B1 (ko) 차량용 외장재
JP3974097B2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構造
CN114670957B (zh) 树脂车顶
JP6500641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KR200196276Y1 (ko) 후사경일체형 스포일러
KR100381474B1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JP6607397B2 (ja) 車両用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