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002A -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002A
KR20210131002A KR1020200049251A KR20200049251A KR20210131002A KR 20210131002 A KR20210131002 A KR 20210131002A KR 1020200049251 A KR1020200049251 A KR 1020200049251A KR 20200049251 A KR20200049251 A KR 20200049251A KR 20210131002 A KR20210131002 A KR 20210131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fender
insulation body
pad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정성용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4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002A/ko
Publication of KR2021013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1/003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3/04Inorganic materials
    • B29K2103/08Mineral aggregates, e.g. sand, clay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Abstract

사출 방식으로 인슐레이션 보디에 소음 패드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의 소음 패드를 쉽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소음 패드를 인슐레이션 패드에 부착하지 않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인슐레이션 보디를 성형할 때 소음 패드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인슐레이션 보디를 인서트로 삽입하여 소음 패드를 일체로 사출하거나, 2중 사출 방식으로 인슐레이션 보디에 소음 패드를 사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음 패드로 고무 재질인 TPO(Thermal Plastic Olefin)를 사용함으로, 성형성이 우수하여 쉽게 인슐레이션 보디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에 견고하게 밀착하게 하여 소음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ENDER INSULATION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슐레이션 보디의 양쪽 가장자리에 탄성 부재를 사출하여 일체로 형성하므로, 인슐레이션 보디에 탄성 부재를 부착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정해진 형태로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어 품질을 높이면서도 소음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사출 성형은 인슐레이션 보디를 먼저 사출 성형한 다음 탄성 부재를 한 번에 사출성형하거나, 인슐레이션 보디를 인서트로 해서 사출하거나, 인슐레이션 보디를 먼저 사출한 다음 두 개의 탄성 부재를 각각 따로 사출 성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펜더 인슐레이션(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문을 장착하는 개구부의 앞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한다. 이처럼 두 개의 패널 사이에 장착하는 펜더 인슐레이션(10)은 양쪽 가장자리에 패드(11)를 장착하여 소음 성능을 개선하고 이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한다. 이러한 펜더 인슐레이션(10)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하면서도 소음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제작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50769호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개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룸에서 유입되는 엔진 소음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된 펜더 인슐레이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패널 방향으로 절곡된 펜더 패널의 절곡면에 끼워지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클립부와, 상기 플레이트 양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ㄷ”형상으로 절곡지게 형성된 끼움부 및, 상기 플레이트의 끼움부에 끼워지어 차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흡차음 충진제를 포함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186981호
자동차의 펜더 인슐레이터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펜더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펜더 인슐레이터가 상기 펜더 패널에 결합하도록, 상기 펜더 인슐레이터의 일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된 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펜더 패널에 형성된 결합홀에 끼움 결합이 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하여 상기 홀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와, 상기 다수개의 돌출부 사이에 탄성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8948호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하는 펜더 인슐레이션의 상부를 연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하고 하부를 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함으로써, 펜더 인슐레이션의 강성을 보완하여 펜더 인슐레이션을 조립할 때 쉽게 꺾이거나 접히지 않게 하여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패널에 접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한 하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패널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지게 하여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하부가 패널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연질과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크기를 다양한 비율로 제작할 수 있게 하여 펜더 인슐레이션의 형상과 차종 등에 따라 각각 다른 강성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차종이 달라지더라도 이에 알맞은 강성을 가진 펜더 인슐레이션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이러한 기존의 펜더 인슐레이션(1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에 패드(11)를 장착한다. 패드(11)는 펜더 패널과 펜더 인슐레이션(10) 사이, 그리고 펜더 인슐레이션(10)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하여 그 틈새로 소음이 스며 나오는 것을 차단한다.
하지만, 이처럼 패드를 갖춘 펜더 인슐레이션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펜더 인슐레이션을 제작한 다음 그 가장자리에 패드를 부착하게 되므로, 부착이 쉽지 않아 소음 성능이 떨어진다.
(2) 특히, 펜더 인슐레이션을 장착하는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 사이의 형상이 복잡함으로, 여기에 장착하는 펜더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형상도 복잡하게 이루어져서 패드를 부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3) 이에, 패드 부착을 쉽게 하려고 너무 연한 재질로 제작하면 펜더 인슐레이션에 부착하기는 쉽지만, 원하는 소음 성능을 얻을 수 없다.
(4) 한편, 패드 부착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펜더 인슐레이션에 부착하므로, 부착 작업을 할 때 접착제 냄새 등이 많이 생겨서 작업 환경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5) 또한, 접착제를 많이 사용하면 패드 부착은 쉬울 수 있으나, 접착제가 흘러 내려 펜더 인슐레이션에 달라 붙음에 따라 소음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50769호 (공개일: 2008.06.10) 한국등록특허 제10-1186981호 (등록일: 2012.09.24)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8948호 (공개일: 2017.04.10)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사출 방식으로 인슐레이션 보디에 소음 패드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의 소음 패드를 쉽게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소음 패드를 인슐레이션 패드에 부착하지 않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보디를 성형할 때 소음 패드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인슐레이션 보디를 인서트로 삽입하여 소음 패드를 일체로 사출하거나, 2중 사출 방식으로 인슐레이션 보디에 소음 패드를 사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쉽고 편리하게 성형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때 사용하는 소음 패드로 고무 재질인 TPO(Thermal Plastic Olefin)를 사용함으로, 성형성이 우수하여 쉽게 인슐레이션 보디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에 견고하게 밀착하게 하여 소음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은, 차량의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에서, 인슐레이션 보디(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와 소음 패드(110a, 110b)는,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먼저 사출 성형한 다음, 그 양쪽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한 번에 일체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와 소음 패드(110a, 110b)는,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먼저 사출 성형한 다음, 어느 한쪽 가장자리의 소음 패드(110a)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뒤, 다른 한쪽 가장자리의 소음 패드(110b)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와 소음 패드(110a, 110b)는,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먼저 사출하여 성형하여 인서트로 삽입한 뒤에 그 양쪽 가장자리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일체로 또는 각각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는 그 재질이 PP-TD20이고, 상기 소음 패드(110a, 110b)는 그 재질이 TPO(Thermal Plastic Olef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인슐레이션 보디에 소음 패드를 일체로 성형하므로, 소음 패드를 직접 부착하는 작업 공정을 없앨 수 있다.
(2) 특히, 인슐레이션 보디의 가장자리가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착하기 어려웠던 소음 패드를 인슐레이션 보디에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3) 또한, 소음 패드는 인슐레이션 보디를 제작할 때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인슐레이션 보디를 인서트로 삽입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인슐레이션에 동시에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일체로 성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4) 인슐레이션 보디에 소음 패드를 부착할 때 사용하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쾌적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펜더 인슐레이션을 장착한 위치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펜더 인슐레이션을 장착한 위치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자동차에 장착하는 종래 펜더 인슐레이션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자동차에 장착하는 종래 펜더 인슐레이션의 한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성형한 펜더 인슐레이션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펜더 인슐레이션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나눠서 소음 패드를 일체로 사출 방식으로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펜더 인슐레이션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소음 패드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돼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인슐레이션 보디(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소음 패드(110a, 110b)를 부착하는 과정을 없애고, 특히 부착 면이 복잡하여 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착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와 소음 패드(110a, 110b)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인서트로 하여 소음 패드(110a, 110b)를 동시에 또는 각각 따라 사출하여 형성하거나,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먼저 사출 성형한 다음 양쪽 면에 각각 따로 소음 패드(110a, 110b)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이들 소음 패드(110a, 110b)를 한 번에 사출 성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는 그 재질로 PP-TD20를 사용하고, 상기 소음 패드(110a, 110b)는 그 재질로 TPO(Thermal Plastic Olefin)를 사용하므로, 쉽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착력과 소음 차단 효과를 높여 소음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인슐레이션 보디
인슐레이션 보디(100)는, [도 5]와 같이, 차량의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할 수 있게 제작한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후술할 소음 패드(110a, 110b)와 함께 이중 방식으로 사출 성형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인서트로 사용해서 소음 패드(110a, 110b)를 일체로 사출하게 성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는, [도 6]과 같이, 사출 금형(M) 안에서 미리 1차로 사출한 다음 그 한쪽 면에 후술할 소음 패드(110a)를 사출하고, 그 뒤에 [도 7]과 같이 인슐레이션 보디(100)의 다른 한쪽 가장자리에 다른 소음 패드(110b)를 사출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 [도 8]과 같이, 미리 성형한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사출 금형(M)에 인서트로 삽입하여 동시에 양쪽 가장자리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일체로 사출하여 성형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동시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사출 성형할 때는, 하나의 금형(M)에서 먼저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사출 성형한 다음, 그 양쪽 가장자리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거나 하나씩 사출 성형하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사출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인슐레이션 보디(100)는 그 재질이 PP-TD20을 이용할 수 있다. PP-TD20은 PP(polypropylene)에 TD(TALC) 20% 함량만큼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PP-TD20은 내열성, 치수안정성, 강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으로 잘 알려졌다.
나. 소음 패드
소음 패드(110a, 110b)는, [도 5]와 같이, 상술한 인슐레이션 보디(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일체로 성형한다.
이때, 상기 소음 패드(110a, 11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성형한 다음, [도 6] 및 [도 7]과 같이 소음 패드(110a, 110b)를 한쪽에 하나씩 성형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미리 사출 성형하거나 별도로 성형하여 인서트 형태로 삽입한 인슐레이션 보디(100)의 양쪽에 동시에 두 개의 소음 패드(110a, 110b)를 동시에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게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두 개의 소음 패드(110a, 110b)는 동시에 성형하지 않고 한쪽씩 사출 성형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음 패드(110a, 110b)의 재질로는 소음 성능과 더불어 펜더 인슐레이션을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해야 하므로 어느 정도 변형할 수 있게 하여 마감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TPO(Thermal Plastic Olefin)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에, 상기 소음 패드(110a, 110b)는 성형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형상도 쉽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 면의 복잡한 형상에도 잘 맞게 성형하면서도 소음 차단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보디에 소음 패드를 일체로 성형하므로, 쉽게 성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인슐레이션의 가장자리 부분에 소음 패드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인슐레이션 보디
110a, 110b: 소음 패드

Claims (5)

  1. 차량의 펜더 패널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에서,
    인슐레이션 보디(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와 소음 패드(110a, 110b)는,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먼저 사출 성형한 다음, 그 양쪽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한 번에 일체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와 소음 패드(110a, 110b)는,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먼저 사출 성형한 다음, 어느 한쪽 가장자리의 소음 패드(110a)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뒤, 다른 한쪽 가장자리의 소음 패드(110b)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와 소음 패드(110a, 110b)는,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를 먼저 사출하여 성형하여 인서트로 삽입한 뒤에 그 양쪽 가장자리에 소음 패드(110a, 110b)를 일체로 또는 각각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인슐레이션 보디(100)는 그 재질이 PP-TD20이고,
    상기 소음 패드(110a, 110b)는 그 재질이 TPO(Thermal Plastic Olef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KR1020200049251A 2020-04-23 2020-04-23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KR20210131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51A KR20210131002A (ko) 2020-04-23 2020-04-23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51A KR20210131002A (ko) 2020-04-23 2020-04-23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002A true KR20210131002A (ko) 2021-11-02

Family

ID=7847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251A KR20210131002A (ko) 2020-04-23 2020-04-23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10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135A (ko) 2022-03-31 2023-10-10 (주)대한솔루션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KR20230166217A (ko) 2022-05-30 2023-12-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769A (ko) 2006-12-04 2008-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개선 구조
KR101186981B1 (ko) 2010-08-23 2012-09-28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의 펜더 인슐레이터 마운팅 구조
KR20170038948A (ko) 2015-09-30 2017-04-1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769A (ko) 2006-12-04 2008-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개선 구조
KR101186981B1 (ko) 2010-08-23 2012-09-28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의 펜더 인슐레이터 마운팅 구조
KR20170038948A (ko) 2015-09-30 2017-04-1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135A (ko) 2022-03-31 2023-10-10 (주)대한솔루션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KR20230166217A (ko) 2022-05-30 2023-12-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9547B (zh) 缓冲夹
US9010840B2 (en) Exterior module with an exterior panelling for a modularly constructed housing component and the modularly constructed housing component itself,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exterior module
KR20210131002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US8840169B2 (en) Door trim
US8702155B2 (en) Cowl louver sealing structure
JP5944190B2 (ja) 発泡性部材の取付具、及び発泡充填具
KR102291228B1 (ko) 경량화된 일체형 윈도채널조립체
JP2015117009A (ja)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及び車両における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
KR102161096B1 (ko) 경량화된 보강구조를 갖는 차량내장용 하이브리드패널
KR20200104263A (ko) 경량화된 보강구조를 갖는 차량내장용 하이브리드패널
JP5691287B2 (ja) 発泡成形部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部材の取付構造
JP5691288B2 (ja) 発泡成形部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部材の取付構造
KR100513595B1 (ko) 자동차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JP2020062903A (ja) フェンダーインシュ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92073B1 (ko) 자동차용 외장 몰딩
WO2019031391A1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CN107486972A (zh) 注塑件、车辆、注塑模具和注塑件的制造方法
JP2006168464A (ja) フェンダーサイドプロテクタ
JP3719083B2 (ja) 自動車ドア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3832182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2002274284A (ja) 自動車用中空成形品
JP5404752B2 (ja) 車両用のルーフモール
JP5605069B2 (ja) 発泡成形部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部材の取付構造
JP5605068B2 (ja) 発泡成形部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部材の取付構造
JP5644245B2 (ja) 発泡成形部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部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