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861B1 -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861B1
KR102201861B1 KR1020170053874A KR20170053874A KR102201861B1 KR 102201861 B1 KR102201861 B1 KR 102201861B1 KR 1020170053874 A KR1020170053874 A KR 1020170053874A KR 20170053874 A KR20170053874 A KR 20170053874A KR 102201861 B1 KR102201861 B1 KR 102201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garnish
garnish bod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003A (ko
Inventor
김혜수
최창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5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8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에 조립되는 가니시 본체부와, 가니시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가니시 본체부의 조립 시 도어와 가니시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동 가능한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DOOR GARNISH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는 크게 차체와 섀시로 구성된다.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탑승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차 실내와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 룸 및 짐을 보관하여 운반하는 트렁크 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섀시는 자동차에서 차체부분을 제외한 것을 말하며, 자동차의 골격에 해당하는 섀시 프레임에 엔진 등 주행하는데 필요한 장치 일체를 장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는 후드가 설치되는 전방 차체와 루프 및 도어가 장착되는 중간 차체와 트렁크 실로 배치되는 후방 차체로 나눌 수 있는데, 중간 차체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천정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 그리고 도어 패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도어 패널에는 장식적인 미감 형성은 물론, 외부 충격이나 긁힘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거나, 온도변화나 빗물 또는 습기 등에 의해 서서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니시(이를 '도어 가니시'라 함)가 부착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가니시 조립체(1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 가니시 조립체(10)의 경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가니시 본체부(11)와, 이를 고정하는 별물 브라켓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종래의 도어 가니시 조립체(10)은 제작 시 별물 브라켓부(13)의 조립 및 가공비가 더 포함되어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었으며, 아무래도 별물 브라켓부(13)의 추가 적용으로 인해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23211호(1998.05.20. 공개)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도어프레임 가니시 스트립 고정클립에 관한 내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에 조립되는 가니시 본체부; 및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니시 본체부의 조립 시 상기 도어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동 가능한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회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회동 연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 차를 통해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브라켓부는 작업자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휘어져 설정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플렉시블 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 특성을 갖는 형상으로 처리될 수 있는데,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회동 시 크랙 방지 및 배수 기능을 갖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의 형상 및 구조, 위치, 개수 등은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사이에 구비되는 힌지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힌지 구조물이라 함은 힌지 및 이와 동일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조로서 브라켓부를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현해 줄 수 있는 관용의 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는, 하단부가 차량의 바디 하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의 조립 시 설정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마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부는, 하단부가 차량의 바디, 사이드 실, 실링 스트립 중 어느 하나에 접촉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도어에 조립되는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를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도어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동시켜, 상기 가니시 본체부를 상기 도어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도어 가니시 조립체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회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회동 연결부를 더 포함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가니시 본체부의 하단부는 차량의 바디 하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마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브라켓부의 하단부는 차량의 바디, 사이드 실, 실링 스트립 중 어느 하나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시키며,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는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니시 본체부와 별도 제공되었던 별물 브라켓부로 구성되었던 종래의 도어 가니시 조립체의 구성을 일체형 구조로 변경하여, 별물 브라켓부의 조립 가공비 절감을 통해 무게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을 실현해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체로 이루어진 가니시 본체부와 회동 가능한 브라켓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브라켓부는 회동 연결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가니시 본체부에 결합되어 도어 조립 시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도 조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니시 본체부와 별물 브라켓부를 포함하였던 종래의 도어 가니시 조립체에 비해 중량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가니시 조립체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에서 브라켓부를 회동시키기 이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에서 브라켓부를 회동시켜 가니시 본체부를 도어에 조립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후드가 설치되는 전방 차체와 루프 및 도어가 장착되는 중간 차체와 트렁크 실로 배치되는 후방 차체로 나눌 수 있는데, 중간 차체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천정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 그리고 도어 패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도어 패널에는 장식적인 미감 형성은 물론, 외부 충격이나 긁힘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거나, 온도변화나 빗물 또는 습기 등에 의해 서서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니시(이를 '도어 가니시'라 함)가 부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에서 브라켓부를 회동시켜 가니시 본체부를 도어에 조립하기 전, 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100)는 가니시 본체부(110)와, 가니시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부(130)를 포함한다.
가니시 본체부(110)는 도어(구체적으로는 도어 패널(200, 도 3 참조)을 말함)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가니시 본체부(110)가 도어 패널(200, 도 4 참조)에 장착됨에 따라, 차량용 도어의 장식적인 미감 형성은 물론, 외부 충격이나 긁힘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지어 온도변화나 빗물 또는 습기 등에 의해 서서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부(130)는 가니시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니시 본체부(110)는 금형을 통해 성형 제작될 수 있는데, 가니시 본체부(110)의 성형 시 브라켓부(130)의 형상까지 동시에 성형하여 상호 일체형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과 달리 별물 브라켓 성형 및 조립 가공에 필요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130)는 가니시 본체부(110)의 조립 시 도어(구체적으로는 도어 패널(200, 도 4 참조)을 말함)와 가니시 본체부(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가니시 본체부(110)의 조립 시 브라켓부(130)가 가니시 본체부(110)와 도어 패널(200) 사이로 회동하여 이들 사이에 개재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100)는 브라켓부(13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구비되는 회동 연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 연결부(150)는 가니시 본체부(110)와 브라켓부(130) 사이에 형성되는데, 가니시 본체부(110)의 조립 시 브라켓부(130)가 힌지 방식으로 회전(이를 '회동'이라 함)하도록 해준다.
구체적으로는, 회동 연결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시 본체부(110)의 두께(t1)과 브라켓부(130)의 두께(t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t3)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 차를 통해 가니시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부(130)는 적은 힘으로도 설정 방향(예: 도 4에 도시된 반 시계 방향)을 따라 회동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서, 회동 연결부(150)는 가니시 본체부(110)와 브라켓부(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플렉시블 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유연하지 않은 재질로 성형되더라도 구조적으로 유연한 특성을 갖도록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회동 연결부(150)는 가니시 본체부(110)와 브라켓부(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서로 같은 재질을 갖더라도 회동 연결부(150)가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형상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회동 연결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는 회동 연결부(150)에 위치한 홀을 통해 브라켓부(130)가 접힐 때, 크랙을 방지하고 배수 기능을 확보하도록 구비되는 부재를 말한다. 다만, 이러한 스토퍼의 형상, 크기, 개수, 위치, 설치 방식 등은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회동 연결부(150)는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가니시 본체부(110)와 브라켓부(130)에 사이에 구비되는 힌지 구조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힌지 구조물이라 함은 힌지 및 이와 동일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조로서 브라켓부를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현해 줄 수 있는 관용의 수단을 모두 포함하며,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100)는 도어(즉, 도어 패널)(200)에 조립될 수 있다.
브라켓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시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일체형 구조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브라켓부(130)를 회동 연결부(150)를 기준으로 설정 방향(즉, 도 4의 반 시계 방향)을 따라 회동시키는데, 이로써, 가니시 본체부(110)와 도어 패널(200) 사이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부(130)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가니시 본체부(110)는 브라켓부(130)를 사이에 두고 도어 패널(200)에 밀착하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시 본체부(110)는 하단부가 차량의 바디 하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안도록 마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부(130)의 일단부(즉, 브라켓접촉부(131))는 도어 패널(200)(즉, 패널접촉부(220))에 접촉될 수 있으며, 타단부(즉, 하단부)는 도어 패널(200) 하부에 구비된 사이드 실(30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라켓부(130)는 도어의 내측에 마감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라켓부(130)의 하단부는 차량의 바디, 사이드 실, 실링 스트립 중 어느 하나에 필요에 따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 부위에 접촉되는 것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한편, 브라켓부(130)와 가니시 본체부(110)는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스냅핏의 결합 위치, 개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가니시 조립체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 가니시 조립체 제조방법은 성형 단계(S100)와 조립 단계(S200)를 포함한다.
성형 단계(S100)
본 단계는 가니시 본체부와 브라켓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로서, 단일의 금형을 이용하여 가니시 본체부와 브라켓부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 도어 가니시 조립체를 성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라켓부(130)는 가니시 본체부(110)의 일단을 통해 연장 형성되는데 상호 일체형 구조로서 금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형상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와 조금씩 다른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일체로 성형된 가니시 본체부(110)와 브라켓부(130)의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플렉시블 한 구조로 이루어진 회동 연결부(150)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100)가 성형된다.
조립 단계(S200)
본 단계는 가니시 본체부와 일체로 성형된 브라켓부를 회동시켜 가니시 본체부를 도어에 조립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부(130)를 회동 연결부(150)를 기준으로 설정 방향(즉, 반 시계 방향)을 따라 회동시키면, 브라켓부(130)는 가니시 본체부(110)와 도어 패널(200) 사이로 위치하게 된다.
가니시 본체부(110)는 하단부가 차량의 바디 하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부(130)는 도어의 내측에 마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130)의 하단부는 차량의 바디, 사이드 실, 실링 스트립 중 어느 하나에 필요에 따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 부위에 접촉되는 것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브라켓부(130)와 가니시 본체부(110)는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스냅핏의 결합 위치, 개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가니시 본체부와 별도 제공되었던 별물 브라켓부로 구성되었던 종래의 도어 가니시 조립체의 구성을 일체형 구조로 변경하여, 별물 브라켓부의 조립 가공비 절감을 통해 무게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을 실현해 낼 수 있다.
나아가, 일체로 이루어진 가니시 본체부와 회동 가능한 브라켓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브라켓부는 회동 연결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가니시 본체부에 결합되어 도어 조립 시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니시 본체부와 별물 브라켓부를 포함하였던 종래의 도어 가니시 조립체에 비해 중량이 감소되어 차량의 무게 경량화를 실현해 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도어 가니시 조립체
110: 가니시 본체부
130: 브라켓부
131: 브라켓접촉부
150: 회동 연결부
200: 도어 패널
210: 체결부재
220: 패널접촉부
300: 사이드 실

Claims (16)

  1. 도어에 조립되는 가니시 본체부; 및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니시 본체부의 조립 시 상기 도어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동 가능한 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의 조립 시 설정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마감 형성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로서,
    상기 브라켓부의 회동 시, 상기 브라켓부의 양단부는 도어 패널 및 사이드실에 접촉하되, 상기 브라켓부의 일단부에 위치한 브라켓접촉부는 상기 도어의 패널접촉부에 면 접촉되고, 상기 브라켓부의 타단부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사이드 실에 접촉되며,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회동을 가능하게 해주며,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플렉시블 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회동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사이에 구비되는 힌지 구조물을 갖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시 본체부는,
    하단부가 차량의 바디 하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형성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a) 도어에 조립되는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를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도어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동시켜, 상기 가니시 본체부를 상기 도어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의 조립 시 설정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와 상기 가니시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마감 형성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브라켓부의 양단부는 도어 패널 및 사이드 실에 접촉하되, 상기 브라켓부의 일단부에 위치한 브라켓접촉부는 상기 도어의 패널접촉부에 면 접촉되고, 상기 브라켓부의 타단부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사이드 실에 접촉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도어 가니시 조립체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회동을 가능하게 해주며,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플렉시블 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회동 연결부를 더 포함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가니시 본체부와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70053874A 2017-04-26 2017-04-26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01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74A KR102201861B1 (ko) 2017-04-26 2017-04-26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74A KR102201861B1 (ko) 2017-04-26 2017-04-26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03A KR20180120003A (ko) 2018-11-05
KR102201861B1 true KR102201861B1 (ko) 2021-01-11

Family

ID=6432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74A KR102201861B1 (ko) 2017-04-26 2017-04-26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212A (ko) 2020-10-30 2022-05-09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외장재
KR20230162169A (ko) 2022-05-20 2023-11-28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도어 구조물
KR102645132B1 (ko) 2022-05-20 2024-03-07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도어 가니시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01170U (zh) * 2013-12-03 2014-05-21 东风汽车公司 车门防擦条粘贴胶带的翻转固定结构
JP2016068632A (ja) * 2014-09-26 2016-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JP2016094028A (ja) * 2014-11-12 2016-05-26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ドアガーニッシ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01170U (zh) * 2013-12-03 2014-05-21 东风汽车公司 车门防擦条粘贴胶带的翻转固定结构
JP2016068632A (ja) * 2014-09-26 2016-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JP2016094028A (ja) * 2014-11-12 2016-05-26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ドアガーニッシ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03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306B2 (en) Vehicle seal system
KR102201861B1 (ko)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A1074836A (en) Removable transparent roof panel for motor vehicles
JP2010070054A (ja) 車両のドア構造
JP2006036191A (ja) 自動車バック・ドア
CN107627972B (zh) 机动车辆密封结构用柱密封护圈
JP6170535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US6908136B2 (en) Inner shell for vehicle bodies
JP7222759B2 (ja) 自動車ドア用シール構造
US10850781B2 (en) Motor vehicle body having an air-guiding unit
JP4321367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864483B2 (ja) 車両のドア部構造
JP2007099263A (ja) 自動車のリアハッチドア
US11167627B2 (en) Covering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8672016B2 (en) Folding end cap
JP5949460B2 (ja) 自動車の側部構造
US11286003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2015193275A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2436352B1 (ko) 차량용 외장재
EP1960253B1 (en) Hatch frame for vehicle
JPS6342018Y2 (ko)
JP2023123236A (ja) 自動車
JP6949072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6964629B2 (ja) 窓パネル取付構造
JP2011068311A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