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169A - 차량용 도어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169A
KR20230162169A KR1020220061723A KR20220061723A KR20230162169A KR 20230162169 A KR20230162169 A KR 20230162169A KR 1020220061723 A KR1020220061723 A KR 1020220061723A KR 20220061723 A KR20220061723 A KR 20220061723A KR 20230162169 A KR20230162169 A KR 2023016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rnish
panel
door garnish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식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2006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169A/ko
Publication of KR2023016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은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도어 가니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가니시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삽입시키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를 구속시켜 고정하는 패널구속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부자재(예: 클립 등)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물리적인 고정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구조물{DOOR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기존 클립 고정 방식을 대체하여 도어 가니시의 내측에 도어 패널의 하단부가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견고한 장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은 크게 차체와 섀시로 구성된다.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탑승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차 실내와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 룸 및 짐을 보관하여 운반하는 트렁크 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섀시는 자동차에서 차체부분을 제외한 것을 말하며, 자동차의 골격에 해당하는 섀시 프레임에 엔진 등 주행하는데 필요한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차체는 후드가 설치되는 전방 차체와 루프 및 도어가 장착되는 중간 차체와 트렁크 실이 배치되는 후방 차체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중간 차체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천정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 그리고 도어 패널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 패널에는 외관 미감을 형성하거나, 외부 충격 또는 긁힘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거나, 또는 온도 변화나 빗물 또는 습기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외장재가 부착되고 있으며, 이를 도어 가니시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를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를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1)는 도어 패널(2)과, 도어 가니시(3)를 포함한다. 도어 가니시(3)는 도어 패널(2)의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구조물의 하단부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 구간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가니시(3)는 도어 가니시 외측몸체(31)와 도어 가니시 내측몸체(32)를 포함한다.
도어 가니시 외측몸체(31)는 도어 가니시(3)의 외부에 구비되며, 도어 패널(2)의 외부 면과 연결된다.
이와 달리, 도어 가니시 내측몸체(32)는 도어 가니시(3)의 내부에 구비되며 도어 패널(2)의 하단부(21)와 조립되어 연결된다. 이때, 도어 패널(2)의 하단부(21)를 고정시키기 위해 클립(4)이 사용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기존에는 도어 패널(2)과 도어 가니시(3) 간의 결합을 위해서 별도의 부자재인 클립(4)을 이용하여 도어 패널(2)의 하단부를 고정시키고 있다. 클립(4)은 도어 패널(2)에 도어 가니시(3)가 장착되는 부위마다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클립(4)을 이용한 고정 방식은, 클립(4) 자체의 성능에 따라 조립 장착성에 일관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심지어 금형 구조에 따라 클립(4)의 적용에 제약이 따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0003호(2018.11.05. 공개)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00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기존 클립 고정 방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도어 가니시의 내측에 도어 패널의 하단부가 견고하게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클립 고정 방식에 따를 경우 클립 성능에 따라 조립 장착성에 일관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금형 구조에 따른 클립 적용의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별도의 부자재(예: 클립 등)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도어 가니시의 내측에 도어 패널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은,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도어 가니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가니시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삽입시키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를 구속시켜 고정하는 패널구속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하향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패널구속부는, 상기 홈의 내부로 상기 돌출부를 상하로 삽입시켜 상기 돌출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도어 가니시는, 상기 도어 가니시의 외부에 위치하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 및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와 연결되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상기 도어 가니시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외부몸체, 상기 제1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부몸체보다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외부몸체, 및 상기 제2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외부몸체보다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3 외부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외부몸체의 상단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내입단부와, 상기 내입단부의 말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상향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외부몸체의 하단에는 상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내측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은,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몰딩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몰딩부의 하단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몰딩부의 하단부는 상기 단차부에 구속되어 상기 몰딩부가 구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몰딩부의 하단부는 상기 내입단부의 상부 면에 안착되어 견고하게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는,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와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을 두고서 상기 도어 가시니 외부몸체의 내부 면과 마주하여 연결되는 제1 내부몸체, 일단부는 상기 제1 내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내부몸체, 및 일단부는 상기 제2 내부몸체의 일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 분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내부몸체의 타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3 내부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내부몸체와 상기 제3 내부몸체의 사이에는 소정의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홈에는 상기 제3 외부몸체의 하단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된 내측돌기가 구속되어 돌출부가 패널구속부에 삽입 및 조립된 경우 도어 가니시의 하부를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패널구속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패널구속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 중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가 패널구속부에 손쉬운 조립 방식으로 상하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패널구속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의 삽입 시 상기 돌출부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삽입 시 상기 돌출부의 타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패널구속부는, 상기 제1 몸체의 하단과 상기 제2 몸체의 하단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홈 바닥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 바닥몸체는, 상기 돌출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삽입 시 상기 돌출부의 선단을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몸체와 제2 몸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초기 조립 시 돌출부가 홈의 입구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손쉬우며 무리한 조립 과정에 따라 조립 부위에서의 파손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은,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도어 가니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가니시는, 상기 도어 가니시의 외부에 위치하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 및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와 연결되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에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상기 도어 가니시에 거치하여 구속시키는 돌출구조물을 포함하는 패널구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돌출구조물과, 상기 돌출구조물이 마주하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될 수 있다. 갭은 돌출부가 돌출된 상하방향에 교차하여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하향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갭은, 상기 돌출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상기 도어 가니시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외부몸체; 상기 제1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부몸체보다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외부몸체; 및 상기 제2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외부몸체보다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3 외부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서,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는, 상기 도어 가시니 외부몸체의 내부 면과 마주하여 연결되는 제1 내부몸체;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내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내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조물은, 상기 제1 내부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구조물은 제1 내부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구조물이 제1 내부몸체를 기준으로 경사진 각도 및 돌출된 길이, 돌출 단부의 형상은 돌출부의 두께, 길이, 돌출 방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돌출구조물은 돌출부를 물리적으로 구속시켜 간편한 방식으로 조립 작업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 가니시의 내측에 소정 길이의 홈 형상을 갖는 패널구속부를 형성하고,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가 패널구속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거치되어 구속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클립 고정 방식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견고한 조립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고정에 사용되었던 클립 고정 방식에서의 문제점, 예를 들어, 클립의 성능에 따라 조립 장착성에 일관성이 저해될 수 있는 기존의 문제점과, 금형 구조에 따른 클립 적용에 제약이 따랐던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 가니시의 내측에 마련된 패널구속부의 내부로 도어 패널의 하단부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한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클립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구조물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구조물의 하단부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4는 도 3의 "B-B" 구간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의 하단부 "C" 영역을 확대하여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7는 도 6의 "D-D" 구간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E" 단면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의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즉 차량의 차체는 전방 차체, 중간 차체, 그리고 후방 차체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중간 차체는 플로어 패널, 루프 패널, 그리고 도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도어 패널에는 외관 미감을 형성하거나, 외부 충격 또는 긁힘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거나, 또는 온도 변화나 빗물 또는 습기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외장재가 부착되며 이를 도어 가니시라 한다.
그런데 기존의 차량용 도어 구조물은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사이의 고정 결합을 위해 별도의 부자재인 클립을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클립 자체의 성능에 따라 조립 장착성에 일관성이 저해되고, 금형 구조에 따라 클립의 적용에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클립 고정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쉽고 간단한 방식으로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며, 클립의 사용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 구조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의 하단부 "C" 영역을 확대하여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7는 도 6의 "D-D" 구간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E" 단면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의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차량용 도어 구조물의 제1 실시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100)은 도어 패널(110)과 도어 가니시(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100)은 별도의 부자재(예: 클립 등)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도어 가니시(130)의 내측에 도어 패널(110)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차량용 도어의 외장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어 가니시(130)는 도어 패널(2)의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100)에서 도어 가니시(130)는 패널구속부(170)(도 7 및 도 8 참조)를 더 포함한다.
패널구속부(170)(도 7 및 도 8 참조)는 도어 패널(110)의 하단부(111)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20)를 삽입시키는 홈(174)(도 7 및 도 8 참조)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도어 패널(110)의 돌출부(120)(도 7 및 도 8 참조)는 홈(174)(도 7 및 도 8 참조)의 내부에 간단히 조립되는 방식으로 일체화된 구조로 구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돌출부(120)(도 7 및 도 8 참조)는 도어 패널(110)의 하단부(111)에서 소정 길이만큼 하향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널구속부(170)(도 7 및 도 8 참조)는 홈(174)(도 7 및 도 8 참조)을 구비하며, 홈(174)(도 7 및 도 8 참조)의 내부로 돌출부(120)(도 7 및 도 8 참조)를 상하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부자재, 예를 들어 기존의 클립(4)(도 4 참조)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도어 패널(110)과 도어 가니시(130) 간의 견고한 조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 이후에 돌출부(120)(도 7 및 도 8 참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100)에서 도어 패널(110)과 도어 가니시(130) 간의 조립 구조와, 패널구속부(17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가니시(130)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와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를 포함한다.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는 도어 패널(110)의 하단부(111)에 연결되는 도어 가니시(130) 중에서 외부에 위치하는 몸체를 말한다.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는 도어 가니시(130) 중에서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를 말하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30)와는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는 도어 패널(110)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연결될 수 있다(도 5, 도 6 참조).
도 7을 참조하면,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는 제1 외부몸체(141), 제2 외부몸체(142), 및 제3 외부몸체(143)를 포함한다.
제1 외부몸체(141)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의 일부로서, 도어 패널(110)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외관을 이루어 형성되도록 도어 가니시(130)의 외부에 위치하는 몸체이다.
제2 외부몸체(142)는 제1 외부몸체(141)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 외부몸체(141)보다 도어 가니시(13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 외부몸체(143)는 제2 외부몸체(142)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2 외부몸체(142)보다 도어 가니시(13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데, 연장된 말단 부위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의 하단, 제2 내부몸체(152) 및 제3 내부몸체(15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외부몸체(141)의 상단에는 단차부(14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44)는 도어 가니시(13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후 일정 길이만큼 내부로 돌출된 내입단부(1441)와, 내입단부(1441)의 말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후 일정 길이만큼 상향 돌출된 상향절곡부(1442)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100)은 몰딩부(200)를 더 포함한다. 몰딩부(200)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 특히 제1 외부몸체(14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몰딩부(200)의 하단부(210)는 도어 가니시(13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만일, 몰딩부(200)의 하단부(210)가 도어 가니시(13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경우, 몰딩부(200)의 하단부(210)는 제1 외부몸체(141)의 상단에 마련된 단차부(144)에 구속되어 몰딩부(200)가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몰딩부(200)의 하단부(210) 중 적어도 일부가 내입단부(1441)의 상부 면에 대면 접촉하여 일정한 힘으로 지지될 수 있어 서로 간의 구속력이 강화되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외부몸체(143)의 하단에는 상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내측돌기(1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내측돌기(145)는 후술할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의 삽입 홈(154)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는 도어 가니시(130) 중에서 내부에 위치하는데, 전술한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30)와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는 도어 패널(110)의 하단부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5, 도 6 참조).
도 7을 참조하면,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는 제1 내부몸체(151), 제2 내부몸체(152), 및 제3 내부몸체(153)를 포함한다.
제1 내부몸체(151)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와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을 두고서 도어 가시니 외부몸체(140)의 내부 면과 마주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 내부몸체(152)는 일단부가 제1 내부몸체(151)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구체적으로는 제3 외부몸체(143)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내부몸체(153)는 일단부가 제2 내부몸체(152)의 일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 분기되고, 타단부가 제2 내부몸체(152)의 타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부몸체(152)와 제3 내부몸체(153)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통해 제2 내부몸체(152)와 제3 내부몸체(153)의 사이에는 소정의 삽입 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홈(154)에는 제3 외부몸체(143)의 하단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된 내측돌기(145)가 삽입된 후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20)가 패널구속부(170)에 삽입 및 조립될 때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와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조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100)에서, 패널구속부(170)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구속부(170)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 중 도어 패널(110)의 하단부(111)와 마주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패널(110)의 하단부(111)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120)가 패널구속부(170)에 구비된 홈(174)에 상하로 손쉽게 조립될 수 있다(도 7 참조).
도 8을 참조하면, 패널구속부(170)는 제1 몸체(171)와 제2 몸체(173)를 포함한다.
제1 몸체(171)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에 일체로 연결되며, 돌출부(120)의 삽입 시 돌출부(120)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173)는 제1 몸체(171)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며, 돌출부(120)의 삽입 시 돌출부(120)의 타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171)는 홈(174)을 기준으로 일 측에서 홈 내부의 한쪽 벽면을 제공하고, 제2 몸체(173)는 홈(174)을 기준으로 타 측에서 홈 내부의 다른 한쪽 벽면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1 몸체(171)와 제2 몸체(173)가 홈(174)의 양측에서 돌출부(120)의 삽입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써 돌출부(120)의 안정적이며 견고한 삽입 고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패널구속부(170)는 제1 몸체(171)의 하단과 제2 몸체(173)의 하단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홈 바닥몸체(172)를 더 포함한다.
홈 바닥몸체(172)는 돌출부(1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돌출부(120)가 홈(174)에 삽입될 때 돌출부(120)의 선단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171)와 제2 몸체(173)는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몸체(171)와 제2 몸체(173)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8 참조). 이에 따라, 도어 패널(110)과 도어 가니시(130) 간의 초기 조립 시 돌출부(120)가 홈(174)의 입구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손쉬운 장점이 있으며, 조립 과정에서의 무리한 힘을 가하여 변형 또는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차량용 도어 구조물의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의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는 제1 외부몸체(141), 제2 외부몸체(142), 및 제3 외부몸체(143)를 포함한다.
제1 외부몸체(141)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의 일부로서, 도어 패널(110)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외관을 이루어 형성되도록 도어 가니시(130)의 외부에 위치하는 몸체이다.
제2 외부몸체(142)는 제1 외부몸체(141)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 외부몸체(141)보다 도어 가니시(13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 외부몸체(143)는 제2 외부몸체(142)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2 외부몸체(142)보다 도어 가니시(13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데, 연장된 말단 부위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의 하단, 제2 내부몸체(152) 및 제3 내부몸체(153)과 연결될 수 있다.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는 제1 내부몸체(151)와 제2 내부몸체(152)를 포함한다.
제1 내부몸체(151)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와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을 두고서 도어 가시니 외부몸체(140)의 내부 면과 마주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 내부몸체(152)는 일단부가 제1 내부몸체(151)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140)(구체적으로는 제3 외부몸체(143)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널구속부(180)는 도어 가니 내부몸체(150)에 연결되어 도어 패널 하단부(111)의 돌출부(120) 중 적어도 일부(121)를 거치하여 구속할 수 있는 돌출구조물(181)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구조물(181)은 도어 패널 하단부(111)에 연결된 돌출부(120)의 적어도 일부(121)를 위치 구속시켜 지지한다(도 9 참조). 이를 위해, 돌출구조물(181)과, 이와 마주하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 사이에는 소정의 갭(18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갭(182)은 돌출부(120)의 두께에 대응하여 돌출부(120)가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구속부(180),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구조물(181)은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150) 중 제1 내부몸체(151)의 일단(1511)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구조물(181)이 제1 내부몸체(151)를 기준으로 경사진 각도, 돌출된 길이, 돌출 단부의 형상은 돌출부(120)의 두께, 길이, 돌출 방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구조물(181)은 돌출부(120)를 물리적으로 구속시켜 간편한 방식으로 조립 작업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도어 가니시의 내측에 소정 길이의 홈 형상을 갖는 패널구속부를 형성하고,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가 패널구속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구속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클립 고정 방식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견고한 조립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도어 패널과 도어 가니시 간의 고정에 사용되었던 클립 고정 방식에서의 문제점, 예를 들어, 클립의 성능에 따라 조립 장착성에 일관성이 저해될 수 있는 기존의 문제점과, 금형 구조에 따른 클립 적용에 제약이 따랐던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도어 가니시의 내측에 마련된 패널구속부의 내부로 도어 패널의 하단부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한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클립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차량용 도어 구조물
110: 도어 패널
111: 도어 패널 하단부
120: 돌출부
130: 도어 가니시
140: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
141: 제1 외부몸체
142: 제2 외부몸체
143: 제3 외부몸체
144: 단차부
1441: 내입단부
1442: 상향절곡부
145: 내측돌기
150: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
151: 제1 내부몸체
152: 제2 내부몸체
153: 제3 내부몸체
154: 삽입 홈
170: 패널구속부
171: 제1 몸체
172: 홈 바닥몸체
173: 제2 몸체
174: 홈
200: 몰딩부
210: 하단부

Claims (16)

  1.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도어 가니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가니시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삽입시키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를 구속시켜 고정하는 패널구속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하향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패널구속부는, 상기 홈의 내부로 상기 돌출부를 상하로 삽입시켜 상기 돌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니시는,
    상기 도어 가니시의 외부에 위치하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 및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와 연결되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상기 도어 가니시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외부몸체;
    상기 제1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부몸체보다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외부몸체; 및
    상기 제2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외부몸체보다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3 외부몸체;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몰딩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는,
    상기 도어 가시니 외부몸체의 내부 면과 마주하여 연결되는 제1 내부몸체;
    일단부는 상기 제1 내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내부몸체; 및
    일단부는 상기 제2 내부몸체의 일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 분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내부몸체의 타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3 내부몸체;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속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에 위치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속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의 삽입 시 상기 돌출부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삽입 시 상기 돌출부의 타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2 몸체;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속부는,
    상기 제1 몸체의 하단과 상기 제2 몸체의 하단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홈 바닥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 바닥몸체는, 상기 돌출부의 삽입 시 상기 돌출부의 선단을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11.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도어 가니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가니시는, 상기 도어 가니시의 외부에 위치하는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 및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와 연결되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에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상기 도어 가니시에 거치하여 구속시키는 돌출구조물을 포함하는 패널구속부가 구비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조물과, 상기 돌출구조물이 마주하는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하향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갭은, 상기 돌출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한
    차량용 도어 구조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부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는,
    상기 도어 패널의 외부 면과 나란하게 상기 도어 가니시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외부몸체;
    상기 제1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부몸체보다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외부몸체; 및
    상기 제2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외부몸체보다 상기 도어 가니시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3 외부몸체;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니시 내부몸체는,
    상기 도어 가시니 외부몸체의 내부 면과 마주하여 연결되는 제1 내부몸체;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내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도어 가니시 외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내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조물은, 상기 제1 내부몸체에 위치하는
    차량용 도어 구조물.
KR1020220061723A 2022-05-20 2022-05-20 차량용 도어 구조물 KR20230162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23A KR20230162169A (ko) 2022-05-20 2022-05-20 차량용 도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23A KR20230162169A (ko) 2022-05-20 2022-05-20 차량용 도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169A true KR20230162169A (ko) 2023-11-28

Family

ID=8895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723A KR20230162169A (ko) 2022-05-20 2022-05-20 차량용 도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1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003A (ko) 2017-04-26 2018-11-05 (주)엘지하우시스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003A (ko) 2017-04-26 2018-11-05 (주)엘지하우시스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1883B2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US20160355215A1 (en) Motor vehicle body
US8011709B2 (en) Trim panel attachment assembly with anti-rotation flange
US10532773B2 (en) Center pillar structure for vehicle
CN108928395B (zh) 车身前部构造
US6698823B2 (en) Front pillar panel assembly structure of a vehicle
US6698822B2 (en) Motor vehicle with a receptacle arranged in an end region of the motor vehicle
CN109649313B (zh) 汽车的前围格栅构造
JP3856789B2 (ja) 自動車のドアスカーフトリム固定構造
JP2007038717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EP3012136A1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230162169A (ko) 차량용 도어 구조물
KR102645133B1 (ko) 차량용 가니시 구조물
JP2007076617A (ja) 車体側部構造
JP2007237896A (ja) 自動車の車体下部構造
KR102645132B1 (ko) 차량용 도어 가니시 구조물
JP4378630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3498114B2 (ja) 自動車のトリム設置用クリップ
KR102552166B1 (ko) 인너리스 b필러 구조
JP7329189B2 (ja) 車両前部構造
KR100320820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트림부재의 장착구조
KR0120428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20220076774A (ko) 차량용 가니시 구조물
KR200150434Y1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어셈블리
KR100187363B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