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212A - 차량용 외장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212A
KR20220058212A KR1020200143735A KR20200143735A KR20220058212A KR 20220058212 A KR20220058212 A KR 20220058212A KR 1020200143735 A KR1020200143735 A KR 1020200143735A KR 20200143735 A KR20200143735 A KR 20200143735A KR 20220058212 A KR20220058212 A KR 2022005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cket
base part
vehicle
exterior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식
강희윤
고재승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14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8212A/ko
Publication of KR2022005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3Materials or fluids with speci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는,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결합되며,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측에 포켓 형상으로 연결되며, 베이스부의 사출 성형 시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사출되는 포켓부를 포함하며, 베이스부와 포켓부는 설정비율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외장재{VEHICLE EXTERIOR PAR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굴곡 방지를 위한 차량용 외장재에 과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크게 차체와 섀시로 구성된다.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이며,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탑승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차 실내 부분,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 룸, 그리고 짐을 보관하는 트렁크 실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섀시는 자동차에서 차체를 제외한 부분을 통칭하는데, 자동차의 골격에 해당하는 섀시 프레임에 엔진 등과 같이 주행에 필요한 장치를 일체로 장착한 것을 말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차체는 후드가 설치되는 전방 차체, 루프 및 도어가 장착되는 중간 차체, 및 트렁크 실로 배치되는 후방 차체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차체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천정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 및 도어 패널 등을 포함한다.
특히, 도어 패널에는 통상적으로 도어 가니시(이하, 간략히 '가니시'라 함)가 부착된다.
가니시는 도어 패널에 부착되어 장식적인 외관 미감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외부 충격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한 긁힘 등과 같은 파손을 방지한다. 이 외에도 가니시는 온도 변화, 빗물 또는 습기 등에 따라 외형이 서서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량에는 가니시 등을 포함한 다수의 가니시류 형태의 차량용 외장재가 이용되는데, 주로 연질 플라스틱(예: TPO, TPE 등)의 재질로 성형됨에 따라 외관 품질 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는 차량용 외장재의 경우, 싱크 및/또는 후변형 문제(이하, '굴곡'이라 함)가 빈번히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는 차량용 외장재의 경우, 굴곡이 생길 수 있는 가니시 외관의 본체 부분(이하, '베이스부'라 함)과, 포켓부(dog house)를 별물로 제작하고, 이후 융착 등의 추가 공정으로 베이스부와 포켓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베이스부와 포켓부의 별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증가 문제와, 융착 공정 추가에 따른 비용 증가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공정이 까다롭고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으며,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0003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0003호
본 발명은 목적은 연질 플라스틱(예: TPO, TPE 등) 재질로 성형되는 차량의 외장재의 외관 품질 상의 문제, 예를 들어 굴곡 변형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외장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베이스부 및 포켓부의 별물 제작 공정과, 융착 등의 추가 공정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복잡한 공정에 따른 비용 증가, 재료 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개선하도록, 제조공정을 대폭 단순화시키면서도 품질을 향상시킨 차량용 외장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질 플라스틱(예: TPO, TPE 등) 재질로 성형되는 차량의 외장재의 외관 품질 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복잡한 공정, 예를 들어, 베이스부 및 포켓부의 별물 제작 공정 및 융착 등의 추가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외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는 베이스부와 포켓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부는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결합되며,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포켓부(dog house)는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측에 포켓 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사출 성형 시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베이스부와 포켓부가 별물로 성형하는 공정과 융착 등의 추가 공정의 복잡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포켓부는 설정비율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포켓부는, 5:1의 두께 비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가 포켓부의 두께에 비해 5배 큰 두께를 가짐에 따라,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부의 싱크 등의 표면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켓부의 두께가 0.8T일 경우 베이스부의 두께는 4.0T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포켓부에 비해 두께가 더 증가하여 형성된 두께증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두께증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관상 싱크 불량을 억제하고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에서 상기 포켓부는, 사출 금형의 슬라이드 코어 취출 방향으로 설정각도만큼 경사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부의 경사 구배는, 8 내지 15도의 각도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만일, 포켓부의 경사 구배가 8도 미만일 경우, 취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대로 포켓부의 경사 구배가 15도 초과일 경우, 취출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금형 제작이 어렵고, 주변 형상 및 구조와의 매칭이 나빠질 수 있으며, 조립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포켓부의 경사 구배는 8 내지 15도의 각도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이 사출 금형의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취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포켓부는, 상부 면을 기준으로 측면이 설정각도만큼 경사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포켓부의 측면이 이루는 경사 구배는 5 내지 8도의 각도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만일, 5도 미만으로 각도가 감소되는 경우 취출 시 표면 굴곡발생의 우려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8도를 초과하여 각도가 증가되는 경우 취출 후 포켓부의 누름 압력에 대한 버팀 강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포켓부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5 내지 8도의 각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에서, 베이스부의 내부 면에는 상기 포켓부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는 캐릭터 라인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라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라인부가 구비됨으로써, 코어 부하가 감소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의 굴곡 현상이 외관상 육안으로 노출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용 외장재의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릭터 라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캐릭터 라인부, 및 상기 제1 캐릭터 라인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돌출 부위 말단이 상기 제1 캐릭터 라인부와 연결되는 제2 캐릭터 라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면에는 상기 포켓부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는 돌출 리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캐릭터 라인부와 유사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리브는,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돌출 리브 형상을 이용하여, 베이스부의 굴곡 현상이 외관상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코어 부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는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부, 및 게이트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사출 시 수지 불량요소를 수용하여 수지 흐름자국이 표면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사출 시 수지를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부 내에서 복수 개가 서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질 플라스틱(예: TPO, TPE 등) 재질로 성형되는 차량의 외장재의 외관 품질 상의 문제, 예를 들어 싱크 및/또는 후변형 등을 포함하는 굴곡 변형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베이스부 및 포켓부의 별물 제작 공정과, 별물 제작된 베이스부 및 포켓부를 융착 등으로 결합하는 공정에 따른 공정의 복잡성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복잡한 공정에 따른 비용 증가, 재료비 증가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가니시류 차량용 외장재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차량용 외장재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에 포켓부가 연결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에 연결된 포켓부의 측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포켓부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포켓부의 연결 구조에 캐릭터 라인부가 추가된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에 오버플로우부가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을 말한다. 예를 들어, 차체는 후드가 설치되는 전방 차체, 루프 및 도어가 장착되는 중간 차체, 및 트렁크 실로 배치되는 후방 차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중간 차체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천정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 및 도어 패널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어 패널에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도어 가니시(이하, 간략히 '가니시' 또는 '가니시류'라 함)가 부착될 수 있다. 가니시는 도어 패널에 부착되어 장식적인 외관 미감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가니시는 외부 충격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한 긁힘 등과 같은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온도 변화, 빗물 또는 습기 등에 따라 차체 외형이 서서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가니시(즉, 차량용 외장재)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니시(10)는 위치 별로 휀더부(11), 프런트도어부(12), 리어도어부(13), 쿼터부(14)로 구분될 수 있다.
가니시(10)는 주로 연질 플라스틱(예: TPO, TPE 등)의 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에, 가니시(10)는 외관 표면 품질상에 싱크 또는 후변형 등과 같은 굴곡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는 기존의 일반적인 가니시 제작 공정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니시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부(20)와 이에 연결되는 포켓부(dog house)(30)를 각각 별물로 제작하는 공정(S10)과, 별물로 제작된 베이스부(20)와 포켓부(30)를 융착 등으로 접합하는 공정(S20)을 거쳐서 가니시, 즉 연질 가니시류 차량용 외장재를 제작하였다.
그런데 기존의 방식에 따르면 베이스부(20)와 포켓부(30)의 별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증가 문제와, 융착 공정 추가에 따른 비용 증가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공정이 까다롭고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으며,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연질 플라스틱(예: TPO, TPE 등) 재질로 성형되는 차량의 외장재의 외관 품질 상의 굴곡 변형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복잡한 공정, 예를 들어, 베이스부 및 포켓부의 별물 제작 공정 및 융착 등의 추가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외장재를 제공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차량용 외장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차량용 외장재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에 포켓부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는 베이스부(110)와 포켓부(1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를 말한다. 다시 말해, 베이스부(110)는 가니시 외관을 이루는 차량용 외장재(100)의 본체에 해당한다.
베이스부(110)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0)에 사용 가능한 연질 플라스틱에는 TPO, TP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TPO, TPE 등의 소재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이와 유사한 다양한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라면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포켓부(dog house)(120)는 베이스부(110)의 적어도 일면에 포켓 형상으로 연결되는 부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포켓부(120)는 도 5에 도시된 평면 형상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단면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포켓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사출 성형 시 베이스부(110)와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10)와 포켓부(120)가 각각 별물로 성형 제작되지 않으므로, 이후 베이스부(110)와 포켓부(120)를 연결시키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 및 포켓부(30)를 각각 별물로 성형 제작하는 제1 공정(S10)과, 별물로 제작된 베이스부(20) 및 포켓부(30)를 서로 연결시키는 융착 등의 제2 공정(S20)이 요구되어 공정이 복잡하였으나, 본 발명에 실시예는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까지 절감하고,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에서 베이스부(110)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가니시의 예시적인 형상(예: 휀더 가니시, 쿼터 가니시 등)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0)는 가니시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111), 가니시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113), 가니시의 하부에 노출되는 하부노출부(115), 및 가니시의 하단을 이루는 하단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의 내부 형상을 보여주는데, 베이스부(110)에 복수 개의 포켓부(120)가 일체로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에서 포켓부(120)는 사출 금형(미도시)의 슬라이드 코어 취출 방향(W, 도 5 참조)으로 설정각도(a)(또는 b)만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구배(121)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출 금형(미도시)의 슬라이드 코어 작동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어 클립 마운팅 부위의 취출성이 좋아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도 a는 슬라이드 코어 취출 방향(W)을 기준으로 포켓부(120)의 일측 경사 구배(121)의 각도 크기를 의미하며, 각도 b는 슬라이드 코어 취출 방향(W)을 기준으로 포켓부(120)의 타측 경사 구배(121)의 각도 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포켓부(120)의 경사 구배(121), 즉, 각도 a 및/또는 b는 8도 내지 15도의 각도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도 a와 b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만일, 포켓부(120)의 경사 구배(121)가 8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경사 구배(121)의 형성에 따른 취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왜냐하면 경사 구배(121)가 적어도 8도 이상일 경우에만 목적한 취출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만일 포켓부(120)의 경사 구배(121)가 15도 초과일 경우, 취출성 향상 효과는 좋아지지만, 경사 구배(121)의 각도가 지나치게 증가함에 따라 금형 제작이 어렵고, 주변 형상 및 구조물과의 매칭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조립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포켓부(120)는 8도 내지 15도의 경사 구배(121)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포켓부(120)가 8도 내지 15도의 경사 구배(121)를 갖는 경우에만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 부하를 최소화시켜 취출성을 향상시키고, 조립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에 연결된 포켓부의 측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포켓부(120)의 상부면(120a)을 기준으로 포켓부(120)의 측면(120b)은 설정각도(c)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각도(c)는 5 내지 8도의 각도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만일, 5도 미만으로 각도가 감소되는 경우 취출 시 표면 굴곡발생의 우려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8도를 초과하여 각도가 증가되는 경우 취출 후 포켓부의 누름 압력에 대한 버팀 강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포켓부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5 내지 8도의 각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포켓부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는 베이스부(110)와 포켓부(120)는 설정비율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110)의 두께(t1)가 포켓부(120)의 두께(t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10)와 포켓부(1200의 두께를 설정비율로 서로 다르게 해줌으로써, 포켓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싱크 등의 굴곡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가니시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부(110)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0)와 포켓부(120)는 5:1의 두께 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니시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부(110)의 두께(t1)는 포켓부(120)의 두께(t2)에 비해 5배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포켓부(120)의 두께(t2)가 0.8T일 경우 베이스부(110)의 두께(t1)는 4.0T일 수 있다.
만일 베이스부(110)의 두께(t1)가 포켓부(120)의 두께(t2)에 비해 5배 미만일 경우, 목표하는 싱크 등의 굴곡 방지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반대로, 베이스부(110)의 두께(t1)가 포켓부(12)의 두께(t2)에 비해 5배를 초과할 경우 베이스부(110)의 두께(t1)를 지나치게 증가시킴에 따라 부품 중량의 증가, 재료비의 증가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두께(t1) 증가 대비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에서 베이스부(110)와 포켓부(120)는 5:1의 두께 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에서 베이스부(110)는 포켓부(120)보다 두께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 두께증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두께증대부(130)는 베이스부(110)의 두께(t1)를 포켓부(120)의 두께(t2)보다 증대시켜주는 단면 확장 부위로서, 베이스부(110)의 단면에 확장 단면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0)의 두께(t1)는 포켓부(120)의 두께(t2)에 비해 5배 증가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베이스부(110)의 두께(t1)는 포켓부(120)의 두께(t2)에 두께증대부(130)의 두께(t3)를 합한 크기로 두께가 증대될 수 있다. 두께증대부(130)는 베이스부(110)와 동일한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두께증대부(130)는 베이스부(1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부(110)의 사출 시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두께증대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외관상 싱크 불량을 억제하고 굴곡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포켓부의 연결 구조에 캐릭터 라인부가 추가된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는 캐릭터 라인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내부 면에는 포켓부(120)가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10)의 외부 면, 즉 포켓부(120)가 연결된 반대측 면으로서 가니시 외관을 이루는 외부 면에는 캐릭터 라인부(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캐릭터 라인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외부 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튀어나오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이를 통해 베이스부(110)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릭터 라인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외부 면에 추가 형성됨으로써, 코어 부하 감소 및 베이스부(110)의 굴곡 현상이 외관상 육안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로써, 캐릭터 라인부(140)는 차량의 외관 디자인 미감을 부여함은 물론, 베이스부(110)의 굴곡을 억제하고 외관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용 외장재(100)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 라인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외부 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튀어나오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1 캐릭터 라인부(141)와 제2 캐릭터 라인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캐릭터 라인부(141)는 베이스부(110)의 외부 면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아래로 경사진 제1 경사면(142)을 가진다. 또한, 제2 캐릭터 라인부(143)는 제1 캐릭터 라인부(141)의 하측에 위치하는데, 베이스부(110)의 외부 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위로 경사진 제2 경사면(144)를 가진다. 그리고 제2 캐릭터 라인부(143)의 돌출 부위 말단은 제1 캐릭터 라인부(141)의 돌출 부위 말단과 연결되는데, 베이스부(110)의 외부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캐릭터 라인부(14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상으로 조금씩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는 베이스부(110)의 내부 면에는 포켓부(120)가 연결되고, 베이스부(110)의 외부 면에는 돌출 리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 리브(미도시)는,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도 7에 도시된 캐릭터 라인부(140)와 유사하게 베이스부(110)의 외부 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베이스부(110)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에 오버플로우부가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외장재(100)는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부(150)를 포함한다.
오버플로우부(150)는 베이스부(110)의 사출 시 수지 불량요소를 수용하여 수지 흐름자국이 표면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부(150)는 베이스부(110)의 말단에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오버플로우부(150)는 베이스부(110)의 후방부(113, 도 4 참조)에 설정 면적을 갖도록 연결되는데, 베이스부(110)의 후방부(113, 도 4 참조)에서 더 후방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베이스부(110)의 후방부(113, 도 4 참조)에 비해 폭 사이즈가 축소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오버플로우부(150)가 없을 경우, 베이스부(110)의 사출 시 수지 흐름온도 저하로 인해 수지 흐름자국이 베이스부(110)의 표면에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10)의 말단에 오버플로우부(150)를 추가 적용함으로써, 수지 불량요소를 오버플로우부(150)로 밀어낼 수 있다. 이로써, 차량용 외장재(100)의 표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플로우부(150)와 함께 베이스부(110)에 복수의 게이트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게이트부(미도시)는 베이스부(110)의 사출 시 수지를 유입시키는 것으로, 베이스부(11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복수의 게이트부(미도시)를 서로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다. 게이트부의 추가 적용으로 베이스부(110)의 말단까지 일정한 사출압으로 수지가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연질 플라스틱(예: TPO, TPE 등) 재질로 성형되는 차량의 외장재의 외관 품질 상의 문제, 예를 들어 싱크 및/또는 후변형 등을 포함하는 굴곡 변형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종래의 베이스부 및 포켓부의 별물 제작 공정과, 별물 제작된 베이스부 및 포켓부를 융착 등으로 결합하는 공정에 따른 공정의 복잡성을 해소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복잡한 공정에 따른 비용 증가, 재료비 증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종래의 차량용 외장재
11: 휀더부
12: 프런트도어부
13: 리어도어부
14: 쿼터부
20: 베이스부
30: 브라켓부
100: 차량용 외장재
110: 베이스부
111: 전방부
113: 후방부
115: 하부노출부
117: 하단부
120: 포켓부
120a: 상부면
120b: 측면
121: 경사 구배
130: 두께증대부
140: 캐릭터 라인부
141: 제1 캐릭터 라인부
142: 제1 경사면
143: 제2 캐릭터 라인부
144: 제2 경사면
150: 오버플로우부

Claims (14)

  1.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결합되며,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측에 포켓 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사출 성형 시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사출되는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포켓부는 설정비율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포켓부는,
    5:1의 두께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포켓부에 비해 두께가 더 증가하여 형성된 두께증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께증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관상 싱크 불량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사출 금형의 슬라이드 코어 취출 방향으로 설정각도만큼 경사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의 경사 구배는,
    8 내지 15도의 각도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상부 면을 기준으로 측면이 설정각도만큼 경사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의 측면이 이루는 경사 구배는
    5 내지 8도의 각도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면에는 상기 포켓부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는 캐릭터 라인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라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굴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라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캐릭터 라인부; 및
    상기 제1 캐릭터 라인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돌출 부위 말단이 상기 제1 캐릭터 라인부와 연결되는 제2 캐릭터 라인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외장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면에는 상기 포켓부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는 돌출 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 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굴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사출 시 수지 불량요소를 수용하여 수지 흐름자국이 표면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외장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재.
KR1020200143735A 2020-10-30 2020-10-30 차량용 외장재 KR20220058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735A KR20220058212A (ko) 2020-10-30 2020-10-30 차량용 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735A KR20220058212A (ko) 2020-10-30 2020-10-30 차량용 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212A true KR20220058212A (ko) 2022-05-09

Family

ID=8158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735A KR20220058212A (ko) 2020-10-30 2020-10-30 차량용 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82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003A (ko) 2017-04-26 2018-11-05 (주)엘지하우시스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003A (ko) 2017-04-26 2018-11-05 (주)엘지하우시스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653B1 (en) Resin molded objects
US8302350B2 (en) Fixing structure of opening weather strip for vehicle
US7377579B2 (en) Structure for mounting horizontal hood latch to upper panel of front-end module of automobile
US8001727B2 (en) Sealing molding with insert for forming closeout surface
US6758510B1 (en) Vehicle A-pillar trim components with integrated rear-view mirrors
US6457768B1 (en) Two-piece vehicle hardtop having an integral structural headliner
US7938474B2 (en) Tailgate for vehicle
US6983983B2 (en) High roof structure of a vehicle
US6168231B1 (en) Two piece plastic vehicle panel construction
US7210730B2 (en)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door
CN103359071B (zh) 具有水箱组件的汽车
US8827358B2 (en) Lining for a vehicle bonnet
JP3930451B2 (ja) 自動車用モールディング部材
US2010003881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Panel of Motor Vehicle
CN110386077B (zh) 部件集合体
US10086876B2 (en) Motor vehicle body
KR102201861B1 (ko) 도어 가니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07627972A (zh) 机动车辆密封结构用柱密封护圈
KR20220058212A (ko) 차량용 외장재
JP4242743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6539406B2 (ja) 車両用樹脂成形品及び車両用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10870393B1 (en) Headliner for a vehicle
KR102436352B1 (ko) 차량용 외장재
US7066530B2 (en) Filler panel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a vehicle body
JP5145025B2 (ja)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