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483A - 점착 필름 - Google Patents

점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483A
KR20230140483A KR1020230035080A KR20230035080A KR20230140483A KR 20230140483 A KR20230140483 A KR 20230140483A KR 1020230035080 A KR1020230035080 A KR 1020230035080A KR 20230035080 A KR20230035080 A KR 20230035080A KR 20230140483 A KR20230140483 A KR 20230140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substrate
oligom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스즈키
리에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인쇄층의 밀착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기재(11)와, 기재(11)의 편면에 적층된 점착층(12)을 구비하는 점착 필름(10)으로서, 기재(11)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미만이고, (메타)아크릴옥시기의 이중 결합 1몰당 질량에 상당하는 이중 결합 당량이 500∼5000g/mol인 (메타)아크릴옥시기 함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한다. 기재(11)의 점착층(12)과는 반대측 면에는, 인쇄층(15)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층(12)의 기재(11)와는 반대측 면에는, 피착체(20)를 첩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 필름{ADHESIVE FILM}
본 발명은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물품의 표면을 보호하거나, 표면에 장식을 하는 등의 목적으로, 점착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기재로 하고,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을 적층한 가식 성형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3차원 곡면부에도 유연하게 추종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자동차의 도장 강판 표면 상에 첩착하기 위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기재가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층과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연질층을 포함하고, 점착제층이 카르복실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등을 공중합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무연신 필름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기재의 다른 면에 장식 표시층을 형성한 박막 마킹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6577380호 공보 일본 특허 제4886969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95769호
물품의 표면에 사용되는 점착 필름에서는, 기재에 대한 인쇄 등에 의해 가식을 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에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3차원 곡면에 대한 첩부를 용이하게 하는 신장과, 가식 성형용의 인쇄성이 우수하다는 기재가 있다. 그러나, 유기 염소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점에서, 용도가 제한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작은 돌 등의 물체가 튀어 올라와 차체를 손상시키는 현상인 치핑에 대해, 차체를 보호하기 위해, 점착 시트를 첩착하는 기재가 있지만, 점착 시트에 인쇄 등을 실시하는 기재는 없다.
특허문헌 3에는, 기재의 다른 면에 금속 증착, 인쇄, 포일 스탬핑 등에 의해 장식 표시층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장식 표시층을 형성한 후에는, 투명 수지를 도포하여 보호층(탑코트 클리어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인쇄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면, 인쇄층의 박리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번잡하다. 또한, 물품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투명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기재에 대한 인쇄층의 밀착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기재 상의 인쇄층이 형성되는 면에, 프라이머 등의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번잡하다. 또한, 물품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인쇄층의 밀착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편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미만이고, (메타)아크릴옥시기의 이중 결합 1몰당 질량에 상당하는 이중 결합 당량이 500∼5000g/mol인 (메타)아크릴옥시기 함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가 가교제로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미만이고, 상기 이중 결합 당량이 500∼5000g/mol인 (메타)아크릴옥시기 함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비율이 2∼40중량부여도 된다.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층과는 반대측 면에, 커버 필름을 가져도 된다.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층과는 반대측 면에,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점착층의 상기 기재와는 반대측 면에, 박리 필름을 가져도 된다.
상기 점착층의 상기 기재와는 반대측 면에, 피착체의 유리가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층의 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점착 필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점착 필름을 첩합한 피착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에 점착 필름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점착 필름(10)은 기재(11)와, 기재(11)의 편면에 적층된 점착층(12)을 구비한다. 기재(11)의 점착층(12)과는 반대측 면은 인쇄 등의 가식이 가능한 가식면(11a)으로 되어 있다. 점착층(12)의 기재(11)와는 반대측 면은 물품 등에 대한 첩합이 가능한 점착면(12a)으로 되어 있다.
기재(11)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메타)아크릴옥시기 함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가식면(11a)에 인쇄 등의 가식을 하는 경우에도, 기재(11)에 대한 가식의 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을 주체로 하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폴리우레탄 수지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11)가 1종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해도 되고, 2종 이상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폴리올로는, 알킬렌글리콜, 디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폴리우레탄계 폴리올,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 락톤계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은 1분자에 2개의 수산기를 갖는 디올이어도 되고, 1분자에 3개의 수산기를 갖는 트리올이어도 된다. 폴리올이 4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져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1분자에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여도 되고, 1분자에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여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4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져도 된다.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P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적어도 1종 이상의 디올과, 적어도 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선형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폴리올의 적어도 일부로서, 1분자에 3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적어도 일부로서, 1분자에 3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가교 구조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가교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면, 비산 방지 필름 등의 기계적 강도나 내구성이 요구되는 점착 필름(10)의 경우에도, 기재(11)의 기계적 강도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실시형태의 기재(11)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추가로, (메타)아크릴옥시기 함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한다. 이에 의해, 기재(11)에 대한 인쇄층의 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메타)아크릴옥시기 함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UA 올리고머」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UA 올리고머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UA)의 올리고머 중, (메타)아크릴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UA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동일 분자 중에 우레탄 결합(-NH-COO-)과 (메타)아크릴옥시기(R을 H 또는 CH3으로 하는 CH2=CX-COO-)를 갖는 화합물이면 된다.
UA 올리고머는 중합성 관능기인 (메타)아크릴옥시기를 가짐으로써, 자외선(UV) 경화성을 갖는다. UA 올리고머 1분자 중의 우레탄 결합의 수는 1이어도 2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UA 올리고머 1분자 중의 (메타)아크릴옥시기의 수는 1이어도 2 이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2∼10이 예시되며, 또한 2∼6의 범위 내여도 되고, 2∼3의 범위 내여도 된다. (메타)아크릴옥시기의 수가 상이한 2종 이상의 UA 올리고머를 병용해도 된다.
기재(11)에 UA 올리고머를 배합하면, 인쇄층에 UV 경화 잉크를 사용할 때, 인쇄층에 대한 기재의 밀착성을 코로나 처리나 프라이머 처리 등 공정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UA 올리고머는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UA 올리고머가 상술한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UA 올리고머에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UA 올리고머에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는, 상술한 폴리우레탄 수지에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동일해도 된다.
UA 올리고머에 사용되는 폴리올로는, 알킬렌글리콜, 디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폴리우레탄계 폴리올,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 락톤계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UA 올리고머는 폴리우레탄 수지보다 분자량이 작은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UA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예를 들면, 500∼50000 정도여도 된다. 경화성, 밀착성의 관점에서, UA 올리고머의 적어도 1종 또는 전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MW가 10000 미만인 UA 올리고머와, MW가 10000 이상인 UA 올리고머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를 후자보다 많은 중량비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2종류 이상의 UA 올리고머를 병용했을 때, 2종류 이상의 전부를 합친 전체의 평균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MW1인 UA 올리고머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MW2인 UA 올리고머를 중량비 P1:P2로 병용했을 때, 전체를 평균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MW1×P1+MW2×P2)/(P1+P2)로 구해진다.
또한, UA 올리고머의 적어도 1종 또는 전체의 이중 결합 당량이 500∼5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중 결합 당량은 (메타)아크릴옥시기의 이중 결합 1몰당 UA 올리고머의 질량에 상당한다. UA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중합성 관능기 수로 나눔으로써, 이중 결합 당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중 결합 당량이 500∼5000g/mol인 UA 올리고머와, 이중 결합 당량이 500g/mol 미만 또는 5000g/mol 초과인 UA 올리고머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를 후자보다 많은 중량비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2종류 이상의 UA 올리고머를 병용했을 때, 2종류 이상의 전부를 합친 전체의 평균으로 이중 결합 당량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중 결합 당량이 EQ1인 UA 올리고머와, 이중 결합 당량이 EQ2인 UA 올리고머를 중량비 P1:P2로 병용했을 때, 전체를 평균한 이중 결합 당량은 (EQ1×P1+EQ2×P2)/(P1+P2)로 구해진다.
인쇄층에 대한 밀착성의 관점에서, 기재(11)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MW가 10000 미만이고, 이중 결합 당량이 500∼5000g/mol인 UA 올리고머(이하 「제1 UA 올리고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비율이 2∼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2∼20중량부의 범위 내여도 된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원료가 용제로 희석되는 등, 휘발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고형분의 양을 100중량부로 한다.
또한, 기재(11)는 제1 UA 올리고머 이외의 UA 올리고머(이하 「제2 UA 올리고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병용해도 된다. 제2 UA 올리고머는 MW가 10000 이상인 UA 올리고머여도 되고, 이중 결합 당량이 5000g/mol보다 큰 UA 올리고머여도 된다. 제2 UA 올리고머의 비율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4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중량부 이하, 20중량부 이하, 1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기재(11)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UA 올리고머의 비율은, 제1 UA 올리고머 및 제2 UA 올리고머의 합계로, 8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60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11)에 2종류 이상의 UA 올리고머가 병용되고 있을 때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2종류 이상의 UA 올리고머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피크별로 2종류 이상의 UA 올리고머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UA 올리고머에 대해, MW 및 중량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UA 올리고머의 MW가 종류별로 특정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종류별로 중합성 관능기 수로 나눔으로써, UA 올리고머의 이중 결합 당량을 종류별로 특정할 수 있다.
UA 올리고머는 무용제의 원료를 사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작업성,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UA 올리고머를 용제로 희석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이 경우에는, 고형분의 양으로부터 UA 올리고머의 중량부를 산출한다.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 미반응인 수산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해, 가교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 수지를 가교시킬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해, 가교제로서, 폴리올을 반응시켜도, 폴리우레탄 수지를 가교시킬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한 가교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폴리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폴리우레탄 수지가 갖는 수산기나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관능기에 대해 반응하는 것이 가능한 적절한 가교제를 사용해도 된다. 가교제의 비율은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교제 5∼20중량부를 들 수 있다.
<기재>
기재(1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150㎛ 정도를 들 수 있다. 기재(11)의 두께는 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11)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플레이션 성형, 압출 성형, 용액 캐스팅, 열 프레스, 캘린더 성형, 절삭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캐스팅에 의해 기재(11)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용제에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용해한 도료를 소정의 도포면에 도포한 후, 용제를 건조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11)를 필름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UA 올리고머는 용제에 폴리우레탄 수지와 함께 용해해도 된다. 용제에 대해 폴리우레탄 수지와 UA 올리고머를 첨가하는 순서는 임의이다. 또한,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도포 전의 도료에 가교제를 첨가한 후 도포함으로써, 기재(11) 중에 분산시킬 수 있다.
도료의 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톨루엔,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또는 용제 가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필름상으로 형성한 후에, 폴리우레탄 수지에 첨가한 가교제를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 수지를 가교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기재(11)의 형성에 적합한 가공성과, 기재(11)의 용도에 적합한 내구성을 양립하기 쉬워진다.
수분 등에 대한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가수분해성이 낮은 폴리카보네이트계 또는 폴리에테르계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캐스팅 등에 있어서의 도공성,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가교 전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만∼10만 정도가 바람직하다. 가교 후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겔 분율은 50∼90% 정도가 바람직하고, 70∼80%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의 기재(11)는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해도 된다. 기재(11)가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지 않아도 된다. (C) 실란 커플링제로는, 1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유기 관능기와, 적어도 1개의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수분해성기로는, 규소 원자에 결합된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관능기로는, 에폭시기, 아크릴옥시기, 메타크릴옥시기, 비닐기, 아미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산무수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아크릴옥시기 또는 메타크릴옥시기를 총칭하여, (메타)아크릴옥시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알콕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알콕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메틸디알콕시실란, 5,6-에폭시헥실트리알콕시실란, 5,6-에폭시헥실메틸디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알콕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디메틸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비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비닐트리알콕시실란, p-스티릴트리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3-아미노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3-(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메틸디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산무수물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3-(트리알콕시실릴)프로필숙신산무수물, 3-(메틸디알콕시실릴)프로필숙신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비율은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란 커플링제 0.1∼2중량부를 들 수 있다. 기재(11)가 2종 이상인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해도 된다. 실란 커플링제의 유기 관능기는 인쇄 잉크에 포함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11)는 필요에 따라, 착색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11)는 착색제 등을 첨가하지 않는 경우, 높은 투명성을 부여할 수 있다. 기재(11)의 투명성으로는 예를 들면, 전광선 투과율 90% 이상, 헤이즈 2% 이하를 들 수 있다.
<점착층>
점착층(12)은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 필름(10)이 첩합되는 물품 등에 따라, 공지의 점착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12)은 기재(11)와 접하도록 적층되어도 된다. 기재(11)와 점착층(12) 사이에 다른 층이 개재해도 된다. 투명성, 내후성 등의 관점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등의 주모노머와,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코모노머, 혹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등의 관능성 모노머를 공중합한 아크릴계 폴리머를 사용한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점착력을 향상하기 위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시켜도 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로는, 디카르복실산 등의 폴리카르복실산과, 디올 등의 폴리올을 중축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용한 점착제를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디올로는, 알킬렌글리콜, 디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에테르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의 점착력을 향상하기 위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시켜도 된다.
점착층(12)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11)에 도포한 후, 양생(에이징)에 의해 점착제를 가교제로 가교하여 점착층(12)을 형성해도 된다. 가교제의 비율은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해, 가교제 1∼10중량부를 들 수 있다. 기재(11) 이외의 시트상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점착층(12)을 기재(11) 상에 전사시켜도 된다. 기재(11)와 점착층(12) 사이에 다른 층이 개재해도 되고, 기재(11)와 점착층(12)이 서로 접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층(1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50㎛ 정도를 들 수 있다. 점착층(12)은 상온(5∼35℃의 범위 내)으로 점착성을 가져도 되고,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점착성을 가져도 된다.
<점착 필름>
기재(11) 및 점착층(12)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0∼200㎛ 정도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점착 필름(10)의 두께에는, 하기의 커버 필름(13) 및 박리 필름(14)의 두께가 포함되지 않는다. 점착 필름(10)의 두께는 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식면(11a)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 필름(10)은 기재(11)의 점착층(12)과는 반대측 면에, 커버 필름(13)을 가져도 된다. 커버 필름(13)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셀로판 필름, 종이, 수지 라미네이트지, 금속박, 수지 라미네이트 금속박, 금속 증착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커버 필름(13)은 불투명 혹은 반투명이어도 되지만, 투명성이 높은 커버 필름(13)을 사용하는 경우, 커버 필름(13)을 박리하지 않아도, 가식면(11a)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커버 필름(13)이 무연신의 수지 필름 또는 연신된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커버 필름(13)은 가식면(11a)에 접하는 측의 면에,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층을 가져도 된다. 커버 필름(13)이 가식면(11a)에 접하는 측의 면에, 박리제를 갖지 않아도 된다.
점착면(12a)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 필름(10)은 점착층(12)의 기재(11)와는 반대측 면에, 박리 필름(14)을 가져도 된다. 박리 필름(14)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셀로판 필름, 종이, 수지 라미네이트지, 금속박, 수지 라미네이트 금속박, 금속 증착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필름(14)은 불투명 혹은 반투명이어도 되지만, 투명성이 높은 박리 필름(14)을 사용하는 경우, 박리 필름(14)을 박리하지 않아도, 점착면(12a)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박리 필름(14)이 무연신의 수지 필름 또는 연신된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박리 필름(14)은 점착면(12a)에 접하는 측의 면에,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층을 가져도 된다. 박리 필름(14)이 점착면(12a)에 접하는 측의 면에, 박리제를 갖지 않아도 된다.
도 2에 점착 필름(10)을 첩합한 피착체(20)의 일 예를 나타낸다. 기재(11)에는 인쇄층(15)이 형성되어 있고, 점착층(12)에는 피착체(20)가 첩합되어 있다. 기재(11)에 인쇄층(15)을 형성하는 공정과, 점착층(12)에 피착체(20)를 첩합하는 공정의 순서는 한정되지 않지만, 기재(11)에 인쇄층(15)을 형성한 후에, 점착층(12)에 피착체(20)를 첩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필름(10)을 피착체(20)에 적합한 치수로 재단하는 공정을 가져도 된다. 기재(11)에 대한 인쇄는 점착 필름(10)의 재단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필름(10)의 가식면(11a)은 상술한 기재(11)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이머 등의 이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인쇄층(15)을 밀착시킬 수 있다. 가식면(11a)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 필름(13)을 형성한 경우에는, 인쇄 전에 커버 필름(13)이 제거된다. 기재(11)를 형성한 후, 가식면(11a)에 커버 필름(13)을 형성하지 않고, 인쇄층(15)을 형성해도 된다.
인쇄층(15)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라비어 인쇄, 볼록판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잉크젯 등의 인쇄 방식을 들 수 있다. 인쇄층(15)은 가식면(11a)의 전체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가식면(11a)의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도 된다. 인쇄층(15)을 2층 이상 중첩해도 된다. 가식면(11a)의 상이한 영역에, 상이한 인쇄층(15)을 형성해도 된다. 가식면(11a)에는, 인쇄층(15) 이외의 가식을 해도 된다. 다른 가식층으로는 예를 들면, 스퍼터 등에 의한 금속 증착층 등을 들 수 있다.
인쇄층(15)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는 안료, 염료 등의 착색재와, 바인더를 포함해도 된다. 바인더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초산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고리화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잉크는 물, 유기용제, 식물 오일 등의 용제를 함유해도 된다. 인쇄 후에는, 용제의 휘발이나 잉크의 경화 등에 의해 잉크를 건조시킬 수 있다. 잉크의 건조를 촉진하기 위해, 가열, 자외선 조사 등을 실시해도 된다.
점착 필름(10)을 피착체(20)에 첩합하기 전, 점착층(12)으로부터 박리 필름(14)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점착층(12)을 개재하여, 점착 필름(10)을 피착체(20)에 첩합할 수 있다. 피착체(20)는 표시면, 케이스 등에 유리를 사용한 전자기기여도 된다. 피착체(20)에 있어서 점착층(12)에 접하는 면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리, 금속,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피착체(20)는 점착 필름(10)의 첩합되는 면이 평면 형상인 물품에 한정되지 않고, 곡면부를 갖는 물품이어도 된다.
점착 필름(10)을 피착체(20)에 첩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압, 흡인 등을 이용하여, 점착층(12)을 피착체(20)에 밀착시키면 된다. 가압 방식으로는, 롤 부재, 봉 형상 부재, 판 형상 부재 등의 기계 방식이어도 되고,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유체를 사용한 압력 매체 방식이어도 된다. 점착 필름(10)을 피착체(20)에 임시로 부착시킨 후, 주위로부터 액체의 압력을 작용시켜 등방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매체가 온수여도 된다. 흡인 방식으로는, 진공을 이용하여 점착 필름(10)과 피착체(20) 사이의 공기를 흡인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변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리우레탄 수지로서, 다음의 재료를 사용했다.
폴리우레탄 1(30%): 닛포란(등록상표) 5199(제조사: 토소 가부시키가이샤, 고형분: 30중량%)
폴리우레탄 2(35%): 다이페라민(등록상표) MAU-8288A(제조사: 다이니치세이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고형분: 35중량%)
폴리우레탄 3(60%): USV1402(제조사: 후지쿠라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고형분: 60중량%)
가교제로서, 다음의 화합물(휘발분을 포함하지 않는 고형분 100%의 재료)을 사용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 코로네이트(등록상표) HX(제조사: 토소 가부시키가이샤)
UA 올리고머로서, 다음의 화합물(휘발분을 포함하지 않는 고형분 100%의 재료)을 사용했다.
UA 올리고머 1: UV6640B(제조사: 미츠비시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MW=5000, 중합성 관능기 수=2, 이중 결합 당량=2500g/mol)
UA 올리고머 2: UV3310B(제조사: 미츠비시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MW=5000, 중합성 관능기 수=2, 이중 결합 당량=2500g/mol)
UA 올리고머 3: UV6630B(제조사: 미츠비시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MW=3000, 중합성 관능기 수=2, 이중 결합 당량=1500g/mol)
UA 올리고머 4: UV7510B(제조사: 미츠비시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MW=3500, 중합성 관능기 수=3, 이중 결합 당량=1167g/mol)
UA 올리고머 5: UV3500BA(제조사: 미츠비시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MW=13000, 중합성 관능기 수=2, 이중 결합 당량=6500g/mol)
UA 올리고머 6: UV3520EA(제조사: 미츠비시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MW=14000, 중합성 관능기 수=2, 이중 결합 당량=7000g/mol)
UA 올리고머 7: UV1700B(제조사: 미츠비시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MW=2000, 중합성 관능기 수=10, 이중 결합 당량=200g/mol)
밀착성의 평가에는, 다음의 잉크를 사용했다.
평가 잉크: VB2979U(제조사: 후지쿠라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Al 증착용 언더코트, 용제 UV 경화계(30%))
(기재의 제작)
표 1∼4에 나타내는 조성(수치는 중량부)으로, 폴리우레탄 수지, 가교제, UA 올리고머를 배합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사용하여, 용액 캐스팅법에 의해, 두께 50㎛의 필름을 형성하고, 각 번호의 기재를 제작했다. 「수지: UA의 비율」은 폴리우레탄 수지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한 UA 올리고머의 비율을 나타낸다. 번호 7, 11, 13에서는, UA 올리고머를 배합하지 않았다. 번호 16∼19에서는, 2종류의 UA 올리고머를 배합하고, 100:20:20과 같이 2종류의 비율을 나누어 기재했다.
(밀착성의 평가 방법)
상술한 평가 잉크를 원액으로 박리 필름(제조사: 도요보, 에스테르 TN200, 25㎛ 두께)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dry 5㎛ 막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1분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도막을 우레탄 기재의 면에 라미네이트하고, 우레탄 기재측으로부터 UV 조사(메탈할라이드 램프, 적산 광량 1000mJ/㎠)하여 경화시킨 후, 박리 필름을 박리하며, 크로스컷 시험을 실시했다.
밀착성은 다음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0/100: 도막이 우레탄 기재의 면으로부터 완전히 박리하고 있다.
100/100: 도막이 우레탄 기재의 면으로부터 박리하지 않고 밀착하고 있다.
(평가 결과)
표 1∼4에 각 번호의 기재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번호 1∼6, 12, 14∼19의 기재(실시예)에서는, 인쇄층에 박리가 없었다. 그러나, 번호 7∼11, 13의 기재(비교예)에서는, 인쇄층에 박리가 확인되었다.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실시예의 기재(두께 60㎛)의 편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가교제 및 용제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기재에 도포한 후, 용제를 건조시키고, 추가로 양생(에이징)에 의해 점착제를 가교시켜도 된다.
10…점착 필름, 11…기재, 11a…가식면, 12…점착층, 12a…점착면, 13…커버 필름, 14…박리 필름, 15…인쇄층, 20…피착체.

Claims (7)

  1. 기재와, 상기 기재의 편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미만이고, (메타)아크릴옥시기의 이중 결합 1몰당 질량에 상당하는 이중 결합 당량이 500∼5000g/mol인 (메타)아크릴옥시기 함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가 가교제로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미만이고, 상기 이중 결합 당량이 500∼5000g/mol인 (메타)아크릴옥시기 함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비율이 2∼4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층과는 반대측 면에, 커버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층과는 반대측 면에,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기 기재와는 반대측 면에, 박리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기 기재와는 반대측 면에, 피착체의 유리가 첩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KR1020230035080A 2022-03-24 2023-03-17 점착 필름 KR20230140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48350A JP2023141828A (ja) 2022-03-24 2022-03-24 粘着フィルム
JPJP-P-2022-048350 2022-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483A true KR20230140483A (ko) 2023-10-06

Family

ID=8807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080A KR20230140483A (ko) 2022-03-24 2023-03-17 점착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141828A (ko)
KR (1) KR20230140483A (ko)
CN (1) CN116804136A (ko)
TW (1) TW20240879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6969U (ko) 1972-01-22 1973-10-20
JP2003295769A (ja) 2002-04-05 2003-10-15 Kuramoto Sangyo:Kk マーキングシート作製用薄膜粘着シート、薄膜マーキングシート及びマーキングシート貼着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6969U (ko) 1972-01-22 1973-10-20
JP2003295769A (ja) 2002-04-05 2003-10-15 Kuramoto Sangyo:Kk マーキングシート作製用薄膜粘着シート、薄膜マーキングシート及びマーキングシート貼着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08795A (zh) 2024-03-01
CN116804136A (zh) 2023-09-26
JP2023141828A (ja)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1059B2 (en) Conformable retroreflective film structure
JP5254766B2 (ja) 積層シート、それを貼り付けた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24722B2 (ja) 加飾シート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加飾シート
JP2003295769A (ja) マーキングシート作製用薄膜粘着シート、薄膜マーキングシート及びマーキングシート貼着物品
JP4364993B2 (ja) マーキングフィルム
JP2022145538A (ja) 粘着フィルム
KR20230140483A (ko) 점착 필름
JP4270997B2 (ja) 仮着保護シート付き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
CN113165353B (zh) 用于交通工具外部的装饰膜
JP2022135952A (ja) 粘着フィルム
KR20220125168A (ko) 점착 필름
JP2009202367A (ja) 装飾用粘着シート
WO2012128048A1 (ja) 傷付き防止フィルム
JP2020019142A (ja) 転写シート
KR100316830B1 (ko)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KR20220131171A (ko) 점착 필름
CN110789187B (zh) 金属色调片
JP2021194823A (ja) 接着シート、物品及び物品の製造方法
JP2002097422A (ja) 粘着シート
JP2926763B2 (ja) 耐可塑剤性マーキングフィルム
EP4263218A1 (en) Laminate comprising plasticizer-containing layer and ink layer, and radiation curable ink
CN114672056A (zh) 着色膜和着色粘合带
JP2019035040A (ja) インキ及び積層体
JPH024506A (ja) 外装用金属調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